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9420B1 - A folding plane floor the tent is added - Google Patents
A folding plane floor the tent is adde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19420B1 KR100819420B1 KR1020070002859A KR20070002859A KR100819420B1 KR 100819420 B1 KR100819420 B1 KR 100819420B1 KR 1020070002859 A KR1020070002859 A KR 1020070002859A KR 20070002859 A KR20070002859 A KR 20070002859A KR 100819420 B1 KR100819420 B1 KR 1008194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nt
- corner
- leg
- leg portion
- upper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10—Travelling or trunk tab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2003/0824—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the table legs being individually collapsible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table top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47B37/04—Tabl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garden or otherwise in the open air, e.g. with means for holding umbrellas or umbrella-like sunshades
Landscapes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텐트가 부가된 접이식 평마루를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ing flat floor is added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텐트가 부가된 접이식 평마루를 보인 분리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ing flat floor with a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상판을 보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p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상판을 보인 정단면도.Figure 4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top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지지수단을 보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지지수단을 보인 정면도.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upport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코너다리부를 보인 확대 사시도.Figure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rner leg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측면다리부를 보인 확대 사시도.Figure 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ide le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중앙다리부를 보인 확대 사시도.Figure 9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iddle leg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분리사시도.Figure 10 is an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도 11은 본 발명의 상판이 지지수단에 안착된 상태를 보인 요부확대 단면도.Figure 1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where the upper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ated on the support means.
도 12는 본 발명의 텐트용 폴대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Figure 1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that the pole pole for the 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도 13은 본 발명의 평마루가 접히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Figure 13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at flo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도 14는 본 발명의 평마루가 접혀진 상태를 조인 정면도.Figure 14 is a front view of the flat floor of the present invention tightened in a folded state.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텐트가 부가된 접이식 평마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확대 분리 사시도.Figure 1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enlarged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olding flat floor with a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도 15의 지지수단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정면도. Figure 16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ing means of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 : 평마루 10 : 상판1: flat floor 10: top plate
20 : 지지수단 22 : 코너다리부20: support means 22: corner leg
30 : 측면다리부 40 : 중앙다리부30: side leg 40: center leg
50, 50a : 연결부재 60, 60a : 받침부재50, 50a:
70 : 텐트70: tent
본 발명은 텐트가 부가된 접이식 평마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습지나 지면이 자갈밭 또는 굴곡이 심한 지형과 물위 등에서도 평지와 같이 쾌적한 야영을 즐길 수 있도록 접이식 평마루를 설치하고, 평마루 상부에 텐트를 설치하여 야영을 즐길 수 있도록 한 텐트가 부가된 접이식 평마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ing flat floor with a tent, and more particularly, to install a folding flat floor so that you can enjoy a comfortable camping, such as flat land, even in wetlands or ground gravel or curved terrain and water, It is related to a folding flat floor with a tent installed in the upper part so that camping can be enjoyed.
현대문명이 발달하고 과학기술이 고도화됨에 따라 현대인은 물질적 풍요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과학기술의 적응과 치열한 생존경쟁에서 낙오하지 않기 위해 부단 한 노력을 하여야하므로 정신적 중압감, 스트레스 등을 많이 받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modern civilization and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modern people are suffering from mental stress and stress because they have to make constant efforts not to fall behind in adaptation of new science and technology and fierce competition for survival despite material abundance.
따라서 현대인들은 정신적 피로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레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레저 활동 중에서도 자연과 더불어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등산, 여행, 낚시 및 야외수련 등을 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Therefore, modern people are increasing their interest in leisure as a way to relieve mental fatigue, and among the leisure activities, more people are climbing, traveling, fishing and outdoor training that can relieve stress with nature.
이러한 야외 활동에는 잠시 휴식을 취하거나 취침을 하기 위한 텐트가 필수적인데, 텐트는 마른 평지나 굴곡이 없는 지형에만 한정되어 설치할 수밖에 없어 야영지로 최적인 장소가 습지거나 지면이 자갈밭 또는 굴곡이 심한 지형과 수면위에는 텐트를 설치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For these outdoor activities, a tent is necessary for a short break or going to bed. The tent is limited to only dry flat or uncurved terrain, and the best place for camping is wetlands, gravel fields or rough terrain. There w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install a tent on the water surface.
