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7960B1 - the structure of rest room using tank as roof which can collecting rain and snow - Google Patents

the structure of rest room using tank as roof which can collecting rain and sno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7960B1
KR100827960B1 KR1020070000479A KR20070000479A KR100827960B1 KR 100827960 B1 KR100827960 B1 KR 100827960B1 KR 1020070000479 A KR1020070000479 A KR 1020070000479A KR 20070000479 A KR20070000479 A KR 20070000479A KR 100827960 B1 KR100827960 B1 KR 100827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roof
tank
wat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04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12565A (en
Inventor
이영호
박규찬
정시혁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앤지 filed Critical (주)에이치앤지
Priority to KR1020070000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7960B1/en
Publication of KR20070012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25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7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79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03Grey water flushing systems
    • E03D5/006Constructional details of cisterns for using grey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를 집수할 수 있는 지붕겸용 탱크를 구비한 화장실 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를 대략 설명하면, 이는 화장실 상부에 변기(20)로 통하는 지붕겸용 탱크(10)를 구성하되, 그 상부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로 내려갈수록 넓어지는 형태의 경사부(11)를 형성하고, 그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로 돌출한 빗물받이부(12)를 형성하며, 상기 경사부(11)에는 빗물받이부(12) 높이를 넘지 않는 인입공(11′)을 다수개 형성한 지붕겸용 탱크(10)를 구성하며, 이러한 지붕겸용 탱크(10)를 변기(20)가 구비된 화장실 상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지붕겸용 탱크(10)가 화장실 내부의 변기(20)로 세척수로 공급되도록 한 화장실 구조를 구성하여, 비나 눈이 오면 상기 경사부(11)와 빗물받이부(12) 사이에 물이 고이고, 고인 물은 찌꺼기는 하부로 가라앉고 맑은 물만 인입공(11′)을 통해 지붕겸용 탱크(10) 내부로 모이고, 이 지붕겸용 탱크(10) 내부의 물은 변기(20)의 사용시 사용됨에 따라, 우수를 효율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structure having a tank for collecting storm water, which is roughly constituted by a tank 10 serving as a roof which communicates with a toilet 20 at an upper portion of the toilet, And a rainwater receiver 12 protruding upward along the lower edge thereof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ainwater collecting part 12. The rainwater receiver 12 (10) having a plurality of intake holes (11 ') not exceeding the height of the roof (10), and this roof combined tank (10) is placed in the upper part of the toilet provided with the toilet bowl (20) A toilet structure in which the tank 10 is supplied as wash water to the toilet 20 inside the toilet constitutes a toilet structure so that when rain or snow comes in, the water is held between the slope part 11 and the rainwater receiver part 12, The debris sinks to the bottom and only the clear water And the water in the roof combined tank 10 is used at the time of using the toilet bowl 20, the excellent water can be efficiently recycled.

지붕, 탱크, 화장실, 변기, 센서, 방향제, 개폐  Roof, Tank, Toilet, Toilet, Sensor, Aroma, Open / Close

Description

우수를 집수할 수 있는 지붕겸용 탱크를 구비한 화장실 구조 { the structure of rest room using tank as roof which can collecting rain and snow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of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구조의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a toile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붕겸용 탱크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oof combined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2의 A부분 확대도.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구조의 측면도.4 is a side view of a toile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구조의 평면도.5 is a plan view of a toilet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B부분 확대도.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in Fig. 5;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개폐 장치가 설치된 화장실 구조의 측면도.7 is a side view of a toilet structure having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개폐 장치가 설치된 변기의 측면도.8 is a side view of a toilet having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개폐 장치의 작동 과정을 보여주는 평면도.9 is a plan view showing an operating process of the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장치의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장치의 분해 사시도.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개폐 장치가 설치된 부분의 단면도.12 is a sectional view of a portion where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개폐 장치의 작동 상태도.13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 순서도. Figure 14 is an operational flowch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개폐장치의 작동 순서도.Fig. 15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the opening / clo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10 : 지붕겸용 탱크 20 : 변기 30 : 챔버10: Roof combined tank 20: toilet bowl 30: chamber

70 : 개폐장치70: Switchgear

본 발명은 우수를 집수할 수 있는 지붕겸용 탱크를 구비한 화장실 구조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인 화장실 구조의 상부로 지붕겸용 탱크를 구성하되, 지붕겸용 탱크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기울기를 형성하고, 지붕겸용 탱크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높이의 빗물받이부가 형성하며, 상기 지붕겸용 탱크의 일정 높이에 인입공을 다수개 형성한 지붕겸용 탱크를 통상 변기가 구비된 화장실 상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지붕겸용 탱크가 화장실 내부의 변기로 세척수로 공급되도록 한 화장실 구조를 구성하여, 비나 눈이 오면 빗물받이부 내측으로 물이 고이고, 맑은 물만 인입공을 통해 지붕겸용 탱크 내부로 모인 물이 변기의 세척수로 사용됨에 따라, 우수를 효율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structure having a roof-use tank capable of collecting storm water. The roof structure is composed of an upper portion of a general toilet structure, a tilt is formed along an upper edge of the roof- And the roof combined tank having a plurality of intake holes at a certain height of the roof combined tank is disposed in an upper portion of a toilet having a toilet, The water collected inside the rain tank is used as wash water for the toilet when the rain or the snow comes in and the water gathered in the roof combined tank is used as the clean water through only the clear water.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recycle the storm.

일반적으로 비·눈·우박·싸락눈 등이 지상에 내린 양을 말하는 것으로, 대개 여름에는 비가, 겨울에는 눈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강수량도 일종의 수자원이지만, 물부족 국가인 우리 나라로서는 아직 강수량에 비해 그 수자원활용은 미비한 실정이며, 또한, 도시의 땅은 대부분 건물,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으로 덮여 있어, 우수의 지하 침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일시에 하수도로 유출되므로 도시형 홍수의 원인이 되어 도시의 수환경 문제를 발생한다.It is generally said that rain, snow, hail, and snow fell on the ground. Rain is usually in summer and snow in winter. This precipitation is a kind of water resource. However, In addition, the urban land is mostly covered with buildings, asphalt, and concrete pavement, and the underground penetration of the storm is not easily made, and it flows out to the sewer at one time. As a result, Water environment problems.

또한, 일반적으로 세워지는 공공화장실과 달리 간이화장실은 별도의 탱크를 구비하기에는 무리가 있고, 많은 사람이 사용하기에는 물이 많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대부분의 간이화장실은 물탱크를 구비하지 않고, 재래식 화장실과 같니 분뇨만을 수용하는 형태가 대부분을 가지게 되어, 비위생 적이고 악취가 심한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unlike public toilets, which are generally constructed, there is a problem that a separate toilet is not provided for a separate toilet, and a lot of water is consumed for many people to use. And it has a problem that it is unsanitary and has a bad odor because it has a shape that accommodates only manure, which is like a conventional toilet.

