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1756B1 - A nozzle for cleaner - Google Patents

A nozzle for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1756B1
KR100821756B1 KR1020060121456A KR20060121456A KR100821756B1 KR 100821756 B1 KR100821756 B1 KR 100821756B1 KR 1020060121456 A KR1020060121456 A KR 1020060121456A KR 20060121456 A KR20060121456 A KR 20060121456A KR 100821756 B1 KR100821756 B1 KR 100821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nozzle
cleaner
passage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14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경선
현기탁
장종규
정창욱
신진혁
조성구
최규천
황근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1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1756B1/en
Priority to PCT/KR2007/005001 priority patent/WO2008069430A1/en
Priority to EP07833312.7A priority patent/EP2101623B1/en
Priority to RU2009125596/12A priority patent/RU2410997C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1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17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A nozzle for a cleaner is provided to form swirl due to the movement of air by crossing recessed grooves formed at adjacent compartments, thereby sucking impurities on a carpet easily. A nozzle for a cleaner comprises a suction port(50) for sucking air and impurities, a suction passage(60), plural partitions(70), and a recessed groove(80). The suction passages communicated with the suction port guide the air and impurities outside to the suction port to have at least two directional components. The plural partitions formed between the suction passages divide adjacent suction passages. The recessed grooves formed at the partitions are capable of flowing air between the adjacent passages. The width of the partitions varies to one side, and is taper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The recessed grooves are formed along the partitions at regular intervals. The depth of the recessed grooves is smaller than the depth of the suction passages.

Description

청소기의 노즐{A nozzle for cleaner}A nozzle for cleaner

도 1은 일반적인 청소기의 외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configuration of a general cleaner.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청소기 흡입노즐의 저면도.Figure 2 is a bottom view of the vacuum cleaner suction nozz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 흡입노즐 바닥면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 구성을 보인 흡입노즐 바닥면의 저면 사시도.Figure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suction nozzle bottom surface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configuration of the cleaner suction nozzle bottom surfac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흡입노즐 바닥면의 저면도.4 is a bottom view of the suction nozzle bottom surface shown in FIG. 3.

도 5는 도 4의 I-I'부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 of FIG. 4.

도 6은 도 4의 J-J'부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J-J 'of FIG. 4.

도 7은 도 4의 K-K'부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K-K 'of FIG.

도 8은 도 4에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 흡입노즐 바닥면에서 공기와 이물질이 유동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8 is a use state showing a state in which air and foreign matter flow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leaner suction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 흡입노즐 바닥면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흡입노즐 바닥면의 저면 사시도.Figure 9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suction nozzle bottom surface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vacuum cleaner suction nozzle bottom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40. 노즐바닥면 50. 흡입구40. Nozzle bottom 50. Inlet

60. 흡입유로 70. 구획벽60. Suction channel 70. Partition wall

80. 요홈80. Home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첩되는 흡입유로를 구획하는 구획벽에 다수의 요홈을 형성하여 청소 능률을 향상시키는 청소기의 흡입노즐 바닥면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ction nozzle bottom structure of a cleaner that improves cleaning efficiency by forming a plurality of grooves in 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an overlapping suction passage.

도 1에는 일반적인 종래의 진공청소기가 도시되어 있다.1 shows a typical conventional vacuum cleaner.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하도록 흡입팬을 구비한 청소기본체(1)와, 청소기본체(1)의 전방에 연결하여 바닥으로부터 흡입한 이물질을 안내 이송하는 흡입호스(2)와, 흡입호스(2)의 타단에 결합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청소모드를 선택하도록 선택모드를 구비한 손잡이(3)와, 손잡이(3)의 타단에 연장 결합하는 연장관(4)과, 연장관(4)의 끝단에 결합하여 청소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노즐(5) 등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vacuum cleaner includes a cleaning main body 1 having a suction fan to generate suction power, and a suction hose 2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cleaning main body 1 to guide and transport foreign substances sucked from the floor. And a handle 3 having a selection mod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hose 2 to hold by the user and selecting a cleaning mode, an extension tube 4 extending to the other end of the handle 3, and an extension pipe. It is composed of a suction nozzle (5) and the like coupled to the end of (4) to suck the foreign matter on the cleaning surface.

도 2에는 상기 흡입노즐(5)의 저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노즐(5)의 바닥면에는, 상기 연장관(4)과 연통하는 흡입구(5a)가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5a)의 좌우 양측에는 그 흡입구(5a)와 연통하는 통로인 소정의 깊이의 흡입유로(5b)(5b)가 함몰 형성된다.2 shows the bottom of the suction nozzle 5. As shown in the drawing, a suction port 5a communicating with the extension tube 4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uction nozzle 5, and both suction ports 5a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uction port 5a are provided. Suction passages 5b and 5b of predetermined depths, which are passages for communicating, are recessed.

상기 흡입유로(5b)(5b)는, 상기 흡입구(5a)의 좌우 양측으로 직선 모양으로 형성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인 6은 상기 흡입노즐(5)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이동바퀴이다.The suction passages 5b and 5b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uction port 5a. Reference numeral 6 in the drawings is a moving wheel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suction nozzle (5).

상기와 같은 종래 청소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사용자가 손잡이(3)를 파지한 상태에서 청소기본체(1)의 흡입팬에 전원을 인가하여 청소모드를 선택하고, 흡입노즐(5)을 청소할 바닥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전후좌우로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한다.The conventional cleaner as described above operates as follows. That is, the user selects the cleaning mode by applying power to the suction fan of the cleaning basic body 1 while the user grips the handle 3, and moves the suction nozzle 5 to the bottom surface to be cleaned to move it back, front, left, and right. Clean it while doing it.

