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9903B1 - 아날로그 및 디지털 겸용 수도계량기 - Google Patents

아날로그 및 디지털 겸용 수도계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9903B1
KR100829903B1 KR1020070019833A KR20070019833A KR100829903B1 KR 100829903 B1 KR100829903 B1 KR 100829903B1 KR 1020070019833 A KR1020070019833 A KR 1020070019833A KR 20070019833 A KR20070019833 A KR 20070019833A KR 100829903 B1 KR100829903 B1 KR 100829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eter
digital
needle
permanent magnet
anal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9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기
Original Assignee
광일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일개발(주) filed Critical 광일개발(주)
Priority to KR1020070019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9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 G01F15/065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with transmission devices, e.g. mechanical
    • G01F15/06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with transmission devices, e.g. mechanical involving magnetic transmission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25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permanent magnets
    • H01F41/029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permanent magnets diffusion of rare earth elements, e.g. Tb, Dy or Ho, into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날로그식 수도계량기의 투시창에 장착하여 눈으로 직접 바늘을 식별하거나, 펄스신호를 통해 디스플레이부로 나타나는 디지털숫자에 의해 유량을 검사할 수 있는 구조의 아날로그 및 디지털 겸용 수도계량기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유체의 흐름에 응답하여 회전하는 바늘과 일체로 이루어져 동반 회전하는 영구자석이 장착된 수도계량기;와, 상기 수도계량기의 투시창의 상부 전면에 형상적으로 대응되어 끼움 결합되되, 회전하는 영구자석을 감지하여 펄스신호를 발생시킬 있도록 선형의 센서부가 내면에 밀착된 하우징;과, 상기 센서부에서 발생된 펄스신호를 카운트하여 유체의 사용량을 적산 및 연산하여 적산치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은 눈으로 직접 바늘을 식별하거나, 펄스신호를 통해 디스플레이부로 나타나는 디지털숫자에 의해 검침이 가능하도록 투명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글리세린, 습식 수도계량기, 펄스, 사마륨, 연산

