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7858B1 -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07858B1 KR100807858B1 KR1020067023793A KR20067023793A KR100807858B1 KR 100807858 B1 KR100807858 B1 KR 100807858B1 KR 1020067023793 A KR1020067023793 A KR 1020067023793A KR 20067023793 A KR20067023793 A KR 20067023793A KR 100807858 B1 KR100807858 B1 KR 1008078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ner
- toner container
- container
- supported portion
- support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transfer unit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3—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developer unit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토너 용기 지지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토너 용기(32Y)는, 개구를 포함하고 토너 용기에 수용된 토너를 개구로부터 배출하는 용기 몸체와, 비회전 방식으로 토너 용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피지지부(34Y)를 포함한다. 피지지부(34Y)는, 토너 용기 지지부로의 피지지부의 탈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토너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 부재(플러그 부재(34d))를 포함한다.The toner container 32Y detachably mounted to the toner container support part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in body includes a container body including an opening and discharging toner contained in the toner container from the opening, and supported by the toner container support part in a non-rotating manner. And a supported portion 34Y. The supported portion 34Y includes an opening / closing member (plug member 34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oner discharge por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detaching operation of the supported portion to the toner container support por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사용되는 토너를 공급하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토너 용기와 그것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lates to a toner container detachably mounted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main body for supplying toner used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러한 기능이 설치된 복합기와 같은 전자 사진 시스템을 사용하는 통상적인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토너를 현상 장치에 공급하는 실린더형 토너 용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 및 특허 문헌 3 참조).In a typical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an electrophotographic system such as a copying machine, a printer, a facsimile machine or a multifunction apparatus equipped with such a function, a cylindrical toner container for supplying toner to a developing apparatus is known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See
특허 문헌 1 등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토너 용기 지지부(toner container holder, 보틀 지지부, 장착부)에 교체 가능하도록 설치된 토너 용기(토너 보틀, 약제 저장 용기)는 주로 용기 몸체와 피지지부(held portion, 캡부, 캡)를 주로 포함한다. 나선형 돌기는 용기 몸체의 내부 원주면을 따라서 설치되고, 용기 몸체에 수용된 토너는 용기 몸체의 회전을 통해 개구를 향해 반송된다. 피지지 부는 용기 몸체의 개구와 연통하고, 토너 용기 지지부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지 않도록 지지된다(즉, 토너 용기와 함께 회전하지 않는다). 용기 몸체의 개구로부터의 토너 배출은 피지지부에 설치된 토너 배출구로부터 배출된다. 그 후에, 피지지부의 토너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토너는 현상 장치로 공급된다.In Patent Document 1 and the like, a toner container (toner bottle, chemical storage container) provided so as to be replaceable to a toner container holder (bottle supporter, mounting portion) of the main body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s mainly a container body and a held portion, A cap part and a cap). The spiral protrusion is install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ton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body is conveyed toward the opening through the rotation of the container body. The supported portion communicates with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and is supported by the toner container support so as not to be rotatable (ie, does not rotate with the toner container). Toner discharge from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is discharged from the toner discharge port provided in the supported portion. Thereafter, the toner discharged from the toner discharge port of the supported portion is supplied to the developing apparatus.
이상의 방식으로 구성된 토너 용기는, 그 각각이 피지지부를 갖지 않고 용기 몸체의 개구로부터 현상 장치로 직접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 용기(예를 들어, 특허 문헌 5 및 특허 문헌 6 참조)와 비교할 때, 토너 용기의 교체시 토너 얼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토너 용기의 탈착 동작(attachment/detachment operation, 회전 동작) 부분과 동기화하여 피지지부의 토너 배출구가 개폐되기 때문에, 토너 배출구에 닿아서 사용자의 손이 더러워지는 것과 같은 문제점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토너 배출구는 수직 방향으로 토너 용기의 하부의 하방으로 형성되고, 토너 용기가 빌 때, 토너 배출구 근처의 토너량이 자중에 의한 저하(drop)로 인하여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토너 용기의 교체시 토너 배출구에서의 토너 얼룩은 감소된다.The toner containers constructed in the above manner are compared with the toner containers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s 5 and 6), each of which does not have a supported portion and supplies the toner directly from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to the developing apparatus. Toner stains can be reduced when the container is replaced. More specifically, since the toner outlet of the supported portion is opened and clos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attachment / detachment operation (rotation operation) portion of the toner container, problems such as contact with the toner outlet and soiling of the user's hand can be suppressed. Can be. Further, the toner discharge port is formed below the lower part of the toner contain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when the toner container is empty, the amount of toner near the toner discharge port can be reduced due to drop by its own weight. In addition, toner staining at the toner discharge port is reduced when the toner container is replaced.
더욱 구체적으로는, 특허 문헌 1 등에 있어서, 토너 용기가 장치 본체의 토너 용기 지지부에 장착될 때, 처음에는, 본체 덮개(적층부(stack portion))는 상방향으로 개방되고, 토너 용기 지지부가 노출된다. 그 후에, 토너 용기는 그 상측으로부터 토너 용기 지지부 상에 배치된다. 그 후에, 피지지부에 일체로 설치된 손잡이가 지지되고, 피지지부가 회전하게 된다(회전 동작). 이러한 동작으로, 토너 용기의 위치가 토너 용기 지지부에 최종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피지지부에 설치된 토너 배출구는 피지지부의 회전에 응답하여 하부로 이동되고, 셔터(shutter)는 스프링의 가세력에 저항하기 위해 하방으로 토너 배출구를 개방한다.More specifically, in Patent Document 1 or the like, when the toner container is mounted on the toner container support part of the apparatus main body, at first, the main body cover (stack portion) is opened upward and the toner container support part is exposed. do. Thereafter, the toner container is disposed on the toner container support from above. Thereafter, the handle integrally provided on the supported portion is supported, and the supported portion rotates (rotation operation). In this operation, the position of the toner container is finally fixed to the toner container support. Further, the toner discharge port provided in the supported portion is moved downward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supported portion, and the shutter opens the toner discharge opening downward to resist the force of the spring.
반면에, 특허 문헌 4 등은 백(bag) 용기 또는 캡 부재를 갖는 토너 저장 용기를 공개한다. 캡 부재의 토너 배출구는, 탈착 동작시 발생하는 토너 얼룩(토너 비산)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토너 저장 용기의 탈착 동작의 부분적인 동작(개폐 폴더의 회전 동작)에 동기화하여(in synchronization) 개폐된다.On the other hand, Patent Document 4 and the like disclose a toner storage container having a bag container or a cap member. The toner discharge port of the cap member is opened and closed in synchronization with a partial operation (rotation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folder) of the toner storage container for the purpose of reducing toner spots (toner scattering) generated during the desorption operation. .
더욱 구체적으로는, 토너 저장 용기가 장치 몸체에 부착될 때, 처음에는, 개폐 지지부(open/close holder, 개폐 폴더)는 힌지 둘레로 회전하고, 개폐 지지부의 상측이 노출된다. 그 후에, 토너 저장 용기는 개폐 지지부에 배치된다. 그 후에, 토너 저장 용기가 배치된 개폐 지지부는 힌지 둘레로 회전된다(회전 동작). 이러한 동작으로, 토너 저장 용기의 위치는 장치 몸체에 최종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플로그 부재(셔터 부재)는, 패킹(packing, G 밀봉체(seal))에 의해 밀봉되는 토너 배출구를 개방하기 위해, 스프링의 가세력에 저항하도록 개폐 지지부의 회전에 응답하여 노즐(토너 반송관)에 의해 압입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toner storage container is attached to the apparatus body, initially, the open / close holder (open / close folder) rotates around the hinge, and the upper side of the open / close support is exposed. Thereafter, the toner storage container is dispos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support portion. Thereafter, the opening and closing support on which the toner storage container is disposed is rotated around the hinge (rotation operation). In this operation, the position of the toner storage container is finally fixed to the apparatus body. In addition, the plug member (shutter member), in order to open the toner discharge port sealed by the packing (G seal),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support portion to resist the force of the spring (toner conveyance) Tube).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4-287404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4-287404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1-5286호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5286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0-310901호Patent Document 3: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0-310901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4-161371호Patent Document 4: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4-161371
특허 문헌 5: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0-338758호Patent Document 5: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0-338758
특허 문헌 6: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3-233248호Patent Document 6: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3-233248
특허 문헌 1 내지 특허 문헌 3 등에서 공개된 토너 용기의 각각은 특허 문헌 5 및 특허 문헌 6 등과 비교할 때 토너 배출구에서 더 적은 토너 얼룩을 갖고, 그러므로, 토너 배출구를 만질 때 사용자의 손이 토너로 더러워지는 것과 같은 문제점이 방지되는 효과를 얻는 것이 예상된다. 그러나, 특허 문헌 1 내지 특허 문헌 3 등의 토너 용기는 탈착시(교체) 운용성(operability)/가공성(workability)의 측면에서 단점이 있다.Each of the toner container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s 1 to 3, etc., has less toner stains at the toner discharge ports as compared to Patent Documents 5 and 6, and therefore, the user's hands get dirty with the toner when touching the toner discharge ports. It is anticipated to obtain an effect in which a problem such as this is prevented. However, toner containers such as Patent Documents 1 to 3 have disadvantages in terms of operability / workability upon detachment (replacement).
제 1 단점은 토너 용기 지지부로의 탈착 동작이 복수의 동작으로 실시된다는 것과 같은 점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토너 용기의 탈착 동작은, 본체 덮개를 개폐하는 동작, 토너 용기 지지부의 토너 용기를 설치/제거하는 동작 및 피지지부를 회전하는 동작과 같은 복수의 동작을 포함한다.The first disadvantage is that the desorption operation to the toner container support is performed in a plurality of operations. More specifically, the detaching operation of the toner container includes a plurality of operations such as opening and closing the main body cover, installing / removing the toner container of the toner container support part, and rotating the supported part.
제 2 단점은 장착 동작이 거의 완료될 때까지 사용자가 동작이 적절하나 수행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과 같은 점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체 덮개를 개방하는 동작과 토너 용기 지지부 상의 토너 용기를 배치하는 동작이 완성될 때 동작이 그 시점에서 올바른지를 사용자가 확신할 수 없다. 그 후에, 피지지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피지지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자는 피지지부의 찰칵하는 느낌을 받고, 오류없이 동작이 수행되었다는 확신을 받는다.A second disadvantage is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verify that the operation is appropriate but performed until the mounting operation is almost complete. More specifically, the user may not be sure that the operation is correct at that time when the operation of opening the main body cover and the operation of arranging the toner container on the toner container support are completed. Thereafter, by rotating the supported portion to fix the position of the supported portion, the user feels a click of the supported portion and is convinced that the operation was performed without error.
제 3 단점은 토너 용기 지지부의 상측이 배치(layout)의 측면에서 제한된다는 것과 같은 점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토너 용기 지지부 상의 토너 용기를 상측으로부터 배치하기 위해, 수직 방향으로의 본체 덮개를 개폐하는 동작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본체 덮개를 개폐하고 토너 용기를 배치/제거하는 배치를 필요로 하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로 인하여 스캐너(문서 리더기) 등이 토너 용기 지지부 위에 설치될 때 토너 용기의 탈착의 운용성/가공성의 감소를 야기한다.A third disadvantage is that the upper side of the toner container support is limited in terms of layout. More specifically, in order to arrange the toner container on the toner container support from above, an operation of opening and closing the main body cover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required. Therefore, it is required to secure a space that requires an arrangemen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main body cover and disposing / removing the toner container. This causes a decrease in operability / processability of desorption of the toner container when a scanner (document reader) or the like is installed on the toner container support.
반면에, 특허 문헌 4 등에서 기술된 토너 용기 지지부에 있어서, 플러그 부재는, 패킹에 의해 밀봉되는 토너 용기를 개방하기 위해, 개폐 지지부의 개방 동작에 응답하여 노즐에 의해 압입된다. 그러므로, 토너 얼룩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예상될 수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4 등에 따른 토너 저장 용기는 또한 탈착시 운용성/가공성의 측면에서 몇몇 단점을 갖는다.On the other hand, in the toner container support portion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4 and the like, the plug member is press-fitted by the nozzle in response to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support portion to open the toner container sealed by the packing. Therefore, the effect of reducing the occurrence of toner spots can be expected. However, the toner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4 or the like also has some disadvantages in terms of operability / processability when detached.
제 1 단점은 토너 저장 용기의 토너 양이 증가될 수 없고, 따라서, 토너 저장 용기의 교체 빈도가 증가한다는 것이다. 토너 저장 용기는 토너를 저장하기 위한 세로의 백 용기를 갖는다. 백 용기는 수직으로 서도록 배치된다. 그러므로, 백 용기의 용량이 증가되면, 토너 저장 용기의 높이는 증가될 필요가 있다. 이는 개폐 지지부의 높이를 증가시키고, 전체 화상 형성 장치의 높이에 있어서의 배치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토너 저장 용기의 토너 양은 많이 증가될 수 없고, 교체 주기는 특허 문헌 1 등에 따른 토너 용기(수평 방향이 세로 방향으로 설정됨)와 비교할 때 증가한다.The first disadvantage is that the toner amount of the toner storage container cannot be increased, and therefore the frequency of replacement of the toner storage container is increased. The toner storage container has a vertical bag container for storing toner. The bag container is arranged to stand vertically. Therefore, when the capacity of the bag container is increased, the height of the toner storage container needs to be increased. This increases the height of the opening and closing support and affects the arrangement in the height of the entire image forming apparatus. Therefore, the toner amount of the toner storage container cannot be increased much, and the replacement cycle is increased when compared with the toner container (the horizontal direction is set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or the like.
제 2 단점은 사용자가 오류 없이 동작이 수행되었는지 확신을 받는 것이 어렵다는 것과 같은 점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플러그 부재가 개폐 지지부의 개폐 동작에 동기화하여 토너 배출구를 개폐하기 때문에, 동작시 사용자가 토너 저장 용기를 만지지 못하는 관계로 토너 배출구가 실제로 개방 또는 폐쇄되었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감지하기 어렵다.A second disadvantage is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be sure that the operation was performed without error. More specifically, since the plug member opens and closes the toner outle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support,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detect whether the toner outlet is actually opened or closed because the user does not touch the toner storage container during the operation. .
본 발명은 적어도 이러한 통상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성취되며, 교체시 높은 운용성/가공성을 갖고 토너 얼룩의 발생을 확실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토너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t least accomplished 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d it is desirable to provide a toner container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which have a high operability / processability and can reliably reduce the occurrence of toner spots upon replacement. Purpose.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범위 제 1 항에 공개된 본 발명에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토너 용기 지지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토너 용기는, 토너를 수용하고, 토너를 배출하는 개구를 포함하는 용기 몸체; 및 개구로부터 배출된 토너를 배출하는 토너 배출구를 포함하고, 개구로부터 배출된 토너를 토너 배출구로부터 배출하고, 비회전 방식으로 토너 용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피지지부를 포함하고, 피지지부는, 토너 용기 지지부로의 피지지부의 탈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토너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invention disclosed in claim 1, the toner container detachably mounted on the toner container support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in body accommodates the toner, A container body including an opening for discharging; And a toner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toner discharged from the opening, wherein the toner discharged from the opening is discharged from the toner discharge port, and includes a supported portion supported by the toner container support portion in a non-rotating manner; And an opening / closing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oner discharge por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detaching operation of the supported portion to the support portion.
청구범위 제 2 항에 공개된 본 발명에 따라서, 청구 범위 제 1 항에 따른 토너 용기에 있어서, 개폐 부재는, 토너 배출구를 개방하기 위해 토너 용기 지지부로의 장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토너 용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노즐에 의해 눌리고, 토너 배출구를 폐쇄하기 위해 토너 용기 지지부로부터의 이탈 동작에 동기화하여 가세 부재에 의해 가세되는 플러그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isclosed in
청구범위 제 3 항에 공개된 본 발명에 따라서, 청구 범위 제 2 항에 따른 토너 용기에 있어서, 가세 부재는, 토너 용기 지지부에 설치되고, 토너 용기의 장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피지지부의 장착을 차단하지 않는 위치로 수축하고, 따라서 플러그 부재와 결합되는 위치로 돌출하고, 동시에 토너 용기의 이탈 동작에 동기화하여 플러그 부재를 가세하고, 따라서 피지지부의 이탈을 차단하지 않는 위치로 수축하는 클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isclosed in claim 3, in the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청구범위 제 4 항에 공개된 본 발명에 따라서, 청구 범위 제 3 항에 따른 토너 용기에 있어서, 클로 부재는, 플러그 부재와 결합되어 토너 용기 지지부에서 노즐과 함께 플러그 부재의 위치를 고정하고, 피지지부는, 토너 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해, 플러그 부재가 고정된 위치에서 탈착 방향을 따라서 더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isclosed in claim 4, in the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3, the claw member is engaged with the plug member to fix the position of the plug member together with the nozzle at the toner container support, The branch is characterized by further moving along the detachment direction at a position where the plug member is fixed to open and close the toner discharge port.
청구범위 제 5 항에 공개된 본 발명에 따라서, 청구 범위 제 3 항에 따른 토너 용기에 있어서, 클로 부재는 수축 위치로부터 결합 위치로 제 2 가세 부재에 의해 가세되고, 제 2 가세 부재는, 클로 부재가 플러그 부재를 가세하는 힘이 플러그 부재의 활주 저항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isclosed in claim 5, in the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3, the claw member is biased by the second biasing member from the contracted position to the engaged position, and the second biased member is The member is formed so that the force for applying the plug member is greater than the sliding resistance of the plug member.
청구범위 제 6 항에 공개된 본 발명에 따라서, 청구 범위 제 2 항에 따른 토너 용기에 있어서, 플러그 부재는, 토너 배출구가 개폐될 때의 행정이 수동에 의해 이동 가능한 행정보다 길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isclosed in claim 6, in the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청구범위 제 7 항에 공개된 본 발명에 따라서, 청구 범위 제 2 항에 따른 토너 용기는, 토너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토너를 가스와 함께 반송하기 위해, 내부로 가스를 송출 또는 송입하는 펌프로 연결되는 반송관(71)으로 노즐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isclosed in
청구범위 제 8 항에 공개된 본 발명에 따라서, 청구 범위 제 1 항에 따른 토너 용기에 있어서, 피지지부는, 토너 용기 지지부로의 탈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토너 용기 지지부를 따라서 활주하는 활주부를 포함하고, 개폐 부재는 활주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isclosed in claim 8, the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ed portion includes a sliding portion that slides along the toner container suppor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detaching operation to the toner container support;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installed at a position surrounded by the sliding portion.
청구범위 제 9 항에 공개된 본 발명에 따라서, 청구 범위 제 1 항에 따른 토너 용기는, 용기 몸체의 세로 방향을 따라서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isclosed in claim 9, the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ach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body.
청구범위 제 10 항에 공개된 본 발명에 따라서, 청구 범위 제 9 항에 따른 토너 용기는, 용기 몸체의 세로 방향이 수평 방향으로 설정된 것을 기초로 토너 용기 지지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isclosed in
청구범위 제 11 항에 공개된 본 발명에 따라서, 청구 범위 제 9 항에 따른 토너 용기에 있어서, 피지지부가 용기 몸체의 헤드로 설정되도록, 피지지부가 토너 용기 지지부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isclosed in claim 11, the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9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ed portion is mounted as the toner container support so that the supported portion is set as the head of the container body.
청구범위 제 12 항에 공개된 본 발명에 따라서, 청구 범위 제 1 항에 따른 토너 용기에 있어서, 용기 몸체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용된 토너를 회전에 뒤따라서 개구를 향해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isclosed in claim 12, the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iner body is rotatably provided and conveys the received toner toward the opening following rotation. .
청구범위 제 13 항에 공개된 본 발명에 따라서, 청구 범위 제 12 항에 따른 토너 용기에 있어서, 용기 몸체는, 원주면 상에 및 개구측 상에 설치되고, 회전 구동력을 용기 몸체로 전달하는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isclosed in
청구범위 제 14 항에 공개된 본 발명에 따라서, 청구 범위 제 12 항에 따른 토너 용기에 있어서, 용기 몸체는 내부 원주면을 따라서 나선형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isclosed in claim 14, the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iner body comprises a spiral protrusion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청구범위 제 15 항에 공개된 본 발명에 따라서, 청구 범위 제 12 항에 따른 토너 용기에 있어서, 용기 몸체는, 수용된 상기 토너를 개구를 향해 반송하는 반송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isclosed in claim 15, the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iner body includes a conveying member for conveying the received toner toward an opening.
청구범위 제 16 항에 공개된 본 발명에 따라서, 청구 범위 제 15 항에 따른 토너 용기에 있어서, 반송 부재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코일 또는 스크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isclosed in claim 16, the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5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veying member is a coil or screw rotatably provided.
청구범위 제 17 항에 공개된 본 발명에 따라서, 청구 범위 제 1 항에 따른 토너 용기에 있어서, 피지지부는 개구를 통해 용기 몸체와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isclosed in claim 17, the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ed portion communicates with the container body through an opening.
청구범위 제 18 항에 공개된 본 발명에 따라서, 청구 범위 제 1 항에 따른 토너 용기에 있어서, 용기 몸체는 내부에 토너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isclosed in claim 18, the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iner body accommodates toner therein.
청구범위 제 19 항에 공개된 본 발명에 따라서, 청구 범위 제 18 항에 따른 토너 용기에 있어서, 용기 몸체는 내부에 담지체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isclosed in
청구범위 제 20 항에 공개된 본 발명에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설치되는 토너 용기 지지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 항에 따른 토너 용기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본 발명은 토너 용기 지지부에 설치된 토너 용기의 구성을 최적화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교체시 높은 운용성/가공성을 갖고 토너 얼룩의 발생을 확실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토너 용기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optimizes the configuration of the toner container installed in the toner container suppor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ner container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which have a high operability / processability upon replacement and can reliably reduce the occurrence of toner spots.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로서 프린터에 대한 전체적인 개략도이다.1 is an overall schematic view of a printer as an image forming apparatus.
도 2는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유닛(imaging unit)의 확대도이다.2 is an enlarged view of an imaging unit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도 3은 화상 형성 장치의 토너 공급 경로의 개략도이다.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oner supply path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도 4는 토너 용기 지지부의 부분에 대한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the toner container support.
도 5는 토너 용기의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ner container.
도 6은 토너 용기의 헤드 측(head side)에 대한 단면도이다.6 is a sectional view of the head side of the toner container.
도 7은 도 6에서 M 방향에서 볼 때의 토너 용기에 대한 개략도이다.FIG. 7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oner container as viewed in the M direction in FIG.
도 8A는 교반 부재(stirring member)의 한 예에 대한 사시도이다.8A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xample of a stirring member.
도 8B는 도 6에서 M 방향에서 볼 때의 교반 부재의 한 예에 대한 개략도이다.FIG. 8B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xample of the stirring member when viewed in the M direction in FIG. 6.
도 8C는 교반 부재의 한 예에 대한 측면도이다.8C is a side view of one example of the stirring member.
도 9는 토너 용기의 헤드 측의 다른 예에 대한 단면도이다.9 is a sectional view of another example of the head side of the toner container.
도 10은 토너 용기 지지부의 개략도이다.10 is a schematic view of a toner container support.
도 11은 노즐의 개략도이다.11 is a schematic view of a nozzle.
도 12는 세로 방향에서 볼 때의 옐로우 토너 용기가 토너 용기 지지부에 장착되는 방법에 대한 개략도이다.12 is a schematic diagram of how the yellow toner container when moun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mounted to the toner container support.
도 13은 세로 방향에서 볼 때의 토너 용기의 장착이 진행되는 방법에 대한 개략도이다.Fig. 13 is a schematic diagram of how the mounting of the toner container as vie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roceeds.
도 14는 세로 방향에서 볼 때의 토너 용기 지지부에 장착되는 토너 용기에 대한 개략도이다.Fig. 1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oner container mounted on a toner container supporter when vie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15는 지지부에서 볼 때의 토너 용기가 토너 용기 지지부에 장착되는 방법에 대한 개략도이다.Fig. 15 is a schematic view of how the toner container as seen from the support is mounted on the toner container support.
도 16은 지지부에서 볼 때의 토너 용기 지지부에 장착되는 토너 용기에 대한 개략도이다.16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oner container mounted on a toner container support part as viewed from the support part.
도 17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의 헤드 측에 대한 단면도이다.17 is a sectional view of the head side of the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18A는 세로 방향에서 볼 때의 옐로우 토너 용기가 토너 용기 지지부로 장착되는 방법에 대한 개략도이다.18A is a schematic diagram of how the yellow toner container as vie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mounted as the toner container support.
도 18B는 상측에서 볼 때의 옐로우 토너 용기가 토너 용기 지지부로 장착될 때 피지지부의 지지부 둘레 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Fig. 18B is a sectional view of the periphery of the support portion of the supported portion when the yellow toner container as viewed from the upper side is mounted as the toner container support portion.
도 19A는 세로 방향에서 볼 때의 토너 용기 지지부로 장착되는 토너 용기에 대한 개략도이다.19A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oner container mounted as a toner container support when view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19B는 상측에서 볼 때의 토너 용기가 토너 용기 지지부로 장착될 때 지지부 둘레 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Fig. 19B is a sectional view of the periphery of the support when the toner container as viewed from above is mounted as the toner container support.
도 20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의 사시도이다.20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도 21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 지지부에 설치된 암 페어(arm pair)의 사시도이다.Fig. 2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rm pair provided in the toner container suppor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도 22는 암 페어의 분해 사시도이다.2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rm pair.
도 23은 상측에서 볼 때의 옐로우 토너 용기가 토너 용기 지지부에 장착되는 때 암 페어와 피지지부 사이의 관계에 대한 개략도이다.Fig. 23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m pair and the supported portion when the yellow toner container as seen from above is mounted to the toner container support portion.
도 24는 상측에서 볼 때의 토너 용기의 장착이 진행될 때 암 페어와 피지지부 사이의 관계에 대한 개략도이다.Fig. 24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m pair and the supported portion as the mounting of the toner container as viewed from above proceeds.
도 25는 상측에서 볼 때의 토너 용기가 토너 용기 지지부에 장착될 때 암 페어와 피지지부 사이의 관계에 대한 개략도이다.Fig. 25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m pair and the supported portion when the toner container when mounted from the top side is mounted to the toner container support portion.
도 26은 제 5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가 토너 용기 지지부에 장착된 때의 암 페어에 대한 개략도이다.Fig. 26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rm pair when the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is mounted on the toner container support.
도 27A는 세로 방향에서 볼 때의 옐로우 토너 용기가 토너 용기 지지부에 장착되는 방법에 대한 개략도이다.Fig. 27A is a schematic diagram of how the yellow toner container when moun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mounted to the toner container support.
도 27B는 상측에서 볼 때의 옐로우 토너 용기가 토너 용기 지지부에 장착되는 때 지지부 둘레 부분에 대한 개략도이다.Fig. 27B is a schematic view of the portion around the support when the yellow toner container when mounted from the top is mounted on the toner container support.
