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8230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인터페이스 및인터페이스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인터페이스 및인터페이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8230B1
KR100818230B1 KR1020060065264A KR20060065264A KR100818230B1 KR 100818230 B1 KR100818230 B1 KR 100818230B1 KR 1020060065264 A KR1020060065264 A KR 1020060065264A KR 20060065264 A KR20060065264 A KR 20060065264A KR 100818230 B1 KR100818230 B1 KR 100818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component
block
management server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5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6289A (ko
Inventor
옥정현
고세환
김은규
Original Assignee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5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8230B1/ko
Priority to US12/373,293 priority patent/US20090193408A1/en
Priority to PCT/KR2007/003396 priority patent/WO2008007918A1/en
Publication of KR20080006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8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8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95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the faulty arrangement being the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06Configuration setting for initial configuration or provisioning, e.g. plug-and-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10Packet switch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switching fabric construction
    • H04L49/112Switch control, e.g. arbi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4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for recovering from a failure of a protocol instance or entity, e.g. service redundancy protocols, protocol state redundancy or protocol service re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6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file transfer, e.g. file transfer protocol [F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요소인 제어국 및 기지국을 관리하기 위한 구성요소 관리 서버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가 상기 제어국 및 기지국과 각각 연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에 의해 상기 제어국 및 기지국을 직접 관리하고, 특히 상기 기지국에 대하여 보다 효율적인 운용 및 신속한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성요소 관리 서버에서 하위 구성요소의 모든 프로세서 및 로딩하여야 할 소프트웨어에 대한 패키지(Package)의 버전(Version)을 관리하고, 하위 구성요소의 각 프로세서는 자신의 소프트웨어와 버전 등의 설정정보만을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필요시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가 하위 구성요소로 특정 소프트웨어만을 전송하도록 하여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드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자들에게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 방법{Interface and interface method of element management server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계층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계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구성요소 관리 경로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요소 관리 서버와 구성요소 간의 외부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요소 관리 서버와 구성요소 간의 인터페이스 설정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상세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기지국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상세블록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요소 관리 서버와 구성요소 간의 인터페이스 설정 시 구동데이터의 다운로드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구성요소 관리 서버와 구성요소 간의 인터페이스를 SNMP로 구현한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구성요소 관리 서버 110 : 구성요소 인터페이스 블록
120 : 데이터 인터페이스 블록 130 : 사용자 인터페이스 블록
131 : GUI 어뎁터 140 : EMS 에이전트블록
150 : SNMP 관리자블록 170 : 데이터 베이스
200 : 기지국 300 : 제어국
400 :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 430 : TCP 소켓 어뎁터
500 :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540 : EMS 관리자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요소인 제어국 및 기지국을 관리하기 위한 구성요소 관리 서버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가 상기 제어국 및 기지국과 각각 연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에 의해 상기 제어국 및 기지국을 직접 관리하고, 특히 상기 기지국에 대하여 보다 효율적인 운용 및 신속한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전자/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무선통신망(Wireless Network)을 이용한 이동통신, 무선인터넷 등 다양한 통신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휴대단말기(핸드폰, PDA, 노트북 등) (PSS : Portable Subscriber Station)와 기지국(RAS : Radio Access System)간의 통신채널을 확보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단말기가 기지국을 통해 다양한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기지국은 제어국(ACR : Access Control Router)과 연결되고, 상기 제어국은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MS : Network Management System)과 연결되며, 상기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음성통화, 무선인터넷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요구에 따라 무선통신망과 구성요소를 관리하게 된다. 즉, 상기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하위의 구성요소(제어국, 기지국 등)에서 실행되는 모든 프로세서를 파일로 저장하고, 무선통신망의 초기 부팅(Booting)시 또는 재시동시 상기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이 하위의 구성요소로 프로세서를 전송하며, 상기 구성요소로부터 상태정보를 전송받아 관리하게 된다.
한편, 상기 무선통신망은 수직적 망구조를 가지고 있어, 상기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이 다수의 제어국과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제어국은 각각 다수의 기지국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초기 부팅시 또는 시스템의 재시동시에 상기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저장된 프로세서 중 기지국에서 실행될 프로세서는 제어국을 거쳐 해당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그러나, 상기 제어국은 상기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자신이 실행할 프로세서와 더불어 하위에 구성된 다수의 기지국들의 프로세서들을 모두 다운로드 받아야 하는 바, 하나의 제어국은 다수의 기지국과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프로세서의 다운로드시간이 매우 길어지게 됨은 물론, 상기 다수의 기지국들로부터 전송되는 상태정보를 모두 취합하여 상기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해야 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전송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수직적 망구조는 프로세서의 다단계 로딩절차로 인해 로딩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상기 프로세서를 다운로드 받기 위한 로딩 프로그램이 복잡해지며, 상위의 프로세서가 재시동될 경우 하위의 모든 프로세서들을 다시 다운로드 받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무선통신 서비스의 중단을 초래하게 되어 사용자들에게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기지국에서 이상발생시 상기 기지국의 상태정보가 상기 제어국을 거쳐 상기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되기 때문에, 상기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이 해당 기지국의 이상정보를 수신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이후 사후처리를 함에 있어서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밖에 없어, 사용자들에게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제어국 및 