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0904B1 - 공기 여과기 - Google Patents

공기 여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0904B1
KR100820904B1 KR1020070018921A KR20070018921A KR100820904B1 KR 100820904 B1 KR100820904 B1 KR 100820904B1 KR 1020070018921 A KR1020070018921 A KR 1020070018921A KR 20070018921 A KR20070018921 A KR 20070018921A KR 100820904 B1 KR100820904 B1 KR 100820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main body
suction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8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춘배
Original Assignee
(주)경도상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도상사 filed Critical (주)경도상사
Priority to KR1020070018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09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0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0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54Allowing or improving visual supervision, e.g. lamps, transparent parts, windo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5/00Gas separation
    • Y10S55/35Respirators and register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라인후드에 장착되는 공기 여과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부와, 타측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부와 착탈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배출부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공간부에 수용되며, 중심부에는 관로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측 관로에는 일측은 상기 필터의 관로의 내경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관로와 밀폐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필터의 관로의 내경보다는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둘레를 따라 돌출편이 형성되어 상기 유로와 흡입구가 연통되도록 형성된 밀폐구가 결합형성되어, 상기 관로와 상기 배출구는 연통되게 형성된 필터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공간부에 수용되며, 상기 필터를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필터 외표면과의 사이로 유로를 형성시키는 필터수용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유로를 통해 필터를 거쳐 여과되어 상기 필터의 관로를 통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여과기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산업현장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깨끗한 공기로 여과시켜 에어라인후드를 착용하고 있는 작업자에게 언제나 신선한 공기를 제공하여 작업자의 건강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작업능률을 개선시키며, 상기 본체로부터 필터의 교체가 신속, 용이한 이점이 있다.
에어라인후드 공기 여과 필터 교체

Description

공기 여과기{air filter}
도 1 -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여과기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2 -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여과기에 대한 사시도.
도 3 -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여과기에 대한 단면도.
도 4 -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여과기에 대한 적용 예시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에어라인후드 11 : 에어라인
100 : 본체 110 : 공간부
120 : 흡입부 121 : 흡입구
130 : 배출부 131 : 배출구
140 : 착탈결합수단 141 : 수결합부
141a : 결합구 142 : 암결합부
142a : 결합공 150 : 필터관찰공
160 : 유로소통부 200 : 필터
210 : 관로 220 : 밀폐구
221 : 돌출편 300 : 필터수용체
310 : 유로 320 : 오링
본 발명은 공기 여과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어라인후드에 장착되어 컴프레샤 등에 의해 에어라인후드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여과시키는 공기 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라인후드라 함은 외부로부터 후드 내부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라인이 설치된 후두를 말하며, 센딩작업, 쇼트닝작업, 도장작업 시에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착용하는 방호두건 등이 이에 해당되게 된다. 이러한 에어라인후드를 착용하는 경우 작업자의 원활한 호흡 등을 위하여 방호두건 내부로 상기 에어라인을 통하여 공기를 계속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특히 밀폐된 공간에서의 작업시에는 방호복 및 방호두건의 착용은 필수적이며, 작업자에게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방호두건에는 에어라인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공기는 컴프레샤 등을 이용하여 방호두건 내부로 연결된 에어라인을 통하여 방호두건 내부로 공기를 강제 주입시키는 방식으로 공급된다.
그러나 상기 방호두건은 통상 밀폐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유입되는 공기는 산업현장 내부의 공기가 일반적이므로, 작업 환경에 따라 방호두건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가 오염된 채로 공급되게 된다.