더욱이, 일반 간이 화장실의 경우에 거의 막힌 공간으로 구성되고, 대부분 조명 시설이 없어서 낮에도 어두워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Furthermore, in the case of a common toilet, there is almost no space in the room.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일반적인 화장실 구조의 상부로 지붕겸용 탱크를 구성하되, 지붕겸용 탱크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기울기를 형성하고, 지붕겸용 탱크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높이의 빗물받이부가 형성하며, 상기 지붕겸용 탱크의 일정 높이에 인입공을 다수개 형성한 지붕겸용 탱크를 통상 변기가 구비된 화장실 상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지붕겸용 탱크가 화장실 내부의 변기로 세척수로 공급되도록 한 화장실 구조를 구성하여, 비나 눈이 오면 빗물받이부 내측으로 물이 고이고, 맑은 물만 인입공을 통해 지붕겸용 탱크 내부로 모인 물이 변기의 세척수로 사용됨에 따라, 우수를 효율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of structure for a roof, A roof combined with a roof having a plurality of inlet holes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roof combination tank is disposed in an upper portion of a toilet having a toilet and a toilet for allowing the roof combined tank to be supplied as wash water to the toilet inside the toilet When water or snow comes in, it is possible to recycle excellent water because the water collects inside the rainwater tank and the water collected inside the roof tank is only used as wash water for toilet water through only the clear water. have.

또한, 상기 지붕겸용 탱크 중앙에는 관통된 채광부를 형성하고, 이에 투명한 덮개로 덮어 화장실 내부로 채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ining section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roof combined tank and covering it with a transparent lid to allow mining inside the bathroom.

또한, 상기 화장실 구조에 구비되는 변기에는, 그 변기 하부에 위치된 오물탱크와의 사이를 열고 닫는 개폐장치를 더 구비하여, 오물탱크의 악취와 벌레 등이 역류되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Further, the toilet provided in the toilet structure is further provided with an opening / clos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gap between the toilet and the dirt tank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toilet, so as to prevent the odor and worms of the dirt tank from flowing backward .

본 발명은 우수를 집수할 수 있는 지붕겸용 탱크를 구비한 화장실 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를 대략 설명하면, 이는 화장실 상부에 변기(20)로 통하는 지붕겸용 탱크(10)를 구성하되, 그 상부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로 내려갈수록 넓어지는 형태의 경사부(11)를 형성하고, 그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로 돌출한 빗물받이부(12)를 형성하며, 상기 경사부(11)에는 빗물받이부(12) 높이를 넘지 않는 인입공(11′)을 다수개 형성한 지붕겸용 탱크(10)를 구성하며, 이러한 지붕겸용 탱크(10)를 변기(20)가 구비된 화장실 상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지붕겸용 탱크(10)가 화장실 내부의 변기(20)로 세척수로 공급되도록 한 화장실 구조를 구성하여, 비나 눈이 오면 상기 경사부(11)와 빗물받이부(12) 사이에 물이 고이고, 고인 물은 찌꺼기는 하부로 가라앉고 맑은 물만 인입공(11′)을 통해 지붕겸용 탱크(10) 내부로 모이고, 이 지붕겸용 탱크(10) 내부의 물은 변기(20)의 사용시 사용됨에 따라, 우수를 효율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structure having a tank for collecting storm water, which is roughly constituted by a tank 10 serving as a roof which communicates with a toilet 20 at an upper portion of the toilet, And a rainwater receiver 12 protruding upward along the lower edge thereof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ainwater collecting part 12. The rainwater receiver 12 (10) having a plurality of intake holes (11 ') not exceeding the height of the roof (10), and this roof combined tank (10) is placed in the upper part of the toilet provided with the toilet bowl (20) A toilet structure in which the tank 10 is supplied as wash water to the toilet 20 inside the toilet constitutes a toilet structure so that when rain or snow comes in, the water is held between the slope part 11 and the rainwater receiver part 12, The debris sinks to the bottom, And the water in the roof combined tank 10 is used at the time of using the toilet bowl 20 so that the excellent water can be efficiently recycled.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일반적인 화장실 구조, 즉, 사방이 닫힌 구조이지만, 사람이 출입할 수 있는 문, 환기를 위한 창문이나 환풍기를 갖추고 있으며, 그 내부에 일반적인 변기(20)가 갖추어져 있으며, 그 저면으로는 배설물을 수용할 수 있는 오물탱크(100)를 가지고 있는 구조의 화장실 구조를 구성한다,The toile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toilet structure has a general toilet structure, that is, a structure in which the four sides are closed, but a door for people to enter and leave, a window or ventilator for ventilation, And a toilet tank 100 having a dirt tank 100 capable of receiving excretion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화장실 구조에 있어서, 그 상부의 지붕겸용 탱크(10), 변기(20)에 세척액을 공급하는 구조, 또한 상기 변기(20)와 그 하부의 오물탱크(100)를 개폐하는 개폐장치(70)로 구성되는바, 먼저 지붕겸용 탱크(1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e toile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 structure for supplying a cleaning liquid to the toilet 20, a roof 10 serving as an upper roof of the toilet structure, a structur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oilet 20 and the dirt tank 100 And an apparatus 70. First, the roof combined tank 10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지붕겸용 탱크(10)는,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실 구조의 지붕으로 같이 쓰이기 때문에 화장실 상부를 모두 덮으면서 밀폐된 공간을 가지는 탱크(tank)의 구조를 사지되, 그 상부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아래로 갈수록 넓어지는 기울기를 가지는 경사부(11)를 형성하고, 그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적정 높이의 빗물받이부(12)가 형성되어, 상기 경사부(11)와 빗물받이부(12) 사이에는 역사다리 꼴 단면 또는 역삼각형 단면의 수용부(13)를 형성한다.First, as shown in FIGS. 1 and 2, since the roof combined tank 10 is used as a roof having a toilet structure, a roof structure having a closed space is obtained by covering the entire upper portion of the toilet, And an inclined portion 11 having an inclination that widens downward along the upper outer edge is formed and a rainwater receiving portion 12 having an appropriate height is formed along the lower edge of the inclined portion 11. The inclined portion 11, And a receiving portion 13 having a cross section or an inverted triangular cross section is formed.

