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8746B1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karaoke service through communication network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karaoke service through communication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8746B1
KR100818746B1 KR1020060006068A KR20060006068A KR100818746B1 KR 100818746 B1 KR100818746 B1 KR 100818746B1 KR 1020060006068 A KR1020060006068 A KR 1020060006068A KR 20060006068 A KR20060006068 A KR 20060006068A KR 100818746 B1 KR100818746 B1 KR 100818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araoke
data
song
communication network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60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76779A (en
Inventor
전재후
Original Assignee
전재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재후 filed Critical 전재후
Priority to KR1020060006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8746B1/en
Publication of KR20070076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67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8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87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61B5/0205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 and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Measur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2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measuring distances on the body, e.g. measuring length, height or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1Ergometry, e.g. by using bicycle type apparatus
    • A61B5/222Ergometry, e.g. by using bicycle type apparatus combined with detection or measurement of physiological parameters, e.g.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Bio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46Details of waveform analysis using correlation, e.g. template matching or determination of similar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64Classification of physiological signals or data, e.g. using neural networks, statistical classifiers, expert systems or fuzzy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82Event detection, e.g. detecting unique waveforms indicative of a medical condi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CCOMPUTATIONAL CHEMISTRY; CHEMOINFORMATICS; COMPUTATIONAL MATERIALS SCIENCE
    • G16C10/00Computational theoretical chemistry, i.e.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oretical aspects of quantum chemistry, molecular mechanics, molecular dynamics or the lik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sychia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망을 통하여 크라이언트-서버구조를 갖는 단말기와 노래방서버로 구성되어, 노래방 서버로부터 사용자에 의하여 요청한 노래데이터를 단말기에서 전송받아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통한 노래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노래방 서버에는 곡데이터와 가사데이터 및 타이틀데이터에 대하여 표준미디규격에서 불필요한 인덱스필드와 불필요한 명령어필드를 제거함과 아울러 명령어의 크기를 작게 하여 명령어필드 크기를 감소시킨 저용량의 미디파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노래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관리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노래방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저용량 미디파일로 이루어진 노래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재생하기 위한 노래방 플레이어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는 무선통신망을 통한 노래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이 시스템을 이용한 노래방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erminal having a client-server structure and a karaoke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eiving a song data requested by a user from a karaoke server in a terminal for providing a karaoke ser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n a karaoke service. The karaoke server includes a plurality of MIDI files having a low capacity MIDI file which reduces the size of the command field by removing the unnecessary index fields and unnecessary command fields from the standard MIDI standard for song data, lyrics data, and title data. The karaoke data is stored in a database stored in the database, the terminal is karaok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quipped with a karaoke player program for decoding and playing the song data consisting of a low-capacity MIDI file received from the karaoke server A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a karaoke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ystem are provided.

노래방, 통신망, 미디파일 Karaoke, Network, MIDI File

Description

통신망을 통한 노래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karaoke service via a network}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karaoke service through telecommunication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karaoke service via a networ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망을 통한 노래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karaoke servic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노래방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of the karaoke server shown in FIG. 1.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휴대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FIG. 3 is a block diagram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1.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휴대단말기에 탑재되는 노래방 플레이어 프로그램의 기능 블록도이다.4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karaoke player program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도 5는 일반적인 표준 미디(Midi) 규격에 의한 미디파일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5 illustrates a MIDI file format according to a general standard MIDI standard. FIG.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에 적용되는 미디파일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IDI file format applied to a system and a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미디파일의 곡데이터와 표준미디규격에 의한 미디파일의 곡데이터를 비교한 예시도이다. 7 is an exemplary view comparing the music data of the MIDI file and the music data of the MIDI file according to the standard MIDI standard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미디파일과 표준미디규격에 의한 미디파일의 파일크기를 비교한 예시도이다.8A to 8C are exemplary views comparing file sizes of a MIDI file according to a MIDI file and a standard MIDI standard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한 노래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단말 기에 의한 노래방 서비스 동작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karaoke service by a terminal device in a karaoke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한 노래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노래방 서비스 실행 화면 메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10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karaoke service execution screen menu implemented in a terminal in a karaoke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노래데이터 디코딩 단계를 보다 세부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FIG. 11 is a flowchart showing in more detail the song data decoding step shown in FIG.

도 12는 도 9에 도시한 배경 영상출력 단계를 보다 세부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FIG. 12 is a detailed flowchart illustrating the background image output step shown in FIG. 9.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단말기 11 : 노래방 서버10: terminal 11: karaoke server

12 : 통신망 20 : 통신부12: communication network 20: communication unit

21 : 사용자인증부 22 : 곡검색부21: user authentication unit 22: song search unit

23 : 파일전송부 25 : 데이터베이스(DB)부23: file transfer unit 25: database (DB) unit

24 : 인코딩부 30 : 통신부24: encoding unit 30: communication unit

31 : 중앙제어부 32 : 저장부      31: central control unit 32: storage unit

33 : 오디오출력구동부 34 : 스피커      33: audio output driver 34: speaker

35 : 디스플레이구동부 36 : 디스플레이35: display driver 36: display

37 : 오디오입력구동부 38 : 마이크37: audio input driver 38: microphone

본 발명은 유선 통신망 및/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노래방 서버에 접속한 휴대용 클라이언트 단말기(이하, "단말기"라 한다)에 실시간으로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karaoke service in real time to a portable client termi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erminal") connected to a karaoke server via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and / 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최근 노래방은 계층이나 신분을 가리지 않고 시간과 장소를 불문하며 남녀노소의 대중적 오락으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노래방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노래방기기를 이용할 수 있는 업소를 방문하여 일정금액을 지불해야 한다. 또한, 가정용 및 업소용으로 개발되어 콤팩트 디스크 등의 디스크 매체를 이용하거나 또는 음원칩 모듈을 이용하여 일정수의 노래를 내장한 노래방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으나 신곡이 나올 때마다 계속해서 디스크 매체나 음원칩 모듈을 구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Recently, karaoke has become a popular entertainment for all ages, regardless of class or status. However, in order to use karaoke, you need to pay a certain amount of money by visiting a store that can use karaoke equipment. In addition, a karaoke system has been developed for home use and commercial use by using a disc medium such as a compact disc or by using a sound source chip module. However, each time a new song is released, the karaoke system continues to be used. There is a hassle to buy.

한편, 유선통신 기술이 발달하여 유선통신망으로서 인터넷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인터넷 통신 가능한 컴퓨터 등의 유선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노래방용 노래데이터의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노래방 서버에 접속하여, 편하게 노래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 경우,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유선단말기가 설치된 한정된 공간에서만 노래방 서비스를 사용가능하다는 제한이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wired communication technology is developed and the Internet is widely used as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wired terminal such as a computer capable of internet communication, it is connected to a karaoke server having a database of various karaoke song data, and conveniently provides karaoke services. It became available. However, in this case,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karaoke service can be used only in a limited space where a wired terminal capable of internet communication is installed.

이러한 공간적 제한을 극복하기 위하여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노래방 서버에 접속해서 노래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In order to overcome these spatial limitations, a technique has been proposed to use a karaoke service by accessing a karaoke serv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mobile terminal.

이와 같이 무선통신망을 통한 노래방 서비스나 유선통신망을 통한 노래방서비스에서는, 노래방 서버의 노래방용 노래데이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노래데이 터가 표준 미디 규격에 의한 미디파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표준 미디 규격에 의한 미디파일의 노래데이터가 단말기로 제공되도록 되어 있다. 이 표준 미디 규격에 의한 미디파일은 불필요한 명령어필드를 포함하고 있고 또한 명령어필드의 사이즈도 불필요하게 크게 설정되어 있어서 파일 사이즈가 크다는 문제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a karaoke servic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a karaoke service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a song data stored in a karaoke song data database of a karaoke server is composed of a MIDI file based on a standard MIDI standard. Song data is provided to the terminal. The MIDI file according to the standard MIDI standard contains unnecessary command fields and has a problem in that the file size is large because the size of the command fields is unnecessarily large.

이와 같이 유선단말기 및 휴대단말기로 제공되는 미디파일의 사이즈가 크게 되면, 노래방 서버측에서는 데이터베이스 용량이 커지게 되는 불리함이 있으며, 또 통신망측에서는 트래픽이 증가하는 불리함이 있다. 또한, 단말기 측에서는 노래방 서버에 선곡 요청한 미디파일의 노래데이터가 다운로드되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다는 불리함이 있다. As such, when the size of the MIDI file provided to the wired terminal and the portable terminal is increase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database capacity is increased on the karaoke server side, an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raffic increases on the communication network side. In addition, the terminal side has a disadvantage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download the song data of the MIDI file requested to the karaoke server.

