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6150B1 - 전기기폭장치(eed)에 대한 전자파 환경 시험장치 및방법 - Google Patents

전기기폭장치(eed)에 대한 전자파 환경 시험장치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6150B1
KR100826150B1 KR1020070024572A KR20070024572A KR100826150B1 KR 100826150 B1 KR100826150 B1 KR 100826150B1 KR 1020070024572 A KR1020070024572 A KR 1020070024572A KR 20070024572 A KR20070024572 A KR 20070024572A KR 100826150 B1 KR100826150 B1 KR 100826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ed
electric
temperature sensor
electric field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4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제
권준혁
김응조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070024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61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6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6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5/00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1/00Blasting methods or apparatus, e.g. loading or tamping
    • F42D1/04Arrangements for ignition
    • F42D1/045Arrangements for electric igni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기폭장치(EED, Electric Explosive Device)에 대한 전자파 환경 시험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각 주파수별로 주파수신호를 발생시키는 RF(Radio frequency)신호발생부, 전자파 차폐실 내부에 위치되며 RF신호발생부로부터 수신된 주파수신호를 방출하는 안테나부, 차폐실 내부에서 안테나부로부터 일정거리에 위치하며 안테나부에서 방출된 각 주파수신호에 따른 전계의 세기를 측정하는 전계센서부 및 전계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전계세기를 출력하는 표시부로 구성되는 전자파환경 시험조성시스템과
차폐실 내부의 전계센서부와 인접한 곳에 위치하며, 전선과 상기 전선과 연결된 발열선과 상기 발열선을 둘러싼 기폭약으로 구성되는 전기기폭장치, 전기기폭장치 내부의 발열선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어 위치되는 온도센서부, 상기 온도센서부에 연결되어 측정되는 온도값을 수집, 분석 및 표시하는 EED온도특성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EED가 장착된 시스템이 전자파환경에 노출되었을때 신뢰성과 안전성이 만족하는지 평가하기 위해서 실제 RF환경과 유사한 전자파 환경을 조성하고, 그 영향하에서 EED의 발열선에 유기되는 유기전류값을 측정하여 신뢰성과 안전성을 판단할 수 있다.
전기기폭장치(EED), 전자파 환경,

Description

전기기폭장치(EED)에 대한 전자파 환경 시험장치 및 방법{A device for testing EED feature in electromagnetic environment and method}
도 1은 종래의 전기기폭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파환경 시험조성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EED의 온도특성측정을 위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EED의 발열선과 온도센서부간의 교정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EED온도특성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온도를 전압으로 변환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EED온도특성측정부의 전압값에 대한 발열선에 흐르는 전류제곱을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파환경에서의 EED특성시험장치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EED온도특성측정부의 주파수별 로 측정된 전압값에 대한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MNFS(Maximum No Fire Stimulus) 1A(암페어)가 적용되는 EED의 온도특성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파환경에서의 EED특성시험방법의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선 20 : 발열선
30 : 기폭약 40 : 컨텍터
50 : 절연체 60 : 케이스
70 : 전기기폭장치(EED) 100 : RF신호발생부
110 : RF신호발생기 120 : 광대역전력증폭기
130 : 안테나부 140 : 전계센서부
150 : 표시부 200 : EED온도특성측정부
210 : 온도센서부 300 : 전류계
310 : DC전원
전자장비의 고집적화, 고출력화에 따라 전자파 환경이 점점 복잡해지면서 장비 또는 시스템 상호간에 전자파 간섭(EMI :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가능성이 증가되고 있으며, 간섭현상의 결과로 장비 또는 시스템의 성능저하 및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성능저하 및 오동작을 막기 위해 장비 및 부체계는 사전에 전자파환경영향 시험을 통과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전기기폭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전기기폭장치(EED:Electric explosive device)(70)는 주로 작은 금속관 내부에 발열선(20)과 기폭약(30)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해진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발열선(20)에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기폭약(30)이 점화되고, 신관에서는 이 폭발의 연쇄작용으로 주 장약을 점화시키는 장치로 사용된다. 이러한 EED는 자동차 에어백, 로켓의 기체분리 등 민수 및 군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현재 EED(70)의 발열선(20)에 흐르는 DC전류에 의한 기폭여부는 많은 샘플 시험을 통하여 확률적으로 검증이 가능하며, 현재 이러한 샘플 시험은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DC전류가 아닌 주파수를 가지는 RF전자파환경에 의한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기법은 개발되어 있지 않다.
