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7870B1 - 광고가 결합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전자 상거래를 유도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광고가 결합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전자 상거래를 유도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7870B1
KR100807870B1 KR1020010016359A KR20010016359A KR100807870B1 KR 100807870 B1 KR100807870 B1 KR 100807870B1 KR 1020010016359 A KR1020010016359 A KR 1020010016359A KR 20010016359 A KR20010016359 A KR 20010016359A KR 100807870 B1 KR100807870 B1 KR 100807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learning
trademark
learner
comme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6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6496A (ko
Inventor
강민수
Original Assignee
강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수 filed Critical 강민수
Priority to KR1020010016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7870B1/ko
Publication of KR20020076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6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7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7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고가 결합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전자 상거래를 유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학습 콘텐츠에 구체적인 상품 등의 명칭 또는 서비스의 명칭 또는 이미지를 결합시킨 학습 콘텐츠를 제작하여 학습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고가 결합된 학습 콘텐츠를 통하여 광고의 효과를 발생시키며, 광고에 따른 수익을 학습자에게 제공하고, 나아가 학습자의 학습에 연계하여 보상을 차등 적용 시킴으로써, 학습자들이 학습의 더 많이 학습할 수 있게 유도한다.
그리고, 차등적 보상은 학습자들이 광고와 관련된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는 경우 차등적으로 적용될 수 있어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뿐만 아니라, 광고주의 입장에서는 전자 상거래를 통해 자신이 지불하는 광고비 이상의 수익을 올릴 수 있어, 전자 상거래가 활성화 할 수 있다.
학습, 콘텐츠, 광고, 광고 콘텐츠, 보상, 전자 상거래,

Description

광고가 결합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전자 상거래를 유도하는 방법{Method on providing studying contents combined with advertisement and inducing electronic commerce through them}
삭제
도 1: 본 발명을 위한 하드웨어, 장치 및 네트워크 구성
도 2 : 광고 콘텐츠가 결합된 학습 콘텐츠와 기존 학습 콘텐츠와의 비교
도 3 : 주어진 학습 콘텐츠에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결합하는 과정
도 4 : 도 3의 기본 과정에 외부의 제 3자에 의해서 일어나는 과정
도 5 :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가 결합된 콘텐츠를 통해서 전자 상거래를 하는 기본 과정
도 6 : 상품 등의 명칭 DB의 한 예
도 7 :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 DB의 한 예
도 8 : 학습 콘텐츠의 분석과 상품 등의 명칭과 동일 유사한 텍스트를 찾아내는 과정
도 9 : 상품 등의 명칭에 상응하는 공급자의 발견 및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 검색
도 10 : 학습 콘텐츠와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의 결합 또는 DB 연동의 시기 및 저장 장소
도 11 : 스몰 아이콘의 작용 과정
도 12 :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의 표시 방법
도 13 : 사용자의 상호 작용이 있는 경우
도 14 : 조건의 성취 여부에 따른 표시
도 15 : 총체적 학습 단위와 광고 콘텐츠 결합 방법
도 16 : 이미지의 전체 또는 부분을 오브젝트 단위로 파악하는 과정 및 상품 등의 명칭 추출
도 17 : 이미지 콘텐츠의 오브젝트에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결합하는 과정
도 18 : 콘텐츠 DB와 광고DB연동의 기본 흐름
도 19 : 콘텐츠와 실시간으로 대응되는 광고DB연동의 기본 흐름
광고가 결합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전자 상거래를 유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학습 콘텐츠에 구체적인 상품 등의 명칭 또는 서비스의 명칭 또는 이미지를 결합시켜서 학습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통해 광고의 효과를 발생시키며, 광고에 따른 수익을 학습자(80-1)들에게 제공하며, 학습자(80-1)들이 광고를 통해 전자상거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삭제
본 발명은 학습 콘텐츠에 그 학습자(80-1) 층이 소비의 대상으로 삼는 상품, 서비스 또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공급자의 광고를 결합함으로써 학습의 효과를 높이고, 학습자(80-1)는 그 광고에 대해서 일정한 보상을 받으며, 학습자(80-1)에게 상품 또는 서비스의 이용시 할인 등의 정당한 보상을 제공하며, 아울러 전자상거래를 할 수 있도록 하며, 학습 콘텐츠 공급자는 광고 수익을 누릴 수 있게 하며, 상품 또는 서비스 제공자는 광고 효과의 제고 및 실질적인 거래가 발생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종래의 기술
종래의 학습 콘텐츠에는 구체적인 상표, 서비스표, 상호 등이 쓰이지 않았다.
즉, 피자 그림이 있다고 해서 피자헛의 피자인지, 도미노 피자의 피자인지가 드러나지 않았다. 또한, 학습을 한다고 해서 돈을 준다든지 하는 학습에 대해서 제 3자(부모 등 제외)가 정당한 보상을 하는 경우는 없었으며, 학습을 구성하고 있는 콘텐츠를 통한 전자상거래는 있을 수도 없었다. 즉, 종래의 온라인 상의 학습 콘텐츠들은 기존의 종이 매체의 학습 콘텐츠를 단순히 디지털화 한것에 지나지 않는 수준이었다. 그러므로, 종래의 학습 콘텐츠는 이미지 등이 선명하지 않는 등 콘텐츠가 부실했으며 학습 콘텐츠를 통한 학습에서 학습자(80-1)들의 주의를 끌지 못했다.
또한, 기존의 인터넷 학습지들은 광고가 화면상의 고정된 위치에 존재하였다. 예를 들면 배너를 모서리의 구석에 배치하는 등의 방법 및 동영상을 이러한 자리에 붙애는 것이 통상이었다. 이런 배너 광고는 사용자가 학습하는 것과는 큰 관 련성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단지 통상의 TV나 신문 광고처럼 TV의 비광고 콘텐츠나 신문의 기사와는 관련이 없었던 것과 비슷하였다. 이는 광고 효과가 적으며, 사용자의 학습 콘텐츠와 긴밀히 결합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광고와 학습 콘텐츠가 결합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기존에 존재하던 학습 콘텐츠를 어떻게 본 발명이 제시하는 광고가 결합되는 학습 콘텐츠로 변모시키는 것에 대헌 것과, 신규로 학습 콘텐츠를 제작하는 경우에 광고가 결합되어 있는 학습 콘텐츠를 제작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는 특히 텍스트에 광고를 결합하는 제작 방법 및 이미지에 광고를 부착하는 방법으로 나누어 기술한다.
둘째, 광고 효과에 따른 학습자(80-1)에 대한 정당한 보상의 지급하는 방법이다. 학습자(80-1)의 학습에 대하여 광고 효과를 측정하고, 이에 상당하는 정당한 보상을 지급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셋째, 학습물 속의 광고 콘텐츠를 통한 전자 상거래를 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도출해 내고, 할인 등을 매개하여 학습자(80-1)에게 실질적인 이익을 주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넷째, 수학영어라는 개념을 도입하고, 수학과 영어를 동시에 학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다섯째, 차등적 할인율이란 개념을 도입하여 학습을 장려함과 아울러 전자상거래를 촉진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기술한다.
여섯째, 분석과 진단을 자동화하며 추천의 개념을 도입하여 학습자(80-1)에게 최적화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해 줌으로써 학습의 효과를 높이고, 전자상거래를 효과적으로 생성시키는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품 등의 명칭 DB를 참조하여, 입수 받은 학습 콘텐츠의 텍스트 콘텐츠 부분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 등의 명칭을 추출해 내는 단계; 상기 추출된 상품 등의 명칭에 관련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공급해 주려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급자를 공급자 DB에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공급자들의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상기 입수 받은 콘텐츠의 텍스트 콘텐츠의 주변에 배치하는 방식으로 상기 텍스트 콘텐츠와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가 결합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전자 상거래를 유도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학습 콘텐츠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상기 학습 콘텐츠와 결합한 것을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학습 콘텐츠를 학습하는 학습자로부터 접속을 허용하고, 개인 정보를 입수 받는 단계; 및 상기 학습자로부터 상기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의 선택 정보를 입수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선택된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로 상기 텍스트 콘텐츠와 결합하는 단계의 상기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는 상기 학습자로부터 선택받은 상기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에는 상기 공급자들과 관련된 전자 상거래 사이트로 이동하는 하이퍼링크 정보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학습자 컴퓨터로 상기 학습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공급자들과 관련된 전자 상거래 사이트에서 전자 상거래를 하는 경우, 상기 학습자의 상기 학습 콘텐츠에 대한 학습 수행 정도에 따라 차별적인 할인 적용에 관련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별적인 할인 적용에 관한 정보는 할인 금액, 할인 쿠폰, 상품권, 할인 마일리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학습 수행 정도는 학습 시간 및 학습 평가 인덱스별 성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관계되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은 상기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상기 텍스트 콘텐츠 내부에의 삽입하거나(inserted), 상기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로 상기 텍스트 콘텐츠를 치환하거나(assigned), 상기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상기 텍스트 콘텐츠와 뒤섞어 앞 또는 뒤에 배치(mixed)하거나, 상기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상기 텍스트 콘텐츠에 연동되게(linked)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습 콘텐츠를 학습하는 학습자로부터 접속을 허용하고, 개인 정보를 입수 받는 단계; 상기 학습자들에게 학습 콘텐츠를 포함하여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자의 상기 학습 콘텐츠에 대한 학습 수행 정도에 따라 차별적인 보상 적용에 관련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학습 콘텐츠에 포함하여 전송되는 콘텐츠에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공급해 주려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급자의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에는 상기 공급자들과 관련된 사이트로 이동하는 하이퍼링크 정보가 더 포함되며, 상기 학습 콘텐츠에 포함하여 전송되는 콘텐츠에는 상기 공급자들과 관련된 상기 사이트에서 전자 상거래를 하는 경우, 상기 차별적인 보상 적용이 있음을 알리는 정보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가 결합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전자 상거래를 유도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학습자로부터 상기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의 선택 정보를 입수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학습자로부터 선택된 상기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상기 학습 콘텐츠를 포함하여 전송되는 콘텐츠에 포함시켜 상기 학습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별적인 보상은 차별적인 할인에 관한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별적인 할인 적용에 관한 정보는 할인 금액, 할인 쿠폰, 상품권, 할인 마일리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학습 수행 정도는 학습 시간 및 학습 평가 인덱스별 성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관계되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학습 콘텐츠는 상기 학습자들의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인 정보는 학습자의 이름 정보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학습 콘텐츠는 문제를 제공하는 콘텐츠이며, 상기 문제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단 인덱스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학습자가 상기 문제에 대한 응답을 제공한 경우, 상기 진단 인덱스별로의 평가를 수행하고, 상기 평가에 대응하여 상기 학습자가 부족한 인덱스를 포함하는 문제를 선별하여 상기 학습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단 인덱스는 상기 문제가 속하는 학습 분야, 상기 문제가 속하는 표준 교육 과정상의 지위, 상기 문제가 속하는 난이도, 상기 문제가 속하는 문제가 요구하는 능력의 종류, 상기 능력이 필요로 하는 정도의 가중치 및 상기 문제 해결의 제한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학습 콘텐츠는 한글로 된 학습 콘텐츠 및 상기 한글로 된 학습 콘텐츠와 관계된 영어로 된 학습 콘텐츠를 포함하며, 상기 영어로 된 학습 콘텐츠를 불러내어 상기 학습자에게 시청각하게 해 주는 아이콘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어의 정의
네트워크란 유, 무선 통신망을 가리킨다.
오프라인(offline)은 온라인(online)의 (상대)반대개념으로서 네트워크 상에 접속되지 않는 상태를 가리킨다.
온라인(online)은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모든 형태의 네트워크 터미널(mobile, 지리정보시스템, 통신위성을 이용한 송,수신 장치 등의 위성수신장치등을 포함) 환경을 포괄적으로 정의한다.
광고(advertisement) 콘텐츠란 광고를 목적으로 하는 임의의 콘텐츠로, 텍스트, 그림, 동영상, 배너(banner), 소리(sound), 3D(3 dimension), 홀로그램영상, 가상 현실(virtual reality)방식으로 제공하는 모든 콘텐츠 및 시각, 후각, 미각, 청각, 촉각 등의 5감에 대한 작용을 디지털 매체로 제공(하는)되는 콘텐츠를 매개로 감각을 인식하게끔 하는 광고 목적의 임의의 디지털 콘텐츠를 말한다.
오프라인 매체(offline media)란 물질적 형상을 가진 매체로서, 비디오 자료, 테이프 자료, 도서를 포함하는 종이 매체 자료 등과 같은 아날로그(analog) 기록 매체 자료와 플로피 디스크(FDD), 씨디(CD-ROM),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광자기 디스크(MOD), 하드 디스크(HOD), 램(RAM), 롬(ROM), 팩(pack), 포토 매스크(photo mask) 등과 같은 디지털 데이터 저장 매체로 사용되는 임의의 장치를 말한다.
연동(synchronization)이란 컴퓨터 사용자에게 온라인과 오프라인 상의 디지털 콘텐츠가 상호작용(interaction)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 상의 콘텐츠가 연결(connection), 결합(synthesis), 병합(composition), 정보의 교환(exchange) 재구성(reorganization) 또는 전송(transfer)하는 과정을 통해 컴퓨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방식을 말한다.
컴퓨터 사용자(computer user)란 컴퓨터를 사용하는 자를 말하며, 본 발명에서 컴퓨터란 PC, PDA, 노트북(notebook), 팜탑(palm top), e북(e-book), 워크 스테이션(work station), 미니 컴퓨터(mini computer), 수퍼 컴퓨터(super computer), 핸드폰(cellular phone, mobile phone), 호출기(beeper), 게임기(game machine, 예를 들면 SONY사의 Play Station 등), 디지털 TV 등 중앙처리장치(CPU) 또는 중앙처리장치가 내장된 주기기에 별도로 부착하여 물리적인 통신 단말 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보조 장치로서 수치처리장치(NPU)를 내장하고 있는 장치 등, 유선, 무선을 불문하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 수신 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임의의 기계를 말한다.
내부 기억 장치(inner memory device)란 내부 저장 장치(inner storing device) 와 보조기억장치(Auxiliary Storage Device) 중 읽고 쓰기가 가능한 매체를 포괄적으로 정의한 개념으로서 크게 전, 자기적 기록 방식의 매체, HDD, RAM 또는 ROM과 같은 휘발성, 비휘발성 기억 장치, CD-RW와 같은 광학적기록 방식의 기기 중 읽고 쓰기가 가능하고 컴퓨터 내부에 장착할 수 있는 장치 (device)를 말한다.
광고 관리 프로그램(Advertisement Managing Program)이란 사용자의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으며, 광고를 관리해 주는 프로그램으로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주는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 ware)를 말한다. 즉, 광고 관리 프로그램은 광고를 DB로 저장하여 조직적으로 광고를 관리한다. 또한, 보상을 관리하는 경우 그 역할에 따라 보상 관리 프로그램이 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 보상이 매개되는 한 광고 관리 프로그램은 보상 관리 프로그램이라는 이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보상 관리 프로그램은 광고 관리 프로그램이 하는 역할을 포함하며, 각종 보상이 매개되는 과정과 관계되는 프로그램이다. 그리고, 정보를 관리하는 경우 그 역할에 따라 정보 관리 프로그램이 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정보가 매개되는 한 광고 관리 프로그램은 정보 관리 프로그램이라는 이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정보 관리 프로그램은 광고 관리 프로그램이 하는 역할을 포함하며, 각종 정보가 매개되는 과정과 관계되는 프로그램이다
광고 지시 콘텐츠(indicating contents)란 광고콘텐츠로 연결 또는 결합 가능한 일체의 지시자(문자열, 숫자, 그림, 동영상, 파일, 사진이미지 등 시각적으로 보여지고 분별 가능한 일체의 것)를 포괄적으로 정의한 것으로서 그 콘텐츠에 광고 콘텐츠가 연결 또는 결합되어 있어, 사용자가 지시 콘텐츠에 작용(action)을 하면, 광고 콘텐츠를 연결해 주는 콘텐츠를 말한다. 광고 콘텐츠 그 자체도 연결된 다른 콘텐츠가 있을 때 광고 지시 콘텐츠의 역할을 한다. 가령, 특정한 그림이나 배너(banner), 모바일(mobile)의 경우 동영상 지시자를 클릭하면 동영상 광고가 사 용자의 컴퓨터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된다면, 특정한 그림이나 배너 그 자체는 동영상을 지시하거나 연결해 주는 광고 지시 콘텐츠가 되고, 동영상 광고 그 자체는 통상의 광고 콘텐츠가 되며, 클릭하는 행위는 광고 지시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작용이 된다.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계하는 정보가 있는 곳으로 연결하는 하이퍼링크가 결합되어 있는 광고 콘텐츠는 본질적으로 광고 지시 콘텐츠가 된다.
작용(action)이란 광고 보유 사이트에 접속하거나, 광고 지시 콘텐츠에 대하여 클릭 등을 포함하는 어떤 지정된 행위를 하거나, 광고 보유 사이트에 접속하자 마자 소리, 영상 등의 형식으로 된 광고 콘텐츠가 나오는 경우, 그 사이트, 그 네트워크 상의 웹페이지(web page)나, 네트워크 상의 특정한 가상 공간(cyber space)에 접속하는 것을 말한다. 네트워크에 연결된 TV 등이 있을 경우, TV 등을 켜는 행위도 광의의 작용에 해당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호작용이라는 용어와 작용이라는 용어를 구별없이 동등한 의미로 사용한다.
