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9045B1 - Custody device for trolley - Google Patents

Custody device for trolle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9045B1
KR100809045B1 KR1020060057485A KR20060057485A KR100809045B1 KR 100809045 B1 KR100809045 B1 KR 100809045B1 KR 1020060057485 A KR1020060057485 A KR 1020060057485A KR 20060057485 A KR20060057485 A KR 20060057485A KR 100809045 B1 KR100809045 B1 KR 100809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lley
monorail
storage device
rail
logis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74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00135A (en
Inventor
백명령
Original Assignee
백명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명령 filed Critical 백명령
Priority to KR1020060057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9045B1/en
Publication of KR20080000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1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9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90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12Devices for changing direction of travel or for transferring from one runway to another; Crossings; Combinations of tracks of different ga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02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with operating gear or operator's cabin suspended, or laterally offset, from runway or track
    • B66C11/04Underhung trolleys
    • B66C11/06Underhung trolleys running on mono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2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e.g. log saws, pushers for unloading vehicles, means for shunting 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Abstract

본 발명은 물류현장의 천장에 설치되는 모노레일의 중도에 트롤리를 횡방향으로 집합시켜 보관할 수 있는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한쌍의 로울러(52)를 가지는 프론트포스트(53)와 리어포스트(54); 상기 프론트 및 리어포스트(53,54)의 하단에는 물품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55)를 회전 자유롭게 연결하는 구성의 트롤리(50)를 물류현상에 설치되는 모노레일(51)에 안착시켜 물류작업을 수행하는 물류시스템(S)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50)를 물류시스템(S)을 구성하는 모노레일(51)의 일부 구간에 횡방향 형태로 많은 수를 보관할 수 있는 보관장치(60)를 더 설치하고; 상기 보관장치(60)는, 모노레일(51)의 일부 구간에 트롤리(50)의 프론트 및 리어포스트(53,54)의 거리(L)만큼의 폭(B)을 유지시켜 일정길이만큼 더 설치하는 보관레일(61)과; 상기 보관레일(61)의 입구와 출구측에는 트롤리(50)가 직선에서 횡 방향으로, 횡 방향 상태에서 직선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입구가이드(62)와 출구가이드(63); 상기 입구가이드(62)와 출구가이드(63) 사이에 횡 방향으로 정렬된 트롤리(50)를 입구에서 진입된 트롤리(50)를 출구로 이송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컨베이어(64)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Figure R1020060057485

물류, 레일, 트롤리, 보관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l separation type trolley storage device capable of storing the trolley in a transverse direction in the middle of the monorail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logistics site, the front post 53 and the rear post having a pair of rollers (52) 54; At the lower ends of the front and rear posts 53 and 54, a trolley 50 having a configuration for freely connecting a cradle 55 for mounting an article to a monorail 51 installed in a logistics phenomenon is used for logistics operations. In the logistics system (S) to perform; Further installing a storage device 60 for storing a large number of the trolley 5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some section of the monorail 51 constituting the logistics system (S); The storage device 60 is installed in a section of the monorail 51 by maintaining a width (B) as much as the distance (L) of the front and rear posts (53, 54) of the trolley (50). A storage rail 61; An inlet guide 62 and an outlet guide 63 installed at the inlet and outlet side of the storage rail 61 so that the trolley 50 can be switched from a straight line to a transverse direction and a transverse state to a straight state; The conveyor 64 is installed between the inlet guide 62 and the outlet guide 63 so as to transfer the trolley 50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o that the trolley 50 entered from the inlet can be transferred to the outlet. .

Figure R1020060057485

Logistics, rail, trolley, storage

Description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Custody device for trolley}Rail detachable trolley storage device {Custody device for trolley}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를 도시한 전체적인 구성도.Figure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showing a rail detachable trolley storage device applie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의 입구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inlet of the rail detachable trolley storage device applie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의 출구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exit of the rail detachable trolley storage device applie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에 적용되는 입구의 A부위를 발췌한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 portion A of the inlet applied to the rail detachable trolley storage device shown in FIG.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에 적용되는 출구의 B부위를 발췌한 단면도.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 portion B of the outlet applied to the rail detachable trolley storage device shown in FIG.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에 사용되는 트롤리를 도시한 구성도.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trolley used in the rail detachable trolley storage device applie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used i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50; 트롤리50; trolley

51; 모노레일51; monorail

60; 보관장치60; Storage

61; 보관레일61; Storage rail

62; 입구가이드62; Entrance guide

63; 출구가이드63; Exit Guide

64; 컨베이어64; conveyor

70; 시이소70; Shiiso

80; 승강바80; Lifting bar

90; 감지센서90; Sensor

본 발명은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류 현장에서 적용되는 천장레일을 통하여 이동 및 보관하는 트롤리의 보관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한 트롤리 보관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l detachable trolley storag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olley storage device improved to more easily carry out the storage of the trolley to move and store through the ceiling rail applied in the logistics site. .

