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4763B1 -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위한 오디오 데이터재생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위한 오디오 데이터재생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4763B1
KR100814763B1 KR20060016929A KR20060016929A KR100814763B1 KR 100814763 B1 KR100814763 B1 KR 100814763B1 KR 20060016929 A KR20060016929 A KR 20060016929A KR 20060016929 A KR20060016929 A KR 20060016929A KR 100814763 B1 KR100814763 B1 KR 100814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data
mobile communication
audio
ringback tone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16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4756A (ko
Inventor
박성수
이동학
유재황
임종태
오세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60016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4763B1/ko
Publication of KR20070084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4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4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476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위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오디오 코덱을 이용하여 인코딩한 음원을 링백톤 대체음으로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RF 신호를 복조하여 복조 신호를 전달하는 RF 신호 처리부, 복조 신호로부터 시그널링 및 오디오 데이터를 분리하여 전달하는 채널 디코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하고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링백톤 대체음을 전달하는 응용 처리부 및 링백톤 대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며,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재생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채널 디코더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달하고, 오디오 데이터가 사용되는 서비스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데이터 수신부; 및 오디오 데이터 및 서비스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오디오 데이터가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용 오디오 데이터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재구성한 후 응용 처리부로 전달하는 코덱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추가로 오디오 코덱을 구비할 필요 없이 기 구비된 오디오 코덱으로 고품질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재생할 수 있다.
이동통신, 링백톤, 대체음, 멀티미디어, 오디오 코덱, 재구성

Description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위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Method for Reproducing Audio Data for Use in Multimedia Ring Back Tone Alternative Ser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a 및 도 2b는 다운로드형 서비스용 HE-AAC 오디오 코덱의 프레임 구조와 헤더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에서 오디오 데이터 재생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에서 오디오 코덱의 중복 적용 방지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위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 112: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
120: 이동통신망 130: 발신 무선 기지국
132: 착신 무선 기지국 140: 발신 이동통신 교환국
142: 착신 이동통신 교환국 150: 공통선 신호망
160: HLR 170: 게이트웨이
180: 음원 제공 장치 190: 음원 제공부
310: 안테나 320: RF 신호 처리부
330: 채널 디코더 340: 데이터 수신부
350: 신호 처리부 360: 응용 처리부
370: 음성 처리부 380: 표시 장치
390: 스피커 392: 추가 오디오 코덱
410: 코덱 제어부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위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통상적인 다운로드형 서비스를 위한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 구간과 오디오 구간을 구분하여 오디오 코덱으로 인코딩한 음원을 링백톤 대체음으로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추가로 오디오 코덱을 설치하지 않고 기 구비한 오디오 코덱으로 디코딩하여 재생하도록 하는 오디오 데이 터 재생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전자,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다양한 이동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가장 기본적인 무선 통신 서비스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가입자들 사이에서 무선으로 음성 통화를 수행하게 하는 음성 통화 서비스이다. 최근에는 착신자 또는 발신자가 지정한 다양한 음악, 음성 등을 착신자에게 전화를 건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대기음 즉, 링백톤으로 들려주는 소위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가 개발되어 이동통신 가입자들에게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는 착신자 또는 발신자가 지정한 대체음을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통상적으로 통화를 연결할 때 발생하는 기계적인 대기음, 예컨대, "따르릉"과 같은 단순한 소리 대신 최신 가요나 팝송 등은 물론 새소리, 물소리 등 미리 녹음해 둔 착신자 또는 발신자의 목소리까지도 링백톤 대체음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가 제공됨에 따라 발신자는 획일적이고 기계적인 링백톤을 청취하는 대신 다양한 음원의 소리를 청취함으로써 청각적인 만족감을 느낄 수 있다.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는 통상적으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시스템, WCDMA(Wideband CDMA) 시스템 등과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구현된 이동통신망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된다.
이동통신망은 통상적으로 전술한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 음성 통화의 효율과 무선 채널의 최적화를 위해 향상 가변율 코덱(EVRC: Enhanced Variable Rate Codec, 이하 'EVRC'라 칭함), 적응성 다중 비율 코덱(AMR: Adaptive Multi Rate codec, 이하 'AMR'이라 칭함)과 같은 가변 전소율의 음성 코덱(Voice Codec)을 사용한다. 음성 코덱은 발음 구간과 묵음 구간을 검출하고 적절한 코드북을 생성하며 매핑(Mapping)을 통해 최소의 비트 전소율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채널 효율을 극대화하는 데 적합하도록 설계된다.
