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9754B1 - Drive unit - Google Patents

Drive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9754B1
KR100809754B1 KR1020060072629A KR20060072629A KR100809754B1 KR 100809754 B1 KR100809754 B1 KR 100809754B1 KR 1020060072629 A KR1020060072629 A KR 1020060072629A KR 20060072629 A KR20060072629 A KR 20060072629A KR 100809754 B1 KR100809754 B1 KR 100809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body
support member
waveform
driving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26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21038A (en
Inventor
다케토 나미카와
Original Assignee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060072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9754B1/en
Publication of KR20070021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10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9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97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H02N2/021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using intermittent driving, e.g. step motors, piezoleg motors
    • H02N2/025Inertial sliding mo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구동장치는 이동체가 규제부제를 이용하여 정지될 때 경사지는 것으로부터 이동체가 방지될 수 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동장치는, 압전소자(24)와; 압전소자의 일단에 제공된 로드(25); 로드와 마찰적으로 연동되는 이동체(30) 및; 압전소자(24)에 구동신호를 인가는 구동펄스 발생수단(33,34)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구동펄스 발생수단(33,34)은 이동체(30)가 이동할 때 0.5 이외의 듀티비를 갖으면서 로드의 신장 및 수축 사이에서 차이가 야기되도록 로드(25)를 진동시키는 구형파 구동신호를 압전소자(24)로 인가하고, 이동체(30)가 규제부재(22)와 접촉을 이룰 때 0.5의 듀티비를 갖으면서 이동체(30)가 실질적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로드(25)를 진동시키는 구형파 구동신호를 압전소자(24)로 인가한다.The dri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able body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clined when the movable body is stopped using the restraint. The drive device includes a piezoelectric element 24; A rod 25 provided at one end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A movable body 30 frictionally interlocked with the rod; The drive pulse generating means 33, 34 for applying a drive signal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24 is provided. The driving pulse generating means (33, 34) has a duty ratio other than 0.5 when the moving body 30 is moved, the piezoelectric element (Square wave driving signal for vibrating the rod 25 so as to cause a difference between the extension and contraction of the rod And a piezoelectric square wave driving signal for vibrating the rod 25 so that the movable body 30 does not substantially move while having a duty ratio of 0.5 when the movable body 30 makes contact with the regulating member 22. It is applied to the element 24.

Description

구동장치{DRIVE UNIT}DRIVE UNIT

도 1a는 종래 구동장치의 분해 사시도,Figure 1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drive device,

도 1b는 종래 구동장치의 조립도,1B is an assembly view of a conventional driving devic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동장치의 로드의 진동 변위를 나타낸 도면,2 is a view showing the vibration displacement of the rod of the drive device shown in FIG.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구동장치의 구동원리를 설명하는 도면,3 is a view for explaining a driving principle of the driving apparatus shown in FIG. 1;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구동장치의 이동체의 원점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4A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detecting the origin of the moving object of the driving device shown in FIG. 1;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구동장치의 이동체가 경사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Figure 4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body of the drive device shown in FIG.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를 나타낸 외관 구성도,5A is an external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이동체를 나타낸 확대도,5B is an enlarged view of the movable body illustrated in FIG. 5A;

도 6은 도 5a에 도시된 구동장치의 구동회로와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6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riving circuit and a control unit of the driving apparatus shown in FIG. 5A;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구동회로에 인가된 제어신호와 구동장치의 압전소자에 인가된 전압을 나타낸 도면,7 is a diagram showing a control signal applied to the driving circuit shown in FIG. 6 and a voltage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of the driving apparatus;

도 8은 구동전압의 듀티비와 이동체의 상대적 이동속도 사이의 관계의 예를 나타낸 그래프,8 is a graph showing an exampl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uty ratio of the driving voltage and the relative moving speed of the moving body;

도 9는 도 5a에 도시된 구동장치의 원점을 검출하기 위한 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차트,9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for detecting the origin of the drive device shown in FIG. 5A;

도 10a는 제1파형 구동신호의 예로서, 0.3의 듀티비를 갖는 구동전압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10A is a diagram showing a waveform of a driving voltage having a duty ratio of 0.3 as an example of the first waveform driving signal;

도 10b는 제2파형 구동신호의 예로서, 0.5의 듀티비를 갖는 구동전압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0B illustrates waveforms of driving voltages having a duty ratio of 0.5 as an example of the second waveform driving signal.

본 발명은, 주로 카메라, DVD 드라이브, CD 드라이브, MD 드라이브, 내시경 등에서 이용되는 렌즈와 같은 광학부품과 통합되는 이동체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relates to a driving device for driving a moving body integrated with an optical component such as a lens used in a camera, a DVD drive, a CD drive, an MD drive, an endoscope, and the like.

전압이 인가될 때 그 치수(신장 또는 수축)를 변경시키는 압전소자(piezoelectric element)와 같은 전기기계 변환기(electromechanical transducer)를 사용하는 구동장치로서, 예컨대 도 1a에 도시된 분해 사시도 및 도 1b에 도시된 조립 사시도가 알려져 있다(USP6, 016,231).A drive device using an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such as a piezoelectric element that changes its dimensions (extension or contraction) when a voltage is applied, for example in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n in FIG. 1A and in FIG. 1B. Assembled perspective views are known (USP6, 016,231).

압전소자(4)는 적층된 다수의 압전 플레이트를 갖추어 이루어진다. 신장/수축 방향에서의 그 일단(4a)은 베이스(1)에 고정되고, 그 타단(4b)은 로드(5; rod)(지지부재)의 일단(5a)에 고정된다. 로드(5)는 베이스(1)와 통합되는 지지부(2,3) 상에 미끄러지게 지지된다.The piezoelectric element 4 comprises a plurality of stacked piezoelectric plates. One end 4a in the extension / contraction direction is fixed to the base 1, and the other end 4b is fixed to one end 5a of the rod 5 (support member). The rod 5 is slidably supported on the supports 2, 3 which are integrated with the base 1.

로드(5)는 이동체(10)의 주장치(10a)와 캡(10b) 사이에 유지되고, 누름스프링(10c)은 유지 방향으로 주장치(10a)와 캡(10b)에 대해 누름력(urging force)을 가한다. 따라서, 이동체(10)는 로드(5)를 따라 미끄러지도록 지지된다.The rod 5 is held between the main unit 10a and the cap 10b of the moving body 10, and the pressing spring 10c is a pressing force against the main unit 10a and the cap 10b in the holding direction. Add. Thus, the movable body 10 is supported to slide along the rod 5.

전압제어회로가 압전소자(4)에 접속된다. 예컨대, 구형파 등을 갖는 소정의 구동전압이 압전소자(4)에 인가될 경우, 압전소자(4)는 변위(displacement)에 따라 진동하고, 그 형상은 거의 구동전압과 유사하다. 로드(5)가 유연하기 때문에, 로드(5)는 압전소자(4)의 변위에 응답하여 그 길이방향으로 톱니형상을 갖는 변위에 따라 진동하게 된다(도 2 참조).The voltage control circuit is connect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4. For example, when a predetermined driving voltage having a square wave or the like is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4, the piezoelectric element 4 vibrates in accordance with displacement, and its shape is almost similar to the driving voltage. Because the rod 5 is flexible, the rod 5 vibrates in response to the displacement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4 in accordance with the displacement having the sawtooth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see Fig. 2).