이때, 바닥면의 이물질은 흡입노즐(5)의 저면에 형성된 흡입구(5a)와 흡입유로(5b)를 통해 흡입되어 연장관(4)과 흡입호스(2)를 거쳐 상기 청소기본체(1)에 구비된 필터 등에 집진된다.At this time, foreign matter on the bottom surface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5a and the suction flow path 5b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ction nozzle 5 and is provided in the cleaning main body 1 through the extension pipe 4 and the suction hose 2. Dust is collected and the lik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청소기의 흡입노즐에 있어서는, 흡입면적을 이루는 흡입유로(5b)(5b)를 직선 형태로 형성함에 따라 전체 흡입면적이 좁을 뿐만 아니라, 상기 흡입유로(5b)(5b)의 형상이 모두 동일하여 흡입 능률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suction nozzle of the conventional vacuum cleaner as described above, as the suction passages 5b and 5b forming the suction area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the entire suction area is not only narrow, but also the suction passages 5b and 5b. All of the same shape has a problem of low suction efficiency.

특히, 카펫과 같은 바닥면을 청소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흡입노즐(5)의 저면에 카펫의 모(pile)가 눌려지므로, 카펫에 쌓여있는 작은 모래와 같은 미세 이물질은 제거되지 않는 문제점도 있었다.In particular, when cleaning a floor such as a carpet, the carpet of the carpet is pressed on the bottom of the suction nozzle 5 as described above,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fine foreign matter such as small sand accumulated on the carpet is not removed. .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중첩되는 흡입유로 사이에는 요홈이 형성된 구획벽이 구비되어, 인접한 흡입유로간에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청소기의 흡입노즐 바닥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prior art, the suction nozzle of the vacuum cleaner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wall formed with a groove between the overlapping suction flow passage, to enable the flow of air between adjacent suction flow passages To provide a bottom structur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와 이물질의 흡입을 안내하는 흡입유로의 단면적이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점차 변화되는 청소기의 흡입노즐의 흡입노즐 바닥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ction nozzle bottom structure of a suction nozzle of a cleaner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uction passage for guiding suction of air and foreign matter is gradually change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노즐에는, 공기와 이물질이 흡입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적어도 2 이상의 방향성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외측의 공기와 이물질을 상기 흡입구로 안내하는 흡입유로와; 상기 흡입유로 사이에 형성되어 인접한 흡입유로가 서로 구획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구획벽;을 포함하고, 상기 구획벽에는 인접한 흡입유로 상호간에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이물질이 흡입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The nozzle of th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uction port for inhaling air and foreign matter; A suction passag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suction port and having at least two aromatic components to guide the outside air and foreign substances to the suction port; And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formed between the suction passages to allow adjacent suction passages to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wherein the partition walls are formed with grooves for allowing air to flow between the adjacent suction passages.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the foreign material has the advantage that the suction efficiency is improved.

삭제delete

진공청소기는 일반 가정에 많이 보급되어 있고, 특히 양탄자나 쇼파 청소의 필요성으로 그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며, 크게 흡입구인 노즐부가 본체와는 별도로 구비되어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는 캐니스터 방식(Canister type)과, 노즐부가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업라이트 방식(Upright type)으로 대별할 수 있다.Vacuum cleaners are widely used in general households, and the demand is increasing due to the necessity of cleaning carpets and sofas, and a canister type in which a nozzle part, which is a suction port,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main body and connected by a connecting pipe. And it can be roughly divided into an upright method (Upright type) in which the nozzle uni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진공청소기의 필터어셈블리는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을 분리하여 집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캐니스터 방식(Canister type) 및 업라이트 방식(Upright type)은 물론 모든 타입의 청소기에 장착 가능한 청소기의 흡입노즐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filter assembly of the vacuum cleaner performs a function of separating and collecting the foreign matter in the inhaled air. Hereinafter, the suction nozzle of the vacuum cleaner that can be installed in all types of vacuum cleaners, as well as the canister type and the upright type. It demonstrates.

일반적으로 흡입노즐은 실내의 바닥에 근접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바닥에 부착되거나 쌓여있는 이물질이 본체(도시되지 않음)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역 할을 한다. In general, the suction nozzle moves in a state close to the floor of the room, and serves to guide the foreign matter attached or accumulated on the floor to be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not shown).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 흡입노즐의 바닥면 구조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 흡입노즐의 바닥면의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에는 도 4의 각 부분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ttom surface of the cleaner suction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bottom view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leaner suction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show respective partial cross sections of FIG. 4.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노즐의 노즐바닥면(40) 중앙부에는 흡입구(50)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50)는 실내의 바닥에 부착된 이물질이나, 바닥에 쌓여 있는 이물질이 흡입노즐 내부로 흡입되는 입구가 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suction port 50 is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nozzle bottom surface 40 of the suction nozzle. The suction port 50 is an inlet in which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floor of the room or foreign matter accumulated on the floor is sucked into the suction nozzle.

상기 흡입구(50)의 좌우에는 흡입유로(60)가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흡입유로(60)는 적어도 2 이상의 방향성분을 가지도록 중첩 형성되며, 외측의 공기와 이물질을 상기 흡입구(50)로 안내하는 통로가 된다.The suction channel 60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uction port 50. The suction passage 60 is overlapped to have at least two aromatic components, and serves as a passage for guiding outside air and foreign matter to the suction port 50.

상기 흡입유로(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S'자 형상으로 성형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유로(60)는 바닥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며, 전체적으로는 'S'자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된다. 물론, 상기와 같은 흡입유로(60)는 'S'자 형상 외에 지그재그 형상이나 다른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The suction flow path 60 is shaped into an 'S' shape as shown. That is, as shown in Figure 3, the suction flow path 60 is formed recessed i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it is molded to have a 'S' shape as a whole. Of course, the suction flow path 60 as described above may be molded in a zigzag shape or other shapes in addition to the 'S' shape.