상호작용(interaction) 인식(recognization)이란, 광고 콘텐츠를 사용자가 보거나 듣거나, 움직이거나, 특정한 동작을 취하거나, 특정한 행위를 하는 등 광고 콘텐츠에 대하여 임의의 반응(reaction)을 인식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특히, TV, 인터넷 등에서 광고를 틀어 놓기만(play) 하고 광고를 보거나 듣지 않는 것을 가려 내는데 유용하다.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 상표(모델명을 포함한다), 서비스표, 단체표장, 업무표장 등 상표법에서 정의되는 모든 식별 표지 및 상호 등 상법에서 정의되는 식별 표지, 부정경쟁방지법에서 정의되는 식별 표지, 기타 자타상품식별의 목적으로 쓰이는 일체의 표지 및 웹사이트 주소(하부 사이트 주소를 포함한다), 아이콘, 이미지, 심볼(symbol), 소리 상표, 슬로건, 제스쳐, 광고 중의 특정한 장면, 특정한 소리, CM 송, CF 등의 일체의 식별 목적을 가지고 쓰이거나 식별의 기능을 가지면서 사용되는 콘텐츠 및 이들 각각을 결합한 것을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라 하며, 간단히 '상표 콘텐츠', 또는 '상표 등'이라는 말로 약칭한다. 특정한 상품 또는 서비스, 상품 또는 서비스의 공급 주체를 나타내는 광고는 그 상품 또는 서비스, 상품 또는 서비스의 공급 주체를 나타내므로 모든 광고 콘텐츠는 본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에 포함된다. 그리고,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은 광고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본질 상 광고 콘텐츠가 된다.
상품 등의 명칭 : 상품의 명칭 또는 서비스의 명칭, 상품 또는 서비스를 타인에게 제공하는 공급자의 명칭(예 : 현대건설), 문자로 된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의 문자,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에서 문자 부분(예를 들면 문자를 포함하여 기호, 도형, 입체적 형상, 색채가 결합된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의 문자 부분),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의 소리 부분을 음역하였을 경우의 해당 문자, 외국어로 된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자국어로 음역하였을 경우의 해당 문자부분(IBM 일 경우 아이비엠 등, 자국어가 달라지면 별개의 음역이 나옴. 음역이 다를 경우 대응성이 인정되는 모든 것을 포함한다. 예 : Mcdonald일 경우 맥도날드, 맥도널드 등)등을 말한다.
텍스트 콘텐츠 : 콘텐츠 제공자가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전체의 콘텐츠 중에서 텍스트로 구성된 부분
광고 콘텐츠 :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포함하여 콘텐츠의 형식으로 광고의 목적으로 타인에게 제공되는 일체의 것을 말한다.
상품 등의 명칭 DB(80-5-2) : 상품 등의 명칭에 대한 정보 및 그 명칭에 관련된 정보를 가지고 있는 DB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 DB(80-5-3) :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에 대한 정보 및 그 정보에 관련된 정보를 아울러 가지고 있는 DB
인터넷 학습지의 장점
컴퓨터를 이용하고 및 네트워크(인터넷 포함, 이하 인터넷이라 함)과 결합한 학습지는 종이로 된 학술지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며, 이들 장점은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첫째, 각 단위 학습물(unit learning contents, 문제 1개 또는 학습의 최소 단위가 되는 것으로 학습물 콘텐츠 제공자가 결정한 것)에 대해 각종 색인표(index 또는 tag)를 붙일 수 있으며, 이 자료를 자료화(DB화)하면 학습자(80-1)의 학습 결과들에 대해 다양한 분석이 가능해 진다.
둘째,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학습자(80-1)들에게 최적화된 학습 콘텐츠의 제공이 가능해 진다. 예를 들면, 수치 계산 능력이 부족하다고 분석되면 차후에 나오는 것들을 이 계산 능력을 중점적으로 늘려 주는 문제나 학습 자료들을 배치시킬 수 있다.
셋째, 하이퍼링크가 가능하기 때문에 학습 콘텐츠들을 연동시킬 수 있으며, 학습 콘텐츠 및 그것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기타 콘텐츠에 하이퍼링크를 시켜 학습자(80-1)가 원하거나 학습 콘텐츠 제공자(80-2)가 제시하는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각종 부가기능을 추가하는 동시에 소프트웨어적인 장치 등을 활용하여 전자상거래, 게임, 대회 등을 개최하거나, 참가할 수 있다.
넷째, 멀티 미디어 기능을 이용하여 입체적 학습이 가능함과 동시에 각종 학습 및 학습 관련 콘텐츠를 하나의 오브젝트(object)로 파악했을 때, 이들 오브젝트에 대하여 부수적인 오브젝트를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제공해 줄 수 있으며, 이는 종국적으로 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광고와 학습 콘텐츠가 결합하는 방법
예시를 통한 비교
기존 학습 콘텐츠 : 철수는 1,000원을 가지고 과일 가계에 가서 200원짜리 사과 2개와 100원짜리 바나나 3개를 샀습니다. 얼마를 거슬러 받아야 할까요? 정답 100원
본 발명은 학습 콘텐츠 제공 방식 : 강민수 어린이는 10,000원을 가지고 (82-3)맥도널드 햄버그 가게로 가서 3,000원짜리 빅맥 세트 1개(82-4)와 3,000원짜리 맥너겟 세트 2개(82-5)를 샀습니다. 얼마를 거슬러 받아야 할까요? 정답 1,000원
도 3에 본 예시와 관련된 도면이 있다.
도 3에서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82-3)와 상품(82-4, 82-5)등의 이미지가 광고 콘텐츠이며, 이들을 제외한 것들이 교육 콘텐츠이다.
상기의 예시에서 몇가지 차이점을 명확히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행위자 또는 행위의 상대방 등이 전부 또는 일부가 구체적인 명칭으로 주인공처럼 문제에 결합이 되어 있다. 이 행위자는 학습자(80-1) 자신의 실명 또는 학습자(80-1)가 붙이 가상의 주인공 이름일 수 있으며, 학습자(80-1)가 선택한 아바타나 기타 학습자(80-1)가 배당하는 행위자 또는 학습자(80-1)의 분신일 수 있다.
둘째, 아이들이 친근한 패스트 푸드를 소재로 삼았으며, 이 가게는 실제의 가게이기 때문에 상호, 상표, 서비스표, 상품의 구체적인 실제 사진, 가격 등이 붙을 수 있다. 즉, 광고가 가능한 것이다. 물론, 아이들은 가게에 가서 과일을 사지 않는다. 즉, 기존의 학습 콘텐츠는 실제감이 없다.
하드웨어, 장치 및 네트워크의 구성
본 발명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장치 및 네트워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 콘텐츠 제공자(80-2)이다. 학습 콘텐츠 제공자(80-2)는 학습 콘텐츠와 광고 콘텐츠를 결합하는 광고 결합 센터(80-5), 광고 관련된 모든 것을 관리하는 보상 관리 프로그램(80-5), 학습 콘텐츠 DB(80-3), 학습 분석 엔진(80-8), 외부 학습 콘텐츠 제공자(80-2)의 DB(80-7), 전자 상거래 관리 루틴(80-6)이 있으며, 학습자(80-1)가 학습 콘텐츠 제공자(80-2)에게 접근하는 것을 관리하는 학습자(80-1) 인증 보안, 등록 루틴(80-9), DB처리 루틴(80-10), 학습자(80-1)DB 등의 일부 또는 전부로 구성되어 있다.
즉, 광고 결합 센터(80-5)는 학습 콘텐츠 제공자(80-2)의 외부에 있을 수 있으며, 외부에서 학습 콘텐츠에 광고 콘텐츠를 결합하여 학습 콘텐츠 제공자(80-2)를 경유하여 학습자(80-1)에게 제시될 수 있다. 전자 상거래 관리 루틴은 학습 콘텐츠 제공자(80-2)가 직접 전자 상거래를 하거나, 외부 전자상거래 업체와 연동하여 전자 상거래를 할 수 있다. 또한, 외부에서 학습 콘텐츠를 제공 받아서 그대로 또는 가공, 처리하여 학습자(80-1)에게 제공해 주는 경우, 그 외부 학습 콘텐츠 제공자(80-2)에 관련된 총체적인 정보를 관리하는 외부 학술 콘텐츠 제공자DB(80-12)가 있을 수 있다.
둘째, 광고 결합 센터(80-5)는 학습 콘텐츠와 광고 콘텐츠를 결합하여 새로운 학습 콘텐츠를 만드는 곳으로, 이 결합 과정은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광고 결합 센터(80-5)는 광고 콘텐츠의 원활한 결합을 돕기 위해서 학습 콘텐츠 분석 엔진(80-5-1), 상품 등의 명칭 DB(80-5-2)(80-5-2), 광고 콘텐츠 DB(80-5-3), 결합 엔진(80-5-4) 등이 있을 수 있으며, 광고 결합 센터(80-5) 내부 또는 외부에 학습 콘텐츠 제공자(80-2)용 보상 관리 프로그램이 있어서 광고와 관련된 각종 보상을 처리한다.
셋째, 학습자(80-1)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학습 콘텐츠 제공자(80-2)에게 접속하여 학습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학습자(80-1)의 컴퓨터에는 학습 콘텐츠가 있을 수도 있으며, 이 학습 콘텐츠는 네트워크로 연결 될 때, 학습 콘텐츠 제공자(80-2)와 연동하여 학습자(80-1)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는 특히, 대용량이 필요한 동영상 콘텐츠 등이 CD-ROM, DVD 등의 매체로 제공되고, 이 콘텐츠가 학습 콘텐츠 제공자(80-2)와 연동하여 학습자(80-1)의 학습에 이용되는 경우 더욱 효과적이다.
넷째, 학습자(80-1)에게는 보상 관리 프로그램 또는 학습 관리 프로그램이 있을 수 있다. 보상 관리 프로그램이란, 학습자(80-1)가 받는 학습 과정에서 발생한 일체의 보상을 관리하는 프로그램이다. 특히, 광고와 관련한 보상은 보상 관리 프로그램(80-5) 부분이 관리한다.(광의적으로 광고 관리 프로그램과 보상 관리 프로그램은 동의적으로 쓰일 수 있다.) 학습자(80-1)의 컴퓨터가 모니터 등의 표시장치,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 장치, 브라우저등을 가지고 있는 것은 기본이다.
다섯째, 외부 학습 콘텐츠 제공자(80-12)이다. 학습 콘텐츠를 외부에서 제공하여 학습 콘텐츠 제공자(80-2)가 학습자(80-1)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자이다.
여섯째, 외부 전자 상거래 제공자이다. 이 외부 전자 상거래 제공자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방식으로 제공하는 자를 말하며, 오프라인 방식으로 제공하는 자도 상품 또는 서비스의 상거래 관련하여 최소한 1단계 이상 온라인 과정을 거친다.(예를 들면, 온라인 상에서 학습 콘텐츠 제공자(80-2)가 학습자(80-1)에게 오프라인 매장을 갖는 자의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해 할인 쿠폰을 발행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일곱째, 전자 상거래 중개자(80-19)이다. 학습자의 전자 상거래를 중간에서 매개하는 자로서 외부 상품 또는 서비스의 공급자와 학습자를 중개시켜 주는 역할 을 한다.
기존 학습 콘텐츠에 광고 부착
텍스트 기반
기존의 학습 콘텐츠가 텍스트 기반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이를 본 발명의 학습 콘텐츠로 바꾸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텍스트의 분석의 단계이며, 이 단계에서 텍스트를 분석하여 상품 등의 명칭을 추출해 내고, 이 상품명의 공급자를 찾아낸 다음 공급자의 상표나 서비스표, 상징물, 상징 도형, 기타 상품의 공급자가 제공하기를 원하는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그 상품명, 그 상품명이 들어간 문단 또는 그 주위에 배치한다.
가령, 빵이라는 문자가 나왔다면 빵의 공급자 군에서 크라운 베이거리를 찾아 내고, 크라운 베이커리의 상표, 서비스표, 대표 상품, 상징물, 상징 도형, 기타 크라운 베이커리가 제공하기를 원하는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빵이라는 문자가 들어가 있는 문제, 문단 또는 그 주위에 배치한다. 또한, 맨 아래쪽에 크라운 베이거리에 대한 각종 정보 및 주문을 할 수 있는 정보, 또는 하이퍼 링크로 연결되어 있어 클릭 등의 상호 작용을 하면 상세한 정보가 실려 있는 곳으로 이동 시켜 주는 텍스트, 이미지 등의 정보 지시 콘텐츠(information indicating contents)를 배치시킬 수 있다. 물론, 모든 빵이라는 글자에 크라운 베이커리에 대한 정보를 담지는 않을 수 있으며, 어느 수준까지의 정보를 담을 것인가는 학습 콘텐츠 제공자(80-2)의 선택에 달려 있다. 학습 콘텐츠 또는 학습 콘텐츠를 구성하는 오브젝트(object) 주변 또는 특정 또는 임의의 위치에 공급자가 제공하기를 원하는 정보를 학습 콘텐 츠 제공자(80-2)가 지정하는 방식과 수준 또는 학술자(80-1)가 지정하는 방식과 수준으로(이는 특히 학습 콘텐츠에 광고 관련 콘텐츠가 결합되었을 경우에 보상 관리 프로그램(80-5)(AD manager 등)이 개입하여 학습자(80-1)에게 보상을 매개할 경우 특히 의미를 가진다.) 학습 콘텐츠 또는 오브젝트와 결합하여 학습자(80-1)에게 제공된다.
본 과정은 자동으로 진행시킬 수 있으며, 그 진행의 과정은 온라인에서 텍스트 기반 콘텐츠에 상표 등을 부착하는 과정을 준용한다.
기존 학습 콘텐츠에 이미지, 동영상 등이 들어가 있을 경우 및 2 이상의 상품 또는 서비스가 들어가거나, 2 이상의 상품 또는 서비스의 공급 주체가 들어가는 경우의 본 발명의 사상을 적용시키기 위하여 기존 학습 콘텐츠 또는 오브젝트를 변형시키는 구성은 다음과 같다.
이미지 기반
먼저 각 이미지에 대하여 이 이미지가 무슨 물품에 대응하는 것인지의 정보가 지정되어 있거나 사람이 인식할 수 있다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서 그 이미지를 바꿔치기 한다.
첫째, 그 전자적으로 작성된 이미지가 무슨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응하는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인식한다. 이 인식은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이미 기록되어 있다면 전자적으로 DB matching이 가능하고(측, 피자 그림에 대해서 이미 '피자'라는 명칭이 붙어 있는 경우, 이 '피자'라는 정보를 DB를 검색하여 그 DB에 피자라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해 정보가 있는 지를 검색하는 방식으로 그 짝은 찾는 것-matching), 그렇지 않다면 사람이 그 이미지를 보면서 상품 또는 서비스를 특정한다.(예를 들면 '피자 그림'을 보고 '피자'라고 인식한다.)
둘째, 그 인식한 상품 또는 서비스를 DB에 조회한다. DB에 그 물품에 대한 공급자에 대한 정보가 없다면 학습 콘텐츠를 그대로 두고 과정을 종료하나, 있다면 기존의 피자 그림을 공급자의 상품으로서의 구체적인 피자 그림으로 대체한다. 동일한 위치에 동일 또는 추적가능한 변경된 파일 이름으로 바꾸어 학습 콘텐츠 DB(80-3)에 저장한다. 그 다음은 상기의 텍스트를 인식한 이후의 과정과 동일 또는 유사한 과정이 작용된다.(즉, 피자에 대한 각종 공급자가 제공하기를 원하는 정보를 학습 콘텐츠 제공자(80-2)가 지정하는 방식과 수준 또는 학습자(80-1)가 지정하는 방식과 수준으로(이는 특히 학습 콘텐츠에 광고 관련 콘텐츠가 결합되었을 경우에 보상 관리 프로그램(80-5)(AD manager 등)이 개입하여 학습자(80-1)에게 보상을 매개할 경우 특히 의미를 가진다.) 학습 콘텐츠와 결합하여 학습자(80-1)에게 제공된다.
동영상 콘텐츠에의 준용
상기의 이미지 기반에는 동영상 학습 콘텐츠인 경우에도 준용될 수 있다.
첫째, 전자적으로 작성된 동영상(실사와 에니메이션 포함)이 무슨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응하는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인식한다. 이 인식은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이미 기록되어 있다면 전자적으로 DB matching이 가능하고(즉, 음료수를 마시는 동영상에 대해서 이미 '음료수 또는 콜라'라는 명칭이 붙어 있는 경우, 이 '음료수 또는 콜라'라는 정보를 DB를 검색하여 그 DB에 피자라는 상품 또는 서 비스에 대해 정보가 있는 지를 검색하는 방식으로 그 짝은 찾는 것-matching), 그렇지 않다면 사람이 그 동영상을 보면서 상품 또는 서비스를 특정한다.
둘째, 그 인식한 상품 또는 서비스를 DB에 조회한다. DB에 그 물품에 대한 공급자에 대한 정보가 없다면 학습 콘텐츠를 그대로 두고 과정을 종료하나, 있다면 기존의 동영상을 공급자의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동영상으로 바꿀 수 있다. 이 때 학습 콘텐츠가 학습의 목적을 고려하여, 학습 목적의 동일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한다. 만약 동영상의 전에 교체가 학습 목적에 어긋날 경우, 동영상을 구성하는 각종 이미지가 객체로 되어 있다면 그 객체 중의 일부를 상품 또는 서비스 공급자의 광고가 들어가 있는 것으로 교체한다.
셋째, 동영상을 교체할 수 없다면 그, 동영상의 주변 또는 특정 또는 임의의 위치에 공급자가 제공하기를 원하는 정보를 학습 콘텐츠 제공자(80-2)가 지정하는 방식과 수준 또는 학습자(80-1)가 지정하는 방식과 수준으로(이는 특히 학습 콘텐츠에 광고 관련 콘텐츠가 결합되었을 경우에 보상 관리 프로그램(80-5)(AD manager 등)이 개입하여 학습자(80-1)에게 보상을 매개할 경우 특히 의미를 가진다.) 학습 콘텐츠와 결합하여 학습자(80-1)에게 제공된다.
2 이상이 있는 경우
2 이상이 있는 경우는 크게 다음과 같은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첫째, 상품 또는 서비스가 2 이상인 경우 및 각 상품 또는 서비스의 제공자가 동일한 경우에는 항상 전부를 다 제공해 줄 필요는 없다. 즉, 주변 또는 특정 또는 임의의 위치에 공급자가 제공하기를 원하는 정보를 학습 콘텐츠 제공자(80-2) 가 지정하는 개수, 방식과 수준 또는 학습자(80-1)가 지정하는 개수, 방식과 수준으로(이는 특히 학습 콘텐츠에 광고 관련 콘텐츠가 결합되었을 경우에 보상 관리 프로그램(80-5)(AD manager 등)이 개입하여 학습자(80-1)에게 보상을 매개할 경우 특히 의미를 가진다.) 학습 콘텐츠와 결합하여 학습자(80-1)에게 제공된다.