특히, 휴대단말기를 사용하여 무선통신망을 통한 데이터통신은 통상적으로 데이터 패킷단위로 통신요금을 결제하므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미디파일의 노래데이터가 그 사이즈가 클 경우에 노래방 서비스 이용요금과는 별도로 지불해야 하는 통신사용요금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이는 무선통신통신망을 통한 노래방 서비스의 활성화를 제한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In particular, since data communication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mobile terminal usually pays the communication fee in units of data packets, the user should pay separately from the karaoke service fee when the song data of the MIDI file is large in siz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mmunication usage fee is high. This has become a factor to limit the activation of karaoke servic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단말기를 이용하여 유선통신망 및/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노래방 서버로부터 노래데이터를 전송받아 단말기에서 노래방 서비스를 구현함에 있어, 노래방 서버측의 데이터베이스 용량을 감소시키며 통신망의 트래픽을 감소시킬 수 있는 통신망을 통한 노래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n the implementation of karaoke service in the terminal by receiving song data from the karaoke server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and / 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termina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karaoke ser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at can reduce the database capacity and reduce the traffic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또, 본 발명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유선통신망 및/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노래방 서버에 선곡 요청한 노래데이터가 다운로드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통신망을 통한 노래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karaoke ser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at can shorten the time it takes to download the song data requested to the karaoke server via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and / 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terminal There is a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유선통신망 및/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노래방 서버에 선곡 요청함에 따라 단말기에 제공되는 노래데이터에 대한 통신사용요금을 감소시킬 수 있는 통신망을 통한 노래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또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karaoke ser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at can reduce the communication usage fee for the song data provided to the terminal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ion request to the karaoke server through the wired and /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terminal Its purpose is to provide anoth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한 노래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하여 크라이언트-서버구조를 갖는 단말기와 노래방서버로 구성되어, 노래방 서버로부터 사용자에 의하여 요청한 노래데이터를 단말기에서 전송받아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통한 노래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노래방 서버에는 곡데이터와 가사데이터 및 타이틀데이터에 대하여 표준미디규격에서 불필요한 인덱스필드와 불필요한 명령어필드를 제거함과 아울러 명령어의 크기를 작게 하여 명령어필드 크기를 감소시킨 저용량의 미디파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노래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관리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노래방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저용량 미디파일로 이루어진 노래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재생하기 위한 노래방 플레이어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ystem for providing a karaoke ser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having a client-server structure and a karaoke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s song data requested by a user from a karaoke server to a terminal. In the karaoke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providing a karaoke service received, the karaoke server to remove the unnecessary index field and unnecessary command field in the standard MIDI standard for the song data, lyrics data and title data, and to reduce the size of the command A plurality of song data consisting of a low-capacity MIDI file having a small command field size is reduced and stored in a database. The terminal decodes song data consisting of a low-capacity MIDI file received from the karaoke server. The Karaoke player program to is characterized in that mount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통신망을 통한 노래방 서비스 제공방법은, 통신망을 통하여 크라이언트-서버구조를 갖는 단말기와 노래방 서버로 구성되어, 노래방 서버로부터 사용자에 의하여 요청한 노래데이터를 단말기에서 전송받아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통한 노래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곡데이터와 가사데이터 및 타이틀데이터에 대하여 표준미디규격에서 불필요한 인덱스필드와 불필요한 명령어필드를 제거함과 아울러 명령어의 크기를 작게 하여 명령어필드 크기를 감소시킨 저용량의 미디파일로 이루어지는 노래데이터를 상기 노래방 서버에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제1단계와;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노래방 서버에 저용량의 미디파일로 된 소정의 노래데이터를 요청하여 다운로드받는 제2단계와;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다운로드받은 저용량의 미디파일의 노래데이터를 노래방 플레이어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코딩하여, 곡데이터를 오디오출력하고 가사데이터와 타이틀데이터를 화면출력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of providing a karaoke ser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a terminal having a client-server structure and a karaoke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eives song data requested by a user from a karaoke server at a terminal. In the karaoke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at provides a system, unnecessary index fields and unnecessary command fields are removed from the standard MIDI standard for song data, lyrics data, and title data, and the command field size is reduced by reducing the size of the command field. A first step of databaseting song data comprising a low-capacity MIDI file on the karaoke server; A second step of requesting and downloading predetermined song data of a low capacity MIDI file from the terminal to the karaoke server; And a third step of decoding the downloaded song data of the low-capacity MIDI file by the karaoke player program, audio output of the song data, and screen output of lyrics data and title data.

여기서, 상기 불필요한 인덱스필드는, 가사데이터가 시작됨을 지시하는 인덱스필드와, 곡데이터가 시작됨을 지시하는 인덱스필드와, 타이틀데이터가 시작됨을 지시하는 인덱스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불필요한 명령어필드는 0초 후에 다음 명령어를 수행하라는 지연시간명령어필드를 포함한다.Here, the unnecessary index field includes an index field indicating that the lyrics data starts, an index field indicating that the song data starts, and an index field indicating that the title data starts, and the unnecessary command field is 0 seconds. Contains a delay command field to run the next comman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한 노래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karaoke ser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간략화만을 위하여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통신망을 통한 노래방 서비스 방식에 대하여 한정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퍼스 널컴퓨터와 같은 유선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과 같은 유선통신망을 통한 노래방 서비스 방식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유선단말기를 이용하여 유선통신망을 통한 노래방 서비스 방식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only the karaoke service metho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described using a portable terminal for the purpose of simplicity of explana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wired terminal such as a personal computer to perform karaoke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pplicability to the service method as well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for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escription of the karaoke service method through the wired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wired terminal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망을 통한 노래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karaoke servic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망을 통한 노래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다수개의 휴대단말기(10, 10-1)와 노래방 서버(11) 및 무선통신망(12)으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karaoke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10, 10-1), karaoke server 11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2).

상기 무선통신망(12)은 무선랜방식의 무선인터넷망이나 휴대인터넷망(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과 같은 무선데이터통신망이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2 is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wireless LAN network or a wireless broadband network.

상기 노래방 서버(11)는 노래방용 노래데이터로서 기존의 표준 미디 규격에 의한 미디파일의 노래데이터보다 저용량으로 규격화된 것으로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하여 개발된 미디파일(이하, "저용량 미디파일"이라 한다)로 이루어진 다양한 노래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관리하고서, 휴대단말기(10, 10-1)로부터 선곡 요청되는 저용량 미디파일의 노래데이터를 소망의 통신규격에 맞게 변환하여 무선통신망(12)을 통해 해당 휴대단말기(10, 10-1)로 제공한다. The karaoke server 11 is standardized to a lower capacity than the song data of the MIDI file according to the existing standard MIDI standard as the karaoke song data (hereinafter referred to as "low-capacity MIDI file") developed by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ing and managing various song data in a database, and converting the song data of the low-capacity MIDI file requested by the mobile terminal 10 or 10-1 according to a desired communication standard and carrying the corresponding mobile data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2. Provided to the terminals 10 and 10-1.

또한, 상기 노래방 서버(11)는 휴대단말기(10,10-1)에서 노래방 서버(11)에 접속하고 소망의 노래를 선곡하며 이에 따라 다운로드되는 저용량 미디파일을 재생 하기 위한 전용 노래방 플레이어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휴대단말기(10, 10-1)로부터의 다운로드 요청에 따라 해당 전용 노래방 플레이어 프로그램을 휴대단말기(10, 10-1)로 제공한다.In addition, the karaoke server 11 stores a dedicated karaoke player program for accessing the karaoke server 11 from the mobile terminal 10, 10-1, selecting a desired song, and playing a low-capacity MIDI file downloaded accordingly. In response to a download request from the mobile terminals 10 and 10-1, the dedicated karaoke player program is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s 10 and 10-1.

상기 휴대단말기(10,10-1)는 상기 무선통신망에 접속가능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나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이다. 이 휴대단말기(10,10-1)는 상기 노래방 서버(11)로부터 다운로드받은 전용 노래방 플레이어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있다. 이 전용 노래방 플레이어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구동되어 상기 노래방 서버(11)에 통신접속하며, 사용자가 상기 노래방 서버(11)의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된 저용량 미디파일로 된 노래데이터들 중에서 소망의 노래데이터를 선곡 요청함에 따라 제공되는 저용량 미디 파일을 디코딩하여 휴대단말기에서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한다.The portable terminals 10 and 10-1 are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or cellular phones, which can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portable terminals 10 and 10-1 are equipped with a dedicated karaoke player program downloaded from the karaoke server 11. This dedicated karaoke player program is driven by a user's operation to communicate with the karaoke server 11, and the user desires song data among song data of low-capacity MIDI files built in a database of the karaoke server 11. The mobile terminal provides a karaoke service by decoding a low-capacity MIDI file provided according to the music selection request.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노래방 서버(11)의 세부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노래방 서버(11)는 기능적 측면에서 통신부(20), 사용자인증부(21), 곡검색부(22), 파일전송부(23), 인코딩부(24) 및 데이터베이스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G. 2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karaoke server 11 shown in FIG. 1. The karaoke server 11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mmunication unit 20, user authentication unit 21, song search unit 22, file transfer unit 23, encoding unit 24 and database unit 25 in terms of functionalit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통신부(20)는 무선단말기(10,10-1)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무선통신망(12)을 통해 무선단말기(10,10-1)와의 연결을 설정하고 무선단말기(10, 10-1)와 모든 작업이 종료되면 연결을 해제한다. 상기 통신부(20)는 무선단말기(10, 10-1)와의 통신을 위한 사항을 담당한다.The communication unit 20 establishes a connection with the wireless terminals 10 and 10-1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2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wireless terminals 10 and 10-1 and the wireless terminals 10 and 10-1. And disconnect when all work is done. The communication unit 20 is in charge of matters for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terminals 10 and 10-1.

상기 사용자인증부(21)는 사용자가 무선단말기(10,10-1)를 이용하여 노래방 서버(11)에 접속할 때, 서비스인증을 받은 사용자만을 선별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부(25)에 기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정보를 검색하여 기 등록된 사용자에게만 노래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인증을 수행한다. When the user accesses the karaoke server 11 using the wireless terminals 10 and 10-1, the user authentication unit 21 is pre-registered in the database unit 25 to select only the user who has received service authentication. The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karaoke service only for the registered user.

상기 곡검색부(22)는 사용자가 무선단말기(10, 10-1)를 이용하여 요청한 노래리스트요청에 대하여 노래번호, 노래제목 및 가수정보로 구분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부(25)에 기 저장되어 있는 노래정보리스트를 읽어와서 통신부(20)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무선단말기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song search unit 22 is pre-stored in the database unit 25 which is divided into song number, song title, and singer information for the song list request requested by the user using the wireless terminal 10, 10-1. Reads the song information list and transmits to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us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0.

상기 파일전송부(23)는 상기 무선단말기(10, 10-1)에 제공된 노래정보리스트를 보고서 사용자가 소정 노래를 선곡 요청함에 따라 이 선곡 요청된 노래에 대응하는 저용량 미디파일로 된 노래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5)에서 읽어와서 통신부(20)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무선단말기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무선단말기(10, 10-1)로부터 전용 노래방 플레이어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요청이 있으면 해당 전용 노래방 플레이어 프로그램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5)에서 읽어와서 통신부(20)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무선단말기로 전송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The file transmission unit 23 reports the song information list provided to the wireless terminal 10, 10-1, and as the user requests selection of a predetermined song, the song data of the low-capacity MIDI fil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ong is requested. Reads from the database unit 25 and transmits to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us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0. In addition, if there is a request for downloading a dedicated karaoke player program from the wireless terminals 10 and 10-1, the corresponding karaoke player program is read from the database unit 25 and transmitted to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us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0. It also plays a role.

