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7428B1 - Snow tire with surface processing tread - Google Patents

Snow tire with surface processing tre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7428B1
KR100807428B1 KR1020050084109A KR20050084109A KR100807428B1 KR 100807428 B1 KR100807428 B1 KR 100807428B1 KR 1020050084109 A KR1020050084109 A KR 1020050084109A KR 20050084109 A KR20050084109 A KR 20050084109A KR 100807428 B1 KR100807428 B1 KR 100807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gent
tread
curved groove
grooves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41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29384A (en
Inventor
조만식
문대일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4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7428B1/en
Publication of KR20070029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93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7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74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2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special properties of the tread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4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continuous circumferential ribs, e.g. zig-za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1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isolated elements, e.g.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41Circumferential grooves
    • B60C2011/0348Narrow grooves, i.e. having a width of less than 4 m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처리된 스노우 타이어(Snow Tire)에 관한 것으로서, 트레드 금형에 의해 가류공정을 행하여 가류된 트레드면에 다수개의 홈들이 형성되도록 표면처리함으로써 그 형성된 홈들에 의해 스노우 노면 및 결빙 노면에서의 타이어의 제동력 및 주행 견인력을 향상시킴과 함께 건조 노면에서의 타이의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face-treated snow tire, which is subjected to a vulcanization process by a tread mold, and surface treated so that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on the vulcanized tread surfa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braking force and driving traction of a tire, and to improve the handling performance of a tie on a dry road surface.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노면과 접지되는 트레드 표면은, 다수개의 홈이 형성되도록 표면처리되어 있고, 상기 다수개의 홈은, 트레드의 폭 방향의 중심인 센터라인을 기준으로 트레드의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폭(w) 및 깊이(h)를 갖는 제1의 탄젠트 곡선(tangent curve)형 홈(14)과, 상기 센터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제1의 탄젠트 곡선형 홈과 대칭하고 상기 제1의 탄젠트 곡선형 홈과 동일한 폭(w), 깊이(h), 및 각도(θ1, θ2)를 갖는 제2의 탄젠트 곡선형 홈(15)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의 탄젠트 곡선형 홈은, 각각 상기 센터라인을 기준으로 윗쪽 또는 아래쪽으로 동일한 간격(d)을 갖고 연속반복적으로 다수개 배열되어 서로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ead surface grounded with the road surface is surface-treated so that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and the plurality of grooves are predetermin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read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which is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ead. A first tangent curved groove 14 having a width w and a depth h of 9 and symmetrical to the first tangent curved groove with respect to the centerline and the first tangent It is formed to have a second tangent curved groove 15 having the same width (w), depth (h), and angles (θ1, θ2) as the curved groove, the first and second tangent curved Each of the grooves may be arranged in a plurality of consecutively and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at the same distance (d) upward or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스노우, 타이어, 트레드, 홈, 탄젠트 곡선, 금형, 가공 Snow, tire, tread, groove, tangent curve, mold, machining

Description

표면처리된 스노우 타이어{SNOW TIRE WITH SURFACE PROCESSING TREAD}SNOW TIRE WITH SURFACE PROCESSING TREAD}

도 1은, 일반적인 타이어어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general tire.

도 2는, 종래의 일례에 의한 스노우 타이어의 사이프(sipe)를 나타내는 평면도.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sipe of a snow tire according to a conventional example.

도 3은, 종래의 일례에 의한 스노우 타이어에서의 사이프가 스노우 노면 상에서 작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ipe in a snow tire according to a conventional example acts on a snow road surface;

도 4는, 일반적인 가류용 금형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general vulcanization mold.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노우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5 is a plan view showing a tread pattern shape of a snow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스노우 타이어의 트레드에 형성된 탄젠트 곡선형 홈 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트레드 부분 전개도. Figure 6 is a schematic tread partial exploded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tangent curved groove formed in the tread of the snow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스노우 타이어의 트레드에 탄젠트 곡선형 홈의 형성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트레드 부분 전개도. Figure 7 is a schematic tread partial exploded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forming a tangent curved groove in the tread of the snow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5의 S-S선 확대 단면도.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 line S-S of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 종그루브, 12 : 횡그루브11: longitudinal groove, 12: lateral groove

