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0324B1 - An emergency switch - Google Patents

An emergency swi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0324B1
KR100820324B1 KR1020060063821A KR20060063821A KR100820324B1 KR 100820324 B1 KR100820324 B1 KR 100820324B1 KR 1020060063821 A KR1020060063821 A KR 1020060063821A KR 20060063821 A KR20060063821 A KR 20060063821A KR 100820324 B1 KR100820324 B1 KR 100820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case
emergency switch
button unit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38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04905A (en
Inventor
김승호
Original Assignee
(주) 케이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케이엠티 filed Critical (주) 케이엠티
Priority to KR1020060063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0324B1/en
Publication of KR20080004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9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0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03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01H3/46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using rod or lever linkage, e.g. toggle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비상스위치를 제공한다. 제공된 비상스위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마련되어 사용자에 의해 수직 이동되며 케이스의 내부로 로드가 연장되어 있는 버튼유닛과, 버튼유닛을 덮도록 케이스의 상면에 마련되는 커버와, 케이스의 저면으로부터 마련된 회동축에 축연결되며 로드의 수직 이동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레버와, 회동레버의 회동에 따라 접속되어 비상신호를 전달하는 마이크로스위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공된 비상스위치에 의하면 버튼유닛의 수직 이동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레버가 마련됨으로써 마이크로스위치의 동작구조에서 데미지를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기계적인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버튼유닛의 수직 이동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레버가 마련됨으로써 종래보다 얇은 두께의 비상스위치를 설치 가능하도록 하게 한다.Provide emergency switch. The emergency switch provided is provided with a case, a button unit which is provided to be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and is vertically moved by the user and has a rod extending into the case, a cover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to cover the button unit, and the bottom of the case. It includes a rotation lever axially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provided from the rotation lever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rod, and a micro switch connec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lever to transmit an emergency signal.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ergency switch provided, the rotation lever which is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button unit is provided, thereby minimizing damage in the operation structure of the micro switch, thereby extending the mechanical life. In addition, the rotation lever is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button unit is provided to enable the installation of the emergency switch of a thinner thickness than the conventional.

Description

비상스위치{An emergency switch}Emergency switch {An emergency switch}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스위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ergency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2b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스위치 중 버튼유닛과 회동레버의 움직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Figure 2a, 2b is a plan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button unit and the rotation lever of the emergency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3b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스위치 중 버튼유닛과 회동레버의 움직임을 나타낸 일측 단면도이다.Figure 3a, 3b is one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button unit and the rotation lever of the emergency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4b, 4c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스위치 중 버튼유닛의 움직임을 나타낸 타측 단면도이다.Figure 4a, 4b, 4c is another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button unit of the emergency switch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케이스 15 : 커버10: case 15: cover

18 : 걸림턱 20 : 버튼유닛18: Jam Jaw 20: Button Unit

21 : 제 1버튼 22 : 누름판21: first button 22: pressing plate

23 : 연장부 24 : 리브23: extension part 24: rib

25 : 로드 26 : 제1경사면25: rod 26: the first slope

29 : 제1탄성부재 31 : 제 2버튼29: first elastic member 31: second button

32 : 플레이트 33 : 누름부32: plate 33: pressing part

39 : 제2탄성부재 40 : 회동레버39: second elastic member 40: rotation lever

41 : 중공 43 : 제2경사면41: Hollow 43: Second Slope

50 : 마이크로스위치50: micro switch

본 발명은 비상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상 상황 발생 시 외부로 비상신호를 전달할 수 있게 하는 비상스위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switch,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mergency switch that can transmit an emergency signal to the outside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일반적으로 은행 또는 편의점과 같이 외부의 침입자가 불순한 의도로 칩입할 우려가 있는 장소에는 위급 상황 또는 비상상황의 발생 시 사용자가 직접 작동시켜 비상신호를 발생시키는 비상스위치가 설치된다.In general, emergency switches are installed in places where external intruders, such as banks or convenience stores, may be intruded with impure intentions to generate emergency signals by directly operating the user in case of emergency or emergency.

이러한 비상스위치는 사용자가 버튼유닛을 누르면 경찰서 또는 방범업체로 비상신호가 바로 전달되어 짧은 시간에 경찰과 방범요원이 출동하여 위급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se emergency switches are to be sent to the police station or security company immediately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unit so that police and security personnel can be dispatched in a short time to cope with the emergency situation.

