KR100832221B1 - 소프트웨어 저작권 보호용 장치 - Google Patents

소프트웨어 저작권 보호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2221B1
KR100832221B1 KR1020060136053A KR20060136053A KR100832221B1 KR 100832221 B1 KR100832221 B1 KR 100832221B1 KR 1020060136053 A KR1020060136053 A KR 1020060136053A KR 20060136053 A KR20060136053 A KR 20060136053A KR 100832221 B1 KR100832221 B1 KR 100832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tware
unit
authentication key
smart card
copyright pro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6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상욱
김태리
신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스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스마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스마텍
Priority to KR1020060136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22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2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2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2Protecting executable software
    • G06F21/121Restricting unauthorised execution of programs
    • G06F21/123Restricting unauthorised execution of programs by using dedicated hardware, e.g. dongles, smart cards, cryptographic processors, global positioning systems [GP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2Protecting executable software
    • G06F21/14Protecting executable software against software analysis or reverse engineering, e.g. by obfus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01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 G06K19/0712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the arrangement being capable of triggering distinct operating modes or functions dependent on the strength of an energy or interrogation field in the proximity of the record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도의 보안성을 갖는 스마트카드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소프트웨어 등을 다운, 실행, 인증 시킬 수 있는 S/W 저작권 보호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동식 디스크와 동일 유형을 갖는 하우징 내에 IC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PC와 통신하도록 하는 USB인터페이스부와, 상기 USB인터페이스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스마트카드부를 구비하는 저작권보호용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카드부는, 상기 저작권보호용장치를 외부 PC과 연결 시 S/W를 다운 받을 수 있는 해당 사이트로 이동하도록 하는 자동로그인부와, 상기 해당 사이트 이동 후, S/W set up 프로그램을 다운받도록 하기 위한 다운로드프로그램부와, 상기 해당 S/W 제품을 다운받는 URL 정보가 저장되는 소프트웨어정보저장부 및 상기 S/W를 상기 외부 PC에 설치 시, 인증키를 생성하는 인증키생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S/W의 저작권 보호를 극대화할 수 있다.
스마트카드, 인증키생성부, USB인터페이스부, 다운로드, 이동식디스크

