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6259B1 - Finishing material module - Google Patents

Finishing material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6259B1
KR100816259B1 KR1020070118584A KR20070118584A KR100816259B1 KR 100816259 B1 KR100816259 B1 KR 100816259B1 KR 1020070118584 A KR1020070118584 A KR 1020070118584A KR 20070118584 A KR20070118584 A KR 20070118584A KR 100816259 B1 KR100816259 B1 KR 100816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ishing
fastening
finish
finishing material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85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태식
공광태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에이앤스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에이앤스틸 filed Critical (주)에이치에이앤스틸
Priority to KR1020070118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625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6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62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metal or with an outer layer of metal or enameled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A finishing material module is provided to reduce the metal finishing material manufacturing time and cost without a process of using a backup material and silicon and to narrow a gap between metal finishing materials without combining holes. A finishing material module comprises finishing materials(120), and combining units(240). The finishing materials are made of metal. The combining units include a bonding part(242) fixing the finishing materials, a combining part(246) combined by combining members(230,232), a connecting part(244) connecting the bonding and combining parts, and projection parts(246a) extended from the coupling part to the object structure and formed with a space between the object and the combining part. The finishing materials are shaped like a plane. The bonding part, the combining part, and the connecting part are integrally formed. The connecting part is vertical to the bonding part and the combining part.

Description

마감재 모듈{Finishing Material Module}Finishing Material Module

본 발명은 금속 마감재 결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 마감재의 결합방법을 개선함으로써 금속 마감재의 구조를 보다 간단히 하여 마감재 모듈에 들어가는 마감재의 생산 비용을 절감시키고, 금속 마감재 시공후의 건물의 미관을 개선시킨 마감재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ination of metal finishes, and more particularly, by improving the method of joining metal finishes,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the metal finishes, thereby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of the finishing materials entering the finishing module, and improving the aesthetics of the building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metal finishes. An improved finish module.

일반적으로 건물의 시공시의 건물의 지지하는 외부의 구조물 및 내부의 구조물들은 철골구조 또는 콘크리트 구조 등으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건물의 미관을 위하여 상기 철골구조나 콘크리트 구조물에 마감재를 결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general, the external structures and internal structures that support the building at the time of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is made of steel or concrete structure. However, it is common to combine the finishing material to the steel structure or concrete structure for the aesthetics of the building.

일반적으로 건물의 마감재로 화강암 등의 석재가 많이 사용되었으나, 화강암 등의 석재 마감재를 사용하는 경우 기후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기 쉽고, 건물이 고층인 경우 파손된 부분의 보수가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금속 마감재의 경우 석재 마감재에 비해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어 상기 문제로 인한 보수 비용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최근 일정 지역의 독특한 외관의 건물이 그 지역의 랜드마크가 되고, 건물의 내, 외관이 건물에 입주되어 있는 기업 등의 이미지에도 영향을 미치는 등, 건물의 디자인이 건물 시공에 있 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 건물의 최첨단 이미지 구현을 위해 종전의 석재 등 전통적 소재에서 탈피하여 건물의 내, 외장재로 금속재료의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In general, a lot of stone such as granite is used as a finishing material of a building, but when using a stone finishing material such as granite, it is easy to be damaged by weather or external shock, and in case of a high-rise building, it is not easy to repair the damaged part. There was this. However, in the case of the metal finish has the advantage that the durability is superior to the stone finish has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maintenance cost caused by the problem. In addition, the design of the building is very important in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as the building with the unique appearance of a certain area has recently become a landmark of the area, and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building also affects the image of the company occupied in the building. It became a role. Accordingly, in order to realize cutting-edge images of buildings, the use of metal materials as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of buildings is increasing, breaking away from traditional materials such as ston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 금속 재질의 마감재를 사용한 건물 구조물의 일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1은 종래 금속 마감재를 건물 구조물에 고정하는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1 and 2, an example of a building structure using a conventional metal finish is as follows. 1 is a side view of an apparatus for fixing a conventional metal finish to a building structure, and FIG. 2 shows a plan view of FIG.

기존의 시공예는 금속 마감재(20)에 직접 체결홀을 구비하여 건물 구조물(10)에 직접 체결부재(30)로 결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Existing construction examples were generally provided with a fastening hole in the metal finish 20 to be directly coupled to the building structure 10 as a fastening member 30.

이로 인해 마감재 외부에 체결부재(30)가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벤딩(bending) 작업으로 일정 높이의 단차가 있는 이단 평판형태의 금속 마감재(20)를 사용하여 이단 평판의 하단면에 체결부재(30)연결을 위한 체결홀을 뚫고 상기 체결부재(30)로 건물 구조물(10)에 결합되는 형태로 시공하였다. This causes a problem that the fastening member 3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nish.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fastening hole for connecting the fastening member 30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wo-stage flat plate is formed by using a metal finishing material 20 having a two-stage flat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step by bending. 30) was constructed in the form of being coupled to the building structure (10).

