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6420B1 - 광섬유 접속 및 점퍼여장 정리 트레이 - Google Patents

광섬유 접속 및 점퍼여장 정리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6420B1
KR100816420B1 KR1020000000245A KR20000000245A KR100816420B1 KR 100816420 B1 KR100816420 B1 KR 100816420B1 KR 1020000000245 A KR1020000000245 A KR 1020000000245A KR 20000000245 A KR20000000245 A KR 20000000245A KR 100816420 B1 KR100816420 B1 KR 100816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jumper
optical
storage means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0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8355A (ko
Inventor
이재진
남도현
강길례
김동준
김성훈
원영준
이정환
박찬술
이용현
정창웅
Original Assignee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대한전선 주식회사
한국쓰리엠 주식회사
삼성전자주식회사
주식회사 엘지전선
주식회사 머큐리
주식회사 케이티
정보통신연구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대한전선 주식회사, 한국쓰리엠 주식회사, 삼성전자주식회사, 주식회사 엘지전선, 주식회사 머큐리, 주식회사 케이티, 정보통신연구진흥원 filed Critical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00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6420B1/ko
Publication of KR20010068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8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6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6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 E02D2200/1621Shapes round, e.g. circle made from multipl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입 광케이블과 편단 광코드의 접속지점과 광섬유를 보호하고, 접속지점으로부터 커넥터 패널 사이에 여장의 편단 광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광섬유 접속 및 점퍼여장 정리 트레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그 내부에 인입 광섬유와 편단 광코드를 접속할 수 있도록 형성된 케이스와, 케이스에서 나온 편단 광코드의 여장을 정리할 수 있도록 케이스의 일측 바깥면에 얇은 수지재의 저장수단이 일체로 결합된 것이다.
따라서, 편단 광코드와 여장을 트레이 별로 관리하고 아울러 이러한 여장정리공간을 최소화하고 유지보수 시에 서로 간섭하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광섬유 접속 및 점퍼여장 정리 트레이{FIBER OPTIC TRAY FOR SPLICING AND JUMPER STORAG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접속 및 점퍼여장 정리 트레이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수단을 전개하여 도시한 전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수단에 편단 광코드가 저장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 12 ; 바닥판
14 ; 덮개 15 ; 저장간격 벽
20 ; 저장수단
22 ; 밑면부 24 ; 상판부
26 ; 출입구 28 ; 관통구멍
30 ; 걸림수단 32 ; 삽입부
34 ; 돌기부 36 ; 체결수단
본 발명은 광케이블의 분배/절체에 이용되는 광섬유 접속 및 점퍼여장 정리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편단 광코드의 여장을 트레이 별로 관리하고 여장정리공간을 최소화하여 유지보수에 유리한 광섬유 접속 및 점퍼여장 정리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케이블 선로상에서 전화국으로부터의 휘더광케이블과 가입자로의 분배광케이블의 효율적인 분배/절체를 위해 광 중간절체장치가 설치된다.
광중간 절체장치와 같은 광케이블 분배/절체 시스템으로는 광분배반, 광단자함 등이 있으며, 광섬유의 신속한 분배/절체를 위하여 광커넥터를 사용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광중간 절체장치들은 인입 광섬유와 한쪽에 커넥터가 부착된 편단 점퍼코드의 접속을 위한 접속 트레이와 편단 점퍼코드의 여장을 정리하는 저장 트레이 및 커넥터 간 결합을 위한 커넥터 패널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분배/절체 시스템들은 가입자 요구에 따라 신속한 분배/절체 기능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분배/절체시 심선식별이 가장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분배/절체 장치에서 사용되고 있는 접속 트레이는 미국특허 5,825,942호, 5,734,776호 등과 같이 다수의 심선을 하나의 접속 트레이에 정리함으로써 유지보수 작업시 심선 식별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분배/절체 장치에서는 광케이블의 분배 및 절체를 위해서 인입 광섬유와 편단 광코드를 연결하고 접속지점과 광섬유를 보호하는 접속 트레이와, 접속지점부터 커넥터 패널 사이에 여장의 편단 광코드를 정리하기 위한 저장 공간 이 따로 필요하였다. 