또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부(11)의 적정 위치, 자세하게는 상기 빗물받이부(12)의 높이를 넘지 않은 위치에 관통된 인입공(11′)을 다수개 형성하며, 상기 지붕겸용 탱크(10) 중앙 부위에는 관통되게 트인 구조의 채광부(15)를 형성하여, 이 상부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예를 들어, 투명 또는 반투명의 유리나 아크릴)의 덮개(16)로 덮어 내부에 햇빛이 투입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As shown in Fig. 3, a plurality of inlet holes 11 'are formed at positions not exceeding the height of the rainwater receiving portion 12 in a proper position of the inclined portion 11, A light-shielding portion 15 having a through-hole structure is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roof combined tank 10 and the upper portion is covered with a lid 16 made of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material (for example, transparent or translucent glass or acrylic) It is constructed so that sunlight can be injected inside.

그리고 상기 지붕겸용 탱크(10)의 저면에는 내부의 물을 완전히 빼낼 수 있는 드레인을 구성하고, 지붕겸용 탱크(10)의 상면에는 물을 인위로 공급할 수 있는 공급부(미도시)를 추가로 더 구성하여, 상기 구조의 지붕겸용 탱크(10)를 구성하며, 이러한 지붕겸용 탱크(10)는 상기 화장실 구조의 상부에 설치되며, 화장실 내부의 변기(20)와 연결하는데, 그 변기(20) 구조는 다음과 같다.The bottom of the roof combined tank 10 constitutes a drain through which the water inside can be completely taken out and a supply section (not shown) which can supply water to the top surface of the roof combined tank 10 The tank 10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toilet structure and is connected to the toilet 20 inside the toilet. The toilet 20 has a structure As follows.

그래서 변기(20)는 통상의 것과 같이, 도1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앉아서 볼일을 볼 수 있는 변기(20)로, 그 상부 둘레로 세척수가 이동해 인입해 들어오는 분사통로(21)가 형성되고, 이 분사통로(21)로는 관통된 분사공(22)를 다수개 형성하며, 변기(20) 하부에는 대소변 등의 오물을 저장하는 오물탱크(100)가 연결된다.Thus, as shown in Figs. 1 and 7, the toilet 20 is a toilet seat 20 that can sit and watch the bowl, and the injection passage 21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moves around the upper portion thereof And a plurality of spray holes 22 are formed in the spray passage 21. A dirt tank 100 storing dirt such as feces and the like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oilet 20.

또한, 도8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기(20)에 착석하는 부분(변기 좌대)에는 센서 또는 누름 스위치와 같은 인식 수단(23)을 더 설치하여 사용자가 변 기(20)에 앉았을 때, 센서가 인식을 하거나 누름 스위치의 눌림으로 사용자를 인식하게되고(인식 수단의 인식), 이 인식한 정보는 제어부(80)로 전달되며, 상기 인식 수단(23)은 변기(20) 사용을 더 용이하게 위한 것으로, 인식 수단(23)을 통해 사용자가 인식이 되면, 물을 변기(20) 내부로 1차로 분사해 주기 위한 것으로, 자세한 것은 뒷부분의 작동 과정에서 설명하고 있다.8 and 9, a recognition unit 23 such as a sensor or a push switch is further provided at a portion of the toilet seat 20 (a toilet seat) that is seated on the toilet seat 20, The recogniz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80 and the recognition unit 23 recognizes the use of the toilet bowl 20 by recognizing the user by recognizing the sensor or by depressing the push switch This is for facilitating the primary injection of water into the toilet bowl 20 when the user recognizes it through the recognition means 23, and the details will be explained later in the operation process.

그리고 상기 변기(20)로는 세척수를 공급하는 챔버(30)가 구성되는바, 이 챔버(30)는, 상기 지붕쪽의 지붕겸용 탱크(10)와 연결되어 지붕겸용 탱크(10)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는데, 필요에 따라 세정제와 살균제 및 살충제 등이 더 추가하기도 하고, 이 세척액 내에는 펌프(31)가 제어부(80)가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제어부(80)의 신호로 펌프(31)를 가동하여 변기(20) 내부로 세척수를 펌핑하여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The toilet 30 is connected to the roof-side combined tank 10 to supply the water stored in the roof-combined tank 10 to the roof- A cleaning agent, a bactericide, and a pesticide may be further added as needed. In the cleaning solution, a pump 31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80 so that the pump 31 is operated by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80 So that the washing water can be pumped into the toilet bowl 20 to be supplied.

한편, 상기 챔버(30)에는 레벨게이지(미도시) 또는 레벨센서(미도시)를 설치하여, 용이하게 그 잔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부의 지붕겸용 탱크(10)에 물이 없어서 세척액을 공급받을 수 없을 때는 상부의 지붕겸용 탱크(10)에 지붕의 입구부(14)를 통해 인위적으로 물(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It is preferable that a level gauge (not shown) or a level sensor (not shown) is installed in the chamber 30 so as to easily grasp the remaining amount. In particular, water is supplied to the upper roof- Water (washing water) can be artificially supplied to the upper roof combined tank 10 through the inlet portion 14 of the roof when the washing liquid can not be supplied.

또한, 상기 변기(20) 하부에는 변기(20)와 오물탱크(100)를 개폐하는 개폐장 치(70)가 더 구성되는바,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n addition, the toilet 20 and the opening / closing device 7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rt tank 100 are further formed below the toilet 20.

우선, 상기 개폐장치(70)의 구조를 도10 내지 도13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이는 크게 케이스(40), 덮개(50), 구동부(60)로 구성되며, 먼저, 케이스(40)는 상부케이스(41)와 하부케이스(42)로 나누어지되, 상부케이스(41)는 하부(저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위로 볼록한 구조를 가지며, 그 일측에는 관통된 개폐공(41a)을 관통되게 형성하고, 상기 개폐공(41a)의 관통된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로 돌출된 밀폐돌기(41a′)를 일체로 형성하며, 이 개폐공(41a)의 타측에는 관통된 안착공(41b)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공(41b)의 관통된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로 돌출된 안착돌기(41b′)를 형성하며, 상기 안착돌기(41b′)의 일측으로 일정 거리를 두어 돌출된 걸림돌기(41c)를 형성한다.10 to 13, the opening / closing device 70 comprises a case 40, a lid 50 and a driving unit 60. First, the case 40 includes a case 40, The upper case 41 has an upwardly convex structure so as to form a space at a lower portion (bottom surface) thereof. The upper case 41 has a through hole 41a penetrating through the upper case 41, A sealing projection 41a 'protruding upward along the perforated edge of the opening and closing hole 41a is integrally formed and an air hole 41b penetrating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hole 41a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hole 41a, A seating protrusion 41b 'protruding upward along the perforated edge of the grounding protrusion 41b is formed and a protruding protrusion 41c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one side of the seating protrusion 41b' is formed.