이로 인해 인접하는 금속 마감재(20)의 단차에 의한 공간을 만들 수 있었고, 상기 공간을 백업재(40)로 채우고 실리콘(50)을 이용하여 밀폐하여 체결부재(3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This could create a space by the step of the adjacent metal finishing material 20, filling the space with the backing material 40 and sealed using the silicon 50 construction so that the fastening member 3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It was common to do.

하지만, 금속 마감재를 건물의 구조물에 접합한 종래의 방법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method of bonding the metal finish to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종래 마감재 고정 방식은 금속 마감재 자체를 체결부재로 건물 구조물에 접합시키기 때문에, 금속 마감재마다 체결부재 체결을 위한 체결홀을 뚫어야 하는 추가시공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함께, 각 마감재를 체결 방식에 의 해 구조물에 결합시킴으로 인해, 마감재 간의 간격(t1)이 넓어져 마감재로 인한 건물 내, 외부의 장식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First, since the conventional finishing material fixing method to join the metal finish itself to the building structure as a fastening memb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dditional construction that needs to drill a fastening hole for fastening the fastening member for each metal finish. In addition, by combining the respective finishing materials to the structure by the fastening method, the interval between the finishing materials (t1) was widene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decorative effect of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building due to the finishing material is lowered.

둘째, 상기 체결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 금속 마감재에 벤딩(bending) 작업을 추가적으로 하여야 하고, 이로 인한 금속 마감재 생산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 있었다. 또한, 마감재는 벤딩(bending) 작업으로 인해 평활도가 낮아져서 건물의 깨끗하고 반듯한 외관을 연출, 유지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도 존재하였다.Secondly, in order to make a space for preventing the fastening member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 bending work should be additionally performed on the metal finishing material,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production cost of the metal finishing material. In addition, the finishing material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roduce and maintain a clean and smooth appearance of the building because the smoothness is lowered due to the bending (bending).

셋째, 마감재 체결을 위한 체결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백업재를 상기 공간에 채우고 실리콘으로 밀폐하는 작업이 추가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에, 마감재 시공 작업이 복잡하고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Third, in order to prevent the fastening member for fastening the finishing material is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necessary to additionally fill the space with the backing material and seal it with silicon, so that the construction work of the finishing material is complicated and the time required for construction is increased. there was.

넷째, 실리콘으로 금속 마감재 사이를 채우는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실리콘의 변색과 부식 현상이 일어나서, 마감재가 시공된 건물의 외관이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Fourth, when filling the gap between the metal finishing material with silicon, the discoloration and corrosion of the silicon occurs over tim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appearance of the building is finished, the building is dirty.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 마감재 자체에 체결홀을 구비하지 않고 금속 마감재를 건물의 구조물에 접합시킬 수 있는 마감재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finish module that can join the metal finish to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without having a fastening hole in the metal finish itself.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벤딩(bending) 작업을 하지 않은 평판형 금속 마감재로 마감재 시공을 할 수 있어, 금속 마감재의 벤딩 작업으로 인한 비용을 절감하고, 평활도가 우수한 금속 마감재를 사용할 수 있는 마감재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finish with a flat metal finish without bending (bending), to reduce the cost due to the bending work of the metal finish, finish module that can use a metal finish with excellent smoothness It is to provi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금속 마감재 외부로 체결부가 노출되는 것을 막기 위한 백업재와 실리콘을 사용한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금속 마감재 설치 시공의 편의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킨 마감재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nishing module which can omit a process using a backing material and silicon to prevent the fastening portion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etallic finishing material,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and economy of installing the metallic finishing material.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리콘으로 금속 마감재 사이를 채우지 않고 접착에 의해 시공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라 실리콘의 변색과 부식 등으로 인하여 마감재로 인한 깨끗한 건물의 외관을 유지할 수 있는 마감재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nish module that can maintain the appearance of a clean building due to the finish due to discoloration and corrosion of the silicon over time by construction by bonding without filling between the metal finish with silicon. It is fo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감재들 간의 간격을 줄일 수 있어 마감재 시공후의 장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마감재 모듈이 제공된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nishing module for reducing the spacing between finishing materials to improve decorativeness after finishing the construc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마감재; 및
상기 마감재의 일측면에 금속 접착제로 접착되어 상기 마감재를 고정하는 접합부, 대상 구조물과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체결부 및 상기 접합부와 상기 체결부를 일정 폭만큼의 단차를 두고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 그리고, 상기 체결부로 부터 대상 구조물을 향하여 연장형성되어 상기 대상 구조물과 체결부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시키는 돌출부를 가지는 결합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마감재 모듈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 finish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A joint part bonded to one side of the finishing material by a metal adhesive to fix the finishing material, a fastening part coupled by a target structure and a fastening member, and a connecting part interconnecting the joining part and the fastening part by a predetermined width, and, It extends toward the target structure from the fastening portion provides a finish module comprising a coupling unit having a protrusion for forming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the target structure and the fastening portion.

한편,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접합부, 상기 체결부 및 상기 연결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합부 및 상기 체결부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coupling unit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joint, the fastening and the connection. And it is configured in a form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junction and the fastening.

특히 마감재와 상기 접합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마감재와 상기 접합부는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finish and the joint, the finish and the joint is preferably made of the same material.