하지만, EVRC, AMR과 같은 가변 전송률의 음성 코덱은 묵음 구간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 음악 등과 같은 음원에 대해서도 동일한 로직(Logic)을 적용하고, 구비된 음성 코드북(Code Book)을 이용하여 음원을 인코딩(Encoding)한다. 한편, 음악과 같은 음원을 음성 코드북에 매핑하여 코딩하게 되면 사람의 음성 패턴에 적합하게 음원을 인코딩하게 됨으로써 음악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패턴들을 인코딩 과정에서 무시하게 되고, 결과적으로는 코딩 오류가 발생하게 되어 음악의 품질을 저하한다. 따라서, 전술한 가변 전송률의 음성 코덱은 음악과 같은 오디오 형태의 음원을 인코딩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가변 전송률의 음성 코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음원 보정의 방식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음원을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CP: Content Provider)가 CD(Compact Disk)와 같은 고음질의 음악으로부터 음원을 추출하고 EVRC와 같은 음성 코덱에 적합하도록 음원을 수정하여 인코딩함으로써 음성 코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음원 손상을 최소화한다.
이러한 음원 보정의 방식은 EVRC 코덱의 특성을 고려한 전처리 프로세싱이나 음향 기술자의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작업들은 EVRC 코덱을 통 한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의 품질을 음성 품질의 준하는 수준으로 보완할 수 있지만,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의 품질을 고품질로 개선하는 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오디오 코덱을 이용하여 음원을 인코딩하고 링백톤 대체음을 제공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몇 가지 선행되어야 할 기술적 문제가 있다.
이러한 기술적 문제로서는 첫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채널에 적합한 오디오 코덱을 수정하여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예를 들면 CDMA 2000 시스템의 음성 채널의 경우에는 8 Kbps의 음성 채널을 사용하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시스템의 경우에는 12.3 Kbp의 음성 채널을 사용하는 데, 오디오 코덱을 음성 채널의 전송 속도에 적합하도록 조정하여 개선된 품질의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서비스 구간을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구간과 음성 통화 구간으로 구분하여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구간에서는 오디오 코덱을 적용하고 음성 통화 구간에서는 음성 코덱을 적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음원을 전송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해당 코덱으로 음원을 디코딩하여 재생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망에서 적용되는 오디오 코덱에 적합한 음원을 제작하여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정리하면, 고품질의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구간과 음성 통화 구간을 구분하여 오디오 코덱과 음성 코덱을 각 구간 에서 적절이 변경하여 적용함으로써 음원에 적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즉, 이동통신망과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또는 음성 통화 서비스 등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적응적으로 적용할 코덱을 선택하여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그러나 이제까지는 이러한 방식으로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에 대한 기술이 개발되지 않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망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할 때,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코덱으로 인코딩된 음원 즉, 오디오 코덱 음원을 디코딩하여 재생할 수 있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다운로드형 서비스를 위한 다운로드형 서비스를 위한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다운로드형 서비스는 주로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주요 응용 목표로 하고 있으며, 주문형 비디오(VOD: Video on Demand) 또는 주문형 음악(MOD: Music on Demand) 등으로 서비스가 제공된다.
하지만, 이러한 다운로드형 서비스를 위한 오디오 코덱은 통상적으로 데이터에 오류가 없음을 기본 전제로 하여 동작하기 때문에,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와 같이 저속의 고정 비트 전송률을 가지며 실시간으로 제공해야 하는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에 최적화된 코덱은 아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와 같은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무선 채널의 환경에 최적화된 형 태의 전용 디코더 또는 오디오 코덱을 적용하는 것이 필수적이지만, 이 방안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두 개의 오디오 코덱을 중복해서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통상적인 다운로드형 서비스를 위한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 구간과 오디오 구간을 구분하여 오디오 코덱으로 인코딩한 음원을 링백톤 대체음으로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추가로 오디오 코덱을 설치하지 않고 기 구비한 오디오 코덱으로 디코딩하여 재생하도록 하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오디오 코덱을 이용하여 인코딩한 음원을 링백톤 대체음으로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RF 신호를 복조하여 복조 신호를 전달하는 RF 신호 처리부, 복조 신호로부터 시그널링 및 오디오 데이터를 분리하여 전달하는 채널 디코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하고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링백톤 대체음을 전달하는 응용 처리부 및 링백톤 대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며,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재생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채널 디코더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달하고, 오디오 데이터가 사용되는 서비스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데이터 수신부; 및 오디오 데이터 및 서비스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오디오 데이터가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용 오 디오 데이터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재구성한 후 응용 처리부로 전달하는 코덱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오디오 코덱을 이용하여 인코딩한 음원을 링백톤 대체음으로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RF 신호를 복조하여 복조 신호를 전달하는 RF 신호 처리부, 복조 신호로부터 시그널링 및 오디오 데이터를 분리하여 전달하는 채널 디코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하고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링백톤 대체음을 전달하는 응용 처리부 및 링백톤 대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며,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재생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음성 채널을 통해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이터 수신부; 및 데이터 수신부로부터 음성 채널을 통해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구성한 후 디코딩하여 스피커로 전달하는 추가 오디오 코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의하면, 오디오 코덱을 이용하여 인코딩한 음원을 링백톤 대체음으로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오디오 코덱을 적용하여 디코딩한 후 재생하는 방법으로서, (a)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오디오 데이터가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용 오디오 데이터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 단계 (b)의 확인 결과, 오디오 데이터가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 용 오디오 데이터인 경우에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단계; 및 (d)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코덱으로 디코딩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이동통신망을 구현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시스템이라고 가정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단, 이러한 