기지국을 관리하기 위한 구성요소 관리 서버를 무선 통신 시스템에 구성하고,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와 제어국 및 기지국이 연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가 직접 제어국 및 기지국을 각각 관리하며, 특히 기지국에 대한 관리 및 유지보수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구성요소 관리 서버에서 하위의 구성요소(제어국 및 기지국 등)의 모든 프로세서 및 로딩하여야 할 소프트웨어에 대한 패키지(Package)의 버전(Version)을 관리하고, 제어국 및 기지국의 각 프로세서는 자신의 소프트웨어와 버전 등의 설정정보만을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필요시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가 제어국 및 기지국으로 특정 소프트웨어만을 전송하도록 하여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드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위 프로세서의 재시동 시 하위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를 다시 다운로드 받을 필요가 없어, 사용자들에게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무선 통신 시스템의 운영중에도 특정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딩이 가능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의 운영에 대한 효율성을 향상시킨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어국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서의 소프트웨어 패키지 버전을 확인하기 위한 프로세서정보요청메시지 및 상기 제어국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상태정보요청메시지를 송신하고 그 결과에 대한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어국 관리 인터페이스; 상기 기지국에서 실행되는 기지국 관리 프로세서의 소프트웨어와 하부 프로세서의 소프트웨어 패키지 버전을 확인하기 위한 프로세서정보요청메시지 및 상기 기지국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상태정보요청메시지를 송신하고 그 결과에 대한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지국 관리 인터페이스; 상기 제어국으로 요청된 소프트웨어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국의 상태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어국용 데이터 인터페이스; 및 상기 기지국으로 요청된 소프트웨어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의 상태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지국용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요소 관리 서버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와 각각 직접 연결된 제어국 및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구성요소의 운용, 관리, 및 유지보수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블록을 포함하는 제1 OAM 관리블록; 상기 제1 OAM 관리블록과 연결되어 상기 구성요소의 운용, 관리, 및 유지보수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를 상기 구성요소에 전송하고, 상기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하는 구성요소 인터페이스 블록; 및 상기 구성요소로부터 요청된 데이터를 해당 구성요소에 전송하고, 각 구성요소의 운용, 관리, 및 유지보수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1 OAM 관리블록에 전송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성요소 관리 서버와 구성요소 사이의 인터페이스 방법은, a)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가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로부터 추가 기지국의 MAC 주소가 포함된 제1 설정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b) 상기 제1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기지국의 MAC 주소 및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IP 주소가 포함된 제2 설정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설정정보를 상기 추가 기지국을 관리할 제어국에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제어국에서 부여한 상기 추가 기지국의 IP를 상기 제어국으로부터 전송받는 단계; d) 형상 및 운용파라미터 정보가 포함된 PLD(Programmable Loading Data) 파일 및 프로세서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 메시지를 상기 추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받는 단계; 및 - 상기 다운로드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어국에서 전송된 제4 설정정보에 포함된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IP를 이용하여 전송됨 - e) 상기 추가 기지국 IP를 이용하여 상기 PLD(Programmable Loading Data) 파일 및 프로세서의 소프트웨어를 상기 추가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계층별 구성을 살펴보면,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성요소의 운용환경설정과 유무선자원관리 및 상태확인 등을 위한 억세스 네트워크 영역(Access Network Domain)과, 이동통신 및 무선인터넷, 가입자 관리 등의 서비스에 대한 관리를 위한 서비스 제공자 영역(Service Provider Domain)으로 구성되며, 상기 억세스 네트워크 영역은 네트워크 구성요소 계층(Network Element Layer : NEL)(L1) 및 구성요소 관리 계층(Element Management Layer : EML)(L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 영역은 네트워 크 관리 계층(Network Management Layer : NML)(L3), 서비스 관리 계층(Service Management Layer : SML)(L4) 및 비즈니스 관리 계층(Business Management Layer : BML)(L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네트워크 구성요소 계층(L1)에는 휴대단말기(700)와 기지국(200) 및 제어국(300) 등의 구성요소가 위치하며, 상기 기지국(200) 및 제어국(300)은 구성요소 관리 계층(L2)의 구성요소 관리 서버(Element Management System Server : EMS Server)(100)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는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EMS Client)(400)와 연결되며, 상기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400)는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와 기지국(200) 및 제어국(300) 등의 구성요소를 관리하게 된다.
상기 휴대단말기(700)는 휴대인터넷 무선 접속기능, IP기반 서비스 접속기능, IP 이동성 기능, 단말/사용자 인증 및 보안기능, 멀티캐스트 서비스 수신기능, 타 망과 연동기능 등을 수행하고, 상기 기지국(200)은 휴대인터넷 무선 접속기능, 무선자원 관리 및 제어기능, 이동성(핸드오프) 지원기능, 인증 및 보안기능, 서비스 품질관리 기능, 하향링크 멀티캐스트 기능, 과금 및 통계정보 생성과 통보기능 등을 수행하며, 상기 제어국(300)은 IP 라우팅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인증 및 보안기능, 서비스 품질관리 기능, 과금서버에 과금서비스 제공기능, 제어국간 내의 기지국간 이동성 제어 기능, 자원관리 및 제어기능 등을 수행한다.
그리고,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는 상기 기지국(200) 및 제어국(300)의 운용 및 유지보수를 담당하며, 다운로드 기능, 구성 관리 기능, 상태 관리 기능, 장 애 관리 기능, 테스트 및 진단 기능, 통계 관리 기능, OSS(Operation Support System) 정합 기능 등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는 공중망 또는 사업자의 전용 IP망을 통해 구성요소와 통신을 하며, 서비스 사업자의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MS : Network Management System) 또는 OSS시스템과 연동하여 통합적으로 운용된다.
특히,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와 구성요소 간의 통신은 TCP, SNMP, FTP/TFTP 등의 인밴드(In-Band)를 통해 운용되며, 비상시(고장 등) 직접 접속을 하기 위한 아웃밴드(Out-Band) 접속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기지국(200)의 아웃밴드는 장비에서 직접 연결하여 운용할 수 있는 디버그 포트(Debug Port)를 의미하며, 제어국(300)의 아웃밴드는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를 경유하지 않는 원격접속(Telnet Client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아웃밴드는 자체의 인증처리가 이루어져야 하며, 접속상태 및 처리결과를 즉시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로 보고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200)은, 초기화 및 재시동 기능, 프로세서 블록 감시 및 프로세서 재시동 기능, 운용 중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기능과 더불어,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운용 파라메터 등을 이용하여 자체 구성정보 및 운용을 위한 각종 운용 파라메터를 설정하고 운용하며, 관련정보가 변경되었을 경우 실시간으로 변경된 사항을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로 전송한다. 또한, 형상정보파일(Image File)과 환경설정정보파일(Configuration File)은 프로세서 단위로 각각 관리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국(200)의 내부 프로세서는 계층구조로 되어 있으며, 최상위 프로세서인 제어국 관리 프로세서(RMP : RAS Management Processor)가 하위프로세서를 관리하며, 형상 및 운용파라메터 정보(PLD : Programmable Loading Data)는 시스템당 하나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최상위 프로세서는 IPC(Inter Processor Communication) 통신을 통하여 메시지로 하위프로세서에 파라메터를 내려준다.