그리고 상기 마감재는 평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또한 마감재의 디자인적 요소를 고려한 다양한 형태에 대하여 금속 접착제로 접착을 하기 위해 상기 접합부와 상기 마감재와 접합하는 면은, 상기 마감재의 일측면에 대응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inishing material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nd a surface joined to the joint part and the finishing material in order to bond with a metal adhesive to various shapes in consideration of design elements of the finishing material corresponds to one side of the finishing material. It may be composed of a shape.

그리고 본 발명의 마감재 모듈은 복수개의 마감재를 하나의 결합유닛으로 결합하기 위해 하나의 체결부에 연결된 마감재 수에 대응하는 수에 연결부와 접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nd the finishing material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and the joint in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finishing materials connected to one fastening unit to combine the plurality of finishing materials into one coupling uni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마감재 모듈에 상기 마감재의 일측면에 금속 접착제로 접착되며, 체결부재 체결을 위한 체결홀이 형성된 중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intermediate member bonded to one side of the finish member to the finish module described above with a metal adhesive, and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for fastening the fastening member.

이 경우, 결합유닛은 중간부재와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체결홀이 구비된 접합부, 대상 구조물과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체결부 및 상기 접합부와 상기 체결부를 일정 폭만큼의 단차를 두고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coupling unit is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a connection part having a fastening hole coupled by the intermediate member and the fastening member, a fastening part coupled by the target structure and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joint part and the fastening part with a predetermined width.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nection.

또한, 금속 접착제에 의한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중간부재는 상기 마감재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부재의 헤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adhesion by the metal adhesive, the intermediate member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nishing material, it is preferable that the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head portion of the fastening member is provided.

그리고 본 발명의 마감재 모듈은 복수 개의 마감재를 하나의 결합유닛으로 결합하기 위해 하나의 체결부에 연결된 마감재 수에 대응하는 수의 연결부와 접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결합유닛과 상기 마감재 수에 대응하는 수의 중간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로부터 대상 구조물을 향하여 연장형성되어 상기 대상 구조물과 체결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시키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nd the finishing material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upling unit and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finishing materials comprising a connection portion and a connection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finishing materials connected to one fastening unit in order to combine a plurality of finishing materials into one coupling unit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intermediate member.
In addition, extending from the fastening portion toward the target structure may further comprise a protrusion for forming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the target structure and the fastening portion.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감재 모듈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Finish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각 금속 마감재 자체에 건물 구조물에 체결을 위한 체결홀을 뚫지 않음으로써, 복수의 체결부재로 인한 인접하는 금속 마감재 사이의 간격을 좁힐 수 있어 마감재의 장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not fastening the fastening hole for fastening to the building structure in each metal finish itself, it is possible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adjacent metal finish due to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to improve the decorative properties of the finish There is this.

둘째, 벤딩(bending) 작업을 하지 않은 평판형 금속 마감재를 건물 구조물에 접합시킬 수 있어 금속 마감재의 벤딩 작업으로 인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벤딩 작업으로 인해 마감재의 평활도가 떨어지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결과적으로 건물 외관의 미려한 이미지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Second, it is possible to join the flat metal finish without bending, to the building structure, which can reduce the cost of bending the metal finish, and prevents the smoothness of the finish due to bending. As a result, there is an advantage of providing a beautiful image of the building exterior.

셋째, 금속 마감재 외부로 체결부가 노출되는 것을 막기 위한 백업재와 실리콘을 사용한 공정이 생략됨으로써, 금속 마감재 설치 시공에 있어 시공기간과 이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ird, by omitting the process using a backing material and silicon to prevent the fastening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etal finishing material,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reduce the construction period and the cost required to install the metal finishing material.

넷째, 본 발명은 건물 마감재 시공시 마감재들 사이의 공간에 실리콘을 채우지 않기 때문에, 실리콘의 변색과 부식 등으로 인해 건물의 외관이 손상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깨끗한 건물의 외관을 오랜 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ourth, sinc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fill the space between the finishing materials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materia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ppearance of the building damage due to discoloration and corrosion of the silicon, so that the appearance of a clean building for a long time There is a sustainable advantage.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is embodiment,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 내지 도 5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의 마감재 모듈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마감재 모듈 시공 후의 평면도, 도 5는 상기 도 4의 측면도이다.Referring to Figures 3 to 5, the finishing material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3 is a side view of the finisher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lan view after construction of the finisher module of FIG. 3, and FIG. 5 is a side view of the finisher module of FIG. 4.

본 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모듈(100)은, 크게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마감재(120)와 결합유닛(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nish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nish 120 and a coupling unit 140 made of a large metal material.

상기 마감재(120)의 외부면은 디자인상의 다양한 형태로 표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평판형상을 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finishing material 120 may be represented in various forms on the design,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llustrates a flat plate shape.