특히, 기간(A)에서, 압전소자(4)는 제1진동변위(100)의 점진적 상승 경사부(101)에서 비교적 천천히 신장되어, 로드(5)는 도 1b에 도시된 화살표(Ⅰ)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천천히 이동하게 된다. 다음에, 기간(B)에서, 압전소자(4)는 급격히 수축되고 그 길이는 (하강 경사부(102)에 의해 지시된 파형부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은)최초 길이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로드(5)는 화살표(Ⅱ)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급격히 이동하게 된다.In particular, in the period A, the piezoelectric element 4 is stretched relatively slowly in the progressively rising inclined portion 101 of the first vibration displacement 100, so that the rod 5 is connected to the arrow I shown in Fig. 1B. It will move slowly in the direction indicated. Next, in the period B, the piezoelectric element 4 contracts rapidly and its length returns to the initial length (as shown by the waveform portion indicated by the falling slope 102). Thus, the rod 5 moves rapidly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II.

상기와 유사한 이동이 이후 반복된다. 결과적으로, 로드(5)는 방향(Ⅰ)으로의 느린 이동과 방향(Ⅱ)으로의 급격한 이동이 반복된다. 따라서, 로드(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점진적 상승과 급격한 하강에 의해 특징지워지는 톱니진동파를 갖는 변위에 따라 진동하게 된다.Movement similar to the above is then repeated. As a result, the rod 5 repeats the slow movement in the direction I and the rapid movement in the direction II. Thus, the rod 5 vibrates in accordance with the displacement with the sawtooth oscillation wave characterized by a gradual rise and abrupt drop as shown in FI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10)의 누름스프링(10c)의 스프링력[이동체 (10)로부터 로드(5)로 가해지는 마찰 접속력]이 조정되어, [기간(A)에서]로드(5)가 천천히 이동할 때 이동체(10)가 로드(5)와 함께 이동하게 되고, [기간(B)에서]로드(5)가 급격하게 이동할 때 관성에 기인하는[또는 로드(5) 보다 더 작은 양 만큼 이동하는] 곳에 머무르게 된다. 따라서, 이동체(10)는 로드(5)가 진동하는 동안 상대적으로 베이스(1)에 대한 방향(Ⅰ)으로 이동한다.As shown in Fig. 3, the spring force (the frictional connection force exerted from the movable body 10 to the rod 5) of the pressing spring 10c of the movable body 10 is adjusted, and the rod [in the period A] is loaded. The moving body 10 moves with the rod 5 when (5) moves slowly, and due to inertia (or more than the rod 5) when the rod 5 moves rapidly (in period B). Stayed where they move by a small amount. Thus, the movable body 10 moves relatively in the direction I with respect to the base 1 while the rod 5 vibrates.

이동체(10)가 도 1b에 도시된 화살표(Ⅱ)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경우, 로드(5)의 진동파형은 도 2에 도시된, 즉 급격한 상승부 및 점진적 하강부를 갖는 파형과는 반대로 될 수 있다. 이 경우의 이동체(10)의 이동 원리는 상기한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로드의 진동 변위는 압전소자(4)에 인가된 구형파의 듀티비를 변경시킴으로써 도 2와는 반대로 될 수 있다.When the movable body 10 is moved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II shown in FIG. 1B, the vibration waveform of the rod 5 is represented by the waveform shown in FIG. 2, that is, having a sharp rise portion and a progressive drop portion. Can be reversed. The moving principle of the movable body 10 in this case is the same as the above-mentioned case. In this case, the vibration displacement of the rod can be reversed from that in FIG. 2 by changing the duty ratio of the square wave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4.

구동장치의 이동체(10)는 베이스(고정 베이스)(1)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장치는 예컨대 카메라의 렌즈 구동장치로서 이용될 수 있다. 즉, 이동체(10)가 렌즈 프레임에 연결된 구조에 따라, 렌즈는 이동체(10)의 이동과 동시에 이동될 수 있게 된다.The moving body 10 of the drive device can be moved relative to the base (fixed base) 1. Thus, the driving device can be used, for example, as a lens driving device of the camera. That is, according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movable body 10 is connected to the lens frame, the lens can be moved simultaneously with the movement of the movable body 10.

상기한 이동 원리를 갖는 압전소자를 이용하는 구동장치가 광학부재를 이동시키는데 이용되는 경우, 이동체(10)의 위치 제어가 중요하게 된다. 이동체(10)의 위치 제어에 있어서, 이동체(10)의 위치는 모든 시간에서 검출될 수 있어, 이동체(10)는 이동가능 범위의 종단 바로 직전의 위치에서 정확하게 멈출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압전소자를 이용하는 구동장치를 위한 위치 제어를 정확하게 수행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로드를 지지하는 지지부(3)가 이동체의 이동 범 위를 제한하는 규제부재로서 이용되고, 이동체는 이동체의 이동을 제한하는 지지부재(3)와의 안정된 접촉이 이루어지게 된다(도 4a 참조).When a driving apparatus using a piezoelectric element having the above-described moving principle is used to move the optical member, position control of the moving body 10 becomes important. In the position control of the movable body 10, the position of the movable body 10 can be detected at all times, so that the movable body 10 can be stopped exactly at the position immediately before the end of the movable range. However,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perform position control for a drive device using such a piezoelectric element. Therefore, the support part 3 for supporting the rod is used as a restricting member for limiting the movement range of the movable body, and the movable body is in stable contact with the supporting member 3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movable body (see FIG. 4A). .

그러나, 이동체가 규제부재[지지부재(3)]와 접촉을 이루어 정지되는 경우, 이동체가 규제부재와 접촉을 이룬 후 압전소자의 구동이 즉각 정지되지 않으면, 이동체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즉, 구동장치가 카메라 등의 렌즈 경통에 실제적으로 이용되는 경우, 로드의 직경이 약 1mm이지만, 이동체에 접속된 렌즈 프레임(11)의 직경은 약 10mm이다. 따라서, 이동체로부터 신장되는 부재의 크기나 무게가 이동체 보다 더 크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압전소자(4)가 이동체(10)를 이동시키도록 구동되어지는 동안 이동체(10)의 이동이 연속적으로 규제부재(3)를 이용해서 제한되어지는 상태라면, 이동체(10)는 경사지는 경향이 있다. 이동체의 경사가 매우 근소함에 도 불구하고, 렌즈(12)와 같은 광학부재에 구동장치가 접속되는 경우, 경사는 광학 시스템의 성능에 심각한 저하를 야기시키게 된다.However, when the movable body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gulating member (support member 3) and stopped, if the driving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is not stopped immediately after the movable body makes contact with the regulating member, the movable body is inclined as shown in Fig. 4B. There is a problem. That is, when the driving device is actually used for lens barrels such as cameras, the diameter of the rod is about 1 mm, but the diameter of the lens frame 11 connected to the movable body is about 10 mm. Therefore, the size or weight of the member extending from the movable body is larger than that of the movable body. For this reason, if the movement of the movable body 10 is continuously restricted by using the restricting member 3 while the piezoelectric element 4 is driven to move the movable body 10, the movable body 10 is There is a tendency to slope. Although the tilt of the moving body is very small, when the driving device is connected to an optical member such as the lens 12, the tilt causes a serious deterioration in the performance of the optical system.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규제부재가 더 크게 만들어지거나 이동체의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센서가 제공됨으로써, 이동체의 경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규제부재가 더 크게 만들어지거나 센서가 제공되는 이러한 구성은, 최근 렌즈 경통과 같은 광학 시스템의 크기를 줄이는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지 않다. 더욱이, 센서의 제공은 비용 상승의 문제를 야기시키게 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sensor can be made larger or the sensor which can accurately detect the position of the movable body can be prevented from tilting the movable body. However, such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regulating member is made larger or a sensor is provided is not desirable from the viewpoint of reducing the size of an optical system such as a lens barrel in recent years. Moreover, the provision of the sensor causes the problem of cost increase.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이동체가 규제부재와 접촉을 이루는 위치에서 정지하는 경우 이동체의 경사를 방지할 수 있는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oint,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driving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the inclination of the movable body when the movable body stops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regulating memb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특징에 구동장치는, 구동신호 인가에 의해 신장/수축이 가능한 전기기계 변환기와;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riving apparatus comprising: an electromechanical converter capable of stretching / contracting by applying a driving signal;

