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6067B1 - Vacuum sealer equipped with vacuum release means using solenoid valve - Google Patents

Vacuum sealer equipped with vacuum release means using solenoid val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6067B1
KR100816067B1 KR1020060100766A KR20060100766A KR100816067B1 KR 100816067 B1 KR100816067 B1 KR 100816067B1 KR 1020060100766 A KR1020060100766 A KR 1020060100766A KR 20060100766 A KR20060100766 A KR 20060100766A KR 100816067 B1 KR100816067 B1 KR 100816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lower body
forming member
vacuum space
exhaus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07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88238A (en
Inventor
성이제
Original Assignee
(주)씨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에스이 filed Critical (주)씨에스이
Priority to KR1020060100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2825B1/en
Priority to AU2007212907A priority patent/AU2007212907A1/en
Priority to PCT/KR2007/000636 priority patent/WO2007091822A1/en
Publication of KR20070088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82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6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60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2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B31/024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specially adapted for wrapper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4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 B65B31/06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the nozzle being arranged for insertion into, and withdrawal from, the mouth of a filled container and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means for sealing the container mou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Vacuum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이 저장된 열접합성 진공포장백을 진공 배기 한 후 입구를 가열하여 접합 밀봉하는 진공포장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진공포장백 내부의 진공배기와 입구의 열접합 후 진공공간 내로 외기를 유입시켜 진공상태를 해제하는 진공해제수단을 솔레노이드밸브로 구성하여 자동화된 진공해제가 가능하고,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가 탈착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 한번 누르면 걸림돌기를 물고 다시 누르면 상기 걸림돌기를 풀게 되는 원터치타입의 잠금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고, 아울러 물품이 담긴 진공포장백을 받칠 수 있는 지지수단을 구비하고 있어 협소한 공간에서도 원활한 진공 포장작업이 가능하며, 나아가 소음기를 통하여 진공펌프에 의한 배기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진공포장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packaging machine for vacuum-sealing a heat-bonding vacuum packaging bag in which an article is stored, and then heating and sealing the inlet.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space after the thermal bonding between the vacuum exhaust and the inlet inside the vacuum packaging bag. A vacuum release means for releasing the vacuum state by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a solenoid valve enables automated vacuum release, and the vacuum space forming member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one-touch locking means to be released, and also with a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a vacuum bag containing the product, so that it is possible to smoothly vacuum work even in a small space, and furthermore, by a vacuum pump through a silencer A vacuum packaging machine is provided to reduce exhaust noise.

본 발명에 따른 진공해제수단을 구비한 진공포장기는 하부체; 상기 하부체에 대하여 선회가능한 형태로 축설된 상부체; 상기 하부체 또는 상기 상부체, 또는 이들 모두에 설치되어 진공포장백을 가열 접합하는 히터; 상기 하부체 또는 상기 상부체, 또는 이들 모두에 배열되어 진공 배기되는 진공포장백 입구를 외부와 차단하여 진공공간을 형성하는 진공공간 형성부재;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진공공간과 연통된 배기공과 도관을 통하여 연결된 진공펌프; 상기 진공공간에 배열된 상기 배기공과 상기 진공펌프를 연결하는 도관 상에 구비되어 있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하여 상기 진공공간으로 외기가 유입되도록 연통되어 있는 외기유입부를 포함하는 진공해제수단; 및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진공해제수단의 솔레노이드밸브가 상기 진공펌프와 상기 배기공을 연결하거나, 상기 외기유입부와 상기 배기공을 연결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Vacuum packaging device having a vacuum release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upper body arranged in a pivotable form with respect to the lower body; A heater installed at the lower body or the upper body, or both, to heat-bond the vacuum packaging bag; A vacuum space forming member which is arranged on the lower body or the upper body, or both, to block the inlet of the vacuum packaging bag which is evacuated from the outside to form a vacuum space; A vacuum pump connected through a conduit and an exhaus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vacuum space formed by the vacuum space forming member; A vacuum release means including a solenoid valve provided on a conduit connecting the exhaust hole and the vacuum pump arranged in the vacuum space, and an outside air inflow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ir into the vacuum space through the solenoid valve; And a controller for connecting the vacuum pump and the exhaust hole to the solenoid valve of the vacuum release means or connecting the outside air inlet and the exhaust hole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진공, 포장, 히터, 진공해제수단, 솔레노이드밸브, 잠금수단, 원터치, 지지수단, 포장백, 밀폐부재, 소음기 Vacuum, packaging, heater, vacuum release means, solenoid valve, locking means, one-touch, support means, packaging bag, sealing member, silencer

Description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 진공해제수단을 구비한 진공포장기{VACUUM SEALER EQUIPPED WITH VACUUM RELEASE MEANS USING SOLENOID VALVE}Vacuum packaging machine with vacuum release means using solenoid valves {VACUUM SEALER EQUIPPED WITH VACUUM RELEASE MEANS USING SOLENOID VALVE}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기에서 상부체와 하부체가 맞물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engaged in the vacuum packag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b 및 도 1c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기에서 상부체와 하부체가 벌어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1b and Figure 1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in the vacuum packag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기의 진공공간 형성부재를 도시한 정면도,Figure 1d is a front view showing a vacuum space forming member of the vacuum packag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e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기의 하부체 수용부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Figure 1e is a partial plan view showing the lower body receiving portion of the vacuum packag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원터치타입 잠금수단의 분해사시도,Figure 2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ne-touch type locking means,

도 2b는 도 2a와는 다른 형태의 원터치타입 잠금수단의 분해사시도,Figure 2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one-touch type locking means different from that of Figure 2a,

도 3a 및 도 3b는 서로 다른 형태의 저장물품 지지수단을 도시한 사시도,3a and 3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rage article support means of different forms,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기의 개략적인 지지체 내부 저면도,Figure 4a is a schematic bottom view inside the support of the vacuum packaging machin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4b는 도 4a와는 다른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기의 개략적인 지지체 내부 저면도,Figure 4b is a schematic internal bottom view of the support of the vacuum packaging machine according to the invention different from Figure 4a,

도 4c는 소음기의 사시도,4c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ffler,

도 4d는 도관을 위한 십자(十字)형 및 T자형 연결구의 사시도, 4d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oss and T-shaped connector for conduit,

도 4e는 진공해제수단을 이루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념도이다.4E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olenoid valve forming a vacuum release means.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V: 진공포장기 H: 선회축V: vacuum packaging machine H: pivot

B: 진공포장백 P: 저장물품B: Vacuum bag P: Stored goods

C,C': 진공채널 R: 진공공간 C, C ': vacuum channel R: vacuum space

10: 하부체 20: 상부체10: lower body 20: upper body

30: 히터 31: 가압부재 30: heater 31: pressure member

40: 진공펌프 50: 진공공간 형성부재40: vacuum pump 50: vacuum space forming member

51A: 배기공 51B: 끼움돌기51A: Exhaust hole 51B: Fitting

53A: 대응 고정부 53B: 착탈부53A: corresponding fixing part 53B: detachable part

55: 밀폐부재 56: 대응 밀폐부재55: sealing member 56: corresponding sealing member

60,160: 지지수단 61,63,161,163: 분체60,160: support means 61,63,161,163: powder

70: 원터치타입 잠금수단 70A: 잠금구70: one-touch type locking means 70A: lock

70B: 걸림돌기 71: 후크부재70B: Engaging protrusion 71: Hook member

72: 가이드레버 73: 스프링72: guide lever 73: spring

74: 케이스 74a: 록킹가이드레일74: case 74a: locking guide rail

74b: 언록킹가이드슬릿 74c: 스토핑홀74b: unlocking guide slit 74c: stopper hole

75: 외피부재 75a: 삽입장공75: shell member 75a: insertion hole

A: 아답터 F: 진공해제수단A: Adapter F: Vacuum release means

LC,LT: 연결구 S: 소음기LC, LT: End Connection S: Silencer

SV: 솔레노이드밸브 PS: 압력센서SV: Solenoid Valve PS: Pressure Sensor

본 발명은 물품이 저장된 열접합성 진공포장백을 진공 배기 한 후 입구를 가열하여 접합 밀봉하는 진공포장기에 관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packaging machine for sealing and sealing the inlet by vacuum exhausting the heat-bonding vacuum packaging bag in which the article is stored,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진공포장백 내부의 진공배기와 입구의 열접합 후 진공공간 내로 외기를 유입시켜 진공상태를 해제하는 진공해제수단을 솔레노이드밸브로 구성하여 자동화된 진공해제가 가능하고,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automated vacuum release by configuring a solenoid valve as a vacuum release means for releasing the vacuum state by introducing external air into the vacuum space after thermal bonding of the vacuum exhaust inside the vacuum bag and the inlet.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가 탈착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The vacuum space forming member is configured to be removable,

또 한번 누르면 걸림돌기를 물고 다시 누르면 상기 걸림돌기를 풀게 되는 원터치타입의 잠금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고, Pressing once more,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one-touch type locking means to release the locking projections by pressing the locking projections again,

아울러 물품이 담긴 진공포장백을 받칠 수 있는 지지수단을 구비하고 있어 협소한 공간에서도 원활한 진공 포장작업이 가능하며,In addition, it is equipped with a supporting means to support the vacuum packaging bag containing the goods, it is possible to smooth vacuum packaging work in a narrow space,

나아가 소음기를 통하여 진공펌프에 의한 배기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진공포장기에 관한 것이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packaging machine capable of reducing exhaust noise caused by a vacuum pump through a silencer.

식품이나 조리된 음식물과 같은 저장물품을 진공포장백에 담고 포장백을 진 공 포장하여 물품의 부패를 방지함으로써 유통기한을 늘이기 위한 진공포장기는 전문 음식점 또는 식품 판매점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Vacuum packing machines for storing food items such as foods or cooked foods in vacuum packaging bags to increase the shelf life by preventing the decay of the goods by vacuum packaging the packaging bags are widely used in specialty restaurants or food stores,

또 최근 핵가족화 추세와 대형 할인점에서 주말 단위로 쇼핑을 하여 냉장고에 일주일 단위 이상의 식료품을 저장한 후 소비하는 경향과 맞물려 가정용 소형 진공포장기가 각광받고 있다. In addition, with the recent trend of nuclear family and the trend of shopping at weekends in large discount stores and storing more than a week of food in the refrigerator, small vacuum packaging machines for home use are in the spotlight.

주로 히터와 진공펌프 등의 무거운 부품들이 배열된 하부체와 힌지결합되어 있는 상부체로 구성된 진공포장기에서 상기 하부체와 상기 상부체가 맞물릴 경우 밀폐부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진공공간 내에 위치한 진공포장백 내부의 진공배기와 입구의 열접합 이후 상기 진공포장백을 포장기에서 쉽게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진공공간으로 외기를 유입하기 위한 진공해제수단과 관련된 기술로는 In the vacuum packaging machine mainly composed of the upper body which is hinged and the lower body arranged the heavy parts such as the heater and the vacuum pump in the vacuum packaging bag located in the vacuum space formed by the sealing member when the lower body and the upper body is engaged. The technique related to the vacuum release means for introducing the outside air into the vacuum space in order to easily separate the vacuum packaging bag from the packaging machine after the thermal bonding of the vacuum exhaust and the inlet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특허등록 제0538520호(2005.12.16) 『진공해제수단을 구비한 진공포장기』와,Patent Registration No. 0558520 (2005.12.16)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 Vacuum Packing Machine with Vacuum Release Means '',

역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특허등록 제0500961호(2005.07.04) 『잠금기능과 진공해제작업의 동시수행이 가능한 진공포장기』가 있는데,Patent registration No.0500961 (2005.07.04)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vacuum packaging machine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the locking function and the vacuum release operation,

상기 등록특허에서 제시된 진공해제수단은 수동 방식의 진공포장기로 사용자 편리성과 관련하여서는 자동화를 통하여 개선할 여지가 있다.The vacuum release means proposed in the registered patent is a manual vacuum packaging machine can be improved through automation in terms of user convenience.

또 진공공간을 형성부재가 하부체에 배열되어 진공포장백에서 유출된 육즙 등의 액체가 상기 진공채널에 고일 경우 분리 세척이 반복되는 사용 상황을 고려하 여,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use situation in which the vacuum space forming member is arranged in the lower body, and the separation and washing is repeated when the liquid such as the juice leaked from the vacuum packaging bag is accumulated in the vacuum channel.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특허공개 제2005-0107107호(2005.11.11) 『부분 개방형 진공채널을 갖는 진공포장기』의 공보 도 4와 관련하여 기재된 탈착형 진공공간 형성부재가 제시된 바 있다.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5-0107107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v. 11, 2005) Publication of a vacuum packaging machine having a partially open vacuum channel The removable vacuum space forming member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Figure 4 has been presented.

그러나 특허공개 제2005-0107107호를 비롯한 종래 진공포장기의 분리형 진공공간 형성부재는 탈착에 있어 딱히 방향성을 갖는 것이 아닌데,However, the separate vacuum space forming member of the conventional vacuum packaging machine, including Patent Publication No. 2005-0107107, does not have directionality in detachment.

이로 인하여 진공포장백의 진공 과정에서 흘러나온 육즙 등의 액체나 이물질이 채널에 누적될 경우 세척을 위하여 진공공간 형성부재의 탈부착을 반복할 수밖에 없고,Because of this, if the liquid or foreign matter such as the juice flowing out of the vacuum packaging bag accumulates in the channel, the vacuum space forming member has to be repeatedly attached and detached for cleaning.