만약 고출력 통신기나 레이더에서 방사되는 전자파 환경이나 또는 EED가 장착된 시스템의 다른 장비들로부터 방사되는 전자파환경에 의해 예기치 않은 EED의 기폭이 발생할 경우 대형사고로 발전할 수 있다.
그러므로 EED가 장착된 각 시스템은 다양한 무선주파수(RF: Radio frequency)전자파환경에 노출되었을 때, 신뢰성과 안전성 측면에서 전자파환경에 따른 EED의 성능시험이 수행되어야 한다.
EED가 장착된 시스템이 전자파환경에 노출되었을때 신뢰성과 안전성이 만족하는지 평가하기 위해서 실제 RF환경과 유사한 전자파 환경을 조성하여, 그 영향하에서 EED의 발열선에 유기되는 유기전류값을 측정하여 신뢰성과 안전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시험평가를 위해 EED가 장착된 시스템에 대한 전자파환경조성시스템 및 전자파환경에 따른 EED특성시험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전기기폭장치(EED, Electric Explosive Device)에 대한 전자파 환경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각 주파수별로 주파수신호를 발생시키는 RF(Radio frequency)신호발생부, 전자파 차폐실 내부에 위치되며 RF신호발생부로부터 수신된 주파수신호를 방출하는 안테나부, 차폐실 내부에서 안테나부로부터 일정거리에 위치하며 안테나부에서 방출된 각 주파수신호에 따른 전계의 세기를 측정하는 전계센서부 및 전계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전계세기를 출력하는 표시부로 구성되는 전자파환경 시험조성시스템과
차폐실 내부의 전계센서부와 인접한 곳에 위치하며, 전선과 상기 전선과 연결된 발열선과 상기 발열선을 둘러싼 기폭약(시험 시 기폭약 제거)으로 구성되는 전기기폭장치(EED, Electric Explosive Device), 전기기폭장치 내부의 발열선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어 위치되는 온도센서부, 상기 온도센서부에 연결되어 측정되는 온도값을 수집, 분석 및 표시하는 EED온도특성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계센서부와 표시부를 연결하는 케이블은 주위 전계에 영향을 받지 않는 광케이블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온도센서부와 EED온도특성측정부를 연결하는 케이블은 주위 전계에 영향을 받지 않는 광케이블인 것이 바람직하다.
EED온도특성측정부는, 각 주파수신호에 따라 형성되는 전계에 의해 유기되는 전류가 상기 전기기폭장치의 발열선에 흐르면, 상기 온도센서부를 통하여 수집된 각 온도값을 전압값으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EED온도특성측정부는 온도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ADC)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열선과 온도센서부간의 일정 간격은, 발열선에 DC전류를 인가하여, 온도센서부로부터 설정된 전압값이 나오도록 상기 온도센서부의 위치를 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압값은 RF신호발생부를 일정간격으로 온오프(on/off)하여 측정된 전압값의 차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RF신호발생부는 광대역 전력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파 차폐실의 내부벽은 안테나부로부터 방출되는 주파수신호를 흡수하기 위하여 탄소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기기폭장치(EED)에 대한 전자파 환경 시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EED온도특성시험을 위한 전자파환경 시험조성단계, 전자파 차폐실 내부에 위치하여, 전기기폭장치의 발열선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된 온도센서부를 위치시키는 온도센서부고정단계, RF신호발생부에서 각 주파수별로 주파수신호를 발생시키고, 전자파 차폐실 내부에 주파수신호를 안테나부를 통하여 방출하는 신호방출단계, 방출된 주파수신호에 따른 전계세기를 전기기폭장치와 인접한 전계센서부로 측정하는 전계측정단계, 측정된 전계세기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표시단계, 각 주파수에 따라 형성되는 전계에 의해 유기되는 전류가 전기기폭장치의 발열선에 흐르면, EED온도특성측정부에서 온도센서부로부터 수집된 온도값을 전압값으로 출력하는 온도특성측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신호방출단계는 광대역 전력증폭기로 각 주파수신호를 광대역전력증폭하는 신호증폭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파 차폐실의 내부벽은, 탄소성분을 포함하여, 안테나부로부터 방출되는 주파수신호를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온도센서부고정단계는, 발열선에 DC전류를 인가하고, 인가된 DC전류에 대하여 온도센서부로부터 설정된 전압값이 측정되도록 