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1826B1 - 교환기 시스템에서의 음성 신호 감쇄 보완 장치 - Google Patents

교환기 시스템에서의 음성 신호 감쇄 보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1826B1
KR100831826B1 KR1020020081324A KR20020081324A KR100831826B1 KR 100831826 B1 KR100831826 B1 KR 100831826B1 KR 1020020081324 A KR1020020081324 A KR 1020020081324A KR 20020081324 A KR20020081324 A KR 20020081324A KR 100831826 B1 KR100831826 B1 KR 100831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alog
board
line
distance
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1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4303A (ko
Inventor
고경민
Original Assignee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노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1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1826B1/ko
Publication of KR20040054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4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1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1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272Subscriber line supervision circuits, e.g. call detection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05Interface circuits for subscriber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0PC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terface Circuits In Exch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 시스템에서 음성 신호 감쇄 보완 장치는 교환기 시스템의 장거리 가입자 인터페이스 보드에 있어서, 한 보드에 서로 다른 선로 거리를 가진 여러 가입자가 존재할 수 있고, 상기 보드 내에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주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해당 회선의 아날로그 전압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연결될 수 있게 하는 아날로그 스위치가 상기 보드 전체 당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아날로그 스위치, 교환기 시스템

Description

교환기 시스템에서의 음성 신호 감쇄 보완 장치{AUDI0 SIGNAL DAMPING COMPENSATION APPARATUS AT A SWITCHING SYSTEM}
도 1은 종래의 교환기 시스템(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신호 감쇄 보완 보완 장치를 갖춘 장거리 가입자 인터페이스 보드(208)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200: 슬릭(SLIC: Subscriber Line Interface Circuit) 소자
201: 코덱(CODEC: COder and DECoder) 소자
202: 전압 분할 저항 1 203: 전압 분할 저항 2
204: 전류 감지 저항 205: 장거리 가입자 단말
206: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207: CPU(Central Processing Unit)
208: 장거리 가입자 인터페이스 보드
209: 아날로그 스위치 210: ROM(Read Only Memory)
본 발명은 교환기의 장거리 내선 가입자의 통화 감도를 자동으로 조절하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선 가입자의 단말기가 설치된 거리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이에 따라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통화 감도를 조절하게 하여 운용자의 별도 조작 없이 통화로 상의 통화 감도를 조절하게 함에 따라 거리에 따른 음성 신호의 감쇄를 자동으로 보상/조절하도록 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교환기 시스템(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교환기 시스템(100)은 가입자의 선로 거리에 따라 운용자가 그 거리를 알고 있어, 거리가 먼 가입자의 경우 운용자가 시스템 유지 관리 제어 장치(103)를 이용하여 시스템 제어부(106) 내의 시스템 스위치(101) 상에서 통화로 상의 음성 통화 감도 레벨의 감쇄분 만큼을 보상하여 주도록 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교환기 시스템(100)은 가입자의 선로 거리에 따라 운용자가 그 거리를 일일이 파악하여 거리가 먼 가입자의 경우 거리에 따른 통화 감쇄를 보상하기 위해 운용자가 시스템 유지 관리 제어 장치(103)를 이용하여 별도로 음성 통화 레벨의 감쇄분 만큼 시스템 스위치(101)에서 보상을 하도록 시스템에서 일일이 조정하여 주었고, 만일 동일 선로에서 가입자의 단말 위치가 변동될 경우 이를 하나하나 찾아 수정해 주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었다.