또한, 상기 제어국(300)이 운용중인 상태에서도 기지국(200)의 초기화가 가능한 프로세서 계층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구성요소 관리 경로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의 제1 OAM(Operations, Administration, Maintenance) 관리블록(160)은, 제어국(300)의 제2 OAM 관리블록(311) 및 기지국(200)의 제3 OAM 관리블록(211)과 연동하여 해당 구성요소, 즉 기지국(200) 및 제어국(300)의 운용, 관리, 유지보수 등의 무선통신시스템(특히 휴대인터넷 등)운용에 필요한 제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OAM 관리블록(160)과 제2 OAM 관리블록(311)은 직접 연결된 제1 경로(P1)를 통해 제어국(300)에 대한 운용, 관리, 유지보수를 위한 요청/응답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1 OAM 관리블록(160)은 제1 경로(P1)를 통해 제2 OAM 관리블록(311)으로부터 제어국(300)에서 발생하는 장애정보와 상태정보 등을 전송받는다. 또한, 상기 제2 OAM 관리블록(311)은 직접 연결된 제2 경로(P2)를 통해 상기 제1 OAM 관리블록(160)에 통계파일, 운용설정정보파일 등의 데이터를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제1 OAM 관리블록(160)과 제3 OAM 관리블록(211)은 직접 연결된 제3 경로(P3)를 통해 기지국(200)에 대한 운용, 관리, 유지보수를 위한 요청/응답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1 OAM 관리블록(160)은 제3 경로(P3)를 통해 제3 OAM 관리블록(211)으로부터 기지국(200)에서 발생하는 장애정보와 상태정보 등을 전송받는다. 또한, 상기 제3 OAM 관리블록(211)은 직접 연결된 제4 경로(P4)를 통해 상기 제1 OAM 관리블록(160)에 통계파일, 운용설정정보파일 등의 데이터를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제2 OAM 관리블록(311)은 제5 경로(P5)를 통해 기지국(200)의 상태를 관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경로(P1) 및 제3 경로(P3)는 원활한 메시지의 송수신을 위해 TCP 통신을 하고, 제2 경로(P2) 및 제4 경로(P4)는 통계 데이터 등의 대용량 데이터 송신 및 이벤트 데이터 송신을 하기 위해 FTP/TFTP 통신을 하며, 상기 제5 경로(P5)는 기지국(200)의 제어 및 상태관리를 위해 UDP 통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 OAM 관리블록(311) 및/또는 제3 OAM 관리블록(211)에서 상기 제1 OAM 관리블록(160)으로 제공하는 정보는 데이터 송신 및 정합과정을 통해 항상 기지국(200) 및 제어국(300)의 실제 상태와 일치하며, 상기 제5 경로(P5)를 통해 제어국(300)이 기지국(200)을 제어 및 상태를 관리하는 정보에 대해서도,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에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상기 제1 OAM 관리블록(160) 내지 제3 OAM 관리블록(211)에서 관리되는 데이터를 정합하게 된다.
또한, 상기 기지국(200)의 제3 OAM 관리블록(211) 및 제어국(300)의 제2 OAM 관리블록(311)은 장애 및 기타 상황 발생으로 인하여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의 제1 OAM 관리블록(160)에서 요구하는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였을 경우, 상기 제1 OAM 관리블록(160)의 요구에 의해 해당 정보를 재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와 기지국(200) 및 제어국(300)의 연동을 위해 필요한 제반 환경정보들은 구성파일을 통해 지정받으며, 상기 연동을 위한 제1 OAM 관리블록(160) 내지 제3 OAM 관리블록(211)은 여타의 프로세서 블록과 동일하게 관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의 제1 OAM 관리블록(160)과 제어국(300)의 제2 OAM 관리블록(311) 및 기지국(200)의 제3 OAM 관리블록(211)을 직접 연결하여 연동함으로써, 상기 제어국(300) 및 기지국(200)에 대한 운용, 관리, 유지보수와 더불어, 상기 제어국(300) 및 기지국(200)의 장애정보, 상태정보 등을 취합, 관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 1 및 도 2의 상세한 설명에 나타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각 구성요소 및 구성요소 관리 서버에 대하여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네트워크 영역에 대한 상세구성도로서, 특히 구성요소 관리 계층(L2)의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와 구성요소들 간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상기 구성요소의 하나인 기지국(200)은 메인 컨트롤 및 클록 유니트(MCCU : Main Control and Clock Unit)(도시하지 않음), 디지털 채널 카드 유니트(DCCU : Digital Channel Card Unit)(도시하지 않음)와 더불어 송수신 유니트(TRXU : Transceiver Unit)(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컨트롤 및 클록 유니트는 기지국 관리 프로세서(RMP : RAS Management Processor)(210)와 GPS 수신기/클록 분배기(GPS receiver/Clock Distribution)(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된 유니트이다. 상기 기지국 관리 프로세서(210)는 호 처리 블록(Call Processing Bolck)을 관장하고 하위 블록(Block)에 대한 통신, 제어, 장애정보, 상태정보, 통계정보를 취합하여 보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의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기 위한 로딩블록(Loading Block)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GPS 수신기/클록 분배기는 정확한 시간동기를 필요로 하는 휴대인터넷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하여 위성으로부터 수신하여 동기된 클록 관련 신호들을 하위 블록으로 분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메인 컨트롤 및 클록 유니트는 이중화(Active, Standby) 구성으로 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 관리 프로세서(210)는 상기 도 2의 제3 OAM 관리블록(211)을 포함한다.
디지털 채널 카드 유니트는 휴대인터넷 시스템의 MAC/PHY 모뎀(Modem)을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BBP : Base Band Processor)(220)가 탑재된 유니트로서, 데이터 랜덤화, 컨벌루션/컨벌루션-터보 채널 코딩/디코딩, 인터리빙(Interleaving), FUSC/PUSC에 대한 서브채널 할당 등의 기능을 수행하여 휴대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처리하며, 또한 리피터 인터페이스 유니트에 수신 다이버시티(Diversity) 기능을 지원한다. 디지털 채널 카드 유니트는 송수신 유니트 및 리피터 인터페이스 유니트와 직병렬 변환기(SerDes : Serial and Desrializer)를 통해 연결되며, 메인 컨트롤 및 클록 유니트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치 유니트와 이더넷으로 연결되어 휴대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데이터 처리를 원활하게 한다.