Description

소프트웨어 저작권 보호용 장치{Software Copyright Protect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보호용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
도 2는 스마트카드 내부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저작권보호용장치에 탑재되는 스마트카드용 자바응용프로그램의 구조도.
본 발명은 S/W 저작권 보호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카드의 USB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구현한 이동식 스마트카드 장치에 대한기술로서 S/W 저작권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는 CD-ROM, DVD-ROM 등의 매체를 통해 Off-line 상에서 직접 판매되거나, 해당 소프트웨어 회사의 인터넷 사이트를 이용해 소비자가 다운로드를 하는 방식으로 판매가 이루어 진다. S/W 제품을 구입한 사용자가 제품을 설치하고 사용하기 위해서는 S/W 회사에서 CD-ROM 등과 함께 제공하는 정품 인증용 CD-Key 의 입력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정품 인증용 CD-Key 는 일반 텍스트 형식으로 사용자가 입력을 하도록 노출이 되어 있기 때문에 CD-Key 와 CD-ROM 을 그대로 복사하여 제3자가 불법적으로 사용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더욱이 이러한 사용자들은 CD-Key 가 없는 경우라도 불법으로 만들어진 CD-Key 생성프로그램을 이용하거나 CD-Key 인증프로그램을 크랙킹하는 방법 등을 동원해 S/W 의 정품 인증방법을 해킹하고 있으므로, P2P 사이트 등을 통해 불법적인 공유가 이루어져 S/W 저작권보호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도의 보안성을 갖는 스마트카드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소프트웨어 등을 다운, 실행, 인증 시킬 수 있는 S/W 저작권 보호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동식 디스크와 동일 유형을 갖는 하우징 내에 IC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PC와 통신하도록 하는 USB인터페이스부와, 상기 USB인터페이스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스마트카드부를 구비하는 저작권보호용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카드부는,
상기 저작권보호용장치를 외부 PC과 연결 시 S/W를 다운 받을 수 있는 해당 사이트로 이동하도록 하는 자동로그인부와, 상기 해당 사이트 이동 후, S/W set up 프로그램을 다운받도록 하기 위한 다운로드프로그램부와,
상기 해당 S/W 제품을 다운받는 URL 정보가 저장되는 소프트웨어정보저장부 및 상기 S/W를 상기 외부 PC에 설치 시, 인증키를 생성하는 인증키생성부를 포함하 여 이루어진다.
범용직렬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는 1990년대 중반에 제정된 데이터 송수신 규격으로, 컴퓨터의 기존 주변장치 입출력 속도와 기능 개선을 위하여 인텔을 비롯한 몇 개의 기업에서 만든 규격이다. 이러한 USB 규격에 따르면, 주변기기를 최고 127개까지 컴퓨터에 접속할 수 있다. 현재 USB 규격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주변기기는 USB 마우스 또는 USB 키보드 등이 있다. USB의 데이터 전송 속도는 규격별로 차이가 있는데, USB1.1 규격은 최대 12Mbps이며 USB2.0 규격은 최대 480Mbps이다. 이러한 마우스 또는 키보드 이외에도 USB 규격의 확장성과 다양성 때문에 새로운 주변기기들이 속속 개발되어 선보이고 있다.
한편,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여 초소형 이동식 저장장치인 USB 드라이브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크기가 작고 기계적 충격에 강하며 각종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플래시 메모리의 가격 하락에 따라 저렴한 이동식 저장장치로써 더 많은 수요가 예상된다.
한편, 카드에 반도체 칩을 내장하고 있는 카드를 스마트카드라고 한다. 단말기와 카드가 통신을 위해 전원공급, 데이터 입출력 포트 등의 단자를 가지고 있는 카드를 "접촉식 스마트카드"라고 하고, 단말기와 카드가 선이 연결되지 않고 비접촉으로 통신을 하는 카드를 "비접촉식 스마트카드"라고 한다.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USB 규격을 이용하면서도 상기 스마트카드의 기능 을 최대한 활용하여 S/W의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는 장치(이하, “저작권보호용장치”라 함)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보호용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에 관한 것이며, 도 2는 스마트카드 내부 구조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저작권보호용장치에 탑재되는 스마트카드용 자바응용프로그램의 구조도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발명의 저작권보호용장치는, 이동식 디스크와 동일 유형을 갖는 하우징 내에 USB인터페이스부(10)와, 상기 USB인터페이스부(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스마트카드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USB인터페이스부(10)는 외부 PC와 별도의 단말장치 없이도 스마트카드부(20) 내의 IC칩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거나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IC칩과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스마트카드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스마트카드의 구조, 즉, 자바응용프로그램(100), 자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110), 자바가상머신(Java Virtual Machine)(120) 및 하드웨어 기반 플랫폼(130)으로 구성된다.
자바 응용 프로그램(100)은 자바 언어(Java Language)로 작성된 프로그램으로서 자바 컴파일러(Java Compiler)를 이용하여 자바 바이트코드(Java Byte code)로 컴파일 되고, 이 자바 바이트 코드는 자바 가상 머신(120)에 의해 해석되어 실 행되는데, 이 때 자바 가상 머신(120)은 자바 바이트코드에 대한 해석기(Interpreter)로 동작한다.
자바 API(110)는 자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라이브러리 또는 클래스들의 집합으로서 서로 관련된 클래스들이 묶여서 패키지 단위로 제공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스마트카드부(20)의 자바응용프로그램(100)은 도 3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자바응용프로그램(100)은 다운로드관리자(100A)와 보안관리자(100B)로 구분되며, 상기 다운로드관리자(100A)는 자동로그인부(200), 다운로드프로그램부(300), 소프트웨어정보저장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안관리자(100B)는 인증키생성부(500)와 라이센스정보저장부(600)와, 어플리케이션키저장부(700)와, 아이디로그관리부(8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다운로드관리자(100A)의 구성요소인 상기 자동로그인부(200)는 저작권보호용장치를 외부 PC과 연결 시 S/W를 다운 받을 수 있는 해당 사이트로 이동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다운로드프로그램부(300)는 해당 사이트 이동 후, S/W set up 프로그램을 다운받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소프트웨어정보저장부(400)에는 해당 S/W 제품을 다운받는 URL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보안관리자(100B)의 구성요소인 상기 인증키생성부(500)는 S/W 설치 후, 종래의 CD KEY 대신, 인증키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라이센스정보저장부(600)는 제품의 라이센스, 즉 1인용, 10인용, 100인용 등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어플리케이션키저장부(700)는 차후 저작권보호용장치 및 저작권보 호용장치에 구현되는 자바응용프로그램 관리를 위한 보안 KEY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아이디로그관리부(800)는 본 발명의 저작권보호용장치를 다른 PC에서 설치할 수 없도록 응용프로그램에서 아이디 로그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정품 S/W를 일반 소매상점이나 인터넷을 통해 구매한 사용자는 USB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는 저작권보호용장치를 제공 받아 제품의 설치 및 인증을 하게 된다.
상기의 설치 인증과정에 대한 각 구성요소들의 역할 및 이들의 유기적인 인증 수행절차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저작권보호용장치는 스마트카드부의 IC 칩에서 제공하는 USB 인터페이스를 위한 접점을 통해 사용자의 컴퓨터와 스마트카드 IC 칩 간의 명령어들을 주고받으며, 도 3에서 설명 된 스마트카드부의 IC Chip 에 탑재되는 스마트카드용 자바응용프로그램을 통해 보안 CD-Key 의 생성 및 인증, 관리 등에 관한 외부의 명령어(Command)가 수행 된다.
사용자가 저작권보호용장치를 컴퓨터의 USB Port 에 삽입하면 다운로드관리자(100A)의 자동로그인부(200)가 자동으로 인터넷웹브라우저를 구동시켜 해당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인증 할 수 있는 URL로 자동 로그인을 시키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이미 프로그램을 설치 하여 인증키의 생성 단계에 있을 경우에는 보안관리자<100B> 의 기능이 구동되어 후속 명령어가 수행 되며,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해당 소프트웨어를 먼저 다운받아야 할 경우에는 다운로드프로그램 부(300)에 의해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과정으로 이동한다. 다운로드프로그램부(300)는 소프트웨어 제공자가 다운로드를 허락하는 소프트웨어의 정보가 저장 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구매한 소프트웨어 이외의 제품은 다운로드를 받을 수 없다.
소프트웨어의 설치가 끝나면 사용자는 인증키생성부(500)의 구동에 의해 인증키를 생성하게 된다. 인증키의 생성은 어플리케이션키저장부(700)에 저장되어 있는 보안키와 스마트카드가 제공하는 RSA 암호화 알고리즘 또는 Triple DES 알고리즘과 같은 해킹이 불가능한 암호화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생성 되어 악의적인 사용자가 인증키를 복제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이러한 인증키의 생성은 라이센스정보저장부(600)에 정의된 인증키 생성 회수의 제한을 받아 사용자가 인증키를 무제한으로 생성할 수 없도록 설계 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소프트웨어를 구매하거나 소프트웨어에 대한 추가적인 비용지불에의해 라이센스 정책을 바꾸어야 할 경우에는 라이센스정보저장부(600)의 정보는 소프트웨어제공자의 인증서버와 저작권보호용장치간의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한 상호 인증을 통해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됨으로써 사용자는 제공받은 저작권보호용장치를 계속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운로드프로그램부(300), 소프트웨어정보저장부(400) 또한 상기와 같은 인증절차를 거침으로 하여 데이터를 업데이트 해줌으로써 사용자가 신규 소프트웨어를 구매할 경우에 추가적인 저작권보호용장치의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정당한 인증과정을 거쳐 인증키를 생성 하여 소프트웨어를설 치한 후에 필요에 의해 소프트웨어를 삭제(Uninstall) 하고 다른 컴퓨터에 같은 프로그램의 설치를 원하는 경우 지속적인 사용자의 라이센스의 유지를 위하여 아이디로그관리부(800)가 필요하다. 아이디로그관리부(800)는 사용자가 기존의 프로그램을 삭제할 경우 저작권보호용장치를 필요하게 함으로써 프로그램 삭제시 인증키의 생성회수를 업데이트 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제공되는 네트워크 ID 와 같은 고유한 데이터를 관리하여 일정 회수 이하로 소프트웨어의 설치를 제한 함으로써 사용자가 개인간에 소프트웨어를 사고파는 행위까지도 막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불법으로 만들어진 CD-Key 생성프로그램을 이용하거나 CD-Key 인증프로그램을 크랙킹하는 방법 등을 통한 S/W 의 정품 인증방법의 해킹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S/W의 저작권보호를 극대화 할 수 있다.

