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4149B1 - Centrifugal blower and air conditioner with centrifugal blower - Google Patents

Centrifugal blower and air conditioner with centrifugal blow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4149B1
KR100824149B1 KR1020077000947A KR20077000947A KR100824149B1 KR 100824149 B1 KR100824149 B1 KR 100824149B1 KR 1020077000947 A KR1020077000947 A KR 1020077000947A KR 20077000947 A KR20077000947 A KR 20077000947A KR 100824149 B1 KR100824149 B1 KR 100824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blade
centrifugal blower
centrifugal
h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09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35568A (en
Inventor
간지로우 기노시타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77000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4149B1/en
Publication of KR20070035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55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4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41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30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3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60Fluid transf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축심부에 모터(4)의 회전축(4a)이 연결되는 허브(2)와, 허브(2)의 외주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어 입설되고, 그 전연(3a)이 회전 방향 전방을 향하여 경사진 복수의 블레이드(3)로 이루어진 임펠러(1)를 구비하고, 임펠러(1)의 공기 흡입측에 공기 흡입구(6)를 갖는 벨마우스(5)를 배치하여 이루어진 원심 송풍기가 제공된다. 임펠러(1)의 취출측으로부터 벨마우스(5)에서의 공기 흡입구(6)의 배면측을 통과하여 재차 상기 임펠러(1)로 흡입되는 순환류(f2)가 형성된다.The hub 2 to which the rotating shaft 4a of the motor 4 is connected to the shaft center part, and the outer periphery part of the hub 2 ar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leading edge 3a faces forward in the rotation direction A centrifugal blower is provided, which includes an impeller 1 made up of a plurality of inclined blades 3, and a bell mouse 5 having an air inlet 6 on the air intake side of the impeller 1. From the ejection side of the impeller 1, the circulating flow f 2 which passes through the back side of the air suction port 6 in the bell mouse 5 and inhales into the said impeller 1 again is formed.

Description

원심 송풍기 및 원심 송풍기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CENTRIFUGAL BLOWER AND AIR CONDITIONER WITH CENTRIFUGAL BLOWER}CENTRIFUGAL BLOWER AND AIR CONDITIONER WITH CENTRIFUGAL BLOWER}

본 발명은 원심 송풍기 및 원심 송풍기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having a centrifugal blower and a centrifugal blower.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 원심 송풍기로서는,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주부에 대하여 소정 간격을 갖고 대향 배치되는 슈라우드와, 상기 슈라우드와 상기 허브의 외주부 사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어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임펠러를 구비한 것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Generally known centrifugal blowers include a hub connected to a rotating shaft of a motor, a shroud disposed to face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hub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etween the shroud and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hub. There is a thing provided with the impeller which consists of several blade arrange | positioned and arrange | positioned (refer patent document 1).

또한, 슈라우드를 갖고 있지 않은 원심 송풍기로서는, 축심부에 모터의 회전축이 연결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주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어 입설된 복수의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임펠러를 구비하고, 상기 임펠러의 공기 흡입측에 공기 흡입구를 갖는 벨마우스를 배치하여 이루어진 것이 있다(특허문헌 2 참조).Further, the centrifugal blower having no shroud includes an impeller comprising a hub to which a rotating shaft of a motor is connected to the shaft center portion, and an impeller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ades inser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hub. The bell mouth which has an air intake port in the air intake side of the thing may be comprised (refer patent document 2).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101194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1-101194]

[특허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185238호][Patent Document 2: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Hei 10-185238]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원심 송풍기의 경우, 블레이드의 외경측 단부가 내경측 단부보다 임펠러의 회전 방향 후측에 위치하는 후퇴 날개 타입의 원심 송풍기(즉, 터보 팬)로서 다용되고 있고, 슈라우드와 허브의 외주부 사이에 다수의 블레이드를 배치하는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임펠러를 제작함에 있어 허브와 블레이드를 일체 성형한 것에 별도 제작한 슈라우드를 접합할 필요가 있어 양산성이나 비용면에서 문제가 있다. By the way, in the case of the centrifugal blower disclosed by patent document 1, the outer diameter side edge part of a blade is used abundantly as a retreating vane type centrifugal blower (namely, a turbo fan) located behind the rotation direction of an impeller rather than an inner diameter side part, and is shroud And a complex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blades are arrang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hub and the hub. Therefore, in manufacturing the impeller, it is necessary to join the shroud manufactured separately to the one in which the hub and the blade are integrally formed, which causes problems in mass productivity and cost.

한편,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원심 송풍기의 경우, 블레이드의 외경측 단부가 내경측 단부보다 임펠러의 회전 방향 앞측에 위치하는 전진 날개 타입의 원심 송풍기(즉, 시로코 팬)로서 다용되고 있고, 임펠러는 간소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소용돌이 케이싱을 부설하지 않으면, 공력 성능이나 운전음 특성이 열화되기 때문에, 양산성이나 비용의 면에서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centrifugal blower disclosed in Patent Literature 2, the outer diameter side end portion of the blade is widely used as a forward vane type centrifugal blower (that is, a sirocco fan) positioned at the front of the impeller rotation direction rather than the inner diameter side end portion, Has a simple structure. However, if the vortex casing is not provided, the aerodynamic performance and the driving sound characteristics deteriorate, which causes problems in terms of mass productivity and cost.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양산성이 뛰어나고 비용 저감이 가능하며, 저소음 또한 고효율의 원심 송풍기 및 그 원심 송풍기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view of the said point, Comprising: It aims at providing the centrifugal blower which is excellent in mass productivity, cost reduction is possible, low noise, and high efficiency, and the air conditioner provided with the centrifugal blower.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태양으로서, 축심부에 모터(4)의 회전축(4a)이 연결되는 허브(2)와, 상기 허브(2)의 외주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어 입설되고, 그 전연(3a)이 회전 방향 전방을 향하여 경사된 복수의 블레이드(3)로 이루어진 임펠러(1)를 구비하고, 상기 임펠러(1)의 공기 흡입측에 공기 흡입구(6)를 갖는 벨마우스(5)를 배치하여 이루어진 원심 송풍기로서, 상기 임펠러(1)의 취출측으로부터 상기 벨마우스(5)에서의 공기 흡입구(6)의 배면측을 통과하여 재차 상기 임펠러(1)로 흡입되는 순환류(f2)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first aspect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hub (2) to which a rotating shaft (4a) of a motor (4) is connected to an axis center portion, and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n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hub (2) And an impeller 1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ades 3 whose leading edges 3a are inclined toward the front in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an air inlet 6 is provided on the air intake side of the impeller 1. A centrifugal blower formed by arranging a bell mouth (5) having a suction, passing through the back side of the air inlet (6) in the bell mouse (5) from the ejecting side of the impeller (1) and again suctioning the impeller (1). that is configured to form a circulating flow (f 2).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해, 예컨대 터보 팬으로 대표되는 후퇴 날개 형상의 블레이드를 구비한 임펠러(1)에 있어서, 해당 임펠러(1)의 취출측으로부터 벨마우스(5)에서의 공기 흡입구(6)의 배면측을 통과하여 재차 임펠러(1)로 흡입되는 순환류(f2)가 형성되게 된다. In this way, in the impeller 1 provided with the blade | blade of a retracting wing shape represented by the turbofan, for example, the back surface of the air intake port 6 in the bell mouse 5 from the extraction side of the said impeller 1 is carried out. The circulation flow f 2 which passes through the side and is sucked into the impeller 1 again is formed.

그 결과, 블레이드(3)를 통과하는 공기 주류(f1)가 순환류(f2)에 의해 블레이드(3)의 선단측으로 끌어당겨지게 되고, 블레이드(3)의 출구 부분에서의 풍속 분포가 개선되어, 공력 성능의 향상과 운전음의 저소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air mainstream f 1 passing through the blade 3 is attracted to the tip side of the blade 3 by the circulation flow f 2 , and the wind speed distribution at the outlet portion of the blade 3 is improved. As a result, aerodynamic performance can be improved and driving noise can be reduced.

더구나, 슈라우드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임펠러(1)의 일체 성형이 가능해지고,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양산성이 뛰어난 것이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shroud is unnecessary, the integral molding of the impeller 1 can be performed, the cost can be reduced, and the mass productivity is excellent.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2 태양으로서, 축심부에 모터(4)의 회전축(4a)이 연결되는 허브(2)와, 상기 허브(2)의 외주부에 원주 방향 소정 간격으로 다수 입설되고, 그 전연(3a)이 회전 방향 전방 및 회전 방향 후방의 어느 방향을 향하더라도 경사지지 않는 블레이드(3)로 이루어진 임펠러(1)를 구비하고, 상기 임펠러(1)의 공기 흡입측에 공기 흡입구(6)를 갖는 벨마우스(5)를 배치하여 이루어진 원심 송풍기로서, 상기 임펠러(1)의 취출측으로부터 상기 벨마우스(5)에서의 공기 흡입구(6)의 배면측을 통과하여 재차 상기 임펠러(1)로 흡입되는 순환류(f2)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second aspect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plurality of hubs 2 to which the rotating shaft 4a of the motor 4 is connected to the shaft center portion and a plurality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s of the hub 2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e provided. There is an impeller 1 made up of the blade 3, which is installed in the front edge 3a, which does not incline even when the leading edge 3a faces in the rotational direction forward and the rearward direction of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on the air suction side of the impeller 1 A centrifugal blower formed by arranging a bell mouth (5) having an inlet (6), passing through the back side of the air inlet (6) in the bell mouse (5) from the ejecting side of the impeller (1) again. and it is configured to form a circulating flow (f 2) to be drawn into the (1).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해, 예컨대 라디얼 플레이트 팬으로 대표되는 블레이드를 구비한 임펠러(1)에 있어서도, 해당 임펠러(1)의 취출측으로부터 벨마우스(5)에서의 공기 흡입구(6)의 배면측을 통과하여 재차 임펠러(1)로 흡입되는 순환류(f2)가 형성되게 된다. By such a configuration, also in the impeller 1 provided with the blade represented by a radial plate fan, for example, the back side of the air inlet 6 at the bell mouse 5 is removed from the ejection side of the impeller 1. The circulation flow f 2 which passes through and is again sucked into the impeller 1 is formed.

그 결과, 각 블레이드(3)를 통과하는 공기 주류(f1)가 순환류(f2)에 의해 각 블레이드(3)의 선단측으로 끌어당겨지게 되고, 각 블레이드(3)의 출구 부분에서의 풍속 분포가 개선되며, 공력 성능의 향상과 운전음의 저소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air main stream f 1 passing through each blade 3 is attracted to the tip side of each blade 3 by the circulation flow f 2 , and the wind speed distribution at the outlet portion of each blade 3 is obtaine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erodynamic performance and to reduce the noise of the driving sound.

더구나, 슈라우드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임펠러(1)의 일체 성형이 가능해지고,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양산성이 뛰어난 것이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shroud is unnecessary, the integral molding of the impeller 1 can be performed, the cost can be reduced, and the mass productivity is excellent.

상기 임펠러(1)에서의 블레이드(3)의 전체가, 회전 방향을 따라 경사져 있는 것이 요구된다. It is required that the entire blade 3 in the impeller 1 be inclined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각 블레이드(3)가 링체(20)에 의해 형성되는 순환류(f2)를 흡입하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강한 순환류(f2)가 형성된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each blade 3 acts in the direction to suck the circulation flow f 2 formed by the ring body 20, and strong circulation flow f 2 is formed.

또한, 벨마우스(5)의 공기 흡입구(6)의 내경을 크게 한 경우라도, 상기의 강한 순환류(f2)가 각 블레이드(3)의 내측까지 깊이 들어가지 않고, 링체(20) 부근에서 부드럽게 순환한다. 그 결과, 보다 양호한 송풍 성능을 실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when the inner diameter of the air intake port 6 of the bell mouse 5 is enlarged, the above strong circulation flow f 2 does not go deeply into the inside of each blade 3, but smoothly in the vicinity of the ring body 20. Circulate As a result, better blowing performance can be realized.

또한, 상기 임펠러(1)에서의 블레이드(3)의 전체를 회전 반대 방향으로 경사, 즉, 회전 방향에 대하여 반대측으로 경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It is also possible to incline the whole blade 3 in the impeller 1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rotation, that is, in the opposite side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블레이드(3)가 링체(20)에 의해 형성되는 순환류(f2)를 흡입하기 어려운 방향으로 작용한다. With such a configuration, acts as difficult to suck the circulation flow (f 2), the blade (3) is formed by a ring body (20) direction.

또한, 벨마우스(5)의 공기 흡입구(6)의 내경을 작게 한 경우라도, 상기 강한 순환류(f2)가 블레이드(3)의 내측까지 깊게 들어가지 않고, 링체(20) 부근에서 부드럽게 순환한다. 그 결과, 역시 양호한 송풍 성능을 실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when the inner diameter of the air inlet 6 of the bell mouse 5 is made small, the strong circulation flow f 2 does not go deeply to the inside of the blade 3, but circulates smoothly in the vicinity of the ring body 20. . As a result, good blowing performance can also be realized.

또한, 상기 임펠러(1)에서의 블레이드(3)의 팁을, 회전 방향을 따라 경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It is also possible to incline the tip of the blade 3 in the impeller 1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블레이드(3)가 링체(20)에 의해 형성되는 순환류(f2)를 흡입하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강한 순환류(f2)가 형성된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blade 3 acts in the direction to suck the circulation flow f 2 formed by the ring body 20, and a strong circulation flow f 2 is formed.

또한, 벨마우스(5)의 공기 흡입구(6)의 내경을 크게 한 경우라도, 상기 강한 순환류(f2)가 블레이드(3)의 내측까지 깊게 들어가지 않고, 링체(20) 부근에서 부드럽게 순환한다. 그 결과, 보다 양호한 송풍 성능을 실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when the inner diameter of the air intake port 6 of the bell mouse 5 is increased, the strong circulation flow f 2 does not enter the inner side of the blade 3 deeply and circulates smoothly in the vicinity of the ring body 20. . As a result, better blowing performance can be realized.

또한, 상기 임펠러(1)에서의 블레이드(3)의 팁을, 회전 방향과 반대측으로 경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It is also possible to incline the tip of the blade 3 in the impeller 1 to the side opposite to the rotational direction.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각 블레이드(3)가 링체(20)에 의해 형성되는 순환류(f2)를 흡입하기 어려운 방향으로 작용한다. With such a configuration, functions as each blade 3 is difficult to suck the circulation flow (f 2) is formed by a ring body (20) direction.

또한, 벨마우스(5)의 공기 흡입구(6)의 내경을 작게 한 경우라도, 상기 강한 순환류(f2)가 각 블레이드(3)의 내측까지 깊게 들어가지 않고, 링체(20) 부근에서 부드럽게 순환한다. 그 결과, 역시 양호한 송풍 성능을 실현할 수 있다. Further, even when the inner diameter of the air intake port 6 of the bell mouse 5 is made small, the strong circulation flow f 2 does not go deeply into the inside of each blade 3, but circulates smoothly in the vicinity of the ring body 20. do. As a result, good blowing performance can also be realized.

또한, 상기 벨마우스(5)에서의 공기 흡입구(6)의 내경을 D0, 상기 임펠러(1)에서의 블레이드(3)의 내경을 D1, 상기 블레이드(3)의 외경을 D2로 하였을 때, 0<(D0-D1)/(D2-D1)<0.6이 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inner diameter of the air inlet 6 at the bell mouse 5 is D 0 , the inner diameter of the blade 3 at the impeller 1 is D 1 ,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blade 3 is D 2 . At this time, 0 <(D 0 -D 1 ) / (D 2 -D 1 ) <0.6 may be set.

그렇게 구성한 경우, 블레이드(3)의 매수가 적을 때(예컨대, 5매∼15매일 때)에 있어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저 비소음(Ks)을 낮게 억제할 수 있게 되고, 보다 한층 더한 공력 성능의 향상과 운전음의 저소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 In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number of blades 3 is small (e.g., 5 to 15 sheets), as shown in FIG. 4, the lowest non-noise Ks can be suppressed to a low level. In addition, the aerodynamic performance can be improved and the driving noise can be reduced.

한편, (D0-D1)/(D2-D1)≥0.6이 되면, 블레이드(3)의 매수가 적을 때에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3)의 전연 단부에 있어서 발생하는 역류(f')가 강해지는 동시에, 블레이드(3)의 후연 선단부에서의 순환류(f2)가 약해져, 공력 성능의 향상을 저해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D 0 -D 1 ) / (D 2 -D 1 ) ≥ 0.6, when the number of blades 3 is small, as shown in FIG. 5B, the leading edge end of the blade 3 is shown. The reverse flow f 'generated at the same time becomes strong, and the circulation flow f 2 at the trailing edge of the blade 3 is weakened, which hinders the improvement of aerodynamic performance.

또한, 0≥(D0-D1)/(D2-D1)이 되면, 블레이드(3)의 매수가 적을 때에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3)에서의 전연 선단부가 유효하게 작용할 수 없게 되어 공력 성능의 향상을 저해한다. When 0≥ (D 0 -D 1 ) / (D 2 -D 1 ), when the number of blades 3 is small, as shown in FIG. 5 (a), the leading edge of the blade 3 is shown. The tip portion cannot work effectively, which hinders the improvement of aerodynamic performance.

또한, 상기 벨마우스(5)에서의 공기 흡입구(6)의 내경을 D0, 상기 임펠러(1)에서의 블레이드(3)의 내경을 D1, 상기 블레이드(3, 3··)의 외경을 D2로 하였을 때, -0.3<(D0-D1)/(D2-D1)<0.3이 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inner diameter of the air inlet 6 at the bell mouse 5 is D 0 , the inner diameter of the blade 3 at the impeller 1 is D 1 ,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blades 3, 3. When D 2 is set, it may be set to be -0.3 <(D 0 -D 1 ) / (D 2 -D 1 ) <0.3.

그렇게 구성한 경우, 블레이드(3)의 매수가 많을 때(예컨대, 30매∼50매일 때)에 있어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저 비소음(Ks)을 낮게 억제할 수 있게 되고, 보다 한층 더한 공력 성능의 향상과 운전음의 저소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 In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number of blades 3 is large (e.g., 30 to 50), as shown in FIG. 14, the lowest non-noise Ks can be suppressed to a low level. In addition, the aerodynamic performance can be improved and the driving noise can be reduced.

한편, (D0-D1)/(D2-D1)≥0.3이 되면, 블레이드(3)의 매수가 많은 때에는, 블레이드(3)의 전연 단부에 있어서 발생하는 역류가 강해지는 동시에, 블레이드(3)의 후연 선단부에서의 순환류(f2)가 약해져 공력 성능의 향상을 저해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D 0 -D 1 ) / (D 2 -D 1 ) ≥ 0.3, when the number of blades 3 is large, the reverse flow generated at the leading edge of the blade 3 becomes strong, and the blades The circulation flow f 2 at the trailing edge of (3) is weakened, which hinders the improvement of aerodynamic performance.

또한, -0.3≥(D0-D1)/(D2-D1)이 되면, 블레이드(3)의 매수가 많을 때에는, 블레이드(3)에서의 전연 선단부가 유효하게 작용할 수 없게 되어 공력 성능의 향상을 저해한다. Further, when -0.3≥ (D 0 -D 1 ) / (D 2 -D 1 ), when the number of blades 3 is large, the leading edge of the blades 3 cannot effectively act and thus aerodynamic performance. Inhibits improvement.

