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0623B1 - 정보 처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0623B1
KR100810623B1 KR1020060045374A KR20060045374A KR100810623B1 KR 100810623 B1 KR100810623 B1 KR 100810623B1 KR 1020060045374 A KR1020060045374 A KR 1020060045374A KR 20060045374 A KR20060045374 A KR 20060045374A KR 100810623 B1 KR100810623 B1 KR 100810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fid
tag
custom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5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1926A (ko
Inventor
박동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골든오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골든오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골든오일
Priority to KR1020060045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0623B1/ko
Publication of KR20070111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1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5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 G06K19/07762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the adhering arrangement making the record carrier wearable, e.g. having the form of a ring, watch, glove or bracel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0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 처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처리방법은, 소정의 정보 입력/수신수단에서 고객(또는 상기 고객의 보호 대상)에게 발급(또는 판매)되는 매체에 구비된 태그 고유정보와 상기 고객 무선 단말 고유 정보를 입력 및/또는 수신하는 단계와, 소정의 정보 저장수단에서 상기 입력 및/또는 수신된 태그 고유정보와 상기 고객 무선 단말 고유 정보를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 관리하는 단계와, 소정의 정보 수신수단에서 상기 고객 무선 단말(또는 제2단말)로부터 상기 매체에 구비된 태그(또는 태그 구비 대상) 분실 신고 및/또는 검출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소정의 정보 확인수단에서 상기 저장매체(또는 저장매체 운용수단)와 연계하여, 상기 분실 신고 및/또는 검출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 단말 고유 정보와 연계 처리되어 기 저장된 태그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소정의 정보 처리수단에서 상기 확인된 태그 고유정보를 태그 리더 수단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 또는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태그, 고유정보

Description

정보 처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RFID 정보 처리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RFID 정보 운용을 위한 RFID 단말장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라 RFID 단말장치에 구비되는 RFID 리더부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와 도 4b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RFID 코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분실신고된 태그 고유정보를 RFID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분실신고된 태그 고유정보를 RFID 단말장치를 통해 검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서버(또는 장치) 105 : 정보 수신부
110 : 정보 저장/관리부 115 : 정보 처리부
120 : 정보 확인부 125 : 저장매체
200 : RFID 단말장치 205 : 제어부
210 : 사운드 처리부 215 : 화면 출력부
220 : 키 입력부 225 : 통신부
230 : 전원 공급부 235 : 메모리부
240 : RFID 리더부 245 : 카메라부
본 발명은 놀이공원(또는 전시장 또는 박람회장) 등에서 제공하는 자유이용권(예컨대, 고객이 착용 또는 부착 또는 소지 가능한 매체 등)에 포함되며, 소정의 RFID 코드를 구비한 RFID 태그와, 소정의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RFID 태그에 저장된 RFID 코드와 상기 RFID 태그가 포함된 자유이용권 등을 소지하는 고객(예컨대, 부모 등)의 무선 단말기 번호를 제공받아 상기 제공된 RFID 코드와 무선 단말기 번호를 연계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며, 상기 고객으로부터 상기 RFID 태그가 포함된 자유이용권을 소지한 자녀 고객에 대한 미아 신고가 접수되면, 상기 부모 고객 무선 단말기 번호와 연계되어 저장된 상기 RFID 코드를 분실 정보로 등록하고, 소정의 RFID 태그로부터 고유정보(예컨대, RFID 코드)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망 및/또는 무선망을 통해 네트워크 상의 서버로 제공하는 RFID 단말장 치(또는 RFID 리더기)와 연동하여 상기 분실 정보로 등록된 RFID 코드가 검출되는지 확인하여, 상기 분실 정보로 등록된 RFID 코드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RFID 코드와 연계되어 저장된 부모 고객 무선 단말기로 상기 RFID 코드를 검출한 RFID 단말장치(또는 RFID 리더기)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서버(또는 장치) 및 상기 서버(또는 장치)와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소정의 RFID 태그로부터 검출되는 RFID 코드를 상기 서버(또는 장치)로 전송하는 RFID 단말장치(또는 RFID 리더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운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상품에 부착하는 태그(Tag)에 상품정보(예컨대, EPC(Electronic Product Code))를 포함하는 소정의 태그정보를 저장하고, 소정의 RFID 리더기(Reader)로 하여금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정보를 읽고, 정보통신기술에 기반하는 소정의 정보시스템 및/또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계하여 상기 태그정보를 판독 및 가공하여 소정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장치 및/또는 시스템의 총칭이다.
일반적으로 RFID는 무선 송수신이 가능한 무선 칩과 무선 주파수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무선 칩에 고정된 ID정보를 RFID 태그정보로서 저장하는 트랜스폰더(Transponder)에 해당하는 RFID 태그와, 소정의 무선 주파수를 통해 상기 RFID 태그로 전원을 공급 및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송신되는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와 소정의 신호 수신모듈을 구비한 RFID 리더기 및/또는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수신된 RFID 태그정보를 판독하는 RFID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RFID 단말기와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연계하여 상기 RFID 태그정보에 대응하는 정보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예컨대, ONS(Object Name Server)/OIS(Object Information Serve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RFID 기술은 물류관리나 유통 등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사람이나 사물의 위치추적에 이용되고 있다.
한편, 놀이공원이나 유원지, 해수욕장 등에서 해마다 발생하고 있는 미아들을 찾기는 쉽지 않은 실정이다. 거의 대부분의 경우, 별도의 미아보호소 등을 운영하여 설치하고 있지만, 제한된 인력으로 수많은 인파속에서 특정 미아를 찾기에는 역부족이다.