전기기계 변환기에 접속되고, 전기기계 변환기와 함께 변위되는 지지부재;A support member connected to the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and displaced with the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지지부재 상에 미끄러지게 지지되고 전기기계 변환기의 신장/수축에 의한 지지부재의 진동으로 인해 지지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A movable body that is slidably supported on the support member and moves along the support member due to vibration of the support member by extension / contraction of the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이동체의 이동가능 범위를 규제하는 규제부재 및;A regulating member for regulating a movable range of the movable body;

이동체가 규제부재와 접촉을 이루는 위치로 이동체가 이동할 때 지지부재의 신장 및 수축 사이에서 차이가 야기되도록 지지부재를 진동시키기 위한 제1파형 구동신호를 전기기계 변환기로 인가하고, 이동체가 규제부재와 접촉을 이룬 후 이동체가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부재를 진동시키기 위한 제2파형 구동신호를 전기기계 변환기로 인가하는 구동회로를 구비하여 구성된다.A first waveform drive signal is applied to the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for vibrating the support member so that a difference between the elongation and contraction of the support member is caused when the movable body moves to a position where the movable body is in contact with the regulating member, and the movable body is connected to the regulating member. And a driving circuit for applying a second waveform driving signal to the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so as to vibrate the supporting member so that the moving body does not move after the contact is made.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2파형 구동신호는 0.5의 듀티비를 갖는 구형파를 갖을 수 있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econd waveform driving signal may have a square wave having a duty ratio of 0.5.

또한, 제1파형 구동신호가 0.5 이외의 듀티비를 갖는 구형파를 갖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waveform driving signal may have a square wave having a duty ratio other than 0.5.

더욱이, 규제부재가, 구동장치의 이동체의 위치가 검출되는 기준위치에 제공 된다.Furthermore, the restricting member is provided at the reference position at which the position of the moving body of the drive device is detected.

더욱이, 이동체가 지지부재에 대항하는 누름력에 의해 눌려진다.Moreover, the movable body is pressed by the pressing force against the support member.

또한, 구동회로는, 제1파형 구동신호가 소정 시간 동안 인가된 후 제2파형 구동신호를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서, 소정 시간이 이동가능 범위에서의 이동체의 위치에 관계없이 규제부재에 도달하도록 이동체를 허용하기에 충분한 시간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driving circuit is configured to apply the second waveform driving signal after the first waveform driving signal is appli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determined time is a time sufficient to allow the movable body to reach the regulating member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movable body in the movable range.

본 발명의 제2특징에 따른 구동장치는, 구동신호 인가에 의해 신장/수축이 가능한 전기기계 변환기와;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riving apparatus comprising: an electromechanical converter capable of stretching / contracting by applying a driving signal;

신장/수축 방향으로 전기기계 변환기의 일단에 고정된 지지부재;A support member fixed to one end of the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in the extension / retraction direction;

지지부재 상에 미끄러지게 지지된 이동체;A movable body slidably supported on the support member;

지지부재를 향해 이동체를 누르도록 누름력을 가하는 누름부재;A pressing member for applying a pressing force to press the moving body toward the supporting member;

이동체의 이동가능 범위의 일단에서 이동체와 접촉을 이루도록 제공된 규제부재 및;A regulating member provided to make contact with the movable body at one end of the movable range of the movable body;

이동체가 규제부재와 접촉을 이루는 위치로 이동체가 이동할 때 이동체가 누름력에 대항하는 지지부재와 관련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지지부재를 진동시키기 위한 제1파형 구동신호를 전기기계 변환기로 인가하고, 이동체가 규제부재와 접촉을 이룬 후 이동체가 지지부재에 대해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부재를 진동시키기 위한 제2파형 구동신호를 전기기계 변환기로 인가하는 구동회로를 구비하여 구성된다.Applying a first waveform drive signal to the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for vibrating the support member such that when the movable body moves to a position where the movable body makes contact with the regulating member, the movable body moves relativel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member against the pressing force, And a driving circuit for applying a second waveform driving signal to the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so as to vibrate the supporting member so that the movable body does not move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member after making contact with the regulating member.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제1 및 제2파형 구동신호의 제1 및 제2파형이 구형파 이고, 제1 및 제2파형이 다른 듀티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2파형은 0.5의 듀티비를 갖을 수 있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nd second waveforms of the first and second waveform drive signals are square waves, and the first and second waveforms have different duty ratios. For example, the second waveform can have a duty ratio of 0.5.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규제부재는 지지부재를 미끄러지게 지지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restricting member slides the supporting member.

더욱이, 구동회로는 전기기계 변환기에 대해 제1파형 구동신호로서 소정 수의 펄스를 인가한다.Moreover, the drive circuit applies a predetermined number of pulses as the first waveform drive signal to the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체가 규제부재와 접촉을 이루는 위치에서 정지되는 경우, 이동체와 규제부재와의 접촉에 기인하는 이동체의 경사가 교정될 수 있게 된다. 즉, 이동체가 규제부재와 접촉을 이룰때 야기되는 이동체의 경사는 지지부재를 진동시킴으로써 교정될 수 있어, 이동체가 규제부재와 접촉을 이룬 후 이동체는 실질적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동체는 센서 등을 이용하지 않고서 위치되어질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이동체에 제공된 광학부재의 변위에 기인하는 광학축의 변위는 방지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vable body is stopped at the position where it contacts with the restricting member, the inclination of the movable body due to the contact between the movable body and the restricting member can be corrected. That is, the inclination of the movable body caused when the movable body makes contact with the regulating member can be corrected by vibrating the supporting member, so that the movable body does not substantially move after the movable body makes contact with the regulating member. Thus, the movable body can be positioned without using a sensor or the like. Moreover, the displacement of the optical axis due to the displacement of the optical member provided in the movable body can be prevented.

더욱이, 이동체는, 제2파형 구동신호로서 0.5의 듀티비를 갖는 구형파 구동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전기기계 변환기의 진동이 안정적으로 얻어지는 동안 이동체가 이동하지 않는 상태를, 초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동체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것 없이 이동체의 경사가 교정될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by applying the square wave driving signal having a duty ratio of 0.5 as the second waveform driving signal, the movable body can cause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body does not move while the vibration of the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is stably obtained. Therefore, the inclination of the movable body can be corrected without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movable body.