도 28A는 세로 방향에서 볼 때의 토너 용기 장착이 진행되는 방법에 대한 개략도이다.Fig. 28A is a schematic diagram of how the toner container mounting proceeds when vie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28B는 상측에서 볼 때의 토너 용기 장착이 진행되는 때 피지지부의 지지부 둘레 부분에 대한 개략도이다.Fig. 28B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of the supported portion as the toner container mounting proceeds from the upper side.
도 29A는 세로 방향에서 볼 때의 토너 용기 지지부에 장착되는 토너 용기에 대한 개략도이다.Fig. 29A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oner container mounted on the toner container support part when vie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29B는 상측에서 볼 때의 토너 용기가 토너 용기 지지부에 장착되는 때 지지부 둘레 부분에 대한 개략도이다.Fig. 29B is a schematic view of the portion around the support when the toner container when mounted from the top is mounted on the toner container support.
도 30A는 제 7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가 토너 용기 지지부에 장착되는 방법에 대한 개략도이다.30A is a schematic diagram of how the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is mounted on the toner container support.
도 30B는 제 7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가 토너 용기 지지부에 장착되는 방법에 대한 개략도이다.30B is a schematic diagram of how the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is mounted on the toner container support.
도 31은 제 8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의 사시도이다.Fig. 3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도 32는 제 9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의 단면도이다.32 is a sectional view of a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도 33은 제 10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의 단면도이다.33 is a sectional view of a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도 34는 판 부재(plate member)에 대한 개략도이다.34 is a schematic view of a plate member.
도 35는 화상 형성 장치의 토너 공급 경로에 대한 개략도이다.3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oner supply path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도 36은 토너 용기의 사시도이다.36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ner container.
도 37은 토너 용기의 헤드 측에 대한 단면도이다.37 is a sectional view of the head side of the toner container.
도 38은 도 37의 M 방향에서 볼 때의 토너 용기에 대한 개략도이다.FIG. 38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oner container as viewed in the M direction of FIG. 37; FIG.
도 39는 세로 방향에서 볼 때의 옐로우 토너 용기가 토너 용기 지지부에 장착되는 방법에 대한 개략도이다.Fig. 39 is a schematic diagram of how the yellow toner container when moun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mounted to the toner container support.
도 40은 세로 방향에서 볼 때의 토너 용기 장착이 진행되는 방법에 대한 개략도이다.40 is a schematic diagram of how the toner container mounting proceeds when vie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41은 세로 방향에서 볼 때의 토너 용기 지지부에 장착되는 토너 용기에 대한 개략도이다.Fig. 41 is a schematic view of a toner container attached to the toner container support part when view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42는 피지지부의 이동 위치와 토너 용기 장착 동작시 암 페어로부터 피지지부로 인가되는 하중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42 is a graph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moving position of the supported portion and the load applied from the arm pair to the supported portion during the toner container mounting operation.
도 43은 제 12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 지지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토너 용기에 대한 사시도이다.FIG. 4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ner container detachably mounted to a toner container supporting part according to the twelfth embodiment; FIG.
도 44는 제 12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에 대한 단면도이다.44 is a sectional view of a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a twelfth embodiment.
도 45는 토너 용기 지지부에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에 대한 사시도이다.Fig. 4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se plate provided in the toner container support.
도 46은 토너 용기가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한 확대된 부분 단면도이다.Fig. 46 is an enlarged partial sectional view of a base plate on which a toner container is installed.
<도면의 주요 구성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Components of Drawings>
1Y, 1M, 1C, 1K 감광체 드럼(Photosensitive drum)1Y, 1M, 1C, 1K photosensitive drum
2Y 클리닝 유닛2Y Cleaning Unit
2a 클리닝 블레이드2a cleaning blade
4Y 대전 장치(charger)4Y charger
5Y 현상 장치5Y developing device
6Y, 6M, 6C, 6K 화상 유닛6Y, 6M, 6C, 6K Imaging Unit
7 노광 장치7 exposure equipment
8 중간 전사 벨트8 intermediate transfer belt
9Y, 9M, 9C, 9K 1차 전사 가세 롤러9Y, 9M, 9C, 9K Primary Transfer Cast Rollers
10 중간 전사 클리닝 유닛10 Intermediate Transfer Cleaning Unit
12 2차 전사 백업 롤러12 Secondary Transfer Backup Roller
13 클리닝 백업 롤러13 Cleaning backup roller
14 장력 롤러(tension roller)14 tension roller
19 2차 전사 롤러19 Secondary Transfer Roller
20 정착 유닛20 fusing unit
26 급지 유닛(paper feed unit)26 paper feed unit
27 급지 롤러27 Feed Roller
28 정렬 롤러쌍(registration roller pair)28 registration roller pair
29 배지 롤러쌍(paper-discharge roller pair)29 paper-discharge roller pair
30 적층부(stack portion)30 stack portion
31 토너 용기 지지부31 Toner Container Support
31a, 31b 활주면(sliding face, 가이드 레일)31a, 31b sliding face (guide rail)
31c 위치결정 부재(positioning member)31c positioning member
31c1, 34g1 테이퍼(taper)31c1, 34g1 taper
31d, 31e 피팅 부재(fitting member)31d, 31e fitting member
31g 구동 기어31g drive gear
32Y, 32M, 32C, 32K 토너 용기32Y, 32M, 32C, 32K Toner Container
33Y 용기 몸체33Y container body
33a 선단33a tip
33b 돌기33b turning
33c 기어(보틀 기어)33c gear (bottle gear)
33d 그리퍼(gripper)33d Gripper
33f, 33h 교반 부재33f, 33h stirring member
33g1 판 부재33g1 plate member
33g2 링 부재33g2 ring member
34Y 피지지부(캡)34Y Supported Part (Cap)
34a 캡 주요부34a cap main part
34a1 돌출부34a1 protrusion
34a2 베어링부34a2 bearing
34b 캡 덮개34b cap cover
34b1 클로34b1 claw
34c, 340c, 134m 지지부34c, 340c, 134m support
34c1, 34c2 활주부34c1, 34c2 sliding parts
34d 플러그 부재(plug member, 개폐 부재, 셔터)34d plug member (opening member, shutter)
34e 패킹34e packing
34f 압축 스프링34f compression spring
34g 결합부(engaging portion, 홈부)34g Engaging portion (groove)
34h 노치부34h notch
34k 평탄부(flat portion)34k flat portion
34m 오목부34m recessed
34n 볼록부34n convex
340m 모서리부(corner portion)340m corner portion
35 ID 칩(chip)35 ID chip
37 밀봉 부재(밀봉체)37 Sealing member (sealed body)
43Y 토너 반송관43Y Toner Carrier
51Y 현상 롤러51Y developing roller
52Y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52Y doctor blade
53Y, 54Y 현상제 저장 유닛53Y, 54Y Developer Storage Unit
55Y 반송 스크루55Y return screw
56Y 밀도 감지 센서56Y density sensor
59 토너 공급 장치59 Toner Supply
60 스크루 펌프(분체 펌프)60 screw pump (powder pump)
61 로터(rotor)61 rotor
62 스테이터(stator)62 stator
63 흡입구(suction port)63 suction port
64 유니버셜 조인트64 Universal Joint
66 모터66 motor
67 주입구(feed port)67 feed port
70 노즐(토너 반송관, 결합 부재)70 nozzles (toner return pipe, coupling member)
70a 토너 공급 포트(수용 구멍)70a toner supply port (receptive hole)
70b 위치결정 핀70b positioning pin
71 관(반송관(71))71 tube (return tube (71))
73 고정부(holding portion)73 holding portion
74 통신 회로(터미널)74 Communication Circuit (Terminal)
75 제어기75 controller
76 클로 부재76 claw member
76a 회전 스핀들76a rotary spindle
77 판 스프링(제 2 가세 부재)77 leaf spring (the second biased member)
80Y 회전축80Y rotary shaft
81Y 코일(반송 부재)81Y Coil (Conveying Member)
83Y 쓰레드 로드(threaded rod)83Y threaded rod
83Ya 수나사부83Ya male thread
84Y 판 부재(반송 부재)84Y plate member (transport member)
84Ya 암나사부84Ya female thread
85Y 안내부(guide portion)85Y guide portion
90 암 페어(가세 유닛)90 female pairs (virtual unit)
91 제 1 암(제 2 가세 요소)91 first arm (the second tax element)
92 제 2 암(가세 요소)92 second arm (virtual element)
93 스핀들93 spindles
94 비틀림 스프링94 torsion springs
100 화상 형성 장치 본체(장치 몸체)100 Image forming apparatus main body (device body)
A 개구A opening
B 토너 배출구(공급 포트)B Toner Outlet (Supply Port)
G 현상제G developer
L 레이저 광L laser light
P 전사 소재P warrior material
310a 베이스 플레이트310a base plate
31a11 안내 홈31a11 Guide Home
31a12 안내 모서리31a12 guide edge
340n 노즐 구멍340n nozzle hole
340k 위치결정 구멍340k positioning hole
340b1 클로(클로부)340b1 claw
340c2 개구340c2 opening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에 관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또는 동등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번호로 지정되고,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간략화되거나 필요없는 경우 생략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or equivalent parts are design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numbers, and descriptions of overlapping parts are simplified or omitted if not necessary.
(제 1 실시예)(First embodiment)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16에 관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spect to FIGS. 1 to 16.
전반적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이 도 1 내지 도 4에 관하여 먼저 설명된다.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overall image forming apparatus are firs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인 프린터에 대한 전반적인 개략도이고, 도 2는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유닛의 확대도이고, 도 3은 토너 공급 경로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4는 토너 용기 지지부의 부분에 대한 사시도이다.Fig. 1 is an overall schematic view of a printer which is an image forming apparatus,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n image unit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Fig. 3 is a schematic view of a toner supply path,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a toner container support. to b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토너 용기(32Y, 32M, 32C, 32K)는 색상(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에 대응하고, 화상 형성 장치(100) 본체의 상측에 설치된 토너 용기 지지부(31)에 탈착 가능하도록(교체 가능하도록) 배치된다.As shown in Fig. 1, the four
중간 전사 유닛(15)이 토너 용기 지지부의 하측에 설치된다. 색상(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에 대응하는 화상 유닛(6Y, 6M, 6C, 6K)은 중간 전사 유닛(15)의 중간 전사 벨트(8)에 대향하도록 텐덤(tandem) 방식으로 배치된다.The intermediate transfer unit 15 is provided below the toner container support. The
도 2에 관하여, 옐로우에 대응하는 화상 유닛(6Y)은 감광체 드럼(1Y)을 포함하고, 또한, 대전 장치(4Y), 현상 장치(5Y, 현상 유닛), 클리닝 유닛(2Y) 및 디차져(decharger,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며, 이는 감광체 드럼(1Y) 둘레에 배치된다. 화상 과정(대전 과정, 노광 과정, 현상 과정, 전사 과정 및 클리닝 과정)은 감광체 드럼(1Y) 상에서 수행되고, 옐로우 화상은 감광체 드럼(1Y) 상에 형성된다.2, the
다른 3개의 화상 유닛(6M, 6C, 6K)는, 사용되는 다른 토너 색상을 제외하고는, 옐로우에 대응하는 화상 유닛(6Y)과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갖고, 각 토너 색상에 대응하는 화상이 형성된다. 이후에, 다른 3개의 화상 유닛(6M, 6C, 6K)에 대한 설명은 생략되고, 오직 옐로우 화상 유닛(6Y)만 이하에서 설명된다.The other three
도 2에 관하여, 감광체 드럼(1Y)은 구동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도 2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작된다. 감광체 드럼(1Y)의 표면은 대전 장치(4Y)의 위치에서 균일하게 대전 된다(대전 과정). With respect to FIG. 2, the
후에, 감광체 드럼(1Y)의 표면은 노광 장치(7, 도 1 참조)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광(L)을 방사하는 위치에 도달하고, 옐로우의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해 노출광이 주사된다(노광 과정). After that, the surface of the
그 후에, 감광체 드럼(1Y)의 표면은 현상 장치(5Y)와 대향하는 위치에 도달하고, 정전 잠상이 현상 되고, 옐로우 토너 화상이 형성된다(현상 과정). Thereafter, the surface of the
그 후에, 감광체 드럼(1Y)의 표면은 중간 전사 벨트(8)와 1차 전사 가세 롤러(9Y)에 대향하는 위치에 도달하고, 감광체 드럼(1Y) 상의 토너 화상은 중간 전사 벨트(8)로 전사된다(1차 전사 과정). 이때, 감광체 드럼(1Y) 상에는 소량의 전사되지 않은 토너가 잔류한다.Thereafter, the surface of the
그 후에, 감광체 드럼(1Y)의 표면은 클리닝 유닛(2Y)과 대향하는 위치에 도달하고, 감광체 드럼(1Y) 상에 잔류하는 전사되지 않은 토너는 클리닝 블레이드(2a)에 의해 기계적으로 축적된다(클리닝 과정). Thereafter, the surface of the
감광체 드럼(1Y)의 표면은 최종적으로 디차져(도시되지 않음)와 대향하는 위 치에 도달하고, 감광체 드럼(1Y) 상의 잔류 전위가 제거된다.The surface of the
화상 과정은 옐로우 화상 유닛(6Y)의 것과 같은 방식으로 다른 화상 유닛(6M, 6C, 6K) 상에서 수행된다. 즉, 화상 정보에 근거한 레이저광(L)은 화상 유닛의 하부측에 설치된 노광장치(7)로부터 화상 유닛(6M, 6C, 6K)의 각 감광체 드럼을 향해 방사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노광 장치(7)는 광원으로부터 레이저광(L)을 방출하여, 회전하는 다각형 거울에 의해 그 레이저광(L)을 주사하여, 레이저광(L)을 복수의 광학 요소를 통해 감광체 드럼 상에 방사한다. The image process is performed on the
그 후, 현상 과정을 통해 감광체 드럼 상에 형성된 각 색상 토너 화상은 중첩되어 중간 전사 벨트(8)로 전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컬러 화상은 중간 전사 벨트(8) 상에 형성된다.Then, each color toner image formed on the photosensitive drum through the developing process is superimposed and transferred to the intermediate transfer belt 8. In this way, a color image is formed on the intermediate transfer belt 8.
도 1에 관하여, 중간 전사 유닛(15)은 중간 전사 벨트(8), 4개의 1차 전사 가세 롤러(9Y, 9M, 9C, 9K), 2차 전사 백업 롤러(12), 클리닝 백업 롤러(13), 장력 롤러(14) 및 중간 전사 클리닝 유닛(10)을 포함한다. 중간 전사 벨트(8)는 3개의 롤러(12, 13, 14)에 의해 펴지고 지지되고, 롤러(12)의 회전에 의해 도 1에 있어서 허용 방향(즉, 화살표 α에 의해 나타낸 방향으로)으로 끊임없이 이동된다.1, the intermediate transfer unit 15 includes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8, four primary
4개의 1차 전사 가세 롤러(9Y, 9M, 9C, 9K)는, 각각의 1차 전사 닙(nip)을 형성하기 위해, 감광체 드럼(1Y, 1M, 1C, 1K)으로 중간 전사 벨트(8)를 사이에 두고 끼운다. 그리고, 토너의 극성과 역극성의 전사 가세가 1차 전사 가세 롤러(9Y, 9M, 9C, 9K)로 인가된다. The four primary
그 후, 중간 전사 벨트(8)는 화살표 방향(α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고, 순차 적으로 1차 전사 가세 롤러(9Y, 9M, 9C, 9K)의 1차 전사 닙을 통과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1차 전사를 행하기 위해 감광체 드럼(1Y, 1M, 1C, 1K) 상의 컬러 토너 화상이 순차적으로 중간 전사 벨트(8) 상에 중첩된다.Thereafter, the intermediate transfer belt 8 moves along the arrow direction (α direction) and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primary transfer nip of the primary transfer
그 후에, 중첩되어 전사된 컬러 토너 화상이 있는 중간 전사 벨트(8)는 2차 전사 롤러(19)와 대향하는 위치에 도달한다. 이 지점에서, 2차 전사 백업 롤러(12)는 2차 전사 닙을 형성하기 위해 2차 전사 롤러(19)로 중간 전사 벨트(8)를 사이에 두고 끼운다. 중간 전사 벨트(8) 상에 형성된 4개 색상 토너 화상은 2차 전사 닙의 위치로 반송되는 전사지(transfer paper)와 같은 전사 소재(P)로 전사된다. 이때, 전사 소재(P)로 전사되지 않은 비전사 토너는 중간 전사 벨트(8) 상에 잔류한다.Thereafter, the intermediate transfer belt 8 with the superimposed color toner images reached a position opposite to the
그 후에, 중간 전사 벨트(8)는 중간 전사 클리닝 유닛(10)의 위치에 도달하고, 그곳에서 중간 전사 벨트(8) 상의 비전사 토너가 축적된다. Thereafter, the intermediate transfer belt 8 reaches the position of the intermediate
이러한 방식으로, 중간 전사 벨트(8) 상에서 수행되는 일련의 전사 과정이 완성된다.In this way, a series of transfer processes performed on the intermediate transfer belt 8 is completed.
2차 전사 닙의 위치로 반송되는 전사 소재(P)는 장치 몸체(100)의 하측에 설치되는 급지 유닛(26)으로부터 급지 롤러(27)와 정렬 롤러쌍(28)을 통해서 반송된다. The transfer material P conveyed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ary transfer nip is conveyed through the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사지와 같은 전사 소재(P)는 급지 유닛(26)에 다량으로 저장된다. 도 1의 반시계 방향으로 급지 롤러(27)가 회전하도록 될 때, 최상부의 전사 소재(P)는 정렬 롤러쌍(28)의 롤러로 주입된다.More specifically, the transfer material P such as the transfer paper is stored in the
정렬 롤러쌍(28)으로 반송된 전사 소재(P)는 회전을 멈춘 정렬 롤러쌍(28) 사이의 롤러 닙의 위치에서 한번 멈춘다. 그 후, 정렬 롤러쌍(8)은 중간 전사 벨트(8) 상의 컬러 화상에 동기화하여 회전하고, 전사 소재(P)는 2차 전사 닙을 향해 반송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원하는 컬러 화상이 전사 소재(P)로 전사된다.The transfer material P conveyed to the
2차 전사 닙의 위치에 전사된 컬러 화상이 있는 전사 소재(P)는 정착 유닛(20)의 위치로 반송되고, 이곳에서 전사 소재(P)의 표면에 전사된 컬러 화상은 정착 롤러와 푸쉬 롤러(push roller)에 의한 열과 압력하에서 전사 소재(P) 상에 정착된다. The transfer material P with the color image transferred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ary transfer nip is conveyed to the position of the fixing
그 후에, 전사 소재(P)는 배지 롤러쌍(29)의 롤러를 통해 장치 외부로 배지된다. 종이 배출 롤러쌍(29)에 의해 장치 외부로 배지되는 전사 소재(P)는 출력 화상으로서 적층부(30) 상에 연속해서 적층된다. Thereafter, the transfer material P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pparatus through the rollers of the
이러한 방식으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일련의 화상 형성 과정이 완성된다.In this way, a series of image forming processes are completed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화상 유닛에서 현상 장치의 구성과 동작이 도 2에 관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developing apparatus in the image unit ar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2.
현상 장치(5Y)는, 감광체 드럼(1Y)에 대향하는 현상 롤러(51Y), 현상 롤러(51Y)에 대향하는 닥터 블레이드(52Y), 현상제 저장 유닛(53Y, 54Y)에 설치된 2개의 반송 스크루(55Y) 및 현상제의 토너 밀도를 감지하는 밀도 감지 센서(56Y)를 포함한다. 현상 롤러(51Y)는 내부에 고정된 자석과 자석 주위를 회전하는 슬리브를 포함한다. 담지체(carrier)와 토너를 수용하는 2성분 현상제(G)는 현상제 저장 유닛(53Y, 54Y)에 저장된다. 현상제 저장 유닛(54Y)은 그 상측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토너 반송관(43Y)과 연통한다.The developing
상기 방식으로 구성된 현상 장치(5Y)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The developing
현상 롤러(51Y)의 슬리브는 도 2의 화살표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자석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서 현상 롤러(51Y) 상에 담지된 현상제(G)는 슬리브의 회전과 관련된 현상 롤러(51Y)를 따라 이동한다.The sleeve of the developing
현상 장치(5Y)의 현상제(G)는, 현상제의 토너 비율(토너 밀도)이 미리 정해진 범위에 있도록 제어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토너 용기(32Y)에 수용된 토너는 현상 장치(5Y)의 토너 소모에 따라서 토너 공급 장치(59, 도 3 참조)를 통해 현상제 저장 유닛(54Y)으로 공급된다. 토너 공급 장치(59)와 토너 용기(32Y) 각각의 구성과 동작은 후에 상세하게 설명된다.The developer G of the developing
그 후에, 현상제 저장 유닛(54Y)으로 공급된 토너는, 현상제(G)와 혼합되고 교반되면서, 2개의 현상제 저장 유닛(53Y, 54Y)에서 순환한다(도 2의 종이에 수직 방향의 이동). 현상제(G)에서 토너는 담지체의 마찰 대전에 의해 담지체로 유인되고, 현상 롤러(51Y) 상에 형성된 자력에 의해 담지체와 함께 현상 롤러(51Y) 상에 담지된다.Thereafter, the toner supplied to the
현상 롤러(51Y) 상에 담지된 현상제(G)는 닥터 블레이드(52Y)의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도 2의 화살표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반송된다. 이 위치에서, 현상제의 양은 적절하게 되며, 따라서, 현상 롤러(51Y) 상의 현상제(G)는 감광체 드럼(1Y)을 대향하는 위치(현상 지역)로 반송된다. 토너는 현상 지역에서 형성되는 전기장에 의해 감광체 드럼(1Y) 상에 형성된 잠상으로 유인된다. 따라서, 현상 롤러(51Y)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G)는 슬리브의 회전과 관련되는 현상제 저장 유닛(53Y)의 상측 에 도달하고, 이곳에서, 현상제(G)는 현상 롤러(51Y)로부터 분리된다.The developer G supported on the developing
토너 용기(32Y, 약제 저장 용기)에 수용된 토너를 현상 장치(5Y)로 인도하는 토너 공급 장치(59)는 도 3에 관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The
용이한 이해를 위해, 도 3은 토너 용기(32Y), 토너 공급 경로(43Y, 60, 70, 71) 및 현상 장치(5Y)의 변화된 배치를 도시한다. 실제로는, 도 3에서, 토너 용기(32Y)와 토너 공급 경로 부분의 길이 방향은 종이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도 1 참고).For ease of understanding, FIG. 3 shows the changed arrangement of the
도 4에 관하여, 장치 몸체(100)의 토너 용기 지지부(31)에 배치된 토너 용기(32Y, 32M, 32C, 32K) 내부의 토너는, 필요하다면 색상을 위한 현상 장치에서의 각 토너 소모에 따라서 각 토너 색상을 위해 설치되는 토너 공급 경로를 통해 각각의 현상 장치로 공급된다. 4개의 토너 공급 경로는 각 화상 과정에 사용되는 다른 토너 색상을 제외한 다른 것과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4, the toner inside the
더욱 구체적으로는, 토너 용기(32Y)는 장치 몸체(100)의 토너 용기 지지부(31)에 설치되고,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노즐(70)은 토너 용기(32Y)의 피지지부(34Y, 캡)로 연결된다. 토너 용기(32Y)의 플러그 부재(34d, 개폐 부재)는 이러한 상태의 피지지부(34Y)의 토너 배출구(공급구)를 개방한다. 따라서, 토너 용기(32Y)의 용기 몸체(33Y)에 수용된 토너는 토너 배출구를 통해 노즐(70)로 반송된다.More specifically, the
다른 한 편, 노즐(70)의 타단은 반송관(71)으로서 관(71)의 일단으로 연결된다. 관(71)은 토너 저항에 있어서 우수한 유연성 소재로 제작되고, 그 타단은 토너 공급 장치(59)의 스크루 펌프(60, 모노펌프(Mohno pump), 분체 펌프)로 연결된다. On the other hand, the other end of the
반송관(71)인 관(71)은 내경이 4mm 내지 10mm가 되도록 형성된다. 관(71)의 소재는 폴리우레탄, 니트릴, EPDM, 및 실리콘과 같은 고무 소재와 폴리에틸렌 및 나일론과 같은 수지 소재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한 유연성 관(71)은 토너 공급 경로의 배치에 있어서 유연성을 증가시키는데 사용되고,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를 소형화하게 된다.The
스크루 펌프(60)는 흡입형 일축 편심 스크루 펌프이고, 로터(61), 스테이터(62), 흡입구(63), 유니버셜 조인트(64) 및 모터(66)를 포함한다. 로터(61), 스테이터(62) 및 유니버셜 조인트(64)는 케이싱(도시되지 않음) 내부에 수용된다. 스테이터(62)는 고무와 같은 탄성 소재로 제작된 암나사 부재이고, 더블 피치의 나선형 홈이 스테이터(62)의 내부를 따라서 형성된다. 로터(61)는 금속과 같은 강재로 제작된 축이 나선형으로 형성된 수나사 부재이고, 스테이터(62)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로터(61)의 일단은 유니버셜 조인트(64)를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모터(66)와 결합된다. The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로터(61)의 나선 방향(전환(turning) 방향) 및 회전 방향은 토너 용기(32Y)의 용기 몸체(33Y)에서 형성된 돌기(33b)의 나선 방향 및 회전 방향과 대응되도록 설치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spiral direction (turning direction)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이상의 방식으로 구성된 스크루 펌프(60)는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토너 반송 방향의 상류 측에서 봤을 때 반시계 방향) 모터(66)에 의한 스테이터(62)의 로터(61) 회전에 의해 흡입구(63)에서 흡입력(관(71)의 공기는 관(71) 내부에서 음압(negative pressure)을 발생시키기 위해 내보내진다)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토 너 용기(32Y)의 토너는 공기와 함께 관(71)을 통해 흡입구(63)로 흡입된다. 흡입구(63)로 흡입되는 토너는 스테이터(62)와 로터(61) 사이의 틈새로 보내지고, 로터(61)의 회전에 따라서 타단 측으로 주입된다. 주입된 토너는 스크루 펌프(60)의 주입구(67)에서 배출되고, 토너 반송관(43Y)을 통해 현상 장치(5Y)로 공급된다(도 3의 점선에 의해 표시되는 화살표 방향으로의 이동). The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루 펌프(60)의 로터(61)는 토너 반송 방향의 상류 측에서 봤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작된다. 로터(61)의 나선 방향(전환 방향)은 우측 방향으로 설치된다. 로터(61)의 이러한 설치 및 회전은 스크루 펌프(60)에서 형성되는 시계 방향의 나선형 기류 소용돌이를 야기한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토너 용기는 도 5 내지 도 9에 관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The toner container is described below with respect to Figs.