상기 인코딩부(24)는 본 발명의 노래방 서비스에 무선단말기로 제공되는 저용량의 미디파일로 된 노래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노래를 인코딩하고 이 인코딩된 저용량 미디파일의 노래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5)에 저장해두기 위한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코딩부(24)에서의 인코딩과정은 하나의 노래를 구성하는 표준 미디 규격에 따른 곡데이터, 가사데이터 및 타이틀데이터 등을 입력받아, 기존의 표준 미디 규격을 추종하면서 기존의 표준 미디 규격에 의한 곡데이터 및 가사 데이터에서 불필요한 명령어필드를 제거하고 또한 사용되는 명령어필드에 삽입되는 명령어의 크기(바이트)를 작게(즉, 명령어 필드 크기를 작게) 하면서, 하나의 노래에 포함되는 곡데이터, 가사데이터 및 타이틀데이터 등을 하나의 미디 파일로 변환한다. The encoding unit 24 encodes a song in order to provide song data of a low-capacity MIDI file provided to the karaoke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wireless terminal and stores the song data of the encoded low-capacity MIDI file in the database unit 25. It is a configuration to be stored in. Encoding process in the encoding unit 2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song data, lyrics data and title data according to the standard MIDI standard constituting a single song, while following the existing standard MIDI standard while the existing standard MIDI Song data included in one song, while removing unnecessary command fields from the song data and lyrics data according to the standard, and also reducing the size (byte) of the command inserted into the used command field (that is, reducing the command field size). Converts lyrics data and title data into a single MIDI file.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5)는 상기 인코딩부(24)에 의해 인코딩된 노래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 관리됨과 아울러, 상기 저장 관리되고 있는 노래데이터에 대한 노래정보리스트와,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인증정보와, 단말기(10)에 탑재되어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기 위한 전용 노래방 플레이어 프로그램도 저장 관리한다.The database unit 25 stores the song data encoded by the encoding unit 24 in a database, and stores and manages the song information list for the stored song data and subscribes to a karaok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one user and a dedicated karaoke player program mounted on the terminal 10 for configuring a user interface for the karaok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stored and manag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서버(11)는 필요에 따라 노래데이터, 노래정보리스트, 전용 노래방 플레이어 프로그램 등을 범용 압축알고리즘에 의하여 압축하여 무선통신망(12)을 통하여 무선단말기(1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Meanwhile, the karaoke server 1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esses the song data, the song information list, the dedicated karaoke player program, etc. by a general-purpose compression algorithm, and transmits them to the wireless terminal 1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2 as necessary. It may be configured.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휴대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10,10-1)는 통신부(30), 중앙제어부(31), 저장부(32), 오디오출력구동부(33), 스피커(34), 디스플레이구동부(35), 디스플레이(36), 오디오입력구동부(37), 마이크(38) 및 키입력부(39)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FIG. 3 is a block diagram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1. As shown in the figure, the portable terminal 10, 10-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ommunication unit 30, the central control unit 31, the storage unit 32, the audio output driver 33, the speaker 34 And a display driver 35, a display 36, an audio input driver 37, a microphone 38, and a key input unit 39.

상기 통신부(30)는 무선통신망(12)을 통하여 노래방 서버(11)와의 연결을 설정하고 해당 통신망의 통신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무선통신망(12)이 무선랜방식의 무선인터넷망인 경우에는 무선랜통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무선통신망(12)이 휴대인터넷망인 경우에는 와이브로(WiBro)통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30 is a configuration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with the karaoke server 11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2 and performing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standard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2 is a wireless LAN In the case of the Internet network, it may be configured as a wireless LAN communication module, and in the case whe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2 is a portable Internet network, it may be configured as a WiBro communication module.

상기 중앙제어부(31)는 단말기의 중앙처리장치(MCU)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용 노래방 프로그램이 구동됨에 따라 이 전용 노래방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노래방 서버(11)로부터 수신된 노래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등의 제어처리 등을 수행한다.The central control unit 31 may be configured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MCU) of the terminal, and as the dedicated karaoke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riven by the user's operation from the karaoke server 11 by the dedicated karaoke program Control processing such as decoding the received song data is performed.

상기 저장부(32)는 해당 단말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운용프로그램과 상기 전용 노래방 플레이어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또 상기 통신부(30)를 통하여 상기 노래방 서버(11)로부터 수신된 노래데이터를 임시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32)는 해당 단말기에서 노래방 플레이어 프로그램이 구동되었을 때 디스플레이(36)에 표시되는 노래방 플레이어(도 10 참조)의 화면(80; 도 10 참조)에서 배경화면으로 노출될 수 있는 정지영상 데이터 및/또는 동영상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저장부(32)에 저장된 정지영상 데이터 및/또는 동영상데이터는 노래방 플레이어의 환경설정 등을 통하여 노래방 플레이어의 화면(80; 도 10 참조)에 표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32 stores an operation program for operating the terminal and the dedicated karaoke player program, and temporarily stores song data received from the karaoke server 11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0.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32 may be exposed as a background screen on the screen 80 (see FIG. 10) of the karaoke player (see FIG. 10) displayed on the display 36 when the karaoke player program is driven in the corresponding terminal. Still image data and / or moving image data may be stored. The still image data and / or video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32 may be set to be displayed on the karaoke player's screen 80 (see FIG. 10) through the environment setting of the karaoke player.

상기 오디오출력구동부(33)는 상기 중앙제어부(31)에 의하여 디코딩된 노래데이터 중에서 추출한 곡데이터를 노래방 플레이어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서 스피커(34)로 출력한다.The audio output driver 33 outputs the song data extracted from the song data decoded by the central controller 31 to the speaker 34 under the control of the karaoke player program.

상기 디스플레이구동부(35)는 상기 중앙제어부(31)에 의하여 노래방 플레이어(도 10 참조)를 디스플레이(36)에 표시하도록 하며, 또 상기 중앙제어부(31)에 의하여 디코딩된 노래데이터 중에서 추출한 가사데이터 및 타이틀데이터(노래명, 작사자명, 작곡가명, 가수명 등을 포함할 수 있다)를 노래방 플레이어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36)에 표시된 노래방 플레이어(도 10 참조)의 화면(80; 도 10 참조)에 표시하도록 한다(여기서 환경설정에 따라서는 상기 가사데이터 및 타이틀데이터는 기 설정된 배경화면과 함께 표시하도록 한다).The display driving unit 35 causes the central control unit 31 to display the karaoke player (see FIG. 10) on the display 36, and further includes lyrics data extracted from song data decoded by the central control unit 31. Title data (which may include song name, writer name, composer name, singer name, etc.) is displayed on the screen 80 (see FIG. 10) of the karaoke player (see FIG. 10) displayed on the display 36 under the control of the karaoke player program. The lyrics data and title data ar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preset background screen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setting.

상기 오디오입력구동부(37)는 마이크(38)를 통해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받아들여 중앙제어부(31)에 전달한다. 상기 마이크(38)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신호(즉,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노래입력신호)는 중앙제어부(31)에 설치된 노래방 플레이어 프로그램에 의하여 환경설정에 따라 곡과 함께 녹음되거나 노래점수를 채점하는데 활용된다. The audio input driver 37 receives the converted electrical signal through the microphone 38 and transmits the converted electrical signal to the central controller 31. The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38 (that is, the song input signal input by the user) is recorded with the song or scores the song score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setting by the karaoke player program installed in the central controller 31. Are utilized.

상기 키입력부(39)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무선단말기(10, 10-1)의 키버튼을 포함하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중앙제어부(31)에 설치된 노래방 플레이어 프로그램의 구동과, 노래방 플레이어의 환경설정, 선곡, 실행 등의 조작을 위하여 사용된다.The key input unit 39 includes key buttons of the wireless terminals 10 and 10-1 operated by the user, driving the karaoke player program installed in the central control unit 31 by the user, and environment of the karaoke player. It is used for operation of setting, selection, and execution.

따라서, 무선단말기(10, 10-1)는 사용자가 원하는 노래를 선택하고 선택된 노래에 대한 데이터를 노래방 서버(11)에 요청하며 노래방 서버(11)로부터 전송받은 노래데이터를 받아서 저장하고 연주하는 역할을 수행한다.Accordingly, the wireless terminal 10, 10-1 selects a desired song, requests data of the selected song to the karaoke server 11, and receives and stores song data received from the karaoke server 11 and plays the role. Do this.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휴대단말기에 탑재되는 노래방 플레이어 프로그램의 기능 블록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래방 플레이어 프로그램은 통신망(12)을 통해 노래방 서버(11)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무선단말기(10, 10-1)의 중앙 제어부(31)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 형태로써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노래방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곡을 검색하여 선택할 수 있고 노래방 서버(11)에 의해 제공된 노래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플레이어(Player)를 제공한다. 4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karaoke player program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As shown in the figure, the karaoke player program is a software form that is downloaded from the karaoke server 11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2 and installed in the central control unit 31 of the wireless terminals 10, 10-1. In order to use the karaoke service, a song can be searched for and selected, and a player can play the song data provided by the karaoke server 11.

상기 노래방 플레이어 프로그램은 통신모듈(40), 처리모듈(41), 디코딩모듈(42), 녹음/점수출력모듈(43), 곡검색모듈(44), 가사출력모듈(45), 곡연주모듈(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karaoke player program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40, a processing module 41, a decoding module 42, a recording / score output module 43, a song search module 44, a lyrics output module 45, a song playing module ( 46).

