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4146B1 - 멀티모드로 동작하는 wdm-pon 전송수렴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모드로 동작하는 wdm-pon 전송수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4146B1
KR100824146B1 KR1020060110891A KR20060110891A KR100824146B1 KR 100824146 B1 KR100824146 B1 KR 100824146B1 KR 1020060110891 A KR1020060110891 A KR 1020060110891A KR 20060110891 A KR20060110891 A KR 20060110891A KR 100824146 B1 KR100824146 B1 KR 100824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signal
pon
wdm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0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안
정해
윤호성
김진희
강대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60110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41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4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4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7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or provisioning [OAMP] of WDM networks, e.g. media access, routing or wavelength al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모드로 동작하는 WDM-PON(WDM-passive optical network) 전송수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가입자 전송신호를 각각 수용하는 미디어 제어 계층과, 상기 미디어 제어 계층으로부터 각각 수용된 가입자 전송신호를 바이패스하거나 특정 프레임으로 매핑하고 그 전송속도를 정합하며 광전변환 또는 전광변환을 수행하는 전송수렴 계층과, 상기 전송수렴 계층으로부터 처리된 신호를 수신하여 하나의 파장으로 전부 또는 일부를 수용하거나 각 파장마다 서로 다른 별개의 신호를 하나씩 대응시켜 출력하는 물리계층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WDM-PON에서 이더넷신호, 패킷/TDM신호, 및 ATM신호 등 다양한 가입자 전송신호에 따라 바이패스하거나 특정 프레임으로 매핑시켜 광전변환 또는 전광변환함으로써 WDM 전송속도에 가변적으로 대응시키는 기술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멀티모드로 동작하는 WDM-PON 전송수렴장치{WDM-PON TRANSMISSION CONVERGENCE APPARATUS FOR OPERATING IN MULTI MOD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드 전송수렴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멀티모드 전송수렴장치의 세부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미디어 제어 계층(MAC) 200 : 전송수렴계층(WTC)
300 : 물리계층(PMD) 110 : 이더넷 신호 인터페이스부
120 : 패킷/TDM 신호 인터페이스부 130 : ATM 신호 인터페이스부
220 : WTC 맵퍼 240 : WTC 컨버터
221 : 이더넷 어댑터 222 : GFP 어댑터
223 : ATM 어댑터 241 : WTC 프레이머
242 : 대역정합기
본 발명은 멀티모드로 동작하는 WDM-PON(WDM-passive optical network) 전송수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WDM-PON에서 이더넷신호, 패킷/TDM 신 호, 및 ATM 신호 등 다양한 가입자 전송신호에 따라 바이패스하거나 특정 프레임으로 매핑시켜 광전변환 또는 전광변환함으로써 WDM 전송속도에 가변적으로 대응하여 멀티모드로 동작하는 전송수렴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기존의 동선기반 네트워크에서 광케이블 기반 네트워크로의 전환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증가하는 네트워크의 요구 대역폭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파장분할 다중화(wavelength-division multiplexing:이하, WDM이라 칭함) 기술이 응용되고 있다.
WDM 기술은 하나의 광섬유에 여러 개의 서로 다른 파장을 갖는 광신호를 동시에 전송하는 방법으로 광섬유를 최소한으로 사용하면서 전송 용량을 안정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전송 기법이다.
이에, 최근 한정된 광섬유 인프라에서 WDM 기술을 응용한 파장분할 다중방식 수동 광가입자망 시스템(WDM-passive optical network; 이하, WDM-PON이라 칭함)이 적극 개발진행 중이다.
WDM-PON은 국사내 장치인 OLT에서 원격지점(remote node)까지 하나의 광케이블로 전송하고 원격노드에서 가입자 장치인 광종단장치(ONU;optical network unit)까지는 개별파장으로 전송하는 가입자망 기술이다.