온도센서부의 위치를 교정하는 온도센서부교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온도특성측정단계는 상기 RF신호발생부를 일정 간격으로 온오프(on/off)하여 측정된 전압값의 차를 출력하는 절대값측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원 발명은 실제 RF환경과 유사한 전자파환경을 조성하여 EED가 장착된 시스템에서 특성성능시험을 수행함으로써, EED가 주파수신호에 따라 형성되는 전계에 의해 유기되는 전류값을 측정하여 전자파환경영향에 대한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파환경 시험조성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본발명에 따른 전자파환경 시험조성시스템은 각 주파수별로 RF(Radio frequency)신호발생부(100)와 전자파 차폐실 내부에 위치하며 RF신호발생부(100)과 연결되어 수신된 주파수신호를 방출하는 안테나부(130)와 차폐실 내부에서 안테나부(130)와 일정거리에 위치하며, 안테나부(130)로부터 방출되는 각 주파수신호에 따른 전계세기를 측정하는 전계센서부(140)와 전계센서부(140)에서 측정된 전계세기를 출력하는 표시부(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RF신호발생부(100)는 광대역 전력증폭가능한 광대역 전력증폭기(1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RF신호발생부(100)에서 발생된 신호를 증폭하여 안테나부(130)를 통하여 주파수신호를 방출하고, 방출된 주파수신호에 의해 전계가 형성되고, 형성된 전계 세기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계센서부(140)와 표시부(150)를 이용한다.
이 때, 안테나부(130)에서 방출되는 주파수신호만을 수신하기 위하여, 전자파 차폐실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전자파를 차단하고, 또한, 전자파 차폐실의 내부벽은 안테나부에서 방출되는 주파수신호가 차폐실의 내부벽에 반사되지 않고 흡수되도록 탄소성분을 포함한 소재를 사용하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계센서부와 표시부를 연결하는 케이블은 주위 전계에 영향을 받지 않는 광케이블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EED(Electric Explosive Device)(70)의 온도특성측정을 위한 구성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EED의 온도특성측정을 위한 구성은 EED와 EED의 발열선(20)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되어 위치되는 온도센서부(210)와, 온도센서부에 연결되어 측정되는 온도값을 수집, 분석 및 표시하는 EED온도특성측정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EED온도특성측정부(200)는 온도센서부(210)를 통하여 수집된 각 온도값을 전압값으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온도센서부(210)와 EED온도특성측정부(200)를 연결하는 케이블은 주위전계에 영향을 받지 않는 광케이블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온도센서부(210)는 광섬유온도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EED(70)는 EED 자체가 대부분 직경 5mm 정도의 크기이고 온도센서부(210)가 마이크로 단위의 미세한 장비이므로 세심한 주위가 필요하다.
온도특성측정 중에 EED의 기폭에 의해 EED의 온도특성측정을 위한 구성을 다시하거나, 또는 온도센서부(210)가 매우 미세한 장비이므로 같은 종류의 센서라도 특성이 조금씩 다르고 EED의 발열선(20)과 온도센서부의 거리에 따라서 특성이 달라지므로, 상기 도 3과 같이 EED의 발열선(20)과 온도센서부(210)를 일정 간격으로 고정한 후에 교정절차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EED의 발열선과 온도센서부간의 교정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EED의 발열선(20)과 온도센서부(210)간의 교정장치는 도 3과 같이 EED와 EED의 발열선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되어 위치하는 온도센서와 EED온도특성측정장치의 구성과 EED의 전선에 연결된 DC전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DC전원과 EED의 전선간에 직렬로 연결되는 전류계(3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ED의 발열선(20)과 온도센서부(210)간의 교정장치는 DC전원(310)으로부터 EED의 전선에 일정한 값의 DC전류를 공급하고 이 전류값에 의해 발열선에 발생되는 열을 온도센서부를 통해 측정한다. 측정된 온도를 EED온도특성측정부를 통해 전압값으로 변환하여 미리 설정된 전압값과 동일한 값이 나오도록 온도센서부의 위치를 변경하여 고정시키는 교정절차를 거친다.