이 때, 유지 관리 제어 장치(103)는 통상 일반 컴퓨터가 사용되며, 여기에 시스템 제어부(106)와 연결하여 시스템 제어부(106)를 컨트롤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시스템 제어부(106)와 연결하며, 시스템 제어부(106)내에 있는 시스템 스위치(101)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교환기 시스템(100)에서는 장거리 가입자 인터페이스 보드(102)에 연결되어 있는 장거리 가입자 단말(104)에서 통화를 원해 전화기를 들고 다이얼을 하면 시스템 제어부(106)에서는 이를 인식하여 해당 가입자에 링을 주게 되고, 이 때 착신측 가입자인 단거리 가입자 단말(105)이 응답을 하면 시스템 스위치(101)내에 두 가입자에 할당된 디지털 스위치를 연결하여 통화가 가능토록 한다.
이 때, 감쇄를 보상하기 위해 시스템 스위치(101)내에 있는 감도 조절 기능상의 디지털 데이터의 옵셋 값을 이용하여 조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교환기 시스템(100)에서의 감조 조절 방식은 감쇄에 따른 보상을 위해 시스템 스위치(101)상에서 조정가능한 기능이 내장된 시스템의 경우만 쓸 수 있는 방식으로, 이것이 없는 시스템일 경우에는 장거리 가입자 보드에서 일일이 하드웨어적 수정으로 보상을 해주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이런 경우, 장거리 가입자(104) 기준으로 통화 감도를 장거리 가입자 인터페이스 보드(102) 내에서 일률적으로 맞추면 같은 보드에서 사용하는 단거리 가입자 단말(105)의 통화 감도가 너무 커서 사용자의 불만을 살 우려가 있을 뿐만아니라 운용자에게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내선 가입자의 단말기가 설치된 거리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이에 따라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통화 감도를 조절하게 하여 운용자의 별도 조작 없이 통화로 상의 통화 감 도를 조절하게 함에 따라 거리에 따른 음성 신호의 감쇄를 자동으로 보상/조절하도록 한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 시스템에서 음성 신호 감쇄 보완 장치는 교환기 시스템의 장거리 가입자 인터페이스 보드에 있어서, 한 보드에 서로 다른 선로 거리를 가진 여러 가입자가 존재할 수 있고, 상기 보드 내에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주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해당 회선의 아날로그 전압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연결될 수 있게 하는 아날로그 스위치가 상기 보드 전체 당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32 가입자를 하나의 장거리 가입자 인터페이스 보드에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 시스템에서 음성 신호 감쇄 보완 장치는 교환기 시스템의 장거리 가입자 인터페이스 보드에 있어서, 장거리 가입자 단말과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슬릭 소자와, 송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주는 코덱 소자와, 상기 슬릭 소자 및 코덱 소자를 구동하고 제어하는 CPU 소자와, 선로 거리에 따른 PCM 데이터의 변환 테이블을 저장하는 ROM과, 상기 장거리 가입자 단말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과, 상기 슬릭 소자와 상기 전원 사이의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 저항, 상기 전류 감지 저항에 걸리는 전압을 낮은 전압으로 바꾸어 주는 전압 분할 저항 1 및 전압 분할 저항 2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주며 상기 보드내 공통으로 사용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와, 해 당 회선의 아날로그 전압을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연결될 수 있게 하는 아날로그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32 가입자를 하나의 장거리 가입자 인터페이스 보드에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서 변환된 PCM 데이터는 ROM내에 있는 선로 거리에 따른 PCM 데이터의 변환 테이블과 비교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신호 감쇄 보완 장치를 갖춘 장거리 가입자 인터페이스 보드(208)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신호 감쇄 보완 장치는 교환기 시스템의 장거리 가입자 인터페이스 보드(208)에 있어서, 장거리 가입자 단말(205)과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슬릭(SLIC:Subscriber Line Interface Circuit) 소자(200)와, 송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주는 코덱(CODEC:COder and DECoder) 소자(201)와, 상기 슬릭 소자(200) 및 코덱 소자(201)를 구동하고 제어하는 CPU 소자(207)와, 선로 거리에 따른 PCM 데이터의 변환 테이블을 저장하는 ROM(210)과, 상기 장거리 가입자 단말(205)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48V 전원과, 상기 슬릭 소자(200)와 상기 -48V 전원 사이의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 저항(204), 상기 전류 감지 저항(204)에 걸리는 전압을 낮은 전압으로 바꾸어 주는 전압 분할 저항 1(202) 및 전압 분할 저항 2(203)와, 입력 아 날로그 전압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켜주며 상기 보드내 공통으로 사용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06)와, 