상기 결합유닛(140)은 상기 마감재(120)의 일측면에 금속 접착제로 접착되어 상기 마감재를 고정하는 접합부(142), 대상 구조물과 체결부재(130)에 의해 결합되는 체결부(146) 및 상기 접합부(142)와 상기 체결부(146)를 일정 폭만큼의 단차를 두고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1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합부(142), 체결부(146) 및 연결부(144)는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The coupling unit 140 is bonded to one side of the finishing material 120 by a metal adhesive, a bonding part 142 for fixing the finishing material, a fastening part 146 coupled by the target structure and the fastening member 130 and the The connection portion 142 and the fastening portion 146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144 for interconnecting with a predetermined width step. The junction part 142, the fastening part 146, and the connection part 144 may be integrally connected.

상기 접합부(142)는 상기 마감재(120) 하부와 일정한 면적에 걸쳐 금속 접착제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접합면적은 금속 마감재의 재질, 소재 및 무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The junction part 14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dhesive is bonded with a metal adhesive over a predetermined area and the lower portion 120. The bonding area may vary depending on the material, material, and weight of the metal finish.

여기서, 상기 금속 접착제는 금속과 금속을 접착 방식에 의해 상호 접합시키는 재료로서, 특히 동일한 재질의 금속간의 접착력이 우수한 특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접합부(142)의 접합면은 일부는 마감재(120)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metal adhesive is a material for bonding the metal and the metal to each other by an adhesive method, and in particular, has a property of excellent adhesion between metals of the same material. Therefore, a part of the joint surface of the joint part 142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nishing material 120.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합부(142)의 접합면과 마감재(120)는 알루미늄(Al)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nding surface and the finishing material 120 of the bonding portion 142 may be made of aluminum (Al).

본 발명은, 상기 마감재(120)를 상기 접합부(142)와 금속 접착제로 결합시키기 때문에, 종래 체결방식에 의해 마감재(120)를 결합시킬 때와 같이 체결홀 공간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접합부(142)에 결합되는 마감재(120)간의 거리를 최소화 하는 것이 외관상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재(120)가 상기 접합부(142)보다 인접하는 마감재(120) 측으로 더 돌출된 형태로 배치된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nishing material 120 is bonded to the joint portion 142 and the metal adhesive, a fastening hole space is unnecessary as when the finishing material 120 is coupled by a conventional fastening method. Therefore, it is desirable in appearance to minimize the distance between the finishing material 120 is coupled to the bonding portion 142.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the finish member 120 is arranged to protrude more toward the adjacent finish member 120 side than the junction portion 142.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유닛(140)은 상기 건물구조물(110)에 체결부 재(130)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체결부재(130)는 마감재(12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마감재 간의 간격(t2)는 적어도 상기 체결부재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coupling unit 140 is coupled to the building structure 110 by the fastening member 130 and because the fastening member 130 is inserted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finishing material 120, The spacing t2 between the finishes is configured to be at least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astening member.

본 실시예는, 이와 같이 마감재(120)들 사이의 간격을 체결부재 삽입을 위한 최소 거리로 유지하고 건물구조물(110)과 결합유닛(140)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재(130)는 상기 마감재(120)들 내부에 일정 높이를 두고 체결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별도의 백업재와 실리콘이 없더라도 외부에서 체결부재(130)가 보이지 않아 건물의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distance between the finishing materials 120 is maintained at the minimum distance for the fastening member insertion and the fastening member 130 for fastening the building structure 110 and the coupling unit 140 is the finishing material ( 120 is fastened to a predetermined height inside,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backing material and silicon as in the prior art,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can be beautiful because the fastening member 130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또한, 금속 재질의 마감재(120)의 경우 디자인상의 이유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접합부(142)의 상기 마감재(120)와 접합하는 면은 마감재(120)의 일측면에 대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metallic material 12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for design reasons, accordingly, the surface of the bonding portion 142 and the surface of the bonding member 120 corresponds to one side of the finishing material 120 It may be made in a shape.

상기 체결부(146)는 건축 구조물에 접합하는 형태로 구성되고, 본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부의 양 끝단에 건축 구조물에 접합하는 두 개의 돌출부(146a)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건물 구조물과의 사이에 일정 공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두 개의 돌출부(146a)와 체결부재(130)은 건물 내, 외부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한 진동을 흡수하여 마감재(120)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The fastening part 146 is configured to be bonded to the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include two protrusions (146a) for joining the building structure at both ends of the fastening portion, and between the building structure It is characterized by generating a predetermined space. The two protrusions 146a and the fastening member 130 absorb the vibration against the shock applied to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nd serve to alleviate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finishing material 120.

상기 연결부(144)는 상기 접합부(142)와 체결부(146)를 연결하는 기능을 하고, 다양한 형태로 상기 체결부(146)와 접합부(142)를 연결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상기 접합부(142) 끝단과 체결부(146)의 끝단에 배치되어 수직으 로 연결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연결부(144)의 높이는 마감재의 무게 및 디자인상의 효과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화가 가능하다. The connection part 144 functions to connect the joint part 142 and the fastening part 146, and may connect the fastening part 146 and the joint part 142 in various forms. It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junction portion 142 and the end of the fastening portion 146 to represent the vertical connection. The height of the connection portion 144 may be variously ch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weight of the finishing material and the effect on the design.