둘째, 상품 또는 서비스의 공급자가 다를 경우에는 항상 전 공급자에 대해서 제공해 줄 필요는 없다. 즉, 순환식, 추첨식, 선택식, 조건 적용식 등의 방법으로 상기의 과정을 준용한다.
셋째, 텍스트, 이미지 또는 동영상 기타 학습 콘텐츠를 구성하는 콘텐츠가 2 이상이 있을 경우는 상기의 텍스트, 이미지 또는 동영상 각각에 대한 방식을 단독 또는 복수개를 적용하여 학습 콘텐츠를 작성한다.
새롭게 만드는 학습 콘텐츠와 필드 개념의 적용
새로 만들어 내는 학습 콘텐츠의 경우에는 상기의 치환, 교체, 변형, 교환 과정이 불필요하다.
관계형(relational) DB 개념의 적용
예로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강민수 어린이는 10,000원을 가지고 (82-3)맥도널드 햄버그 가게로 가서 3,000원짜리 빅맥 세트 1개(82-4)와 3,000원짜리 맥너겟 세트 2개(82-5)를 샀습니다. 얼마를 거슬러 받아야 할까요? 정답 1,000원
상기의 보기에서 맥도널드, 맥도널드의 상표 또는 서비스표, 햄버그, 빅맥(3000원) 맥너겟(3,000원) 그림은 함께 연관(related)되어 있다. 이 경우 각각 의 자리에 롯데리아, 롯데리아 상표 또는 서비스표, 햄버거, 새우버거(2,000원), 불고기 버그 세트(3,000)으로 대체해 버린다면 문제의 본질적인 구성 및 학습 목표는 거의 차이가 없다. 관계형 DB의 개념을 적용시킨다면 공급자가 맥도널드에서 롯데리아로 바뀐다면 상표 또는 서비스 등 관련되어 있는 것들도 함께 롯데리아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바뀐다.
필드(field) 개념의 적용
강민수 어린이는 10,000원을 가지고 (맥도널드의 M 마크)맥도널드 햄버그가게로 가서 3,000원짜리 빅맥 1개(빅맥 그림)와 3,000원짜리 맥너겟 세트 2개(맥너겟 그림)를 샀습니다. 얼마를 거슬러 받아야 할까요? 정답 1,000원
상기의 문제에서 필드 개념을 전부 또는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은 강민수 어린이(a), 10,000원(b), 맥도널드(c), M 마크(c'), 맥도널드 햄버그가게(c"), 3,000원짜리 빅맥(d), 1개(e), 빅맥 그림(d'), 3000원짜리 맥너겟 세트(h), 2개(i), 맥너겟 그림(h'), 1,000원(k) 등이 있을 수 있다.
각각의 필드 개념에서 만약 학습자(80-1)가 바뀐다면 또는 하나의 서버에서 여러명의 학습자(80-1)들에게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 각 학습자(80-1)들마다 각기 다른 학습자(80-1) 명칭이 들어갈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학습 콘텐츠 또는 오브젝트, 학습 단위에서 광고주가 바뀌거나, 광고 제공 방식 및 제공 조건 등이 바뀐다면(맥도널드에서 롯데리아로) 이들 공통 속성을 가지는 필드에서 관계형 정보를 추출해 내어 합성하여 학습 콘텐츠를 구성한다.
또한, k 필드는 k = b - (d*e +h*i)의 관계가 성립하므로, 맥도널드에서는 k 필드의 값이 1000원이 되고, 롯데리아에서는 2000원이 된다.
즉, 본 발명의 사상을 적용하여 학습 콘텐츠를 제작할 때, 광고 개념만을 삽입하고 필드나 관계형 DB 개념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일부 또는 전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것은 기존 학습 콘텐츠를 본 발명의 사상을 적용된 학습 콘텐츠화 시킬 때는 준용된다. 즉, 교환 과정과 필드화 및 관계형 DB화 과정을 함께 밟을 수 있다.
텍스트 기반 학습 콘텐츠의 작성
텍스트 기반으로 한 콘텐츠를 작성할 때 다음의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취한다.
첫째, 구체적인 상품 또는 서비스 명칭 및 상품, 서비스의 공급자의 명칭을 단수 또는 복수개를 결합하여 학습 콘텐츠를 작성한다. 특히, 현재, 미래 또는 과거의 광고주가 제공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포함시키며, 상품 또는 서비스는 학습 콘텐츠가 대상으로 삼는 자가 주로 소비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대상으로 한다. 즉, 어린이 대상이라면 피자, 햄버거 등의 패스트 푸드, 콜라 등의 식생활 부분, 어린이 옷 등의 의생활 부분, 어린이 대공원, 게임 등의 엔트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공간 및 상품 등을 구체적인 상품 또는 서비스 제공자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포함시켜 학습 콘텐츠를 제작한다.
둘째, 각각의 텍스트 중 필드를 구성할 수 있는 것들을 선별해 내어 필드 속성을 부여할 수 있다. 각각의 필드중 관련성이 있는 것들을 관련 시키는 방식으로 자료의 관계형 DB화 및 광고주 등 기타 광고에 관한 조건들이 바뀌었을 경우 효과 적으로 대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미지 기반 학습 콘텐츠 작성
이미지 기반으로 한 콘텐츠를 작성할 때 다음의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취한다.
첫째, 구체적인 상품 또는 서비스 제공 장면에 대한 그림 및 상품, 서비스의 공급자의 명칭을 단수 또는 복수개를 결합하여 학습 콘텐츠를 작성한다. 특히, 현재, 미래 또는 과거의 광고주가 제공하는 상품 그림 또는 서비스 제공 장면을 포함시키며, 그 이미지의 대상이 되는 상품 또는 서비스는 학습 콘텐츠가 대상으로 삼는 자가 주로 소비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대상으로 한다. 즉, 어린이 대상이라면 피자, 햄버거 등의 패스트 푸드, 콜라 등의 식생활 부분 관련 이미지, 어린이 옷 등의 의생활 부분 부분 이미지, 어린이 대공원, 게임 등의 엔트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공간 및 상품 등의 이미지를 구체적인 상품 또는 서비스 제공자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포함시켜 학습 콘텐츠를 제작한다.
동영상 기반 학습 콘텐츠 작성
동영상 기반으로 한 콘텐츠를 작성할 때 다음의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취한다.
첫째, 동영상의 이미지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의 이미지 기반 학습 콘텐츠 작성을 준용한다. 즉, 동영상이 실사로 구성되어 있다면 그 배경과 소품의 전부 또는 일부를, 동영상이 에니메인션 등처럼 연속된 이미지로 구성된 경우라면 그 하나하나의 이미지의 구성은 상기의 이미지 기반 학습 콘텐츠 작성 과정을 준용하여 구체 적인 상품 또는 서비스 제공 장면에 대한 그림 및 상품, 서비스의 공급자의 명칭을 단수 또는 복수개를 결합하여 학습 콘텐츠를 작성한다. 특히, 현재, 미래 또는 과거의 광고주가 제공하는 상품 그림 또는 서비스 제공 장면를 포함시키며, 그 이미지의 대상이 되는 상품 또는 서비스는 학습 콘텐츠가 대상으로 삼는 자가 주로 소비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대상으로 한다. 즉, 어린이 대상이라면 피자, 햄버거 등의 패스트 푸드, 콜라 등의 식생활 부분 관련 이미지, 어린이 옷 등의 의생활 부분 부분 이미지, 어린이 대공원, 게임 등의 엔트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공간 및 상품 등의 이미지를 구체적인 상품 또는 서비스 제공자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포함시켜 학습 콘텐츠를 제작한다. 각각의 텍스트 중 필드를 구성할 수 있는 것들을 선별해 내어 필드 속성을 부여할 수 있다. 각각의 필드중 관련성이 있는 것들을 관련 시키는 방식으로 자료의 관계형 DB화 및 광고주 등 기타 광고에 관한 조건들이 바뀌었을 경우 효과적으로 대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특히 플래시(flash) 에이메이션 처럼 영상을 구성하는 화면의 컷의 갯수가 작은 경우 또는 일정 개수의 이미지가 반복적, 임의적(in random order)으로 등장하는 경우에 적용하면 특히 효율적이다. 영상은 상황이 설정되는 경우가 많은데, 그 상황을 상품의 소비 또는 서비스의 이용과 관계된 것을 설정할 수 있다.
둘째, 소리 기반인 경우는 소리(sound, 음성 포함)의 시계열성(sequence property - 모든 소리는 시간의 경과를 요한다)에 기반하기 때문에, 학습 콘텐츠를 구성하는 소리의 경우 텍스트로 된 콘텐츠를 읽어 주는 방식에 준용된 구성 및 특정 상품의 소리 광고 또는 광고 중 소리 부분을 그 광고 되는 상품과 관련하여 제 공해 줄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체적인 상품 또는 서비스 명칭 및 상품, 서비스의 공급자의 명칭을 단수 또는 복수개를 결합된 것을 소리화한 것(가장 간단한 예로는 [piza h∧t piza]라고 발음해 주는 것이다.)을 포함하여 학습 콘텐츠 중 소리 부분을 구성하는 것이다.(즉, 영어 회화라면 [pepsi pli:z]라고 하는 것이다.) 특히, 현재, 미래 또는 과거의 광고주가 제공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포함시키며, 상품 또는 서비스는 학습 콘텐츠가 대상으로 삼는 자가 주로 소비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 및 그들의 구체적인 출처를 대상으로 한다. 즉, 어린이 대상이라면 피자, 햄버거 등의 패스트 푸드, 콜라 등의 식생활 부분, 어린이 옷 등의 의생활 부분, 어린이 대공원, 게임 등의 엔트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공간 및 상품 등을 구체적인 상품 또는 서비스 제공자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포함시켜 학습 콘텐츠를 제작한다.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의 콘텐츠 구성 요소의 2 이상의 결합으로 구성된 학습 콘텐츠 제작 방법
상기의 각각에 대한 작성 방법을 콘텐츠나 오브젝트 단위에서 준용한다. 상품 또는 서비스가 복수 개이거나, 상품 또는 서비스의 공급 주체가 복수인 경우도 각각에 대해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의 방식을 준용할 수 있다. 상기의 방법과 병렬적으로 다음의 과정들을 제시한다.
학습 콘텐츠로부터 상품 등의 명칭을 찾는 과정
도입
학습 콘텐츠 제작자가 텍스트 콘텐츠를 분석하여 이 텍스트 콘텐츠 중에서 상품(예 : PC) 또는 서비스(예 : 음식점)의 명칭, 상표(맥도날드) 또는 서비스표(델리)의 명칭 등의 상품 등의 명칭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텍스트를 찾아 내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학습 콘텐츠의 텍스트 콘텐츠와 상품 등의 명칭 DB(80-5-2)의 매칭(matching) 또는 필터링
텍스트 콘텐츠는 문자, 숫자, 기호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콘텐츠를 말한다. 이들 문자, 숫자, 기호 등(이하 '문자 등'으로 약칭한다)은 각 코드체계(코드체계는 복수 개일 수 있다.)는 각 문자 등과 1:1로 대응되는 코드 번호(이진번호든, 십진수든, 즉 진법에 관계치 않으며 숫자로 되어 있다)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특정한 문자에는 특정한 번호가 1:1로 완전 대응된다. 문자 등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콘텐츠 역시 대응코드의 결합으로서 1:1 대응 관계를 가지게 된다. 대응 관계를 이용하면 결합된 코드를 역으로 분석하여 이들에 대응하는 문자 등의 조합을 찾을 수 있다. 그러므로, 텍스트 콘텐츠를 구성하는 코드와 상품 등의 명칭을 담고 있는 DB의 상품 등의 명칭에 대응하는 코드를 매칭(matching) 또는 필터링(filtering)시키면(물론, 코드 체계의 일치는 물론이다.) 전체 텍스트 콘텐츠의 코드 중에서 상품 등의 명칭에 해당하는 코드 군 또는 이 코드 군에 해당하는 텍스트 콘텐츠를 인식할 수 있다.
일단 인식된 이후에는 그에 대해 표시(marking, taging or indexing)를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동일성이 인정되는 상품 등의 명칭부분에 해당하는 코드를 그에 해당하는 코드 부분의 위치와 함께 또는 별도로 저장할 수도 있으며, 복사 또는 분리도 시킬 수 있다. 이 인식, 표시, 분리는 100% 완벽하지 않을 수 있지만 각 언어에 따른 특징을 반영하는 단수 또는 복수개의 매칭 또는 필터링 과정을 거치면(인공 지능을 이용한 분석과정을 거치면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정확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이 과정을 위해서는 상품등의 명칭 DB(80-5-2)(80-5-2)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단계적 과정
상기의 과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텍스트 콘텐츠를 읽는다.(87-1)
둘째, 상품 등의 명칭 DB(80-5-2)(80-5-2)와 매칭 또는 필터링을 한다.(87-2)
셋째, 동일성이 인식되는 명칭를 찾아낸다.(87-3)
넷째, 그 코드에 대해 표시(mark)하거나, 위치와 함께 또는 별도로 저장하거나, 복사 또는 분리시킨다.(87-4)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결합하는 과정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 발견
동일하거나 유사한 텍스트를 찾은 경우 그 텍스트에 해당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공급자들을 찾아 내고, 그들의 상표 또는 서비스표 등 공급자들의 광고물을 찾아 내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제
상품 또는 서비스는 통상 단수 또는 복수 개의 공급자들이 있고, 이들은 자 신의 상품 또는 서비스에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붙여서 판매하는 것이 보통이다. 즉, 상품 등의 명칭(햄버거)이 있을 때 그 명칭에 해당하는 상품등을 공급하는 공급자((주)롯데리아, (주) 맥도널드 코리아 등, 본 공급자의 명칭은 단순한 예시일 뿐 이들이 이 공급자 명칭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들이 있고, 그 공급자들은 자신들의 상품 등에 상표 등(맥도널드, 롯데리아, KFC 등)을 부착하여 판매하는 것이 보통이다.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 발견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품 등의 명칭에 상응하는 공급자의 발견하고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 검색하는 과정에 구성은 다음의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상품 등의 명칭이 정해진(88-1) 다음에는 이것들을 공급자 DB 또는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 DB(80-5-3)를 검색하여(88-2) 단수 또는 복수개의 공급자들을 찾아 낸다.(88-3) 공급자가 상품 등의 명칭에 해당하는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가지고 있는 경우 이를 찾아 내어 확정한다(88-4). 이때, 특정한(가령 일정한 광고비 등의 비용을 지불하는 등) 조건이 만족되는 공급자들의 정보만을 찾을 수도 있다.(88-5) 조건이 부합되는 공급자만의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확정한다.(88-6) 그리고, 찾아낸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저장한다.(88-7)
상품 등의 명칭에 상응하는 공급자의 발견 및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 검색 단계는
첫째, 상품 등의 명칭의 확정(88-1)하는 단계
둘째, 그 상품 등의 명칭을 공급자DB 또는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 DB(80-5- 3)에서 검색(88-2)하는 단계
셋째, 단수 또는 복수개의 공급자의 확정(88-3)하는 단계
넷째, 각 공급자마다 단수 또는 복수개의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 확정(88-4)하는 단계
다섯째, 각 공급자마다 조건 등의 성취 여부 확인(88-5)하는 단계
여섯째, 조건이 부합되는 공급자만의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 확정(88-6)하는 단계
일곱째, 확정된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저장(88-7)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학습 콘텐츠와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의 결합 또는 DB 연동의 시기 및 저장 장소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의 결합의 주체
첫째, 학습 콘텐츠 공급자
학습 콘텐츠를 제작할 때,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학습 콘텐츠와 결합한다.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가 삽입된 학습 콘텐츠를 저장해 놓고, 이를 학습자(80-1)들의 정보 요구에 맞추어서 표시해 줄 수 있다. 이때 특정한 조건이 부과되는 경우 이 조건이 만족되는 것만 필터링(filtering)해서 학습자(80-1)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의 결합 과정은 학습 콘텐츠 공급자가 자신이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 DB(80-5-2)와 상품 등의 명칭 DB(80-5-2)(80-5-2) 및 분석 및 결합 과정에 쓰이는 각종의 프로그램 등을 전부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학습 콘텐츠의 학습 콘텐츠 공급 자가 직접 할 수 있다. 이때 DB 는 외부 DB를 참조할 수 있다. 물론, 학습 콘텐츠를 외부에 보내고 외부의 제 3자가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학습 콘텐츠와 결합하여 학습 콘텐츠의 학습 콘텐츠 공급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둘째, 학습 콘텐츠의 저장자
콘텐츠 학습 콘텐츠 공급자에게서 콘텐츠를 제공받아, 일반 대중에게 서비스하기 위하여 DB, 파일의 형태로 저장하는 자가 콘텐츠의 저장자이다. 저장된 파일 또는 콘텐츠 DB를 보유하는 자가 상기의 콘텐츠 학습 콘텐츠 공급자처럼 콘텐츠에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결합할 수 있다.
셋째, 콘텐츠의 중개자
콘텐츠를 다양한 형태로 일반 학습자(80-1)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중개하거나, 콘텐츠의 학습 콘텐츠 공급자, 저장자, 처리자, 표시자의 사이에서 전달되는 과정을 중개하는 자가 상기의 콘텐츠 학습 콘텐츠 공급자처럼 콘텐츠에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결합할 수 있다.