가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가정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동기식 이동통신 시스템 및 기타 다른 비동기식 시스템에서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무선망에서 무선 단말기로 통상적인 링백톤이 아닌 링백톤 대체음을 제공하는 데 있어서, 무선망에서 무선 단말기로 하여금 링백톤 대체음의 음원에 대한 코덱을 음성 코덱 또는 오디오 코덱으로 변경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그에 따른 음원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에서 무선 단말기가 오디오 코덱으로 인코딩된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디코딩하기 위해 추가로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용 오디오 코덱을 구비하지 않고, 기 구비한 다운로드형 서비스를 위 한 오디오 코덱으로 디코딩한다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 이동통신망(120) 및 음원 제공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는 이동통신망(120)을 이용하여 각 이동통신 단말기 상호 간에 또는 공중 교환 전화망(미도시)을 통한 일반 유선 전화기와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이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헬드 PC(Hand-Held PC),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MBS폰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제 4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핸드폰을 말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발신자의 키 조작에 따라 이동통신망(120)을 이용하여 착신자의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로 음성 통화를 요청하고, 착신자가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 즉,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에 대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 이동통신망(120)으로부터 링백톤 대체음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이동통신망(120)을 이용하여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로 음성 통화를 요청한 후 이동통신망(120)으로부터 링백톤 대체음을 수신하는 데 있어서, 링백톤 대체음의 음원이 오디오 코덱으로 인코딩된 경우, 오디오 코덱으로 변경하도록 요청하는 시그널링(Signaling) 메시지로서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DBM: Data Burst Message)를 수신하면 기본 코덱을 오디오 코덱으로 변경하고, 이동통신망(120)으로부터 수신한 음원을 오디오 코덱으로 디코딩하여 재생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이동통신망(120)으로부터 음성 코덱으로 변경하도록 요청하는 시그널링 메시지로서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수신하면, 기본 코덱을 음성 코덱으로 변경하고 변경된 음성 코덱으로 음성 통화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는 이동통신망(120)을 이용하여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통화 요청을 받는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이동통신망(120)의 페이징 요청에 따라 응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120)은 발신 무선 기지국(130), 착신 무선 기지국(132), 발신 이동통신 교환국(140), 착신 이동통신 교환국(142), 공통선 신호망(CCSN: Common Channel Signaling Network, 150),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이하 'HLR'이라 칭함, 160), 게이트웨이(170) 및 음원 제공 장치(180)를 포함하여,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및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로 음성 통화 서비스 및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이다.
여기서, 발신 무선 기지국(130) 및 착신 무선 기지국(132)은 각각 기지국(BTS: Base-station Transmission System) 및 기지국 제어기(BSC: Base Station Controller)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120)의 무선 기지국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신 무선 기지국(130)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통화 호를 요청받으면,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발신 이동통신 교환국(140) 간에 통화로를 연결하고, 발신 이동통신 교환국(140)으로부터 바이패스(Bypass) 모드로 전환하라는 트랜스코더(Transcoder) 제어 요청 메시지인 바이패스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면 바이패스 모드로 전환하여 발신 이동통신 교환국(140)으로부터 수신하는 오디오 코덱 음원을 보코더(Vocoder)를 거치지 않고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그대로 중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신 무선 기지국(130)은 발신 이동통신 교환국(140)으로부터 바이패스 모드를 해제하라는 트랜스코더 제어 요청 메시지인 바이패스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면 바이패스 모드를 해제하고 음성 통화를 위한 음성 호를 보코더를 이용하여 보코딩하고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중계한다.
발신 이동통신 교환국(140) 및 착신 이동통신 교환국(142)은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타망과의 연동 기능 등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망(120)의 이동통신 교환국으로서, 각각 HLR(160)을 이용하여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의 이동통신 가입자인 발신자, 착신자에 대한 정보 및 각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를 파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신 이동통신 교환국(140)은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음성 통화를 요청하는 통화 호를 요청받고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통화로가 연결되면, 착신 이동통신 교환국(142)과 ISUP 호 설정을 수행하고, 음원 제공 장치(180)로부터 링백톤 대체음에 대한 정보, 바이패스 모드에 대한 정보 및 제어 정보를 수신하면 링백톤 대체음이 오디오 코덱을 이용하여 인코딩된 음원 즉, 오디오 코덱 음원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발신 무선 기지국(130)을 바이패스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신 이동통신 교환국(140)은 발신 무선 기지국(130)을 바이패스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 후 발신 무선 기지국(130)을 통해 시그널링 메시지를 송신하여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하여금 오디오 코덱으로 기본 코덱을 변경하도록 제어하고, 음원 제공 장치(180)로부터 오디오 코덱 음원이 전달되면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송신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신 이동통신 교환국(140)은 착신 이동통신 교환국(140)으로부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의 응답 사실을 통보받으면, 발신 무선 기지국(130)으로 하여금 바이패스 모드를 해제하도록 제어하고,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하여금 음성 코덱으로 기본 코덱을 전환하도록 제어하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의 응답 사실을 경보 정보(Alert Information)로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통보하여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 간에 음성 통화를 수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신 이동통신 교환국(142)은 발신 이동통신 교환국(140)으로부터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에 대한 음성 통화 요청이 있음을 통보받으면, 발신 이동통신 교환국(140)과 ISUP 호 설정을 수행하고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를 페이징(Paging)하며, HLR(160)을 이용하여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가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음원 제공 장치(180)와 ISUP 호 설정을 수행하여, 음원 제공 장치(180)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코덱 음원을 발신 이동통신 교환국(140)으로 송신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신 이동통신 교환국(142)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로부터 응답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발신 이동통신 교환국(140)으로 통보하며, 음원 제공 장치(180)로부터 발신 이동통신 교환국(140)으로 송신되는 오디오 코덱 음원을 중계하고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 간의 음성 통화를 중계한다.