상기 흡입유로(6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S'자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흡입유로(60)는 서로 중첩된 형상을 가진다. 즉, 상기 흡입유로(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유로로 구성되며, 서로 중첩된다. Since the suction passage 60 has a 'S' shape as described above, the suction passage 60 has a shape overlapping each other. That is, the suction flow path 60 is composed of three flow paths as shown, and overlap each other.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흡입구(50)의 좌우에는 중앙유로(52)가 형성되어 좌우의 공기를 상기 흡입구(50)로 안내하며, 이러한 중앙유로(52)의 앞쪽에 는 전방유로(54)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유로(52)의 후측에는 후방유로(56)가 형성된다. 상기 전방유로(54)는 상기 중앙유로(52)의 전방에 형성되어, 좌측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중앙유로(52)로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후방유로(56)는 상기 전방유로(54)의 후방에 형성되어, 우측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중앙유로(52)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Looking in more detail, the central flow path 52 i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inlet port 50 to guide the left and right air to the intake port 50, the front flow path 54 is in front of the central flow path (52) The rear channel 56 is formed at the rear side of the central channel 52. The front channel 54 is formed in front of the central channel 52 to guide the air flowing from the left side to the central channel 52. In addition, the rear channel 56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front channel 54 to serve to guide the air flowing from the right side to the central channel 52.

상기 전방유로(54)와 후방유로(56)의 바닥면은 그 형성위치가 동일하지 않다. 즉, 상기 전방유로(54)와 후방유로(56)의 바닥면은, 상기 중앙유로(52)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는 평탄면(54',56')과, 상기 평탄면(54',56')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그 높이가 높아지는 유입면(54",56") 등으로 구성된다.The bottom surfaces of the front flow passage 54 and the rear flow passage 56 are not formed at the same position. That is, the bottom surfaces of the front flow passage 54 and the rear flow passage 56 are flat surfaces 54 'and 56'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central flow passage 52, and the flat surface 54 And 56, the inflow surfaces 54 ", 56", and the like that gradually increase in height away from '56'.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전방유로(54)의 중앙 및 우측 부분의 바닥은 상기 중앙유로(52)와 같은 위치(높이)로 형성되어 전방평탄면(54')을 이루며, 이러한 전방평탄면(54')은 상기 노즐바닥면(40)에 대하여 평행한 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전방유로(54)의 좌측 부분 바닥은 좌측으로 갈수록 점차 그 형성위치가 높아지는 전방유입면(54")을 형성한다. 상기 전방유입면(54")의 좌측단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좌측유입구(58)가 형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bottoms of the center and right portions of the front passage 54 ar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height) as the central passage 52 to form the front flat surface 54 ', and the front flat surface 54 ') Forms a plane parallel to the nozzle bottom surface 40. The bottom portion of the left side of the front flow passage 54 forms a front inflow surface 54 ″ in which the formation position thereof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left side. The left end of the front inflow surface 54 ″ has a left side described below. Inlet 58 is formed.

상기 후방유로(56)의 중앙 및 좌측 부분의 바닥은 상기 중앙유로(52)와 같은 위치(높이)로 형성되어 후방평탄면(56')을 이루며, 이러한 후방평탄면(56')은 상기 노즐바닥면(40)에 대하여 평행한 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후방유로(56)의 우측 부분 바닥은 우측으로 갈수록 점차 그 형성위치가 높아지는 후방유입면(56")을 형성한다. 상기 후방유입면(56")의 우측단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우측유입구(58')가 형성된다.Bottoms of the center and left portions of the rear channel 56 ar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height) as the central channel 52 to form a rear flat surface 56 ', and the rear flat surface 56' is the nozzle. A plane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40 is formed. The bottom portion of the right side of the rear flow passage 56 forms a rear inflow surface 56 ″ in which the formation position thereof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right side. The right end of the rear inflow surface 56 ″ has a right side to be described below. Inlet 58 'is formed.

상기와 같이 중첩되는 흡입유로(60) 사이에는 소정 높이의 구획벽(70)이 형성된다. 상기 구획벽(70)은 인접한 흡입유로(60)가 서로 구획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구획벽(70)은 상기 중앙유로(52)와 상기 전방유로(54) 및 후방유로(56)가 각각 서로 구획되도록 한다.A partition wall 70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is formed between the suction passages 60 overlapping as described above. The partition wall 70 serves to partition adjacent suction flow paths 60 from each other. That is, the partition wall 70 allows the central passage 52, the front passage 54, and the rear passage 56 to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중앙유로(52)와 전방유로(54) 사이에는 전구획벽(72)이 형성되어 상기 중앙유로(52)와 전방유로(54)가 서로 분리되도록 구획하고, 상기 중앙유로(52)와 후방유로(56) 사이에는 후구획벽(74)이 형성되어 상기 중앙유로(52)와 후방유로(56)가 서로 분리되도록 구획한다.More specifically, a bulb wall 72 is formed between the central flow passage 52 and the front flow passage 54 so as to partition the central flow passage 52 and the front flow passage 54 so as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 rear partition wall 74 is formed between 52 and the rear flow passage 56 to partition the central flow passage 52 and the rear flow passage 56 from each other.

상기 구획벽(70)은 폭(두께)이 가변(可變)되는 구성을 가진다. 즉, 상기 구획벽(70)의 폭(두께)은,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구획벽(70)은 일측으로 갈수록 점차 그 폭(두께)이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구획벽(72)은 우측으로 갈수록 점차 그 폭이 감소되며, 상기 후구획벽(74)은 좌측으로 갈수록 점차 그 폭이 감소되도록 형성된다.The partition wall 70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width (thickness) is variable. That is, the width (thickness) of the partition wall 70 is formed to gradually decrease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Looking more specifically, the partition wall 70 is formed such that its width (thickness) gradually increases or decreases toward one side. That is, as shown, the width of the bulb partition wall 72 is gradually reduced toward the right side, the rear partition wall 74 is formed so that the width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left side.

