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7589B1 - 지하공기를 이용한 가습장치 - Google Patents

지하공기를 이용한 가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7589B1
KR100807589B1 KR1020060130539A KR20060130539A KR100807589B1 KR 100807589 B1 KR100807589 B1 KR 100807589B1 KR 1020060130539 A KR1020060130539 A KR 1020060130539A KR 20060130539 A KR20060130539 A KR 20060130539A KR 100807589 B1 KR100807589 B1 KR 100807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ground air
underground
suction pipe
air
humid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0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휘
고재욱
이주태
Original Assignee
김재휘
고재욱
이주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휘, 고재욱, 이주태 filed Critical 김재휘
Priority to KR1020060130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75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7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7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6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 F24F5/005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using energy from the ground by air circulation, e.g. "Canadian we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40Geothermal heat-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10Geothermal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공기를 이용한 가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건조해진 공기에 지중의 자갈층, 송이석등으로 형성된 다공질 층에 존재하는 지하공기, 즉 외기의 영향을 받지 않아 항시 온도가 14~16℃이고 상대습도 100%인 지하공기를 흡입하여 건축물이나 농작물재배용 하우스로 공급함으로써 별도의 가습원 없이 자연그대로의 지하공기로 최적의 온습도를 갖도록 가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별도의 스팀가습설비가 필요치 않아 가동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자갈층, 송이석등으로 형성된 다공질 층에 이르기까지 매설된 지하공기흡입관; 지면에서 소정깊이에 이르기까지의 지하공기흡입관 외면에 마련되는 그라우팅파트; 상기 지하공기흡입관의 상부끝단에는 가습을 행하고자하는 가습사용처에 이르기까지 파이프 등이 연결된 송풍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습장치, 지하공기, 지하공기흡입관, 열교환기

Description

지하공기를 이용한 가습장치{humidifier using underground ai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 예의 지하공기를 가습원으로 이용한 가습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공기를 가습원으로 이용한 가습장치의 다른 실시 예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하공기흡입관 12: 그라우팅파트 14: 가습사용처
16: 송풍기 18: 다공질재 20: 인공가습기
21: 급수관 22: 급수밸브 23: 분무노즐
24: 열교환기 26: 집기통 30: 급기관
32: 갓 34: 댐퍼
본 발명은 지하공기를 이용한 가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절기엔 건축물이나 농작물재배용 하우스의 난방을 위해 가온함에 따라 그 내부의 공기는 상대적으로 급격하게 건조해지고 이렇게 건조해진 공기에 지중의 자갈층, 송이석등으로 형성된 다공질 층에 존재하는 지하공기, 즉 외기의 영향을 받지 않아 항시 온도가 14~16℃이고 상대습도 100%인 지하공기를 흡입하여 건축물이나 농작물재배용 하우스로 공급함으로써 최적의 온습도를 갖도록 가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별도의 스팀가습설비가 필요치 않아 비교적 저렴한 시공비는 물론 운전비가 최소화되는 지하공기를 이용한 가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포함한 농작물재배용 하우스에는 사계절(四季節)내내 쾌적한 분위기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여름철엔 냉방을 하고 겨울철엔 난방을 하고 있다. 