이에 따라 결합부위에 유격이 발생하여 진공펌프와 연결된 배기통로 상에 누설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없어 As a result, there is an inevitable occurrence of leakage on the exhaust passage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due to play in the coupling part.

결국 제품의 내구성 저하로 귀결될 수밖에 없었다.As a result,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was bound to fall.

참고로 종래 공지된 진공포장기에서 진공공간 형성부재가 "양측 임의 탈착형" 이라고 할때, 본 발명에 따른 "일측 탈착형" 진공공간 형성부재라 할 수 있다.For reference, when the vacuum space forming member in the conventionally known vacuum packaging machine is "both side detachable", it can be referred to as "one side detachable" vacuum space form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나아가 진공포장기에서 포장백의 진공 봉합시 통상 루프형 밀패부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진공공간을 사용자가 가압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하부체와 상부체가 확고하게 맞물려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로는 Furthermore, when the vacuum bag is sealed in the vacuum packaging machine, a technique for allowing the lower body and the upper body to firmly engage the vacuum space formed by the loop-type sealing member without the user pressing the vacuum space.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상기 특허등록 제0500961호와,The above patent registration No.0500961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안준영의 실용신안등록 제0405381호(2006.01.02) 『가열 및 진공 포장기』가 있는데,Utility model registration of Ahn Jun-young No.0405381 (2006.01.02) 『Heating and vacuum packaging machine』

이들 모두는 후크형 걸림수단을 통하여 하부체와 상부체의 맞물림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나, All of these are to maintain the engaging state of the lower body and the upper body through the hook-type locking means,

후크가 걸린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하부체 측면에 있는 버튼을 눌러야 한다.To release the hook, press the button on the side of the lower body.

그러므로 진공포장기 사용 초기에는 후크와 걸쇠가 뻑뻑하여 특히 여성 사용자의 경우에는 사용이 어려운 점이 있으며, 장기간 사용 후에는 후크와 걸쇠의 마모 또는 파손의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Therefore, the hook and the clasp is stiff in the early stage of the use of the vacuum packaging machine is difficult to use, especially for female users, there is a risk that the problem of wear or breakage of the hook and clasp after long-term use.

아울러 종래 진공포장기는 주로 식탁이나 부엌 싱크대 위에 놓고 사용하는데 위치 장소가 협소할 경우 진공포장백에 담긴 물품을 지지할 수 없어 진공포장 작업이 원활하지 못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vacuum packaging machine is mainly placed on the kitchen table or the kitchen sink, but when the location is narrow,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support the items contained in the vacuum packaging bag may not be smooth vacuum packaging.

이에 본 발명은 진공포장백 내부의 진공배기와 입구의 열접합 후 진공공간 내로 외기를 유입시켜 진공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하여 구성한 진공해제수단을 구비한 진공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packaging machine having a vacuum release means configured by using a solenoid valve to release the vacuum state by introducing the outside air into the vacuum space after the thermal bonding of the vacuum exhaust and the inlet inside the vacuum packaging bag. do.

또 본 발명은 저장될 물품이 내장된 포장백의 입구가 위치하는 진공공간을 형성하는 진공채널이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져서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하되 진공공간 형성부재를 위하여 하부체 및/또는 상부체에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진공 공간 형성부재의 탈부착 방식이 상호 암수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부와 착탈부로 이루어져서 부착시에는 상기 각 고정부를 먼저 결합시키고 분리시에는 상기 각 착탈부를 먼저 떼어내는 방식의 "일측 탈착형" 진공공간 형성부재를 구현하여 오랜 사용에도 진공펌프로 이어진 배기통로 상에 누설문제가 없는 진공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vacuum channel for forming a vacuum space in which the inlet of the packaging bag to be stored is formed as a separate member to implement a detachable form, but in the lower body and / or the upper body for the vacuum space forming member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detachable method of the vacuum space forming member are formed by a pair of fixing portions and detachable portions which are male and femal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each of the fixing portions is first coupled when attached, and each detachable portion is detached first when detach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cuum packaging machine without a leakage problem on the exhaust passage leading to the vacuum pump even after long use by implementing a detachable type vacuum space forming member.

나아가 원터치타입의 잠금수단을 도입하여 한번 누르면 걸림돌기를 물고 다시 누르면 상기 걸림돌기를 풀게 되어 상부체와 하부체의 맞물림으로 밀폐부재에 의하여 외부와 차단되어 형성되는 진공공간의 형성과 해제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진공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more, by adopting the one-touch type locking means, press once to catch the locking projection and press again to release the locking projection so that the formation and release of the vacuum space formed by the sealing member is cut off from the outside by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packaging machine.

아울러 본 발명은 상부체와 힌지결합되어 있는 하부체의 전방에 물품을 위한 지지수단을 도입한 진공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packaging machine incorporating a support means for the article in front of the lower body hinged to the upper body,

이에 덧붙여 본 발명은 소음기를 도입하여 진공펌프 작동에 의한 배기로 인하여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진공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packaging machine that introduces a silencer and prevents noise from being generated due to exhaust by the vacuum pump opera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해제수단을 구비한 진공포장기는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vacuum packaging machine having a vacuum release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하부체;Lower body;

상기 하부체에 대하여 선회가능한 형태로 축설된 상부체;An upper body arranged in a pivotable form with respect to the lower body;

상기 하부체 또는 상기 상부체, 또는 이들 모두에 설치되어 진공포장백을 가열 접합하는 히터;A heater installed at the lower body or the upper body, or both, to heat-bond the vacuum packaging bag;

상기 하부체 또는 상기 상부체, 또는 이들 모두에 배열되어 진공 배기되는 진공포장백 입구를 외부와 차단하여 진공공간을 형성하는 진공공간 형성부재;A vacuum space forming member which is arranged on the lower body or the upper body, or both, to block the inlet of the vacuum packaging bag which is evacuated from the outside to form a vacuum space;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진공공간과 연통된 배기공과 도관을 통하여 연결된 진공펌프;A vacuum pump connected through a conduit and an exhaus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vacuum space formed by the vacuum space forming member;

상기 진공공간에 배열된 상기 배기공과 상기 진공펌프를 연결하는 도관 상에 구비되어 있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하여 상기 진공공간으로 외기가 유입되도록 연통되어 있는 외기유입부를 포함하는 진공해제수단; 및A vacuum release means including a solenoid valve provided on a conduit connecting the exhaust hole and the vacuum pump arranged in the vacuum space, and an outside air inflow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ir into the vacuum space through the solenoid valve; And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진공해제수단의 솔레노이드밸브가 상기 진공펌프와 상기 배기공을 연결하거나, 상기 외기유입부와 상기 배기공을 연결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olenoid valve of the vacuum release means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necting the vacuum pump and the exhaust hole in accordance with an input signal, or to connect the outside air inlet and the exhaust ho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each of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particular, the tens and ones digits, or the tens, ones and alphabets, refer to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 and unless otherwise specified, each reference is referred to.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consider the member which conforms to these standards.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기(V)를 설명함에 있어 방향 기준을 도 1a 및 도 1b 를 참고하여 특정하면,In describing the vacuum packaging machine (V)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direction reference is specified with reference to FIGS. 1A and 1B,

중력방향을 따라 사용시 하부에 위치하고 주로 히터(30)와 펌프(40)(도 4a 참조) 등의 주요부품이 배열되어 있는 부재(10) 쪽을 하부로 정하고, 그 부재를 '하부체'로 지칭하였으며, When used along the direction of gravity, the lower side of the member 10, which is located at the lower side and mainly arranged the main parts such as the heater 30 and the pump 40 (see FIG. 4A), is designated as the lower side, and the member is referred to as the 'lower body'. And

그 반대쪽을 상부로 정하고 상기 하부체(10)와 선회축(H)을 통하여 축설된 부재를 '상부체'(20)로 지칭한다.The other side is defined as the upper side, and the member formed through the lower body 10 and the pivot axis (H) is referred to as the 'upper body' (20).

또 상기 하부체(10)와 상기 상부체(20)의 선회축(H) 쪽을 후방으로 정하며, In addition, the pivot shaft (H) side of the lower body 10 and the upper body 20 is set to the rear,

상기 선회축(H) 반대편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체와 상기 하부체가 맞물릴 경우 진공공간(R)을 형성하게 되는 상하 진공채널(C')(C) 쪽을 전방으로 정한다.The upper and lower vacuum channels (C ') (C) which ar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ivot shaft (H) to form the vacuum space (R) when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are engaged are determined to the front.

먼저, 도 1a, 도 1b 및 도 1c에서,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기(V)는 진공펌프 등의 주요 부품이 내장되어 있는 하부체(10)와, 상기 하부체(10)와 길이방향으로 선회축(H)을 통하여 결합되어 있고 상기 하부체(1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가벼운 상부체(20)를 포함한다.First, in Figure 1a, Figure 1b and Figure 1c, the vacuum packaging machine (V)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lower body 10, the main parts such as a vacuum pump is built in, and the lower body 10 and pivo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upper body 20 coupled to the shaft H and relatively lighter than the lower body 10 is included.

도시된 본 발명의 진공포장기와 공지된 진공포장기는 상기 하부체(10)의 후방 장(長)방향을 축으로 상기 상부체(20)가 선회되는 형태이지만,The vacuum packag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known vacuum packaging machine is shown in the form of the upper body 20 is pivoted about the rea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body 10,

경우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특허등록 제0582176호(2006.05.15) 『측부 힌지를 구비한 진공포장기 및 이를 이용한진공포장백의 다중 밀봉방법』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체의 측면 단(短)방향을 축으로 상기 상부체가 선회되는 형태일 수 있으며,In some cases, as described in the Patent Registration No. 0582176 (2006.05.15)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vacuum packaging machine having a side hinge and a multiple sealing method of the vacuum packaging bag using the same '', the side end of the lower body ( Iii) the upper body is pivoted about the direction,

본 발명은 이러한 상부체와 하부체의 선회축 축 배열 위치에 상관없이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rrespective of the pivot axis arrangement position of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다음으로 도 1b 및 도 3a에서와 같이, 저장물품(P)이 담긴 진공포장백(B)의 입구를 가열 접합하는 히터(30)는 상기 하부체(10)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진공포장백 입구 부위가 상기 히터(30)와 보다 확실하게 접촉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히터(30)와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상부체(20)의 해당 위치에는 가압부재(31)가 배열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히터와 가압부재의 배열위치는 상호 뒤바뀔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S. 1B and 3A, a heater 30 for heating and joining the inlet of the vacuum packaging bag B containing the storage article P is arranged in the lower body 10, and the vacuum packaging bag The pressing member 31 may be arrang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upper body 20 so that the inlet portion may be engaged with the heater 30 so as to more reliably contact the heater 30. If necessary, the arrangement positions of the heater and the pressing member may be reversed.

이어서 상기 하부체(10) 및 상기 상부체(20)가 선회축(H)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맞물릴 경우 진공화되는 진공포장백(B) 입구를 외부와 차단하여 진공공간(R)을 형성하는 진공채널(C)(C')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Subsequently, when the lower body 10 and the upper body 20 rotate about the pivot axis H and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 vacuum space R is formed by blocking an inlet of the vacuum packaging bag B, which is evacuated, from the outside. The vacuum channel (C) (C ') is preferably provided,

도면에서 상기 하부체(10) 및 상기 상부체(20)에 배열된 진공채널(C)(C')는 모두 연속된 고리(loop)형 밀폐부재(55)(56)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는데, 상기 밀폐부재는 각각 장착홈(미(未)도시됨)에 배열되어 있다.In the drawing, the vacuum channels C and C 'arranged in the lower body 10 and the upper body 20 are all surrounded by a continuous loop-type sealing member 55 and 56, which The sealing members are arranged in mounting grooves (not shown), respectively.

경우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특허등록 제0464661호(2004.12.22) 『직선형의 밀봉부재가 구비된 진공포장기』에서와 같이, 직선형의 밀폐부재의 채용이 가능하다.In some cases, it is possible to employ a linear sealing member, as in Patent Registration No. 0464661 (2004.12.22) "Vacuum Packing Machine with a Linear Sealing Member"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1b, 도 1c, 도 1d 및 도 1e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체(10)의 수용부(11)에는 본 발명의 진공포장기(V)에서 핵심을 이루는 "일측 탈착형" 진공공간(R) 형성부재(50)가 구비되어 있으며,1b, 1c, 1d, and 1e, the receiving part 11 of the lower body 10 has a "one side detachable" vacuum space (R) as a core in the vacuum packaging machine (V) of the present invention. ) Forming member 50 is provided,

상기 상부체(20)의 진공채널(C')에 비하여 상기 하부체(10)에 구비된 진공채널(C)은 경사부(C1)가 형성되어 있으며,An inclined portion C1 is formed in the vacuum channel C provided in the lower body 10 as compared to the vacuum channel C ′ of the upper body 20.

(상기 상부 및 하부 진공채널이 모두 구비되는 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It is not necessary that both the upper and lower vacuum channels are provided.)