Description

아날로그 및 디지털 겸용 수도계량기{a water gage for both as an analog and digit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 및 디지털 겸용 수도계량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아날로그 및 디지털 겸용 수도계량기의 작동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수도계량기 11: 바늘
12: 영구자석 13: 투시창
14: 계수기 20: 하우징
21: 센서부 30: 디스플레이부
100: 아날로그 및 디지털 겸용 수도계량기
본 발명은 아날로그식 수도계량기의 투시창에 장착하여 눈으로 직접 바늘을 식별하거나, 펄스신호를 통해 디스플레이부로 나타나는 디지털숫자에 의해 유량을 검사할 수 있는 구조의 아날로그 및 디지털 겸용 수도계량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의 흐름에 응답하여 회전하는 바늘과 일체로 이루어져 동반 회전하는 영구자석이 장착된 수도계량기;와, 상기 수도계량기의 투시창의 상부 전면에 형상적으로 대응되어 끼움 결합되되, 회전하는 영구자석을 감지하여 펄스신호를 발생시킬 있도록 선형의 센서부가 내면에 밀착된 하우징;과, 상기 센서부에서 발생된 펄스신호를 카운트하여 유체의 사용량을 적산 및 연산하여 적산치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은 눈으로 직접 바늘을 식별하거나, 펄스신호를 통해 디스플레이부로 나타나는 디지털숫자에 의해 검침이 가능하도록 투명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 및 디지털 겸용 수도계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계량기는 크게 2종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아날로그식 수도계량기와 디지털식 수도계량기로 구성된다. 이 때 아날로그식 수도계량기는 습식과 건식으로 구분되는데, 기계의 마모되는 오차와, 동파방지를 위해 내부에 글리세린이 충진된 습식 아날로그 수도계량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디지털식 수도계량기는 많은 비용이 소요됨으로, 일반적인 단독주택이나 노후주택에는 아직까지는 아날로그식 수도계량기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때문에 아날로그식 수도계량기는 검침자에 의한 검출량의 오차가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일일이 이를 필기도구에 기재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아날로그식 수도계량기로 구성되되, 간단한 장치의 결합만으로 디지 털 수도계량기의 기능을 겸할 수 있는 아날로그 및 디지털 겸용 수도계량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아날로그식 수도계량기로 구성되되, 간단한 장치의 결합만으로 디지털 수도계량기의 기능을 겸할 수 있는 아날로그 및 디지털 겸용 수도계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목적은, 아날로그식 수도계량기의 투시창에 장착하여 눈으로 직접 바늘을 식별하거나, 펄스신호를 통해 디스플레이부로 나타나는 디지털숫자에 의해 유량을 검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을 하는 아날로그 및 디지털 겸용 수도계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유체의 사용량을 측정하는 습식 수도계량기에 있어서,
유체의 흐름에 응답하여 회전하는 바늘과 일체로 이루어져 동반 회전하는 영구자석이 장착된 수도계량기;와, 상기 수도계량기의 투시창의 상부 전면에 형상적으로 대응되어 끼움 결합되되, 회전하는 영구자석을 감지하여 펄스신호를 발생시킬수 있도록 선형의 센서부가 내면에 밀착된 하우징;와, 상기 센서부에서 발생된 펄스신호를 카운트하여 유체의 사용량을 연산하여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은 눈으로 직접 바늘을 식별하거나, 펄스신호 를 통해 디스플레이부로 나타나는 디지털숫자에 의해 검침이 가능하도록 투명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을 하는 아날로그 및 디지털 겸용 수도계량기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에서 영구자석은 선형의 센서부가 감지할 수 있도록 바늘의 중심축에 편심되게 결합되어 원형으로 선회하여 센서부가 감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영구자석은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사마륨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 및 디지털 겸용 수도계량기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 및 디지털 겸용 수도계량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아날로그식 수도계량기의 투시창에 장착하여 눈으로 직접 바늘을 식별하거나, 펄스신호를 통해 디스플레이부로 나타나는 디지털숫자에 의해 유량을 검사할 수 있는 구조의 아날로그 및 디지털 겸 용 수도계량기(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아날로그 및 디지털 겸용 수도계량기(10)는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수도계량기(10)와, 상기 수도계량기(10)의 투시창(13)에 결합되는 센서부(21)를 포함하는 하우징(20)과, 상기 센서부(21)와 연결되어 센서부(21)를 통해 인가되는 펄스신호에 의해 디지털숫자가 표기되는 디스플레이부(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도계량기(10)는 투시창(13)의 내부에 글리세린이 충진된 습식 수도계량기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있는 계수기(14)에는 유체의 흐름에 응답하여 회전하는 바늘(11)과 일체로 이루어져 동반 회전하는 영구자석(12)이 장착되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영구자석(12)은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사마륨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수도계량기(10) 투시창(13)에 결합되는 것이 하우징(20)이다.
상기 하우징(20)은 중앙부위가 수도계량기(10)의 투시창(13) 전면에 밀착되고, 테두리 부위는 수도계량기(10)의 몸체에 밀착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하우징(20)은 테두리 부위가 상기 수도계량기(10)와 체결되어 고정되는 구조이다.
이 때 상기 하우징(20)은 디스플레이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선형의 센서부(21)가 타면에 노출되게 고정되어 바늘(11)과 동반 회전하는 영구자석(12)에 의해 펄스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때문에 상기 하우징(20)은 센서부(21)가 영구자석(12)의 수직면에 배치되게 고정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20)은 충격에 강한 투명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되, 보다 상세하게는 아크릴 또는 PE 또는 PP로 이루어질 수 있다.
때문에 상기 수도계량기(10)는 투명의 하우징(20)을 통해 유체의 흐름량을 눈으로 식별할 수 있어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을 고수하면서,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부(30)를 통해 디지털방식을 겸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센서부(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디스플레이부(30)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센서부(21)에서 발생된 펄스신호를 카운트하여 유체의 사용량을 연산하여 디지탈 숫자 데이터로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30)는 통상 디지털 수도계량기에 장착되어 주지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아날로그 및 디지털 겸용 수도계량기의 작동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구자석(12)은 선형의 센서부(21)가 감지할 수 있도록 바늘(11)의 중심축에 편심되게 결합되어 원형으로 선회하여 센서부(21)가 감지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영구자석(12)이 바늘(11)의 중심축에 위치하고 있으면, 영구자석(12)은 선회하지 않고 제자리에서 회전하므로, 상기 센서부(21)를 통해 펄스신호가 계속 발생되기 때문에, 유체가 흐르지 않더라도 계속해서 펄스신호가 발생되는 오작동이 생기기 때문이다.
때문에 도 3과 같이, 영구자석(12)은 센서부(21)를 중심으로 선회되도록 하여 펄스신호를 카운트 할 수 있도록 바늘(11)의 중심축에 편심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 및 디지털 겸용 수도계량기에 따르면, 아날로그식 수도계량기에 간단한 장치의 결합으로 디지털 수도계량기의 기능을 겸할 수 있어 설치비용이 적고, 또한 디지털 기능을 하는 장치만을 쉽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아날로그식 수도계량기의 투시창에 장착하여 눈으로 직접 바늘을 식별하거나, 펄스신호를 통해 디스플레이부로 나타나는 디지털숫자에 의해 유량을 검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Claims (3)

