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9520B1 - 크로스플랫폼 연동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크로스플랫폼 연동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9520B1
KR100809520B1 KR1020050119705A KR20050119705A KR100809520B1 KR 100809520 B1 KR100809520 B1 KR 100809520B1 KR 1020050119705 A KR1020050119705 A KR 1020050119705A KR 20050119705 A KR20050119705 A KR 20050119705A KR 100809520 B1 KR100809520 B1 KR 100809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erver
client
platform
performance pro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9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0377A (ko
Inventor
채원석
김항기
류성원
이충환
반윤지
심광현
이범렬
양광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119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9520B1/ko
Publication of KR20070060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0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9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9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5Details of game servers
    • A63F13/352Details of game servers involving special game server arrangements, e.g. regional servers connected to a national server or a plurality of servers managing partitions of the game worl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로스플랫폼 연동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하드웨어와 상기 하드웨어에서 동작하는 운영체제 및 특정 기능의 소프트웨어가 저장되어 있는 플랫폼에 대해, 상기 플랫폼에 속하는 하드웨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의 성능차이가 있는 이기종 하드웨어 플랫폼들이 네트워크로 연결된 상태에서,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플랫폼의 성능 및 각 시점의 네트워크 상태에 관한 성능 프로파일을 구성하여 서버로 전달하고, 서버에서 상기 이기종 하드웨어 플랫폼을 갖는 클라이언트 각각에 대해 해당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어함으로써, PC나 콘솔 또는 PDA,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 등 플랫폼이 서로 다른 크로스플랫폼 환경에서 다중 사용자가 접속하여 단일 콘텐츠를 즐기는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크로스플랫폼, 온라인 게임

Description

크로스플랫폼 연동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INTERWORKING DIFFERENT PLATFORM}
도 1은 크로스플랫폼 연동형 게임 환경의 일례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크로스플랫폼 연동형 게임 서비스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크로스플랫폼 연동형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서버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클라이언트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클라이언트-서버 구조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 : 게임 클라이언트
42 : 게임 서버
51 : 클라이언트 데이터 수신부
52 : 클라이언트 데이터 분석부
53 : 성능 프로파일 데이터 수신부
54 : 성능 프로파일 데이터 분석부
55 : 서버 데이터 생성부
56 : 서버 데이터 송신부
61 : 서버 데이터 수신부
62 : 서버 데이터 처리부
63 : 클라이언트 데이터 생성부
64 : 클라이언트 데이터 송신부
65 : 성능 프로파일 데이터 생성부
66 : 성능 프로파일 데이터 송신부
본 발명은 크로스플랫폼 연동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형태의 플랫폼, 즉 이기종 하드웨어들 간에 온라인 게임이나 가상환경 시스템과 같은 단일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효율적인 트래픽 관리 및 각 기종간의 최적의 성능 보장을 위한 크로스플랫폼 연동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시간으로 대규모의 3차원 데이터를 표현하는 기술은 컴퓨터 그래픽스, 가상현실,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기술 분야에 포함되며, 3차원 모델에 대해 다양한 해상도의 동적인 생성기술로는 PM(Progressive Mesh) 기반의 기술인 US 6,611,267 B2(2003년 08월 26일, System and Method for Computer Modeling of 3D Objects or Surfaces by Mesh Constructions Having Oprimal Quality Characteristics and Dynamic Resolution Capabilities), DEM(Digital Elevation Model), ROAM(Real-time Optimally Adaptive Meshes) 등이 있다.
한편,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를 갖춘 3차원 가상환경 기술로는 US 6,118,456(2000년 09월 12일,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prioritizing and streaming objects within a 3-d virtual environment) 등이 있다.