넷째, 콘텐츠의 이용자
보여지는 콘텐츠의 내용을 분석하여 연관되는 광고를 표시(시각화, 청각화)하는 프로그램(광고 관리 프로그램 등)을 사용하여 자신이 보고 싶어하는 광고를 웹사이트 콘텐츠에 연동하여 삽입하고자 할 때 프로그램은 상기의 콘텐츠 학습 콘텐츠 공급자처럼 콘텐츠에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결합할 수 있다.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의 교체
여러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프로그램에 의한 자동 교체, 순환 교체, 임의(random) 교체, 광고주와 광고를 하는 사이트간의 계약주기에 의한 교체, 광고를 보는 자의 선택에 의한 교체 등이 있을 수 있다.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의 결합의 시기
첫째, DB, 파일 등의 저장된 상태에서
웹사이트가 DB형태 혹은 단순히 각종의 파일 형태로 저장된 웹사이트 콘텐츠에 대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여, 상품 등의 명칭 등을 추출하고, 이에 해당하는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와의 대응관계에 대한 연산을 수행하고, 처리된 연산결과에 일치하는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추출한다. DB의 단위는 단어, 항목, 구, 절, 페이지, 한 화면단위, 문서단위, 파일단위, 연관되는 문서의 묶음 단위, DB의 분류단위, 사이트 전체의 DB 등으로 조절한다. 각 DB단위에 해당되는 콘텐츠에 매칭되는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의 단위는 각 단위별 1개, 같은 성격의 분류, 카테고리, 제품 단위의 광고묶음, 여러 성격의 분류, 카테고리, 제품 단위의 광고 묶음 등이다.
둘째, 화면에 표시될 때
웹사이트가 자신의 콘텐츠를 학습자(80-1)의 모니터에 표시되기 위하여 전송할 때, 콘텐츠의 내용을 분석하여 상품 등의 명칭 등을 추출하고, 이에 해당하는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와의 대응관계에 대한 연산을 수행하고, 처리된 연산결과에 일치하는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추출한다. DB의 단위는 단어, 항목, 구, 절, 페이지, 한 화면단위, 문서단위, 파일단위, 연관되는 문서의 묶음 단위, DB의 분류단위, 사이트 전체의 DB 등으로 조절한다. 각 DB단위에 해당되는 콘텐츠에 매칭되는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 대상의 단위는 각 단위별 1개, 같은 성격의 분류, 카테고리, 제품 단위의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 묶음, 여러 성격의 분류, 카테고리, 제품 단위의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의 묶음 등이다.
셋째, 웹 학습자(80-1)가 입력할 때
웹사이트의 이용자가 웹사이트에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송수신할 때(검색창에서 특정한 단어나, 구, 절, 문장을 입력할 때, 게시판에 게시물을 올릴 때, 채팅창에서 다른 웹 학습자(80-1)와 대화를 주고 받을 때) 웹사이트의 이용자가 송신하는 내용(단어, 구, 절, 문장, 단락, 글)을 학습 콘텐츠처럼 분석하고, 그 송수신, 입력하는 학습 콘텐츠에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결합하여 표시한다.
결합된 형태의 모습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가 학습 콘텐츠와 결합 또는 DB 연동되는 것은 다음의 3가지 형태가 있다.
첫째, 학습 콘텐츠와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와 결합되어 하나의 콘텐츠로 저장되어 있는 형태이다. 이 그러므로 외부에서 본 학습 콘텐츠를 불러낼 때,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가 결합된 콘텐츠가 불려 나와서 학습자(80-1)들에게 제공된다.
둘째, 학습 콘텐츠의 상품 등의 명칭 해당 부분에 학습자(80-1)들에게는 보이지 않는 프로그램 내부 상의 표시를 하고, 상품 등의 명칭에 대응하여 학습 콘텐츠 제공자(80-2)(80-2)(30-6a 포는 30-6b)가 학습자(80-1)들에게 표시해 주기를 원하는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는 학습 콘텐츠의 외부에 저장해 놓고 학습 콘텐츠가 학습자(80-1)들에게 제공될 때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와 학습 콘텐츠를 표시를 매개로 하여 결합한 다음 학습자(80-1)들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
셋째, 첫째와 둘째의 방법에서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관리하는 주체가 학습 콘텐츠의 관리 주체와 다른 경우 양 주체의 DB가 연동하여 학습자(80-1)들의 콘텐츠 요구가 있을 경우 상품 등의 명칭과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DB 연동방식으로 결합하여 학습자(80-1)들에게 제시해 주는 방법이 있다.
스몰 아이콘(small icon)와 하이퍼링크에 대한 설명 표시
도 11과 관련지어서 스몰아이콘의 작용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개념의 도입 배경
네트워크 상에서 하이퍼링크가 결합되어 있는 수많은 콘텐츠(예를 든다면 배너)들이 있는데, 이 콘텐츠들의 공통된 특징 중의 하나가 그 콘텐츠에 클릭 등의 상호 작용을 하였을 때 이동을 한다는 것 정도만 파악될 뿐이지 어느 성격을 가지는 사이트(가령, 상거래 사이트, 포럼, 커뮤너티, 뉴스 등)로 접속되는 지를 알 수 없다. 통상의 브라우저는 하이퍼링크가 결합되어 있는 콘텐츠 위에 마우스 등을 위치시키면 화면의 아래쪽에 그 하이퍼링크된 주소가 나오지만, 그 주소만으로는 그 하이퍼링크된 사이트의 성격을 알 수는 없는 것이 통상이다. 그러므로, 하이퍼링크가 결합된 콘텐츠에 그 콘텐츠에 상호작용을 하는 경우 어느 성격의 사이트로 연결된다는 것을 알려주는 기호의 표시가 있다면 학습자(80-1)들은 어느 성격을 가지는 사이트로 연결될 것인지에 대해서 알고 있기 때문에 사전에 클릭 등을 할 것인지 그렇지 않을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스몰 아이콘의 개념
스몰 아이콘이란 이미지 아이콘(텍스트 아이콘일 수도 있다.)으로 그 아이콘 의 시각적 이미지는 기호, 문자, 도형의 단독 또는 이들의 결합 및 이들 각각에 색채가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들에는 각 문자가 그 스몰 아이콘이 표시하는 성격에 대한 일반 명칭의 첫문자로 구성된 것을 포함한다.(가령 예를 들면 원문자 S 는 검색(search) 사이트를 나타내는 것 등이다.) 이들 아이콘은 독립적인 객체로서 존재할 수도 있으며, 종속적 존재로서 다른 콘텐츠와 긴밀히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독립적 객체(90-3)란 개념은 스몰 아이콘이 독자적인 콘텐츠란 말이며, 독자적으로 존재하고 행동하며, 학습자(80-1)의 상호작용에 독립적인 반응을 한다는 것이다.(90-5a, 90-5b) 즉, 이들 아이콘에 하이퍼링크가 결합되어 있는 경우 이 스몰 아이콘만을 클릭해도 다른 웹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는 것과 같은 개념이다.
종속적 존재(90-2)란 말은, 스몰 아이콘이 다른 콘텐츠를 구성하는 각종 요소의 부분 또는 이미지의 한 부분으로 존재하며 독자적으로 존재하지 못하며, 행동하지도, 반응하지도 못한다는 것이다.(90-5c)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너 그림 속에 "@"가 있고, 이 @표시는 전자우편을 보내거나 이용할 수 있는 성격을 가진 곳으로 간다는 것을 표시해 주는 속성을 가진다고 하자. 이때, 이 @ 표시가 독립된 객체 또는 오브젝트로 떨어져 있으며, 이 @ 에만 클릭해도 전자 우편을 보내거나 이용할 수 있는 성격을 가진 곳으로 간다면 이는 독립된 객체로서의 스몰 아이콘이다. 하지만, 배너 그림 속에 단순히 @그림이 포함되어 있으며, @ 부분을 클릭해도(@가 배너에 포함되어 있고, @이 포함되어 있는 배너 부분 또는 배 너 전체적으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특정한 사이트로 연결시킨다면), 배너의 안쪽이지만 @ 부분의 주위를 클릭해도 동일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특정한 사이트로 연결시킨다면 이는 종속적 존재로서의 스몰 아이콘이다.(90-5c)
스몰 아이콘의 작용
스몰 아이콘은 개별 사이트마다 독립적인 약속 체제를 가질 수 있으며, 일부 또는 전부의 스몰 아이콘들은 공통된 약속 체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스몰 아이콘 속의 문자 "EC"는 전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사이트가, "@"는 전자 우편 사이트가, "X"는 성인(exposed) 사이트가, "M"은 음악(Music)사이트가, "C"는 커뮤너티(Community) 사이트가, "F"는 포럼(Forum) 사이트가, "N"은 뉴스(News) 사이트가, "S"는 검색(Search) 사이트가, "A"는 예술(Art) 사이트가 연결되어 있음을 표시해 줄 수 있다. 본 설명에서 사이트는 위치 또는 곳의 의미로 사용되는데, 왜냐하면 웹 상이 아닌 CD-ROM에 담겨 있는 콘텐츠에 대해서도 스몰 아이콘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데 이때, 콘텐츠 상의 다른 위치는 엄격한 의미로 사이트가 아니기 때문이다.(이것은 본 문단 이외에 본 발명의 명세서 전부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인용부호는 강조, 또는 분리의 의미로 실제로 인용부호와 함께 사용된다는 의미는 아니다.
스몰 아이콘의 위치
독립 스몰 아이콘은 관련 콘텐츠(related contents 배너의 위 또는 주변에 스몰 아이콘이 있다면 이 스몰 아이콘은 그 배너와 관련이 있다.)의 위 또는 주변에 위치할 수 있으며, 그 관련 콘텐츠의 하이퍼링크와 동일한 하이퍼링크를 포함하 고 있다. 그로므로, 각각 다른 곳을 연결하는 경우 각각 하나의 콘텐츠에 여러 개의 독립 스몰 아이콘이 붙을 수 있다.(91-2a, 91-2b에서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스몰 아이콘으로 대체하는 경우) 종속 스몰 아이콘은 콘텐츠의 한 부분으로서 자기에 속한 하이퍼링크를 가지고 있지 못하며, 다만 하이퍼링크로 연결된 사이트에 대한 성격 또는 속성 정보 제공 기능만을 가질 뿐이다. 또한 스물 아이콘들을 화면상의 특별한 위치에 있을 수 있다.(91-3)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에의 적용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에는 상표(모델명을 포함한다), 서비스표, 단체표장, 업무 표장 등 상표법에서 정의되는 모든 식별 표지 및 상호 등 상법에서 정의되는 식별 표지, 부정경쟁방지법에서 정의되는 식별 표지, 기타 자타 상품식별의 목적으로 쓰이는 일체의 표지 및 웹사이트 주소(하부 사이트 주소를 포함한다), 아이콘, 이미지, 심볼(symbol), 소리 상표, 슬로건, 제스처, 광고 중의 특정한 장면, 특정한 소리, CM 송, CF 등의 일체의 식별목적을 가지고 쓰이거나 식별의 기능을 가지면서 사용되는 콘텐츠 및 이들 각각을 결합한 것이 있을 수 있다. 이들 각각에 하이퍼링크가 연결되어 있다면 그 하이퍼링크에 의해서 연결되는 사이트에 대한 속성 또는 성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게 된다. 즉, "Palm" 이라는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에는 이 표장 콘텐츠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Palm 이라는 회사, Palm사의 햄버거를 파는 곳, Palm사의 물건들에 대한 커뮤너티 사이트, Palm사에 대한 각종 단체 또는 분석이 있는 곳등 실로 다양한 곳을 연결하는 하이퍼링크가 붙어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이 때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에 스몰 아이콘이 있을 때 학습자(80-1)의 판단이 많이 도움이 됨은 자명하다.
상품 등의 명칭에도 스몰 아이콘이 부착될 수 있다. 즉, 햄버거 라는 상품등의 명칭이 있다면 이 명칭의 주변에 스몰 아이콘을 부착하면 그 스몰 아이콘이 포함하고 있는 하이퍼링크된 사이트에 대한 속성을 알 수 있어 학습자(80-1)에게 도움이 된다.
하이퍼링크에 대한 표시
통상의 브라우저는 하이퍼링크가 결합되어 있는 콘텐츠 위에 마우스 등을 위치시키면 화면의 아래쪽에 그 하이퍼링크된 주소가 나오지만, 그 주소만으로는 그 하이퍼링크된 사이트의 성격을 알 수는 없는 것이 통상이다. 그러므로 다음의 구성을 생각할 수 있다.
첫째, 하이퍼링크된 주소를 브라우저가 읽어 올 때, 그 하이퍼링크에 결합되어 있는 다른 정보(사이트의 성격, 속성 등)도 함께 읽어 온다. 이 함께 읽어 온 하이퍼링크로 연결되어 있는 다른 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화면 하단에 사이트 주소를 표시할 때 주소 옆에 표시해 주거나, 학습자(80-1)가 하이퍼링크로 표시된 콘텐츠에 포인팅 디바이스를 위치시킨 경우 풍성 등의 도움말 표시에 이 정보를 표시시켜 준다.
작용 표시 스몰 아이콘
특정한 스몰 아이콘은 특정한 작용을 표시할 수도 있다.(90-5d) 즉, 이 스몰 아이콘에 작용을 가하면 그 스몰 아이콘은 그 작용을 가동시키는 프로그램을 작동시키거나, 그 작용을 할 수 있도록 다른 콘텐츠를 표시해준다.
콘텐츠와 광고가 연동되는 웹사이트의 종류 및 광고 효과
첫째, 검색엔진을 가지고 학습자(80-1)가 자신이 필요로 하는 것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 이를 분석하여 다양한 분류, 표기 방법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에서 콘텐츠와 관련있는 광고는 그 효과를 발휘한다. 학습자(80-1)는 CGI(Common Gsteway Interface) 등의 방법으로 마련된 입력창에서 자신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키워드나 문장의 표현 방식으로 입력한다. 학습자(80-1)가 입력한 검색어는 학습자(80-1)가 원하는 내용을 정확히 상징하며 이를 분석하여 광고를 게재한다.
둘째, 포탈 사이트는 각종의 정보를 백화점식으로 제공하며 다양한 카테고리를 가지고 학습자(80-1)가 원하는 환경과 정보를 제공한다. 각종의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섹션별로 그 섹션의 콘텐츠에 맞는 광고를 게재함으로써, 광고의 효과를 높인다.
셋째, 각종 콘텐츠별로 특화된 사이트가 있다. 교육, 시사, 상거래, 문화 등의 다양한 카테고리의 정보를 제공하는 CP(Contents Provider) Site들에서 학습자(80-1)의 원하는 것은 좀 더 쉽게 분석되고 유형화될 수 있다.
넷째, 위의 유형에 속하지 않는 사이트들이 있다.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의 표시
광고 콘텐츠를 찾아낸 경우 그 광고 콘텐츠를 학습 콘텐츠의 주변 또는 제 3의 위치에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표시(소리의 경우 스피커로 출력하는 것 포함, 이 때는 소리이므로 위치가 없을 수 있다. 이하 같으며 이상도 같다)는 크게 첫째, 상품 등의 명칭과 관련하여 학습자(80-1)들에게 드러나는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가 나타나는 여러 방법과 둘째,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가 표시되기 위한 과정에 대한 방법과 셋째, 학습자(80-1)의 상호작용 또는 조건의 입력이 있을 때의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의 표시 방법에 대한 것이다.
표시되는 위치
도 12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 콘텐츠 중의 상품 등의 명칭 콘텐츠가 있을 때 이와 매칭되는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상품 등의 명칭 콘텐츠의 바로 위, 바로 옆, 바로 아래 등의 최근접 위치와 상품 등의 명칭 콘텐츠를 덮어 쓰는 위치, 일정한 간격이 떨어져 있는 상하좌우 또는 주변 위치 또는 특정한 위치(모서리 등), 그 상품 등의 명칭 콘텐츠와 연동하는 별도의 장소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 위치 방법에 대한 공통된 특징은 하나의 상품 등의 명칭 콘텐츠에 대해서 1개 또는 그 이상의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가 대응되는 것이라는데 있다.(91-1a) 즉 상품 등의 명칭과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가 표시되는 위치 사이에 1:1 또는 1: 다수의 관계가 성립한다는 것이다.
둘째, 상품 등의 명칭과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가 표시되는 위치 사이에 다수: 1 또는 다수: 다수의 관계가 성립한다는 것이다.(91-1a, 91-1b 각각에 결합된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이 둘 다 주소 A"(91-2b)에 대응) 즉, 다수의 상품 등의 명칭에 관련되는 다수의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가 학습자(80-1)의 표시 장치 위에서 하나의 장소 또는 복수 개의 장소에서 표시된다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즉, 학습자(80-1)의 표시 장치 위에서 나타나는 학습 콘텐츠 상에 복수 개의 상품 등의 명칭이 있을 때, 이들 각각 또는 일부에 대응되는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하나의 박스에 모아서 표시해 주거나, 화면의 모서리 등의 개별적인 고정된 위치에 표시해 줄 수 있다. 이 때는 상품 등의 명칭과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과의 1:1 대응관계가 분명하지 않으므로 1) 상품 등의 명칭에 해당하는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만 모아서 표시해 주는 방법, 2) 별개의 위치에서 첫째의 방법을 사용하는 방법(예를 들면 박스 안에서 첫번째 방법을 구현하는 것이다. 이 박스는 학습자(80-1)의 스크롤에 독립적으로 위치하기도 하고, 스크롤에 따라서 움직이기도 한다.)이 있다.
셋째, 학습 콘텐츠가 문단 단위 또는 하나의 대상에 대한 총체적 학습 단위(94-1)일 때,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는 그 문단 단위 또는 총체적 학습단위에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다.
총체적 학습 단위를 설명한다.
"강민수 어린이는 10,000원을 가지고 (81-3)맥도널드 햄버그 가게로 가서 3,000원짜리 (81-4)빅맥 1개와 3,000원짜리 맥너겟 세트 (81-5)2개 를 샀습니다. 얼마를 거슬러 받아야 할까요? 정답 1,000원"
상기의 따옴표로 인용된 콘텐츠 전체가 하나의 한 학습 단위를 이루는 총체적인 정보 단위이다.