Claims (4)

  1. 이동식 디스크와 동일 유형을 갖는 하우징 내에 IC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PC와 통신하도록 하는 USB인터페이스부(10)와, 상기 USB인터페이스부(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스마트카드부(20)를 구비하는 저작권보호용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카드부는,
    상기 저작권보호용장치를 외부 PC과 연결 시 S/W를 다운 받을 수 있는 해당 사이트로 이동하도록 하는 자동로그인부(200)와,
    상기 해당 사이트 이동 후, S/W set up 프로그램을 다운받도록 하기 위한 다운로드프로그램부(300)와,
    상기 해당 S/W 제품을 다운받는 URL 정보가 저장되는 소프트웨어정보저장부(400) 및,
    상기 S/W를 상기 외부 PC에 설치 시, 인증키를 생성하는 인증키생성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프트웨어 저작권 보호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키 생성의 회수를 제한하며, S/W의 라이센스를 관리하는 라이센스정보저장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저작권 보호용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응용프로그램 관리를 위한 보안 KEY의 정보를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키저장부(700)를 더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카드부가 제공하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인증키생성부에 의해 인증키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저작권 보호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인증키 생성 회수의 업데이트 및 소프트웨어의 설치를 제한하는 아이디로그관리부(8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저작권 보호용 장치.
KR1020060136053A 2006-12-28 2006-12-28 소프트웨어 저작권 보호용 장치 KR100832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053A KR100832221B1 (ko) 2006-12-28 2006-12-28 소프트웨어 저작권 보호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053A KR100832221B1 (ko) 2006-12-28 2006-12-28 소프트웨어 저작권 보호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2221B1 true KR100832221B1 (ko) 2008-05-23

