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5253B1 - 소나무형 도로용 분전반 - Google Patents

소나무형 도로용 분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5253B1
KR100815253B1 KR1020070029768A KR20070029768A KR100815253B1 KR 100815253 B1 KR100815253 B1 KR 100815253B1 KR 1020070029768 A KR1020070029768 A KR 1020070029768A KR 20070029768 A KR20070029768 A KR 20070029768A KR 100815253 B1 KR100815253 B1 KR 100815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ine
distribution panel
root
bonsa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9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락
박명수
Original Assignee
대신파워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신파워텍 (주) filed Critical 대신파워텍 (주)
Priority to KR1020070029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52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0Wall-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4Hinged covers or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에 설치되는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전반의 형상을 친환경적인 노송의 형상으로 제조 및 설치하여 도심의 미관을 향상 및 정비할 수 있도록 한 소나무형 도로용 분전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가로등 또는/및 신호등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도로가에 설치하는 분전반에 있어서, 상기 분전반의 외부 형상을 소나무 형상으로 형성한 케이스로 커버 설치하고, 상기 케이스는 분재부와 몸통부와 뿌리부의 결합으로 구성하며, 상기 몸통부와 뿌리부 전면에는 몸통부도어와 뿌리부도어를 다중 힌지조립체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분전반을 노송의 형상으로 형성하여, 도심의 이미지를 친환경적이고 부드러운 이미지로 변모시켜 미려함을 갖추고, 또한 도로에 심어진 가로수들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여 도심의 환경을 가일층 향상 및 정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소나무, 노송(老松), 분전반, 가로등, 신호등.

Description

소나무형 도로용 분전반{Cabinet panel with having shape of old pine tree}
도 1은 일반적인 분전반의 설치 형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노송 형상의 분전반 외관 형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노송 형상의 분전반 케이스를 절개하여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분재부와 몸통부의 결합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단면도 및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몸통부와 뿌리부의 결합구조 및 뿌리부에 장착된 앵커브래킷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단면도 및 정단면도,
도 6a, 6b, 6c는 본 발명에 의한 몸통부도어와 뿌리부도어의 개폐작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단면도,
도 7a, 7b, 7c는 본 발명에 의한 계측도어의 개폐작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케이스 200 : 분재부
210 : 호흡구 220 : 안테나
232 : 제1하단브래킷 300 : 몸통부
310 : 몸통부도어 320 : 계측도어
325 : 점검창 330 : 제1누수방지턱
332 : 제1상단브래킷 334 : 제2하단브래킷
400 : 뿌리부 410 : 뿌리부도어
420 : 볼트홈 425 : 미장캡
430 : 제2누수방지턱 434 : 제2상단브래킷
436 : 앵커브래킷 500 : 다중 힌지조립체
510 : 제1회전축 520 : 제1회전편
530 : 제2회전축 540 : 제2회전편
550 : 제3회전축 560 : 방수패킹
600 : 기기취부판 610 : 전력량계기
A : 앵커볼트 B : 볼트
C : 콘크리트 패드 N : 너트
본 발명은 도로에 설치되는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전반의 형상을 친환경적인 노송의 형상으로 제조 및 설치하여 도심의 미관을 향상 및 정비할 수 있도록 한 소나무형 도로용 분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은 간선으로부터 각 분기회로로 갈라지는 곳에, 각 분기회로마다의 스위치를 설치하여 전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컷아웃스위치를 배열하여 고정시킨 간단한 형태의 주택 분전반에서부터, 각 층마다 강철로 만든 분전반이 벽 속에 설치되고 완전한 개폐문이 달려 있는 형태의 빌딩의 분전반, 그리고 도심지에 설치된 수많은 가로등 및 신호등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도로가에 설치되는 분전반까지 다양한 형태의 것이 존재한다.