한편, 종래의 비상스위치에는 위급 상황 시 외부의 침입자가 버튼유닛을 누르는 것을 눈치 채지 못하도록 책상 등의 상면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케이스를 매입시키고 이 케이스의 상면을 커버에 의해 덮는 매입형 비상스위치가 있다. 상기의 비상스위치의 케이스에는 그 내부에 버튼유닛과, 이 버튼유닛의 하부에 배치되어 버튼유닛의 누름동작 즉, 버튼유닛의 수직 이동에 의해 접촉되어 비상신호를 전달하는 마이크로스위치가 마련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emergency switch has an embedded emergency switch that embeds the case in the inner spac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sk and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by a cover so that an external intruder does not notice pressing the button unit in case of emergency. . The case of the emergency switch is provided with a button unit and a micro switch disposed below the button unit and contacted by a pressing operation of the button unit, that is, vertical movement of the button unit, to transmit an emergency signal.

하지만 상기와 같은 매입형 비상스위치는 사용자가 버튼유닛을 누르는 것 을 외부의 침입자가 눈치 채지 못하게 하는 효과는 있지만, 이 비상스위치가 작동되기 위하여 버튼유닛의 누름동작을 가능하게 하고 이 버튼유닛의 하측에 마이크로스위치가 설치되게 하는 두께가 필요함으로써 이 비상스위치가 설치되는 매입공간의 제약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비상스위치는 버튼유닛의 수직 이동으로 인해 이 버튼유닛에 직접적으로 마이크로스위치가 접촉됨으로써 이 버튼유닛의 접촉으로 인해 마이크로스위치의 기계적인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embedded emergency switch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external intruder from noticing that the user presses the button unit. However, in order to operate the emergency switch, the button unit can be pushed and the lower side of the button unit.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limitation of the buried space in which the emergency switch is installed by requiring a thickness to allow the micro switch to be installed.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emergency switch has a problem in that the mechanical life of the micro switch is shortened due to the contact of the button unit by contacting the micro switch directly due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button unit.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공간의 제약이 없도록 두께를 얇게 설치구조를 개선한 비상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mergency switch having an improved thickness of the installation structure without limiting the installation space.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버튼유닛의 움직임으로 접촉되는 마이크로스위치의 기계적인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d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mergency switch that can extend the mechanical life of the micro switch in contact with the movement of the button unit.

이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스위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마련되어 사용자에 의해 수직 이동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로드가 연장되어 있는 버튼유닛과, 상기 버튼유닛을 덮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마련되는 커버와, 상기 케이스의 저면으로부터 마련된 회동축에 축연결되며 상기 로드의 수직 이동에 따라 좌우로 회동되는 회동레버와, 상기 레버의 회동에 따라 접속되어 비상신호를 전달하는 마이크로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Emergency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to be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the button unit is vertically moved by the user and the rod extends into the inside of the case, and covers the button unit A cover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ase, a pivoting shaft axially connected to a rotation shaft provided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case, and pivoting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rod, and connec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lever to transmit an emergency signal.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icro switch to.

상기 버튼유닛의 로드에는 하향으로 갈수록 경사진 제1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레버에는 상기 로드가 드나들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의 내면에는 상기 제1경사면에 대응되는 제2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로드의 수직 이동 시 상기 제1경사면이 상기 제2경사면을 타고 내려오면서 상기 회동레버를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rst inclined surface that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od of the button unit is formed, and a hollow is formed in the pivoting lever to allow the rod to enter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When the rod is moved vertically, the first inclined surface is rotated dow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for rotating the pivoting lever.

상기 회동레버의 일측에는 상기 회동레버를 복귀시키는 제3탄성부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side of the rotation lev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rd elastic member for returning the rotation lever is disposed.

상기 버튼유닛은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양끝단에서 하측으로 수직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형성된 리브로 이루어진 제 1버튼과, 상기 제 1버튼 누름판의 하측에 마련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1버튼의 누름판을 관통하는 누름부로 이루어진 제 2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utton unit may include a first button comprising a pressing plate, an extension part vertically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pressing plate, and a rib formed at an end of the extension part, a plate provided below the first button pressing plat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plat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button formed in the pressing portion penetrating the pressing plate of the first button.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버튼유닛의 수직 이동 시 상기 제 1버튼의 리브가 걸리도록 하여 상기 제 1버튼이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턱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s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jaw is provided so that the first button is fixed by the rib of the first button is caught when the button unit is moved vertically.