통상적으로 트롤리는 물류 현장의 천장에 설치되는 모노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물류를 위한 해당 물품을 물류 현장 내에서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으로서, 모노레일에 직렬로 배치되어 순환하는 타입이면서 자유롭게 모노레일에 대하여 트롤리를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general, the trolley is to move the corresponding goods for logistics in the logistics site while moving along the monorail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logistics site, which is arranged in series on the monorail and circulates freely to detach the trolley with respect to the monorail. It is configured to be.

특히 이러한 트롤리는 의류제품을 물류처리하기 위한 곳에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서 하나의 트롤리에 의류를 보관한 많은 수의 옷걸이를 걸어서 다량 보관 및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많이 사용된다.In particular, such a trolley is used in many places for the logistics of clothing products, because it can be stored and moved in large quantities by walking a large number of clothes hangers that store clothes in one trolley.

상기와 같이 물류현장에 적용되는 트롤리는, 트롤리를 물류작업에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모노레일에 일렬로 배열하여 보관하여야 하는 데 이 경우에는 많은 수의 트롤리에 비하여 모노레일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전체 트롤리를 다 보관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trolley applied to the logistics site should be arranged in a line on the monorail when the trolley is not used for logistics operations. In this case, the entire trolley is used because the length of the monorail is shorter than that of many trolleys. It becomes difficult to store.

이러한 보관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작업자가 하나의 트롤리에 여러 개의 트롤리를 걸친 상태로 보관함으로서 보다 많은 수의 트롤리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storage problem, conventionally, a worker can store a larger number of trolleys by storing several trolleys in one trolley.

이러한 보관 방법의 경우에는 하나의 트롤리에 많은 수의 트롤리게 걸쳐지게 됨으로서 모노레일에 결합 된 트롤리에 상당한 하중이 전도되어 트롤리의 이상을 가져올 수 있어 트롤리의 수명을 단축 시키는 원인이 된다.In the case of such a storage method, a large number of trolleys spans a single trolley, so that a significant load is conducted to the trolley coupled to the monorail, which may cause an abnormality of the trolley, which may shorten the life of the trolley.

그리고, 모노레일에 결합 된 트롤리에 걸쳐진 트롤리가 아래 방향으로 상당히 내려오기 때문에 작업자 또는 기타 작업도구와 충돌의 우려가 높고 이로 인한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은 문제점을 가진다.In addition, since the trolley spread over the trolley coupled to the monorail is considerably lowered in a downward direction, there is a high risk of collision with a worker or other work tools and a high risk of a safety accident.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물류현장의 천장에 설치되는 모노레일의 중도에 트롤리를 횡 방향으로 집합시켜 보관할 수 있는 보관장치를 제공하여 많은 수의 트롤리의 보관을 용이하게 하면서 트롤리의 순환에 지장이 없도록 하면서 보관과 순환을 자동화가 가능하도록 구현함으로서 사용자들이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 운영할 수 있도록 하여 물류의 합리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orage device that can be stored by gathering the trolle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middle of the monorail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logistics site 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facilitate the storage of a large number of trolleys. The purpose is to contribute to the rationalization of logistics by enabling users to operate efficiently by operating storage and circulation without disturbing circulation of the trolley.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를 도시한 전체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의 입구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의 출구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에 적용되는 입구의 A부위를 발췌한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에 적용되는 출구의 B부위를 발췌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에 사용되는 트롤리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rail detachable trolley storage device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let of the rail detachable trolley storage device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it of the rail detachable trolley storage device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A portion of the inlet applied to the rail detachable trolley storage device shown in Fig. 2, and Fig. 5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xit portion B applied to the rail detachable trolley storage device shown in FIG. 3, and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trolley used in the rail detachable trolley storage device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통상적인 물류용 트롤리(50)는 물류현장의 천장을 따라 설치되는 모노레일(51)에 안착 될 수 있도록 한 쌍의 로울러(52)를 가지는 프론트포스트(53)와 리어포스트(54)를 가진다.Conventional logistics trolley 50 has a front post 53 and a rear post 54 having a pair of rollers 52 to be seated on the monorail 51 installed along the ceiling of the logistics site.

상기 프론트 및 리어포스트(53,54)의 하단에는 물류하고자 하는 물품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55)를 연결하여 구성하고, 상기 거치대(55)는 프론트 및 리어포스트(53,54)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구비되어 물류시스템(S)을 구성함은 당연할 것이다.The bottom of the front and rear posts (53, 54) is configured by connecting the cradle 55 for mounting the goods to be distributed, the cradle 55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ront and rear posts (53, 54) Of course, the freely provided to configure the logistics system (S).

본 발명에서는 상기 트롤리(50)를 모노레일(51)의 일부 구간에 직선형태가 아닌 횡 방향 형태로 많은 수를 보관할 수 있는 보관장치(60)를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olley 50 is further installed in some sections of the monorail 51, the storage device 60 that can hold a large number in a transverse direction rather than a straight form.