이 중, 가로등이나 신호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분전반은 종래에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66891호(명칭:교통신호등 분전반)로 선등록되어 공지된 바 있고, 이 외에도 또 다른 분전반에 관한 기술이 다수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분전반(10) 모두는 보통 도 1과 같이 철제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비철금속의 재질로 외부가 사각함체 형상으로 케이싱되어, 기상악화에 따른 천재지변이나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견딜 수 있는 강도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분전반 케이스는 보통 사각의 함 형상으로 제작되어 도로가에 설치되는 특성상, 도심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고, 특히 전기 공급을 위한 위험하고 딱딱한 철제 구조물의 이미지가 강하여 친환경적인 주거 환경을 추구하는 최근 사람들의 경향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분전반의 일률적인 디자인으로부터 탈피하여 그 분전반 케이스의 형상이 지방의 특색과 설치된 위치의 경관에 부합되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계속하여 개발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이와 더불어 가로등과 보안등까지도 그 지방의 특색을 부여하는 형태로써 넓게는 하나의 관광 요소로 인식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분전반의 형상을 친환경적인 노송의 형상으로 제조 및 설치하여 도심의 미관을 향상 및 정비할 수 있도록 한 소나무형 도로용 분전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가로등 또는/및 신호등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도로가에 설치하는 분전반에 있어서, 상기 분전반의 외부 형상을 소나무 형상으로 형성한 케이스로 커버 설치하고, 상기 케이스는 분재부와 몸통부와 뿌리부의 결합으로 구성하며, 상기 몸통부와 뿌리부 전면에는 몸통부도어와 뿌리부도어를 다중 힌지조립체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소나무형 도로용 분전반에 대해 도시한 것으로, 케이스(100)와, 케이스(100)에 설치된 몸통부도어(310)와 뿌리부도어(4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와 도 3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케이스(100)는 분전반 내부의 전기장치들을 커버할 수 있도록 내부를 중공 형성하고, 친환경적인 이미지를 부각시킬 수 있게 오래된 소나무의 형상으로 제조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 스(100)는 다시 분재부(200)와, 몸통부(300)와, 뿌리부(400)로 나뉘어져, 각각의 결합을 통해 케이스(100)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를 구성하는 분재부(200)와 몸통부(300)와 뿌리부(400) 모두는 FRP 또는 PVC 재질로 성형하는 것이 적절하나, 상기한 재질에 본 발명의 케이스(100)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분재부(200)는 상기 몸통부(300)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단을 소나무의 솔잎 분재로 성형한다. 이러한, 상기 분재부(200) 상부 일부에는 옹이 형태로 호흡구(210)를 형성하여 케이스(100) 내부의 습기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호흡구(210)의 개구 부분은 다소 하부를 향하도록 조성하여 비 또는 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분재부(200) 상부 다른 일부 즉, 상기 호흡구(210) 반대편 끝부분에는 상부를 향하여 안테나(220)를 내장 설치하고, 상기 안테나(220)는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된 기기취부판(600)의 무선점멸기(650)에 연결 설치하여, 외부로부터의 원격 제어신호를 송수신한다.
몸통부(300)는 상기 분재부(200)와 뿌리부(400) 사이에 결합되는 것으로, 기기취부판(600)에 설치된 전기장치들을 정비하고 관리하기 위해 그 전면에는 다중 힌지조립체(500)에 의해 몸통부도어(310)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몸통부도어(310) 상단 부분 중앙에는 상기 다중 힌지조립체(500)에 의해 개폐 가능한 계측도어(320)를 더 설치하여 분전반의 전력량계기(610)에 표시되는 전력량을 체크한다. 또한, 상기 계측도어(320)가 설치된 몸통부도어(310) 내측면에는 투명한 재질의 점검창(325)을 더 설치하여 전력량계기(610)의 관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 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한 다중 힌지조립체(500)의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처럼, 구성되는 몸통부(300) 내부 위치에는 보통 전기장치들이 설치된 기기취부판(600)이 배치되는 바, 상기 전기장치들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기기취부판(600) 상부에 전기가 인입되는 전력량계기(610)를 설치하여 전력 전기요금을 계산하고, 상기 전력량계기(610) 하류에는 회로 전체를 전기적 사고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메인 과전류 차단기(62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메인 과전류 차단기(620)에는 SHUNT TRIP COIL을 내장하여 폭우로 인한 침수시 회로를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과전류 차단기(620) 하류에는 점소등하고자 하는 가로등 및/또는 신호등 등의 개체수에 따라 이를 점소등할 수 있게 다수의 분기 제어 마그네틱 접촉기(630)가 설치되는데, 상기 마그네틱 접촉기(630)의 설치 및 교체의 원활함을 위해 특수한 방식의 인출 클립으로 접속한다.
