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1461B1 - 양변기의 자동급수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의 자동급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1461B1
KR100811461B1 KR1020060097509A KR20060097509A KR100811461B1 KR 100811461 B1 KR100811461 B1 KR 100811461B1 KR 1020060097509 A KR1020060097509 A KR 1020060097509A KR 20060097509 A KR20060097509 A KR 20060097509A KR 100811461 B1 KR100811461 B1 KR 100811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compressed air
opening
hol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7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찬복
Original Assignee
서찬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찬복 filed Critical 서찬복
Priority to KR1020060097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14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1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1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4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seat or cover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seat or cover; Raising or lowering seat and/or cover by flushing or by the flushing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24Operated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변기의 자동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양변기의 시이트와 연결되어 시이트를 탄력지지하면서 시이트에 사용자가 앉았다가 일어날 때 압축공기가 발생하게 하는 압축공기발생기와, 양변기의 저수탱크에 형성된 배수 구멍의 입구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상기 압축공기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압축공기를 전달받아 저수탱크의 배수 구멍을 온오프 시키는 개폐작동기 및, 상기 압축공기발생기와 개폐작동기를 연결하는 공기호스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압축공기 발생기는 시이트와 변기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구멍을 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개폐 작동기는 저수탱크를 변기몸체에 연결 고정설치하는 고정구멍을 통하여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양변기 급수장치는 화장실 사용자가 시이트에 앉았다가 일어서면 시이트와 연결된 압축공기 발생기가 압축공기를 발생하고, 저수탱크의 배수구멍을 개폐해 주는 개폐작동기가 압축공기 발생기에서 전달되는 압축공기와 물의 부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저수탱크의 배수구멍을 개폐시켜 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기 압축공기 발생기를 작동시키는 변기의 시이트를 적은 양으로 상하 이동시켜도 배수구멍 개폐구를 정확하게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변기의 시이트에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 발생기를 사용상의 불편함을 주지 않게 설치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양변기의 자동급수장치, 압축공기를 이용한 양변기의 자동급수장치

Description

양변기의 자동급수장치{An apparatus for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water supplying in the chamber po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자동급수장치가 양변기의 저수탱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자동급수장치가 양변기의 저수탱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자동급수장치의 압축공기발생기가 시이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자동급수장치가 설치되는 저수탱크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출구멍과 설치구멍의 배치형태를 나타낸 저수탱크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자동급수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자동급수장치가 저수탱크의 바닥면에 있을 배출구멍을 막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양변기 사용자가 시이트의 앉았다가 일어설 때,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자동급수장치의 압축공기 발생기에서 발생한 압축공기에 의해 개폐 작동기의 탄 성 압력판이 아래쪽으로 굽혀져 변형되면서 상하 작동구를 아래로 밀어 내리는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도면 7의 과정에서 상하 작동구가 배수구멍 개폐구에서 분리되어 내려감에 따라 배수구멍 개폐구가 부력에 의해 위쪽으로 들려져 올라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시이트 3 - 압축공기 발생기
5 - 저수탱크 7 - 배수구멍
9 - 개폐작동기 11 - 공기호스
13 - 변기몸체 15 - 체결볼트구멍
17 - 패킹 19 - 너트
21 - 고정볼트 23 - 고정볼트구멍
25 - 너트 27 - 너트
29 - 실린더 31 - 압축피스톤
33 - 연결플러그 35 - 피스톤 로드
37 - 스프링 39 - 나사부
41 - 상하관통구멍 43 - 필름
45 - 공기소통구멍 47 - 공기배출통로
49 - 공기통로 51 - 연결구
53 - 배수통로 55 - 고정구
57 - 잉여수 배수통로 59 - 공간부
61 - 배수구멍 개폐구 63 - 상하 작동구
65 - 케이스 67 - 연결구
69 - 공기체임버 71 - 탄성압력판
73 - 작동캡 75 - 개폐스프링
77 - 삽입구 79 - 차단패킹
81 - 작동구멍 83 - 관통구멍
85 - 결합구멍 87 - 걸림턱
89 - 패킹링 91 - 결합턱
93 - 핸드레버 95 - 와이어
96 - 배출구멍