상기 보관장치(60)는, 모노레일(51)의 일부 구간에 트롤리(50)의 프론트 및 리어포스트(53,54)의 거리(L)만큼의 폭(B)을 유지한 보관레일(61)을 일정길이만큼 더 설치한다.The storage device 60 is a storage rail 61 which maintains the width B by a distance L of the front and rear posts 53 and 54 of the trolley 50 in a section of the monorail 51. Install more than a certain length.

상기 보관레일(61)의 길이는 모노레일(51)을 순환하는 전체 트롤리(50)를 보관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storage rail 61 is long enough to store the entire trolley 50 circulating the monorail 51.

상기 보관레일(61)의 입구와 출구 측에는 트롤리(50)가 직선에서 횡 방향으로 또 횡 방향 상태에서 직선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입구가이드(62)와 출구가이드(63)를 설치한다.Inlet and outlet side of the storage rail 61 is provided with an inlet guide 62 and an outlet guide 63 to allow the trolley 50 to switch from a straight line to a transverse direction to a straight state.

상기 입구가이드(62)와 출구가이드(63) 사이에는 횡 방향으로 정렬된 트롤리(50)를 이송시키기 위한 통상적인 컨베이어(64)를 설치하여 입구에서 진입된 트롤리(50)를 출구로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Between the inlet guide 62 and the outlet guide 63 is installed a conventional conveyor 64 for transporting the trolley 50 align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can transfer the trolley 50 entered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To be configured.

상기 입구가이드(62)는 보관장치(60)까지 연결되는 모노레일(51)의 끝단부(65)는 보관레일(61)과 곡선부(66)를 통하여 연결하고, 상기 모노레일(51)의 끝단부(65)와 보관장치(60)에 설치되는 제2모노레일(67)의 선단부(68) 사이에는 트롤리(50)의 무게에 의하여 끝단부(65)와 선단부(68)에 각각 연접 및 이탈되어 트롤리(50)가 횡 방향으로 보관장치(60)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시이소(70)를 설치하여 구성한다.The inlet guide 62 is connected to the storage device 60, the end 65 of the monorail 51 is connected via the storage rail 61 and the curved portion 66, the end of the monorail 51 Between the 65 and the tip portion 68 of the second monorail 67 installed in the storage device 60 is connected to and separated from the tip portion 65 and the tip portion 68 by the weight of the trolley 50, respectively. It is configured by installing a seesaw 70 to allow the 50 to enter the storage device 6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상기 모노레일(51)과 제2모노레일(67)은 단차를 가지도록 하여 트롤리(50)가 보관장치(60)로 진입하기 용이하도록 하고, 제2모노레일(67)이 모노레일(51)보다 낮은 위치에 있도록 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며, 단차를 너무 많이 주는 것은 급격한 이동의 원인이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다.The monorail 51 and the second monorail 67 have a step so that the trolley 50 easily enters the storage device 60, and the second monorail 67 is locat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monorail 51. It will be natural to make sure that it is possible, and giving too much step would be undesirable because it causes rapid movement.

상기 시이소(70)는 모노레일(51)의 끝단부(65)와 제2모노레일(67)의 선단부(68)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중심위치에 물류현장의 천장에 서포터(71)를 고정하고, 상기 서포터(71)의 하단부에 개략 ∪형상의 시소브라켓(72)을 구비한다.The seesaw 70 fixes the supporter 71 to the ceiling of the logistics site at a central position of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end 65 of the monorail 51 and the tip 68 of the second monorail 67, The lower end of the supporter 71 is provided with a roughly j-shaped seesaw bracket 72.

상기 시소브라켓(72)에는 끝단부(65)와 선단부(68) 사이의 거리만큼의 길이(L1)를 가지는 시소바(73)를 힌지(H) 고정되어 움직임이 자유롭게 구비한다.The seesaw bracket 72 is hinged to the seesaw 73 having a length L1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portion 65 and the tip portion 68 and is freely movable.

상기 시소바(73)가 연접 및 이탈되는 끝단부(65)의 하측에는 연접시 시소바(73)와 모노레일(51)의 표면이 일치할 수 있도록 더 이상의 하강을 방지하기 위한 하강방지판(74)을 구비한다.Lowering prevention plate 74 for preventing further falling so that the surface of the sisova 73 and the monorail 51 at the bottom of the end portion 65 that is connected and detached from the seesaw 73 to match. ).

물론, 상기 시소바(73)는 무게중심을 모노레일(51)의 끝단부(65) 방향으로 두어 제2모노레일(67)의 선단부(68) 방향으로 하강한 후에는 항상 모노레일(51)의 끝단부(65)와 연접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Of course, the seesaw 73 always puts its center of gravity in the direction of the end 65 of the monorail 51 and then descends in the direction of the tip 68 of the second monorail 67 at the end of the monorail 51 at all times. It is to be kept in contact with (65).