또한, 야외에서 여러 사람이 함께 앉아서 휴식을 취하면서 레저를 즐길 수 있는 평마루가 없어 바닥에 돗자리를 펴고 앉아서 쉬거나 비취파라솔이 구비된 레저용 탁자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 또한 지형이 고르지 못한 장소에는 적합하지 않아 바닥면을 고른 후에 설치하여야 하고, 이를 이용하는 인원이 한정되는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flat floor where people can sit and relax together outdoors and enjoy leisure, they are using a leisure table with a mat on the floor and resting or using a jade parasol, but the terrain is uneven. It is not suitable for places that are not suitable for installation after selecting the floor,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the number of people using i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습지나 지면이 자갈밭 또는 굴곡이 심한 지형 및 물 위 등에서도 평지와 같이 쾌적한 야영을 즐길 수 있도록 상부에 에어매트로 이루어진 상판을 안착시킨 접이식 평마루를 설치한 후 그 위에 텐트를 설치하여 쾌적한 야영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foldable seated top plate made of air mat on the top to enjoy comfortable camping, such as flat, even in wetlands or ground gravel or curved terrain and water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flat floor, the tent is installed on it so that you can enjoy pleasant camping.
또한, 평마루를 접이식으로 구성하여 필요시에는 펼쳐서 설치하여 야영 등을 즐기고, 평마루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접어서 부피를 작게 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flat floor is configured to be foldable to expand the installation if necessary, enjoy the camping, etc., when the flat floor is not used to fold down to a smaller volume to facilitate carrying and storag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측면에 에어주입구와 상기 에어주입구를 커버하는 뚜껑이 구비되고, 내부에는 다수 개의 섬유사가 상부원단과 하부원단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에어매트로 이루어진 상판과, 상기 상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텐트와, 상기 상판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상판을 하부에서 받쳐주는 지지수단으로 구성되되,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상판의 각 모서리를 지지하는 코너다리부와, 상기 코너다리부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판의 하부측 가장자리부를 지지하는 측면다리부와, 상기 코너다리부와 측면다리부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판의 하부측 중앙부를 지지하는 중앙다리부와, 상기 코너다리부와 측면다리부 및 중앙다리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너다리부와 측면다리부 및 중앙다리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상판의 저면을 받쳐주는 받침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lid for covering the air inlet and the air inlet on the side, the inside of the upper plate made of a plurality of fiber yarns installed to connect the upper and lower fabrics, and the top plate The tent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and is provided with a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upper plate from the bottom, the support means is a corner leg portion for supporting each corner of the upper plate, and between the corner leg portion A side leg portion interposed in the upper leg to support the lower edge portion of the upper plate, a center leg portion interposed between the corner leg portion and the side leg portion to support the lower sid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plate, the corner leg portion and the side leg Consists of a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part and the center leg to each other, and the upper and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ing member is provided beneath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여기서, 상기 코너다리부와 측면다리부 및 중앙다리부는 상부에 고정공이 형성된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고정공이 형성된 연결부 재가 결합되는 슬라이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corner leg portion, the side leg portion and the center leg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xing member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member formed with a fixing hole in the upper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slide portion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portion formed with the fixing hole.
삭제delete
아울러,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상판의 저면이 안착되는 받침판이 구비되고, 상기 받침판의 저면부에는 상기 코너다리부와 측면다리부 및 중앙다리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체결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support plate on which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is seated,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er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corner leg portion, side leg portion and the center leg portion.
삭제delete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길이 방향 양끝단부와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제1연결바 및 제2연결바를 구비하는데 상기 제1연결바 및 제2연결바의 양측 끝단부 관통공은 상기 코너다리부와 측면다리부 및 중앙다리부 각각의 고정부재와 슬라이드부의 고정부재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제1연결바와 제2연결바의 만나는 중앙부는 힌지축에 의해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first connecting bar and a second connecting bar having through hol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t the center thereof, and the through holes at both ends of the first connecting bar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are formed at the corner legs and side surfaces. It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fixing member and the slide member of each of the leg and the center leg,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meeting of the first connecting bar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is fastened by a hinge shaft.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연결바와 제2연결바를 한쌍으로 하여 "" 형상으로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connecting member is a pair of the first connecting bar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 "Connected to each other in shape.