또한, 상기 결합유닛(140)은 복수 개의 연결부(144)와 접촉부(1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하나의 결합유닛(140)으로 복수개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마감재(120)를 건물 구조물(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unit 14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 144 and the contact portion 142, through which the coupling member 140, building the finishing material 120 made of a plurality of metal materials It may be fixed to the structure (110).

한편, 도 4는 본 실시예의 마감재 모듈에 의해 마감재(120)를 시공한 평면도를 나타낸다. 각 결합유닛(140)의 수는 마감재(120)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일측의 마감재(120)를 고정한 결합유닛(140)에 인접하는 결합유닛(150)은 반대편의 마감재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Figure 4 shows a plan view of the construction of the finish 120 by the finish modul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number of each coupling unit 140 may be arranged in parallel in plurality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finishing material (120). In this case, the coupling unit 150 adjacent to the coupling unit 140 fixing the finishing material 120 of one sid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of the opposite side.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고, 각 결합유닛(140,150)은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을 나타낸다. Figure 5 is a side view of Figure 4, each coupling unit 140, 150 shows that they are arranged symmetrically to each other.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s 6 and 7, the configuration of the finishing material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모듈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모듈과 유사한 구성을 가지나, 중간부재(250)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nish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imilar configuration to the finishing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but further includes an intermediate member 250.

구체적으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마감재(120), 상기 마감재(120)의 일측면에 금속 접착제로 접착되며, 제 1 체결부재(230) 체결을 위한 체결홀이 구비된 중간부재(250) 및 상기 중간부재(250)와 상기 마감재(120)를 건물 구조물에 고정하는 결합유닛(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intermediate member 250 made of a metal material, the intermediate member is bonded to one side of the finish member 120, the intermediate member 250 and the intermediate member provided with a fastening hole for fastening the first fastening member 23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upling unit 240 for fixing the 250 and the finishing material 120 to the building structure.

상기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마감재(120)의 외부면은 디자인상의 다양한 형태 로 표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평판형상을 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finishing material 12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may be represented in various forms on the design,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illustrates that the plate shape.

상기 중간부재(250)는 상기 마감재(120)의 하부와 일정한 면적에 걸쳐 금속 접착제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접합면적은 금속 마감재의 재질, 소재 및 무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intermediate member 25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bonded with a metal adhesive over a predetermined area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nishing material 120. The bonding area may vary depending on the material, material, and weight of the metal finish.

그리고, 상기 중간부재(250)는 금속 접착제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마감재(120)와 같은 재질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금속접착제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결합유닛(240)의 접합부(242)의 마감재와 접착하는 면을 마감재와 같은 재질로 하여 생산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마감재(120)와 중간부재(250)는 알루미늄(Al)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intermediate member 250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nishing material 120 to increase the adhesion of the metal adhesive. Accordingly, in order to increase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metal adhesiv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surface to be bonded to the finish of the bonding portion 242 of the coupling unit 240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nish.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nish member 120 and the intermediate member 250 is composed of aluminum (Al).

또한 상기 중간부재(250)에는 상기 결합유닛(240)의 접합부(242)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이 구비되고 제 1 체결부재(230)에 의해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부재(250)에는 제 1 체결부재(230)의 헤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상기 중간부재와 상기 마감재 사이의 접착면이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termediate member 250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hole for fastening with the joint part 242 of the coupling unit 240 and is fastened by the first fastening member 230. In addition, the intermediate member 25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head portion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230, so that the adhesive surface between the intermediate member and the finishing material does not protrude.

또한 상기 접합부(242)와 상기 중간부재(250)를 제 1체결부재(230)로 체결함으로써, 건물 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진동을 상기 제 1 체결부재(230)와 상기 중간부재(250)가 일부 흡수하여 마감재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화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In addition, by fastening the joint part 242 and the intermediate member 250 to the first fastening member 230, the first fastening member 230 and the intermediate member (vibration) due to the shock applied from inside and outside the building ( 250 is part absorbed to serve to mitigate th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finish.

상기 제 1 체결부재(230)는 마감재의 무게 및 재질에 따라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 은 한 쌍의 제 1 체결부재(230)가 형성된 마감재 모듈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The first fastening member 230 may be configured in plural numbers depending on the weight and the material of the finishing material. 7 illustrates a plan view of a finisher module in which a pair of first fastening members 230 are formed.

상기 결합유닛(240)은 상기 중간부재(250)와 제 1체결부재(230)에 의해 결합이 되는 접합부(142), 대상 구조물(110)과 제 2체결부재(232)에 의해 결합되는 체결부(246) 및 상기 접합부(242)와 상기 체결부(246)를 일정 폭만큼의 단차를 두고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2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coupling unit 240 is a coupling part coupled by the intermediate member 250 and the first fastening member 230, the coupling part 142, the target structure 110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232. 246 and the connection part 244 which connects the junction part 242 and the said fastening part 246 with a predetermined width | variety step | step.