상기 통신모듈(40)은 상기 노래방 서버(11)에 대한 접속정보(예를 들면 URL 및 IP 주소 등)를 가지고서 통신부(30)를 통하여 노래방 서버(11)에 접속하여 통신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처리모듈(41)은 구동된 노래방 플레이어의 전체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며,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입력되는 명령에 따른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디코딩모듈(42)은 노래방 서버(11)로부터 수신된 저용량 미디파일로된 노래데이터를 디코딩처리과정을 통해 곡데이터와 가사데이터 및 타이틀데이터로 복원한다. 상기 녹음/점수출력모듈(43)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노래방 서버(11)로부터 전송받은 노래데이터의 곡데이터 재생에 맞춰 사용자가 부르는 노래를 마이크(38)를 통해 입력받아 저장부(32)에 해당 곡데이터와 함께 저장하거나, 마이크(38)를 통해 입력된 노래 음성신호를 통상의 노래방점수채점 알고리즘에 의하여 현재 재생중인 곡데이터와 비교하여 노래 점수를 채점하여 그 점수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곡검색모듈(44)은 사용자의 키입력부(39)를 통한 노래검색요청이 있을 경우, 노래방 서버(11)로부터 전송받은 노래정보리스트에 대해 곡번호, 가수명, 애창곡 및 최신곡 등의 검색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 는 곡을 검색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가사출력모듈(45)은 상기 디코딩모듈(42)에 의해 디코딩된 가사데이터를 노래방 플레이어(도 10 참조)의 화면(80; 도 10 참조)에 표시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환경설정에 따라서 표시될 가사데이터의 글꼴 및 색상을 변환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곡연주모듈(46)은 상기 디코딩모듈(42)에 의해 디코딩된 곡데이터를 연주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환경설정에 따라서 출력될 곡데이터의 볼륨, 키, 템포 등을 변환하는 기능을 담당한다.The communication module 40 has a function of accessing and communicating with the karaoke server 11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0 with the access information (for example, URL and IP address) for the karaoke server 11. The processing module 41 performs the overall control function of the driven karaoke player, and performs control according to a command input by the user. The decoding module 42 restores the song data of the low-capacity MIDI file received from the karaoke server 11 into song data, lyrics data, and title data through a decoding process. The recording / score output module 43 receives a song that the user calls through the microphone 38 in accordance with the reproduction of the song data of the song data received from the karaoke server 11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nd inputs it to the storage unit 32. A function of storing a song score with the corresponding song data or comparing the song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38 with the song data currently being played by a normal karaoke score scoring algorithm to score a song score and display the score on the display. In charge of. When the song search module 44 requests a song search through the user's key input unit 39, the song search module 44 searches for a song number, a singer's name, a favorite song, and a newest song with respect to the song information list received from the karaoke server 11. It is in charge of the function to search for the desired song by the user. The lyrics output module 45 causes the lyrics data decoded by the decoding module 42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80 (see FIG. 10) of the karaoke player (see FIG. 10), and may be displayed according to a user's preference. It is in charge of converting font and color of lyrics data. The music playing module 46 plays the song data decoded by the decoding module 42 to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and converts the volume, key, tempo, etc. of the song data to be output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In charge of the function.

도 5는 일반적인 표준 미디(Midi) 규격에 의한 미디파일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에 적용되는 미디파일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IDI file format according to a general standard MIDI standard, and FIG. 6 is a diagram showing a MIDI file format applied to a system and a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일본의 JMSC(Japan Midi Standard Committee)와 미국의 MMA(Midi Manufacture's Association)에 의해 정의된 표준미디형식을 나타낸 파일구조(이하, '표준미디파일'(50)이라 함)이다. 표준미디파일 구조는 헤더(Header)(58)와 하나 이상의 트랙(Track)(59)으로 되어 있다. 표준미디파일 구조에서는 하나의 노래에 대한 곡데이터, 타이틀데이터 및 가사데이터를 개별 트랙으로 구획하고 있다.5 is a file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tandard MIDI file' 50) showing a standard MIDI format defined by the Japan Midi Standard Committee (JMSC) in Japan and the Midi Manufacture's Association (MMA) in the United States. The standard MIDI file structure consists of a header 58 and one or more tracks 59. In the standard MIDI file structure, the song data, title data, and lyrics data for one song are divided into individual tracks.

여기서, 헤더시작지시필드(MThd)(51)는 헤더가 시작됨을 알려주는 인덱스 필드이다. 즉 이 헤더시작지시필드(MThd)(51) 이후에는 헤더(58)의 내용이 시작됨을 알 수 있게 된다. 헤더 데이터 길이필드(52)는 헤더데이터의 길이를 지시한다. 헤더 데이터(53)는 트랙(59)의 수와 트랙수에 따른 포맷형식 및 악기에 대한 한박자 즉 4음표를 표시하는 타임베이스(Timebase)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트랙시작 지시필드(MTrk)(54)는 트랙(59)이 시작됨을 알려주는 인덱스 필드이다. 즉 트랙시작지시필드(MTrk)(54) 이후에는 트랙(59)의 내용이 시작됨을 알 수 있게 된다. 트랙 데이터 길이필드(55)는 해당 트랙에서 트랙 데이터(56)의 길이를 지시한다. 트랙 데이터(56)는 하나의 노래에 대한 곡데이터, 타이틀데이터 및 가사데이터를 포함한다.Here, the header start indication field (MThd) 51 is an index field indicating that the header starts.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contents of the header 58 start after the header start indication field MThd 51. The header data length field 52 indicates the length of the header data. The header data 53 includes a timebase for displaying the number of tracks 59, a format format according to the number of tracks, and a beat for a musical instrument, that is, four notes. The track start indication field (MTrk) 54 is an index field indicating that the track 59 starts. That is, after the track start command field MTrk 54, the contents of the track 59 are started. The track data length field 55 indicates the length of the track data 56 in the track. The track data 56 includes song data, title data and lyrics data for one song.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용량 미디파일(60)은 헤더(68)와 노래데이터(69)로 구성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low capacity midi file 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der 68 and song data 69.

상기 헤더(68)는 악기에 대한 한박자(즉 4음표)를 표시하는 타임베이스필드(Timebase)(61)와, 노래제목과 가수 및 작사/작곡가의 정보를 제공하는 타이틀데이터영역의 위치를 지시하는 타이틀데이터 위치정보필드(62), 타이틀데이터영역의 길이를 지시하는 타이틀데이터 길이필드(62-1), 가사데이터 영역의 위치를 지시하는 가사데이터 위치필드(63), 가사데이터영역의 길이를 지시하는 가사데이터 길이필드(63-1), 곡데이터 영역의 위치를 지시하는 곡데이터 위치필드(64) 및 곡데이터영역의 길이를 지시하는 곡데이터 길이필드(64-1)로 구성되어 있다. The header 68 indicates a timebase field 61 indicating a beat (ie, four notes) for the musical instrument, and a position of a title data area providing information of a song title, singer, and songwriter / songwriter. Title data position information field 62, title data length field 62-1 indicating the length of the title data area, lyrics data position field 63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lyrics data area, length of the lyrics data area A song data length field 63-1, a song data position field 64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song data area, and a song data length field 64-1 indicating the length of the song data area.

상기 노래데이터(69)는 해당 노래의 제목, 가수 및 작사/작곡가 등의 정보를 텍스트(Text)형식으로 제공하는 타이틀데이터영역(65), 가사에 사용되는 언어와 종류, 글자의 폭/높이, 글자의 색상 등의 가사정보와 가사처리순서를 포함하는 가사데이터영역(66) 및, 노래에 대한 해당 악기의 음원을 각각 분리하여 수록한 곡데이터영역(67)으로 구성되어 있다. The song data 69 may include a title data area 65 providing information such as a title, a singer and a songwriter / composer in a text format, a language and type used for lyrics, a width / height of a character, A lyrics data area 66 including lyrics information such as the color of letters and the lyrics processing sequence, and a song data area 67 separately recording sound sources of the corresponding instrument for the song.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디파일(60)은 인코딩에 의해 노래데이터 (69)를 통합해 하나의 파일로 구성하고 표준미디파일(50)의 반복되는 트랙시작지시필드(MTrk)를 삭제하여 디코딩할 때 불필요한 동작의 반복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였다. As described above, the MIDI file 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egrates the song data 69 by encoding into a single file and deletes the repeated track start indication field MTrk of the standard MIDI file 50. When decoding, unnecessary repetition of the operation can be eliminated.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저용량 미디파일의 곡데이터와 표준미디규격에 의한 미디파일의 곡데이터를 비교한 예시도이다. 7 is an exemplary view comparing music data of a low capacity MIDI file and music data of a MIDI file according to a standard MIDI stand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미디파일의 곡데이터는 노래에 대한 해당 악기의 음원에 대한 데이터가 각각 분리되어 수록되어 있으며, Delay time1(70), Sysex event(71), Delay time0(70-1), Tempo(72), Delay time2(70-2), MIDI event(73) 등으로 된 명령어들의 반복적 구성으로 되어 있다.The song data of the MIDI file contains the data of the sound source of the corresponding instrument for the song separately. Delay time 1 (70), Sysex event (71), Delay time 0 (70-1), Tempo (72), Delay It consists of a repetitive configuration of commands of time2 70-2, MIDI event 73, and the like.

상기 Delay Time(70, 70-1, 70-2)은 각 명령어의 앞에 위치하여 소정시간이 경과 한 후에 해당 명령어를 실행시키도록 한다. 예를 들어, Delay time이 1초인 Delay time1(70)이 명령어 Sysex event(71)앞에 오면 1초가 지난 후에 명령어 Sysex event(71)가 실행된다는 의미이다. 한편, Delay time0(70-1)은 0초후에 다음 명령어를 수행하라는 것으로 0초는 아무 의미가 없지만 표준미디파일(50)에서는 의무적으로 사용하게 되어 있다.The Delay Times 70, 70-1, and 70-2 are located in front of each command to execute the corresponding command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For example, if Delay time 1 (70) having a delay time of 1 second comes before the instruction Sysex event (71), it means that the instruction Sysex event (71) is executed after 1 second. On the other hand, Delay time 0 (70-1) is to perform the next command after 0 seconds 0 seconds means nothing, but the standard MIDI file 50 is mandatory to use.

Sysex event(71)는 곡데이터(67)의 실질적인 음원인 MIDI event(73)를 블럭(Block)단위로 나누고 블럭단위로 나누어진 MIDI event(73)를 버퍼(Buffer)에 임시 저장하고 곡연주모듈(46)로 전송하도록 명령한다. The Sysex event 71 divides the MIDI event 73, which is the actual sound source of the song data 67, into blocks, and temporarily stores the MIDI event 73, which is divided into blocks, into a buffer, and performs the music playing module. Command to transmit to (46).