이러한 WDM-PON은 FTTx(fiber to the any)를 구현함에 있어서 여타의 PON 방식보다도 더 높은 대역폭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각 파장에 대하여 어떠한 신호도 투명하게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WDM-PON의 전송수렴(TC:transmission convergence) 계층에 이더넷 신호 외의 가입자 전송신호 수용에 대한 기능이 정의되어 있지 않고, 개별 전송 신호를 수렴할 수 있는 방안이 정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종래의 WDM-PON은 상기와 같은 장점을 활용하지 못하고 단순히 이더넷 신호를 전달하는데 한정되어 이용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더넷신호, 패킷/TDM신호, 및 ATM신호 등 다양한 가입자 전송신호에 따라 바이패스하거나 특정 프레임으로 매핑하고, WDM-PON상에서 광전변환 또는 전광변환하여 WDM 전송속도에 가변적으로 대응하는 가능하도록 하여 멀티모드로 동작하는 전송수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드로 동작하는 파장분할 다중방식 수동 광가입자망 시스템(wavelength-division multiplexing-passive optical network; 이하, WDM-PON이라 함) 전송수렴장치는, 가입자 전송신호를 각각 수용하는 미디어 제어 계층과, 상기 미디어 제어 계층으로부터 각각 수용된 가입자 전송신호를 바이패스하거나 특정 프레임으로 매핑하고 그 전송속도를 정합하며 광전변환 또는 전광변환을 수행하는 전송수렴 계층과, 상기 전송수렴 계층으로부터 처리된 신호를 수신하여 하나의 파장으로 전부 또는 일부를 수용하거나 각 파장마다 서로 다른 별개의 신호를 하나씩 대응시켜 출력하는 물리계층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드로 동작하는 WDM-PON 전송수렴장치는, 가입자 전송 신호를 각각 전송수렴하는 맵퍼와, 상기 맵퍼로부터 수신한 상기 가입자 전송신호에 대한 프레임의 생성 및 변환하고 그 전송속도를 정합하는 컨버터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멀티모드 전송수렴장치의 구성도로서, 상위 계층인 미디어 제어 계층(MAC;100)과 하위계층인 물리계층(PMD;300) 사이에 전송수렴계층(WTC;200)이 접속되는 구조를 도시한다.
미디어 접속 제어 계층(MAC;100)은 이더넷(ethernet)신호 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형태의 패킷과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신호(음성포함) 및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신호 등을 수용하여 멀티모드 전송수렴계층(200)과 송수신한다. 이를 위해, 미디어 접속 제어 계층(MAC;100)은 각 신호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며, 이에 대해서는 추후, 도 2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멀티모드 전송수렴계층(200)은 미디어 제어 계층(MAC;100)을 통해 수신한 신호들을 입력원으로 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원을 선택하고 고유 프레임을 구성한 후, 출력신호의 전광변환 또는 광전변환을 수행하고 그 전송 대역을 결정하고 유지보수(OAM) 기능을 수행하여 물리계층(300)으로 전송한다. 이때, 유지보수(OAM) 기능은 전송수렴장치의 속도를 결정하는 파라미터 설정기능, 장애/경보 기능, 상태보고 기능 등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멀티모드 전송수렴계층(200)은 가입자 전송 신호를 내부의 각 어뎁터(도 2를 통해 설명하기로 함)로의 매핑을 수행하는 WTC 맵퍼(220)와 WTC 맵퍼(220)로부터 수신한 신호들에 대한 프레임을 생성하고 변환하며 그 전송 속도를 정합하는 WTC 컨버터(2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WTC 맵퍼(220)는 미디어 제어 계층(MAC)과 연동하여, 여러 가지 가입자 전송 신호(이더넷신호, 패킷/TDM신호, 및 ATM신호)를 내부의 각 어댑터(추후, 도 2에 도시)에 매핑시키기 위한 계층이다. 