특히 상기 경사부(C1)(도 1d 참조)의 형성방향은 진공펌프(40)와 연결되어 상기 진공공간(R)에 진공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며In particular,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clined portion C1 (see FIG. 1D) is formed is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40 so as to generate a vacuum pressure in the vacuum space R.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의 어느 한쪽(도면에서는 좌측)에 치우친 위치에 배열된 배기공(51A) 쪽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차츰 경사지는 형태여서 가능한 펌프(40) 쪽으로 육즙 등의 액체나 이물질이 흡입되지 않으면서 액체나 이물질이 고이도록 되어 있다.It is inclined gradually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exhaust hole 51A arranged at a position biased to one of the vacuum space forming members (left in the drawing), so that liquid or foreign matter such as juice is not sucked toward the pump 40 as much as possible. Liquids or foreign substances are to be accumulated.

또 도 1c 및 도 1d에서, 상기 배기공(51A)은 실질적으로 돌출된 노즐(51a)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노즐(51a)은 절개부(51b)를 가져 혹시 진공포장백(B)에 의하여 노즐(51a)의 상면이 막히는 사태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In addition, in FIGS. 1C and 1D, the exhaust hole 51A is formed in the nozzle 51a which protrudes substantially, and the nozzle 51a has a cutout portion 51b so that the nozzle ( 51a) is to prevent the top of the blockage

상기 노즐(51a) 우측에는 격벽(51p)이 형성되어 있어 다시 한번 액체나 이물질이 배기공(51A)으로 넘어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1c의 상부 원내(圓內) 확대 상태 참조).A partition wall 51p is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nozzle 51a so as to prevent liquid or foreign matter from flowing over into the exhaust hole 51A once again and preventing it from entering (in the upper circle enlarged state of FIG. 1C). Reference).

또 도 1c, 도 1d 및 도 1e에서,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50)를 위하여 상기 하부체(10)에 형성된 수용부(11)에는 환턱부(11a)에 의하여 둘러싸인 중개공(仲介 孔)(11A)이 형성되어 있고,1C, 1D, and 1E, the receiving portion 11 formed in the lower body 10 for the vacuum space forming member 50 is surrounded by an intermediate hole 11a (intermediate hole) ( 11A) is formed,

상기 형성부재(50)의 배기공(51A) 하면에는 약간 돌출된 삽입부(51c)가 밀폐링(51d)에 둘러싸여 있는데(도 1d의 하부, 역전(逆轉)시킨 하부 원내(圓內) 확도 상태 참조),On the lower surface of the exhaust hole 51A of the forming member 50, a slightly protruding insert 51c is surrounded by the sealing ring 51d (lower in Fig. 1d, inverted lower cylinder accuracy). Status),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50)를 상기 수용부(11)에 결합하였을 때,When the vacuum space forming member 50 is coupled to the receiving portion 11,

상기 삽입부(51c)는 상기 중개공(11A)에 삽입되고, 상기 밀폐링(51d)은 상기 환턱부(11a)의 얹혀져 밀착되는 형태이므로(도 1c의 상부 원내(圓內) 확대 상태 참조)Since the insertion portion 51c is inserted into the intermediate hole 11A, and the sealing ring 51d is mounted on and closely adhered to the circular jaw portion 11a (see an enlarged state in the upper circle of FIG. 1C).

결국 상기 배기공(51A) 부분이 상기 중개공(11A)에 밀착되 연통되게 되므로 공기 누설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As a result, since the exhaust hole 51A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termediate hole 11A, air leakage can be reliably prevented.

그러나 당업자에 의하여 도시된 진공공간 형성부재(50)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데,However, the vacuum space forming member 50 show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be variously modified.

예를 들어 상기 진공펌프(40)와 연결된 배기공은 상부체의 진공채널(C')에 배열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액체나 이물질이 펌프(40)쪽으로 유입될 위험은 그만큼 감소될 수 있으며,For example, the exhaust hole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40 may be arranged in the vacuum channel (C ') of the upper body, at this time, the risk that liquid or foreign matter flows into the pump 40 can be reduced by that,

이러한 경우 진공공간 형성부재는 단순히 진공포장백(B)의 저장물품(P)에서 유출되는 액체나 이물질이 고이는 역할만을 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vacuum space forming member simply serves to accumulate the liquid or foreign matter leaking out of the storage article (P) of the vacuum packaging bag (B).

한편, 상기 배기공(51A)을 이루는 노즐(51a)은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특허등록 제0549682호(2006.01.31) 『범용 진공 보조 커넥터』에서 제시된 커넥터를 이용하여 외부 진공보관용기의 진공배기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On the other hand, the nozzle 51a constituting the exhaust hole 51A is a vacuum exhaust of the external vacuum storage container by using the connector presented in Patent Registration No. 0549682 (Universal Vacuum Auxiliary Connector)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이때 상기 상부체(20)의 가압돌기(21)에 의하여 가압되어 At this time is pressed by the pressing protrusion 21 of the upper body 20

제어부를 이루는 내장된 인쇄회로기판(CB)(도 4a 참조)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한 [펌프(40) 작동 - 히터(30) 작동 - 진공해제수단을 이루는 솔레노이드밸브(SV)의 작동]으로 이어지는 [Operation of pump 40-operation of heater 30-operation of solenoid valve (SV) forming vacuum release means] by control of the microprocessor of the embedded printed circuit board (CB) (see FIG. 4A) constituting the control unit. Leading up

일련의 진공포장기(V) 자동 작동의 시발점이 되는 작동 버튼(40A)(40B) 중Of the operation buttons 40A and 40B that are the starting point for a series of vacuum packer (V) automatic operations

우측 작동버튼(40A)을 오른손으로 누르고 미리 상기 노즐(51a)에는 커넥터의 일단을 연결하고 커넥터의 타단은 진공보관용기를 연결할 경우 When pressing the right operation button 40A with the right hand and connecting one end of the connector to the nozzle 51a in advance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or to connect the vacuum storage container

외부 용기에 대한 진공 배기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Vacuum evacuation of the outer container can be performed.

다음으로 도 1b 내지 도 1e에서, 일측 탈착형 진공공간 형성부재(50)에서 가장 중요한 고정부(53A)와 착탈부(53B)를 개념을 설명하면,Next, in FIGS. 1B to 1E, the concept of the fixing part 53A and the detachable part 53B,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elements in the one side detachable vacuum space forming member 50, will be described.

상기 형성부재의 고정부와 착탈부의 개념은 상기 하부체(10)의 수용부(11)에 형성된 일측(一側)(도면에서는 좌측) 고정부(13A) 및 타측(他側)(도면에서는 우측) 착탈부(13B)에 대응되는 구성요소이며,The concept of the fixing portion and the detachable portion of the forming member is one side (left side in the drawing) fixed portion 13A and the other side (right side in the drawing) formed in the receiving portion 11 of the lower body 10 ) Is a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detachable part 13B,

각 고정부(13A)(53A)가 좌측에 형성된 것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Each fixing part 13A, 53A is formed on the left side as mentioned above

상기 진공공간(R) 형성부재(50)가 하부체(10)에 배열되어 진공포장백(B)에서 유출된 육즙 등의 액체나 이물질이 상기 진공채널(C)에 고일 경우 분리하여 세척한 다음 다시 장착하는 과정이 반복되는 사용 상황을 고려할 때If the vacuum space (R) forming member 50 is arranged in the lower body 10 and the liquid or foreign matter such as juice leaked out of the vacuum packaging bag (B) is accumulated in the vacuum channel (C) and then washed separately Given the use situation where the remounting process is repeated

우측의 착탈부의 조작에 의해서만 분리가 되는 방식을 통하여 진공공간에 진 공압력을 발생시키는 진공펌프와의 연결과 분리,Connection and separation with the vacuum pump which generates vacuum pressure in the vacuum space by the separation method only by the operation of the detachable part on the right side,

보다 구체적으로는 진공펌프(40)와 도관을 통하여 이어지고 상기 수용부(11)에 배열된 중개공(仲介孔)(11A)과 연결과 분리가More specifically, the connection and separation with the intermediate hole 11A which is connected through the vacuum pump 40 and the conduit and arranged in the receiving portion 11 is performed.

반복되어야 하는 상기 진공패널 형성부재(50)의 배기공(51A) 부분, 특히 삽입부(51c)에서 밀착성을 확실히 보장하여야 할 것인데The adhesiveness must be surely ensured in the exhaust hole 51A portion of the vacuum panel forming member 50, in particular the insertion portion 51c, which must be repeated.

상기 배기공(51A)과 상기 중개공(11A)이 좌측에 치우쳐 있으므로 상기 고정부(13A)(53A) 역시 좌측에 치우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exhaust hole 51A and the intermediate hole 11A are biased on the left side, the fixing parts 13A and 53A are also biased on the left side.

상기 하부체 수용부(11)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부(13A)와 착탈부(13B)의 형상과 구조는 거의 동일하고,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fixing portion 13A and the detachable portion 13B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body accommodating portion 11 are almost the same,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50)의 대응 고정부(53A)와 대응 착탈부(53B)의 형상과 구조가 동일한데,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corresponding fixing part 53A and the corresponding detachable part 53B of the vacuum space forming member 50 are the same,

이는 제조의 편리성을 위한 것으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This is for convenience of manufacture and is not essential.

먼저 상기 진공패널 형성부재(50)의 대응 고정부(53A)와 대응 착탈부(53B)는 각각, 도 1c 및 도 1d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First, the corresponding fixing part 53A and the corresponding detachable part 53B of the vacuum panel forming member 50 can be seen in FIGS. 1C and 1D, respectively.

상기 형성부재(50)의 양측 하부에 배열되어 소재 특성, 특히 합성수지 소재 특성에 의하여 탄성을 부여하는 연결부(53a')(53b'),Connection parts (53a ') (53b')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ide of the forming member 50 to give elasticity by material properties, in particular synthetic resin material properties,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50)가 상기 수용부(11)에 장착된 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53a)(53b), 그리고Hanging jaw (53a) (53b) for preventing the vacuum space forming member 50 is separated after being mounted to the receiving portion 11, and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착탈부 각각이 상기 연결부(53a')(53b')를 기점으로 좌 우측으로 움직이는데 활용되며 각각 좌측과 우측으로 절곡 형성된 파지부(53a")(53b")로 이루어져 있다.Each of the fixing part and the detachable part is used to move left and right from the connecting parts 53a 'and 53b', and is composed of grip parts 53a "and 53b" bent to th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다음으로 상기 하부체(10) 수용부(11)의 고정부(13A)와 착탈부(13B)는 각각, 도 1c 및 도 1e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Next, the fixing portion 13A and the detachable portion 13B of the lower body 10 accommodating portion 11 are as shown in FIGS. 1C and 1E, respectively.

상부로 트인 면적이 넓어 상기 대응부(53A)(53B)의 걸림턱(53a)(53b)이 상부로 이탈될 수 있는 진입부(13a)(13b)와,Entry portions 13a and 13b having a large open area to which the catching jaws 53a and 53b of the corresponding portions 53A and 53B can be separated to the upper portion,

상부로 트인 면적이 좁아 상기 대응부(53A)(53B)의 걸림턱(53a)(53b)이 상부로 이탈될 수 없고 파지부(53a")(53b")만이 통과하여 돌출될 수 있는 걸림부(13a')(13b')로 이루어져 있으며,The locking portion 53a, 53b of the corresponding portion 53A, 53B cannot be separated to the upper portion due to the narrow opening area, and only the holding portion 53a ", 53b" can protrude through and protrude. (13a ') (13b'),

특히 도 1e의 하부 원내 확도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도면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조금 과장되게 도시)In particular, as can be seen in the lower circle accuracy of FIG. 1e (a little exaggerated for ease of understanding in the drawing)

상기 고정부(13A) 진입부(13a)의 구간 길이 보다 상기 착탈부(13B)의 진입부(13b) 구간 길이가 길고,The length of the entry portion 13b of the detachable portion 13B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entry portion 13a of the fixed portion 13A,

상기 고정부(13A)의 걸림부(13a') 구간 길이 보다 상기 착탈부(13B) 걸림부(13b') 구간 길이가 짧은 것이The length of the detachable portion 13B and the engaging portion 13b 'is shorter than that of the locking portion 13a' of the fixing portion 13A.

상기 수용부(11)의 고정부(13A)와 착탈부(13B)의 주된 차이점이다.This is a main difference between the fixing portion 13A and the detachable portion 13B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11.

이로 인하여 결합된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50)의 대응부에서 고정부(53A)의 연결부(53a')가 갖는 탄성은 발휘되는 것이 무의미할 정도로 고정부(13A)의 진 입부(13a) 구간이 짧은데 비하여Due to this, the elasticity of the connection portion 53a 'of the fixing portion 53A at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vacuum space forming member 50 coupled to the portion 13a of the fixing portion 13A is such that it is meaningless to be exerted. Short

상기 착탈부(13B)의 진입부(13b) 구간 길이는 충분히 길어 상기 대응 착탈부(53B)의 연결부(53b')의 탄성이 발휘되어The length of the entry portion 13b of the detachable portion 13B is sufficiently long so that the elasticity of the connecting portion 53b 'of the corresponding detachable portion 53B is exerted.

상기 파지부(53b")를 좌측으로 밀어 상기 착탈부(13B)의 걸림부(13b') 구간에 위치하던 걸림턱(53b)을 상기 착탈부(13B)의 진입부(13b)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Pushing the gripping portion 53b "to the left position the locking jaw 53b, which is located in the engaging portion 13b 'section of the detachable portion 13B, at the entrance portion 13b of the detachable portion 13B. Is possible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50)의 대응 착탈부(53B)의 파지부(53b") 아래에 손가락을 위치시키고 좌측으로 지속적으로 가압한 상태에서In a state where a finger is placed under the grip portion 53b "of the corresponding detachable portion 53B of the vacuum space forming member 50 and continuously pressed to the left side.