이에 의해 오염된 공기의 흡입으로 작업자에게 두통이나 어지럼증 등을 유발시키게 되어 작업의 능률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오염된 공기의 지속적인 흡입에 의해 결국에는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에어라인후드에 장착되어 에어라인후드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여과시키는 공기 여과기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부와, 타측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부와 착탈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배출부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공간부에 수용되며, 중심부에는 관로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측 관로에는 일측은 상기 필터의 관로의 내경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관로와 밀폐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필터의 관로의 내경보다는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둘레를 따라 돌출편이 형성되어 상기 유로와 흡입구가 연통되도록 형성된 밀폐구가 결합형성되어, 상기 관로와 상기 배출구는 연통되게 형성된 필터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공간부에 수용되며, 상기 필터를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필터 외표면과의 사이로 유로를 형성시키는 필터수용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유로를 통해 필터를 거쳐 여과되어 상기 필터의 관로를 통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여과기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흡입부 또는 배출부에는, 상기 공간부와 관통되게 형성된 필터관찰공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입부의 흡입구 및 배출부의 배출구는, 에어라인후드의 에어라인에 결합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의 착탈결합수단은, 상기 흡입부 일단부에 형성되며, 둘레를 따라 돌출되게 결합구가 형성된 수결합부와 상기 배출부 타단부에 형성되며, 둘레를 따라 상기 결합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이 형성된 암결합부로 구성되어, 상기 흡입부 및 배출부의 가압회전에 의해 상기 결합구가 상기 결합공에 결합고정 및 해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터의 밀폐구는, 일측은 상기 필터의 관로의 내경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관로와 밀폐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필터의 관로의 내경보다는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둘레를 따라 돌출편이 형성되어, 상기 유로와 흡입구가 연통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본체의 흡입부 내측면에는, 상기 흡입구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밀폐구 타측의 지름보다는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돌출편은 안착되도록 유로소통부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터수용체와 상기 본체와의 결합부위에 오링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산업현장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깨끗한 공기로 여과시켜 에어라인후드를 착용하고 있는 작업자에게 언제나 신선한 공기를 제공하여 작업자의 건강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작업능률을 개선시키며, 상기 본체로부터 필터의 교체가 신속,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 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여과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여과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여과기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여과기에 대한 적용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여과기는, 본체(100), 필터(200), 필터수용체(300)로 크게 구성된다.
먼저, 본체(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본체(10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흡입부(120)와 배출부(130)의 결합으로 내부에 자연스럽게 공간부(110)가 형성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흡입부(120)로 흡입된 공기가 공간부(110)를 거쳐 배출부(130)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흡입부(120)의 일측에는 흡입구(121)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배출부(130)의 타측에는 배출구(131)가 형성되어져 있다.
즉, 본 발명의 형상은 양단부에 흡입구(121) 및 배출구(131)가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110) 상으로 공기의 유출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후술할 필터(200) 및 필터수용체(300)가 상기 공간부(110)에 수용되어 상기 본체의 흡입구(121)로 유입된 공기가 여과된 후 상기 본체의 배출구(131)로 배출되게 되는 구조이다.
여기에서, 상기 흡입구(121)는 에어컴프레샤측 에어라인(11)과 결합되며, 상기 배출구(131)는 에어라인후드측 에어라인(11)과 결합되어, 에어컴프레샤에서 공급된 공기가 흡입구(121)로 흡입되어 배출구(131)로 배출된 후 에어라인후드(10) 내부로 신선한 상태로 공급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에어컴프레샤 등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의 유압력에 견딜 수 있을 정도의 내구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도록 하며, 특히 가볍고, 내구성 및 가공성이 뛰어난 폴리카보네이트(PC)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출성형 또는 연마가공에 의해 형성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흡입부(120) 또는 배출부(130)에는 상기 공간부(110)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상기 공간부(110)와 관통되게 형성된 필터관찰공(150)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본체 내부에 수용된 필터의 오염 상태 등을 정확히 판단하여, 제때 필터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흡입부(120)와 배출부(130)는 착탈결합수단(140)에 의해 상호 착탈결합되도록 형성되어, 흡입부(120)와 배출부(130)의 결합고정 및 결합해제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공간부로부터 필터(200)의 분리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착탈결합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입부(120) 일단부에 형성되며 둘레를 따라 돌출되게 결합구(141a)가 형성된 수결합부(141)와, 상기 배출부(130) 타단부에 형성되며, 둘레를 따라 상기 결합구(141a)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142a)이 형성된 암결합부(142)로 구성되어, 상기 배출부(130)의 암결합부(142) 내부로 흡입부(130)의 수결합부(141)가 결합됨과 동시에 흡입부(120) 및 배출부(130)의 가압회전에 의해 상기 결합구(141a)가 상기 결합공(142a)에 결합고정 및 결합해제되게 된다.