본 발명은 양변기를 사용하고 나면 물이 자동적으로 급수 되게 한 양변기의 자동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변기의 사용자가 변기시이트에 앉았다가 일어설 때 발생하는 힘에 의해 저수탱크의 배수구멍을 막고 있는 배수구멍 마개가 개방되어 자동적으로 급수가 이루어지게 한 양변기의 자동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사용자가 걸터앉을 수 있는 시이트를 구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소정량의 물을 저장하고 있다가 용변을 본 후 저장된 물을 배출시킴으로써 오물을 함께 배출시키는 저수탱크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양변기에는 저수탱크의 한쪽에 배수레버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에는 배수레버를 수동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저수탱크의 물이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용변을 본 후 고개를 뒤로 돌려 배수레버를 작동시켜 저수탱크의 물을 배출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양변기의 사용자가 배수레버를 작동시키지 않으면 저수탱크의 물이 배수되지 않기 때문에, 어린아이나 몸이 불편한 사람 등이 용변을 본 후 배수레버를 작동시키지 않으면 용변이 배출되지 않아 화장실이나 집안에 냄새가 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용변을 본 후에 자동적으로 저수탱크의 물이 배출되게 한 장치가 특허공고 제 1996-16757호로 알려진 것이 있고, 이러한 장치 이외에도 다수개의 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양변기 자동배수장치는 대개 새로운 양변기의 구조를 요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장치를 양변기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양변기 몸체 또는 저수탱크 등에 새로운 설치구멍을 뚫어 사용하거나 새로운 구조의 양변기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양변기의 구조를 다른 형태로 바꾸거나 기존의 양변기에 다른 설치구멍을 뚫는다는 것은 설비 등의 문제로 인하여 여러 가지 불합리한 면이 있기 때문 에 실제 현장에서는 거의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기존의 일반적인 양변기에 제안된 자동급수장치를 설치할 수가 없어, 새로운 자동급수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거의 반드시 새로운 그 장치에 알맞은 새로운 양변기를 설치하여야만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출원인이 특허 출원 제 2204-27912호와 실용신안 등록 출원 제 2004-10395호 및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04-26492호로 다수건의 "양변기의 급수장치"를 제안한 바가 있다.
선 출원된 양변기의 급수장치는 기본적으로 기존의 양변기 구조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면서 설치도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으로서, 양변기의 몸체에 시이트를 설치할 때 사용하는 설치 볼트구멍과, 양변기의 몸체에 저수탱크를 고정할 때 사용하는 고정 볼트구멍을 이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발명 및 고안들에 따른 장치는 간단하게 설치할 수가 있으면서, 기본의 양변기 구조를 바꾸지 않고서도 그대로 사용할 수가 있도록 되어 있는 점에서 유익한 장치라 할 수 있다.
그런데, 먼저 고안된 장치들은 시이트의 동작이 저수탱크 속의 배수마개를 들어 올려 개방시키는 작동부에 정확하게 전달시키는 과정에서 다소 문제가 있어서 정확한 동작이 이루어지게 할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 출원인의 선 고안된 관련 장치들은 변기의 시이트가 상하로 많이 이동되어야 저수탱크의 내부에서 배수마개가 제대로 작동되어야 하므로, 시이트에 설치된 상하이동기구의 작동거리가 커야 하기 때문에 시이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 많이 들려져 있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 종래의 양변기 급수장치는 시이트에 장착된 상하이동기구를 작동시키는데 큰 힘이 필요하기 때문에 동작이 부드럽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기존의 일반적인 양변기의 구조를 변경 또는 변형시키지 않고 그대로 설치할 수 있게 하면서, 구조가 간단하고 시이트의 상하 변위거리를 작게 하여도 배수탱크의 배수마개가 원활하게 작동하게 하여 배수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양변기의 자동급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양변기의 시이트와 연결되어 시이트를 탄력지지하면서 시이트에 사용자가 앉았다가 일어날 때 압축공기가 발생하게 하는 압축공기발생기와, 양변기의 저수탱크에 형성된 배수 구멍의 입구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상기 압축공기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압축공기를 전달받아 저수탱크의 배수 구멍을 온오프 시키는 개폐작동기 및, 상기 압축공기발생기와 개폐작동기를 연결하는 공기호스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압축공기 발생기는 시이트와 변기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구멍을 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개폐 작동기는 저수탱크를 변기몸체에 연결 고정설치하는 고정구멍을 통하여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양변기 급수장치는 화장실 사용자가 시이트에 앉았다가 일어서면 시이트와 연결된 압축공기 발생기가 압축공기를 발생하고, 저수탱크의 배수구멍을 개폐해 주는 개폐작동기가 압축공기 발생기에서 전달되는 압축공기와 물의 부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저수탱크의 배수구멍을 개폐시켜 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기 압축공기 발생기를 작동시키는 변기의 시이트를 적은 양으로 상하 이동시켜도 배수구멍 개폐구를 정확하게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변기의 시이트에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 발생기를 사용상의 불편함을 주지 않게 설치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자동급수장치가 양변기의 저수탱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면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자동급수장치가 양변기의 저수탱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면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자동급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자동급수장치는, 양변기의 시이트(1)와 연결되어 상기 시이트(1)를 탄력지지하면서 시이트(1)에 사용자가 앉았다가 일어날 때 압축공기가 발생하게 하는 압축공기발생기(3)와, 양변기의 저수탱크(5)에 형성된 배수 구멍(7)의 입구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상기 압축공기 발생기(3)에서 발생하는 압축공기를 전달받아 저수탱크(5)의 배수 구멍(7)을 온오프 시키는 개폐작동기(9) 및, 상기 압축공기발생기(3)와 배수 구멍 개폐작동기(9)를 연결하는 공기호스(11)로 이루어진다.