상부로 힘을 가하면 When you apply force to the top

상기 대응 착탈부(53B)의 걸림턱(53b)은 진입부(13b)를 통하여 상부로 빠져 나오게 되고The latching jaw 53b of the corresponding detachable portion 53B exits upward through the entry portion 13b.

결국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50)의 우측이 면저 상부로 들리는 것이 가능해진다.As a result, the right side of the vacuum space forming member 50 can be lifted to the upper surface.

그러므로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50)의 대응부에서 고정부(53A)의 연결부(53a')가 기본적으로 탄성을 갖지만 무의미한 것이어서, Therefore, in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vacuum space forming member 50, the connecting portion 53a 'of the fixing portion 53A is basically elastic but meaningless,

단순히 상기 하부체 수용부(11)의 고정부(13A)와 상기 대응 고정부(53A)의 형상은 단순히 암수 결합될 수 있는 돌기와 홈의 형태이면 충분한 것에 비하여,The shape of the fixing portion 13A and the corresponding fixing portion 53A of the lower body accommodating portion 11 is simply sufficient as long as it is simply a form of a protrusion and a groove that can be male and female,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50)의 대응 착탈부(53B)는 탄성수단(도면에서는 연결부(53b')가 탄성수단의 기능을 함)에 의하여 탄지되는 형태여서The corresponding detachable portion 53B of the vacuum space forming member 50 is shaped to be supported by elastic means (in the drawing, the connecting portion 53b 'functions as an elastic means).

외력을 가하지 않은 결합상태에서 상기 착탈부(53b)의 걸림턱(53b)은 상기 수용부(11)의 착탈부(13B)의 걸림부(13b')에 위치하고The engaging jaw 53b of the detachable part 53b is located at the engaging part 13b 'of the detachable part 13B of the accommodating part 11 in an engaged state without applying external force.

외력을 가하면 상기 걸림턱(53b)이 움직이게 되어 상기 수용부(11) 착탈부(13B)의 진입부(13b)에 위치할 수 있는 형태여야 한다.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locking jaw 53b is moved to be positioned at the entrance portion 13b of the receiving portion 11 and the detachable portion 13B.

이러한 개념을 보다 확장하고 일반화시켜 표현하면If you expand and generalize these concepts,

상기 고정부와 대응 고정부의 개념은 The concept of the fixing part and the corresponding fixing part

단순히 암수 결합되는 형태이며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가 상기 하부체 수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부 쪽에서 외력을 가해도 상기 형성부재가 상부로 분리 이탈되는 것이 불가능한 형태이며,It is simply a male and female form and in a state in which the vacuum space forming member is coupled to the lower body accommodating portion, it is impossible to separate and separate the forming member to the upper side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from the fixing portion.

상기 착탈부와 대응 착탈부의 개념은The concept of the detachable portion and the corresponding detachable portion

상기 형성부재와 상기 하부체 수용부 어디에 배열되어 있건 간에 탄성수단에 의하여 탄지되어 잠기고 열릴 수 있는 걸림돌기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돌기가 결합되는 걸림홈이 역시 대응 부재 대응 위치에 배열되어 있는 형태인 것을 의미한다.Wherever the forming member and the lower body receiving portion is arranged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jection that can be locked and opened by the elastic means, the locking groove to which the locking projection is coupled is also arranged in the corresponding member corresponding position it mean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측 탈착형" 진공공간 형성부재를 채용하면As described above, when employing the "one side detachable" vacuum space form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특허공개 제2005-0107107호(2005.11.11) 『부분 개방형 진공채널을 갖는 진공포장기』의 공보 도 4와 관련하여 기술된 것과 같은 종래 "양측 임의 탈착형" 진공공간 형성부재에 비하여Patent Publication No. 2005-0107107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v. 11, 2005) Publication of `` Vacuum Packer with Partially Open Vacuum Channel '' A conventional "both side detachable" vacuum space forming member a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FIG. Compared to

상기 진공펌프(40)와 도관을 통하여 이어지고 상기 수용부(11)에 배열된 중개공(仲介孔)(11A)과 연결과 분리가 반복되는 상기 진공패널 형성부재(50)의 배기공(51A) 부분의 밀착성이 확실히 보장되어 An exhaust hole 51A of the vacuum panel forming member 50 which is connected through the vacuum pump 40 and the conduit and is repeatedly connected and disconnected with the intermediate hole 11A arrang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11. The adhesion of the part is ensured well

오랜 사용에도 진공펌프로 이어진 배기통로 상에 누설문제가 없는 진공포장기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Even after long us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vacuum packer without a leakage problem on the exhaust passage leading to the vacuum pump.

또 도면에서 상기 수용부(11)와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50)에는 정위치에 결합되도록 안내하며 요동을 방지하는 가이드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시된 상기 가이드수단은 In addition, in the drawing, the receiving portion 11 and the vacuum space forming member 50 are preferably provided with guide means for guiding to be coupled to the correct position and to prevent shaking, the guide means shown

상기 수용부(11)의 플랜지에 형성된 복수의 끼움홈(11B)과,A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11B) formed in the flange of the receiving portion 11,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50)의 테두리 하부에 형성된 끼움돌기(51B)이며,It is a fitting protrusion (51B) formed on the lower edge of the vacuum space forming member 50,

상기 낑무홈(11B)과 상기 끼움돌기(51B)의 형상은 알파벳 "T"자 형상으로 되어 있어The grooves 11B and the fitting protrusions 51B have an alphabet "T" shape.

결합된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의 전후좌우 요동방지를 확실히 달성하면서도While ensuring the prevention of front, rear, left, and right swinging of the combined vacuum space forming member

상기 끼움돌기(51B)의 내구성 강화에 일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fitting protrusion 51B can be used to enhance the durability of the fitting protrusion 51B.

이어서 상기 수용부(11)와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50)의 상호 결합관계에 의하여Subsequently, by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ceiving portion 11 and the vacuum space forming member 50

상기 하부체(10) 상면 보다 상기 진공공간(R) 형성부재(50)의 전면이 더 높아 단턱부(projection)(PJ)(도 1b 참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vacuum space R forming member 50 is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0 to form a projection PJ (see FIG. 1B).

이는 초기 롤 형태의 진공포장백을 필요한 길이로 잘랐을 때 상호 겹쳐진 두 겹의 시트는 양 측면이 밀봉되어 있고 전후단은 트인 형태이므로This is because when the initial roll-type vacuum bag is cut to the required length, the two overlapping sheets are sealed at both sides and open at the front and rear ends.

저장물품을 담을 수 있는 봉투로 만들기 위하여 일단부는 미리 열접합하여야 하는데,One end must be thermally bonded to make an envelope that can hold the stored items.

잘린 시트의 일단을 진공포장기(V)에 투입하여 히터(30) 부분에 적절하게 위치시키고자 할 때When one end of the cut sheet is put into the vacuum packaging machine (V) to properly position the heater 30

상기 단턱부(PJ)로 인하여 상기 시트의 일단이 정확하게 히터(30) 부분에 배열되도록 하는 조작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Due to the stepped portion PJ, an operation of allowing one end of the sheet to be accurately arranged on the heater 30 may be easily performed.

이어서 상기 진공공간(R) 형성부재(50)의 배기공(51A)과 밀착 연통되어 있는 상기 하부체(10)의 중개공(11A)은 도 4a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Subsequently, the intermediate hole 11A of the lower body 10,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xhaust hole 51A of the vacuum space R forming member 50, can be seen in FIG. 4A.

저면에서 노즐(41a)이 형성되어 있어 도관(T1)을 통하여 진공펌프(40)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펌프 작동시 상기 흡입공을 통하여 상기 진공공간(R) 내의 배기가 가능하게 되고, The nozzle 41a is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and is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40 through the conduit T1, so that the exhaust air in the vacuum space R can be exhausted through the suction hole during the pump operation.

상기 진공공간 내에 입구가 위치하고 있는 진공포장백(B) 내부의 진공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vacuum inside the vacuum packaging bag B in which the inlet is located in the vacuum space is made.

또 진공포장백(B)을 상기 진공채널(C)(C') 중간 위치, 보다 정확한 표현으로는 진공공간(R) 내에 정위치시키고 In addition, the vacuum packaging bag (B) is placed in the middle of the vacuum channel (C) (C '), more precisely in the vacuum space (R).

상기 하부체(10)와 상기 상부체(20)를 맞물리게 할 경우 상기 가압돌기(21)에 의하여 작동버튼(40A)(40B)이 눌리게 되어 자동으로 When the lower body 10 and the upper body 20 are engaged, the operation buttons 40A and 40B are pressed by the pressing protrusion 21 automatically.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가 작동버튼 눌러 수동으로,(Or not shown, but the user manually press the operation button,

또 대안적으로 상기 상부체의 가해지는 압력의 센싱에 의하여 자동으로(미도시 됨))Alternatively automatically (not shown) by sensing the applied pressure of the upper body)

진공펌프(40)가 작동되면 상기 펌프와 연결된 배기공(51A)을 통하여 상기 진공공간(R)에 진공화 압력이 걸리게 되는데, When the vacuum pump 40 is operated, a vacuum pressure is applied to the vacuum space R through the exhaust hole 51A connected to the pump.

필요에 따라 상기 배기공은 둘 이상 구비될 수 있고, 이때 상기 배기공과 상기 펌프을 연결하기 위한 도관 등의 부재 역시 알맞게 도입되어야 한다.If necessary, two or more exhaust holes may be provided, and a member such as a conduit for connecting the exhaust hole and the pump should also be appropriately introduced.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기(V)에서 핵심 중 하나인 저장물품(P),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백(B)에 저장된 물품(P)을 받치는 지지수단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Next, the storage means (P) which is one of the cores of the vacuum packaging machine (V)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the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article (P) stored in the packaging bag (B)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예를 들어 상기 하부체(10)의 전방에 돌출 형성된 고정식이거나 탈부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it may be configured to be fixed or detachable protruding in front of the lower body (10).

그러나 보다 컴팩트하게 구성하여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사용시 물품을 위한 지지면적을 가능한 넓힐 수 있도록 하여 편리성을 제고하고자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하부체와 중첩되는 형태로 수납되고 인출될 수 있는 구조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the support means can be stored and drawn out in a form overlapping with the lower body in order to enhance the convenience by making the support area for the goods as wide as possible while making it easier to transport and storage by more compact configuration It is preferable to implement.

수납 및 인출식 지지수단은 서랍식, 접이식, 또는 부채와 같이 회동축을 중심으로 접히고 펼쳐지는 형태 등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고,Storage and withdrawal support means can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forms, such as folding and unfolding around the pivot shaft, such as drawers, folding, or fan,

나아가 동일한 하부체(10) 전후 폭에 수납되면서도 보다 긴 지지수단을 제공 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수단은 복수의 분체로 이루어진 다단 구조를 갖는 것을 보다 바람직한데,Furthermore, in order to provide a longer support means while being stored in the front and rear widths of the same lower body 10,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support means have a multi-stage structu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powders.

도 3a 및 도 3b에는 각각 완전 서랍식과 부분 서랍 부분 접이식 다단(도시된 것은 2단) 지지수단(60)(160)이 도시되어 있다.3A and 3B show a fully drawable and partially drawer partially foldable multistage (two shown) support means 60, 160, respectively.

먼저 도 3a에 도시된 지지수단(60)은 제1분체(61)가 상기 진공포장기 하부체(10) 하면의 수용부(13) 레일홈에 좌우측 단부가 걸쳐져서 수납되고 인출되는 형태이고, 상기 제1분체(61)에는 역시 레일홈을 갖는 수납부(61a)가 형성되어 있어 제2분체(63)가 수용될 수 있다.First, the support means 60 illustrated in FIG. 3A has a shape in which the first powder 61 is received and drawn out from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ends of the housing 13 of the lower surface of the vacuum packaging machine 10. The first powder 61 is also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portion 61a having a rail groove so that the second powder 63 can be accommodated.

상기 각 분체(61)(63)의 후단부와 상기 하부체(10)의 수용부(13) 및 상기 제1분체의 수납부(61a)에는 각 분체가 인출되다가 더 이상 뽑히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미도시 됨)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A stopper (not shown) to prevent the powders from being pulled out at the rear end of each of the powders 61 and 63, the accommodating portion 13 of the lower body 10, and the accommodating portion 61a of the first powder. It is preferred that the

상기 제1분체가 상기 하부체의 수용부에 수납되고, 상기 제2분체가 상기 제1분체의 수납부에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는 웬만한 충격에도 제1분체 및 제2분체가 뽑히지 않도록 하는 걸림부재가 배열되어 있는 것이 또한 바람직한데, 다만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고 각 분체를 잡아당겼을 때는 쉽게 인출되는 형태여야 한다.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powder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of the lower body and the second powder is in the accommodating part of the first powder, a locking member is arranged to prevent the first powder and the second powder from being pulled out even under moderate impact. It is also desirable, however, that it should be easily withdrawn when the user grasps it by hand and pulls out each powder.