상기 접합부(242)는 중간부재(250)와 제 1체결부재(232)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체결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접합부(242), 체결부(246) 및 연결부(244)는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The junction part 242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fastening hole that can be coupled by the intermediate member 250 and the first fastening member 232. The junction part 242, the fastening part 246, and the connection part 244 may be integrally connected.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중간부재(250)를 상기 마감재(120)와 금속 접착제로 결합시키기 때문에 종래 체결방식에 의해 마감재(120)를 결합시킬 때와 같이 체결홀 공간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중간부재(250)에 결합되는 마감재(120)간의 거리를 최소화 하는 것이 외관상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재(120)가 상기 중간부재(250) 및 접합부(242)보다 인접하는 마감재 측으로 더 돌출된 형태로 배치된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intermediate member 250 is coupled to the finish member 120 with a metal adhesive, a fastening hole as in the case of coupling the finish member 120 by a conventional fastening method. Space is not necessary. Therefore, it is preferable in appearance to minimize the distance between the finishing material 120 is coupled to the intermediate member 250.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6, the finish 120 is arranged to protrude more toward the adjacent finishing material than the intermediate member 250 and the bonding portion 242.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결합유닛(240)은 상기 건물구조물(110)에 제 2체결부재(233)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제 2 체결부재(232)는 마감재(12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마감재 간의 간격(t2)는 적어도 상기 체결부재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된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coupling unit 240 is coupled to the building structure 110 by the second fastening member 233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232 is inserted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finishing material 120. Therefore, the spacing t2 between the finishes is configured to be at least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astening member.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마감재(120)들 사이의 간격(t2)을 제2체결부재(232) 삽입을 위한 최소 거리로 유지하고 건물구조물(110)과 결합유닛(240)의 체결을 위한 제 2 체결부재(232)는 상기 마감재(110)들 내부에 일정 높이를 두고 체결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별도의 백업재와 실리콘이 없더라도 외부에서 제 2 체결부재(232)가 보이지 않아 건물의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다.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us maintaining the distance (t2) between the finishing materials 120 to the minimum distance for the second fastening member 232 insertion and for fastening the building structure 110 and the coupling unit 240 Since the second fastening member 232 is fastened to a predetermined height inside the finishing materials 110,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is not seen from the outside even though the second fastening member 232 is not seen from the outside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backing material and silicon as in the related art. This can be beautiful.

또한, 금속 재질의 마감재(120)의 경우 디자인상의 이유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중간부재(250)의 상기 마감재(120)와 접합하는 면은 마감재의 일측면에 대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metallic material 12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for design reasons, and thus the surface to be bonded to the finishing material 120 of the intermediate member 25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finishing material Can be done.

상기 체결부(246)는 건축 구조물에 접합하는 형태로 구성되고, 본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부의 양 끝단에 건축 구조물에 접합하는 한 쌍의 돌출부(246a)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건물 구조물(110)과의 사이에 일정 공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돌출부(246a)와 제 2 체결부재(232)는 건물 내, 외부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한 진동을 흡수하여 마감재(120)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The fastening part 246 is configured to be bonded to the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air of protrusions (246a) for joining the building structure at both ends of the fastening portion, the building structure 11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certain space is created between and. The pair of protrusions 246a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232 serve to alleviate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finishing material 120 by absorbing the vibration against the impact applied to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building.

상기 연결부(244)는 상기 접합부(242)와 체결부(246)를 연결하는 기능을 하고, 다양한 형태로 상기 체결부(246)와 접합부(242)를 연결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상기 접합부(242) 끝단과 체결부(246)의 끝단에 배치되어 수직으로 연결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연결부(244)의 높이는 마감재(120)의 무게 및 디자인상의 효과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화가 가능하다. The connection part 244 functions to connect the joint part 242 and the fastening part 246, and may connect the fastening part 246 and the joint part 242 in various forms. It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junction portion 242 and the end of the fastening portion 246 to indicate that the vertical connection. The height of the connection portion 244 can be variously ch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weight and design effects of the finishing material 120.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모듈의 구성 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referring to Figure 8 when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nishing modu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모듈은, 기본적으로 상술한 제 1 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마감재 모듈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하나의 결합유닛(340)으로 복수 개의 마감재(120)를 체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nish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asically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e finishing module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t is possible to fasten the plurality of finishing materials 120 to one coupling unit 340. It is characterized by.

구체적으로, 도 8은 제 2 실시예와 같은 구조이나, 하나의 결합유닛(340)으로 한 쌍의 마감재(120)를 체결하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Specifically, FIG. 8 shows the same structure as in the second embodiment, but fastening a pair of finishing materials 120 with one coupling unit 340.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실시예에서의 상기 중간부재(250), 접합부(242) 및 연결부(244)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이에 대응하여 한 쌍의 마감재(120)를 건물 구조물(110)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termediate member 250, the junction part 242, and the connection part 244 of the second embodiment are configured in a pair, and correspondingly a pair of finishing materials 120 to the building structure 110 Configured to engage.

따라서, 상기 마감재 모듈은 한 쌍의 금속 마감재(120), 한 쌍의 중간부재(352, 354) 및 결합유닛(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ccordingly, the finish module includes a pair of metal finishes 120, a pair of intermediate members 352 and 354, and a coupling unit 340.