이때는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가 상품 등의 명칭에 결합되어 표시되는 경우 다음의 과정을 밟는다.(즉, 이때는 상품 등의 명칭에 대응하는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가 문단 또는 총체적 설명 단위에 대응하여 표시된다는 것이다.) 첫째, 문단 또는 총체적 정보 단위를 인식한다.(94-1) 둘째, 이 문단 또는 총체적인 학습 단위의 왼쪽 또는 오른쪽(도 15의 예시 2) 또는 맨 앞부분, 맨 끝부분에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결합한다.(94-2)(이 때,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가 들어갈 자리를 위하여, 문단 또는 총체적인 정보단위는 표장이 존재하는 반대 방향으로 밀리기도 한다. 맨 끝부분에 결합하는 경우는(도 15의 예시 1) 다른 문단 또는 총체적 정보단위가 아래로 밀린다. 이때, 복수개의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가 하나의 문단 또는 총체적 정보 단위에 결합할 수 있다. 이는 도 15에 잘 나타나 있다.
광고에 해당되는 콘텐츠가 있음을 학습자(80-1)가 적극적으로 파악하지 않는 한 알 수 없도록, 별도의 위치(모서리 등)나 표시에 시간 차이를 두고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표시해 줄 수도 있다.
표시되는 기본적인 방법
하나의 상품 등의 명칭에 하나의 공급자의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가 결합하는 경우
공급자의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가 하나인 경우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가 하나인 경우 이를 주기 또는 임의의 시간 간격으로 표시하거나(on) 표시하지 않거나(off)를 반복하거나, 특수한 디지털효과(effect)를 주거나, 속성을 바꾸거나(투명 속성, 반투명 속성, 색깔 등)하여 표시해 줄 수 있다. 이때, 상품 등의 명칭에 대해서 직접적인 변형이 들어가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학습 콘텐츠 중에서 상품 등의 명칭(예:햄버거)이 있는 경우, 그 부분에 햄버거와 관련되어 있는 주소로의 하이퍼링크를 결합하는 것이다.
공급자의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가 복수개인 경우
연속하거나 임의의 순서대로, 일정한 빈도로 또는 임의의 빈도로로, 시각에 호소하는 것과 청각에 호소하는 것을 독립적으로 또는 연동시키면서 학습자(80-1)에게 표시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표장의 하나하나에 대하여 상기의 표장이 하나인 경우를 적용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표장이으므로 그 복수개의 표장의 배열 순서를 바꾼다는지, 교환하여 표시한다는지를 할 수도 있다.
하나의 상품 등의 명칭에 복수개의 공급자들의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가 결합하는 경우
상품 등의 명칭에 대한 공급자가 복수인 경우, 각 공급자별로 상기의 공급자가 하나인 경우(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가 하나인 경우, 복수 개인 경우 포한)를 적용할 수 있다.(예, 피자에서 도미노 피자와 피자헛 등이 있을 경우에 적용한다.)
학습자(80-1)의 상호 작용이 있는 경우의 응용
위치 이동 상호 작용
학습자(80-1)들이 마우스, 키보드, 시점의 이동 측정 장치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학습 콘텐츠에 위치시키거나, 통과하거나, 클릭 등의 작용을 하는 경우에 상기의 표시되는 기본적인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포지션 트랙킹(Position Tracking)을 실시하여, 학습 콘텐츠의 상품 등의 명칭에 대응하는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결합하여 학습자(80-1)들에게 표시해 준다. 웹 사이트를 표시하는 웹 브라우저를 포함한 일반적인 컴퓨터용 응용 프로그램은 학습자(80-1)와 컴퓨터간의 상호작용의 과정에서 학습자(80-1)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커서나 마우스의 포인터를 화면상에 표시하게 된다. 커서와 마우스의 포인터에 현재 위치는 기본 OS(Operating System)의 입출력기능으로부터 현재의 위치를 컴퓨터 응용프로그램에 전달될 수 있고, 모니터에 표시함으로써 학습자(80-1)의 작업의 편의를 돕게 된다.
이 때 현재의 커서나 마우스가 상품 등의 명칭이 있는 바로 그 위치(the exact position) 또는 그 위치 부근(around the position)에 있을 때 다음의 작용들이 일어날 수 있다.
첫째, 이미 학습 콘텐츠와 결합되어 있던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일부가 이미 표시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학습자(80-1)의 상호작용의 입력에 대한을 인식을 불러내는 열쇠(key)로 하여 상기의 표시되는 기본적인 방법에서 기술된 방법으로 표시해 준다.
둘째, 그 위치나 그 위치 부근에 존재하는 학습 콘텐츠를 인식하여 그 학습 콘텐츠가 상품 등의 명칭일 경우 그것을 시작으로 하여 공급자 DB,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 DB(30-2)를 검색한 다음 상품 등의 명칭에 대응하는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결합 또는 연동하여 상기의 표시되는 기본적인 방법에서 기술된 방법으로 표시해 준다.
이는 특히,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가 전혀 표시가 없거나 일부만이 표시되어 있거나, 시각적인 표시만이 있는 경우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 중에서 소리(소리 상표, 의성어, 효과음, 음악, 노래, CM, 슬로건, 기타 소리 상징물) 콘텐츠를 결합 또는 연동해서 음향장치(헤드폰, 컴용 스피커, 모니터용스피커, 이어폰)에서 이를 발생시켜 주는 것이다.
포지션 트랙킹의 응용
포지션 트랙킹(Position Tracking)의 한 응용 방법으로 학습자(80-1)의 비젼(Vision)을 트랙킹(tracking)한다. 모니터와 결합하여 시청자의 시각을 인식하는 장치(Vision Tracker: 화상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비젼 트랙밍 전용 하드웨어 등과 이를 이용하는 소프트웨어)로 시청자의 시선을 쫓아서 특정 단어가 읽혀질 때, 그와 관련된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 중 소리 상표나 일반인이 특정 브랜드나 상품의 고유한 소리로 인식하는 소리(소리 상표, 의성어, 효과음, 음악, 노래, CM) 등을 컴퓨터의 음향장치(헤드폰, 컴용 스피터, 모니터용스피커, 이어폰)에서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콜라라는 문자가 나오면, 펩시라는 콜라 상표와 유사한 음향효과인 병따는 소리가 난다. 오렌지쥬스가 나오면, '따봉'이라는 소리가 난다. 아이스크림이라는 문자가 나오면, "12시에 만나요 부라보콘, 둘이서 만나요 부라보콘' 등의 음악이 나온다.
포지션 트랙킹(Position Tracking)의 한 응용으로 콘텐츠에 상표 DB를 연동하는 것이 아니라, 사이버 복권을 대응시킬 수 있다. 학습자(80-1)가 콘텐츠 내부에서 마우스나 키보드 등을 통해서 단계적으로 콘텐츠를 검색할 때, 특정 부분에 도달하게 되면, 팝업메뉴가 나타나거나, 버튼이 생기거나, 새로운 메뉴가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나타나고, 이를 클릭하여 표시하게 하면, 사이버 복권이 나타난다. 혹은 상표 DB와 사이버 복권을 섞어서, 콘텐츠의 전 영역을 통틀어서 일반적으로는 광고가 나타나고, 때때로 광고 대신에 복권이 나타나면, 학습자(80-1)의 호기심과 기대심리를 자극하게 된다. 또는, 콘텐츠에 연동하는 광고를 학습자(80-1)가 클릭등의 상호작용하면 복권이 나타나게 할 수도 있다.
입력 상호 작용
학습자(80-1)가 네트워크 상의 특정한 위치에서 키워드 입력 또는 enter 키 또는 마우스 선택 버튼의 입력이 있을 때(92-2), 이 키워드 입력 또는 enter 키 또는 마우스 선택 버튼의 내용에 해당하는 입력을 분석하여 입력 중 상품 등의 명칭이 있을 때 그 명칭을 인식하고(92-3) 상기의 발명 사상 전 과정을 적용시킨다. 즉, 소리 등의 새로운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출력하기도 하고(92-4),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가 바뀌기도 한다.(92-5)
조건에 따른 표시
도 14에 본 과정이 도식화 되어 있다.
학습 학습 콘텐츠 제공자(80-2)(80-2)(80-2)측에서의 조건 성취 여부에 따른 표시
학습 학습 콘텐츠 제공자(80-2)(80-2)(80-2)는 특정한 조건의 성취 여부(예를 들면 광고료의 지불)를 조건으로 하여 상기의 표시의 전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표시하는 자의 선택에 의해 임의로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결합할 수 있다. 하나의 학습 콘텐츠 내에서 상품 등의 명칭이 복수개 있을 경우 1개, 일부, 전부 또는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것에 대해서만 본 발명의 표시 과정을 거치게 할 수 있다. 표시되는 학습 콘텐츠 내용에 해당되는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가 여러가지 있을 경우 이의 우선 순위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든다면 학습 콘텐츠 가 표시되는 페이지의 내용을 분석하여 한 페이지에서 가장 많이 나온 상품 등의 명칭에 대응하는 것을 광고할 수도 있다.
또한, 학습자(80-1)의 입력을 받아서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의 표시 수준(개수, 방법 등)을 정할 수 있다.
학습자(80-1) 측면에서의 조건의 성취 여부에 따른 표시
본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을 통한 광고 기법은 학습자(80-1)가 목적으로 하는 것에 합치 되는 정도가 강하므로(학습을 하면서 자신들이 선호하는 상품의 광고 등을 보게 되므로) 정보성이 강하다. 하지만, 광고의 노출에 대해서 광고주나, 기타 광고를 통해서 이익을 얻는 자로부터 보상을 받을 필요가 있음은 여전하다. 이때, 학습자(80-1)등이 보상 관리 프로그램(80-5)을 사용하는 경우, 기타 보상에 관한 조건을 사전에 광고주나 웹사이트와 계약 등을 체결하거나, 실시간으로 보상 관리 프로그램(80-5)을 통하여 보상을 받는 조건으로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받을 수도 있다. 즉, 보상 관리 프로그램(80-5)을 통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의 수용의사가 콘텐츠의 공급자들에게 전달될 때에 한하여 학습자(80-1)들에게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가 전달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보상 관리 프로그램(80-5)에는 상표등의 표장 콘텐츠를 제거하거나 선별하는 필터링(filtering) 과정이 있을 수 있다.
광고 표시의 선택권 부여
선택권의 종류로는 아래와 같은 것이 있을 수 있다.
첫째, 광고 표시 유무와 표시 정도(level)를 선택한다. 오른쪽 마우스 버튼 메뉴에 할당, 보상 관리 프로그램(80-5) 옵션에 할당, 프로그램이 점유하는 화면 상의 특정위치에 나타나는 버튼, 브라우저의 메뉴바, 단축키 등을 작용하여 광고가 나타나는가 여부를 학습자(80-1)가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또는, 지나치게 많은 광고가 콘텐츠에 표시됨으로써 시야를 훼손하고 콘텐츠에 집중하는 것을 방해받지 않길 원할 때는 삽입되는 광고의 개수와 크기, 눈에 띄는 정도 등을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더 많은 광고를 보면, 더 많은 상품정보를 얻고 또 더 많은 보상을 받게 됨으로 이의 선택은 학습자(80-1)가 행할 수 있다.
둘째, 광고 순환의 선택으로 교체용 버튼(웹사이트의 메뉴, 웹 브라우저의 메뉴, 오른쪽 마우스 버튼의 메뉴, 단축키의 메뉴)을 삽입하여 여러 개가 가능한 광고 중에 원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햄버거라는 글자가 나타나면, 다양한 상품에 대한 광고가 가능한데 버튼을 클릭하면, 그 다음 광고가 나타나고 또 버튼을 누르면 그 다음 광고가 나타난는 식으로 광고가 순환하게 할 수 있다.
셋째, 광고 대상의 선택으로 선호되는 광고, 배제되는 광고의 내용과 형식을 학습자(80-1)가 미리 선택하게 한다. 또는, 광고의 형식적인 측면에서도 배너광고는 배제하고, 칼러 광고는 배제하는 식의 옵션을 학습자(80-1)에게 부과할 수 있다.
기본 표시와 확장 표시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표시할 때 기본 표시와 확장 표시의 개념을 도입할 수 있다. 기본 표시란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의 각종의 표시 중에서 하나 또는 일부만을 표시해 주는 것이며, 확장 표시는 학습자(80-1)가 기본 표시에 작용(포인팅 디바이스의 위치, 통과, 클릭 등의 학습자(80-1)의 임의의 입력)에 대응하여 기본 표시와 다른 표시가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즉, 기본적인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로 콜라 그림만이 붙어 있다면, 학습자(80-1)가 이 콜라 그림 위에 커서 또는 마우스를 갖다 댈 때, 콜라 병따는 소리 같은 기본 표시 이외의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표시 또는 출력해 주는 것이다. 이는 특히, 도움말 표시하는 풍선을 확정 표시를 표시하는데의 한 도구로 사용될 때 더욱 효과적이다. 즉, 풍선에서 도움말이 차지하는 자리에 그 상품 등의 명칭에 관계하는 공급자에 대한 확장 정보 또는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 이외의 광고 콘텐츠(동영상, 배너 등 모든 종류의 광고 목적의 콘텐츠)를 표시해 줄 수 있다.
기본 흐름(flow)에 대한 설명
학습 콘텐츠로 저장된 것들에 대한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결합하는 방법
첫째, 분석 과정 - 학습 콘텐츠의 내용을 분석한다.(97-1)
자동 분석, 수동분석, 분석의 시기(저장된 것,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할 때 실시간으로)를 통해서 분석하고 상품 등의 명칭을 찾아 낸다.
둘째,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 광고 설정 - 학습 콘텐츠의 상품 등의 명칭에 매칭(matching)되는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나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 모음의 유형을 설정한다.(97-2) 본 유형 설정 과정은 생략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상품 등의 명칭에 해당하는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가 바로 대응된다.
셋째, 제작(외부에서 불러오기 포함) 및 대응 - 해당 유형에 맞는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가 제작되고, 기존의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 DB(30-2)에서 대응되는 광 고가 찾아진다.(97-3)
넷째, 학습 콘텐츠와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와의 대응관계가 저장된다.(97-4)
다섯째, 결합 및 표시 - 학습 콘텐츠가 표시될 때, 학습 콘텐츠와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의 대응관계를 참고하여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가 삽입되거나, 치환되거나, 뒤섞인거나, 연동하여 본 발명이 제시하는 표시 방법 및 기타의 방법으로 표시된다.(97-5)
송신하는 데이터
웹사이트가 학습자(80-1)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송신하는 학습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결합하여 제공한다.
첫째, 송신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품 등의 명칭을 찾아 낸다.(98-1)
둘째,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 광고 설정 - 학습 콘텐츠의 상품 등의 명칭에 매칭(matching)되는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나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 모음의 유형을 설정한다.(98-2) 본 유형 설정 과정은 생략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상품 등의 명칭에 해당하는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가 바로 대응된다.
셋째, 제작(외부에서 불러오기 포함) 및 대응 - 해당 유형에 맞는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가 제작되고, 기존의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 DB(30-2)에서 대응되는 광고가 찾아진다.(98-3)
넷째, 결합 및 표시 - 학습 콘텐츠와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의 대응관계를 참고하여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가 삽입되거나, 치환되거나, 뒤섞인거나, 연동하여 본 발명이 제시하는 표시 방법 및 기타의 방법으로 표시된 것을 전송한다.(98-4)
학습자(80-1)의 입력
학습자(80-1) 입력에 반응한다. 게시판에 글을 쓸 때, 가장 효과적인 것은, 학습자(80-1)의 욕구와 필요가 집약되어 있는 검색엔진에 키워드를 입력할 때이다.
첫째, 학습자(80-1) 입력의 내용을 분석한다.(201)
둘째, 학습자(80-1) 입력의 내용에 매칭되는 광고나 광고 모음의 유형을 설정한다.(202)
셋째, 해당되는 유형의 광고나 광고 모음의 DB에서 콘텐츠와 같이 표시할 광고를 선택한다.(203)
넷째, 콘텐츠가 표시될 때, 광고가 삽입되거나, 치환되거나, 뒤섞인거나, 연동한다.(204)
학습자(80-1)가 원하는 광고
웹사이트의 내용과 상관관계가 떨어지더라도 학습자(80-1)가 원하는 광고를 표시한다.
첫째, 학습자(80-1)가 원하는 광고 유형, 아이템, 형태, 상품, 분류의 설정을 학습자(80-1)가 입력한다.
둘째, 이 설정을 학습자(80-1)가 탐색을 원하는 웹사이트에 전송하거나, 광고관리프로그램 광고관리센터, 광고중개사이트 등의 대행자가 콘텐츠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전송한다.
셋째, 설정에 따르는 광고가 웹사이트의 콘텐츠와 함께 표시된다.
광고의 표시에서 풍선말 활용
마우스 등의 위치 표시 장치를 상품 등의 명칭 또는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에 위치시켰을 때, 풍선말이 나오게 할 수 있다. 이는 각종의 삽입된 광고가 객체로서 존재하여 이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문이 풍선 도움말의 형태로 나타나는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기법을 응용한 것이다. 이 풍선말 속에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 중에서 쓰이지 않은 것들 또는 통상의 디지털화된 광고 콘텐츠를 넣을 수 있으며, 이것들이 표시(동영상, 소리 포함)될 수 있다.
광고 결합 센터(80-5)(80-5)의 존재와 외부에서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결합하는 경우
상품 등의 명칭 등에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결합하는 과정이 일어나는 장소가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동일한 웹사이트의 서버 내부에서 일어날 수도 있으며, 내부가 아닌 외부의 제 3의 서버 등에서 일어날 수 있다.
