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5596B1 - 두께방향 재질편차가 적은 보론첨가 고강도 극후물 강판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두께방향 재질편차가 적은 보론첨가 고강도 극후물 강판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5596B1
KR100825596B1 KR1020060132564A KR20060132564A KR100825596B1 KR 100825596 B1 KR100825596 B1 KR 100825596B1 KR 1020060132564 A KR1020060132564 A KR 1020060132564A KR 20060132564 A KR20060132564 A KR 20060132564A KR 100825596 B1 KR100825596 B1 KR 100825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steel sheet
thickness direction
strength
thick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2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호
서인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60132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55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5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55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조선, 건축 및 해양구조물 등에 주로 사용되고, 두께방향 재질편차가 적은 보론첨가 고강도 극후물 강판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 강판은 중량%로, C: 0.06~0.1%, Si: 0.1~0.45%, Mn: 1.4~1.6%, P: 0.012% 이하, S: 0.003% 이하, B: 0.0002~0.0015%, Ti: 0.005~0.03%, Nb: 0.005~0.03%, N: 0.008% 이하를 포함하여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강 슬라브를 1000~1250℃로 재가열하고, 표면온도 기준 Ar3 + 60℃ 온도 이하에서 40% 이상의 압하량으로 마무리압연을 실시한 다음 300~500℃까지 2~6℃/초의 냉각속도로 냉각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장강도 500MPa 이상, -40℃에서의 샤피충격에너지가 100J 이상이면서 두께방향 경도편차가 40Hv 이하로서 두께방향 재질편차가 적은 보론 첨가 고강도 극후물 강판을 제공할 수 있다.
두께방향 재질편차, 보론, 극후물, 고강도, 조선

Description

두께방향 재질편차가 적은 보론첨가 고강도 극후물 강판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BORON ADDED HIGH STREGNTH THICK STEEL PLATE HAVING LESS INHOMOGENEITY IN THE THICKNESS DIRECTION}
본 발명은 조선, 건축 및 해양구조물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보론첨가 고강도 극후물 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강도를 가지면서 두께방향 재질편차가 적은 보론첨가 극후물 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에 보론을 첨가하게 되면 보론원자가 오스테나이트 입계에 편석하여 페라이트의 생성을 억제하므로 베이나이트, 마르텐사이트와 같은 저온변태조직이 생성된다. 즉, 강중 보론의 첨가는 강의 경화능을 높여 강재의 강도를 크게 향상시킨다. 또한, 구조재료에 필요한 고강도 강판을 얻기 위해서 강판 제조공정 중 압연 후 수냉을 실시하게 되면 보론의 경화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러나, 강판의 두께가 증가하면 수냉시 두께방향으로의 냉각속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보론의 경화능이 두께방향으로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 즉, 표층부에서는 냉각속도가 매우 빠르므로 저온변태조직의 분율이 증가하게 되고, 반대로 두께방향 중심부에서는 저온변태조직의 분율이 감소하고 연한 페라이트-펄라이트 조직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두께방향 재질편차가 크게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보론첨가 고강도 극후물 강판에서 발생하는 두께방향 재질편차를 줄이기 위해 주로 직접담금질-소려처리(Direct Quenching & Tempering, DQT)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온라인 공정인 열가공제어법(Thermo-Mechanical Control Process, TMCP)에 비해 오프라인 열처리로 인한 비용 증가와 함께 생산성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오프라인 열처리없이도 합금원소 및 공정조건의 제어에 의해 인장강도 500MPa 이상, -40℃에서의 샤피충격에너지가 100J 이상이면서 두께방향 경도편차가 40Hv 이하인 보론첨가 고강도 극후물 강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량%로, C: 0.06~0.1%, Si: 0.1~0.45%, Mn: 1.4~1.6%, P: 0.012% 이하, S: 0.003% 이하, B: 0.0002~0.0015%, Ti: 0.005~0.03%, Nb: 0.005~0.03%, N: 0.008% 이하를 포함하여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강 슬라브를 1000~1250℃로 재가열하는 단계;
상기 재가열된 강 슬라브를 표면온도 기준 Ar3 + 60℃ 온도 이하에서 40% 이상의 압하량으로 마무리압연을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마무리압연된 강판을 300~500℃까지 2~6℃/초의 냉각속도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두께방향 재질편차가 적은 보론첨가 극후물 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보론첨가 고강도 극후물 강판에서 발생하는 두께방향 재질편차를 줄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던 중, 오프라인 열처리없이도 합금원소 및 공정조건의 제어에 의해 고강도를 가지면서 두께방향 재질편차가 적은 보론첨가 극후물 강판을 제조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강성분의 조성범위를 설명한다.