따라서, 제한된 인력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미아 발생 이전에, 미아 발생에 대한 철저한 준비를 요하여, 미아가 발생하더라도 손쉽게 찾을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객(또는 상기 고객의 보호 대상)에게 발급(또는 판매)되는 매체에 구비된 태그 고유정보와 상기 고객 무선 단말 고유 정보를 입력 및/또는 수신하고, 상기 입력 및/또는 수신된 태그 고유정보와 상기 고객 무선 단말 고유 정보를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 관리하여, 상기 고객 무선 단말(또는 제2단말)로부터 상기 매체에 구비된 태그(또는 태그 구비 대상) 분실 신고 및/또는 검출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매체(또는 저장매체 운용수단)와 연계하여, 상기 분실 신고 및/또는 검출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 단말 고유 정보와 연계 처리되어 기 저장된 태그 고유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태그 고유정보를 태그 리더 수단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 또는 서버로 제공하여 상기 분실 신고 및/또는 검출 요청된 태그(미아가 소지 또는 부착한 태그)를 찾도록 하는 정보 처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은, 고객(또는 상기 고객의 보호 대상)에게 발급(또는 판매)되는 매체에 구비된 태그 고유정보와 상기 고객 무선 단말 고유 정보를 입력 및/또는 수신한 후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 관리하는 정보 저장/관리수단; 상기 고객 무선 단말 또는 제2단말로부터 상기 매체에 구비된 태그(또는 태그 구비 대상) 분실 신고 및/또는 검출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수단; 상기 저장매체(또는 저장매체 운용수단)와 연계하여, 상기 분실 신고 및/또는 검출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 단말 고유 정보와 연계 처리되어 기 저장된 태그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수단; 및 상기 확인된 태그 고유정보를 태그 리더 수단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 또는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 또는 서버로부터 상기 태그 고유정보의 확인 및/또는 검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태그 고유정보의 확인 및/또는 검출 결과를 상기 고객 무선 단말 또는 제3단말로 통지하는 정보 처리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관리수단은, 상기 태그를 구비한 매체 소유자 또는 착용자의 화상 이미지 정보를 상기 저장매체에 더 저장,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확인수단은, 상기 저장매체에 기 저장된 상기 화상 이미지 정보를 더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처리수단은, 상기 확인된 화상 이미지 정보를 상기 단말 또는 서버 또는 제3단말로 더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보 처리수단은, 상기 태그 고유정보의 확인 및/또는 검출 결과를 소정의 지도 이미지(또는 데이터) 상에 포함(또는 삽입)한 후, 상기 지도 이미지(또는 데이터)를 상기 고객 무선 단말 또는 제3단말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매체는, 자유이용권, 및/또는 입장권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은, 소정의 정보 입력/수신수단에서 고객(또는 상기 고객의 보호 대상)에게 발급(또는 판매)되는 매체에 구비된 태그 고유정보와 상기 고객 무선 단말 고유 정보를 입력 및/또는 수신하는 단계; 소정의 정보 저장수단에서 상기 입력 및/또는 수신된 태그 고유정보와 상기 고객 무선 단 말 고유 정보를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 관리하는 단계; 소정의 정보 수신수단에서 상기 고객 무선 단말 또는 제2단말로부터 상기 매체에 구비된 태그(또는 태그 구비 대상) 분실 신고 및/또는 검출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소정의 정보 확인수단에서 상기 저장매체(또는 저장매체 운용수단)와 연계하여, 상기 분실 신고 및/또는 검출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 단말 고유 정보와 연계 처리되어 기 저장된 태그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소정의 정보 처리수단에서 상기 확인된 태그 고유정보를 태그 리더 수단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 또는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보 처리 방법은, 소정의 정보 처리수단에서 상기 단말 또는 서버로부터 상기 태그 고유정보의 확인 및/또는 검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태그 고유정보의 확인 및/또는 검출 결과를 상기 고객 무선 단말 또는 제3단말로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보 처리 방법은, 상기 정보 저장수단에서 상기 태그를 구비한 매체 소유자 또는 착용자의 화상 이미지 정보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관리하는 단계; 상기 정보 확인수단에서 상기 저장매체에 기 저장된 상기 화상 이미지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처리수단에서 상기 확인된 화상 이미지 정보를 상기 단말 또는 서버 또는 제3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보 처리 방법은, 상기 정보 처리수단에서 상기 태그 고유정보의 확인 및/또는 검출 결과를 소정의 지도 이미지(또는 데이터) 상에 포함(또는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지도 이미지(또는 데이터)를 상기 고객 무선 단말 또는 제3단말로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정보 처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각의 수단은 소정의 서버(또는 장치)에 구비되는 기능 구성부로 변형하여 사용하며,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RFID 정보 처리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놀이공원(또는 전시장 또는 박람회장) 등에서 제공하는 자유이용권(예컨대, 고객이 착용 또는 부착 또는 소지 가능한 형태의 이용권 등)에 포함되며, 소정의 RFID 코드를 구비한 RFID 태그와, 소정의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RFID 태그에 저장된 RFID 코드와 상기 RFID 태그가 포함된 자유이용권 등을 소지하는 고객(예컨대, 부모 등)의 무선 단말기 번호를 제공받아 상기 제공된 RFID 코드와 무선 단말기 번호를 연계하여 소정의 저장매체(125)에 저장하며, 상기 고객으로부터 상기 RFID 태그가 포함된 자유이용권을 소지한 자녀 고객에 대한 미아 신고가 접수되면, 상기 부모 고객 무선 단말기 번호와 연계되어 저장된 상기 RFID 코드를 분실 정보로 등록하고, 소정의 RFID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의 RFID 고유정보(예컨대, RFID 코드)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망 및/또는 무선망을 통해 네트워크 상의 서버(또는 장치)(100)로 제공하는 RFID 단말장치(200)(또는 RFID 리더기)와 연동하여 상기 분실 정보로 등록된 RFID 코드가 검출되는지 확인하여, 상기 분실 정보로 등록된 RFID 코드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RFID 코드와 연계되어 저장된 부모 고객 무선 단말기로 상기 RFID 코드를 검출한 RFID 단말장치(200)(또는 RFID 리더기)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서버(또는 장치)(100) 및 상기 서버(또는 장치)(100)와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소정의 RFID 태그로부터 검출되는 RFID 코드를 상기 서버(또는 장치)(100)로 전송하는 RFID 단말장치(200)(또는 RFID 리더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정보 운용 시스템 구성의 일 실시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다양한 형태의 RFID 정보 처리 시스템 구성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RFID 태그는, 놀이공원(또는 전시장 또는 박람회장) 등에서 제공하는 자유이용권(예컨대, 고객이 착용 또는 부착 또는 소지 가능한 형태의 이용권 등)에 포함되며, 소정의 태그정보를 저장하고, 소정의 RFID 리더기(Reader)로 하여금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정보를 리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RFID 태그에 구비되는 RFID 코드는 ISO/IEC 코드, 및/또는 EPC(Electronic Product Code), 및/또는 U-코드, 및/또는 소정의 사용자 정의코드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면4a와 도면4b와 도면4c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RFID 단말장치(200)는 소정의 RFID 인터페이스 규격을 따르는 RFID 리더기와 상기 RFID 리더기를 통해 상기 RFID 태그로부터 독출되는 RFID 코드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망 및/또는 무선망을 통해 네트워크 상의 서버(또는 장치)(10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RFID 단말장치(200)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하기의 도면2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RFID 단말장치(200)는, 상기 놀이공원(또는 전시장 또는 박람회장) 등에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이트 또는 기타 특정 장소(예컨대, 놀이기구나 부스 출입구, 화장실 등)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놀이공원(또는 전시장 또는 박람회장) 등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RFID 태그가 포함된 자유이용권(예컨대, 고객이 착용 또는 부착 또는 소지 가능한 형태의 이용권 등)이 상기 RFID 단말장치(200) 동작 범위에 접근하면, 상기 자유이용권 등에 포함된 RFID 태그로부터 RFID 코드를 독출하여 상기 서버(또는 장치)(1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서버(또는 장치)(100)는, 소정의 단말장치(또는 RFID 단말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놀이공원(또는 전시장 또는 박람회장) 등에서 제공하는 자유이용권(예컨대, 고객이 착용 또는 부착 또는 소지 가능한 매체 등) 등에 구비되는 소정의 RFID 태그가 포함된 RFID 코드와 상기 자유이용권을 이용하는 자녀 고객의 부모 고객 무선 단말기 번호를 연계하여 소정의 저장매체(125)에 저장, 관리하는 정보 저장/관리부(110)와, 상기 고객 무선 단말 