이를 위해, WTC 맵퍼(220)는 미디어 접속 제어 계층(MAC;100)으로부터 수신한 각 신호를 처리하는 각각의 어뎁터를 구비하며 이에 대해서는 추후, 도 2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WTC 컨버터(240)는 WTC 맵퍼(220)와 WDM-PON 물리계층(PMD:Physical Media Dependent)(300) 사이에 구비되며, 데이터의 전기적 신호가 광 신호로 변환되기 직전(송신 시) 또는 광 신호가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직후(수신 시)에 필요한 처리 과정을 담당하는 계층이다. 이를 위한 WTC 컨버터(24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추후, 도 2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WDM 물리계층(PMD;300)은 멀티모드 전송수렴계층(200)을 통해 처리된 신호를 수신한 후, 하나의 파장으로 전부 또는 일부를 수용하거나, 각 파장마다 서로 다른 별개의 신호를 하나씩만 대응시켜 가입자 장치인 광종단장치(ONU;optical network unit)로 개별파장으로 전송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도 1의 멀티모드 전송수렴장치의 세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멀티모드 전송수렴장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디어 제어 계층(MAC;100), 멀티모드 전송수렴계층(200), 물리계층(PMD;30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특히, 미디어 제어 계층(MAC:100)은 이더넷신호 인터페이스부(110), 패킷/TDM 신호 인터페이스부(120), 및 ATM 신호 인터페이스부(130)를 구비한다. 이더넷신호 인터페이스부(110)는 이더넷신호를 수용하고, 패킷/TDM신호 인터페이스부(120)는 패킷신호 또는 TDM신호를 수용하며, ATM 신호 인터페이스부(130)는 ATM신호를 수용한다.
멀티모드 전송수렴계층(200)은 WTC 맵퍼(220) 및 WTC 컨버터(240)를 구비한다.
WTC 맵퍼(220)는 이더넷 어댑터(221), GFP(Generic Framing Procedure, ITU-T G.984) 어댑터(222), 및 ATM 어댑터(223)를 구비한다.
이더넷 어댑터(221)는 이더넷 신호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에 동작하는 것으로 이더넷 신호 인터페이스부(110)와 연동되어 이더넷 신호를 이더넷 프레임형태 또는 이더넷 수동광가입자망(Ethernet-PON; 이하, E-PON라 칭함) 형태로 수용한다. 이때, 이더넷 어댑터(221)는 E-PON 전송수렴 기능을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GFP 어댑터(222)는 이더넷 신호 인터페이스부(110) 및 패킷/TDM 신호 인터페이스부(120)와 연동하여 이더넷 신호 및 패킷/TDM신호를 각각 GFP(Generic Framing Procedure)로 수용하는 전송 수렴의 일부 계층 기능 블럭이다.
ATM 어댑터(223)는 ATM 신호(130)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에 동작하는 것으로, ATM 신호 인터페이스부(130)와 연동하여 ATM 신호를 ATM 프레임 형태로 수용하거나 광대역 수동광가입자망(Broadband-PON; 이하, B-PON라 칭함) 형태로 수용한다. 이때, ATM 어댑터(223)는 B-PON 전송수렴 기능을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구성을 통해, 이더넷 신호를 E-PON 신호로 송신하고자 할 경우는 이더넷 어댑터(221)로 송출하고, 이더넷 신호 및 패킷/TDM 신호를 G-PON(Gigabit-PON) 신호로 송신하고자 할 경우는 GFP어댑터(222)로 송출하며, ATM신호를 B-PON형태로 송신하고자 할 경우 ATM 어댑터(223)로 송출한다. 이는 실제 운용자가 그 동작모드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G-PON은 ITU-T G.984 및 FSAN등에서 표준화된 기술로서, GEM(GEP Encapsulation Procedure) 방식을 통해 TDM 기법으로 종속신호를 처리합니다. 속도는 최대 2.4G/down, 2.4G/up이고, 64분이기 이상이며 거리는 보통 20km 전송거리를 갖는다.
한편, WTC 컨버터(Converter;240)는 WTC 프레이머(Framer;241) 및 대역 정합기(Rate Adpater;242)를 구비한다.
WTC 프레이머(241)는 125μs주기로 프레임을 구성하는 고유한 구조를 가지며, GFP 어댑터(222) 및 ATM 어댑터(223)로부터 수신한 신호들에 대해 신호 전송을 위한 일정 규격을 맞추기 위해 프레임을 생성하고, 생성된 프레임에 대하여 다중화 및 역다중화를 수행한다.