도 1 내지 도 4에 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4개의 사실상 원통형 토너 용기(32Y, 32M, 32C, 32K, 토너 보틀)는 토너 용기 지지부(31)에서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토너 용기(32Y, 32M, 32C, 32K)는 수명이 다하게 될 때(수용된 토너의 거의 모두가 소모되고, 용기가 비게 되었을 때) 새로운 것으로 교체된다. 토너 용기(32Y, 32M, 32C, 32K)에 수용된 각 색상의 토너는 도 3에 관하여 설명된 각각의 토너 공급 경로를 통해 화상 유닛(6Y, 6M, 6C, 6K)의 각 현상 장치로 필요에 따라서 공급된다.As described with respect to Figs. 1 to 4, four substantially
도 5는 토너 용기(32Y)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토너 용기(32Y)의 헤드 측(피지지부(34Y)가 설치된 측)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있어서 M 방향에서 볼 때의 도 6의 토너 용기(32Y)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8A는 교반 부재의 한 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6에 있어서 M 방향에서 본 때의 교반 부재의 한 예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8C는 교반 부재의 한 예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9는 토너 용기(32Y)의 헤드 측의 다른 예에 대한 단면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ner container 32Y.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ad side (side to which the supported
다른 3개의 토너 용기(32M, 32C, 32K)는, 수용된 다른 토너 색상과 오목부(34m) 및 볼록부(34n)의 위치를 제외하고는, 옐로우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용기(32Y)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이후에는, 다른 3개의 토너 용기(32M, 32C, 32K)에 대한 설명은 생략되고, 오직 옐로우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용기(32Y)만 이하에서 설명된다.The other thre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32Y)는 주로 용기 몸체(33Y)와 그 헤드에 설치된 피지지부(34Y, 보틀 캡)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5, the
용기 몸체(33Y)의 헤드는 용기 몸체(33Y)와 일체로 회전하는 기어(33c) 및 개구(A)를 포함한다(도 6 참조). 개구(A)는 용기 몸체(33Y)의 헤드에 설치되고(부착될 때 선단 위치), 용기 몸체(33Y)에 수용된 토너를 피지지부(34Y)의 공간(공동)으로 배출하는데 사용된다.The head of the
기어(33c)는, 용기 몸체(33Y)를 회전축(도 6의 쇄선에 의해 표시됨) 둘레로 회전시키기 위해, 장치 몸체(100)의 토너 용기 지지부(31)에 설치되는 구동 유닛의 구동 기어(31g)와 맞물린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기어(33c)가 피지지부(34Y)에 형성되는 노치부(34h)에서 노출되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결합 위치(D)에서 장치 몸체(100)의 구동 기어(31g)와 맞물린다. 구동력은 구동 기어(31g)로부터 기어(33c)로 전달되고, 용기 몸체(33Y)는 도 7의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 작된다.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 기어(31g)와 기어(33c)는 스퍼 기어이다.The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토너 용기(32Y)와 장치 몸체(100)는, 구동 기어(31g)가 도 7의 화살표 방향(시계 방향)으로 구동 기어(31g)가 회전할 때(주로 토너 공급시), 피지지부(34Y, 또는 용기 몸체(33Y))가 구동 기어(31g)로부터 기어(33c)로 인가된 힘에 의해 하방으로 가세되도록 구성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7에 관하여, 기어(33c)와 구동 기어(31g) 사이의 결합 위치(D)는 기어의 최상부로부터 하류 측으로 1/4 회전하는 범위(X)에 설치된다(최상부와 1/4 회전하는 기어(33c)의 위치는 포함하지 않는다).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FIG. 7, the engagement position D between the
이상과 같은 구성에 근거하여, 수직 방향의 하방향으로 작용하는 성분힘(component force)은 기어(33c)의 기어 표면 상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구동 기어(31g)에 의해 힘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토너 배출구(B)와 연통하는 노즐(70)을 위한 밀봉 성능은 피지지부(34Y)의 큰 수직 변동 없이 유지되고, 따라서 토너 배출구(B) 주위로부터 토너가 비산하는 것을 막는다.Based o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omponent force acting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generated by the
도 5에 관하여, 그리퍼(33d)는, 사용자가 토너 용기(32Y)의 탈착을 위해 쥘 수 있도록, 토너 몸체(33Y)의 후단부(바닥)에 설치된다.Referring to Fig. 5, the
나선형 돌기(33b)는 용기 몸체(33Y)의 내부 원주면을 따라서 설치된다(외주측에서 볼 때 나선형 홈). 나선형 돌기(33b)는 소정의 방향으로 용기 몸체(33Y)를 회전시켜서 개구(A)로부터 토너를 배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된 용기 몸체(33Y)와 원주면을 따라서 설치된 기어(33c)는 블로우 성형(blow molding)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The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32Y)는 개구(A)에 설치된 용기 몸체(33Y)와 함께 회전하는 교반 부재(33f)를 갖는다(도 6 참조). 교반 부재(33f)는 피지지부(34Y)의 공간으로부터 용기 몸체(33Y)를 향해 신장하는 막대 형상 부재 또는 판 부재이고, 회전축에 경사를 이루어 설치된다(도 6의 쇄선에 의해 표시됨). 용기 몸체(33Y)와 함께 교반 부재(33f)를 회전시켜서, 개구(A)로부터의 토너 배출 성능을 향상시킨다.The
특히, 도 8A, 도 8B 및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한 쌍의 판 부재(33g1)가 있는 링 부재(33g2)는, 각 경사가 상호 간에 반대가 되도록 하고, 회전 중심에 대하여 점대칭이 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그러한 링 부재(33g2)가 교반 부재를 형성하기 위해 개구(A)로 고정될 때, 토너는 계속적으로 떠져서 회전 작용에 의해 배출되고, 배출 성능은 더 향상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 부재가 절구 형상(mortar shape)으로 형성되는 수직의 토너 배출 경로에까지 신장된다면(교반 부재(33h)), 토너 배출 성능은 더 향상될 것으로 추측된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S. 8A, 8B, and 8C, the ring member 33g2 with the pair of plate members 33g1 is such that each inclination is opposite to each other and is point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rotation. Is installed in position. When such ring member 33g2 is fixed to the opening A to form the stirring member, the toner is continuously floated and discharged by the rotating action, and the discharge performance is further improved. As shown in Fig. 9, if the stirring member is extended to a vertical toner discharge path formed in a mortar shape (stirring member 33h), it is assumed that the toner discharge performance is further improved.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토너 용기(32Y)의 용기 몸체(33Y)는 토너 반송 방향으로 상류 측에서 볼 때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작된다. 또한, 용기 몸체(33Y)의 돌기(33b)의 나선 방향(전환 방향)은 오른쪽 방향으로 설정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도 5 및 도 6에 관하여, 피지지부(34Y)는 캡 주요부(34a), 캡 덮개(34b), 지지부(34c), 개폐 부재로서 플러그 부재(34d), 패킹(34e) 및 ID 칩(35)을 포함한다. 도 5 및 도 7에 관하여,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위치결정 부재(31c)가 결합되는 결합부(34g, 홈부)는 피지지부(34Y)의 양 측에 설치된다.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피팅 부재(31d)가 끼워맞춰지는 오목부(34m)는 피지지부(34Y)의 단부(end face) 상에 설치된다.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다른 피팅 부재(도시되지 않음)로 끼워맞추는 볼록부(34n)는 피지지부(34Y)의 원주면 상에 설치된다. 또한, 기어(33c)의 부분이 노출되는 노치부(34h)는 피지지부(34Y)의 상측 상에 설치된다.5 and 6, the supported
피지지부(34Y)는 개구(A)를 통해서 용기 몸체(33Y)와 연통하고, 개구(A)로부터 배출된 토너를 토너 배출구(B)로부터 배출한다(도 6의 점선에 의해 표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른 이동).The supported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피지지부(34Y) 내부에 형성된 공동(공간)은 거의 실린더형으로 형성된다. 피지지부(34Y) 내부에 형성된 거의 실린더형 공동으로부터 토너 배출구(B)에 이르는 토너 배출 경로(수직 경로)는 절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으로, 용기 몸체(33Y)의 회전을 통해 송출되는 토너는 절구 내부에 일시적으로 축적되고, 장치 몸체(100) 측의 스크루 펌프(60)의 흡입력은 효율적으로 축적된 토너로 전달된다. 그러므로, 토너 배출구(B)로부터 배출되고 관(71)의 내부를 따라서 이동하는 토너의 토너 반송 성능은 향상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cavity (space) formed inside the supported
피지지부(34Y)는 용기 몸체(33Y)의 회전을 뒤따르지 않으나, 결합부(34g)가 위치결정 부재(31c)와 결합되는 동안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고정부(73, 도 4 및 도 10 참조)에 의해 비회전 방식으로 지지된다.The supported
피지지부(34Y)의 캡 덮개(34b)는 캡 주요부(34a)의 원주면에 접합된다. 클로(34b1)는 캡 덮개(34b)의 정면에 설치된다. 클로(34b1)는 용기 몸체(33Y)의 헤드에 형성된 결합 부재와 맞물리고, 용기 몸체(33Y)는 피지지부(34Y)에 대하여 상대 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용기 몸체(33Y)를 원활하게 회전시키기 위해, 피지지부(34Y)의 클로(34b1)와 용기 몸체(33Y)의 결합 부재는 사이의 적절한 틈새를 유지하여 서로 결합된다.The
밀봉 부재(37)는 용기 몸체(33Y)의 개구(A) 둘레의 선단(33a)에 대향하는 피지지부(34Y)의 표면에 부착된다. 밀봉 부재(37)는 개구(A) 둘레의 틈새를 밀봉하기 위해 사용되고, 용기 몸체(33Y)의 표면과 서로 상호간에 대향하는 피지지부(34Y) 사이에 있고, 폴리우레탄 발포체와 같은 탄성 소재로 제작된다.The sealing
지지부(34c)는 피지지부(34Y)의 하측에 설치된다. 토너 용기(32Y)의 탈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토너 배출구(B)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 부재로서 플러그 부재(34d, 셔터)가 지지부(34c)에 설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활주면(34c1, 34c2)에 의해 둘러쌓이도록 플러그 부재(34d)는 도 6의 수평 방향으로 지지부(34c)에서 이동 가능하다. 장치 몸체(100)의 클로 부재(76)가 플러그 부재(34d)와 결합되고, 플로거 부재(34d)는 공간에서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공간(오목부)는 지지부(34c)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G 밀봉체(seal)와 같은 패킹(34e)은 플러그 부재(34d) 근처로부터의 토너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플러그 부재(34d)의 양 측 상에 설치된다. 또한, O링과 같은 패킹은, 양 틈새로부터의 토너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부(34c)와 캡 주요부(34a) 사이의 결합부에 설치된다.The
토너 용기(32Y)는 토너 용기 지지부(31)에 배치되고, 그 후, 클로 부재(76, 도 5 및 도 14 참조)는 플러그 부재(34d)의 우측과 결합되고, 클로 부재(76)는 토너 배출구(B)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플러그 부재(34d)를 가세하는 가세 부재이다. 클로 부재(76)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된다.The
피지지부(34Y)의 ID 칩(35)은, 토너 용기 지지부(31)로의 토너 용기(32Y)의 장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그 사이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통신 회로(74, 터미널)에 대향하도록 구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ID 칩(35)은, 피지지부(34Y)가 토너 용기 지지부(31)에 장착되는 방향(즉, 도 5의 화살표 β에 의해 도시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4a1) 상에 설치되고, 이는 장착 방향으로 직교하는 평면 상에 설치된다. ID 칩(35)은 피지지부(34Y)가 토너 용기 지지부(31)에서 지지되는 동안 장치 몸체의 통신 회로(74)와 비접촉 통신(전파 통신)을 수행한다.The
ID 칩(35)은 토너 용기(31)에 관한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이미 저장한다. 반면에,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통신 회로(74)는, 토너 용기(32Y)가 토너 용기 지지부(31)에 배치되는 동안, ID 칩(35)와 전파에 의해 정보를 교환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ID 칩(35)에 저장된 정보는 통신 회로(74)를 통해 장치 몸체(100)의 제어기(75, 도 5 참조)로 전달되거나, 제어기(75)에 의해 획득된 장치 몸체(100)에 대한 정보는 ID 칩(35)으로 전달되어 그곳에서 저장된다.The
ID 칩(35)은, 토너 색상, 토너의 제조 번호(생산 로트(lot)) 및 토너 제조 연월일과 같은 토너에 대한 정보와 재활용 횟수, 재활용 일시 및 재활용 제조자와 같은 토너 용기(32Y)의 재활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토너 용기(32Y)가 토너 용기 지지부(31)에 배치될 때, ID 칩(35)에 저장된 정보는 전기 회로(74)를 통해 장치 몸체(100)의 제어기(75)로 전달된다. 장치 몸체(100)는 이러한 정보에 근거하에 최적으로 제어된다. 예를 들어, 토너 색상이 토너 용기 지지부에 배치되어야할 토너 색상과 다르다면, 토너 공급 장치(59)의 동작이 정지되거나 제조 번호 또는 재활용 제조자에 따라서 화상 조건이 변경될 수 있다.The
토너 용기 지지부(31)로의 탈착 동작에 뒤따라서 토너 용기 지지부(31)를 따라 활주하는 활주부(34c1, 34c2)가 피지지부(34Y)의 지지부(34c)에 설치된다.Following the desorption operation to the toner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 1 활주부(34c1)는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활주면(31a)에 평행이 되도록(상방향으로 형성된 평탄면이 있는 평면, 도 10 및 후에 설명되는 도 45와 도 46 참조) 형성되는 평탄부이고, 평탄부는 탈착 동작이 행해지는 피지지부(34Y)의 바닥에 설치된다. 또한, 제 2 활주부(34c2)는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활주면(31b)에 평행이 되도록(측방향으로 형성된 평탄면이 있는 평면, 도 10 및 후에 설명되는 도 45와 도 46 참조) 형성되는 평탄부이고, 평탄부는 탈착 동작이 행해지는 피지지부(34Y)의 측부에 설치된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sliding portion 34c1 is parallel to the sliding
도 5 및 도 7에 관하여,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피팅 부재(31d)에 끼워맞춰지는 오목부(34m)는 피지지부(34Y)의 단부이고 돌출부(34a1)의 근처에 있는 부분에 설치된다. 볼록부(34m)는, 토너 용기 지지부(31)로의 장착 동작이 올바를 때(토너 용기 지지부(31)가 정상 위치로 장착될 때), 대응하는 피팅 부재(31d)에 끼워맞춰지도록 형성된다.5 and 7, the recessed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34m)의 위치는 토너 용기(용기 몸체)에 수용된 토너의 각 색상에 따라서 서로 간에 다르게 배치된다. 시안에 대응하는 토너 용기의 오목부(34m, C)와 토너 용기 지지부의 대응하는 피팅 부재(도시되지 않음)는 최상측에 배치되고, 마젠타에 대응하는 토너 용기의 오목부(34m, M)와 토너 용기 지지부의 대응하는 피팅 부재(도시되지 않음)는 중간 단계의 상측에 배치된다. 옐로우에 대응하는 토너 용기의 오목부(34m, Y)와 토너 용기 지지부의 대응하는 피팅 부재(31d)는 중간 단계의 하측에 배치되고, 블랙에 대응하는 토너 용기의 오목부(34m, K)와 토너 용기 지지부의 대응하는 피팅 부재(도시되지 않음)는 최하측에 배치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7, the positions of the
이러한 구성은 부적절한 색상의 토너 용기(예를 들어, 옐로우 토너 용기)가 수정의 색상의 토너 용기 지지부(예를 들어, 시안 토너 용기 지지부)에 배치되어 원하는 컬러 색상이 형성되는 것과 같은 오류를 방지한다.This configuration prevents an error such that an inappropriate color toner container (e.g., yellow toner container) is placed on the crystal color toner container support (e.g., cyan toner container support) to form the desired color color. .
마찬가지로, 도 5 및 도 7에 관하여, 다른 피팅 부재(도시되지 않음)가 끼워맞춰지는 볼록부(34n)가 피지지부(34Y)의 원주면 상에 설치된다. 오목부(34m)와 유사하게, 토너 용기가 토너 용기 지지부(31)에 적절하게 장착될 때 볼록부(34n)는 대응하는 피팅 부재로 끼워맞춰진다. 볼록부(34n)의 위치는 토너 용기(용기 몸체)에 수용되는 토너의 각 색상에 따라서 서로 간에 다르게 배치되도록 구성된다.Similarly, with respect to Figs. 5 and 7, a
이상과 같은 구성은 오목부(34m)와 유사하게, 토너 용기 지지부에서 토너 용기의 잘못된 설치를 방지한다.The above configuration prevents incorrect installation of the toner container at the toner container support, similarly to the recessed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토너 용기(32Y, 32M, 32C, 32K)에 수용되는 토너로서, 이하의 관계가 유지되도록 형성되는 토너가 사용되고, 이하에서 Dv(㎛)는 체적 평균 입경(volume average particle size)이고, Dn(㎛)은 개수 평균 입경(number average particle size)이다.In the first embodiment, as the toner contained in the
3≤Dv≤8 (1)3≤Dv≤8 (1)
1.00≤Dv/Dn≤1.40 (2)1.00≤Dv / Dn≤1.40 (2)
그러므로, 토너 입자는 현상 과정의 화상 패턴에 따라서 선택되고, 우수환 화상 품질이 유지되고, 토너가 장기간 현상 장치 내에서 교반된다 할지라도 만족스러운 현상 성능이 유지된다. 또한, 관(71)과 같은 토너 공급 경로를 막지않고 토너는 효과적이고 확실하게 반송될 수 있다.Therefore, the toner particle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image pattern of the developing process, excellent ring image quality is maintained, and satisfactory developing performance is maintained even if the toner is stirred in the developing apparatus for a long time. Also, the toner can be conveyed effectively and reliably without blocking the toner supply path such as the
토너의 체적 평균 입경과 개수 평균 입경은 콜터 카운터(Coulter Counter) 타입 입경 분포 측정 장치인 콜터 카운터 TA-II(Coulter Electronics Limited사 제조) 또는 콜터 멀티사이저 II(Coulter Electronics Limited사 제조)와 같은 전형적인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The volume average and number average particle diameters of the toner are typical such as Coulter Counter TA-II (manufactured by Coulter Electronics Limited) or Coulter Multisizer II (manufactured by Coulter Electronics Limited), a Coulter Counter type particle size distribution measuring device. It can be measured using the equipment.
또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토너 용기(32Y, 32M, 32C, 32K)에 수용된 토너로서, 실질적으로 구형 토너가 사용되고, 토너는 형상 계수(SF-1)가 100 내지 180 범위이고 형상 계수(SF-2)는 100 내지 180 범위가 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높은 전사율이 유지되는 동안 클리닝 성능의 감소를 억제한다. 또한, 관(71)과 같은 토너 공급 경로를 막지 않고 토너가 효과적이고 확실하게 반송될 수 있다. Further, in the first embodiment, as the toner contained in the
여기서, 형상 계수(SF-1)는 토너 입자의 진구도(sphericity)를 나타내고, 이하의 방정식에 의해 결정된다.Here, the shape coefficient SF-1 represents the sphericity of the toner particles, and is determ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SF-1=(M2/S)×(100π/4)SF-1 = (M 2 / S) × (100π / 4)
방정식에서, M은 토너 입자의 투영 평면에서의 최대 입경(불균일한 입자 직 경 중에서 가장 큰 입자 직경)이고, S는 토너 입자의 투영 면적이다. 그러므로, 형상 계수(SF-1)이 100인 토너 입자는 완전한 구형이고, 100보다 커질수록 진구도가 낮아진다.In the equation, M is the maximum particle diameter (largest particle diameter among nonuniform particle diameters) in the projection plane of the toner particles, and S is the projected area of the toner particles. Therefore, the toner particles having a shape coefficient SF-1 of 100 are perfectly spherical, and larger than 100 results in lower sphericity.
형상 계수(SF-2)는 토너 입자의 불균일성(irregularity)을 나타내고, 이하의 방정식에 의해 결정된다.The shape coefficient SF-2 indicates the irregularity of the toner particles and is determ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SF-2=(N2/S)×(100/4π)SF-2 = (N 2 / S) × (100 / 4π)
방정식에서, N은 토너 입자의 투영 평면의 원주 길이이고, S는 토너 입자의 투영 면적이다. 그러므로, 형상 계수(SF-2)가 100인 토너 입자는 불균일성이 없고, 100보다 커질수록 불균일성이 증가한다. In the equation, N is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projection plane of the toner particles, and S is the projection area of the toner particles. Therefore, the toner particles having the shape factor SF-2 of 100 do not have nonuniformity, and as the size of the toner particles exceeds 100, the nonuniformity increases.
형상 계수(SF-1)와 형상 계수(SF-2)는, 주사형 전자 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800"(Hitachi, Ltd.사 제조)에 의해 토너 입자를 촬영하고, 화상 분석기(image analyzer) "LUSEX3"(Nireco Corp.사 제조)에 의해 얻어진 토너 입자의 사진을 분석하여 얻는다.The shape coefficient SF-1 and the shape coefficient SF-2 are photographed with toner particles by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800" (manufactured by Hitachi, Ltd.), and an image analyzer ( image analyzer) Obtained by analyzing photographs of toner particles obtained by "LUSEX3" (manufactured by Nireco Corp.).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구성이 도 10 및 도 11에 관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10은 토너 용기 지지부에 대학 개략도이고, 도 11은 노즐에 대한 개략도이다.Fig. 10 is a schematic view of the college on the toner container support, and Fig. 11 is a schematic view of the nozzle.