상기 제 2버튼의 플레이트는 상기 제 2버튼의 하강 시 상기 걸림턱을 벌어지게 하여 상기 걸림턱에 고정된 상기 제 1버튼을 이탈시키도록 상기 제 1버튼 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ate of the second button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longer than the first button so as to open the locking jaw when the second button is lowered to release the first button fixed to the locking jaw.

상기 제 1버튼과 상기 제 2버튼의 하부에는 상기 제 1버튼과 상기 제 2버튼을 복귀시키기 위한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가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rst elastic member and a second elastic member for returning the first button and the second button are respectively provided below the first button and the second butt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스위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 2b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스위치 중 버튼유닛과 회동레버 및 마이크로스위치의 관계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a, 3b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스위치 중 버튼유닛과 회동레버의 움직임을 나타낸 일측 단면도이며, 도 4a, 4b, 4c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스위치 중 버튼유닛의 움직임을 나타낸 타측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ergency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a, 2b is a plan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tton unit, the rotation lever and the micro switch of the emergency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a, 3b is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button unit and the rotation lever of the emergency switch according to Figure 4a, 4b, 4c is another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button unit of the emergency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비상스위치에는 도 1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와, 이 케이스(10)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마련되어 사용자의 누름동작에 의해 수직 이동되는 버튼유닛(20)과, 케이스(10)의 상면에 마련되어 버튼유닛(30)을 덮을 수 있도록 케이스(10)의 상면에서 슬라이딩 되는 커버(15)와, 케이스(10)의 저면으로부터 마련된 회동축(47)에 축연결되며 버튼유닛(20)의 수직 이동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레버(40)와, 회동레버(40)의 회동에 따라 접속되어 비상신호를 전달하는 마이크로스위치(50)가 구비된다.In the emergency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2A, a case 10 forming an appearance and a button unit which are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0 are vertically moved by a user's pressing operation. 20), a cover 15 which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0 and slide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0 so as to cover the button unit 30, and a rotation shaft 47 provided from the bottom of the case 10. A pivoting lever 40 is pivotally connec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button unit 20 and a micro switch 50 connected to the pivoting lever 40 to transmit an emergency signal.

구체적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는 상부케이스(11)와, 이 상부케이스(11)의 하부에 마련되는 하부케이스(12)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는 상부케이스(11)와 하부케이스(12)의 결합으로 인해 형성된 내부공간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부케이스(11)의 상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15)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홈(13)이 형성되며, 하부케이스(12)의 저면에는 수직 이동되는 버튼유닛(20)의 누름 상태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턱(18,도 4a참조)이 형성된 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A, the case 10 includes an upper case 11 and a lower case 12 provided below the upper case 11, and an upper case 11 therein. And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lower case 12 is provided. In addition, a sliding groove 13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ase 11 to allow the cover 15 to be slidably mov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ase 12 presses the button unit 20 to be vertically moved. A locking step 18 (see FIG. 4A) is formed to allow the state to be fixed.

또한, 버튼유닛(20)은 도 3a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상면에 노출되는 제 1버튼(21)과, 이 제1버튼(21)의 하측에 마련된 제 2버튼(31)을 포함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3A and 4A, the button unit 20 includes a first button 21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0 and a second button provided below the first button 21. 31).

이때, 제 1버튼(2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11)의 상면에 노출되는 누름판(22)과, 이 누름판(22)의 양 측면에서 케이스(10)의 내측으로 수직 연장된 연장부(23)와, 이 연장부(23)의 끝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일정 부분 돌출된 리브(24)와, 누름판(22)의 하면으로부터 케이스(10)의 내측으로 수직 연장된 로드(25)를 구비한다. At this time, the first button 21 is a pressing plate 22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ase 11, as described above, and the extension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inwardly of the case 10 on both sides of the pressing plate 22. (23), ribs (24) protruding a portion from the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23) in the outward direction, and rods (25) vertically exten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ing plate (22) to the inside of the case (10). do.