이때, WTC 프레이머(241)는 고유의 프레임 헤더를 생성하고, 경보정보를 생 성 및 처리 할 수 있다. 여기서, 경보정보는 프레임의 양 즉, 트래픽 양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이에, WTC 프레이머(241)는 경보정보를 통해 프레임의 양을 측정하여 그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안정적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WTC 프레이머(241)는 페이로드(Payload) 내부에 있는 ID (Identification)를 통하여 대응되는 WTC 맵퍼(220)내의 GFP 어댑터(222) 및 ATM 어댑터(223)와의 라우팅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WTC 프레이머(241)는 전기적 신호가 광 신호로 변환되기 직전에 혼화(scrambling)를 하고, 광 신호가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 직후에 역혼화(descrambling)를 하여 전송 오류를 최소화 시킨다. 또한, WTC 프레이머(241)는 유지보수(OAM) 기능을 수행한다.
대역 정합기(242)는 멀티모드 전송수렴계층(200)의 제공 대역을 설정하기 위한 대역 설정 기능을 수행한다. WDM-PON은 광 신호가 진행되는 거리와 파장의 길이에 따라 감쇄의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제공 대역 성능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예들 들어, 파장당 수십 Mbps에서 수백 Mbps까지 전송 가능하므로, WDM-PON의 구성요소 중에 국사에 위치하는 OLT(Optical Line Termination)와 가입자 측에 위치하는 ONU(Optical Network Unit)는 제공 대역 설정시에 주어진 환경에서 최적의 전송률을 결정하게 된다. 이렇게 설정된 전송률은 각각의 파장에 대하여 물리적인 신호를 전송하는데 있어 전송 한계 값이 되며, WTC 프레이머(241)의 동작속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세부 구성을 갖는 멀티모드 전송수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아 래와 같다.
먼저, WTC 맵퍼(200)는 미디어 제어 계층(100)의 각 인터페이스부((110, 120, 130)에 수용된 가입자 전송신호를 각각 어댑터(221~223)에 매핑시키고, 각 어댑터(221~223)는 각 신호를 전송수렴하여 WTC 프레이머(241)를 통해 대역정합기(241)로 전송하거나 WTC 프레이머(241)를 거치지 않고 바로 대역정합기(241)로 전송한다.
즉, 멀티모드 전송수렴장치는 전송하고자 하는 여러 가지 신호들을 WTC 프레이머(241)를 통해 고유한 프레임의 페이로드(Payload)를 통해 전달할 수도 있고, 전송 신호의 변환없이 그냥 통과(Bypass)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은 WDM-PON에서 하나의 파장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WTC 프레이머(241)는 GFP 어댑터(222) 및 ATM 어댑터(223)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대하여 프레임을 생성하고 프레임을 다중화하고 프레임헤더 및 경보정보를 생성하고 유지보수(OAM)기능을 수행하여 대역 정합기(242)로 전송한다. 이에, 대역정합기(242)는 대역을 정합하여 물리계층(300)로 전달한다.
이하, 본 발명의 멀티모드 전송수렴장치의 몇 가지 경우에 대한 동작에 대한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첫째, WDM-PON을 hybrid-PON의 하부 전달자로 사용하는 경우이다.
본 발명의 멀티모드 전송수렴계층(200)에서는 해당 프레임을 프레이머(241)를 거치지 않고 그냥 통과(Bypass)시킨다. 이는 각각의 TDMA-PON 자체가 이미 전송수렴(TC)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이며, 이 경우에 WDM-PON은 하나의 파장으로 하여 금 여타 PON이 요구하는 전송률과 광 특성만 만족시켜주면 된다.