나아가,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연결바와 제2연결바를 한쌍으로 하여 "X"자 형상으로 중앙부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connection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er portion is connected to the "X" shape by pairing the first connection bar and the second connection bar.
그리고, 상기 상판의 각 모서리부에는 상기 천막 또는 텐트용 지지대를 끼울 수 있는 지지대고정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each of the corners of the top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pport fixture for fitting the support for the tent or tent.
여기서, 상기 코너다리부의 하단부 소정의 위치에 상기 천막 또는 텐트를 지 지하는 고정끈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lower end of the corner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ing is further provided to fix the fixing strap supporting the tent or ten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나아가, 상기 천막 또는 텐트의 전방으로 그늘막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a shade is further provided in front of the tent or ten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텐트가 부가된 접이식 평마루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folding flat floor is added t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follow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텐트가 부가된 접이식 평마루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텐트가 부가된 접이식 평마루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상판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상판을 보인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지지수단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지지수단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코너다리부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측면다리부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중앙다리부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분리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상판이 지지수단에 안착된 상태를 보인 요부확대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텐트용 폴대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ing flat floor with a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ing flat floor with a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p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top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a suppor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shows a corner leg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de le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entral le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n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member of the
도 1 내지 도 1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텐트가 부가된 평마루는 에어매트로 형성되어 측면 소정의 위치에 내부로 에어를 주입시키는 에어주입구(12)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주입구(12)를 밀폐하는 뚜껑(14)이 마련된 상판(10)이 구비된다.As shown in FIGS. 1 to 12, the flat floor to which the 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ded is formed as an air mat, and an air inlet 12 for injecting air into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side is formed, and the
여기서, 에어매트로 형성된 상기 상판(10)의 내부에는 압력에 대응하도록 수 직 방향으로 하여 상부원단(11)과 하부원단(13)에 서로 연결 고정되어 에어매트가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도록 하는 다수개의 섬유사(16)가 더 구비된다.Here, the inside of the upper plate formed of the