또한, 상기 임펠러(1)에서의 블레이드(3)의 축방향 선단부에 원심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링체(9, 20)를 부설할 수도 있다. 그렇게 구성한 경우, 임펠러(1)와 공회전하는 링체(9, 20)가 회전 원판으로서 작용하고, 회전 원판의 점성 작용에 의해 블레이드(3)의 출구 흐름에 회전 방향의 흐름이 유기되고, 그 결과, 취출 흐름의 정류화와 순환류의 정류화에 의한 팬 성능의 향상 및 정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ing bodies 9 and 20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may be provided in the axial distal end portion of the blade 3 in the impeller 1. In such a configuration, the ring bodies 9 and 20 idling with the impeller 1 act as rotating disks, and the flow in the rotational direction is induced in the outlet flow of the blades 3 by the viscous action of the rotating disks. The fan performance can be improved and the silence can be achieved by rectifying the blowout flow and rectifying the circulation flow.

상기 링체(20)의 원심 방향 폭을 H, 상기 임펠러(1)에서의 블레이드(3)의 외경을 D2로 하였을 때, 0.05<ki=H/D2<0.225가 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그렇게 구성한 경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저 비소음(Ks)을 낮게 억제할 수 있게 되고, 보다 한층 더한 공력 성능의 향상과 운전음의 저소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When the centrifugal width of the ring body 20 is set to H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blade 3 in the impeller 1 is set to D 2 , it may be set to be 0.05 <ki = H / D 2 <0.225. In such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9, the lowest non-noise Ks can be suppressed to be low, and further aerodynamic performance can be further improved and driving noise can be reduced.

그런데, 0.1≤ki=H/D2≤0.15가 되면 하는 것이 저소음화를 도모함에 보다 바람직하다. However, it is more preferable for the low noise domoham that when the 0.1≤ki = H / D 2 ≤0.15.

한편, ki=H/D2≤0.05가 되면 효과가 작아지고, ki=H/D2≥O.225가 되면 순환류의 형성에 악영향을 주게 되어, 블레이드(3)의 후연 선단부에서의 순환류가 약해지고 공력 성능의 향상을 저해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ki = H / D 2 ≤0.05 effect is small, when the ki = H / D 2 ≥O.225 is granted an adverse effect on the formation of circulating flow, the circulating flow from the trailing edge of the leading end of the blade (3) weak It hinders the improvement of aerodynamic performance.

상기 임펠러(1)의 취출측에, 상기 임펠러(1)로부터의 취출 공기류를 경사지게 후방측으로 안내하는 경사류 디퓨저(23)를 설치할 수도 있다. 그렇게 구성한 경우, 임펠러(1)로부터 취출되는 공기류에서의 동압의 정압 회복이 효율적으로 행해지게 되고, 성능 향상(즉, 고효율, 저소음)에 크게 기여한다. On the ejection side of the impeller 1, an inclined flow diffuser 23 for guiding the ejected air flow from the impeller 1 to the rear side may be provided. In such a configuration, the static pressure recovery of the dynamic pressure in the air flow taken out from the impeller 1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which greatly contributes to the performance improvement (that is, high efficiency and low noise).

또한, 상기 임펠러(1)의 취출측에 상기 임펠러(1)로부터의 취출 공기류를 경사지게 후방측에서 원심 방향으로 안내하는 경사류 원심 디퓨저(23)를 설치할 수도 있다. 그렇게 구성한 경우, 임펠러(1)로부터 취출되는 공기류에서의 동압의 정압 회복과, 취출되는 바람의 풍속 분포의 균일화가 효율적으로 행해지게 되어 성능 향상(즉, 고효율, 저소음)에 크게 기여한다. Incidentally, an inclined flow centrifugal diffuser 23 for guiding the take-off air flow from the impeller 1 from the rear side in a centrifugal direction may be provided on the takeout side of the impeller 1. In such a configuration, the recovery of the static pressure of the dynamic pressure in the air flow blown out from the impeller 1 and the uniformity of the wind speed distribution of the blown out wind are efficiently performed, which greatly contributes to the performance improvement (that is, high efficiency and low noise).

상기 벨마우스(5)에서의 공기 흡입구(6)의 외주측에 상기 순환류(f2)가 통과할 수 있는 유통 공간(S)을 형성할 수도 있고, 그렇게 구성한 경우, 순환류(f2)의 형성이 용이하고 확실해진다.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air inlet 6 in the bell mouse 5, a circulation space S through which the circulation flow f 2 can pass may be formed, and in such a case, the circulation flow f 2 is formed. This becomes easy and certain.

상기 임펠러(1)에서의 각 블레이드(3)의 출구측 높이를 B, 상기 블레이드(3)의 외경을 D2로 하였을 때, B/D2≥0.113로 설정할 수도 있다. 그렇게 구성한 경우, 임펠러(1)의 출구측에서의 공기류의 유선(f2)이 흔들린다는 문제가 해소되게 되고, 안정된 성능이 얻어진다. When the outer diameter of each blade (3) to the outlet height B, of the blade 3 in the impeller (1) hayeoteul to D 2, may be set to the B / D 2 ≥0.113. In such a configuration, the problem that the streamline f 2 of the air flow on the outlet side of the impeller 1 is shaken is solved, and stable performance is obtained.

한편, B/D2<0.113으로 하면, 풍량이 증가함에 따라 임펠러(1)의 출구측에서의 공기류의 유선(f1)이 크게 흔들리게 되고, 결국 순환류(f2)가 블레이드(3) 사이의 유로를 폐색하여 성능이 갑자기 저하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B / D 2 <0.113, as the air volume increases, the streamline f 1 of the air flow at the outlet side of the impeller 1 is greatly shaken, and eventually the circulation flow f 2 is formed between the blades 3. Clogging the flow path, the performance suddenly drops.

또한, 상기 임펠러(1)를 구성하는 허브(2)의 외경을, 상기 각 블레이드(3)의 외경(D2)보다 작게 설정할 수도 있다. 그렇게 구성한 경우, 각 블레이드(3)에서의 허브측의 외주부에 개구(22)가 형성되게 되고, 특히 상기한 경사류 디퓨저(23) 또는 경사류 원심 디퓨저(23)가 설치된 경우에는, 블레이드(3)로부터 취출되는 공기류의 취출 저항이 작아진다.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outer diameter of the hub (2) constituting the impeller (1),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D 2) of each blade (3). In such a configuration, the opening 22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hub side in each blade 3, and in particular, in the case where the above-described inclined flow diffuser 23 or the inclined flow centrifugal diffuser 23 is provided, the blade 3 The blowout resistance of the air flow blown out from () decreases.

상기 임펠러(1)에서의 각 블레이드(3)의 출구측 높이를 B, 상기 블레이드(3)의 외경을 D2로 하였을 때, B/D2≥0.08로 설정할 수도 있다. 그렇게 구성한 경우, 임펠러(1)에서의 각 블레이드(3)의 출구측 높이(B)가 작아져도 임펠러(1)의 출구측에서의 공기류의 유선(f1)이 흔들린다는 문제가 해소되게 되고 안정된 성능이 얻어진다. When the exit height of each blade 3 in the impeller 1 is B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blade 3 is D 2 , B / D 2 ≥0.08 may be set. In such a configuration, even if the exit height B of each blade 3 in the impeller 1 becomes small, the problem that the streamline f 1 of the air flow on the exit side of the impeller 1 is shaken is solved and the stable performance is achieved. Is obtained.

한편, B/D2<O.08이 되면, 임펠러(1)의 출구측에서의 공기류의 유선(f1)이 크게 흔들리게 되고, 결국에는 순환류(f2)가 블레이드(3)의 사이의 유로를 폐색하여 성능이 갑자기 저하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B / D 2 <0.08, the streamline f 1 of the air flow on the outlet side of the impeller 1 is greatly shaken, and eventually the circulation flow f 2 flows between the blades 3. By blocking the performance suddenly drops.

또한, 상기 임펠러(1)에서의 블레이드(3, 3··)의 매수는 5매로부터 15매가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발명에 의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3)의 매수가 적을 때에 있어서도 최저 비소음(Ks)을 낮게 억제할 수 있고, 효과적으로 공력 성능의 향상과 운전음의 저소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umber of the blades 3, 3... In the impeller 1 is preferably 5 to 15 sheets. 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even when the number of blades 3 is small, the lowest non-noise Ks can be suppressed low, effectively improving aerodynamic performance and lowering noise of driving. Can be planned.

상기 임펠러(1)에서의 블레이드(3)의 매수는 20매에서 50매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도 14 및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3)의 매수가 많을 때에 있어서, 특히 최고 정압 효율비를 높게 할 수 있는 한편, 최저 비소음 레벨을 낮게 억제할 수 있고, 보다 효율적으로 공력 성능의 향상과 운전음의 저소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 The number of blades 3 in the impeller 1 may be set to 20 to 50 sheets.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4 and 43, when the number of blades 3 is large, the highest static pressure efficiency ratio can be increased, while the lowest non-noise level can be suppressed low, and more efficiently. The aerodynamic performance can be improved and the driving noise can be reduced.

상기 임펠러(1)에서의 블레이드(3)의 매수는 30매로부터 72매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number of blades 3 in the impeller 1 is preferably 30 to 72 sheets.

도 14 및 도 5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3)의 매수가 30매로부터 72매 정도로 많을 때에 있어서, 특히 유효하게 최고 정압 효율비를 높게 할 수 있는 한편, 최저 비소음 레벨을 가급적으로 낮게 억제할 수 있고, 보다 효율적으로 공력 성능의 향상과 운전음의 저소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4 and 50, when the number of blades 3 is about 30 to 72, the maximum static pressure efficiency ratio can be effectively increased, while the lowest non-noise level is as low as possible. It can suppress, and can improve aerodynamic performance more efficiently and reduce noise of a driving sound more efficiently.

또한, 케이싱(13) 내에 형성된 통풍로(14)에 열교환기(15)와 송풍기(X)를 배치하여 이루어진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X)로서, 상기의 태양의 원심 송풍기를 채용할 수도 있다. 그렇게 구성한 경우, 원심 송풍기가 보유하는 유효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 조화 장치로서의 성능 향상 및 비용 저감에 크게 기여한다. Moreover, in the air conditioner which arrange | positioned the heat exchanger 15 and the blower X in the ventilation path 14 formed in the casing 13, as said blower X, the centrifugal blower of the said aspect is employ | adopted. It may be. In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effective action effect possessed by the centrifugal blower can be exerted, it contributes greatly to the performance improvement and cost reduction as an 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1)의 종단면도이다. 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centrifugal blower X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1)에서의 임펠러의 정면도이다. 2 is a front view of the impeller in the centrifugal blower X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3a, 3b 및 3c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1)의 3종의 변형예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3A, 3B and 3C are sectional views showing the principal parts of three modifications of the centrifugal blower X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1)에서의 변수 k=(D0-D1)/(D1-D1)에 대한 최저 비소음(Ks)의 변화를 도시한 특성도이다. Fig. 4 is a characteristic diagram showing the change in the lowest specific noise (Ks) for the variable k = (D 0 -D 1 ) / (D 1 -D 1 ) in the centrifugal blower (X 1 )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o be.

도 5a는 k≤0의 경우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고, 5b는 k≥0.6의 경우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FIG. 5A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the case of k ≦ 0, and 5b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case of k ≧ 0.6.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1)를 내장한 공기 조화 장치(Z1)의 종단면도이다.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air conditioner Z 1 incorporating the centrifugal blower X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2)의 종단면도이다. 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entrifugal blower X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8a∼8l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2)의 변형예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8A to 8L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main parts of a modification of the centrifugal blower X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2)에서의 변수 ki=H/D2에 대한 최저 비소음(Ks)의 변화를 도시한 특성도이다. FIG. 9 is a characteristic diagram showing a change in the lowest specific noise (Ks) for the variable ki = H / D 2 in the centrifugal blower (X 2 )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2)에서의 변수 L/D2에 대한 최저 비소음(Ks)의 변화를 도시한 특성도이다. FIG. 10 is a characteristic diagram showing a change in the lowest specific noise (Ks) for the variable L / D 2 in the centrifugal blower X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2)를 내장한 공기 조화 장치(Z2)의 종단면도이다. Figure 1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air conditioner (Z 2) built-in the centrifugal blower (X 2) in the second embodiment.

도 12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3)의 종단면도이다. 1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entrifugal blower X 3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3)에서의 임펠러의 정면도이다. 13 is a front view of the impeller in the centrifugal blower X 3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14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3)에서의 변수 k=(D0-D1)/(D2-D1)에 대한 최저 비소음(Ks)의 변화를 도시한 특성도이다. FIG. 14 is a characteristic diagram showing the change in the lowest specific noise (Ks) for the variable k = (D 0 -D 1 ) / (D 2 -D 1 ) in the centrifugal blower (X 3 )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o be.

도 15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3)에서의 L/D2에 대한 최대 비소음(Ks)의 변화를 도시한 특성도이다. FIG. 15 is a characteristic diagram showing a change in maximum specific noise (Ks) for L / D 2 in the centrifugal blower (X 3 )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16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3)에서의 풍량에 대한 정압의 변화를 도시한 특성도이다. FIG. 16 is a characteristic diagram showing a change in the static pressure with respect to the air volume in the centrifugal blower X 3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17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3)에서의 B/D2에 대한 최대 유량 계수 Φmax(열화가 없는 경우를 기준값=1로 하고 있음)의 변화를 도시한 특성도이다. FIG. 17 is a characteristic diagram showing a change in the maximum flow rate coefficient? Max (where no deterioration is set as reference value = 1) with respect to B / D 2 in the centrifugal blower X 3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18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3)를 내장한 공기 조화 장치(Z3)의 종단면도이다. Figure 1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air conditioner (Z 3) built in the centrifugal blower (X 3)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19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3)의 변형예 I를 도시한 반종단면도이다.19 is a half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I of the centrifugal blower X 3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20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3)의 변형예 II를 도시한 반종단면도이다. 20 is a half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II of the centrifugal blower X 3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21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3)의 변형예 III를 도시한 반종단면도이다. 21 is a half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III of the centrifugal blower X 3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22는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4)의 반종단면도이다. 22 is a half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entrifugal blower X 4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도 23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3)에서의 B/D2에 대한 최대 유량 계수 Φmax(열화가 없는 경우를 기준값=1로 하고 있음)의 변화를 도시한 특성도이다. FIG. 23 is a characteristic diagram showing a change in the maximum flow rate coefficient Φ max (the reference value is 1 when no deterioration is) with respect to B / D 2 in the centrifugal blower X 3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도 24는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4)의 변형예 I를 도시한 반종단면도이다.24 is a half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I of the centrifugal blower X 4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도 25는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4)의 변형예 II를 도시한 반종단면도이다. 25 is a half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II of the centrifugal blower X 4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도 26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4)의 변형예 III를 도시한 반종단면도이다. 26 is a half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III of the centrifugal blower X 4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도 27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4)의 변형예 IV를 도시한 반종단면도이다. 27 is a half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IV of the centrifugal blower X 4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도 28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4)의 변형예 V를 도시한 반종단면도이다. FIG. 28 is a half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V of the centrifugal blower X 4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도 29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5)의 반종단면도이다. 29 is a half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entrifugal blower X 5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도 30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5)의 변형예 I를 도시한 반종단면도이다. 30 is a half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I of the centrifugal blower X 5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도 31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5)의 변형예 II를 도시한 반종단면도이다. FIG. 31 is a half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II of the centrifugal blower X 5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도 32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5)의 변형예 III의 구성을 도시한 반종단면도이다. FIG. 32 is a half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Modification Example III of the centrifugal blower X 5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도 33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5)의 변형예 III와의 대비예(도 19의 것에 대응)의 구성과 작용을 도시한 반종단면도이다. FIG. 33 is a half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comparative example (corresponding to FIG. 19) of the centrifugal blower X 5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compared with the modified example III.

도 34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5)의 변형예 III와의 별도의 대비예인 종래의 슈라우드 부착 원심 송풍기의 구성을 도시한 반종단면도이다.FIG. 34 is a half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centrifugal blower with a shroud which is another comparative example of Modification III of the centrifugal blower X 5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도 35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5)의 변형예 III의 소음 저감 효과를 대비예와 비교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35 is a graph showing the noise reduction effect of the modified example III of the centrifugal blower X 5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in comparison with the comparative example.

도 36은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의 구성을 도시한 수평 단면도이다. 36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entrifugal blow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도 37은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FIG. 3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entrifugal blow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FIG.

도 38은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의 구성을 도시한 수평 단면도이다.38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entrifugal blower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도 39는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FIG. 3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entrifugal blower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도 40은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의 구성을 도시한 수평 단면도이다.40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entrifugal blower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도 41은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FIG. 4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entrifugal blower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FIG.

도 42는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의 공시예의 요부의 구성을 도시한 수평 단면도이다. FIG. 42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principal part of a disclosure example of a centrifugal blower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FIG.

도 43은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의 공시예의 성능을 블레이드 매수와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43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blades and the performance of the test example of the centrifugal blower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도 44는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의 구성을 도시한 공시예의 반종단면도이다. FIG. 44 is a half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centrifugal blower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도 45는 제9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의 구성을 도시한 수평 단면도이다.45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entrifugal blower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도 46은 제9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It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centrifugal blower which concerns on 9th Embodiment.

도 47은 제10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의 구성을 도시한 수평 단면도이다.FIG. 47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entrifugal blower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FIG.

도 48은 제10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4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entrifugal blower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도 49는 제10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의 공시예의 요부의 구성을 도시한 수평 단면도이다. FIG. 49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rincipal part of a disclosure example of a centrifugal blower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FIG.

도 50은 제10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의 공시예의 성능을 블레이드 매수와의 관계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It is a graph which shows the performance of the test example of the centrifugal blower which concerns on 10th Embodiment in relationship with the number of blades.

도 51은 제11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의 구성을 도시한 수평 단면도이다. FIG. 51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entrifugal blower according to an eleventh embodiment. FIG.

도 52는 제11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5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entrifugal blower according to an eleventh embodiment.

도 53은 제12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의 구성을 도시한 수평 단면도이다.FIG. 53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entrifugal blower according to a twelfth embodiment. FIG.

도 54는 제12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5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entrifugal blower according to a twelfth embodiment.

도 55는 제13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의 구성을 도시한 반종단면도이다.Fig. 55 is a half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entrifugal blower according to a thirteenth embodiment.

도 56은 제13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의 요부의 구성을 도시한 반종단면도이다. Fig. 56 is a half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main parts of the centrifugal blower according to the thirteenth embodiment.

도 57은 제13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의 요부의 구성과 작용을 도시한 수평 단면도이다. FIG. 57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main parts of the centrifugal blower according to the thirteenth embodiment. FIG.

도 58은 제13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의 요부의 구성과 작용을 도시한 수평 단면도이다. Fig. 58 is a horizontal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main parts of the centrifugal blower according to the thirteenth embodiment.

도 59는 제14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의 구성을 도시한 반종단면도이다. Fig. 59 is a half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entrifugal blower according to a fourteenth embodiment.