그런데, 실제적으로 콘텐츠를 구동하는 각 플랫폼마다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상당한 성능 차이가 나며, 유선망과 무선망 또는 개별적인 네트워크의 성능 차이 때문에 그러한 점들을 고려하지 않으면 가장 느린 기종에서 데이터 병목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단순히 가장 성능이 떨어지는 기종에 맞추어 처리하기보다는 지능적인 트래픽 제어 방법이 요구된다. 또한, 여러 사용자들의 하나의 가상공간에서 상호작용하는 환경이므로 게임 서버는 모든 클라이언트들의 동시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즉, PC, 가정용 게임기, PDA, 휴대용 게임기, 게임폰 등 다양한 게임 플랫폼은 그 성능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3차원 그래픽 처리 능력을 예로 들면, 성능이 낮은 기종은 초당 수십만 폴리곤을 처리할 수 있는 반면 고성능의 기종은 수백만에서 수천만 폴리곤까지 처리가 가능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단일 콘텐츠 서비스가 제공되면 가장 성능이 낮은 기종에서 병목 현상이 발생한다. 각 기종의 성능 차이를 고려하여 각 기종의 성능에 최적화된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크로스플랫폼 환경에서 서로 다른 기종의 성능차이 및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차이를 극복하여, 3차원 가상환경 또는 온라인 게임 등의 단일 콘텐츠에 대해 각각의 클라이언트에서 최적의 성능을 이끌어 내기 위해, 각 클라이언트 기종의 성능 및 각 시점의 네트워크 상태에 관한 성능 프로파일을 구성하여 이를 바탕으로 각 장치들에 대한 네트워크 트래픽 또는 게임 데이터를 제어하는 크로스플랫폼 연동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즉, 본 발명은 이러한 서비스가 제공되는 크로스플랫폼간 유무선 연동이 가능한 클라이언트-서버 구조의 환경에서, 기종 및 성능이 서로 다른 각각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성능 프로파일이 서버 측에 전달되면, 게임 서버가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어하여 이기종간의 연동에 있어서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크로스플랫폼 연동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크로스플랫폼 연동 시스템은, 하드웨어와 상기 하드웨어에서 동작하는 운영체제 및 특정 기능의 소프트웨어가 저장되어 있는 플랫폼에 대해, 상기 플랫폼의 성능 및 각 시점의 네트워크 상태에 관한 성능 프로파일을 구성하는 클라이언트; 및 상기 플랫폼에 속하는 하드웨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의 성능차이가 있는 이기종 하드웨어 플랫폼들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이기종 하드웨어 플랫폼을 갖는 클라이언트 각각에 대해 해당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어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크로스플랫폼 연동 시스템은, 크로스플랫폼 연동형 가상환경 또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 환경에서, 첫 번째 플랫폼은 중앙처리장치, 주기억장치,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및 데이터 저장 장치를 가지며, 그 위에서 동작하는 첫 번째 운영체제 및 특별한 목적을 갖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되어 있으며, 두 번째 플랫폼은 중앙처리장치, 주기억장치,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및 데이터 저장 장치를 가지며, 그 위에서 동작하는 두 번째 운영체제 및 특별한 목적을 갖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첫 번째 플랫폼과 두 번째 플랫폼에 속한 각각의 중앙처리장치, 주기억장치,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및 데이터 저장 장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장치에서 성능 또는 용량의 차이를 보이며, 상기 특별한 목적을 갖는 소프트웨어는 상기 첫 번째 플랫폼과 두 번째 플랫폼이 네트워크로 연결된 상태에서 이기종 하드웨어 플랫폼 간에 다중 사용자 가상환경 체험 또는 온라인 게임 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함에 있어서, 각 플랫폼의 성능에 따라 상기 첫 번째 플랫폼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보여지는 내용의 상세도가 상기 두 번째 플랫폼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보여지는 내용의 상세도와 서로 상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크로스플랫폼 연동 방법은, 하드웨어와 상기 하드웨어에서 동작하는 운영체제 및 특정 기능의 소프트웨어가 저장되어 있는 플랫폼에 대해, 상기 플랫폼에 속하는 하드웨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의 성능차이가 있는 이기종 하드웨어 플랫폼들이 네트워크로 연결된 상태에서,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플랫폼의 성능 및 각 시점의 네트워크 상태에 관한 성능 프로파일을 구성하여 서버로 전달하고, 서버에서 상기 이기종 하드웨어 플랫폼을 갖는 클라이언트 각각에 대해 해당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크로스플랫폼 