그리고 제 2버튼(31)은 제 1버튼(21)의 누름판(22)의 하부에 마련되어 제 1버튼(21)의 연장부(23) 외측으로 일정 부분 돌출되도록 마련된 플레이트(32,도 4a참조)와, 이 플레이트(32)의 상면에 형성되어 제 1버튼(21)의 누름판(22)을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누름부(33)를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button 31 is provided below the pressing plate 22 of the first button 21 and provided to protrude a portion of the extension part 23 of the first button 21 outwardly (see FIG. 4A). And a pressing part 33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32 and provided to penetrate the pressing plate 22 of the first button 21.

상기와 같은 제 1버튼(21)의 누름판(22)에는 제 2버튼(31)의 누름부(33)가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홀(27)이 형성되며, 제 1버튼(21)의 연장부(24)에는 제 2버튼(31)의 플레이트(32)가 일정 부분 외측으로 돌출되는 홈(27)이 형성된다. 즉, 걸림턱(18)에 고정된 제 1버튼(21)을 이탈시키기 위하여 누름판(22)을 관통한 누름부(33)를 통해 플레이트(32)를 하강시킴으로써 이 플레이트(32)가 걸림턱(18)을 벌어질 수 있도록 한다. In the pressing plate 22 of the first button 21 as described above, a through hole 27 is formed to penetrate the pressing part 33 of the second button 31, and an extension of the first button 21. In the 24, a groove 27 is formed in which the plate 32 of the second button 31 protrudes outward from a predetermined portion. That is, the plate 32 is lowered by lowering the plate 32 through the pressing portion 33 penetrating through the pressing plate 22 to release the first button 21 fixed to the locking jaw 18. 18) to make it happen.

여기서, 미설명부호 26은 하향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진 로드(25)의 제1경사면(26)이며, 미설명부호 29 및 39는 제 1버튼(21)과 제 2버튼(31)의 하부에 마련되어 이 제 1버튼(21)과 제 2버튼(31)을 복귀시키기 위한 제1탄성부재(29)와 제2탄성부재(39)이다.Here, reference numeral 26 denotes a first inclined surface 26 of the rod 25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lower side, and reference numerals 29 and 39 denote lower portions of the first button 21 and the second button 31. And a first elastic member 29 and a second elastic member 39 for returning the first button 21 and the second button 31 to each other.

또한, 회동레버(40)에는 도 2a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유닛(20)의 수직 이동으로 인해 수평으로 회동 될 수 있도록, 하부케이스(12)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된 회동축(47)에 축 연결되며 제 1버튼(21)의 로드(25)가 드나들 수 있는 중공(41)이 형성된다. 이때 중공(41)의 내면에는 로드(25)에 형성된 제1경사면(26)과 대응되도록 상방으로 갈수록 경사진 외측으로 제2경사면(43)이 형성된다. 그리고 회동레버(40)의 일측에는 이 회동레버(4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며 버튼유닛(20)이 수직 이동되지 않았을 때 마이크로스위치(50)를 작동시키기 않게 하기 위한 제3탄성부재(45) 즉, 스프링이 마련된다. In addition, the rotation lever 40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12 so that the rotation lever 40 can be rotated horizontally due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button unit 20 as shown in FIGS. 2A and 3A. The shaft 41 is axially connected to the hollow 41 through which the rod 25 of the first button 21 can enter. At this time,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41 is formed with a second inclined surface 43 to the outside inclined upward to correspond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26 formed on the rod 25. And on one side of the rotation lever 40, the third return member 45 for returning the rotation lever 40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not to operate the micro switch 50 when the button unit 20 is not vertically moved. That is, a spring is provided.

또한, 마이크로스위치(50)는 회동레버(40)의 일측에 마련되며, 버튼유닛(20)의 수직 이동으로 인해 회동레버(40)의 수평 이동 시 회동레버(40)에 접촉되어 비상신호를 외부로 전달하게 된다.In addition, the micro switch 5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otation lever 40, and is in contact with the rotation lever 40 when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rotation lever 40 due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button unit 20 to externally output an emergency signal. Will be sent to.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상스위치의 작동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switch according to the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follows.