송수신 유니트(TRXU : Transceiver Unit)는 디지털 채널 카드 유니트에서 전송된 디지털 IF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고출력 증폭 유니트로 전송하고, RF 프론트-엔드 유니트에서 수신된 RF 신호를 디지털 IF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채널 카드 유니트로 전송하는 것으로, 신호처리를 위한 송수신 프로세서(TRP : Transceiver Processor)(230)가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요소의 다른 하나인 제어국(300)은, 제어 스위치 보드 어셈블리(CSBA : Control Switch Board Assembly)(310), 가입자 서비스 이동성 관리 보드 어셈블리(SSMA : Subscriber Service Mobility Board Assembly)(320) 및 다중기능 패킷 처리 보드 어셈블리(MFPA : Multi-Function packet Processing board Assembly)(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 스위치 보드 어셈블리(310)는, IP패킷에 대한 라우팅(Routing) 및 스위칭(Switching)을 수행하는 주 기능(Main Function)부와 이에 대한 제어를 담당하는 주 제어 프로세서 모듈(Main Control Processor Module)로 구성되고, 상기 가입자 서비스 이동성 관리 보드 어셈블리(320)는 기지국(200) 및 제어국(300)의 내부동작(Inter-working) 및 세션(Session)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보드와 상기 기능을 처리하는 주제어 프로세서(Main Control Processor)로 구성되며, 상기 다중기능 패킷 처리 보드 어셈블리(330)는 제어국(300)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User Application) 기능을 제공하는 보드와 상기 기능을 처리하는 주제어 프로세서(Main Control Processor)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 스위치 보드 어셈블리(310)는 상기 도 2의 제2 OAM 관리블록(311)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는, 구성요소와의 메시지 전송을 위한 구성요소 인터페이스 블록(110)과 상기 구성요소와의 파일전송을 위한 데이터 인터페이스 블록(120) 및 파일의 전송을 관리하는 다운로드 관리블록(161) 외에 타 기능블록(162)들을 포함하는 제1 OAM 관리블록(16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 블록(120)은 FTP/TFTP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요소 인터페이스 블록(110)은 제어국(300)과의 메시지 전송을 위한 제어국 관리 인터페이스(EA1)(111), 기지국(200)과의 메시지 전송을 위한 기지국 관리 인터페이스(ER1)(11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 블록(120)은 제어국(300)과의 파일전송을 위한 제어국 데이터 인터페이스(EA2)(121), 기지국(200)과의 파일전송을 위한 기지국 데이터 인터페이스(ER2)(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능블록은 상기 다운로드 관리블록(161)과 더불어 구성관리블록, 장애관리블록, 시험 및 진단블록, 성능감시블록, 통계관리블록, 배치명령어처리블록, 시스템자원관리블록 등의 타 기능블록(162)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기능블록(162)의 구성 및 기능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파일 전송시 트래픽 집중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 이외에 별도로 다수의 FTP/TFTP 서버를 구성하고, 파일 전송시 구성요소에 게 FTP/TFTP 서버의 접속정보를 메시지로 전달함으로써, 데이터의 분산전송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는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400)의 TCP 소켓 어뎁터(430)와 다수 클라이언트의 명령어 전송 및 브로드캐스팅을 위한 GUI 어뎁터(131)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블록(130),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500)의 EMS 관리자(540)와 SOAP 통신을 하기 위한 EMS 에이전트 블록(140) 및 스위칭 장치(600)의 SNMP 에이전트(650)와 연결되는 SNMP 관리자 블록(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상기 제어국 관리 인터페이스(111) 및 기지국 관리 인터페이스(112)는 신속한 메시지의 전송 및 메시지 유실 방지 등을 위하여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기반의 IPC(Inter Processor Communication) 통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어국용 데이터 인터페이스(121) 및 기지국용 데이터 인터페이스(122)는 프로그램의 전송 및 통계 데이터 전송 등을 위하여 FTP(File Transfer Protocol)/TFTP(Trivial FTP) 통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GUI 어뎁터(131)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이용하여 상기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400)가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로 구성요소의 환경설정정보 변경을 요청하며, 상기 구성요소의 상태정보에 대해 상기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400)로 전송된 정보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이용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EMS 에이전트 블록(140)은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에 의해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SOAP는 XML(eXtensile Markup Language)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등을 기반으로 하여 다른 컴퓨터에 데이터나 서비스를 호출하기 위한 통신 규약이다.
그리고,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의 SNMP 관리자 블록(150)은,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SNMP를 이용하여 스위칭 장치(600)를 통해 상기 기지국(200) 및 제어국(300) 등의 구성요소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SNMP는 통신망의 구성요소에 관한 관리정보가 논리적으로 원격지 사용자들에 의해 조사되거나 변경될 수 있게 지원하는 프로토콜로서, 구성요소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어플리케이션(101)은 각 구성요소에 탑재된 관리 객체(201)(301)와 연동하며,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의 SNMP 관리자(102)와 구성요소의 SNMP 에이전트(202)(302)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UDP/IP(103)(104)(203)(204)(303)(304)를 사용하고, 네트워크 종속 프로토콜(Network Dependent Protocol)(105)(205)(305)를 통해 집적 연결되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관리될 객체(구성요소)들이 정의된 관리정보베이스(Management Information Base : MIB)를 통해서 상태정보를 얻거나 환경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SNMP 관리자(102)는 'Get', 'Get Next', 'Get Bulk', 'Set' 등의 요청메시지(Request)를 상기 SNMP 에이전트(202)(302)로 전송하고, 상기 SNMP 에이전트(202)(302)는 해당 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Response)와 비정상적인 장치의 검출, 장애 및 경보 등의 이벤트 발생 메시지(Trap)를 상기 SNMP 관리자(102)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SNMP 관리자(102) 및 SNMP 에이전트 사이(202)(302)에 전송되는 메시지 형태는 SNMP 규약을 기초로 한다.
한편,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는 기지국(200) 및 제어국(300) 등의 하위 구성요소의 모든 프로세서 및 로딩하여야 할 소프트웨어에 대한 패키지(Package)의 버전(Version)을 관리하고, 상기 제어국(300)의 각 프로세서는 자신의 소프트웨어와 버전 등의 설정정보만을 저장한다.
상기 기지국(200)의 기지국 관리 프로세서(210)는 자신의 소프트웨어와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220) 및 송수신 프로세서(230) 등의 하위 프로세서의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국(300)의 제어 스위치 보드 어셈블리(310)는 자신이 실행할 소프트웨어의 패키지 버전 정보와, 가입자 서비스 이동성 관리 보드 어셈블리(320) 및 다중기능 패킷 처리 보드 어셈블리(330) 등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의 패키지 버전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각 구성에서 실행될 소프트웨어에 대한 패키지 버전 등의 설정정보 등의 형상 및 운용 파라메터 정보(PLD : Programmable Loading Data)는 상기 각 구성이 당업자의 요구에 의하여 변경됨에 따라 대응되어 변경되는 것으로,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므로 특정한 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초기화 또는 재시동 시에, 차례로 하위 프로세서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버전을 체크한 후 필요한 소프트웨어만을 전송하기 때문에, 모든 프로세서의 소프트웨어를 전송할 필요가 없으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운영중에도 특정 프로세서의 소프트웨어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와 기지국(200) 간의 인터페이스 설정 방법 을 나타낸 대한 구성도로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새로운 기지국(200)을 설정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신규 기지국(200)을 추가하는 방식은 구성요소간 IP통신에 필요한 기지국의 IP주소를 부여하는 방식, 예컨데 운영자의 입력에 의한 IP주소 정적 부여(Static Allocation) 방식과 DHCP를 이용한 IP주소 동적 부여(Dynamic Allocation) 방식에 따라 등록절차가 달라진다.