상기 압축공기 발생기(3)는 도면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이트(1)와 변기 몸체(13)를 결합하는 체결볼트구멍(15)을 통하여 시이트(1)와 체결되는데, 시이트(1)의 양쪽에 본 발명에 따른 압축 공기발생기(3)를 설치하여 사이트(1)의 좌우 균형이 유지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수 구멍 개폐작동기(9)는 도면 2와 도면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수탱크(5)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구멍(7)에 삽입되어 패킹(17)과 너트(19)에 의해 고정체결되며, 상기 압축공기 발생기(3)와 개폐 작동기(9)를 연결하는 공기호스(11)는 저수탱크(5)와 변기몸체(13)를 고정체결하는 고정볼트(21)가 삽입되는 2개의 구멍 중의 한쪽 고정볼트구멍(23)을 통하여 관통된 다음 별도의 너트(25)에 의해 체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일반적인 양변기의 구조에서 별도의 설치구멍을 형성시키거나 별도의 설치기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변기 또는 일반적인 변기에 그대로 적용하여 설치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 발생기(3)는 도면 5에서부터 도면 8에 까지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몸체(3)의 볼트체결구멍(15)을 통하여 삽입되어 너트(27)에 의해 고정 체결되는 압축 실린더(29)와, 상기 실린더(29) 속에 내장되어 상하로 이동하면서 공기를 압축 및 배출하는 압축피스톤(31), 상기 압축피스톤(31)이 연결플러그(33)를 통하여 시이트(1)와 연결되는 피스톤 로드(35), 상기 압축실린더(29) 속에서 압축 피스톤(31)을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37)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압축실린더(29)는 압축 피스톤(31)과 스프링(37)이 내장되는 실린더 케이스(29a)와, 상기 실린더 케이스(29a)의 상단에 나사 결합하면서 피스톤 로드(35)가 관통삽입되는 구멍을 갖추고 실린더케이스(29a)의 상단을 밀폐시켜 주는 실린더 헤드(29b)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린더 헤드(29b)의 상단에 변기 몸체(13)의 체결볼트구멍(15) 속으로 끼워 너트(27)로 체결시켜 주기 위한 나사부(39)가 갖추어져 있다.
상기 압축 피스톤(31)에는 공기가 소통할 수 있는 다수개의 상하 관통구멍(41)이 형성되어 있고, 압축 피스톤(31)의 윗면에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얇은 필름(43)이 설치되어, 상기 필름(43)이 상하 관통구멍(41)을 선택적으로 차단해 주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 로드(35)는 속이 빈 파이프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그 하단이 피스톤(31)을 관통하여 아래쪽으로 연장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 로드(35)의 상단에 끼워지는 연결플러그(33)와 피스톤 로드(35) 사이에는 도면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소통통로(45)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실린더 케이스(29a)의 상단에는 공기호스(11)와 연결되어 개폐 작동기(9)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배출통로(47)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압축공기 발생기(3)는 상기 압축 피스톤(31)이 아래로 이동할 때는 피스톤(31)의 아래쪽에 있던 실린더케이스(29a) 내부의 공기가 관통구멍(41)을 통하여 위쪽으로 올라가면서 필름(43)을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위쪽으로 밀어 올려 피스톤(31)의 위쪽으로 빠져나가게 하고, 이와 반대로 압축피스톤(31)이 위쪽으로 이동할 때는 필름(43)이 피스톤(31)에 달라붙어 공기가 피스톤(31) 위쪽의 공기가 상기 관통구멍(41)을 통하여 아래쪽으로 내려가지 못하게 한다.