외부의 침입자가 불순한 의도로 침입하는 등의 위급 상황 시 대처하기 위해 침입자가 눈치 채지 못하는 장소 예를 들면 책상 등에 매입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케이스(10)의 상면에 마련된 커버(15)를 슬라이딩시켜 버튼유닛(20)을 노출시킨 다음 버튼유닛(20)을 누른다.To operate the emergency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a place, for example, a desk that the intruder does not notice in order to cope with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n intruder from outside invading with impurity intention, first of all,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0 The cover unit 15 is slid to expose the button unit 20, and then the button unit 20 is pressed.

이때,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버튼유닛(20)을 누르면 이 버튼유닛(20)의 제 1버튼(21)과 제 2버튼(31)이 수직 이동된다. 제 1버튼(21)이 수직 이동되면 이 제 1버튼(21)의 하면에 마련된 로드(25)도 수직 이동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 로드(25)의 제1경사면(26)이 회동레버(40)의 중공(41) 내면의 제2경사면(43)을 타고 내려오면서 회동레버(40)를 수평 이동시키게 된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B,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unit 20, the first button 21 and the second button 31 of the button unit 20 are vertically moved. When the first button 21 is vertically moved, the rod 25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button 21 is also vertically moved. In this case, the first inclined surface 26 of the rod 25 is the pivot lever 40. While rotating dow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3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41, the pivoting lever 40 is moved horizontally.

다음으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레버(40)가 수평 이동되면 이 회동레버(40)가 마이크로스위치(50)에 접속되는데, 이와 같이 마이크로스위치(50)에 회동레버(40)가 접속되면 외부로 비상신호를 전달하여 위급 상황을 알리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버튼유닛(20)에 의해 회동레버(40)가 수평 이동되어 마이크로스위치(50)에 접속됨으로써 버튼유닛(20)의 움직임이 직접적으로 마이크로스위치(50)에 접촉되지 않으므로 마이크로스위치(50)에 가해지는 데미지를 최소화할 수 있어 이 마이크로스위치(50)의 기계적인 수명을 연장시킬 수도 있다.Next, as shown in FIG. 2B, when the pivoting lever 40 is horizontally moved, the pivoting lever 40 is connected to the microswitch 50. In this way, when the pivoting lever 40 is connected to the microswitch 50. The emergency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to inform the emergency situation. At this time, the rotation lever 40 is horizontally moved by the button unit 20 and is connected to the micro switch 50 so that the movement of the button unit 20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micro switch 50. Damage to 50 may be minimized, thereby extending the mechanical life of the microswitch 50.

한편, 상기와 같이 제 1버튼(21)이 수직 이동되는 과정에서 제 1버튼(21)의 연장부(23)와 리브(24)도 수직 이동되는데, 이와 같이 수직 이동된 리브(24)는 케이스(10)의 저면으로부터 형성된 걸림턱(18)에 걸리게 되어 제 1버튼(21)을 고정시키게 되어 지속적으로 비상신호를 전달하게 한다.(도 4b참조) Meanwhile, in the process of vertically moving the first button 21 as described above, the extension part 23 and the rib 24 of the first button 21 are also vertically moved. It is caught by the locking step 18 formed from the bottom of the 10 to fix the first button 21 to continuously transmit the emergency signal (see Fig. 4b).

또한, 버튼유닛(20)을 실수로 작동시키거나 위급 상황이 끝나는 경우 제 1버튼(21)이 걸림턱(18)이 고정됨으로써 지속적으로 전달되는 비상신호를 중지시켜야 하는데, 이와 같은 경우 제 1버튼(21)을 관통하는 제 2버튼(31)의 누름부(33)를 누르면 제 2버튼(31)의 플레이트(32)가 하측으로 수직 이동되면서 걸림턱(18)을 외측으로 벌어지게 한다. 이로 인해 걸림턱(18)에 고정된 제 1버튼(21)이 걸림턱(18)으로부터 이탈됨으로 제 1버튼(21) 및 제 2버튼(31)이 그 하부에 설치된 제1탄성부재(29)와 제2탄성부재(39)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In addition, when the button unit 20 is inadvertently operated or an emergency situation is ended, the first button 21 must stop the emergency signal continuously transmitted by fixing the locking jaw 18. In this case, the first button Pressing the pressing portion 33 of the second button 31 penetrating through the 21 to move the plate (32) of the second button 31 vertically downward to open the locking step 18 to the outside. As a result, the first elastic member 29 having the first button 21 and the second button 31 installed below the first button 21 fixed to the locking jaw 18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jaw 18.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39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상스위치는 버튼유닛의 수직 이동으로 인해 회동레버가 수평방향으로 회동되게 함으로써 이 비상스위치의 설치 시 얇은 두께로 설치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mergency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abling the rotary lever to be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ue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button unit so that the emergency switch can be installed in a thin thickness.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비상스위치는 회동레버의 회동에 따라 접속되는 마이크로스위치의 동작구조에서 마이크로스위치에 가해지는 데미지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기계적인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nd the emergency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damage to the microswitch in the operating structure of the microswitch connec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pivoting lever has the effect of extending the mechanical life.

