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9588B1 - 네트워크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9588B1
KR100819588B1 KR1020060066975A KR20060066975A KR100819588B1 KR 100819588 B1 KR100819588 B1 KR 100819588B1 KR 1020060066975 A KR1020060066975 A KR 1020060066975A KR 20060066975 A KR20060066975 A KR 20060066975A KR 100819588 B1 KR100819588 B1 KR 100819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searched
adapter
network connection
networ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6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훈
방준완
도근창
이상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6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9588B1/ko
Priority to US11/655,825 priority patent/US809080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9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9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독립형 전송 매체를 통한 통신을 수행하되, 네트워크에 최초로 연결될 때 단일 네트워크에 연결되도록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연결 시작 요청에 대한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수단과, 네트워크를 검색하여 단수의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어댑터 및, 상기 네트워크 어댑터로 상기 네트워크 연결 시작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네트워크 연결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네트워크 디바이스{NETWORK DEVICE}
도 1은 일반적인 비독립형 전송매체를 이용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적용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네트워크 어댑터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네트워크 서버에서의 네트워크 구성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의 네트워크 구성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네트워크 서버 20: 네트워크 디바이스
22: 네트워크 어댑터
본 발명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독립형 전송 매체를 통한 통신을 수행하되, 네트워크에 최초로 연결될 때 단일 네트워크에 연결되도록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설치 공간에서의 배선 문제와, 이동성을 위해, 전력선 통신, Zigbee, RF 등과 같이 비독립형 전송매체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전력선 통신, Zigbee, RF 등과 같이 비독립형 전송매체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각 네트워크(예를 들면, 각 가정)를 구분하는 네트워크 식별자(홈코드 등)를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구분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비독립형 전송매체를 이용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정(H1)과 가정(H1)은 비독립형 전송매체인 전력선에 의해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가정(H1)은 네트워크 서버(1a)와, 가전 기기(2a), (2b)로 이루어진 네트워크 시스템이고, 가정(H2)은 네트워크 서버(1b)와, 가전 기기(2c)로 이루어진 네트워크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가정(H1)은 예를 들면, 홈코드로 0x11이 설정되어 있고, 가정(H2)은 홈코드로 0x01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 새로운 가전 기기(2d)를 가정(H2)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연결하는 방법을 생각해 본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홈코드와 같은 네트워크 식별자를 설정할 때, 이 가전 기기(2d)는 홈코드를 전혀 저장하지 않은 상태이고, 전원이 인가되면 즉, 전력선에 연결되면 네트워크 서버(1b)로부터 홈코드를 수신하여 설정함으로써,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즉, 가전 기기(2d)가 가정(H2)의 네트워크에 등록되어 네트워크 서버(1b)에 의한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 방법에 있어서, 가정(H1)과 가정(H2)에서 거의 동시에 새로운 가전기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가전 기기(2d)는 가정(H2)의 홈코드(0x01)을 수신하기 이전에, 가정(H1)의 홈코드(0x11)를 수신하는 경우, 당연히 홈코드(0x11)로 홈코드를 설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전 기기(2d)는 네트워크 서버(1b)에 의한 제어를 수행하지 않고, 네트워크 서버(1a)의 제어를 수행하게 되는 보안 상의 심각한 문제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전력선 통신에 국한되지 않고, 비독립형 전송매체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존재하는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비독립형 전송매체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신뢰성 높은 네트워크 연결 및 등록을 성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그의 네트워크 구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최소한의 조작에 의해 해당 네트워크에 안정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그의 네트워크 구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연결 시작 요청에 대한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수단과, 네트워크를 검색하여 단수의 네트워크에 대한 네 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어댑터 및, 상기 네트워크 어댑터로 상기 네트워크 연결 시작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네트워크 연결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 어댑터는 상기 검색된 네트워크의 개수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어댑터는 상기 네트워크의 개수를 네트워크 식별자에 의해 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인 네트워크 어댑터는 네트워크를 검색하는 검색수단과, 상기 검색된 네트워크의 개수에 따라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등록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구성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연결 시작 요청에 대한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연결 시작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를 검색하는 단계와, 단수의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적용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네트워크 시스템은 소정 영역 내의 디바이스를 제어 및 모니터링하는 네트워크 서버(10)와, 네트워크 서버(10)와 비독립형 전송 매체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20)로 이루어진다.