상기 시소바(73)가 연접 및 이탈되는 선단부(68)의 하측에는 시소바(73)가 연접될 때 필요 이상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여 시소바(73)와 제2모노레일(67)의 표면을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하강방지판(75)을 더 구비하여 구성한다.The lower side of the tip portion 68 in which the seesaw 73 is connected and detached is prevented from falling more than necessary when the seesaw 73 is connected to coincide with the surfaces of the seesaw 73 and the second monorail 67.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falling prevention plate (75).

상기 출구가이드(63)는 보관레일(61)의 끝단부는 모노레일(51)의 선단부(76)와 곡선부(77)를 이용하여 연결하고, 제2모노레일(67)의 끝단부(78)와 모노레일(51)의 선단부(76)는 승강바(80)에 의하여 연접 및 이탈되도록 구성한다.The outlet guide 63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torage rail 61 using the tip 76 and the curved portion 77 of the monorail 51, the end 78 and the monorail of the second monorail 67 The tip portion 76 of the 51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and separated by the lifting bar 80.

상기 승강바(80)는 제2모노레일(67)의 끝단부(78)에 고정되는 브라켓(81)에 힌지핀(82)으로 고정하여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이 자유롭게 하고, 상기 브라켓(81)과 승강바(80)의 저면 사이에는 스프링(83)을 설치하여 승강바(80)를 항상 상승상태에 있도록 한다.The lifting bar 80 is fixed to the bracket 81 which is fixed to the end portion 78 of the second monorail 67 by the hinge pin 82 to move freely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 bracket 81 The spring 83 is installed between the bottom of the elevating bar 80 and the elevating bar 80 is always in an elevated state.

상기 스프링(83)은 브라켓(81)에서 승강바(80) 방향으로 단차(84)를 가지고 돌출되는 스프링패드(85)에 구비되는 스프링돌기(86)에 결합시켜 승강바(80)가 상승하고 하강하는 동작을 반복하더라도 이탈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spring 83 is coupled to the spring projection 86 provided on the spring pad 85 protruding with the step 84 in the direction of the lifting bar 80 in the bracket 81, the lifting bar 80 is raised Even if the descending operation is repea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henomenon such as deviation.

상기 출구가이드(63)와 연결되는 모노레일(51)에는 보관장치(60)에서 진입하는 트롤리(50)가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통상적인 감지센서(90)를 구비하여 앞서 진입한 트롤리(50)가 지나가는 것을 감지한 후 다음 트롤리(50)를 진입시킬 수 있도록 보관장치(60)의 컨베이어(64)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The monorail 51 connected to the exit guide 63 has a conventional sensor 90 so that the trolley 50 entering from the storage device 60 can secure a safe distance. After detecting the passing through, to control the conveyor 64 of the storage device 60 to enter the next trolley (50).

상기 감지센서(90)의 설치위치는 모노레일(51)의 보관장치(60)와 연결되는 선단부(76)에서 보관장치(60)와는 약간 이격된 위치에 설치하여 이격된 거리만큼 트롤리(50)가 거리를 유지한 채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detection sensor 90 is installed at a position slightly spaced apart from the storage device 60 at the tip portion 76 connected to the storage device 60 of the monorail 51 by a distance apart from the trolley 50. Make sure that they are supplied at a distance.

물론, 상기 입구가이드(62)의 전측에는 트롤리(50)의 순차적인 공급을 위한 수단과 기계적인 순환을 위하여 컨베이어를 더 설치하여도 무방할 것이다.Of course, the front side of the inlet guide 62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conveyor for the mechanical circulation and the means for the sequential supply of the trolley (50).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60)는,Rail separation type trolley storage device 6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트롤리(50)를 모노레일(51)에 길이방향으로 안착시키면 프론트 및 리어포스트(53,54)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로울러(52)가 모노레일(51)을 활주하게 되고, 상기 프론트 및 리어포스트(53,54)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거치대(55)에 물 류하고자 하는 물품을 거치하여 물류현장을 순환하게 된다.When the trolley 50 is se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monorail 51, the rollers 52 installed on the upper end portions of the front and rear posts 53 and 54 slide the monorail 51, and the front and rear posts 53. On the cradle 55 rotatably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54, the goods to be logistics are mounted to circulate the logistics site.

상기 트롤리(50)의 순환과 공급은 인력에 의존할 수도 있으나 입구가이드(62)의 전측에 컨베이어를 설치하여 기계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Circulation and supply of the trolley 50 may depend on manpower, but mechanically by installing a conveyor on the front side of the inlet guide 62 may perform the work efficiently.

상기와 같이 트롤리(50)를 순환시키면서 물류활동을 수행하고 트롤리(50)는 보관장치(60)를 경유하면서 순환이 이루어지고, 물류 활동을 정지하고 보관장치(60)에 트롤리(50)를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는 트롤리(50) 전체를 보관장치(60)로 진입시킨 후 순환을 정지시키면 된다.Logistics are performed while circulating the trolley 50 as described above, and the trolley 50 is circul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storage device 60, and stops the logistics activity and stores the trolley 50 in the storage device 60. If you want to enter the entire trolley 50 to the storage device 60, and then stop the circulation.