먼저, 신규 기지국(200) 등록 시 제어국(300)의 DHCP 서버(350)를 이용하여 기지국(200)에 대한 IP주소를 동적으로 부여 받아, 해당 기지국(200)을 추가하는 절차는 다음과 같다.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400)가 신규 등록하고자 하는 기지국(200)에 대한 기지국식별자(RAS ID), 기지국 MAC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 형상 및 운용파라메터정보(Package 정보, Card 실장정보, Cell Operating Parameter 등)가 포함된 제1 설정정보를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에 탑재된 다수의 기능블록(Function Block)(160) 중 구성 관리 블록(163)으로 전송하면(S101), 상기 구성 관리 블록(163)은 전송된 제1 설정정보를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하고, 상기 형상 및 운용 파라메터정보를 PLD파일로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 블록(120)으로 전송한다(S102). 그리고, 상기 구성 관리 블록(163)은 상기 제1 설정정보에서 기지국(200)의 IP주소 설정에 필요한 기지국식별자, 기지국 MAC주소,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의 IP주소 등을 포함한 제2 설정정보를 제어국(300)의 제2 OAM(Operations, Administration, Maintenance) 관리블록(311)으로 전송한다(S103).
여기서,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는 기지국(200)과 제어국(300)의 구성정보, 장애정보, 통계정보, 시험 및 진단정보,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배치 명령어 스케줄링 등을 처리하는 프로세서 블록들이 포함된다. 상기 제2 OAM 관리블록(311)은 수신된 제2 설정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기지국(200)에 대하여 호 처리 및 IP 패킷 처리를 위해 하위 기지국(200)으로 관리대상구성요소에 추가한 후, 상기 제2 설정정보를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서버(35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DHCP 서버(350)는 기지국 IP영역에서 상기 기지국(200)에 대한 IP주소를 부여 받아 상기 제2 OAM 관리블록(311)과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로 전송한다(S104).
이후, 상기 기지국(200)의 기지국 관리 프로세서(RMP : RAS Management Processor)(210)의 제3 OAM 관리블록(211)에 포함된 로딩블록(211a)으로부터, 해당 기지국(200)의 MAC주소가 포함된 제3 설정정보가 상기 제어국(300)으로 입력되면(S105), 상기 제어국(300)의 DHCP서버(350)는 상기 제2 설정정보에 포함된 MAC주소와 제3 설정정보에 포함된 MAC주소의 일치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2 설정정보 및 제3 설정정보에 포함된 MAC주소가 일치할 경우, 기지국(200)의 IP주소,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의 IP주소 등이 포함된 제4 설정정보를 상기 기지국 관리 프로세서(210)의 로딩블록(211a)으로 전송한다(S106).
상기 기지국(200)의 기지국 관리 프로세서(210)의 로딩블록(211a)은, 전송받은 제4 설정정보에 포함된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의 IP주소로 초기화 메시지를 전송하여(S107), PLD파일 정보 및 소프트웨어파일정보, 데이터 인터페이스 블록(120)과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IP주소를 획득한 후(S107'), 상기 제1 OAM 관리블록(160)으로 PLD 파일 및 소프트웨어파일의 다운로드를 요청한다(S108). 상기 제1 OAM 관리블록(160)은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S102'에서 생성된 PLD 파일 및 소프트웨어파일을 상기 기지국 관리 프로세서(210)로 전송하도록 데이터 인터페이스 블록(120)에 요청한다(S180'). 그러면,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 블록(120)은 상기 'S102'에서 생성된 PLD 파일 및 소프트웨어파일을 상기 기지국 관리 프로세서(210)로 전송한다(S109). 상기 기지국 관리 프로세서(210)는 전송받은 PLD 파일로 해당 기지국(200)을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기지국(200)과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 간 인터페이스의 설정을 완료하게 된다.
운영자가 기지국(200) IP주소입력에 사용하는 신규 기지국 설정절차는 다음과 같다. 운영자가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에 기지국(200) 정보를 등록한 후, 제어국(300) 및 기지국(200)에 직접 접속하여 IP주소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도 4의 'S103' 내지 'S106'은 생략되며, 기지국(200)은 재시동을 통하여 초기화 메시지를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로 전송하고 자신의 구동데이터파일과 소프트웨어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서 서비스를 시작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구성요소인 기지국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상세블록도로서, 도 5의 기지국(RAS)에 부여된 도면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재부여한 것이며, 도면부호가 다르다 하여서 도 5의 각 구성이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난 해당 구성과 전혀 다른 것은 아니다.
상기 기지국(800)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치 유니트(NISU : Network Interface Switch Unit)(810), 메인 컨트롤 및 클록 유니트(MCCU : Main Control and Clock Unit)(820) 및 디지털 채널 카드 유니트(DCCU : Digital Channel Card Unit)(8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치 유니트(810)는 기지국(800)의 내부(Internal) 및 외부(External) 통신을 위한 이더넷 L2 스위치를 구비하며, 제어국과의 외부 이더넷 인터페이스 및 기타 부가장치에 대한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하위 블록에 대하여 하드웨어 알람(Hardware Alarm)을 취합하고 상위 유니트인 메인 컨트롤 및 클록 유니트(820)로 보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800)은, 송수신 유니트(TRXU : Transceiver Unit), 고출력 증폭 유니트(RPAU : RAS High Power Amplifier Unit), RF 프론트-엔드 유니트(RFEU : RF Front-End Unit), 리피터 인터페이스 유니트(RIFU : Repeater Interface Unit)등의 기능유니트(8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컨트롤 및 클록 유니트(820)에는 기지국(200)의 형상 및 운용 파라메터 정보(PLD)를 전송받기 위한 구동자(Booter)(821)와, 상기 기지국(800)을 관리하기 위한 기지국 관리 프로세서(822)가 탑재되며, 상기 기지국 관리 프로세서(822)는 제3 OAM 관리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3 OAM 관리블록은 로딩블록(Loading Block)를 포함한 환경설정, 상태확인, 알람확인, 통계정보 등을 처리하기 위한 다수의 프로세서 블록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지국(200)이 구동데이터를 다운로드 받는 방법의 일 예에 대해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지국(800)의 메인 컨트롤 및 클록 유니트(820) 에 구성된 구동자(Booter)(821)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위치 유니트(810)를 통해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로부터 형상 및 운용 파라메터 정보를 요청하게 되면(PLD request)(S201),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는 해당 기지국(800)의 형상 및 운용 파라메터 정보를 전송하게 되며(PLD send)(S202), 상기 구동자(821)는 상기 형상 및 운용 파라메터 정보의 전송이 완료되면(S203),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에 상기 형상 및 운용 파라메터 정보의 전송이 완료됨을 알려주게 된다(PLD loading end)(S204).