13 : 블록 14 : 제1 탄젠트 곡선형 홈13: block 14: first tangent curved groove

15 : 제2 탄젠트 곡선형 홈15: second tangent curved groove

본 발명은 표면처리된 스노우 타이어(Snow Tire)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레드 금형에 의해 가류공정을 행하여 가류된 트레드면에 다수개의 홈들이 형성되도록 표면처리함으로써 그 형성된 홈들에 의해 스노우 노면 및 결빙 노면에서의 타이어의 제동력 및 주행 견인력을 향상시킴과 함께 건조 노면에서의 타이의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노우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face-treated snow ti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now road surface by grooves formed by surface treatment so that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on a vulcanized tread surface by performing a vulcanization process by a tread mold. And it relates to a snow tire that can improve the braking force and running traction of the tire on the freezing road surface and improve the handling performance of the tie on the dry road surface.

일반적으로, 타이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면과 접촉하는 트레드(Tread, 101), 타이어의 골격을 이루는 카카스(Carcass, 102), 트레드(101)와 카카스(102) 사이에 설치된 벨트층(103),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는 인너라이너(Inner Liner, 104)와; 카카스(102)를 보호하고 유연한 굴신운동을 하도록 하는 사이드월(Side Wall, 105)과; 타이어를 림(Rim)에 장착시키는 비드부(Bead, 10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트레드(101)의 패턴은, 다수개의 트레드 블록(Block, B)과 상기 다수개의 트레드 블록(B)사이에 각각 형성된 다수개의 그루브(Groove, G) 로 이루어져 있다.In general, the tire is, as shown in FIG. 1, between a tread 101 in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a carcass 102 forming the skeleton of the tire, between the tread 101 and the carcass 102. An installed liner layer 103, an inner liner 104 for preventing air leakage; Side wall (105) to protect the carcass 102 and to allow flexible flexing movement; It consists of the bead part 106 which mounts a tire to a rim. In addition, the pattern of the tread 101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tread blocks (Block, B) and a plurality of grooves (Groove, G)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tread blocks (B), respectively.

이와 같은, 타이어는, 원재료인 천연고무에 흑색안료의 일종인 카본블랙 (Carbon Black)과 황(Sulfur) 등의 여러가지 약품을 혼합시킨 배합고무를 압출하거나, 상기 배합고무를 코드나 비드 와이어(Bead Wire) 등에 토핑(Topping)하는 압연공정을 거쳐 재단된 여러가지 반제품을 성형기에 의해 조합하는 성형공정을 통하여 그린타이어를 완성한 후, 최종적으로 상기 그린타이어를 가류용 금형에 넣고 소정 시간동안 고압과 고열을 가하는 가류공정을 행함으로써 제조된다.Such a tire is extruded a compounded rubber obtained by mixing various chemicals such as carbon black and sulfur, which is a kind of black pigment, with natural rubber, which is a raw material, or the compounded rubber as a cord or bead wire. After the green tire is completed through a molding process combining various semi-finished products cut through a rolling process topping to a wire or the like by a molding machine, the green tire is finally put into a vulcanization mold and subjected to high pressure and high temperatur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addition is made by performing a vulcanization step.

스노우 타이어는 상기한 일반적인 타이어와 달리, 동절기에 스노우 노면 및 결빙 노면에서의 그립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면과 접지하는 타이어의 트레드 블럭(Block, B) 내에 다수의 작은 홈, 즉 사이프(Sipe, 110)를 구비하고 있다.Snow tires, unlike the above-described general tires, have a large number of small blocks in the tread blocks B of the tires that are grounded with the road surface, as shown in FIG. 2, in order to improve the grip force on the snow road surface and the freezing road surface in winter. A groove, that is, a sipe (Sipe, 110) is provided.

상기 사이프(110)는, 타이어의 원주방향에 대하여 직교되는 방향, 즉 타이어의 축방향으로 형성하여 가운데 부분을 파형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한 스노우 타이어는, 이러한 사이프(110)의 구조에 의해, 도 2에서와 같이 스노우 노면(R) 위를 주행할 때, 후단부(110b)가 노면과 이격되고 선단부(110a)에서 노면(R)과의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타이어의 미끄럼 방지 성능을 발휘하게 된다. The sipe 110 is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that i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tire,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enter portion is bent in a wave form. In the snow tire, the rear end portion 110b is spaced apart from the road surface and the road surface R at the front end portion 110a when the snow tire travels on the snow road surface R as shown in FIG. 2 by the structure of the sipe 110. ), The tire will be able to prevent skidding.