상기 트롤리(50)가 보관장치(60)의 입구가이드(62)와 출구가이드(63)를 경유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in more detail the process of the trolley 50 via the inlet guide 62 and the outlet guide 63 of the storage device 60 as follows.

상기 트롤리(50)가 모노레일(51)을 따라 순환하다 보관장치(60)의 입구가이드(62)에 다달으면, 시이소(70)를 구성하는 시소바(73)가 시소브라켓(72)에 힌지(H) 고정된 상태에서 모노레일(51)의 끝단부(65)와 연접된 상태에 있게 된다.When the trolley 50 circulates along the monorail 51 and reaches the inlet guide 62 of the storage device 60, the seesaw 73 constituting the seesaw 70 is hinged to the seesaw bracket 72. H) is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end portion 65 of the monorail 51 in a fixed state.

그러면 트롤리(50)의 프론트포스트(53)에 장착된 로울러(52)가 시소바(73)를 활주하여 힌지(H)를 넘어서게 되면 시소바(73)는 프론트포스트(53)의 무게에 의하여 보관레일(61)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2모노레일(67)의 선단부(68) 방향으로 하강하게 된다.Then, when the roller 52 mounted on the front post 53 of the trolley 50 slides the seesaw 73 and crosses the hinge H, the seesaw 73 is stored by the weight of the front post 53. It descends in the direction of the tip portion 68 of the second monorail 67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rail 61.

상기 시소바(73)가 제2모노레일(67)의 선단부(68) 방향으로 하강하면 모노레일(51)의 끝단부(65)위치의 시소바(73)는 상승한 상태에 있으므로 트롤리(50)의 리어포스트(54)에 장착된 로울러(52)는 시소바(73)를 활주하지 못하고 모노레일(51) 의 끝단부(65)와 연결된 곡선부(66)를 따라 보관레일(61)로 활주하게 된다.When the seesaw 73 descends toward the tip end 68 of the second monorail 67, the seesaw 73 at the end 65 of the monorail 51 is in a raised state, so the rear of the trolley 50 The roller 52 mounted on the post 54 does not slide on the seesaw 73 but slides along the curved portion 66 connected to the end 65 of the monorail 51 to the storage rail 61.

상기 시소바(73)가 시소브라켓(72)에 힌지(H) 고정되어 모노레일(51)의 끝단부(65)와 제2모노레일(67)의 선단부(68)와 연접 및 이탈될 때 프론트포스트(53)의 로울러(52)가 활주할 수 있는 것은 모노레일(51)에서 제2모노레일(67) 방향으로 낮아지는 단차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When the seesaw 73 is hinged to the seesaw bracket 72 and is connected to and detached from the tip 65 of the monorail 51 and the tip 68 of the second monorail 67, the front post ( The roller 52 of 53 may slide because the step of lowering the direction from the monorail 51 toward the second monorail 67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모노레일(51)의 끝단부(65)와 제2모노레일(67)의 선단부(68) 하방에는 시소바(73)가 연접시 더 이상의 하강을 방지하여 로울러(52)가 스무드하게 활주 가능하게 하강방지판(74,75)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below the tip portion 68 of the monorail 51 and the tip portion 68 of the second monorail 67, the sisoba 73 prevents further falling during the connection, and thus the rollers 52 slide smoothly. It is possible to form the falling prevention plate (74, 75).

상기와 같이 트롤리(50)의 프론트포스트(53)는 제2모노레일(67)로 진입하고 리어포스트(54)는 보관레일(61)로 진입함으로서 직선상태에서 횡 방향 상태로 전환되고 프론트 및 리어포스트(53,54)의 하방에 연결되는 거치대(55)는 회전자유롭게 구비됨으로서 방향을 전환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ront post 53 of the trolley 50 enters the second monorail 67 and the rear post 54 enters the storage rail 61 so that the front post 53 enters the transverse state from the straight state and the front and rear posts. Cradle 55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53, 54 is provided to rotate freely to change the direction.

이와 같이 보관장치(60)로 진입한 트롤리(50)는 보관장치(60)에 설치되는 컨베이어(64)에 의하여 거치대(55)가 연접되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보관장치(60)의 전방으로 이동된 트롤리(50)는 출구가이드(63)를 경유하면서 다시 모노레일(51)에 직선방향으로 전환한 상태로 공급되어 순환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trolley 50 that enters the storage device 60 is moved to the front by being connected to the holder 55 by the conveyor 64 installed in the storage device 60, and forward of the storage device 60. The moved trolley 50 is supplied to the monorail 51 again while being converted in a linear direction while circulating through the exit guide 63.