또는 제2단말로부터 상기 매체에 구비된 태그(또는 태그 구비 대상) 분실 신고 및/또는 검출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105)와, 상기 저장매체(125)(또는 저장매체(125) 운용수단)와 연계하여, 상기 분실 신고 및/또는 검출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 단말 고유 정보와 연계 처리되어 기 저장된 태그 고유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120) 및 상기 확인된 태그 고유정보를 태그 리더 수단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장치(또는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장치(또는 서버)로부터 상기 태그 고유정보의 확인 및/또는 검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태그 고유정보의 확인 및/또는 검출 결과를 상기 고객 무선 단말 또는 제3단말로 통지하는 정보 처리부(11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저장/관리부(110)는, 상기 서버(또는 장치)(100)와 연결되는 RFID 리더기로부터 상기 놀이공원(또는 전시장 또는 박람회장) 등에서 제공하는 자유이용권(예컨대, 고객이 착용 또는 부착 또는 소지 가능한 매체 등) 등에 구비되는 소정의 RFID 태그로부터 독출된 RFID 코드를 입력받거나, 또는 상기 서버(또는 장치)(100)와 연동하는 RFID 리더기를 구비한 RFID 단말장치(200)로부터 상기 RFID 단말장치(200)가 독출한 상기 RFID 코드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보 저장/관리부(110)는, 상기 서버(또는 장치)(100)와 연동하는 단말장치 등으로부터 상기 RFID 코드 및 고객 무선 단말기 번호(예컨대, 부모 고객 무선 단말기 번호)를 입력 또는 수신받는 과정에서, 상기 단말장치가 전송하는 상기 RFID 태그가 구비된 자유이용권(예컨대, 고객이 착용 또는 부착 또는 소지 가능한 매체 등)을 소유한 또는 착용한 고객(예컨대, 자녀 고객)의 화상 이미지 정보를 상기 RFID 코드 및 고객 무선 단말기 번호와 연계하여 상기 저장매체(125)에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신부(105)는, 상기 고객(예컨대, 부모 고객)이 RFID 태그가 구 비된 자유이용권(예컨대, 고객이 착용 또는 부착 또는 소지 가능한 매체 등)을 소유한 또는 착용한 고객(예컨대, 자녀 고객)을 잃어버린 경우, 상기 고객 무선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분실 또는 미아발생 신고(예컨대, 상기 RFID 태그가 구비된 자유이용권(예컨대, 고객이 착용 또는 부착 또는 소지 가능한 매체 등)을 소유한 또는 착용한 고객(예컨대, 자녀 고객)에 대한 미아발생 신고 등)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미아발생 또는 분실 신고 정보를 상기 정보 확인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수신부(105)는 상기 고객(예컨대, 부모 고객)으로부터 상기 RFID 태그가 구비된 자유이용권(예컨대, 고객이 착용 또는 부착 또는 소지 가능한 매체 등)을 소유한 또는 착용한 고객(예컨대, 자녀 고객)에 대한 미아 발생 신고가 상황실 또는 직원 등으로 접수되면, 상기 상황실 등에 구비된 단말 또는 상기 직원이 운용하는 단말로부터 상기 미아발생 신고(예컨대, 상기 RFID 태그가 구비된 자유이용권(예컨대, 고객이 착용 또는 부착 또는 소지 가능한 매체 등)을 소유한 또는 착용한 고객(예컨대, 자녀 고객)에 대한 미아발생 신고 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수신부(105)는, 상기 놀이공원(또는 전시장 또는 박람회장) 등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단말장치(200)로부터 상기 RFID 단말장치(200)가 소정의 RFID 태그로부터 독출한 RFID 코드에 대한 분실 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확인부(120)는, 상기 정보 수신부(105)를 통해 상기 고객 무선 단말 또는 제3의 단말로부터 상기 분실 신고 및/또는 검출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매체(125)와 연동하여 상기 수신된 무선 단말 고유 정보와 연계 처리된 태그 고유정보(예컨대, RFID 코드 등)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태그 고유정보(예컨대, RFID 코드 등)를 상기 정보 처리부(115)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보 확인부(120)는, 상기 정보 수신부(105)가 상기 놀이공원(또는 전시장 또는 박람회장) 등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단말장치(200)로부터 상기 RFID 단말장치(200)가 소정의 RFID 태그로부터 독출한 RFID 코드에 대한 분실 확인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RFID 코드가 분실 신고 또는 미아발생 신고가 접수된 RFID 코드인지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결과를 상기 정보 처리부(115)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보 확인부(120)는, 상기 정보 수신부(105)를 통해 상기 고객 무선 단말 또는 제3의 단말로부터 상기 분실 신고 및/또는 검출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매체(125)와 연동하여 상기 수신된 무선 단말 고유 정보와 연계 처리된 소정의 화상 이미지 정보(예컨대, 자녀 고객 이미지 등)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화상 이미지를 상기 정보 처리부(115)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처리부(115)는, 상기 정보 확인부(120)를 통해 상기 분실 신고 및 /또는 검출 요청 정보를 제공한 고객 무선 단말 고유 정보와 연계 처리된 태그 고유정보(예컨대, RFID 코드 등)가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태그 고유정보를 상기 놀이공원(또는 전시장 또는 박람회장) 등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단말장치(2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보 처리부(115)는, 상기 정보 확인부(120)를 통해 상기 분실 신고 및/또는 검출 요청 정보가 접수된 고객 무선 단말 고유 정보와 연계된 화상 이미지 정보가 더 확인되는 경우, 상기 확인된 화상 이미지 정보를 상기 놀이공원(또는 전시장 또는 박람회장) 등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단말장치(2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보 처리부(115)는 상기 분실 신고 및/또는 검출 요청 정보가 접수된 고객 무선 단말 고유 정보와 연계된 태그 고유정보 및 화상 이미지 정보가 상기 놀이공원(또는 전시장 또는 박람회장) 등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단말장치(200)로 전송된 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단말장치(200) 중 특정 RFID 단말장치(200)로부터 상기 태그 고유정보가 확인되거나 또는 상기 태그 고유정보가 검출되어, 상기 RFID 단말장치(200)로부터 상기 태그 고유정보 확인 및/또는 검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태그 고유정보 확인 및/또는 검출 정보를 상기 고객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고객이 분실 신고 및/또는 검출 요청 정보를 접수한 제3의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처리부(115)는 상기 태그 고유정보 확인 및/또는 검출 정보를 상기 고객 무선 단말 또는 제3의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태그 고유정보를 확인 및/또는 검출한 RFID 단말장치(200)의 위치정보(예컨대, 게이트3번 RFID 단말장치(200) 등) 및/또는 태그 고유정보 확인 및/또는 검출 시간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처리부(115)는 상기 태그 고유정보 확인 및/또는 검출 정보를 상기 고객 무선 단말 또는 제3의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태그 고유정보를 확인 및/또는 검출한 RFID 단말장치(200)의 위치정보(예컨대, 좌표 정보 등)를 확인하고, 상기 놀이공원(또는 전시장 또는 박람회장) 등의 지도 정보(또는 약도 정보)에 상기 확인된 상기 태그 고유정보 확인 및/또는 검출 RFID 단말장치(200)의 위치정보를 삽입(또는 표기)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서버(또는 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른 RFID 정보 처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태그 고유정보(예컨대, RFID 코드 등)와, 고객 정보와, RFID 단말장치(200)(또는 RFID 리더) 고유 정보와, RFID 단말장치(200)(또는 RFID 리더) 위치 정보와, 지도(또는 약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매체(125)를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저장매체(125)(또는 저장매체(125) 운용수단)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태그 고유정보(예컨대, RFID 코드 등)와, 고객 정보와, RFID 단말장치(200)(또는 RFID 리더) 고유 정보와, RFID 단말장치(200)(또는 RFID 리더) 위치 정보와, 지도(또는 약도) 정보는, 상기 서버(또는 장치)(100)가 수신하거나 입력받는 분실 신고 및/또는 검출 요청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매체(125)에 저장되는 태그 고유정보는, 상기 놀이공원(또는 전시장 또는 박람회장) 등에서 제공하는 자유이용권(예컨대, 고객이 착용 또는 부착 또는 소지 가능한 매체 등)에 포함되는 RFID 태그로부터 독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객 정보는, 상기 놀이공원(또는 전시장 또는 박람회장) 등에서 제공하는 자유이용권(예컨대, 고객이 착용 또는 부착 또는 소지 가능한 매체 등)을 이용하는 고객(예컨대, 부모 고객)의 무선 단말 고유 정보와, 상기 자유이용권 등을 착용 또는 부착 또는 소지한 고객(예컨대, 자녀 고객)의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RFID 단말장치(200)(또는 RFID 리더) 고유 정보는, 상기 놀이공원(또는 전시장 또는 박람회장) 등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단말장치(200)의 일련번호 또는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RFID 단말장치(200)(또는 RFID 리더) 위치 정보는, 상기 놀이공원(또는 전시장 또는 박람회장) 등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단말장치(200)가 위치한 지역(또는 구역) 정보 및/또는 지도상의 좌표 정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RFID 단말장치(200)(또는 RFID 리더) 고유 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도(또는 약도) 정보는, 상기 놀이공원(또는 전시장 또는 박람회장) 등의 지도(또는 약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지도(또는 