즉, 상기 섬유사(16)는 상부원단과 하부원단에 양끝단부가 각각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상부원단과 하부원단을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열융착 등 접착수단에 의해 고정시켜 에어매트인 상판(10)을 구성하여 상기 에어주입구(12)로 에어를 주입시에 상기 상판(10)의 내부 특정부위로 에어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게 된다..That is, the
따라서, 상기 상판(10)으로 균일하게 에어가 주입되도록 하여 판 형상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사람이 안전하고, 편안하게 상기 상판(10)에 착석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by allowing the air to be uniformly injected into the
또한, 상기 상판(10)의 각 모서리부 측면부에는 링 형상의 고정구(18)가 더 구비된다.In addition, each side edge portion of the
그리고, 상기 상판(10)의 저면에 구비되되 상기 상판(10)을 하부에서 받쳐주는 지지수단(20)이 구비된다.And,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여기서, 상기 지지수단(20)은 상기 상판(10)의 하부측 각 모서리를 지지하는 코너다리부(22)가 구비되고, 상기 코너다리부(22)의 사이에는 상기 상판(10)의 하부측 가장자리부를 지지하는 측면다리부(30)가 구비되며, 상기 코너다리부(22)와 측면다리부(30)의 사이 중앙부에는 상기 상판(10)의 하부측 중앙부를 지지하는 중앙다리부(40)가 구비된다.Here, the support means 20 is provided with a
나아가, 상기 코너다리부(22)는 상단부에 종방향의 일측부와 횡방향의 일측 부에 고정공(24)이 형성된 고정부재(23)가 구비되고, 상기 코너다리부(22)의 하단부에는 상단부에 형성된 상기 고정부재(23)와 동일한 방향으로 고정공(27)이 형성된 고정부재(26)가 마련되어 상기 코너다리부(22) 상에서 상,하부로 슬라이드 되는 링형상의 슬라이드부(25)가 구비된다.Furthermore, the
그리고, 상기 측면다리부(30)는 상기 코너다리부(22)의 사이에 구비되되 상단부에는 종방향의 일측부와 횡방향의 양측부에 고정공(33)이 형성된 고정부재(32)가 구비되고, 상기 측면다리부(30)의 하단부에는 상단부에 형성된 고정부재(32)와 동일한 방향으로 고정공(37)이 형성된 고정부재(36)가 마련되어 상기 측면다리부(30) 상에서 상,하부로 슬라이드 되는 링형상의 슬라이드부(34)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중앙다리부(40)는 상기 코너다리부(22)와 측면다리부(30)의 사이, 즉 상기 상판(10)의 하부측 중앙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되 상단부에는 종방향의 양측과 횡방향의 양측으로 고정공(43)이 형성된 고정부재(42)가 구비되고, 상기 중앙다리부(40)의 하단부에는 상단부에 형성된 고정부재(42)와 동일한 방향으로 고정공(47)이 형성된 고정부재(46)가 마련되어 상기 중앙다리부(40) 상에서 상,하부로 슬라이드 되는 링형상의 슬라이드부(44)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코너다리부(22) 또는 측면다리부(30)의 하단부 소정의 위치에는 외측으로 형성되는 고리(28)가 더 구비된다.Here, the lower end of the
즉, 상기 고리(28)는 상기 슬라이드부(25)가 상,하로 이동할 때 간섭을 받지 않는 위치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그리고, 상기 코너다리부(22)와 측면다리부(30) 및 중앙다리부(40)를 상호 간에 연결시켜 주는 연결부재(50)가 더 구비된다.Further, a
즉, 상기 연결부재(50)는 길이 방향으로 양끝단부와 중앙부에 관통공(54)(54a)이 형성된 제1연결바(52)와 제2연결바(52a)를 한쌍으로 하여 "X"자 형상이 되도록 하여 교차점에 힌지축(55)을 고정하여 구비하고, 또한 "X"자 형상의 또 다른 한쌍의 제1연결바(52)와 제2연결바(52a)를 유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 형상이 되게 형성하되 상기 두쌍의 제1,2연결바(52)(52a)의 연결부는 힌지축(56)으로 결합하여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That is, the connecting
이렇게 상기 연결부재(50)의 제1,2연결바(52)(52a)로 구성되어 두쌍이 ""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연결부재(50)의 제1,2연결바(52)(52a)의 일측 끝단부는 상기 코너다리부(22)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부재(23)와 하단부의 슬라이드부(25)에 형성된 고정부재(26) 각각의 고정공(24)(27)과 각각의 관통공(54)(54a)이 연계되게 끼운 후 회전 가능하게 힌지축(29)을 이용하여 결합 고정시키고, 상기 연결부재(50)의 또 다른 제1,2연결바(52)(52a)의 타측 끝단부는 상기 측면다리부(30)의 상단부에 구비된 고정부재(32)와 하단부의 슬라이드부(34)에 구비된 고정부재(36)에 각각 힌지축(3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 고정시키게 된다.Thus,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bars 52 and 52a of the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하여 상기 코너다리부(22)와 측면다리부(30)를 서로 연결부재(50)로 연결시키고, 또한 상기 측면다리부(30)와 중앙다리부(40)를 서로 연결부재(50)로 연결하여 고정시키게 된다.In this manner, the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50)는 제1,2연결바(52)(52a)를 한쌍으로 하여 상기 코너다리부(22)와 측면다리부(30) 및 중앙다리부(40)에 각각 연결시킬 수도 있고, 제1,2연결바(52)(52a)를 두쌍으로 하여 상기 코너다리부(22)와 측면다리부(30) 및 중앙다리부(40)에 각각 연결시킬 수도 있다.Here, the connecting