즉, 상기 흡입부(120) 및 배출부(130)를 손으로 잡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가압회전시키면 상기 결합공(142a)에 결합구(141a)가 결합고정되고, 이를 다시 반대방향으로 가압회전시키면 상기 결합공(142a)에서 결합구(141a)가 결합해제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결합공(142a)의 형상은 상기 결합구(141a)가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너비로 형성되고 길이는 흡입부(120) 및 배출부(130)의 회전각도에 대응되어 상기 결합구(141a)가 이동하는 경로만큼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142a)의 일측단부에는 상기 흡입부(120) 및 배출부(130)의 가압력이 해제된 경우에, 상기 결합구(141a)가 탄성적으로 안착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걸림턱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결합구(141a)는 원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142a) 내부에서 이동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흡입부의 흡입구(121) 및 배출부의 배출구(131)는 에어라인후드의 에어라인(11)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흡입부의 흡입구(121)는 에어컴프레샤측과 연결된 에어라인후드(10)의 에어라인(11)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배출부의 배출구(131)는 에어라인후드(10)와 연결된 에어라인(11)에 나사결합된다.
다음은 필터(2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필터(200)는 상기 본체의 공간부(110)에 수용되며, 중심부에는 상기 흡입부의 흡입구(121)로부터 유입되어 필터를 거쳐 여과된 공기가 이동하는 관 로(210)가 형성되되, 상기 관로(210)에는 흡입구측으로 밀폐구(220)가 결합되어 상기 관로(210)는 배출구(131)와는 연통되나 흡입구(121)와는 밀폐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필터(200)는 일반적으로 고체필터로써 널리 사용되는 다공성의 세라믹 소결체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공간부(110)에 수용되므로, 상기 본체의 공간부(11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즉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으로 내부에 관로(210)가 형성된 관형상으로 형성되게 된다.
여기에서 필터가 본체의 공간부에서 반대 방향으로 수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흡입부 및 배출부에 있어서 필터의 양단부가 결합되는 부위의 형상이, 상기 밀폐구가 결합된 필터가 본체에 반대 방향으로 결합되면, 흡입부 및 배출부가 착탈결합이 되지 않도록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즉, 필터가 결합되는 부위의 흡입부 및 배출부의 내경을 달리하여 필터가 반대로 수용되게 되면 흡입부 및 배출부가 결합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밀폐구(220) 일측은 상기 필터의 관로(210)의 내경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관로(210)와 밀폐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필터의 관로(210)의 내경보다는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둘레를 따라 돌출편(221)이 형성되어, 상기 유로(310)와 흡입구(121)는 연통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밀폐구의 돌출편(221)은 상기 본체의 흡입부(120) 내측면에 형성된 유로소통부(160)에 안착되도록 한다. 상기 유로소통부(160)는 상기 본체의 흡입부(120)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121)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밀폐구(220) 타측의 지름보다는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됨과 동시 에 상기 돌출편(221)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밀폐구(220)의 타측면 테두리와 돌출편(221) 사이로 공기가 소통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여, 상기 유로(310)와 흡입구(121)는 연통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밀폐구(220)는 공기가 흡입되는 측의 관로(210)를 밀폐결합시켜, 흡입구와 유로는 소통되도록 하고, 유입된 공기는 전부 필터(20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통과되어 여과되며, 상기 배출구(131)와 관로(210)는 서로 소통되어 여과된 공기는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상기 흡입부의 흡입구(121)로 흡입된 작업장 내의 공기가 상기 유로(310)를 거쳐 상기 필터(200)의 측면을 통과하면서 여과되어 관로(210)로 유입된 후, 여과된 공기는 관로(210)에서 배출구측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 여과된 공기는 에어라인(11)을 통과하여 에어라인후드(10) 내부로 유입되어 신선한 공기를 작업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필터수용체(3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필터수용체(300)는 상기 본체(100) 내부의 공간부(110)에 수용되고, 내부에 상기 필터(2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원통형상의 관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필터(200) 외표면과의 사이로 공기가 이동되도록 유로(310)를 형성시킬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즉, 필터(200)의 외표면과 상기 필터수용체(300)의 내표면과의 사이가 이격되게 형성되도록 하여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유로(310))가 마련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필터수용체(300)는 필터(200)를 상기 배출구(131)를 제외하고는 상기 본체(100) 내외부와는 완전히 밀폐되도록 함과 동시에 필터(200)가 작업장 내의 공기에 의해 무단 오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필터의 오염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필터(200)의 오염 여부를 본체(100) 외측에서 