약도) 데이터 상에는 상기 놀이공원(또는 전시장 또는 박람회장)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단말장치(200)(또는 RFID 리더) 위치 정보가 표시(또는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저장매체(125)는, 상기 서버(또는 장치)(100)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서버(또는 장치)(100)와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저장매체(125) 운용수단 등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RFID 정보 운용을 위한 RFID 단말장치(200)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서버(또는 장치)(100)와 연동하며, 놀이공원(또는 전시장 또는 박람회장) 등에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 상의 게이트 또는 기타 특정 장소(예컨대, 놀이기구나 부스 출입구, 화장실 등)에 구비되는 RFID 단말장치(200)에 대한 바람직한 기능 구성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RFID 정보 운용을 위한 다양한 RFID 단말장치(200)(예컨대, RFID 단말장치(200) 기능을 수행하는 데스크탑 컴퓨터 및/또는 노트북, 또는 RFID 단말장치(200)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 및/또는 무선 데이터 통신용 단말 및/또는 휴대 인터넷 단말 등)의 실시 구성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음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하드웨어적인 측면에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본 도면2의 RFID 단말장치(200)는 외형상 몸체(Body)와 스피커와 마이크, 키패드(또는 키보드), LCD(Liquid Crystal Display), 안테나와 배터리(또는 전원공급장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제어부(205)와 화면 출력부(215)와 통신부(225)와 키 입력부(220)와 메모리부(235)와 사운드 처리부(210)와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공급부(또는 배터리)(230), 카메라부(245) 및 소정의 RFID 태그(100)로부터 소정의 RFID 정보를 독출하기 위한 RFID 리더기 기능을 수행하는 RFID 리더부(24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205)는 기능 구성 상, RFID 단말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각 구성요소 간 정보 또는 데이터의 흐름을 관리하며, 소정의 RFID 태그 로부터 RFID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RFID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또는 장치)(100)로 전송하거나, 상기 RFID 태그로부터 독출된 RFID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235)에 저장된 RFID 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를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또는 장치)(100)로 전송하기 위해 본 RFID 단말장치(200)에 구비되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205)는 하드웨어적으로 CPU(Central Processing Unit)/MPU(Micro Processing Unit)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예컨대, 레지스터 및/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 소정의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버스(BUS)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5)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소정의 RFID 태그로부터 RFID 코드를 독출하여, 상기 서버(또는 장치)(100)로 전송하기 위한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소정의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Loading)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Routine)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포함(따라서, 상기 기능 구현을 위해 본 RFID 단말장치(200)에 구비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및/또는 상기 기능 구현을 위해 본 RFID 단말장치(200)에 구비되는 기능구성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본 제어부(205)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RFID 단말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하는 상기 제어 부(205)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RFID 단말장치(200)에 전원이 입력되면, 소정의 메모리 소자에 저장되어 있던 운영체제 루틴, 시스템 관리 루틴, 및/또는 시스템 변수들이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되어 운영체제, 시스템 관리 프로그램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메모리부(235)는 RFID 단말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또는 코드)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예컨대, 프로그램 루틴(또는 코드)에 의한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하드웨어적으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및/또는 FM(Flash Memory) 및/또는 HDD(Hard Disk Drive)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205)가 소정의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과 프로그램 데이터(예컨대, 프로그램 루틴이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상기 메모리부는(235),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또는 장치)(100)로부터 소정의 분실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RFID 고유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RFID 고유정보와 상기 분실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면 출력부(215)는 상기 RFID 단말장치(200)가 소정의 RFID 태그로부터 RFID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독출된 RFID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또는 장치)(100)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독출된 RFID 정보와 상기 메모리부(235)에 저장된 RFID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를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또는 장치)(100)로 전송하는 일련의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205)에 의해 LCD(Liquid Crystal Display) 및/또는 CRT(Cathode Ray Tube)를 포함하는 소정의 화면 출력장치로 출력되도록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실시간 정의되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미리 정의된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화면 출력부(215)는 상기 화면 출력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RFID 단말장치(200)에 구비되는 화면 출력수단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화면 출력부(215)는 상기 RFID 단말장치(200)가 소정의 RFID 태그로부터 RFID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독출된 RFID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또는 장치)(100)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독출된 RFID 정보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RFID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를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또는 장치)(100)로 전송하는 일련의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키 입력부(220)를 통해 입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데이터, 및/또는 소정의 RFID 태그로부터 RFID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독출된 RFID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또는 장치)(100)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독출된 RFID 정보와 상기 메모리부(235)에 저장된 RFID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를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또는 장치)(100)로 전송하는 일련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RFID 단말장치(200)가 상기 메모리부(235)로부터 추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또는 데이터), 및/또는 소정의 RFID 태그로부터 RFID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독출된 RFID 정보를 상기 네트 워크 상의 서버(또는 장치)(100)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독출된 RFID 정보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RFID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를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또는 장치)(100)로 전송하는 일련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통신부(225)를 통해 상기 서버(또는 장치)(100)로부터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또는 데이터), 및/또는 상기 RFID 단말장치(200)가 수행하는 소정의 연산결과에 대응하는 정보(또는 데이터)를 상기 화면 출력장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화면 