통상의 웹사이트에 적용
학습 콘텐츠를 공급하는 자(컴퓨터, 서버 포함)는 이를 외부의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부착해 주는 서비스를 하는 자인 광고 결합 센터(80-5)(80-5)(컴퓨터, 서버 포함)에게 전송할 수 있다.(30-6b) 광고 결합 센터(80-5)(80-5)는 전송 받은 학습 콘텐츠를 분석하여, 상품 등의 명칭 등을 추출해 내고, 이에 대응하는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부착하여 다시 학습 콘텐츠를 공급하는 자에게 전송해 줄 수 있다.(30-6b) 이때, 광고 결합 센터(80-5)(80-5)는 최대한 자세하게 상표 등의 표 장 콘텐츠를 결합해 주고, 이를 전송 받은 학습 학습 콘텐츠 제공자(80-2)(80-2)(80-2)(30-6a 또는 30-6b)는 자신의 목적에 맞게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의 양과 질, 표시 방법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전자 우편에 적용(30-6b-30-7)
본 방법은 학습 학습 콘텐츠 제공자(80-2)(80-2)(80-2)(30-6a 또는 30-6b)가 외부의 학습자(80-1)들에게 자신의 웹사이트의 접속 없이 콘텐츠를 제공받는 전자 우편 및 학습 콘텐츠의 다른 웹사이트로의 전송 등을 포함한 각종 정보 제공 방법(예를 들면 맞춤 뉴스 제공 등)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 학습 콘텐츠 제공자(80-2)(80-2)(80-2)(30-6a 또는 30-6b)가 학습자(80-1)에게 보낼 전자 우편을 광고 결합 센터(80-5)(80-5)로 보낸다.(30-6a)
둘째, 광고 결합 센터(80-5)(80-5)는 그 전자 우편의 학습 콘텐츠를 분석한 다음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결합한다. 여기서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뿐만 아니라, 다른 광고 콘텐츠를 삽입할 수도 있다.(80-5)
셋째, 광고 관리 센터가 이를 학습자(80-1)에게 전송한다. 이 때, 광고 관리 센터는 학습 학습 콘텐츠 제공자(80-2)(80-2)(80-2)(30-6a 또는 30-6b)에게 발송 확인 정보를 보낼 수 있다(30-7).
개인 학습자(80-1)
학습 콘텐츠를 전송받은 학습자(80-1)가 자신의 학습 콘텐츠를 광고 결합 센터(80-5)(80-5)로 전송하여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가 결합된 콘텐츠를 전송 받을 수 있다. 이는 특히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에 노출되어 보상이 매개될 경우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이 광고 결합 센터(80-5)(80-5)는 학습자(80-1)의 컴퓨터 내부에 있을 수도 있다.
외부에서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부착하는 것의 장점
첫째, 각 개별 웹사이트들이 분석 및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부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둘째, 각 콘텐츠에 광고가 결합되면 보상(광고비 등)이 매개될 수 있는데 이 때 개별 웹사이트들이 수많은 광고주를 모으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외부에서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부착하는 것에 보상이 매개될 경우의 모델
첫째, 광고 결합 센터(80-5)(80-5)는 자신이 광고주를 모으고, 각 광고주별로 자신들의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가 노출되는데 대한 총보상에 대한 계약을 체결한다. 이 과정은 광고 결합 센터(80-5)(80-5) 내에 있는 보상 관리 프로그램(80-5)이 수행할 수 있다.
둘째, 광고 결합 센터(80-5)(80-5)는 개별 웹사이트, 외부로 나가는 전자우편 또는 학습 콘텐츠 전송, 개인 학습자(80-1)들이 광고 결합 센터(80-5)(80-5)를 통해서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 및 통상의 광고 콘텐츠가 결합된 학습 콘텐츠를 받았을 경우, 광고 결합 센터(80-5)(80-5)로 학습 콘텐츠를 보낸 개개의 주체 또는 광고 관리 센터로부터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가 결합된 콘텐츠를 받은 자들에 대하여 수신 여부, 노출 여부, 노출의 정도 등 광고 효과를 측정하는 각종의 방법에 기초하여 계산되거나 계약된 보상을 지불할 수 있다. 이 광고 결합 센터(80-5)(80-5)에서 각 학습자(80-1) 또는 학습 콘텐츠 제공자(80-2)(80-2)(30-6a 또는 30-6b)들에게 보상을 지불하는 것은 보상 관리 프로그램(80-5)이 담당한다.
이미지, 동영상 콘텐츠에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 결합
개요
세상에 존재하는 시각적 이미지들은 그 시각적 이미지에 대응하는 물건이나 상황 또는 동작의 표현일 수 있으며, 물건이나 상황 또는 동작에 대해서는 상품 등의 명칭을 부여할 수 있다. 즉, 이미지의 전부나 일부분에 대하여 이를 상품 등의 명칭과 결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가령 휴대폰에 대한 그림이 있을 경우, 이 그림에 대해서 휴대폰이라는 상품 등의 명칭을 대응시킬 수 있다. 또한, 목걸이를 한 개에 대한 그림이 있을 경우 개 자체에 대해서 '개'라는 상품 등의 명칭을 결합할 수 있으며, 개가 한 목걸이에 대해서 '개 목걸이'라는 상품 등의 명칭을 결합할 수 있다. 청소하는 이미지에 대해서 '청소'라는 서비스 명칭을 부여할 수 있다.
용어의 정의
이미지 등에 대한 명칭 : 이미지의 전부나 일부분에 대해서 상품 등의 명칭을 대응할 수 있으며, 대응하는 과정을 '상품 등의 명칭의 추출'이라 하고, 그 추출된 명칭을 그 이미지와 관련하여 '이미지 등에 대한 명칭'이라 한다.
이미지 또는 이미지 콘텐츠: 본 발명이 말하는 이미지 콘텐츠는 실사(picture), 사람이나 컴퓨터로 그린 애니메이션, 캐릭터 등 시각으로 파악되는 텍스트(문자, 숫자, 기호)가 아닌 콘텐츠(동영상도 프레임 단위로 만들어 질 때 그 프레임은 이미지이다)를 말한다. 이러한 이미지에는 홀로그램 영상, 가상 현실 상의 이미지를 포함한다.
오브젝트(object)의 결합으로서의 이미지 : 컴퓨터 그래픽으로 이미지의 작업을 할 때, 선도(line image)에 의해서 구분되는 각각의 대상 중, 특정한 선도 또는 선도의 집합은 오브젝트로서 하나의 의미있는 구분 단위가 될 수 있다. 가령, 방울이 달린 개목걸이를 한 개의 그림에서, 개목걸이를 나타내는 선도 해당 부분은 하나의 의미를 가지는 오브젝트일 수 있으며, 개 목걸이의 구성 부분 중에서도 방을 부분은 또다른 오브젝트일 수 있다. 그러므로, 하나의 이미지는 오브젝트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합일 수 있다.
이미지, 동영상 콘텐츠에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 부착에 대한 발명의 구성
오브젝트에 상품 등의 명칭을 부여하는 단계
이미지의 전체(95-1) 또는 부분(95-2)을 오브젝트 단위로 볼 때, 이미지 전체 오브젝트 또는 개별 오브젝트에는 상품 등의 명칭을 대응시킬 수 있다. 이 대응은 각 오브젝트에(95-2a) 대한 설명(, 95-a')에서 있는 학습 콘텐츠를 분석하고, 상품 등의 명칭(95-2a")이 있다면 그 명칭을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고, 설명에서 상품 등의 명칭이 없다면 사람이 각 오브젝트별로(95-2b) 상품 등의 명칭을 부여할 수 있다.(95-b') 이 과정을 통해서 각 오브젝트 중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해서 상품 등의 명칭이 1:1 또는 1:다수가 대응 관계를 맺게 된다.(95-3)
명칭 부여 이후의 과정
각 오브젝트에 상품 등의 명칭이 부여 되면, 각 오브젝트가 학습 콘텐츠에 들어가는 것으로서 상기의 발명을 준용할 수 있다. 즉, 상기의 발명들은 학습 콘텐츠에 대해서 상품 등의 명칭을 추출해 내는 과정을 밟아 학습 콘텐츠에 대해서 상품 등의 명칭을 1:1 또는 1: 다수의 대응 관계를 성립시켰다면, 본 발명에서는 오브젝트에 상품 등의 명칭을 대응시킴으로써(추출 과정을 오브젝트에 상품 등의 명칭 대응으로 치환) 동일한 1:1 또는 1: 다수의 대응관계의 성립을 가져오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의 전 발명에서 학습 콘텐츠 자리에 이미지가 대응되고, 학습 콘텐츠에서 상품 등의 명칭을 추출하는 것에 이미지에서 오브젝트를 찾아 상품 등의 명칭을 대응시키는 과정이 서로 대응된다. 일단 상품 등의 명칭이 밝혀 지면, 다시 그 상품 등의 명칭에 대응하는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찾을 수 있고, 이것을 본 발명이 제시하는 학습 콘텐츠와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의 결합 과정을 준용하여 이미지 콘텐츠 또는 그 부분인 오브젝트 단위의 콘텐츠와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 때, 표시 방법은 학습 콘텐츠와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의 결합된 콘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및 과정을 하나 또는 복수개를 대등하게 준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동영상에의 준용
동영상은 이미지의 연속이므로, 개개의 이미지에 이미지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부착하는 방법을 준용하여 적용할 수 있다.
광고 선택 등을 통한 개인별 최적화된 학습지
광고 선택 개념
본 발명의 사상은 본질적으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또는 소리로 된 광고를 학 습물과 결합하여 일체로 제공해 주는 것이다. 또한, 학습자(80-1)들은 자신이 선호하는 브랜드, 제품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학습에서 자신이 선호하는 브랜드가 나오면 학습의 흥미를 더욱 샘솟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광고 효과 또한 클 수가 있다. 예를 들면, Baskin Robbins 31의 아이스크림을 특별히 좋아하는 학습자(80-1)라면 다른 아이스크림보다 Baskin Robbins 31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가 붙어 있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 학습 콘텐츠를 학습물로 제시해 주는 것이 통상의 보통 아이스크림 그림 또는 텍스트로 제공해 주는 것보다 학습에 훨씬 더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학습자(80-1)가 자신의 선호 정보를 더욱 상세하게 입력하였다면 더욱 더 학습자(80-1)의 구미에 맞는 학습 콘텐츠를 제공해 줄 수도 있다.
I want to eat icecream. (통상)
I want to eat Baskin Robbins 31 icecream. (Baskin Robbins 31 을 아이스크림 선호 정보로 입력한 경우)
I want to eat Berry Berry Strawberry icecream.(상세 정보를 입력한 경우)
이는 특히 이미지의 교체의 경우 더욱 유용하다. 즉, 피자헛보다 도미노 피자를 좋아한다는 정보를 입력한다면, 피자헛 피자 그림을 도미노 피자의 피자 그림으로 바꾸고,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도 도미노 피자의 것으로 바꾸어준다. 이 과정은 피자 그림과 공급자 정보에 필드가 설정되어 있고, 각 필드 중 관련성이 있는 것은 연동하여 바뀌므로 본 과정이 가능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과정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밟는다.
첫째, 광고 선택, 브랜드 선택, 캐릭터 선택, 성명, 나이, 좋아하는 것, 사는 곳, 학교, 학년 등의 자기 정보의 입력 과정을 거친다. 선택에는 상품 등의 명칭을 분류 단위로 하여 다수의 공급자의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 또는 공급자의 명칭 등을 선택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든다면 햄버거라는 상품 등의 명칭이 있을 때 맥도날드, 롯데리아, 버거킹, KFC 등이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 또는 공급자가 될 수 있으므로, 이들 중 선택을 하는 것이다.
둘째, 학습 콘텐츠 제공자(80-2)가 학습 콘텐츠와 사용자가 입력한 자기 정보와 결합한다. 이 때 관계형 DB개념이 적용된다.
셋째, 학습자(80-1)에게 자기 정보가 일부 또는 전부가 반영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해 준다.
이때, 결합하는 정보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정보와 연동되어 질 수 있는 정보도 결합이 된다.
가령 다음 문제에서 "강민수"는 학습자(80-1)가 직접 입력한 정보이며, 주소로서 관악구 신림 9동이라고 입력했다면, 학습 콘텐츠 제공자(80-2)는 신림 9동에서 가장 가까운 피자헛이 봉천 4거리에 있다는 것을 안다면 다음과 같은 학습 콘텐츠를 제공해 줄 수 있다.
강민수 어린이는 10,000원을 가지고 봉천 4거리에 있는 피자헛에 가서 20,000원을 내고, 15,000원짜리 수퍼수프림 피자를 하나 샀습니다. 얼마를 거슬러 받아야 할까요? 정답 5,000원
이렇게 되면, "봉천 4거리에 있는 피자헛"가 특정되게 되고, 특정된 피자헛 을 통해서 주문이 있을 수 있게 된다. 이때, 학습자(80-1)의 주소에 관련하는 근거리의 공급자를 찾는데는 GIS(지리정보시스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학습 콘텐츠가 오직 자신만을 위하여 만들어진다는 느낌을 주어 학습자(80-1)의 만족도가 증가되며, 학습 효과도 올라갈 뿐만 아니라 광고 효과도 상승한다.
자기 정보의 활용
즉, 광고 선택, 브랜드 선택, 성명, 나이, 좋아하는 것, 사는 곳, 학교, 학년 등등의 자기 정보의 입력이 있을 때, 입력 정보를 필드로 하는 학습 콘텐츠가 있을 때, 학습 콘텐츠 제공자(80-2)는 학습자(80-1)가 입력한 자기 정보를 읽어서 학습 콘텐츠에 반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이런 정보를 반영하여 학습물을 만든 것을 네트워크 상에서 전자 우편 방식으로도 제공해 줄 수 있지만, 오프라인 매체인 CD-ROM, DVD, Floppy Disk, Zip Driver, 각종 MOD, PCMCIA카드, Compact Flash Momory Card, 각종의 메모리 스틱의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인쇄, 프린팅 등의 하드카피(hard copy) 방식이 적용된 종이 매체의 형태로도 학습자(80-1)에게 제공될 수 있다.
광고 콘텐츠를 활용한 전자 상거래
기본적인 전자 상거래 모델
기본적인 예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학습 콘텐츠와 본 발명이 제시하는 방법으로 결합되어 있는 광고 관련 콘텐 츠 중에 피자 헛이라는 피자라를 상품의 공급자가 있고, 피자 헛에서 제공하는 각종 피자의 이름, 사진 또는 이미지에는 하이퍼링크가 결합되어 있다. 이것에 학습자(80-1)가 클릭 등의 상호 작용을 하면 피자헛에 구체적인 피자 상품(예를 들면 수퍼 수프림 피자 라지 사이즈)을 원격적으로 주문할 수 있는 네트워크 상의 공간 또는 장치, 사람에 접속된다. 여기에서 피자를 주문하고, 배달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입력 또는 전달하고, 피자의 배달과 관련하여 사전적으로 또는 사후적으로 대금을 결제하면 학습 콘텐츠와 본 발명이 제시하는 방법으로 결합되어 있는 광고 관련 콘텐츠를 이용하여 피자헛의 피자라는 상품을 대상으로 한 전자 상거래에 과정이 성립된다.
상호 작용의 방식
광고 콘텐츠가 본 발명이 제시하는 방법으로 결합된 학습 콘텐츠가 있을 경우, 그 광고 콘텐츠에 대해 상호 작용하는 방법은 광고 콘텐츠가 학습자(80-1)에게 제시되는 방식 및 학습자(80-1)의 컴퓨터가 네트워크에의 접속 여부 및 공급자의 컴퓨터의 구성에 따라 다르므로 이하 각각의 경우에 대해 분설한다.
광고의 종류는 시각적, 청각적, 후각적일 수 있으며, 광고 콘텐츠에는 하이퍼링크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 하이퍼링크가 연결된 것에 클릭 등의 작용을 하면 학습자(80-1)(본 발명에서 학습자(80-1)는 학습을 하는 자 및 그 학습을 보조, 관리해 주는 자(교사 등을 포함함) 또는 그 학습자(80-1)의 법정대리인(부모, 후견인) 및 학습자(80-1)와 관련된 모든 사람을 말한다. 이하 같고, 이상도 같다)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주문할 수 있거나, 공급자 및 공급자를 대행, 중계하는 자 등 공급자와 관련된 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공급자의 홈페이지, 상품 또는 서비스 또는 그 공급자에 대한 커뮤니티(community) 또는 포럼(forum) 등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공급자의 연락처 및 공급자를 대행, 중계하는 자등 공급자와 관련된 자의 연락처(휴대 통신용 번호를 포함함) 및 주소 등에 대한 정보도 알 수 있다.
학습 콘텐츠는 CD-ROM, DVD, Floppy Disk, Zip Driver, 각종 MOD, PCMCIA 카드, Compact Flash Momory Card, 각종의 메모리 스틱 등의 오프라인 방식의 매체로도 제공될 수 있는데, 여기서도 본 발명 사상을 적용하여 관련된 광고 콘텐츠를 결합할 수 있다.(이하 같고, 이상도 같다).
학습자(80-1)의 컴퓨터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학습자(80-1)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주문할 수 있다. 먼저, 컴퓨터에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전화를 걸어 상대방의 컴퓨터, 전화기에 상거래를 위한 의사표시와 이를 위한 관련된 정보(학습자(80-1)의 주소, 전화번호 등)을 남길 수 있다. 공급자 측이 ARS 시스템인 경우에는 학습자(80-1)는 그 ARS 시스템에 전화를 걸어 상거래를 위한 의사표시와 이를 위한 관련된 정보(학습자(80-1)의 주소, 전화번호 등)을 남길 수 있다. 이 ARS 시스템에 전화를 거는 것은 학습자(80-1)의 컴퓨터에 내장된 프로그램(ADM 등)이 할 수도 있다.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의 활용
콘텐츠(광고, 학습 포함, 오브젝트 포함)에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클릭(제3, 제4의 버튼이 있을 경우 이것을 포함, 애플사의 매킨토시처럼 버튼이 하 나뿐인 경우는 MS 사의 windows 시스템이 채용하고 있는 오른쪽 버튼의 기능을 하는 것과 동일한 결과를 발생시키는 행위를 하는 경우, 기타 포인팅 디바이스에서도 같다.)을 클릭 등을 했을 경우 원래 운영 시스템(OS)이 제공하는 메뉴만이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그 콘텐츠와 관련된 메뉴 정보도 함께 표시된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이 필요하다. OS 와 브라우저(browser)가 콘텐츠에 위치 했을 때, 콘텐츠가 제공하는 메뉴를 읽어 와서, 학습자(80-1)가 오른쪽 버튼을 클릭 했을 경우, 메뉴에 뿌려 준다.