그리고, 상기 구동자(821)는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로 로딩블록을 요청하게 되며(RLDB request)(S205),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는 상기 구동자(821)의 요청에 따라 해당 기지국(200)의 로딩블록을 전송하며(RLDB request)(S206), 상기 로딩블록의 전송이 완료되면(S207), 상기 구동자(821)는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에 로딩블록의 전송이 완료됨을 알려주게 된다(sending RLDB loading end)(S208).
이후, 상기 구동자(821)는 기지국 관리 프로세서(822)의 내부 메모리에, 상기 전송받은 형상 및 운용 파라메터 정보와 로딩블록에 대한 영역을 할당하여 저장하며(S209), 상기와 같은 과정이 종료되면 상기 로딩블록에 의해 기지국 관리 프로세서(822)에서 실행될 소프트웨어 블록(도 6b 및 도 6c에서는 'Block'이라고 표시)을 다운로드 하게 된다.
도 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 관리 프로세서(822)의 내부에 할당되어 저장된 로딩블록이 형상 및 운용 파라메터 정보를 참조하여 소프트웨어 블록 의 로딩 테이블을 구축한 후(S301),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에 해당 소프트웨어 블록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면(Block request)(S302),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는 해당 소프트웨어 블록을 상기 로딩블록으로 전송하며(Block send)(S303), 상기 로딩블록은 해당 소프트웨어 블록의 다운로드가 완료되면(S304), 이를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로 알려주게 된다(sending Block loading end)(S305).
만약, 추가적으로 다운로드 받아야 할 소프트웨어 블록이 있는 경우(S306),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소프트웨어 블록을 계속적으로 다운로드 받으며, 추가적으로 다운로드 받아야 할 소프트웨어 블록이 없는 경우(S306), 상기 로딩블록은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에 모든 소프트웨어 블록의 다운로드가 완료됨을 알려준다(sending RAS all loading end)(S307).
상기와 같이 기지국(200)에서 실행될 모든 소프트웨어 블록의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상기 로딩블록은 다운로드된 소프트웨어 블록을 기지국 관리 프로세서(822)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며(S308), 상기 저장이 완료되면 상기 기지국 관리 프로세서(822)는 상기 소프트웨어 블록을 실행하여(S309),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동작하게 된다.
상기 기지국(800)이 휴대단말기(700)에 이동통신이나 무선인터넷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도 5에 나타난 디지털 채널 카드 유니트(DCCU)(830)가 데이터 전송을 처리해야 하며, 상기 디지털 채널 카드 유니트(830)는 도 6c에 나타난 바와 같이, 데이터 송수신 프로세서(Base Band Processor)의 소프트웨어 블록을 다운로드 받아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디지털 채널 카드 유니트(830)는 로딩블록으로 자신이 다운로드 받아야 할 파일의 개수를 요청하면(request to loading file number)(S401), 상기 로딩블록은 상기 로딩테이블을 참조하여(S402), 상기 디지털 채널 카드 유니트(830)로 상기 파일의 개수를 전송한다(send to loading file number)(S403).
이후, 상기 디지털 채널 카드 유니트(830)는 데이터 송수신 프로세서의 소프트웨어 블록에 대한 전송을 요청하며(Block request)(S404), 상기 로딩블록은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로 디지털 채널 카드 유니트(830)에 데이터 송수신 프로세서의 소프트웨어 블록에 대한 다운로드가 시작됨을 알리고(DCCU Block loading start)(S405), 상기 디지털 채널 카드 유니트(830)로 해당 파일을 전송한다(sending Block)(S406).
상기 디지털 채널 카드 유니트(830)는 해당 소프트웨어 블록의 다운로드가 완료되면(S407), 이를 상기 로딩블록에 알려주고(Block loading end)(S411), 상기 로딩블록은 이를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에 알려준다(DCCU Block loading end)(S412).
상기 디지털 채널 카드 유니트(830)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S408 내지 S410), 데이터 송수신 프로세서의 소프트웨어 블록을 모두 다운로드 받으며, 모든 데이터 송수신 프로세서의 소프트웨어 블록에 대한 다운로드가 완료되면(S413), 이를 상기 로딩블록에 알려주고(DCCU loading end)(S414), 상기 로딩블록은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에 이를 알려준다(DCCU loading end)(S415).
이후, 상기 디지털 채널 카드 유니트(830)는 다운로드 받은 데이터 송수신 프로세서에 의해 휴대단말기로 이동통신 또는 무선인터넷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 도 6a 내지 도 6c와 같이, 다운로드 되는 소프트웨어 및 해당 소프트웨어의 패키지 버전 정보는,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 및 각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의 내부에 저장되어 관리되며,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는 상기 프로세서에 대한 소프트웨어의 패키지 정보와 각 프로세서의 내부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패키지 버전을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패키지 버전이 높아지게 되면,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100)는 해당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로, 해당 소프트웨어의 패키지 파일만을 전송함으로써, 특정 프로세서에서 실행하는 소프트웨어만의 다운로드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되는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 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성요소 관리 서버와 하위 구성요소, 특히 기지국과 연동하여, 상기 구성요소 관리 시스템이 기지국을 직접 관리함으로써, 기지국 등의 하위 구성요소에 대한 관리 및 운용면에서의 효율성이 향상됨은 물론, 하위 구성요소에 대한 신속한 유지보수가 가능하여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구성요소 관리 시스템이 하위 구성요소(제어국 및 기지국 등)에서 실행되는 모든 소프트웨어의 패키지 버전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하위 구성요소에 탑재된 프로세서는 자신이 실행할 프로그램과 버전정보만을 관리하며, 필요시 상기 구성요소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필요한 소프트웨어만을 다운로드받아 재시동함으로써, 무선 통신 시스템의 운영중에도 특정 프로세서의 다운로드가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운영에 대한 효율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사용자들에게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29)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국 및 기지국을 관리하는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상기 제어국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서의 소프트웨어 패키지 버전을 확인하기 위한 프로세서정보요청메시지 및 상기 제어국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상태정보요청메시지를 송신하고 그 결과에 대한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어국 관리 인터페이스;
    상기 기지국에서 실행되는 기지국 관리 프로세서의 소프트웨어와 하부 프로세서의 소프트웨어 패키지 버전을 확인하기 위한 프로세서정보요청메시지 및 상기 기지국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상태정보요청메시지를 송신하고 그 결과에 대한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지국 관리 인터페이스;
    상기 제어국으로 요청된 소프트웨어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국의 상태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어국용 데이터 인터페이스;
    상기 기지국으로 요청된 소프트웨어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의 상태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지국용 데이터 인터페이스; 및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와 연결된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제어국 및 기지국을 제어하고 상태정보를 요청하는 명령어를 수신하고 그 결과를 송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인터페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국 관리 인터페이스 및 기지국 관리 인터페이스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에 의해 IPC(Inter Processor Communication) 통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인터페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국용 데이터 인터페이스 및 기지국용 데이터 인터페이스는, FTP(File Transfer Protocol)/TFTP(Trivial FTP)에 의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인터페이스.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인터페이스.