또한, 상기 마그네틱 접속기(630) 하류에는 누전 겸용 과전류 차단기(640)를 부스형 연결편으로 접속 설치하고 도전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절연 커버로 덮는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틱 접속기(630)는 자동 시스템으로 제어되어 일몰시 점등되게 하고 동이 트면 소등되는 자동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며 상시등 또는 격등 점등이 가능하다. 그리고, 무선 점멸기(650)를 장착하고, 안테나(220)를 연결하여 원격 제어가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계속해서, 뿌리부(400)는 상기 몸통부(300) 하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분전반 시공시 전선의 인입 및 인출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 전면에는 다중 힌지조 립체(500)에 의해 뿌리부도어(410)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뿌리부(400) 내측의 상단 부분 둘레를 따라 바람직하게는 네 부분에 앵커브래킷(436)을 고정 장착할 수 있다. 즉, 상기 뿌리부(400) 내부에 콘크리트 패드(C)가 내장되는 경우 상기 앵커볼트(A)를 통해 상기 뿌리부(400)를 콘크리트 패드(C)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앵커브래킷(436)은 뿌리부(400) 최상단에 구비된 제2상단브래킷(434)(후술에서 설명됨)과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제2상단브래킷(434)이 설치된 동일축 선상에서 벗어나는 위치에 고정 설치한다.
또한, 도 3과 같이 상기 뿌리부(400) 하단 외측의 상면 둘레를 따라 바람직하게는 네 부분에 볼트홈(420)을 형성하고, 상기 볼트홈(420)에 앵커볼트(A)를 결합하여 상기 뿌리부(400)를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게 구성한다. 이때, 상기 볼트홈(420)은 뿌리부(400)의 재질과 형상을 고려하여 최대한 자연스러운 형상으로 제조된 미장캡(425)을 장착함으로써, 볼트홈(420)을 커버한다.
이처럼, 구성되는 분재부(200)와 몸통부(300)와 뿌리부(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 결합되어 케이스(100)를 구성하는 바, 먼저 상기 분재부(200)와 몸통부(300)가 결합되는 구성에 대해 도 4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분재부(200) 하단 내측 둘레를 따라 다수(본 발명에서는 4개소)의 제1하단브래킷(232)을 고정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몸통부(300) 상단 둘레에는 분재부(200)의 하단 내측면이 견고하게 끼워질 수 있게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제1누수방지턱(330)을 돌출 형성하 고, 상기 제1누수방지턱(330) 내측 둘레를 따라 상기 제1하단브래킷(232)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상단브래킷(332)을 다수 장착하며, 볼트(B) 및 너트(N)를 통해 제1하단브래킷(232)과 제1상단브래킷(332)을 결합하여 분재부(200)와 몸통부(300)를 결합시킨다.
계속해서, 상기 몸통부(300)와 뿌리부(400)가 결합되는 구성에 대해 도 5를 통해 설명하면, 상기 몸통부(300) 하단 내측 둘레를 따라 다수(본 발명에서는 4개소)의 제2하단브래킷(334)을 고정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뿌리부(400) 상단 둘레에는 몸통부(300)의 하단 내측면이 견고하게 끼워질 수 있게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제2누수방지턱(430)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제2누수방지턱(430) 내측 둘레를 따라 상기 제2하단브래킷(334)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상단브래킷(434)을 다수 장착하며, 볼트(B) 및 너트(N)를 통해 제2하단브래킷(334)과 제2상단브래킷(434)을 결합하여 몸통부(300)와 뿌리부(400)를 결합시킨다.