네트워크 서버(1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수단(11)과, 비독립형 전송매체에 따른 프로토콜(예를 들면, PLC, ZigBee, RF 등)에 따른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어댑터(12)와, 네트워크 서버(10)가 냉장고 또는 DTV인 경우, 네트워킹 이외의 독자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구동부(13)와, 사용자에게 적어도 네트워크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14)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네트워크 어댑터(12)를 제어하여, 소정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마이컴(15)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20)의 각 구성요소인 입력수단(21)과, 네트워크 어댑터(22)와, 구동부(23)와, 표시수단(24) 및 마이컴(25)은 네트워크 서버(10)의 입력수단(11)과, 네트워크 어댑터(12)와, 구동부(13)와, 표시수단(14) 및 마이컴(15)에 대응되는 기본 기능을 수행한다. 다만, 도 3의 네트워크 어댑터(22)는 네트워크 보안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며, 이에 대한 설명이 하기에서 개시된다.
도 3은 도 2의 네트워크 어댑터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어댑터(22)는 비독립형 전송매체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송수신부(31)와, 네트워크 디바이스(20)의 마이컴(25)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접속 인터페이스(32)와, 비독립형 전송매체에 따른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33)로 이루어지고, 네트워크 연결 결과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34)를 추가적 으로 구비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송수신부(31)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복조부, 변조부, 증폭부, 안테나 등으로 구성된 것으로, 그 세부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숙한 사람에게는 용이하게 인식된다.
접속 인터페이스(32)는 마이컴(25)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접속 수단에 해당되며, 마이컴(25)로부터의 명령 및 데이터의 수신과, 제어부(33)로부터의 이러한 명령에 대한 결과 보고 및 데이터의 송신을 수행하는 것이다.
제어부(33)는 적용된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방식에 따라 네트워크 연결과, 이후의 데이터 송수신 등을 제어하는 소자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 제어부(33)가 신규한 네트워크 디바이스(20)를 네트워크 서버(10)가 제어하는 네트워크에 연결되도록 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표시부(34)는 네트워크 어댑터(22)의 전원 공급 상태, 또는 동작 상태(정상 동작, 동작 오류 등)를 표시할 수도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20)가 별도의 표시수단을 구비하지 못한 경우, 네트워크 연결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이 표시부(34)는 시각적 표시뿐만 아니라 청각적 표시도 가능하다.
제어부(33)의 검색모듈(33a)은 송수신부(31)를 통하여 연결가능한 네트워크를 검색한다. 이러한 검색은 예를 들면, PLC 통신의 경우, 네트워크 서버(10)가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20)로 송신하므로, 이러한 연결 요청 메시지의 확인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또는, ZigBee 통신의 경우, 이러한 검색은 검색모듈(33a)이 송수신부(31)를 통하여 network join 과정에서 network join enable 상태인 PAN coordinator인 네트워크 서버(10)로부터 channel과 PAN ID의 수신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이 검색수단(33a)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또는 네트워크 서버(10))에서 네트워크 식별자를 수신하여, 이에 따라 네트워크를 검색하게 된다.
등록모듈(33b)은 검색모듈(33a)에 의해 검색된 네트워크 중에서 하나의 네트워크에 구성원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산정모듈(33c)은 검색모듈(33a)에 의해 검색된 네트워크의 개수를 산정하는 수단이다. 즉, 산정모듈(33c)은 네트워크 어댑터(22)가 연결될 수 있는 네트워크의 개수를 산정하여, 이에 대한 결과를 등록모듈(33b)에 알려준다. 여기서, 산정모듈(33c)은 검색모듈(33a)에 의해 검색된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의 종류에 따라 네트워크의 개수를 산정한다. 보통, 네트워크 서버(10)의 네트워크 어댑터(12)는 소정의 설정시간 동안 복수회의 네트워크 식별자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산정모듈(33c)이 동일한 네트워크 식별자인 (PAN ID, channel)를 복수회 수신한 경우 네트워크는 1개이고, 상이한 네트워크 식별자를 수신한 경우는 복수개의 네트워크에 해당된다.
산정모듈(33c)의 산정 결과에 따라, 등록모듈(33b)은 연결가능한 네트워크가 단수인 경우, 이 네트워크(즉, 네트워크 서버(10))가 사용자에 의해 네트워크 디바이스(20)가 접속되기를 원하는 네트워크인 것으로 판단하여, 이 네트워크 식별자를 자신의 네트워크 식별자로 저장하고, 이 네트워크 식별자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서버(10)로의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한다.
도 4는 네트워크 서버에서의 네트워크 구성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5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의 네트워크 구성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ZigBee 통신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개시한다.