그 메뉴에 들어갈 요소로는, 그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거나 이용할 수 있는 전자 상거래를 위한 장소(사이버 스페이스 상의 장소, 물리적 실체를 가진 장소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것 포함(예를 들어서 피자 가게의 약도 등)포함, 이 장소는 복수 개가 있을 수 있다. 이를 표시하기 위해서 그 장소가 장소라는 상위 카테고리 개념 하에서 하위 메뉴로 복합적으로 나열될 수 있으며, 상하위 카테고리의 개념 없이 상하, 좌우로 통상적으로 나열될 수 있다.), 그 상품 또는 서비스의 공급자의 홈페이지 또는 웹사이트, 그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커뮤너티, 포럼 등이 위치하고 있는 곳으로 갈 수 있는 메뉴가 있어 이를 선택하면 그곳으로 갈 수 있다. 물론 별개의 창으로 표시하게 할 수도 있다. 오른쪽 버튼을 눌렀을 때 표시되는 정보에는 그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가격, 거래 조건 등에 대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상거래를 위한 요약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오른쪽 버튼 메뉴에는 주문할 수 있는 루틴으로 연결시키는 메뉴, 자동으로 전화 주문하는 메뉴, 결제에 대한 메뉴, 가장 가까운 상품, 서비스의 공급지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 는 메뉴(이를 위해서 아래 기술하는 위치 정보 분석, 자기 정보 등록(별도의 등록 과정 또는 ID/PW 등록할 때)과정을 결합시킬 수 있다.)가 있을 수 있다.
전자상거래 중개자(80-19)
전자 상거래 중개자(80-19)의 개념
학습자(80-1)가 광고 콘텐츠가 본 발명 사상이 적용되는 방식으로 학습 콘텐츠에 결합하는 경우에서 특정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구매의사를 네트워크 상에서 표현할 때, 이 의사표시 및 상거래 과정을 중간에서 중개해 주는 자가 전자 상거래 중개자(80-19)로서, 이 자는 학습 콘텐츠 또는 광고 콘텐츠의 제공자이거나, 이와 특수한 관계에 있는 자이다. 간단히 설명한다면 학습자(80-1)와 상품 또는 서비스의 공급자 사이에서의 거래 관계를 주선해 주는 자이다.
전자상거래 중개자(80-19)의 기능
거래 중개 기능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학습자(80-1)가 피자헛의 피자를 학습 콘텐츠와 결합되어 있는 광고 콘텐츠에 상호작용하는 방식으로 주문하는 경우, 그 하이퍼 링크에 의해 전자 상거래 중개자(80-19)의 가상 공간으로 들어 오고, 이곳에서 구체적인 상품을 선택하고(이미 구체적인 상품을 선택한 경우, 즉 구체적인 상품에 대해 클릭 등을 한 경우. 물론, 이 경우라도 이곳에서 상품을 바꿀 수 있다.), 거래에 필요한 각종 정보(주소, 전화번호, 결제 등)을 입력하고 거래를 승인하면 전자 상거래 중개자(80-19)는 이 주문과 관련된 정보를 피자헛으로 전송해 주는 것을 대행한다.
거래의 체결
이 거래 중개 기능은 다시 거래가 체결되는 상대방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첫째, 학습자(80-1)와 거래 중개자 사이에서 계약이 체결되고, 거래 중개자가 이 계약을 받아서 자신과 상품 또는 서비스 공급자와 별도의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이 경우, 거래 중개자는 도매상 또는 소매상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즉, 거래 중개자와 공급자 사이에서 먼저 계약이 성립되고, 개별 학습자(80-1)와의 계약이 후일 수도 있는 것이다.
둘째, 학습자(80-1)와 상품 또는 서비스 공급자 사이에 직접 거래가 체결되고(공급자가 중개자의 가상 공간에 나와서 손님과 계약하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 거래 중개자는 거래의 성사에 대해서 쌍방 또는 일방에 대해서 거래 성사에 대한 보상을 받는 방식이다.
거래 안내 기능
학습자(80-1)가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는 곳으로 안내해 주는 역할을 한다. 즉, 통상의 피자를 선택했을 경우, 중개자의 가상 공간에는 피자헛, 도미노피자, 미스터피자 등등의 각종 피자 공급 없체가 존재하고, 구체적인 곳으로 갈 수 있도록 안내해 주는 기능이다. 이 때 학습자(80-1)와 공급자 사이에서 거래가 체결되면 거래 중개자는 그 기여에 대한 보상을 받을수 있다.
분석, 진단, 추천, 차등적 할인율
분석과 그 결과를 반영한 문제의 제공
개념
각 단위 학습 콘텐츠(문제, 장면, 과제, 학습 단위, 교육 단위 등)마다 복수개의 진단 태크 또는 인텍스(tag or index, 이하 인덱스라 한다.)가 붙어 있을 수 있다. 인덱스는 각 단위 학습 콘텐츠가 속하는 분야, 표준 교육 과정상의 지위, 문제의 고유번호, 난이도, 문제가 요구하는 능력의 종류, 그 능력이 필요로 하는 정도의 가중치, 제한 시간 등이 하나 또는 복수 개가 결합될 수 있다.
예)
문제 : 본 발명은 학습 콘텐츠 제공 방식 : 강민수 어린이는 10,000원을 가지고 (82-3)맥도널드 햄버그 가게로 가서 3,000원짜리 빅맥 세트 1개(82-4)와 3,000원짜리 맥너겟 세트 2개(82-5)를 샀습니다. 얼마를 거슬러 받아야 할까요? 정답 1,000원
인덱스 정보 - 초등학교, 수학, 6년차 과정, 난이도 level 7, 수치 계산 능력 0.7, 수치 적용 능력 0.5, 수식화 능력 1.0, 도형에 대한 이해 능력 0.8, 수학적 이해 능력 0.3, 제한 시간 2분 등의 각 문제에서의 분석 인덱스가 붙을 수 있다.
개념적 구성과 이 방법의 도입 시의 장점
이 인덱스를 붙인 것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충분한 개수의 문제를 풀게 하거나 단위 학습 콘텐츠를 통하여 학습을 하게되면 컴퓨터의 자료 처리 능력을 활용한다면 다양하고도 총체적인 각종의 분석 자료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즉, 한 학습자(80-1)에 대한 종합적인 진단이 가능하게 된다. 국가가 지정하는 정규 교과목의 학습 커리큘럼의 설계에는 각 과목별 성취해야 할 능력을 분류하고 있고, 이 분류를 능력 분류의 체계의 한 예로 채용할 수 있다.
둘째, 앞으로 나올 문제를 포함한 단위 학습 콘텐츠들을 학습자(80-1)의 총체적인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학습자(80-1)가 부족한 부분을 중점적으로 고려하여 문제 풀(pool)을 포함한 단위 학습 콘텐츠 풀에서 학습 자료를 뽑아 학습자(80-1)에게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덱스 중 도형에 대한 이해 능력이 부족하다고 평가된 학생에게는 도형과 관계된 문제를 다른 능력을 기르는데 더 도움이 되는 단위 학습 콘텐츠보다 더 자주 학습자(80-1)에게 제공하여 학습자(80-1)의 총체적인 능력을 끌어 올리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어휘력이 부족하다고 평가된 학습자(80-1)들에게는 어휘력을 신장시키는데 도움이 많이 되는, 즉 인덱스 중 어휘력에 대한 항목에 가중치가 높은 단위 학습 콘텐츠를 학습자(80-1)에게 제시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학습자(80-1)의 학습의 효율은 임의 순서 또는 방식( in random order or way)로 하는 것보다 월등히 올라간다.
셋째, 학습자(80-1)의 능력이 분석되고, 이것이 시간을 두고 축적되면, 이 자료를 바탕으로 학습자(80-1)에 대한 각종의 조언 또는 추천을 할 수 있다.
과정 모델
본 개념의 발현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덱스가 붙어 있는 학습 콘텐츠를 학습자(80-1)에게 제시한다.
둘째, 학습자(80-1)가 학습한다.(문제 푸는 과정 포함)
셋째, 학습자(80-1)의 학습 결과가 학습 콘텐츠 제공자(80-2)에게로 전송된다.
넷째, 학습 콘텐츠 제공자(80-2)의 학습 분석 엔진(80-8)이 학습자(80-1)의 학습 결과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학습자(80-1) DB(80-4)에 저장한다.
다섯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학습 콘텐츠 DB(80-3)(80-3)에서 학습자(80-1)에게 최적화된 학습 콘텐츠를 추출한다.
여섯째, 그 최적화된 학습 콘텐츠를 학습자(80-1)에게 제공한다.
일곱째, 선택적으로 학습자(80-1)의 요구시 분석 결과 및 시계열적인 학습 결과를 학습자(80-1)에게 제공한다.
가상 공간에 분석 자료의 표시
네트워크 상의 교육 시스템은(CD-ROM, DVD, Floppy Disk, Zip Driver, 각종 MOD, PCMCIA카드, Compact Flash Momory Card, 각종의 메모리 스틱, HDD, RAM)에 저장된 콘텐츠를 포함하여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거나 독자적으로 운영되는 교육 시스템 포함, 이하 같다) 학습자(80-1)에게 자신의 학습과 관계된 자신만의 가상 공간(cyber space - 이는 네트워크 상에 있을수도 있으며, 학습자(80-1)의 학습 컴퓨터(PC 등)에 있을 수도 있다.)에 학습자(80-1)의 총체적인 능력을 분석하는 자료를 시간적으로 축적하고, 그래프 등으로 시각적으로 분석 결과를 제시해 줄 수 있다.
추천
기본 구성
분석 결과를 참조하여 그 부족한 부분을 메꾸어 줄 수 있는 각종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의 각종 학습물, 동영상 강의, 관련 자료, 전문 사이트, 학습지, 도서, 사전, CD-ROM, DVD, Floppy Disk, Zip Driver, 각종 MOD, PCMCIA카드, Compact Flash Momory Card, 각종의 메모리 스틱, 학원(이하 '학습물'이라 한다.) 등을 추천해 줄 수 있다.
추천 과정은 다음과 같다.
학습자(80-1)의 학습 수행 결과를 시간적으로 축적하고, 그 결과를 정해져 있는 분석 기준을 통해서 통계적 처리 분석하고, 학습자(80-1)가 부족한 부분을 발견하고, 이 부족한 부분을 중점적으로 보완해 줄 수 있는 학습물을 학습물 DB에서 찾아 내고, 이를 학습자(80-1)에게 제시한다. 이에 학습자(80-1)가 단수 혹은 복수개의 학습물 중 하나 또는 복수개를 선택하고, 비용을 지불하면 거래가 완결된다.
응용구성
상기의 추천 과정에서 검색의 개념을 도입하여 분석이 아닌 학습자(80-1) 스스로의 입력을 받아 추천 과정을 전개해 나갈 수 있다. 즉, 학습자(80-1) 스스로가 자신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부분이나, 능력 배양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부분을 입력하면 추천을 담당하는 프로그램이 학습자(80-1)의 요구 조건에 맞는 학습물을 DB에서 찾아 학습자(80-1)에게 제시할 수 있다. 기본 구성과 응용 구성에는 물론, 조건의 입력(비용, 수준, 분야 등)이 채용될 수 있으며, 아울러 학습물에 대한 부분적인 구매나 추천도 허용될 수 있다. 즉, 영문법 전체에 대한 학습물을 구매나 추천하는 것이 아니라, 부정사(infinitive)에 대한 것만 구매하거나 추천해 줄 수 있 다. 이는 특히, 인덱스를 활용할 경우 더욱 효과적이다. 또한, 각종 구매나 추천 시 그 추천이 나오게 된 과정 및 기반이 되는 자료의 제시도 아울러 제공될 수 있다. 구매나 추천과정에서 상거래가 일어나게 되면, 본 과정을 주관하는 학습 시스템은 전자상거래 중개자(80-19)가 된다.
학습 수행 결과에 따른 각종 보상 장치의 구성
보상이 발생할 수 있는 이유
첫째, 본 발명 사상이 적용되는 학습 콘텐츠에는 광고 개념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본 학습 콘텐츠로 학습하는 자는 광고에 노출되게 되므로, 자연적으로 광고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학습자(80-1)는 이에 대해서 정당한 보상을 받을 권리가 있는 것이다.
둘째, 학습자(80-1)가 학습 시스템을 통하여 상거래를 하는 경우, 학습 시스템은 전자 상거래 중개자(80-19)가 되고, 학습자(80-1)가 직접 오프라인 상에서 상거래를 하는 것보다 저렴한 비용이 들게 된다.(예를 든다면, 전화로 주문할 경우의 전화비, 가서 주문할 경우의 교통비, 시간 비용 등이 든다.)
또한 전자 상거래 중개자(80-19)는 복수 개의 학습자(80-1)로부터의 주문과 거래를 매개하기 때문에 개념상 도매상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되고, 도매 주문은 일정한 할인 이상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이 할인된 폭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학습자(80-1)에게 제공해 줄 수 있는 것이다.
셋째, 학습 콘텐츠 제공자(80-2)는 학습자(80-1)에게 광고를 노출시킨 기여가 있으므로, 광고주들로부터 소정의 광고비 상당액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이중 전 부 도는 일부를 학습자(80-1)에게 되돌려 줄 수 있는 것이다.
보상 관리 프로그램
학습자(80-1)의 광고 노출에 대하여 보상이 발생하는 경우는 보상 관리 프로그램(80-5)이 관리할 수 있다. 특히, 학습자(80-1)의 컴퓨터에 보상 관리 프로그램(80-5)이 있을 경우는 광고 노출에 대한 보상은 보상 관리 프로그램(80-5)이 관리할 수 있다.
차등적 할인율 - 주문 대행자, 중개자로서의 center 개념 도입 학습자(80-1)의 학습 시간이 오래되면(즉, 학습자(80-1)가 열심히 공부한다면) 그만큰 광고에 많이 노출되는 것이기 때문에 학습 시간은 학습자(80-1)에 대한 할인율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다.
학습의 성취도가 높은 경우에도 성취도에 비례하거나, 관계하는 할인율을 적용할 수 있다. 성취도는 만점이나 최고 학습 수행정도에 얼마나 근접한가를 따지는 절대적 성취도 및 월, 주, 과목별 비교를 통해 성취도의 시간적, 교과별 변화에 관계하는 상대적 성취도가 있다. 성취도가 보상에 관계하는 이유는 성취의 수준이 높을수록 학습에 몰입했을 확률이 높으며, 그만큼 광고에 노출되었을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수치화 개량화 시켜 낼 수 있는 학습자(80-1)의 결과물에 정액 또는 정률제의 할인 쿠폰, 상품권 또는 조건을 붙이는 상품권(예를 든다면 '수퍼수프림 피자 라지를 주문한다면 샐러드를 공짜로 주는 권리'를 기록한 채권), 마일리지(할인에 쓸 수 있는 총금액으로 업체별로 다를 수 있으며, 상품이나 서비 스 별로 총금액을 적립시켜 나갈 수 있다.) 등을 결합할 수 있다.
차등적 할인율을 적용한 전자상거래
자신이 학습한 결과 또는 성과에 의해 자신이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해서 받을 수 있는 할인율이 학습 콘텐츠 제공시 표시된다. 학습 시스템이 각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할인 관련 DB를 참조하여 학습자(80-1)의 학습 수행 결과를 반영하여 할인율을 계산한 것이 표시되는 방법은 첫째, 학습 콘텐츠에 오른쪽 버튼을 클릭 했을 경우 메뉴 등에, 학습 창(windows)의 하단 부분에 상품 또는 서비스와 함께 제공해 주는 경우, 학습자(80-1)의 학습 시스템 상에서 상품이나 서비스 관련하여 할인 관련 정보만 모아 놓은 DB 또는 공간에서 할인율을 표시하는 방법, 전자 상거래 중개자(80-19)를 통해서 전자 상거래를 할 때 표시해 주는 방법 등이 있다. 즉, 차등적 할인율에 대한 정보는 학습 및 상거래의 어느 과정에서나 개입 되고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학습한 결과 또는 성과에 해당하여 5시간 공부한 사람에게는 5%의 할인율이 적용되고, 10시간 공부한 사람에게는 10%의 할인율이 20시간을 공부한 사람에게는 13%의 할인율이 적용되는 방식이다. 할인 금액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데, 이 때도 차등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 할인율 또는 할인 금액은 함수로 표시가능하다. 예를 들면 할인율의 계산에 단지 시간만이 들어간다면 예를 들어 할인율 = [20*root(0.01*)]], ([]는 가우스 기호) 이라면 t = 0 이면 할인율 = 0, t=10 시간이면 할인율 = 6% 처럼 된다.
할인 금액도 마찬가지로 상품 또는 서비스 및 공급 업체별로 상황에 따라 다 변수 함수 형태로 만들 수 있다. 가장 간단한 방식으로는 일정한 수준 이상을 공부하면(Cut off 방식) 일정한 할인율을 제공하는 방법도 도입할 수 있다. 이 개념을 적용하면, 공부를 열심히 할수록 더 저렴한 피자를 먹을 수 있기 때문에 학습자(80-1)의 학습 욕구가 증대되고, 피자의 주문도 늘어나 전자 상거래가 활성화 될 수 있다.
분석 자료별 할인율 개념을 적용한 구성
어떤 특정 부분 또는 인덱스의 분류 상에서 뛰어난 성취를 보였을 경우에도 상기의 차등적 할인율을 적용한 전자 상거래 과정을 적용할 수 있다. 즉, 학습자(80-1)는 자신의 학습의 노력에 대해서 다면적으로 할인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즉, 전체의 성취도 예를 들면 평균 점수가 좋을 경우, 그 정도에 따라 차등적 할인율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일부분의 성취도가 아주 높을 경우 그에 따른 보상도 가능하다. 또한, '수식화 능력'처럼 인덱스의 특정한 한 분류에 대해서도 높은 성취 수준을 보인 경우, 그 수준에 따라 차등적 할인율이 적용될 수 있다.