그리고, 상기 코너다리부(22)와 측면다리부(30) 및 중앙다리부(40)의 상단부에는 상기 상판(10)의 저면을 받쳐주는 받침부재(60)가 구비된다.And, the upper end of the
여기서, 상기 받침부재(60)는 상기 상판(10)의 저면이 안착되는 받침판(62)이 구비되고, 상기 받침판(62)의 저면에는 상기 코너다리부(22)와 측면다리부(30) 및 중앙다리부(40)의 각각 상부에 체결되는 체결구(64)가 구비된다.Here, the
나아가, 상기 받침부재(60)의 체결구(64)는 상기 코너다리부(22)와 측면다리부(30) 및 중앙다리부(40)를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고, 원통형상의 상기 코너다리부(22)와 측면다리부(30) 및 중앙다리부(40)의 상단부 내측으로 끼워지도록 하여 체결 고정되게 된다.Further, the
아울러, 상기 받침부재(60)의 받침판(62)는 외측 방향에 상기 상판(10)이 안착될 때 상기 받침부재(60)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66)이 더 구비된다.In addition, 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너다리부(22)에 결합된 받침부재(60)의 걸림턱(66)은 외측 방향에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면다리부(30)에 결합된 받침부재(60)의 걸림턱(66)은 외측 일 방향에만 형성되게 된다.Preferably, the locking
그리고, 상기 상판(10)의 상부에는 텐트(70)가 설치되게 되는데, 상기 텐트(70)는 상기 상판(10)에 구비되어 있는 링 형상의 고정구(18)에 여러개로 분리 조립 가능한 텐트지지대(72)의 하부 끝단부가 끼워지도록 하여 결합시켜 상기 텐 트(70)를 설치하게 되고, 상기 텐트(70)를 고정시키는 고정끈(73)을 더 구비하되 상기 고정끈(73)의 일측은 텐트(70)에 고정시키고 타측은 상기 코너다리부(22)에 구비된 고리(28)에 고정시켜 상기 텐트(70)가 바람 등에 의해 날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nd, the upper part of the
여기서, 상기 고정끈(73)은 말뚝(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지면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Here, the fixing
나아가, 상기 상판(10)의 상단부에는 텐트(70) 이외에도 천막(미도시) 등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Furthermore, in addition to the
그리고, 상기 텐트(70)의 외부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그늘막(74)이 더 구비되게 되는데, 상기 그늘막(74)은 별도의 지지대(75)를 이용하여 일측을 지면과 이격되게 지지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텐트(70)에 고정되게 하여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텐트가 부가된 접이식 평마루(1)는 습지나 자갈밭 또는 굴곡이 심한 지형에도 평지와 동일한 쾌적한 야영을 즐길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평마루(1)를 접이식으로 구성하여 평마루(1)와 상기 평마루(1)에 구비되는 텐트(70)를 설치 및 접을 때 단시간 내에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접었을 때 부피가 작아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각 부품들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folding flat floor (1) to which the 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ded allows to enjoy the same pleasant camping as the flat even in wetlands, gravel fields or severe terrain, and also comprises the flat floor (1) by folding the flat floor ( 1) and when installing and folding the
본 발명은 먼저, 평마루 및 텐트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평마루(1)를 설치하고자 하는 지점을 선택하고, 설치하고자 하는 지점이 정해지면 사용자는 지지수단(20)의 코너다리부(22)를 파지한 상태에서 외측으로 펼치게 되면 상 기 각각의 다리부(22)(30)(40)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재(50)가 펼쳐지면서 상기 지지수단(20)이 설치되고, 상부에는 에어주입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상기 에어주입구(12)로 에어를 주입시킨 후에 뚜껑(14)으로 에어주입구(12)를 밀폐시켜 형성된 상판(10)을 안착시키고, 상기 상판(10)을 안착시킨 후에 그 위에 텐트(70)를 설치하게 되면 평마루(1) 및 텐트(70)의 설치가 모두 완료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first, when you want to install the flat floor and tent, select the point to install the flat floor (1), if the point to be determined is the user is the