특히, 동절기에는 외기(대기)의 경우 제주도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온도는 6.4℃이고 습도는 73%로 알려져 있는데, 다시 말해서 난방을 하지 않는 건축물은 외기와 동일한 조건이어서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난방을 위해 공기 내지 건축물의 바닥에 열을 가하여 실내온도가 24℃로 되면 습도는 23.5%로 급격하게 저하되어 피부의 수분증발 내지 기관지에 악영향을 주어 생활에 불편함을 주고 식물의 경우 잎이 말라비틀어지는 등의 현상으로 생장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이러한 악영향을 해소하기 위하여 가습장치를 이용하여 실내공기의 온도(24℃)에 따른 적당한 습도(50%)를 갖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가습장치는 대부분이 인위적으로 물을 증발 내지 분사시키는 것이고 소형이어서 면적이 넓은 건축물이나 농작물재배용 하우스 등의 가습에 한계가 있고 대형 면적의 가습에는 적합하지 않아 효과가 미미하다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동절기엔 건축물이나 농작물재배용 하우스의 난방을 위해 가온함에 따라 그 내부의 공기는 상대적으로 급격하게 건조해지고 이렇게 건조해진 공기에 지중의 자갈층, 송이석등으로 형성된 다공질 층에 존재하는 지하공기, 즉 외기의 영향을 받지 않아 항시 온도가 14~16℃이고 상대습도 100%인 지하공기를 흡입하여 건축물이나 농작물재배용 하우스로 공급함으로써 별도의 가습원 없이 자연그대로의 지하공기로 최적의 온습도를 갖도록 가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별도의 스팀가습설비가 필요치 않아 가동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지하공기를 이용한 가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하공기를 직간접적으로 열 교환하거나 지하공기에 물분무함으로써 사회활동 및 농작물의 성장에 적합한 가습이 이뤄지도록 한 지하공기를 이용한 가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하공기를 이용한 가습장치는, 외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자갈층, 송이석등으로 형성된 다공질 층에 이르기까지 매설된 지하공기흡입관; 상기 지하공기흡입관의 상부끝단에는 가습을 행하고자하는 가습사용처에 이르기까지 파이프 등이 연결된 송풍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하공기흡입관 외면에는 지하공기흡입관이나 그 주위에서 의 오폐수의 유입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면에서 소정깊이에 이르기까지 그라우팅파트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습장치에서 지하공기흡입관의 하단내부에는 지하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다공질재가 채워질 수 있으며, 상기 지하공기흡입관의 상단내부에는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지하공기의 건조를 보완할 수 있도록 인공가습기가 부가될 수 있다. 상기 인공가습기는 지하공기흡입관의 상단내부에 이르기까지 설치된 급수관과, 이 급수관의 급수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급수밸브와, 상기 급수관의 단부에서 물을 미립자로 분무할 수 있도록 마련된 분무노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습장치에서 지하공기흡입관의 상단이나 송풍기에는 지하공기의 상대습도를 필요에 따라 낮추거나 높이기 위한 열교환기가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교환기는 지하공기흡입관 외면과 밀착되어 감기는 열교환용 코일과, 이 열교환용 코일 외측에 단열재를 씌운 상태로 마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가습장치에서 지하공기흡입관은 다량의 지하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2개 이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지하공기흡입관들의 상단에는 이들을 하나로 통합하여 비교적 비중이 높은 이물질을 거를 수 있는 집기통이 마련되며 이 집기통의 단부에 송풍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가습장치에서 지하공기흡입관 근처에는 지하공기흡입관을 통해 흡입할 때 발생되는 부하를 줄일 수 있도록 외기를 지하로 공급할 수 있는 급기관이 매설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습장치에서 지하공기흡입관을 2개 이상으로 마련하되 상기 지하공기흡입관의 상단에 각각 가습을 행하고자하는 가습사용처에 이르기까지 파이프 등이 연결된 송풍기가 마련됨은 물론 한쪽의 지하공기흡입관에서 지하공기를 흡입할 때 다른 한쪽의 지하공기흡입관에서 지하로 흡입됨을 방지하면서 가동되는 송풍기 측만이 개방되는 댐퍼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지하공기를 이용한 가습장치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공기를 이용한 가습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습장치는 외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자갈층, 송이석등으로 형성된 다공질 층에 이르기까지 지하공기흡입관(10)이 매설되어 있으며, 이렇게 지면에서 소정깊이에 이르기까지 매설된 지하공기흡입관(10) 외면에는 지하공기흡입관(10)을 따라 오폐수의 유입 등을 방지하는 그라우팅파트(12)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지하공기흡입관(10)의 상부끝단에는 가습을 행하고자하는 가습사용처(14)에 이르기까지 파이프 등을 통해 연결된 송풍기(1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그라우팅파트(12)는 지면에서 6m이상 깊이에 다공질 층이 형성되어 있어 지하공기흡입관(10)이 깊게 시공되는 경우에 필수적으로 마련함이 바람직하며 지하공기흡입관(10)이 지면에서 5~6m로 비교적 낮게 시공되는 경우엔 마련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지하공기를 이용한 가습장치는 하절기보 다 상대적으로 건조함에도 불구하고 여기에다가 기온이 낮아 건축물이나 농작물재배용 하우스의 난방을 위해 가온함에 따라 그 내부의 공기는 더욱 급격하게 건조해진다.