그러나, 이러한 사이프(110)의 형상은 타이어의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노면(R)에 대한 접지면적을 증가시켜서 미끄럼 방지 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반면에, 타이어의 측방 제동력과 가속력이 일반 노면보다 떨어져 차량을 완벽하게 컨트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shape of the sipe 110 is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ti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nti-skid performance by increasing the ground area with respect to the road surface R as described abov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acceleration power is lower than the normal road and the vehicle is not completely controlled.

따라서, 종래에는, 동절기에 제동력과 가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서, 타이어의 트레드 블럭에 금속성 스터드(stud)인 스파이크 핀을 설치한 스노우 타이어를 사용하고 있다.Therefore, conventionally, as a method for improving the braking force and the acceleration force in winter, snow tires are provided with spike studs of metallic studs on the tread block of the tire.

이러한 스파이크 핀을 타이어의 트레드 블럭에 설치하는 위해서는, 먼저 그린 타이어를 스파이크 핀홀 형성용 핀이 구비된 가류용 금형의 내부에 장입시켜 가류공정을 함으로써, 타이어의 트레드에 스파이크 핀홀이 형성된 타이어를 제조한다. 이어서, 그 스파이크 핀홀의 내부로 스파이크 핀을 강제 삽입함으로써 스파이크 핀이 설치된 스노우 타이어가 제조된다.In order to install such spike pins on a tread block of a tire, first, a green tire is charged into a vulcanization mold provided with spike pinhole forming pins and subjected to a vulcanization process, thereby producing a tire having spike pinholes formed on the tread of the tire. . Subsequently, the snow tire provided with the spike pin is manufactured by forcibly inserting the spike pin into the spike pinhole.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스노우 타이어는, 그 스파이크 핀이 트레드 표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시 노면과의 마찰로 인하여 마모되어 결빙 노면에서 오히려 차량의 제동효과를 저하시킬 우려가 있었고, 특히 눈이 녹아 있는 일반 노면에서 주행시 소음 발생과 함께 노면을 파괴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핸들링 성능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such spike pins are exposed from the tread surface, such conventional snow tires are worn out due to friction with the road surface for long periods of use, which may reduce the braking effect of the vehicle on the freezing road surface. There is a problem that not only destroys the road surface with noise generation when driving on the melted general road, but also significantly reduces the handling performanc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트레드부에 금속성의 스터드를 설치함이 없이, 트레드 금형에 의해 가류공정을 행하여 가류된 트레드면에 다수개의 홈들이 형성되도록 표면처리함으로써 그 형성된 홈들에 의해 스노우 노면 및 결빙 노면에서의 타이어의 제동력 및 주행 견인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he surface treatment is performed such that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on the vulcanized tread surface by performing a vulcanization process by a tread mold without installing a metal stud in the tread por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braking force and the driving traction force of the tire on the snow road surface and the icy road surface by the formed groov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노면과 접지되는 트레드면은, 그 표면에 다수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The tread surface grounded with the road surface has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상기 다수개의 홈은, 트레드의 폭 방향의 중심인 센터라인을 기준으로 트레드의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폭(w) 및 깊이(h)를 갖는 제1의 탄젠트 곡선(tangent curve)형 홈과, 상기 센터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제1의 탄젠트 곡선형 홈과 대칭하고 상기 제1의 탄젠트 곡선형 홈과 동일한 폭(w) 및 깊이(h)를 갖는 제2의 탄젠트 곡선형 홈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탄젠트 곡선형 홈은, 상기 센터라인과 상기 센터라인과 수직하는 트레드 폭 방향의 중간라인이 교차하는 교차점을 기준으로 그 교차점으로부터 트레드의 우측 폭 끝단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곡선형 홈 A와, 상기 교차점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180°회전함으로써 대칭되는 곡선형 홈 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lurality of grooves may include a first tangent curved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w and depth 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read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which is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ead. It is formed to have a second tangent curved groove symmetrical to the first tangent curved groove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and having the same width (w) and depth (h) as the first tangent curved groove,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angent curved groove is progressive from the intersection point to the right width end of the tread based on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center line and the middle line in the tread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enter lin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curved groove A increasing to and a curved groove B symmetrical by rotating 180 degre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bout the intersection.