즉, 상기 지지수단(20)의 코너다리부(22)들을 파지한 상태에서 외측으로 펼치게 되면 코너다리부(22)와 측면다리부(30) 및 중앙다리부(40)들 간에 간격이 벌어지면서 펼쳐지게 되고, 이때 상기 코너다리부(22)와 측면다리부(30) 및 중앙다리부(40)들 간에 서로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재(50)가 펼쳐지게 되는데, 상기 연결부재(50)는 각 다리부(22)(30)(40)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는 제1연결바(52)는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힌지축(29)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각 다리부(22)(30)(40)의 하단부에 구비된 슬라이드부(25)(34)(44)에 고정되어 있는 제2연결바(52a)는 상기 슬라이드부(25)(34)(44)에 고정된 힌지축(29)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되 상기 슬라이드부(25)(34)(44)는 상기 각 다리부(22)(30)(40)들이 펼쳐질 때 상기 각 다리부(22)(30)(40)들의 안내에 따라 상부로 슬라이드되게 되어 상기 연결부재(50)가 자바라 형식으로 하여 펼쳐지게 되어 도 5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20)의 설치가 완료된다. That is, when the
따라서, 상기와 같이 지지수단(20)을 펼친 상태에서 상기 상판(10)을 안착고정시키게 되는데, 상기 상판(10)은 상기 코너다리부(22)와 측면다리부(30)의 상부에 형성된 받침부재(60)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받침부재(60)의 걸림턱(66)에 의 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게 되며, 또한 상기 상판(10)의 상부에 사람이 올라가 활동을 하더라도 상기 상판(10)의 저면을 지지하는 받침판(62)에 의해 특정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이렇게 상기 지지수단(20)의 상부에 상기 상판(10)을 설치한 후에 상기 텐트 (70)또는 천막(미도시)을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텐트(70)를 설치할 경우에는 상기 텐트(70) 형상을 유지하는 텐트지지대(72)의 각 코너 텐트지지대(72)를 상기 상판(10)의 코너에 구비된 지지대고정구(18)에 끼워 고정시키고 상기 텐트(70)를 고정시키는 연결끈(73)은 상기 코너다리부(22)의 하단부에 구비된 고리(28)에 고정시켜 상기 텐트(70)를 견고하게 설치하게 된다.Thus, the
이때 상기 천막(미도시)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상기 텐트(70)를 설치하는 동일한 방법에 의해 설치되게 된다.In this case, even when the tent is installed, the
또한, 상기 텐트(70)를 설치 후에 야영을 즐기는 사람이 외부에 돗자리를 펴고 앉자서 쉬거나 레저용 탁자를 설치하여 야영을 즐길 때 햇빛을 차단할 수 있는 그늘막(74)을 더 설치할 수도 있는데, 상기 그늘막(74)은 상기 텐트(70)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지지대(75)를 이용하여 지지하도록 하고 지지대(75) 쪽에 별도의 끈(76)을 이용하여 상기 그늘막(74)이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지면에 고정해주게 되면 그늘막(75)의 설치가 완료되게 된다. In addition, after installing the
이와 같이 평마루(1)에 텐트(70)를 설치한 후에 야영을 즐김으로써 지형이 불규칙한 자갈밭 또는 습지 및 굴곡이 심한 지형에서도 평지와 동일한 쾌적한 야영을 즐길 수 있게 된다.Thus, by installing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텐트가 부가된 평마루를 설치하여 야영 및 레크레이션 등을 즐긴 후에 상기 텐트(70)와 평마루(1)를 철거하는 경우에는, 먼저 상기 상판(10)의 상부에 설치된 텐트(70)를 분리하여 텐트(70)를 접어 별도의 텐트가방에 수납시키고 상기 상판(10)을 분리하여 내부에 충만된 에어를 모두 배출시켜 접거나 말아서 부피를 작게 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dismantling the
이 상태에서 상기 지지수단(20)를 접게 되는데, 상기 지지수단(20)은 펼칠 때와 반대로 상기 각 코너다리부(22)를 내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측면다리부(30)와 중앙다리부(40) 및 코너다리부(22)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접히게 된다.In this state, the supporting
즉, 상기 코너다리부(22)를 내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각 다리부(22)(30)(40)들을 연결시키고 있는 연결부재(50)가 접히면서 좁아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연결부재(50)는 각 다리부(22)(30)(40)의 상부에 고정된 제1연결바(52)는 힌지축(29)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제2연결바(52a)는 상기 슬라이드부(25)(34)(44)가 각 다리부(22)(30)(40)들의 하부로 슬라이드 되면서 ""형상이 펼쳐진 상기 연결부재(50)가 도 13의 a,b와 같이 접히게 된다.That is, when the