그 대신에, 상기 피스톤(31)이 위쪽으로 올라갈 때는 피스톤(31)과 실린더 헤드(29b) 사이의 공기를 압축시키면서, 압축된 공기를 공기배출통로(47)를 통하여 공기호스(11) 속으로 밀어내 보내게 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31)이 위쪽으로 올라갈 때 상기 피스톤 로드(35)와 연결플러그(33)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소통통로(45)와 피스톤 로드(35)의 내부 공기통로(49)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피스톤(31) 아래쪽의 실린더 케이스(29a) 속으로 주입되게 함으로써, 피스톤(31)이 위쪽으로 올라오는데 부압(負壓)에 의한 저항을 받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결 플러그(33)에 형성된 공기소통로(45)속으로 공기가 주입될 수 있는 것은 연결 플러그(33)의 상단부가 십자형 기둥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하여 공기 소통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압축공기 발생기(3)에서 상기 피스톤(31)에 형성된 상하 관통구멍(41)과 필름(43)은 공기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체크밸브(check valve)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 로드(35)의 상단에 삽입 연결된 연결플러그(33)는 시이트(1)에 구비된 연결구(51)에 끼워져 결합되는데,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압축공기발생기(3)가 연결플러그(33)를 통하여 변기의 시이트(1)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변기 시이트(1)에 사용자가 앉을 때는 피스톤 로드(35)와 연결된 피스톤(31)이 스프 링(37)을 압축시키면서 아래쪽으로 내려가게 되는데,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피스톤(31)이 아래쪽으로 내려갈 때는 실린더 케이스(29a)의 피스톤(31) 아래쪽에 있는 공기가 피스톤(31)에 관통형성된 상하 관통구멍(41)을 통하여 올라가면서 필름(43)을 젖히고 피스톤(31)의 위쪽에 모이게 된다.
그 다음, 변기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에 시이트(1)에서 일어나면, 압축되어 있는 스프링(3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피스톤(31)이 위쪽으로 밀려져 올라가게 되는데, 이렇게 피스톤(31)이 위쪽으로 밀려져 올라가면 피스톤(31)과 실린더 헤드(29b) 사이의 공기가 압축되면서 공기배출통로(47)를 통하여 공기호스(11) 속으로 주입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압축 공기발생기(3)는 변기의 사용자가 시이트(1)에 앉을 때는 압축공기가 발생하지 않고, 변기를 사용한 후에 시이트(1)에서 일어나면 자동적으로 압축공기가 발생하여 개폐작동기(9)를 작동시키기 위한 압축공기를 공기호스(11) 속으로 주입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압축 공기발생기(3)에서 압축 공기를 전달받아 작동하는 개폐작동기(9)는 도면 5와 도면 8 내지 도면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저수탱크(5)의 밑바닥에 형성된 배수구멍(7)에 결합되고 중앙에 배수통로(53)가 형성된 고정구(55)와, 상기 고정구(55)의 측면에 연장 형성되어 저수탱크(5)에 공급되는 잉여수를 배수하기 위한 잉여수 배수통로(57), 상기 고정구(55)의 배수통로(53)를 개폐하면서 측벽에 물의 부력을 받는 공간부(59)를 갖춘 배수구멍 개폐구(61), 상기 배수구멍 개폐구(61)의 중앙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배수구멍 개폐구(61) 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상하 작동구(63), 상기 배수구멍 개폐구(61)의 상하 작동을 안내하는 케이스(65), 상기 케이스(65)의 상단에 결합되어 공기호스(11)와 연결되는 연결구(67), 상기 연결구(67)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체임버(69)를 형성시켜 줌과 더불어 상기 압축공기발생기(3)에서 공기호스(11)를 통하여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탄성적으로 상하로 접혀지면서 이동하는 탄성압력판(71), 상기 탄성압력판(71)과 직접 접촉하고 하단에 상기 상하 작동구(63)가 연결되는 작동캡(73) 및, 상기 작동캡(73)과 케이스(65) 사이에 설치되어 작동캡(73)을 탄성적으로 지지해 주는 개폐 스프링(75)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배수 구멍 개폐구(61)의 선단에는 상기 고정구(55)의 배수통로(53) 속으로 삽입되어 배수통로(53)를 개폐시키는 삽입구(77)가 끼워져 결합되어 있고, 상기 삽입구(77)에는 배수통로(53)를 선택적으로 차단해 주는 차단패킹(79)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삽입구(77)에는 