도 10에 관하여, 토너 용기 지지부(31)는, 4개의 토너 용기(32Y, 32M, 32C, 32K)의 각 피지지부에서 활주부가 따라서 활주하는 활주면(31a, 31b); 피지지부의 지지부(34c)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73); 노즐(70); 회전 구동력을 용기 몸체(33Y)로 전달하는 구동 유닛(구동 기어(31g)가 설치됨); 통신 회로(74); 토너 용기(32Y)의 장착에 동기화하여 고정부(73)를 향해 피지지부(34Y)를 가세하는 암 페어(90, 가세 유닛); 및 플러그 부재(34d)를 토너 용기(32Y)의 토너 배출구(B)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클로 부재(76, 가세 부재)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0, the toner
고정부(73)는 비회전 방식으로 토너 용기(32Y, 32M, 32C, 32K) 각각의 피지지부를 지지한다. 고정부(73)는 지지부(34c)에 접촉하는 활주면과 캡 덮개(34b)의 부분에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한다. 피지지부(34Y)의 장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 부재(31c)는 고정부(73)의 활주면(측면)에 설치된다(도 5 참조). 위치결정 부재(31c)는 토너 용기(32Y)의 탈착 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볼록부이다.The fixing
피지지부(34Y)의 이탈에 동기화하여 토너 배출구(B)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플러그 부재(34d)를 가세하는 가세 부재로서 클로 부재(76)는 고정부(73)의 활주면(바닥)에 설치된다(도 5 및 도 12 내지 도 14 참조). 클로 부재(76)는 도 5의 양방향 화살표의 방향(R 방향)으로 회전 스핀들(76a) 둘레에 토너 용기 지지부(31)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3 및 도 5에서 클로 부재(76)의 하측으로 고정되는 판 스프링(77, 제 2 가세 부재)에 의해, 클로 부재(76)가 수축 위치로부터 플러그 부재(34d)를 결합하는 위치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클로 부재(76)가 가세되고(도 13의 화살표 R2 방향으로의 가세), 이는 피지지부(34Y)의 탈착을 막지 않는다.The
또한, 통신 회로(74)와 피팅 부재(31d)는 후방 측에서 고정부(73)의 표면 상에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70)은 각 토너 색상의 고정부(73)에 배치된다. 토너 용기(32Y)의 피지지부(34Y)에 형성되는 토너 배출구(B)와 연통하는 토너 공급 포트(70a)는 노즐(70)에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1, the
토너 용기 지지부(31)로의 토너 용기(32Y)의 탈착 동작은 도 12 내지 도 16에 관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Desorption operation of the
도 12는 세로 방향에서 볼 때(화살표 Q 방향으로의 이동) 옐로우 토너 용기(32Y)가 토너 용기 지지부(31)로 장착되는 방법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3은 세로 방향에서 볼 때 토너 용기(32Y)의 장착이 진행되는 방법(토너 배출구(B)가 개방되기 시작한 때)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4는 세로 방향에서 볼 때 토너 용기 지지부(31)에 장착되는 토너 용기(32Y)에 대한 개략도이다(토너 배출구(B)의 개방이 완료된 때). 도 15는 지지부(34c) 측에서 볼 때 토너 용기(32Y)가 토너 용기 지지부(31)로 장착되는 방법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6은 지지부(34c) 측에서 볼 때 토너 용기 지지부(31)로 장착되는 토너 용기(32Y)에 대한 개략도이다.12 is a schematic view of how the
토너 용기(32Y)가 장치 몸체(100)의 토너 용기 지지부(31)에 장착될 때, 처음에는, 화상 형성 장치(100) 본체의 정면(도 1의 종이 상의 근처 측) 상에 설치되는 본체 덮개(도시되지 않음)는 전방 측으로 토너용기 지지부(31)를 노출하기 위해 개방된다.When the
따라서, 도 12에 관하여, 토너 용기(32Y)는 토너 용기 지지부(31)로 압입된 다(화살표 Q 방향으로의 이동). 더욱 구체적으로는, 피지지부(34Y)가 용기 몸체(3Y)의 헤드가 되도록, 토너 용기(32Y)는 용기 몸체(33Y, 또는 토너 용기(32Y))의 세로 방향을 따라서 토너 용기 지지부(31)로 장착된다.Thus, with respect to Fig. 12, the
이때, 제 1 활주부(34c1)는 토너 용기(32Y)의 헤드측에서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활주면(31a)을 따라서 활주하고, 제 2 활주부(34c2)는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활주면(31b)을 따라서 활주하고, 활주하는 동안, 토너 용기(32Y)는, 사용자가 토너 용기(32Y)의 후방측에서 그리퍼(33d)를 쥐고 균형을 유지한 채로, 토너 용기 지지부(31)로 압입된다.At this time, the first slide portion 34c1 slides along the
그 후에, 토너 용기(32Y)의 지지부(34c)가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고정부(73)에 도달할 때, 피지지부(34Y)의 위치결정이 시작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피지지부의 결합부(34g)와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위치결정 부재(31c)는 서로 결합되기 시작한다. 이 동안에, 암 페어(90)는 토너 용기(32Y)의 피지지부(34Y)를 고정부(73)를 향해 가세한다(화살표 Q 방향으로의 가세).Thereafter, when the
또한, 이 동아넹,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고정부(73)에 설치되는 클로 부재(76)는 피지지부(34Y)의 장착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로 수축된다(회전 스핀들(76a) 둘레의 화살표 방향(R1)으로의 회전). 더욱 구체적으로는, 클로 부재(76)는 제 2 가세 부재로서의 판 스프링(77)의 가세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활주부(34c1)에 의해 아래로 눌린다.In addition, the
그 후에, 토너 용기(32Y)의 장착 동작이 더 진행될 때, 결합부(34g)와 위치결정 부재(31c)가 서로 결합되는 동안, 플러그 부재(34d)는 토너 배출구(B)를 개방 하기 시작한다(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 더욱 구체적으로는, 노즐(70)의 선단이 지지부(34c)의 구멍으로 삽입되는 것과 관련하여 플러그 부재(34d)는 노즐(70)에 의해 눌린다.Thereafter, when the mounting operation of the
이때, 노즐(70)의 선단이 플러그 부재(34d)와 닿기 바로 전에, 도 12의 수축 위치로부터 플러그 부재(34d)와 결합되는 위치로 클로 부재(76)가 돌출한다(회전 스핀들(76a) 둘레의 화살표(R2) 방향으로의 회전). 더욱 구체적으로는, 클로 부재(76)는 활주부(34c1)에 의해 눌림으로부터 방출되고, 제 2 가세 부재로서의 판 스프링의 가세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까지 눌린다.At this time, just before the tip of the
이러한 초기 위치에서, 클로 부재(76)는 공간을 향해 돌출되고, 이는 노즐(70)로부터 떨어진, 플러그 부재(34d)의 용기 몸체(33Y) 측 상에 있고, 플러그 부재(34d)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결합부(플러그 부재(34d)의)와 용기 몸체(33Y) 측의 사이에 있고, 이들 모두는 수평 방향으로 공간의 양 측에 설치된다. In this initial position, the
이상적으로는, 토너 비산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클로 부재(76)가 위로 눌릴 때 클로 부재(76)는 플러그 부재(34d)의 결합부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클로 부재는(76) 약 0.5mm 내지 3mm의 기계적인 공차를 유지하기 위해 결합면으로부터 떨어진 위치까지 눌리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가 토너 용기를 토너 용기 지지부로 압입할 때 플러그 부재(34d)의 결합부와의 결합을 위해 클로 부재(76)가 미리 쉽게 대기하게 한다.Ideally, 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ng toner scattering, the
클로 부재(76)가 초기 위치로까지 눌리기 전에 노즐(70)의 선단이 플러그 부재(34d)의 선단에 접촉하여 플러그 부재(34d)의 이동을 개시하게 한다면, 클로 부 재(76)는 기계적인 공차의 설정에 따라서 플러그 부재(34d)의 결합부와 결합되지 않고, 이후에 사용자가 느낌으로부터 다른 무엇인가를 느기고 토너 용기를 다시 인출할 때, 토너 배출구로부터 토너가 누출될 수도 있는 것과 같은 오류가 예상된다.If the tip of the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는, 플러그 부재(34d)는 노즐(70)과 클로 부재(76)에 의해 지지되고, 그 위치는 토너 용지 지지부(31, 고정부(73))에 고정된다는 것이다. 토너 용기(32Y)가 도 13의 상태로부터 장착 방향으로(화살표 Q 방향으로) 더 이동된다면, 플러그 부재(34d)의 위치가 고정부(73)에 고정되는 동안(플러그 부재(34d)가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토너 배출구(B)가 개방된다.The state as shown in Fig. 13 is that the
따라서, 도 14에 관하여, 피지지부(34Y)의 위치는 지지부(34c)가 고정부(73)에 맞닿는 위치에서 고정되고(충돌을 위한 참조 위치), 동시에, 플러그 부재(34d)는 토너 배출구(B)를 완전히 개방하고, 토너 용기(32Y)의 기어(33c)는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구동 유닛의 구동 기어(31g)와 결합된다. 전자 기판으로서 ID 칩(35)은 전파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에서 통신 회로(74)에 대향한다. 또한, 토너 용기의 비호환성을 준수하기 위해 오목부(34m)와 볼록부(34n)는 장치 몸체의 피팅 부재(31d, 31e)에서 끼워맞춰진다. 토너 용기(32Y)의 토너 배출구(B)는 노즐(70)의 토너 공급 포트(70a)와 연통하고, 토너 용기(32Y)의 장착 동작도 완료된다.Thus, with respect to Fig. 14, the position of the supported
반면에, 토너 용기(32Y)가 장치 몸체(100)의 토너 용기 지지부(31)로부터 인출될 때(제거 될 때), 동작은 장착의 역순으로 수행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처음에, 토너 배출구(B)를 폐쇄하기 위해서(도 14의 상태로부터 도 13의 상태로의 이동), 토너 용기(32Y)의 고정부(73)로부터의 분리(이탈 동작)에 동기화하 여 고정부(73)에서 플러그 부재(34d)의 위치가 노즐(70) 및 클로 부재(76)에 의해 고정되는 동안, 플러그 부재(34d)는 클로 부재(76)에 의해 가세된다. 이때, 플러그 부재(34d)의 단부(도 13의 우측 단부)는 피지지부(34Y)에서 형성되는 피팅부에 끼워맞춰지고, 토너 배출구(B)의 폐쇄는 플러그 부재(34d)에 의해 완료된다. 그 후에, 토너 용기(32Y)가 분리되는 방향으로(화살표 Q에 반대되는 방향) 도 13의 상태로부터 더 이동할 때, 클로 부재(76)는 피지지부(34Y)의 분리가 방해받지 않는 위치로 이동한다(도 12의 상태). 피지지부(34Y)가 완전히 분리된 후에, 제 2 가세 부재인 판 스프링의 가세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기 위해, 클로 부재(76)는 활주부(34c1)에 의해 누름으로부터 방출된다.Initially, in order to close the toner discharge port B (movement from the state of FIG. 14 to the state of FIG. 13), the synchronizing with the separation from the fixing
여기에서, 판 스프링(77)은 클로 부재(76)를 수축 위치로부터 결합 위치로 가세하는 제 2 가세 부재이다. 그러한 판 스프링(77)은, 클로 부재(76)가 플러그 부재(34d)를 가세하는 힘이 플러그 부재(34d)의 활주 저항(개폐 동작에 관련된 O링의 패킹에 의해 발생된다)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토너 배출구(B)가 완전히 폐쇄되지 않도록 토너 용기(32Y)의 이탈 동작시 수축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클로 부재(76)가 플러그 부재(34d)에 의해 눌러지는 것과 같은 오류를 방지한다. 즉, 플러그 부재(34d)는 토너 용기(32Y)의 이탈 동작시 토너 배출구(B)를 완전하게 폐쇄한다.Here, the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플러그 부재(34d)의 위치는 토너 용기 지지부(31)에서 확실하게 고정되기 위해 노즐(70)과 클로 부재(76)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장치 몸체(100)가 동작 중인 때라도 플러그 부재(34d)는 변위되지 않는다. 따라서, 토너 배출구(B) 근처에서의 토너 비산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 position of the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토너 배출구(B)가 개폐될 때 플러그 부재(34d)의 행정(stroke)은 수동 동작(손가락으로 플러그 부재를 누르는 동작)에 의해 이동 가능한 행정보다 길도록 설정된다. 즉, 사용자가 실수로 토너 용기(32Y)의 플러그 부재(34d)를 만지더라도, 토너 배출구(B)가 개방되지 않도록 플러그 부재(34d)의 행정은 충분히 길게 설정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플러그 부재(34d)는 그 길이가 충분히 길도록(특히, 노즐이 토너 배출구와 결합되는 단부로부터의 길이) 형성되고, 플러그 부재(34d)의 안지름은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와 비교할 때 충분히 더 작게 제작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토너 배출구(B)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플러그 부재(34d)를 가세하는 가세 부재(클로 부재(76))가 토너 용기(32Y)에 설치되지 않는다 할지라도, 사용자의 오류있는 동작에 의해 야기되는 토너 배출구(B) 근처에서의 토너 비산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플러그 부재(34d)를 가세하는 가세 부재(클로 부재(76))가 장치 몸체(100)에 설치되기 때문에, 토너 용기(32Y)에서의 부품의 개수가 감소될 수 있고, 따라서 부품 가격과 가동 비용(running cost)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stroke of the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도 6,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부재(34d)는 활주부(34c1, 34c2)에 의해 둘러싸인 위치에 설치된다. 즉, 플러그 부재(34d)는 피지지부(34Y) 내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활주부(34c1, 34c2)의 활주 동작(탈착 동작)이 플러그 부재(34d)에 의해 토너 배출구(B)의 개폐 동작을 방해하지 않고 확실하게 수행되도록 한다. 즉, 활주부(34c1, 34c2)는 플러그 부 재(34d)를 위한 보호벽으로 활용된다. 또한, 플러그 부재(34d)의 실린더부는 피지지부(34Y)의 지지부(34c)로 덮혀 있고, 플러그 개폐와 관계없이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플러그의 개폐와 관계없이 기밀(airtightness)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플러그 부재(34d)는 클로 부재(76)의 결합부로서 실린더부의 축방향과 그에 수직 방향으로 대칭으로 돌출된 2개의 판을 갖는다. 2개의 판은 클로 부재(76)와 결합되도록 노출될지라도, 지지부(34c)의 두께에 의해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32Y)가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로 탈착될 때라도,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활주면(31a)으로 토너 용기가 활주하여 플러그가 부주의하게 개방될 가능성은 없고, 따라서 토너 비산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6, 15 and 16, the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토너 용기(32Y)의 장착 동작과 이탈 동작은, 토너 용기(32Y)의 활주부(34c1)가 활주면(31a)을 따라서 활주하도록, 한 동작(본체 도어의 개폐 동작을 제외하고)에 의해 완성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attaching operation and detaching operation of the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32Y)는 수직 방향으로 하방향으로 설치된 토너 배출구(B)가 있는 피지지부(34Y)를 포함한다. 토너 배출구(B)는 개구(A)보다 수직 방향으로 하측에 설치되고, 플러그 부재(34d)가 장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확실하게 위치결정된 후에, 플러그 부재(34d)는 패킹(34e)에 의해 밀봉되는 토너 배출구(B)를 개방하기 위해 노즐(70)에 의해 눌린다. 그러므로, 토너 배출구(B)에는 토너 얼룩이 더 적고, 토너 배출구(B)를 만져서 사용자의 손이 토너로 더러워지는 것과 같은 불편함은 방지된다.The
토너 용기 지지부(31)로의 토너 용기(32Y)의 탈착 동작은 활주부(34c1)의 활주와 관련되어 한 동작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에, 토너 용기(32Y)의 교체시 운용성/가공성은 향상된다. 특히, 피지지부(34Y)의 바닥에 활주부(34c1)를 설치하여, 활주부(34c1)는 토너 용기(32Y)를 지지하는 동안 활주면(31a)을 따라서 활주한다.Since the detachment operation of the
또한, 토너 용기(32Y)의 장착 동작은, 사용자가 그리퍼(33d)를 직접 쥐고 활주부(34c1)를 활주시키기 시작하고, 암 페어(90)에 의해 함께 가세되는 피지지부(34Y)의 위치결정을 시작하고, 노즐(70)의 삽입을 시작하고, 활주가 끝나는 것과 동시에 피지지부(34Y)의 위치결정, 노즐(70)의 삽입 및 구동 유닛으로의 연결을 완료하여 수행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피지지부(34Y)의 활주(한 동작에 의한 장착)가 진행되는 것과 동시에 피지지부(34Y)가 위치결정 될 때 찰칵하는 느낌을 받고, 장착 동작에 있어서, 오류 없는 동작이 행해졌다는 확신을 받는다.In addition, the mounting operation of the
또한, 토너 용기(32Y)는 상측으로부터 토너 용기 지지부(31, 장치 몸체(100))에서 설치되지 않으나, 탈착은 토너 용기 지지부(31, 장치 몸체(100))의 정면으로부터 수행되고, 따라서,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상측을 위한 배치의 유연성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스캐너(문서 리더기)가 토너 공급 장치(59)의 바로 위에 배치될지라도, 토너 용기(32Y)의 탈착시의 운용성/가공성이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토너 용기(32Y)의 기어(33c)와 장치 몸체(100)의 구동 기어(31g) 사이의 결합부(D)를 위한 배치의 유연성 또한 향상된다.Further, the
토너 용기(32Y)는 세로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여 장치 몸체(100)에 설치되고, 따라서, 토너 용기(32Y)의 토너 용량은 전체 화상 형성 장치(100)의 높이 방향에서의 배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증가되고, 교체 주기의 감소를 가져온다.The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피지지부(34Y)의 플러그 부재(34d)는, 토너 용기 지지부(31)로의 토너 용기(32Y)의 탈착시 한 동작에 의한 탈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토너 배출구(B)를 개폐한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32Y)의 교체시 운용성/가공성이 향상되고, 토너 얼룩의 발생이 확실하게 감소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토너는 토너 용기(32Y, 32M, 32C, 32K)의 각 용기 몸체에만 수용되나, 토너 및 담지체(carrier)를 수용하는 2성분 현상제를 각 현상 장치로 공급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경우에 있어서, 2성분 현상제는 또한 토너 용기(32Y, 32M, 32C, 32K)의 각 용기 몸체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라도, 제 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toner is contained only in the respective container bodies of the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돌기(33b)는 용기 몸체(33Y)의 내부 원부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용기 몸체(33Y)는 회전하도록 제작된다. 동시에, 코일 또는 스크루는 용기 몸체(33Y)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용기 몸체(33Y)는 회전되지 않으나, 코일 또는 스크루는 기어(33c)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서, 한 동작에 의해 토너 용기(32Y)의 탈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피지지부(34Y)의 플러그 부재(34d)가 토너 배출구(B)를 개폐한다면, 제 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공기를 관(71) 내부로 보내는 흡입형 스크루 펌프(60)는 토너 공급 장치(59)에 설치된다. 동시에, 공기를 관(71) 내부로 보내는 배출형 스크루 펌프는 토너 공급 장치(59) 내부에 또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다이어프램형 에어 펌프 또한 관(71)으로 연결되는 펌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라도, 피지지부(34Y)의 플러그 부재(34d)가 한 동작에 의한 토너 용기(32Y)의 탈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토너 배출구(B)를 개폐하는 경우, 제 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suction
(제 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도 17 내지 도 19에 관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spect to FIGS. 17 to 19.
도 17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의 헤드 측의 단면도이고,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것에 대응된다.17 is a sectional view of the head side of the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corresponding to that of FIG. 6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17에 관하여, 제 2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32Y)는, 압축 스프링(34f)이 피지지부(34Y)로 가세력을 인가하는 부재로서 설치된다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의 것과 다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토너 배출구(B)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플러그 부재(34d)를 가세하는 압축 스프링(34f)은 플러그 부재(34d)의 우측 상에 설치된다.Regarding FIG. 17, the
토너 용기 지지부(31)로의 토너 용기(32Y)의 장착 동작은 도 18 및 도 19에 관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The mounting operation of the
도 18A는 세로 방향에서 볼 때 옐로우 토너 용기(32Y)가 토너 용기 지지부(31)로 장착되는 방법(화살표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18B는 상측에서 볼 때의 상태에 있어서 피지지부(34Y)의 지지부(34c) 둘레의 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9A는 세로 방향에서 볼 때 토너 용기 지지부(31)로 장착되는 토너 용기(32Y)에 대한 개략도(장착이 완료됨)이고, 도 19B는 상측에서 볼 때의 상태에 있어서 지지부(34c) 둘레의 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Fig. 18A is a schematic diagram of how the
토너 용기 지지부(31)는 4개의 토너 용기(32Y, 32M, 32C, 32K)에 대응하는 4개의 토너 용기 지지부를 포함한다. 4개의 토너 용기 지지부의 각각은, 피지지부(34Y)의 활주부(34c1, 34c2)가 따라서 활주하는 활주면(31a,31b); 피지지부(34Y)의 지지부(34c)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73); 노즐(70, 토너 반송관); 용기 몸체(33Y)로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유닛(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고정부(73)는 지지부(34c)에 접촉하는 활주면(31a, 31b)과 캡 덮개(34b)의 부분에 접촉하는 접촉면(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The
토너 용기(32Y)가 장치 몸체(100)의 토너 용기 지지부(31)에 장착될 때, 처음에는, 화상 형성 장치(100) 본체의 정면(도 1의 종이 상의 근처 측) 상에 설치되는 본체 덮개(도시되지 않음)는 토너 용기 지지부(31)를 전방측으로 노출하기 위해 개방된다.When the
그 후에, 도 18A에 관하여, 토너 용기(32Y)는 토너 용기 지지부(31)로 압입된다(화살표 방향으로의 이동). 더욱 구체적으로는, 피지지부(34Y)가 용기 몸체(33Y)의 헤드가 되도록, 토너 용기(32Y)가 용기 몸체(33Y, 또는 토너 용기(32Y))의 세로 방향을 따라서 토너 용기 지지부(31)로 장착된다.Thereafter, with respect to FIG. 18A, the
이때, 제 1 활주부(34c1)는 토너 용기(32Y)의 헤드 측에서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활주면(31a)을 따라서 활주하고, 제 2 활주부(34c2)는 토너 용기 지지 부(31)의 활주면(31b)을 따라서 활주하고, 활주하는 동안에 토너 용기(32Y)는 사용자가 토너 용기(32Y)의 후방측 상의 그리퍼(33d)를 쥐어 균형을 유지하면서 토너 용기 지지부(31)로 압입된다.At this time, the first slide portion 34c1 slides along the
따라서, 토너 용기(32Y)의 지지부(34c)가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고정부(73)에 도달할 때, 피지지부(34Y)의 위치결정이 시작된다.Therefore, when the
그 후에, 플러그 부재(34d)는 노즐(70)의 선단이 지지부(34c)의 구멍으로 삽입되는 것에 응답하여 노즐(70)에 의해 눌린다. 피지지부(34Y)의 위치는 지지부(34c)가 고정부(73)에 맞닿는 위치에 고정되고, 동시에, 플러그 부재(34d)는 토너 배출구(B)를 완전히 개방한다.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개방이 토너 용기(32Y)의 토너 배출구(B)가 노즐(70)의 토너 공급 포트(70a)와 연통하도록 하고, 토너 용기(32Y)의 장착 동작이 완료된다.Thereafter, the
노즐(70)의 지지부(34c) 내부로 또는 외부로의 이동 및 플러그 부재(34d)의 지지부(34c) 내부로 또는 외부로의 이동은 두 부재가 지지부(34c)의 패킹(34e)의 립(lip)에 활주 가능하도록 접촉할 때 수행된다(이는 도 17에서 O링의 안지름을 형성하는 부분이고, 도 17에서 도시된 O링의 단면과 같이 야구에서 사용되는 홈 베이스와 같은 5각형의 선단에 대응한다).Movement into or out of the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토너 용기(32Y)의 장착 동작은 토너 용기(32Y)의 활주부(34c1)가 활주면(31a)을 따라서 활주하도록 한 동작(본체 도어를 개폐하는 동작을 제외하고)에 의해 완성된다. 즉, 피지지부(34Y, 토너 용기(32Y))의 위치결정 동작과 노즐(70)의 삽입 동작은, 토너 용기(32Y)의 활주부(34c1)가 활주면(31a)을 따라서 활주하도록 활주 동작에 동기화하여 순차적으로 수행된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mounting operation of the
토너 용기(32Y)가 장치 몸체(100)의 토너 용기 지지부(31)로부터 인출될 때(제거될 때), 동작은 장착의 역순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토너 용기(32Y)는 고정부(73)로부터 분리되도록 동작에 동기화하여, 노즐(70)은 또한 지지부(34c)로부터 분리되고, 플러그 부재(34d)는 압축 스프링(34f)의 가세력에 의해 토너 배출구(B)를 폐쇄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When the
토너 용기(32Y)가 탈착되는 화상 형성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클로 부재(76)를 포함하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사용할 수 있고, 이는 후에 설명될 제 1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와 다르다. 이러한 경우, 도 12 내지 도 14에 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클로 부재(76)의 작용은 압축 스프링(34f)의 작용에 중첩될 수 있다. 그러므로, 토너 배출구(B)의 밀봉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플러그 부재(34d)와 패킹(34e) 사이의 기밀이 더 증가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플러그 부재(34d)의 이동시 활주 하중은 또한 증가하나, 클로 부재(76)와 함께 압축 스프링(34f)은 플러그 부재(34d)의 이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토너 배출구도 원활하게 개폐될 수 있다.As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n which the
이러한 방식으로, 토너 용기(32Y)의 탈착 동작은, 토너 용기(32Y)의 활주부(34c1)가 활주면(31a)을 따라서 활주하도록, 한 동작(본체 도어의 개폐 동작을 제외하고)에 의해 완료된다.In this manner, the desorption operation of the
제 2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32Y)는 중력 방향으로 하측에 설치된 토너 배출구(B)가 있는 피지지부(34Y)를 포함하고, 플러그 부재(34d)는, 패킹(34e)으로 밀 봉된 토너 배출구(B)를 개방하기 위해, 장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노즐(70)에 의해 눌린다. 그러므로, 토너 배출구(B)에는 토너 얼룩이 더 적고, 토너 배출구(B)를 만짐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손이 토너로 더러워지는 것과 같은 문제점이 방지된다.The
토너 용기 지지부(31)로의 토너 용기(32Y)의 탈착 동작은 활주부(34c1)의 활주와 관련되는 한 동작에 의해 수행되고, 그러므로, 토너 용기(32Y)의 교체시 운용성/가공성이 향상된다. 특히, 활주부(34c1)를 피지지부(34Y)의 바닥에 설치하여, 토너 용기(32Y)를 지지하는 동안에 활주부(34c1)는 활주면(31a)을 따라서 활주한다.The desorption operation of the
또한, 토너 용기(32Y)의 장착 동작은, 사용자가 그리퍼(33d)를 직접 쥐는 동안 활주부(34c1)를 활주하기 시작하고, 활주하는 동안 피지지부(34Y)의 위치결정을 시작하고, 활주가 완료됨과 동시에 피지지부(34Y)의 위치결정과 노즐(70)의 삽입을 완료하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그러므로, 피지지부(4Y)의 활주(한 동작에 의한 장착 동작)가 진행됨과 동시에 피지지부(34Y)가 위치결정 될 때 찰칵하는 느김을 얻고, 장착 동작에 있어서 오류 없이 동작이 행해졌다는 확신을 갖는다.In addition, the mounting operation of the
또한, 토너 용기(32Y)는 상측으로부터 토너 용기 지지부(31, 장치 몸체(100))에 설치되지 않으나, 장착은 토너 용기 지지부(31, 장치 몸체(100))의 정면으로부터 수행되고, 따라서,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상측을 위한 배치의 유연성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스캐너(문서 리더기)가 토너 용기 지지부의 바로 위에 배치될지라도, 토너 용기(32Y)의 탈착시 운용성/가공성은 저하되지 않는다.Further, the
토너 용기(32Y)는 세로 방향이 수평 방향으로서 배치되어 장치 몸체(100)에 설치되고, 그러므로, 토너 용기(32Y)의 토너 용량은 전체 화상 형성 장치(100)의 높이 방향으로의 배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증가되고, 교체 주기가 감소된다.The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활주부(34c1, 34c2)는 피지지부(34Y)에 설치되고, 활주부는 토너 용기 지지부(31)로의 탈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토너 용기 지지부(31)를 따라서 활주한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32Y)의 교체시 운용성/가공성이 향상되고, 토너 얼룩의 발생이 확실하게 감소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slide portions 34c1 and 34c2 are provided in the supported
(제 3 실시예)(Thir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도 20에 관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spect to FIG.
도 20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의 사시도이고, 이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5에 대응한다.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피지지부(34Y)에 형성된 활주부(34c1)의 형상은 다른 실시예의 것과 다르다.2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which corresponds to FIG. 5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the third embodiment, the shape of the sliding portion 34c1 formed in the supported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32Y)에 있어서, 피지지부(34Y)의 제 1 활주부(34c1)는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활주면(31a)을 향해서 돌출한 2개의 볼록부(립(rib))이고, 다른 실시예에서 평탄부로 형성된 활주부와 다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활주부로서 2개의 볼록부(34c1)는 활주면(31a)과 접촉 가능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수직 방향으로의 높이가 활주면(31a)과 동등하도록 형성된다), 세로 방향(탈착 방향)을 따라서 신장된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32Y)의 탈착 동작이 수행될 때, 2개의 볼록부(34c1, 활주부)는, 피지지부(34Y, 또는 토너 용기(32Y)의 자세가 유지되는 동안, 활주면(31a)을 따라서 활주한다.As shown in FIG. 20, in the
제 3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32Y)의 탈착 동작은 또한, 다른 실시예와 유사하게 토너 용기(32Y)의 활주부(34c1)가 활주면(31a)을 따라서 활주하도록, 한 동작(본체 도어의 개폐 동작을 제외하고)에 의해 완료된다.The desorption operation of the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와 유사하게, 토너 용기 지지부에 설치된 토너 용기의 구성은 세로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설정함으로서 최적화된다. 그러므로, 교체시 운용성/가공성이 향상되고, 토너 얼룩의 발생이 확실하게 감소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third embodiment, similarly to the other embodiments, the configuration of the toner container provided in the toner container support portion is optimized by setting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fore, operability / processability at the time of replacement can be improved, and occurrence of toner spots can be reliably reduced.
토너 용기(32Y)에서 활주부(34c1)의 형상은 제 3 실시예의 것 또는 다른 실시예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피지지부(34Y)의 자세가 유지되는 동안 활주부가 활주면(31a)을 따라서 활주한다면, 다른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The shape of the sliding portion 34c1 in the
(제 4 실시예)(Example 4)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는 도 21 내지 도 25에 관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spect to FIGS. 21 to 25.