해당 회선의 아날로그 전압을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06)에 연결될 수 있게 하는 아날로그 스위치(20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회로상의 중복을 방지하고 소자 수를 줄이기 위해 회선 전체당 하나의 아날로그 스위치(209)를 두어 각각의 회선마다 중복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06)가 사용되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어, 32 가입자를 하나의 장거리 가입자 인터페이스 보드(208)에 구성할 때, 회선당 3개의 저항(202, 203, 204)과 공통으로 사용되는 아날로그 스위치(209)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06)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감쇄 자동 보완 장치는 장거리 가입자의 경우 단거리 가입자에 비해 선로 상에 전류가 적게 흐르며, 각각의 서로 다른 선로 거리에 있는 가입자에 따라 각각 다른 전류가 흐른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장거리 가입자(205)가 통화를 위해 전화 수화기를 드는 순간 선로 상에는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때, 전류가 흐르는 경로는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48V 전원에서 전류 감지 저항(204)을 통해 슬릭 소자(200)를 거쳐 가입자 선로를 통해 장거리 가입자 단말(205)을 거쳐 슬릭 소자(211)에 연결된 접지로 흐르게 된다.
이 때, 가입자 단말의 위치에 따라 선로상에 흐르는 전류가 변하게 되고, 이 변하는 전류에 의해 전류 감지 저항(204)에 걸리는 전압은 다르게 된다.
이 전압을 전압 분할 저항1(202)과 전압 분할 저항2(203)에 의해 낮은 전압 으로 바꾸어 준다.
이 때, 바꾸어 주는 이유는 전압 분할 저항1(202)과 전류 감지 저항(204)이 만나는 부분은 -48V 보다는 작지만 상당히 큰 전압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아날로그 스위치(209) 입력단에서 견딜 수 있고, 이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06)에서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 줄 수 있는 5V 이내의 전압으로 바꾸어 준다.
그렇게 되면, 아날로그-스위치(209) 인입단에 걸리는 전압이 가입자 선로 거리에 따라 각각 다르게 들어오게 된다.
이후, 아날로그 스위치(209)에 들어오는 전압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06)로 넣어준다.
이렇게 되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06)에서는 들어오는 5V 이내의 전압에 대해 PCM(Pulse Code Modulation) 데이터로 바꾸어 주게 된다.
바꾼 PCM 데이터는 CPU(207)에서 읽어들여 CPU(207)를 구동하는 ROM(210)내에 있는 선로 거리에 따른 PCM 데이터의 변환 테이블과 비교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해당 회선의 선로 거리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일단 선로 거리가 판단되면 CPU(207)는 코덱 소자(201)내에 있는 음성 감도 조절 장치를 조정하여 줌으로써 가입자 선로에 의한 손실을 보완한다.
장거리 가입자 인터페이스 보드(208)가 처음 초기화 될 경우, 해당 가입자 회선들이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선로 거리를 측정할 수 없게 되어 일단 기본 값을 선택하여 회선 별로 초기화 한 후 가입자가 통화를 위해 수화기를 드는 순간 가입 자 회선의 선로 거리를 측정하고 감도를 조정하게 된다. 이 때 걸리는 시간은 극히 짧은 시간이기 때문에 가입자가 느끼지 못할 정도의 상황이며, 이 때 CPU(207)는 어느 회선이 통화를 원하는지 알기 때문에 아날로그 스위치(209)를 조정하여 해당 회선의 아날로그 전압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06)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같은 시간에 많은 가입자가 전화를 하더라도 한 가입자당 수백 ms 이내의 짧은 시간에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한 보드당 32 회선이라 하더라도 문제없이 처리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처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06)를 사용하는 이유는 아날로그 스위치(209)에 의해 들어오는 전압의 변화가 작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세밀히 판단하려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사용하여 아날로그 전압의 차이에 따라 세밀히 나눈 디지털 값을 손쉽게 얻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 시스템의 장거리 가입자 인터페이스 보드의 경우, 한 보드에 서로 다른 선로 거리를 가진 여러 가입자가 존재할 수 있고, 이 때 운용자가 일일이 회선을 확인하고 통화 감도를 조절할 필요 없이 간단히 보드 내에서 회선당 저항 3개와 보드 전체 당 아날로그 스위치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하나 등, 최소한의 소자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가입자 선로 거리를 감지하고 감쇄를 자동으로 보상함으로써, 유지 운용자의 편리를 도모한다.
특히, 하나의 보드에 서로 다른 선로 거리를 가진 가입자를 수용할 경우, 별 도의 조작없이도 자동으로 선로 거리에 따른 보상을 하여 기존에 있었던 한 보드에 여러 종류의 선로 거리를 가지 가입자를 수용하는데 있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한다.