C의 함량은 0.06~0.1중량%가 바람직하다.(이하, 단지 '%'로 기재함)
상기 C는 극후물 강판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필수적인 원소로서, 그 함량이 0.06% 미만인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인장강도 확보가 어렵고, 0.1%를 초과하여 첨가할 경우에는 충격인성 확보가 어렵고 용접특성이 매우 저하되어 용접구조용으로 사용이 곤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C의 함량은 0.06~0.1%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의 함량은 0.1~0.45%가 바람직하다.
상기 Si는 용강의 탈산을 위해 필요한 원소이므로 0.1% 이상 투입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0.45%를 초과하여 투입할 경우에는 인성이 크게 저하되므로, 상기 Si의 함량은 0.1~0.45%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n의 함량은 1.45~1.6%가 바람직하다.
상기 Mn은 강도 확보를 위해 필요한 원소로서, 1.4% 미만이면 극후물 강판의 강도 확보가 어려울 수 있고, 1.6%를 초과하면 용접부 인성을 저하시키므로 용접구조용 강판으로 사용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Mn의 함량은 1.4~1.6%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의 함량 0.012% 이하, S의 함량은 0.003%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P와 S는 강의 인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원소로서 최대한 낮추는 것이 필요하나, 제강공정상의 부하를 고려하여 적정수준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P와 S는 각각 0.012%, 0.003% 이하에서는 물성상의 큰 문제를 야기하지 않으므로, 그 상한을 각각 0.012%와 0.003%로 제한한다.
B의 함량은 0.0002~0.0015%가 바람직하다.
상기 B은 오스테나이트 입계에 편석하여 페라이트 형성을 억제하므로 강의 경화능을 높이는 원소이다. 소량의 첨가만으로 강도 향상에 기여하나, 0.0002% 미만에서는 강도 향상 효과가 미미하므로 B의 하한은 0.0002%으로 한다. 반대로 B를 0.0015%를 초과하여 투입할 경우에는 표층부 부근에 높은 경도의 베이니틱 페라이트가 형성되어 두께방향 재질편차를 크게 하므로, 그 상한을 0.0015%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i의 함량은 0.005~0.03%가 바람직하다.
상기 Ti는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을 미세화시켜 인성을 높이는 것과 함께, B의 경화능을 조절할 수 있는 원소이다. B의 강도향상 효과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압연 후에 B이 원자상태로 존재하여야 한다. 재가열 또는 압연 중에 고용 N이 존재하면 B와 결합하여 BN을 형성하므로, N에 대한 친화력이 더 큰 Ti를 첨가하여 BN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해야 한다. 따라서, Ti는 0.005% 이상 첨가하여야 하나, 0.03%를 초과하여 투입할 경우에 그 효과가 포화되고 조대한 개재물을 형성하여 인성을 낮추므로 그 상한을 0.03%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b의 함량은 0.005~0.03%가 바람직하다.
상기 Nb는 경화능을 높이는 원소이며, 특히, Nb와 B의 상승작용으로 B의 경화능을 높이는 역할을 하므로 강도를 크게 향상시킨다. 또한, 강을 미세화시켜 인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05% 이상을 첨가하여야 하나, 0.03%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지나친 강도상승에 따라 강의 인성을 크게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Nb의 함량은 0.005~0.03%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의 함량은 0.008%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N은 제강공정에서 피할 수 없는 원소이나, 강중에 고용된 상태로 있을 경우 모재의 인성을 떨어뜨리고, 일부는 B와 결합하여 BN을 형성함으로써 B의 강도 향상 효과를 저하시키므로, 그 함량을 0.008%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성분 이외에 나머지는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조성되는 강을 강판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와 같이 조성되는 강 슬라브를 1000~1250℃로 재가열한 다음 조압연한 후 표면온도 기준으로 Ar3(변태개시온도)+60℃ 온도 이하에서 40% 이상의 압하율로 마무리 압연을 실시한다.
두께방향으로 경도분포를 균일화하기 위해서는 강판의 경화능이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 표면온도 기준으로 마무리압연 개시온도가 Ar3(변태개시 온도)+60℃를 초과하면 표층부의 경화능이 지나치게 상승하여 마르텐사이트 등의 저온조직이 다량 형성되어 표층부와 강판 내부의 경도 차이가 커질 수 있다. 따라서, 표층부와 두께중심부의 경도 차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마무리압연 개시온도를 Ar3(변태개시온도)+60℃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무리압연 압하율이 클수록 강판의 결정립 크기가 두께방향으로 균일하게 미세화되므로 두께방향으로 동일한 미세조직을 형성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목표로 하는 두께방향 경도편차를 40Hv 이하로 가져가기 위해서는 마무리압연 압하율을 40% 이상으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무리압연된 강판을 300~500℃까지 2~6℃/초의 냉각속도로 냉각한다.