도 21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 지지부(31)에 설치된 암 페어(90)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암 페어(90)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된 도면은 필요할 경우 사용된다.2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도 4 및 도 10에 관하여, 토너 용기 지지부(31)는, 4개의 토너 용기(32Y, 32M, 32C, 32K)의 피지지부에서 각 활주부가 따라서 활주하는 활주면(31a); 피지지 부의 지지부(34c)의 각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73); 노즐(70); 각 용기 몸체(33Y)로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유닛; 통신 회로(74); 가세 유닛으로 활용되는 암 페어(90)를 포함한다.4 and 10, the toner
고정부(73)는 비회전 방식으로 토너 용기(32Y, 32M, 32C, 32K) 각각의 피지지부를 지지한다. 고정부(73)는 지지부(34c)에 접촉하는 활주면과 캡 덮개(34b)의 부분에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한다. 피지지부(34Y)의 장착에 동기화하여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 부재(31c)가 고정부(73)의 활주면(측면)에 설치된다(도 5 참조). 위치결정 부재(31c)는 토너 용기(32Y)의 탈착 방향을 따라서 신장하는 볼록부이다.The fixing
도 11에 도시된 노즐(70)은 고정부(73)에서 각 토너 색상을 위해 설치된다. 노즐(70)은 토너 용기(32Y)의 피지지부(34Y)에 형성되는 토너 배출구(B)dhk 연통하는 토너 공급 포트(70a)를 갖는다.The
도 10 및 도 21에 관하여, 암 페어(90)는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고정부(73)에 각 토너 색상을 위해 설치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 페어(90)는 토너 용기의 피지지부를 사이에 끼우는 양 측 상에 배치된다.10 and 21, the
도 22에 관하여, 암 페어(90)는, 제 1 암(91, 제 2 가세 요소), 제 2 암(92, 가세 요소), 스핀들(93) 및 비틀림 스프링(94)을 포함한다. 암 페어(90)는 스핀들(93)을 통해서 일체로 설치되고, 비틀림 스프링(94)에 의해 스핀들(93) 둘레의 회전 방향으로 양 방향 상의 힘에 영향을 미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 1 암(91)과 제 2 암(92)는 스핀들(93) 둘레의 회전 방향으로 양 방향 상의 힘에 영향을 미친다. 제 1 암(91)과 제 2 암(92) 사이에서 형성되는 각도가 증가할수록, 힘은 더 커진다.With respect to FIG. 22, the
이상과 같은 방식으로 구성된 암 페어(90)는, 토너 용기(32Y)가 토너 용기 지지부(31)에 설치되는 동안, 고정부(73)를 향해(화살표 Q 방향을 향해 가세) 피지지부(34Y)를 가세하는 가세 유닛으로 활용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암 페어(90)는 토너 용기 지지부(31)에 설치된 토너 용기가 있는 피지지부(34Y)의 가세된 부분인 평탄부(34k)를 가세한다. 또한, 암 페어(90)는, 토너 용기(32Y)의 탈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활주하기 위해, 피지지부(34Y)의 활주부(34c2, 피지지부(34Y)의 2개의 측부(side portion)에 배치된 제 2 활주부)가 암 페어(90)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암 페어(90)에 의해 가세되는 피지지부(34Y)의 가세되는 부분인 평탄부(34k)는, 활주부(34c2)가 형성되는 피지지부(34Y)의 2개의 측부의 단에서 측부를 교차하는 플랫(flat)이다(이는 2개의 측부의 단 사이를 연결하고,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탈착 방향에 직교한다).The
이상의 구성에 근거하여, 2개의 활주부(34c2)가 2개의 암 페어(90)에 의해 지지되는 동안 토너 용기(32Y)는 고정부(73)에 설치되고, 고정부(73)에서 피지지부(34Y)의 자세는 암 페어(90)에 의해 유지된다(피지지부는 노즐(70) 측으로 가세되고, 그 위치는 고정된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32Y)의 교체시 운용성/가공성이 향상되고, 교체 작업과 관련되는 토너 얼룩의 발생이 확실하게 감소될 수 있다.Based o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토너 용기 지지부(31)로의 토너 용기(32Y)의 탈착 동작은 도 23 내지 도 25 및 도 12 내지 도 14에 관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Desorption operation of the
도 12는 세로 방향에서 볼 때 옐로우 토너 용기(32Y)가 토너 용기 지지 부(31)에 장착되는 방법(화살표 Q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23은 상측에서 볼 때의 상태에서 암 페어(90)와 피지지부(34Y, 지지부(34c)) 사이의 관계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3은 세로 방향에서 볼 때 토너 용기(32Y)의 장착이 진행되는 방법(토너 배출구(B)가 개방되기 시작한다)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24는 상측에서 볼 때의 상태에서 암 페어(90)와 피지지부(34Y, 지지부(34c)) 사이의 관계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4는 세로 방향에서 볼 때 토너 용기 지지부(31)에 장착되는 토너 용기(토너 배출구(B)의 개방이 완료된다)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25는 상측에서 볼 때의 상태에서 암 페어(90)와 피지지부(34Y, 지지부(34c)) 사이의 관계에 대한 개략도이다.Fig. 12 is a schematic view of how the
토너 용기(32Y)가 장치 몸체(100)의 토너 용기 지지부(31)에 장착될 때, 처음에는, 화상 형성 장치(100) 본체의 정면(도 1의 상이 상의 근처 측) 상에 설치되는 본체 덮개(도시되지 않음)는 토너 용기 지지부(31)를 전방측으로 노출시키기 위해 개방된다.When the
그 후에, 도 12에 관하여, 토너 용기(32Y)는 토너 용기 지지부(31)로 압입된다(화살표 Q 방향으로의 이동). 더욱 구체적으로는, 피지지부(34Y)가 용기 몸체(33Y)의 헤드가 되도록, 토너 용기(32Y)가 용기 몸체(33Y)의 세로 방향을 따라서 토너 용기 지지부(31)로 장착된다.12, the
이때, 활주부(34c1)는 토너 용기(32Y)의 헤드 측에서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활주면(31a)을 따라서 활주하고, 토너 용기(32Y)는 사용자가 토너 용기(32Y)의 후방 측 상의 그리퍼(33d)를 쥐고 균형을 유지하면서 토너 용기 지지부(31)로 압입 된다.At this time, the slide part 34c1 slides along the
그 후에, 도 23에 관하여, 토너 용기(32Y)의 지지부(34c, 피지지부(34Y))는 토너 용기 지지부(31)에서 암 페어(90)의 위치에 도달할 때, 제 1 암(91)은 지지부(34c, 피지지부(34Y))의 전방 모서리와 접촉하고, 제 2 암(92)은 지지부(34c, 피지지부(34Y))의 측면(활주부(34c2))과 접촉하고, 암 페어(90)는 도 23의 검은 화살표 방향으로(γ 방향) 넓혀진다. 그 후에는, 암 페어(90)를 검은 화살표 방향으로(γ 방향) 넓혀서, 비틀림 스프링(94)의 스프링 힘에 의해서 제 1 암(91)은 화살표 S1 방향으로 지지부(34c)에 힘을 작용하고, 제 2 암(92)은 화살표 S2 방향으로 힘을 작용한다. 이러한 경우, 제 2 암(92)은 지지부(34c)의 양 측면 상에 서로 대향하고, 화살표 S2로 표시되는 양 방향으로부터의 힘은 상쇄된다. 그러므로, 활주부(34c2) 상의 제 2 암(92)으로부터 작용하는 힘은 수지 사이의 소량의 활주 저항이 되고, 따라서 제 1 암(91)에 의해 S1 방향으로의 힘은 피지지부(34Y) 상에 주로 작용된다. 이러한 힘은 토너 용기(32Y)가 고정부(73)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의 힘이다.Thereafter, with respect to FIG. 23, when the
그 후에, 토너 용기(32Y)는 이탈 방향으로의 힘에 대항하여 더 눌리고, 토너 용기(32Y)의 지지부(34c)가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고정부(73)에 도달할 때, 활주면(31a)을 따라서 제 1 활주부(34c1)의 활주에 부가하여, 피지지부(34Y)의 위치결정은 제 2 활주부(34c2)가 암 페어(90)를 따라서 활주하는 동안 개시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피지지부(34Y)의 결합부(34g)와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위치결정 부재(31c)는 서로 결합되기 시작한다.Thereafter, the
그 후에, 토너 용기(32Y)의 장착 동작이 더 진행되고, 플러그 부재(34d)는 결합부(34g)와 위치결정 부재(31c)가 결합될 때 토너 배출구(B)를 개방하기 시작한다(도 13에서 도시된 상태). 즉, 노즐(70)의 선단은 지지부(34c)의 구멍으로 삽입되고, 동시에, 플러그 부재(34d)는 상대적으로 노즐(70)에 의해 눌린다.Thereafter, the mounting operation of the
이때, 제 2 활주부(34c2)의 제 1 암(91)을 따른 활주에 부가하여, 제 2 암(92)은 고정부(73)를 향해 피지지부(34Y)를 가세한다(화살표 Q 방향으로의 가세).At this time, in addition to the slide along the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24에 관하여, 제 1 암(91)은 지지부(34c, 피지지부(34Y))의 전방 모서리에 의해 넓혀지고, 제 2 활주부(34c2)와 접촉하게 된다. 동시에, 제 2 암(92)은 지지부(34c, 평탄부(34k))의 후단에 접촉하기 시작한다. 이때, 화살표 S2의 양 방향으로부터의 제 1 암(91)에 의한 힘은 상쇄된다. 그러므로, 제 1 암(91)으로부터 활주부(34c2)에 작용하는 힘은 수지 사이의 소량의 활주 저항이 되고, 결과적으로, S3 방향으로부터의 제 2 암(92)에 의한 힘은 주로 피지지부(34Y)에 작용한다. 이러한 힘은 토너 용기(32Y)가 고정부(73)를 향해(화살표 Q 방향) 가세되는 방향으로의 힘이다.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FIG. 24, the
도 14에 관하여, 피지지부(34Y)의 위치는 지지부(34c)가 고정부(73)에 맞닿는 위치에 고정되고(충돌을 위한 참조 위치), 동시에, 플러그 부재(34d)는 토너 배출구(B)를 완전히 개방하고, 토너 용기(32Y)의 기어(33c)는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구동 유닛이 구동 기어와 결합된다. 또한, ID 칩(35)은 통신 회로(74)와 연통 가능한 위치에 고정된다. 토너 용기(32Y)의 토너 배출구(B)와 토너 공급 포트(70a) 는 서로 연통하고, 토너 용기(32Y)의 장착 동작은 완료된다.With respect to Fig. 14, the position of the supported
이때, 도 25에 관하여, 제 1 암(91)은 제 2 활주부(34c2)와 접촉하고, 제 2 암(92)은 가세된 부분으로서 평탄부(34k, 지지부(34c)의 후단)와 접촉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화살표 S4 방향으로 제 2 암(92)에 의한 힘만 피지지부(34Y) 상에 작용한다. 이러한 힘은 고정부(73)에서 토너 용기(32Y)의 피지지부(34Y)를 지지하기 위한 힘(위치결정 힘)이다.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암 페어(90)는 평탄부(34k)의 두 부분(양 단)과 접촉하고, 장착 방향을 향해 균형을 잡으면서 피지지부(34Y)를 가세한다.At this time, with respect to FIG. 25, the
토너 용기(32Y)가 수동으로 사용자에 의해 이탈될 때조차도, 피지지부(34Y)의 결합부(34g)가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위치결정 부재(31c)로부터 분리되기 전 또는 후에, 제 1 암(91)과 제 2 암(92)은 도 2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있다. 이때, 제 1 암(91)은 또한, 토너 용기(32Y)가 고정부(73)로부터 이탈되는 S1 방향으로 피지지부(34Y) 상에 힘을 작용하고, 이러한 힘은 사용자가 인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지원하여 이탈을 용이하게 한다.Even when the
또한, 이탈을 지원하기 위한 힘이 제 1 암(91)에 의해 발생될 때까지, 동작은 도 25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를 겪는다. 그러나, 이때, S3 및 S4 화살표에 의해 표시되고 토너 용기(32Y)를 고정부(73)로 가세하는 힘은 제 2 암(92)에서 발생되고, 이러한 힘은 사용자가 느리고 약한 이탈 동작을 수행할 때 토너 비산을 억제하기 위해 토너 배출구를 폐쇄하는 고정부(73)로 토너 용기(32Y)를 미는데 사용되고, 인출하는 것은 힘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러한 힘은 토너가 덜 비 산되는 빠른 인출 동작을 하도록 재촉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undergoes a state as shown in FIGS. 25 and 24 until a force for supporting departure is generated by the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도 6에 관하여, 가세된 부분인 활주부(34c2)는 그 높이(수직 방향으로의 위치)가 거의 토너 배출구(B, 또는 플러그 부재(34d))의 높이와 거의 동등하도록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활주부(34c2)가 암 페어(90)를 따라서 활주할 때, 세로 방향으로 노즐(70)의 중심축 둘레의 토크(래틀)이 피지지부(34Y) 상에서 영향을 받을지라도, 활주부(34c2) 상의 제 1 암(91)과 제 2 암(92)으로부터 작용하는 힘이 토크를 촉직시키는 힘이 되는 것을 방지한다. 결과적으로, 토너 배출구(B, 또는 플러그 부재(34d))와 노즐(70)이 서로 변위되는 것과 같은 오류가 방지된다.In the fourth embodiment, with respect to Fig. 6, the slide portion 34c2, which is an added portion, has a height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almost equal to the height of the toner discharge port B, or the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토너 용기(32Y)의 토너 용기 지지부(31)로의 장착 동작은, 활주부(34c2)가 암 페어(90)를 따라서 활주하기 시작한 후에, 노즐(70)은 플러그 부재(34d)를 누르기 시작하고, 활주부(34c2)가 암 페어(90)를 따라서 활주하는 것을 마치는 것과 동시에 암 페어(90)는 평탄부(34K, 가세된 부분)를 가세하는(위치결정 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구성된다. 즉,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 방향으로 활주부(34c2)의 길이는 충분히 길도록 설정된다. 이로 인해, 피지지부(34Y)가 원활하게 토너 용기 지지부(31)로 장착되기 시작한 후에, 노즐(70)은 플러그 부재(34d)를 누르고, 고정부(73)는 피지지부(34Y)를 위치결정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확실하게 한다.In the fourth embodiment, the mounting operation of the
제 4 실시예는, 토너 용기 지지부(31)로의 토너 용기(32Y)의 탈착 동작과 관련되어 플러그 부재(34d)의 탈착 방향으로의 이동 거리는 탈착 방향으로 토너 배출 구(B)로부터 평탄부(34k, 가세된 부분)까지의 거리보다 더 짧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기초하여, 노즐(70)과 플러그 부재(34d)는, 피지지부(34Y)가 토너 용기 지지부(31)로 원활하게 장착된 후에, 확실하게 결합된다.The fourth embodiment relates to the detachment operation of the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지지부(34Y)의 결합부(34g)는 수직 방향으로 활주부(34c2, 제 2 활주부)와 토너 배출구(B, 또는 플러그 부재(34d))의 상측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토너가 토너 배출구(B)로부터 누출된다고 할지라도, 누출된 토너의 대부분은 중력 방향으로 떨어지고, 따라서 위치결정 부재(31c)와의 불량 결합을 야기시키도록 토너가 결합부(34g)에 부착되는 것과 같은 오류는 감소된다.In the fourth embodiment, as shown in Fig. 7, the engaging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와 유사하게, 토너 용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토너 용기의 구성은 세로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기초로 하여 최적화된다. 따라서, 교체시의 운용성/가공성이 향상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fourth embodiment, similarly to the other embodiments, the configuration of the toner container provided in the toner container support portion is optimized on the basis of being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fore, operability / processability at the time of replacement is improved.
또한,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암 페어(90)에 의해 지지되는 2개의 활주부(34c2)가 원활하게 활주하는 동안, 토너 용기(32Y)는 고정부(73)에 설치되고, 암 페어(90)의 가세력에 의해 피지지부(34Y)는 고정부(73)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32Y)의 교체시 운용성/가공성은 더 향상되고, 교체 작업과 관련되는 토너 얼룩의 발생은 확실하게 감소될 수 있다.Further,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제 5 실시예)(Example 5)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는 도 26에 관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spect to FIG.
도 26은 제 5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32Y)가 토너 용기 지지부(31)로 부착될 때의 암 페어(90)에 대한 개략도이고, 제 4 실시예에 따른 도 25에 대응한다. 제 5 실시예에 있어서, 모서리부(340m)는 토너 용기(32Y)에서 피지지부(34Y)의 가세된 부분으로서 사용되고, 이러한 점은 평탄부(34k)가 피지지부(34Y)의 가세된 부분으로 사용되는 제 4 실시예와 다르다.FIG. 26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도 26에 관하여, 또한 제 5 실시예에 있어서, 암 페어(90)는 토너 용기(32Y)가 토너 용기 지지부(31)에 설치되는 동안 피지지부(34Y)를 고정부(73)로 가세하는 가세 유닛으로 기능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토너 용기(32Y)가 토너 용기 지지부(31)에 설치되는 동안, 암 페어(90)는 피지지부(34Y)의 가세된 부분으로서의 모서리부(340m, 곡면부)를 가세한다. 또한, 토너 용기(32Y)의 탈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피지지부(34Y)의 제 2 활주부(34c2)가 활주하기 위해 암 페어(90)와 접촉하도록, 암 페어(90)가 구성된다. 여기에서, 암 페어(90)에 의해 가세되는 피지지부(34Y)의 가세된 부분인 모서리부(340m)는 활주부(34c2)가 형성되는 피지지부(34Y)의 2개의 측부의 각 단의 모서리(2개의 모서리부)이다.With reference to FIG. 26, and also in the fifth embodiment, the
이상의 구성에 근거하여, 2개의 암 페어(90)에 의해 지지되는 2개의 활주부(34c2)가 원활하게 활주하는 동안에 토너 용기(32Y)는 고정부(73)에 설치되고, 고정부(73)에서 피지지부(34Y)의 자세는 암 페어(90)에 의해 유지된다. 제 5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암 페어(90)는 균형을 유지하여 피지지부(34Y)를 장착 방향으로 가세하기 위해 2개의 모서리부(340m)와 접촉한다.Based o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제 5 실시예에 있어서, 피지지부(34Y)의 모서리부(340m)는 둥글려진다(둥글게 모따기). 모서리부(340m)의 둥근 형태는, 모서리부(340m)와 접촉하는 암 페어(90)의 접촉부(제 2 암(92)의 접촉부(92a))의 둥근 형태보다 더 작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활주부(34c2)가 암 페어(90)를 따라서 활주하는 것과 같은 동작으로부터 암 페어(90)가 피지지부(34Y, 모서리부(340m))를 가세하는 것과 같은 동작까지의 전환이 원활하게 수행된다.In the fifth embodiment, the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5 실시예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와 유사하게, 토너 용기 지지부에 설치된 토너 용기의 구성은 세로 방향이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것에 근거하여 최적화된다. 그러므로, 교체시 운용성/가공성이 향상되고, 토너 얼룩의 발생이 확실하게 감소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fifth embodiment, similarly to the other embodiments, the configuration of the toner container provided in the toner container support portion is optimized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rovi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fore, operability / processability at the time of replacement can be improved, and occurrence of toner spots can be reliably reduced.
또한, 제 5 실시예에 있어서, 제 4 실시예와 유사하게, 2개의 암 페어(90)에 의해 지지되는 2개의 활주부(34c2)가 원활하게 활주하는 동안, 토너 용기(32Y)는 고정부(73)에 설치되고, 암 페어(90)의 가세력으로 인해 피지지부(34Y)는 고정부(73)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토너 용기(32Y)의 교체시 운용성/가공성이 더 향상되고, 교체 작업과 관련된 토너 얼룩의 발생이 확실하게 감소될 수 있다.Also, in the fifth embodiment, similarly to the fourth embodiment, the
(제 6 실시예)(Example 6)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는 도 27 내지 도 29에 관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spect to FIGS. 27 to 29.
제 6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32Y)는 또한 피지지부(34Y)의 지지부(34c)에 설치된 활주부(34c1, 34c2)를 포함하고, 토너 용기 지지부(31)로의 탈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활주부는 토너 용기 지지부(31)를 따라서 활주한다.The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 1 활주부(34c1)는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활주면(31a, 상측면, 도 27A 참조)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평탄부이고, 평탄부는 탈착이 행해지는 피지지부(34Y)의 바닥에 설치된다. 또한, 제 2 활주부(34c2)는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활주면(31b, 측면, 도 27B 참조)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평탄부이고, 평탄부는 탈착이 행해지는 피지지부(34Y)의 측부에 설치된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sliding portion 34c1 is a flat portion formed to be parallel to the sliding
토너 용기 지지부(31)로의 토너 용기(32Y)의 탈착 동작은 도 27과 도 29에 관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Desorption operation of the
도 27A는 세로 방향에서 볼 때 옐로우 토너 용기(32Y)가 토너 용기 지지부(31)에 장착되는 방법(화살표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27B는 상측에서 볼 때의 상태에서 피지지부(34Y)의 지지부(34c) 둘레의 부분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28A는 세로 방향에서 볼 때 토너 용기(32Y)의 장착이 진행되는 방법(피지지부(34Y)의 위치결정이 개시된다)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28B는 상측에서 볼 때의 상태에서 피지지부(34Y)의 지지부(34c) 둘레의 부분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29A는 세로 방향에서 볼 때 토너 용기 지지부(31)에 장착되는 토너 용기(32Y)에 대한 개략도(장착이 완료됨)이고, 도 29B는 상측에서 볼 때의 상태에서 지지부(34c) 둘레의 부분에 대한 개략도이다.FIG. 27A is a schematic diagram of how the
4개의 토너 용기(32Y, 32M, 32C, 32K) 각각에 대응하는 4개의 토너 용기 지지부는 토너 용기 지지부(31)에 설치된다. 4개의 토너 용기 각각은 피지지부(34Y) 의 활주부(34c1, 34c2)가 따라서 활주하는 활주면(31a, 31b); 피지지부(34Y)의 지지부(34c)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73); 및 회전 구동력을 용기 몸체(33Y)에 전달하는 구동 유닛(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고정부(73)는 지지부(34c)에 접촉하는 활주면(31a, 31b)과 캡 덮개(34b)의 부분에 접촉하는 접촉면(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피지지부(34Y)의 장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위치결정을 위한 위치결정 부재(31c)는 고정부(73)의 활주면(31b, 측면)에 설치된다. 위치결정 부재(31c)는 토너 용기(32Y)의 탈착 방향으로 따라서 신장되는 볼록부이다.Four toner container support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our
토너 용기(32Y)가 장치 몸체(100)의 토너 용기 지지부(31)에 장착될 때, 처음에는, 화상 형성 장치(100) 본체의 정면(도 1의 종이 상의 근처 측) 상에 설치되는 본체 덮개(도시되지 않음)는 토너 용기 지지부(31)를 전방측으로 노출하기 위해 개방된다.When the
그 후에, 도 27A에 관하여, 토너 용기(32Y)는 토너 용기 지지부(31)로 압입된다(화살표 방향으로의 이동). 더욱 구체적으로는, 피지지부(34Y)가 용기 몸체(33Y)의 헤드가 되도록, 토너 용기(32Y)가 용기 몸체(33Y, 또는 토너 용기(32Y))의 세로 방향을 따라서 토너 용기 지지부(31)에 장착된다.Thereafter, with respect to FIG. 27A, the
이때, 제 1 활주부(34c1)는 토너 용기(32Y)의 헤드 측에서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활주면(31a)을 따라서 활주하고, 활주하는 동안 토너 용기(32Y)는 사용자가 토너 용기(32Y)의 후방측 상의 그리퍼(33d)를 쥐고 균형을 유지하면서 토너 용기 지지부(31)로 압입된다.At this time, the first slide portion 34c1 slides along the
도 28A에 관하여, 토너 용기(32Y)의 지지부(34c)가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고정부(73)에 도달할 때, 활주면(31a)을 따라서 제 1 활주부(34c1)의 활주에 부가하여, 제 2 활주부(34c2)가 활주면(31b)을 따라서 활주하는 동안, 피지지부(34Y)의 위치결정이 시작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피지지부(34Y)의 결합부(34g)와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위치결정 부재(31c)는 상호 간에 결합되기 시작된다.With respect to FIG. 28A, when the
그 후에, 토너 용기(32Y)의 장착 동작이 더 진행될 때, 플러그 부재(34d)는 결합부(34g)와 위치결정 부재(31c)가 서로 결합되는 동안 토너 배출구(B)를 개방하기 시작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플러그 부재(34d)는 노즐(70)의 선단의 지지부(34c)의 구멍으로의 삽입과 관련하여 노즐(70)에 의해 눌린다. 그 후에, 도 2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지지부(34Y)의 위치는 지지부(34c)가 고정부(73)에 대항하여 맞닿는 위치(충돌을 위한 참조 위치)에 고정되고, 동시에, 플러그 부재(34d)는 토너 배출구(B)를 완전히 개방한다. 토너 용기(32Y)의 토너 배출구(B)와 노즐(70)의 토너 공급 포트(70a)는 서로 연통하고, 토너 용기(32Y)의 장착 동작은 완료된다.Thereafter, when the mounting operation of the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6 실시예에 있어서, 토너 용기 지지부(31)로의 토너 용기(32Y)의 장착 동작은, 피지지부(34Y)의 위치결정이 시작된 후에 플러그 부재(34d)가 토너 배출구(B)를 개방하기 시작하도록 구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위치결정 부재(31c)의 선단은, 장착 방향(즉, 도 27A에서 화살표에 의해 도시되는 방향으로)으로 이동하는 피지지부(34Y)에 대하여 노즐(70)의 선단보다 피지지부(34Y)의 측에 더 가깝게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즉, 도 27B에 관하여, 위치결정 부재(31c)는, 고정부(73)에서 충돌을 위한 참조 위치로부터 왼쪽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H) 만큼 노즐(70)보다 길게 제작되도록, 형성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ixth embodiment, the mounting operation of the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 6 실시예에 있어서, 토너 용기(32Y)의 장착 동작은, 토너 용기(32Y)의 활주부(34c1)가 활주면(31a)을 따라서 활주하는 것과 같은 한 동작(본체 도어의 개폐 동작을 제외하고)에 의해 완료된다. 즉, 토너 용기(32Y)의 활주부(34c1)는 활주면(31a)을 따라서 활주하게 되고, 이러한 동작에 동기화하여 피지지부(34Y)의 위치결정 동작이 시작되고, 그 다음에, 노즐(70)의 삽입 동작이 시작된다.More specifically, in the sixth embodiment, the mounting operation of the
그러므로, 노즐(70)은 위치 결정 부재(31c)에 의해 정확하게 위치결정되는 피지지부(34Y)의 플러그 부재(34d, 구멍)과 확실하게 접촉하게 된다. 이로 인해, 노즐(70, 또는 피지지부(34Y))의 손상이 방지되고, 이러한 손상은 노즐(70)이 플러그 부재(34d)를 놓치고 피지지부(34Y)에 부딪히기 때문에 발생한다. 즉, 피지지부(34Y)가 정확하게 위치결정되기 전에 노즐(70)의 삽입 동작이 시작된다면, 노즐(70)은 플러그 부재(34d)를 놓치고 피지지부(34Y)에 부딪히기고, 이는 노즐(70, 또는 피지지부(34Y)) 상에 작용하는 허용 스트레스를 초과하는 스트레스를 야기하고, 노즐(70, 또는 피지지부(34Y))은 변형될 수 있다.Therefore, the
제 6 실시예에 있어서, 도 27B에 관하여, 위치결정 부재(31c)는 피지지부(34Y)가 장착되는 측의 선단에 형성되는 테이퍼(31c1, 또는 모따기)를 갖는다. 또한, 피지지부(34Y)의 결합부(34g)는 또한 위치결정 부재(31c)가 결합되는 측의 선단에 형성되는 테이퍼(34g1, 또는 모따기)를 갖는다. 이로 인해, 토너 용기(32Y)의 탈착 동작시 피지지부(34Y)의 결합부(34g)와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위치결정 부재(31c) 사이의 결합이 원활하게 되도록 한다.In the sixth embodiment, with respect to Fig. 27B, the positioning
또한, 지지부(34c)의 내부 또는 외부를 향한 노즐(70)의 이동과 지지부(34c)의 내부 또는 외부를 향한 플러그 부재(34d)의 이동은 양 부재가 지지부(34c)의 패킹(34e)의 립에 활주 가능하도록 접촉할 때 행해진다. 그러므로, 노즐(70)의 삽입 또는 제거로 인하여 토너가 지지부(34c)로부터 누출되는 것과 같은 오류는 방지된다.In addition, the movement of the
토너 용기(32Y)가 장치 몸체(100)의 토너 용기 지지부(31)로부터 인출(제거)될 때, 동작은 장착의 역순으로 수행된다. 이때, 고정부(73)로부터 분리되는 토너 용기(32Y)의 동작과 동기화하여 노즐(70)은 또한 지지부(34c)로부터 분리되고, 플러그 부재(34d)는 압축 스프링(34f)의 가세력에 의해 토너 배출구(B)를 폐쇄하는 위치로 이동한다.When the
이러한 방식으로, 토너 용기(32Y)의 탈착 동작은 토너 용기(32Y)의 활주부(34c1)가 활주면(31a)을 따라서 활주하는 것과 같은 한 동작(본체 도어의 개폐 동작을 제외하고)에 의해 완성된다. In this manner, the desorption operation of the
제 6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32Y)는 중력 방향으로 하측에 설치된 토너 배출구(B)가 있는 피지지부(34Y)를 포함하고, 플러그 부재(34d)가 장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확실하게 위치결정된 후에, 플러그 부재(34d)는 패킹(34e)으로 밀봉되는 토너 배출구(B)를 개방하기 위해 노즐(70)에 의해 눌린다. 그러므로, 토너 배출구(B)에는 더 적은 토너 얼룩이 있고, 토너 배출구(B)를 만짐으로서 사용자의 손이 더러워지는 것과 같은 문제점이 방지된다.The
토너 용기 지지부(31)로의 토너 용기(32Y)의 탈착 동작은 활주부(34c1)의 활주와 관련해서 한 동작에 의해 수행되고, 그러므로, 토너 용기(32Y)의 교체시 운용성/가공성은 향상된다. 특히, 피지지부(34Y)의 바닥에서 활주부(34c1)를 설치하여, 활주부(34c1)는 토너 용기(32Y)를 지지하는 동안 활주면(31a)을 따라서 활주한다.The desorption operation of the
또한, 토너 용기(32Y)의 장착 동작은, 사용자가 그리퍼(33d)를 직접 쥐는 동안 활주부(34c1)를 활주하기 시작하고, 활주와 관계되는 피지지부(34Y)의 위치결정을 시작하고, 활주가 완료됨과 동시에 피지지부(34Y)의 위치결정과 노즐(70)의 삽입을 마침에 의해 행해진다. 그러므로, 피지지부(34Y)의 활주(한 동작에 의한 장착 동작)가 진행됨과 동시에 피지지부(34Y)가 위치결정될 때, 사용자는 찰칵하는 느낌을 받고, 장착 동작에 있어서 오류 없는 동작이 수행되었다는 확신을 갖는다.In addition, the mounting operation of the
또한, 토너 용기(32Y)는 상측으로부터 토너 용기 지지부(31, 장치 몸체(100))에 설치되지 않으나, 탈착은 토너 용기 지지부(31, 장치 몸체(100))의 정면으로부터 수행되고, 따라서,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상측을 위한 배치의 유연성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스캐너(문서 리더기)가 토너 용기 지지부의 바로 위에 배치될지라도, 토너 용기(32Y)의 탈착시 운용성/가공성이 저하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토너 용기(32Y)는 세로 방향이 수평 방향이 되도록 설정하여 장치 몸체(100)에 설치되고, 그러므로, 토너 용기(32Y)의 토너 용량은 전체 화상 형성 장치(100)의 높이 방향으로의 배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증가되고, 이는 교체 주기의 감소를 가져온다.The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6 실시예에 있어서, 토너 용기(32Y)가 토너 용기 지지부(31)로 장착될 때, 피지지부(34Y)의 위치결정은 장착 동작과 동기화하여 시작되고, 따라서, 플러그 부재(34d)는 토너 배출구(B)를 개방하기 시작한다. 그러므로, 토너 배출구(B)는 변함없이 원활하게 개방된다. 토너 용기(32Y)의 교체시 운용성/가공성은 향상될 수 있고, 토너 얼룩의 발생은 확실하게 감소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ixth embodiment, when the
(제 7 실시예)(Example 7)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는 도 30A 및 도 30B에 관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spect to FIGS. 30A and 30B.