다음으로 도 3b에 도시된 지지수단(160)은 역시 진공포장기(V)의 하부체(10)의 수용부(13) 레일홈에 제1분체(161)가 서랍식으로 수용되는데 비하여, Next, the support means 160 shown in FIG. 3B is also a first powder 161 is received in a drawer type in the rail groove of the receiving portion 13 of the lower body 10 of the vacuum packaging machine V,

제2분체(163)는 제1분체(161)의 전방에 치우친 단부에 형성된 선회축홈(미도 시 됨)에 선회축핀부(미도시 됨)를 통하여 결합되어 있어 접이식으로 접히고 펼쳐질 수 있어서, 부분 서랍 부분 접이식 형태이며,The second powder 163 is coupled to the pivot shaft groove (not shown)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powder 161 through the pivot shaft pin portion (not shown), so that the second powder 163 can be folded and unfolded in a foldable manner. The drawer part is folding type,

상기 제1분체(161) 전방 상면에는 제2분체(163)가 접힌 상태에서 가능한 제1분체 상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제2분체의 형상에 상응하는 수납홈(161a)이 형성되어 있다.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powder 161 is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161a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econd powder so as to form the same plan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owder possible when the second powder 163 is folded.

도 3b에 도시된 지지수단(160)에서는 역시 하부체와 분체들이 상호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적절한 스토퍼와 걸림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In the support means 160 shown in Figure 3b is also preferably provided with a suitable stopper and locking member to prevent the lower body and powder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특히 펼쳐진 상태에서 제2분체(163)의 후단부와 제1분체(161)의 전단부는 어느 정도 중첩되어 펼쳐진 상기 제2분체가 하방으로 꺾이지 않고 가능한 제1분체와 동일 직선상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in the unfolded state, the rear end of the second powder 163 and the front end of the first powder 161 are preferably overlapped to some extent so that the unfolded second powder is arranged on the same straight line as the first powder possible without being bent downward. Do.

이상과 같은 지지수단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다단 구조 또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The shape of the support means as described above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the multi-stage structure may also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다음으로 도 1b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핵심을 이루는 원터치 타입의 잠금수단(70)은 특허공개 제1989-0006128(1989.05.18) 『푸쉬래치장치』 및 실용신안등록 제0106852호(1997.07.09) 『도어잠금장치』의 종래기술로 언급된 것과 기본개념이 동일한 것이나, 동작신뢰성과 관련된 개선사항을 반영하였다.Next, as shown in FIGS. 1B and 2A, the one-touch type locking means 70 constituting 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989-0006128 (1989.05.18), "Push Latch Device" and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106852. No. (1997.07.09) The basic concept is the same as that mentioned in the prior art of the door lock, but it reflects the improvement related to the operation reliability.

상기 잠금수단(70)은 상기 하부체(10)에 배열된 잠금구(70A)와 상기 상부체(20)에 구비된 걸림돌기(70B)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잠금구와 상기 걸림돌기의 배열 위치는 상호 변형될 수 있다.The locking means 70 is composed of a locking mechanism (70A) arranged in the lower body 10 and the locking projection (70B) provided in the upper body 20, the locking position and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locking projection It can be mutually modified.

상기 진공채널(C)(C') 둘레의 밀폐부재(55)(56)가 발포폴리우레탄 소재 등과 같이 어느 정도 탄성을 갖는 소재여서 가압 수축될 수 있으므로Since the sealing members 55 and 56 around the vacuum channels C and C 'are elastic materials to some extent, such as a foamed polyurethane material, they may be pressurized and contracted.

상기 하부체(10)와 상기 상부체(20)를 맞물린 상태에서 In the state in which the lower body 10 and the upper body 20 are engaged

상기 잠금구(70A)의 후크부재(71)와 상기 걸림돌기(70B)의 단부 걸림부(70B')가 상호 결합되면When the hook member 71 of the locking mechanism 70A and the end locking portion 70B 'of the locking protrusion 70B are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밀폐부재(55)(56)가 가압 수축되어 확고하게 맞물리도록 하여 진공공간(R)이 외부와 확실히 차단되도록 한다.The sealing members 55 and 56 are pressurized and contracted to be firmly engaged so that the vacuum space R is surely blocked from the outside.

그 동작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Looking at the operation process in detail

먼저 상기 잠금구(70A)의 후크부재(71)와 상기 걸림돌기(70B)의 단부 걸림부(70B')가 상호 결합되어 있어First, the hook member 71 of the locking mechanism 70A and the end locking portion 70B 'of the locking protrusion 70B are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하부체(10)와 상기 상부체(20)를 맞물린 상태, 즉 상기 밀폐부재(55)(56)가 맞물린 상태에서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body 10 and the upper body 20 are engaged, that is, the sealing members 55 and 56 are engaged.

상기 상부체(20)를 상기 하부체(10) 쪽으로 가압할 경우 When pressing the upper body 20 toward the lower body 10

가압 수축이 가능한 밀폐부재(55)(56)가 수축되면서As the sealing member (55, 56) capable of pressure shrinkage contracted

상기 후크부재(71)의 탄성걸이부(71a)에 물려 있는 상기 걸림돌기(70B)의 걸림부(70B')가 상기 후크부재(71)를 가압할 수 있게 되어 The locking portion 70B 'of the locking protrusion 70B held by the elastic hook portion 71a of the hook member 71 can press the hook member 71.

상기 후크부재(71)의 삽입공(71b)에 위치하고 있으며 수축된 스프링(73)에 의하여 탄지되어 있던 가이드레버(72)가 상기 후크부재(71)가 하강함에 따라 하강되어The guide lever 72 located in the insertion hole 71b of the hook member 71 and supported by the contracted spring 73 is lowered as the hook member 71 descends.

상기 가이드레버(72)의 걸림돌기(72a)가The engaging projection 72a of the guide lever 72 is

케이스(74)의 스토핑홀(74c)에서 벗어나 언록킹가이드슬릿(74b)을 타고 상승하면서Ascending out of the stopping hole 74c of the case 74 and riding up the unlocking guide slit 74b,

상기 후크부재(71) 역시 상승할 수 있게 되고 상기 탄성걸이부(71a)가 상기 케이스(74)의 구속에서 벗어나 벌어지게 되어The hook member 71 can also be raised and the elastic hook portion 71a is opened apart from the restraint of the case 74.

결국 상기 탄성걸이부(71a)에 물려 있는 상기 걸림돌기(70B)의 걸림부(70B')는 풀리게 되어 잠금이 해제된다.As a result, the locking portion 70B 'of the locking protrusion 70B held by the elastic hook portion 71a is released and the lock is released.

또 상기 잠금구(70A)의 케이스(74) 양측에는 스토퍼(74d)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하부체(10)의 장착부(15)에 형성된 걸림편(미도시 됨)과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잠금구(70A)의 고정 배열이 가능하도록 하며,In addition, stoppers (74d)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ase (74) of the locking mechanism (70A), it is coupled to the engaging piece (not shown) formed in the mounting portion 15 of the lower body 10 by interference fit method To allow a fixed arrangement of the locking mechanism (70A),

상기 케이스(74) 내에 상기 스프링(73)에 의하여 탄지되는 형태로 장착되는 후크부재(71)는 탄성걸이부(71a)가 상기 걸림돌기(70B)의 걸림부(70B')를 물고 풀게 되어 있으며, In the case 74, the hook member 71 mounted in the form which is supported by the spring 73 is released by the elastic hook portion 71a by biting the locking portion 70B 'of the locking protrusion 70B. ,

상기 탄성걸이부의 삽입공(71b)에는 삽입돌기(72b)를 통하여 가이드레버(72)가 선회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데,The guide lever 72 is pivotally fixed to the insertion hole 71b of the elastic hanger through an insertion protrusion 72b.

상기 스프링(73) 상단부에 의하여 상기 삽입돌기(72b)가 가압될 경우 상기 삽입돌기(72b)와 상기 후크부재 삽입공(71b)의 특유한 형태로 인하여 상기 가이드레버(72)의 걸림돌기(72a)는 도 2a에서 케이스(74)에 대하여 정중앙에서 우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머무르게 되고,When the insertion protrusion 72b is pressed by the upper end of the spring 73, the locking protrusion 72a of the guide lever 72 is due to the unique shape of the insertion protrusion 72b and the hook member insertion hole 71b. 2a stays in a position deviating from the center to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case 74 in FIG.

이러한 걸림돌기(72a)의 위치 특성으로 인하여 상기 스프링(73)이 팽창되어 상기 후크부재(71)의 탄성걸이부(71a)가 상기 케이스(74)에서 벗어나 상기 걸림돌기(70B)를 물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Due to the 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locking protrusion 72a, the spring 73 is expanded so that the elastic hook portion 71a of the hook member 71 does not come out of the case 74 and does not bite the locking protrusion 70B. In the state

상기 상부체(20)를 상기 하부체(10) 쪽으로 가압하면, 상기 걸림돌기(70B)가 상기 후크부재(71)와 접촉하여 하강시키게 됨에 따라 When the upper body 20 is pressed toward the lower body 10, the locking projection (70B) is in contact with the hook member 71 to lower

상기 가이드레버(72)의 걸림돌기(72a)가 상기 케이스(74) 내면에 사선형태로 배열된 록킹가이드레일(74a)을 타고 내려가다가 상기 케이스(74)의 중앙에 위치한 상기 스토핑홀(74c)에 위치하면 제한상태에서 벗어나 돌출되어 걸리게 되고 The stopping protrusion 72a of the guide lever 72 descends on the locking guide rail 74a arranged diagonally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74, and the stopping hole 74c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ase 74. ), It protrudes and gets out of the restricted state.

상기 걸림돌기 걸림부(70B')가 상기 탄성걸이부(71a)에 물려 걸리게 되어 The locking protrusion locking portion 70B 'is caught by the elastic hook portion 71a.

상기 상부체(20)가 상기 하부체(10)와 맞물려 상기 밀폐부재(55)(56)에 의하여 진공공간(R)이 형성된다.The upper body 20 is engaged with the lower body 10 to form a vacuum space R by the sealing members 55 and 56.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상기 상부체를 가압하면 상기 밀폐부재(55)(56)가 수축되면서 상기 걸림돌기(70B)가 상기 후크부재(71)를 가압하면 상기 가이드레버(72)는 상기 스토핑홀(74c) 상면에 의하여 제한되었던 상태에서 벗어나게 되어 In this state, when the upper body is pressed again, the sealing members 55 and 56 are contracted, and when the locking protrusion 70B presses the hook member 71, the guide lever 72 is connected to the stopping hole. 74c) deviate from the state restricted by the upper surface

다시 스프링(73)에 의한 가압과 상기 후크부재(71) 삽입공(71b)과 상기 가이드레버(72) 삽입돌기(72b)의 구조에 의하여 우측으로 쏠리게 되고,Again by the spring 73 and the hook member 71 is inserted to the right by the structure of the insertion hole (71b) and the guide lever 72, the insertion projection (72b),

상기 상부체(20)를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스프링(73)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레버(72)의 걸림돌기(72a)가 상기 케이스(74)의 언록킹가이드슬릿(74b)을 타고 상승하여 When the force used to press the upper body 20 is removed, the locking projection 72a of the guide lever 72 causes the unlocking guide slit 74b of the case 74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73. Ride up

상기 후크부재(71)의 탄성걸이부(71a)는 상기 걸림돌기(70B)의 걸림부(70B')를 풀게 된다.The elastic hook portion 71a of the hook member 71 releases the locking portion 70B 'of the locking protrusion 70B.

또 도 1b 및 도 2a에서 상기 잠금수단(70)은 상기 잠금구(70A)로의 이물질 유입방지를 위한 외피부재(75)를 더 구비하고 있는데,In addition, the locking means 70 in Figure 1b and 2a is further provided with an outer shell member 75 for preventing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into the lock (70A),

도면에서 상기 외피부재는 상기 하부체(10)의 장착부(15)를 덮는 형태이며, 상면에 상기 걸림돌기(70B)의 걸림부(70B')가 삽입될 수 있는 아령형태의 삽입장공(75a)이 형성되어 있으며,In the drawing, the outer cover member is shaped to cover the mounting portion 15 of the lower body 10, the insertion hole (75a) of the dumbbell-shap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portion (70B ') of the locking projection (70B) on the upper surface Is formed,

상기 외피부재(75)의 상면은 박부(75b)와 후부(75c)가 반복되어 적절한 탄성을 제공할 수 있어 The upper surface of the shell member 75 may be provided with a suitable elasticity by the thin portion (75b) and the rear portion (75c) is repeated

상기 외피부재의 삽입장공(75a) 면적을 가능한 작게 하여 이물질 유입을 최대한 방지하면서While the insertion hole (75a) of the outer shell member area as small as possible to prevent the entry of foreign matter as much as possible

상기 걸림돌기(70B) 외면과 상기 외피부재의 삽입장공(75a) 주변 부분이 가능한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도Even when the outer surface of the engaging projection (70B) and the portion around the insertion hole (75a) of the shell member to maintain the contact state as possible

상기 걸림돌기의 걸림부(70B')에 의하여 상기 외피부재의 상면 부분이 상기 후크부재(71)에 끼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The locking portion 70B 'of the locking protrusion serves to prevent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outer cover member from being caught in the hook member 71.

