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2951B1 - 케이블 접속함의 보호관 - Google Patents

케이블 접속함의 보호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2951B1
KR100812951B1 KR1020060118133A KR20060118133A KR100812951B1 KR 100812951 B1 KR100812951 B1 KR 100812951B1 KR 1020060118133 A KR1020060118133 A KR 1020060118133A KR 20060118133 A KR20060118133 A KR 20060118133A KR 100812951 B1 KR100812951 B1 KR 100812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ded wire
copper
casing
protective tub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8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성익
김성윤
김정년
안미경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8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29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2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2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6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02G15/184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covered by H02G
    • H02G2200/30Tools for installing cables comprising a spirit level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보호관은, 누설 전류를 접지하고 내부의 케이블 쉬스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는 구리 편조선 및 접지 단자가 구비된 보호관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본체부와, 구리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부의 일측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속부로 2분할 되고, 상기 접속부에는 상기 구리 편조선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보호관에 의하면, 보호관의 대부분이 알루미늄 재질인 본체부로 이루어지고, 구리 편조선의 접합을 위한 최소한의 부분만 구리 재질인 접속부로 이루어짐으로써, 보호관의 무게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편조선의 용접 접합이 쉽다.
케이블, 보호관, 편조선, 케이싱, 접지

Description

케이블 접속함의 보호관{PROTECTION CASE OF CABLE CONNECTION BOX}
도 1은 케이블 접속함의 일례를 보여주는 반단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보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관을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보호관 200: 케이싱
210: 본체부 211: 수나사부
220: 접속부 221: 암나사부
300: 편조선 400: 접지 단자
본 발명은 전력 케이블의 종단 접속함 또는 중간 접속함에서 사용되는 보호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편조선의 부착이 용이하고 무게가 가볍고 가격이 저렴한 케이블 접속함의 보호관에 관한 것이다.
송전선과 같은 초고압 또는 고압 케이블을 접속하는 접속함에는, 가공(架空) 송전선과 지중선을 상호 연결하는 이른바 '종단 접속함'과, 지상 또는 지중에서 케이블의 길이 연장을 위하여 케이블의 단부에 또 다른 케이블의 단부를 연결하는 이른바 '중간 접속함'이 있다. 예컨대, 상기 종단 접속함에는 기중 종단 접속함, 가스중 종단 접속함, 유중 종단 접속함 등이 있으며, 상기 중간 접속함에는 테이프 몰드 접속함(TMJ: Tape Molded Joint), 조립식 접속함(PJ: Prefabricated Joint) 등이 있다.
이러한 접속함에는 모두 전력 케이블의 나선(裸線) 부분을 보호하면서 누설 전류를 접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함(outer casing 또는 outer box)', '하우징', 또는 '외부함' 등으로 불리기도 하는 보호관이 구비된다. 보호관은 알루미늄이나 구리로 이루어지고, 이 보호관에는 접지를 위한 접지 단자와 내부의 케이블 쉬스(cable sheath)와 연결하기 위한 편조선이 구비된다.
첨부 도면 도 1에는 일반적인 케이블 접속함의 일례를 보여주는 반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접속함(10)은 전술한 접속함 중 기중 종단 접속함을 하나의 예로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나머지의 접속함에서도 동일한 형태의 보호관이 구비되므로, 나머지 접속함들에 대한 설명도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접속함을 설명하는 것으로 대체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케이블 접속함(10)의 내부에는 전력 케이블(11)이 통과하고 있으며, 보호관(20)은 베이스 플레이트(12)에 장착되어 내부의 전력 케이블(11)의 나선(裸線) 부분을 보호하고 있다. 접지 단자(22)는 상기 보호관(20)의 일측에 용접 등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다.
도 2는 상기한 보호관(20)에 편조선이 부착된 형태를 보여준다. 종래의 보호관(20)은, 구리로 이루어진 케이싱(21)의 단부 일측에 구리로 이루어진 편조선(30)을 부착한 형태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케이싱(21)의 일측에 구리로 이루어진 편조선(30)은 부착한 형태로 나뉜다. 편조선(30)은 브레이징(brazing), 납땜 등과 같은 용접에 의해 부착된다.
케이싱(21)을 구리 제품으로 사용하면, 편조선(30)도 구리로 이루어져서 재질이 같기 때문에 용접 접합은 용이하나, 보호관(20)의 무게가 많이 나가서 작업이 불편하고 가격이 매우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케이싱(21)을 알루미늄 제품으로 사용하면, 무게는 적게 나가나, 구리 편조선(30)과 재질이 다르기 때문에 브레이징이나 납땜에 의한 접합이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알루미늄 케이싱(21)에는 밴드나 볼팅 등에 의해 편조선(30)을 부착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는 보호관의 미관이 불량하고 접착력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무게가 가볍고 가격이 저렴하며 편조선의 부착도 용이한 케이블 접속함의 보 호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 케이블을 연결하는 케이블 접속함에서, 누설 전류를 접지하고 내부의 케이블 쉬스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는 구리 편조선과 접지 단자가 구비된 보호관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본체부와, 구리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부의 일측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속부로 2분할 되고, 상기 접속부에는 상기 구리 편조선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함의 보호관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본체부와 상기 접속부의 분리가능한 결합 구조로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접속부는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리 편조선은 상기 접속부에 용접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와 분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호관(100)은, 케이싱(200)과 구리 편조선(300) 및 접지 단자(40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케이싱(200) 은 본체부(210)와, 상기 본체부(210)의 일측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속부(220)로 2분할 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속부(220)에는 상기 구리 편조선(300)이 부착된다. 상기 구리 편조선(300)은 브레이징, 납땜 등의 용접에 의해 부착된다.
상기 본체부(210)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반면, 상기 접속부(220)는 구리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부(210)를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함에 따라 보호관(100)의 전체의 무게가 줄어들고, 상기 접속부(220)를 구리 재질로 구성함에 따라 동일 재질인 구리 편조선(300)의 용접 접합이 쉬워진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210)는 보호관(100)의 대부분을 이루도록 하고 접속부(220)는 상기 편조선(300)의 연결에 꼭 필요한 최소한의 부분만을 취하도록 하면, 보호관(100)의 무게는 작게 하고 가격은 저렴하게 하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210)와 상기 접속부(220)의 분리가능한 결합 구조는, 본체부(210)와 접속부(220)를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사 체결 방식을 사용하면 조립과 분리가 쉽고 접촉 저항도 극소화할 수 있다. 나사 방식의 체결을 위하여는,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210)의 단부에 수나사부(211)를 형성하고, 상기 접속부(220)에는 암나사부(221)를 형성하여, 상기 본체부(210)의 수나사부(211)와 상기 접속부(220)의 암나사부(221)를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수나사부(211)와 암나사부(221)의 형성 위치는 위와는 반대로 할 수도 있다. 즉, 본체부(210)의 단부에 암나사부를 형성하고, 접속부(220)에 수나사부를 형성하여 서로 나사 체결할 수도 있다.
상기 본체부(210)와 상기 접속부(220)의 분리가능한 결합 구조는, 위와 같은 나사 체결 방식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결합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램프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고, 본체부(210)와 접속부(220)를 구멍/축 끼워맞춤 방식에 의해 결합한 후 접속부(200)의 외주에서 스크류로 고정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접속함의 보호관에 의하면, 보호관은 본체부와 접속부로 2분할하여, 상기 본체부는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하면서 보호관의 대부분을 이루도록 하고, 상기 접속부는 구리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구리 편조선의 접합을 위한 최소한의 부분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보호관에 의하면, 보호관의 무게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편조선의 용접 접합이 쉬워진다. 또한, 편조선이 용접 접합되므로 미관이 우수한 보호관을 제공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1. 누설 전류를 접지하고 내부의 케이블 쉬스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는 구리 편조선 및 접지 단자가 구비된 보호관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본체부와, 구리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부의 일측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속부로 2분할 되고, 상기 접속부에는 상기 구리 편조선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함의 보호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접속부의 분리가능한 결합 구조로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접속부는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함의 보호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리 편조선은 상기 접속부에 용접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함의 보호관.
KR1020060118133A 2006-11-28 2006-11-28 케이블 접속함의 보호관 KR100812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133A KR100812951B1 (ko) 2006-11-28 2006-11-28 케이블 접속함의 보호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133A KR100812951B1 (ko) 2006-11-28 2006-11-28 케이블 접속함의 보호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2951B1 true KR100812951B1 (ko) 2008-03-11