도 60은 제14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의 요부의 구성과 작용을 도시한 수평 단면도이다. FIG. 60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and an opera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centrifugal blower according to the fourteenth embodiment. FIG.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관 해 상술한다. Hereinafter, som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실시 형태) (1st embodiment)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1) 및 공기 조화 장치(Z1)가 도시되어 있다. 1 to 6 show a centrifugal blower X 1 and an air conditioner Z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원심 송풍기(X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심부에 모터(4)의 회전축(4a)이 연결되는 원판 형상의 허브(2)와, 상기 허브(2)의 외주부에 있어서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어 입설된 복수의 블레이드(3)로 이루어진 임펠러(1)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임펠러(1)의 공기 흡입측에는 공기 흡입구(6)를 갖는 벨마우스(5)가 배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entrifugal blower X 1 has a disc-shaped hub 2 to which the rotary shaft 4a of the motor 4 is connected to the shaft center portion, and an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hub 2.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provided with an impeller (1)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blades (3) pl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bell mouse (5) having an air inlet (6) on the air intake side of the impeller (1) It is arranged.

이 임펠러(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전연이 회전 방향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고, 각 블레이드(3)의 외경 측단부(3b)가 내경측 단부(3a)보다 임펠러(1)의 회전 방향(M)의 후측에 위치하는 후퇴 날개 타입(즉, 터보 팬 타입)으로 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임펠러(1)의 전체 압력 상승에 차지하는 정압 상승의 비율이 크기 때문에, 소용돌이 스크롤이 불필요해진다. As shown in Fig. 2, the impeller 1 is inclined toward the front in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the outer diameter side end portion 3b of each blade 3 is positioned more than the inner diameter side end portion 3a of the impeller 1. The retracting blade type (ie, turbo fan type) located at the rear side of the rotation direction M is provided. In this case, since the ratio of the static pressure rise to the total pressure rise of the impeller 1 is large, the vortex scroll is unnecessary.

또한, 상기 허브(2)의 축심부에는 상기 모터(4)를 수납하기 위한 오목부(2a)가 형성되어 있다. 모터 고정부(7)는 모터(4)를 고정한다. 베어링 보스(8)는 모터(4)의 회전축(4a)을 피봇 지지한다. 보강 링(9)은 각 블레이드(3)의 축방향 선단부를 연결한다. Moreover, the recessed part 2a for accommodating the said motor 4 is formed in the axial center part of the said hub 2. The motor fixing part 7 fixes the motor 4. The bearing boss 8 pivotally supports the rotating shaft 4a of the motor 4. The reinforcing ring 9 connects the axial tip of each blade 3.

그리고, 상기 벨마우스(5)에서의 공기 흡입구(6)의 내경(D0)은 상기 임펠러 (1)에서의 블레이드(3)의 내경(D1)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벨마우스(5)의 배면측(바꾸어 말하면, 외주측)에는, 유통 공간(S)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임펠러(1)의 취출측으로부터 상기 벨마우스(5)에서의 공기 흡입구(6)의 배면측을 통과하여 재차 상기 임펠러(1)로 흡입되는 순환류(f2)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히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inner diameter D 0 of the air suction port 6 in the bell mouse 5 is set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D 1 of the blade 3 in the impeller 1. Moreover, the circulation space S is formed in the back side (in other words,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said bell mouse 5, The air intake port in the said bell mouse 5 from the ejecting side of the impeller 1 the circulating flow (f 2) is again sucked into the impeller 1 through the rear side of the 6), and is easily and configured to be surely formed.

그런데, 상기 벨마우스(5)에서의 공기 흡입구(6)의 형상은,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레이트 형상으로 해도 좋고,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쐐기 형상으로 해도 좋으며,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어 형상으로 해도 좋다. By the way, the shape of the air inlet 6 in the bell mouse 5 may be a straight shape as shown in Fig. 3A, may be a wedge shape as shown in Fig. 3B, and is shown in Fig. 3C. As described above, the shape may be flared.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벨마우스(5)에서의 공기 흡입구(6)의 내경을 D0, 상기 임펠러(1)에서의 블레이드(3)의 내경을 D1, 상기 블레이드(3)의 외경을 D2로 하였을 때, 0<(D0-D1)/(D2-D1)<0.6이 되도록 설정으로 되어 있다. 한편, 블레이드(3)의 매수는 10매로 되어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ner diameter of the air inlet 6 at the bell mouse 5 is D 0 , the inner diameter of the blade 3 at the impeller 1 is D 1 ,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blade 3 is represented. When D 2 is set, it is set such that 0 <(D 0 -D 1 ) / (D 2 -D 1 ) <0.6.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blades 3 is 10 pieces.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원심 송풍기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즉, 상기 구성에서는, 보강 링(9)을 중심으로 하여, 그 외주에 임펠러(1)의 취출측으로부터 벨마우스(5)에서의 공기 흡입구(6)의 배면측을 통과하여 재차 임펠러(1)로 흡입되는 순환류(f2)가 형성된다. 그 때문에, 공기 흡입구(6)로부터 흡입된 후에 블레이드(3)를 통과하는 공기 주류(f1)가 해당 순환류(f2)에 의해 블레이드(3)의 선단측으로 끌어당겨지고, 블레이드(3)의 출구 부분에서의 풍속 분포가 개선되어 공력 성능의 향상과 운전음의 저소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구나, 슈라우드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임펠러(1)의 일체 성형이 가능해지고,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양산성이 뛰어난 것이 된다. In the centrifugal blower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the following effect is acquired. That is, in the said structure, centering around the reinforcement ring 9, the impeller 1 is again passed through the back side of the air intake port 6 in the bell mouse 5 from the ejection side of the impeller 1 to the outer periphery. A circulating flow f 2 sucked into is formed. Therefore, the air mainstream f 1 passing through the blade 3 after being sucked from the air inlet 6 is drawn to the tip side of the blade 3 by the circulation flow f 2 , and the The wind speed distribution at the exit can be improved to improve aerodynamic performance and reduce noise. In addition, since the shroud is unnecessary, the integral molding of the impeller 1 can be performed, the cost can be reduced, and the mass productivity is excellent.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벨마우스(5)에서의 공기 흡입구(6)의 내경을 D0, 상기 임펠러(1)에서의 블레이드(3)의 내경을 D1, 상기 블레이드(3)의 외경을 D2로 하였을 때, 0<k=(D0-D1)/(D2-D1)<0.6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저 비소음(Ks)을 낮게 억제할 수 있게 되고, 보다 한층 더한 공력 성능의 향상과 운전음의 저소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inner diameter of the air intake port 6 in the bell mouse 5 is D 0 ,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blade 3 in the impeller 1 is D 1 of the blade 3. When the outer diameter is set to D 2 , 0 <k = (D 0 -D 1 ) / (D 2 -D 1 ) <0.6 is set. In this way, as shown in FIG. 4, the minimum non-noise Ks can be suppressed low, and further aerodynamic performance can be improved and operation noise can be reduced.

한편, 0≥k=(D0-D1)/(D2-D1)이 되면,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3)에서의 전연 선단부가 유효하게 작용할 수 없게 되고, 공력 성능의 향상을 저해한다. 또한, k=(D0-D1)/(D2-D1)≥0.6이 되면,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3)의 전연 단부에 있어서 발생하는 역류(f')가 강해지는 동시에, 블레이드(3)의 후연 선단부에서의 순환류(f2)가 약해져 공력 성능의 향상을 저해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0≥k = (D 0 -D 1 ) / (D 2 -D 1 ), as shown in FIG. 5A, the leading edge of the blade 3 cannot effectively act, and aerodynamic performance Inhibits improvement. When k = (D 0 -D 1 ) / (D 2 -D 1 ) ≥0.6, as shown in FIG. 5B, the reverse flow f 'generated at the leading edge of the blade 3 becomes stronger. At the same time, the circulation flow f 2 at the trailing end of the blade 3 is weakened to hinder the improvement of aerodynamic performance.

덧붙여서 말하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1)에서의 블레이드(3)의 내경을 D1, 블레이드(3)의 외경을 D2, 공기 흡입구(6)의 내경을 D0으로 하고, 공기 흡입구(6)의 흡입측 중심(Q)으로부터 경사지게 45도 전방 1m의 위치에 마이크(12)를 설치하고, k=(D0-D1)/(D2-D1)를 변수로 하여 최저 비소음(Ks)의 변화를 조사한 바, 도 4에 도시한 결과가 얻어졌다. 상기 결과에 의하면, 0<k<0.6의 범위에 있어서 양호한 운전음 특성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Incidentally, the inner diameter of the blade 3 in the centrifugal blower X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 1 , the outer diameter of the blade 3 is D 2 ,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air inlet 6 is D 0 , The microphone 12 is installed at a position 1 m 45 degrees forward from the suction side center Q of the suction port 6, and the minimum value is set as k = (D 0 -D 1 ) / (D 2 -D 1 ) as a variable. When the change of the specific noise Ks was examined, the result shown in FIG. 4 was obtained. According to the said result, it turns out that favorable driving sound characteristic is acquired in the range of 0 <k <0.6.

도 6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1)를 조립한 천장 매립식 공기 조화 장치(Z1)가 도시되어 있다. Figure 6, the blower of a ceiling embedded type air conditioner assembly to (X 1) (Z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shown.

이 경우, 케이싱(13) 내에 형성된 공기류(W)의 통풍로(14)에, 열교환기(15)와 원심 송풍기(X1)가 배치되고, 모터(4)를 고정하는 모터 고정부(7)는 케이싱(13)의 천판(13a)과 일체로 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Z1)는 흡입 그릴(16), 에어 필터(17), 드레인 팬(18) 및 공기 취출구(19)를 구비한다. In this case, the heat exchanger 15 and the centrifugal blower X 1 are arranged in the ventilation path 14 of the air flow W formed in the casing 13, and the motor fixing part 7 for fixing the motor 4 is provided. ) Is integrated with the top plate 13a of the casing 13. The air conditioner Z 1 includes a suction grill 16, an air filter 17, a drain pan 18, and an air blower outlet 19.

이와 같이 하면, 원심 송풍기(X1)가 갖는 유효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 조화 장치(Z1)로서의 성능 향상 및 비용 저감에 크게 기여한다. 또한, 공기 흡입구(6)의 최적 구경을 종래의 것보다 크게 할 수 있고, 에어 필터(17) 등에서의 압력 손실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In this way, because it can exert an effective action has the effect of the centrifugal blower (X 1), it contributes greatly to the improved performance and cost reduction as the air conditioner (Z 1). In addition, the optimum aperture of the air intake port 6 can be made larger than the conventional one, and the pressure loss in the air filter 17 or the like can be suppressed small.

(제2 실시 형태) (2nd embodiment)

도 7 및 도 11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2) 및 공기 조화 장치(Z2)가 도시되어 있다. 7 and 11 show a centrifugal blower X 2 and an air conditioner Z 2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경우, 원심 송풍기(X2)에서의 임펠러(1)에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보강 링(9) 대신에, 원심 방향으로 소정의 폭(H)을 갖는 링체(20)가 부설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제1 실시 형태에서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In this case, instead of the reinforcing ring 9 in the first embodiment, a ring body 20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H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is attached to the impeller 1 in the centrifugal blower X 2 . have. Since the other structure and effect are the same as that of 1st Embodiment,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그런데, 링체(20)는 도 8a∼8l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 도시한 것은, 어디까지나 일례로서, 도시 이외의 형상으로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By the way, the ring body 20 can be made into various shapes, as shown to FIGS. 8A-8L. In addition, what is shown below is an example to the last and of course, it can be set as shape other than illustration.

즉,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3)의 축방향 단면에 링체(20)를 접합하도록 해도 좋고,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체(20)가 반허브측에 경사진 상태로 부착되어 있어도 좋고,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체(20)가 허브측에 경사진 상태로 부착되어 있어도 좋으며, 도 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체(20)의 원심 방향 단부가 원호면(20a)으로 되어 있어도 좋고, 도 8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체(20)의 원심 방향 단부가 원호면(20a)으로 되고, 또한 전체가 반허브측에 만곡 경사진 상태로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코안다 효과에 의해 순환류(f2)의 형성이 촉진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 8A, the ring body 20 may be joined to the axial end surface of the blade 3, and as shown in FIG. 8B, the ring body 20 is inclined to the half hub side. 8C, the ring body 20 may be attached to the hub side in an inclined state, and as shown in FIG. 8D, the centrifugal end of the ring body 20 has an arcuate surface ( It may be 20a), and as shown in FIG. 8E, the centrifugal end part of the ring body 20 may be circular arc surface 20a, and the whole may be attached in the state which curved inclined to the half hub side. In this case, the formation of the circulation flow f 2 is promoted by the coanda effect.

또한, 도 8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체(20)의 반허브측의 면이 오목부(20b)로 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오목부(20b)에 부압이 생기기 때문에, 순환류(f2)의 형성이 촉진된다. 또한, 도 8g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체(20)의 반허브측의 면이 오목부(20b)로 되고 또한 허브측에 경사진 상태로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도, 도 8f에 도시한 경우와 동일하게, 순환류(f2)의 형성이 촉진된다. 또한, 도 8h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체(20)의 허브측의 면이 오목부(20c)로 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오목부(20c)에 부압이 생기기 때문에 순환류(f2)의 형성이 촉진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F, the surface on the half hub side of the ring body 20 may be the recessed portion 20b. In this case, since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recess 20b, the formation of the circulation flow f 2 is promoted.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G, the surface of the half hub side of the ring body 20 may become the recessed part 20b, and may be attached in the inclined state to the hub side. Also in this case, formation of the circulation flow f 2 is promoted similarly to the case shown in FIG. 8F.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H, the surface on the hub side of the ring body 20 may be the recessed portion 20c. In this case, since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recessed portion 20c, the formation of the circulation flow f 2 is promoted.

또한, 도 8i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체(20)의 허브측의 면이 오목부(20c) 로 되고 또한 허브측에 경사진 상태로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도, 도 8h에 도시한 경우와 동일하게, 순환류(f2)의 형성이 촉진된다. 또한, 도 8j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체(20)를 비교적 두께를 갖는 부재로 구성하고 또한 부착부측 및 원심 방향 단부측에 각각 원호면(20d, 20e)을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부드러운 순환류(f2)를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I, the surface on the hub side of the ring body 20 may be attached to the recessed portion 20c and inclined on the hub side. Also in this case, formation of the circulation flow f 2 is promoted similarly to the case shown in FIG. 8H. As shown in Fig. 8J, the ring body 20 may be formed of a member having a relatively thick thickness, and circular arc surfaces 20d and 20e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attachment portion and the end portion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respectively. In this case, a smooth circulation flow f 2 can be formed.

또한, 도 8k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체(20)를 비교적 두께를 갖는 부재로 구성하고 또한 부착부측 및 원심 방향 단부측에 각각 원호면(20d, 20e)을 형성하는 동시에, 허브측에 경사진 상태로 부착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도 8j에 도시한 경우와 동일하게, 부드러운 순환류(f2)를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K, the ring body 20 is formed of a member having a relatively thick thickness, and circular arc faces 20d and 20e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attachment portion and the centrifugal direction, respectively, and are inclined to the hub side. You may make it adhere in a state. In this case as well, as in the case shown in FIG. 8J, a smooth circulation flow f 2 can be formed.

또한, 도 8l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브(2)에 있어서 블레이드(3)가 입설되어 있는 부분에 반블레이드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2b)을 형성하는 한편, 링체(20)를 비교적 두께를 갖는 부재로 구성하고 또한 부착부측 및 원심 방향 단부측에 각각 원호면(20d, 20e)을 형성하고, 또한 링체(20)를 블레이드(3)의 선단부에 형성한 경사면(3c)(상기 허브(2)의 경사면(2b)과 동일 경사)에 부착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성형 시에서의 금형의 제거 방향을 외주측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L, the inclined surface 2b inclined toward the half blade side is formed in the portion where the blade 3 is placed in the hub 2, while the ring body 20 has a relatively thick member. Of the inclined surface 3c (the hub 2 of which the circular body 20d, 20e is formed on the attachment part side and the centrifugal end side, respectively, and the ring body 20 is formed at the tip end of the blade 3). It may be attached to the inclined surface 2b). In this case, the removal direction of the metal mold | die at the time of shaping | molding can be made into the outer peripheral side.

덧붙여서 말하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2)에서의 블레이드(3)의 외경을 D2, 링체(20)의 원심 방향폭을 H로 하고, 공기 흡입구(6)의 흡입측 중심 (Q)으로부터 경사진 45도 전방 1m의 위치에 마이크(12)를 설치하여 변수 ki=H/D2에 대한 최저 비소음(Ks)의 변화를 조사한 바, 도 9의 결과가 얻어졌다. Incidentally, the outer diameter of the blade 3 in the centrifugal blower X 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 2 and the centrifugal width of the ring body 20 is H, and the suction side center Q of the air intake 6 is Q. When the microphone 12 was installed at a position of 1 m inclined at 45 degrees, the change in the minimum specific noise (Ks) with respect to the variable ki = H / D 2 was obtained. The result of FIG. 9 was obtained.

상기 결과에 의하면, 0.05<ki<0.225의 범위에 있어서 양호한 운전음 특성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0.1<ki<0.15의 범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ki=H/D≤0.05가 되면 효과가 작아지고, ki=H/D≥0.225가 되면 순환류의 형성에 악영향을 주게 되어, 블레이드(3)의 후연 선단부에서의 순환류가 약해져 공력 성능의 향상을 저해한다. According to the said result, it turns out that favorable driving sound characteristic is obtained in the range of 0.05 <ki <0.225. By the way,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it as the range of 0.1 <ki <0.15. On the other hand, when ki = H / D≤0.05, the effect is small, and when ki = H / D≥0.225, adversely affects the formation of the circulation flow, and the circulation flow at the trailing edge of the blade 3 is weakened to improve aerodynamic performance. Inhibits.

또한, 링체(20)와 벨마우스(5)의 거리를 L로 하고, 변수 L/D2에 대한 최저 비소음(Ks)의 변화를 조사한 바, 도 10의 결과가 얻어졌다. 상기 결과에 의하면, L/D2≥0.169의 범위에 있어서, 양호한 운전음 특성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Also, ring body 20 and the bell mouth 5, the distance to the L, and the bar examining the change in the minimum noise ratio (Ks) for a variable L / D 2, the results of FIG. 10 were obtained.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n the range of L / D 2 ≥0.169, it can be seen that the obtained a good operation noise characteristic.

도 11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2)를 내장한 천장 매립식 공기 조화 장치(Z2)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케이싱(13) 내에 형성된 공기류(W)의 통풍로(14)에 열교환기(15)와 원심 송풍기(X2)가 배치되고, 모터(4)를 고정하는 모터 고정부(7)는 케이싱(13)의 천판(13a)과 일체로 되어 있다. 공기 조화 장치(Z2)는 흡입 그릴(16), 에어 필터(17), 드레인 팬(18) 및 공기 취출구(19)를 갖는다. 이렇게 하면, 원심 송풍기(X2)가 갖는 유효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 조화 장치(Z2)로서의 성능 향상 및 비용 저감에 크게 기여한다. 또한, 공기 흡입구(6)의 최적 구경을 종래의 것보다 크게 할 수 있고, 에어 필터(17)에서의 압 력 손실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FIG. 11 shows the ceiling-embedded air conditioner Z 2 incorporating the centrifugal blower X 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this case, the heat exchanger 15 and the centrifugal blower X 2 are arranged in the ventilation path 14 of the air flow W formed in the casing 13, and the motor fixing part 7 for fixing the motor 4 is provided. Is integrated with the top plate 13a of the casing 13. The air conditioner Z 2 has a suction grill 16, an air filter 17, a drain pan 18, and an air blower outlet 19. In this way, because it can exert an effective action has the effect of the centrifugal blower (X 2), it contributes greatly to the improved performance and cost reduction as the air conditioner (Z 2). In addition, the optimum aperture of the air intake 6 can be made larger than the conventional one, and the pressure loss in the air filter 17 can be suppressed to be small.