상기와 같이 프론트포스트(53)의 로울러(52)가 제2모노레일(67)에 활주하고 리어포스트(54)의 로울러(52)가 보관레일(61)에 활주하면 무게중심이 모노레일(51) 방향으로 기울어진 시소바(73)는 다음 트롤리(50)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모노레일(51)의 끝단부(65)와 연접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roller 52 of the front post 53 slides on the second monorail 67 and the roller 52 of the rear post 54 slides on the storage rail 61,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ront post 53 moves toward the monorail 51. The inclined seesaw 73 is in contact with the end 65 of the monorail 51 so as to easily enter the next trolley 50.

상기 출구가이드(63)를 경유하면서 트롤리(50)가 모노레일(51)에 직선타입으로 공급되는 과정을 살펴보면,Looking at the process of supplying the trolley 50 to the monorail 51 in a straight type while passing through the outlet guide 63,

상기 보관장치(60)의 출구측에 위치한 트롤리(50)의 프론트포스트(53)의 로울러(52)가 제2모노레일(67)의 끝단부(78)와 모노레일(51)의 선단부(76) 사이를 연결하는 승강바(80)에 위치하게 된다.The roller 52 of the front post 53 of the trolley 50 located at the outlet side of the storage device 60 is between the tip 78 of the second monorail 67 and the tip 76 of the monorail 51. It is located on the lifting bar 80 to connect the.

그러면, 컨베이어(64)가 밀어주는 힘에 의하여 제2모노레일(67)의 끝단부(78)에 힌지핀(83)으로 고정되어 스프링(83)에 의하여 상승 되어 있던 승강바(80)가 하강하여 모노레일(51)의 선단부(76)와 연접된 상태를 이룸으로서 프론트포스트(53)의 로울러(52)는 승강바(80)를 활주하여 모노레일(51)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Then, the lifting bar 80, which is fixed by the hinge pin 83 to the end 78 of the second monorail 67 by the force pushed by the conveyor 64, is lifted,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distal end 76 of the monorail 51, the roller 52 of the front post 53 is able to move to the monorail 51 by sliding the lifting bar 80.

상기와 같이 프론트포스트(53)가 모노레일(51)로 이동하고 나면 승강바(80)에 가하여지는 힘이 사라짐으로서 스프링(83)에 의하여 승강바(80)는 상승하게 되고, 컨베이어(64)가 해당 트롤리(50)의 리어포스트(54)를 밀어 모노레일(51)의 선단부(76)와 보관레일(61)의 끝단부를 연결하는 곡선부(77)를 타고 이동하여 모노레일(51)로 진입하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fter the front post 53 moves to the monorail 51, the force applied to the elevating bar 80 disappears, so that the elevating bar 80 is raised by the spring 83, and the conveyor 64 is moved. The rear post 54 of the trolley 50 pushes the curved portion 77 connecting the tip 76 of the monorail 51 and the tip of the storage rail 61 to enter the monorail 51. will be.

물론, 상기 트롤리(50)가 보관장치(60)를 벗어나면서 모노레일(51)에 직선으로 활주하게 되면 프론트 및 리어포스트(53,54)의 하방에 회전 자유롭게 연결된 거치대(55)는 횡 방향에서 직선방향으로 전환하게 되는 것이다.Of course, when the trolley 50 slides in a straight line on the monorail 51 while leaving the storage device 60, the cradle 55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ont and rear posts 53 and 54 is straigh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t will turn in the direction.

그리고, 보관장치(60)에서 모노레일(51)로 트롤리(50)가 공급될 때에는 보관장치(60)의 전방 모노레일(51)에 설치되는 감지센서(90)에 의하여 하나의 트롤 리(50)가 완전하게 벗어난 후 컨베이어(64)가 다음 트롤리(50)를 출구가이드(63)로 진입시키게 되므로 모노레일(51)에 공급되는 트롤리(50)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체 순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trolley 50 is supplied from the storage device 60 to the monorail 51, one trolley 50 is provided by the sensor 90 installed on the front monorail 51 of the storage device 60. After the complete departure, the conveyor 64 enters the next trolley 50 to the exit guide 63, so that the trolley 50 supplied to the monorail 51 can circulate at regular intervals.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물류현장의 천장에 설치되는 모노레일(51)을 순환하는 트롤리(50)를 보관장치(60)를 이용하여 사용하지 않을 경우 직선배열이 아닌 횡 방향으로 배열하여 많은 수의 트롤리(50)를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rolley 50 that circulates the monorail 51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logistics site is not used using the storage device 60, a large number of trolleys are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rather than in a straight arrangement. 50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stored.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물류현장의 천장에 설치되는 모노레일의 중도에 트롤리를 횡 방향으로 집합시켜 보관할 수 있는 보관장치를 제공하여 많은 수의 트롤리의 보관을 용이하게 하면서 트롤리의 순환에 지장이 없도록 하면서 보관과 순환을 자동화가 가능하도록 구현함으로서 사용자들이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 운영할 수 있도록 하여 물류의 합리화에 기여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provides a storage device that can collect and store the trolle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middle of the monorail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logistics site to facilitate the storage of a large number of trolleys while preventing the circulation of the trolley. It is an invention having various effects such as contributing to the rationalization of logistics by enabling users to operate and operate efficiently by implementing the storage and circulation to enable automation.