여기서, hybrid-PON은 대용량의 가입자를 수용하기 위하여 WDM-PON이 제공하는 하나의 파장에 TDMA-PON(예, Broadband-PON, Ethernet-PON, Gigabit-PON 등)을 수용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을 혼합 방식으로 동작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둘째, 하나의 파장에 단 한가지 신호만을 매핑하는 경우이다. 이 때, 적용되는 대표적인 신호로 이더넷(Ethernet)신호를 들 수 있다. 이 경우의 전송수렴장치는 대역정합기(242)의 전송률 정합 기능만 제공한다. WTC 프레이머(241)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구현이 단순하나, 이더넷의 물리계층의 전송 오버헤더(약 25 %)를 그대로 적용 받으므로 전송효율이 낮아지고, 멀티모드 전송수렴계층(200)에서 제공하는 경보정보 및 OAM 기능을 이용하지 못하는 특징이 있다.
셋째, 하나의 파장에 여러 가지 신호를 매핑하는 경우이다. 이 때, 이더넷 신호 인터페이스부(110) 및 패킷/TDM 신호 인터페이스부(120)로부터 수신된 이더넷신호 및 패킷/TDM신호는 GFP 어댑터(222)를 통하여 WTC 프레임에 다중화 되고, ATM 신호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수신된 ATM신호는 ATM 어댑터(223)를 통해 다중화된다. 이때, 이더넷 신호를 WTC 프레이머(241)를 통해 전달할 경우, WTC 프레이머(241)는 자체적인 혼화 기능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4B/5B 코딩을 생략할 수 있게 되고, 약 25 %에 근접하는 대역폭 효율 증가를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 멀티모드 전송수렴장치는 기존 가입자망의 여러 전송신호 형태를 동시에 수용해서 운용 가능하며, WTC 프레이머(241)에서 생성되는 프레임에 포함된 헤더의 정보를 통해 경보정보 및 유지보수(OAM) 기능을 제공받아 안정적 전송이 가 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멀티모드 전송수렴장치는 WDM-PON의 성능에 따른 전송 대역 설정에 따라 WDM 전송 성능을 효율적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Hybrid-PON 처럼 입력되는 전송신호를 전송수렴장치에서 통과시키는 경우라 할지라도 기존 가입자망의 여러 전송신호 형태를 동시에 수용해서 운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에 포함된 헤더의 정보를 통해 경보정보 및 유지보수(OAM)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전송이 가능하게 하고 WDM-PON의 성능에 따른 전송 대역 설정에 따라 WDM 전송 성능을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통해 다양한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가입자 전송신호를 각각 수용하는 미디어 제어 계층;
    상기 미디어 제어 계층으로부터 각각 수용된 상기 가입자 전송 신호를 바이패스하거나 각각의 고유 프레임을 매핑함으로써 광전변환 또는 전광변환을 수행하고, 변환된 출력 신호의 전송 속도 정합 및 전송 대역 결정을 수행하며, 유지 보수 기능(OAM)을 수행하는 전송수렴 계층; 및
    상기 전송수렴 계층으로부터 처리된 상기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하나의 파장으로 전부 또는 일부를 수용하거나 각 파장마다 서로 다른 별개의 신호를 하나씩 대응시켜 출력하는 물리계층을 포함하는 멀티모드로 동작하는 WDM-PON(WDM-passive optical network) 전송수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제어 계층은,
    상기 가입자 전송신호 중 이더넷신호를 수용하는 이더넷 신호 인터페이스부;
    상기 가입자 전송신호 중 패킷/TDM 신호를 수용하는 패킷/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신호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가입자 전송신호 중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신호를 수용하는 ATM 신호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로 동작하는 WDM-PON 전송수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수렴 계층의 유지 보수 기능은 파라미터 설정 기능, 장애/경보 기능, 및 상태 보고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로 동작하는 WDM-PON 전송수렴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수렴 계층은,
    상기 가입자 전송 신호를 각각 매핑하는 맵퍼; 및
    상기 맵퍼로부터 수신한 상기 가입자 전송신호에 대한 프레임을 생성하고 변환하며 그 전송속도를 정합하는 컨버터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로 동작하는 WDM-PON 전송수렴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맵퍼는,
    상기 이더넷 신호를 이더넷 프레임 형태 또는 E-PON 형태로 전송수렴하는 이더넷 어댑터;
    상기 이더넷 신호 및 상기 패킷/TDM신호를 GFP(Generic Framing Procedure)로 전송수렴하는 GFP 어댑터; 및