상기 각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의 경우, 블레이드(3)의 매수가 적은(즉, 5매∼15매) 것에 적용된다.In the case of the centrifugal blower which concerns on said each embodiment, it applies to the thing with few blades 3 (that is, 5-15 sheets).

(제3 실시 형태)(Third embodiment)

도 12 내지 도 16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3) 및 공기 조화 장치(Z3)가 도시되어 있다.In Figures 12 to 16, the centrifugal blower (X 3) and the air conditioner (Z 3)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이 원심 송풍기(X3)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심부에 모터(4)의 회전축(4a)이 연결되는 원판 형상의 허브(2)와, 상기 허브(2)의 외주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어 입설된 복수의 블레이드(3)로 이루어진 임펠러(1)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임펠러(1)의 공기 흡입측에는 공기 흡입구(6)를 갖는 벨마우스(5)가 배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2 and 13, the centrifugal blower X 3 has a disk-shaped hub 2 to which the rotating shaft 4a of the motor 4 is connected to the shaft center, and an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hub 2; Is provided with an impeller 1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ades 3 erec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bell mouse 5 having an air inlet 6 at the air intake side of the impeller 1 is provided. It is arranged.

이 임펠러(1)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전연이 회전 방향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고, 각 블레이드(3)의 외경측 단부(3b)가 내경측 단부(3a)보다 임펠러(1)의 회전 방향(M)의 후측에 위치하는 후퇴 날개 타입(즉, 터보 팬 타입)이다. 이 경우, 임펠러(1)의 전체 압력 상승에 차지하는 정압 상승의 비율이 크기 때문에, 소용돌이 스크롤이 불필요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3)의 경우, 블레이드(3)의 매수는,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1, X2)에서의 블레이드 매수에 비교하여 많이 설정되어 있다(예컨대, 30매∼50매).As shown in FIG. 13, the impeller 1 is inclined toward its front in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the outer diameter side end portion 3b of each blade 3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side end portion 3a. It is a retracting wing type (that is, a turbo fan type) located at the rear side of the rotation direction M of. In this case, since the ratio of the static pressure rise to the total pressure rise of the impeller 1 is large, the vortex scroll may be unnecessary.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centrifugal blower X 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number of blades 3 is much larger than the number of blades in the centrifugal blowers X 1 and X 2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t is set (for example, 30-50 sheets).

또한, 상기 허브(2)의 축심부에는, 상기 모터(4)를 수납하기 위한 오목부(2a)가 형성되어 있다. 모터 고정부(7)는 모터(4)를 고정하고 있다. 베어링 보스(8)는 모터(4)의 회전축(4a)을 피봇 지지하고 있다. Moreover, the recessed part 2a for accommodating the said motor 4 is formed in the shaft center part of the said hub 2. The motor fixing part 7 fixes the motor 4. The bearing boss 8 pivotally supports the rotation shaft 4a of the motor 4.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임펠러(1)에는, 제2 실시 형태에서와 동일하게, 원심 방향으로 소정의 폭(H)을 갖는 링체(20)가 부설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링체(20)는 원심 방향을 향함에 따라 허브(2)측으로 경사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Moreover, the ring body 20 which has predetermined width | variety H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is provided in the impeller 1 of this embodiment similarly to 2nd Embodiment.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said ring body 20 is inclined toward the hub 2 side toward the centrifugal direction.

상기 벨마우스(5)의 배면측(바꾸어 말하면, 외주측)에는 유통 공간(S)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임펠러(1)의 취출측으로부터 상기 벨마우스(5)에서의 공기 흡입구(6)의 배면측을 통과하여 재차 상기 임펠러(1)로 흡입되는 순환류(f2)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히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벨마우스(5)에서의 공기 흡입구(6)의 형상은, 제1 실시 형태에서와 동일하게, 스트레이트 형상으로 해도 좋고, 쐐기 형상 혹은 플레어 형상으로 해도 좋다. A distribution space S is formed on the back side (in other wor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bell mouse 5, and the air inlet 6 of the bell mouse 5 is formed from the ejection side of the impeller 1. the circulating flow (f 2) is again sucked into the impeller 1 through the rear side is configured to be able to easily and surely formed. The shape of the air intake port 6 in the bell mouse 5 may be a straight shape, as in the first embodiment, or may be a wedge shape or a flare shape.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벨마우스(5)에서의 공기 흡입구(6)의 내경을 D0, 상기 임펠러(1)에서의 블레이드(3)의 내경을 D1, 상기 블레이드(3)의 외경을 D2로 하였을 때,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ner diameter of the air inlet 6 at the bell mouse 5 is D 0 , the inner diameter of the blade 3 at the impeller 1 is D 1 ,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blade 3 is represented. When D 2

-0.3<(D0-D1)/(D2-D1)<0.3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한편, 블레이드(3)의 매수는 40매로 되어 있다. -0.3 <(D 0 -D 1 ) / (D 2 -D 1 ) <0.3.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blades 3 is 40.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원심 송풍기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In the centrifugal blower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the following effect is acquired.

즉, 임펠러(1)의 취출측으로부터 벨마우스(5)에서의 공기 흡입구(6)의 배면측을 통과하여 재차 임펠러(1)로 흡입되는 순환류(f2)가 형성된다. 그 때문에, 블레이드(3)를 통과하는 공기 주류(f1)가 순환류(f2)에 의해 블레이드(3)의 선단측으로 끌어당겨지고, 블레이드(3)의 출구 부분에서의 풍속 분포가 개선되어 공력 성능의 향상과 운전음의 저소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구나, 슈라우드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임펠러(1)의 일체 성형이 가능해지고,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양산성이 뛰어난 것이 된다. That is, the circulation flow f 2 which passes through the back side of the air suction port 6 in the bell mouse 5 from the ejecting side of the impeller 1, and is sucked into the impeller 1 again is formed. Therefore, the air mainstream f 1 passing through the blade 3 is attracted to the tip side of the blade 3 by the circulation flow f 2 , and the wind speed distribution at the outlet portion of the blade 3 is improved to provide aerodynamic force. The performance can be improved and the noise of driving can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shroud is unnecessary, the integral molding of the impeller 1 can be performed, the cost can be reduced, and the mass productivity is excellent.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벨마우스(5)에서의 공기 흡입구(6)의 내경을 D0, 상기 임펠러(1)에서의 블레이드(3)의 내경을 D1, 상기 블레이드(3)의 외경을 D2로 하였을 때, -0.3<k=(D0-D1)/(D2-D1)<0.3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저 비소음(Ks)을 낮게 억제할 수 있고, 보다 한층 더한 공력 성능의 향상과 운전음의 저소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O.3≥k=(D0-D1)/(D2-D1)이 되면, 블레이드(3)에서의 전연 선단부가 유효하게 작용하지 않게 되어 공력 성능의 향상을 저해한다. 또한, k=(D0-D1)/(D2-D1)≥0.3이 되면, 블레이드(3)의 전연 단부에 있어서 발생하는 역류(f')가 강해지는 동시에, 블레이드(3)의 후연 선단부에서의 순환류(f2)가 약해져 공력 성능의 향상이 저해된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inner diameter of the air intake port 6 in the bell mouse 5 is D 0 ,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blade 3 in the impeller 1 is D 1 of the blade 3. when the outer diameter to D 2, -0.3 <k = ( D 0 -D 1) / it is set such that (D 2 -D 1) <0.3 . In this way, as shown in FIG. 14, minimum non-noise Ks can be suppressed low, and further aerodynamic performance can be improved and operation noise can be reduced. On the other hand, when -O.3≥k = (D 0 -D 1 ) / (D 2 -D 1 ), the leading edge of the blade 3 does not work effectively, which hinders the improvement of aerodynamic performance. When k = (D 0 -D 1 ) / (D 2 -D 1 ) ≥ 0.3, the reverse flow f 'generated at the leading edge of the blade 3 is strengthened, and the blade 3 The circulation flow f 2 at the trailing edge is weakened and the improvement of aerodynamic performance is inhibited.

덧붙여서 말하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3)에서의 블레이드(3) 의 내경을 D1, 블레이드(3)의 외경을 D2, 공기 흡입구(6)의 내경을 D0으로 하고, 공기 흡입구(6)의 흡입측 중심으로부터 경사지게 45도 전방 1m의 위치에 마이크를 설치하고, k=(D0-D1)/(D2-D1)를 변수로 하여 최저 비소음(Ks)의 변화를 조사한 바, 도 14에 도시한 결과가 얻어졌다. 상기의 결과에 의하면, -0.3<k<0.3의 범위에 있어서 양호한 운전음 특성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Incidentally, the inner diameter of the blade 3 in the centrifugal blower X 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 1 , the outer diameter of the blade 3 is D 2 , the inner diameter of the air inlet 6 is D 0 , and air The microphone is installed at a position of 1 m 45 degrees inclined from the inlet side center of the inlet 6, and k = (D 0 -D 1 ) / (D 2 -D 1 ) as a variable for the lowest noise level (Ks). When the change was examined, the result shown in FIG. 14 was obtained.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 it turns out that favorable driving sound characteristic is obtained in the range of -0.3 <k <0.3.

또한, 원심 송풍기(X3)에서의 블레이드(3)의 외경(D2)과 링체(20)의 원심 방향 폭(H)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제2 실시 형태에서와 동일하다. 원심 송풍기(X3)에서의 블레이드(3)의 외경(D2)과 링체(20)와 벨마우스(5)의 거리(L)의 관계에 대해서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고, L/D2≥0.07의 범위에 있어서 최저 비소음(Ks)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L/D2<0.07에 있어서는 최저 비소음(Ks)이 급격히 증대한다.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uter diameter D 2 of the blade 3 in the centrifugal blower X 3 and the centrifugal width H of the ring body 20 is the same as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uter diameter D 2 of the blade 3 and the distance L between the ring body 20 and the bell mouse 5 in the centrifugal blower X 3 is as shown in FIG. 15, and L / D In the range of 2? 0.07, the lowest non-noise (Ks) can be suppressed low. At L / D 2 <0.07, the lowest specific noise (Ks) increases rapidly.

그런데, 임펠러(1)에서의 각 블레이드(3)의 출구측 높이(B)가 작아지면, 임펠러(1)의 출구측에서의 공기류의 유선(f1)의 흔들림이 커지고, 결국에는 순환류(f2)가 블레이드(3) 사이의 유로를 폐색한다. 그렇게 하면, 도 16의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공력 성능이 급강하하고, 도 16의 점선으로 나타낸 히스테리시스 특성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이 경우, 블레이드 매수에는 상관하지 않는다.By the way, when the exit height B of each blade 3 in the impeller 1 becomes small, the shaking of the streamline f 1 of the air flow at the exit side of the impeller 1 becomes large, and eventually the circulation flow f 2. ) Closes the flow path between the blades 3. As a result, the aerodynamic performance drops sharply as shown by the solid line in FIG. 16, and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hysteresis characteristic shown by the dotted line in FIG. In this case, the number of blades does not matter.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B/D2≥0.113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 이 하면, 임펠러(1)의 출구측에서의 공기류의 유선(f1)이 흔들린다는 문제가 해소되고, 도 16의 2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정된 성능이 얻어진다. 한편, B/D2<0.113이 되면, 임펠러(1)의 출구측에서의 공기류의 유선이 크게 흔들리는 것이 되고, 결국에는 순환류(f2)가 블레이드(3) 사이의 유로를 폐색하여 성능이 갑자기 저하한다. Thus, in this embodiment, it is set to B / D 2 ≥0.113. In this way, the problem that the streamline f 1 of the air flow at the outlet side of the impeller 1 is shaken is solved, and as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16, stable performance is obtained. On the other hand, when B / D 2 <0.113, the streamline of the air flow at the outlet side of the impeller 1 will be greatly shaken, and eventually the circulation flow f 2 will block the flow path between the blades 3 and the performance will suddenly decrease. do.

덧붙여서 말하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3)에서의 B/D2에 대한 최대 유량 계수 Φmax(열화가 없는 경우를 기준값=1로 하고 있음)의 변화를 조사한 바, 도 17에 도시한 결과가 얻어졌다. 여기서, Φmax=Qmax/60(πD2B)u2,u2=πD2N, Qmax : 전체 개방 풍량(㎥/min), N : 회전수(rpm)이다. 도 17의 결과로부터, B/D2≥O.113에 있어서, 최대 유량 계수 Φmax가 기준값=1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Incidentally, when the change in the maximum flow rate coefficient Φmax (the case where there is no deterioration is set as the reference value = 1) with respect to B / D 2 in the centrifugal blower X 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examined, it is shown in Fig. 17. The result was obtained. Here,? Max = Qmax / 60 (? D 2 B) u 2 , u 2 =? D 2 N, Qmax: total amount of open air (m 3 / min), N: number of revolutions (rpm). From the results in FIG. 17, it can be seen that in B / D 2? O.113, the maximum flow rate coefficient? Max represents the reference value = 1.

도 18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3)를 내장한 천장 매립식 공기 조화 장치(Z3)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케이싱(13) 내에 형성된 공기류(W)의 통풍로(14)에, 열교환기(15)와 원심 송풍기(X3)가 배치되고, 모터(4)를 고정하는 모터 고정부(7)는 케이싱(13)의 천판(13a)과 일체로 되어 있다. 공기 조화 장치(Z3)는 흡입 그릴(16), 에어 필터(17), 드레인 팬(18) 및 공기 취출구(19)를 갖는다. 이렇게 하면, 원심 송풍기(X3)가 갖는 유효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 조화 장치(Z3)로서의 성능 향상 및 비용 저감에 크게 기여한다. 또한, 공기 흡입구(6)의 최적 구경을 종래의 것보다 크게 할 수 있고, 에어 필터(17)에서의 압력 손실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Figure 18 is, the centrifugal blower (X 3) a ceiling embedded type air conditioner (Z 3) buil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hown. In this case, the heat exchanger 15 and the centrifugal blower X 3 are arranged in the ventilation path 14 of the air flow W formed in the casing 13, and the motor fixing part 7 which fixes the motor 4 is provided. ) Is integrated with the top plate 13a of the casing 13. The air conditioner Z 3 has a suction grill 16, an air filter 17, a drain pan 18 and an air blower outlet 19. In this way, since the centrifugal blower (X 3) to exert effective functions and effects which, contributes greatly to the improved performance and cost reduction as the air conditioner (Z 3). In addition, the optimum aperture of the air intake port 6 can be made larger than the conventional one, and the pressure loss in the air filter 17 can be suppressed to be small.

이어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3)의 변형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Next, a modification of the centrifugal blower X 3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변형예 I)(Modification Example I)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펠러(1)에서의 각 블레이드(3)의 팁측 단부를 링체(20)의 경사각과 대략 동일한 경사각으로 경사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D0, D1, D2, H, L, B의 관계에 대해서는 전술한 것과 동일하다. As shown in FIG. 19, you may make it incline the tip side edge part of each blade 3 in the impeller 1 to the inclination-angle substantially equal to the inclination-angle of the ring body 20. As shown in FIG. Also in this case, the relationship between D 0 , D 1 , D 2 , H, L, and B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변형예 II) (Modification Example II)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펠러(1)에서의 각 블레이드(3)의 팁측 단부를, 링체(20)의 경사각과 대략 동일한 경사각으로 경사시키는 동시에, 각 블레이드(3)의 입구측 단부를, 허브측을 향함에 따라 임펠러(1)의 구심 방향으로 접근하도록 경사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D0, D1, D2, H, L, B의 관계에 대해서는, 전술한 것과 동일하다. As shown in FIG. 20, the tip side end of each blade 3 in the impeller 1 is inclined at an inclination angle approximately equal to that of the ring body 20, and the inlet end of each blade 3 is You may make it incline so that it may approach to the centrifugal direction of the impeller 1 as it goes to the hub side. Also in this case, the relationship between D 0 , D 1 , D 2 , H, L, and B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변형예 III) (Modification Example III)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펠러(1)에서의 각 블레이드(3)의 팁측 단부를, 링체(20)의 경사각과 대략 동일한 경사각으로 경사시키는 동시에, 각 블레이드(3)의 입구측 단부를 허브측을 향함에 따라 임펠러(1)의 구심 방향으로 접근하도록 경사시키고, 또한 상기 입구측 단부에 세레이션(21)을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렇 게 하면, 블레이드면에서의 경계층의 형성이 억제되기 때문에 송풍음이 저감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D0, D1, D2, H, L, B의 관계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As shown in FIG. 21, the tip side end of each blade 3 in the impeller 1 is inclined at an inclination angle approximately equal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ing body 20, and the inlet end of each blade 3 is hubed. It may be inclined so as to approach the centrifugal direction of the impeller 1 as it goes to the side, and the serration 21 may be formed in the said inlet side edge part. In this case, since the formation of the boundary layer on the blade surface is suppressed, the blowing sound is reduced. Also in this case, the relationship between D 0 , D 1 , D 2 , H, L, and B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제4 실시 형태) (4th embodiment)

도 22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4)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임펠러(1)를 구성하는 허브(2)의 외경(D3)을, 각 블레이드(3)의 외경(D2)보다 작게 설정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각 블레이드(3)에서의 허브측의 외주부에 개구(22)가 형성되게 되고, 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경사류 디퓨저(23)가 설치된 경우(도 29 참조)에는, 블레이드(3)로부터 취출되는 공기류의 취출 저항이 작아진다. 그 밖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제3 실시 형태에서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Figure 22 is provided with a centrifugal blower (X 4)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he outer diameter D 3 of the hub 2 constituting the impeller 1 is set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D 2 of each blade 3. In this case, the opening 22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n the hub side in each blade 3, and as described later, when the inclined flow diffuser 23 is provided (see FIG. 29), the blade 3 The blowout resistance of the blown air stream becomes small. Since the other structure and effect are the same as that of 3rd Embodiment,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3 실시 형태에서와 동일하게, 임펠러(1)에서의 각 블레이드(3)의 출구측 높이(B)가 작아지면, 임펠러(1)의 출구측에서의 공기류의 유선(f1)의 흔들림이 커지고, 결국에는 순환류(f2)가 블레이드(3)의 사이의 유로를 폐색하여, 도 16의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공력 성능이 갑자기 저하되고, 도 16의 점선으로 도시한 히스테리시스 특성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경우, 블레이드 매수에는 상관이 없다. Also in this embodiment, when the exit side height B of each blade 3 in the impeller 1 becomes small similarly to 3rd embodiment, the streamline f of the airflow in the exit side of the impeller 1 will be reduced. 1 ) the shaking becomes large, and eventually the circulation flow f 2 closes the flow path between the blades 3, and as shown by the solid line of FIG. 16, the aerodynamic performance suddenly decreases, and the dotted line of FIG. The problem arises that hysteresis characteristics occur. In this case, the number of blades does not matter.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B/D2≥0.08로 설정되어 있다. B/D2의 상한을 제3 실시 형태의 경우보다 작게 설정한 이유는, 각 블레이드(3)에서의 허브측의 외주부에 개구(22)가 형성되는 것에 의한다. 이와 같이 하면, 임펠러(1)의 출구측에서의 공기류의 유선(f1)이 흔들린다는 문제가 해소되고, 도 16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정된 성능이 얻어진다. 한편, B/D2<0.08로 하면, 임펠러(1)의 출구측에서의 공기류의 유선이 크게 흔들리게 되고, 결국에는 순환류(f2)가 블레이드(3, 3··) 사이의 유로를 폐색하여 성능이 급강하한다. Thus, in this embodiment, it is set to B / D 2 ≥0.08. The reason why the upper limit of the B / D 2 is set smaller than in the case of the third embodiment is that the opening 22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hub side in each blade 3. In this way, the problem that the streamline f 1 of the air flow at the outlet side of the impeller 1 is shaken is solved, and stable performance is obtained as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On the other hand, when B / D 2 <0.08, the streamline of the air flow at the outlet side of the impeller 1 is greatly shaken, and eventually the circulation flow f 2 closes the flow path between the blades 3, 3... Performance drops sharply.