Tempo(72)는 곡데이터(67)의 빠르기를 설정할 수 있도록 명령한다.The Tempo 72 commands to set the speed of the song data 67.

MIDI event(73)는 노래에 대한 해당 악기의 소리를 나타내며 이 MIDI event(73)의 데이터가 많을수록 풍부한 음색을 낼 수 있게 된다. 또한, MIDI event(73)가 Sysex event(71)에 의해 곡연주모듈(46)에 전송되어야 비로써 음이 출력된다.The MIDI event 73 represents the sound of the corresponding instrument for the song, and the more data of the MIDI event 73, the richer the tones can be produced. Also, the MIDI event 73 must be transmitted to the music player module 46 by the Sysex event 71 before the sound is output.

도 7의 a는 표준미디파일(50)로서, 모든 Delay time(70, 70-1, 70-2)이 포함되어 있는 구조이다. Delay time은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지만 계속적으로 반복되는 데이터의 구조에서 볼 때 누적되는 크기를 무시할 수 없다. 7A is a standard MIDI file 50, in which all delay times 70, 70-1, and 70-2 are included. Delay time has a small size, but cannot accumulate in the structure of repeated data.

이에 반하여, 도 7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저용량 미디파일의 곡데이터로서, Delay time의 비효율적 사용을 최대한 지향한 형태로 Delay time0(70-1)을 삭제하여 곡데이터(67)가 전체파일에서 차지하는 크기를 줄이고 그와 동시에 인코딩과 디코딩에 의해 명령어를 처리하는 시간을 단축하였다.On the contrary, b of FIG. 7 is music data of a low-capacity MIDI f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Delay time 0 (70-1) is deleted in such a manner as to maximize the inefficient use of delay time. It reduces the size occupied and at the same time reduces the time spent processing instructions by encoding and decod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사데이터를 처리하는 명령어 구조는 표준미디파일(50)을 포함한 일반미디파일과 비교하여 다르게 구성되어 있다. 즉 불필요한 명령어를 삭제하여 크기를 줄인 구조로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instruction structure for processing lyrics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differently compared to a general MIDI file including a standard MIDI file 50. In other words, the structure is reduced by deleting unnecessary commands.

예를 들어, Hex code로 구성된 표준미디파일(50)에서의 가사데이터의 종료명령은 "FF 2F"이지만, Hex code로 구성된 본 발명의 저용량 미디파일(60)의 가사데이터의 종료명령은 ED이므로 파일크기가 줄어든다. 또한, 표준미디파일(50)에서의 가사데이터의 Delay명령어는 명령어마다 존재하며 그 Hex code는 "00 FF 2F"로 구성되는 반면, 본 발명의 저용량 미디파일(60)의 가사데이터는 지연시간이 0보다 큰경우에만 Delay명령어가 존재하며 그 Hex code는 "ED"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저용량 미디파일(60)의 가사데이터의 경우에도 불필요한 Delay0의 명령 어를 삭제하고 또한 Delay명령어 및 종료명령어 등의 크기도 현저히 작게 하여 구성하였다. For example, the end instruction of the lyrics data in the standard MIDI file 50 composed of the Hex code is "FF 2F", but the end instruction of the lyrics data of the low capacity MIDI file 60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osed of the Hex code is ED. The file size is reduced. In addition, the Delay command of the lyrics data in the standard MIDI file 50 exists for each instruction and the Hex code is composed of "00 FF 2F", while the lyrics data of the low-capacity MIDI file 6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elay time. Delay instruction exists only if it is greater than 0. The hex code consists of "ED". Therefore, even in the case of the lyrics data of the low-capacity MIDI file 6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necessary Delay0 command is deleted, and the size of the Delay command and the termination command is significantly smaller.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저용량 미디파일은 종래의 표준미디파일과 비교하여 볼때 전체적인 곡데이터(67)와 가사데이터(66)의 크기가 작아졌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the low-capacity MIDI f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maller size of the overall song data 67 and the lyrics data 66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tandard MIDI file.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저용량 미디파일과 표준미디규격에 의한 미디파일의 파일크기를 비교한 예시도이다. 여기서,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파일포맷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파일포맷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8A to 8C are exemplary views comparing file sizes of a mid-size file and a mid-size file according to a standard MIDI standard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 since the file format illustrated in FIGS. 8A to 8C is the same as the file format illustrated in FIGS. 5 and 6,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8a는 가수 "핑클"의 '영원'이란 노래에 대한 본 발명의 저용량 미디파일(60)과 표준미디파일(50)로 인코딩한 구조와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여기서, 표준미디파일(50)은 타이틀, 곡, 가사데이터를 포함하기 위해 다수개의 트랙(59)이 사용된 포맷1 또는 포맷2의 구조가 사용되어졌다. 본 발명에 따른 저용량 미디파일(60)의 헤더(Timebase, 타이틀데이터위치, 타이틀데이터 길이, 가사데이터위치, 가사데이터 길이, 곡데이터 위치, 곡데이터 길이)가 26바이트(byte)인 반면에, 표준미디파일(50)의 헤더(MThd, 헤더데이터길이, 헤더데이터, MTrk, 타이틀데이터길이, MTrk, 가사데이터길이, MTir, 곡데이터 길이)은 36바이트이다. 이것은 표준미디파일(50)의 MTrk가 트랙이 시작될 때마다 계속적으로 반복되는 형태이므로 헤더의 크기가 표준미디파일(60)의 헤더(68)보다 증가하였다. 또한, 증가한 헤더 필드(예컨대, 'MTrk')에 대하여 단말기에서 디코딩모듈(42)이 복원을 위해 데이터 를 처리하는 시간도 증가하게 된다. FIG. 8A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and data size encoded by the low-capacity MIDI file 60 and the standard MIDI file 50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song "Eternity" of the singer "Finkle". Here, the standard MIDI file 50 has a format 1 or 2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tracks 59 are used to include titles, songs, and lyrics data. While the header (Timebase, Title data position, Title data length, Lyrics data position, Lyrics data length, Song data position, Song data length) of the low-capacity MIDI file 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26 bytes, standard The header of the MIDI file 50 (MThd, header data length, header data, MTrk, title data length, MTrk, lyrics data length, MTir, song data length) is 36 bytes. Since the MTrk of the standard MIDI file 50 is repeated continuously each time the track starts, the size of the header is increased than the header 68 of the standard MIDI file 60. In addition, the time required for the decoding module 42 to process data for restoration in the terminal for the increased header field (eg, 'MTrk') is increa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용량 미디파일(60)의 타이틀데이터, 가사데이터 및 곡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표준미디파일과 비교하여 불필요한 명령어가 삭제되고 명령어 크기도 작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표준미디파일(50)의 타이틀데이터, 가사데이터 및 곡데이터와 크기를 비교하면 그 차이치가 각각 13바이트, 145바이트 및 2411바이트로 본 발명에 따른 저용량 미디파일(60)의 크기가 더 작음을 알 수 있다. 전체 파일에서 데이터의 크기가 가장 큰 곡데이터는 사용되는 명령어가 많고 그에 따라 비효율적인 명령어도 많이 삭제되어 전체적인 크기의 차이치가 타이틀데이터와 가사데이터와 비교하여 많이 나는 것을 알 수 있다. 헤더(58, 68)를 포함한 전체파일의 차이치는 2579바이트이고 따라서, 본 발명 미디파일(60)이 표준미디파일(50)보다 파일크기가 작아졌음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the title data, the lyrics data, and the song data of the low-capacity MIDI file 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eleted as compared to the standard MIDI file as described above. Comparing the size with the title data, lyrics data, and song data, the difference is 13 bytes, 145 bytes, and 2411 bytes,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the size of the low-capacity MIDI file 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maller. The song data with the largest data size in the entire file has many commands used, and accordingly many inefficient commands are deleted, so that the difference in the overall size is larger than the title data and the lyrics data. The difference between the entire files including the headers 58 and 68 is 2579 bytes. Thus, it can be seen that the inventive MIDI file 60 has a smaller file size than the standard MIDI file 50.

또한, 도 8b는 가수 "마야"의 '쿨하게'란 노래에 대한 본 발명의 저용량 미디파일(60)과 표준미디파일(50)로 인코딩한 구조와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준미디파일(50)과 본 발명에 따른 저용량 미디파일(60)구조에서 가장 큰 파일영역을 차지하는 곡데이터만을 비교하면 2002바이트의 차이치를 나타내며 헤더를 포함한 전체데이터를 비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용량 미디파일(60)이 표준미디파일(50)과 비교해서 2260바이트가 감소했음을 알 수 있다. 도 8a의 '영원'이란 노래와 '쿨하게'란 노래의 타이틀데이터, 가사데이터 및 곡데이터가 차이가 나는 것은 각 노래에 대한 가사의 길이와 노래의 길이 및 사용한 악기의 개수 등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8B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and data size encoded by the low-capacity MIDI file 60 and the standard MIDI file 50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song "cool" by the singer "Maya". As described above, when only the music data occupying the largest file area in the standard MIDI file 50 and the low-capacity MIDI file 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ared, it represents a difference of 2002 bytes. It can be seen that the low-capacity MIDI file 60 is reduced by 2260 bytes compared to the standard MIDI file 50. The title data, lyrics data, and song data of the song 'eternity' and 'cool' song of FIG. 8a differ from each other because the length of the lyrics, the length of the song, and the number of instruments used are different. to be.

또한, 도 8c는 가수 "다나"의 'Diamon'이란 노래를 본 발명의 저용량 미디파일(60)과 표준미디파일(50)로 인코딩한 구조와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a 또는 도 8b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저용량 미디파일(60)구조에서 가장 큰 파일영역을 차지하는 곡데이터만을 비교하면 3597바이트의 차이치를 나타내며 헤더를 포함한 전체데이터를 비교하면 본 발명 미디파일(60)이 표준미디파일(50)과 비교해서 3879바이트가 감소했음을 알 수 있다. 8C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and data size of the song "Diamon" of the singer "Dana" encoded in the low-capacity MIDI file 60 and the standard MIDI file 5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A or FIG. 8B, when only the music data occupying the largest file area in the low-capacity MIDI file 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ared, a difference value of 3597 bytes is represented. Note that 3879 bytes are reduced compared to the standard MIDI file 50.