연동 방법은, 하나 이상의 서버와 여러 대의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서버에 탑재된 프로그램이 플랫폼이 서로 다른 클라이언트들에 다중 사용자 가상환경 체험 또는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환경에서, 첫 번째 플랫폼은 중앙처리장치, 주기억장치,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및 데이터 저장 장치를 가지며, 그 위에서 동작하는 첫 번째 운영체제 및 특별한 목적을 갖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되어 있으며, 두 번째 플랫폼은 중앙처리장치, 주기억장치,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및 데이터 저장 장치를 가지며, 그 위에서 동작하는 두 번째 운영체제 및 특별한 목적을 갖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첫 번째 플랫폼과 두 번째 플랫폼에 속한 각각의 중앙처리장치, 주기억장치,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및 데이터 저장 장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장치에서 성능 또는 용량의 차이를 보이며, 상기 특별한 목적을 갖는 소프트웨어는 상기 첫 번째 플랫폼과 두 번째 플랫폼이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상태에서 이기종 하드웨어 플랫폼 간에 다중 사용자 가상환경 체험 또는 온라인 게임 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함에 있어서, 각 플랫폼의 성능에 따라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첫 번째 플랫폼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보여지는 내용의 상세도가 상기 두 번째 플랫폼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보여지는 내용의 상세도와 서로 상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크로스플랫폼 연동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크로스플랫폼 연동형 게임 환경의 일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나 PDA, 그리고 가정용 비디오 게임기 등과 같은 크로스플랫폼 환경에서 유선이든 무선이든 온라인에 접속하여 가상환경이나 게임 등 단일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즐길 수 있게 한다.
도 2는 크로스플랫폼 연동형 게임 서비스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컨텐츠에 대해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플랫폼의 하드웨어들, 디지털 컨텐츠, 유무선 망, 네트워크 기반 기술, 각종 서버 등 매우 다양한 기술들이 집약되어야 한다. 그 중에서 본 발명은 각종 플랫폼의 클라이언트들 및 가상환경 또는 게임 콘텐츠 서버 사이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여기서, 게임 클라이언트는 PC, 콘솔게임기, PDA, 휴대용 게임기, 게임폰 등 각종 하드웨어 플랫폼이 될 수 있다.
도 3은 크로스플랫폼 연동형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의 개념도이다.
각 플랫폼 별로도 여러 하드웨어가 가능하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각 플랫폼마다 여러 대의 하드웨어가 하나 또는 여러 대가 유기적으로 묶인 단일 서버와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본 개념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을 아주 단순하게 묘사한 바와 같이, 각각의 게임 클라이언트(41)는 매번 또는 주기적으로 자신이 처리해 내고 있는 각종 성능에 대한 데이터 및 유선이든 무선이든 제공되고 있는 네트워크의 상태 정보인 성능 프로파일을 구성하여 게임 서버(42) 측에 전달한다. 이에 게임 서버(42)는 이러한 성능 프로파일을 고려하여 각각의 클라이언트(41)에 제공되어야 하는 데이터의 양 또는 내용을 제어한다. 고성능의 기종에는 복잡하고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제공하여 보다 더 실감난 체험을 가능하게 하며, 성능이 낮은 사양의 기종에는 해상도는 조금 떨어지더라도 끊김 없이 안정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게 한다. 이는 게임 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가상환경 시스템에도 그대로 적용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서버 구조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는 클라이언트 데이터 수신부(51), 클라이언트 데이터 분석부(52), 성능 프로파일 데이터 수신부(53), 성능 프로파일 데이터 분석부(54), 서버 데이터 생성부(55), 서버 데이터 송신부(56)로 구성된다.
클라이언트 데이터 수신부(51)는 클라이언트에서 생성된 서비스 로직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며, 클라이언트 데이터 분석부(52)는 이 데이터를 분석하여 서버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이용되도록 한다. 성능 프로파일 데이터 수신부(53)는 클라이언트 주기적으로 들어오는 성능 데이터를 수신하고, 성능 프로파일 데이터 분석부(54)에서 이러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최종적인 서버 데이터 생성시 고려되도록 한다.