이 때, 교정절차는 DC전원의 여러 전류값들에 대하여, 측정된 전압값들이 각각 설정된 전압값과 동일한 값이 나오도록 교정절차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온도센서부는 미세한 주변의 온도변화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한다. 따라서, 주변의 온도변화에 대해 절대전압값을 얻기 위해 DC전원(310)의 DC전류를 일정간격으로 온오프(ON/OFF)함으로써, 측정되는 전압값의 차(전압차)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EED온도특성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온도를 전압으로 변환한 그래프를 나타낸다. 공급되는 DC전류의 온오프에 따라 도 5와 같이 구형파 형태의 파형을 나타내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EED온도특성측정부의 전압값에 대한 발열선에 흐르는 전류제곱을 나타낸 그래프로써, EED의 발열선에 공급되는 전력(P = I2·R)은 온도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온도(T)에 비례하고, 측정된 온도(T)는 EED온도특성측정부에서 변환된 전압값(V)에 비례한다. 그러므로 공급되는 DC전류의 제곱(I2)은 전압값(V)에 비례한다.
따라서, EED온도특성측정부의 측정된 전압값을 통해 전자파환경에서 형성된 전계에 의해 유기되는 유기전류를 예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파환경에서의 EED특성시험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환경에서의 EED특성시험장치의 구성도는 각 주파수별로 주파수신호를 발생시키는 RF(Radio frequency)신호발생부(100)와, 전자파 차폐실 내부에 위치되며, RF신호발생부로부터 수신된 주파수신호를 방출하는 안테나부(130)와, 차폐실 내부에서 안테나부로부터 일정거리에 위치하며, 안테나부에서 방출된 각 주파수신호에 따른 전계의 세기를 측정하는 전계센서부(140)와, 전계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전계세기를 출력하는 표시부(150)와 차폐실 내부의 전계센서부에 인접한 곳에 위치하며, 전선과 발열선과 기폭약(시험시 기폭약 제거)으로 구성되는 전기기폭장치(EED)(70)와 전기기폭장치 내부의 발열선(20)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어 위치되는 온도센서부(210)와 온도센서부에 연결되어 측정되는 온도값을 수집, 분석 및 표시하는 EED 온도특성측정부 (200)로 구성된다.
안테나부(130)를 통하여 주파수별로 전계를 인가하면서, EED온도특성측정부의 전압값을 저장한다.
이 때, 온도센서부(210)는 미세한 주변의 온도변화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한다. 따라서, 주변의 온도변화에 대해 절대전압값을 얻기 위해 RF신호발생부는 주파수신호를 일정간격으로 온오프(ON/OFF)함으로써, EED온도특성측정부를 통해 측정되는 전압값의 차(절대전압값)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6에서와 같이, 측정된 절대전압값을 통하여 유기전류값으로 환산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EED온도특성측정부의 주파수별 로 측정된 전압값에 대한 그래프를 나타낸다.
RF신호발생부의 주파수신호를 일정간격으로 온오프함으로써, 구형파의 전압값이 측정된다.
이렇게 모든 시험대상 주파수에 대해 측정을 하여 유기전류값을 측정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MNFS 1A(암페어)가 적용되는 EED의 온도특성그래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안정성기준을 초과하지 않는 주파수대역과 안정성기준을 초과하는 주파수대역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파환경에서의 EED특성시험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EED온도특성시험을 위한 전자파환경 시험조성단계와 전자파 차폐실 내부에 위치하여, 전기기폭장치의 발열선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된 온도센서부를 위치시키는 온도센서부고정단계와 RF신호발생부에서 각 주파수별로 주파수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전자파 차폐실 내부에 상기 주파수신호를 안테나부를 통하여 방출하는 신호방출단계와 상기 방출된 주파수신호에 따른 전계세기를 상기 전기기폭장치와 인접한 전계센서부로 측정하는 전계측정단계와 상기 각 주파수에 따라 형성되는 전계에 의해 유기되는 전류가 상기 전기기폭장치의 발열선에 흐르면, EED온도특성측정부에서 상기 온도센서부로부터 수집된 온도값을 전압값으로 출력하는 온도특성측정단계로 구성된다.
신호방출단계는 광대역 전력증폭기로 각 주파수신호를 광대역전력증폭하는 신호증폭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파 차폐실의 내부벽은, 탄소성분을 포함하여, 안테나부로부터 방출되는 주파수신호를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온도센서부고정단계는, 발열선에 DC전류를 인가하고, 인가된 DC전류에 대하여 온도센서부로부터 설정된 전압값이 측정되도록 온도센서부의 위치를 교정하는 온도센서부교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온도특성측정단계는 상기 RF신호발생부를 일정 간격으로 온오프(on/off)하여 측정된 전압값의 차를 출력하는 절대값측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EED온도특성측정부의 측정된 전압값을 통해 전자파환경에서 형성된 전계에 의해 유기되는 유기전류를 예측할 수 있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EED가 장착된 시스템이 전자파환경에 노출되었을때 신뢰성과 안전성이 만족하는지 평가하기 위해서 실제 RF환경과 유사한 전자파 환경을 조성하여, 그 영향하 에서 EED의 발열선에 유기되는 유기전류값을 측정하여 신뢰성과 안전성을 판단할 수 있다.