그리고, 상기 흡입유로(60)의 단면적은 각 위치마다 서로 그 크기가 동일하지 않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흡입유로(60)는, 양단으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단면적의 크기가 증가되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전방유로(54)와 후방유로(56)는 좌측단 또는 우측단으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단면적의 크기가 증가되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uction flow path 60 is preferably formed such that the sizes thereof are not equal to each other at each position. That is, the suction flow path 60 is formed such that the size of th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increases from both ends to the inside. In particular, the front flow passage 54 and the rear flow passage 56 are formed such that the size of th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left end or the right end toward the inside.

상기 흡입유로(60)는 일측으로 갈수록 점차 그 폭(L)이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흡입유로(60)는 양단의 폭이 내측의 폭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다. 그러나, 상기 중앙유로(52)는 그 폭의 변화가 없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ction flow path 60 is formed such that its width L gradually increases or decreases toward one side. That is, the suction flow path 60 has a siz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inner end width.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ral passage 52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width thereof is not changed.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전방유로(54)이 좌측단 및 상기 후방유로(56)는 우측단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유입구(58,58')가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전방유로(54)이 전방유입면(54") 좌측단에는 좌측유입구(58)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유로(56)는 후방유입면(56") 우측단에는 우측유입구(58')가 각각 형성되며, 이러한 좌측유입구(58)와 우측유입구(58')는 측방(좌측 및 우측)으로부터 외부 공기가 상기 전방유로(54)와 후방유로(56)로 각각 유입되는 입구가 된다.In more detail, inflow ports 58 and 58 ′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re formed at the left end of the front flow path 54 and the rear flow path 56, respectively. That is, the left inlet 58 is formed at the left end of the front inlet 54, and the right inlet 58 ′ is at the right end of the rear inlet 56. Are each formed, and the left inlet 58 and the right inlet 58 'are inlets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from the side (left and right) into the front passage 54 and the rear passage 56,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유입구(58,58')의 단면은 상기 전방유로(54)와 후방유로(56)의 단면적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다. 즉, 상기 전방유로(54)의 좌측단에 형성되는 좌측유입구(58)의 폭(L')은 전방유로(54) 내측의 폭(L")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다. In addition, the cross-sections of the inlets 58 and 58 'have a size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front passage 54 and the rear passage 56. That is, the width L ′ of the left inlet 58 formed at the left end of the front flow passage 54 has a smaller size than the width L ″ inside the front flow passage 54.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방유로(54)의 폭(L)은 상기 전방유입면(54")의 좌측단으로부터 우측단으로 갈수록 점차 그 크기가 증가한다. 그리고, 상기 후방유로(56)의 폭(L)은 상기 후방유입면(56")의 우측단으로부터 좌측단으로 갈수록 점차 그 크기가 증가한다.More specifically, the width L of the front flow passage 54 increases gradually from the left end to the right end of the front inflow surface 54 ″, and the width of the rear flow passage 56 is increased. L gradually increases in size from the right end to the left end of the rear inflow surface 56 ″.

또한, 상기 흡입유로(60)의 깊이(H)도 그 위치에 따라 각각 크기를 달리하게 되는데, 특히 양단으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그 깊이(H)가 증대된다. 이때 상기 구획벽(70)의 하단(도 3과 도 4에서는 상단)은 흡입노즐의 바닥면과 동일 평면 을 이루도록 형성되므로, 임의 위치에서의 상기 흡입유로(60)의 깊이와 상기 구획벽(70)의 높이는 모두 동일하며, 이는 도 3의 'H'가 된다.In addition, the depth (H) of the suction flow path 60 is also different in size depending on the position, in particular, the depth (H) gradually increases from both ends to the inside. At this time, the lower end (the upper end in FIGS. 3 and 4) of the partition wall 70 is formed to be coplanar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uction nozzle, so that the depth of the suction channel 60 and the partition wall 70 at any position. ) Are all the same, which becomes 'H' in FIG.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전방유로(54)는 좌측단으로부터 우측으로 갈수록 그 깊이(H)의 크기가 점차 증가하며, 상기 전구획벽(72)의 깊이(H) 또한 이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후방유로(56)와 후구획벽(74)의 깊이(H)는 우측단으로부터 좌측으로 갈수록 점차 그 크기가 증가한다.In more detail, the size of the depth H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left end to the right side, and the depth H of the front wall 72 is the same. The depth H of the rear flow passage 56 and the rear partition wall 74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right end to the left.

이와 같이, 상기 전방유로(54)의 폭(L)과 상기 전구획벽(72)의 깊이(H)이 크기는 좌측단으로부터 우측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고, 상기 후방유로(56)의 폭(L)과 상기 후구획벽(74)의 깊이(H)의 크기는 우측단에서 좌측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므로, 자연적으로 상기 전방유로(54)의 단면적 크기는 좌측단으로부터 우측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며 상기 후방유로(56)의 단면적 크기는 우측단으로부터 좌측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게 된다.In this way, the width L of the front flow passage 54 and the depth H of the bulb wall 72 gradually increase in magnitude from the left end to the right, and the width L of the rear flow passage 56. ) And the size of the depth H of the rear partition wall 74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right end to the left side, and naturally, the cross-sectional area size of the front flow passage 54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left end to the right side and the rear side. The cross-sectional area size of the flow path 56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right end to the left side.