이와 같은 원터치타입의 잠금수단은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것으로 대체될 수 있는데, Such one-touch type locking means can be replaced with a variety of known forms,

일례로 도 2b에는 도 2a의 잠금구(70A)에서 가이드레버(72), 특히 걸림돌기(72a)의 내구성이 약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잠금구(170A)가 제시되어 있다.For example, FIG. 2B shows a locking mechanism 170A for solving a problem in which the guide lever 72, in particular, the locking projection 72a is weak in the locking mechanism 70A of FIG. 2A.

상기 잠금구(170A)는 역시 후크부재(171), 가이드레버(172), 스프링(173), 그리고 케이스(174)로 이루어진다.The lock 170A is also composed of a hook member 171, a guide lever 172, a spring 173, and a case 174.

상기 가이드레버(172)는 탄성을 갖는 선형 부재를 절곡한 형태이며, 하부에 걸쇠(172a)가 구비되어 있고, 선회축부(172b)가 상부에 배열되어 있으며,The guide lever 172 is a bent form of a linear member having an elastic, the low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latch 172a, the pivot shaft portion 172b is arranged on the upper side,

상기 후크부재(171)에서 탄성걸이부(171a)는 도 2a의 것과 동일하나, 가이드레버가 변형된 만큼 상기 가이드레버(172)의 선회축부(172b)가 배열되어 회동되도록 하는 걸침부, 특히 홈 형태의 걸침부인 걸침홈(171b)이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In the hook member 171, the elastic hook portion 171a is the same as that of FIG. 2A, but the hook portion 171b of the guide shaft 172b of the guide lever 172 is arranged and rotated as the guide lever is deformed. Grooving grooves 171b, which are hangers of the shape, are formed on both sides.

상기 스프링(173)은 상기 후크부재(171) 하부 몸체의 좌측에 치우친 삽입홈(171c)에 배열되며,The spring 173 is arranged in the insertion groove 171c biased to the left side of the lower body of the hook member 171,

절개 도시한 상기 케이스(174)의 내부에는 상기 스프링(173)을 위한 지지돌기(173a)가 상응한 위치에 돌설되어 있다.Inside the case 174 shown in the cut out support protrusion 173a for the spring 173 protrudes in a corresponding position.

상기 가이드레버(172)를 위한 록킹-언록킹 레일(174a)은 상기 케이스(174)의 내벽 우측에 쐐기 형상으로 형성된 돌기(미지칭 됨)의 하부면에 해당하며, The locking-unlocking rail 174a for the guide lever 172 corresponds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unnamed) formed in a wedge shape on the right side of the inner wall of the case 174,

상기 레일(174a)의 우측에는 다시 스토핑홈(174c)이 형성되어 있고,On the right side of the rail 174a, a stopping groove 174c is formed again.

상기 케이스(174)의 양측에는 역시 잠금구(170A)를 하부체의 장착부에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174d)가 형성되어 있다.On both sides of the case 174, stoppers 174d are also formed to fix the locking mechanism 170A to the mounting portion of the lower body.

상기 후크부재(171)가 상기 케이스(174)에 대하여 상부에 위치하고 있어 걸림돌기와 결합되지 않을 상태에서 상기 후크부재가 상기 스프링(173)을 수축시키며 하강하면 상기 탄성걸이부(171a)는 상기 케이스에 의하여 구속되어 오므라들고,When the hook member 171 is located at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case 174 and the hook member contracts and descends the spring 173 in a state where it is not coupled with the engaging protrusion, the elastic hook portion 171a is attached to the case. Redeemed by

상기 후크부재(171)의 걸침부(171b)에서 상기 선회축부(172b)를 통하여 선회 가능한 상기 가이드레버(172)는 The guide lever 172 pivotable through the pivot shaft portion 172b at the hook portion 171b of the hook member 171 is

상기 케이스 내벽의 쐐기형 돌기를 타고 하강함에 따라 직립한 상태에서 차츰 좌측으로 빗겨나가면서 기울어진 상태로 변화되는데,As the descending wedge-shaped projection of the inner wall of the case is gradually changed to an inclined state while gradually deviating to the left side,

상기 돌기의 가장 하부에 위치한 록킹-언록킹 레일(174a) 시작 부분에 오면 기울기가 최대를 이루고,The slope is maximized when it comes to the beginning of the locking-unlocking rail 174a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protrusion,

상기 레일(174a)이 경사진 형태이므로 상기 레일 시작점 하부로 상기 가이드레버의 걸쇠(172a)가 더 내려오면, Since the rail 174a is inclined, when the latch 172a of the guide lever is further lowered below the rail starting point,

상기 쐐기형 돌기로 인한 구속에서 벗어나면서 중력에 의하여 선회하여 다시 직립하려 함에 따라 As you turn away from the restraint caused by the wedge-shaped projection and try to stand up again by gravity,

상기 가이드레버(172)는 상기 선회축부(172b)를 축으로 하여 우측으로 움직이면서 관성에 의하여 직립을 벗어나 우측으로 더 움직여 상기 스토핑홈(174c)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The guide lever 172 is moved to the right side with the pivot shaft portion 172b as an axis, and moves further out to the right by inertia and positioned below the stopper groove 174c.

순간적으로(더 이상 상기 밀폐부재(55)(56)가 수축되기 어려운 지점에 이르게 되므로 감각적으로 이 순간을 알 수 있다)Instantaneously (because the sealing members 55 and 56 reach a point where it is difficult to contract, this moment can be sensed sensibly)

상기 후크부재(71)를 가압하던 힘을 제거하면 Removing the force that pressed the hook member 71

상기 스프링(173)이 팽창되면서 상기 가이드레버(72)의 걸림돌기(72a)는 상기 스토핑홈(74c)에 걸리게 되고,As the spring 173 is expanded, the engaging projection 72a of the guide lever 72 is caught by the stopping groove 74c,

상기 케이스(174)에 의하여 구속된 상기 후크부재의 탄성걸이부(171a)는 걸림돌기의 걸림부를 물어 고정한 상태에 머물고 있다.The elastic hook portion 171a of the hook member constrained by the case 174 stays in a state where the locking portion of the hook protrusion is fixed.

이 상태에서 다시 진공포장기의 상부체(20), 즉 상기 후크부재(171)를 가압하면 상기 가이드레버(172)의 걸쇠(172a)가 상기 스토핑홈(74c)을 벗어나게 되고 다시 중력에 의하여 직립하여 상기 록킹-언록킹 레일(174a)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In this state, when the upper body 20 of the vacuum packaging machine, ie, the hook member 171 is pressed again, the latch 172a of the guide lever 172 is out of the stopping groove 74c and is erected by gravity again. To be positioned below the locking-unlocking rail 174a,

상기 후크부재를 가압하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스프링(173)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후크부재(171)가 상승하게 되고,When the force that pressed the hook member is removed, the hook member 171 is raised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173,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레버(172)의 걸쇠(172a)는 상기 레일(174a)의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져 상기 쐐기형 돌기에서 벗어자게 되고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케이스(174)에 대하여 상승하여 상기 탄성걸이부(171a)가 벌어지면서 상기 걸림돌기의 걸림부를 풀게 된다.Accordingly, the latch 172a of the guide lever 172 slid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rail 174a to be released from the wedge-shaped protrusion, and the hook member is lifted with respect to the case 174 so that the elastic hook portion As the 171a is opened, the locking portion of the locking protrusion is released.

물론, 도 2a에 도시된 외피부재는 역시 도 2b의 잠금구를 위해서도 도입될 수 있다.Of course, the skin member shown in FIG. 2A can also be introduced for the locking device of FIG. 2B.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기(V)에 도입된 진공해제수단(F)과 소음기(S)를 도 4a 내지 도 4c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Next, the vacuum release means (F) and the silencer (S) introduced into the vacuum packaging machine (V)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4C.

먼저,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특허등록 제0538520호(2005.12.16) 『진공해제수단을 구비한 진공포장기』에서와 같이 포장백에 담긴 내용물에서 배출되는 습기와 이물질이 펌프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필터수단이 상기 진공공간에 배열된 흡입공과 상기 진공펌프를 연결하는 도관 상에 더 배열될 수 있는데, First of all,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ntroduce moisture and foreign substances discharged from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packaging bag as in Patent Registration No. 0538520 (2005.12.16) `` Vacuum Packing Machine with Vacuum Release Means ''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lter means for preventing the further can be arranged on the conduit connecting the suction pump and the vacuum pump arranged in the vacuum space,

도 4b에서 참조부호 A는 이러한 필터수단의 장착을 위한 아답터이고, 참조부호 A1은 필터수단을 장착하지 않고 통상적인 진공작업을 수행할 경우 상기 하부체(10)의 채널(C)에 위치한 배기공(51A)과 펌프, In FIG. 4B, reference numeral A denotes an adapter for mounting such a filter means, and reference numeral A1 denotes an exhaust hole located in the channel C of the lower body 10 when performing a normal vacuum operation without mounting the filter means. Pump with 51A,

보다 구체적으는 상기 수용부(11)에 배열된 중개공(11A)의 저면 노즐(41a)과 펌프(40)를 직접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이다.More specifically, it is a connection member for directly connecting the bottom nozzle 41a of the intermediate hole 11A arranged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11 and the pump 40.

즉, 상기 아답터(A)는 진공시 진공포장백에 담긴 저장물품에서 빠져 나오는 액상 이물질이 상기 흡입공(41)을 거쳐 펌프(40)로 유입되지 않도록 걸러주는 필터를 도입할 수 있도록 하면서,That is, the adapter (A) allows the introduction of a filter for filtering the liquid foreign matter coming out of the storage article contained in the vacuum packaging bag during the vacuum does not enter the pump 40 through the suction hole 41,

상기 필터의 사용이 불필요한 경우는 필터를 분리한 후 If you do not need to use the filter after removing the filter

상기 배기공(51A)이 상기 펌프(40)의 흡기노즐(43a)과 직접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부재(A1)를 도입할 수 있도록 하고, In order to introduce the connecting member (A1) so that the exhaust hole (51A)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intake nozzle (43a) of the pump 40,

상기 하부체(10)에 내장된 아답터(A)의 노즐 중 하나는 제1도관(T1)과 연결되어 있어 상기 하부체(10) 상부의 배기공(51A)과 이어져 있고(실질적으로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제1도관(T1)과 상기 배기공(51A)과 밀착 연통되어 있는 수용부(11)의 중개공(11A)의 저면 위치에 노즐(41a)과 제1도관(T1)이 연결된다),One of the nozzles of the adapter A embedded in the lower body 1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duit T1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exhaust hole 51A above the lower body 10 (substantially in the drawing). The nozzle 41a and the first conduit T1 are connected to the first conduit T1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intermediate hole 11A of the accommodating part 11 in close contact with the exhaust hole 51A. ),

상기 아답터의 노즐 중 다른 하나는 제2도관(T2)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도관은 펌프(40) 등의 다른 부재와 연결되는데,The other one of the nozzles of the adapter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it T2, and the second conduit is connected to another member such as the pump 40,

특히 상기 제2도관은 T2와 T2' 사이에 배관을 단순화시키도록 하는 도 4d의 (B)에서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알파벳 'T'자형 연결구(LT)가 구비되어 있다.In particular, the second conduit is provided with a letter 'T' shaped connector LT, as can be seen in detail in FIG. 4D (B) to simplify piping between T2 and T2 '.

상기 T자형 연결구(LT)의 제1분지관(L1)은 상기 제2도관(T2)과 연결되고, The first branch pipe (L1) of the T-shaped connector (LT)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it (T2),

제2분지관(L2)은 제2도관(T2')과 연결되어 있으며,The second branch pipe (L2)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it (T2 '),

제3분지관(L3)은 상기 진공공간(R)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PS)와 연결된 제4도관(T4)과 연결되어 있으며,The third branch pipe (L3) is connected to the fourth conduit (T4) connected to the pressure sensor (P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f the vacuum space (R),

각 분지관(L1)(L2)(L3)의 단부는 도관의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기밀성에 문제가 없고 쉽게 빠지지 않도록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테이퍼(tapered) 진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테이퍼 진 부분 중 최정점의 가장 큰 단면적을 갖는 부분(La)은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인 연질 도관의 내경보다 크며, 그 이후로는 급격하게 단면적이 줄어 든 단면적 축소부(Lb)를 이루고 있어 결합된 연질의 도관이 연결구(LT)의 La 부분에서 팽창되었다가 다시 Lb 부분에서는 숙축되어 기밀성가 결합력 보장이 만족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The ends of each branch pipe (L1) (L2) (L3) have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cross section becomes narrower toward the end so that the conduit can be easily combined but there is no problem in airtightness and does not easily fall out. The portion La having the largest cross-sectional area of the apex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oft conduit without an external force applied, and since then, it forms a cross-sectional reduction portion Lb with a sharply reduced cross-sectional area, thereby joining the soft conduits. It is expanded in the La portion of the connector (LT), and then squeezed again in the Lb portion is a form in which the airtightness bond strength is satisfied.

다음으로 상기 소음기(S)는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펌프(40)의 배기노즐(43b)과 제6도관(T6)을 통하여 연결된 연결부(S1)를 가지며, Next, as shown in FIGS. 4B and 4C, the silencer S has a connection part S1 connected through the exhaust nozzle 43b of the vacuum pump 40 and the sixth conduit T6.

대략 대칭된 형태로 중간에 항아리 형태로 불룩한 확장부(S3) 양측에 납작하게 눌린 형태의 협소부(S2a)(S2b)가 형성되어 있으며, Narrow portions S2a and S2b of flatly pressed shap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xpansion portion S3 bulging in the form of a jar in the middle in a substantially symmetrical form.