Family

ID=39398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8133A KR100812951B1 (ko) 2006-11-28 2006-11-28 케이블 접속함의 보호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29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270B1 (ko) 2009-09-17 2010-01-28 김기문 지중매설 타입의 접속형 특고전선 지지테이블
CN102761090A (zh) * 2012-06-19 2012-10-31 江苏科耐特高压电缆附件有限公司 一种电缆终端一体式尾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544Y1 (ko) 2002-11-27 2003-03-11 삼화통신공업 주식회사 케이블의 접속부 보호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544Y1 (ko) 2002-11-27 2003-03-11 삼화통신공업 주식회사 케이블의 접속부 보호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270B1 (ko) 2009-09-17 2010-01-28 김기문 지중매설 타입의 접속형 특고전선 지지테이블
CN102761090A (zh) * 2012-06-19 2012-10-31 江苏科耐特高压电缆附件有限公司 一种电缆终端一体式尾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7877B1 (en) Electrical metallic tube, coupling, and connector apparatus and method
US6679728B1 (en) Mini BNC connector
US10734750B2 (en) Closing-body holding structure and electric wire with connector
US11670925B2 (en) Holding device for holding a shielded cable
KR100812951B1 (ko) 케이블 접속함의 보호관
EP1710867B1 (en) Watertight connector for cables
DE69611974D1 (de) Korrosionsbeständige Nabe mit Elastomerdichtung
KR200477717Y1 (ko) 분리형 컬렉트가 구비된 무선 통신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KR101289778B1 (ko) 케이블 보호관 연결구
CN205194939U (zh) 一种dc防水公母座
US9802267B2 (en) TIG torch connector with hose management and toolless assembly
CN201066726Y (zh) 一种导线连接接头
CN109546371B (zh) 一种分支电缆
US20170244232A1 (en) Snap-in cable connector
KR100950221B1 (ko) 전자기기용 시그날 케이블
KR100942049B1 (ko) 동축케이블 조립체
CN110571587B (zh) 一种适配软管的尾部附件及使用该附件的连接器
CN207638069U (zh) 一种防水接线器
CN201836560U (zh) 管道连接装置
CN205385146U (zh) 一种高防水性能射频连接器
KR200273900Y1 (ko) 플렉서블 관에 체결 가능한 화재 감지기 베이스
CN208782457U (zh) 一种电缆接头用的左侧铜外壳
CN219918294U (zh) 一种连接便捷的电缆保护管
CN215990163U (zh) 一种电力电缆头护套及护套接头组合装置
CN211655100U (zh) Hd压接线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