상기 결합유닛(340)은 한 쌍의 접합부(341, 349), 한 쌍의 연결부 (343, 347)및 체결부(345)로 구성된다. 각 중간부재(352, 354), 접합부(341, 349), 연결부(343, 347) 및 체결부(345)의 결합형태는 상기 설명한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다. The coupling unit 340 is composed of a pair of joints 341 and 349, a pair of connection parts 343 and 347, and a fastening part 345. The coupling form of each of the intermediate members 352 and 354, the joint parts 341 and 349, the connection parts 343 and 347 and the fastening part 345 is the same as in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본 실시예는, 한 쌍의 마감재를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결합유닛의 접합부와 연결부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감재와 결합유닛 사이에 구비되는 중간부재도 이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이루어진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하지만, 제 1실시예의 구성과 유사하게 상기 중간부재가 생략되고, 상기 결합유닛의 접합부가 직접 마감재와 접착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present embodiment, in order to join the pair of finishing materials, the joining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coupling unit is made of a pair, the intermediate member provided between the finishing material and the coupling unit is also corresponding to the example of the form consisting of a pair Doing. However, similarly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the intermediate member is omitted, and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bonding portion of the coupling unit in the form of being directly bonded to the finish.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above technical scope.

도 1은 종래의 금속 마감재 시공예를 나타내는 측면도;1 is a sid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metal finish construction example.

도 2는 도 1의 평면도;2 is a plan view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모듈을 나타내는 측면도;3 is a side view showing a finisher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평면도;4 is a plan view of FIG. 3;

도 5는 도 4의 측면도;5 is a side view of FIG. 4;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모듈을 나타내는 측면도;6 is a side view showing a finisher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평면도;7 is a top view of FIG. 6;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마감재 모듈의 측면도.8 is a side view of the finishing material modu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건물 구조물 120: 금속 마감재110: building structure 120: metal finish

130: 체결부재 140: 결합유닛130: fastening member 140: coupling unit

142: 접합부 144: 연결부142: junction 144: connection

146: 체결부 250: 중간부재146: fastening portion 250: intermediate member

Claims (13)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마감재; 및A finish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상기 마감재의 일측면에 금속 접착제로 접착되어 상기 마감재를 고정하는 접합부, 대상 구조물과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체결부 및 상기 접합부와 상기 체결부를 일정 폭만큼의 단차를 두고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 그리고, 상기 체결부로 부터 대상 구조물을 향하여 연장형성되어 상기 대상 구조물과 체결부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시키는 돌출부를 가지는 결합유닛; A joint part bonded to one side of the finishing material by a metal adhesive to fix the finishing material, a fastening part coupled by a target structure and a fastening member, and a connecting part interconnecting the joining part and the fastening part by a predetermined width, and, A coupling unit extending from the fastening part toward the target structure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the target structure and the fastening part;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마감재 모듈.Finishing module is configured to includ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마감재는,The finish material, 평판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모듈.Finishing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flat pla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접합부, 상기 체결부 및 상기 연결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모듈.Finishing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nding portion, the fastening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integrally.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결합유닛의 연결부는,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coupling unit, 상기 접합부 및 상기 체결부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마감재 모듈.Finishing module that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junction and the fasten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마감재와 상기 접합부는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모듈.Finishing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nishing material and the junction portion made of the same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접합부는,The junction portion, 상기 마감재와 접합하는 면은, 상기 마감재의 일측면에 대응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모듈.The surface joining with the finishing material, the finishing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finishing material. 제1항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마감재는 복수 개로 구성되며;The finish consists of a plurality; 상기 접합부는 상기 복수 개의 마감재 각각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모듈.Finishing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joining por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inishing materials.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마감재;A finish made of a metal material; 상기 마감재의 일측면에 금속 접착제로 접착되며, 체결부재 체결을 위한 체결홀이 구비된 중간부재; 및An intermediate member bonded to one side of the finishing material by a metal adhesive and having a fastening hole for fastening the fastening member; And 상기 중간부재와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체결홀이 형성된 접합부, 대상 구조물과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체결부 및 상기 접합부와 상기 체결부를 일정 폭만큼의 단차를 두고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는 결합유닛; A coupling unit having a coupling part having a coupling hole coupled by the intermediate member and the coupling member, a coupling part coupled by a target structure and the coupling member, and a coupling part connecting the coupling part and the coupling part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width step;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마감재 모듈.Finishing module is configured to include.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마감재와 상기 중간부재는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모듈.Finishing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nishing material and the intermediate member made of the same material.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중간부재는,The intermediate member, 상기 체결부재의 헤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모듈.Finishing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head portion of the fastening member.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마감재는,The finish material, 평판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모듈.Finishing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flat plate. 제 8 항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마감재는 복수 개로 구성되며;The finish consists of a plurality; 상기 중간부재, 접합부 및 연결부는 상기 복수 개의 마감재 각각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모듈.Finishing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mediate member, the bonding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inishing materials.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체결부로부터 대상 구조물을 향하여 연장형성되어 상기 대상 구조물과 체결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시키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모듈.Finishing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fastening portion toward the target structure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the target structure and the fastening portion.
KR1020070118584A 2007-11-20 2007-11-20 Finishing material module KR1008162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584A KR100816259B1 (en) 2007-11-20 2007-11-20 Finishing material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584A KR100816259B1 (en) 2007-11-20 2007-11-20 Finishing material mod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6259B1 true KR100816259B1 (en) 2008-03-24