더욱이, 제1파형 구동신호로서 0.5 이외의 듀티비를 갖는 구형파 구동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이동체는 소정 방향으로 고속으로 이동되어질 수 있게 된다.Further, by applying a square wave driving signal having a duty ratio other than 0.5 as the first waveform driving signal, the movable body can be moved at a high spe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더욱이, 규제부재와 접촉되는 이동체의 위치가 정확하게 검출되기 때문에, 이동체의 위치 검출이 기준 위치로서 이동체의 위치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Moreover, since the position of the movable body in contact with the regulating member is accurately detected, the position detection of the movable body can be easily performed using the position of the movable body as the reference position.

(실시예)(Example)

본 발명의 설명을 진행하기 전에 동일한 구성요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인다. 이하, 예시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Before proceeding with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Hereinafter, a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xemplary drawings.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20)는 카메라의 렌즈 경통에 이용되어지는 광학렌즈(32)가 제공되는 렌즈프레임(31)을 구동시키는데 이용된다.Figure 5a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driv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devic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used to drive the lens frame 31 provided with the optical lens 32 used for the lens barrel of the camera.

구동장치(20)는 도 1에 도시된 압전소자(4)를 이용하는 구동장치와 동일한 원리를 기초로 이동체(30)를 구동시킨다. 구동장치(20)의 압전소자(24)는 적층된 다중 압전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신장/수축 방향에서의 일단이 프레임(21)에 고정되고, 타단이 로드(25)의 종단에 고정된다. 로드(25)는 이동체(30)의 주장치(30a)와 캡(30b) 사이에 유지되고, 누름스프링(30c)이 유지방향으로 주장치(30a)와 캡(30b)에 대해 누름력을 가한다. 따라서, 이동체(30)는 로드(25)를 따라 미끄러질 수 있도록 지지된다.The driving device 20 drives the moving body 30 based on the same principle as the driving device us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4 shown in FIG. The piezoelectric element 24 of the driving device 20 includes a multilayered piezoelectric plate. One end in the extension / retraction direction is fixed to the frame 21,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end of the rod 25. The rod 25 is held between the main device 30a and the cap 30b of the movable body 30, and the pressing spring 30c exerts a pressing force against the main device 30a and the cap 30b in the holding direction. Thus, the movable body 30 is supported to slide along the rod 25.

예컨대, 로드(25)는 이동체(30)의 주장치(30a)와 캡(30b) 사이에 유지되고, 로드(25)와 이동체(30) 사이에서 마찰 접촉을 달성하도록 누름스프링(30c)이 유지방향으로 주장치(30a)와 캡(30b)에 대해 누름력을 가한다. 따라서, 이동체(30)는 로드(25)를 따라 미끄러질 수 있도록 지지된다. 렌즈프레임(31)은 이동체(30)에 고정되고 이동체의 이동과 동시에 이동하게 된다. 이동체(30)가 로드(25)에 대해 경사질 때, 이동체(30)가 누름스프링에 의해 로드(25)를 향해 작용하기 때문에, 힘이 이동체(30)의 경사를 교정하도록 가해지게 된다.For example, the rod 25 is held between the main device 30a of the movable body 30 and the cap 30b, and the pressing spring 30c is held in the holding direction to achieve frictional contact between the rod 25 and the movable body 30. The pressing force is applied to the main device 30a and the cap 30b. Thus, the movable body 30 is supported to slide along the rod 25. The lens frame 31 is fixed to the movable body 30 and moves simultaneously with the movement of the movable body. When the movable body 30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rod 25, since the movable body 30 acts toward the rod 25 by the push spring, a force is applied to correct the inclination of the movable body 30.

구동회로(33)가 압전소자(24)에 접속된다. 제어부(34)로부터의 제어 하에, 구동회로(33)는 소정의 듀티비를 갖는 구형파 구동전압을 압전소자(24)에 인가한다. 즉, 제어부(34)는 이동체(30)의 이동 방향 및 속도에 따른 소정의 듀티비를 갖는 구형파 구동전압을 인가하도록 구동회로(33)를 제어함으로써, 이동체(30)의 위치를 조정하게 된다.The drive circuit 33 is connect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24. Under control from the control unit 34, the driving circuit 33 applies a square wave driving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duty ratio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24. That is, the controller 34 adjusts the position of the movable body 30 by controlling the driving circuit 33 to apply a square wave driving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duty ratio corresponding to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speed of the movable body 30.

압전소자(24)가 구동신호 인가에 의해 신장 및 수축됨에 따라 이동체(30)가 로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동체(30)의 이동가능 범위는 2개의 지지부(22,23) 사이이다. 즉, 로드(25)는 그 길이가 이동가능 범위 보다 더 긴 구성으로 되도록 요구되고, 로드(25)의 크기는 이동체(30)의 이동가능 범위에 따라 설계된다. 더욱이, 이동체(30)가 지지부(22)와 접촉을 이루는 위치는 위치 제어를 위한 원점으로서 이용된다. 즉, 이동체(30)의 위치 제어에 있어서, 이동체(30)의 위치를 검출하는데 이용되는 원점은 이동체(30)가 지지부(22)와 접촉되게 함으로써 검출될 수 있게 된다. 지지부(22,23)가 이동체 보다 충분히 더 크게 만들어지는 구성에 따르면, 이동체(30)의 이동은 이후에 설명되어지는 원점 검출 동안 이동체(30)의 경사를 야기시키는 것 없이 제한되어질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부가 작게 만들어져, 구동장치는 크기가 작게 구성되게 된다.As the piezoelectric element 24 is extended and contracted by the application of the driving signal, the movable body 30 moves along the rod. The movable range of the movable body 30 is between two supports 22 and 23. That is, the rod 25 is required to have a configuration whose length is longer than the movable range, and the size of the rod 25 is designed according to the movable range of the movable body 30. Moreover, the position where the movable body 30 makes contact with the support 22 is used as the origin for position control. That is, in the position control of the movable body 30, the origin used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movable body 30 can be detected by bringing the movable body 30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22.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supports 22 and 23 are made sufficiently larger than the movable body, the movement of the movable body 30 can be restricted without causing the tilt of the movable body 30 during the origin detec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ing portion is made small, so that the driving device is made small in size.

지지부(23)의 측면 상의 이동가능 범위의 일단에 제공된 센서(23a)는 이동체(30)가 지지부(23)와 접촉을 이루는 것을 검출한다. 센서(23a)의 출력은 제어부 (34)에 입력된다.A sensor 23a provided at one end of the movable range on the side of the support 23 detects that the movable body 30 makes contact with the support 23. The output of the sensor 23a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34.

도 6은 도 5a에 도시된 구동장치에 포함되면서 압전소자에 전압을 인가하는 구동회로(33)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다. 구동회로(33)에 있어서, 4개의 스위치(Q1∼Q4)와 2개의 캐패시터(C1,C2)는 H-브릿지회로를 형성해서, 구동회로(33)는 압전소자(24)에 대해 구동전압을 인가한다. 스위치(Q1,Q2)는 P-채널MOSFET로 형성되고, 스위치(Q3,Q4)는 N-채널 MOSFET로 형성된다.FIG. 6 show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drive circuit 33 for applying a voltage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while being included in the drive device shown in FIG. 5A. In the drive circuit 33, four switches Q1 to Q4 and two capacitors C1 and C2 form an H-bridge circuit, so that the drive circuit 33 supplies a drive voltage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24. Is authorized. The switches Q1 and Q2 are formed of P-channel MOSFETs, and the switches Q3 and Q4 are formed of N-channel MOSFETs.