즉,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용량 미디파일(60)은 비효율적인 명령어를 삭제하고 명령어 크기도 작게 하여 전체파일의 크기가 감소되었다. 또한, 길이가 길고 악기를 많이 사용하는 노래일수록 본 발명 미디파일(60)과 표준미디파일(50)과의 차이치가 커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That is, referring to FIGS. 8A to 8C, the low-capacity MIDI file 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size of the entire file by deleting an inefficient command and decreasing the command size. In addi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longer the song is, the more the musical instrument is used, the great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MIDI file 60 and the standard MIDI file 5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통신망을 통한 노래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단말기에 의한 노래방 서비스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공지된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karaoke service performed by a terminal in a karaoke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escriptions of well-known technologies will be omitted.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노래방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무선단말기(10)를 사용하여 무선통신망(12)을 통하여 노래방서버(11)에 접속해서 전용 노래방 플레이어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요청함에 따라 노래방 서버(11)로부터 전용 노래방 플레이어 프로그램이 무선단말기(10)에 다운로드되어 저장부(32)에 설치 저장된다(단계 s100)9, a user connects to a karaoke server 11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2 using a wireless terminal 10 to use a karaoke service, and requests a download of a dedicated karaoke player program. A dedicated karaoke player program is downloaded to the wireless terminal 10 and install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32 (step s100).

그후,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설치된 전용 노래방 플레이어 프로그램의 실행 요청이 있으면, 중앙제어부(31)는 상기 저장부(32)에 저장된 노래방 플레이어 프로 그램을 실행한다(단계 s101). 여기서, 중앙제어부(31)에 의하여 노래방 플레이어 프로그램을 실행됨에 따라 디스플레이(36)에는 도 10과 같은 노래방 플레이어가 화면 표시된다.Then, if the user requests the execution of the installed dedicated karaoke player program, the central control unit 31 executes the karaoke player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unit 32 (step s101). Here, as the karaoke player program is executed by the central controller 31, the karaoke player as shown in FIG. 1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36.

여기서, 도 10과 같이 화면 표시되는 노래방 플레이어는, 배경 영상과 함께 타이틀데이터 및 가사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부(80), 사용자가 원하는 노래를 선곡할 수 있고 그에 따른 노래목록이 표시되며 미리 노래예약을 수행할 수 있고 예약된 노래목록이 표시되는 노래예약부(81), 표시할 배경 영상을 설정하고 가사데이터의 글꼴과 색상 등을 설정하며 사용자가 부른 노래를 녹음할 수 있도록 녹음화일 저장위치 경로 등을 설정할 수 있는 환경설정부(82), 스피커(34)의 볼륨과 마이크(38)의 볼륨조절과 곡데이터의 높낮이와 템포를 조절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노래리듬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부(83) 및, 노래데이터의 재생, 정지, 녹음을 담당하는 재생부(84)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karaoke player displayed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ure 10, the screen unit 80, the title data and lyrics data is displayed along with the background image, the user can select the desired song, the list of songs according to it is displayed in advance to reserve the song Song reservation section 81 to display a list of reserved songs, set the background image to be displayed, set the font and color of the lyrics data, etc. Recording file storage location path so that the user can record the song Environment setting unit 82 that can be set, the volume of the speaker 34 and the volume control of the microphone 38 and the function of adjusting the height and tempo of the song data to enable the user to select a song rhythm 83 And a playback unit 84 for playing, stopping, and recording song data.

이어, 사용자에 의하여 노래방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노래방 서버(11)에 예를 들면 노래방 서비스에 로그인(Login)하기 위한 로그인 정보(예를 들면 사용자 ID 및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에 노래방 서버(11)에 노래방 서비스의 접속을 요청한다(단계 s102). 이에 따라, 노래방 서버(11)에서는 로그인 정보에 의하여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진다.Subsequently, the user inputs login information (for example, a user ID and password) for logging in to the karaoke server 11 to use the karaoke service by the user, and then enters the karaoke server 11. Request to access the karaoke service (step s102). Accordingly, the user is authenticated by the karaoke server 11 by the login information.

그후, 사용자인증을 받은 사용자가 키입력부(39)를 통해 노래를 검색요청함에 따라 중앙제어부(31)는 노래방 플레이어 프로그램의 곡검색모듈(44)에 의하여 노래방 서버(11)에 곡검색을 요청한다. 이에 따라 노래방 서버(11)의 곡검색부(22) 는 곡번호, 가수명, 애창곡 및 최신곡 등으로 분류되어 DB부(25)에 등록되어 있는 노래정보리스트를 해당 무선단말기로 전송한다. 전송된 노래정보리스트는 디스플레이(36)를 통해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출력된다(단계 s103). Thereafter, as a user who has received user authentication requests a song search through the key input unit 39, the central control unit 31 requests a song search from the karaoke server 11 by the song search module 44 of the karaoke player program. . Accordingly, the song search unit 22 of the karaoke server 11 transmits the song information list registered in the DB unit 25 classified into a song number, a singer name, a favorite song, and a newest song to the wireless terminal. The transmitted song information list is output for the user to view through the display 36 (step s103).

그후, 사용자가 노래정보리스트를 이용하여 곡검색을 마치고 키입력부(39)를 통해 선곡하고 재생부(84)에 의해 해당 곡을 재생하면, 중앙처리부(31)는 노래방 플레이어 프로그램의 곡검색모듈(44)에 의하여 상기 선곡된 노래의 정보를 포함하는 노래데이터요청신호를 노래방 서버(11)에 전송한다(단계 s104). Thereafter, when the user finishes the song search using the song information list and selects the song through the key input unit 39 and plays the corresponding song by the playback unit 84, the central processing unit 31 performs the song search module (the karaoke player program). In step 44, the song data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information on the selected song is transmitted to the karaoke server 11 (step s104).

이에 따라, 노래방 서버(11)의 파일전송부(23)가 노래데이터요청신호에 포함된 노래정보에 대응하는 노래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부(25)에서 찾아서 통신망(12)을 이용하여 해당 무선단말기로 전송함에 따라, 노래데이터가 무선단말기의 통신부(30)를 통하여 다운로드되어 저장부(32)에 임시 저장된다(단계 s105). 이때, 데이터베이스부(25)에 등록되어 있는 노래데이터는 타이틀데이터, 가사데이터 및 곡데이터가 하나의 파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불필요한 정보가 삭제된 저용량 미디파일로 이루어진 것이다.Accordingly, the file transfer unit 23 of the karaoke server 11 finds the song data corresponding to the so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ong data request signal in the database unit 25 and transmits the song data to the corresponding wireless terminal u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12. As a result, the song data is download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0 of the wireless terminal and temporari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32 (step s105). At this time, the song data registered in the database unit 25 is composed of one file of title data, lyrics data, and song data, and consists of a low capacity MIDI file in which unnecessary information is deleted.

그후, 중앙처리부(31)는 노래방 플레이어 프로그램의 디코딩모듈(42)에 의하여 상기 저장부(32)에 임시 저장된 저용량 미디파일의 노래데이터에 포함된 헤더(Header)를 분석하여 원래의 곡데이터와 가사데이터 및 타이틀데이터로 디코딩한다(단계 s106). Thereafter, the central processing unit 31 analyzes the header included in the song data of the low-capacity MIDI file temporari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32 by the decoding module 42 of the karaoke player program, thereby reproducing the original song data and lyrics. The data and the title data are decoded (step s106).

이어, 중앙처리부(31)는 노래방 플레이어 프로그램의 곡연주모듈(46)에 의하여 상기 디코딩된 곡데이터를 분석하여 각각의 곡 연주명령어를 근거로 연주하여 그 연주신호를 오디오출력구동부(33)를 통하여 스피커(34)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107).Subsequentl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31 analyzes the decoded song data by the music playing module 46 of the karaoke player program and plays the music data based on each song playing command, and transmits the playing signal through the audio output driver 33. Control to output to the speaker 34 (step s107).

또, 중앙처리부(31)는 노래방 플레이어 프로그램의 가사출력모듈(45)에 의하여 상기 디코딩된 가사데이터 및 타이틀데이터를 분석하여 타이틀데이터 및 가사데이터에 포함된 명령어를 근거로 텍스트 영상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구동부(3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36)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108).In additio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31 analyzes the decoded lyrics data and title data by the lyrics output module 45 of the karaoke player program and generates and displays a text image signal based on the instructions contained in the title data and the lyrics data. Control to output to the display 36 via the drive unit 35 (step s108).

또한, 중앙처리부(31)는 배경영상의 기설정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된 설정에 따라 배경영상을 디스플레이구동부(35)를 통해서 디스플레이(36)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109). 여기서, 상기 가사데이터/타이틀데이터와 배경영상은 도 10에 도시한 노래방 플레이어의 화면(80)에 합성되어 표시된다.In additio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31 checks whether the background image is preset and controls to output the background image to the display 36 through the display driver 35 according to the confirmed setting (step s109). The lyrics data / title data and the background image are synthesiz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80 of the karaoke player shown in FIG. 10.

그후, 사용자가 노래방 플레이어의 화면(80)에 표시되는 가사를 보면서 스피커(34)를 통하여 출력되는 곡에 맞춰서 노래를 하면 마이크(38)를 통하여 사용자의 음성신호가 오디오입력구동부(37)에 입력되고, 이 오디오입력구동부(37)에서 적절하게 신호처리된 음성데이터가 중앙제어부(31)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중앙제어부(31)은 노래방 플레이어 프로그램의 녹음/점수출력모듈(43)에 의하여 공지의 노래방점수 알고리즘을 통한 노래 점수를 채점하고 채점된 점수를 노래가 종료된 시점에서 디스플레이(36)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s111). 이에 따라 노래 점수는 노래방 플레이어의 화면(80)에 표시된다.Thereafter, when the user sings in accordance with the song output through the speaker 34 while watching the lyrics displayed on the screen 80 of the karaoke player, the user's voice signal is input to the audio input driver 37 through the microphone 38. The audio data properly signal-processed by the audio input driver 37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controller 31. Accordingly, the central control unit 31 scores the song score through the known karaoke score algorithm by the recording / score output module 43 of the karaoke player program and outputs the scored score to the display 36 at the time when the song is finished. To control (S111). Accordingly, the song score is displayed on the screen 80 of the karaoke player.