공통선 신호망(150)은 신호점 및 신호링크로 구성되어 ITU-T No.7 방식으로 표준화된 공통선 신호 방식을 제공하는 망(Network)을 말한다. 여기서, 공통선 신호 방식이란 신호정보 및 망관리 정보를 음성과 데이터로 분리하여, 신호 전송용으로 공통으로 사용하는 별도의 채널로 전송하는 신호 방식을 말한다.
HLR(160)은 이동통신 가입자의 가입자 정보에 관한 서비스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각 이동통신 단말기의 등록 인식, 등록 삭제, 위치 확인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각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비롯하여 단말기 식별 번호(MI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단말기 고유 번호(ESN: Electronic Serial Number),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의 가입 여부 등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 및 음원 제공 장치(180)로 라우팅(Routing)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게이트웨이(170)는 다수 개의 다른 종류 또는 같은 종류의 통신망을 상호 접속하여 통신망 간에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하는 장치로서, 프로토콜이 달라 호환되지 않는 다수 개의 통신망 또는 장치를 상호 접속하여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상호 간에 정보를 주고받도록 정보를 중계한다.
음원 제공 장치(180)는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저장하는 지능망용 IP로서,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요청받으면 음원 제공 제어 서버(194)로 음원 인증을 요청하여 음원 인증이 성공한 경우, 착신 이동통신 교환국(142)으로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송신한다. 또한, 음원 제공 장치(180)는 웹 서버(198)로부터 링백톤 대체음 음원이 전달되면 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원 제공 장치(180)는 착신 이동통신 교환국(142)과 ISUP 호 설정을 수행한 후,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에 대해 설정된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확인하여 링백톤 대체음에 대한 정보, 바이패스 모드에 대한 정보 및 제어 정보를 생성한 후 발신 이동통신 교환국(140)으로 송신하며, 오디오 코덱 음원을 착신 이동통신 교환국(142)으로 송신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원 제공 장치(180)는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에 대해 설정된 링백톤 대체음 음원이 오디오 코덱으로 인코딩된 오디오 코덱 음원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오디오 코덱 음원인 경우, 링백톤 대체 음에 대한 정보, 바이패스 모드에 대한 정보, 제어 정보 등을 생성한다.
음원 제공부(190)는 인터넷(192), 음원 제공 제어 서버(194), 가입자 DB(196) 및 웹 서버(198)를 포함하여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생성, 수신하여 오디오 코덱 또는 음성 코덱으로 인코딩하여 음원 제공 장치(180)로 제공한다.
인터넷(192)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T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및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한다.
음원 제공 제어 서버(194)는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의 제공을 제어하는 서버로서, 음원 제공 장치(180), 가입자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를 제어하여,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112)의 발신자 및 착신자에 대한 정보, 호 요청 시간에 대한 정보 등을 이용하여 음원 인증을 수행한다.
가입자 DB(196)는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음원 제공 제어 서버(194)에서 음원 인증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가입자 정보를 제공한다.
웹 서버(198)는 인터넷(192)을 통해 음원 제공 장치(180)와 음원 제공 제어 서버(194)와 연결되어, 음원 제공 장치(180)에 링백톤 대체음을 추가하고, 음원 제공 제어 서버(194)로 음원 특정에 대한 정보 즉, 발신자, 발신자 그룹, 발신 시간 등에 대한 정보 및 음원 특정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코드를 설정 및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컴퓨터 등의 사용자 단말기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한다. 이를 위해 웹 서버(198)는 웹 페이지 또는 왑 페이지 등을 사용자 단말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한다.
이와 같이, 도 1을 통해 설명한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면, 이동통신망(120)에서 통화를 요청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고품질의 오디오 코덱으로 인코딩한 음원을 제공할 수 있고,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고품질의 링백톤 대체음을 재생할 수 있다.