덧붙여서 말하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4)에서의 B/D2에 대한 최대 유량 계수 Φmax(열화가 없는 경우를 기준값=1로 하고 있음)의 변화를 조사한 바, 도 23의 결과가 얻어졌다. 여기서, Φmax=Qmax/60(πD2B)u2, u2=πD2N, Qmax : 전체 개방 풍량(㎥/min), N : 회전수(rpm)이다. 도 23의 결과로부터, B/D2≥0.08에 있어서, 최대 유량 계수 Φmax가 기준값=1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Incidentally, when the change in the maximum flow rate coefficient Φ max (the case where there is no degradation is set as the reference value = 1) with respect to B / D 2 in the centrifugal blower X 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examined, the result of FIG. Obtained. Here,? Max = Qmax / 60 (? D 2 B) u 2 , u 2 =? D 2 N, Qmax: total amount of open air (m 3 / min), N: number of revolutions (rpm). According to from the results in Fig. 23, B / D 2 ≥0.08, a maximum flow rate coefficient Φmax be seen that represents the reference value = 1.

이어서,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4)의 변형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Next, the modification of the centrifugal blower X4 which concerns on 4th Embodiment is demonstrated.

(변형예 I) (Modification Example I)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펠러(1)에서의 각 블레이드(3)의 팁측 단부를 링체(20)의 경사각과 대략 동일한 경사각으로 경사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D0, D1, D2, H, L, B의 관계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As shown in FIG. 24, you may make it incline the tip side edge part of each blade 3 in the impeller 1 to the inclination-angle substantially equal to the inclination-angle of the ring body 20. As shown in FIG. Also in this case, the relationship between D 0 , D 1 , D 2 , H, L, and B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변형예 II) (Modification Example II)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펠러(1)에서의 각 블레이드(3)의 팁측 단부를 링체(20)의 경사각과 대략 동일한 경사각으로 경사시키는 동시에, 각 블레이드(3)의 입구측 단부를 허브측을 향함에 따라 임펠러(1)의 구심 방향으로 접근하도록 경사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D0, D1, D2, H, L, B의 관계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As shown in FIG. 25, the tip side end of each blade 3 in the impeller 1 is inclined at an inclination angle approximately equal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ing body 20, and the inlet end of each blade 3 is hub side. You may make it incline so that it may approach to the centripetal direction of the impeller 1 as it faces to the direction of the. Also in this case, the relationship between D 0 , D 1 , D 2 , H, L, and B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변형예 III) (Modification Example III)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펠러(1)에서의 각 블레이드(3)의 팁측 단부를, 링체(20)의 경사각과 대략 동일한 경사각으로 경사시키는 동시에, 각 블레이드(3)의 입구측 단부를 허브측을 향함에 따라 임펠러(1)의 구심 방향으로 접근하도록 경사시키고 또한 상기 입구측 단부에 세레이션(21)을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블레이드면에서의 경계층의 형성이 억제되기 때문에 송풍음이 저감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D0, D1, D2, H, L, B의 관계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As shown in FIG. 26, the tip side end of each blade 3 in the impeller 1 is inclined at an inclination angle approximately equal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ing body 20, and the inlet end of each blade 3 is hubed. It may be inclined so as to approach the centripetal direction of the impeller 1 as it goes to the side, and the serration 21 may be formed in the said inlet side edge part. In this case, since the formation of the boundary layer on the blade surface is suppressed, the blowing sound is reduced. Also in this case, the relationship between D 0 , D 1 , D 2 , H, L, and B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변형예 IV)(Modification Example IV)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펠러(1)를 허브(2)에서의 외주측(즉, 블레이드(3)가 설치되는 부분)이 경사져 있는 경사류 팬 타입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D0, D1, D2, H, L, B의 관계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As shown in FIG. 27, the impeller 1 may be made into the inclination-flow fan type in which the outer peripheral side in the hub 2 (namely, the part in which the blade 3 is provided) is inclined. Also in this case, the relationship between D 0 , D 1 , D 2 , H, L, and B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변형예 V)(Modification example V)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펠러(1)를 허브(2)에서의 외주측(즉, 블레이드(3)가 설치되는 부분)이 경사져 있는 경사류 팬 타입으로 하고, 또한 각 블레이드 (3)의 입구측 단부를 허브측을 향함에 따라 임펠러(1)의 구심 방향으로 접근하도록 경사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D0, D1, D2, H, L, B의 관계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As shown in FIG. 28, the impeller 1 is made into the oblique-flow fan type in which the outer peripheral side (that is, the part in which the blade 3 is installed) in the hub 2 is inclined, and also each of the blades 3 You may make it incline so that the inlet side edge part may approach the centrifugal direction of the impeller 1 as it goes to the hub side. Also in this case, the relationship between D 0 , D 1 , D 2 , H, L, and B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한편,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4)도 공기 조화 장치에 내장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it is that centrifugal blower (X 4) of the embodiment also be incorporated in the air conditioner as well.

(제5의 실시 형태) (5th embodiment)

도 29에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5)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임펠러(1)를 구성하는 허브(2)의 외경(D3)을, 각 블레이드(3)의 외경(D2)보다 작게 설정하는 동시에, 상기 임펠러(1)의 취출측에는 상기 임펠러(1)로부터의 취출 공기류를 경사시켜 후방측으로부터, 다시 원심 방향으로 안내하는 경사류 원심 디퓨저(23)가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각 블레이드(3)에서의 허브측의 외주부에 개구(22)가 형성되게 되고, 블레이드(3)로부터 취출되는 공기류의 취출 저항이 작아지는 동시에, 임펠러(1)로부터 취출되는 공기류에서의 동압의 정압 회복이 효율적으로 행해지게 되어 성능 향상(즉, 고효율, 저소음)에 크게 기여한다. 그 밖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제3 실시 형태에서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29 is provided with a centrifugal blower (X 5)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he outer diameter D 3 of the hub 2 constituting the impeller 1 is set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D 2 of each blade 3, and at the ejecting side of the impeller 1, the impeller ( The inclined flow centrifugal diffuser 23 which inclines the blown out air flow from 1) and guides it further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from the rear side is provided. In this way, the opening 22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part of the hub side in each blade 3, and the blowout resistance of the airflow blown out from the blade 3 becomes small, and the airflow blown out from the impeller 1 is carried out. The static pressure recovery of the dynamic pressure at is effectively performed, which greatly contributes to the performance improvement (that is, high efficiency and low noise). Since the other structure and effect are the same as that of 3rd Embodiment,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이어서,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5)의 변형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Next, the modification of the centrifugal blower X5 which concerns on 5th Embodiment is demonstrated.

(변형예 I)(Modification Example I)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펠러(1)에서의 각 블레이드(3)의 팁측 단부를, 링체(20)의 경사각과 대략 동일한 경사각으로 경사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D0, D1, D2, H, L, B의 관계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As shown in FIG. 30, you may make it incline the tip side edge part of each blade 3 in the impeller 1 to the inclination angle which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ing body 20. As shown in FIG. Also in this case, the relationship between D 0 , D 1 , D 2 , H, L, and B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변형예 II) (Modification Example II)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펠러(1)에서의 각 블레이드(3)의 팁측 단부를, 링체(20)의 경사각과 대략 동일한 경사각으로 경사시키는 동시에, 각 블레이드(3)의 입구측 단부를 허브측을 향함에 따라 임펠러(1)의 구심 방향으로 접근하도록 경사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D0, D1, D2, H, L, B의 관계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As shown in FIG. 31, the tip side end of each blade 3 in the impeller 1 is inclined at an inclination angle approximately equal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ing body 20, and the inlet end of each blade 3 is hubed. You may make it incline so that it may approach to the centripetal direction of the impeller 1 as it goes to the side. Also in this case, the relationship between D 0 , D 1 , D 2 , H, L, and B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상기 제3∼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의 경우, 블레이드(3, 3··)의 매수가 많은(즉, 30매∼50매) 것에 적용된다. In the case of the centrifugal blowers according to the third to fifth embodiments, the number of blades 3, 3... Is applied to a large number (ie, 30 to 50 sheets).

한편,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4)도, 공기 조화 장치에 조립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소용돌이 케이싱의 경우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it is to assemble a centrifugal blower (X 4) also,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well. Moreover, of course, the same effect is acquired also in the case of a vortex casing.

(변형예 III) (Modification Example III)

도 32의 원심 송풍기(X5)는, 전술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X3)의 임펠러 및 벨마우스의 구조에 대하여, 도 29∼도 31과 동일한 경사류 원심 디퓨저(23)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entrifugal blower X 5 of FIG. 32 uses the same oblique flow centrifugal diffuser 23 as in FIGS. 29 to 31 with respect to the structure of the impeller and bell mouse of the centrifugal blower X 3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It is characterized by the installation.

이렇게 하면, 도시와 같이 임펠러(1)의 각 블레이드(3)의 출구부에서의 풍속 분포는, 전술한 링체(20)의 가이드 작용에 의해 흡입구측에서 커지는 한편, 허브(2)측에서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그러나, 그 후, 허브(2)측에 편위하는 경사류 방향의 디퓨저 통로를 통과함에 따라, 허브(2)측의 취출 공기가 경사류 방향으로 증속된 후, 최종적으로 원심 방향의 취출구로부터 취출되게 되고, 원심 방향의 취출구로부터 취출되는 취출류의 취출 속도는 전체에 걸쳐 균일한 것이 된다. 따라서, 송풍 효율이 향상되는 동시에 정음 성능이 유효하게 향상된다. In this way, as shown in the drawing, the wind speed distribution at the outlet of each blade 3 of the impeller 1 is increased at the suction port side by the guide action of the ring body 20 described above, while relatively at the hub 2 side. Becomes smaller. However, after passing through the diffuser passage in the inclined flow direction, which is biased on the hub 2 side, the blown air on the hub 2 side is increased in the inclined flow direction and finally taken out from the outlet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As a result, the blowout rate of the blowout flow out from the outlet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becomes uniform throughout. Therefore, the blowing efficiency is improved, and the silent performance is effectively improved.

이 작용을 확인하기 위해서, 예컨대 전술의 도 19에 도시한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 I에 따른 원심 송풍기(X3)(도 33) 및 종래의 슈라우드 부착 원심 송풍기에 경사류 원심 디퓨저(23)를 설치한 것(도 34) 각각의 풍속 분포와 대비하여 보면 다음과 같이 된다.In order to confirm this action, for example, the centrifugal blower X 3 (FIG. 33)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I of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 19 described above, and the inclined flow centrifugal diffuser 23 in the conventional shroud centrifugal blower 23. In contrast to the wind speed distribution of each installed (Fig. 34) is as follows.

즉, 우선 도 34의 종래의 슈라우드 부착 원심 송풍기에서는, 벨마우스(5)의 공기 흡입구(6)로부터 흡입된 공기류가 허브(2)측으로 편위하여 흐름으로써, 각 블레이드(3)의 출구부에서의 풍속 분포가 공기 흡입구(6)에서 작고, 허브(2)측에서 커져, 허브(2)측에 크게 편위한 것이 된다. That is, in the conventional centrifugal blower with the shroud shown in Fig. 34, the air flow sucked from the air intake port 6 of the bell mouse 5 flows toward the hub 2 side, so that at the outlet of each blade 3, The wind velocity distribution of is small at the air intake port 6, becomes larger on the hub 2 side, and is largely biased on the hub 2 side.

더구나, 이 허브(2)측에 편위한 흐름이 경사류 원심 디퓨저(23)의 경사류 방향의 통로를 통과함에 따라 한층 더 크게 후방에 편위하고, 그대로 원심 방향으로 취출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취출되는 공기류의 풍속 분포는 크게 후방으로 편위한 것이 된다.Moreover, since the flow biased on the side of the hub 2 passes through the passage in the oblique flow direction of the oblique flow centrifugal diffuser 23, it is further deflected to the rear and taken out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as it is. The wind speed distribution of the air stream is largely biased backwards.

이에 대하여, 도 33에 도시한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 I에 따른 원심 송풍기 (X3)의 경우에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슈라우드레스이고, 더구나 블레이드(3)의 축방향 선단부 외주에 링체(20)가 설치되어 있고, 이 링체(20)에 의해 형성되는 순환류(f2)에 의해 주류(f1)가 블레이드(3)의 선단측에 끌어당겨지기 때문에, 그 만큼 블레이드(3)의 출구 부분에서의 풍속 분포가 상당히 개선된다. 그러나 반대로, 링체(20) 부분의 취출 공기가 크고, 취출구 전체로서 보면, 반드시 균일하게 되지는 않는다.In contrast, in the case of the centrifugal blower X 3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I of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 33, as described above, the ring body 20 is shrouded and, moreover, the outer periphery of the axial end of the blade 3. ) Is provided, and the mainstream f 1 is attracted to the distal end side of the blade 3 by the circulation flow f 2 formed by the ring body 20, so that the exit portion of the blade 3 by that amount. The wind speed distribution at is significantly improved. However, on the contrary, the blowout air of the ring body 20 portion is large and does not necessarily become uniform when viewed as the entire blowout port.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 III에 따른 반경 방향으로 통로 형상이 변화하는 반경 방향이 이행형의 경사류 원심 디퓨저(23)를 갖는 원심 송풍기(X5)의 경우에는, 도 32와 같이 최종적으로 원심 방향의 취출구로부터 취출되는 공기류의 풍속 분포가 전체에 걸쳐 균일해지기 때문에, 그 소음 저감 효과는,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34에 도시한 종래의 슈라우드 부착 원심 송풍기의 경우에 비교해서 훨씬 크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modification gradient flow distal of III that the transition type radial direction to the passage shape changed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centrifugal fan having a diffuser (23) (X 5) is, as shown in FIG. 32 Finally, since the wind speed distribution of the air flow blown out from the outlet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becomes uniform throughout, the noise reduction effect is as shown in FIG. 35,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hrouded centrifugal blower shown in FIG. In comparison to that much larger.

(제6 실시 형태) (6th Embodiment)

도 36 및 도 37에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의 임펠러가 도시되어 있다. 36 and 37 show the impeller of the centrifugal blower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원심 송풍기의 임펠러(1)는, 예컨대 도 36 및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심부에 모터(4)의 회전축(4a)이 연결되는 원판 형상의 허브(2)와, 상기 허브(2)의 외주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어 입설된 복수의 블레이드(3)로 구성되어 있다. The impeller 1 of this centrifugal blower is, for example, a disk-shaped hub 2 to which the rotary shaft 4a of the motor 4 is connected to the shaft portion, and the hub 2 as shown in FIGS. 36 and 37. It consists of the some blade | wing 3 which penetrated at the predetermined | prescribed interva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outer periphery part of (circle).

이 임펠러(1)의 각 블레이드(3)는 그 전연인 내경측 단부(3a)가 회전 방향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고, 후연인 외경측 단부(3b)가 내경측 단부(3a)보다 임펠러(1)의 회전 방향(M)의 후측에 위치하고 있고, 캠버선이 회전 방향으로 돌출된 후퇴 날개 타입(소위, 터보 팬 타입)으로 되어 있다.In each blade 3 of this impeller 1, the inner diameter side end portion 3a, which is the leading edge thereof, is inclined toward the front in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the outer diameter side end portion 3b, which is the rear edge, has the impeller 1 more than the inner diameter side end portion 3a. It is located in the rear side of the rotation direction M of the camber wire, and it is set as the retraction wing type (so-called turbo fan type) which the camber wire protruded in the rotation direction.

그리고, 상기 임펠러(1)의 블레이드(3)의 매수는, 예컨대 20매∼50매로 설정되고, 그 벨마우스측 단부의 외주에는 원심 방향으로 소정의 폭(H)을 갖는 링체(20)가 부설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링체(20) 및 블레이드(3)의 벨마우스측 단부는, 도 24와 동일하게, 각각 원심 방향을 향함에 따라 허브(2)측으로 경사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각 실시 형태의 것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The number of the blades 3 of the impeller 1 is set to, for example, 20 to 50 sheets, and a ring body 20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H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is plac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ell mouse side end portion. It is.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bell-mouse side edge part of the said ring body 20 and the blade 3 is a shape which inclines toward the hub 2 side as it goes to a centrifugal direction, respectively like FIG. The other structure is basically the same as that of each embodiment mentioned above.

이러한 임펠러(1)를 슈라우드를 설치하지 않고 상기 각 실시 형태의 것과 동일한 벨마우스(5)와 조합하여 구성한 본 실시 형태의 원심 송풍기에 있어서도, 상기 각 실시 형태의 것과 동일한 다음과 같은 유익한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Also in the centrifugal blower of this embodiment which comprised such an impeller 1 in combination with the bellows 5 same as that of each said embodiment, without providing a shroud, the following beneficial effects are the same as that of each said embodiment. Obtained.

즉, 상기 링체(20)의 존재에 의해, 임펠러(1)의 취출측으로부터 벨마우스(5)에서의 공기 흡입구(6)의 배면측을 통과하여 재차 임펠러(1)로 흡입되는 순환류(f2)가 형성되기 때문에, 블레이드(3)를 통과하는 공기 주류(f1)가 순환류(f2)에 의해 블레이드(3)의 선단측에 효과적으로 끌어당겨지게 되고, 블레이드(3)의 출구 부분에서의 풍속 분포가 균등하게 개선되며, 공력 성능의 향상과 운전음의 저소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 That is, due to the presence of the ring body 20, the circulation flow f 2 which is sucked into the impeller 1 again through the back side of the air inlet 6 at the bell mouth 5 from the ejection side of the impeller 1 Is formed, the air main stream f 1 passing through the blade 3 is effectively attracted to the tip side of the blade 3 by the circulation flow f 2 , and at the outlet portion of the blade 3 The wind speed distribution is improved evenly and the aerodynamic performance can be improved and the driving noise can be reduced.

더구나, 슈라우드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임펠러(1)의 일체 성형이 가능해지고, 구조의 간소화,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양산성이 뛰어난 것이 된다.In addition, since the shroud is unnecessary, integral molding of the impeller 1 can be performed,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the cost can be reduced, and the mass productivity is excellent.

