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7122B1 - 휴대단말기에서 음성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에서 음성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7122B1
KR100827122B1 KR1020060130937A KR20060130937A KR100827122B1 KR 100827122 B1 KR100827122 B1 KR 100827122B1 KR 1020060130937 A KR1020060130937 A KR 1020060130937A KR 20060130937 A KR20060130937 A KR 20060130937A KR 100827122 B1 KR100827122 B1 KR 100827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oefficient
coefficient value
voice
call
ca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0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형
박민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0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71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7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7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음성 처리 장치에 있어서, 호가 착신되면 상기 호의 발신자 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된 필터 계수값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필터 계수값이 존재하면 상기 호가 연결되는 동안 상기 필터 계수값이 적용된 디지털 필터를 통해 발신자의 음성을 필터링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필터 계수값이 적용된 상기 디지털 필터를 통해 발신자의 음성을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필터 계수값, 룩업테이블

Description

휴대단말기에서 음성 처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VOICE IN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내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처리를 위한 휴대단말기의 제어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에서 음성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는 셀룰러 폰(Cellular Phone), 개인용 정보 단말기(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개인용 통신 서비스 폰(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Phone), IMT-2000 단말기(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단말기 등과 같이, 이동하면서 통화를 하거나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를 말한다.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전 세계 어디에서도 통용되는 기기로서,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할 필수품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다. 때문에 휴대단말기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및 경량화 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특히 추후의 휴대단말기는 점점 소형화, 다기능 및 다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다양한 멀티미디어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될 것이다.
한편 휴대단말기가 대중화되고 다양한 기능들이 구비되고 있지만 그래도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은 호를 수행하는 기능이다.
때문에 통신 사업자들은 휴대단말기의 통화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음성을 처리함에 있어서 보다 선명한 통화 품질을 제공받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음성 처리 장치에 있어서, 호가 착신되면 상기 호의 발신자 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된 필터 계수값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필터 계수값이 존재하면 상기 호가 연결되는 동안 상기 필터 계수값이 적용된 디지털 필터를 통해 발신자의 음성을 필터링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필터 계수값이 적용된 상기 디지털 필터를 통해 발신자의 음성을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음성 처리 방법에 있어서, 호가 착신되면 상기 호의 발신자 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된 필터 계수값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자 정보에 대응되는 필터 계수값이 존재하면, 상기 호가 연결되는 동안 상기 필터 계수값이 적용된 디지털 필터를 통해 발신자의 음성을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시된 휴대단말기는 제어부(100), 메모리부(110), 키입력부(120), 표시부(130), 오디오처리부(140), 모뎀(150), 무선송수신부(160)를 포함한다.
도 1 을 참조하면, 키입력부(120)는 숫자 및 문자 정보의 입력에 필요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의 설정에 필요한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
표시부(1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정보를 출력한다. 이때, LCD 또는 OLE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130)는 키입력부(120)와 함께 휴대단말기를 제어하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 있다.