상하 작동구(63)가 끼워지는 작동구멍(8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작동구멍(81)을 통하여 상하 작동구(63)가 아래쪽에서 끼워져 배수구멍개폐구(61)에 형성된 관통구멍(83)과 케이스(65)에 형성된 결합구멍(85)을 거쳐 작동캡(73)과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캡(73)과 케이스(65)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7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상하 작동구(63)가 항상 위쪽으로 올라가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상하작동구(63)의 하단에는 반경의 바깥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8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턱(87)에는 삽입구(77)의 작동구멍(81)을 차단 하여 상기 배수구멍 개폐구(61)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주기 위한 패킹링(89)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구(77)와 결합되어 있는 배수구멍 개폐구(61)는 상기 상하 작동구(63)가 작동캡(73)과 결합할 때, 상기 걸림턱(87)에 걸려져 케이스(65) 속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케이스(65)의 상단은 연결구(67)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65)의 하단은 고정구(55)의 배수통로(53) 주변에 형성된 다수개의 결합턱(91)에 스냅식으로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고정구(55)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저수탱크(5)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구멍(7)에 너트(19)를 사용하여 누수가 되지 않게 단단하게 체결된다.
한편, 상기 상하 작동구(63)가 개폐 스프링(75)의 탄력에 의해 위쪽으로 밀어 부쳐져 있는 상태일 때는, 상하 작동구(63)의 선단에 돌출설치된 걸림턱(87)과 상기 걸림턱(87)에 걸려져 있는 패킹링(89)이 배수구멍 개폐구(61)에 형성된 관통구멍(83)의 입구(83a)를 차단하여 배수구멍 개폐구(61)의 내부공간(83a)과 상기 케이스(65)의 상단 내부(65a)를 모두 진공상태가 되도록 만들어 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구(67)와 케이스(65)를 결합할 때 그 결합부를 통하고 공기가 소통되지 않게 하기 위해 기밀상태를 유지하도록 결합시켜 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배수구멍 개폐작동기(9)는 상기 저수탱크(5)에 물이 가득 채워져 있으면, 상기 삽입구(77)와 이 삽입구(77)에 결합되어 있는 차단패킹(79)이 배수통로(53)를 차단하여 저수탱크(5)의 내부에 채워져 있는 물이 빠져나가지 않게 해 준다.
이렇게 저수탱크(5) 속에 물이 채워져 있을 때는, 저수탱(5)의 물이 상기 배수구멍 개폐구(61)의 벽체에 형성된 공간부(59)속으로 들어가 배수구멍 개폐구(61)에 부력을 가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공기 발생기(3)에 의해 압축공기가 공급되지 않은 상태, 즉 변기를 사용하지 않거나, 변기 사용자가 변기의 시이트(1)에 앉았다가 일어서지 않은 상태일 경우에는, 상기 상하 작동구(63)가 개폐스프링(75)의 힘에 의해 위쪽으로 올라가서 걸림턱(87)과 패킹링(89)에 의해 배수구멍 개폐구(61)의 입구(83a)를 막아 주고 있는 상태이므로, 배수구멍 개폐구(61)의 내부공간(61a)과 상기 케이스(65)의 상단 내부공간(65a)이 진공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배수구멍 개폐구(61)가 외부의 공간부(59)에 의해 물의 부력을 받고 있어도, 상기 배수구멍 개폐구(61)의 내부공간(61a)이 진공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배수구멍 개폐구(61)가 움직이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변기를 사용하지 않거나 상기 시이트(1)가 작동하여 압축공기 발생기(3)에서 압축공기가 개폐 작동기(9)로 전달되어 오지 않으면, 도면 8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저수탱크(5)의 물은 배수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게 된다.
이때, 상기 압축공기 발생기(3)의 압축피스톤(31)은 스프링(37)의 힘에 의해 제일 상사점의 위치에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변기의 사용자가 시이트(1)에 앉았다가 일어서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압축공기 발생기(3)의 압축피스톤(31)이 아래쪽으로 내려갔다가 올라오면서 생성시킨 압축공기가 상기 공기체임버(69)로 주입되어 탄성압력판(71)을 아래 방향으로 밀어 주게 된다.