Claims (11)

  1. 각 주파수별로 주파수신호를 발생시키는 RF(Radio frequency)신호발생부;
    전자파 차폐실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RF신호발생부로부터 수신된 주파수신호를 방출하는 안테나부;
    상기 차폐실 내부에서 상기 안테나부로부터 일정거리에 위치하며, 상기 안테나부에서 방출된 각 주파수신호에 따른 전계의 세기를 측정하는 전계센서부;
    상기 전계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전계세기를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차폐실 내부의 전계센서부와 인접한 곳에 위치하며, 전선과 상기 전선과 연결된 발열선과 상기 발열선을 둘러싼 기폭약으로 구성되는 전기기폭장치(EED, Electric Explosive Device);
    상기 전기기폭장치 내부의 발열선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어 위치되는 온도센서부;
    상기 온도센서부에 연결되어 측정되는 온도값을 수집, 분석 및 표시하는 EED온도특성측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EED온도특성측정부는, 각 주파수신호에 따라 형성되는 전계에 의해 유기되는 전류가 상기 전기기폭장치의 발열선에 흐르면, 상기 온도센서부를 통하여 수집된 각 온도값을 전압값으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폭장치에 대한 전자파 환경 시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ED온도특성측정부는 온도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AD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폭장치에 대한 전자파 환경 시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선과 상기 온도센서부간의 일정 간격은, 상기 발열선에 DC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온도센서부로부터 설정된 전압값이 나오도록 상기 온도센서부의 위치를 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폭장치에 대한 전자파 환경 시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값은 상기 RF신호발생부를 일정간격으로 온오프(on/off)하여 측정된 전압값의 차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폭장치에 대한 전자파 환경 시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F신호발생부는 광대역 전력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폭장치에 대한 전자파 환경 시험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실의 내부벽은 상기 안테나부로부터 방출되는 주파수신호를 흡수하기 위하여 탄소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폭장치에 대한 전자파 환경 시험장치.
  7. EED온도특성시험을 위한 전자파환경 시험조성단계;
    전자파 차폐실 내부에 위치하여, 전기기폭장치의 발열선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된 온도센서부를 위치시키는 온도센서부고정단계;
    RF신호발생부에서 각 주파수별로 주파수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전자파 차폐실 내부에 상기 주파수신호를 안테나부를 통하여 방출하는 신호방출단계;
    상기 방출된 주파수신호에 따른 전계세기를 상기 전기기폭장치와 인접한 전계센서부로 측정하는 전계측정단계;
    상기 각 주파수에 따라 형성되는 전계에 의해 유기되는 전류가 상기 전기기폭장치의 발열선에 흐르면, EED온도특성측정부에서 상기 온도센서부로부터 수집된 온도값을 전압값으로 출력하는 온도특성측정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폭장치에 대한 전자파 환경 시험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방출단계는 광대역 전력증폭기로 각 주파수신호를 광대역전력증폭 하는 신호증폭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폭장치에 대한 전자파 환경 시험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실의 내부벽은, 탄소성분을 포함하여, 상기 안테나부로부터 방출되는 주파수신호를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환경에 따른 EED특성시험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부고정단계는, 상기 발열선에 DC전류를 인가하고, 상기 인가된 DC전류에 대하여 온도센서부로부터 설정된 전압값이 측정되도록 온도센서부의 위치를 교정하는 온도센서부교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폭장치에 대한 전자파 환경 시험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특성측정단계는 상기 RF신호발생부를 일정간격으로 온오프(on/off)하여 측정된 전압값의 차를 출력하는 절대전압값측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폭장치에 대한 전자파 환경 시험방법.