상기 제1 및 제2의 탄젠트 곡선형 홈은, 각각 상기 센터라인을 기준으로 윗쪽 또는 아래쪽으로 동일한 간격(d)을 갖고 연속반복적으로 다수개 배열되어 서로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and second tangent curved grooves may b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epetitively and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at the same distance (d) upward or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respectively.

삭제delete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곡선형 홈 A는, 그 센터라인으로부터 트레드 우측 폭 끝단까지를 제1 내지 제4의 4등분선으로 분할할 때, 상기 교차점으로부터 트레드의 우측 폭 끝단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각도(α1)(α2)(α3)(α4)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ved groove A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intersection point to the right width end of the tread when dividing the tread right width end from the center line into the first to fourth quadrant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have an angle α1 (α2) (α3) (α4).

(여기서, α1 : 상기 센터라인과 상기 제1의 등분선 사이를 지나가는 곡선형 홈 A의 임의의 지점에 접하는 접선과 상기 센터라인이 교차하는 사이의 각도, (Where α1: an angle between the tangent tangent to an arbitrary point of the curved groove A passing between the centerline and the first equal line and the centerline intersect,

α2 : 상기 제1의 등분선과 상기 제2의 등분선 사이를 지나가는 곡선형 홈 A의 임의의 지점에 접하는 접선과 상기 제1의 등분선이 교차하는 사이의 각도, α2: an angle between a tangent tangent to an arbitrary point of the curved groove A passing between the first equal line and the second equal line and the first equal line intersect,

α3 : 상기 제2의 등분선과 상기 제3의 등분선 사이를 지나가는 곡선형 홈 A의 임의의 지점에 접하는 접선과 상기 제2의 등분선이 교차하는 사이의 각도, α3: an angle between a tangent tangent to an arbitrary point of the curved groove A passing between the second equal line and the third equal line and the second equal line intersect,

α4 : 상기 제3의 등분선과 상기 제4의 등분선 사이를 지나가는 곡선형 홈 A의 임의의 지점에 접하는 접선과 상기 제3의 등분선이 교차하는 사이의 각도) α4: the angle between the tangent tangent to an arbitrary point of the curved groove A passing between the third equal line and the fourth equal line and the third equal line intersect)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곡선형 홈 B는, 그 센터라인으로부터 트레드 좌측 폭 끝단까지를 제1 내지 제4의 4등분선으로 분할할 때, 상기 교차점(P)으로부터 트레드의 좌측 폭 끝단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각도(α1)(α2)(α3)(α4)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ved groove B is from the intersection point P to the left width end of the tread when dividing the tread left width end into the first to fourth quadrants from the center lin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have a gradually increasing angle (α1) (α2) (α3) (α4).

(여기서, α1 : 상기 센터라인과 상기 제1의 등분선 사이를 지나가는 곡선형 홈 A의 임의의 지점에 접하는 접선과 상기 센터라인이 교차하는 사이의 각도, (Where α1: an angle between the tangent tangent to an arbitrary point of the curved groove A passing between the centerline and the first equal line and the centerline intersect,

α2 : 상기 제1의 등분선과 상기 제2의 등분선 사이를 지나가는 곡선형 홈 A의 임의의 지점에 접하는 접선과 상기 제1의 등분선이 교차하는 사이의 각도, α2: an angle between a tangent tangent to an arbitrary point of the curved groove A passing between the first equal line and the second equal line and the first equal line intersect,

α3 : 상기 제2의 등분선과 상기 제3의 등분선 사이를 지나가는 곡선형 홈 A의 임의의 지점에 접하는 접선과 상기 제2의 등분선이 교차하는 사이의 각도, α3: an angle between a tangent tangent to an arbitrary point of the curved groove A passing between the second equal line and the third equal line and the second equal line intersect,