따라서, 상기 다리부(22)(30)(40)들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상기 연결부재(50)가 접히게 되어 상기 지지수단(20)이 완전히 접혀졌을 때 도 14와 같이 접히게 되어 상기 평마루(1)의 부피가 작아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gap between the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텐트가 부가된 접이식 평마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확대 분리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지지수단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정면도이다.Figure 1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enlarged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olding flat floor with a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ing means of FIG.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코너다리부(22)와 측면다리부(30) 및 중앙다리부(40)를 각각 연결시키는 연결부재(50a)를 "X"자형상이 되도록 제1연결바(52)와 제2연결바(52a)의 중앙부를 서로 힌지축(55)으로 고정시키고, 제1,2연결바(52)(52a)의 양측 관통공(54)(54a)을 통하여 상기 코너다리부(22)와 측면다리부(30) 및 중앙다리부(40)의 상부에 각각 형성된 고정부재(23)(32)(42)와 상기 코너다리부(22)와 측면다리부(30) 및 중앙다리부(40)에 구비된 각 슬라이드부(25)(34)(44)의 고정부재(26)(36)(46)에 각각 힌지축(29)(38)(48)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As shown in Fig. 15 and 16, the "X" shape of the connecting
또한, 상기 코너다리부(22)와 측면다리부(30) 및 중앙다리부(40)의 상부에는 고정부재(23)(32)(42)가 일처로 형성된 받침부재(60a)를 구비하여 지지수단(20)을 접어서 보관 및 이동시에 받침부재(60a)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upper corner of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관계는 전자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으로, 여기서는 작동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working relation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the description of the working relationship will be omitted here.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텐트가 부가된 평마루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lat floor to which the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d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possible to carry out by the same, which also belong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텐트가 부가된 평마루는 습지나 지면이 자갈밭 또는 굴곡이 심한 지형 및 물 위 등 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고 평지와 같이 평마루 및 텐트 설치가 용이하여 쾌적한 야영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lat floor to which the 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ded is not limited to a place such as a wetland or a gravel field or a severely curved terrain and water, and can easily enjoy a comfortable camping by installing a flat floor and tent like a plain. It has an effect.
그리고, 평마루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일체형으로 절첩 가능하게 구성하여 단시간 내에 평마루를 설치하거나 접을 수 있고, 각 부품들을 일체형으로 하여 부품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접었을 때는 부피가 작아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stall or fold the flat floor within a short time by configuring the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flat floor in one piece, and to prevent the loss of parts by integrating each part, and when folded, the volume is small and portable There is an effect to facilitate storage.
또한, 상기 상판을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매트로 제작되어있어 야영을 즐길 때 집에서 취침하는 것과 동일한 안락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top plate is made of an air injecting the air has the effect of providing the same comfort as sleeping at home when enjoying camping.