상기 구획벽(70)에는 요홈(80)이 더 형성된다. 상기 요홈(80)은, 서로 인접한 흡입유로(60) 상호 간에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전구획벽(72)에는 전방요홈(82)이 형성되어 상기 전방유로(54)와 중앙유로(52) 사이의 공기 유동을 안내하게 되며, 상기 후구획벽(74)에는 후방요홈(84)이 형성되어 상기 후방유로(56)와 중앙유로(52) 사이의 공기 유동을 안내하게 된다.A recess 80 is further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70. The groove 80 serves to enable the flow of air between the suction passages 60 adjacent to each other. That is, the front recess 82 is formed in the bulb partition wall 72 to guide the air flow between the front flow passage 54 and the central flow passage 52, and the rear recess wall 74 is formed in the rear recess wall 74. 84 is formed to guide the air flow between the rear flow passage 56 and the central flow passage 52.

상기 요홈(80)은 다수 형성되는데, 이러한 요홈(80)은 상기 구획벽(70)을 따라 등(等) 간격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인접한 구획벽(70)에 형성되는 각각의 요홈(80)은 그 형성위치가 서로 어긋나게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구획벽(72)에 형성되는 전방요홈(82)과 상기 후구획벽(74)에 형성되는 후방요홈(84)은 서로 엇갈리게 형성된다. The grooves 80 are formed in plural, and the grooves 80 are preferably form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partition wall 70. In addition, the grooves 80 formed in the adjacent partition wall 70 are formed so that their formation positions are shifted from each other. That is, as illustrated, the front recess 82 formed in the bulb partition wall 72 and the rear recess 84 formed in the rear partition wall 74 are alternately formed.

이와 같이, 상기 전방요홈(82)과 후방요홈(84)이 형성위치가 서로 어긋나도록 하는 것은, 소용돌이가 보다 용이하게 일어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전방요홈(82)을 통과하여 상기 전방유로(54)로부터 중앙유로(52)로 넘어오는 공기의 유동과, 상기 후방요홈(84)을 통과하여 상기 후방유로(56)로부터 상기 중앙유로(52)로 넘어오는 공기의 유동은 서로 상호작용에 의해 소용돌이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소용돌이의 발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front recesses 82 and the rear recesses 84 are shifted from each other in order to make the vortex more easily occur. That is, the flow of air passing through the front recess 82 and from the front passage 54 to the central passage 52, and through the rear recess 84, pass the rear passage 56 from the rear passage 56. The flow of air to (52) forms a vortex by interacting with each other to facilitate the generation of such a vortex.

상기 다수의 요홈(80) 깊이(h)는 각각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요홈(80) 깊이(h)는, 해당 요홈(80)이 형성되는 지점의 구획벽(70)의 높이(H) 또는 흡입유로(60)의 깊이보다는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요홈(80)의 좌우 폭(m)은 각 요홈(80) 사이의 거리(M)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 5mm의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The depths h of the plurality of recesses 80 are the same,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depth h of the recess 80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size smaller than the height H of the partition wall 70 at the point where the recess 80 is formed or the depth of the suction passage 60. Do.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width m of the groove 80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size smaller than the distance (M) between the grooves 80, more specifically, is formed to have a size of about 5mm.

이와 같이 상기 요홈(80)의 크기를 제한하는 이유는, 상기 흡입유로(60)가 공기와 이물질의 주 이동통로가 되며 상기 요홈(80)은 공기의 보조 이동통로이므로, 상대적으로 요홈(80)을 통해서는 상기 흡입유로(60)보다 작은 양의 공기가 유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us, the reason for limiting the size of the groove 80, the suction flow path 60 is the main movement passage of the air and foreign matter and the groove 80 is the auxiliary movement passage of the air, relatively the groove 80 Through this is to allow a smaller amount of air to flow than the suction passage (60).

한편, 상기 흡입구(50)의 좌우에는 공기와 이물질의 원활한 유입을 위한 반원 형상의 안내면(90)이 각각 구비된다. 즉, 상기 흡입구(50) 양단에는 ')'와 ' (' 형상의 안내면(90)이 구비되어, 상기 중앙유로(52)를 통해 좌우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와 이물질이 상기 흡입구(50)로 큰 마찰 없이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right and left of the inlet 50 is provided with a semi-circular guide surface 90 for smooth inflow of air and foreign matter, respectively. That is, both ends of the suction port 50 are provided with a guide surface 90 having a shape of ')' and '('), and the air and the foreign matter introduced from the left and right through the central flow path 52 have a large friction with the suction port 50. Easily flow in without

이하 상기와 같은 청소기의 흡입노즐 바닥면 구조의 작용을 도 3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살펴본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nozzle bottom structure of the clean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8.

사용자가 청소기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청소기의 모터(도시되지 않음)와 팬의 회전에 의해 흡인력이 발생하고, 이러한 흡인력이 흡입노즐의 상기 흡입구(50)로 전달되어 흡입노즐 하부의 공기와 이물질이 상기 흡입구(50)를 통해 유입되도록 강제하게 된다.When the user supplies power to the cleaner, a suction force is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not shown) and the fan of the cleaner, and the suction force is transmitted to the suction port 50 of the suction nozzle, so that the air and the foreign substance under the suction nozzle. This is forced to flow through the suction port 50.

따라서, 사용자가 카펫이 깔린 바닥에 흡입노즐을 밀착시키면, 공기와 이물질의 흡입이 시작된다. 이때 공기와 이물질은 상기 흡입유로(60)의 양단을 통해 먼저 유입된다. 즉, 상기 전방유로(54)의 좌측단과 상기 후방유로(56)의 우측단에 형성되는 유입구(58,58')를 통해 외부의 공기와 이물질이 유입되어 내측으로 유동한다.Therefore, when the user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uction nozzle on the carpeted floor, the suction of air and foreign matters starts. At this time, air and foreign matter are first introduced through both ends of the suction passage (60). That is, outside air and foreign matter are introduced and flow inward through the inlets 58 and 58 'formed at the left end of the front passage 54 and the right end of the rear passage 56.