출력부(215)는, 상기 서버(또는 장치)(100)로부터 수신되어 상기 RFID 단말장치(200) 메모리부(235)에 저장된 분실정보에 대응하는 RFID 고유 정보(RFID 코드)에 부합되는 RFID 코드가 상기 RFID 리더로부터 검출되면, 상기 RFID 코드 및 분실정보를 상기 화면 출력부(215)를 통해 화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키 입력부(220)는 상기 RFID 단말장치(200)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소정의 RFID 태그로부터 RFID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독출된 RFID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또는 장치)(100)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독출된 RFID 정보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RFID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를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또는 장치)(100)로 전송하는 일련의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숫자키(Number Key) 및/또는 문자키(Character Key) 및/또는 기능키(Function Key)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소정의 키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되도록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실시간 정의되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소정의 키 데이터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키 입력부(220)는 상기 키 입력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RFID 단말장치(200)에 구비되는 키 입력수단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사운드 처리부(210)는 RFID 단말장치(200)에 구비된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제어부(205)로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205)가 추출 및/또는 생성하는 소정의 사운드 신호를 디코딩(Decoding)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위해 상기 사운드 처리부(210)에는 소정의 보코더(Vocoder)와 코덱(Codec)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처리부(210)는, 상기 RFID 단말장치(200)가 소정의 RFID 태그로부터 RFID 코드를 독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독출된 RFID 코드가 분실등록된 RFID 코드로 확인되는 경우, 소정의 사운드 신호(예컨대, 부저음이나 멘트 등)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함으로서, 상기 RFID 단말장치(200) 운용/관리자 및/또는 상기 RFID 단말장치(200) 주변의 직원들이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245)는 소정의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 소자로 이루어진 카메라로부터 래스터(Raster) 기반의 CCD 화상정보를 비트맵 방식으로 독출하여 상기 화상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RFID 단말장치(200)가 통해 놀이공원(또는 전시장 또는 박람회장) 등에서 제공하는 자유이용권(예컨대, 고객이 착용 또는 부착 또는 소지 가능한 형태의 이용권 등) 등에 구비되는 소정의 RFID 태그가 포함된 RFID 코드와 상기 자유이용권을 이용하는 자녀 고객의 부모 고객 무선 단말기 번호를 상기 서버(또는 장치)(10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부(245)는 상기 자유이용권 등을 착용하는 자녀 고객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상기 RFID 코드와 상기 무선 단말기 번호와 함께 상기 서버(또는 장치)(100)로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부(225)는 상기 RFID 단말장치(200)가 소정의 RFID 태그로부터 RFID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독출된 RFID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또는 장치)(100)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독출된 RFID 정보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RFID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를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또는 장치)(100)로 전송하는 일련의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네트워크 상의 서버(또는 장치)(100)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통신채널은 상기 RFID 단말장치(200)와 네트워크 상의 서버(또는 장치)(100)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는 네트워크 통신채널, 및/또는 상기 RFID 단말장치(200)와 소정의 케이블 통신 단말(또는 서버)을 소정의 케이블을 통해 연결하는 케이블 통신채널, 및/또는 상기 RFID 단말장치(200)와 소정의 근거리 장치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수단을 통해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채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네트워크 통신채널은 상기 RFID 단말장치(200)와 상기 서버(또는 장치)(1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종류 및/또는 상기 네트워크에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특징에 따라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기반의 인터넷망, No.7망, 사설망(예컨대, 부가가치통신망 또는 금융공동망)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유선 네트워크 통신채널, 및/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이동 통신망, 무선 데이터 통신망, 휴대 인터넷망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통신채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케이블 통신채널은 상기 RFID 단말장치(200)와 상기 케이블 통신 단말(또는 서버)을 연결하는 케이블 종류와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RS(Recommended Standard)-232c, RS-485, USB(Universal Serial Bus)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직렬 통신채널, 및/또는 LPT와 같은 병렬 통신채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통신채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근거리 통신채널은 상기 RFID 단말장치(200)와 상기 케이블 통신 단말(또는 서버)을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수단의 종류와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적외선(Infrared Ray) 통신, RF(Radio Frequency)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UWB(Ultra Wide Band system)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채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RFID 리더부(240)는 상기 RFID 단말장치(200) 내에서 소정의 RFID 태그(100)로부터 소정의 RFID 정보를 독출하는 RFID 리더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RFID 리더기의 내부 기능구성은 상기 RFID 태그(100)의 기능구성 및/또는 상기 RFID 태그(100)가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하기의 도면3을 통해 상기 RFID 리더부(240)의 바람직한 기능구성을 도시하여 설명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RFID 단말장치(200)는, 본 발명에 따라 고객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서버(또는 장치)(100)에 등록된 소정의 RFID 태그가 포함된 매체를 소지하거나 부착한 자녀 고객을 잃어버린 경우, 상기 서버(또는 장치)(100)로부터 상기 분실신고된 태그 고유 정보(예컨대, RFID 코드)와 상기 자녀 고객의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250)와, 상기 수신된 상기 분실신고된 태그 고유정보와 상기 자녀 고객 이미지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저장부(255) 및 상기 RFID 리더가 주기적으로 소정의 RFID 태그로부터 검출하는 RFID 코드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RFID 코드를 비교하여 분실신고된 RFID 코드인지 확인하는 확인부(260) 및 상기 RFID 리더가 검출하는 RFID 코드와 부합하는 RFID 코드가 상기 메모리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RFID 코드 및 분실신고정보, 고객 무선 단말정보를 상기 화면 출력부(215)를 통해 화면 출력하거나 및/또는 사운드 처리부(210)를 통해 소정의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하는 출력부(26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RFID 단말장치(200)는, 상기 메모리부(235)에 상기 분실신고된 태그 고유정보와 상기 자녀 고객 이미지 정보가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RFID 단말장치(200)가 상기 분실신고된 RFID 코드를 비교/확인하는 기능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예컨대, RFID 코드 독출 및 독출된 RFID 코드 전송 등의 기능을 구비하는 RFID 단말장치(200)인 경우), 상기 RFID 리더부가 독출한 RFID 코드를 상기 서버(또는 장치)(100)로 전송하는 전송부(도시 생략)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면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라 RFID 단말장치(200)에 구비되는 RFID 리더부(24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도면3은 상기 도면2에 도시된 RFID 단말장치(200)에 구비되거나, 상기 RFID 단말장치(200)(또는 서버)와 연동하며, 소정의 RFID 태그로부터 RFID 코드를 독출하는 RFID 리더부(240)의 기능 구성에 