또한, 하부케이스(42)는 상부(상면)에 공간이 생기도록 아래로 볼록한 구조를 가지며, 그 일측에는 관통된 개폐공(42a)을 관통되게 형성하고, 상기 개폐공(42a)의 관통된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로 돌출된 끼움돌기(42a′)를 일체로 형성하며, 또, 상기 개폐공(42a)의 관통된 가장자리를 따라 적정 면적, 더 자세하게는, 후설할 덮개(50)의 단면 형상으로 기울기를 형성한 경사면(42′)을 구성하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케이스(41)와 결합될 때, 그 상부케이스(41)의 안착공(42b)과 마주하는 방향, 즉, 개폐공(42a)을 가리는 덮개(50)의 가장자리 끝으로 갈수록 더 두껍도록 형성하여 기울기를 가지는 경사면(42′)을 구성한다.The lower case 42 has a downwardly convex structure so that a space is formed in the upper part (upper surface), and an opening / closing hole 42a passing through the lower case 42 is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the inclined surface 42a 'projecting downwardly along the edge of the opening / closing hole 42a and the inclined surface 42a' When the upper case 41 is engaged with the upper case 41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air hole 42b of the upper case 41, that is, the opening / closing hole 42a The inclined surface 42 'having a slope is formed to be thicker toward the edge of the cover 50 covering the cover 50'.

이렇게 구성한 상부케이스(41)와 하부케이스(42)는 결합하여 케이스(40)를 구성하는데, 이러한 결합을 위하여, 상기 각 상부케이스(41)와 하부케이스(42)의 가장자리를 따라 관통된 구멍을 다수개 형성하고, 이에 볼트, 너트 등을 이용하여 상부케이스(41)와 하부케이스(42)를 결합하여 그 사이 내부로 공간을 형성하되, 이때 ‘L’자 단면을 가지는 패킹(43)이 더 구비되어, 상기 상부케이스(41)의 밀폐돌기(41a′) 내측으로 끼움·조립하여 밀폐성이 더욱 증가된 케이스(40)를 구성한다.The upper case 41 and the lower case 42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combined to form a case 40. A hole penetrating the edges of the upper case 41 and the lower case 42 And the upper case 41 and the lower case 42 are coupled to each other using a bolt or a nut to form a space therebetween. At this time, a packing 43 having an L-shaped end face is further provided So that the case 40 is fitted to the inside of the sealing projection 41a 'of the upper case 41 to increase the sealing performance.

이어 덮개(50)를 설명하면, 이는 상기 케이스(40)의 각 개폐공(41a)(42a)보다 더 넓게 구성되어 상기 케이스(40) 내부의 공간에서 각 개폐공(41a)(42a)을 막을 수 있는 것으로, 이 덮개(50) 일측에는 일정 길이의 링크(51)가 힌지 연결되도록 구성하는데, 덮개(50)가 힌지 연결된 링크(51)의 타단에는 축공(51′)이 형성된다.The case 50 is configured to be wider than the opening and closing holes 41a and 42a of the case 40 to cover the opening and closing holes 41a and 42a in the space inside the case 40 A link 5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lid 50. A shaft hole 51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link 51 to which the lid 50 is hinged.

이에 덧붙여 구동부(60)를 설명하면, 이는 대략 ‘

Figure 112007000572061-pat00001
’의 단면을 가지는 브라켓(67)으로, 그 저면 일측에는 저면으로는 고정축(68)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67) 상부로는 모터(61)와 연결된 감속기(62)를 고정하되, 상기 감속기(62)의 축이 브라켓(67) 하부로 돌출되도록 고정하며, 이 맞은편의 가장자리에는 한 쌍의 모터스위치(65)(65′)를 일정 거리를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고정하여, 상기 마주보는 모터스위치(65)(65′) 저면에는 고정축(68)이 위치된다.In addition, when describing the driving unit 60,
Figure 112007000572061-pat00001
And a speed reducer 62 connected to the motor 61 is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racket 67. The speed reducer 62 is fixed to the bracket 67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axle of the speed reducer 62 is fixed so as to protrud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racket 67. A pair of motor positions 65 and 65 'are fixed to the edges of the opposite sides of the speed reducer 62 so as to face each other with a certain distance, A fixed shaft 68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positions 65 and 65 '.

또한, 상기 감속기(62)의 돌출된 기어(63)가 끼움·고정되고, 상기 고정 축(68)에는 구동 기어(64)가 끼움되어, 상기 기어(63)와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하는데, 상기 구동 기어(64)는 일측면에는 핀(64a)이 형성되어, 상기 모터스위치(65)(65′)의 사이에 핀(64a)이 위치되도록 하며, 이 핀(64a)이 형성된 타측면에는 일정 형상의 고정돌기(64b)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후설하는 스프링 세트(66)의 고정홈(66a′)에 끼움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A protruding gear 63 of the speed reducer 62 is inserted and fixed and a driving gear 64 is inserted into the fixing shaft 68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gear 63. A pin 64a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driving gear 64 so that the pin 64a is positioned between the motive positions 65 and 65 ' Shaped fixing projections 64b are formed so as to be protruded so as to be fitted into the fixing grooves 66a 'of the spring set 66 to be hermetically supported.

한편, 상기 모터(61)는 역방향 및 정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것(reversible motor)으로 구비하며, 상기 핀(64a)에 의한 각 모터스위치(65)(65′)의 접촉으로 모터(61)의 회전이 멈출 수 있도록 구성한다.The motor 61 is provided as a reversible motor capable of rotating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motor 61 is rotated by the contact of the motors 65 and 65 ' So that it can be stopped.

그리고 스프링 세트(66)를 설명하면, 원통형의 몸체(66a), 스프링(66b)으로 구성되며, 먼저, 몸체(66a)는 그 단면이‘T’형상의 원통형을 가지면서, 그 중앙에 관통된 구멍(축공)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지름이 넓은면에는 상기 고정돌기(64b)에 대응하도록 일정 깊이로 파인 고정홈(66a′)을 형성하고, 그 측면에는 일정 깊이로 파인 걸림홈(66a˝)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돌기(64b)가 형성된 타면에는 구동축(66c)을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한다. The spring set 66 includes a cylindrical body 66a and a spring 66b. First, the body 66a ha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T" shape in cross section, And a fine recessed groove 66a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rotrusion 64b is formed on a large diameter surface thereof and a fine recessed groove 66a' And a driving shaft 66c is integrally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xing protrusion 64b.