강재의 냉각 종료온도가 5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목표로 하는 50~100mm의 강판에서 모재의 강도 확보가 어려울 수 있고, 냉각 종료온도가 300℃ 미만일 경우에는 모재의 강도 확보에는 유리하나, 표층부에 저온변태조직이 과다 생성되어 두께방향 재질편차를 크게 하며 충격인성을 크게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각종료온도는 300~500℃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각속도가 2℃/s 미만이면 모재의 강도확보가 어려울 수 있고, 반대로 상기 냉각속도가 6℃/s를 초과하면 두께방향 재질편차가 커지므로 강판의 냉각속도는 2~6℃/s 범위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보론첨가 고강도 극후물 강판의 두께는 50~100mm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강판은 인장강도 500MPa 이상, -40℃에서의 샤피충격에너지 100J 이상 및 두께방향 경도편차 40Hv 이하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하기 표 1과 같은 성분 조성을 갖는 강 슬라브를 1100℃로 재가열한 후 조압연하고, 하기 표 2에 제시된 조건으로 마무리 압연 및 가속냉각을 실시하였다. 강판의 최종두께는 80mm 이다. 마무리 압연온도는 모두 표면온도 기준이고, 강판의 Ar3 온도(변태개시온도)는 783℃이다.
강판두께의 1/4 지점에서 채취된 시편으로부터 측정된 항복강도, 인장강도, 충격인성과 함께, 비커스 경도기준로 강판의 표층와 두께중심부의 경도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Hv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충격인성은 -40℃에서 시험한 3개의 샤피충격에너지의 평균값을 나타낸다.
C Si Mn P S Sol.Al Nb Ti B N
0.082% 0.21% 1.58% 0.009% 0.003% 0.028% 0.019% 0.013% 0.0008% 0.004%
구분 마무리압연 개시온도(℃) 마무리압연 종료온도(℃) 마무리압연 압하율(%) 냉각 개시온도(℃) 냉각 종료온도(℃) 냉각속도 (℃/sec)
발명재1 834 825 45 819 328 4.5
발명재2 774 765 45 752 305 5.2
발명재3 821 813 45 804 463 3.1
발명재4 814 802 45 793 344 5.9
발명재5 818 810 40 792 388 4.3
발명재6 839 823 45 817 313 5.5
발명재7 802 788 40 786 489 2.6
비교재1 863 845 45 832 389 3.6
비교재2 894 870 45 856 375 3.4
비교재3 809 801 30 794 432 5.4
비교재4 825 811 45 802 354 6.8
비교재5 832 824 45 815 487 1.2
비교재6 828 816 45 804 575 3.3
비교재7 826 807 40 799 276 4.2
구분 항복강도(MPa) 인장강도(MPa) 충격인성(-40℃,J) ΔHv
발명재1 471 595 230 34
발명재2 469 576 216 35
발명재3 425 532 316 26
발명재4 462 587 272 36
발명재5 456 568 251 30
발명재6 489 618 179 36
발명재7 427 525 319 23
비교재1 503 624 145 67
비교재2 532 667 32 94
비교재3 469 578 167 56
비교재4 504 643 189 87
비교재5 387 479 297 23
비교재6 376 485 286 28
비교재7 494 632 42 57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를 만족하는 발명재 1~7의 경우, 본 발명에서 목표로 하는 인장강도와 충격인성을 만족하면서 표층부와 두께중심부의 경도 차이가 40 이하로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비교재 1과 2는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마무리압연 개시온도를 초과하는 경우로 강도상승효과는 크나, 두께방향 경도차이가 67, 94로서 매우 큰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마무리압연 개시온도가 매우 높은 비교재 2에서는 매우 큰 두께방향 재질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재 3은 마무리압연 압하율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로 두께방향 재질편차에 있어서 열위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비교재 4는 냉각속도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로 강도상승효과가 크나 두께방향 재질편차 측면에서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성능 범위를 크게 초과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대로, 비교재 5는 두께방향 재질편차는 매우 낮으나, 냉각속도가 너무 낮아 강도 특성을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비교재 6과 7은 냉각종료온도가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난 경우로, 비교재 6과 같이 냉각종료온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강도 확보가 어렵고, 반대로 비교재 7과 같이 냉각종료온도가 매우 낮으면 충격인성 확보의 어려움과 함께, 두께방향 재질편차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표를 만족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장강도 500MPa 이상, -40℃에서의 샤피충격에너지가 100J 이상이면서 두께방향 경도편차가 40Hv 이하로서 두께방향 재질편차가 적은 보론 첨가 고강도 극후물 강판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중량%로, C: 0.06~0.1%, Si: 0.1~0.45%, Mn: 1.4~1.6%, P: 0.012% 이하, S: 0.003% 이하, B: 0.0002~0.0015%, Ti: 0.005~0.03%, Nb: 0.005~0.03%, N: 0.008% 이하를 포함하여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강 슬라브를 1000~1250℃로 재가열하는 단계;