  6. 제 1항, 제 2항, 제 3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는 상기 제어국과 기지국 사이의 망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장치를 제어 및 감시하기 위한 SNMP 관리자 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인터페이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망관리 인터페이스는,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에 의해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인터페이스.
  8. 제 1항, 제 2항, 제 3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과 연결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EMS 에이전트 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인터페이스.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EMS 에이전트 블록은,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에 의해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인터페이스.
  10. 삭제
  11.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요소 관리 서버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의 운용, 관리, 및 유지보수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블록을 포함하는 제1 OAM 관리블록;
    상기 제1 OAM 관리블록과 연결되어 상기 구성요소의 운용, 관리, 및 유지보수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를 상기 구성요소에 전송하고, 상기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하는 구성요소 인터페이스 블록; 및
    상기 구성요소로부터 요청된 데이터를 해당 구성요소에 전송하고, 각 구성요소의 운용, 관리, 및 유지보수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1 OAM 관리블록에 전송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와 각각 직접 연결된 제어국 및 기지국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국은, 상기 제1 OAM 관리블록과 연동하며, 해당 제어국의 운용, 관리, 및 유지보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2 OAM 관리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요소 관리 서버.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OAM 관리블록은,
    상기 제어국과 연결된 제1 경로를 통해 상기 제어국에 대한 운용, 관리, 및 유지보수를 위한 요청/응답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어국과 연결된 제2 경로를 통해 상기 제어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요소 관리 서버.
  13.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요소 관리 서버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의 운용, 관리, 및 유지보수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블록을 포함하는 제1 OAM 관리블록;
    상기 제1 OAM 관리블록과 연결되어 상기 구성요소의 운용, 관리, 및 유지보수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를 상기 구성요소에 전송하고, 상기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하는 구성요소 인터페이스 블록; 및
    상기 구성요소로부터 요청된 데이터를 해당 구성요소에 전송하고, 각 구성요소의 운용, 관리, 및 유지보수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1 OAM 관리블록에 전송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와 각각 직접 연결된 제어국 및 기지국을 포함하며,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1 OAM 관리블록과 연동하며, 해당 기지국의 운용, 관리, 및 유지보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3 OAM 관리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요소 관리 서버.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OAM 관리블록은,
    상기 기지국과 연결된 제3 경로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대한 운용, 관리, 및 유지보수를 위한 요청/응답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상기 기지국과 연결된 제4 경로를 통해 상기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요소 관리 서버.
  15. 제 12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송수신은 TCP 통신을 이용하고, 상기 데이터 송수신은 FTP/TFTP 통신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요소 관리 서버.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OAM 관리 블록은,
    상기 구성요소와 스위칭 장치를 통해 아웃밴드 접속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장애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요소 관리 서버.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는,
    상기 구성요소와 아웃밴드 접속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장애를 검출하기 위한 SNPM 관리자 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요소 관리 서버.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OAM 관리 블록은,
    상기 구성요소의 상태 정보 및 장애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요소 관리 서버.
  19. 삭제
  2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는 상기 제어국과 직접 연결되며 또한 상기 제어국이 관리하는 각 기지국들과 직접 연결되고,
    a)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가 구성요소 관리 클라이언트로부터 추가 기지국의 MAC 주소가 포함된 제1 설정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b) 상기 제1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기지국의 MAC 주소 및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IP 주소가 포함된 제2 설정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설정정보를 상기 추가 기지국을 관리할 제어국에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제어국에서 부여한 상기 추가 기지국의 IP를 상기 제어국으로부터 전송받는 단계;
    d) 형상 및 운용파라미터 정보가 포함된 PLD(Programmable Loading Data) 파일 및 프로세서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 메시지를 상기 추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받는 단계; - 상기 다운로드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어국에서 전송된 제4 설정정보에 포함된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IP를 이용하여 전송됨 - 및
    e) 상기 추가 기지국 IP를 이용하여 상기 PLD 파일 및 프로세서의 소프트웨어를 상기 추가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인터페이스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정정보는,
    기지국식별자, 형상 및 운용파라메터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인터페이스 방법.
  22. 제 20항 또는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설정정보는,
    기지국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인터페이스 방법.
  23. 제 20항 또는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2 설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국에서 상기 추가 기지국을 상기 제어국의 관리대상구성요소로 추가하고, 상기 추가 기지국의 IP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인터페이스 방법.
  24. 제 20항 또는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의 상기 제4 설정정보의 전송은,
    상기 제어국이 상기 추가 기지국의 MAC 주소가 포함된 제3 설정정보를 상기 추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받고, 상기 추가 기지국에서 전송된 제3 설정정보의 기지국 MAC 주소가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에서 전송된 제2 설정정보의 추가 기지국 MAC 주소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 IP 주소 및 구성요소 관리 서버 IP 주소가 포함된 제4 설정정보를 상기 추가 기지국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인터페이스 방법.