또한, 스프링(66b)은 상기 몸체(66a)의 넓은쪽의 지름과 유사한 지름을 가지는 스프링(66b)(바람직하게는 인장 스프링)이 더 구비되어, 그 스프링(66b) 일단이 상기 몸체(66a)의 걸림홈(66a˝)에 끼움되고, 그 타단은 몸체(66a)의 하단에서 원주 방향으로 돌출하여 스프링 세트(66)를 구성한다.The spring 66b is further provided with a spring 66b (preferably a tension spring) having a diameter similar to the diameter of the wider portion of the body 66a. One end of the spring 66b is connected to the body 66a, And the other end protrud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body 66a to constitute the spring set 66. [

또, 이렇게 구성된 스프링 세트(66)는 상기 구동 기어(64)가 끼움된 고정축(68)에 순차로 끼움되되, 구동 기어(64)의 고정돌기(64b)와 스프링 세트(66)의 고정홈(66a′)이 서로 끼움되어 조립하며, 이렇게 스프링 세트(66)가 조립된 구동부(60)와 상기 케이스(40) 및 덮개(50)를 조립한 개폐장치(70)의 구조를 살펴보 면 다음과 같다.The spring set 66 thus constructed is inserted into the fixed shaft 68 in which the driving gear 64 is inserted in order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 64b of the driving gear 64 and the fixing groove 64b of the spring set 66 The structure of the driving unit 60 in which the spring set 66 is assembled and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70 in which the case 40 and the cover 50 are assembled will be described. Respectively.

먼저, 상기 케이스(40) 내부로 덮개(50)를 위치시키고, 이에 구동부(60)를 결합하되, 상기 구동부(60)에 그 구동 기어(64)와 스프링 세트(66)가 순차로 결합되어 돌출된 구동축(66c)과, 케이스(40) 내부의 링크(51) 끝의 축공(51′)으로 끼움되어 고정하고, 그 스프링 세트(66)의 몸체(66a)가 상부케이스(41)의 안착돌기(42b′) 내측으로 인입하고, 그 스프링(66b)은 안착돌기(42b′) 바깥쪽으로 위치되어, 원주 방향으로 돌출한 스프링(66b) 끝단이 스프링 세트(66)의 걸림돌기(41c)에 걸리도록 안착하여 조립한 개폐장치(70)를 구성한다. The driving gear 64 and the spring set 66 are sequentially coupled to the driving unit 60 so that the driving unit 60 is engaged with the driving unit 60. [ And the body 66a of the spring set 66 is inserted into the seat cushion of the upper case 41 and the seat cushion 66b of the spring cushion 66c is fitted into the shaft hole 51 ' And the spring 66b is positioned outside the seating projection 42b 'so that the end of the spring 66b project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hooked on the hook projection 41c of the spring set 66 Thereby constituting the opening / closing device 70 assembled.

이렇게 구성한 개폐장치(70)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기(20) 아랫부분에 설치하되, 상기 케이스(40)의 각 개폐공(41a)(42a)이 변기(20)의 하부를 통과하도록 설치되는데, 이때 패킹(43)에 의해 누수를 방지한다.8,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70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oilet 2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holes 41a and 42a of the case 40 pass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toilet 20 At this time, leakage is prevented by the packing (43).

또한, 상기 변기(20)로 챔버(30)의 물을 인입하는 구조는, 일반적으로 변기에 사용되는 밸브(변기를 사용하고 밸브를 젖히면 챔버에서 변기로 통하는 부분을 막고 있는 캡이 젖혀져 챔버의 물이 변기로 인입되도록 하는 구조)의 신호로 챔버(30)의 물을 변기(20)로 물을 인입하여 세척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ucture for drawing the water in the chamber 30 into the toilet bowl 20 by the toilet 20 is generally a valve used in the toilet bowl (when the toilet is used and the valve is turned, the cap blocking the portion leading from the chamber to the toilet bowl is turned, The water in the chamber 30 may be drawn into the toilet 20 by a signal of a structure in which the water is drawn into the toilet.

이외에도, 상기 변기(20)로 챔버(30)의 물을 인입하는 구조는, 별도로 더 설치되는 분사 스위치(71)와 상기 개폐장치(70)를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통해, 그 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상기 분사 스위치(31)가 작동되면 제어부(80)로 신호를 보내져 계폐장치(50)와 물의 분사를 제어하며, 이러한 제어부(80)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식 수단(23)에 의해 사용자를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받아들여, 펌프(31)를 가동하여 챔버(30) 내부의 물을 1차 분사를 진행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사용하면서 인식 수단(23)을 벗어났음을 인지했을 때, 분사 스위치(31)가 눌러졌을 때에, 상기 개폐장치(70)를 열고, 펌프(31)를 가동하여 챔버(30) 내부의 물을 분사하여 변기(20) 내부를 세척하고, 개폐장치(70)를 닫으면서 적정량의 물이 변기(20) 하부에 일정량 고이도록 한다.The structure for drawing the water in the chamber 30 into the toilet bowl 20 can be easily carried out through a separately provided injection switch 71 and a control unit 80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70 When the injection switch 31 is operated, a signal is sent to the control unit 80 to control spraying of water with the shutdown unit 50. The control unit 80 controls the recognition unit 23,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injection of water in the chamber 30 is carried out by operating the pump 31 or the user exits the recognition means 23 while using the water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70 is opened and the pump 31 is actuated to spray the water inside the chamber 30 to wash the inside of the toilet bowl 20, When the device 70 is closed and a proper amount of water is kept a certain amount below the toilet 20 .

따라서, 상기 지붕겸용 탱크(10)와 개폐장치(70) 작동을 흐름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우선, 평소에 비나 눈이 내리면, 지붕겸용 탱크(10)의 경사면(42′)을 따라 공간부에 모이게 되고, 이 고인 물은 적정높이로 차 있으면서, 이물질이 아래로 가라앉고, 깨끗한 물은 인입공(11′)으로 통과되어 지붕겸용 탱크(10) 내부로 모이게 된다.First of all, when rain or snow falls, the roof 10 is tilt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42 'of the roof-mounted tank 10 to the space portion And the puddle is cooled to a proper height so that the foreign matter sinks downward and the clean water passes through the inlet hole 11 'and is collected into the roof combined tank 10.

이렇게 모인 물은 변기(20)와 이어진 챔버(30)로 공급되고, 이 챔버(30)에 일정량씩 저장되어 있다가, 펌프(31)에 의해 분사통로(21) 및 변기(20) 내부로 이동되어 세척수로 쓰이게 되는데, 이러한 세척수의 쓰임 과정과 상기 개폐장치(70), 센서들의 제어부(80)를 통한 제어 과정을 도1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llected water is supplied to the chamber 30 connected to the toilet bowl 20 and stored in the chamber 30 by a predetermined amount and then moved to the inside of the spray passage 21 and the toilet bowl 20 by the pump 31 The process of using the washing water and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opening / closing device 70 and the sensors through the control unit 8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4 as follows.