Claims (5)

한쌍의 로울러(52)를 가지는 프론트포스트(53)와 리어포스트(54);A front post 53 and a rear post 54 having a pair of rollers 52; 상기 프론트 및 리어포스트(53,54)의 하단에는 물류하고자 하는 물품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55)를 회전 자유롭게 연결하여 구성하는 트롤리(50)를 물류현장의 천장을 따라 설치되는 모노레일(51)에 안착시켜 물류작업을 수행하는 물류시스템(S)에 있어서;Monorails 51 installed on the lower ends of the front and rear posts 53 and 54 are installed along the ceiling of the logistics site, for example, a trolley 50 configured to freely connect a cradle 55 for mounting goods to be distributed. In the logistics system (S) to be mounted on the logistics operation; 상기 트롤리(50)를 물류시스템(S)을 구성하는 모노레일(51)의 일부 구간에 횡방향 형태로 많은 수를 보관할 수 있는 보관장치(60)를 더 설치하고;Further installing a storage device 60 for storing a large number of the trolley 5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some section of the monorail 51 constituting the logistics system (S); 상기 보관장치(60)는, 모노레일(51)의 일부 구간에 트롤리(50)의 프론트 및 리어포스트(53,54)의 거리(L)만큼의 폭(B)을 유지시켜 일정길이만큼 더 설치하는 보관레일(61)과;The storage device 60 is installed in a section of the monorail 51 by maintaining a width (B) as much as the distance (L) of the front and rear posts (53, 54) of the trolley (50). A storage rail 61; 상기 보관레일(61)의 입구와 출구측에는 트롤리(50)가 직선에서 횡 방향으로 또 횡 방향 상태에서 직선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입구가이드(62)와 출구가이드(63);An inlet guide 62 and an outlet guide 63 installed at the inlet and outlet sides of the storage rail 61 so that the trolley 50 can be switched from a straight line to a transverse direction to a straight line state; 상기 입구가이드(62)와 출구가이드(63) 사이에 횡 방향으로 정렬된 트롤리(50)를 입구에서 진입된 트롤리(50)를 출구로 이송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컨베이어(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veyor (64) for installing the trolley (50)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etween the inlet guide 62 and the outlet guide (63) to transport the trolley (50) entered at the inlet to the outlet. Rail-mounted trolley storage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입구가이드(62)는 보관장치(60)까지 연결되는 모노레일(51)의 끝단부(65)는 보관레일(61)과 곡선부(66)를 통하여 연결하고;The inlet guide 62 is connected to the end 65 of the monorail 51 which is connected to the storage device 60 through the storage rail 61 and the curved portion 66; 상기 모노레일(51)의 끝단부(65)와 보관장치(60)에 설치되는 제2모노레일(67)의 선단부(68) 사이에는 트롤리(50)의 무게에 의하여 끝단부(65)와 선단부(68)에 각각 연접 및 이탈되어 트롤리(50)가 횡 방향으로 보관장치(60)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시이소(70)를 설치하고;Between the end portion 65 of the monorail 51 and the tip portion 68 of the second monorail 67 installed in the storage device 60 by the weight of the trolley 50, the tip portion 65 and the tip portion 68 The seesaw 70 connected to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trolley 50 can enter the storage device 6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상기 모노레일(51)과 제2모노레일(67)은 트롤리(50)가 보관장치(60)로 진입하기 용이하도록 단차를 두고;The monorail (51) and the second monorail (67) are provided with steps so that the trolley (50) can easily enter the storage device (60); 상기 시이소(70)는 모노레일(51)의 끝단부(65)와 제2모노레일(67)의 선단부(68)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물류현장의 천장에 고정되는 서포터(71)와;The seesaw 70 includes a supporter 71 fixed to a ceiling of a logistics site in a space formed between an end portion 65 of the monorail 51 and an end portion 68 of the second monorail 67; 상기 서포터(71)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시소브라켓(72)에 힌지(H) 고정되어 모노레일(51)의 끝단부(65)와 제2모노레일(67)의 선단부(68)사이를 움직이는 시소바(73)와;The seesaw (H) is fixed to the seesaw bracket 72 provided on the lower end of the supporter 71 is moved between the tip 65 of the monorail 51 and the tip 68 of the second monorail 67 ( 73); 상기 시소바(73)가 연접 및 이탈되는 끝단부(65)와 선단부(68)의 하측에 연접시 시소바(73)와 모노레일(51)과 제2모노레일(67)의 표면이 일치할 수 있도록 하강을 방지하도록 구비하는 하강방지판(74,7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The surface of the sisova 73, the monorail 51 and the second monorail 67 may coincide with the lower end of the end 65 and the tip 68 where the seesaw 73 is connected and separated. Rail separation type trolley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alling prevention plate (74,75) provided to prevent falling.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출구가이드(63)는 보관레일(61)의 끝단부와 모노레일(51)의 선단부(76)와 곡선부(77)로 연결하고;The outlet guide (63)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torage rail (61) and the tip (76) of the monorail (51) and the curved portion (77); 상기 모노레일(51)의 선단부(76)는 제2모노레일(67)의 끝단부(78)와 승강바(80)에 의하여 연접 및 이탈되도록 구성하고;The tip portion 76 of the monorail 51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nd separated from the tip 78 of the second monorail 67 and the lifting bar 80; 상기 승강바(80)는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이 자유롭게 제2모노레일(67)의 끝단부(78)에 고정되는 브라켓(81)에 힌지핀(82)으로 고정하고;The lifting bar 80 is fixed to the bracket 81 is fixed to the bracket 81 which is fixed to the end portion 78 of the second monorail (67) to move freely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브라켓(81)과 승강바(80)의 저면 사이에 설치하여 승강바(80)를 항상 상승상태로 유지하는 스프링(8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Rail bracket-type trolley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pring (83) installed between the bracket 81 and the bottom of the elevating bar (80) to always maintain the elevating bar (80) in an elevated sta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출구가이드(63)와 연결되는 모노레일(51)에는 보관장치(60)에서 진입하는 트롤리(50)가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앞서 진입한 트롤리(50)가 지나가는 것을 감지한 후 다음 트롤리(50)를 진입시킬 수 있도록 컨베이어(64)를 제어할 수 있는 감지센서(9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The monorail 51 connected to the exit guide 63 detects that the previously entered trolley 50 passes so that the trolley 50 entering from the storage device 60 can secure a safety distance, and then the next trolley ( Rail separation type trolley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tection sensor 90 that can control the conveyor (64) to enter 50.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입구가이드(62)의 전측에는 트롤리(50)의 순차적인 공급을 위한 수단으로 컨베이어를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분리타입 트롤리 보관장치.Front side of the inlet guide 62 is a rail separation type trolley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veyor is further installed as a means for the sequential supply of the trolley (50).
KR1020060057485A 2006-06-26 2006-06-26 Custody device for trolley KR1008090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485A KR100809045B1 (en) 2006-06-26 2006-06-26 Custody device for trolle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485A KR100809045B1 (en) 2006-06-26 2006-06-26 Custody device for trolle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135A KR20080000135A (en) 2008-01-02
KR100809045B1 true KR100809045B1 (en) 2008-03-07