상기 전방유로(54)와 후방유로(56)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와 이물질은, 상기 전구획벽(72)의 우측단과 상기 후구획벽(74)의 좌측단에서 각각 방향이 전환되어 상기 중앙유로(52)로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중앙유로(52)의 좌우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와 이물질은 상기 흡입구(50)를 통해 흡입노즐 내부로 들어간다.Air and foreign matter flowing through the front flow passage 54 and the rear flow passage 56 are changed in direction at the right end of the bulb partition wall 72 and the left end of the rear partition wall 74, respectively, so that the central flow path is changed. Flows into (52). Therefore, air and foreign matter introduced from the left and right of the central passage 52 enter the suction nozzle through the suction port 50.

이때 상기 요홈(80)을 통해서도 공기와 먼지의 유동이 일어난다. 즉 상기 전방요홈(82)을 통해서는 상기 전방유로(54)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가 상기 전구획벽(72)을 통과하여 상기 중앙유로(52)로 이동하며, 상기 후방요홈(84)을 통해서는 상기 후구획벽(74)을 통과하여 상기 중앙유로(52)로 이동한다.At this time, the flow of air and dust also occurs through the groove (80). That is, the air moving through the front channel 54 through the front recess 82 moves to the central channel 52 through the bulb projection wall 72 and through the rear recess 84. Passes through the rear partition wall 74 and moves to the central flow path 52.

이와 같이 상기 전방요홈(82)과 후방요홈(84)을 통해 상기 중앙유로(52)로 넘어온 공기는 상호작용에 의해 소용돌이(swirl)를 형성한다. 즉, 상기 전방요홈(82)과 후방요홈(84)은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자연스럽게 상기 중앙유로(52)에서 소용돌이(swirl)를 일으키게 되며, 도 8에는 이때의 상태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As suc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ront recess 82 and the rear recess 84 to the central flow passage 52 forms a swirl by interaction. That is, since the front recess 82 and the rear recess 84 are formed to be staggered with each other, naturally causing a swirl in the central flow passage 52, the state at this time is shown in detail.

도 8를 참조하여 공기와 이물질의 유동을 다시 살펴보면, 좌우에서 유입되는 공기와 이물질의 최초 유입통로인 상기 전방유로(54)의 좌측단과 상기 후방유로(56)의 우측단에서는 공기의 속도가 상대적으로 빨라진다. 이는 상기 전방유로(54)의 좌측단과 상기 후방유로(56)의 우측단의 단면적이 다른 부분의 흡입유로(60) 단면적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기 때문이다.Referring again to the flow of air and foreign matter with reference to Figure 8, the air velocity is relatively at the left end of the front passage 54 and the right end of the rear passage 56 which is the first inflow passage of the air and foreign matter introduced from the left and right Faster. This is becaus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left end of the front passage 54 and the right end of the rear passage 56 has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suction passage 60 of the other portion.

그리고, 대부분의 공기와 이물질은 메인유로인 상기 전방유로(54)와 후방유로(56)를 따라 좌우로 유동하여 상기 중앙유로(52)로 이동하며, 그 중 일부분은 상기 요홈(80)을 통과하여 상기 중앙유로(52)로 이동한다.And, most of the air and foreign matter flows left and right along the front flow path 54 and the rear flow path 56, the main flow path to the central flow path 52, a portion of which passes through the groove (80). To the central flow path (52).

이때 상기 요홈(80)의 단면적은 상기 흡입유로(60)의 단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지므로, 상기 요홈(80)을 통과하는 공기의 속도는 흡입유로(60)을 통해 이동하는 공기의 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속도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중앙유로(52)에서는 강한 소용돌이(swirl)가 형성되며, 이러한 소용돌이(swirl)에 의해 카펫 내부에 파묻혀 있는 모래와 같은 이물질이 용이하게 부양되어 상기 흡입구(50)로 유입되는 것이다.In this case, sinc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groove 80 has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suction channel 60, the speed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groove 80 is the speed of the air moving through the suction channel 60. Have a relatively higher speed. Therefore, a strong swirl is formed in the central flow path 52, and foreign matter such as sand buried in the carpet is easily supported by the swirl and flows into the suction port 50.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가 흡입노즐을 카펫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밀게 되면, 흡입노즐의 바닥면 또는 스크레이퍼(scraper,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카펫의 모(毛;pile)가 눌려지게 되어 모(毛;pile) 사이의 이물질은 숨겨지게 된다. 이때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용돌이(swirl)가 발생하면, 눕혀진 모(毛;pile) 사이에 파묻힌 모래와 같은 이물질이 부양되어 모(毛;pile) 사이를 빠져나와 상기 흡입구(50)로 유입되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if the user pushes the suction nozzle in close contact with the carpet, the carpet of the carpet is press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suction nozzle or a scraper (not shown). foreign matter between the (pile) is hidden. At this time, when the swirl occurs as described above, foreign matters such as sand buried between the laid hairs are supported to escape from the hairs and flow into the suction port 50. will be.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exemplified embodiments,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above technical scope.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구획벽(72)에 형성되는 전방요홈(82)과 상기 후구획벽(74)에 형성되는 후방요홈(84)이 서로 어긋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요홈(80)을 받드시 어긋나게 할 필요는 없으며, 전방요홈(82)과 후방요홈(84)이 서로 어긋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물론 이때에는 도 8에 도시된 소용돌이와는 상이한 형태의 소용돌이가 생성될 것이다.For examp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front recess 82 formed in the bulb partition wall 72 and the rear recess 84 formed in the rear partition wall 74 are configured to be offset from each other. It is not necessary to shift the 80 when it is supported, and it may be possible to form the front recess 82 and the rear recess 84 so as not to shift each other. Of course, at this time, a vortex of a different shape from the vortex shown in FIG. 8 will be generated.