이러한 압력탄성판(71)은 고무재질 또는 기타 다른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져 본래의 형태로 쉽게 복원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그리고, 도면 9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탄성 압력판(71)이 아래쪽으로 밀려져 내려오면, 작동캡(73)이 개폐스프링(75)을 압축시키면서 아래로 내려오게 되고, 상기 작동캡(73)과 결합되어 있는 상하 작동구(63)도 아래로 내려오게 된다.
상기 상하 작동구(63)가 아래쪽으로 내려오면 상하 작동구(63)의 걸림턱(87)과 패킹링(89)이 배수통로 개폐구(61)의 입구(83a)에서 떨어지게 되고, 이 순간 배수통로 개폐구(61)의 내부공간(61a)이 진공상태에서 해제되므로, 상기 배수통로 개폐구(61)의 벽체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부(59)에 작용하는 물의 부력에 의해 배수통로 개폐구(61)가 위쪽으로 가볍게 떠오르게 된다.
도면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수통로 개폐구(61)가 위쪽으로 떠오르면, 상기 삽입구(77)의 차단패킹(79)이 배수통로(53)에서 떨어지게 되므로 저수탱크(5)에 채워져 있던 물이 케이스(65)의 아래쪽에 형성된 배출구멍(96)을 통하여 화살표의 방향을 따라 들어와 배수통로(53)를 빠져 나가 변기로 유입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통로 개폐구(61)는 자체의 무게의 의해 저수탱크(5)의 물이 배수통로(53)를 통하여 빠져나감에 따라 점진적으로 아래로 내려와 다시 삽입구(77)의 차단패킹(79)이 배수통로(53)를 막아주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기 배수통로(53)를 개폐하는 배수통로 개폐구(61)가 압축공기 발생기(3)에 의해 발생하는 압축공기에 의해 작동하면서, 저수탱크(5)의 물이 자동으로 배수 되게 하는 것인 바, 만약 상기 압축공기 발생기(3) 또는 개폐작동기(9)에 문제가 발생하여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변기에서와 같이 핸드레버(93)를 작동시켜 배수가 이루어지게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상하작동구(63)의 하단 또는 배수구멍 개폐구(61)의 상단에 와이어(95)를 연결하여 수동으로 배수작업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양변기의 저수탱크(5)에 채워져 있는 물의 배수작동을 제어하는 개폐작동기(9)가 배수구멍 개폐구(61)가 물의 부력과 상기 시이트(1)의 후단에 설치한 압축공기 발생기(3)에서 발생하는 압축공기에 의해 작동하게 되어 있으므로, 시이트(1)에서 소량의 비교적 낮은 압력의 압축공기만을 발생시켜도 개폐 작동기(9)의 배수구멍 개폐구(61)를 개방작동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시이트(1)와 연결된 압축공기 발생기(3)의 변위량을 크게 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가 착석하는 시이트(1)에 설치하기가 용 이하고 정확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8)

  1. 삭제
  2. 양변기의 시이트(1)와 연결되어 상기 시이트(1)를 탄력지지하면서 시이트(1)에 사용자가 앉았다가 일어날 때 압축공기가 발생하게 하는 압축공기발생기(3)와; 양변기의 저수탱크(5)에 형성된 배수 구멍(7)의 입구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상기 압축공기 발생기(3)에서 발생하는 압축공기를 전달받아 저수탱크(5)의 배수 구멍(7)을 온오프 시키는 개폐작동기(9) 및; 상기 압축공기발생기(3)와 배수 구멍 개폐작동기(9)를 연결하는 공기호스(11)를 갖추어 이루어진 자동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발생기(3)는 변기 몸체(3)의 볼트체결구멍(15)를 통하여 삽입되어 너트(27)에 의해 고정 체결되는 압축 실린더(29)와, 상기 실린더(29)속에 내장되어 상하로 이동하면서 공기를 압축 및 배출하는 압축피스톤(31), 상기 압축피스톤(31)을 연결플러그(33)를 통하여 시이트(1)와 연결하는 피스톤로드(35) 및, 상기 압축실린더(29)속에서 압축 피스톤(31)을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37)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자동급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실린더(29)는 압축 피스톤(31)과 스프링(37)이 내장되는 실린더 케이스(29a)와, 상기 실린더 케이스(29a)의 상단에 나사 결합되면 서 피스톤 로드(35)가 관통삽입되는 구멍을 갖추고 실린더케이스(29a)의 상단을 밀폐시켜 주는 실린더 헤드(29b)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린더헤드(29b)의 