먼저, 사용 전 변기(20)는 그 저면에 일정량의 물이 고인 상태로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가 변기를 사용하면서 인식 수단(23)에 의해 사용자를 감지하며, 변기 내부로 물을 1차로 분사하게 되며, 그리고 사용자가 변기(20)를 사용하면 서 변기(20)를 세척하고 싶을 때에는, 상기 분사 스위치(71)를 작동하여 변기(20)를 중도 세척하는데, 이는 인식 수단(23)에서 사용자를 계속 인식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분사 스위치(71)를 작동하여 변기(20)를 세척하게 된다.First, the toilet bowl 20 before use maintains a standby state in a state where a certain amount of water remains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The user senses the user by the recognition unit 23 while using the toilet bowl, And when the user wants to wash the toilet 20 by using the toilet 20, the spray switch 71 is actuated to wash the toilet 20 in the middle, With the user still recognizing, the user operates the spray switch 71 to clean the toilet 20.

한편, 상기 변기(20)의 세척 과정은, 제어부(80)의 순차적인 과정으로 이루어지되, 먼저, 변기(20) 하부에 설치된 개폐장치(70)가 열리고, 모터(31)를 작동하여 챔버(30)의 물을 변기(20)로 인입하여, 변기(20)를 세척하고, 다시, 개폐장치(70)가 닫히면서 물이 변기(20) 하부에 일정량씩 고이도록 한다.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70 provided under the toilet 20 is opened and the motor 31 is operated to open the chamber (not shown) 30 is drawn into the toilet 20 to wash the toilet 20 and then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70 is closed so that the water is kept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oilet 20 by a predetermined amount.

다음으로, 사용자가 변기(20)를 온전히 다 사용하고 자리를 뜨게 되면(변기 좌대를 벗어남), 인식 수단(23)은 더 이상 사용자를 인식하지 않고, 제어부(80)에 의해 다시 변기(20) 세척이 이루어지는데, 이는 상기 과정과 같이, 변기(20) 하부에 설치된 개폐장치(70)가 열리고, 펌프(31)의 작동으로 챔버(30)의 물을 분사하여, 변기(20)를 세척하고, 다시, 개폐장치(70)가 닫히면서 일정량의 물이 변기(20) 하부에 일정량씩 고이도록 하여 대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Next, when the user fully occupies the toilet seat 20 (moves out of the toilet seat), the recognition means 23 does not recognize the user any more,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70 provided under the toilet 20 is opened and the water in the chamber 30 is sprayed by the operation of the pump 31 to clean the toilet 20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70 is closed again so that a certain amount of water is kept at a predetermined amount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oilet 20 to maintain the waiting state.

또한, 상기 인식 수단(23)은 필요에 따라 구비되지 않거나, 고장이 난 상태가 되더라도, 사용자가 볼일을 보고 바로 중도 세척이나, 세척을 하고 싶을 때에는 분사 스위치(31)를 눌러, 개폐장치(70)의 열림, 물 분사 및 개폐장치(70)의 닫힘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변기(20) 내부를 세척하면서 다시 대기 상태를 유지될 수 있는바, 상기 인식 수단(23)의 구비 및 이를 통한 1차 분사는 변기(20) 내부를 적셔 주어 오물이 변기에 묻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When the user wishes to perform cleaning or cleaning immediately after seeing the ball, even if the user does not need it or fails, the recognition means 23 presses the injection switch 31 to open the opening / closing device 70 The water injection and the clos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70 are sequentially performed so that the interior of the toilet 20 can be kept in the standby state while washing the interior thereof. So as to wet the inside of the toilet bowl 20 to minimize the burden on the toilet bowl.

이에 덧붙여, 상기 변기(20)를 세척을 하는 과정, 즉, 개폐장치(70)가 열리고, 변기(20) 세척을 위한 물 분사, 개폐장치(70)가 닫히는 순차적인 작동 과정을 도15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이는 상기 분사 스위치(31)의 작동 신호를 받으면, 제어부(80)가 모터(61)를 작동하면서, 감속기(62), 기어(63), 구동 기어(64), 스프링 세트(66) 및 덮개(50)의 링크(51) 끝단까지 순차적으로 회전력이 전달되면서, 상기 링크(51)에 힌지 연결된 덮개(50)가 움직여 개폐공(41a)(42a)이 서서히 열리고, 이러한 순차적인 움직임에서 구동부(60)의 핀(64a)도 같이 움직이면서 일측의 모터스위치(65)를 접촉하여 이 신호에 의해 제어부(80)는 모터(61)를 멈추게 된다.15, the process of washing the toilet bowl 20, that is, the sequential operation process in which the opening / closing device 70 is opened and the water spraying / opening / closing device 70 for closing the toilet bowl 20 is closed is referred to When the control unit 80 operates the motor 61 to drive the speed reducer 62, the gear 63, the drive gear 64, the spring set 61, The lid 50 hinged to the link 51 is moved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holes 41a and 42a are gradually opened to the ends of the link 51 of the lid 50 and the lid 50, The pin 64a of the driving unit 60 moves in conjunction with the motions of the motor 60. The control unit 80 stops the motor 61 by this signal.

이에 제어부(80)가 펌프(31)를 작동하여 챔버(30)의 물이 변기(20) 내부로 인입되어 변기(20)를 세척하면서 개폐공(41a)(42a)을 통과하여 빠져나가게 된다.The controller 80 activates the pump 31 so that the water in the chamber 30 is drawn into the toilet bowl 20 to wash the toilet bowl 20 and pass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holes 41a and 42a.

이어서, 다시 제어부(80)가 모터(61)를 작동, 정확하게는 모터(61)가 처음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덮개(50)가 원위치로 복귀하여 개폐공(41a)(42a)을 닫도록 하는데, 이때, 펌프(31)가 좀 더 가동되어 일부의 물이 그 덮개(50) 위로 약간 고이면 악취나 벌레의 역류가 방지된다.Subsequently, the control unit 80 again actuates the motor 61 so that the motor 61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initial direction so that the lid 5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o close the opening / closing holes 41a and 42a At this time, when the pump 31 is operated more and a part of the water is slightly above the cover 50, the backflow of the odor or insect is prevented.

한편, 상기 덮개(50)가 개폐공(41a)(42a)을 닫을 때는, 하부케이스(42)의 경사면(42′)을 따라 이동되어 개폐공(41a)(42a)을 닫는데, 그 끝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경사면(42′)으로 인해, 덮개(50), 자세하게는 덮개(50)의 가장자리 부분이, 그 상부의 패킹(43)에 완전히 밀착되어 개폐공(41a)(42a)을 완전히 밀폐하게 되는 것이며, 이렇게 다시 덮개(50)가 개폐공(41a)(42a)을 닫을 시에는 스프링 세트(66)의 스프링(66b)이 감겼다가 풀리게 되므로 모터(61)의 부하를 최소화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id 50 closes the opening / closing holes 41a and 42a, the lid 50 is mov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42 'of the lower case 42 to close the opening / closing holes 41a and 42a, The edge portion of the lid 50 and more specifically the lid 50 is complete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acking 43 on the upper side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holes 41a and 42a are completely closed by the inclined surfaces 42 ' When the lid 50 closes the opening / closing holes 41a and 42a again, the spring 66b of the spring set 66 is wound and loosened so that the load of the motor 61 is minimized.