모뎀(MODEM)(150)은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무선송수신부(160)는 제어부(10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부(11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 및 사용자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선택된 각종 정보들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부(110)는 발신자의 음성을 고유의 음색 및 톤을 왜곡 없이 보다 선명하게 출력하기 위해 필터 계수값을 추출하는 FFT(Fast Fourier Transform)를 이용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필터 계수값을 추출하는 프로그램으로 FFT(Fast Fourier Transform)를 적용하여 설명하였으나, FFT프로그램 뿐 아니라 발신자의 음성을 고유의 음색 및 톤을 왜곡없이 선명하게 출력하기 위한 필터 계수값을 추출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라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메모리부(110)는 폰북 데이터가 저장된 폰북과 발신자 정보와 일치하는 폰북 데이터 각각에 대응되는 필터 계수값이 저장된 룩업테이블을 저장한다. 그리고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해 제어부(100)를 통해 엑세스되는 운영 알고리즘을 저장하는 롬(ROM)과, 제어부(100)의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제어 명령어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는 램(RAM)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룩업테이블은 발신자의 음성을 고유의 음색 및 톤을 왜곡 없이 선명하게 출력하기 위한 필터 계수값을 추출하여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폰북 데이터 각각에 대응되는 필터 계수값을 저장한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마이크(Microphone)로부터 입력된 전기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무선송수신부(160)로부터 입력된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eaker)로 출력한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40)는 무선송수신부(160)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마이크로부터 발생 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코덱(Codec)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된다. 코덱은 제어부(1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호가 연결되는 동안 룩업테이블에서 리드된 발신자의 필터 계수값을 발신자의 음성에 적용하고 발신자의 음성을 필터링하여 출력한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40)는 발신자의 음성에 필터 계수값을 적용하여 필터링 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필터(미도시)를 포함하며 디지털 필터에 구비되는 필터는 FIR(Finite Impulse Response)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FIR필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FIR필터 뿐 아니라 리드된 필터 계수값을 발신자의 음성에 적용하여 필터링 후 출력할 수 있는 필터라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100)는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에서 호가 착신되면 발신자 정보에 대응되는 필터 계수값을 미리 저장된 룩업테이블에서 리드하고, 착신된 호가 연결되면 리드된 필터 계수값을 디지털 필터를 통해 발신자의 음성에 적용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만약, 휴대단말기에서 호가 착신되고 발신자 정보에 대응되는 필터 계수값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100)는 착신된 호가 연결되는 중에 발신자의 음성을 메모리부(110)에 구비된 FF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발신자의 음성을 고유의 음색 및 톤을 왜곡없이 선명하게 출력하기 위한 필터 계수값을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필터 계수값을 발신자 정보와 일치하는 폰북 데이터 각각에 대응되는 룩업테이블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호가 착신되고 발신자 정보에 대응되는 필터 계수값을 룩업테이블에서 리드한 후에 착신된 호가 연결되는 것으로 설정하여 설명하였으나, 호가 착신되고 착신된 호가 연결된 후에 발신자 정보에 대응되는 필터 계수값을 룩업테이블에서 리드 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휴대단말기에서 호가 연결되는 동안 발신자의 음성을 음색 및 톤의 왜곡 없이 선명하게 들을 수 있는 상태로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처리를 위한 휴대단말기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에서 호가 착신되면 제어부(100)는 20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발신자 정보에 대응되는 필터 계수값을 검색하는 210단계를 수행한다.
210단계에서 발신자 정보에 대응되는 필터 계수값을 검색하고 220단계에서 호가 연결되면 제어부(100)는 호가 연결되는 중에 230단계로 진행하여 발신자 정보에 대응되는 필터 계수값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필터 계수값은 호가 연결되고 발신자의 음성이 수신되면 수신되는 발신자의 음성을 음색 및 톤의 왜곡없이 보다 선명한 상태로 출력하기 위한 필터 계수값으로 룩업테이블에 저장된다.
한편, 룩업테이블은 폰북 데이터가 저장된 폰북과 발신자 정보와 일치하는 폰북 데이터 각각에 대응되는 필터 계수값이 저장된 테이블로서 발신자 정보에 대응되는 필터 계수값을 추출하게 된다. 그리하여 발신자의 음성을 보다 선명한 상태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210단계 후에 220단계인 호가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호가 연결된 후 210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다.
230단계에서 제어부(100)의 판단하에 발신자 정보에 대응되는 필터 계수값이 존재할 경우 제어부(100)는 270단계로 진행하여 발신자 정보에 대응되는 필터 계수값을 디지털 필터 즉 FIR필터에 적용하여 발신자 음성을 필터링하여 출력한다.
만약, 230단계에서 발신자 정보에 대응되는 필터 계수값이 룩업테이블에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 제어부(100)는 240단계에서 호가 연결되는 중에 필터 계수값을 설정하기 위한 키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240단계에서 호가 연결되는 중에 필터 계수값을 설정하기 위한 키입력이 감 지되면 제어부(100)는 250단계로 진행하여 발신자의 음성을 FFT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고 발신자의 음성을 음색 및 톤을 왜곡 없이 선명하게 출력할 수 있는 필터 계수값을 추출한다.
250단계에서 발신자의 음성을 보다 선명하게 출력하기 위한 필터 계수값이 추출되면 제어부(100)는 260단계에서 추출된 필터 계수값을 발신자 정보와 일치하는 폰북 데이터에 각각 대응되는 룩업테이블에 저장한다.