상단에 변기몸체(13)의 체결볼트구멍(15) 속으로 끼워 너트(27)로 체결시켜 주기 위한 나사부(39)가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자동급수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피스톤(31)에는 공기가 소통할 수 있는 다수개의 상하 관통구멍(41)이 형성되어 있고, 압축 피스톤(31)의 윗면에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얇은 필름(43)이 설치되어, 상기 필름(43)이 상하 관통구멍(41)을 선택적으로 차단해 주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자동급수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로드(35)는 속이 빈 파이프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그 하단이 피스톤(31)을 관통하여 아래쪽으로 연장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 로드(35)의 상단에 끼워지는 연결플러그(33)와 피스톤로드(35) 사이에 공기소통통로(45)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실린더 케이스(29a)의 상단에는 공기호스(11)와 연결되어 개폐 작동기(9)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배출통로(4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자동급수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탱크(5)의 배수 구멍(7)을 온오프 시키는 개폐작동기(9)가 저수탱크(5)의 밑바닥에 형성된 배수구멍(7)에 결합되고 중앙에 배수통로(53)가 형성된 고정구(55)와, 상기 고정구(55)의 측면에 연장 형성되어 저수탱크(5)에 공급되는 잉여수를 배수하기 위한 잉여수 배수통로(57), 상기 고정구(55)의 배수통로(53)를 개폐하면서 측벽에 물의 부력을 받는 공간부(59)를 갖춘 배수구멍 개폐구(61), 상기 배수구멍 개폐구(61)의 중앙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배수구멍 개폐구(61)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상하 작동구(63), 상기 배수구멍 개폐구(61)의 상하 작동을 안내하는 케이스(65), 상기 케이스(65)의 상단에 결합되어 공기호스(11)와 연결되는 연결구(67), 상기 연결구(67)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체임버(69)를 형성시켜 줌과 더불어 상기 압축공기발생기(3)에서 공기호스(11)를 통하여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탄성적으로 상하로 접혀지면서 이동하는 탄성압력판(71), 상기 탄성압력판(71)과 직접 접촉하고 하단에 상기 상하 작동구(63)가 연결되는 작동캡(73) 및, 상기 작동캡(73)과 케이스(65) 사이에 설치되어 작동캡(73)을 탄성적으로 지지해 주는 개폐 스프링(7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자동급수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구멍 개폐구(61)의 선단에 상기 고정구(55)의 배수통로(53) 속으로 삽입되어 배수통로(53)를 개폐시키는 삽입구(77)가 끼워져 결 합되어 있고, 상기 삽입구(77)에는 배수통로(53)를 선택적으로 차단해 주는 차단패킹(79)이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삽입구(77)에 상하 작동구(63)가 끼워지는 작동구멍(8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구멍(81)을 통하여 상하 작동구(63)가 아래쪽에서 끼워져 배수구멍개폐구(61)에 형성된 관통구멍(83)과 케이스(65)에 형성된 결합구멍(85)을 거쳐 작동캡(73)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자동급수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작동구(63)의 하단에 반경의 바깥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8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턱(87)에는 삽입구(77)의 작동구멍(81)을 차단하여 상기 배수구멍 개폐구(61)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주기 위한 패킹링(87)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65)의 상단이 연결구(67)에 끼워져 결합되어 있는 한편, 상기 케이스(65)의 하단이 고정구(55)의 배수통로(53) 주변에 형성된 다수개의 결합턱(91)에 스냅식으로 끼워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자동급수장치.