Claims (5)

  1. 교환기 시스템의 장거리 가입자 인터페이스 보드에 있어서,
    한 보드에 서로 다른 선로 거리를 가진 여러 가입자가 존재할 수 있고, 상기 보드 내에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주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해당 회선의 아날로그 전압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연결될 수 있게 하는 아날로그 스위치가 상기 보드 전체 당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시스템에서 음성 신호 감쇄 보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32 가입자를 하나의 장거리 가입자 인터페이스 보드에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시스템에서 음성 신호 감쇄 보완 장치.
  3. 교환기 시스템의 장거리 가입자 인터페이스 보드에 있어서,
    장거리 가입자 단말과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슬릭 소자와,
    송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주는 코덱 소자와,
    상기 슬릭 소자 및 코덱 소자를 구동하고 제어하는 CPU 소자와,
    선로 거리에 따른 PCM 데이터의 변환 테이블을 저장하는 ROM과,
    상기 장거리 가입자 단말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과,
    상기 슬릭 소자와 상기 전원 사이의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 저항, 상기 전류 감지 저항에 걸리는 전압을 낮은 전압으로 바꾸어 주는 전압 분할 저항 1 및 전압 분할 저항 2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주며 상기 보드내 공통으로 사용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와,
    해당 회선의 아날로그 전압을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연결될 수 있게 하는 아날로그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시스템에서 음성 신호 감쇄 보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32 가입자를 하나의 장거리 가입자 인터페이스 보드에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시스템에서 음성 신호 감쇄 보완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서 변환된 PCM 데이터는 ROM내에 있는 선로 거리에 따른 PCM 데이터의 변환 테이블과 비교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시스템에서 음성 신호 감쇄 보완 장치.
KR1020020081324A 2002-12-18 2002-12-18 교환기 시스템에서의 음성 신호 감쇄 보완 장치 KR100831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324A KR100831826B1 (ko) 2002-12-18 2002-12-18 교환기 시스템에서의 음성 신호 감쇄 보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324A KR100831826B1 (ko) 2002-12-18 2002-12-18 교환기 시스템에서의 음성 신호 감쇄 보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4303A KR20040054303A (ko) 2004-06-25
KR100831826B1 true KR100831826B1 (ko) 2008-05-28

Family

ID=37347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1324A KR100831826B1 (ko) 2002-12-18 2002-12-18 교환기 시스템에서의 음성 신호 감쇄 보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18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277A (ko) * 1998-12-31 1999-03-25 박하구 아날로그 회선의 가입자 선로 및 가입자 회로 시험장치
KR19990060632A (ko) * 1997-12-31 1999-07-26 윤종용 교환시스템의 원거리 가입자 정합을 위한 가입자 정합장치
KR20000009733U (ko) * 1998-11-10 2000-06-05 서평원 채널 감도 저하 자동 보상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0632A (ko) * 1997-12-31 1999-07-26 윤종용 교환시스템의 원거리 가입자 정합을 위한 가입자 정합장치
KR20000009733U (ko) * 1998-11-10 2000-06-05 서평원 채널 감도 저하 자동 보상장치
KR19990024277A (ko) * 1998-12-31 1999-03-25 박하구 아날로그 회선의 가입자 선로 및 가입자 회로 시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4303A (ko) 200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5764A (en) Enhanced high voltage line interface circuit
US5323460A (en) Enhanced subscriber line interface circuit
US5625685A (en) Network termination unit
JPH04280597A (ja) 加入者回路
WO1998008336A1 (en) Digital direct current feed control for a communication system
AU708941B2 (en) Subscriber line interface and power circuit
GB2055023A (en) Line interface unit for voice and wide band signal coupling
KR100831826B1 (ko) 교환기 시스템에서의 음성 신호 감쇄 보완 장치
US6542605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hoosing supply voltage
US4070554A (en) Digital testing and power control in a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US20040190685A1 (en) High availability telephone set
US5191507A (en) Polarity inverting circuit
US6683949B1 (en) Handset port interface including DC measurement and transmit path calibration
KR100618729B1 (ko) 전화 가입자 루프에 공급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 장치
FI104934B (fi) Tilaajajohtoliitäntäpiiri
CA1159584A (en) Telephone power supply arrangement
FI104933B (fi) Tilaajajohtoliitäntäpiiri
KR900007710B1 (ko) 비상 전화 시스템의 자동등화회로
KR100765322B1 (ko) 가변 정합이 가능한 아날로그 트렁크 정합장치 및 그제어방법
KR0148410B1 (ko) 키폰시스템과 일반전화기 매칭시 통화특성을 양호하게 하는 장치
WO1999026348A2 (en) Subscriber line interface circuit
KR100224565B1 (ko) 교환기 가입자 시스템의 에코 캔설레이션 이득 오차 보상 회로
KR0116914Y1 (ko) 전자 교환기에서의 전용선 회로
US20060072740A1 (en) Selective analog signal sensing from a plurality of integrated circuits using a common node
KR100919758B1 (ko) 팁/링 선로상의 임피던스 제어가 가능한 VoIP게이트웨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