한편,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고품질의 링백톤 대체음을 재생하기 위해서, 오디오 코덱으로 인코딩한 음원을 디코딩해야 한다. 하지만,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운로드형 서비스를 위한 오디오 코덱을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의 하나인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의 음원을 디코딩하지 못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오디오 코덱은 주문형 비디오(VOD: Video on Demand) 또는 주문형 음악(MOD: Music on Demand) 등의 다양한 다운로드형 서비스를 위해 특화된 오디오 코덱이다. 다운로드형 응용 서비스는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망 등의 서버에 저장된 양질의 컨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컴퓨터 등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컨텐츠가 전송되는 과정 중 무선 채널상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오류는 재전송과 같은 추가적인 데이터 전송, 복구 메커니즘에 의해 수정되어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다운로드형 서비스에서 주로 사용되는 고급 오디오 부호화(AAC: Advanced Audio Codec Plus), 광대역 적응성 다중 비율 코덱(AMR-WB: Adaptive Multi Rate Codec-Wideband),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2/4 등의 오디오 코덱의 디코더는 입력되는 데이터를 중심으로 데이터를 정확히 재생하는데 중점을 두고 데이터의 오류 정정에는 큰 비중을 두지 않는다.
하지만,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또는 실시간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와 같은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에는 오디오 데이터가 이동통신 단말기까지 정확히 전달된다고 보장하기 어렵다.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의 경우 재전송 메커니즘과 같은 오류 정정을 위한 메커니즘을 실시간의 제약으로 인해 적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통상적인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의 경우에는 오류 정정을 위한 추가 코드를 생성하여 데이터와 함께 전송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오류 정정을 위한 추가 코드를 전송하게 되어 전송 효율을 위해 전송하는 데이터의 양을 줄일 필요가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다운로드형 서비스를 위한 HE-AAC 오디오 코덱의 프레임 구조와 헤더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다운로드형 서비스에서 주로 사용되는 HE-AAC(High Efficiency-Advanced Audio Codec) 오디오 코덱은 헤더와 블록 등 다수 개의 필드로 이루어져 있고, 또한, 헤더는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필드로 이루어진 오버헤드 정보를 포함한다. 이중 특정 필드의 오버헤드 정보들은 다운로드형 서비스에 특화된 정보들이다.
즉,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와 같은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에서는 오디오 데이터가 음성 통화 채널을 통해 전송되어, 프로토콜의 종류, 데이터 전송률, CRC(Cyclic Redundancy Check) 포함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필드들이 고정되어 운용되기 때문에, 이러한 정보들을 오디오 데이터 내에 포함하여 전송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러한 부가적인 필드들을 삭제하고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데이터를 포함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에서는 HE-AAC 오디오 코덱의 프레임의 헤더의 필드, 비트수, 필드값, 해당 필드에 대한 내용, 필수 또는 옵션 여부에 대해 나타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헤더에는 음성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될 경우 삭제해도 무방한 옵션 필드들이 다수 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망(120)에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음성 채널을 통해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때, 옵션 필드의 데이터들을 삭제하고 전송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정정하기 위한 추가 코드를 삽입하여 전송 효율을 향상시킨다.
단,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이러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동통신망(120)과 정해진 규칙에 의해 삭제되어 전송된 옵션 필드에 대한 데이터 즉, 삭제된 오버헤드 정보를 복구하여 오디오 프레임을 재구성하여 디코딩하고 재생할 수 있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재구성하고 오디오 코덱을 적용하여 디코딩하고 재생하는 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에서 오디오 데이터 재생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에서 오디오 데이터 재생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제공받아 오디오 코덱으로 인코딩된 음원을 수신하면 오디오 프레임을 재구성하여 디코딩한 후 출력하는 단말기로서, 도 1에서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일관성을 위해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라 칭한다.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안테나(310), RF 신호 처리부(320), 채널 디코더(330), 데이터 수신부(340), 신호 처리부(350), 응용 처리부(360), 음성 처리부(370), 표시 장치(380), 스피커(390) 및 추가 오디오 코덱(392)을 포함한다.
안테나(310)는 공기 중에서 RF 신호를 수신하여 RF 신호 처리부(320)로 전달한다. RF 신호 처리부(320)는 RF 신호를 복조하여 복조 신호를 채널 디코더(330)로 전달한다. 채널 디코더(330)는 복조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채널을 복조하고 시그널링과 데이터로 분리하여 전달한다.
데이터 수신부(340)는 시그널링을 신호 처리부(350)로 전달하고, 데이터를 응용 처리부(360), 음성 처리부(370), 오디오 코덱(392)으로 전달한다. 이때의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영상 데이터 등으로서, 음성 데이터는 음성 처리부(370)로 전달되고, 오디오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는 응용 처리부(360)로 전달 된다. 한편, 데이터 수신부(340)는 음성 채널을 통해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는 응용 처리부(360)로 전달하지 않고, 추가 오디오 코덱(392)으로 전달한다.