서버 데이터 생성부(55)는 서비스 로직에 관련된 클라이언트 데이터와 클라이언트 성능 프로파일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다음에 각 클라이언트들에 제공되어야 하는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데이터를 서버 데이터 송신부(56)는 각 클라이언트에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클라이언트 구조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는 서버 데이터 수신부(61), 서버 데이터 처리부(62), 클라이언트 데이터 생성부(63), 클라이언트 데이터 송신부(64), 성능 프로파일 데이터 생성부(65), 성능 프로파일 데이터 송신부(66)로 이루어진다.
서버 데이터 수신부(61)는 서버에서 최종적으로 생성된 데이터를 수신하며, 서버 데이터 처리부(62)는 이 데이터를 분석하여 클라이언트 데이터 및 차후 서버로 전송할 성능 프로파일 데이터 분석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클라이언트 데이터 생성부(63)는 제공받은 서버 데이터로부터 서비스 로직을 적용하여 서버로 전송할 클라이언트 데이터를 생성한다. 클라이언트 데이터 송신부(64)는 최종적으로 생성된 클라이언트 데이터를 서버 측으로 전송한다.
성능 프로파일 데이터 생성부(65)는 서버 데이터 처리부(62)에서 처리되는 데이터 양과 네트워크 상황, 그리고 클라이언트 데이터 생성시 부족하거나 남는 시간 및 리소스를 분석하여 종합적인 클라이언트 성능 프로파일 데이터를 생성한다. 성능 프로파일 데이터 송신부(66)는 클라이언트 성능 프로파일 데이터를 서버 측으로 전송한다.
클라이언트 데이터에는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가상 캐릭터 또는 카메라의 이동위치 정보가 포함한다. 또한, 이 데이터는 이러한 조작이 미리 정의된 룰(Rule)을 통하여 가상환경과 상호작용을 일으킨 결과를 기술하는 데이터가 추가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와 대화를 위한 인스턴트 메시지 및 보이스 데이터 등 서비스를 위해 서버에 수집되어야 할 모든 데이터이다.
서버 데이터는 모든 클라이언트들로부터 수집된 가상캐릭터의 위치 정보부터 개개인 사용자의 커스트마이즈된(Customized) 데이터까지 모든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리 정해진 룰에 의해 계산된 결과이다. 추후 이 데이터는 클라이언트에서 다른 사용자의 위치뿐만 아니라 사용자들의 조작이 가상환경과 상호작용을 일으킨 결과를 알아내는데 사용된다. 또한, 서버 데이터에는 아직 클라이언트 측에 존재하지 않는 가상환경에 대한 데이터 및 다른 사용자의 캐릭터에 대한 데이터, 음성 메시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클라이언트-서버 구조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 및 클라이언트의 구조에서 실제 처리되는 순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먼저, 서버측에서는 클라이언트에서 생성된 서비스 로직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S1) 이 서비스 로직에 관한 데이터를 분석함(S2)과 아울러, 클라이언트에서 생성된 서비스 로직에 관한 성능 프로파일 데이터를 수신하여(S3) 이 성능 프로파일 데이터를 분석한다(S4). 분석된 서비스 로직에 관한 데이터 및 성능 프로파일 데이터를 통해 각 클라이언트의 성능을 감안하여 서버 로직에 적용한다(S5).
이어서, 서비스 로직에 관한 데이터와 성능 프로파일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각 클라이언트에 제공되어야 하는 데이터를 생성한다(S6). 이렇게 생성된 클라이언트 제공 데이터를 해당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한다(S7).
한편, 클라이언트측에서는 서버측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S8), 이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클라이언트 데이터 및 차후 서버로 전송할 성능 프로파일 데이터 분석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S9). 이와 같이 분석된 데이터는 응용프로그램 로직에 적용되어 게임 등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분석을 통해 얻어진 클라이언트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 클라이언트 데이터를 서버측으로 송신함과 아울러, 분석을 통해 얻어진 성능 프로파일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 성능 프로파일 데이터를 서버측으로 송신한다.