도 30A와 도 30B는 제 7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32Y)가 토너 용기 지지부(31)에 장착되는 방법에 관한 개략도이고, 이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도 27A 및 도 27B에 대응한다. 제 7 실시예는 주로 토너 용기(32Y)의 피지지부(34Y)의 형상에 있어서 제 6 실시예와 다르다.30A and 30B are schematic views of how the
제 7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32Y)는, 제 6 실시예와 유사하게, 또한 용기 몸체(33Y)와 피지지부(34Y, 보틀 캡)을 포함한다. 개폐 부재인 플러그 부재(34d)는 토너 용기(32Y)의 피지지부(34Y)에 설치되고,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위치결정 부재(31c)와 결합되는 결합부(34g)가 설치된다.The
제 7 실시예에 따른 피지지부(34Y)는 이하의 방식에 따른 제 6 실시예와 다르다. 피지지부(34Y)가 토너 용기 지지부(31)에 대하여 장착 방향으로(즉, 도 30A에서 화살표에 의해 도시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선단은 노즐(70)에 의해 눌리 는 플러그 부재(34d)의 선단보다 토너 용기 지지부(31) 측(지면 상의 우측)에 더 가깝도록 배치되도록, 위치결정 부재와 결합하는 결합부(34g)의 선단은 형성된다. 즉, 플러그 부재(34d)보다 고정부(73) 측에서 소정의 길이(H) 만큼 더 길도록 결합부(34g)가 형성된다. 토너 용기 지지부(31)에 있어서, 위치결정 부재(31c)와 노즐(70)은, 고정부(73)에서 충돌하기 위한 참조 위치로부터의 길이와 서로 거의 동등하도록 형성된다. The supported
이상의 구성에 근거하여, 제 7 실시예에 있어서, 제 6 실시예와 유사하게, 토너 용기 지지부(31)로의 토너 용기(32Y)의 장착 동작시, 피지지부(34Y)의 위치결정이 시작되고, 따라서 플러그 부재(34d)는 토너 배출구(B)를 개방하기 시작한다. 그러므로, 노즐(70)이 플러그 부재(34d)를 놓치고 피지지부(34d)에 부딪치는 경우에 의해 야기되는 노즐(70, 또는 피지지부(34Y))에의 손상을 발생 전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Based on the above configuration, in the seventh embodiment, similarly to the sixth embodiment, in the mounting operation of the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7 실시예에 있어서, 제 6 실시예와 유사하게, 토너 용기(32Y)가 토너 용기 지지부(31)로 장착될 때, 장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피지지부(34Y)의 위치결정이 개시된 후에, 플러그 부재(34d)는 토너 배출구(B)를 개방하기 시작한다. 그러므로, 토너 배출구(B)는 변함없이 원활하게 개방된다. 토너 용기(32Y)의 교체시 운용성/가공성은 향상될 수 있고, 토너 얼룩의 발생은 확실하게 감소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eventh embodiment, similarly to the sixth embodiment, when the
(제 8 실시예)(Example 8)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는 도 31에 관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spect to FIG.
도 31은 제 8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제 1 실시예의 도 5에 대응한다. 제 8 실시예는 토너 용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위치결정 부재의 형상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와 다르다.3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which corresponds to FIG. 5 of the first embodiment. The eighth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e shape of the positioning member provided in the toner container support.
도 31에 관하여, 제 8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위치결정 부재(31c)는 토너 용기 지지부의 고정부의 후방측에서 피지지부(34Y)의 측면을 향해 노즐(70)과 함께 돌출하고, 위치결정 부재(31c)가 토너 용기 지지부의 벽면(측면) 상에 일체로 형성된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제 6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 8 실시예에 따른 위치결정 부재(31c)는 또한, 고정부의 충돌을 위한 참조 위치로부터 피지지부(34Y)의 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노즐(70)보다 더 길도록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31, the positioning
이상의 구성에 근거하여, 제 6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 8 실시예에 있어서도, 토너 용기 지지부(31)로의 토너 용기(32Y)의 장착 동작시, 피지지부(34Y)의 위치결정이 시작되고, 그 후에 플러그 부재(34d)는 토너 배출구(B)를 개방하기 시작한다. 그러므로, 노즐(70)이 플러그 부재(34d)를 놓치고 피지지부(34Y)에 부딪치는 경우에 의해 야기되는 노즐(70, 또는 피지지부(34Y))에의 손상이 발생 전에 방지되는 것이 가능하다.Based on the above configuration, similarly to the sixth embodiment, also in the eighth embodiment, positioning of the supported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8 실시예에 있어서, 제 6 실시예와 유사하게, 토너 용기(32Y)가 토너 용기 지지부(31)로 장착될 때, 피지지부(34Y)의 위치결정이 장착 동작과 동기화하여 시작된 후에, 플러그 부재(34d)는 토너 배출구(B)를 개방하기 시작한다. 그러므로, 토너 배출구(B)는 변함없이 원활하게 개방된다. 토 너 용기(32Y)의 교체시 운용성/가공성이 향상될 수 있고, 토너 얼룩의 발생은 확실하게 감소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ighth embodiment, similarly to the sixth embodiment, when the
(제 9 실시예)(Example 9)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는 도 32에 관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spect to FIG.
도 32는 제 9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에 대한 단면도이다. 제 9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32Y)는, 피지지부(34Y)와 함께 용기 몸체(33Y)가 비회전 방식으로 토너 용기 지지부(31)에 의해서 지지되고, 반송 부재로서 코일(81Y)은 용기 몸체에 설치된다는 점을 갖고, 이러한 점은 수용된 토너를 개구(A)로 반송하기 위해 용기 몸체(33Y)가 회전하는 다른 실시예와 다르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32Y)는 주로 용기 몸체(33Y)와 피지지부(34Y)를 포함한다.32 is a sectional view of a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In the
개구(A)는 용기 몸체(33Y)의 헤드에 설치되고, 기어(33c)는 개구(A)의 외주 둘레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기어(33c)는 코일(81Y)을 회전시키도록 장치 몸체(100)의 구동 기어와 결합된다.The opening A is provided in the head of the
회전축(80Y)은 기어(33c)와 일체로 형성되고, 나선형 코일(81Y)은 회전축(80Y)에 연결된다. 회전축(80Y)의 일단은 피지지부(34Y)의 베어링부(34a2)에 의해 지지된다. 코일(81Y)은 용기 몸체(33Y)의 내부에서 후단(바닥) 위에 개구(A)로부터 신장된다. 기어(33c)는 회전축(80Y)과 코일(81Y)을 회전시키도록 용기 몸체(33Y) 둘레를 회전한다. The
그러므로, 용기 몸체(33Y)에 수용된 토너는 코일(81Y)의 토너 반송력에 의해 개구(A)를 향해 반송된다.Therefore, the toner contained in the
코일(81Y)의 외경은 용기 몸체(33Y)의 내경보다 작기 때문에, 토너 반송력은 용기 몸체(33Y)의 내부 원주면으로부터 떨어진 회전 중심축 근처의 토너에 작용될 수 있다. 또한, 코일(81Y)은 형상에 있어서 상당히 유연성이 있고, 일단에 의해서만 지지되고, 따라서 위치는 회전시 흔들린다. 이는 회전 중심축 위의 용기 몸체(33Y)의 내부 원주면으로부터 토너 반송력을 전체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많은 양의 토너가 용기 몸체(33Y)에 수용되고, 환경적인 변화 또는 "장기간의 방치"로 인하여 토너 뭉침이 발생한다고 할지라도, 뭉침 상태는 코일(81Y)로 인하여 토너 반송력에 의해 약화되고, 배출되는 토너 양의 감소는 방지될 수 있다.Since the outer diameter of the
제 9 실시예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와 유사하게, 토너 용기(32Y)가 토너 용기 지지부(31)로 탈착될 때, 한 동작에 의해 수행되는 탈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피지지부(34Y)의 플러그 부재(34d)는 토너 배출구(B)를 개폐한다. 이러한 경우, 피지지부(34Y)의 위치결정이 시작되고, 그 후에, 플러그 부재(34d)는 토너 배출구(B)를 개방하기 시작한다. 또한, 토너 용기 지지부(31)로의 탈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토너 용기 지지부(31)를 따라서 활주하도록 활주부(34c1, 34c2)는 피지지부(34Y)에 설치된다. In the ninth embodiment, similarly to the other embodiments, when the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9 실시예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와 유사하게, 토너 용기 지지부에 설치된 토너 용기의 구성은 세로 방향이 수평 방향으로 설정된 것에 근거하여 최적화된다. 그러므로, 교체시의 운용성/가공성이 향상되고, 토너 얼룩의 발생이 확실하게 감소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ninth embodiment, similarly to the other embodiments, the configuration of the toner container provided in the toner container support portion is optimized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being se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fore, operability / processability at the time of replacement can be improved, and occurrence of toner spots can be reliably reduced.
코일(81Y)은 제 9 실시예에서 반송 부재로 사용되나, 스크루도 반송 부재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제 4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The
(제 10 실시예)(Example 10)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는 도 33 및 도 34에 관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spect to FIGS. 33 and 34.
도 33은 제 10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의 단면도이고, 제 9 실시예에 따른 도 32에 대응한다. 도 34는 판 부재(84Y)에 대한 개략도이다. 제 10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는 판 부재(84Y)가 반송 부재로서 사용된다는 점에서 제 9 실시예와 다르다. 3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corresponding to FIG. 32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34 is a schematic view of the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32Y)는 주로 용기 몸체(33Y)와 피지지부(34Y)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3, the
개구(A)는 용기 몸체(33Y)의 헤드에 설치되고, 기어(33c)는 개구(A)의 외주 둘레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기어(33c)는, 제 9 실시예와 유사하게, 회전되기 위해 장치 몸체(100)의 구동 기어와 결합된다.The opening A is provided in the head of the
쓰레드 로드(83Y)는 기어(33c)와 일체로 형성되고, 판 부재(84Y)는 쓰레드 로드(83Y) 상에 설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쓰레드 로드(83Y)의 수나사부(83Ya)는 판 부재(84Y)에서 암나사부(84Ya)와 맞물려서 돈다(도 34 참조). 도 34에 관하여, 노치부는 판부재(84Y) 상에 형성되고, 이러한 노치부는 용기 몸체(33Y)의 내부 원주면을 따라서 돌출되는 안내부(85Y)와 결합된다.The threaded
도 33에 관하여, 쓰레드 로드(83Y)는 피지지부(34Y)의 베어링부(34a2)에 의해 일단에서 지지되고, 용기 몸체(33Y)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베어링부에 의해 타단에서 지지된다. 기어(33c)는 용기 몸체(33Y) 둘레를 회전하도록 제작되고, 쓰레드 로드(83Y)는 또한 일체로 회전된다. 그러므로, 쓰레드 로드(83Y)와 결합되는 판 부재(84Y)는, 안내부(85)에 의해 안내되는 동안(쓰레드 로드(83Y)를 뒤따라서 회전되지 않고) 스크루 송출 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개구(A)를 향해 화살표 방향으로의 이동). 판 부재(84Y)의 이동 속도는 용기 몸체(33Y)의 토너 소모 속도에 따라서 비교적 느리게 설정된다.Referring to Fig. 33, the threaded
이러한 방식으로, 용기 몸체(33Y)에 수용된 토너는 판 부재(84Y)의 토너 반송력에 의해 개부(A) 측으로 반송된다.In this manner, the toner contained in the
여기에서, 판 부재(84Y)의 외경은 용기 몸체(33Y)의 내경보다 조금 작도록 형성되고, 토너 반송력은 용기 몸체(33Y)의 내부 원주면으로부터 떨어진 회전 중심축(A) 근처의 토너에 작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많은 양의 토너가 용기 몸체(33Y)에 수용되고, 환경적인 변화 또는 "장기간의 방치"로 인한 토너 뭉침이 발생할지라도, 뭉침 상태는 판 부재(84Y)로 인한 토너 반송력에 의해 약화되고, 배출되는 토너 양의 감소가 방지될 수 있다.Here, the outer diameter of the
제 10 실시예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와 유사하게, 토너 용기(32Y)는 토너 용기 지지부(31)로의 탈착시, 한 동작에 의해 수행되는 탈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피지지부(34Y)의 플러그 부재(34d)는 토너 배출구(B)를 개폐한다. 이러한 경우, 피지지 부(34Y)의 위치결정은 시작되고, 그 후에, 플러그 부재(34d)는 토너 배출구(B)를 개방하기 시작한다. 또한, 토너 용기 지지부(31)로의 탈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토너 용기 지지부(31)를 따라서 활주하도록 활주부(34c1, 34c2)는 피지지부(34Y)에 설치된다. In the tenth embodiment, similarly to the other embodiments, the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0 실시예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와 유사하게, 토너 용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토너 용기의 구성은 세로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설정되는 것에 근거하여 최적화된다. 그러므로, 교체시의 운용성/가공성이 향상되고, 토너 얼룩의 발생은 확실하게 감소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tenth embodiment, similarly to the other embodiments, the configuration of the toner container provided in the toner container support portion is optimized based on setting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fore, operability / processability at the time of replacement is improved, and occurrence of toner spots can be reliably reduced.
(제 11 실시예)(Eleventh embodiment)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는 도 35 내지 도 42에 관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 토너 용기의 토너 배출구에는 적은 토너 얼룩이 있고, 토너 배출구를 만짐으로서 사용자의 손이 토너로 더러워지는 것과 같은 문제점은 억제될 수 있다. 그러나, 토너 용기가 설치될 때 피지지부의 위치가 조정되지 않기 때문에 토너 용기 교체시의 운용성(설치)이 부적절하고, 토너 용기의 교체시 토너 배출구 근처에서 토너가 비산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An el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spect to FIGS. 35 to 42. In the prior art, problems such as a small amount of toner stains on the toner outlet of the toner container, and the user's hand getting dirty with the toner by touching the toner outlet can be suppressed. However, since the position of the supported portion is not adjusted when the toner container is installed, there is a problem that operability (installation) at the time of replacing the toner container is inappropriate, and that the toner may scatter near the toner outlet when the toner container is replaced.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하의 실시예는 토너 용기가 교체될 때 손쉬운 동작으로 토너 비산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토너 용기 지지부와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e following embodiments provide a toner container support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reliabl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toner scattering in an easy operation when the toner container is replaced.
전체적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과 동작이 먼저 설명된다.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overall image forming apparatus are described first.
도 35는 제 11 실시에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토너 공급 경로의 개략도이다. 제 1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1, 도 2 및 도 4에 관하여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것과 동일하다. 그러나, 제 1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토너 공급 장치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토너 공급 장치(59)와 몇가지 다른 점이 있다. 즉,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부재(34d)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로 부재(76)를 포함하지 않고, 토너 용기(32Y)의 ID 칩(35)은 피지지부(34Y)의 헤드 상의 돌출부(34a1)를 제공하지 않는 선단의 평탄부 상에 직접 설치된다. 구성부분의 나머지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것과 동일하다.3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oner supply path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leventh embodiment.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leventh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th respect to Figs. 1, 2 and 4. However, the toner supply apparatu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leventh embodiment has some differences from the
토너 용기는 도 35 내지 도 38에 관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The toner container is described below with respect to FIGS. 35 to 38.
도 1 및 도 4에 관하여 설명되는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 11 실시예에 있어서, 4개의 실질적으로 실린더형 토너 용기(32Y, 32M, 32C, 32K, 토너 보틀)는 토너 용기 지지부(31)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수용된 토너의 거의 모두가 소모되고, 용기가 빌 때, 토너 용기(32Y, 32M, 32C, 32K)는 새 것으로 교체된다. 토너 용기(32Y, 32M, 32C, 32K)에 수용된 각 색상의 토너는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공급 경로를 통해 화상 유닛(6Y, 6M, 6C, 6K)의 각 현상 장치로 필요에 따라서 공급된다.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with respect to Figs. 1 and 4, in the eleventh embodiment, four substantially
도 36은 토너 용기(32Y)의 사시도이다. 도 37은 토너 용기(32Y)의 헤드 측(피지지부(34Y)가 설치된 측)의 단면도이다. 도 38은 화살표 M 방향에서 볼 때 도 37의 토너 용기(32Y)의 개략도이다.3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ner container 32Y. 3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ad side (side to which the supported
다른 3개의 토너 용기(32M, 32C, 32K)는 수용된 다른 토너 색상을 제외하고 옐로우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용기(32Y)와 거의 같은 구성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다른 3개의 토너 용기(32M, 32C, 32K)에 대한 설명은 생략되고, 오직 옐로우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용기(32Y)만 이하에서 설명된다.The other three
도 36 내지 도 38에 도시된 제 11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에 관하여, 제 1 실시예의 토너 용기의 것과 동등한 부분은 도 5 내지 도 7의 것과 동일한 참조 번호가 지정되고, 그것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제 11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는 교반 부재(33f), 클로 부재(76), 회전 스핀들(76a), 돌출부(34a1), 오목부(34m), 피팅 부재(31d) 및 볼록부(34n)를 포함하지 않고, 이는 제 1 실시예의 토너 용기에는 설치된다. 또한, 도 5의 구동 기어(31g)는 도 36에는 도시되지 않는다.With respect to the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eleventh embodiment shown in Figs. 36 to 38, parts equivalent to those of the toner container of the first embodiment are design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in Figs. 5 to 7, an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 The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eleventh embodiment is made up of the stirring
제 11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는 가세 유닛으로서 압축 스프링(34f)을 포함한다. 토너 배출구(B)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플러그 부재(34d)를 가세하도록, 압축 스프링(34f)은 도 37의 플러그 부재(34d)의 우측 상에 설치된다. 제 11 실시예의 ID 칩(35)은, 토너 용기 지지부(31)에 관하여 탈착 방향(즉, 도 36의 화살표 방향에 의해 도시되는 방향으로)에 직교하는 피지지부(34Y)의 평면이고 탈착 동작시 통신 회로(74)에 대향하는 부분 상에 배치된다.The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eleventh embodiment includes a
활주부(34c1, 34c2)는 토너 용기 지지부(31)로의 탈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토너 용기 지지부(31)를 따라서 활주하는 피지지부(34Y)의 지지부(34c)에 설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 1 활주부(34c1)는 토너 용기 지지부(31)에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310a, 이는 상방향으로 형성된 평탄면이 있는 평면이다; 도 10 참조)의 활주면(31a, 안내 레일)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평탄부이고, 평탄부는 탈착이 수행되는 피지지부(34Y)의 바닥에 설치된다. 또한, 제 2 활주부(34c2)는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활주면(31b, 이는 측방향에 설치된 평탄면이 있는 평면이다; 도 10 참조)과 평행이 되도록 형성된 평탄부이고, 평탄부는 탈착이 수행되는 피지지부(34Y)의 측부에 설치된다.The slide parts 34c1 and 34c2 are provided in the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32Y)가 토너 용기 지지부(31)에 설치되는 동안, 토너 용기(32Y)는 용기 몸체(33Y)의 개구(A)보다 수직 방향으로 하측(도 37의 하측)에 설치된 토너 배출구(B, 또는 플러그 부재(34d))를 갖는다.As shown in Fig. 37, while the
이로 인해, 토너 용기(32Y)의 토너는 도 37의 점선으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하고, 토너 용기(32Y)의 장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개방되는 토너 배출구(B)로부터 배출된다. 즉, 용기 몸체(33Y)의 토너는 개구(A)로부터 배출되고, 수직방향으로 하측에 설치된 토너 배출구(B)로부터 배출된다.For this reason, the toner in the
토너 배출구(B)는 토너 용기 지지부(31)로의 장착 방향에 대하여 용기 몸체(33Y, 또는 개구(A))보다 더 후방측(도 37의 좌측)에 설치된다.The toner discharge port B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left side in FIG. 37) more than the
이로 인해, 토너 배출구(B)는 세로 방향(축 방향)을 따라서 토너 용기(32Y)의 장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원활하게 변합없이 개폐된다. 즉, 토너 용기(32Y)가 장착될 때, 피지지부(34Y)의 위치결정이 시작되고, 그 후에, 노즐(70)과 플러그 부재(34d)가 바람직하게는 서로 접촉된다. 또한, 노즐(70)을 포함하는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고정부(73)는 장착 방향(도 37의 좌측)의 후방측에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장치 몸체(100)의 배치는 단순화된다. For this reason, the toner discharge port B is smoothly opened and closed without chang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mounting operation of the
또한, 토너 배출구(B)는 용기 몸체(33Y)의 주변에 배치된 기어(33c)보다 토너 용기 지지부(31)로의 장착 방향으로 더 후방측(도 37의 좌측)에 설치되고, 개구(A)의 근처에 있다.Further, the toner discharge port B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left side in FIG. 37) in the mounting direction to the toner
이로 인해, 토너 배출구(B)는 세로 방향을 따라서 토너 용기(32Y)의 탈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원활하고 확실하게 개폐된다. 즉, 토너 용기(32Y)가 장착될 때, 피지지부(34Y)의 위치결정이 시작되고, 그 후에, 노즐(70)과 플러그 부재(34d)가 바람직하게는 서로 접촉하고, 그 후에, 기어(33c)와 구동 기어(31g)는 서로 결합된다.For this reason, the toner discharge port B is smoothly and reliably opened and clos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desorption operation of the
제 11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 지지부(31)는 이하에서 설명된다. 제 11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 지지부(31)는 제 1 실시예의 도 10 및 도 11과, 제 4 실시예의 도 21 및 도 22에 관하여 설명된다. The toner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 지지부(31)는, 4개의 토너 용기(32Y, 32M, 32C, 32K)의 각 피지지부에서 활주부가 따라서 활주하는 활주면(31a); 피지지부의 지지부(34c)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73); 결합 부재인 노즐(70); 회전 구동력을 용기 몸체(33Y)에 전다하는 구동 유닛; 통신 회로(74); 및 가세 부재와 제 2 가세 부재로 활용되는 암 페어(9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0, the toner
고정부(73)는 비회전 방식으로 각 토너 용기(32Y, 32M, 32C, 32K)의 피지지부를 지지한다. 고정부(73)는 지지부(34c)에 접촉하는 활주면과 캡 덮개(34b)의 부분에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한다. 피지지부(34Y)의 장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 부재(31c)가 고정부(73)의 활주면(측면)에 설치된다(도 36 참 조). 위치결정 부재(31c)는 토너 용기(32Y)의 탈착 동작을 따라서 신장되는 볼록부이다.The fixing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노즐(70)은 각 토너 색상을 위해 고정부(73)에 설치된다. 토너 용기(32Y)의 피지지부(34Y)에 형성되는 토너 배출구(B)와 연통하는 토너 공급 포트(70a)는 노즐(70)에 설치된다. A
도 10 및 도 21에 관하여, 암 페어(90)는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고정부(73) 근처에 각 토너 색상을 위해 설치된다(토너 용기의 피지지부가 고정부로 삽입되기 바로 전의 위치).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 페어(90)는 토너 용기의 피지지부를 사이에 끼운 양측 상에 배치된다.10 and 21, the
도 22에 관하여, 암 페어(90)는 제 1 암(91), 제 2 암(92), 스핀들(93) 및 비틀림 스프링(94)를 포함한다. 암 페어(90)는 스핀들(93)을 통해서 일체로 설치되고, 비틀림 스프링(94)에 의해 스핀들(93) 둘레의 회전 방향으로 양 방향 상에 힘을 작용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 1 암(91)과 제 2 암(92)은 스핀들(93) 둘레의 회전 방향으로 양 방향 상에 힘을 작용한다. 힘은 제 1 암(91)과 제 2 암(92) 사이에 형성된 각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한다.With respect to FIG. 22, the
이상의 방식으로 구성된 암 페어(90)는, 토너 용기(32Y)의 장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고정부(73)를 향해(도 4의 화살표 Q 방향을 향해 가세) 피지지부(34Y, 토너 용기(32Y))를 가세하는 가세 유닛으로 활용된다. 또한, 암 페어(90)는, 토너 용기(32Y)의 이탈 동작에 동기화하여 고정부(73)로부터 분리되는 피지지부(34Y, 토너 용기(32Y))가 있는 방향으로(도 4의 화살표 Q의 반대 방향) 피지지부(34Y, 토너 용 기(32Y))를 가세하는 제 2 가세 부재로 활용된다.The
도 39는 세로 방향에서 볼 때 옐로우 토너 용기(32Y)가 토너 용기 지지부에 장착되는 방법(화살표 Q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40은 세로 방향에서 볼 때 토너 용기(32Y)의 장착이 진행되는 방법(토너 배출구(B)가 개방되기 시작할 때)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41은 세로 방향에서 볼 때 토너 용기 지지부(31)에 장착되는 토너 용기(32Y)에 대한 개략도(토너 배출구(B)가 완전히 개방됨)이다.Fig. 39 is a schematic diagram of how the
토너 용기(32Y)의 토너 용기 지지부(31)로의 탈착 동작은 도 12 내지 도 14, 도 23 내지 도 25에 관하여 설명되는 제 4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The desorption operation of the
제 11 실시예에 있어서, 피지지부(34Y)의 고정부(73)로의 이동과 토너 용기(32Y)의 토너 배출구(B)의 개방은 암 페어(90)의 가세력에 의해 수행된다.In the eleventh embodiment, the movement of the supported
도 42는 토너 용기의 장착 동작시 피지지부(34Y, 토너 용기(32Y))의 이동 위치와 암 페어(90)로부터 피지지부(34Y)로 인가된 하중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42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ving position of the supported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지지부(34Y)는 W1의 위치(도 39와 도 23의 위치)로 이동할 때, 피지지부(34Y)는 장착 방향(화살표 Q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의 힘을 겪는다. 즉, 고정부(73)로부터 토너 용기(32Y)를 분리하는 방향으로의 힘은 암 페어(90)에 의해 고정부(73)를 향해 가세되기 바로 전에 토너 용기(32Y)로 인가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그러한 힘을 초과하는 힘으로 토너 용기(32Y)를 고정부(73)의 측면으로 누르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누르는 힘은 피지지부(34Y)로 인가되는 암 페어(90)의 가세력에 추가되고, 토너 배출구(B)는 이로 인해 단숨에 개방된다.As shown in Fig. 42, when the supported
피지지부(34Y)는 도 42의 W2 위치(도 40 및 도 24의 위치)로 더 이동하고, 피지지부(34Y)는 장착 방향으로(화살표 Q 방향) 힘(암 페어(90)에 의한 가세력)을 겪는다. 이때, 피지지부(34Y)의 패킹(34e)에 의해 밀봉되는 물체는 플러그 부재(34d)로부터 노즐(70)로 전환된다. 전환 속도(switching speed)는 암 페어(90)에 의해 가속되고, 이는 밀봉 성능이 밀봉되는 물체 사이의 전환에 의해 저하되는 시간을 단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The supported
피지지부(34Y)의 위치는 도 42의 W3 위치(도 41과 도 25의 위치)에 고정된다.The position of the supported
이러한 방식으로, 제 11 실시예에 있어서, 토너 용기(32Y)의 토너 배출구(B)를 개방하는 속도는 사용자의 동작 속도(토너 용기를 누르는 속도)에 근거하여 결정되지 않고 암 페어(90)에 의해 기계적으로 결정된다. 그러므로, 피지지부(34Y)의 밀봉 성능이 저하되는 시간은 극단적으로 길게 제작되지 않고, 토너 배출구(B)의 근처로부터 비산되는 토너는 감소된다.In this way, in the eleventh embodiment, the speed of opening the toner discharge port B of the
제 11 실시예에 있어서, 암 페어(90)에 의한 가세 동작과 피지지부(34Y)의 위치결정 동작은 토너 용기(32Y)의 활주부(34c1)가 활주면(31a)을 따라서 활주하는 것과 같은 한 동작(본체 도어의 개폐 동작을 제외)에 동기화하여 개시되고, 그 후에, 노즐(70)의 삽입 동작이 시작되고, 최종적으로, 기어(33c)를 구동 기어로 연결하는 것이 완료된다. 이로 인해 토너 용기(32Y)의 장착 동작의 운용성이 향상된다.In the eleventh embodiment, the biasing operation by the
토너 용기(32Y)가 장치 몸체(100)의 토너 용기 지지부(31)로부터 인출(제거) 될 때, 동작은 장착의 역순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경우에서, 노즐(70)은 또한, 토너 용기(32Y)가 고정부(73)로부터 분리하는 것과 같은 동작과 동기화하여 지지부(34c)로부터 분리하고, 플러그 부재(34d)는 압축 스프링(34f)의 가세력에 의해 토너 배출구(B)를 폐쇄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When the
이러한 방식으로, 토너 용기(32Y)의 이탈 동작은 토너 용기(32Y)의 활주부(34c1)이 활주면(31a)을 따라서 활주하는 것과 같은 한 동작(본체 도어의 개폐 동작을 제외)에 의해 완료된다.In this way, the detaching operation of the
이때, 암 페어(90)는, 토너 용기(32Y)의 이탈 동작에 동기화하여 피지지부(34Y)가 고정부(73)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피지지부(34Y, 토너 용기(32Y))를 가세하는 제 2 가세 부재로 활용된다. 이로 인해, 토너 용기(32Y)의 토너 배출구(B)를 폐쇄하는 속도는 사용자의 동작 속도(토너 용기를 인출하는 속도)에 근거하여 결정되지 않고 암 페어(90)에 의해 기계적으로 결정된다. 그러므로, 피지지부(34Y)의 밀봉 성능이 저하되는 시간은 극단적으로 길게 제작되지 않으나, 언제라도 거의 일정하게 짧도록 제작되고, 토너 배출구(B) 근처로부터 비산되는 토너는 이로 인해 감소된다.At this time, the
제 11 실시예의 효과는 배경 기술과 관련하여 구분된다. The effects of the eleventh embodiment are distinguished in relation to the background art.