스위치(Q1)의 소스는 터미널(Vp)에 접속되고, 게이트는 제어부(34)의 터미널(Sc1)에 접속된다. 스위치(Q2)의 소스는 터미널(Vp)에 접속되고, 게이트는 제어부의 터미널(Sc2)에 접속된다. 스위치(Q3)의 드레인은 스위치(Q1)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소스는 접지된다. 또한, 스위치(Q3)의 게이트는 제어부(34)의 터미널(Sc3)에 접속된다. 스위치(Q4)의 드레인은 스위치(Q2)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소스는 접지된다. 더욱이, 스위치(Q4)의 게이트는 제어부(34)의 터미널(Sc4)에 접속된다.The source of the switch Q1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Vp and the gate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Sc1 of the control unit 34. The source of the switch Q2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Vp, and the gate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Sc2 of the control section. The drain of the switch Q3 is connected to the drain of the switch Q1, and the source is grounded. In addition, the gate of the switch Q3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Sc3 of the control unit 34. The drain of the switch Q4 is connected to the drain of the switch Q2, and the source is grounded. Furthermore, the gate of the switch Q4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Sc4 of the control unit 34.

압전소자(24)의 일측 터미널은 스위치(Q1,Q3)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타측 터미널은 스위치(Q2,Q4)의 드레인에 접속된다. 더욱이, 캐패시터(C1,C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스위치(Q3,Q4)와 병렬로 접속된다. 각 캐패시터(C1,C2)의 캐패시턴스는 압전소자(24)의 캐패시턴스와 동일하다. 제어부(34)는 스위치(Q1∼Q4)로 입력되는 전압을 절환함으로써, 압전소자(24)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한다. 특히, 예컨대 전압(하이)이 스위치(Q1,Q3)에 인가될 때와 스위치(Q2,Q4)에 인가되는 전압(로우)이 없을 때, 전압(-Vp)이 압전소자에 인가된다. 한편, 스위치 (Q1,Q3)에 인가되는 전압(로우)이 없을 때와 전압(하이)이 스위치(Q2,Q4)에 인가될 때, 전압(Vp)이 압전소자(24)에 인가된다.One terminal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24 is connected to the drains of the switches Q1 and Q3, and the oth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drains of the switches Q2 and Q4. Furthermore, capacitors C1 and C2 are connected in parallel with switches Q3 and Q4,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The capacitances of the capacitors C1 and C2 are the same as the capacitances of the piezoelectric elements 24. The control part 34 controls the voltage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24 by switching the voltage input into the switches Q1-Q4. In particular, for example, when the voltage (high) is applied to the switches Q1 and Q3 and when there is no voltage (low) applied to the switches Q2 and Q4, the voltage -Vp is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no voltage (low) applied to the switches Q1 and Q3 and when the voltage (high) is applied to the switches Q2 and Q4, the voltage Vp is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24.

제어부(34)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스위치(Q1∼Q4)의 드레인에 인가되는 전압을 ON/OFF시킴으로써 압전소자(24)에 인가되어지는 전압을 제어함과 더불어 구동회로(33)를 매개로 압전소자(24)로 구형파 구동전압을 입력한다. 특히, 스위치(Q1∼Q4)의 게이트 전압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될 때, 압전소자(24)에 인가되어지는 구동전압은 도 7의 Load로 표기된 구형파를 갖는다. 도 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ta∼td는 각각 전압 인가 시간 기간을 나타내고, 이러한 시간 기간(ta∼td)은 하나의 사이클을 형성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34 controls the voltage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24 by turning on / off the voltage applied to the drains of the switches Q1 to Q4 as well as the piezoelectric medium via the driving circuit 33. A square wave driving voltage is input to the element 24. In particular, when the gate voltages of the switches Q1 to Q4 are controlled as shown in FIG. 7, the driving voltage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24 has a square wave denoted as Load in FIG. As can be seen from FIG. 7, ta to td each represent a voltage application time period, and these time periods ta to td form one cycle.

먼저, 기간(ta)에서, 스위치(Q2,Q4)가 하이로 되고, 스위치(Q1,Q3)가 로우로 된다. 한편, 기간(tc)에서, 스위치(Q2,Q4)가 로우로 되고, 스위치(Q1,Q3)가 하이로 된다. 따라서, 시간 기간(ta)에서 압전소자(24)에 인가된 전압과 시간 기간(tc)에서 압전소자(24)에 인가된 전압은 절대값은 동일하지만 부호가 반대이다.First, in the period ta, the switches Q2 and Q4 go high, and the switches Q1 and Q3 go low. On the other hand, in the period tc, the switches Q2 and Q4 go low, and the switches Q1 and Q3 go high. Therefore, the voltage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24 in the time period ta and the voltage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24 in the time period tc have the same absolute value but the opposite signs.

시간 기간(tb,td)에서, 모든 스위치(Q1∼Q4)가 하이로 되기 때문에, 압전소자(24)에 인가되는 전압은 제로이다. 따라서, ta∼td의 싸이클이 반복될 때, 도 7에 도시된 구형파 구동전압이 압전소자(24)에 주기적으로 인가된다. 시간 기간(tb,td) 동안, 변경된 압전소자(24)의 형상은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간다. 시간 기간(tb,td)이 시간 기간(ta,tc) 보다 상당히 더 짧아, 시간 기간(tb,td)은 제로로 설정될 수 있다. 시간 기간(ta,tc) 사이의 비율 만이 구동전압의 듀티비를 변경시키도록 조정된다.In the time periods tb and td, since all the switches Q1 to Q4 go high, the voltage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24 is zero. Therefore, when the cycles of ta to td are repeated, the square wave driving voltage shown in FIG. 7 is periodically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24. During the time period tb, td, the changed shap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24 returns to the original shape. Since the time periods tb, td are considerably shorter than the time periods ta, tc, the time periods tb, td can be set to zero. Only the ratio between the time periods ta and tc is adjusted to change the duty ratio of the driving voltage.