Claims (7)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마련되어 사용자에 의해 수직 이동되며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로 로드(25)가 연장되어 있는 버튼유닛(20)과, 상기 버튼유닛(20)을 덮도록 상기 케이스(10)의 상면에 마련되는 커버(15)와, 상기 케이스(10)의 저면으로부터 마련된 회동축(47)에 축연결되며 상기 로드(25)의 수직 이동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레버(40)와, 상기 회동레버(40)의 회동에 따라 접속되어 비상신호를 전달하는 마이크로스위치(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스위치. A case unit 10, a button unit 20 provided to be expos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case 10 and vertically moved by a user, and having a rod 25 extending into the case 10, and the button unit ( 20 is axially connected to the cover 15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0 and the pivot shaft 47 provid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10 so as to cover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rod 25. Emergency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ting lever (40) rotated in a direction, and a micro switch (50) connec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lever (40) to transmit an emergency signa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버튼유닛(20)의 로드(25)에는 하향으로 갈수록 경사진 제1경사면(26)이 형성되며,The rod 25 of the button unit 20 is formed with a first inclined surface 26 inclined downwardly, 상기 회동레버(40)에는 상기 로드(25)가 드나들 수 있도록 중공(41)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41)의 내면에는 상기 제1경사면(26)에 대응되는 제2경사면(43)이 형성되어 상기 로드(25)의 수직 이동 시 상기 제1경사면(26)이 상기 제2경사면(43)을 타고 내려오면서 상기 회동레버(40)를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스위치.A hollow 41 is formed in the pivot lever 40 to allow the rod 25 to enter and a second slope 43 corresponding to the first slope 26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hollow 41.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26 descends o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43 dur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rod 25, wherein the pivoting lever 40 is rotated.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회동레버(40)의 일측에는 상기 회동레버(40)를 복귀시키며 상기 버튼유닛(20)이 수직 이동되지 않았을 때 상기 마이크로스위치(50)를 작동시키기 않게 하는 제3탄성부재(45)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스위치.One side of the pivot lever 40 is provided with a third elastic member 45 to return the pivot lever 40 and to not operate the micro switch 50 when the button unit 20 is not vertically moved. Emergency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버튼유닛(20)은 누름판(22)과 상기 누름판(22)의 양끝단에서 하측으로 수직 연장되는 연장부(23)와 상기 연장부(23)의 끝단에 형성된 리브(24)로 이루어진 제 1버튼(21)과, 상기 제 1버튼(21) 누름판(22)의 하측에 마련되는 플레이트(32)와 상기 플레이트(32)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1버튼(21)의 누름판(22)을 관통하는 누름부(33)로 이루어진 제 2버튼(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스위치.The button unit 20 includes a pressing plate 22 and an extension part 23 vertically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pressing plate 22 and a rib 24 formed at the end of the extension part 23. The plate 21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button 21 and the pressing plate 22 of the first button 21 and the pressing plate 22 of the first button 21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32. Emergency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button (31) consisting of a pressing portion (33) penetrating.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케이스(10)에는 상기 제 1버튼(21)의 수직 이동 시 상기 제 1버튼(21)의 리브(24)가 걸리도록 하여 상기 제 1버튼(21)이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턱(18)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스위치.The case 10 has a latching jaw 18 to hold the rib 24 of the first button 21 when the first button 21 is vertically moved so that the first button 21 is fixed. Emergency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 2버튼(31)의 플레이트(32)는 상기 제 2버튼(31)의 수직 이동 시 상기 걸림턱(18)을 벌어지게 하여 상기 걸림턱(18)에 고정된 상기 제 1버튼(21)을 이탈시키도록 상기 제 1버튼(21) 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스위치.The plate 32 of the second button 31 opens the locking jaw 18 when the second button 31 is vertically moved so that the first button 21 fixed to the locking jaw 18 is fixed. Emergency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longer than the first button (21) to escape.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 1버튼(21)과 상기 제 2버튼(31)의 하부에는 상기 제 1버튼(21)과 상기 제 2버튼(31)을 복귀시키기 위한 제1탄성부재(29)와 제2탄성부재(39)가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스위치.The first elastic member 29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2) for returning the first button 21 and the second button 31 are disposed below the first button 21 and the second button 31. 39) an emergency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each provided.
KR1020060063821A 2006-07-07 2006-07-07 An emergency switch KR1008203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821A KR100820324B1 (en) 2006-07-07 2006-07-07 An emergency swi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821A KR100820324B1 (en) 2006-07-07 2006-07-07 An emergency swit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905A KR20080004905A (en) 2008-01-10
KR100820324B1 true KR100820324B1 (en) 2008-04-11