  2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는 각 기지국과 직접 연결되며,
    a) 구성요소 관리서버는 직접 연결된 기지국으로부터의 형상 및 운용 파라메터 정보, 및 로딩블록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 기지국의 형상 및 운용 파라메터 정보, 및 로딩블록을 요청한 기지국에 다운로드하는 단계;
    b) 상기 로딩블록이 실행되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소프트웨어 블록의 요청 이 있는 경우 해당 소프트웨어 블록 모두를 상기 기지국에 다운로드하는 단계; 및
    c) 상기 기지국의 채널카드에서 실행될 데이터 송수신 프로세서의 소프트웨어 블록이 상기 채널카드로 전송되는 경우 상기 채널카드로의 전송 정보를 상기 로딩블록으로부터 통보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인터페이스 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형상 및 운용 파라메터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 기지국의 형상 및 운용 파라메터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과정;
    a-2) 상기 형상 및 운용 파라메터 정보의 전송이 완료된 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로딩블록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로딩블록을 다운로드하는 과정; 및
    a-3) 상기 로딩블록의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기지국이 상기 형상 및 운용 파라메터 정보와 로딩블록의 영역을 할당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인터페이스 방법.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형상 및 운용 파라메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프트웨어 블록의 로딩 테이블을 구축하는 과정;
    b-2) 상기 로딩블록에서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로 상기 소프트웨어 블록을 요청하는 과정;
    b-3) 상기 요청한 해당 소프트웨어블록 모두를 상기 기지국에 다운로드하는 단계; 및
    b-4) 상기 소프트웨어 블록의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상기 기지국이 상기 소프트웨어 블록의 영역을 할당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인터페이스 방법.
  28.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기지국의 채널카드에서 상기 로딩블록으로 데이터 송수신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블록을 요청하는 과정;
    c-2) 상기 로딩채널에서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로 데이터 송수신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블록의 전송 시작을 통보하고, 상기 채널카드로 해당 소프트웨어 블록을 모두를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과정;
    c-3) 상기 소프트웨어 블록의 전송이 모두 완료되면, 상기 기지국의 채널카드에서 상기 로딩블록으로 전송 종료를 요청하는 과정; 및
    c-4) 상기 로딩채널에서 상기 구성요소 관리 서버로 데이터 송수신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블록의 전송 종료를 통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인터페이스 방법.
  29. 제 25항에 있어서,
    d) 상기 기지국의 채널카드에서 전송받은 소프트웨어 블록을 로딩하여 상기 데이터 송수신 프로세서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인터페이스 방법.
KR1020060065264A 2006-07-12 2006-07-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인터페이스 및인터페이스 방법 KR100818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264A KR100818230B1 (ko) 2006-07-12 2006-07-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인터페이스 및인터페이스 방법
US12/373,293 US20090193408A1 (en) 2006-07-12 2007-07-12 Interface and method for interfacing element management server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PCT/KR2007/003396 WO2008007918A1 (en) 2006-07-12 2007-07-12 Interface and method for interfacing element management server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264A KR100818230B1 (ko) 2006-07-12 2006-07-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인터페이스 및인터페이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289A KR20080006289A (ko) 2008-01-16
KR100818230B1 true KR100818230B1 (ko) 2008-04-01

Family

ID=38923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264A KR100818230B1 (ko) 2006-07-12 2006-07-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인터페이스 및인터페이스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193408A1 (ko)
KR (1) KR100818230B1 (ko)
WO (1) WO20080079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15282B2 (en) * 2008-01-15 2011-09-06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to synthesize custom metric attributes from a set of metric attributes associated with an application in an application server environment
EP2107716B1 (en) * 2008-04-04 2011-06-15 Alcatel Lucent Automatic configuration of a network device by an automatic configuration server by means of a Remote Management Protocol
US9866425B1 (en) 2015-01-05 2018-01-09 Marvell International Ltd.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AM) in the physical coding sublayer (PCS)
CN109217978A (zh) 2017-06-30 2019-01-15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的方法、装置和系统
CN110784369A (zh) * 2019-09-16 2020-02-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检测长连接的方法、服务器、终端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320A (ko) * 2001-06-08 2002-12-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아이엠티-2000 운용보전 시스템의 온라인 소프트웨어업그레이드 방법
KR20050066274A (ko) * 2003-12-26 2005-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기지국 재시동 원격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25377B1 (en) * 1999-03-12 2004-04-20 Networks Associates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anti-intrusion software
US6640037B2 (en) * 2001-04-17 2003-10-28 Corning Incorporated Thin walled core band-gap waveguides
KR100414671B1 (ko) * 2002-02-14 2004-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케이블 모뎀의 소프트웨어 자동 원격 업그레이드방법
US7668944B2 (en) * 2004-02-20 2010-02-23 Evgeny Leib System and unified setting interface for configuring network manageable devices
KR100918435B1 (ko) * 2005-01-31 2009-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트래픽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320A (ko) * 2001-06-08 2002-12-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아이엠티-2000 운용보전 시스템의 온라인 소프트웨어업그레이드 방법
KR20050066274A (ko) * 2003-12-26 2005-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기지국 재시동 원격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93408A1 (en) 2009-07-30
WO2008007918A1 (en) 2008-01-17
KR20080006289A (ko) 2008-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6586B1 (ko) 무선통신망의 구성요소 관리 시스템
US20200329403A1 (en) Application server switching method, session management network element, and terminal device
CN110447208B (zh) 一种网络切片的管理方法、单元和系统
EP2404405B1 (en) Managing network elements
EP3684010A1 (en) Network slice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for same
US20160294575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figuring Application Terminals in Home Network
CN110730482A (zh) 无线接入网信息处理方法及装置、网元及存储介质
RU2285346C2 (ru) Способ установления принятых по умолчанию каналов эксплуатации и обслуживания на основе интернет-протокола по асинхронному режиму передачи (ipoa)
WO2019220172A1 (en) Token-based debugging for a service-based architecture
EP2124404A1 (en) A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figuring application terminals in home network
WO2007012242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initialization configuration for the managed devices
KR100833127B1 (ko) 확장 가능한 구조를 갖는 무선통신망의 구성요소 관리시스템
KR10081823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성요소 관리 서버의 인터페이스 및인터페이스 방법
CN108141375B (zh) 云部署中的自动征兆数据收集
CN113709902A (zh) 中继链接建立、配置信息发送方法、装置和可读存储介质
KR20110131995A (ko) 단말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상기 단말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
KR20190048769A (ko) 저전력/광대역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아이오티 단말의 오티에이 기술을 이용한 클라우드기반 단말 통합관리시스템
CN106031091B (zh) 用于辅助对接入网关的远程诊断的技术
CN114268938A (zh) 用户前置设备的纳管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WO2021164868A1 (en) Radio network information exposure for edge computing
CN102694675A (zh) 一种基于snmp协议的异步通信方法及装置
KR10080718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초기화를 위한 이엠에스 운영방법
CN102752780A (zh) 系统用户的管理方法及装置
US10097643B2 (en) Technique for remote administration of a device belonging to a private network
US20240056814A1 (en) Supporting computer networking device connections to controllers using different connection protoco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