도 8은 듀티비와 이동체(30)의 이동속도 사이의 관계를 예로 나타낸 것이다. 듀티비가 제로로부터 증가됨에 따라, 이동체(30)의 이동 속도는 포지티브 방향으로 증가하고, 듀티비가 0.3일 때 포지티브 최대값에 도달한다. 더욱이, 듀티비가 0.3을 초과함에 따라, 속도는 점점 늦어져, 듀티비가 0.5일 때 제로에 도달한다. 이 때, 로드(25)의 신장 및 수축 속도는 동일하고, 이동체는 극미하게 이동을 위한 여유를 갖는다. 그러나, 신장 및 수축 동안의 이동량이 동일하기 때문에, 이동체는 상대적으로 그 속도가 제로인 상태에 있게 된다. 또한, 듀티비가 0.5 보다 더 커지게 됨에 따라, 이동체의 이동 속도는 네가티브 방향으로 증가하고, 듀티비가 0.7일 때 네가티브 최대값에 도달하게 된다. 더욱이, 듀티비가 0.7을 초과함에 따라, 네가티브 속도가 점진적으로 더 늦어지고, 듀티비가 1.0일 때 이동체가 정지하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포지티브 방향은 이동체(30)가 지지부(22)를 향하여 이동하는 방향이고, 네가티브 방향은 이동체(30)가 지지부(23)를 향하여 이동하는 방향이다.8 illust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uty ratio and the moving speed of the moving body 30 as an example. As the duty ratio is increased from zero, the moving speed of the movable body 30 increases in the positive direction, and reaches a positive maximum value when the duty ratio is 0.3. Moreover, as the duty ratio exceeds 0.3, the speed becomes slower, reaching zero when the duty ratio is 0.5. At this time, the elongation and retraction speed of the rod 25 is the same, and the movable body has a margin for movement slightly. However, because the amounts of movement during stretching and contraction are the same, the movable body is in a state where the velocity thereof is relatively zero. In addition, as the duty ratio becomes larger than 0.5, the moving speed of the moving body increases in the negative direction, and reaches a negative maximum when the duty ratio is 0.7. Moreover, as the duty ratio exceeds 0.7, the negative speed gradually becomes slower, and the moving body stops when the duty ratio is 1.0. In this embodiment, the positive direction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vable body 30 moves toward the support 22, and the negative direction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vable body 30 moves toward the support 23.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의 구동 제어를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장치는 제어부(34)를 이용해서 결정된 소정의 듀티비를 갖는 구형파 구동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 로드(25)를 따라 이동체(30)를 이동시킨다. 고속으로 이동체(30)를 이동시키기 위한 목적을 위해, 이때 구동전압의 듀티비가 약 0.3 또는 0.7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듀티비가 0.3일 때, 이동체(30)는 지지부(22)를 향해 고속으로 이동하고, 듀티비가 0.7일 때 이동체(30)는 지지부(23)를 향해 고속으로 이동하게 된다.Hereinafter, drive control of the driv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device moves the moving body 30 along the rod 25 in a desired direction by applying a square wave driving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duty ratio determined using the control unit 34. For the purpose of moving the movable body 30 at high speed, it is preferable that the duty ratio of the driving voltage is about 0.3 or 0.7 at this time. That is, when the duty ratio is 0.3, the movable body 30 moves at high speed toward the support 22, and when the duty ratio is 0.7, the movable body 30 moves at high speed toward the support 23.

이동체(30)가 그 이동가능 범위의 종단으로 이동할 때, 즉 이동체(30)가 지지부(22,23)와 접촉될 때, 구동전압이 압전소자(24)에 인가되면, 이동체(30)는 경사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는 경사를 방지 또는 제거하도록 다음의 제어를 수행한다.When the movable body 30 moves to the end of its movable range, that is, when the movable body 30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s 22 and 23, when the driving voltage is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24, the movable body 30 is inclined. do. The driv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erforms the following control to prevent or eliminate tilt.

이동체(30)가 구동장치의 선단측 상의 이동가능 범위의 종단, 즉 지지부(23)와 접촉을 이룰 때, 센서(23a)는 위치검출을 수행한다. 즉, 이동체(30)가 지지부(23)와 접촉을 이루는 것을 센서(23a)가 검출할 때, 압전소자(24)에 대한 구동전압의 인가가 중지된다. 결과적으로, 이동체(30)가 지지부(23)와 접촉될 때 구동전압이 인가되지 않음에 따라, 이동체(30)의 경사가 방지된다.When the movable body 30 makes contact with the end of the movable range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drive device, that is, the support 23, the sensor 23a performs position detection. That is, when the sensor 23a detects that the movable body 30 makes contact with the support 23, the application of the driving voltage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24 is stopped. As a result, as the driving voltage is not applied when the movable body 30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23, the inclination of the movable body 30 is prevented.

한편, 이동체(30)가 구동장치의 소자측 상의 이동가능 범위의 종단, 즉 지지부(22)와 접촉을 이룰 때, 다음과 같은 처리가 수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지지부(22)를 이용해서 제한된, 이동가능 범위의 한계 위치는 이동체(30)의 위치 제어를 위한 원점으로서 이용되고, 이동체(30)의 대기 위치로서 기능한다. 즉, 구동장치와 통합되는 카메라의 전원 공급이 OFF될 때, 또는 전원이 ON됨과 더불어 카메라의 상태가 리셋될 때, 이동체(30)가 제어되어 소자측 상의 지지부(22)와 접촉을 이루고, 원점 검출이 수행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ovable body 30 makes contact with the end of the movable range on the element side of the drive device, that is, the support part 22, the following processing is performed. The limit position of the movable range, which is limited by using the support 22 as described above, is used as an origin for the position control of the movable body 30 and functions as a standby position of the movable body 30. That is, when the power supply of the camera integrated with the driving device is turned off or when the state of the camera is reset while the power is turned on, the movable body 30 is controlled to make contact with the support part 22 on the element side, and the origin Detection is performed.

도 9는 이동체(30)의 위치 검출을 위한 원점 검출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이동체의 원점을 검출하기 위해, 구형파형을 갖음과 더불어 0∼0.5의 범위의 듀티비를 갖는 소정의 제1파형 구동전압이 소자측을 향해 이동체(30)를 이동시키도록 압전소자(24)에 인가된다(단계 1). 도 10a는 제1파형 구동신호의 예로서, 0.3의 듀티비를 갖는 구동전압의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이 때 수행되는 처리에서, 로드(25) 상의 이동체(30)의 위치에 관계없이, 펄스가 제어부(34)에 미리 저장된 소정 시간만 압전소자(24)에 인가된다. 펄스의 소정 수는, 이동가능 범위에서의 이동체(30)의 위치에 관계없이 이동체가 지지부(22)와 접촉을 이루도록 허용되는 이동량이 안정적으로 얻어질 수 있는 펄스의 수이다. 이러한 수의 특정값은 로드(25)의 길이, 압전소자(24)의 변위량 등에 따라 미리 설정된다.9 is a flowchart showing the origin detection proces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moving object 30. In order to detect the origin of the moving object, the piezoelectric element 24 has a square waveform and a predetermined first waveform driving voltage having a duty ratio in the range of 0 to 0.5 to move the moving object 30 toward the element side. Is applied (step 1). 10A illustrates a waveform of a driving voltage having a duty ratio of 0.3 as an example of the first waveform driving signal. In the processing performed at this time, irrespective of the position of the movable body 30 on the rod 25, only a predetermined time stored in advance in the control unit 34 is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24. The predetermined number of pulses is the number of pulses in which the amount of movement allowed for the movable body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22 can be stably obtained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movable body 30 in the movable range. The specific value of this number is set in advance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rod 25, the displacement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24, and the like.

이동체(30)의 위치에 따라, 소정 수의 펄스의 인가 전에 이동체(30)가 지지부(22)와 접촉을 이루게 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체(30)가 지지부(22)와 접촉을 이루는가의 여부에 관계없이 제어부(34)는 소정 수의 펄스를 인가한다. 즉, 압전소자(24)에 대한 소정 수의 펄스의 인가로 인해, 처리의 개시시 이동체(30)의 위치에 관계없이 이동체(30)가 소자측 상에서 지지부(22)와 접촉을 이룰 수 있게 된다(단계 3). 이동체(30)가 지지부(22)와 접촉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동작에 의해 압전소자(24)가 구동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이동체(30)의 경사가 야기된다.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vable body 30, it is conceivable that the movable body 3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22 before application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pulses. However, the controller 34 applies a predetermined number of pulses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moving body 30 makes contact with the support 22. That is, the application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pulses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24 allows the movable body 30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22 on the element side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movable body 30 at the start of processing. (Step 3). Although the moving body 30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22, the piezoelectric element 24 may be driven by such an operation. In this case, the inclination of the movable body 30 is caused.