특허 문헌 1 내지 특허 문헌 4에 묘사된 기술에 있어서, 토너 용기를 수동으로 탈착하는 사용자의 동작 속도가 느리다면, 토너는 토너 배출구 근처로부터 비산한다.In the technique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s 1 to 4, if the user's operation speed of manually detaching the toner container is slow, the toner scatters from near the toner discharge port.
더욱 구체적으로는,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에 묘사된 기술에 있어서, 사용자는 토너 용기 지지부 상의 토너용기의 피지지부를 수동으로 회전시키고, 셔터를 이동시키고 토너 배출구를 개방한다. 즉, 토너 용기의 토너 배출구를 개방하는 속도는 사용자의 동작 속도(피지지부를 회전시키는 속도)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토너용기의 토너 배출구를 개방하는 속도가 극단적으로 느리다면, 토너 배출구 근처의 토너가 토너 용기 외부에서 비산하고 장치 몸체가 토너로 더러워질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이는 토너 배출구의 개방 동작시(동적 상태) 토너 배출구 근처의 밀봉 성능이 토너 배출구가 개방되기 전 및 후(정적 상태)와 비교할 때 저하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의 토너 배출구의 개방 속도가 극단적으로 저하된다면, 밀봉 성능이 저하되는 시간이 증가되고, 토너는 토너 배출구 근처로부터 배산된다.More specifically, in the techniques described in
이와 같이, 특허 문헌 4에서 묘사된 기술에 있어서, 사용자는 토너 저장 용기(토너 용기)가 설치된 개폐 지지부를 수동으로 회전시키고, 이로 인해 토너 반송관(노즐)은 플러그 부재를 누리고, 패킹으로 밀봉된 토너 배출구를 개방한다. 즉, 토너 저장 용기의 토너 배출구를 개방하는 속도는 사용자의 동작 속도(개폐 지지부를 회전시키는 속도)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그러므로,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의 기술과 유사하게, 토너 저장 용기의 토너 배출구 개방 속도가 극단적으로 저하된다면, 패킹으로 인한 밀봉 성능이 저하되는 시간이 증가되고, 토너는 토너 배출구로부터 비산된다.Thus, in the techniqu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4, the user manually rotates the opening and closing support portion in which the toner storage container (toner container) is installed, whereby the toner conveying pipe (nozzle) is pressed against the plug member and sealed with packing. Open the toner outlet. That is, the speed of opening the toner discharge port of the toner storage container is determined based on the user's operating speed (speed of rot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support). Therefore, similar to the technique of Patent Document 1 and
여기에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몇가지 방법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즉, 토너 배출구의 개방 면적이 더 작도록 제작되거나, 토너 배출구 근처에 배치된 밀봉 부재의 부착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전자의 방법은 토너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토너 양을 제한하고, 후자의 방법은 부착력이 향상된 밀봉 부재에 의해 토너 용기를 탈착하는 운용성을 감소시킨다.Here, to solve this problem, several methods can also be considered. In other words, the opening area of the toner discharge port is made smaller, or the adhesion of the sealing member disposed near the toner discharge port is improved. However, the former method limits the amount of toner discharged from the toner container, and the latter method reduces the operability of detaching the toner container by the sealing member with improved adhesion.
제 11 실시예에 있어서, 토너 용기 지지부(31)는, 토너 용기(32Y)의 장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고정부(73)를 향해 토너 용기(32Y)를가세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토너 용기(32Y)로부터 배출되는 토너 양과 교체시의 운용성을 감소시키지 않고, 사용자가 토너 용기(32Y)의 교체시 동작에 관계없이 토너 비산의 발생을 확실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In the eleventh embodiment, the toner
제 11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32Y)는 수직 방향으로 하방향에 설치되는 토너 배출구(B)가 있는 피지지부(34Y)를 포함한다. 토너 배출구(B)는 수직 방향으로 개구(A) 보다 하측에 설치되고, 플러그 부재(34d)는 장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확실하게 위치결정되며, 따라서 패킹(34e)으로 밀봉되는 토너 배출구(B)를개방하기 위해 노즐(70)에 의해 눌린다. 그러므로, 토너 배출구(B)에 토너 얼룩이 적고, 토너 배출구(B)를 만짐으로서 사용자의 손이 토너로 더러워지는 것과 같은 문제점이 방지된다.The
토너 용기 지지부(31)로의 토너 용기(32Y)의 탈착 동작은 활주부(34c1)의 활주와 관련되어 한 동작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에, 토너 용기(32Y)의 교체시 운용성/가공성이 향상된다. 특히, 피지지부(34Y)의 바닥에 활주부(34c1)를 설치하여, 토너 용기(32Y)를지지하는 동안 활주부(34c1)는 활주면(31a)을 따라서 활주한다.Since the desorption operation of the
또한, 토너 용기(32Y)의 장착 동작은, 사용자가 그리퍼(33d)를 직접 쥐는 동 안 활주부(34c1)를 활주하기 시작하고, 암 페어(90)에 의해 함께 가세되는 피지지부(34Y)를 위치결정하기 시작하고, 노즐(70)의 삽입을 시작하고, 활주가 완료됨과 동시에 피지지부(34Y)의 위치결정, 노즐(70)의 삽입 및 구동 유닛으로의 연결을 완료함에 의해 수행된다. 그러므로, 피지지부(34Y)의 활주(한 동작에 의한 장착 동작)가 진행되는 것과 동시에 피지지부(34Y)가 위치결정 될 때 사용자는 찰칵하는 느낌을 받고, 장착 동작시 오류 없이 동작이 수행되었다는 확신을 갖는다.In addition, the mounting operation of the
또한, 토너 용기(32Y)는 상측으로부터 토너 용기 지지부(31, 장치 몸체(100))에 설치되지 않으나, 탈착은 토너 용기 지지부(31, 장치 몸체(100))의 정면으로부터 수행되고, 따라서,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상측을 위한 배치의 유연성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스캐너(문서 리더기)가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바로 위에 배치될지라도, 토너 용기(32Y)의 탈착시 운용성/가공성은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토너 용기(32Y)의 기어(33c)와 장치 몸체(100)의 구동 기어 사이의 결합 위치(D)를 위한 배치의 유연성은 또한 향상된다.In addition, the
토너 용기(32Y)는 세로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여 장치 몸체(100)에 설치되고, 그러므로, 토너 용기(32Y)의 토너 용량은 전체 화상 형성 장치(100)의 높이 방향으로의 배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증가되고, 이로 인해 교체 주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The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1 실시예에 있어서, 토너 용기(32Y)가 교체될 때, 교체를 위한 동작은 용이하고, 토너 비산의 발생은 확실하게 감소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leventh embodiment, when the
또한, 토너 용기 지지부(31)는, 토너 용기(32Y)의 장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고정부(73)를 향해 토너 용기(32Y)를 가세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토너 용기(32Y) 교체를 위해 동작하는 것과는 관계 없이 토너 비산의 발생이 확실하게 감소되고, 토너 용기(32Y)로부터 배출되는 토너 양과 교체시 운용성은 감소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toner
제 11 실시예에 있어서, 토너는 토너 용기(32Y, 32M, 32C, 32K)의 각 용기 몸체에만 수용되나, 담지체(carrier)와 토너를 수용하는 2성분 현상제 또한, 2성분 현상제를 필요에 따라서 각 현상 장치로 공급하는 화상 형성 장치(100)를 위해 토너 용기(32Y, 32M, 32C, 32K)의 각 용기 몸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라도, 토너 용기(32Y)의 장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토너 용기(32Y)를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고정부(73)를 향해 가세하는 암 페어(90)를 설치하여, 토너 비산의 발생이 변함없이 감소될 수 있다.In the eleventh embodiment, the toner is contained only in each container body of the
(제 12 실시예)(Twelfth embodiment)
제 12 실시예는 도 43 내지 도 46에 관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The twelfth embodiment i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spect to Figs.
도 43은 제 12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 지지부(31)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토너 용기(32Y)에 대한 사시도이고, 제 11 실시예에 따른 도 36에 대응한다. 도 44는 제 12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32Y)에 대한 단면도이다. 제 12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 지지부(31)는, 토너 용기(32Y)의 위치결정 구멍(340k)과 결합되는 위치결정 핀(70b)이 노즐(70)에 설치된다는 점에서 제 11 실시예의 것과 다르다.FIG. 4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제 11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 1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적층부(30, 배출부)와 중간 전사 유닛(15, 중간 전사 요소) 사이에 설치되는 장착부(attachment portion)로서 토너 용기 지지부(31, 설치부(set portion))를 포함한다. 장착부는,약제 저장 용기인 토너 용기(32Y, 32M, 32C, 32K, 토너 보틀)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각 토너용기가 화상 유닛(6Y, 6M, 6C, 6K)의 각 현상 장치로 공급되는 토너를 저장하는 부분이다.Similar to the eleventh embodiment, the
도 43 및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몸체(100, 프린터)에 설치된 토너 용기(32Y, 토너 보틀)는, 일단에 형성된 개구(A)가 있는 실린더형 용기 몸체(33Y, 보틀 몸체)와, 개구(A)가 있는 용기 몸체(33Y)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피지지부(34Y, 캡)를 포함한다. 수용된 토너를 회전을 통해 개구(A) 측으로 반송하는 반송부인 돌기(33b, 용기 내측을 향해 돌출된 나선체)는 용기 몸체(33Y)의 주변 둘레에 형성된다. 개구(A)는 용기 몸체(33Y)의 축선(회전축) 둘레에 형성되는 실린더형이고, 직경은 용기 몸체(33Y)의 직경보다 더 작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 개구(A)로부터 토너를 배출하기 위해, 제 2 나선체(제 2 돌기)와 토너를 제 2 나선체를 향해 흡입하는 흡입부는 돌기(33b)와 개구(A) 사이에 설치된다(둘 다 도시되지 않지만, 지지부(134m) 뒤의 위치에 설치된다.).As shown in Figs. 43 and 44, the
피지지부(34Y, 캡)는 지지부(134m)를 통해 용기 몸체(33Y)로 장착된다.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로(340b1, 클로부)는 피지지부(34Y)의 실린더형의 외주 상에 설치된다. 클러(340b1)는 용기 몸체(33Y)에 형성된 원주 홈(33e)에서 결합되고, 이는 피지지부(34Y)와 용기 몸체(33Y)의 상대적인 회전을 일으킨다. 용기 몸 체(33Y)와 피지지부(34Y) 사이의 이음부(joint portion)는 밀봉 부재(37, 밀봉체)로 형성되고, 이음부로부터 토너 누출을 방지한다. 기어(33c, 보틀 기어)는 용기 몸체(33Y)의 피지지부(34Y)를 장착하는 위치 근처에서 용기 몸체(33Y)와 일체로 서치된다. 기어(33c)는 용기 몸체(33Y)를 회전시키는 입력부(input portion)로 사용된다.The supported
토너 배출구(B, 공급 포트)는 피지지부(34Y)의 주변의 하부에 형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토너 배출구(B)는 지지부(340c, 출력 부재)에 설치된 깔대기형 개구(340c2)와 일체로 형성된다. 결합 부재인 노즐(70, 토너 반송관)은 지지부(340c)에 설치된 노즐 구멍(340n)으로 삽입되고, 토너 배출구(B)와 노즐(70)은 토너 공급 포트(70a)를 통해서 서로 연통한다. 플러그 부재(34d, 셔터)는 노즐 구멍(340n)에 끼워맞춰지고, 토너 용기(32Y)가 노즐(70)과 결합되지 않을 때, 일련의 토너 공급 경로가 막힌다. 제 12 실시예에서 도시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가세 유닛은 토너 용기(32Y) 측이 아니라 토너 용기 지지부(31) 측에 설치되고, 가세 유닛은 노즐(70)에 의해 눌리는 방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플러그 부재(34d)를 가세한다.The toner discharge port B (feed port)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eriphery of the supported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결정 핀(70b)은 노즐(70)이 설치된 장치 몸체(100) 측 상의 노즐 몸체의 양 측 상에 배치된다. 위치결정 핀(70b)은 피지지부(34Y)에 설치된 위치결정 구멍(340k)으로 삽입된다. 노즐(70)의 공급 측은 제 11 실시예와 유사하게 흡입 타입의 스크루 펌프(60)의 흡입구와 연통한다. 스크루 펌프로서, 높은 고체/가스 비율로 고정된 양을 연속적으로 송출하는 것이 가능한 일 축 편심 스크루 펌프(모노 펌프(Mohno pump))가 사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3, the positioning pins 70b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nozzle body on the side of the
이상의 방식으로 구성된 토너 용기(32Y)에 있어서, 고정된 지지부(340c, 출력 부재)가 있는 피지지부(34Y)는, 도 43의 화살표 M 방향에서 볼 때, 용기 몸체(33Y)의 외부 원주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된다. 즉, 탈착 방향을 다라서 돌출된 돌출부인 지지부(340c)는 용기 몸체(33Y)의 탈착 방향(화살표 M 및 Q 방향)으로 돌출 평면을 겹치지 않도록 피지지부(34Y)에 형성된다. In the
토너 용기(32Y)가 화살표 Q 방향으로 토너 용기 지지부(31, 설정부)에 올바르게 설치될 때, 위치결정 핀(70b)은 위치결정 구멍(340k)으로 삽입되고, 노즐(70)은 노즐 구멍(340n)으로 삽입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토너 용기(32Y)를 선단으로서 피지지부(34Y)가 있는 축 방향(세로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켜서, 노즐(70)이 노즐 구멍(340n)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노즐(70)이 노즐 구멍(340n)으로 삽입될 때, 플러그 부재(34d)는 노즐 구멍(340n)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압출되고, 노즐(70)의 토너 공급 포트(70a, 수용 구멍)는 토너 공급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토너 배출구(B, 개구(340c2))와 연통한다.When the
또한, 제 12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 지지부에 있어서, 토너 공급 동작은 제 1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된다. 즉, 수용된 토너는 용기 몸체(33Y)의 회전을 통해서 피지지부(34Y) 측으로 송출되고, 토너 배출구(B)는 토너로 채워진다. 흡입 측인 토너 배출구(B)가 토너로 채워진다면, 흡입 타입 스크루 펌프는 토너를 확실하게 반송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동작 시간에 따른 수량의 토너는 현상 장치로 공급될 수 있다.Also, in the toner container suppor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twelfth embodiment, the toner supply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eleventh embodiment. That is, the accommodated toner is sent out to the supported
토너 공급은 사용자가 토너 용기(32Y)를 토너 용기 지지부(31)에 설치하는 동안 이러한 방식으로 수행된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32Y)가 올바르게 설치되지 않거나, 설치 오류가 있는 경우, 노즐(70)은 노즐 구멍(340n)에 적절하게 삽입되지 않고, 토너 공급에 있어서 오류가 발생한다.Toner supply is performed in this manner while the user installs the
도 45는 토너 용기 지지부(31, 설정부)에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310a)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6은 토너 용기(32Y)가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310a)에 대한 확대된 부분 단면도이다.FIG. 4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도 45에 관하여(또한, 도 10 참조), 토너 용기 지지부(31)에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310a)는 4가지 색상을 위한 토너 용기(32Y)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갖고, 활주면(31a, 31b)은 토너 용기(32Y)의 각 장착부에 형성된다. 4개의 토너 용기(32Y)는 제 12 실시예의 베이스 플레이트(310a)의 일부분(one piece)에 설치되나,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310a)는 토너 용기(32Y)의 개수에 따라서 각 토너 용기(32Y)를 위해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5 (see also Fig. 10), the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310a)에 형성된 활주면(31a, 31b)은 피지지부(34Y)가 끼워맞춰지는 안내 홈(guide groove, 31a11)을 형성한다. 안내 홈(31a11)의 활주면(31b)과 베이스 플레이트(310a)의 상면은 벤드(bend)로서 안내 모서리(guide edge)를 형성하고, 이는 용기 몸체(33Y)를 지지한다. 안내 홈(31a11)은, 도 46의 종이 상에 수직 방향으로 볼 때, 용기 몸체(33Y)의 외주로부터 돌출하는 지지부(340c, 돌출부)를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즉, 피지지부(34Y)의 돌출부(34c)는 안내 홈(31a11)에 끼워맞춰지도록, 안내 홈(31a11)이 형성된다. 안 내 모서리(31a12)는 안내 홈(31a11)의 시작 점과 끝 점 사이의 모서리를 따라서 형성되고, 용기 몸체(33Y)의 회전을 용이하게 지지하도록 모따기된다.As shown in FIG. 46, the sliding
이상의 방식으로 구성된 토너 용기 지지부(31)는 안내 홈(31a11)을 형성하는 활주면(31a, 31b)을 포함하기 때문에, 피지지부(34Y)가 안내 홈(31a11)에 끼워맞춰질 때, 피지지부(34Y)의 축의 중심 둘레의 회전은 제한된다. 그러므로, 피지지부(34Y)가 화살표 Q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안내 홈(31a11)에 끼워맞춰지는 동안 토너 용기(32Y)가 활주면(31a) 상에 배치된다면, 토너 용기(32Y)는 용이하고 확실하며 올바르게 설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피지지부(4Y)를 안내 홈(31a11)에 끼워맞춤에 의해, 노즐 구멍(340n)과 위치결정 구멍(340k)에서의 변위(displacement)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토너 용기(32Y)가 화살표 Q 방향으로 설치될 때, 위치결정 핀(70b)은 확실하게 위치결정 구멍(340k)으로 삽입되고, 노즐(70)은 노즐 구멍(340n)으로 확실하게 삽입된다.Since the toner
제 12 실시예에 있어서, 토너 용기(32Y)는 장착 동작의 개시와 완성까지 축선과 평행한 활주면(31a)을 따라서 활주한다. 이와 동시에, 방법은 장착 동작의 초기에 헤드로서 피지지부(34Y)가 화살표 Q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토너 용기(32Y)를 활주시키고, 그 후에, 화살표 Q 방향으로 장착시키는 방법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방법은 장착 동작의 초기에 상측으로부터 활주면(31a) 상에 토너 용기(32Y)를 배치하고, 그 후에, 장착되는 화살표 Q 방향을 따라서 활주시키는 방법으로 변경될 수 있다.In the twelfth embodiment, the
제 1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는, 작동자(사용자)로부터 볼 때 후방 측에 토너 배출 기구를 설치하고, 장치 몸체(100)의 후방 측에서 장치 몸체(100) 측의 노즐(70)이 있는 토너 용기(32Y)의 노즐 구멍(340n)을 결합하도록 수성된다. 이상의 구성에 근거하여, 도킹부(docking portion)에서 토너 비산이 발생할지라도, 위치는 작동자로부터 떨어져 있다. 그러므로, 작동자의 손은, 토너 배출 기구(도킹 구조)가 장치 몸치(100)의 근처 측에 있는 경우와 비교할 때, 토너로 쉽게 더러워지지 않는다. 또한, 도킹 구조는 장치 몸체(100)의 후방 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작동자는 장착시 피지지부(34Y)를 지지하는 동안 거의 동작하지 않는다. 그리고, 동작시 실험을 통해서 작동자는 통상적으로 밀기 위해 용기 몸체(33Y)를 지지한다는 것이 확인된다. 작동자가 용기 몸체(33Y)를 지지한다면, 피지지부(34Y) 측은 동작시 회전될 수 있고, 이는 운용성을 악화시키나, 제 12 실시예에 있어서, 피지지부(34Y)의 회전은 활주면(31a)에 의해 제한되지 않기 때문에, 운용성은 향상된다. 그러므로, 토너 배출 기구(도킹 구조)가 장치 몸체(100)의 후방 측에 설치될지라도, 토너 용기(32Y)의 교체시 운용성이 향상된다.The
제 12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 지지부(31)의 구성과 효과의 관계가 이하에서 요약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대부분의 구성과 효과는 제 11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 지지부의 것과 공통이다.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figuration and the effect of the toner
제 12 실시예에 있어서, 토너 용기(32Y)의 배출 측 상의 피지지부(34Y, 캡)의 주요부는 실질적으로 실린더형이고, 실린더형의 부분은 토너 셔터 기구를 포함하는 공간을 향해 돌출된 지지부(340c, 돌기부, 돌출부)를 갖는다. 이러한 지지부(340c)에 근거하여, 토너 용기(32Y)는 장착을 위해 장치 몸체(100)의 측 상에 형 성되는 안내 홈(31a11)에 끼워맞춰지고, 토너를 흡입하는 노즐(70)과의 위치 관계도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다.In the twelfth embodiment, the main portion of the supported
토너 용기(32Y)는 활주면(31a)을 따라서 이동되고, 토너 배출구(B)는 노즐(70)과 결합되고, 토너 용기(32Y)의 설치 실패 또는 오설치(erroneous setting)를 방지한다. 제 12 실시예의 구성에 따라서, 토너 용기(32Y)의 이탈 동작을 위한 복수의 동작을 필요로 하는 특허 문헌 1 내지 특허 문헌 4와 비교할 때, 토너 용기(32Y)의 이탈 동작은 토너 용기(32Y)가 활주면(31a)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과 같은 한 동작(본체 도어의 개폐 동작을 제외)에 의해 완성된다.The
활주면(31a)을 위한 안내 모서리(31a12)가 설치되고, 이는 장착 후에 토너 용기(32Y)를 회전 가능하고 확실하게 지지하도록 도와준다.Guide edges 31a12 for the
활주면(31a)을 위한 안내 홈(31a11)이 설치되고, 이는 장착시 토너 용기(32Y)의 변위를 제거하는데 도움을 주고, 따라서 토너 용기(32Y)의 설치 실패 또는 오설치를 변함없이 방지하도록 한다.A guide groove 31a11 for the
사용자가 오직 용기 몸체(33Y)만을 지지하고 장치 몸체에 설치하려 한다면, 피지지부(34Y)는 어떤 것이 회전을 억제하지 않는 한 회전한다. 이대, 모멘트 힘은 피지지부(34Y)의 회전 중심 둘레에 발생하고, 지지부(340c, 돌출부)는 하방향으로 대향한다. 그러므로, 제 12 실시예에 있어서, 안내 홈(31a11)은 수직 방향으로 하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배치로, 사용자가 오직 용기 몸체(33Y)만 지지한다고 할지라도, 지지부(340c)는 단독으로 안내 홈(31a11)에 끼워맞춰지고, 토너 용기(32Y)의 오설치 방지 성능이 향상된다.If the user supports only the
제 12 실시예에 있어서, 노즐(70, 토너 공급 포트(70a))을 도킹하는 토너 배출구(B)는 피지지부(340c, 돌출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토너 배출구(B)는 활주면(31a)을 따라서 이동하고, 이는 토너 배출구(B)의 회전 변위를 방지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특별히 인식하지 않고도 노즐(70)과 토너 배출구(B)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결합할 수 있다. 특허 문헌 5 및 특허 문헌 6의 콜릿 척 시스템(collet chuck system)에 의한 토너 배출구의 개방 동작과 다르게, 제 12 실시예는 레버와 같은 것을 사용하지 않고, 토너 배출구(B)를 개방하는 장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노즐(70)에 의해 플러그 부재(34d)를 누르는 기구를 갖는다. 이는 토너 용기(32Y)의 교체시 토너 비산을 방지한다.In the twelfth embodiment, since the toner discharge port B for docking the nozzle 70 (
사용자는 오직 용기 몸체(33Y)를 지지하여 토너 용기(32Y)의 탈착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토너 배출 기구(노즐(70)과 토너 배출구(B) 사이의 도킹부)는 장치 몸체(100)의 후방 측에 설치될 수 있다.Since the user can easily carry out the detachment operation of the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2 실시예는 용이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토너 용기(32Y)가 교체될 때 토너 비산의 발생을 확실하게 감소시키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twelfth embodiment is configured to enable easy operation, and also to reliably reduce the occurrence of toner scattering when the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실시예는 실시예의 제안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필요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구성부분 각각의 개수, 위치 및 형상은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그러므로, 이러한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 적합한 것으로 변경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the embodiments may be changed as necessary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the suggestion of the embodiments. In addition, the number, position, and shape of each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therefore, these may be changed to those suitable fo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는, 토너 용기 지지부로의 상기 토너 용기의 장착 동작에 있어서 위치결정이 시작된 후에, 개폐 부재가 토너 배출구를 개방하기 시작한다는 점이 특징이다.The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after the positioning is started in the mounting operation of the toner container to the toner container support,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starts to open the toner discharge port.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는, 상기의 토너 용기에 근거하여, 토너 용기 지지부는 토너 배출구와 연통하는 노즐을 갖고, 개폐 부재는, 토너 배출구를 개방하기 시작하기 위해 토너 용기 지지부로의 장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노즐에 의해 눌리고, 토너 배출구를 폐쇄하기 시작하기 위해 토너 용기 지지부로의 이탈 동작에 동기화하여 가세 부재에 의해 가세되는, 플러그 부재로서 설치된다는 점이 특징이다.A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has a toner container support having a nozzle in communication with the toner discharge port based on the toner container, and the opening / clos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toner container support to start opening the toner discharge po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as a plug member which is pressed by the nozzl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nozzle and is added by the biasing member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elease operation to the toner container support to start closing the toner discharge port.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는, 상기의 토너 용기에 근거하여, 토너 용기 지지부는 피지지부를 위치결정하는 피지지부와 결합되는 위치결정 부재를 갖고, 토너 용기 지지부로의 장착 동작시 피지지부가 위치결정 부재와 결합되기 시작한 후에, 노즐이 플러그 부재를 누르기 시작한다는 점이 특징이다.A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has a positioning member coupled with a supported portion for positioning a supported portion, based on the toner container described above, wherein the supported portion in the mounting operation to the toner container support portion is provided. After starting to engage with the positioning member, the nozzle starts to press the plug member.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토너 용기는, 상기의 토너 용기에 근거하여, 위치결정 부재의 선단은 장착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피지지부에 대하여 노즐의 선단보다 피지지부 측에 더 가까이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점이 특징이다.Another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ip of the positioning member is formed closer to the supported part side than the tip of the nozzle with respect to the supported part moving along the mounting direction based on the toner container described above. to be.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는, 상기 토너 용기가 토너 용기 지지부로의 장착 동작을 따라서 이동할 때, 위치결정 부재와 결합되는 피지지부의 선단이 노즐에 의해 눌리는 플러그 부재의 선단보다 토너 용기 지지부 측에 더 가까이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점이 특징이다.The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toner container moves along the mounting operation to the toner container support, the toner container support side is more than the tip of the plug member in which the tip of the supported portion engaged with the positioning member is pressed by the nozz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be located closer to.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는, 상기 토너 용기에 근거하여, 피지지부 가 자착된 측 상의 위치결정 부재의 선단이 테이퍼지거나(taperd) 모따기되는 점이 특징이다.A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ip of the positioning member on the side where the supported portion is attached is tapered or chamfered based on the toner container.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는, 상기 토너 용기에 근거하여, 위치결정 부재가 결합되는 측 상의 피지지부의 선단이 테이퍼지거나 모따기 되는 점이 특징이다.A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ip of the supported portion on the side to which the positioning member is engaged is tapered or chamfered based on the toner container.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토너 용기 지지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된 상기 토너 용기가 개구로부터 토너 용기 내부에 수용된 토너를 배출하는 용기 몸체를 포함하고, 피지지부는 용기 몸체의 개구로부터 배출되는 토너를 토너 배출구로부터 배출하고 비화전 방식으로 토너 용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피지지부는 토너 용기 지지부와 접촉하고 활주하는 활주부를 포함하는 점이 특징이다.A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container body for discharging the toner contained in the toner container from an opening of the toner container detachably mounted to the toner container support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in body, wherein the supported portion is the container body. The toner discharged from the opening of the toner is discharged from the toner discharge port and is supported by the toner container support in a non-ignition manner, and the supported portion includes a slide portion which contacts and slides with the toner container support.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는, 상기 토너 용기의 활주부가 토너 용기 지지부로의 탈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토너 용기 지지부를 따라서 활주하는 점이 특징이다.A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portion of the toner container slides along the toner container suppor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detaching operation to the toner container support.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는 상기 토너 용기의 활주부가 평탄부라는 점이 특징이다.A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portion of the toner container is a flat portion.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는, 상기 토너 용기의 평탄부가 토너 용기 지지부의 활주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점이 특징이다.A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t portion of the toner container is formed to be parallel to the sliding surface of the toner container support.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는, 상기 토너 용기의 활주부가, 볼록부가 소정의 평면과 접촉 가능한 높이을 갖도록 형성된 복수의 볼록부인 점이 특징이다.A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portion of the toner container is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formed such that the convex portions have a height in contact with a predetermined plane.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는, 상기 토너 용기의 소정의 평면은 토너 용기 지지부의 활주면으로서 설치되는 점이 특징이다.A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redetermined plane of the toner container is provided as a sliding surface of the toner container support.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는, 상기 토너 용기의 활주부가 피지지부의 바닥에 설치되는 점이 특징이다.A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portion of the toner container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upported portion.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는, 토너 용기 지지부로의 탈착 동작이 수행될 때, 상기 토너 용기의 피지지부의 바닥이 토너 용기 지지부의 활주면 상에 설치되고 활주면을 따라서 활주하는 점이 특징이다.The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desorption operation to the toner container support is performed, the bottom of the supported portion of the toner container is provided on the sliding surface of the toner container support and slides along the sliding surface. .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는, 상기 토너 용기의 활주부가 피지지부의 측에 설치되는 점이 특징이다.A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portion of the toner container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upported portion.