이렇게 호가 연결되는 중에 발신자 음성에 대한 필터 계수값을 추출하여 룩업테이블에 저장할 경우 다음에 동일한 발신자의 호가 착신되면 제어부(100)는 자동으로 룩업테이블에 저장된 발신자에 대한 필터 계수값을 리드하고, 착신된 호가 연결되면 리드된 필터 계수값을 발신자의 음성에 적용하여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호 연결시 발신자의 음성에 미리 저장된 발신자의 필터 계수값을 적용하여 출력함으로써, 발신자의 음성을 출력함에 있어서 보다 선명한 통화품질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을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발신자의 음성을 음색 및 톤의 왜곡없이 선명하게 하기 위한 필터 계수값을 적용하여 출력함으로써 보다 선명한 발신자의 음성을 출력할 수 있으며 때문에 향상된 통화 품질을 제공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휴대단말기에서 음성 처리 장치에 있어서,
    호가 착신되면 상기 호의 발신자 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된 필터 계수값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필터 계수값이 존재하면 상기 호가 연결되는 동안 상기 필터 계수값이 적용된 디지털 필터를 통해 발신자의 음성을 필터링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필터 계수값이 적용된 상기 디지털 필터를 통해 발신자의 음성을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음성 처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발신자 정보와 일치하는 폰북 데이터 각각에 대응되는 필터 계수값이 저장된 룩업테이블을 포함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음성 처리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의 발신자 정보와 대응되어 저장된 필터 계수값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착신된 호가 연결되는 동안 상기 발신자의 음성을 분석하여 최적화된 필터 계수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필터 계수값을 룩업테이블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음성 처리 장치.
  4. 휴대단말기에서 음성 처리 방법에 있어서,
    호가 착신되면 상기 호의 발신자 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된 필터 계수값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자 정보에 대응되는 필터 계수값이 존재하면, 상기 호가 연결되는 동안 상기 필터 계수값이 적용된 디지털 필터를 통해 발신자의 음성을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음성 처리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호의 발신자 정보와 대응되어 저장된 필터 계수값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호가 연결되는 동안 필터 계수값을 설정하기 위한 키 입력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키가 입력되면 상기 발신자의 음성을 분석하여 최적화된 필터 계수값을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필터 계수값을 상기 발신자 정보에 대응되는 룩업테이블에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음성 처리 방법.
KR1020060130937A 2006-12-20 2006-12-20 휴대단말기에서 음성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827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937A KR100827122B1 (ko) 2006-12-20 2006-12-20 휴대단말기에서 음성 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937A KR100827122B1 (ko) 2006-12-20 2006-12-20 휴대단말기에서 음성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7122B1 true KR100827122B1 (ko) 2008-05-06

Family

ID=39649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0937A KR100827122B1 (ko) 2006-12-20 2006-12-20 휴대단말기에서 음성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712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5521A (ko) * 2003-12-08 2005-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발신자정보와 일정정보 표시방법
KR20060077352A (ko) * 2004-12-30 2006-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신호 출력 모드에 따른 음질 최적화 회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5521A (ko) * 2003-12-08 2005-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발신자정보와 일정정보 표시방법
KR20060077352A (ko) * 2004-12-30 2006-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신호 출력 모드에 따른 음질 최적화 회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10534A1 (en) Method for initiating voice recognition mode on mobile terminal
CN106920559B (zh) 通话音的优化方法、装置及通话终端
JP2009020291A (ja) 音声処理装置および通信端末装置
KR20100081022A (ko) 전화번호부 업데이트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US20080043999A1 (en) Echo cancellation and noise reduction adaptation during ringing signal playback
KR100827122B1 (ko) 휴대단말기에서 음성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849293B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713446B1 (ko) 휴대단말기에서 무선인터넷 망을 통한 통화수행 방법
CN1992945B (zh) 便携式终端及其输出语音数据的方法
KR100640813B1 (ko) 음성 인식을 이용한 자동 폰 북 업데이트 이동통신 단말기및 방법
JP5644610B2 (ja) 通信装置および受話音量設定プログラム
KR10070338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전자사전서비스 방법
KR100548408B1 (ko) 휴대폰의 벨소리 출력 방법
KR100724892B1 (ko) 휴대단말기에서 문자입력을 통한 통화수행 방법
US10748548B2 (en) Voice processing method, voice communication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hereof
KR100735885B1 (ko) 통화 내용의 필터링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810199B1 (ko) 휴대단말기에서 발신정보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77448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텍스트 변환 장치 및 방법
KR100630184B1 (ko) 휴대단말기에서 메시지를 통한 통화수행방법
KR10067817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KR100810362B1 (ko) 휴대단말기에서 외부메모리의 파일 실행방법
KR100754628B1 (ko) 휴대단말기에서 진동에 따른 동작수행 방법
KR100605875B1 (ko) 휴대 단말기에서 통화 중 번호 전송방법
KR100790147B1 (ko)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파일을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689464B1 (ko) 벨소리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