차등적 할인율 또는 할인 금액, 할인 쿠폰, 상품권(조건별 포함), 할인 마일리지의 제시 방법
전자적인 거래의 과정에서는 거래의 성립 과정에서 차등적 할인율이 표시되거나, 내부 DB에 의해 계산되어 있고, 이것이 전자 상거래의 결제 과정에서 개입하게 되어, 학습자(80-1)가 최종적으로 결제해야 할 금액이 줄어들게 된다. 온라인 전자상거래 방식으로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입할 수 없을 때는 차등적 할인율 또는 할인 금액, 할인 쿠폰, 상품권(조건별 포함), 할인 마일리지 등은 다음 방식으로 작동한다. 차등적 할인율 또는 할인 금액, 할인 쿠폰, 상품권(조건별 포함), 할인 마일리지이 표시된 권리 증서가 학습자(80-1)의 컴퓨터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만들어 지며, 이 증서에는 고유 번호가 붙어 있을 수 있다. 이 권리 증서를 출력해서 제시하거나, 고유 번호를 전화로 주문할 경우 불러주거나, 입력하면 할인이 성립하게 된다. 이 경우, 한 번 출력이 되거나, 고유 번호가 한번 생성된 이후라면 그 만큼 또는 그에 관련된 만큼 전체 또는 부분별 크레디트(학습 수행 결과 또는 성과에 대응하는 수치)가 감소하게 된다.
수학영어
수학영어/산수영어
개념
수학영어란 수학(산수 포함한 개념임)과 영어(기타 외국어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이하 같다)를 결합하는 공부 방식을 말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수학부분 : 1 + 2 = 3, 영어 부분 : One plus two equals three.(발음 포함)
에)수학 부분 : 1,2,3의 평균값? 답 2 : What is the mean of one, two, three? It's two.(발음 포함)
숫자, 기호, 도형, 질문, 답, 해설, 문제와 해답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 낱낱(1(숫자), slope(변)), 용어(triangle 등), 문제나 답을 구성하는 그림 또는 이미지, 개념 단위, 학습 콘텐츠 구성 단위(이하 '학습 콘텐츠 구성 오브젝트'라 한다)에 영어를 비롯한 외국어를 결합할 수 있다. 즉, 영어권 사람이 본 수학 학습 콘텐츠 및 학습 콘텐츠 구성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영어로 된 음성, 문자를 디지털 콘텐츠화 시켜 양자를 관계지운다.
영어를 불러 내는 과정
e-icon
영어 콘텐츠가 결합되어 있음에 대한 표시로서 e-icon을 생각할 수 있다. e-icon은 이미지 속성을 가지며, 수학 콘텐츠를 구성하는 모든 콘텐츠 위 또는 주변에 붙을 수 있으며, 색상, 아이콘의 구성, 디자인 등에 의해서 별개의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즉, 학습 콘텐츠 구성 오브젝트에 붙어 있는 이 e-icon에 학습자(80-1)가 상호 작용을 하면 그에 대응하는 영어가 튀어 나오게 된다. 즉, "1 + 2 = 3"이란 학습 콘텐츠 구성 오브젝트 전체에 붙어 있는 e-icon에 대하여 상호작용을 하면 그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영어 부분인 "One plus two equals three."라는 문장이 나오거나, 이에 대응되는 음성이 나오게 된다.
on/off 기능을 포함한 선택 기능
학습 콘텐츠 구성 오브젝트에 e-icon이 없는 경우에도 학습 콘텐츠 구성 오브젝트가 객체 단위로 인식되고 그 객체에 해당하는 영어 부분이 있는 경우, 그 객체에 작용을 하면 영어가 튀어 나오게 된다. 상기의 예에서 '1', '+', '2' 등이 오브젝트가 될 경우 이들에 상호작용(클릭은 물론,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를 갖다 대는 것도 상호 작용에 속할 수 있다. 이하 같고, 이상도 같다)을 하면 각각 'one', 'plus', 'two'가 대응되어 출력(화면, 소리 출력 포함)되며, '1 + 2 = 3'가 객체로 될 경우는 'One plus two equals three,'가 출력되게 된다.
이때 필요한 것이 on/off 기능을 포함한 선택 기능이다. 마우스의 움직임에 따라 즉각적으로 영어가 나온다면 혼란스러을 수가 있다. 이때, 영어 출력 기능 또는 오브젝트의 규모(낱낱을 오브젝트로 할 것인가의 문제로, 한 학습 구성 콘텐츠 단위에 대해서 오브젝트의 크기를 얼마만 하게 할 것인가의 정도 문제)에 대하여 on/off 스위치 기능, level 선택 기능을 포함한 각종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기능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든다면, 영어 부분에서 on 기능을 선택할 때만이 결합된 영어 콘텐츠가 출력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오브젝트의 크기 level을 문제 단위로 한다면 전 문제가 한 덩어리가 되어 음성 또는 문자로 출력되게 되고, 최소 단위로 한다면 문자, 기호, 용어 수준으로 오브젝트가 분리되어 각각 학습자(80-1)의 상호작용에 따라 음성 또는 문자로 출력된다. 물론, 모든 오브젝트 또는 모든 수준의 오브젝트에 영어가 결합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광고 콘텐츠에 대한 영어 콘텐츠의 결합
광고 콘텐츠도 학습 콘텐츠 구성 오브젝트처럼 오브젝트 단위를 도입할 수 있다. 이들 각각의 오브젝트 또는 각 level의 오브젝트에 영어가 결합될 수 있다. 즉, '피자헛의 수퍼수프림 피자 라지 사이즈' 그림이 있을 경우 이 오브젝트에 해당하는 영어인 'super supreme pizza or large size. You can enioy it at pizza hut'(단순 직역일 필요는 없음)이 나올 수 있다.
효과
수학을 공부하면서 동시에 영어를 함께 공부할 수 있다. 즉, 수학을 미국인 들이 미국에서 공부하는 듯이 배울 수 있어 동시학습 및 직독직해, 직청직해 능력이 길러 진다. 어린이 학습자(80-1)의 경우, 자신이 학습 콘텐츠 구성 오브젝트에 아이콘을 댈 때마다 영어 소리가 나기 때문에 흥미를 가지게 할 수 있다.
다른 학습 콘텐츠와 영어의 결합
과학이나 사회과목(역사 인문, 지리 등등)의 학습 콘텐츠에 그 콘텐츠를 구성하는 학습 콘텐츠 구성 오브젝트 개념을 도입하면 상기의 수학영어에 대한 과정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종이로 된 광고 콘텐츠 결합 학습물
상기의 본 발명의 사상이 전부 또는 일부가 적용되어 만들어 진 광고 콘텐츠와 학습 콘텐츠가 결합된 학습물의 내용 부분이 모니터 등의 표시장치 표시되는 대로가 흑백 또는 컬러로(색깔의 변화 및 차이를 허용한다.) 종이 위에 학습할 내용 부분으로 인쇄된 것이 종이로 된 광고 콘텐츠 결합 학습물이다.
본 발명은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 콘텐츠에 자신들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들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학습의 흥미를 유도할 수 있음과 아울러 학습에 대한 집중도를 높이며, 학습에 대한 기억이 오래간다.
둘째, 학습자(80-1)는 학습을 하는 과정에서 광고에 노출되므로, 광고주는 높은 광고 효과를 유도할 수 있어 이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소비 증대로 이어져 산업 발전에 기여한다.
셋째, 학습자(80-1)는 학습 과정이 광고 노출 과정이므로 광고 효과에 따른 정당한 보상을 받을 수 있어 학습을 하면서 돈을 벌 수 있다.
넷째, 학습자(80-1)는 학습 콘텐츠 상에 존재하는 광고 콘텐츠에 상호작용함으로써 그 광고 콘텐츠가 제시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하여 전자 상거래를 곧바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 상거래 과정이 간편해 진다.
다섯째, 학습의 결과가 높을수록 더 높은 할인율을 적용받는 차등적 할인율 시스템의 도입으로 인하여 공부를 열심히 할수록 더 높은 할인을 받아 더 저렴한 가격에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 또는 이용할 수 있다.
여섯째, 수학영어라는 개념을 통해서 수학 또는 산수와 영어를 동시에 공부할 수 있게 하며, 아울러 다른 과목과 영어를 동시에 학습할 수 있도록 해주어 학습의 효과 및 효율을 높인다.
일곱째, 분석과 진단을 자동화하며 추천의 개념을 도입하여 학습자(80-1)에게 최적화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해 줌으로써 학습의 효과를 높이고, 전자상거래를 효과적으로 생성시킨다.

Claims (19)

  1. 텍스트 콘텐츠를 포함하는 학습 콘텐츠를 입수 받는 단계;
    상품 등의 명칭 DB를 조회하여, 상기 입수 받은 학습 콘텐츠의 텍스트 콘텐츠 부분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 등의 명칭을 추출해 내는 단계;
    상기 추출된 상품 등의 명칭에 관련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공급해 주려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급자를 공급자 DB에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공급자들의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입수하는 단계;
    상기 입수 받은 상기 공급자들의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상기 입수 받은 학습 콘텐츠의 텍스트 콘텐츠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학습 콘텐츠와 상기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가 결합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전자 상거래를 유도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콘텐츠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가 결합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전자 상거래를 유도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상기 학습 콘텐츠와 결합한 것을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가 결합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전자 상거래를 유도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콘텐츠를 학습하는 학습자로부터 접속을 허용하고, 개인 정보를 입수 받는 단계; 및
    상기 학습자로부터 상기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의 선택 정보를 입수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선택된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로 상기 텍스트 콘텐츠와 결합하는 단계의 상기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는 상기 학습자로부터 선택받은 상기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가 결합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전자 상거래를 유도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에는 상기 공급자들과 관련된 전자 상거래 사이트로 이동하는 하이퍼링크 정보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가 결합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전자 상거래를 유도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컴퓨터로 상기 학습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공급자들과 관련된 전자 상거래 사이트에서 전자 상거래를 하는 경우, 상기 학습자의 상기 학습 콘텐츠에 대한 학습 수행 정도에 따라 차별적인 할인 적용에 관련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가 결합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전자 상거래를 유도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차별적인 할인 적용에 관한 정보는 할인 금액, 할인 쿠폰, 상품권, 할인 마일리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가 결합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전자 상거래를 유도하는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수행 정도는 학습 시간 및 학습 평가 인덱스별 성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관계되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가 결합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전자 상거래를 유도하는 방법.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은 상기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상기 텍스트 콘텐츠 내부에의 삽입하거나(inserted), 상기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로 상기 텍스트 콘텐츠를 치환하거나(assigned), 상기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상기 텍스트 콘텐츠와 뒤섞어 앞 또는 뒤에 배치(mixed)하거나, 상기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상기 텍스트 콘텐츠에 연동되게(linked)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가 결합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전자 상거래를 유도하는 방법.
  10. 학습 콘텐츠를 학습하는 학습자로부터 접속을 허용하고, 개인 정보를 입수 받는 단계;
    상기 학습자들에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단 인덱스가 포함되어 있는 문제를 포함하는 학습 콘텐츠를 포함하여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의 상기 학습 콘텐츠에 대한 학습 수행 정도에 따라 차별적인 보상 적용에 관련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자가 상기 문제에 대한 응답을 제공한 경우, 상기 진단 인덱스별로의 평가를 수행하고, 상기 평가에 대응하여 상기 학습자가 부족한 인덱스를 포함하는 문제를 선별하여 상기 학습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학습 콘텐츠에 포함하여 전송되는 콘텐츠에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공급해 주려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급자의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에는 상기 공급자들과 관련된 사이트로 이동하는 하이퍼링크 정보가 더 포함되며,
    상기 학습 콘텐츠에 포함하여 전송되는 콘텐츠에는 상기 공급자들과 관련된 상기 사이트에서 전자 상거래를 하는 경우, 상기 차별적인 보상 적용이 있음을 알리는 정보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가 결합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전자 상거래를 유도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로부터 상기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의 선택 정보를 입수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학습자로부터 선택된 상기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상기 학습 콘텐츠를 포함하여 전송되는 콘텐츠에 포함시켜 상기 학습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가 결합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전자 상거래를 유도하는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별적인 보상은 차별적인 할인에 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가 결합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전자 상거래를 유도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별적인 할인 적용에 관한 정보는 할인 금액, 할인 쿠폰, 상품권, 할인 마일리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가 결합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전자 상거래를 유도하는 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수행 정도는 학습 시간 및 학습 평가 인덱스별 성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관계되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가 결합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전자 상거래를 유도하는 방법.
  15. 제 10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콘텐츠는 상기 학습자들의 개인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가 결합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전자 상거래를 유도하는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정보는 학습자의 이름 정보인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가 결합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전자 상거래를 유도하는 방법.
  17. 삭제
  18.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인덱스는 상기 문제가 속하는 학습 분야, 상기 문제가 속하는 표준 교육 과정상의 지위, 상기 문제가 속하는 난이도, 상기 문제가 속하는 문제가 요구하는 능력의 종류, 상기 능력이 필요로 하는 정도의 가중치 및 상기 문제 해결의 제한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가 결합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전자 상거래를 유도하는 방법.
  19. 제 10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콘텐츠는 한글로 된 학습 콘텐츠 및 상기 한글로 된 학습 콘텐츠와 관계된 영어로 된 학습 콘텐츠를 포함하며, 상기 영어로 된 학습 콘텐츠를 불러내어 상기 학습자에게 시청각하게 해 주는 아이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가 결합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전자 상거래를 유도하는 방법.
KR1020010016359A 2001-03-28 2001-03-28 광고가 결합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전자 상거래를 유도하는 방법 KR100807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359A KR100807870B1 (ko) 2001-03-28 2001-03-28 광고가 결합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전자 상거래를 유도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359A KR100807870B1 (ko) 2001-03-28 2001-03-28 광고가 결합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전자 상거래를 유도하는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2992A Division KR20070078767A (ko) 2007-07-20 2007-07-20 광고가 결합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496A KR20020076496A (ko) 2002-10-11
KR100807870B1 true KR100807870B1 (ko) 2008-02-27

Family

ID=27699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359A KR100807870B1 (ko) 2001-03-28 2001-03-28 광고가 결합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전자 상거래를 유도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78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5937A1 (en) * 2012-10-04 2014-04-10 Ledon Horacio Read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3684A1 (ko) * 2010-10-22 2012-04-26 서울특별시 여성가족재단 교육과 채용의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428078B1 (ko) * 2020-06-15 2022-08-04 주식회사 스쿨버스 통학차량 커머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12149653B (zh) * 2020-09-16 2024-03-29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48A (ja) * 1997-06-11 1999-01-06 Sharp Corp 電子対話用広告装置
KR20000037344A (ko) * 2000-04-19 2000-07-05 정의신 인터넷 검색시 광고 방법
KR20000037251A (ko) * 2000-04-14 2000-07-05 주진용 온라인 학습을 이용한 인터넷 상의 광고 방법
KR20000054706A (ko) * 2000-06-16 2000-09-05 강희도 인터넷사이트에 글을 등록할수 있는 게시판을 이용한인터넷광고방법
KR20000063613A (ko) * 2000-07-26 2000-11-06 조동신 보상식 인터넷 광고가 이루어 지는 웹사이트와 이를이용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KR20010000710A (ko) * 2000-10-14 2001-01-05 김현석 인터넷 상의 맞춤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48A (ja) * 1997-06-11 1999-01-06 Sharp Corp 電子対話用広告装置
KR20000037251A (ko) * 2000-04-14 2000-07-05 주진용 온라인 학습을 이용한 인터넷 상의 광고 방법
KR20000037344A (ko) * 2000-04-19 2000-07-05 정의신 인터넷 검색시 광고 방법
KR20000054706A (ko) * 2000-06-16 2000-09-05 강희도 인터넷사이트에 글을 등록할수 있는 게시판을 이용한인터넷광고방법
KR20000063613A (ko) * 2000-07-26 2000-11-06 조동신 보상식 인터넷 광고가 이루어 지는 웹사이트와 이를이용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KR20010000710A (ko) * 2000-10-14 2001-01-05 김현석 인터넷 상의 맞춤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5937A1 (en) * 2012-10-04 2014-04-10 Ledon Horacio Read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496A (ko) 200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oyle A dictionary of marketing
Hanafizadeh Online Advertising and Promotion: Modern Technologies for Marketing: Modern Technologies for Marketing
Maroufkhani et al. How do interactive voice assistants build brands' loyalty?
US7117173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inancial services to children and teenagers
Stroud Internet strategies: A corporate guide to exploiting the internet
KR20020059212A (ko) 광고 콘텐츠 제공과 보상을 제공하는 방법
KR20100130169A (ko) 텍스트 콘텐츠에 광고 콘텐츠를 결합하여 광고하는 방법
KR101170953B1 (ko) 텍스트 콘텐츠에 광고 콘텐츠를 결합하여 광고하는 방법
KR100905973B1 (ko) 이미지 콘텐츠에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결합하여광고하는 방법
Haris et al. Marketing Communications as Strategy Expanding Market Share In Era 4.0
KR100992071B1 (ko) 아이콘을 통한 하이퍼링크 된 웹페이지의 속성 정보 제공 방법
KR100807870B1 (ko) 광고가 결합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전자 상거래를 유도하는 방법
KR20070078767A (ko) 광고가 결합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KR100926123B1 (ko) 디지털 콘텐츠에 포함된 텍스트 콘텐츠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100872056B1 (ko) 텍스트 콘텐츠에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결합하여 광고하는 방법 및 그 광고 결합 서버
Karson Internet advertising: New media, new models?
Letunovska et al. Marketing in the digital environment
KR100891913B1 (ko) 텍스트 콘텐츠를 이용하여 광고하는 방법
KR100955693B1 (ko) 텍스트 콘텐츠를 이용한 광고 방법.
Lin Toward the understanding of web equity on an e-commerce website
Βασιλούδη Consumer perceived risk, attitude and online shopping behaviour
Mollah Impact of Internet Banner Advertisement on Social Media'S Consumer Buying Behaviour: A Case Study of Facebook
Ottosson et al. Marketing New Products
Mike Bt. bm. 525 400+ Essential Digital Marketing Tips for Your Business
Haig How Come You Don't Have an E-business Strategy?: The Essential Guide to Online Busin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