Family

ID=39411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8584A KR100816259B1 (en) 2007-11-20 2007-11-20 Finishing material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625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164B1 (en) 2008-03-07 2010-03-12 이봉재 Exterior wall surface structure of building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350A (en) * 1991-06-27 1993-01-14 Doukou Sangyo:Kk Wall structure for building
JPH06322935A (en) * 1993-05-16 1994-11-22 Toyo Shutter Kk Panel for external facing
JPH06341206A (en) * 1993-06-01 1994-12-13 Kubota Corp Composite panel
JPH07102734A (en) * 1993-10-06 1995-04-18 Mitsubishi Chem Corp External decoation panel
KR980009700A (en) * 1997-11-18 1998-04-30 최윤철 Manufacturing method and structure of building tile panel
JPH11200592A (en) 1998-01-19 1999-07-27 Mitsubishi Chemical Corp Fitting structure of exterior panel
KR20010029218A (en) * 1999-09-30 2001-04-06 김정하 Bracket to stick metal panel for inside and outside of building and method for construction with bracket
KR200280756Y1 (en) 2002-03-28 2002-07-13 (주)대경강건 Constructing stone exterior wall and constructing structure
KR20040016943A (en) * 2004-02-04 2004-02-25 홍성산업 주식회사 Brackets for fixing composite panels having bent face on the side with structures
KR200383195Y1 (en) 2005-02-02 2005-05-03 이용석 Joint Structure of Finish Member for Construction Structure
KR20060064432A (en) * 2004-12-08 2006-06-13 서효석 Lining structure, connection parts for the same, method of consolidating walls using the same
KR20070013690A (en) * 2005-07-27 2007-01-31 박용성 A glass panel assembly for building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350A (en) * 1991-06-27 1993-01-14 Doukou Sangyo:Kk Wall structure for building
JPH06322935A (en) * 1993-05-16 1994-11-22 Toyo Shutter Kk Panel for external facing
JPH06341206A (en) * 1993-06-01 1994-12-13 Kubota Corp Composite panel
JPH07102734A (en) * 1993-10-06 1995-04-18 Mitsubishi Chem Corp External decoation panel
KR980009700A (en) * 1997-11-18 1998-04-30 최윤철 Manufacturing method and structure of building tile panel
JPH11200592A (en) 1998-01-19 1999-07-27 Mitsubishi Chemical Corp Fitting structure of exterior panel
KR20010029218A (en) * 1999-09-30 2001-04-06 김정하 Bracket to stick metal panel for inside and outside of building and method for construction with bracket
KR200280756Y1 (en) 2002-03-28 2002-07-13 (주)대경강건 Constructing stone exterior wall and constructing structure
KR20040016943A (en) * 2004-02-04 2004-02-25 홍성산업 주식회사 Brackets for fixing composite panels having bent face on the side with structures
KR20060064432A (en) * 2004-12-08 2006-06-13 서효석 Lining structure, connection parts for the same, method of consolidating walls using the same
KR200383195Y1 (en) 2005-02-02 2005-05-03 이용석 Joint Structure of Finish Member for Construction Structure
KR20070013690A (en) * 2005-07-27 2007-01-31 박용성 A glass panel assembly for build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164B1 (en) 2008-03-07 2010-03-12 이봉재 Exterior wall surface structure of buil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1906B2 (en)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assembly and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method using same
KR101369998B1 (en) Composite PC Column for Connecting Steel Column
KR101325301B1 (en) Insulating panel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0816259B1 (en) Finishing material module
KR101039573B1 (en) Chassis structure for curtain wall
CN105040930A (en) Decorative wall protecting plate
KR101228269B1 (en) The assembly type panel for building
KR102437367B1 (en) Fixing device for interior materials for apartment houses
KR20100040420A (en) Establishment structure of building
KR100928722B1 (en) Carrying out method of outer wall insulation
JP5058743B2 (en) Concrete block construction
KR200421884Y1 (en) A Fastening Device of Building Outer Wall Ornamental
CN209053358U (en) A kind of mounting structure of elevator hall&#39;s metope slabstone
CN215290765U (en) Decorative structure of stone wall expansion joint
CN207974410U (en) Corner brace, which is fixed, receives side member and the prefabricated ceramic tile external corner including it
KR20220100139A (en) Carla Steel Plate Construction Building
KR200459774Y1 (en) Structure for connecting prefabricated panel use of construction
KR101271205B1 (en) All that can be used both sides of signboard frame System
CN205776940U (en) A kind of without Os Draconis light steel fastener direct hanging type Back-tied stone curtain wall
KR101213336B1 (en) Apparatus of stone plate or tiles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0295294Y1 (en) panel join structure for the ceiling
JP5053147B2 (en) Tunnel interior board
CN204728604U (en) Integral bathroom wallboard
CN212957357U (en) Fiber reinforced composite heat insulation and decoration integrated plate
KR101435603B1 (en)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 bracket for enhancing aseismic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