신호 처리부(350)는 수신한 시그널링을 분석하고 처리하여 시그널링에 따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응용 처리부(360)는 데이터 수신부(34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채널을 통해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코딩하고 스피커(390)를 통해 출력하며, 영상 데이터 등을 디코딩하여 표시 장치(380)를 통해 출력한다. 음성 처리부(370)는 데이터 수신부(340)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보코딩하여 스피커(390)를 통해 출력한다.
표시 장치(380)는 액정 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이 전달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 표시 수단이다. 스피커(390)는 음성 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 출력 수단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추가 오디오 코덱(392)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된 오디오 코덱으로서, 데이터 수신부(340)에서 음성 채널을 통해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코딩한 후, 스피커(390)를 통해 출력한다.
즉,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는 추가 오디오 코덱(392) 없이 데이터 채널을 통해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를 응용 처리부(360)에 구비된 오디오 코덱을 이용하여 디코딩한 후 출력한다. 통상적인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의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통신망(120)의 기지국(또는 기지국 제어기)에서 보코딩된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수신하여 출력하기 때문에 음성 처리부(370)를 이용하여 출력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는 링백톤 대체음으로서 오디오 코덱으로 인코딩한 오디오 코덱 음원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동통신망(120)의 기지국(또는 기지국 제어기)에서 보코딩을 하지 않고 바이패스 모드로 오디오 코덱 음원을 음성 채널을 통해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송신한다.
따라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음성 채널을 통해 수신한 오디오 코덱 음원의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해야 한다. 하지만, 도 2a 및 도 2b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에서는 오디오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삭제해도 무방한 오디오 프레임의 헤더의 오버헤드 정보를 삭제하여 전송하기 때문에,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응용 처리부 내에 구비된 오디오 코덱으로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구성하여 디코딩할 수 없다(삭제된 오버헤드 정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가 오디오 코덱(392)을 추가로 구비하여 추가 오디오 코덱(392)으로 하여금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삭제된 오버헤드 정보를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에 부가하여 오디오 프레임을 재구성한 후 디코딩한다. 여기서, 정해진 규칙이란 정책적으로 정해질 수 있다. 즉, 이동통신망(120)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때, 특정 오버헤드 정보를 삭제하도록 설정하고,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에서 삭제된 특정 오버헤드 정보를 복구하여 오디오 프레임을 재구성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동통신망(120)에 오디오 프레임을 재구성하기 위한 정보를 추가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송신할 필요는 없다. 삭제된 오버헤드 정보는 음성 채널을 통해 전송되기 때문에 고정되어 운용되어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에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로써,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음성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오디오 데이터 즉, 오디오 코덱으로 인코딩된 링백톤 대체음 음원의 오디오 프레임을 재구성하고 디코딩하여 고품질의 링백톤 대체음을 재생할 수 있다.
하지만, 도 3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추가 오디오 코덱(392)을 구비하여 오디오 코덱으로 인코딩된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디코딩한 후 재생하면, 두 개의 오디오 코덱을 중복으로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응용 처리부(260)에 다운로드형 서비스를 위한 오디오 코덱을 이미 구비한 상태에서,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위한 추가 오디오 코덱(392)을 추가로 구비하여 두 개의 오디오 코덱을 중복으로 구비해야 한다.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조 단가를 상승시키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현을 복잡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오디오 코덱을 중복으로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에서 오디오 코덱의 중복 적용 방지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에서 오 디오 코덱의 중복 적용 방지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3을 통해 설명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 중 안테나(310), RF 신호 처리부(320), 채널 디코더(330), 데이터 수신부(340), 신호 처리부(350), 응용 처리부(360), 음성 처리부(370), 표시 장치(380) 및 스피커(390)를 포함하지만, 추가 오디오 코덱(392)을 구비하지 않고 데이터 수신부(340)와 응용 처리부(360) 사이에 코덱 제어부(410)를 추가하여 응용 처리부(360)에 구비된 오디오 코덱으로 오디오 코덱 음원을 디코딩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도 3을 통해 전술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덱 제어부(410)는 데이터 수신부(340)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여기서, 오디오 데이터는 도 3을 통해 전술한 음성 채널을 통해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한다.)를 재구성함으로써 응용 처리부(360)에 구비된 오디오 코덱으로 디코딩할 수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응용 처리부(360)로 전달한다.
즉, 데이터 수신부(340)는 시그널링은 신호 처리부(350)로 송신하고, 음성 데이터는 음성 처리부(340)로 송신하며, 오디오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는 코덱 제어부(410)로 송신하고, 코덱 제어부(410)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면 오디오 데이터가 사용되는 서비스가 다운로드형 서비스인지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다운로드형 서비스인 경우에는 응용 처리부(360)로 그대로 전달하고,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와 같은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인 경우에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구성한 후 응용 처리부(360)로 전달하여 기 구비된 오디오 코덱 으로 디코딩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이때, 데이터 수신부(340)는 코덱 제어부(410)로 오디오 데이터가 사용되는 서비스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전달해야 한다.