대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RFID 리더부(240)는 RFID 태그를 향해 소정의 전파를 방출하거나 또는 받아들이는 전자회로와, 상기 전자회로와 연계하여 상기 RFID 태그로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방출 및/또는 받아들이는 안테나와,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수신되는 신호(Signal)를 판독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추출 및 검증(Check)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RFID 리더부(240)는, 상기 RFID 리더부(520)와 상호 작용하는 RFID 태그에 구비된 기능구성 및/또는 RFID 시스템의 적용분야(예컨대, 물류/유통분야, 제조업분야, 의료/동물관리분야 등등)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구성, 또는 상기 데이터를 소정의 정보처리단말(또는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구성 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도면3에 도시된 RFID 리더부(240)의 기능구성은 소정의 RFID 인터페이스를 통해 RFID 태그와 상호 작용하는 RFID 리더부(240)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이루기 위한 RFID 리더부(240)의 기능구성이 본 도면3의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님을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3을 참조하면, RFID 리더부(240)는 소정의 주파수대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또는 RFID 태그(100)로 에너지원(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안테나부(305)와, 소정의 제어부(205)와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싱하는 인터페이스부(325)와, 상기 인터페이스부(325)를 통해 상기 RFID 단말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무선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안테나부(305)를 통해 송출하는 송출부(315)와, 상기 안테나부(305)를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소정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325)를 통해 제어부(205)로 제공하는 수신부(310) 및 상기 RFID 리더부(240)가 동작하는데 요구되는 소정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안테나부(305)는 소정의 RFID 태그가 상기 RFID 리더부(240) 주위의 무 선 주파수 영역으로 진입(또는 무선 주파수 영역에 근접)하는 경우, ISO/IEC 18000 시리즈에 정의된 소정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RFID 리더부(320)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해 소정의 활성신호 및/또는 정보(또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출하거나, 및/또는 송출부(315)에 의해 상기 RFID 태그로 송출되도록 요청되는 소정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소정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325)는 상기 제어부(205)로부터 상기 안테나부(305)를 통해 상기 RFID 태그로 송출한 무선 주파수 신호에 포함될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제공받거나, 및/또는 상기 안테나부(305)를 통해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에 포함된 소정의 디지털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205)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출부(315)는 소정의 디지털 신호를 상기 안테나부(305)를 통해 상기 RFID 태그로 송출하기 위한 소정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변환하는 변조기(Modulator)로서, 상기 인터페이스부(325)를 통해 상기 제어부(205)로부터 상기 RFID 태그로 제공할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가 제공되거나, 또는 내부 논리회로에 의해 상기 RFID 태그로 소정의 신호를 송출하도록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정보 또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디지털 신호 및/또는 상기 판단결과에 대응하는 디지털 신호를 소정의 무선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안테나부(305)를 통해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신부(310)는 상기 안테나부(305)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소정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복조기(Demodulator)로서, 상기 안테나부(305)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복조하여 소정의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부(325)를 통해 상기 제어부(205)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4a와 도면4b와 도면4c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RFID 코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a는 본 발명에 따른 미아찾기를 위한 RFID 정보 처리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ISO/IEC 15963에 정의된 ISO/IEC 코드 규격을 따르는 RFID 코드를 도시한 것으로서, 먼저 상기 ISO/IEC 코드 규격은 FDIS(Final Draft International Standard) 단계에 있음을 밝힌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 포함되는 RFID 코드가 본 도면4a에 도시된 ISO/IEC 코드의 경우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후 최종안이 정의되거나, 또는 최종안에 소정의 정보가 추가되는 모든 경우를 포함하는 것임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4a의 (가)를 참조하면, 상기 ISO/IEC 코드는 할당 클래스(Allocation Class; AC)와 UID(Unique ID) 발급자 등록 번호와 유일한 인식을 위한 번호 체계인 일련 번호(Serial Number)로 이루어지며, 상기 할당 클래스는 8비트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할당 클래스에 따라 UID의 발급을 담당하는 기관의 UID 발급자 등록 번호가 정해지며, 상기 일련번호는 상기 할당 클래스와 UID 발급자 등록 번호에 의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4a의 (나)를 참조하면, 상기 ISO/IEC 코드의 발급자는 상기 할당 클래스에 의해 정해지는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a의 (나)를 통해 할당 클래스와 UID 발급자 사이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항 상세한 생략은 설명한다.
다만, 예를 들어 EPC(Electronic Product Code)를 이용하는 UID를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등록기관은 “EAN.UCC”이며, 할당 클래스 ‘11100010’를 EPC 앞에 붙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본 도면4b는 EPC 글로벌에서 제안된 EPC에 대응하는 RFID 코드를 도시한 것으로서, 모든 종류의 물체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메타 코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현재 EPC는 EPC 태그 데이터 표준 버전 1.1(EPC Tag Data Standard Version 1.1)까지 발표되었으며, 상기 버전에는 64비트와 96비트 메타 코드가 포함 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 포함되는 RFID 코드가 본 도면4b에 도시된 EPC의 경우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후 버전이 업그레이드 되면서 추가되는 모든 경우를 포함하는 것임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4b의 (가)를 참조하면, EPC는 상기 EPC의 길이와 식별 형식 등을 결정하는 8비트 해더와, 특정 산업과 관련된 도메인(Domain) 내의 물체 식별을 위한 식별 체계에 해당하는 도메인 식별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선택적으로 상기 해더와 도메인 식별자 사이에 효과적인 EPC 판독을 위한 소정의 필터값(옵션)이 추가되는 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4b의 (나)를 참조하면, 상기 EPC 해더는 64비트 또는 96비트의 도메인 식별자를 정의하고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b의 (나)를 통해 해더에 정의된 내용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항 상세한 생략은 설명한다.
다만, 본 도면4b의 (나)를 참조하면, 상기 EPC 해더는 향후 확장성을 고려하여 8비트 이상의 해더를 사용하기 위해 ‘0000 0000’을 예약하고 있다.
또한, 본 도면4c는 일본의 유비쿼터스 ID 센터에 의해 제안된 U-코드에 대응하는 RFID 코드를 도시한 것으로서, 모든 종류의 물체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메타 코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자체 용량이 충분할 경우 상기 RFID 코드 내에 소정의 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 포함되는 RFID 코드가 본 도면4c에 도시된 U-코드의 경우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후 버전이 업그레이드 되면서 추가되는 모든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4c의 (가)를 참조하면, U-코드는 서비스 해더와 서비스 식별자와 서비스 데이터 및 EDC(Error Detect Code)로 이루어지며, 상기 서비스 해더와 서비스 식별자와 서비스 데이터 및 EDC의 길이(예컨대, 비트수)는 가변적이다.
예컨대, 상기 U-코드를 물품관리에 적용하고, 서비스 식별자의 길이가 36비트로 정의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식별자는 EAN 코드(국제 물품 번호 코드)에 대응한다.
도면4c의 (나)를 참조하면, U-코드는 코드의 전체 길이는 128비트 단위로 확장(예컨대, 128비트, 256비트, 384비트,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c를 통해 U-코드의 특징 적인 내용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항 상세한 생략은 설명한다.