여기서, 상기한 제1누수방지턱(330)과 제2누수방지턱(430)은 분재부(200)와 몸통부(300)와 뿌리부(400)를 서로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역할 이 외에, 상부로 돌출 성형되는 구조 특성상 외부로부터의 물기가 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몸통부(300)와 뿌리부(40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몸통부도어(310)와 뿌리부도어(410)가 다중 힌지조립체(500)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상기 다중 힌지조립체(500)의 구성을 도 6a, 6b, 6c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 로 살펴보면, 상기 몸통부도어(310) 또는 뿌리부도어(410)와 근접된 몸통부(300)와 뿌리부(400) 내측면 선단에 제1회전편(520)을 제1회전축(510)에 의해 힌지 결합하여, 상기 제1회전편(520)이 상기 제1회전축(51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편(520) 단부에 제2회전편(540)을 제2회전축(530)에 의해 힌지 결합하여, 상기 제2회전편(540)이 상기 제2회전축(53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제2회전편(540) 단부에 해당 도어(몸통부도어(310) 또는 뿌리부도어(410))의 내측면 일단부를 제3회전축(550)에 의해 힌지 결합하여, 상기 도어가 상기 제3회전축(55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한다. 즉, 제1,2,3회전축(510)(530)(550)이 동시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다중 힌지조립체(500)를 구성하여 대략 호 형태의 몸통부도어(310) 또는 뿌리부도어(410)를 자연스럽게 회전시켜 몸통부(300) 또는 뿌리부(400)로부터 부드럽게 개폐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상기한 다중 힌지조립체(500)의 구성 설명에서 몸통부도어(310)와 뿌리부도어(410)에 적용된 다중 힌지조립체(500)만을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계측도어(320)에 적용된 다중 힌지조립체(500) 역시 상기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 7a, 7b,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측도어(320)와 근접된 몸통부도어(310) 내측면 선단에 제1회전편(520)을 제1회전축(510)에 의해 힌지 결합하여, 상기 제1회전편(520)이 상기 제1회전축(51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제1회전편(520) 단부에 제2회전편(540)을 제2회전축(530)에 의해 힌지 결합하 여, 상기 제2회전편(540)이 상기 제2회전축(53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며, 상기 제2회전편(540) 단부에 계측도어(320)의 내측면 일단부를 제3회전축(550)에 의해 힌지 결합하여, 상기 계측도어(320)가 상기 제3회전축(55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몸통부도어(310)와 뿌리부도어(410)와 계측도어(320)에 각각 접촉되는 몸통부(300), 뿌리부(400), 몸통부도어(310) 양단에는 방수패킹(560)을 장착하여 외부로부터의 물기가 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로등이나 신호등과 같은 기구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본 발명의 소나무형 도로용 분전반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 4와 같이 분재부(200) 하단을 몸통부(300) 상단에 형성된 제1누수방지턱(330)에 끼운 후, 제1상,하단브래킷(232)(332)을 볼트(B)와 너트(N)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함으로써, 분재부(200)와 몸통부(300)를 서로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도 5와 같이 몸통부(300) 하단을 뿌리부(400) 상단에 형성된 제2누수방지턱(430)에 끼운 후, 제2상,하단브래킷(334)(434)을 볼트(B)와 너트(N)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함으로써, 몸통부(300)와 뿌리부(400)를 서로 결합시킨다.
이처럼, 분재부(200)와 몸통부(300)와 뿌리부(400)의 3단 결합을 통해 분전반을 커버하는 케이스(100)를 제조할 수 있게 되고, 도 3과 같이 상기 뿌리부(400) 하단에 형성된 볼트홈(420)에 앵커볼트(A)를 장착하게 됨으로써, 상기 케이스(100)를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100) 내부 하단에 콘크리트 패드(C)가 시공된 경우에는 상기 뿌리부(400) 내측면에 장착된 앵커브래킷(436)을 관통하여 상기 콘크리트 패드(C)에 앵커볼트(A)를 시공함으로써, 케이스(100)를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케이스(100)의 설치를 완료한 후, 케이스(100) 내부로 전기선을 인입 및 인출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뿌리부(400) 하단에 설치된 뿌리부도어(410)의 개방 작용을 통해 전기선 시공 공사를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전반의 사용 중 전기장치들의 유지보수작업은 몸통부(300)에 설치된 몸통부도어(310)를 개폐하여 수리 또는 관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분전반의 사용 중 전력량 계측은 몸통부도어(310)에 설치된 계측도어(320)를 개폐하여 수행하게 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은 뿌리부도어(410)와 몸통부도어(310)와 개폐작용은 도 6a 내지 도 