또한, 상기 모터(61)의 역회전과 동시에 그 핀(64a)이 반대방향으로 움직여 그 타측의 모터스위치(65′)를 접촉하게 되며, 이 접촉으로 모터(61)가 멈추게 되며, 이 모터(61)의 멈춤으로 변기(20)의 세척을 완료되되, 상기 개폐장치(70)의 덮개(50)가 다 닫혀져도 물이 더 분사되어 변기(20) 내부에는 일정량의 물이 항시 고여 있도록 한다.At the same time when the motor 61 is reversely rotated, the pin 64a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come in contact with the motor position 65 'of the other side, and the motor 61 is stopped by this contact, The washing of the toilet 20 is completed by the stop of the door 60 and the door 50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70 is closed so that water is further sprayed so that a certain amount of water is constantly accumulated in the toilet 20.

이렇게 구성한 화장실 구조는, 우선, 그 지붕겸용 탱크(10) 구조를 통해 비나 눈을 재활용하여 재활용 비율을 높이면서도, 산간지방과 같이 물공급이 어려운 곳에서도 자연을 이용하여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이러한 지붕겸용 탱크(10)는 그 입구부(14)를 통해 물의 강제 주입이 가능하고, 여름의 경우에 상부에 지붕겸용 탱크(10)가 있어 열기를 흡수하여 화장실 내부를 시원하게 하고, 겨울의 경우에는 내부에 난방 시설로 인해 지붕겸용 탱크(10) 내부의 물이 어는것을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The structure of the toilet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ilet can be used using nature even in a place where water supply is difficult, such as mountainous area, while raising the recycling rate by recycling rain or snow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roof combination tank (10) The roof combined tank 10 is capable of forcibly injecting water through its inlet portion 14. In summer, there is a roof-use tank 10 at the top to absorb the heat to cool the inside of the toilet, The water inside the roof combined tank 10 is prevented from being frozen due to the heating inside.

또한, 상기 화장실 내부 변기(20)에 설치된 개폐장치(70)로 인해서 하부 오물탱크(100)에서 발생하는 악취나, 벌레 등의 역류를 완전히 방지하도록 하며, 사정상 세척액이 없더라도 오물과 사용자의 환경을 완전히 분리시켜줄 수 있는 특징이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70 installed in the toilet inner toilet 20 completely prevents odor and insect backflow from the lower dirt tank 100 and prevents the dirt and the environment of the user even if there is no washing liquid There is a feature that can completely separate,

한편, 이러한 화장실 구조는 통상의 구조를 가지는 일반적인 화장실 구조에서, 그 지붕에 상기 지붕겸용 탱크(10)를 적용하고, 그 설치된 변기(20) 하부에 상기 개폐장치(70)를 적용하여, 지붕겸용 탱크(10)로 집수된 물을 세척수로 사용하면서 개폐장치(70)와 함께 세척수의 소비를 최소한으로 유지할 수 있는데, 상기 개폐장치(70)의 사용은 상기 지붕겸용 탱크(10)에 집수된 우수나 인위적으로 공급된 물이 없더라도 하부의 오물탱크(100)에서 악취나 벌레의 역류를 막아 줄 수 있으므로 위생성을 높이고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In the meantime, in such a toilet structure, in the general toilet structure having a normal structure, the roof-use tank 10 is applied to the roof, and the opening / closing device 70 is appli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oilet 20,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consumption of the washing water to a minimum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70 while using the water collected by the tank 10 as the washing water. The us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70 is advantageous in that, Even if there is no artificially supplied water, it is possible to prevent reverse flow of odors or insects in the dirt tank 100 in the lower part, thereby enhancing the hygiene and maintaining the comfort.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일반적인 화장실 구조의 상부로 지붕겸용 탱크를 구성하되, 지붕겸용 탱크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기울기를 형성하고, 지붕겸용 탱크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높이의 빗물받이부가 형성하며, 상기 지붕겸용 탱크의 일정 높이에 인입공을 다수개 형성한 지붕겸용 탱크를 통상 변기가 구비된 화장실 상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지붕겸용 탱크가 화장실 내부의 변기로 세척수로 공급되도록 한 화장실 구조를 구성하여, 비나 눈이 오면 빗물받이부 내측으로 물이 고이고, 맑은 물만 인입공을 통해 지붕겸용 탱크 내부로 모인 물이 변기의 세척수로 사용됨에 따라, 우수를 효율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nwater collecting tank is formed at the upper part of the general toilet structure, the rainwater collecting tank is formed with a slope along the upper edge of the combined roof tank, A roof structure in which a roof combined tank in which a plurality of intake holes are formed at a certain height of a roof combined tank is placed in an upper portion of a toilet provided with a toilet and the roof combined tank is supplied as wash water to the toilet inside the toilet, When rain or snow comes in, the water stays inside the rainwater receptacle, and only the clear water is used as the wash water for the toilet, which is collected in the roof combined tank through the intake hole, so that the rainwater can be efficiently recycled.

또한, 상기 지붕겸용 탱크 중앙에는 관통된 채광부를 형성하고, 이에 투명한 덮개로 덮어 화장실 내부로 채광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a light-passing portion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oof combined tank, and the roof is covered with a transparent lid and mined into the inside of the toilet.

또한, 상기 화장실 구조에 구비되는 변기에는, 그 변기 하부에 위치된 오물 탱크와의 사이를 열고 닫는 개폐장치를 더 구비하여, 오물탱크의 악취와 벌레 등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toilet provided in the toilet structure is further provided with an opening / clos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gap between the toilet and the dirt tank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toilet so as to prevent the odor and worms of the dirt tank from flowing backward.