Family

ID=39212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7485A KR100809045B1 (en) 2006-06-26 2006-06-26 Custody device for trolle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904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5069A (en) 2018-08-02 2020-02-12 남희대 Trolley for distribution system of hanger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50481B (en) * 2021-02-03 2021-10-29 中国矿业大学 Storage battery type unmanned monorail cra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2850482B (en) * 2021-02-03 2021-12-10 中国矿业大学 Diesel engine type unmanned monorail cra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2896A (en) * 1996-11-29 1998-08-17 폴크마르 쿠르쯔, 귀도 부릅스 Running gear of hoist movable on rail
KR200204522Y1 (en) 2000-07-04 2000-11-15 주식회사동성산기 Trolley for hois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2896A (en) * 1996-11-29 1998-08-17 폴크마르 쿠르쯔, 귀도 부릅스 Running gear of hoist movable on rail
KR200204522Y1 (en) 2000-07-04 2000-11-15 주식회사동성산기 Trolley for hois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5069A (en) 2018-08-02 2020-02-12 남희대 Trolley for distribution system of hang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135A (en) 200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5273A (en) Conveyorized transport system
JP4883399B2 (en) Loading and unloading method
EP0093863B1 (en) A microprocessor-controlled system of aerial transport for industrial installations
KR100809045B1 (en) Custody device for trolley
JP5123236B2 (en) Door conveyor
JP5184184B2 (en) Load transfer device between upper and lower conveyors
US6558102B2 (en) High storage shelf system for hanging goods
JP4960823B2 (en) Automatic warehouse
US2987012A (en) Conveyor systems
KR102067304B1 (en) Guide rail part for a conveyor and a conveyor comprising such a guide rail part
CA2309863A1 (en) Magnetically powered conveyor system and method
JP5327655B2 (en) Transport equipment
US1703773A (en) Delivery apparatus
KR101408955B1 (en) Lightweight trolley device
US2796165A (en) Automatic garment conveyor
KR20200015069A (en) Trolley for distribution system of hangers
US2157289A (en) Conveyer chain
CN218023642U (en) Hanger outbound device
KR101013011B1 (en) Parts flow system using cassette
US603607A (en) krotz
JP2545276Y2 (en) Automatic warehouse transfer equipment
JPH03197268A (en) Carrying equipment using self-advancing trolley
JP3476054B2 (en) Article storage facility
JPH09315295A (en) Guide structure of conveying car
CN117383151A (en) Bearing rail and rail mechanism for hanger transpor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