Claims (1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02859A KR100819420B1 (en) | 2007-01-10 | 2007-01-10 | A folding plane floor the tent is adde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02859A KR100819420B1 (en) | 2007-01-10 | 2007-01-10 | A folding plane floor the tent is adde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19420B1 true KR100819420B1 (en) | 2008-04-07 |
Family
ID=39533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02859A KR100819420B1 (en) | 2007-01-10 | 2007-01-10 | A folding plane floor the tent is adde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19420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97276B1 (en) | 2010-07-07 | 2012-11-05 | 송석진 | A Fold-Up Board |
KR101308524B1 (en) | 2011-07-06 | 2013-09-17 | 송석진 | A Fold-Up Board |
KR101342926B1 (en) | 2011-06-01 | 2013-12-18 | 김영훈 | The folding and unfolding type multipurpose table |
KR101558765B1 (en) | 2014-04-29 | 2015-10-19 | 이동학 | Foldable flat bet for deformation resistance |
KR102537957B1 (en) * | 2022-01-20 | 2023-05-30 | 최종섭 | Transport structure for vehicles |
KR102566348B1 (en) | 2022-08-16 | 2023-08-16 | (주)성우에스아이 | Fold-up Folding Tent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84414A (en) * | 1994-02-28 | 1995-10-31 | Yamakou:Kk | Collapsible base-leg device |
KR19990079923A (en) * | 1998-04-10 | 1999-11-05 | 최종경 | Folding outdoor flat |
KR20000059492A (en) * | 1999-03-04 | 2000-10-05 | 채정수 | Bed Mattress,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
KR200315585Y1 (en) * | 2003-02-17 | 2003-06-09 | 안정기 | A support structure having simple folding structure and floor bed using the same |
KR20040102423A (en) * | 2003-05-27 | 2004-12-08 | 조기성 | Amphibious air tent |
-
2007
- 2007-01-10 KR KR1020070002859A patent/KR100819420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84414A (en) * | 1994-02-28 | 1995-10-31 | Yamakou:Kk | Collapsible base-leg device |
KR19990079923A (en) * | 1998-04-10 | 1999-11-05 | 최종경 | Folding outdoor flat |
KR20000059492A (en) * | 1999-03-04 | 2000-10-05 | 채정수 | Bed Mattress,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
KR200315585Y1 (en) * | 2003-02-17 | 2003-06-09 | 안정기 | A support structure having simple folding structure and floor bed using the same |
KR20040102423A (en) * | 2003-05-27 | 2004-12-08 | 조기성 | Amphibious air tent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97276B1 (en) | 2010-07-07 | 2012-11-05 | 송석진 | A Fold-Up Board |
KR101342926B1 (en) | 2011-06-01 | 2013-12-18 | 김영훈 | The folding and unfolding type multipurpose table |
KR101308524B1 (en) | 2011-07-06 | 2013-09-17 | 송석진 | A Fold-Up Board |
KR101558765B1 (en) | 2014-04-29 | 2015-10-19 | 이동학 | Foldable flat bet for deformation resistance |
KR102537957B1 (en) * | 2022-01-20 | 2023-05-30 | 최종섭 | Transport structure for vehicles |
KR102566348B1 (en) | 2022-08-16 | 2023-08-16 | (주)성우에스아이 | Fold-up Folding T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19420B1 (en) | A folding plane floor the tent is added | |
US8573454B2 (en) | Combination backpack and seating apparatus | |
US6644329B2 (en) | Tent adapted for attachment to a cot | |
US9066597B2 (en) | Compact, collapsible, swivel camping chair | |
US20170311723A1 (en) | Foldable chair | |
KR101397958B1 (en) | A compact, collapsible, swivel camping chair | |
US20150091352A1 (en) | Compact, Collapsible, Swivel Beach Chair | |
US6418577B1 (en) | Portable hammock | |
CA2650167A1 (en) | Collapsible portable platform | |
US10201231B2 (en) | System and methods for portable furniture | |
KR101057479B1 (en) | Folding extra bed with adjustable height | |
RU2770772C1 (en) | Folding self-setting hammock frame with a shortened hammock and method for hanging a shortened hammock on the frame | |
US20110156466A1 (en) | Lightweight chair | |
KR200477598Y1 (en) | Frame assembly of simple chair | |
US11834859B2 (en) | Modular and portable shelter with integrated hub | |
US20160022042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ortable furniture | |
KR101493888B1 (en) | Outdoor chair with member supporting ground | |
KR101203603B1 (en) | A structures on the water enjoying the leisure | |
KR102029257B1 (en) | Disassembled assembly flat for tent installation | |
US11548597B2 (en) | Tension-stabilized knock down furniture structures eliminating fasteners and braces | |
KR102056887B1 (en) | Folding portable chairs | |
WO2013104175A1 (en) | Tent bed frame | |
KR20140004040U (en) | Travel bags for bed and chairs & Travel bags for oil massage | |
KR200300950Y1 (en) | Folding bed floor, tent and prefabricated bungalow using the same | |
KR101695089B1 (en) | Multifunction co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325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