또한, 상기의 실시예와 달리 도 9와 같은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즉 도 9에서는 상기 흡입유로(60)의 테두리를 따라 테두리가이드(92)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상면이 라운드지게 돌출된 테두리가이드(92)가 상기 흡입유로(60)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상방으로 일정 부분 돌출되며, 이러한 테두리가이드(92)는 상기 노즐바닥면(40)이 실내의 바닥면과 근접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청소가 수행되는 경우에 상기 유입구(58,58') 외의 타 부분을 통해 공기가 상기 흡입유로(60)로 유입 되는 것을 차단하여, 흡인력의 손실을 방지하게 된다.In addition, unlike the above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9 may be possible. That is, in FIG. 9, the edge guide 92 protrudes upward along the edge of the suction flow path 60. That is, the edge guide 92 protruding round the upper surface is projected upwardly along the outer edge of the suction flow path 60, the edge guide 92 is the nozzle bottom surface 40 is the floor of the room When the cleaning is performed while moving in close proximity to the surface, air is prevented from entering the suction flow path 60 through other portions of the inlets 58 and 58 ', thereby preventing the loss of suction forc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 흡입노즐 바닥면 구조에서는, 흡입유로가 2 이상이 방향성분을 가지도록 'S'자 형상 내지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성형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종래에 비해 흡입면적이 넓어지므로 청소 능률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In the vacuum cleaner suction nozzle bottom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uction passage is molded into an 'S' shape or a zigzag shape so that two or more of the suction passages have an aromatic component. Therefore, since the suction area is relatively wider than the conventional on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leaning efficiency is improved.

또한, 중첩되는 흡입유로 사이에는 구획벽이 형성되고, 구획벽에는 다수의 요홈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그리고, 인접한 구획벽에 형성되는 요홈은 서로 어긋나게 형성된다. 따라서, 중앙유로에서는 전후의 요홈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에 의해 소용돌이(swirl)가 형성되므로, 카펫에 묻힌 모래알 등의 이물질도 용이하게 부양되어 흡입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partition walls are formed between the overlapping suction flow paths, and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in the partition walls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grooves formed in the adjacent partition walls are formed to be offset from each other. Therefore, in the central flow path, a swirl is formed by the flow of air flowing in the front and rear grooves, so that foreign matters such as sand grains embedded in the carpet are easily supported and sucked.

뿐만 아니라, 흡입유로는 좌우 단부의 단면적이 내측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흡입구 부근과 흡입유로의 입구(좌우 단부) 간에는 면압(area의 압력) 차이가 크게 발생하여 중앙유로에 보다 강한 소용돌이(swirl)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물질의 흡입 능력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let flow passage is formed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left and right ends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inner portion, a large difference in surface pressure (area pressure) occurs between the vicinity of the intake port and the inlet (left and right ends) of the intake passage. Stronger swirls are formed in the.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uction ability of the foreign matter is further improved.

Claims (19)

공기와 이물질이 흡입되는 흡입구와;An intake port through which air and foreign substances are sucked;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적어도 2 이상의 방향성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외측의 공기와 이물질을 상기 흡입구로 안내하는 흡입유로와;A suction passag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suction port and having at least two aromatic components to guide the outside air and foreign substances to the suction port; 상기 흡입유로 사이에 형성되어 인접한 흡입유로가 서로 구획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구획벽;을 포함하고,And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formed between the suction passages so that adjacent suction passages ar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상기 구획벽에는 인접한 흡입유로 상호간에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요홈이 형성되는 청소기의 노즐.The nozzle of the cleaner is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grooves for allowing the flow of air between the adjacent suction oil.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artition wall, 일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가변(可變)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노즐.The nozzle of the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is variable toward one sid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의 폭은,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width of the partition wall,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노즐.The nozzle of the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outside toward the in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groove, 상기 구획벽을 따라 등(等) 간격으로 다수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노즐.The nozzle of the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plurality of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partition wall.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인접한 구획벽에 형성되는 각각의 요홈은,Each recess formed in the adjacent partition wall, 그 형성위치가 서로 어긋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노즐.The nozzle of the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by the formation position shift | deviating from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요홈의 깊이는, The depth of the groove, 상기 흡입유로의 깊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청소기의 노즐.The nozzle of the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less than the depth of the suction passage.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요홈은 상기 구획벽에 다수 형성되며, 깊이가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노즐.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the nozzle of the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e depth.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흡입유로는 비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노즐.The nozzle of the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ction passage is non-linea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흡입유로는, 단부로부터 적어도 내측의 어느 지점가지 갈수록 점차 단면적의 크기가 증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노즐.The suction flow passage, the nozzle of the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of th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end to at least some point insid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흡입유로는, 단부의 폭이 내측의 폭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노즐.The suction passage, the nozzle of the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of the end portion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inner sid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흡입유로의 깊이는, 단부로부터 적어도 내측의 어느 지점까지 점차 증대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노즐.The depth of the suction passage, the nozzle of the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gradually increasing to at least a point from the inner end.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흡입유로에는,The suction passage, 상기 흡입구의 좌우에 형성되어, 공기를 상기 흡입구로 안내하는 중앙유로와;A central flow path formed a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take port and configured to guide air to the intake port; 상기 중앙유로의 전방에 형성되어, 일측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중앙유로로 안내하는 전방유로와;A front channel formed in front of the central channel and guiding air introduced from one side to the central channel; 상기 전방유로의 후방에 형성되어, 일측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중앙유로로 안내하는 후방유로가 포함되는 청소기의 노즐.The nozzle of the cleaner which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front flow passage, and includes a rear flow passage for guiding air introduced from one side to the central flow passage. 제 1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구획벽은,The partition wall, 상기 중앙유로와 전방유로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중앙유로와 전방유로를 구획하는 전구획벽과;A bulb wall formed between the central channel and the front channel to partition the central channel and the front channel; 상기 중앙유로와 후방유로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중앙유로와 후방유로를 구획하는 후구획벽;을 포함하는 청소기의 노즐.And a rear partition wall formed between the central channel and the rear channel to partition the central channel and the rear channel. 제 1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요홈은 상기 중앙유로보다 얕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노즐.The groove of the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is shallower than the central flow path. 제 1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전방유로와 후방유로의 바닥면은,The bottom surface of the front channel and the rear channel, 상기 중앙유로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는 평탄면과,A flat surface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central channel, 상기 평탄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그 높이가 높아지는 유입면을 포함하는 청소기의 노즐.The nozzle of the cleaner including an inflow surface is gradually increased in height away from the flat surface. 제 1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유입면의 일단에는,At one end of the inflow surface, 측방으로부터 외부 공기가 상기 전방유로와 후방유로로 유입되는 입구가 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An inlet is formed to be an inlet from which the outside air flows into the front flow path and the rear flow path, 상기 유입구의 단면은 상기 전방유로와 후방유로의 단면적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노즐.The nozzle of the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inlet has a size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ront channel and the rear channe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흡입구의 단부는 공기와 이물질이 부드럽게 유입되도록 라운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노즐.The end of the suction port is a nozzle of the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ounded so as to smoothly introduce air and foreign matt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흡입 유로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되는 테두리부 가이드가 더 포함되는 청소기의 노즐.The nozzle of the cleaner further comprises an edge guide protruding along the edge of the suction passage.
KR1020060121456A 2006-12-04 2006-12-04 A nozzle for cleaner KR1008217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456A KR100821756B1 (en) 2006-12-04 2006-12-04 A nozzle for cleaner
PCT/KR2007/005001 WO2008069430A1 (en) 2006-12-04 2007-10-12 A nozzle for cleaner
EP07833312.7A EP2101623B1 (en) 2006-12-04 2007-10-12 A nozzle for cleaner
RU2009125596/12A RU2410997C1 (en) 2006-12-04 2007-10-12 Vacuum cleaner nozz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456A KR100821756B1 (en) 2006-12-04 2006-12-04 A nozzle for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1756B1 true KR100821756B1 (en) 2008-04-14