실제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서버에서 각 클라이언트에 3차원 객체 및 그래픽 데이터까지 제공하는 경우에 가장 그 효과가 클 것이다. 단, 클라이언트에 이미 모든 데이터가 있는 상황이라 하더라도, 각 클라이언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생성된 그래픽 데이터나 음성 메시지 또는 가상캐릭터에 의해 상호작용된 가상공간의 지형지물의 변화 등의 데이터에 대해 이기종간 성능차이를 극복할 수 있도록 트래픽을 제어해 주는 것이 상당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몇 가지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PC나 콘솔 또는 PDA,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 등 플랫폼이 서로 다른 크로스플랫폼 환경에서 다중 사용자가 접속하여 단일 콘텐츠를 즐기는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신개념 LOD(Level of Detail)를 제안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서로 다른 플랫폼으로 인한 절대적인 성능 차이를 극복하여 각 플랫폼에서 끌어낼 수 있는 최고의 품질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초당 수천만 폴리곤이 처리 가능한 환경과 수백만 폴리곤 밖에 처리할 수 없는 환경의 차이를 고려하여, 성능이 높은 기종이나 낮은 기종이 각각에 알맞은 최적의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크로스플랫폼 연동형 가상환경 또는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즐기는 사용자들에게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에 참여하는 사용자의 수가 고정되어 있지 않는 상황에서 많은 사용자들의 캐릭터가 추가되어 연산량이 증가되더라도 성능이 낮은 기종까지 소화할 수 있도록 게임 서버가 트래픽을 제어하여 안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셋째, 기존에 서비스되고 있는 가상환경 또는 온라인 게임 콘텐츠를 안정적으로 다른 플랫폼으로 이식하는 것이 용이하다. 고성능 플랫폼에서 서비스되도록 제작된 콘텐츠이더라도 성능이 낮은 플랫폼에서는 그에 적합한 해상도로 낮추어 서비스되게 함으로써 쉽게 다른 플랫폼으로 이식되어 이기종 플랫폼간에 연동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삭제
  2.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서로 상이한 이기종 플랫폼들을 상호 연동하여 운영하기 위한 서버 장치에 있어서,
    서비스 로직에 관한 클라이언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서버 데이터를 생성에 이용하기 위해 상기 수신된 클라이언트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
    성능 프로파일 데이터를 수신하는 성능 프로파일 데이터 수신부;
    최종적인 서버 데이터 생성시 이용하기 위해 상기 수신된 성능 프로파일 데이터를 분석하는 성능 프로파일 데이터 분석부;
    상기 클라이언트 데이터와 성능 프로파일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이기종 하드웨어 플랫폼별로 제공되어야 하는 서버 데이터를 생성하는 서버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서버 데이터를 해당 이기종 하드웨어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서버 데이터 송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플랫폼 연동을 위한 서버 장치.
  3. 삭제
  4.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서로 상이한 이기종 플랫폼 상호 연동용 서버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장치에 있어서,
    서버 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버 데이터 수신부;
    상기 수신된 서버 데이터를 분석하여 클라이언트 데이터 및 차후 서버로 전송할 성능 프로파일 데이터 분석에 이용하는 서버 데이터 처리부;
    상기 서버 데이터로부터 서비스 로직을 적용하여 서버로 전송할 클라이언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클라이언트 데이터 생성부;
    상기 생성된 클라이언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클라이언트 데이터 송신부;
    상기 서버 데이터 처리부에서 처리되는 데이터 양과 네트워크 상황, 그리고 클라이언트 데이터 생성시 부족하거나 남는 시간 및 리소스를 분석하여 종합적인 클라이언트 성능 프로파일 데이터를 생성하는 성능 프로파일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성능 프로파일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성능 프로파일 데이터 송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플랫폼 연동을 위한 클라이언트 장치.
  5.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서로 상이한 이기종 플랫폼을 상호 연동하기 위한 서버운영방법에 있어서,
    (a) 서비스 로직에 관한 클라이언트 데이터 및 성능 프로파일 데이터인 복수의 이기종 플랫폼 각각에 대응하는 데이터 및 각 시점의 네트워크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각의 이기종 플랫폼별로 제공되어야 하는 서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생성된 서버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이기종 플랫폼별로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플랫폼 연동을 위한 서버운영방법.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 데이터를 분석함과 아울러, 상기 성능 프로파일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클라이언트 데이터 및 성능 프로파일의 데이터를 통해 각 이기종 하드웨어 플랫폼의 성능을 고려하여 서버 로직에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데이터와 성능 프로파일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각 이기종 하드웨어 플랫폼에 제공되어야 하는 서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플랫폼 연동을 위한 서버운영방법.