여기서, 코덱 제어부(410)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데 있어서, 도 2a 및 도 2b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삭제된 오버헤드 정보를 복원하여 헤더 정보를 재구성하고, 무선 채널상의 오류로 인해 특정 타임 슬롯의 오류로 오디오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다수 개의 오디오 프레임 중 이전 오디오 프레임과 이후 오디오 프레임의 값을 이용하여 오류를 정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그를 위한 메모리 관리를 수행한다.
한편, 오디오 프레임의 오류를 정정하는 기능이란, 하나의 타임 슬롯의 오류로 두 개의 오디오 프레임에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통신망(120)은 오디오 데이터를 특별한 방식으로 구성하는데, 이로 인해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때 오디오 프레임을 복구하여 오류를 정정하는 것을 말한다.
즉, 이동통신망(120)은 음원을 오디오 코덱으로 인코딩한 오디오 프레임을 음원 플레이밍 작업을 수행하면, 타임 슬롯의 형태로 매핑할 때, 하나의 타임 슬롯에 오디오 프레임의 헤더 정보의 일부가 점유하고 있는 경우, 헤더 정보의 일부를 다음 타임 슬롯으로 이동시키고, 다음 타임 슬롯의 오디오 데이터 중 일부를 이전 타임 슬롯의 빈 영역으로 이동시켜 오디오 데이터를 구성하고, 타임 슬롯 단위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송신한다.
따라서, 코덱 제어부(410)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이동통신망(120)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 수신부(340)로부터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용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전송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오디오 프레임의 헤더와 오디오 데이터 간에 이동한 사실을 파악하여 오디오 프레임을 다시 재구성함으로써 오류를 정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로써, 코덱 제어부(410)는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용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를 응용 처리부(360)에서 복구할 수 있는 오디오 데이터로서 재구성하여 복구하고, 응용 처리부(360)는 코덱 제어부(410)로부터 전달된 오디오 데이터를 구비한 오디오 코덱으로 디코딩함으로써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사용자는 스피커(390)를 통해 고품질의 링백톤 대체음을 청취할 수 있다.
도 4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코덱 제어부(410)를 간편하게 설치함으로써,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추가로 오디오 코덱을 구비하지 않고도 기 구비된 다운로드형 서비스를 위한 오디오 코덱으로 고품질의 링백톤 대체음을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고품질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에 대해 설명했다. 이하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위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이동통신망(120)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면(S510),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가 다운로드형 서비스를 위한 오디오 데이터인지 또는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오디오 데이터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520).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단계 S520의 확인 결과, 오디오 데이터가 다운로드형 서비스를 위한 오디오 데이터인 경우에는 통상적인 절차에 따라 구비한 오디오 코덱을 이용하여 디코딩한 후 출력하고,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오디오 데이터인 경우에는 기 정해진 규칙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의 오디오 프레임의 헤더를 복구한다(S530). 즉, 이동통신망(120)에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오디오 데이터를 송신할 때, 오디오 코덱으로 인코딩된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음성 채널로 송신하기 때문에 오디오 프레임의 헤더 중 삭제해도 무방한 오버헤드 정보를 삭제하여 전송하기 때문에,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이동통신망(120)과의 약속에 따라 정해진 규칙에 의해 이동통신망(120)에서 삭제한 오버헤드 정보를 복구하여 오디오 프레임의 헤더를 복구함으로써 오디오 데이터를 재구성한다.
오디오 데이터의 오디오 프레임의 헤더를 복구한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오디오 데이터의 오디오 프레임 중 헤더가 이동한 프레임을 본래의 오디오 프레임으로 복구하여 오디오 프레임을 복구하여(S540), 단계 S530과 단계 S540에서 복구한 오디오 데이터를 재구성한다(S550).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이와 같이 복구된 오디오 데이터를 기 구비한 오디오 코덱으로 디코딩하고 재생함으로써 고품질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음 원을 출력한다(S56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 채널을 통해 전달되는 오디오 코덱으로 인코딩된 링백톤 대체음을 오디오 코덱으로 디코딩하여 재생함으로써, 고품질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추가로 오디오 코덱을 구비할 필요 없이 기 구비된 오디오 코덱으로 고품질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음원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음성 채널을 통해 오디오 데이터를 송신하기 때문에 전송할 필요가 없는 오버헤드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아도 되므로,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의 제공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전송되지 않은 오버헤드 정보 등의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복구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재구성할 수 있어, 이동통신 단말기가 안정적으로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무선 채널의 프레임의 오류를 보상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Claims (11)

  1. 오디오 코덱을 이용하여 인코딩한 음원을 링백톤 대체음으로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RF 신호를 복조하여 복조 신호를 전달하는 RF 신호 처리부, 상기 복조 신호로부터 시그널링 및 오디오 데이터를 분리하여 전달하는 채널 디코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하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링백톤 대체음을 전달하는 응용 처리부 및 상기 링백톤 대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재생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채널 디코더로부터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달하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사용되는 서비스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데이터 수신부;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서비스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용 오디오 데이터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오디오 프레임의 헤더의 다수 개의 오버 헤드 중에서 상기 이동통신망에서 삭제한 오버헤드 정보를 복구하도록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재구성한 후 상기 응용 처리부로 전달하는 코덱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오디오 코덱을 이용하여 인코딩한 음원을 링백톤 대체음으로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RF 신호를 복조하여 복조 신호를 전달하는 RF 신호 처리부, 상기 복조 신호로부터 시그널링 및 오디오 데이터를 분리하여 전달하는 채널 디코더, 상기 오디오 코덱을 구비하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링백톤 대체음을 전달하는 응용 처리부 및 상기 링백톤 대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재생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음성 채널을 통해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이터 수신부; 및