(제7 실시 형태) (Seventh embodiment)

도 38 및 도 39에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의 임펠러가 도시되어 있다. 이 원심 송풍기의 임펠러(1)는, 예컨대 도 38 및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심부에 모터(4)의 회전축(4a)이 연결되는 원판 형상의 허브(2)와, 상기 허브(2)의 외주부에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어 입설된 복수의 블레이드(3)로 구성되어 있다. 38 and 39 show an impeller of a centrifugal blower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38 and 39, the impeller 1 of the centrifugal blower includes a disc-shaped hub 2 to which a rotation shaft 4a of the motor 4 is connected to the shaft center, and the hub 2. And a plurality of blades 3 plac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이 임펠러(1)의 각 블레이드(3)는 그 전연인 내경측 단부(3a)가 회전 방향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고, 후연인 외경측 단부(3b)가 내경측 단부(3a)보다 임펠러(1)의 회전 방향(M)의 후측에 위치하며, 캠버선이 회전 방향으로 오목한 후퇴 날개 타입(소위, 터보 팬 타입)으로 되어 있다. In each blade 3 of this impeller 1, the inner diameter side end portion 3a, which is the leading edge thereof, is inclined toward the front in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the outer diameter side end portion 3b, which is the rear edge, has the impeller 1 more than the inner diameter side end portion 3a. It is located in the rear side of the rotation direction M of the camber wire, and becomes a retracting wing type (so-called turbo fan type) in which the camber wire was concave in the rotation direction.

그리고, 상기 임펠러(1)의 블레이드(3)의 매수는, 예컨대 20매∼50매로 설정되고, 그 벨마우스측 단부의 외주에는 원심 방향으로 소정의 폭(H)을 갖는 링체(20)가 부설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 경우, 상기 링체(20) 및 블레이드(3)의 벨마우스측 단부는 도 24와 동일하게, 각각 원심 방향을 향함에 따라 허브(2)측에 경사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각 실시 형태의 것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The number of the blades 3 of the impeller 1 is set to, for example, 20 to 50 sheets, and a ring body 20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H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is plac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ell mouse side end portion. It is.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bell-mouse side edge part of the said ring body 20 and the blade 3 is inclined to the hub 2 side, as shown in FIG. 24, respectively, toward a centrifugal direction. The other structure is basically the same as that of each embodiment mentioned above.

이러한 임펠러(1)를, 슈라우드를 설치하지 않고 상기 각 실시 형태의 것과 동일한 벨마우스(5)와 조합하여 구성한 본 실시 형태의 원심 송풍기에 있어서도, 상기 각 실시 형태의 것과 동일한 다음과 같은 유익한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Also in the centrifugal blower of this embodiment which comprised such an impeller 1 in combination with the bellows 5 similar to the thing of said each embodiment, without providing a shroud, the following advantageous effects as the same as that of each said embodiment are as follows. Is obtained.

즉, 상기 링체(20)의 존재에 의해, 임펠러(1)의 취출측으로부터 벨마우스(5)에서의 공기 흡입구(6)의 배면측을 통과하여 재차 임펠러(1)로 흡입되는 순환류(f2)가 형성되기 때문에, 블레이드(3)를 통과하는 공기 주류(f1)가 순환류(f2)에 의해 블레이드(3)의 선단측으로 효과적으로 끌어당겨지게 되고, 블레이드(3)의 출구 부분에서의 풍속 분포가 균등하게 개선되며, 공력 성능의 향상과 운전음의 저소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That is, due to the presence of the ring body 20, the circulation flow f 2 which is sucked into the impeller 1 again through the back side of the air inlet 6 at the bell mouth 5 from the ejection side of the impeller 1 ) Is formed, the air mainstream f 1 passing through the blade 3 is effectively attracted to the tip side of the blade 3 by the circulation flow f 2 , and the wind speed at the outlet portion of the blade 3 The distribution is improved evenly and the aerodynamic performance can be improved and the driving noise can be reduced.

더구나, 슈라우드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임펠러(1)의 일체 성형이 가능해지고, 구조의 간소화,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양산성이 뛰어난 것이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shroud is unnecessary, integral molding of the impeller 1 can be performed,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the cost can be reduced, and the mass productivity is excellent.

(제8 실시 형태) (8th Embodiment)

도 40 및 도 41에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의 임펠러가 도시되어 있다. 이 원심 송풍기의 임펠러(1)는, 예컨대 도 40 및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심부에 모터(4)의 회전축(4a)이 연결되는 원판 형상의 허브(2)와, 상기 허브(2)의 외주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어 입설된 복수의 블레이드(3)로 구성되어 있다. 40 and 41 show an impeller of a centrifugal blower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40 and 41, the impeller 1 of the centrifugal blower is, for example, a disk-shaped hub 2 to which the rotary shaft 4a of the motor 4 is connected to the shaft center, and the hub 2. It consists of the some blade | wing 3 which penetrated at the predetermined | prescribed interva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outer periphery part of (circle).

이 임펠러(1)의 각 블레이드(3)는 그 전연인 내경측 단부(3a)가 회전 방향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고, 후연인 외경측 단부(3b)가 내경측 단부(3a)보다 임펠러 (1)의 회전 방향(M)의 후측에 위치하며, 캠버선이 직선 형상인 후퇴 날개 타입(소위, 터보 팬 타입)으로 되어 있다. In each blade 3 of this impeller 1, the inner diameter side end portion 3a, which is its leading edge, is inclined toward the front in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the outer diameter side end portion 3b, which is the trailing edge, is impeller 1 than the inner diameter side end portion 3a. It is located in the rear side of the rotation direction M of the camber wire, and has a linear retraction wing type (so-called turbo fan type).

그리고, 상기 임펠러(1)의 블레이드(3)의 매수는, 예컨대 20매∼50매의 다수매로 설정되고, 그 벨마우스측 단부의 외주에는 원심 방향으로 소정의 폭(H)을 갖는 링체(20)가 부설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링체(20) 및 블레이드(3)의 벨마우스측 단부는 도 24의 것과 동일하게, 각각 원심 방향을 향함에 따라 허브(2)측으로 경사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각 실시 형태의 것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The number of blades 3 of the impeller 1 is set to, for example, a plurality of 20 to 50 pieces, and a ring body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H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ell mouse side end portion ( 20) is laid.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bell-mouse side edge part of the said ring body 20 and the blade 3 is in the shape which inclines toward the hub 2 side, respectively, as it faces a centrifugal direction, as in FIG. The other structure is basically the same as that of each embodiment mentioned above.

이러한 임펠러(1)를, 슈라우드를 설치하지 않고 상기 각 실시 형태의 것과 동일한 벨마우스(5)와 조합하여 구성한 본 실시 형태의 원심 송풍기에 있어서도, 상기 각 실시 형태의 것과 동일한 다음과 같은 유익한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Also in the centrifugal blower of this embodiment which comprised such an impeller 1 in combination with the bellows 5 similar to the thing of said each embodiment, without providing a shroud, the following advantageous effects as the same as that of each said embodiment are as follows. Is obtained.

즉, 상기 링체(20)의 존재에 의해, 임펠러(1)의 취출측으로부터 벨마우스(5)에서의 공기 흡입구(6)의 배면측을 통과하여 재차 임펠러(1)로 흡입되는 순환류(f2)가 형성되기 때문에, 블레이드(3)를 통과하는 공기 주류(f1)가 순환류(f2)에 의해 블레이드(3)의 선단측에 효과적으로 끌어당겨지게 되고, 블레이드(3)의 출구 부분에서의 풍속 분포가 균등하게 개선되며, 공력 성능의 향상과 운전음의 저소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구나, 슈라우드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임펠러(1)의 일체 성형이 가능해지고, 구조의 간소화,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양산성이 뛰어 난 것이 된다. That is, due to the presence of the ring body 20, the circulation flow f 2 which is sucked into the impeller 1 again through the back side of the air inlet 6 at the bell mouth 5 from the ejection side of the impeller 1 Is formed, the air main stream f 1 passing through the blade 3 is effectively attracted to the tip side of the blade 3 by the circulation flow f 2 , and at the outlet portion of the blade 3 The wind speed distribution is improved evenly and the aerodynamic performance can be improved and the driving noise can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shroud is unnecessary, integral molding of the impeller 1 can be performed,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the cost can be reduced, and the mass productivity is excellent.

지금, 상기와 같은 각 블레이드(3)의 외경측 단부(3b)가 내경측 단부(3a)보다 임펠러(1)의 회전 방향(M)의 후측에 위치하고, 또한 캠버선이 직선형상의 후퇴 날개를 채용한 임펠러를 채용하여 구성한 원심 송풍기에 관해, 그 블레이드 매수를 파라미터로 하여, 최고 정압 효율비(기준값 1.0)와 최저 비소음 레벨비(기준값 레벨 ±0)를 측정한 결과를 도 43의 그래프에 도시한다. Now, the outer diameter side end part 3b of each blade 3 as mentioned above is located in the rear side of the rotation direction M of the impeller 1 rather than the inner diameter side end part 3a, and a camber wire employ | adopts a linear retraction wing | blade. In the graph of FIG. 43, the centrifugal blower constructed by employing one impeller was measured using the number of blades as a parameter, and the result of measuring the highest static pressure efficiency ratio (reference value 1.0) and the lowest non-noise level ratio (reference value level ± 0) is shown in the graph of FIG. do.

측정에 제공한 원심 송풍기는, 상기 도 40 및 도 41에 도시한 임펠러 구성의 것으로, 각 블레이드(3)의 입구각(θ1), 출구각(θ2)은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θ1=25°, θ2=50°, 그리고, 블레이드(3)의 입구 높이(B1), 출구 높이(B2), 벨마우스(25)의 공기 흡입구(6)의 내경(D0), 블레이드(3)의 내경(D1), 외경(D2)은, 각각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B1=35㎜, B2= 30㎜, D0=130㎜, D1=110㎜, D2=160㎜인 것이다. The centrifugal blower provided for the measurement has the impeller configuration shown in Figs. 40 and 41, and the inlet angle θ 1 and the outlet angle θ 2 of each blade 3 are as shown in Fig. 42, θ 1 = 25 °, θ 2 = 50 °, and the inlet height B 1 , the outlet height B 2 of the blade 3, and the inner diameter D 0 of the air inlet 6 of the bell mouse 25. The inner diameter D 1 and outer diameter D 2 of the blade 3 are respectively B 1 = 35 mm, B 2 = 30 mm, D 0 = 130 mm, and D 1 = 110 as shown in FIG. 44. Mm, D 2 = 160 mm.

도 43의 측정 결과로부터 판단하면, 블레이드(3)의 매수가 20매보다 적은 경우에는, 전술한 순환류(f2)가 도 44의 f2'로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3)의 내측에 크게 들어가기 때문에 성능이 열화된다. 한편, 블레이드 매수가 50매를 넘으면, 블레이드(3)의 전연 사이의 간격(P)이 너무 좁아지기 때문에 성능이 열화된다.If it is determined from the measurement result in FIG. 43, when the number of the blades 3 is less than 20 sheets, the above-described circulation flow (f 2) as shown by f 2 'in FIG. 44 larger on the inner side of the blade 3 Performance degrades. On the other hand, if the number of blades exceeds 50, the performance P is deteriorated because the interval P between the leading edges of the blades 3 becomes too narrow.

이것에 대하여, 블레이드(3)의 매수가 20매로부터 50매인 경우에는, 전술과 같은 문제가 생기기 어렵고, 정압 효율비가 높은 한편, 비소음 레벨비를 가급적으로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즉, 송풍 효율을 업시키면서 정음 성능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number of the blades 3 is 50 to 20,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re unlikely to occur, the static pressure efficiency ratio is high, and the non-noise level ratio can be suppressed as low as possible. That is, it turns out that a quiet performance can be improved efficiently, raising an air blow efficiency.

이것과 동일한 블레이드 매수에 의한 성능 향상은, 상기 도 6, 도 7 및 후에 설명하는 제12의 각 실시 형태의 구성의 경우에도 거의 동일하게 기대할 수 있다. The performance improvement by the same number of blades as this can be expected almost similarly also in the case of the structure of each of 12th embodiment demonstrated above FIG. 6, FIG. 7, and later.

(제9 실시 형태) (Ninth embodiment)

도 45 및 도 46에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가 도시되어 있다. 이 원심 송풍기의 임펠러(1)는, 예컨대 도 45 및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심부에 모터(4)의 회전축(4a)이 연결되는 원판 형상의 허브(2)와, 상기 허브(2)의 외주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어 입설된 복수의 블레이드(3)로 구성되어 있다.45 and 46 show a centrifugal blower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45 and 46, the impeller 1 of the centrifugal blower includes a disc-shaped hub 2 to which the rotation shaft 4a of the motor 4 is connected to the shaft center, and the hub 2. It consists of the some blade | wing 3 which penetrated at the predetermined | prescribed interva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outer periphery part of (circle).

이 임펠러(1)의 각 블레이드(3)는 그 전연인 내경측 단부(3a)가 회전 방향(M)의 전방 및 후방의 어느 방향을 향해서 경사지지 않고, 캠버선이 반경 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는 라디얼 날개 타입(소위, 라디얼 플레이트 팬 타입)으로 되어 있다. In each blade 3 of the impeller 1, the inner diameter side end portion 3a, which is the leading edge thereof, does not incline toward any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rotation direction M, and the camber wire extends linearly in the radial direction. It becomes the radial wing type (so-called radial plate fan type).

그리고, 상기 임펠러(1)의 블레이드(3)의 매수는, 예컨대 30매∼72매의 다수매로 설정되고, 그 벨마우스측 단부의 외주에는 원심 방향으로 소정의 폭(H)을 갖는 링체(20)가 부설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링체(20) 및 블레이드(3)의 벨마우스측 단부는, 전술의 도 44와 동일하게, 각각 원심 방향을 향함에 따라 허브(2)측으로 경사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각 실시 형태의 것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The number of blades 3 of the impeller 1 is set to, for example, a plurality of 30 to 72 sheets, and a ring body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H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ell mouse side end. 20) is laid.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bell-mouse side edge part of the said ring body 20 and the blade 3 is in the shape which inclines toward the hub 2 side, respectively, toward the centrifugal direction like FIG. 44 mentioned above. The other structure is basically the same as that of each embodiment mentioned above.

이러한 임펠러(1)를, 슈라우드를 설치하지 않고 상기 각 실시 형태의 것과 동일한 벨마우스(5)와 조합하여 구성한 본 실시 형태의 원심 송풍기에 있어서도, 상기 각 실시 형태의 것과 동일한 다음과 같은 유익한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Also in the centrifugal blower of this embodiment which comprised such an impeller 1 in combination with the bellows 5 similar to the thing of said each embodiment, without providing a shroud, the following advantageous effects as the same as that of each said embodiment are as follows. Is obtained.

즉, 상기 링체(20)의 존재에 의해, 임펠러(1)의 취출측으로부터 벨마우스(5)에서의 공기 흡입구(6)의 배면측을 통과하여 재차 임펠러(1)로 흡입되는 순환류(f2)가 형성되기 때문에, 블레이드(3)를 통과하는 공기 주류(f1)가 순환류(f2)에 의해 블레이드(3)의 선단측에 효율적으로 끌어당겨지게 되고, 블레이드(3)의 출구 부분에서의 풍속 분포가 균등하게 개선되며, 공력 성능의 향상과 운전음의 저소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 That is, due to the presence of the ring body 20, the circulation flow f 2 which is sucked into the impeller 1 again through the back side of the air inlet 6 at the bell mouth 5 from the ejection side of the impeller 1 ) Is formed, the air main stream f 1 passing through the blade 3 is efficiently attracted to the tip side of the blade 3 by the circulation flow f 2 , and at the outlet portion of the blade 3 The wind speed distribution is improved evenly and the aerodynamic performance can be improved and the driving noise can be reduced.

더구나, 슈라우드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임펠러(1)의 일체 성형이 가능해지고, 구조의 간소화, 양산화의 향상에 의해 대폭적인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Moreover, since the shroud is unnecessary, integral molding of the impeller 1 becomes possible, and the cost can be drastically reduced by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improving the mass production.

(제10 실시 형태) (10th embodiment)

도 47 및 도 48에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의 임펠러가 도시되어 있다. 이 원심 송풍기의 임펠러(1)는, 예컨대 도 47 및 도 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심부에 모터(4)의 회전축(4a)이 연결되는 원판 형상의 허브(2)와, 상기 허브(2)의 외주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어 입설된 복수의 블레이드(3)로 구성되어 있다. 47 and 48 show an impeller of a centrifugal blower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eller 1 of this centrifugal blower is, for example, a disk-shaped hub 2 to which the rotary shaft 4a of the motor 4 is connected to the shaft center, and the hub 2 as shown in FIGS. 47 and 48. It consists of the some blade | wing 3 which penetrated at the predetermined | prescribed interva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outer periphery part of (circle).

이 임펠러(1)의 각 블레이드(3)는 그 전연인 내경측 단부(3a)가 회전 방향(M)의 전방 및 후방의 어느 한 방향으로도 경사지지 않고, 또한 캠버선이 회전 방향(M)의 후방에 조금 경사된 라디얼 날개 타입(상기 라디얼 플레이트 팬의 제1 변 형 타입)으로 되어 있다. In each blade 3 of this impeller 1, the inner diameter side end portion 3a, which is the leading edge thereof, does not incline in any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rotation direction M, and the camber wire is the rotation direction M. It is a radial wing type (the first variant type of the radial plate fan) which is slightly inclined to the rear of the.

그리고, 상기 임펠러(1)의 블레이드(3)의 매수는, 예컨대 30매∼72매의 다수매로 설정되고, 그 벨마우스측 단부의 외주에는 원심 방향으로 소정의 폭(H)을 갖는 링체(20)가 부설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링체(20) 및 블레이드(3)의 벨마우스측 단부는, 도 44의 경우와 동일하게, 각각 원심 방향을 향함에 따라 허브(2)측으로 경사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각 실시 형태의 것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The number of blades 3 of the impeller 1 is set to, for example, a plurality of 30 to 72 sheets, and a ring body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H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ell mouse side end. 20) is laid.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bell-mouse side edge part of the said ring body 20 and the blade 3 is in the shape which inclines toward the hub 2 side as it goes to the centrifugal direction, respectively, similarly to the case of FIG. The other structure is basically the same as that of each embodiment mentioned above.

이러한 임펠러(1)를, 슈라우드를 설치하지 않고 상기 각 실시 형태의 것과 동일한 벨마우스(5)와 조합하여 구성한 본 실시 형태의 원심 송풍기에 있어서도, 상기 각 실시 형태의 것과 동일한 다음과 같은 유익한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Also in the centrifugal blower of this embodiment which comprised such an impeller 1 in combination with the bellows 5 similar to the thing of said each embodiment, without providing a shroud, the following advantageous effects as the same as that of each said embodiment are as follows. Is obtained.