Claims (7)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밀폐된 공간으로 변기(20)가 구비되는 통상의 화장실 구조에 있어서,In a typical toilet structure having a toilet 20 in a closed space, 상기 화장실 구조의 상부에 지붕겸용 탱크(10)가 구비되어, 이 지붕겸용 탱크(10)에 수용되는 물이, 변기(20)를 세척하는 물을 임시로 수용하는 챔버(30)로 공급되도록 구성하고, 변기(20) 하부로는 개폐가 가능한 개폐장치(70)를 구비함에 있어,A roof 10 is provided at the upper part of the toilet structure so that the water contained in the roof combined tank 10 is supplied to the chamber 30 which temporarily stores the water for washing the toilet bowl 20 And an opening / closing device 70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lower portion of the toilet 20, 상기 지붕겸용 탱크(10)는, 볼록하게 형성된 지붕 중심부에는 관통된 채광부(15)가 형성되고, 이 채광부(15)에 투명한 덮개(16)가 덮여지도록 구성되고, 그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기울기를 형성하고, 측면에 적정 높이에 관통된 인입공(11′)을 다수개 형성하며, 상기 지붕겸용 탱크(10)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높이의 빗물받이부(12)를 형성하며,In the roof combined tank 10, a light-shielding portion 15 is formed in a convexly formed central portion of the roof. The light-shielding portion 15 is configured to be covered with a transparent lid 16, A plurality of inflow holes 11 'penetrating through an appropriate height ar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tank 10 and a rainwater receiving portion 12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is formed along a lower edge of the roof combined tank 10 In addition, 상기 개폐장치(70)는,위로 볼록한 상부케이스(41)와 아래로 볼록한 하부케이스(42)로 구성되어, 이들 상부케이스(41)와 하부케이스(42)가 결합하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상부케이스(41)의 개폐공(41a)(42a)을 관통된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된 밀폐돌기(41a′)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케이스(42)의 개폐공(41a)(42a) 주위로는 일측으로 갈수록 점점 두꺼워지는 경사면(42′)을 형성하며,‘L’자 단면을 가지는 패킹(43)이 더 구비되어, 상기 패킹(43)이 상부케이스(41) 하부에서 밀폐돌기(41a′)로 끼움되도록 결합된 케이스(40)가 구비되고,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70 is constituted by an upper case 41 which is convex upward and a lower case 42 which is convex downward so that the upper case 41 and the lower case 42 are joined to form a space therein, A sealing projection 41a 'protruding along an edge passing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holes 41a and 42a of the upper case 41 is formed and the sealing projection 41a' is formed around the opening and closing holes 41a and 42a of the lower case 42 And the packing 43 further includes a sealing projection 41a 'a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case 41. The packing 43 has an L-shaped cross section, and the inclined surface 42' And a case 40, 상기 개폐공(41a)(42a)을 덮는 면적으로 형성된 덮개(50)가 상기 케이스(40) 내부에 위치하여, 모터(61)에 의해 덮개(50)가 회동하면서 개폐공(41a)(42a)을 개폐할수 있도록 구성하여,The lid 50 formed in an area covering the opening and closing holes 41a and 42a is located inside the case 4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holes 41a and 42a are formed while the lid 50 is rotated by the motor 61, Respectively, 우수가 빗물받이부 내측으로 고이면서 인입공으로 탱크 내부로 인입되어 물이 수용함으로써, 이 우수를 변기의 세척수로 효과적으로 재활용하고, 화장실 내부를 밝게 유지하며, 변기하부의 개페장치의 개폐성을 향상함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를 집수할 수 있는 지붕겸용 탱크를 구비한 화장실 구조.The stormwater is absorbed into the inside of the tank by the inflow hole while the stormwater is high inside the stormwater receiver, effectively recycling this stormwater with the washing water of the toilet, keeping the inside of the bathroom bright, and improving the open / And a tank for collecting storm water,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of can be collec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70000479A 2007-01-03 2007-01-03 the structure of rest room using tank as roof which can collecting rain and snow KR1008279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479A KR100827960B1 (en) 2007-01-03 2007-01-03 the structure of rest room using tank as roof which can collecting rain and sn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479A KR100827960B1 (en) 2007-01-03 2007-01-03 the structure of rest room using tank as roof which can collecting rain and snow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2565A KR20070012565A (en) 2007-01-25
KR100827960B1 true KR100827960B1 (en) 2008-05-08

Family

ID=38012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0479A KR100827960B1 (en) 2007-01-03 2007-01-03 the structure of rest room using tank as roof which can collecting rain and snow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796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64619B (en) * 2022-09-21 2023-10-27 山东安澜电力科技有限公司 Multifunctional power distribution cabinet and use method thereof
CN116971542B (en) * 2023-09-22 2023-12-05 呼伦贝尔安泰热电有限责任公司扎兰屯热电厂 Energy-saving lighting top cover for thermal power plant factory build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775A (en) * 2000-06-28 2000-10-05 정종명 Multipurpose Water Storage Tank and Rainwater Inflow Purifier
KR20060125668A (en) * 2006-11-17 2006-12-06 (주)에이치앤지 The structure of toilet with accomplishing for spraying of detergent and opening and shutting for the lower part of toilet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KR200434802Y1 (en) * 2006-09-29 2006-12-27 월드테크 주식회사 Water close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775A (en) * 2000-06-28 2000-10-05 정종명 Multipurpose Water Storage Tank and Rainwater Inflow Purifier
KR200434802Y1 (en) * 2006-09-29 2006-12-27 월드테크 주식회사 Water closet
KR20060125668A (en) * 2006-11-17 2006-12-06 (주)에이치앤지 The structure of toilet with accomplishing for spraying of detergent and opening and shutting for the lower part of toilet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2565A (en) 200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2086248A1 (en) Catch basin attachment
CN109291864A (en) Buck dirt collecting system, control method and the vehicles for the vehicles
KR100827960B1 (en) the structure of rest room using tank as roof which can collecting rain and snow
CN209336644U (en) Buck dirt collecting system and the vehicles for the vehicles
KR100741695B1 (en) Stink cutoff device of drainer
WO2013170527A1 (en) Water-saving toilet bowl
KR101198705B1 (en) Water drainage trap with reverse flow prevention function
KR20060125668A (en) The structure of toilet with accomplishing for spraying of detergent and opening and shutting for the lower part of toilet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JP2015505345A (en) Super water-saving and noise-reducing Western toilet without a water tank
CN213881300U (en) Deodorant cat lavatory
KR20090113201A (en) Water overflow prevention chin horizontality improvement of remove a bad smell and water saving type toilet bowl
US5920920A (en) Straight trap toilet apparatus
KR102374849B1 (en) Closing and opening device of rainwater drainage area
KR102256569B1 (en) Closing and opening device of rainwater drainage area
JPH10317435A (en) Rainwater utilizing system
KR200211134Y1 (en) A simple toilet
JPH06335335A (en) Automatic flush toilet for dog and cat
KR100454999B1 (en) The draintank combined with excluding a bad smell punction
KR100815206B1 (en) Toilet stool washing apparatus for man of a rotate type
CN214033994U (en) Drainage device with sealing pad
AU2007100483A4 (en) Water collection device
KR102209000B1 (en) Urinal
CA3007604A1 (en) Systeme de toilette sans eau a chasse hygienique, et methode
KR200460575Y1 (en) Rainwater guide device for an umbrella
JPH0726594A (en) Intermediately treated water storage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12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