다음에, 소정 수의 펄스의 인가가 완료된 후, 제어부(34)는 구동전압의 듀티비를 0.5로 변경시키고(단계 4), 압전소자에 대한 소정 수의 펄스의 인가가 수행된다. 이러한 처리에 따르면, 압전소자(24)는 이동체(30)의 위치 변화 없이 진동될 수 있어, 이동체(30)의 경사가 이동체(30)에 가해지는 누름력에 의해 교정될 수 있다(단계 5). 도 10b는 제2파형 구동신호의 예로서, 0.5의 듀티비를 갖는 구동전압의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Next,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edetermined number of pulses is completed, the control section 34 changes the duty ratio of the driving voltage to 0.5 (step 4), and application of the predetermined number of pulses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is performed. According to this process, the piezoelectric element 24 can be vibrated without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movable body 30, so that the inclination of the movable body 30 can be corrected by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movable body 30 (step 5). . FIG. 10B illustrates a waveform of a driving voltage having a duty ratio of 0.5 as an example of the second waveform driving signal.

0.5의 듀티비를 갖는 구동전압의 펄스의 수가 단계 4에서 설정됨에 따라, 수∼수십의 범위의 값이 구동장치의 설계에 따라 필요로서 선택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체(30)의 경사가 60회의 펄스를 인가함으로써 교정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As the number of pulses of the driving voltage having a duty ratio of 0.5 is set in step 4, values in the range of several to several tens can be selected as necessary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driving apparatus. In this embod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inclination of the movable body 30 was corrected by applying 60 pulses.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한 실시예는 이동가능 범위의 한계 위치에 대해 이동체(30)를 이동시키기 위해, 압전소자측 상에서만 위치 검출이 수행될 때 0.5의 듀티비를 갖는 구동전압이 인가되도록 구성되어, 경사가 교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처리는 이동가능 범위의 양쪽 단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센서(23a)를 제공하는 대신 이러한 처리의 이용에 의해 접촉에 의해 야기된 이동체(30)의 경사가 또한 선단측 상의 지지부(23)에서 교정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제1파형 구동전압의 듀티비가 0.5 보다 더 크면서 1.0 이하로 되고, 제2파형 구동전압의 듀티비가 0.5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the above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a driving voltage having a duty ratio of 0.5 is applied when the position detection is performed only on the piezoelectric element side to move the movable body 30 with respect to the limit position of the movable range. Is calibrated. However, this process may be performed at both ends of the movable range. That is, the inclination of the movable body 30 caused by the contact by using this process instead of providing the sensor 23a can also be corrected in the support 23 on the tip sid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duty ratio of the first waveform driving voltage becomes greater than or equal to 1.0 and less than 1.0, and the duty ratio of the second waveform driving voltage becomes 0.5.

더욱이, 이동체가 지지부재와 접촉을 이루게 하기 위한 제어와, 상기한 실시예에서 이동체의 경사를 교정하기 위한 제어는 펄스의 수를 변경시킴으로써 수행되지만, 구동전압의 인가 시간을 변경시킴으로써 수행할 수도 있다.Furthermore, the control for bringing the movable body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member and the control for correcting the tilt of the movable body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re performed by changing the number of pulses, but may also be performed by changing the application time of the driving voltage. .

더욱이, 경사를 교정하기 위해 인가된 제2파형 구동전압은 0.5의 듀티비를 갖는 구형파 전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정현파, 삼각파, 사다리꼴파를 갖는 전압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구동전압은 전기기계 변환기의 신장 및 수축의 속도가 동일하도록 진동을 야기시킬 수 있는 파형을 갖는 구동전압으로 되기 만 하면 된다.Further, the second waveform driving voltage applied to correct the slope is not limited to the square wave voltage having a duty ratio of 0.5, but may be, for example, a voltage having a sine wave, a triangle wave, and a trapezoidal wave. In general, the drive voltage only needs to be a drive voltage having a waveform that can cause vibration so that the speed of the stretching and contraction of the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is the same.

더욱이, 카메라의 렌즈 경통에 이용된 렌즈를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장치가 구성되는데, 구동장치는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구동장치는 MD 드라이브, CD 드라이브, DVD 드라이브 등에서 이용되는 렌즈를 구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Moreover, the driving device is configured to move the lens used in the lens barrel of the camera, but the driving device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For example, the driving device may be used as an actuator for driving a lens used in an MD drive, a CD drive, a DVD drive, or the like.

또한, 지지부재는 로드 형상을 갖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판형상을 갖을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한 실시예에서 이동체와 지지부재가 지지부재를 갑작스럽게 이동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이동됨에도 불구하고, 이동체로부터 지지부재로 가해지는 누름력을 제거한 매카니즘이 이동체가 지지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되어질 때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is not limited to having a rod shape, and may have a plate shape, for example. Moreover, even when the movable body and the supporting member are moved relatively by suddenly moving the supporting member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mechanism removing the pressing force applied from the movable body to the supporting member is moved relative to the supporting member. Can be provided.

상기한 소정의 다양한 실시예를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각 실시예의 효과가 나타날 수 있게 된다.By properly combining the predetermined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effects of each embodiment can be produced.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xample, Of course, it can change and implement variously with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summary of this invention.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에 따르면, 이동체의 원점을 검출하기 위한 동작은 센서와 같은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 없이 용이하면서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이동체(30)가 원점 검출을 위해 지지부(22)와 접촉을 이룰 때 야기된 이동체(30)의 경사가 간단한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교정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for detecting the origin of the moving body can be easily and stably performed without providing an auxiliary device such as a sensor. Moreover, the inclination of the movable body 30 caused when the movable body 3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22 for the origin detection can be corrected by performing a simple process.

Claims (15)