즉, 상기 링체(20)의 존재에 의해, 임펠러(1)의 취출측으로부터 벨마우스(5)에서의 공기 흡입구(6)의 배면측을 통과하여 재차 임펠러(1)로 흡입되는 순환류(f2)가 형성되기 때문에, 블레이드(3)를 통과하는 공기 주류(f1)가 순환류(f2)에 의해 블레이드(3)의 선단측으로 효과적으로 끌어당겨지게 되고, 블레이드(3)의 출구 부분에서의 풍속 분포가 균등하게 개선되어 공력 성능의 향상과 운전음의 저소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구나, 슈라우드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임펠러(1)의 일체 성형이 가능해지고, 구조의 간소화, 양산성의 향상에 의해 대폭적인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양산성이 뛰어난 것이 된다. That is, due to the presence of the ring body 20, the circulation flow f 2 which is sucked into the impeller 1 again through the back side of the air inlet 6 at the bell mouth 5 from the ejection side of the impeller 1 ) Is formed, the air mainstream f 1 passing through the blade 3 is effectively attracted to the tip side of the blade 3 by the circulation flow f 2 , and the wind speed at the outlet portion of the blade 3 The distribution is improved evenly, and the aerodynamic performance can be improved and the driving noise can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shroud is unnecessary, integral molding of the impeller 1 becomes possible, and the structure can be greatly reduced due to the simplification of the structure and the improvement of mass productivity, and the excellent mass productivity.

지금, 본 실시 형태의 원심 송풍기에 관해서, 그 블레이드 매수를 파라미터 로 하여 최고 정압 효율비(기준값 1.0)와 최저 비소음 레벨비(기준값 레벨 ±O)를 측정한 결과를, 도 50의 그래프에 나타낸다. Now, with respect to the centrifugal blower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maximum static pressure efficiency ratio (reference value 1.0) and the lowest non-noise level ratio (reference value level ± O) using the number of blades as parameters are shown in the graph of FIG. 50. .

측정에 제공한 원심 송풍기는, 상기 도 47 및 도 48에 도시한 임펠러 구성의 것으로, 각 블레이드(3)의 입구각(θ1), 출구각(θ2)은,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θ1=90°, θ2=75°, 그리고, 블레이드(3, 3··)의 입구 높이(B1), 출구 높이(B2), 벨마우스(5)의 공기 흡입구(6)의 내경(D0), 임펠러(1)의 블레이드(3)의 내경(D1), 외경(D2)은 B1=25㎜, B2=20㎜, D0=130㎜, D1=90㎜, D2=150㎜인 것이다.The centrifugal blower provided for the measurement has the impeller configuration shown in FIG. 47 and FIG. 48, and the inlet angle θ 1 and the outlet angle θ 2 of each blade 3 are as shown in FIG. 49. , θ 1 = 90 °, θ 2 = 75 °, and the inlet height B 1 , the outlet height B 2 of the blades 3, 3..., and the air inlet 6 of the bell mouse 5. The inner diameter D 0 , the inner diameter D 1 and the outer diameter D 2 of the blade 3 of the impeller 1 are B 1 = 25 mm, B 2 = 20 mm, D 0 = 130 mm, D 1 = 90 Mm, D 2 = 150 mm.

도 50의 측정 결과로부터 판단하면, 본 구성의 경우, 블레이드(3)의 매수가 30매보다 적은 경우에는, 전술한 순환류(f2)가 도 44의 f2'로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3)의 내측으로 크게 들어가기 때문에 흡입 성능이 열화된다. 한편, 블레이드 매수가 72매를 넘으면, 블레이드(3)의 전연부(3a, 3a) 사이의 간격(P)이 너무 좁아지기 때문에 성능이 열화된다. Judging from the measurement results in FIG. 50, in the case of the present configuration, when the number of blades 3 is less than 30, the above-described circulation flow f 2 is indicated by f 2 ′ in FIG. 44. The suction performance deteriorates because it enters large inside. On the other hand, when the number of blades exceeds 72 sheets, the space P between the leading edges 3a and 3a of the blade 3 becomes too narrow, resulting in deterioration in performance.

이것에 대하여, 블레이드(3)의 매수가 30매로부터 72매인 경우에는, 전술과 같은 문제가 생기기 어렵고, 정압 효율비가 높은 한편, 비소음 레벨비를 충분히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즉, 송풍 효율을 업시키면서 정음 성능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number of the blades 3 is 72 to 30,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re less likely to occur, the static pressure efficiency ratio is high, and the non-noise level ratio can be sufficiently reduced. That is, it turns out that a quiet performance can be improved efficiently, raising an air blow efficiency.

이와 동일한 블레이드 매수에 의한 성능 향상은, 상기 제9 및 다음에 설명하는 제11 각 실시 형태의 구성의 경우에도 거의 동일하게 기대할 수 있다. The performance improvement by the same number of blades can be expected almost similarly in the case of the structure of each said 9th and 11th embodiment demonstrated next.

(제11 실시 형태) (Eleventh embodiment)

도 51 및 도 52에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의 임펠러가 도시되어 있다. 이 원심 송풍기의 임펠러(1)는, 예컨대 도 51 및 도 5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심부에 모터(4)의 회전축(4a)이 연결되는 원판 형상의 허브(2)와, 상기 허브(2)의 외주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어 입설된 복수의 블레이드(3)로 구성되어 있다. 51 and 52 show the impeller of the centrifugal blower according to the el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eller 1 of this centrifugal blower is, for example, a disk-shaped hub 2 to which the rotating shaft 4a of the motor 4 is connected to the shaft center portion, and the hub 2 as shown in FIGS. 51 and 52. It consists of the some blade | wing 3 which penetrated at the predetermined | prescribed interva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outer periphery part of (circle).

이 임펠러(1)의 각 블레이드(3)는, 그 전연인 내경측 단부(3a)가 회전 방향(M)의 전방 및 후방의 어느 한 방향으로도 경사지지 않고, 캠버선이 회전 방향(M)의 전방으로 약간 경사진 라디얼 날개 타입(상기 라디얼 플레이트 팬의 제2 변형 타입)으로 되어 있다. In each blade 3 of the impeller 1, the inner diameter side end portion 3a, which is the leading edge thereof, does not incline in any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rotation direction M, and the camber wire is the rotation direction M. It is of the radial wing type (second modification type of the said radial plate fan) inclined slightly forward of the.

그리고, 상기 임펠러(1)의 블레이드(3)의 매수는, 상기와 동일하게 예컨대 30매∼72매의 다수매로 설정되고, 그 벨마우스측 단부의 외주에는 원심 방향으로 소정의 폭(H)을 갖는 링체(20)가 부설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링체(20) 및 블레이드(3)의 벨마우스측 단부는, 도 44와 동일하게, 각각 원심 방향을 향함에 따라 허브(2)측으로 경사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각 실시 형태의 것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The number of the blades 3 of the impeller 1 is set to, for example, a plurality of 30 to 72 sheets in the same manner as above, and a predetermined width H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ell mouse side end portion. The ring body 20 which has a is provided.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bell-mouse side edge part of the said ring body 20 and the blade 3 is in the shape which inclines toward the hub 2 side as it goes to a centrifugal direction, respectively like FIG. The other structure is basically the same as that of each embodiment mentioned above.

이러한 임펠러(1)를, 슈라우드를 설치하지 않고 상기 각 실시 형태의 것과 동일한 벨마우스(5)와 조합하여 구성한 원심 송풍기에 있어서도, 상기 각 실시 형태의 것과 동일한 다음과 같은 유익한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Also in the centrifugal blower which comprised such an impeller 1 in combination with the bellows 5 similar to the thing of said each embodiment, without providing a shroud, the following advantageous effects and effects similar to those of each said embodiment are acquired.

즉, 상기 링체(20)의 존재에 의해, 임펠러(1)의 취출측으로부터 벨마우스(5)에서의 공기 흡입구(6)의 배면측을 통과하여 재차 임펠러(1)로 흡입되는 순환류(f2) 가 형성되기 때문에, 블레이드(3)를 통과하는 공기 주류(f1)가 순환류(f2)에 의해 블레이드(3)의 선단측으로 효과적으로 끌어당겨지게 되고, 블레이드(3)의 출구 부분에서의 풍속 분포가 균등하게 개선되어, 공력 성능의 향상과 운전음의 저소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 That is, due to the presence of the ring body 20, the circulation flow f 2 which is sucked into the impeller 1 again through the back side of the air inlet 6 at the bell mouth 5 from the ejection side of the impeller 1 ) Is formed, the air mainstream f 1 passing through the blade 3 is effectively attracted to the tip side of the blade 3 by the circulation flow f 2 , and the wind speed at the outlet portion of the blade 3 The distribution is improved evenly, and the aerodynamic performance can be improved and the driving noise can be reduced.

더구나, 슈라우드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임펠러(1)의 일체 성형이 가능해지고, 구조의 간소화, 양산성의 향상에 의해 대폭적인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shroud is unnecessary, integral molding of the impeller 1 becomes possible, and the structure can be greatly reduced and the mass productivity can be greatly reduced.

(제12 실시 형태) (12th Embodiment)

도 53 및 도 54에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의 임펠러가 도시되어 있다. 53 and 54 show an impeller of a centrifugal blower according to a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원심 송풍기의 임펠러(1)는, 예컨대 도 53 및 도 5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심부에 모터(4)의 회전축(4a)이 연결되는 원판 형상의 허브(2)와, 상기 허브(2)의 외주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어 입설된 복수의 블레이드(3)로 구성되어 있다. The impeller 1 of this centrifugal blower is, for example, a disk-shaped hub 2 to which the rotating shaft 4a of the motor 4 is connected to the shaft center portion, and the hub 2 as shown in FIGS. 53 and 54. It consists of the some blade | wing 3 which penetrated at the predetermined | prescribed interva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outer periphery part of (circle).

이 임펠러(1)의 각 블레이드(3)는, 그 캠버선이 회전 방향으로 돌출된 곡선이 된 라디얼 날개 타입(출구각(θ1)이 약 90°인 라디얼 팁 팬 타입)으로 되어 있다. Each blade 3 of the impeller 1 is of a radial blade type (radial tip fan type having an exit angle θ 1 of about 90 °) in which the camber wire protrudes in the rotational direction. .

그리고, 상기 임펠러(1)의 블레이드(3)의 매수는, 상기 실시 형태 6, 7, 8의 것과 동일하게, 예컨대 20매∼50매로 설정되고, 그 벨마우스측 단부의 외주에는 원 심 방향으로 소정의 폭(H)을 갖는 링체(20)가 부설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링체(20) 및 블레이드(3)의 벨마우스측 단부는, 전술한 도 44의 것과 동일하게, 각각 원심 방향을 향함에 따라 허브(2)측에 경사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각 실시 형태의 것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The number of the blades 3 of the impeller 1 is set to, for example, 20 to 50 sheets,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sixth and seventh embodiments, and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ell mouse side end. A ring body 20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H is provid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ell mouse side ends of the ring body 20 and the blade 3 are inclined toward the hub 2 side in the same direction as in FIG. 44 described above, respectively, toward the centrifugal direction. have. The other structure is basically the same as that of each embodiment mentioned above.

이러한 임펠러(1)를, 슈라우드를 설치하지 않고 상기 각 실시 형태의 것과 동일한 벨마우스(5)와 조합하여 구성한 본 실시 형태의 원심 송풍기에 있어서도, 상기 각 실시 형태의 것과 동일한 다음과 같은 유익한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Also in the centrifugal blower of this embodiment which comprised such an impeller 1 in combination with the bellows 5 similar to the thing of said each embodiment, without providing a shroud, the following advantageous effects as the same as that of each said embodiment are as follows. Is obtained.

즉, 상기 링체(20)의 존재에 의해, 임펠러(1)의 취출측으로부터 벨마우스(5)에서의 공기 흡입구(6)의 배면측을 통과하여 재차 임펠러(1)로 흡입되는 순환류(f2)가 형성되기 때문에, 블레이드(3)를 통과하는 공기 주류(f1)가 순환류(f2)에 의해 블레이드(3)의 선단측으로 유효하게 끌어당겨지게 되고, 블레이드(3)의 출구 부분에서의 풍속 분포가 균등하게 개선되어 공력 성능의 향상과 운전음의 저소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 That is, due to the presence of the ring body 20, the circulation flow f 2 which is sucked into the impeller 1 again through the back side of the air inlet 6 at the bell mouth 5 from the ejection side of the impeller 1 Is formed, the air main stream f 1 passing through the blade 3 is effectively attracted to the tip side of the blade 3 by the circulation flow f 2 , and at the outlet portion of the blade 3 The wind speed distribution is improved evenly, and the aerodynamic performance can be improved and the driving noise can be reduced.

더구나, 슈라우드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임펠러(1)의 일체 성형이 가능해지고, 구조의 간소화, 양산성의 향상에 의해 대폭적인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Moreover, since the shroud is unnecessary, integral molding of the impeller 1 becomes possible, and the cost can be drastically reduced by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improving the mass productivity.

(제13 실시 형태) (13th Embodiment)

다음에 도 55 내지 도 58에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의 요부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Next, the structure of the main part of the centrifugal blower which concerns on 13t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shown in FIGS.

이 원심 송풍기의 임펠러(1)는, 예컨대 도 55 내지 도 58에 도시한 바와 같 이, 상기 각 실시 형태의 것과 동일하게 축심부에 모터의 회전축이 연결되는 원판 형상의 허브(2)와, 상기 허브(2)의 외주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어 입설된 복수의 블레이드(3)로 구성되어 있다. The impeller 1 of this centrifugal blower is,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55 to 58, a disk-shaped hub 2 in which a rotating shaft of a motor is connected to the shaft center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 embodiments,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hub 2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ades 3 which are pl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이 임펠러(1)의 각 블레이드(3)는, 그 전체가 회전 방향(M)의 전방에 소정각 경사진 전방 경사 날개 타입의 것(3A)(도 57), 또는 그 반대의 후방 경사 날개 타입의 것(3B)(도 58)으로 되어 있다.Each blade 3 of this impeller 1 has a front inclined vane type 3A (Fig. 57) in which the whole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front of the rotation direction M, or vice versa rear inclined vane type. 3B (FIG. 58).

그리고, 그들의 어느 하나의 타입의 것이라도, 상기 임펠러(1)의 블레이드(3)의 매수는, 예컨대 30매∼72매의 다수매로 설정되고, 그 벨마우스측 단부의 외주에는 원심 방향으로 소정의 폭(H)을 갖는 링체(20)가 부설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링체(20) 및 블레이드(3)의 벨마우스측 단부는, 도 55로부터 알 수 있듯이, 각각 원심 방향을 향함에 따라 허브(2)측에 경사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각 실시 형태의 것과 동일하다. In any of these types, the number of the blades 3 of the impeller 1 is set to, for example, a plurality of 30 to 72 sheets, and is set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ell mouse side end. A ring body 20 having a width H of is laid.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as shown from FIG. 55, the bell-mouse side edge part of the said ring body 20 and the blade 3 is inclined toward the hub 2 side as it goes to a centrifugal direction, respectively.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each embodiment mentioned above.

이러한 임펠러(1)를, 슈라우드를 설치하지 않고 상기 각 실시 형태의 것과 동일한 벨마우스(5)와 조합하여 구성한 본 실시 형태의 원심 송풍기에 있어서도, 상기 각 실시 형태의 것과 동일한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Also in the centrifugal blower of this embodiment which comprised such an impeller 1 in combination with the bellows 5 similar to the said each embodiment, without providing a shroud, the following effects and effects similar to the said each embodiment are the same. Obtained.

즉, 링체(20)에 의해, 임펠러(1)의 취출측으로부터 벨마우스(5)에서의 공기 흡입구(6)의 배면측을 통과하여 재차 임펠러(1)로 흡입되는 순환류(f2)가 형성되기 때문에, 블레이드(3)를 통과하는 공기 주류(f1)가 순환류(f2)에 의해 블레이드(3)의 선단측으로 끌어당겨지게 되고, 블레이드(3)의 출구 부분에서의 풍속 분포가 개선 되어, 공력 성능의 향상과 운전음의 저소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구나, 슈라우드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임펠러(1)의 일체 성형이 가능해지고, 구조의 간소화,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양산성이 뛰어난 것이 된다. That is, by the ring body 20, the circulation flow f 2 which passes through the back side of the air intake port 6 in the bell mouse 5 from the ejecting side of the impeller 1 and is sucked into the impeller 1 again is formed. Therefore, the air main stream f 1 passing through the blade 3 is attracted to the tip side of the blade 3 by the circulation flow f 2 , and the wind speed distribution at the outlet portion of the blade 3 is improved. As a result, aerodynamic performance can be improved and driving noise can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shroud is unnecessary, integral molding of the impeller 1 can be performed,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the cost can be reduced, and the mass productivity is excellent.

이러한 구성의 경우, 또한 벨마우스(5)의 공기 흡입구(6)의 내경(D0)과의 관계에서, 다음의 것과 같은 특유의 작용 효과를 일으킨다. In the case of such a configuration, also in relation to the inner diameter D 0 of the air intake port 6 of the bell mouse 5, the following specific effects are produced.

(A) 블레이드(3)가 전방 경사 블레이드(3A)인 경우 (A) When the blade 3 is the front slanted blade 3A

이 경우, 예컨대 도 5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3),(3A)가 링체(20)에 의해 형성되는 순환류(f2)를 흡입하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강한 순환류(f2)가 형성된다. In this cas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7, the blades 3 and 3A act in the direction of sucking the circulation flow f 2 formed by the ring body 20, so that a strong circulation flow f 2 is formed. .

또한, 도 55 중에 부호 6A로 도시한 바와 같이, 벨마우스(5)의 공기 흡입구(6)의 내경(D0)를 크게 한 경우라도, 상기 강한 순환류(f2)가 블레이드(3),(3A)의 내측까지 깊게 들어가지 않고, 링체(20) 부근에서 부드럽게 순환한다. 그 결과, 양호한 송풍 성능을 실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by the symbol 6A in FIG. 55, even when the inner diameter D 0 of the air inlet 6 of the bell mouse 5 is enlarged, the strong circulation flow f 2 causes the blade 3, ( It does not deeply go to the inside of 3A), and it circulates smoothly in the vicinity of the ring body 20. As a result, good blowing performance can be realized.

(B) 블레이드(3)가 후방 경사 블레이드(3B)인 경우 (B) the blade 3 is a rear bevel blade 3B

이 경우, 예컨대 도 5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3)(3B)가 링체(20)에 의해 형성되는 순환류(f2)를 흡입하기 어려운 방향으로 작용한다. 또한, 도 55 중에 부호 6B로 도시한 바와 같이, 벨마우스(5)의 공기 흡입구(6)의 내경(D0)을 작게 한 경우라도, 상기 순환류(f2)가 블레이드(3),(3B)의 내측까지 깊게 들어가지 않고, 링체(20) 부근에서 부드럽게 순환한다. 그 결과, 역시 양호한 송풍 성능을 실현할 수 있다. In this cas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8, the blades 3 and 3B act in a direc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suck the circulation flow f 2 formed by the ring body 20. Furthermore, as in 55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6B, even when reducing the inner diameter (D 0) of the air intake port 6 of the bell mouth (5), the circulation flow (f 2), the blade (3), (3B It does not go deeply to the inner side of), and it circulates smoothly in the ring body 20 vicinity. As a result, good blowing performance can also be realized.