자세하게는, 도 4의 단계(S41)에서, 네트워크 서버(10)의 마이컴(15)은 입력수단(11)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연결 시작 요청에 대응하는 입력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한다. 즉, 사용자가 새로운 네트워크 디바이스(20)를 현재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연결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것인지 판단한다.
이에 대응하여, 도 5의 단계(S51)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20)의 마이컴(25)도 사용자로부터의 네트워크 연결 시작 요청에 대응하는 입력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한다.
도 4의 단계(S42)에서, 마이컴(15)은 네트워크 어댑터(12)로 네트워크 연결 허용 명령을 송신하고, 이에 따라 네트워크 어댑터(12)는 현재 상태를 다른 네트워크 어댑터로부터의 PAN으로의 연결 허용(join enable) 상태로 전환한다.
도 5의 단계(S52)에서, 마이컴(25)은 네트워크 어댑터(22)로 하여금 네트워크 연결 과정(network join procedure)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에, 네트워크 어댑터(22)의 검색모듈(33a)은 네트워크 검색을 수행한다.
도 4의 단계(S43)에서, 네트워크 서버(10)의 네트워크 어댑터(12)는 네트워크 어댑터(22)의 네트워크 연결 과정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연결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이는, 네트워크 어댑터(12)가 기저장하고 있는 네트워크 식별자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외부로 송신하여, 네트워크 어댑터(22)의 검색모듈(33a)이 수신하도록 한다. 즉, 단계(S43)과 단계(S52)가 서로 유기적으로 동작하게 되며,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 과정은 ZigBee 프로토콜에 규정된 바에 따라 수행된다.
도 4의 단계(S44)에서, 네트워크 어댑터(12)는 설정시간(t1) 동안 네트워크 연결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즉, 네트워크 어댑터(12)는 이 설정시간(t1) 동안 네트워크 연결 허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5의 단계(S53)에서, 네트워크 어댑터(22)는 설정시간(t2) 동안 네트워크 연결 과정을 수행한다.
도 5의 단계(S54)에서, 검색모듈(33a)은 검색된 네트워크 식별자를 모두 산정모듈(33c)로 보내고, 산정모듈(33c)은 수신된 네트워크 식별자의 종류에 따라 연결가능한 네트워크의 개수를 산정하여 등록모듈(33b)로 보낸다. 이에 등록모듈(33b)은 네트워크의 개수가 단수인지를 판단하며, 만약 단수이면, 단계(S5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56)로 진행한다.
단계(S55)에서, 등록모듈(33b)은 수신된 네트워크 식별자에 대응하는 네트워크로 연결 요청을 송신하고, 이에 도 4의 단계(S45)에서, 네트워크 어댑터(12)가 이를 수신하여 단계(S46)에서, 네트워크 연결 허용을 네트워크 어댑터(22)로 송신한다. 이에 등록모듈(33b)이 네트워크 어댑터(12)로 네트워크 정보(예를 들면, 홈코드, 인증키, 암호화키 등)를 요청하고, 단계(S46)에서, 네트워크 어댑터(12)는 이에 대하여 네트워크 정보를 네트워크 어댑터(12)로 전송하며, 이에 등록모듈(33b)이 이 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한다.
단계(S56)에서, 등록모듈(33b)은 복수의 네트워크 어디에도 연결하기를 포기 하고, 수신된 네트워크 식별자를 폐기한다. 이렇게 네트워크가 복수개 검색되면, 사용자가 직접 네트워크 식별자를 입력하는 경우가 아닐 때, 등록모듈(33b)이 어떤 네트워크가 사용자가 연결을 원하는 네트워크인지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을 포기한다.
도 4의 단계(S47)에서, 네트워크 어댑터(12)는 네트워크 정보에 대한 처리(연결 요청의 수신, 연결 허용의 송신 및 네트워크 정보의 송신 등)를 수행하였으면 네트워크 디바이스(20)의 성공적인 네트워크 연결이 수행되었음을, 또는 네트워크 정보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지 않았으면 네트워크 디바이스(20)의 네트워크 연결이 실패하였음을 마이컴(15)에 알리고, 이에 마이컴(15)은 표시수단(14)을 통하여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 결과를 알린다.