  1. 유체의 사용량을 측정하는 습식 수도계량기에 있어서,
    유체의 흐름에 응답하여 회전하는 바늘(11)과 일체로 이루어져 동반 회전하는 영구자석(12)이 장착된 수도계량기(10);
    상기 수도계량기(10)의 투시창(13)의 상부 전면에 형상적으로 대응되어 끼움 결합되되, 회전하는 영구자석(12)을 감지하여 펄스신호를 발생시킬수 있도록 선형의 센서부(21)가 내면에 밀착된 하우징(20);
    상기 센서부(21)에서 발생된 펄스신호를 카운트하여 유체의 사용량을 연산하여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20)은 눈으로 직접 바늘(11)을 식별하거나, 펄스신호를 통해 디스플레이부(30)로 나타나는 디지털숫자에 의해 검침이 가능하도록 투명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영구자석(12)은 선형의 센서부(21)가 감지할 수 있도록 바늘(11)의 중심축에 편심되게 결합되어 원형으로 선회하여 센서부(21)가 감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 및 디지털 겸용 수도계량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12)은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사마륨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아날로그 및 디지털 겸용 수도계량기.
KR1020070019833A 2007-02-27 2007-02-27 아날로그 및 디지털 겸용 수도계량기 KR100829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9833A KR100829903B1 (ko) 2007-02-27 2007-02-27 아날로그 및 디지털 겸용 수도계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9833A KR100829903B1 (ko) 2007-02-27 2007-02-27 아날로그 및 디지털 겸용 수도계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9903B1 true KR100829903B1 (ko) 2008-05-16

Family

ID=39664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9833A KR100829903B1 (ko) 2007-02-27 2007-02-27 아날로그 및 디지털 겸용 수도계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99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817A (ko) 2022-06-24 2024-01-03 주식회사 청호솔루션 수도계량기 조립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5933A (ko) * 1999-04-10 2000-11-15 최원용 계량기 숫자휠의 회전검출센서와 이를 이용한 원격 검침시스템
KR20010044029A (ko) * 2000-03-24 2001-06-05 이재필 수도미터
KR20040022145A (ko) * 2002-09-05 2004-03-11 (주)카오스 계량기의 측정값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초 절전형계량기
KR20070082404A (ko) * 2006-02-16 2007-08-21 (주) 한일네트워크엔지니어링 기계식 수도미터 계량기용 비교유량측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5933A (ko) * 1999-04-10 2000-11-15 최원용 계량기 숫자휠의 회전검출센서와 이를 이용한 원격 검침시스템
KR20010044029A (ko) * 2000-03-24 2001-06-05 이재필 수도미터
KR20040022145A (ko) * 2002-09-05 2004-03-11 (주)카오스 계량기의 측정값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초 절전형계량기
KR20070082404A (ko) * 2006-02-16 2007-08-21 (주) 한일네트워크엔지니어링 기계식 수도미터 계량기용 비교유량측정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817A (ko) 2022-06-24 2024-01-03 주식회사 청호솔루션 수도계량기 조립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1723B2 (en) Encoder-type register for an automatic water meter reader
JP3161399U (ja) 指針読取装置
CN101490513A (zh) 椭圆形齿轮计
KR100829903B1 (ko) 아날로그 및 디지털 겸용 수도계량기
KR101489921B1 (ko) 수도 계량기 원격검침 장치
AU2009265988B2 (en) A remote-reader module for fastening to the cap of a fluid meter
ES2392554T3 (es) Contador volumétrico para medios que fluyen con acoplamiento selectivo entre el sistema contador y la unidad de cálculo
EP2249133B1 (en) Gas meter
WO2007068242A1 (en) Method for volumetric measuring of gas and diaphragm gas meter
KR101638856B1 (ko) 디지털 수도미터의 보안장치
CN211085363U (zh) 一种膜式燃气表的振动与倾斜防护装置
JPH03503452A (ja) 非侵入メーター較正装置
JP6489343B1 (ja) 水道メータ
KR20090009151U (ko) 지침구 및 리스스위치 또는 카운터 및 리스스위치에 자성체가 장착된 자계 습식 원격검침계량기
CN207894466U (zh) 一种高精度容积式齿轮流量计
US20130255564A1 (en) Dual Indicator Gauge
KR20080104879A (ko) 지침구 및 리스스위치 또는 카운터 및 리스스위치에자성체가 장착된 자계 습식 원격검침계량기
KR102190244B1 (ko) 외부 자력에 의한 부정사용 체크 및 알람 기능을 갖는 전자식 가스계량기
CN215726178U (zh) 一种干式计量传感器及干式水表
CN210136021U (zh) 一种用于计量检测的压力表装置
CN217083844U (zh) 超声波流量计
KR20100001938A (ko) 자계 왜곡 유발 방해자석의 접근을 감시하는 기능을 갖는자기식 가스사용량 측정 장치
CN210154996U (zh) 一种粉尘浓度测量仪
KR100822056B1 (ko) 계량검침모듈 구조
KR100959629B1 (ko) 넓은 감지 범위를 갖는 유량 적산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