이를 좀 더 부언하면, 외기(대기)의 경우 제주도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평균기온은 6.4℃이고 습도는 73%이나 난방을 위해 공기 내지 건축물의 바닥에 열을 가하여 실내온도를 24℃로 되면 습도는 23.5%로 급격하게 저하된다.
이렇게 건조해지면서 생활에 불편함을 주고 식물의 경우, 잎이 말라비틀어지는 등의 현상으로 생장에 영향을 받는다고 판단되면, 지하공기흡입관(10) 상단의 송풍기(16)를 가동시키면 지중의 자갈층, 송이석등으로 형성된 다공질 층에 존재하는 지하공기, 즉 외기의 영향을 받지 않아 항시 온도가 14~16℃이고 상대습도 100%인 지하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이렇게 흡입된 지하공기는 상대습도가 100%인바 습도가 23.5%정도인 건축물이나 농작물재배용 하우스로 공급되기 때문에 건축물이나 농작물재배용 하우스 내의 습도가 50%정도로 가습되게 된다.
위에서 언급한 조건들을 토대로 하여 지하공기는 온도가 16℃이고 상대습도가 100%일 때 지하공기의 절대습도는 11.3g/kg 이고, 공기의 질량은 1.2kg/㎥ 이므로 송풍량을 시간당 24000㎥라 할 때, 지하공기의 시간당 절대습도(㎏/h)가 325이다. 환기를 위해 급기되는 외기는 온도가 6.4℃이고 상대습도가 73%이면서 외기의 절대습도는 4.3g/kg이고 공기의 질량은 1.2kg/㎥ 이므로 송풍량이 시간당 24000㎥라 할 때, 환기용 외기의 시간당 절대습도(㎏/h)가 124가 되므로 지하공기의 수분을 가습원으로 사용한다면 시간당 수분절감량(㎏/h)이 201이 된다. 가습원을 스팀 으로 하는 설비와 비교한다면, 스팀생산에 1㎏당 540㎉의 열량이 필요하므로 지하공기의 수분을 가습원으로 사용하면 108,540㎉의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공기를 이용한 가습장치는 단순히 무궁무진한 지하공기를 흡입하여 공급하는 것인바, 별도의 가습원없이 자연그대로의 친환경적인 지하공기로서 최적의 온습도로 가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별도의 스팀가습설비가 필요치 않아 가동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공기를 이용한 가습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지하공기흡입관(12)의 하단내부에는 지하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다공질재(18)가 채워지고, 상기 지하공기흡입관(10)의 상단내부에는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지하공기의 건조를 보완할 수 있도록 인공가습기(20)가 마련된 것이다.
상기 인공가습기(20)는 지하공기흡입관(10)의 상단내부에 이르기까지 급수관(21)이 마련되고 이 급수관(21)에서의 급수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급수밸브(22)가 마련되고, 상기 급수관(21)의 단부에서 물을 미립자로 분무할 수 있는 분무노즐(23)이 마련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른 실시 예의 지하공기를 이용한 가습장치에 의하면, 지하공기흡입관(10)의 하단내부에 채워진 다공질재(18)가 이물질을 여과하고, 장기간 사용으로 인하여 지하공기가 건조해지면 급수관(21)의 급수밸브(22)를 개방시킴에 따라 급수관(21)내의 물이 분무노즐(23)을 통해 분무되므로 인위적인 가습을 행할 수 있어 충분한 가습을 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공기를 이용한 가습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지하공기흡입관(10)의 상단이나 송풍기(16)에는 지하공기의 상대습도를 필요에 따라 낮추거나 높이기 위한 열교환기(24)가 부가된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이다. 상기 열교환기(24)는 송풍기(16)에 의해 흡입되는 지하공기와 직접적으로 열 교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라우팅파트(12)내에 마련하되 지하공기흡입관(10) 외면과 밀착되어 감기는 열교환용 코일과, 이 열교환용 코일 외측에 단열재를 씌운 상태로 마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또 다른 실시 예의 지하공기를 이용한 가습장치에 의하면, 지하공기흡입관(10)의 상단에 열교환기(24)가 부가되어 있어 계절적인 영향이라든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지하공기를 자유롭게 가열 내지 냉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공기를 이용한 가습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지하공기흡입관(10)이 다량의 지하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2개 이상으로 매설되고 상기 지하공기흡입관(10)들의 상단에는 이들을 하나로 통합하여 비교적 비중이 높은 이물질을 거를 수 있는 