Family

ID=39492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1456A KR100821756B1 (en) 2006-12-04 2006-12-04 A nozzle for cleane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101623B1 (en)
KR (1) KR100821756B1 (en)
RU (1) RU2410997C1 (en)
WO (1) WO2008069430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204B1 (en) * 2019-10-11 2021-03-02 이상훈 Suction head for vacuum clea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82781A1 (en) * 2019-01-18 2020-07-22 Koninklijke Philips N.V. Vacuum cleaner nozz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08514A (en) * 1988-02-09 1989-12-13 Interlava Ag Suction cleaner
JPH03111016A (en) * 1989-09-26 1991-05-10 Takeshi Kadowaki Floor nozzle with reinforced jet flow
KR20040085165A (en) * 2002-01-25 2004-10-07 제임스 알. 알톤 Vacuum cleaner nozzle assembly having edge-cleaning ducts
KR20040105163A (en) * 2003-06-05 2004-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Suction nozzle structure for clean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2794B2 (en) * 1972-12-18 1978-07-11
KR100642076B1 (en) * 2004-07-01 2006-11-1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A suction port assembly and a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08514A (en) * 1988-02-09 1989-12-13 Interlava Ag Suction cleaner
JPH03111016A (en) * 1989-09-26 1991-05-10 Takeshi Kadowaki Floor nozzle with reinforced jet flow
KR20040085165A (en) * 2002-01-25 2004-10-07 제임스 알. 알톤 Vacuum cleaner nozzle assembly having edge-cleaning ducts
KR20040105163A (en) * 2003-06-05 2004-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Suction nozzle structure for clea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204B1 (en) * 2019-10-11 2021-03-02 이상훈 Suction head for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410997C1 (en) 2011-02-10
EP2101623A4 (en) 2014-05-07
WO2008069430A1 (en) 2008-06-12
EP2101623B1 (en) 2018-08-08
EP2101623A1 (en) 2009-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8034B2 (en) Cleaning apparatus
KR102385519B1 (en) Robot cleaner
JP5165027B2 (en) Tools for surface treatment appliances
AU2008276795B2 (en) Dust separation apparatus of vacuum cleaner
US20160198915A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JP2004537336A (en) Vacuum cleaner
JP5066759B2 (en) Attachment of cleaning appliance
US10791896B2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20000076582A (en) Electric vacuum cleaner
US11166609B2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20090050792A (en) Vacuum cleaner
KR20210012246A (en) A vacuum cleaner
KR100821756B1 (en) A nozzle for cleaner
CN105358028A (en) Dust collection device
JP2017202050A (en) Suction nozzle and vacuum cleaner including the same
KR100504919B1 (en) Suction nozzle structure for cleaner
US20130180077A1 (en) Bag compartment for vacuum cleaner
US11707173B2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JP2007111087A (en) Suction tool and vacuum cleaner using the same
JPH10192200A (en) Vacuum cleaner
KR101354675B1 (en) Suction device of vacuum cleaner
CN114652192A (en) A separation module and cleaning machine for cleaning machine
TW201622628A (en) Suction nozzle for sucking objects to be sucked
KR100596228B1 (en) Brush for vacuum cleaner
TW201633988A (en) Nozz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