    상기 ATM 신호를 ATM 프레임 형태 또는 B-PON(Broadband-PON) 형태로 전송수렴하는 ATM 어댑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로 동작하는 WDM-PON 전송수렴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는,
    상기 GFP 어댑터 및 상기 ATM 어댑터로부터 출력된 신호들에 대한 고유 프레임을 생성하는 프레이머; 및
    상기 프레이머의 출력신호와 상기 이더넷 어댑터 및 상기 ATM 어댑터를 통해 수신한 출력신호에 대한 제공대역을 결정하는 대역 정합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로 동작하는 WDM-PON 전송수렴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이머는,
    상기 GFP 어댑터 및 상기 ATM 어댑터로부터 출력된 신호들에 대한 고유 프레임에 대하여 다중화 및 역다중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로 동작하는 WDM-PON 전송수렴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이머는,
    상기 프레임 생성 시, 상기 프레임의 트래픽의 흐름제어를 위한 경보정보를 생성하여 유지보수(OAM) 기능을 수행하며, 페이로드 내부에 있는 ID를 통해 대응되는 각 어댑터와의 라우팅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로 동작하는 WDM-PON 전송수렴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이머는,
    상기 경보정보를 통해 상기 프레임의 트래픽 양을 측정한 후, 상기 트래픽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로 동작하는 WDM-PON 전송수렴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정합기는,
    광신호의 진행거리와 파장길이에 따른 대역성능에 따라 상기 제공대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로 동작하는 WDM-PON 전송수렴장치.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정합기는,
    상기 물리계층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를 상기 프레임의 페이로드를 통해 전달하거나, 운용설정에 따라 전송신호의 변환없이 바이패스(bypass)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로 동작하는 WDM-PON 전송수렴장치.
  12. 가입자 전송 신호를 각각 전송수렴하는 맵퍼 및 상기 맵퍼로부터 수신한 상기 가입자 전송신호에 대한 프레임을 생성 및 변환하고, 그 전송속도를 정합하는 컨버터를 포함하는 멀티모드로 동작하는 WDM-PON 전송수렴장치로서,
    상기 맵퍼는 이더넷 신호를 이더넷 프레임 형태 또는 E-PON 형태로 전송수렴하는 이더넷 어댑터;
    상기 이더넷 신호 및 패킷/TDM(time division multiplexing)신호를 GFP(Generic Framing Procedure)로 전송수렴하는 GFP 어댑터; 및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신호를 ATM 프레임 형태 또는 B-PON(Broadband-PON) 형태로 전송수렴하는 ATM 어댑터를 포함하는 멀티모드로 동작하는 WDM-PON 전송수렴장치.
  13. 삭제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는,
    상기 GFP 어댑터 및 상기 ATM 어댑터로부터 출력된 신호들에 대한 고유 프레임을 생성하는 프레이머; 및
    상기 프레이머의 출력신호와 상기 이더넷 어댑터 및 상기 ATM 어댑터를 통해 수신한 출력신호에 대한 제공대역을 결정하는 대역 정합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로 동작하는 WDM-PON 전송수렴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이머는,
    상기 GFP 어댑터 및 상기 ATM 어댑터로부터 출력된 신호들에 대한 고유 프레임에 대하여 다중화 및 역다중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로 동작하는 WDM-PON 전송수렴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이머는,
    상기 프레임 생성 시, 상기 프레임의 트래픽의 흐름제어를 위한 경보정보를 생성하여 유지보수(OAM) 기능을 수행하며, 페이로드 내부에 있는 ID를 통해 대응되는 각 어댑터와의 라우팅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로 동작 하는 WDM-PON 전송수렴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이머는,
    상기 경보정보를 통해 상기 프레임의 트래픽 양을 측정한 후, 상기 트래픽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로 동작하는 WDM-PON 전송수렴장치.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정합기는,
    광신호의 진행거리와 파장길이에 따른 대역성능에 따라 상기 제공대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로 동작하는 WDM-PON 전송수렴장치.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정합기는,
    상기 물리계층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를 상기 프레임의 페이로드를 통해 전달하거나, 운용설정에 따라 전송신호의 변환없이 바이패스(bypass)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로 동작하는 WDM-PON 전송수렴장치.