6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뿌리부도어(410) 또는 몸통부도어(310)가 개방되는 경우 제1,2,3회전축(510)(530)(550)과 함께 제1,2회전편(520)(540)이 동시에 회전 작용됨으로써, 뿌리부도어(410) 또는 몸통부도어(310)를 자연스럽게 회전시켜 뿌리부(400) 또는 몸통부(300)로부터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계측도어(320)의 개폐작용 역시 도 7a 내지 도 7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계측도어(320)가 개방되는 경우 제1,2,3회전축(510)(530)(550)과 함께 제1,2회전편(520)(540)이 동시에 회전 작용됨으로써, 계측도어(320)를 자연스럽게 회전시켜 몸통부도어(310)로부터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소나무형 도로용 분전반은 케이스(100) 외측에 몸통부도어(310)와 뿌리부도어(410)와 계측도어(320)를 다중 힌지조립체(500)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분전반 유지보수, 전기선 시공공사 및 전력량 체크 작업 등을 간편하게 수행함은 물론 각각의 도어를 보다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소나무형 도로용 분전반은 케이스(100)의 형상을 노송 즉, 오래된 소나무의 형상으로 형성 및 설치함으로써, 기존의 딱딱하고 경직된 도심의 이미지를 친환경적이고 부드러운 이미지로 변모시켜 미려함을 갖추고, 도로에 심어진 가로수들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여, 도심의 환경을 가일층 향상 및 정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분전반 형상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써 소나무의 형상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분전반의 형상이 상기한 소나무의 형상으로 제한되거나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한 소나무 형상 이 외에도 친환경적이고 자연 조화적인 다른 입체물이나 다른 나무의 형상으로 제조 및 형성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을 구성함에 있어 자명한 사항에 해당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분전반을 노송의 형상으로 형성 및 설치함으로써, 기존의 딱딱하고 경직된 도심의 이미지를 친환경적이고 부드러운 이미지로 변모시켜 미려함을 갖추고, 또한 도로에 심어진 가로수들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여 도심의 환경을 가일층 향상 및 정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는, 노송을 바라보는 도시민들로 하여금 활력과 생동감을 느끼게 하여 현대인들의 정신건강 증진과 스트레스 해소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3)

  1. 가로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도로가에 설치하는 분전반에 있어서,
    상기 분전반의 외부 형상을 소나무 형상으로 형성한 케이스(100)로 커버 설치하고, 상기 케이스(100)는 분재부(200)와 몸통부(300)와 뿌리부(400)의 결합으로 구성하며, 상기 몸통부(300)와 뿌리부(400) 전면에는 몸통부도어(310)와 뿌리부도어(410)를 다중 힌지조립체(500)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무형 도로용 분전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300) 상단 둘레에는 분재부(200)의 하단 내측면이 견고하게 끼워질 수 있게 내측으로 단차진 제1누수방지턱(330)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뿌리부(400) 상단 둘레에는 몸통부(300)의 하단 내측면이 견고하게 끼워질 수 있게 내측으로 단차진 제2누수방지턱(430)을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무형 도로용 분전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재부(200) 하단 내측 둘레를 따라 다수의 제1하단브래킷(232)을 장착하고, 상기 분재부(200)와 근접되는 제1누수방지턱(330) 내측 둘레를 따라 다수의 제1상단브래킷(332)을 장착하며, 볼트(B) 및 너트(N)를 통해 제1하단브래킷(232)과 제1상단브래킷(332)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무형 도로용 분전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300) 하단 내측 둘레를 따라 다수의 제2하단브래킷(334)을 구비하고, 상기 몸통부(300)와 근접되는 제2누수방지턱(430) 내측 둘레를 따라 다수의 제2상단브래킷(434)을 장착하며, 볼트(B) 및 너트(N)를 통해 제2하단브래킷(334)과 제2상단브래킷(434)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무형 도로용 분전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뿌리부(400)의 하부 외측 둘레를 따라 다수의 볼트홈(420)을 형성하고, 상기 볼트홈(420) 상면에 미장캡(425)을 장착하여 볼트홈(420)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무형 도로용 분전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뿌리부(400) 상단의 내측 둘레를 따라 다수의 앵커브래킷(436)을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무형 도로용 분전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재부(200) 상부 일부에는 케이스(100) 내부의 습기를 조절하도록 호흡구(21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무형 도로용 