집기통(26)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집기통(26)의 단부에는 가습을 행하고자하는 가습사용처에 이르기까지 파이프 등을 통해 연결된 송풍기(16)가 마련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또 다른 실시 예의 지하공기를 이용한 가습장치에 의하면, 2개 이상의 지하공기흡입관(10)을 통해 대용량의 지하공기를 흡입할 수 있고 이렇게 지하공기가 흡입될 때, 지하공기 중에 포함되어 흡입되는 미세한 모래입자 등의 이물질이 집기통(26)에서 급격하게 속도가 떨어지므로 이물질을 집기통(26)에서 걸러지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공기를 이용한 가습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서 지하공기흡입관(10) 근처에는 이 지하공기흡입관(10)을 통해 지하공기를 흡입할 때 발생되는 부하를 줄이기 위하여 외기를 지하로 공급할 수 있는 급기관(30)이 매설되되 이 급기관(30)은 그 내부로 외기가 흡입되어 충분히 지하공기와 같은 온도 14~16℃, 상대습도 100%로 되도록 상기 지하공기흡입관(10)과 일정거리만큼 떨어져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급기관(30)의 상단에는 급기관(30)으로 이물질이 투입되지 않도록 하는 갓(32)이 씌워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또 다른 실시 예의 지하공기를 이용한 가습장치에 의하면, 지하공기흡입관(10) 상단의 송풍기(16)가 가동되면서 발생되는 흡입력으로 인하여 외부로부터 급기관(30)을 통해 외기가 흡입되므로 송풍기(16)의 부압을 줄일 수 있고 장기간 가동함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공기를 이용한 가습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지하공기흡입관(10)을 2개 이상으로 마련하되 상기 지하공기흡입관(10)의 상단에 각각 가습을 행하고자하는 가습사용처(14)에 이르기까지 파이프 등이 연결된 송풍기(16)가 마련됨은 물론 한쪽의 지하공기흡입관(10)에서 지하공기를 흡입할 때 다른 한쪽의 지하공기흡입관(10)을 통해 지하로 흡입됨을 방지하면서 가동되는 송풍기(16) 측만이 개방되는 댐퍼(34)가 각각 설치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또 다른 실시 예의 지하공기를 이용한 가습장치에 의하 면, 2개의 송풍기(16)를 이용하여 지하공기를 흡입하여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 2개의 송풍기(16) 중에서 어느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가동시킬 수 있으며, 이렇게 어느 하나의 송풍기(16)만이 가동될 때 그 지하공기흡입관(10)의 댐퍼(34)만이 개방되고 다른 지하공기흡입관(10)의 댐퍼(34)는 닫혀있어 다른 한쪽의 지하공기흡입관(10)을 통해 지하로 흡입됨이 방지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하공기를 이용한 가습장치는 동절기엔 건축물이나 농작물재배용 하우스의 난방을 위해 가온함에 따라 그 내부의 공기는 상대적으로 급격하게 건조해지고 이렇게 건조해진 공기에 지중의 자갈층, 송이석등으로 형성된 다공질 층에 존재하는 지하공기, 즉 외기의 영향을 받지 않아 항시 온도가 14~16℃이고 상대습도 100%인 지하공기를 흡입하여 건축물이나 농작물재배용 하우스로 공급함으로써 별도의 가습원 없이 자연그대로의 지하공기로 최적의 온습도를 갖도록 가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별도의 스팀가습설비가 필요치 않아 가동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하공기를 열교환기에 의해 직간접적으로 열 교환하거나 지하공기흡입관의 상부에 인공가습기를 마련하여 인위적으로 물분무함으로써 사회활동 및 농작물의 성장에 적합한 가습이 이뤄지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9)

  1. 삭제
  2. 외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자갈층, 송이석의 다공질 층에 이르기까지 매설된 지하공기흡입관; 상기 지하공기흡입관의 상부끝단에는 가습을 행하고자하는 가습사용처에 이르기까지 파이프가 연결된 송풍기를 포함하는 지하공기를 이용한 가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하공기흡입관의 상단내부에는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지하공기의 건조를 보완할 수 있도록 인공가습기가 부가되며 이 인공가습기는 지하공기흡입관의 상단내부에 이르기까지 설치된 급수관과, 이 급수관의 급수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급수밸브와, 상기 급수관의 단부에서 물을 미립자로 분무할 수 있도록 마련된 분무노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공기를 이용한 가습장치.