연주가 끝나거나 연주중에 중단된 노래는 저장부(32)에서 자동으로 삭제되며 예약된 노래가 있을 경우에는 바로 노래방 서버(11)로부터 다음 노래를 다운로드받 아 단계 s106 내지 단계 s111을 반복 수행한다. 예약된 노래가 없을 경우에는 사용자의 요구에 의한 다음 노래 입력을 기다린다. The song is terminated or stopped during the performance is automatically deleted from the storage unit 32, if there is a reserved song immediately downloads the next song from the karaoke server 11 and repeats steps s106 to s111. If there is no reserved song, it waits for the next song input at the request of the user.

도 11은 도 9에서의 노래데이터 디코딩 단계를 보다 세부적으로 예시한 흐름도이다.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song data decoding step of FIG. 9 in more detail.

도 11을 참조하면 디코딩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통신망(12)을 통해 전송된 노래데이터(60)는 저장부(32)에 임시 저장되고, 중앙처리부(31)는 노래방 플레이어 프로그램의 디코딩모듈(42)에 의하여 상기 저장부(32)에 임시 저장된 저용량 미디파일의 노래데이터(60)의 디코딩 처리를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11, the decoding process is as follows. First, the song data 60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2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32, the central processing unit 31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32 by the decoding module 42 of the karaoke player program. The decoding process of the song data 60 of the stored low capacity MIDI file is performed.

상기 디코딩모듈(42)은 노래데이터(69)의 헤더(68)정보를 판독한다(단계 s200). 헤더(68)에는 하나의 파일로 하여 구성된 Timebase(61), 타이틀데이터(65), 가사데이터(66) 및 곡데이터(67)에 대한 그 위치정보와 데이터의 크기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The decoding module 42 reads the header 68 information of the song data 69 (step s200). The header 68 includes positional information and size information of the timebase 61, the title data 65, the lyrics data 66, and the song data 67 constituted as one file.

그후, 상기 디코딩모듈(42)은 헤더(68)정보에 의거하여 타이틀데이터(65)의 위치를 판독하여 노래 제목, 가수, 작사/작곡가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상기 가사출력모듈(45)로 전달하여 데이터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단계 s201). Thereafter, the decoding module 42 reads the position of the title data 65 based on the header 68 information, extracts information about a song title, singer, songwriter / composer, and extracts the extracted information from the lyrics output module ( And data processing to be performed (step S201).

이어, 상기 디코딩모듈(42)은 헤더(68)정보에 의거하여 가사데이터의 위치 및 그 길이를 판독하여 가사데이터(66)를 추출한다. 그후, 디코딩모듈(42)은 가사데이터(66)를 읽고 Delay time, 가사의 전체 크기 등을 계산한다. 가사데이터(66)는 유니코드(Unicode)로 변환된 후 Delay time에 따라 테이블(Table)화 된다. 이 어, 디코딩모듈(42)은 상기 테이블화된 가사데이터(66)를 가사출력모듈(45)로 전달하여 처리하도록 한다(단계 s202).Subsequently, the decoding module 42 extracts the lyrics data 66 by reading the position and length of the lyrics data based on the header 68 information. The decoding module 42 then reads the lyrics data 66 and calculates the delay time, the total size of the lyrics, and the like. The lyrics data 66 is converted into Unicode and then tabulated according to the delay time. The decoding module 42 then transfers the tabled lyrics data 66 to the lyrics output module 45 for processing (step s202).

그후, 상기 디코딩모듈(42)은 헤더(68)정보에 의거하여 곡데이터의 위치 및 그 길이를 판독하여 곡데이터(67)를 추출한다. 곡데이터(67)의 구성은 도 7의 b와 같으며 Delay Time0(70-1)이 삭제된 형태이다. Sysex event(71)에 의해 순서대로 버퍼(Buffer)에 블럭(Block)단위로 저장되고 버퍼에 임시 저장된 블럭단위의 곡데이터는 곡연주모듈(46)로 전송된다(단계 s203). 타이틀데이터(65)와 가사데이터(66)는 디스플레이(36)에 출력되고 곡데이터(67)는 스피커(34)를 통해 출력된다. 이때, 가사데이터(66)는 곡데이터(67)와 같은 Delay time을 가지며 디코딩모듈(42)은 출력되는 곡데이터의 Delay time에 맞춰 테이블에 배치되어 있는 가사데이터를 동시에 출력시킴으로써 싱크(Sink)를 맞춘다.Thereafter, the decoding module 42 reads the position and length of the song data based on the header 68 information to extract the song data 67. The composition of the tune data 67 is the same as that of b of FIG. 7, and the delay time 0-70-1 is deleted. By the sysex event 71, the song data in block units is sequentially stored in the buffer, and the block data temporarily stored in the buffer is transmitted to the music player module 46 (step s203). The title data 65 and the lyrics data 66 are output to the display 36 and the song data 67 are output through the speaker 34. At this time, the lyrics data 66 has the same delay time as the song data 67, and the decoding module 42 simultaneously outputs the lyrics data arranged in the table according to the delay time of the output song data. Fit.

도 12는 도 9에서의 배경 영상출력 단계를 보다 세부적으로 예시한 흐름도이다.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background image output step of FIG. 9 in more detail.

먼저, 중앙처리부(31)의 노래방 플레이어 프로그램은 사용자에 의하여 기설정된 배경화면과 관련한 환경 설정에서 배경 영상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300).First, the karaoke player program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31 checks whether the background image is set in the environment setting related to the background screen preset by the user (step s300).

상기 단계 s300에서 배경영상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중앙처리부(31)의 노래방 플레이어 프로그램은 배경영상없이 가사데이터 및 타이틀 데이터가 디스플레이(36)에 표시되는 노래방 플레이어의 화면(80)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구동부(35)를 제어한다(단계 s305). 여기서, 배경영상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중앙처리부(31)의 노래방 플레이어 프로그램은 디폴트 배경영상을 저장부(32)에서 읽어와서 가사데이터 및 타이틀 데이터와 함께 디스플레이(36)에 표시되는 노래방 플레이어의 화면(80)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구동부(35)를 제어하여도 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00 that the background image is not set, the karaoke player program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31 may display the lyrics data and the title data on the display 80 of the karaoke player displayed on the display 36 without the background image. The display driver 35 is controlled (step s305). Her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background image is not set, the karaoke player program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31 reads the default background image from the storage unit 32 and displays the karaoke player displayed on the display 36 together with the lyrics data and the title data. The display driver 35 may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80.

상기 단계 s300에서 배경영상이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중앙처리부(31)의 노래방 플레이어 프로그램은 무선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영상이 배경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301).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00 that the background image is set, the karaoke player program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31 checks whether the image input from the camera (not shown) mounted in the wireless terminal is set as the background image (step s301). ).

상기 단계 s301에서 카메라(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영상이 배경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중앙처리부(31)의 노래방 플레이어 프로그램은 카메라(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가사데이터 및 타이틀 데이터와 함께 디스플레이(36)에 표시되는 노래방 플레이어의 화면(80)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구동부(35)를 제어한다(단계 s302).If it is confirmed in step 301 that the video input from the camera (not shown) is set as the background image, the karaoke player program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31 is a video signal input from the camera (not shown) lyrics data and title data In addition, the display driving unit 35 is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80 of the karaoke player displayed on the display 36 (step s302).

그 반면, 상기 단계 s301에서 카메라(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영상이 배경영상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중앙처리부(31)의 노래방 플레이어 프로그램은 사용자에 의하여 기 설정된 영상데이터를 저장부(32)에서 읽어와 가사데이터 및 타이틀 데이터와 함께 디스플레이(36)에 표시되는 노래방 플레이어의 화면(80)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구동부(35)를 제어한다(단계 s303).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301 that the image input from the camera (not shown) is not set as the background image, the karaoke player program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31 stores the image data preset by the user 32. In step S303, the display driving unit 35 is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80 of the karaoke player, which is read out from the lyric data and the title data together with the lyrics data and the title data.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서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통신망을 통한 노래방 서비스 방식에 대하여 한정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퍼스널컴퓨터와 같은 유선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과 같은 유선통신망을 통한 노래방 서비스 방식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specific Example, It can implement | transform and modify in various ways with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summary of this invention. Especially. In the specific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karaoke service metho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ill be described using a portable termina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ly applied to a karaoke service method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using a wired terminal such as a personal computer. I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를 이용하여 유선통신망 및/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노래방 서버로부터 노래데이터를 전송받아 단말기에서 노래방 서비스를 구현함에 있어, 하나의 노래를 구성하는 곡데이터와 가사데이터 및 타이틀데이터에 대하여 표준미디규격에서 불필요한 인덱스필드와 불필요한 명령어필드를 제거함과 아울러 명령어들의 크기를 작게 하여 명령어필드 크기를 감소시켜 기존 표준미디규격에 비하여 저용량의 미디파일로 이루어지는 노래데이터를 노래방 서버에 데이터베이스화 함으로써, 노래방 서버측의 데이터베이스 용량을 감소시키며, 통신망의 트래픽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ong data is received from the karaoke server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and / 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terminal, and the karaoke service is implemented in the terminal, the song data and lyrics data constituting a single song In addition to removing unnecessary index fields and unnecessary command fields from the standard MIDI standard for the title data, and reducing the size of the command field by reducing the size of the commands, the song data composed of a mid-size MIDI file compared to the existing standard MIDI standard is stored in the karaoke server. By the database, the database capacity of the karaoke server side can be reduced, and the traffic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reduced.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저용량의 노래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유선통신망 및/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노래방 서버에 선곡 요청한 노래데이터가 다운로드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되며, 또한 단말기에서의 디코딩 처리시에 불필요한 인덱스필드와 불필요한 명령어필드를 제거함에 따라 디코딩 시 간도 단축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low-capacity song data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it takes to download the song data requested to the karaoke server via the wired communication network and /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lso in the terminal Decoding time can be shortened by removing unnecessary index fields and unnecessary command fields during the decoding proces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저용량의 노래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단말기를 이용하여 유선통신망 및/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노래방 서버에 선곡 요청함에 따라 단말기에 제공되는 노래데이터에 대한 통신사용요금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low-capacity song data 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terminal to request a selection of songs to the karaoke server through the wired communication network and /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communication usage fee for the song data provided to the terminal Can be reduced.