분전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재부(200) 상부 일부에는 외부로부터의 원격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분전반과 연결된 안테나(22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무형 도로용 분전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도어(310) 상부에는 분전반의 전력량계기(610)에 표시되는 전력량을 체크할 수 있도록 계측도어(320)를 더 설치하고, 상기 계측도어(320)는 몸통부도어(310)와 뿌리부도어(410)에서 적용된 다중 힌지조립체(500)와 동일한 구조의 다중 힌지조립체(500)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무형 도로용 분전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도어(320) 위치에 해당하는 몸통부(300) 내측면에는 투명한 재질의 점검창(325)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무형 도로용 분전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는 FRP나 PVC 재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무형 도로용 분전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힌지조립체(500)는 몸통부도어(310), 뿌리부도어(410), 계측도어(320)와 근접된 몸통부(300), 뿌리부(400), 몸통부도어(310)의 내측면 선단에 제1회전편(520)을 제1회전축(510)에 의해 힌지 결합하고, 상기 제1회전편(520) 단부에 제2회전편(540)을 제2회전축(530)에 의해 힌지 결합하며, 상기 제2회전편(540) 단부에 상기 몸통부도어(310), 뿌리부도어(410), 계측도어(320)의 내측면 일단부를 제3회전축(550)에 의해 힌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무형 도로용 분전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도어(310), 뿌리부도어(410), 계측도어(320)와 접촉되는 몸통부(300), 뿌리부(400), 몸통부도어(310) 양단에는 방수패킹(560)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무형 도로용 분전반.
KR1020070029768A 2007-03-27 2007-03-27 소나무형 도로용 분전반 KR100815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768A KR100815253B1 (ko) 2007-03-27 2007-03-27 소나무형 도로용 분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768A KR100815253B1 (ko) 2007-03-27 2007-03-27 소나무형 도로용 분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5253B1 true KR100815253B1 (ko) 2008-03-19

Family

ID=39411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9768A KR100815253B1 (ko) 2007-03-27 2007-03-27 소나무형 도로용 분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525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9432A (en) * 1987-08-20 1989-02-23 Ricoh Kk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H0771221A (ja) * 1993-08-31 1995-03-14 Yamaha Motor Co Ltd エンジンのバランサギヤ用潤滑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9432A (en) * 1987-08-20 1989-02-23 Ricoh Kk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H0771221A (ja) * 1993-08-31 1995-03-14 Yamaha Motor Co Ltd エンジンのバランサギヤ用潤滑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49432호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0771221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3177B1 (ko) 환경친화적 가로등 전주
US20080048884A1 (en) Traffic signal transfer switch
CN102360708A (zh) 预装地埋式变电站
CN202127188U (zh) 变电站的户外开关设备
KR101787471B1 (ko) 엘이디 조경 가로등
KR100815253B1 (ko) 소나무형 도로용 분전반
CN101051733A (zh) 非金属全地埋型景观箱式变电站箱体
CN204789670U (zh) 一种紧凑型电能表计量箱
KR200396264Y1 (ko) 가로등 지주
CN209419011U (zh) 一种防雷击电气控制柜
AU2003242615A1 (en) Hazard navigation light for wind turbines
CN213546971U (zh) 一种半地埋箱式变电站
KR20090103402A (ko) 가로등 단자함 관리구의 커버가 개선된 가로등주
US9385514B2 (en) Power housing with articulating door and faceplate assembly
CN207555449U (zh) 一种rgb补光源草坪灯
CN208486426U (zh) 一种带有天花装饰的主体结构系统
CN2310399Y (zh) 翻板插座箱
CN201303212Y (zh) 住宅用电计量箱
KR100787535B1 (ko) 가로등 지주
CN201277988Y (zh) 一种电表箱
CN203722107U (zh) 一种环保型预装地埋箱变
CN201310851Y (zh) 一种地埋式路灯电缆接线装置
CN2419714Y (zh) 用电保护箱
CN203572855U (zh) 一种室外电表安装柜
CN111741573A (zh) 一款智慧路灯的设备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