    상기 데이터 수신부로부터 상기 음성 채널을 통해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음성 채널을 통해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의 오디오 프레임의 헤더의 다수 개의 오버헤드 정보 중에서 상기 이동통신망에서 삭제한 오버헤드 정보를 복구하도록 재구성한 후 디코딩하여 상기 스피커로 전달하는 추가 오디오 코덱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오디오 코덱을 이용하여 인코딩한 음원을 링백톤 대체음으로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오디오 코덱을 적용하여 디코딩한 후 재생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용 오디오 데이터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의 확인 결과,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상기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용 오디오 데이터인 경우에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오디오 프레임의 헤더의 다수 개의 오버 헤드 중에서 상기 이동통신망에서 삭제한 오버헤드 정보를 복구하도록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오디오 코덱으로 디코딩하여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계 (d) 이후에,
    (e) 상기 단계 (b)의 확인 결과,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다운로드형 서비스용 오디오 데이터인 경우에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오디오 코덱으로 디코딩하여 재생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KR20060016929A 2006-02-21 2006-02-21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위한 오디오 데이터재생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14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16929A KR100814763B1 (ko) 2006-02-21 2006-02-21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위한 오디오 데이터재생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16929A KR100814763B1 (ko) 2006-02-21 2006-02-21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위한 오디오 데이터재생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4756A KR20070084756A (ko) 2007-08-27
KR100814763B1 true KR100814763B1 (ko) 2008-03-19

Family

ID=38612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16929A KR100814763B1 (ko) 2006-02-21 2006-02-21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위한 오디오 데이터재생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476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9346A (ko) * 2003-08-18 2005-03-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의 채널 코딩 적응형 음원 변환처리방법
KR20060003548A (ko) * 2004-07-06 2006-01-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04005A (ko) * 2004-07-06 2006-01-12 엠큐브웍스(주) 착신 대기음 구간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20060014594A (ko) * 2004-08-11 2006-02-16 이노에이스(주) 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의 호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9346A (ko) * 2003-08-18 2005-03-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의 채널 코딩 적응형 음원 변환처리방법
KR20060003548A (ko) * 2004-07-06 2006-01-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04005A (ko) * 2004-07-06 2006-01-12 엠큐브웍스(주) 착신 대기음 구간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20060014594A (ko) * 2004-08-11 2006-02-16 이노에이스(주) 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의 호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4756A (ko) 2007-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2510B2 (en) Terminal for multimedia ring back tone ser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JP5112447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環境におけるアナウンスメディアの処理
KR100793327B1 (ko) 지능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제공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10074769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능력에 따른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장치
JP4725803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情報提供用プログラム
KR100814763B1 (ko)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위한 오디오 데이터재생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93320B1 (ko)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에서 부가 정보를 이용한오디오 데이터 전송 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100688890B1 (ko) 멀티미디어 코덱을 이용한 링백톤 서비스 방법 및 그시스템
KR100747712B1 (ko)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위한 오디오 데이터전송 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20070084755A (ko) 지능망을 이용한 발신 중심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100786651B1 (ko) 서비스 노드 방식을 이용한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814797B1 (ko) 다중 코덱을 이용한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100866775B1 (ko)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에 따른 프리미엄 링백톤대체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848503B1 (ko) 오디오 코덱 변경을 이용한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제공방법, 시스템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38926B1 (ko)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 제공 상태에서 발신자 요청에 의해음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806198B1 (ko)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에서 음성 부가 서비스제공 방법, 시스템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101247961B1 (ko) 다중 오디오 코덱 정보 및 지능망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단말기
KR100793294B1 (ko)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링백톤대체음 서비스를 위한 오디오 프레임 생성 방법, 시스템 및장치
KR100816446B1 (ko) 플렉시블 페이징에 따른 프리미엄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07091787A1 (en) Method,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alternative multimedia ring back tone service
KR100777823B1 (ko)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 서비스에서 통화 호를 연결하는방법 및 시스템
TWI387960B (zh) 採用多媒體編解碼器之來電答鈴服務方法及系統
Lee et al. Internet Telephony Gateway Server-Software Design
JP2016163307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