Family

ID=39215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3821A KR100820324B1 (en) 2006-07-07 2006-07-07 An emergency swit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0324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971B1 (en) 2011-09-30 2013-01-28 현대로템 주식회사 Emergency switch protective cover
KR101943763B1 (en) * 2017-11-20 2019-01-29 주식회사 풍산 Small-sized electronic impact switch
KR102099396B1 (en) * 2019-01-14 2020-04-09 (주)케이씨이앤씨 Switch cover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44357B (en) * 2010-12-28 2012-12-26 上海力荣实业发展有限公司 Miniature remote control type emergency button switch
TWI759971B (en) * 2020-11-23 2022-04-0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Emergency switch modu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9982A (en) * 1993-04-27 1994-11-04 Canon Inc Power switch operating mechanism
KR19980030765U (en) * 1996-11-29 1998-08-17 배순훈 Tact switch actuator
KR19990024786U (en) * 1997-12-15 1999-07-05 전주범 Structure of push button to operate tact switch installed horizontally
US6791038B1 (en) 2003-11-25 2004-09-14 Defond Components Limited Electrical switc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9982A (en) * 1993-04-27 1994-11-04 Canon Inc Power switch operating mechanism
KR19980030765U (en) * 1996-11-29 1998-08-17 배순훈 Tact switch actuator
KR19990024786U (en) * 1997-12-15 1999-07-05 전주범 Structure of push button to operate tact switch installed horizontally
US6791038B1 (en) 2003-11-25 2004-09-14 Defond Components Limited Electrical switch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971B1 (en) 2011-09-30 2013-01-28 현대로템 주식회사 Emergency switch protective cover
KR101943763B1 (en) * 2017-11-20 2019-01-29 주식회사 풍산 Small-sized electronic impact switch
KR102099396B1 (en) * 2019-01-14 2020-04-09 (주)케이씨이앤씨 Switch cover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905A (en) 2008-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0324B1 (en) An emergency switch
KR100322143B1 (en) Keyboard device and personal computer using same
US7943875B2 (en) Switch structure integrated with display and playback device
JP2006342511A (en) Latch release operation device
JP4607697B2 (en) Waterproof pushbutton switch device
JP4162413B2 (en) Switch assembly
KR101924465B1 (en) Locking Device for Sliding Window
JP4238205B2 (en) Latch release operation device
KR101318204B1 (en) Locking device for sliding window
KR100434327B1 (en) the outside operating handle system for circuit breaker
CN219322764U (en) Self-generating remote controller and toilet
JP2588859Y2 (en) Push button switch
JP2006331867A (en) Switch button device and cellular phone equipped with the same
JP3624744B2 (en) Wave switch operation structure
CN1230847C (en) Circuit breaker control device
JP4295599B2 (en) Switch device
JP2005068775A (en) Switch box
KR200452305Y1 (en) Door Lock Device with Knob Having Forced Locking Button Function
JP4916669B2 (en) Sub-block device for sliding doors
US6268591B1 (en) Safety and/or control device for electric cooking appliance
CN116113189A (en) Self-generating remote controller and toilet
JP4201568B2 (en) Switch device
KR200236456Y1 (en) Control device for a push-button type switch
JP4157926B2 (en) Shutter switch box
JP6407009B2 (en)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