즉각적이고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본체의 흡입부(120) 또는 배출부(130)에 상기 공간부(110)와 관통되게 필터관찰공(150)을 더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본체(100)의 흡입부(120) 및 배출부(130)의 결합해제를 수행하지 않더라도 상기 필터관찰공(150)을 통해 필터(200)의 오염 정도를 식별할 수 있게 되어, 필터(200)의 교체 시기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흡입부의 흡입구(121)로 흡입된 공기가 유로 내부로 흐르면서 필터를 거쳐 여과된 후, 필터의 관로(210) 및 배출구(131)를 통해 에어라인(11) 내부로만 유입되도록 상기 필터수용체(300)와 본체(100)와의 결합부위에는 밀폐를 위한 오링(320)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본체(100) 측면으로 여과된 공기가 무단히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상술한 흡입부(120) 및 배출부(130)와의 결합고정 및 결합해제시 어느 정도의 탄성가압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여과기는 일반적으로 에어라인후드(10) 뒤측으로 길게 뻗어 나온 에어라인(11) 상의 특정 위치에 결합되는 것으로, 에어컴프레샤와 연결 되는 에어라인측으로 상기 흡입부의 흡입구(121)가 결합되며, 에어라인후드(10)와 연결되는 에어라인측으로 상기 배출부의 배출구(131)가 결합되어, 에어라인후드(10)와 일체로 제공되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 공기 여과기가 장착된 에어라인후드(10)를 착용하고, 에어컴프레샤를 작동시키게 되면, 작업장의 공기가 에어컴프레샤와 연결된 공기공급관(미도시)을 타고 에어라인(11) 내부로 유입되게 되며, 유입된 공기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여과기를 통과하여 여과된 후, 에어라인(11)과 에어라인후드(10) 내부로 유입되어 작업자에게 여과된 신선한 공기가 공급되게 하는 원리이다.
이를 더욱더 상세히 살펴보면, 에어컴프레샤측 에어라인(11)에서 상기 흡입부의 흡입구(121)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밀폐구(220)의 돌출편(221)과 유로소통부(160) 사이로 흐르게 되고, 바로 유로(310)로 유입됨과 동시에 유입된 공기는 필터(20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통과하면서 여과되어 상기 필터의 관로(210)에 이르게 된다.
그 다음 상기 관로(210)에 이르게 된 여과된 공기는 배출구(131)로 배출되어 에어라인(11) 및 에어라인후드(10) 내부로 공급되어, 작업자에게 여과된 신선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필터(200)의 수명은 상기 본체(100)에 형성된 필터관찰공(150)을 통해 관찰할 수 있으며, 필터(200)의 수명이 다하면, 상기 흡입부(120)와 배출부(130)를 결합해제하여 상기 필터수용체(300)를 분리하고 오염된 필터(200)를 제거하고, 새로운 필터(200)로 교체하면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필터의 오염 상태 를 신속하게 식별할 수 있고,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산업현장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깨끗한 공기로 여과시켜 에어라인후드를 착용하고 있는 작업자에게 언제나 신선한 공기를 제공하여 작업자의 건강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작업능률을 개선시키며, 상기 본체로부터 필터의 교체가 신속,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부와, 타측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부와 착탈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배출부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공간부에 수용되며, 중심부에는 관로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측 관로에는 일측은 상기 필터의 관로의 내경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관로와 밀폐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필터의 관로의 내경보다는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둘레를 따라 돌출편이 형성되어 상기 유로와 흡입구가 연통되도록 형성된 밀폐구가 결합형성되어, 상기 관로와 상기 배출구는 연통되게 형성된 필터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공간부에 수용되며, 상기 필터를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필터 외표면과의 사이로 유로를 형성시키는 필터수용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유로를 통해 필터를 거쳐 여과되어 상기 필터의 관로를 통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여과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흡입부 또는 배출부에는,
    상기 공간부와 관통되게 형성된 필터관찰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여과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여과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의 흡입구 및 배출부의 배출구는,
    에어라인후드의 에어라인에 결합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여과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착탈결합수단은,
    상기 흡입부 일단부에 형성되며, 둘레를 따라 돌출되게 결합구가 형성된 수결합부와;
    상기 배출부 타단부에 형성되며, 둘레를 따라 상기 결합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이 형성된 암결합부;로 구성되어, 상기 흡입부 및 배출부의 가압회전에 의해 상기 결합구가 상기 결합공에 결합고정 및 결합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여과기.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흡입부 내측면에는,
    상기 흡입구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밀폐구 타측의 지름보다는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돌출편은 안착되도록 유로소통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여과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수용체와 상기 본체와의 결합부위에 오링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여과기.