KR1020060110891A 2006-11-10 2006-11-10 멀티모드로 동작하는 wdm-pon 전송수렴장치 KR100824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891A KR100824146B1 (ko) 2006-11-10 2006-11-10 멀티모드로 동작하는 wdm-pon 전송수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891A KR100824146B1 (ko) 2006-11-10 2006-11-10 멀티모드로 동작하는 wdm-pon 전송수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4146B1 true KR100824146B1 (ko) 2008-04-21

Family

ID=39572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0891A KR100824146B1 (ko) 2006-11-10 2006-11-10 멀티모드로 동작하는 wdm-pon 전송수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41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41247B2 (en) 2003-06-10 2023-05-02 Alexander Soto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high-speed communications over fiber optical network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294A (ko) * 2001-06-08 2002-12-16 주식회사 케이티 수동광분기망에서 전송수렴계층 기능을 위한 데이터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20040110153A (ko) * 2003-06-18 2004-12-31 주식회사 케이티 광 가입자망 구성장치
KR20050017223A (ko) * 2003-08-11 2005-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장 고정을 이용한 파장 분할 다중화 수동형 광 가입자망
KR20050061893A (ko) * 2003-12-18 2005-06-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Wdm/scm 기반 수동 광 통신망의 종단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294A (ko) * 2001-06-08 2002-12-16 주식회사 케이티 수동광분기망에서 전송수렴계층 기능을 위한 데이터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20040110153A (ko) * 2003-06-18 2004-12-31 주식회사 케이티 광 가입자망 구성장치
KR20050017223A (ko) * 2003-08-11 2005-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장 고정을 이용한 파장 분할 다중화 수동형 광 가입자망
KR20050061893A (ko) * 2003-12-18 2005-06-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Wdm/scm 기반 수동 광 통신망의 종단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41247B2 (en) 2003-06-10 2023-05-02 Alexander Soto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high-speed communications over fiber optical network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0659B2 (en) Method and a system for transporting of data with integrated protocol mapping function
JP4942680B2 (ja) 受動光網システム、光多重終端装置及び受動光網システムの通信方法
US8145055B2 (en) 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optical line terminator and optical network unit
US20090110398A1 (en) Electrical point-to-multipoint repeater for PON
US8059962B2 (en) Interleaving for 10G GPON
US20120093509A1 (en) Optical multiplexing terminating device, wave-length multiplexing 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and downstream wave-length transmission method
US20080260385A1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gigabit passive optical network
EP2285019B1 (e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KR20070006767A (ko) 다중 서비스 또는 프로토콜을 수용하는 반송파류 파장 분할다중방식 수동 광통신망 시스템 및 장치
JP2008532448A (ja) 光学伝送システム
KR20150145128A (ko) Xg-pon 링크에서 g-pon 서비스의 수용을 위한 프레임 변환 기반의 중간 경로 확장 장치 및 방법
JP4994300B2 (ja) 光終端装置
Gupta et al. Passive optical networks: Review and road ahead
US20090263133A1 (en)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parent station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and child station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US906558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network
KR20170001051A (ko) 시분할다중화 및 파장분할다중화 방식을 적용한 차세대 수동 광 네트워크 종단 장치
KR100824146B1 (ko) 멀티모드로 동작하는 wdm-pon 전송수렴장치
KR100675137B1 (ko) Wdm-pon 시스템에서의 oam 데이터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KR100865989B1 (ko) Wdm-pon 파장중첩 전송수렴장치 및 그 파장중첩전송수렴방법
EP2071860B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bidirectional transport of data
KR20120074357A (ko) 광 신호 전송을 위한 수동형 광 네트워크 장치
KR100547782B1 (ko) 광신호 전송 시스템
JP2013046132A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親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