이렇게 접속 트레이와 여장 정리를 위한 저장 공간을 따로 설치하면 많은 공간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트레이에서 나온 여장의 광섬유가 하나의 여장 정리부에 정리되므로 유지보수 할 때에 이를 구분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편단 광코드와 여장을 트레이 별로 관리하고 아울러 이러한 여장정리공간을 최소화하고 유지보수 시에 서로 간섭하지 않는 광섬유 접속 및 점퍼여장 정리 트레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입 광케이블과 편단 광코드의 접속지점과 광섬유를 보호하고, 접속지점으로부터 커넥터 패널 사이에 여장의 편단 광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광섬유 접속 및 점퍼여장 정리 트레이에 있어서, 그 내부에 인입 광섬유와 편단 광코드를 접속할 수 있도록 형성된 케이스와, 케이스에서 나온 편단 광코드의 여장을 정리할 수 있도록 케이스의 일측 바깥면에 얇은 수지재의 저장수단이 일체로 결합된 광섬유 접속 및 점퍼여장 정리 트레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 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접속 및 점퍼여장 정리 트레이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수단을 전개하여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접속 및 점퍼여장 정리 트레이는 그 내부에 인입 광섬유와 편단 광코드를 접속할 수 있도록 형성된 케이스(10)와, 이 케이스(10)에서 나온 편단 광코드의 여장을 정리할 수 있도록 케이스(10)의 일측 바깥면에 얇은 수지재의 저장수단(20)이 일체로 결합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케이스(10)는 대략 직사각 형상을 이루는 바닥판(12)과 덮개(14)로 구성되며, 바닥판(12) 내측면에 각 모서리에는 인입 광섬유 또는 편단 광코드가 케이스(10) 내부로 들어올 수 있도록 인입부(16)가 마련되어 있으며, 바닥판(12)의 내측면 중심부에는 인입 광섬유의 끝단과 편단 광코드의 끝단의 접속지점을 고정하고 보호하기 위한 접속자 고정부(18)가 2개소에 마련되어 있으며, 케이스(10) 내부로 인입된 인입 광섬유의 여장을 정리하기 위한 가이드(19)가 바닥판 상에 인입 광섬유가 대략 타원형상으로 규제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한편, 바닥판(12)과 덮개(14)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홈(11,13)이 바닥판과 덮개(12)의 일단에 다른 구성부재 및 내부에 정리된 인입 광섬유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특히, 덮개(14)의 일측면 가장자리에는 저장수단(20)의 저장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저장간격 벽(15)이 소정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저장간격 벽(15)은 여러개의 트레이를 한꺼번에 적층하는 경우에 저장수단(20) 내부에 저장된 편단 광코드가 눌 리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저장공간을 보호할 수가 있다.
저장수단(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flexible)하게 접힐 수 있는 얇은 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케이스(10) 위의 저장간격 벽(15) 사이에 면접촉하면서 결합될 수 있도록 케이스(10)의 사이즈보다 약간 작은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는 직사각형상의 밑면부(22)와, 두께를 가지면서 접철부(21)에서 플렉시블하게 접혀져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밑면부(22)의 각 가장자리 면에 형성된 4개의 상판부(24)로 구성된다.
상판부(24)들은 접혀졌을 때 일부분이 서로 중첩되어 저장수단(20) 내부에 저장되는 편단 광코드를 보호하게 되며, 중첩되는 면에 걸림수단(30)을 마련하여 상판부(24)들이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예시도면에서 걸림수단(30)은 얇은 수지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중첩되는 상판부(24)의 일면을 절취하여 삽입부(32)를 형성하고, 이에 중첩되는 다른 상판부(24)의 일면을 절취하여 삽입부(32)에 걸림작용할 수 있는 돌기부(34)를 형성한다. 특히, 저장수단(20)은 상판부(24)가 닫혀진 상태에서도 내부에 저장된 편단 광코드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밑면부(22)의 일단에는 케이스(10)의 체결홈(11,13)과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구멍(28)이 형성되어 케이스(10)와 저장수단(20)을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케이스(10)와 저장수단(20)이 한 세트를 이룬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를 여러장 겹쳐지게 쌓고자 할 경우에도 체결홈(11,13)과 관통구멍(28)에 체결나사(36)를 채용하여 한꺼번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두께를 가진 절곡부 즉, 밑면부(22)와 상판부(24)의 경계부 끝지점은 오목하게 절개되어 편단 광코드가 저장수단(20)에 들어오거나 나가는 출입구(26)가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수단에 편단 광코드가 저장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도면상에는 도시되고 있지 않으나, 케이스(10) 내부에는 인입 광케이블의 광섬유와 편단 광코드의 끝단이 접속되어 있으며, 광섬유의 여장이 정리되어 있다.
편단 광코드의 타단은 케이스(10)에 마련된 인입부를 통해 케이스(10) 외부로 나와서 저장수단(20)의 출입구(26)를 통해 저장수단(20) 내부로 들어간다. 이와 같은 편단 광코드의 타단은 커넥터 패널부의 어댑터와 연결되기 위해 다른 출입구(2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편단 광코드의 여장은 저장수단(20) 내부에 타원형상으로 권취되어 저장된다. 상판부(24)는 걸림수단(30)에 의해 닫혀진 상태를 유지한다.