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는, 토너 용기 지지부로의 탈착 동작이 수행될 때, 상기 토너 용기의 피지지부 측이 측면으로 사용되는 토너 용기 지지부의 활주면을 따라서 활주하는 점이 특징이다.A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desorption operation to the toner container support is performed, the toner container is slid along the sliding surface of the toner container support, which is used as a side.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는, 상기 토너 용기의 피지지부는 피지지부가 토너 용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동안 장착 방향으로 토너 용기 지지부의 가세 유닛에 의해 가세되는 가세부를 포함하고, 활주부가 토너 용기 지지부로의 탈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가세유닛과 접촉하고 활주하는 점이 특징이다.A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rein the supported portion of the toner container includes a biased portion that is added by the biasing unit of the toner container support in the mounting direction while the supported portion is installed in the toner container support, and the slide portion supports the toner container.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in contact with and sliding with the gage uni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detachable operation of the vice.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는, 상기 토너 용기에 근거하여, 가세 유닛이 스핀들을 통해서 일체로 설치되는 암 페어이고,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스핀들 둘레의 회전 방향의 양 방향으로 힘을 작용하는 점이 특징이다.The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an arm pair in which the biasing unit is integrally installed through the spindle based on the toner container,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rsion spring exerts a force in both directions in the rotational direction around the spindle by a torsion spring. to be.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는, 상기 토너 용기에 있어서, 활주부는 피 지지부의 2개의 측부에 설치되고, 가세부는 양 측부의 단에 있는 각 모서리부인 점이 특징이다.A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toner container, the slide portion is provided on two sides of the supported portion, and the biased portion is each corner portion at the end of both side portions.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는, 상기 토너 용기에 있어서, 모서리부의 곡률이 모서리부와 접촉하는 가세 유닛의 접촉부의 곡률보다 작도록 모서리부가 형성되는 점이 특징이다.A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toner container, an edge portion is formed such that the curvature of the edge portion is smaller than the curvature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vaulting unit in contact with the edge portion.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는, 상기 토너 용기에 있어서, 활주부는 피지지부의 2개의 측부에 설치되고, 가세부는 양 측부의 단에서 측부와 교차하는 평면인 점이 특징이다.A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toner container, the sliding portion is provided on two sides of the supported portion, and the biased portion is a plane that intersects the side portion at the ends of both side portions.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는, 상기 토너 용기에 있어서, 활주부는 그 높이가 토너 배출구의 높이와 동등하도록 형성되는 점이 특징이다.A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toner container, the sliding portion is formed such that its height is equal to the height of the toner discharge port.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는, 상기 토너 용기에 근거하여, 토너 용기 지지부는 토너 배출구와 연통하는 노즐을 포함하고, 피지지부는, 토너 배출구를 개방하기 위해 토너 용기 지지부로의장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노즐에 의해 눌리고, 토너 배출구를 폐쇄하기 위해 토너 용기 지지부로부터의 이탈 동작에 동기화하여 가세 부재에 의해 가세되는, 플러그 부재를 포함하고, 토너 용기 지지부의 장착 동작시, 활주부가 가세 유닛을 향해 활주되기 시작한 후에, 토너 반송관이 플러그 부재를 누르기 시작하고, 활주부가 가세 유닛으로의 활주를 완료함과 동시에 가세 유닛이 가세부를 가세하는 점이 특징이다.A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based on the toner container, the toner container support portion includes a nozzle in communication with the toner discharge port, and the supported portion is synchronized with the mounting operation to the toner container support to open the toner discharge port. And a plug member that is pressed by the nozzle and is biased by the biasing member in synchronization with the disengagement operation from the toner container support to close the toner discharge port, wherein, in the mounting operation of the toner container support, the sliding portion slides toward the biasing unit. After being started, the toner conveying tube starts to press the plug member, the slide unit completes the slide to the biasing unit, and the biasing unit adds the biased portion.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는, 상기 토너 용기에 있어서, 토너 용기 지지부로의 탈착 동작에 관련되어 탈착 방향으로 플러그 부재의 이동 거리는 탈착 방향으로 토너 배출구로부터 가세부까지의 거리보다 짧도록 설정되는 점이 특징이다.In the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moving distance of the plug member in the detachable direction in relation to the detachment operation to the toner container support in the toner container is set to be short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toner discharge port to the cassette in the detachable direction. It is characteristic.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는, 상기 토너 용기에 있어서, 피지지부는 토너 용기 지지부로의 장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위치결정 부재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결합부는 활주부와 토너 배출구의 수직 방향으로 상측에 설치된다는 점이 특징이다.A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rein in the toner container, the supported portion includes a coupling portion engaged with the positioning member in synchronization with the mounting operation to the toner container support portion, wherein the coupling portion is perpendicular to the sliding portion and the toner discharge port.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installed on the upper side.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개구로부터 토너 용기에 수용된 토너를 배출하는 토너 몸체를 포함하는 토너 용기와, 용기 몸체의 개구로부터 배출되는 토너를 토너 배출구로부터 배출하는 피지지부를 포함하고, 또한, 비회전 방식으로 피지지부를 지지하는 고정부와, 피지지부의 회전이 토너 용기의 장착시 억제되는 동안에 고정부를 향해 피지지부를 안내하는 안내 레일을 포함하는 점이 특징이다.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toner container including a toner body provided to be detachably and discharging the toner contained in the toner container from the opening, and the toner discharged from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A fixed portion for supporting the supported portion in a non-rotating manner, and a guide rail for guiding the supported portion toward the fixed portion while the rotation of the supported portion is suppressed during mounting of the toner container.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oint.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안내 레일이 용기 몸체를 지지하는 안내 모서리를 포함하는 점이 특징이다.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e guide rail includes a guide edge for supporting the container body.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안내 레일이 피지지부의 부분을 안내하는 안내 홈을 포함하는 점이 특징이다.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e guide rail includes a guide groove for guiding a portion of the supported portion.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용기 몸체의 탈착 방향으로 돌출 평면이 겹치지 않도록 피지지부가 장착 방향을 따라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돌출부는 안내 홈을 따라서 안내되는 점이 특징이다.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es a protrusion in which the supported portion protrudes along the mounting direction so that the protrusion planes do not overlap in the detaching direction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protrusion is guided along the guide groove. It is characteristic.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돌출부는 토너 배출구를 갖는 점이 특징이다.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ng portion has a toner discharge port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안내 홈은 피지지부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하측에 설치되는 점이 특징이다.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groove is provided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ed portion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토너 용기가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토너 공급 장치를 포함하고, 토너 용기는 토너 용기에 수용된 토너를 개구로부터 배출하는 용기 몸체와, 용기 몸체의 개구로부터 배출되는 토너를 토너 배출구로부터 배출하는 피지지부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비 회전 방식으로 피지지부를 지지하는 고정부와, 토너 용기의 장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고정부를 향해 토너 용기를 가세하는 가세 요소를 포함하는 점이 특징이다.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toner supply apparatus in which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s installed to be detachable from a toner container, the toner container comprising: a container body for discharging toner contained in the toner container from an opening; And a support portion for discharging the toner discharged from the toner discharge port from the toner discharge port, and the image form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fix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supported portion in a non-rotating manner, and a toner toward the fixing portion in synchronization with the mounting operation of the toner contain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biasing element for adding a container.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가세 요소는 토너 용기의 장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고정부를 향해 피지지부를 가세하는 점이 특징이다.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e biasing element adds the supported portion toward the fixed portion in synchronization with the mounting operation of the toner container.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토너 용기는 탈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토너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 부재를 포함하고, 토너 용기의 장착 동작시 가세 요소가 가세를 시작한 후에, 개폐 부재는 토너 배출구를 개방하기 시작하는 점이 특징이다.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rein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e toner container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oner discharge port in synchronization with a detaching operation, and after the biasing element starts to be added in the mounting operation of the toner container.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characterized by starting to open the toner discharge port.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고정부로부터 토너 용기를 분리하는 방향으로 고정부를 향해 가세 유닛에 의해 가세되기 전 에 토너 용기 상에 힘을 작용하도록 구성되는 점이 특징이다.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s configured to exert a force on the toner container before being biased by the biasing unit toward the fixing part in a direction of separating the toner container from the fixing part. It is characteristic.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토너 용기의 이탈 동작에 동기화하여 고정부로부터 토너 용기를 분리하는 방향으로 토너 용기를 가세하는 제 2 가세 요소를 포함하는 점이 특징이다.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es a second biasing element for adding the toner container in a direction of separating the toner container from the fixing portion in synchronization with the detaching operation of the toner container. .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제 2 가세 요소가 토너 용기의 이탈 동작에 동기화하여 고정부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피지지부를 가세하는 점이 특징이다.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e supported portion is add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biasing element separates from the fixed portion in synchronization with the detaching operation of the toner container.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토너 용기는 탈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토너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 부재를 포함하고, 토너 용기의 이탈 동작시 제 2 가세 요소가 가세를 시작한 후에, 개폐 부재가 토너 배출구를 폐쇄하기 시작하는 점이 특징이다.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rein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e toner container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oner discharge port in synchronization with a desorption operation, wherein the second biasing element is biased during the removal operation of the toner container. After start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starts to close the toner discharge port.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고정부로부터 토너 용기를 분리하는 방향으로 제 2 가세 유닛에 의해 가세되기 전에 토너 용기 상에 고정부를 향해 힘을 작용하도록 구성되는 점이 특징이다.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image forming apparatus exerts a force toward the fixing portion on the toner container before being biased by the second biasing unit in the direction of separating the toner container from the fixing portion. It is characteristic.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가세 요소와 제 2 가세 요소는 스핀들을 통해서 일체로 설치되고,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스핀들 둘레에 회전 방향의 양 방향으로 힘을 작용하는 암 페어로 제작되는 점이 특징이다.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e biasing element and the second biasing element are integrally installed through the spindle, and the force is applied in both directions in the rotational direction around the spindle by a torsion spring. It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it is made of an arm pair.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안내 레일은 토너 용기의 탈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피지지부의 활주부가 따라서 활 주하는 활주면을 포함하고, 토너 용기의 장착 동작시 활주부의 활주가 시작된 후에, 가세 요소는 피지지부를 가세하고, 동시에 고정부로의 피지지부의 위치결정이 시작되고, 고정부로의 피지지부의 위치결정은 활주부의 활주가 완료됨과 동시에 완료되는 점이 특징이다.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wherein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e guide rail includes a slide surface slid along the sliding portion of the supported portion in synchronization with the detaching operation of the toner container, and during the mounting operation of the toner container. After the slide starts to slide, the biasing element adds the supported por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positioning of the supported portion to the fixed portion starts, and the positioning of the supported portion to the fixed portion is completed at the same time as the sliding of the slide portion is completed. It is characteristic.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안내 레일은 토너 용기의 탈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피지지부의 활주부가 따라서 활주하는 활주면을 포함하는 점이 특징이다.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e guide rail includes a slide surface which slides along the sliding portion of the supported portion in synchronization with the detaching operation of the toner container.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토너 용기의 탈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피지지부의 활주부가 따라서 활주하는 활주면을 포함하는 점이 특징이다.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es a sliding surface which slides along the sliding portion of the supported portion in synchronization with the detaching operation of the toner container.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토너 용기의 장착 동작시, 활주부의 활주가 시작된 후에, 가세 요소는 피지지부를 가세하고, 동시에, 고정부로의 피지지부의 위치결정이 시작되고, 활주부의 활주가 완료됨과 동시에 고정부로의 피지지부의 위치결정이 완료되는 점이 특징이다.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n the mounting operation of the toner container, after the sliding of the sliding portion starts, the biasing element adds the supported por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supported portion to the fixed portion. The positioning is started, the sliding part of the sliding part is completed and the positioning of the supported part to the fixed part is completed.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피지지부의 토너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 부재를 포함하는 토너 용기를 포함하고, 또한 토너 배출구를 개방하기 시작하기 위해 토너 용기의 장착 동작에 동기화하여 개폐 부재를 누르고 토너 배출구와 연통하는 토너 반송관을 포함하는 점이 특징이다.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toner container including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oner discharge port of the supported portion, and further comprising a mounting operation of the toner container to start opening the toner discharge port. And a toner conveying tub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toner outlet and pressing the opening / closing member.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토너 용기는 토너 반송관에 의해 눌리는 방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개폐 부재를 가 세하는 힘을 작용하는 부재를 포함하는 점이 특징이다.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e toner container includes a member that exerts a force that forces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n a direction that resists the direction pressed by the toner conveying tube. .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토너 용기는 용기 몸체의 세로 방향을 따라서 탈착되는 점이 특징이다.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e toner container is detach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body.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토너 용기는 용기 몸체의 세로 방향이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에 근거하여 장착되는 점이 특징이다.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e toner container is mounted on the basis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body is provi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피지지부는 용기 몸체의 헤드가 되도록 장착되는 점이 특징이다.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e supported portion is mounted to be the head of the container body.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용기 몸체의 주변 상에 및 개구의 근처에 설치되는 기어를 포함하는 토너 용기를 포함하고, 또한 기어로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와 결합되는 구동 기어를 포함하는 점이 특징이다.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es a toner container including a gear installed on the periphery of the container body and near the opening, and is coupled with a gear that transmits a rotational driving force to the gea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rive gear.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토너 용기는 용기 몸체에 수용된 토너를, 회전 구동력에 의해 기어로 전달되는 용기 몸체의 회전에 동기화하여, 개구를 항해 반송하는 점이 특징이다.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e toner container nautical conveys the opening by synchronizing the ton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body with the rotation of the container body transmitted to the gear by the rotation driving force. It is characteristic.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토너 용기는 용기 몸체의 내부 원주면을 따라서 나선형 돌기를 갖는 점이 특징이다.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e toner container has a spiral protrusion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토너 용기는 용기 몸체에 토너를 수용하는 점이 특징이다.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e toner container accommodates the toner in the container body.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토너 용기는 용기 몸체에 담지체를 더 수용하는 점이 특징이다.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e toner container further accommodates a carrier in the container body.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장착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토너 용기를 포함하고, 토너 용기는 수용된 토너를 회전을 통해서 개구 측으로 반송하는 반송부를 갖는 용기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또한 용기 몸체의 개구에 고정되고 용기 몸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피지지부를 포함하고, 피지지부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 용기 몸체에 수용된 토너를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경로의 부분을 형성하는 토너 배출구를 갖고, 장착부는 토너 용기가 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때 토너 배출구와 결합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또한 이동시 피지지부의 회전을 억제하는 안내 레일을 포함하는 점이 특징이다.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re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es a toner container detachably mounted to a mounting portion, and the toner container includes a container body having a conveying portion for conveying the stored toner to the opening side through rotatio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includes a supported portion fixed to an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and rotatable relative to the container body, wherein the supported portion defines a portion of a path used to supply ton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body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body. It has a toner discharge port to be formed, and the mounting portion includes a coupling member that engages with the toner discharge port when the toner container moves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further includes a guide rail for suppressing rotation of the supported portion during movement.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안내 레일은 용기 몸체를 지지하는 안내 모서리와 피지지부의 단부를 안내하는 아내 홈을 포함하는 점이 특징이다.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e guide rail includes a guide edge for supporting the container body and a wife groove for guiding an end of the supported portion.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피지지부는 토너 용기의 축 선에 수직인 단면에서 용기 몸체의 외경보다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고, 돌출부는 안내 레일의 안내 홈에 의해 안내되는 점이 특징이다.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rein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e supported portion has a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tainer body in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s line of the toner container, and the protrusion is a guide of the guide rail.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guided by a groove.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안내 홈은 중력 방향으로 하측에 형성되는 점이 특징이다.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e guide groove is formed below in the direction of gravity.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토너 배출구는 돌출부에 형성되는 점이 특징이다.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e toner discharge port is formed in the protrusion.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장착부는 작동자로부터 볼 때 본체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점이 특징이다.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e mounting portion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when viewed from the operator.
Claims (2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7023793A KR100807858B1 (en) | 2005-06-07 | 2006-06-07 |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5-00167298 | 2005-06-07 | ||
JPJP-P-2005-00198355 | 2005-07-07 | ||
JPJP-P-2005-00203370 | 2005-07-12 | ||
JPJP-P-2005-00223438 | 2005-08-01 | ||
JPJP-P-2005-00304216 | 2005-10-19 | ||
JPJP-P-2005-00313616 | 2005-10-28 | ||
JPJP-P-2006-00013293 | 2006-01-23 | ||
JPJP-P-2006-00029246 | 2006-02-07 | ||
KR1020067023793A KR100807858B1 (en) | 2005-06-07 | 2006-06-07 |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21202A KR20070021202A (en) | 2007-02-22 |
KR100807858B1 true KR100807858B1 (en) | 2008-02-27 |
Family
ID=41627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7023793A KR100807858B1 (en) | 2005-06-07 | 2006-06-07 |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0785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SG10201502306RA (en) | 2011-11-25 | 2015-05-28 | Ricoh Co Ltd |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TWI614588B (en) | 2013-03-15 | 2018-02-11 | Ricoh Company, Limited. |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WO2020063220A1 (en) * | 2018-09-26 | 2020-04-02 | 纳思达股份有限公司 | Toner outlet structure and toner cartridg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72060A (en) * | 2000-01-01 | 2000-06-23 | Ricoh Co Ltd | Toner container and toner replenishing device |
-
2006
- 2006-06-07 KR KR1020067023793A patent/KR10080785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72060A (en) * | 2000-01-01 | 2000-06-23 | Ricoh Co Ltd | Toner container and toner replenish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21202A (en) | 2007-02-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889696B1 (en) |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EP1921512B1 (en) |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KR100809730B1 (en) |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4803828B2 (en) | Toner container,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4557296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KR20070121066A (en) | Developer container, developer suppl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KR100807858B1 (en) |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7272495B2 (en) |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4408864B2 (en) |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7305105B2 (en) | Developer suppl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5500505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MXPA06013160A (en) |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0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