도 5의 단계(S57)에서, 네트워크 어댑터(22)는 단계(S55)에 따른 경우 네트워크 연결 성공을, 또는 단계(S56)에 따른 경우 네트워크 연결 실패를 마이컴(25)에 알리고, 이에 마이컴(25)은 그 네트워크 연결 결과를 표시수단(24)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또한, 네트워크 어댑터(22)는 내장된 표시부(34)를 통하여 네트워크 연결 결과를 알릴 수도 있다. 단계(S57)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22)는 네트워크 연결 실패인 경우, 네트워크 연결 과정을 재수행하지 않으며, 사용자에게 표시부(34) 또는 표시수단(24)으로 그 사실을 알리고, 일정 시간이 흐른 후에 재시도하도록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은 단계(S54) 내지 (S56)를 통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20)가 단수인 유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비독립형 전송매체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신뢰성 높은 네트워크 연결 및 등록을 성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최소한의 조작에 의해 해당 네트워크에 안정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삭제
  2.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연결 시작 요청에 대한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수단과;
    네트워크를 검색하여, 검색된 네트워크의 개수가 단수인 경우, 검색된 단수의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어댑터 및;
    상기 네트워크 어댑터로 상기 네트워크 연결 시작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네트워크 연결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네트워크 어댑터는 검색된 네트워크의 개수가 복수인 경우,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3.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연결 시작 요청에 대한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수단과;
    네트워크를 검색하여, 검색된 네트워크의 개수가 단수인 경우, 검색된 단수의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어댑터 및;
    상기 네트워크 어댑터로 상기 네트워크 연결 시작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네트워크 연결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네트워크 어댑터는 상기 네트워크의 개수를 네트워크 식별자에 의해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4. 삭제
  5. 네트워크를 검색하는 검색수단과;
    상기 검색된 네트워크가 단수인 경우, 상기 검색된 단수의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등록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검색된 네트워크의 개수를 네트워크 식별자에 따라 산정하는 산정수단을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어댑터.
  6. 삭제
  7.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연결 시작 요청에 대한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연결 시작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네트워크의 개수를 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네트워크가 단수인 경우, 상기 검색된 단수의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수행 단계는 상기 검색된 네트워크가 복수인 경우,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구성 방법.
  8.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연결 시작 요청에 대한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연결 시작 요청에 따라 네트워크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네트워크의 개수를 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네트워크가 단수인 경우, 상기 검색된 단수의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산정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의 개수를 네트워크 식별자에 의해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구성 방법.
KR1020060066975A 2006-01-23 2006-07-18 네트워크 디바이스 KR100819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975A KR100819588B1 (ko) 2006-07-18 2006-07-18 네트워크 디바이스
US11/655,825 US8090807B2 (en) 2006-01-23 2007-01-22 Home code setting method for home network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975A KR100819588B1 (ko) 2006-07-18 2006-07-18 네트워크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9588B1 true KR100819588B1 (ko) 2008-04-04

Family

ID=39533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6975A KR100819588B1 (ko) 2006-01-23 2006-07-18 네트워크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958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5123A (ko) * 2004-04-19 2006-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의 변동시 기기간의 정보 교환방법 및 그 방법을위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5123A (ko) * 2004-04-19 2006-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의 변동시 기기간의 정보 교환방법 및 그 방법을위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0807B2 (en) Home code setting method for home network system
EP348419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wireless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5941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detection and multi-mode security in a control network
KR100470853B1 (ko) 네트워크 장치, 네트워크 접속 관리 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의 증설 방법
CN111277610B (zh) 网关控制系统、方法、智能设备、智能设备服务器
CN104503378B (zh) 一种机器人以及基于该机器人的控制家电的方法
US20160198211A1 (en) Ir pairing for rf4ce remote controls
KR100640064B1 (ko) 하나의 컨트롤러를 이용한 다수의 홈 디바이스 제어방법 및장치
US20170048700A1 (en) Self-configuring wireless network
EP3065013B1 (en) Device control method, server, system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05159121A (zh) 家用电器及其开关机控制方法和系统及智能设备
CN112188488A (zh) 一种配网方法、装置及系统
KR10221494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기기 등록 방법 및 장치
EP3449656A1 (en) Network access control
US8661242B1 (en) Autonomous password update in SNMPv3 computer network
CN106502113B (zh) 自动配对方法及服务器
KR100819588B1 (ko) 네트워크 디바이스
JP4931659B2 (ja) 家電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239088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기기 등록 방법 및 장치
KR100792076B1 (ko) 네트워크 디바이스
EP2940883B1 (en) Power system
CN112530150A (zh) 用于遥控器的配对方法及配对装置、遥控器
KR100997265B1 (ko) 원격제어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방법,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서버
WO2018235007A1 (en) AUTHENTICATION SYSTEM FOR USERS NEAR A MACHINE AND ASSOCIATED METHOD
CN113726585B (zh) 智能家居设备、设备入网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