  8.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서로 상이한 이기종 플랫폼을 가진 복수의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하는 크로스플랫폼 연동 환경에서 클라이언트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서버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서비스 로직에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로직에 관한 클라이언트 데이터를 생성하여 서버로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분석되어 얻어진 성능 프로파일 데이터를 생성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크로스플랫폼 연동환경에서 클라이언트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20050119705A 2005-12-08 2005-12-08 크로스플랫폼 연동 시스템 및 방법 KR100809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705A KR100809520B1 (ko) 2005-12-08 2005-12-08 크로스플랫폼 연동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705A KR100809520B1 (ko) 2005-12-08 2005-12-08 크로스플랫폼 연동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0377A KR20070060377A (ko) 2007-06-13
KR100809520B1 true KR100809520B1 (ko) 2008-03-04

Family

ID=38356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9705A KR100809520B1 (ko) 2005-12-08 2005-12-08 크로스플랫폼 연동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95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27548A1 (en) * 2007-03-13 2008-09-18 Microsoft Corporation Secured cross platform networked multiplayer communication and game pla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738A (ko) * 2000-06-13 2001-12-20 오정현 통신망을 통한 다자간 게임 시스템 및 게임 방법
KR20030012269A (ko) * 2001-07-31 2003-02-12 주식회사 배틀탑 네트워크 기반의 유무선 통신기기를 이용한 게임통합서비스 시스템
KR20070037810A (ko) * 2005-10-04 2007-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종 디바이스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미들웨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738A (ko) * 2000-06-13 2001-12-20 오정현 통신망을 통한 다자간 게임 시스템 및 게임 방법
KR20030012269A (ko) * 2001-07-31 2003-02-12 주식회사 배틀탑 네트워크 기반의 유무선 통신기기를 이용한 게임통합서비스 시스템
KR20070037810A (ko) * 2005-10-04 2007-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종 디바이스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미들웨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0377A (ko) 200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25602B1 (en) Position tracking in a virtual world
US9814978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state information transfer over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Cai et al. Toward gaming as a service
Hu et al. Flod: A framework for peer-to-peer 3d streaming
CN104010039B (zh) 一种基于WebSocket的多雷达远程监控系统及方法
JP6310073B2 (ja) 描画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CN113079216B (zh) 一种云应用的实现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2800620B (zh) 一种基于容器云的卫星星座仿真架构和网络仿真系统
Lecci et al. An open framework for analyzing and modeling XR network traffic
Katz et al. Extending web browsers with a unity 3d-based virtual worlds viewer
WO2002092177A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game including three-dimensional graphics
Cai et al. Cognitive resource optimization for the decomposed cloud gaming platform
US85371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coalescence of connected rigid bodies
Ficco et al. Optimized task allocation on private cloud for hybrid simulation of large-scale critical systems
Meiländer et al. Bringing mobile online games to clouds
KR100809520B1 (ko) 크로스플랫폼 연동 시스템 및 방법
Friston et al. Quality of service impact on edge physics simulations for VR
Paravati et al. An open and scalable architecture for delivering 3D shared visualization services to heterogeneous devices
Prendinger et al. Evaluation of 2D and 3D interest management techniques in the distributed virtual environment DiVE
Van Der Sar et al. Yardstick: A benchmark for minecraft-like services
Taylor et al. Towards a proximal resource-based architecture to support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KR20080006818A (ko) 게임서버의 부하를 리포트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62463A (ko) 다중 사용자 및 멀티 플랫폼 지원을 위한 게임 스트리밍 시스템 및 방법
Barboza et al. An architecture for multi-layer object coding in 2D game streaming using shared data in a multi-user environment
Cacciaguerra et al. A wireless software architecture for fast 3D rendering of agent-based multimedia simulations on portable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