(제14 실시 형태) (14th Embodiment)

다음에 도 59 및 도 60에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 형태에 따른 원심 송풍기의 요부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59 and 60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centrifugal blower according to the fou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원심 송풍기의 임펠러(1)는, 예컨대 도 59 및 도 6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 실시 형태의 것과 동일하게 축심부에 모터의 회전축이 연결되는 원판 형상의 허브(2)와, 상기 허브(2)의 외주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어 입설된 복수의 블레이드(3)로 구성되어 있다. The impeller 1 of this centrifugal blower is, for example, a disk-shaped hub 2 in which a rotating shaft of a motor is connected to the shaft center in the same manner as 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as shown in FIGS. 59 and 60, and the hub.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2)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ades 3 which are pl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이 임펠러(1)의 각 블레이드(3)는, 그 팁(3C)만이 회전 방향(M)의 전방에 소정각 경사된 전방 경사 날개 타입의 것(3A), 또는 그 반대의 후방 경사 날개 타입의 것(3B)으로 되어 있다(절곡 라인 L).Each blade 3 of this impeller 1 has a front inclined vane type 3A of which the tip 3C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front of the rotation direction M, or a reverse inclined vane type. 3B (bending line L).

그리고, 그들의 어느 하나의 타입의 것에 있어서도, 상기 임펠러(1)의 블레이드(3)의 매수는, 예컨대 30매~72매의 다수매로 설정되고, 그 벨마우스측 단부의 외주에는 원심 방향으로 소정의 폭(H)을 갖는 링체(20)가 부설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링체(20) 및 블레이드(3)의 벨마우스측 단부는, 도 59로부터 알 수 있듯이, 각각 원심 방향을 향함에 따라 허브(2)측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각 실시 형태의 것과 동일하다. And also in any of those types, the number of the blades 3 of the impeller 1 is set to, for example, a plurality of 30 to 72 sheets, and predetermined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bell mouse side end. A ring body 20 having a width H of is lai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ell mouse side ends of the ring body 20 and the blade 3 are inclined toward the hub 2 side as shown in Fig. 59, respectively, toward the centrifugal direction. The other structure is basically the same as that of each embodiment mentioned above.

이러한 임펠러(1)를, 도 59와 같이 상기 각 실시 형태의 것과 동일한 벨마우스(5)와 조합하여 구성한 원심 송풍기에 있어서도, 상기 각 실시 형태의 것과 동일 한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Also in the centrifugal blower which comprised such an impeller 1 in combination with the same bell mouse 5 as the thing of said each embodiment as shown in FIG. 59, the following effects and effects similar to those of each said embodiment are acquired.

즉, 링체(20)에 의해, 임펠러(1)의 취출측으로부터 벨마우스(5)에서의 공기 흡입구(6)의 배면측을 통과하여 재차 임펠러(1)로 흡입되는 순환류(f2)가 형성되기 때문에, 블레이드(3)를 통과하는 공기 주류(f1)가 순환류(f2)에 의해 블레이드(3)의 선단측으로 끌어당겨지게 되고, 블레이드(3)의 출구 부분에서의 풍속 분포가 개선되어, 공력 성능의 향상과 운전음의 저소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구나, 슈라우드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임펠러(1)의 일체 성형이 가능해지고, 구조의 간소화와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양산성이 뛰어난 것이 된다. That is, by the ring body 20, the circulation flow f 2 which passes through the back side of the air intake port 6 in the bell mouse 5 from the ejecting side of the impeller 1 and is sucked into the impeller 1 again is formed. Therefore, the air mainstream f 1 passing through the blade 3 is attracted to the tip side of the blade 3 by the circulation flow f 2 , and the wind speed distribution at the outlet portion of the blade 3 is improved. As a result, aerodynamic performance can be improved and driving noise can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shroud is unnecessary, integral molding of the impeller 1 can be performed,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the cost can be reduced, and the mass productivity is excellent.

이러한 구성의 경우, 또한 벨마우스(5)의 공기 흡입구(6)의 내경(D0)과의 관계에서, 다음과 같은 특유의 작용 효과를 일으킨다. In such a configuration, also in relation to the inner diameter D 0 of the air inlet 6 of the bell mouse 5, the following distinctive working effects are produced.

(A) 블레이드(3)의 팁(3C)이 회전 방향 전방으로 경사한 전방 경사 블레이드(3A)인 경우 (A) When tip 3C of blade 3 is front slanted blade 3A inclined forwar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이 경우, 예컨대 도 6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3),(3A)가 링체(20)에 의해 형성되는 순환류(f2)를 흡입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비교적 강한 순환류(f2)가 형성된다. In this cas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0, the blades 3 and 3A act in a direction of sucking the circulation flow f 2 formed by the ring body 20, and a relatively strong circulation flow f 2 is applied. Is formed.

또한, 도 59 중에 부호 6A로 도시한 바와 같이, 벨마우스(5)의 공기 흡입구(6)의 내경(D0)을 크게 한 경우라도, 상기 비교적 강한 순환류(f2)가 블레이드(3),(3A)의 내측까지 깊에 들어가지 않고 링체(20) 부근에서 부드럽게 순환한다. 그 결과, 양호한 송풍 성능을 실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by the symbol 6A in FIG. 59, even when the inner diameter D 0 of the air intake port 6 of the bell mouse 5 is increased, the relatively strong circulation flow f 2 is applied to the blade 3, It circulates smoothly in the vicinity of the ring body 20 without entering the depth to the inside of 3A. As a result, good blowing performance can be realized.

(B) 블레이드(3) 팁(3C)이 회전 방향 후방으로 경사진 후방 경사 블레이드(3B)인 경우 (B) When the blade (3) tip (3C) is a rear inclined blade (3B) inclined rearwar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이 경우, 예컨대 도 6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3),(3B)가 링체(20)에 의해 형성되는 순환류(f2)를 흡입하기 어려운 방향으로 작용한다. In this cas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0, the blades 3 and 3B act in a direc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suck the circulation flow f 2 formed by the ring body 20.

또한, 도 59 중에 부호 6B로 도시한 바와 같이, 벨마우스(5)의 공기 흡입구(6)의 내경(D0)을 작게 한 경우라도, 상기 강한 순환류(f2)가 블레이드(3),(3B)의 내측까지 깊게 들어가지 않고, 링체(20) 부근에서 부드럽게 순환한다. 그 결과, 역시 양호한 송풍 성능을 실현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by the symbol 6B in FIG. 59, even when the inner diameter D 0 of the air intake port 6 of the bell mouse 5 is made small, the strong circulation flow f 2 causes the blade 3, ( It circulates smoothly in the vicinity of the ring body 20 without going deeply inside 3B). As a result, good blowing performance can also be realized.

양산성이 뛰어나고 비용 저감이 가능하며, 저소음 또한 고효율의 원심 송풍기 및 그 원심 송풍기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에 적용가능하다.  It is excellent in mass production and cost reduction, and it is applicable to the low noise and high efficiency centrifugal blower and the air conditioner provided with the centrifugal blower.

Claims (20)

축심부에 모터(4)의 회전축(4a)이 연결되는 허브(2)와, 상기 허브(2)의 외주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어 입설되고, 그 전연(3a)이 회전 방향 전방을 향하여 경사진 복수의 블레이드(3)로 이루어진 임펠러(1)를 구비하고, 상기 임펠러(1)의 공기 흡입측에 공기 흡입구(6)를 갖는 벨마우스(5)를 배치하여 이루어진 원심 송풍기로서, 상기 임펠러(1)의 취출측으로부터 상기 벨마우스(5)에서의 공기 흡입구(6)의 배면측을 통과하여 재차 상기 임펠러(1)로 흡입되는 순환류(f2)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The hub 2 to which the rotating shaft 4a of the motor 4 is connected to the shaft center part, and the outer peripheral part of the hub 2 ar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leading edge 3a is moved forward in the rotation direction. A centrifugal blower comprising an impeller (1)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blades (3) inclined toward the air, and a bell mouse (5) having an air inlet (6) on an air intake side of the impeller (1). Configured to form a circulating flow f 2 which passes from the blowout side of the impeller 1 to the back side of the air inlet 6 at the bell mouse 5 and is again sucked into the impeller 1, 상기 임펠러(1)에서의 블레이드(3)의 축방향 선단부에는 원심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링체(9),(20)를 부설하고,Ring bodies 9 and 20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are attached to the axial distal end of the blade 3 in the impeller 1, 상기 링체(20)의 원심 방향 폭을 H, 상기 임펠러(1)에서의 블레이드(3)의 외경을 D2로 하였을 때, 0.05<ki=H/D2<0.225가 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송풍기.When the centrifugal width of the ring body 20 is set to H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blade 3 in the impeller 1 is set to D 2 , it is set to be 0.05 <ki = H / D 2 <0.225. Centrifugal blower. 축심부에 모터(4)의 회전축(4a)이 연결되는 허브(2)와, 상기 허브(2)의 외주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어 입설되고, 그 전연(3a)이 회전 방향 전방 및 회전 방향 후방의 어느 방향을 향하더라도 경사지지 않는 복수의 블레이드(3)로 이루어진 임펠러(1)를 구비하고, 상기 임펠러(1)의 공기 흡입측에 공기 흡입구(6)를 갖는 벨마우스(5)를 배치하여 이루어진 원심 송풍기로서, 상기 임펠러(1)의 취출측으로부터 상기 벨마우스(5)에서의 공기 흡입구(6)의 배면측을 통과하여 재차 상기 임펠러(1)로 흡입되는 순환류(f2)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The hub 2 to which the rotating shaft 4a of the motor 4 is connected to the shaft center part, and the outer periphery part of the hub 2 ar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leading edge 3a is forwardly rotated and A bell mouse 5 having an impeller 1 made up of a plurality of blades 3 which are not inclined in any direction behind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having an air inlet 6 on the air intake side of the impeller 1. A centrifugal blower formed by placing a circulating flow (f 2 ) which is sucked into the impeller (1) again from the blowout side of the impeller (1) through the back side of the air inlet (6) at the bell mouth (5). Configure it to form 상기 임펠러(1)에서의 블레이드(3)의 축방향 선단부에는 원심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링체(9),(20)를 부설하고,Ring bodies 9 and 20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are attached to the axial distal end of the blade 3 in the impeller 1, 상기 링체(20)의 원심 방향 폭을 H, 상기 임펠러(1)에서의 블레이드(3)의 외경을 D2로 하였을 때, 0.05<ki=H/D2<0.225가 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송풍기.When the centrifugal width of the ring body 20 is set to H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blade 3 in the impeller 1 is set to D 2 , it is set to be 0.05 <ki = H / D 2 <0.225. Centrifugal blower.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임펠러(1)에서의 블레이드(3)의 전체가 회전 방향을 따라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송풍기.Centrifugal blower, characterized in that the entire blade (3) in the impeller (1) is inclined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임펠러(1)에서의 블레이드(3)의 전체가 회전 방향과는 반대측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송풍기.Centrifugal blower, characterized in that the entire blade (3) in the impeller (1) is inclined in the opposite side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임펠러(1)에서의 블레이드(3)의 팁이, 회전 방향을 따라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송풍기.Centrifugal blower, characterized in that the tip of the blade (3) in the impeller (1) is inclined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임펠러(1)에서의 블레이드(3)의 팁이 회전 방향과는 반대측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송풍기.Centrifugal blower, characterized in that the tip of the blade (3) in the impeller (1) is inclined in the opposite side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벨마우스(5)에서의 공기 흡입구(6)의 내경을 D0, 상기 임펠러(1)에서의 블레이드(3)의 내경을 D1, 상기 블레이드(3)의 외경을 D2로 하였을 때,When the inner diameter of the air inlet 6 at the bell mouse 5 is D 0 , the inner diameter of the blade 3 at the impeller 1 is D 1 ,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blade 3 is D 2 , 0<(D0-D1)/(D2-D1)<0.6이 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송풍기.A centrifugal blower characterized in that 0 <(D 0 -D 1 ) / (D 2 -D 1 ) <0.6 is set.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벨마우스(5)에서의 공기 흡입구(6)의 내경을 D0, 상기 임펠러(1)에서의 블레이드(3)의 내경을 D1, 상기 블레이드(3)의 외경을 D2로 하였을 때,When the inner diameter of the air inlet 6 at the bell mouse 5 is D 0 , the inner diameter of the blade 3 at the impeller 1 is D 1 ,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blade 3 is D 2 , -0.3<(D0-D1)/(D2-D1)<0.3이 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송풍기. Centrifugal blow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t so that -0.3 <(D 0 -D 1 ) / (D 2 -D 1 ) <0.3.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임펠러(1)의 취출측에는, 상기 임펠러(1)로부터의 취출 공기류를 경사지게 후방측으로 안내하는 경사류 디퓨저(23)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송풍기.The blower of the impeller (1), the centrifugal blow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flow diffuser (23) for guiding the blowout air flow from the impeller (1) to the rear side inclined.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임펠러(1)의 취출측에는, 상기 임펠러(1)로부터의 취출 공기류를 경사지게 후방측에서 원심 방향으로 안내하는 경사류 원심 디퓨저(23)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송풍기.A centrifugal blower characterized in that an inclined flow centrifugal diffuser (23) is provided on the take-out side of the impeller (1) to guide the take-out air flow from the impeller (1) in an oblique direction from the rear side to the centrifugal direction.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벨마우스(5)에서의 공기 흡입구(6)의 외주측에는 상기 순환류(f2)가 통과할 수 있는 유통 공간(S)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송풍기. A centrifugal blower characterized in that a distribution space (S) through which the circulation flow (f 2 ) can pass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air inlet (6) in the bell mouse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임펠러(1)에서의 각 블레이드(3)의 출구측 높이를 B, 상기 블레이드(3)의 외경을 D2로 하였을 때, B/D2≥0.113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송풍기.A centrifugal blower characterized in that B / D 2? 0.113 when the exit height of each blade (3) in the impeller (1) is B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blade (3) is D 2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임펠러(1)를 구성하는 허브(2)의 외경(D3)을, 상기 각 블레이드(3)의 외경(D2)보다 작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송풍기.A centrifugal blow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diameter (D 3 ) of the hub (2) constituting the impeller (1) is set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D 2 ) of each of the blades (3). 청구항 15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상기 임펠러(1)에서의 각 블레이드(3)의 출구측 높이를 B, 상기 블레이드(3)의 외경을 D2로 하였을 때, B/D2≥0.08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송풍기. A centrifugal blower characterized in that B / D 2? 0.08 when the exit height of each blade (3) in the impeller (1) is B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blade (3) is D 2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임펠러(1)에서의 블레이드(3)의 매수가 5매 내지 15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송풍기.Centrifugal blower,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blades (3) in the impeller (1) is 5 to 15 sheets.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임펠러(1)에서의 블레이드(3)의 매수가 20매 내지 50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송풍기.Centrifugal blow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blades (3) in the impeller (1) is 20 to 50 sheets.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상기 임펠러(1)에서의 블레이드(3)의 매수가 30매 내지 72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송풍기.Centrifugal blower,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blades (3) in the impeller (1) is 30 to 72 sheets. 케이싱(13) 내에 형성된 통풍로(14)에 열교환기(15)와 송풍기(X)를 배치하여 이루어진 공기 조화 장치로서, 상기 송풍기(X)로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원심 송풍기를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An air conditioner formed by arranging a heat exchanger (15) and a blower (X) in a ventilation path (14) formed in a casing (13), and as the blower (X), the centrifug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air conditioner which adopted the blower.
KR1020077000947A 2004-07-14 2005-07-14 Centrifugal blower and air conditioner with centrifugal blower KR1008241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0947A KR100824149B1 (en) 2004-07-14 2005-07-14 Centrifugal blower and air conditioner with centrifugal blow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07288 2004-07-14
JPJP-P-2004-00366076 2004-12-17
JPJP-P-2005-00195654 2005-07-05
KR1020077000947A KR100824149B1 (en) 2004-07-14 2005-07-14 Centrifugal blower and air conditioner with centrifugal blow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5568A KR20070035568A (en) 2007-03-30
KR100824149B1 true KR100824149B1 (en) 2008-04-21

Family

ID=41345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0947A KR100824149B1 (en) 2004-07-14 2005-07-14 Centrifugal blower and air conditioner with centrifugal blow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414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418B1 (en) * 2014-06-17 2016-06-21 잘만테크 주식회사 Ceiling fan including light part and ceiling fan system
CN112262286A (en) * 2018-04-06 2021-01-22 Lg电子株式会社 Fan assembly and air conditioner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49711A (en) 1973-09-05 1975-05-02
JPH05302600A (en) * 1992-02-28 1993-11-16 Nippondenso Co Ltd Centrifugal blower
JPH07224796A (en) * 1994-02-07 1995-08-22 Nippondenso Co Ltd Centrifugal sirocco fan
JP2001173596A (en) * 1999-12-21 2001-06-26 Mitsubishi Heavy Ind Ltd Multiblade blower
JP2002156128A (en) * 2000-09-05 2002-05-31 Lg Electronics Inc Turbo fan for air conditioner
JP2002357196A (en) * 2001-05-30 2002-12-13 Matsushita Seiko Co Ltd Centrifugal fan
JP2003172297A (en) * 2001-12-07 2003-06-20 Calsonic Kansei Corp Multiblade fa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49711A (en) 1973-09-05 1975-05-02
JPH05302600A (en) * 1992-02-28 1993-11-16 Nippondenso Co Ltd Centrifugal blower
JPH07224796A (en) * 1994-02-07 1995-08-22 Nippondenso Co Ltd Centrifugal sirocco fan
JP2001173596A (en) * 1999-12-21 2001-06-26 Mitsubishi Heavy Ind Ltd Multiblade blower
JP2002156128A (en) * 2000-09-05 2002-05-31 Lg Electronics Inc Turbo fan for air conditioner
JP2002357196A (en) * 2001-05-30 2002-12-13 Matsushita Seiko Co Ltd Centrifugal fan
JP2003172297A (en) * 2001-12-07 2003-06-20 Calsonic Kansei Corp Multiblade f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5568A (en) 2007-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79764B2 (en) Centrifugal blower
JP4581992B2 (en) Centrifugal blower an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the centrifugal blower
US8870541B2 (en) Centrifugal multiblade fan
JP4946396B2 (en) Centrifugal blower
EP2535594A1 (en) Centrifugal blower
JP6914371B2 (en) Axial blower
AU2007234497B8 (en) Multiblade centrifugal blower
JP3949663B2 (en) Centrifugal impeller
JP2018132012A (en) Electric blower, electric cleaner, and impeller manufacturing method
JP2003232295A (en) Centrifugal fan and cooker equipped with the centrifugal fan
JP3677214B2 (en) Axial fan
CN113453603A (en) Vortex finder for a cyclone separator
JP5682751B2 (en) Multi-blade blower
KR100824149B1 (en) Centrifugal blower and air conditioner with centrifugal blower
CN111503019A (en) Centrifugal blower
JP3902193B2 (en) Multi-blade centrifugal blower
US20060110252A1 (en) Impeller for axial-flow heat-dissipating fan
KR100833379B1 (en) Centrifugal blowing appratus
JP3487238B2 (en) Bell mouth structure of blower
JPH08247091A (en) Centrifugal blower
CN217873415U (en) Blade and impeller, forward centrifugal fan and range hood with same
KR100459191B1 (en) turbo fan
WO2022049684A1 (en) Centrifugal blower
JP2874600B2 (en) Centripetal blower
JPH08165998A (en) Centrifugal blow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