Claims (10)

통신망을 통하여 크라이언트-서버구조를 갖는 단말기와 노래방서버로 구성되어, 노래방 서버로부터 사용자에 의하여 요청한 노래데이터를 단말기에서 전송받아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통한 노래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karaoke service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terminal having a client-server structure and a karaoke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receiving the song data requested by the user from the karaoke server in the terminal to provide a karaoke service, 상기 노래방 서버에는 곡데이터와 가사데이터 및 타이틀데이터에 대하여 표준미디규격에서 불필요한 인덱스필드와 불필요한 명령어필드를 제거함과 아울러 명령어의 크기를 작게 하여 명령어필드 크기를 감소시킨 저용량의 미디파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노래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관리되며,The karaoke server includes a plurality of songs composed of a low-capacity MIDI file that reduces the size of the command field by removing the unnecessary index fields and unnecessary command fields from the standard MIDI standard for song data, lyrics data, and title data. Data is stored and managed in a database. 상기 단말기는 상기 노래방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저용량 미디파일로 이루어진 노래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재생하기 위한 노래방 플레이어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노래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The terminal is a karaoke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karaoke player program for decoding and playing the song data consisting of a low-capacity MIDI file received from the karaoke serv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불필요한 인덱스필드는, 가사데이터가 시작됨을 지시하는 인덱스필드와, 곡데이터가 시작됨을 지시하는 인덱스필드와, 타이틀데이터가 시작됨을 지시하는 인덱스필드를 포함하고,The unnecessary index field includes an index field indicating that the lyrics data starts, an index field indicating that the song data starts, and an index field indicating that the title data starts, 상기 불필요한 명령어필드는 0초 후에 다음 명령어를 수행하라는 지연시간명령어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노래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The unnecessary command field comprises a delay time command field to perform the next command after 0 second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통신망은 무선데이터통신망이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무선데이터통신망에 접속가능한 휴대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노래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The communication network is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the terminal is a karaoke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able terminal that is accessible to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무선데이터통신망은 무선랜방식의 무선인터넷망 또는 휴대인터넷망(Wireless Broadband Intern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노래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is a wireless LAN network or wireless Internet network (Wireless Broadband Internet) karaoke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노래방 플레이어 프로그램은, The karaoke player program, 상기 노래방 서버에 대한 접속정보를 가지고서 노래방 서버와의 통신을 담당하는 통신모듈과;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karaoke server having access information to the karaoke server; 전체적인 노래방 서비스 기능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며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명령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는 처리모듈과;A processing module for controlling the overall karaoke service function and performing control according to a command input by a user; 상기 노래방 서버로부터 수신된 저용량 미디파일로 된 노래데이터를 디코딩처리과정을 통해 원래의 곡데이터와 가사데이터 및 타이틀데이터로 복원하는 디코딩모듈과;A decoding module for restoring the song data of the low-capacity MIDI file received from the karaoke server into original song data, lyrics data, and title data through a decoding process; 노래데이터의 곡데이터 재생에 맞춰 사용자가 부르는 노래를 입력받아 노래방점수채점 알고리즘에 의하여 노래 점수를 채점하여 그 점수를 표시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점수출력모듈과;A score output module for receiving a song that the user calls according to the song data of the song data and scoring the song score by the karaoke score scoring algorithm to display the score; 사용자가 원하는 곡을 검색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곡검색모듈과;A song search module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searching for a desired song by the user; 상기 디코딩모듈에 의하여 디코딩된 가사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하는 가사처리모듈과;A lyrics processing module for displaying lyrics data decoded by the decoding module; 상기 디코딩모듈에 의하여 디코딩된 곡데이터를 연주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곡연주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노래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Karaoke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 music playing module configured to play and output the song data decoded by the decoding modul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단말기에는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고,The terminal is equipped with a camera, 상기 노래방 플레이어 프로그램은, 기 설정된 환경설정에서 상기 카메라로부터의 입력영상을 배경영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과 함께 타이틀데이터 및 가사데이터를 화면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The karaoke player program, if it is set to use the input image from the camera as a background image in a predetermined configu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en to display the title data and lyrics data with the image input from the camera Karaoke service provision system. 통신망을 통하여 크라이언트-서버구조를 갖는 단말기와 노래방 서버로 구성되어, 노래방 서버로부터 사용자에 의하여 요청한 노래데이터를 단말기에서 전송받아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통한 노래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karaoke service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terminal having a client-server structure and a karaoke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receiving a song data requested by the user from the karaoke server in the terminal to provide a karaoke service, 곡데이터와 가사데이터 및 타이틀데이터에 대하여 표준미디규격에서 불필요한 인덱스필드와 불필요한 명령어필드를 제거함과 아울러 명령어의 크기를 작게 하여 명령어필드 크기를 감소시킨 저용량의 미디파일로 이루어지는 노래데이터를 상기 노래방 서버에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제1단계와;For song data, lyrics data, and title data, song data consisting of low-capacity MIDI files that reduce the size of the command field by reducing the size of the command by removing unnecessary index fields and unnecessary command fields from the standard MIDI standard is provided to the karaoke server. A first step of making a database;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노래방 서버에 저용량의 미디파일로 된 소정의 노래데이터를 요청하여 다운로드받는 제2단계와;A second step of requesting and downloading predetermined song data of a low capacity MIDI file from the terminal to the karaoke server;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다운로드받은 저용량의 미디파일의 노래데이터를 노래방 플레이어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코딩하여, 곡데이터를 오디오출력하고 가사데이터와 타이틀데이터를 화면출력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노래방 서비스 제공 방법.And a third step of decoding the downloaded song data of the low-capacity MIDI file by the karaoke player program, audio outputting the song data, and outputting the lyrics data and the title data. How to provide karaoke service through.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불필요한 인덱스필드는, 가사데이터가 시작됨을 지시하는 인덱스필드와, 곡데이터가 시작됨을 지시하는 인덱스필드와, 타이틀데이터가 시작됨을 지시하는 인덱스필드를 포함하고,The unnecessary index field includes an index field indicating that the lyrics data starts, an index field indicating that the song data starts, and an index field indicating that the title data starts, 상기 불필요한 명령어필드는 0초 후에 다음 명령어를 수행하라는 지연시간명령어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노래방 서비스 제공 방법.The unnecessary command field comprises a delay time command field to perform the next command after 0 seconds.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상기 통신망은 무선랜방식의 무선인터넷망 또는 휴대인터넷망(Wireless Broadband Internet)이고, The communication network is a wireless LAN network or a wireless Internet network (Wireless Broadband Internet), 상기 단말기는 상기 통신망에 접속가능한 휴대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노래방 서비스 제공 방법.The terminal is a karaoke service providing metho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단말기에는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고,The terminal is equipped with a camera,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노래방 플레이어 프로그램은 기 설정된 환경설정에서 상기 카메라로부터의 입력영상을 배경영상으로 화면출력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과 함께 타이틀데이터 및 가사데이터를 화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노래방 서비스 제공 방법.In the third step, if the karaoke player program is set to output the input image from the camera as a background image in a preset configuration, the karaoke player program outputs the title data and lyrics data together with the image input from the camera. Karaoke service providing metho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KR1020060006068A 2006-01-20 2006-01-20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karaoke service through communication network KR1008187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6068A KR100818746B1 (en) 2006-01-20 2006-01-20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karaoke service through communication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6068A KR100818746B1 (en) 2006-01-20 2006-01-20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karaoke service through communication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6779A KR20070076779A (en) 2007-07-25
KR100818746B1 true KR100818746B1 (en) 2008-04-02

Family

ID=38501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6068A KR100818746B1 (en) 2006-01-20 2006-01-20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karaoke service through communication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874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7228B1 (en) 2020-09-17 2021-07-14 오영혜 IPTV-Application linked Singing Room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Its Platfor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2372A (en) * 2002-10-09 2004-04-17 (주)피엑스디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ell sound service of mobile station
KR20050003779A (en) * 2003-07-04 2005-01-12 박정욱 Karaoke operating service system over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2372A (en) * 2002-10-09 2004-04-17 (주)피엑스디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ell sound service of mobile station
KR20050003779A (en) * 2003-07-04 2005-01-12 박정욱 Karaoke operating service system over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6779A (en) 2007-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3892B1 (en) Method, wireless MP3 player and system for downloading MP3 files from the internet
KR100870987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its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its method
CN1116772C (en) Method and system for karaoke service using communication system
US7720934B2 (en) Electronic musical apparatus, music contents distributing site, music contents processing method, music contents distributing method, music contents processing program, and music contents distributing program
JP2003076380A (en) Method of displaying videos of users&#39; own making as karaoke sing-along background videos with karaoke sing- along machines scattered in various places
JP2010250023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ith text display function, data acquisition method, and data acquisition program
JP3956411B2 (en) Karaoke equipment
JP2002014683A (en) Recording medium and recording data creating device therefor, and data restoration device
JP2002055678A (en) MIDI file compression method
KR100818746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karaoke service through communication network
KR20040048333A (en) Data structure of multimedia file, file distribution method, file distribution apparatus, and file distribution program
KR100575712B1 (en) Method of searching and playing multimedia content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4574299B2 (en) Music player
KR20010007751A (en) Method for providing music service through wireless internet
JP4061670B2 (en) Video playback device
JP2003084775A (en) Contents providing system, contents providing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2002341880A (en) Music data distribution system
JP4114344B2 (en) Karaoke data playback device
JP2003046935A (en) Data edit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or, server, data edit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5009650B2 (en) Synthesizer, synthesis system, synthesis method and program
JPH09288490A (en) Music playback device
JPH09152878A (en) Karaoke device
KR20010090669A (en) A multi-mode music system and thereof sale method for internet
JP4921033B2 (en) Music attribute data distribution method and portable music file playback terminal
JP3211646B2 (en) Performance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performance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609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3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3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2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