    상기 재가열된 강 슬라브를 표면온도 기준 Ar3 + 60℃ 이하 765℃ 이상에서 40% 이상의 압하량으로 마무리 압연을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마무리압연된 강판을 300~500℃까지 2~6℃/초의 냉각속도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두께방향 재질편차가 적은 보론첨가 고강도 극후물 강판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두께는 50~1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방향 재질편차가 적은 보론첨가 고강도 극후물 강판의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은 인장강도 500MPa 이상, -40℃에서의 샤피충격에너지 100J 이상 및 두께방향 경도편차 40Hv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방향 재질편차가 적은 보론첨가 고강도 극후물 강판의 제조방법.
KR1020060132564A 2006-12-22 2006-12-22 두께방향 재질편차가 적은 보론첨가 고강도 극후물 강판의제조방법 KR100825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2564A KR100825596B1 (ko) 2006-12-22 2006-12-22 두께방향 재질편차가 적은 보론첨가 고강도 극후물 강판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2564A KR100825596B1 (ko) 2006-12-22 2006-12-22 두께방향 재질편차가 적은 보론첨가 고강도 극후물 강판의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5596B1 true KR100825596B1 (ko) 2008-04-25

Family

ID=39572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2564A KR100825596B1 (ko) 2006-12-22 2006-12-22 두께방향 재질편차가 적은 보론첨가 고강도 극후물 강판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55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5058A (ja) * 1992-01-14 1993-08-03 Kobe Steel Ltd 高靱性厚肉高張力鋼板の製造方法
KR100660229B1 (ko) * 2005-12-26 2006-12-21 주식회사 포스코 두께 중심부의 강도와 인성이 우수하고 재질편차가 적은용접구조용 극후물 강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5058A (ja) * 1992-01-14 1993-08-03 Kobe Steel Ltd 高靱性厚肉高張力鋼板の製造方法
KR100660229B1 (ko) * 2005-12-26 2006-12-21 주식회사 포스코 두께 중심부의 강도와 인성이 우수하고 재질편차가 적은용접구조용 극후물 강판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31808B (zh) 一种屈服强度≥690MPa的低屈强比耐候桥梁用结构钢及生产方法
KR101490567B1 (ko) 용접성이 우수한 고망간 내마모강 및 그 제조방법
KR101917453B1 (ko) 극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후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99202B1 (ko) 저항복비 특성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53526A (ko)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79166A (ko) 저온충격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형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164112B1 (ko) 연성 및 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60230B1 (ko) 두께 중심부의 강도와 인성이 우수한 용접구조용 극후물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917451B1 (ko) 저온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065276B1 (ko) 극저온 인성 및 연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0660229B1 (ko) 두께 중심부의 강도와 인성이 우수하고 재질편차가 적은용접구조용 극후물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070132B1 (ko) 저온 인성이 우수한 건설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70485A (ko) 모재 ctod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고인성 후강판 및 그제조방법
KR20130055240A (ko) 용접성과 강도가 우수한 저합금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65480A (ko) 우수한 저항복비 및 저온인성 특성을 가지는 구조용강 및 그 제조방법
KR102397583B1 (ko) 연신율이 우수한 고강도 후물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957965B1 (ko) 냉각 및 권취시 크랙발생이 저감된 고강도 열간성형용열연강판 및 제조방법
KR100825596B1 (ko) 두께방향 재질편차가 적은 보론첨가 고강도 극후물 강판의제조방법
KR20140006657A (ko) 대입열 용접열영향부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극후물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480949A (zh) 一种690MPa级低屈强比耐候焊接结构钢、钢板及其制造方法
KR100643360B1 (ko) 용접성과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후강판의 제조방법
KR20100062693A (ko)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498134B1 (ko)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극후물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3979B1 (ko) 충격인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고강도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00225B1 (ko) 극저온 횡팽창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