KR1020070024572A 2007-03-13 2007-03-13 전기기폭장치(eed)에 대한 전자파 환경 시험장치 및방법 KR100826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572A KR100826150B1 (ko) 2007-03-13 2007-03-13 전기기폭장치(eed)에 대한 전자파 환경 시험장치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572A KR100826150B1 (ko) 2007-03-13 2007-03-13 전기기폭장치(eed)에 대한 전자파 환경 시험장치 및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6150B1 true KR100826150B1 (ko) 2008-04-30

Family

ID=39572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4572A KR100826150B1 (ko) 2007-03-13 2007-03-13 전기기폭장치(eed)에 대한 전자파 환경 시험장치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615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90534A (zh) * 2014-10-11 2015-03-04 同济大学 一种隧道光面爆破质量控制方法
CN109342819A (zh) * 2018-10-29 2019-02-15 中国人民解放军火箭军工程大学 一种小电阻精确匹配系统
CN111443231A (zh) * 2020-04-14 2020-07-24 中北大学 一种基于锁相放大的非接触式感应电流检测系统及方法
KR102202428B1 (ko) 2019-09-30 2021-01-12 주식회사 한화 환경시험 조건에서 기폭 출력 측정이 가능한 기폭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폭 시험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236A (ja) * 1995-06-28 1997-01-17 Hosoya Kako Kk 火薬類簡易感度測定装置
KR20040031281A (ko) * 2002-10-04 2004-04-13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전기 기폭 장치의 안전 검증 테스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236A (ja) * 1995-06-28 1997-01-17 Hosoya Kako Kk 火薬類簡易感度測定装置
KR20040031281A (ko) * 2002-10-04 2004-04-13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전기 기폭 장치의 안전 검증 테스트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90534A (zh) * 2014-10-11 2015-03-04 同济大学 一种隧道光面爆破质量控制方法
CN109342819A (zh) * 2018-10-29 2019-02-15 中国人民解放军火箭军工程大学 一种小电阻精确匹配系统
CN109342819B (zh) * 2018-10-29 2024-01-26 中国人民解放军火箭军工程大学 一种小电阻精确匹配系统
KR102202428B1 (ko) 2019-09-30 2021-01-12 주식회사 한화 환경시험 조건에서 기폭 출력 측정이 가능한 기폭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폭 시험 방법
CN111443231A (zh) * 2020-04-14 2020-07-24 中北大学 一种基于锁相放大的非接触式感应电流检测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54468B2 (ja) 非接触放電評価方法及び装置
KR100826150B1 (ko) 전기기폭장치(eed)에 대한 전자파 환경 시험장치 및방법
US10012688B2 (en) Discharge occurrence status evaluation device and evaluation method
JP6103353B2 (ja) 非接触放電試験方法及び装置
CN101655537A (zh) 用于绝缘元件的局部放电试验的方法和系统
CN103323682A (zh) 一种低电平扫描场的高强辐射场测试系统及其测试方法
Schwarz et al. Modern technologies in optical partial discharge detection
JP2004537674A (ja) コイルオンプラグ容量性信号増幅および燃焼時間を決定する方法(仮出願の相互参照)本願は、2001年7月31日に出願した米国仮特許出願第60/308,580号の優先権を主張し、その開示全体を参照によってここに組み込む。
CN102914515A (zh) 一种激光气体分析仪低浓度信号的提取方法
CN112730996B (zh) 一种天线和无源器件的测量方法
CN110455133B (zh) 一种射频连续波下电爆装置温升预测系统及方法
CN109557490B (zh) 基于脉冲电流源用于快脉冲测量探头的标定装置及方法
CN210533191U (zh) 一种射频连续波下电爆装置温升预测系统
CN210533192U (zh) 一种射频连续波下电爆装置发火测试系统
Kichouliya et al. Hazards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to ordnance (HERO) assessment of electro-explosive devices and validation of extrapolation method for estimation of the safety margin at HERO electromagnetic environments
CN105866603B (zh) 一种利用横电磁波小室测量电弧热能的方法及装置
CN111912597A (zh) 模拟等离子体对目标散射频谱扩展效应的测试系统及方法
De Maria et al. Optical sensor for ozone detection in medium voltage switchboard
Anderson et al. Optical thermocouples for explosive fireballs
CN110455134B (zh) 一种射频连续波下电爆装置发火测试系统及方法
CN110082658A (zh) Gis中特高频-光信号一致性测试设备、装置及方法
RU2096839C1 (ru) Экологичный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защищенности электрических цепей приборов и агрегатов объектов от воздействия внешних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х полей
Kozan et al. An alternative HERO testing method
Perotoni et al. Generation of double-exponential EMC pulses with Software-Defined Radios
Korneliussen Partial Discharges and Breakdown Voltage in Designs with Triple Junctions under AC Str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