상기 협소부 중 하나(S2a)는 상기 연결부(S1)와 이어져 있고, One of the narrow parts S2a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art S1,

다른 하나(S2b)는 배출구(S4)와 연결되어 있다.The other one S2b is connected to the outlet S4.

이어서 도 4b 및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펌프(40)의 흡기노즐(43a)은 본 발명의 핵심 중 하나를 이루는 자동 진공해제수단(F)을 이루는 솔레노이드밸브(SV)와 연결되어 있는데(상기 진공해제수단은 솔레노이드밸브와 외기유입부(IF)를 포함한다), 4B and 4E, the intake nozzle 43a of the vacuum pump 40 is connected to a solenoid valve SV forming an automatic vacuum release means F, which forms one of the co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cuum release means includes a solenoid valve and an air inlet (IF)),

상기 솔레노이드밸브(SV)는 삼방(tree-way)밸브로 세 연결부 중 하나는 상기 진공펌프(40)의 흡기노즐(43a)과의 연결을 위하여 제5도관(T5)과 연결되어 있고,The solenoid valve SV is a three-way valve, and one of the three connections is connected to the fifth conduit T5 for connection with the intake nozzle 43a of the vacuum pump 40.

상기 연결부 중 다른 하나는 제2연결관(T2')과 이어져 있어, The other one of the connec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pipe (T2 '),

상기 제2연결관(T2')을 거쳐 연결구(LT), 제2도관(T2), 아답터(A), 제1도관(T1), 저면의 노즐(41a), 그리고 상기 하부체(10)의 채널(C)에 배열된 중개공(11A), 그리고 배기공(51A)으로 차례로 연결되어 Through the second connecting pipe (T2 ') of the connector (LT), the second conduit (T2), the adapter (A), the first conduit (T1), the bottom nozzle (41a), and the lower body 10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hole 11A arranged in the channel C and the exhaust hole 51A in turn,

결국 진공공간(R)과 연결되며,Eventually connected to the vacuum space (R),

상기 연결부 중 나머지 하나는 진공해제수단(F)의 일부를 이루는 외기유입부(IF)를 구성하는 제3도관(T3)과 연결되어 있고, The other one of the connec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third conduit T3 constituting the outside air inlet (IF) forming a part of the vacuum release means (F),

상게 제3도관은 도 4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외기유입부(IF)를 이루는 외기유입공(IF1)으로 이어져 있는데,As shown in FIG. 4B, the third conduit is connected to the outside air inlet hole IF1 constituting the outside air inlet part IF.

상기 외기유입공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체에 형성되는 것 외에,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루는 하우징 자체에 형성된 구멍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o being formed in the lower body as shown, the external air inlet hole may be a hole formed in the housing itself forming the solenoid valve.

도 4b에 도시된 진공포장기(V)가 필터 도입을 위한 아답터(A)를 갖는 반면,While the vacuum packaging machine V shown in FIG. 4B has an adapter A for filter introduction,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진공포장기(V)는 이러한 아답터(A)가 없으며,The vacuum packaging machine (V) shown in Figures 1a and 1b does not have such an adapter (A),

도 1a의 진공포장기(V)에 대한 개략적인 내부도면이 도 4a에 도시되어 있다.A schematic internal view of the vacuum packaging machine V of FIG. 1A is shown in FIG. 4A.

도 4b의 구성과 도 4a의 구성에서 다른 점은 아답터(A)와 이의 도입을 위한 연결부재(A1)가 없고,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figuration of FIG. 4B and the configuration of FIG. 4A is that there is no adapter A and a connecting member A1 for introduction thereof.

이에 따라 배기공(51A)에서 중개공(11A)을 거쳐 연통된 저면 노즐(41a)은 Accordingly, the bottom nozzle 41a communicating with the intermediate hole 11A through the exhaust hole 51A is

도관(T1)을 통하여 도 4d의 (A)에 구체적으로 도시한 십자형 연결구(LC)로 이어지는데Through the conduit (T1) leads to the cross-shaped connector (LC) specifically shown in Figure 4d (A)

상기 연결구(LC)의 네 분지관 중 Of the four branch pipes of the connector (LC)

제1분지관(L1)은 상기 도관(T1)을 통하여 상기 노즐(41a)에 연결되고The first branch pipe (L1) is connected to the nozzle (41a) through the conduit (T1)

제2분지관(L2)은 도관(T2)을 통하여 외기유입을 통한 진공해제를 위한 솔레노이드밸브(SV)로 이어지며, 다시 도관(T3)을 통하여 상기 솔레노이드밸브(SV)는 상기 진공해제수단(F)의 외기유입공(IF1)과 연결되며,The second branch pipe (L2) is connected to the solenoid valve (SV) for the vacuum release through the inlet air flow through the conduit (T2), the solenoid valve (SV) through the conduit (T3) is the vacuum release means ( Is connected to the inlet hole (IF1) of F),

제3분지관(L3)은 상기 진공공간(R)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PS)와 연결된 제4도관(T4)과,The third branch pipe (L3) and the fourth conduit (T4) connected to the pressure sensor (P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f the vacuum space (R),

그리고 제4분지관(L4)은 상기 펌프(40)의 흡기노즐(43a)과 연결된 제5도관(T5)과 각각 결합되어 있다.The fourth branch pipe L4 is coupled to the fifth conduit T5 connected to the intake nozzle 43a of the pump 40, respectively.

상기 진공해제수단(F)을 이루는 솔레노이드밸브(SV)의 동작을 도 4b에 도시된 진공포장기를 위주로 설명하면,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valve (SV) constituting the vacuum release means (F) with reference to the vacuum packaging machine shown in Figure 4b,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는 제어부, 특히 도면에서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 칩이 실장된 제어보드(control PCB)(CB)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되는데,The solenoid valve is made by a controller, in particular a control board (CB) mounted with a microprocessor chip as shown in the figure,

즉 도 1a 및 도 3a에서와 같이 저장물품(P)이 내장된 진공포장백(B)을 지지수단(60) 위에 올려놓고 상기 진공포장백(B)의 입구를 상기 하부체(10)의 진공채널(C)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부체(20)를 내려 상기 원터치식 잠금수단(70)에 의하여 상기 상부체와 상기 하부체가 맞물려 진공공간(R)이 형성되도록 하고That is, as shown in FIGS. 1A and 3A, the vacuum packaging bag B in which the storage article P is built is placed on the supporting means 60, and the inlet of the vacuum packaging bag B is vacuumed from the lower body 10. The upper body 20 is lowered in the state of being positioned in the channel C so that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are engaged by the one-touch locking means 70 to form a vacuum space R.

상기 상부체(20)의 가압돌기(21)에 의하여 상기 하부체(10)의 상면에 배열된 작동버튼(40A)(40B)이 눌려 The operation buttons 40A and 40B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0 are pressed by the pressing protrusion 21 of the upper body 20.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가 작동버튼 눌러 수동으로,(Or not shown, but the user manually press the operation button,

또 대안적으로 상기 상부체의 가해지는 압력의 센싱에 의하여 자동으로(미도시 됨))Alternatively automatically (not shown) by sensing the applied pressure of the upper body)

상기 진공펌프(40)에 작동신호가 인가되면 When an operation signal is applied to the vacuum pump 40

상기 제어보드(CB)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통하여 상기 솔레노이드밸브(SV)의 연결경로 형태를 파악하는데To determine the connection path form of the solenoid valve (SV) through the microprocessor of the control board (CB)

상기 솔레노이드밸브가 도 4e의 (가)와 같이 제2도관(T2')과 제5도관(T5)을 연통한 경로형태이면 그대로If the solenoid valve is in the form of a path connecting the second conduit T2 'and the fifth conduit T5 as shown in FIG.

상기 도 4e의 (나)와 같이 제2도관(T2')과 제3도관(T3)을 연통한 경로형태이면 (가)의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여As shown in (b) of FIG. 4e, if it is a path form in which the second conduit T2 'and the third conduit T3 are communicated, it is switched to the state of (a).

상기 진공포장백(B) 내부의 공기가 상기 진공펌프(40)의 작동으로 상기 흡기노즐(43a), 제5도관(T5), 솔레노이드밸브(SV), 제2도관(T2'), 연결구(LT), 제2도관(T2), 아답터(A), 제1도관(T1), 노즐(41a), 중개공(11A), 배기공(51A), 그리고 상기 진공공간(R)에 걸리는 진공압력에 의하여 배기되어 상기 진공펌프(40)의 배기노즐(43b) 및 소음기(S)를 거쳐 배출되고,The air inside the vacuum packaging bag B is operated by the vacuum pump 40 so that the intake nozzle 43a, the fifth conduit T5, the solenoid valve SV, the second conduit T2 ', and the connector ( LT), the second conduit T2, the adapter A, the first conduit T1, the nozzle 41a, the intermediate hole 11A, the exhaust hole 51A, and the vacuum pressure applied to the vacuum space R Exhausted by the exhaust nozzle 43b and the silencer S of the vacuum pump 40,

상기 진공공간(R)의 압력 센싱에 의하여 압력값이 기준값을 넘어설 경우, When the pressure value exceeds the reference value by the pressure sensing of the vacuum space (R),

(또는 미리 입력된 진공펌프 작동 기준시간 초과 여부를)(Or whether the vacuum pump operation threshold has been exceeded in advance)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판단하여 Judged by the microprocessor

상기 진공펌프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Stop the operation of the vacuum pump or

(또는 계속 동작되는 상태에서)(Or while still running)

상기 히터(30)를 동작시켜 상기 진공포장백의 입구를 가열 접합하고Operate the heater 30 to heat-bond the inlet of the vacuum packaging bag

기준시간 초과여부를 판단하여Judging whether the standard time is exceeded

(또는 온도를 감지하여 기준온도와의 비교로)(Or by sensing the temperature and comparing it with the reference temperature)

상기 히터(30)를 정지시키고Stop the heater 30

(이때 진공펌프의 동작이 계속되고 있다면 펌프도 정지시킨다),(At this time, if the operation of the vacuum pump continues, stop the pump),

상기 히터(30)의 정지상태가 입력신호로 인가되면 When the stop state of the heater 30 is applied as an input signal

제어부를 구성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SV)의 경로변경을 명령하여 상기 외기유입부(IF)를 이루는 제3도관(T3)과 제2도관(T2')이 상호 연통되도록 하여The microprocessor constituting the control unit commands the path change of the solenoid valve SV so that the third conduit T3 and the second conduit T2 'constituting the outside air inlet part IF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상기 외기유입공(IF1), 제3도관(T3), 솔레노이드밸브(SV), 제2도관(T2'), 연결구(LT), 제2도관(T2), 아답터(A), 제1연결관(T1), 배기공(51A)을 거쳐 상기 진공공간(R)으로 외기가 유입되어 진공상태를 해제하게 되고,The outside air inlet (IF1), third conduit (T3), solenoid valve (SV), second conduit (T2 '), connector (LT), second conduit (T2), adapter (A), first connection pipe Outside air flows into the vacuum space R through T1 and the exhaust hole 51A to release the vacuum state,

이로 인하여 상기 상부체와 상기 하부체를 벌리는 동작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다.Due to this, the operation of opening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can be made easier.

필요에 따라 진공공간의 진공 배기를 위한 배기공과 진공공간의 진공상태를 위한 배기공을 동일한 것이 아니라 각각 따로 형성될 수 있으며,If necessary, the exhaust hole for vacuum evacuation of the vacuum space and the exhaust hole for the vacuum state of the vacuum space may be separately formed instead of the same,

또 상기 진공펌프(40) 또는 상기 히터(30), 또는 이들 모두의 작동을 off시키는 비상스위치가 더 구비되어 있어 안정성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n emergency switch for turning off the operation of the vacuum pump 40 or the heater 30, or both may be further provided to increase stability.

진공상태가 해제된 후 일정 시간(예: 10초)이 지나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SV)의 경로는 상기 제2도관(T2')과 제5도관(T5)을 연결하는 형태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초기값으로 입력되어 있어 다음 진공포장백의 배기 밀봉 포장을 대비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After a certain time (for example, 10 seconds) after the vacuum is released, the path of the solenoid valve SV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it T2 'and the fifth conduit T5 to the microprocessor. It is preferred that the value be entered so that it is ready for the next airtight packaging of the next vacuum packaging bag.

또 이상과 같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SV)의 동작, 즉 상기 진공해제수단(F)의 동작은 진공포장기의 작동모드를 다양하게 구성할 경우 배기(진공펌프에 의한)-열접합(히터에 의한) 모드에서만 이루어지며,In addition,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valve SV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operation of the vacuum releasing means F is exhausted (by the vacuum pump) -thermal bonding (by the heater)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vacuum packaging machine is configured in various ways. Only in mode,

진공포장백의 가열 접합만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열접합 모드나Thermal bonding mode to ensure that only the vacuum

진공 배기만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기 모드에서는 이루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not to make it in the exhaust mode which makes only vacuum exhaust.