KR1020060097509A 2006-10-04 2006-10-04 양변기의 자동급수장치 KR100811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7509A KR100811461B1 (ko) 2006-10-04 2006-10-04 양변기의 자동급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7509A KR100811461B1 (ko) 2006-10-04 2006-10-04 양변기의 자동급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1461B1 true KR100811461B1 (ko) 2008-03-10

Family

ID=39398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7509A KR100811461B1 (ko) 2006-10-04 2006-10-04 양변기의 자동급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1461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2419A2 (ko) * 2008-05-19 2009-11-26 주식회사 자동물내림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KR100960156B1 (ko) * 2008-04-18 2010-05-28 주식회사 에이에프 공기압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KR100965634B1 (ko) 2008-04-12 2010-06-23 서찬복 양변기의 자동급수장치
KR101023764B1 (ko) * 2008-10-31 2011-03-21 주식회사 에이에프 인체감지유닛을 이용한 후레쉬밸브 직수형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KR200452788Y1 (ko) 2008-10-31 2011-03-21 조섭동 양변기용 자동급수장치
KR101236398B1 (ko) 2011-02-15 2013-02-22 김경훈 자동 및 수동 겸용 매립형 양변기 세척시스템
KR101251034B1 (ko) 2012-10-08 2013-04-05 (주)빅하우스 양변기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장치
WO2015012543A1 (ko) * 2013-07-25 2015-01-29 Shin Dong Hwa 무전원으로 좌변기를 자동 세척하는 세척기
WO2015034221A1 (ko) * 2013-09-03 2015-03-12 Lee Dong Jin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의 조절부
WO2022259285A1 (en) * 2021-06-08 2022-12-15 Jord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 toilet flushing system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634B1 (ko) 2008-04-12 2010-06-23 서찬복 양변기의 자동급수장치
KR100960156B1 (ko) * 2008-04-18 2010-05-28 주식회사 에이에프 공기압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WO2009142419A2 (ko) * 2008-05-19 2009-11-26 주식회사 자동물내림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WO2009142419A3 (ko) * 2008-05-19 2010-03-25 주식회사 자동물내림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KR101023764B1 (ko) * 2008-10-31 2011-03-21 주식회사 에이에프 인체감지유닛을 이용한 후레쉬밸브 직수형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KR200452788Y1 (ko) 2008-10-31 2011-03-21 조섭동 양변기용 자동급수장치
KR101236398B1 (ko) 2011-02-15 2013-02-22 김경훈 자동 및 수동 겸용 매립형 양변기 세척시스템
KR101251034B1 (ko) 2012-10-08 2013-04-05 (주)빅하우스 양변기용 무전원 자동 물내림장치
WO2015012543A1 (ko) * 2013-07-25 2015-01-29 Shin Dong Hwa 무전원으로 좌변기를 자동 세척하는 세척기
US10030375B2 (en) 2013-07-25 2018-07-24 Dong Hwa SHIN Washer for automatically washing toilet without power
WO2015034221A1 (ko) * 2013-09-03 2015-03-12 Lee Dong Jin 인체하중만으로 공기 배출 및 흡입 제어기능을 구비한 무전원 자동 물내림 변좌시트의 조절부
US10053848B2 (en) 2013-09-03 2018-08-21 Dong Jin Lee Adjustment unit of unpowered automatic water flushing toilet bowl seat having function of controlling air discharge and intake only by body weight
WO2022259285A1 (en) * 2021-06-08 2022-12-15 Jord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 toilet flush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1461B1 (ko) 양변기의 자동급수장치
KR100965634B1 (ko) 양변기의 자동급수장치
US4600031A (en) Ball cock and float assembly
US8151378B2 (en) Pressure flushing device
CN110439073B (zh) 一种压力式冲水系统及坐便器
EP1554440A1 (en) Water savable flush toilet
AU2005285716B2 (en) Passively discharging and water-saving toilet bowl
KR100930420B1 (ko) 양변기의 배수제어장치
US20100287692A1 (en) Water conserving toilet
CN105926735A (zh) 一种利用压力差排水的水箱排水装置
KR100798661B1 (ko) 절수형 양변기
KR100767287B1 (ko) 양변기용 냄새제거장치
US6457187B1 (en) Pressurized water closet flushing system
KR20160145392A (ko) 전자제어 양변기 및 비데 일체형 양변기용 배수밸브장치
KR20120051326A (ko) 자동배수제어 양변기의 수동제어장치
CN206346293U (zh) 射流筒
KR920002369Y1 (ko) 좌변기용의 물배출장치
EP2089582A1 (en) Water savable toilet
KR20040086075A (ko) 절수형 양변기
KR101488523B1 (ko) 양변기의 배수처리장치
KR101553350B1 (ko) 양변기의 자동배수장치
KR101522246B1 (ko) 물탱크에 구비되는 무전원 밸브
KR101019966B1 (ko) 냄새흡입 장치가 설치된 양변기
KR200211470Y1 (ko) 양변기 절수장치
CN218647351U (zh) 一种水箱水槽出水控制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