케이스(10)의 체결홈(11,13)과 저장수단(20)의 관통구멍(28)은 체결나사(36)에 의해 체결되어 일체로 결합된다. 저장수단(20)은 투명한 재질로 되어 저장수단(20) 내부에 여장 정리된 편단 광코드의 상태를 한 눈에 바라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광섬유 접속 및 점퍼여장 정리 트레이는 다수개가 적층되는데 각 케이스(10)에서 나온 편단 광코드가 각 케이스(10)마다 하나씩 마련된 저장수단(20)에 저장되므로 식별이 용이하다는 점을 쉽게 알 수 있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편단 광코드와 여장을 트레이 별로 관리하고 아울러 이러한 여장정리공간을 최소화하고 유지보수 시에 서로 간섭하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7)

  1. 인입 광케이블과 편단 광코드의 접속지점과 광섬유를 보호하고, 접속지점으로부터 커넥터 패널 사이에 여장의 편단 광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광섬유 접속 및 점퍼여장 정리 트레이에 있어서,
    그 내부에 인입 광섬유와 편단 광코드를 접속할 수 있도록 바닥판과 덮개로 구성된 케이스와;
    케이스에서 나온 편단 광코드의 여장을 정리할 수 있도록 케이스의 일측 바깥면에 얇은 수지재의 저장수단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저장수단은 플렉시블(flexible)하게 접힐 수 있는 얇은 수지재로 이루어진 밑면부와, 두께를 가지면서 접철부에서 플렉시블하게 접혀져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밑면부의 각 가장자리 면에 형성된 다수의 상판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및 점퍼여장 정리 트레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및 점퍼여장 정리 트레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의 밑면부와 상판부의 경계부 끝지점이 오목하게 절개되어 편단 광코드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및 점퍼여장 정리 트레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의 상판부들의 중첩되는 면에 걸림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및 점퍼여장 정리 트레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서로 중첩되는 상기 상판부의 일면을 절취한 삽입부와, 상기 다른 상판부의 일면을 절취하여 상기 삽입부에 걸림작용할 수 도록 형성된 돌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및 점퍼여장 정리 트레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일측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저장수단의 저장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저장간격 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 및 점퍼여장 정리 트레이.
KR1020000000245A 2000-01-05 2000-01-05 광섬유 접속 및 점퍼여장 정리 트레이 KR100816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0245A KR100816420B1 (ko) 2000-01-05 2000-01-05 광섬유 접속 및 점퍼여장 정리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0245A KR100816420B1 (ko) 2000-01-05 2000-01-05 광섬유 접속 및 점퍼여장 정리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8355A KR20010068355A (ko) 2001-07-23
KR100816420B1 true KR100816420B1 (ko) 2008-03-25

Family

ID=19636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0245A KR100816420B1 (ko) 2000-01-05 2000-01-05 광섬유 접속 및 점퍼여장 정리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642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7105A (ja) * 1990-08-09 1992-03-30 Fujitsu Ltd 光ケーブル余長処理構造
KR950019799A (ko) * 1993-12-22 1995-07-24 양승택 옥내용 광콘센트
JPH08240722A (ja) * 1995-03-01 1996-09-17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の接続余長収納トレーおよび接続端子函
JPH08240724A (ja) * 1995-03-03 1996-09-1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ァイバ余長収納ケース
KR20010054929A (ko) * 1999-12-08 2001-07-02 김진찬 광접속 셀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7105A (ja) * 1990-08-09 1992-03-30 Fujitsu Ltd 光ケーブル余長処理構造
KR950019799A (ko) * 1993-12-22 1995-07-24 양승택 옥내용 광콘센트
JPH08240722A (ja) * 1995-03-01 1996-09-17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の接続余長収納トレーおよび接続端子函
JPH08240724A (ja) * 1995-03-03 1996-09-1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ァイバ余長収納ケース
KR20010054929A (ko) * 1999-12-08 2001-07-02 김진찬 광접속 셀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8355A (ko) 200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7045A (en) Multi-media connection housing
US11774696B2 (en) Splitter module and enclosure for use therein
US6507691B1 (en) Fiber optic splice organizer with splicing tray and associated method
EP1377862B1 (en) Optical fibre organiser
US5024498A (en) Switch box for producing freely selectable optical plug connections
US6539160B2 (en) Optical fiber splicing and connecting assembly with coupler cassette
KR100488096B1 (ko) 광섬유 조직장치, 광섬유 조직장치를 형성하기 위한 키트 및 광섬유 조직방법
US5751882A (en) Optical fibre organizer
JP2904836B2 (ja) スプライストレイ
US6643443B2 (en) Cable storage cartridge
US20100054687A1 (en) Cable slack handling device
US6915057B2 (en) Cassette for coiling and holding splices between conductors, and an organizer for a plurality of said cassettes
US20050281526A1 (en) Multi-position fiber optic connector holder and method
EP0531628A1 (en) Device for dividing optical fibre cables and wires
JPH05503162A (ja) コネクタホルダ及び光ケーブル用の配線盤・コネクタホルダ組み合わせ装置
WO1991010927A1 (en) Optical fiber cable distribution frame and support
US6081644A (en) Cable sleeve with a holding apparatus for cartridges or cassettes for storing and splicing light waveguides
JP2013522661A (ja) 取り出し式ファイバー整理用トレーを備えた端子エンクロージャ
US20220137315A1 (en) Track device for a telecommunications product
NZ264582A (en) Stackable optical fibre tube breakout: fibre bundle division
KR100816420B1 (ko) 광섬유 접속 및 점퍼여장 정리 트레이
KR200396500Y1 (ko) 휴코아 분리 저장기능을 가지는 광섬유 보호 지지판.
JP4142819B2 (ja) 光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KR100760716B1 (ko) 지하용 광 중간 절체장치
JP2000002812A (ja) 余長収納ケースおよび光配線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