상기 배기 모드는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특허등록 제0549682호(2006.01.31) 『범용 진공 보조 커넥터』와 같은 부속품을 사용하여 외부 용기를 진공하고자 할 경우에 선택될 수 있다.The exhaust mode may be selected when the external container is to be vacuumed using an accessory such as "Universal Vacuum Auxiliary Connector" No. 0549682 (January 31, 2006)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기는 진공포장백 내부의 진공배기와 입구의 열접합 후 진공공간 내로 외기를 유입시켜 진공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하여 구성한 진공해제수단을 구비하여 있어 자동화된 진공해제가 가능하여 사용자 편리성을 제고하였으며, As described above, the vacuum packag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acuum release means configured by using a solenoid valve to release the vacuum state by introducing external air into the vacuum space after thermal bonding of the vacuum exhaust inside the vacuum bag and the inlet. Automated vacuum release is possible to enhance user convenience.

또 본 발명은 저장될 물품이 내장된 포장백의 입구가 위치하는 진공공간을 형성하는 진공채널이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져서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하되 진공공간 형성부재를 위하여 하부체 및/또는 상부체에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의 탈부착 방식이 상호 암수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부와 착탈부로 이루어져서 부착시에는 상기 각 고정부를 먼저 결합시키고 분리시에는 상기 각 착탈부를 먼저 떼어내는 방식의 "일측 탈착형" 진공공간 형성부재를 구현하여 오랜 사용에도 진공펌프로 이어진 배기통로 상에 누설문제가 발생될 가능성이 획기적으로 줄어들게 되어 내구성이 뛰어나고,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vacuum channel for forming a vacuum space in which the inlet of the packaging bag to be stored is formed as a separate member to implement a detachable form, but in the lower body and / or the upper body for the vacuum space forming member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detachable method of the vacuum space forming member are formed by a pair of fixing parts and detachable parts which are male and femal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each of the fixing parts is first coupled when attached, and each detachable part is detached first when detached. One side removable type vacuum space forming member is implemented, so the possibility of leakage problem on the exhaust passage leading to the vacuum pump is greatly reduced even after long use.

나아가 원터치타입의 잠금수단을 도입하여 한번 누르면 걸림돌기를 물고 다시 누르면 상기 걸림돌기를 풀게 되어 상부체와 하부체의 맞물림으로 밀폐부재에 의하여 외부와 차단되어 형성되는 진공공간의 형성과 해제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Furthermore, by adopting the one-touch type locking means, press once to catch the locking projection and press again to release the locking projection so that the formation and release of the vacuum space formed by the sealing member is cut off from the outside by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and,

아울러 상부체와 힌지결합되어 있는 하부체의 전방에 지지수단을 도입한 진공포장기를 제공하고, 나아가 상기 지지수단을 상기 하부체에 대하여 수납되고 인출될 수 있는 형태로 하며, 또 상기 지지수단을 서랍식, 접이식, 또는 혼합식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는 다단 분체들로 구성하여 동일한 하부체 전후 폭에 대하여 보다 긴 지지수단이 수납되는 형태로 하는 등 다양한 지지수단을 제공하여 사용, 운 반, 그리고 보관이 보다 편리해질 수 있도록 하며, In addition, to provide a vacuum packaging machine incorporating a support means in front of the lower body hinged to the upper body, and the support means in a form that can be received and withdrawn to the lower body, and the support means is a drawer type It is composed of multi-stage powders that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foldable, or mixed, so that longer support means can be stored for the same width of the lower body. To make it more convenient,

나아가 소음기를 도입하여 진공펌프 작동에 의한 배기로 인하여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more, by introducing a silenc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noise due to the exhaust by the vacuum pump opera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진공포장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vacuum packaging machine having a specific shape and structur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longing to.

Claims (13)

하부체;Lower body; 상기 하부체에 대하여 선회가능한 형태로 축설된 상부체;An upper body arranged in a pivotable form with respect to the lower body; 상기 하부체 또는 상기 상부체, 또는 이들 모두에 설치되어 진공포장백을 가열 접합하는 히터;A heater installed at the lower body or the upper body, or both, to heat-bond the vacuum packaging bag; 상기 하부체 또는 상기 상부체, 또는 이들 모두에 배열되어 진공 배기되는 진공포장백 입구를 외부와 차단하여 진공공간을 형성하는 진공공간 형성부재;A vacuum space forming member which is arranged on the lower body or the upper body, or both, to block the inlet of the vacuum packaging bag which is evacuated from the outside to form a vacuum space;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진공공간과 연통된 배기공과 도관을 통하여 연결된 진공펌프;A vacuum pump connected through a conduit and an exhaus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vacuum space formed by the vacuum space forming member; 상기 진공공간에 배열된 상기 배기공과 상기 진공펌프를 연결하는 도관 상에 구비되어 있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하여 상기 진공공간으로 외기가 유입되도록 연통되어 있는 외기유입부를 포함하는 진공해제수단; 및A vacuum release means including a solenoid valve provided on a conduit connecting the exhaust hole and the vacuum pump arranged in the vacuum space, and an outside air inflow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ir into the vacuum space through the solenoid valve; And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진공해제수단의 솔레노이드밸브가 상기 진공펌프와 상기 배기공을 연결하거나, 상기 외기유입부와 상기 배기공을 연결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진공포장기에 있어서,In the vacuum packaging machine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necting the solenoid valve of the vacuum release means to the vacuum pump and the exhaust hole in accordance with an input signal, or to connect the outside air inlet and the exhaust hole,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는 상기 하부체 또는 상기 상부체,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된 수용부에 부착되고 분리되는 탈착형이고,The vacuum space forming member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receiving portion provided in the lower body or the upper body, or both, 상기 수용부는 일측(一側) 고정부 및 타측(他側) 착탈부를 갖고,The accommodation portion has one side fixing portion and the other side detachable portion,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는 대응 고정부 및 대응 착탈부를 가져,The vacuum space forming member has a corresponding fixing portion and a corresponding detachable portion,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를 상기 수용부와의 결합할 때에는 상기 수용부의 일측(一側) 고정부에 상기 대응 고정부를 먼저 암수 결합시켜야 하고,When the vacuum space forming member is coupled with the accommodation portion, the corresponding fixing portion must be firstly male-and-female coupled to one side fixing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를 상기 수용부에서 분리할 때에는 상기 수용부의 타측(他側) 착탈부로부터 상기 대응 착탈부를 먼저 분리하여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해제수단을 구비한 진공포장기.And a vacuum releasing means for separating the vacuum space forming member from the accommodating part, first separating the corresponding detachable part from the other detachable part of the accommodating par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진공펌프와 도관을 통하여 연결된 중개공(仲介孔)이 형성되어 있고,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with an intermediate hole (仲介 孔) connected through the vacuum pump and the conduit, 상기 배기공은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에 배열되어 있어,The exhaust hole is arranged in the vacuum space forming member,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가 상기 수용부에 결합될 경우 상기 배기공은 상기 중개공에 밀착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해제수단을 구비한 진공포장기.And the exhaust hole is in close communication with the intermediate hole when the vacuum space forming member is coupled to the accommodation portion.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수용부의 중개공과 상기 배기공은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의 어느 한쪽 에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The intermediate hole and the exhaust hole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are formed in a position biased to either side of the vacuum space forming member, 상기 수용부의 고정부 및 상기 진공공간 형성부재의 대응 고정부는 상기 배기공 쪽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해제수단을 구비한 진공포장기.And a fixing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and a corresponding fixing portion of the vacuum space forming member are provided on the exhaust hole side. 제 1, 4,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4 and 5, 상기 하부체 또는 상기 상부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 그리고A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the lower body or the upper body, and 상기 걸림돌기의 걸림부를 물어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체 또는 상기 하부체에 배열되어 있고, 스프링과의 작용으로 한번 누르면 상기 걸림돌기를 물고 다시 누르면 상기 걸림돌기를 풀게 되는 잠금구를 포함하는 원터치타입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진공해제수단을 구비한 진공포장기.One-touch type locking means is arranged on the upper body or the lower body so as to be fixed to the locking portion of the locking projections, and includes a lock to release the locking projections by pressing once again by the action of a spring and pressing the locking projections again. Vacuum packaging machine having a vacuum release means further comprises.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잠금수단의 잠금구에는 이물질 유입방지를 위한 외피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해제수단을 구비한 진공포장기.The locker of the locking means is a vacuum packaging machine having a vacuum release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member is provided for preventing the introduction of foreign matter. 제 1, 4,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4 and 5, 상기 하부체의 전방에 배열되어 진공포장백에 담긴 저장물품을 받치는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진공해제수단을 구비한 진공포장기.And a support means arranged in front of the lower body to support the stored goods contained in the vacuum packaging bag.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하부체와 중첩되는 형태로 수납되고 인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해제수단을 구비한 진공포장기.The support means is a vacuum packaging machine having a vacuum release mean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received and withdrawn in a form overlapping the lower body.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하부체에 접이식으로 수납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해제수단을 구비한 진공포장기.The support means is a vacuum packaging machine having a vacuum release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m is received in the lower body foldable.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지지수단은 복수의 분체로 이루어진 다단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해제수단을 구비한 진공포장기.The support means is a vacuum packaging machine having a vacuum release mean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multi-stage structur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owders. 제 1, 4,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4 and 5, 상기 진공펌프의 배기노즐에 연결된 소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해제수단을 구비한 진공포장기.And a silencer connected to the exhaust nozzle of the vacuum pump. 제 1, 4,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4 and 5, 상기 진공공간에 배열된 배기공과 상기 진공펌프를 연결하는 도관 상에는 습기 또는 이물질이 상기 진공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특징으로 하는 진공해제수단을 구비한 진공포장기.And a filter means for preventing moisture or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vacuum pump on a conduit connecting the exhaust hole arranged in the vacuum space and the vacuum pump.
KR1020060100766A 2006-02-09 2006-10-17 Vacuum sealer equipped with vacuum release means using solenoid valve KR1008160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756A KR100842825B1 (en) 2006-02-09 2006-10-17 Vacuum sealer equipped with vacuum room members
AU2007212907A AU2007212907A1 (en) 2006-02-09 2007-02-06 Vacuum sealer
PCT/KR2007/000636 WO2007091822A1 (en) 2006-02-09 2007-02-06 Vacuum sea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17980 2006-02-24
KR1020060017980 2006-0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238A KR20070088238A (en) 2007-08-29
KR100816067B1 true KR100816067B1 (en) 2008-03-24

Family

ID=38613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0766A KR100816067B1 (en) 2006-02-09 2006-10-17 Vacuum sealer equipped with vacuum release means using solenoid val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606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5553A (en) * 2013-10-18 2015-04-29 주식회사 인트로팩 Apparatus for vacuum pack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802B1 (en) * 2014-11-10 2016-08-22 (주)씨에스이 Vacuum pump built in detecting means of vacuum level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2708U (en) 1986-11-20 1988-05-31
JPH05178324A (en) * 1991-12-24 1993-07-20 Tokyo Electric Co Ltd Vacuum packaging device
JPH06122419A (en) * 1993-05-07 1994-05-06 Chubu Jidoki Kk Method for shaping vacuum packaging bag
KR20000013685U (en) * 1998-12-28 2000-07-15 전주범 Microwave Wrap Packing Machine
KR100464661B1 (en) 2004-04-08 2005-01-03 (주)씨에스이 Vacuum sealer having linear sealing eleme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2708U (en) 1986-11-20 1988-05-31
JPH05178324A (en) * 1991-12-24 1993-07-20 Tokyo Electric Co Ltd Vacuum packaging device
JPH06122419A (en) * 1993-05-07 1994-05-06 Chubu Jidoki Kk Method for shaping vacuum packaging bag
KR20000013685U (en) * 1998-12-28 2000-07-15 전주범 Microwave Wrap Packing Machine
KR100464661B1 (en) 2004-04-08 2005-01-03 (주)씨에스이 Vacuum sealer having linear sealing ele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5553A (en) * 2013-10-18 2015-04-29 주식회사 인트로팩 Apparatus for vacuum pac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238A (en) 200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2825B1 (en) Vacuum sealer equipped with vacuum room members
US7540127B2 (en) Vacuum sealer
KR100834093B1 (en) Vacuum sealer equipped with one-touch type locking means
JP6693864B2 (en) Child-safe zipper closure and method for reclosable pouch with double slider
AU2005222738A1 (en) Reclosable passageway in slider for reclosable bag
KR100816067B1 (en) Vacuum sealer equipped with vacuum release means using solenoid valve
WO2008154805A1 (en) Automatic releasing mechanism for coffee bag in coffee maker
WO2008086668A1 (en) Vacuum packaging container
CN102378724A (en) Pumping device of fluid container and press button
WO2012019271A1 (en) Ostomy pouch apparatus with closable opening
US78189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vacuating re-sealable bags
KR200443459Y1 (en) Drawer type vacuum storage equipment and vacuum open-closed valve
KR20060091448A (en) Automatic vacuum sealer
KR100502153B1 (en) A vaccum packing apparatus
EP1219222B1 (en) Vacuum cleaner appliance with rigid filter container
KR100500961B1 (en) Vacuum sealer
KR100731341B1 (en) Vacuum sealer equipped with supporting means
KR100710461B1 (en) Vacuum sealer equipped with silencer
KR20080001187U (en) Acceptable type vacuum storage equipment
KR200258608Y1 (en) container for vacuum having multi-step type
WO2001049344A1 (en) Suction bag device
IT201900012396A1 (en) CONTAINER, SYSTEM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FLUID FOOD PRODUCTS
KR100582180B1 (en) Vacuum sealer equipped with intake arranged in hood
KR20190007835A (en) Household Vacuum Packing Machine
KR200443269Y1 (en) Vacuum clip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