  3. 삭제
  4. 삭제
  5. 외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자갈층, 송이석의 다공질 층에 이르기까지 매설된 지하공기흡입관; 상기 지하공기흡입관의 상부끝단에는 가습을 행하고자하는 가습사용처에 이르기까지 파이프가 연결된 송풍기를 포함하는 지하공기를 이용한 가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하공기흡입관 근처에는 지하공기흡입관을 통해 흡입할 때 발생되는 부하를 줄일 수 있도록 외기를 지하로 공급할 수 있는 급기관이 매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공기를 이용한 가습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60130539A 2006-12-20 2006-12-20 지하공기를 이용한 가습장치 KR100807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539A KR100807589B1 (ko) 2006-12-20 2006-12-20 지하공기를 이용한 가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539A KR100807589B1 (ko) 2006-12-20 2006-12-20 지하공기를 이용한 가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7589B1 true KR100807589B1 (ko) 2008-02-28

Family

ID=39383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0539A KR100807589B1 (ko) 2006-12-20 2006-12-20 지하공기를 이용한 가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75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011Y1 (ko) 2010-06-09 2012-12-07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보조열교환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493Y1 (ko) 2005-06-25 2005-09-23 오평원 지하 공기층을 이용한 냉난방설비
KR200428540Y1 (ko) 2006-07-27 2006-10-16 김재휘 지하구조물의 축열재를 이용한 냉난방장치
KR200431245Y1 (ko) 2006-09-08 2006-11-23 김재휘 지하공기를 이용한 공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493Y1 (ko) 2005-06-25 2005-09-23 오평원 지하 공기층을 이용한 냉난방설비
KR200428540Y1 (ko) 2006-07-27 2006-10-16 김재휘 지하구조물의 축열재를 이용한 냉난방장치
KR200431245Y1 (ko) 2006-09-08 2006-11-23 김재휘 지하공기를 이용한 공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011Y1 (ko) 2010-06-09 2012-12-07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보조열교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48332A1 (en) Geothermal Heating, Cooling, and Dehumidification Ventilation System
CN107182635A (zh) 一种日光温室除湿与通风换气系统
US4262656A (en) Solar climate control for greenhouses
CN102759170A (zh) 一种基于多点进风及利用地热能的置换式通风系统
CN106488699A (zh) 一种多功能蔬菜种植大棚
KR100954576B1 (ko) 버섯 재배사용 조온, 가습, 배열회수 환기장치 및 운전방법
CN204466428U (zh) 光伏大棚夏季降温系统
JP2007060981A (ja) 大気浄化、害虫捕獲、気温緩和となる緑化装置
CN106034857A (zh) 一种基于溶洞空气的温室大棚调控装置及其调控方法
KR100748067B1 (ko) 지하구조물의 축열재를 이용한 냉난방장치
KR100807589B1 (ko) 지하공기를 이용한 가습장치
KR101912649B1 (ko) 밀폐정원을 이용한 주거지의 신선한 공기 공급장치
CN205305568U (zh) 一种多功能蔬菜种植大棚
CN207322091U (zh) 一种育苗温室
CN210659391U (zh) 一种环保生态住宅
CN209105755U (zh) 花卉种植温室
CN208523403U (zh) 一种香菇种植大棚
CN206462131U (zh) 一种植物和喷雾系统结合的生态加湿降温设备
KR200449415Y1 (ko) 가습형 벽면 정원
CN202035339U (zh) 一种温室换热通风系统
CN106193342B (zh) 外墙植草生物质保温层的建筑物及其室内外通风系统
CN207135664U (zh) 一种基于地下室的日光温室
TWM608837U (zh) 自然空氣降溫調節系統
CN207167202U (zh) 一种温室保温系统
TW200933029A (en) Solar-driven passive type reverse-flow ventil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