Family

ID=39665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6053A KR100832221B1 (ko) 2006-12-28 2006-12-28 소프트웨어 저작권 보호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22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84449A (zh) * 2010-11-30 2011-03-09 公安部第三研究所 一种智能卡cos操作系统
KR20150101833A (ko) * 2014-02-27 2015-09-04 박경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복제방지 및 권한인증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141335A (ko) 2018-06-14 2019-12-24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Usb메모리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라이센스 관리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1493A (ja) 2001-02-23 2002-09-06 Hochiki Corp 電子情報認証システム、電子情報認証処理装置、電子情報認証端末装置、電子情報認証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30038995A (ko) * 2001-11-09 2003-05-17 임민상 소프트웨어 불법복제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0548638B1 (ko) * 2005-08-03 2006-02-02 주식회사 하이스마텍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원 타임 패스워드 생성 및 인증방법그리고 이를 위한 스마트카드
KR100705145B1 (ko) 2005-06-07 2007-04-09 주식회사 다모넷 소프트웨어 임대사업의 인증처리에 있어서 스마트 카드방식의 인증키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1493A (ja) 2001-02-23 2002-09-06 Hochiki Corp 電子情報認証システム、電子情報認証処理装置、電子情報認証端末装置、電子情報認証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30038995A (ko) * 2001-11-09 2003-05-17 임민상 소프트웨어 불법복제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0705145B1 (ko) 2005-06-07 2007-04-09 주식회사 다모넷 소프트웨어 임대사업의 인증처리에 있어서 스마트 카드방식의 인증키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0548638B1 (ko) * 2005-08-03 2006-02-02 주식회사 하이스마텍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원 타임 패스워드 생성 및 인증방법그리고 이를 위한 스마트카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84449A (zh) * 2010-11-30 2011-03-09 公安部第三研究所 一种智能卡cos操作系统
CN101984449B (zh) * 2010-11-30 2013-01-02 公安部第三研究所 一种智能卡cos操作系统
KR20150101833A (ko) * 2014-02-27 2015-09-04 박경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복제방지 및 권한인증 장치 및 그 방법
KR101561771B1 (ko) 2014-02-27 2015-12-21 구대근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복제방지 및 권한인증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141335A (ko) 2018-06-14 2019-12-24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Usb메모리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라이센스 관리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454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secured software for a wireless device
CN103748594B (zh) 针对arm*trustzonetm实现的基于固件的可信平台模块
CN105453102B (zh) 用于识别已泄漏的私有密钥的系统和方法
JP6227772B2 (ja) 動的ライブラリを保護する方法及び装置
US20020083318A1 (en) Method and system for software integrity control using secure hardware assist
CN105446713A (zh) 安全存储方法及设备
CN107431621A (zh) 采用输入标记的可信二进制的二进制转换
KR20140099325A (ko) 글로벌 플랫폼 규격을 사용하는 발행자 보안 도메인에 대한 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963089B1 (ko) 복제를 방지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설치 시스템 및 방법
US20080163350A1 (en) Portable information security device
TW200837602A (en) Cryptographic key containers on a USB token
US20080263542A1 (en) Software-Firmware Transfer System
CN100468431C (zh) 一种自动绑定移动设备的数字作品下载方法
KR101504647B1 (ko) 가상 머신 활성화를 갖는 휴대용 대량 저장장치
Nepal et al. A mobile and portable trusted computing platform
Ozkan et al. Security analysis of mobile authenticator applications
KR100832221B1 (ko) 소프트웨어 저작권 보호용 장치
CN110597496B (zh) 应用程序的字节码文件获取方法及装置
KR20100008678A (ko) 가상 머신을 이용한 응용 프로그램 제공 방법 및 시스템,가상 응용 프로그램 수행 방법, 가상 머신 모듈 및 온라인서비스 제공 방법
Pan et al. Advertisement removal of Android applications by reverse engineering
JP5174113B2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管理プログラム及び管理方法
CN114357384A (zh) 基于授权文件激活软件的方法、计算装置以及计算机可读介质
GB2372592A (en) Information system
JP2009260688A (ja) ワイヤレス広域通信網におけるリモート端末装置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とその方法
Borg et al. IoT Pentesting: Obtaining the firmware of a smart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