도면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분실신고된 태그 고유정보를 RFID 단말장치(200)로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b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RFID 정보 처리 시스템이 구비된 놀이공원 등에 입장하는 고객이 RFID 태그가 구비된 자유이용권(또는 입장권)을 소지하는 자녀 고객을 잃어버리는 경우, 상기 고객으로부터 상기 RFID 태그(또는 상기 RFID 태그가 구비된 자유이용권 등)의 분실신고 또는 상기 RFID 태그가 구비된 자유이용권(또는 입장권)을 소지하는 자녀 고객에 대한 미아발생 신고가 접수되면, 상기 저장매체(125)에 기 저장된 태그 고유정보를 상기 놀이공원 등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단말장치(200)로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분실신고 및/또는 미아발생신고를 접수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 및 상기 분실신고 및/또는 미아발생신고된 태그 고유정보를 상기 RFID 단말장치(200)로 제공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예는, 소정의 고객(예컨대, 자녀 등의 보호 대상을 동반하는 고객)이 놀이공원 등의 입장시, 상기 놀이공원에서 판매하거나 제공하는 RFID 태그가 부착된 자유이용권(또는 입장권) 획득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50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고객은 상기 동반한 자녀 등의 미아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단말을 통해 상기 자유이용권(또는 입장권)에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 독출된 태그 고유정보와 상기 고객 무선 단말 고유정보를 상기 RFID 정보 처리 시스템 상의 서버(또는 장치)(100)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또는 장치)(100)는 이를 수신한다(505).
그러면, 상기 서버(또는 장치)(100)는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태그 고유정보와 상기 고객 무선 단말 고유정보를 연계하여 소정의 저장매체(125)에 저장하는데, 이 때 상기 자녀 고객의 화상 이미지 정보가 더 수신되는 경우, 상기 화상 이미지 정보를 상기 태그 고유정보와 상기 고객 무선 단말 고유정보와 연계하여 상기 저장매체(125)에 저장하도록 한다(510).
이후, 상기 고객이 RFID 태그가 구비된 자유이용권(또는 입장권)을 부착 또는 소지한 자녀 고객을 잃어버리게 되면(515), 상기 고객은 소지한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미아 발생신고 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장치)(100)로 전송하거나, 또는 미아 발생신고를 직원에게 하는 경우, 상기 직원은 소정의 단말(예컨대, 상기 직원이 관리 및/또는 운용하는 단말)을 통해, 상기 미아 발생신고 정보를 상기 서 버(또는 장치)(100)로 전송한다(520).
상기 서버(또는 장치)(100)에서 상기 유무선 단말을 통해 상기 고객의 미아발생신고 또는 분실신고와 상기 고객의 무선 단말 고유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매체(125)와 연동하여 상기 수신된 고객 무선 단말 고유정보와 연계되는 태그 고유정보를 확인하여 추출한다(525).
그리고, 상기 서버(또는 장치)(100)는 상기 저장매체(125)로부터 추출된 태그 고유정보를 상기 놀이공원 등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단말장치(200)로 전송하고(530), 상기 RFID 단말장치(200)는 상기 서버(또는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태그 고유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여, 하기의 도면6의 과정을 통해 상기 저장된 태그 고유정보의 검출을 이용한 미아찾기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535).
도면6a와 도면6b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분실신고된 태그 고유정보를 RFID 단말장치(200)를 통해 검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a와 도면6b는 상기 도면5의 과정을 통해 놀이공원 등에 입장하는 고객이 RFID 태그가 구비된 자유이용권(또는 입장권)을 소지하는 자녀 고객을 잃어버리고, 상기 고객으로부터 상기 RFID 태그(또는 상기 RFID 태그가 구비된 자유이용권 등)의 분실신고 또는 상기 RFID 태그가 구비된 자유이용권(또는 입장권)을 소지하는 자녀 고객에 대한 미아발생 신고가 접수된 후, 상기 분실신고 또는 미아발생신고가 접수된 RFID 태그에 대응하는 태그 고유정보를 상기 놀이공원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단말장치(200)를 통해 검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a와 도면6b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RFID 단말장치(200)가 상기 분실신고 또는 미아발생신고된 RFID 태그로부터 태그 고유정보를 독출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6a와 도면6b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6a는 서버(또는 장치)(100)에서 상기 분실신고 또는 미아발생신고된 RFID 태그에 대응하는 태그 고유정보를 상기 놀이공원 등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단말장치(200)로 전송하고, 상기 RFID 단말장치(200)에서 상기 전송된 태그 고유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RFID 단말장치(200)에 구비된 RFID 리더가 검출하는 태그 고유정보와 비교하여 태그 고유정보의 확인 및/또는 검출 결과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태그 고유정보의 확인 및/또는 검출 결과를 상기 서버(또는 장치)(100)로 전송하는 실시예이다.
도면6a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도면5의 과정을 통해 상기 놀이공원 등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단말장치(200)에서 상기 서버(또는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분실신고 또는 미아발생신고된 태그 고유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600a).
상기 RFID 단말장치(200)에서 상기 RFID 단말장치(200)에 구비된 RFID 리더의 동작범위에 진입하는 소정의 RFID 태그로부터 태그 고유정보가 독출되면(605a), 상기 RFID 단말장치(200)는 상기 메모리부와 연동하여, 상기 독출한 태그 고유정보가 분실신고 또는 미아발생신고된 RFID 태그의 고유정보인지 확인한다(610a).
만약, 상기 독출된 태그 고유정보가 분실신고 또는 미아발생신고된 RFID 태그의 고유정보가 아닌 경우, 상기 RFID 단말장치(200)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분실신고 또는 미아발생신고된 태그 고유정보의 갱신이 있기 전까지, 상기 RFID 리더의 동작범위에 진입하는 소정의 RFID 태그로부터 태그 고유정보를 독출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반면에, 상기 독출된 태그 고유정보가 분실신고 또는 미아발생신고된 RFID 태그의 고유정보로 판명되면(615a), 상기 RFID 단말장치(200)는 상기 분실신고 또는 미아발생신고된 RFID 태그 검출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장치)(100)로 전송한다(620a).
그리고, 상기 서버(또는 장치)(100)는 상기 RFID 단말장치(200)로부터 수신된 RFID 태그 검출정보에 대응하는 고객 무선 단말 번호를 확인하여, 상기 무선 단말로 상기 검출정보를 전송한다(625a).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검출정보는, 상기 분실신고 또는 미아 발생신고된 RFID 태그로부터 태그 고유정보를 독출한 RFID 단말장치(200)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를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기 RFID 단말장치(200)의 위치정보가 삽입(또는 표기)된 상기 놀이공원 지도(또는 약도)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또는 장치)(100)는 상기 RFID 태그 분실정보 또는 상기 미아발생 신고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매체(125)에 저장하고, 상기 갱신된 정보를 상기 RFID 단말장치(200)로 전송하고(630a), 상기 RFID 단말장치(200)는 메모리부에 저장된 분실된 태그 고유정보 갱신한다(635a).