KR1020070018921A 2007-02-26 2007-02-26 공기 여과기 KR100820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921A KR100820904B1 (ko) 2007-02-26 2007-02-26 공기 여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921A KR100820904B1 (ko) 2007-02-26 2007-02-26 공기 여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0904B1 true KR100820904B1 (ko) 2008-04-11

Family

ID=39534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8921A KR100820904B1 (ko) 2007-02-26 2007-02-26 공기 여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09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193B1 (ko) * 2008-07-14 2010-09-10 (주)지오퓨어텍 필터를 구비한 공기호흡장치
KR101440029B1 (ko) 2014-04-25 2014-09-1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레버를 이용한 경사구조에 의해 누적된 미세입자 제거 기능을 가지는 모듈형 싸이클론 방식의 공기정화장치
KR101443596B1 (ko) 2012-06-29 2014-09-2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경사를 통한 누적된 미세입자 제거 기능을 가지는 모듈형 싸이클론 방식의 공기정화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782Y1 (ko) 2001-01-19 2001-07-03 김영희 공기여과기
KR20020032557A (ko) * 2000-06-26 2002-05-03 헤루 프라산타 위자야 자동차 내연 기관용 교차 원뿔형 공기 여과기
KR200334765Y1 (ko) 2003-08-27 2003-12-01 대국기업 주식회사 여과기를 가지는 방독면
KR200364124Y1 (ko) 2004-07-02 2004-10-11 황성수 투명 커버를 갖는 여과기
KR200376076Y1 (ko) * 2004-11-24 2005-03-11 박춘배 공기 여과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2557A (ko) * 2000-06-26 2002-05-03 헤루 프라산타 위자야 자동차 내연 기관용 교차 원뿔형 공기 여과기
KR200228782Y1 (ko) 2001-01-19 2001-07-03 김영희 공기여과기
KR200334765Y1 (ko) 2003-08-27 2003-12-01 대국기업 주식회사 여과기를 가지는 방독면
KR200364124Y1 (ko) 2004-07-02 2004-10-11 황성수 투명 커버를 갖는 여과기
KR200376076Y1 (ko) * 2004-11-24 2005-03-11 박춘배 공기 여과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193B1 (ko) * 2008-07-14 2010-09-10 (주)지오퓨어텍 필터를 구비한 공기호흡장치
KR101443596B1 (ko) 2012-06-29 2014-09-2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경사를 통한 누적된 미세입자 제거 기능을 가지는 모듈형 싸이클론 방식의 공기정화장치
KR101440029B1 (ko) 2014-04-25 2014-09-1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레버를 이용한 경사구조에 의해 누적된 미세입자 제거 기능을 가지는 모듈형 싸이클론 방식의 공기정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79330B (zh) 用于水处理系统的具有累积流量传感器的旁通阀
KR200415015Y1 (ko) 커넥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교체되는 역삼투막 필터, 및이를 이용한 정수시스템
JP5543221B2 (ja) 呼吸装置フード用の空気送達装置
US11401175B2 (en) Water-purification cartridge and water purifier
JP2009297716A (ja) コネクターを用いて容易に交替できる浄水用フィルター
HK1093704A1 (en) In-line filter assembly with quick-change coupling, and a filter
CN105209127A (zh) 呼吸器设备
KR100820904B1 (ko) 공기 여과기
KR101873011B1 (ko) 물을 이용한 필터마스크
KR101436826B1 (ko) 유체 여과망의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볼타입 개폐 여과밸브
KR100944226B1 (ko) 정수기용 필터 장치
KR101011615B1 (ko) 공기호흡장치가 장착된 의복
CN214063166U (zh) 一种串联式自清洁空气滤清器
SE0702556L (sv) Tätningskoppling och aggregat bestående av genomsläppande del, en gaspatron och en adapter innefattande kopplingen.
KR101847152B1 (ko) 역세척 가능한 멤브레인 일체형 공기호흡장치가 장착된 헬멧
KR200376076Y1 (ko) 공기 여과기
CN112502867B (zh) 一种串联式自清洁空气滤清器
CN213644655U (zh) 一种过滤装置和淋浴阀
TW201914410A (zh) 用於澆水工具之可見且可拆卸的過濾器
CN209815712U (zh) 一种带快装滤芯的净水器
KR102067401B1 (ko) 마스크 기구
KR200452261Y1 (ko) 공기배출 필터드레인 밸브
KR20170119646A (ko) 정수필터가 위쪽 방향으로 교체되는 정수장치
CN109906333B (zh) 低流量警报阀
US20070039871A1 (en) Inlet filter for high pressure spraying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