구동신호 인가에 의해 신장/수축이 가능한 전기기계 변환기(24)와;An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24 capable of extension / contraction by applying a drive signal; 상기 전기기계 변환기(24)에 접속되고, 상기 전기기계 변환기(24)와 함께 변위되는 지지부재(25);A support member 25 connected to the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24 and displaced with the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24; 상기 지지부재(25) 상에 미끄러지게 지지되고 상기 전기기계 변환기(24)의 신장/수축에 의한 상기 지지부재(25)의 진동으로 인해 상기 지지부재(25)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30);A movable body (30) slidably supported on the support member (25) and moving along the support member (25) due to vibration of the support member (25) by extension / contraction of the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24); 상기 이동체(30)의 이동가능 범위를 규제하는 규제부재(22,23) 및;A regulating member (22, 23) for regulating the movable range of the movable body (30); 상기 이동체(30)가 상기 규제부재(22,23)와 접촉을 이루는 위치로 상기 이동체(30)가 이동할 때 상기 지지부재(25)의 신장 및 수축 사이에서 차이가 야기되도록 상기 지지부재를 진동시키기 위한 제1파형 구동신호를 전기기계 변환기(24)로 인가하고, 상기 이동체(30)가 상기 규제부재(22,23)와 접촉을 이룬 후 상기 이동체(30)가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지지부재(25)를 진동시키기 위한 제2파형 구동신호를 전기기계 변환기로 인가하는 구동회로(33)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Oscillating the support member such that a difference occurs between the extension and contraction of the support member 25 when the movable body 30 moves to a position where the movable body 30 makes contact with the restricting members 22 and 23. Applies the first waveform driving signal to the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24 and prevents the movable body 30 from moving after the movable body 30 makes contact with the regulating members 22 and 23. And a driving circuit (33) for applying a second waveform driving signal to the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for vibrating the < RTI ID = 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파형 구동신호가 0.5의 듀티비를 갖는 구형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The driving device as set forth in claim 1, wherein the second waveform driving signal is a square wave having a duty ratio of 0.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형 구동신호가 0.5 이외의 듀티비를 갖는 구형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The driv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waveform driving signal is a square wave having a duty ratio other than 0.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22,23)가, 상기 구동장치의 상기 이동체(30)의 위치가 검출되는 기준위치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2. A driv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striction member (22, 23) is provided at a reference position at which the position of the movable body (30) of the drive device is det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30)가 상기 지지부재(25)에 대항하는 누름력에 의해 눌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The driving device as set forth in claim 1, wherein said movable body (30) is pressed by a pressing force against said support member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회로(33)가, 상기 제1파형 구동신호가 소정 시간 동안 인가된 후 상기 제2파형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2. The driv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iving circuit (33) applies the second waveform driving signal after the first waveform driving signal is applied for a predetermined tim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이, 이동가능 범위에서의 상기 이동체(30)의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규제부재(22,23)에 도달하도록 상기 이동체(30)를 허용하기 에 충분한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redetermined time is a time sufficient to allow the movable body 30 to reach the regulating member 22, 23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movable body 30 in the movable range. Driv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구동신호 인가에 의해 신장/수축이 가능한 전기기계 변환기(24)와;An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24 capable of extension / contraction by applying a drive signal; 신장/수축 방향으로 상기 전기기계 변환기(24)의 일단에 고정된 지지부재(25);A support member 25 fixed to one end of the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24 in an extension / retraction direction; 상기 지지부재(25) 상에 미끄러지게 지지된 이동체(30);A movable body (30) slidably supported on the support member (25); 상기 지지부재(25)를 향해 상기 이동체(30)를 누르도록 누름력을 가하는 누름부재(30c);A pressing member (30c) for applying a pressing force to press the moving body (30) toward the support member (25); 상기 이동체(30)의 이동가능 범위의 일단에서 상기 이동체(30)와 접촉을 이루도록 제공된 규제부재(22,23) 및;A regulating member (22, 23) provided to make contact with the movable body (30) at one end of the movable range of the movable body (30); 상기 이동체(30)가 상기 규제부재(22,23)와 접촉을 이루는 위치로 상기 이동체(30)가 이동할 때 상기 이동체(30)가 누름력에 대항하는 상기 지지부재(25)와 관련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지지부재(25)를 진동시키기 위한 제1파형 구동신호를 상기 전기기계 변환기(24)로 인가하고, 상기 이동체(30)가 상기 규제부재(22,23)와 접촉을 이룬 후 상기 이동체(30)가 상기 지지부재(25)에 대해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지지부재(25)를 진동시키기 위한 제2파형 구동신호를 전기기계 변환기로 인가하는 구동회로(33)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When the movable body 30 moves to a position where the movable body 30 makes contact with the regulating members 22 and 23, the movable body 30 is relatively in relation to the supporting member 25 against the pressing force. A first waveform driving signal for vibrating the support member 25 to move is applied to the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24, and after the movable body 30 makes contact with the regulating members 22 and 23, the movable body And a drive circuit 33 for applying a second waveform drive signal for vibrating the support member 25 to the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so that the 30 does not move relative to the support member 25. Drive system.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파형 구동신호의 제1 및 제2파형이 구형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9. The driv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waveforms of the first and second waveform driving signals are square wave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파형 구동신호의 제1 및 제2파형이 다른 듀티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10. The driv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waveforms of the first and second waveform drive signals have different duty ratio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파형이 0.5의 듀티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11. A drive device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said second waveform has a duty ratio of 0.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22,23)가, 상기 지지부재(25)를 미끄러지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9. The driv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regulating member (22, 23) supports the support member (25) in a slippery mann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회로(33)가 상기 전기기계 변환기(24)에 대해 상기 제1파형 구동신호로서 소정 수의 펄스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9. A drive devic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said drive circuit (33) applies a predetermined number of pulses as said first waveform drive signal to said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2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5)가 로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9. A drive devic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support member has a rod shap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5)의 길이가 상기 이동체의 이동가능 범위 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15. The drive device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length of the support member is longer than the movable range of the movable body.
KR1020060072629A 2005-08-16 2006-08-01 Drive unit KR1008097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629A KR100809754B1 (en) 2005-08-16 2006-08-01 Drive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35824 2005-08-16
KR1020060072629A KR100809754B1 (en) 2005-08-16 2006-08-01 Drive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1038A KR20070021038A (en) 2007-02-22
KR100809754B1 true KR100809754B1 (en) 2008-03-04

Family

ID=41627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2629A KR100809754B1 (en) 2005-08-16 2006-08-01 Drive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975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00848A (en) * 2018-09-05 2018-12-28 范科晨 A kind of optical lens supporting and regulat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807B1 (en) * 2012-04-04 2013-07-23 주식회사 동운아나텍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voice coil motor actuator of camer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175A (en) * 1991-06-28 1993-01-22 Shimadzu Corp Driving system for ultrasonic motor
KR20040078265A (en) * 2003-03-03 2004-09-10 삼성전기주식회사 driving device
WO2005005961A1 (en) * 2003-07-09 2005-01-20 Olympus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carrying and treating liqui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175A (en) * 1991-06-28 1993-01-22 Shimadzu Corp Driving system for ultrasonic motor
KR20040078265A (en) * 2003-03-03 2004-09-10 삼성전기주식회사 driving device
WO2005005961A1 (en) * 2003-07-09 2005-01-20 Olympus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carrying and treating liqui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00848A (en) * 2018-09-05 2018-12-28 范科晨 A kind of optical lens supporting and regula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1038A (en) 200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7012B2 (en) Drive unit
KR100693322B1 (en) Driv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US7085484B2 (en) Driving device, position controller provided with driving device, and camera provided with position controller
US7190104B2 (en) Device and method utilizing electromechanical conversion element
US6483226B1 (en) Impact actuator and equipment using the impact actuator
JP5391527B2 (en) Drive device
JP2002095272A (en) Driver
JP2001268951A (en) Driver
KR20060061243A (en) Driv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US20060267450A1 (en) Impact drive actuator
JP2001211669A (en) Driver
JPH11289780A (en) Driver using electromechanical converting element
US7750534B2 (en) Drive device and drive system
KR100809754B1 (en) Drive unit
JPH11356070A (en) Drive unit using electromechanical transducing element and driving circuit therefor
JPH07274545A (en) Driving method of driving gear usin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JPH11356071A (en) Drive unit using electromechanical transducing element and driving circuit therefor
US20060049716A1 (en) Drive unit
US7456546B2 (en) Drive unit
KR100790052B1 (en) Drive unit
US7986477B2 (en) Driving device and optical apparatus
JP4492756B2 (en) Piezoelectric actuator
JPH11154018A (en) Method for keeping fixed feedback cycle and drive controller and optical device controlled by the method
JP5358415B2 (en) Driving device and optical device
JP4492738B2 (en) Piezoelectric actu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