도면6b는 상기 도면2에 도시된 RFID 단말장치(200)가 RFID 리더의 기능을 수행하여, 소정의 RFID 태그로부터 독출한 태그 고유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장치)(100)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또는 장치)(100)에서 상기 RFID 단말장치(200)가 전송하는 태그 고유정보를 상기 저장매체(125)에 저장된 분실신고 또는 미아발생신고된 RFID 태그에 대응하는 태그 고유정보와 비교하여, 분실신고 또는 미아발생신고된 RFID 태그인지 확인 및/또는 검출하여, 상기 확인 및/또는 검출결과를 상기 분실신고 또는 미아발생신고 고객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실시예이다.
도면6b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도면5의 과정을 통해 상기 서버(또는 장치)(100)에서 소정의 단말로부터 분실신고 또는 미아발생신고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매체(125)에 저장한 후, 상기 놀이공원 등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단말장치(200)에서 상기 RFID 단말장치(200)에 구비된 RFID 리더의 동작범위에 진입하는 소정의 RFID 태그로부터 태그 고유정보가 독출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600b).
이 후, 상기 RFID 단말장치(200)는 상기 독출한 태그 고유정보를 상기 서버(또는 장치)(100)로 전송하고(605b), 상기 서버(또는 장치)(100)는 상기 저장매체(125)와 연동하여 상기 RFID 단말장치(200)가 전송한 태그 고유정보가 분실신고 또는 미아발생신고된 RFID 태그의 고유정보인지 확인한다(610b).
만약, 상기 RFID 단말장치(200)로부터 전송된 태그 고유정보가 분실신고 또는 미아발생신고된 RFID 태그의 고유정보로 판명되면(615b), 상기 서버(또는 장치)(100)는 상기 분실신고 또는 미아발생신고된 RFID 태그 검출정보를 상기 분실신고 또는 미아발생신고를 접수한 고객 무선 단말기로 전송한다(620b).
그리고, 상기 서버(또는 장치)(100)는 상기 RFID 태그 분실정보 또는 상기 미아발생 신고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매체(125)에 저장하여, 분실신고 또는 미아발생신고된 태그 고유정보의 중복 검출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보 처리 방법 및 시스템을 통해, 미아찾기에 있어서, 제한된 인력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미아 발생 이전에, 미아 발생에 대한 철 저한 준비를 요하여, 미아가 발생하더라도 손쉽게 찾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9)

  1. 고객(또는 상기 고객의 보호 대상)에게 발급(또는 판매)되는 매체에 구비된 태그 고유정보와 고객 무선 단말 고유 정보와 상기 태그를 구비한 매체 소유자 또는 착용자의 화상 이미지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 관리하는 정보 저장/관리수단;
    고객 무선 단말 또는 제2단말로부터 상기 매체에 구비된 태그(또는 태그 구비 대상) 분실 신고 또는 검출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수단;
    상기 분실 신고 또는 검출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 단말 고유 정보와 연계 처리되어 상기 저장매체에 기 저장된 태그 고유정보와 화상 이미지 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수단; 및
    상기 정보 확인수단이 확인한 태그 고유정보와 화상 이미지 정보를 태그 리더 수단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 또는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 또는 서버로부터 상기 태그 고유정보의 확인 또는 검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태그 고유정보의 확인 또는 검출 결과와 화상 이미지 정보를 고객 무선 단말 또는 제3단말로 통지하는 정보 처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수단은,
    상기 태그 고유정보의 확인 또는 검출 결과를 소정의 지도 이미지(또는 데이터) 상에 포함(또는 삽입)한 후, 상기 지도 이미지(또는 데이터)를 상기 고객 무선 단말 또는 제3단말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는,
    자유이용권, 또는 입장권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60045374A 2006-05-19 2006-05-19 정보 처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0810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374A KR100810623B1 (ko) 2006-05-19 2006-05-19 정보 처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374A KR100810623B1 (ko) 2006-05-19 2006-05-19 정보 처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6598A Division KR101138775B1 (ko) 2007-07-30 2007-07-30 정보 처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1926A KR20070111926A (ko) 2007-11-22
KR100810623B1 true KR100810623B1 (ko) 2008-03-12

Family

ID=39090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5374A KR100810623B1 (ko) 2006-05-19 2006-05-19 정보 처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062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6086A (ja) 2001-01-24 2002-08-0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所在確認対象物の所在確認システム
KR20050035953A (ko) * 2003-10-13 2005-04-20 김재형 알에프아이디 정보를 이용한 상품 접근제어(또는분실방지용) 무선 단말기 및 기록매체와 이를 이용한 상품접근제어(또는 분실방지) 방법
KR20050068917A (ko) * 2003-12-30 2005-07-05 주식회사 케이티 물류관리시스템을 이용한 미아 찾기 및 분실물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060127352A (ko) * 2005-06-07 2006-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태그를 이용한 소품 관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070029882A (ko) * 2005-09-12 2007-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Rfid 리더기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rfid를 이용한 미아찾기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6086A (ja) 2001-01-24 2002-08-0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所在確認対象物の所在確認システム
KR20050035953A (ko) * 2003-10-13 2005-04-20 김재형 알에프아이디 정보를 이용한 상품 접근제어(또는분실방지용) 무선 단말기 및 기록매체와 이를 이용한 상품접근제어(또는 분실방지) 방법
KR20050068917A (ko) * 2003-12-30 2005-07-05 주식회사 케이티 물류관리시스템을 이용한 미아 찾기 및 분실물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060127352A (ko) * 2005-06-07 2006-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태그를 이용한 소품 관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070029882A (ko) * 2005-09-12 2007-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Rfid 리더기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rfid를 이용한 미아찾기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1926A (ko) 200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1366B2 (en) Finding location and ranging explorer
TWI599990B (zh) 使用標籤進行巡檢之方法、系統和通訊終端
Park Secure UHF/HF dual-band RFID: strategic framework approaches and application solutions
EP2875629B1 (en) Asset safety mobile notification system
KR100993733B1 (ko) Rfid 태그를 이용한 위치확인 시스템
Saleem et al. Review of various aspects of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echnology
US1117253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nel accountability and tracking during public safety incidents
KR101297863B1 (ko) 위치정보사용 설정을 통한 실시간 위치 및 정보확인이 가능한 실종방지시스템 및 실종방지방법
JP2014239421A (ja) 無線周波数識別通知システム
WO2021060565A1 (ja) 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及び行動管理装置
Jian et al. RFID applications and challenges
KR100810623B1 (ko) 정보 처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1138775B1 (ko) 정보 처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US9275530B1 (en) Secure area and sensitive material tracking and state monitoring
US20060109122A1 (en) Anti-theft arrangement, method and program
US200502879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mobile equipment
CN107563240B (zh) 可穿戴设备集成电子标签数据解析方法及系统
KR20070078664A (ko) 알에프아이디 태그와 무선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유실물색인 방법 및 그 시스템
AU2020201085B2 (en) Land mobile radios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Khan et al. An approach for surveillance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s (WSN)
KR20070073168A (ko) 소지품 분실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Yung et al.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KR100791054B1 (ko)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개인이용물 부정사용 방지 시스템
US20140189857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securely operating computer
Lau et al. Edward Kai-Ning Y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