α4 : 상기 제3의 등분선과 상기 제4의 등분선 사이를 지나가는 곡선형 홈 A 의 임의의 지점에 접하는 접선과 상기 제3의 등분선이 교차하는 사이의 각도) α4: the angle between the tangent tangent to an arbitrary point of the curved groove A passing between the third equal line and the fourth equal line and the third equal line intersect)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간격(d)은 5∼1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val d is characterized in that 5 to 15mm.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탄젠트 곡선형 홈의 폭(w) 및 깊이(h)는, 각각 0.1∼3.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s w and the depths h of the first and second tangent curved grooves are 0.1 to 3.0 mm,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탄젠트 곡선형 홈은, 그 상단폭과 하단폭이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over, in this invention, the said 1st and 2nd tangent curved groove | channel is formed so that the upper end width and the lower end width may be the same.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탄젠트 곡선형 홈은, 그 하단폭이 상단폭보다 좁게 일정 각도(θ1, θ2)로 경사진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여기서 상기 각도(θ1, θ2)는, 상기 제1 및 제2의 탄젠트 곡선형 홈의 각 측벽과 트레드에서 노면까지 수직으로 내린 직선 사이의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tangent curved grooves are formed in a structure inclined at constant angles θ1 and θ2 such that the bottom width thereof is narrower than the top width, wherein the angles θ1, θ2) is an angle between each sidewall of the first and second tangent curved grooves and a straight line vertically lowered from the tread to the road surface.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도(θ1, θ2)는, 3°∼4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s θ1 and θ2 are 3 ° to 45 °.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탄젠트 곡선형 홈은 트레드의 블록(13)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tangent curved grooves are formed in the block 13 of the tread.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노우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스노우 타이어의 트레드에 형성된 탄젠트 곡선형 홈 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트레드 부분 전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스노우 타이어의 트레드에 탄젠트 곡선형 홈의 형성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적인 트레드 부분 전개도이며, 도 8은 도 5에서의 S-S선 확대 단면도이다.5 is a plan view showing a tread pattern shape of a snow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chematic tread partial development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tangent curved groove formed in the tread of the snow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exploded view of a tread portion for explaining a process of forming a tangent curved groove in a tread of a snow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n SS line in FIG. 5.

본 발명에 의한 스노우 타이어는, 트레드에 금속성의 스터드를 설치함이 없이, 가류용 금형에 미리 표면처리를 하여 둠으로써 가류공정 후 가류된 트레드 표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수개의 홈(14, 15)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에 있어서, 도면부호 '11'은, 타이어의 원주방향(종방향)으로 형성된 종그루브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12'는 타이어의 폭방향(횡방향)으로 형성된 횡그루브를 나타내며, 도면부호 '13'는 상기 종그루브(11)와 횡그루브(12)에 의해 분할되는 블록을 나타낸다. The snow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grooves as shown in FIG. 5 on the surface of the tread which has been vulcanized after the vulcanization process by preliminary surface treatment on the vulcanization mold without installing a metallic stud on the tread. 14, 15). In Fig. 5, reference numeral 11 denotes a longitudinal groov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ire, reference numeral 12 denotes a lateral groove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lateral direction) of the tire. '13' represents a block divided by the longitudinal grooves 11 and the horizontal grooves 12.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타이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가류용 금형에 상기한 바와 같은 다수개의 홈(14, 15)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개의 돌기부를 미리 가공하여 둘 필요가 있다.In order to manufacture the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it is necessary to process a plurality of projec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grooves 14 and 15, respectively, in advance in the vulcanization mold.

일반적으로, 가류용 금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성 타이어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의 내부면을 형성하도록 그 내부가 타이어의 형상으로 함몰된 한쌍의 사이드 금형(120a, 120b)과, 상기 사이드 금형(120a, 120b)의 내주부에 결합되어 타이어의 트레드, 즉 타이어의 주행시 노면과 접촉되어 마찰을 일으키도록 다수개의 그루브와 블록으로 되는 패턴을 갖는 트레드를 형성하기 위한 트레드 금형(121)으로 구성되어 있다.Generally, as shown in FIG. 4, the vulcanization mold includes a pair of side molds 120a and 120b in which the inside is recessed in the shape of the tire so as to form an inner surface having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finished tire. Tread mold 121 is coupled to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of the side mold (120a, 120b) to form a tread of the tire, that is, a tread having a pattern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grooves and blocks so as to contact the road surface when the tire is running, causing friction. Consists of.

본 발명은 이러한 가류용 금형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금형(121)의 안쪽면에 원주방향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은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홈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돌기부를 미리 가공하여 둔 것이다.In the present vulcanization mold, a plurality of protrusion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grooves having a shape as described lat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e preliminarily proces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read mold 121.

본 발명은 이러한 구조의 트레드 금형(121)을 포함하는 가류용 금형에 그린 타이어를 넣고, 가류공정을 행함으로써, 가류된 트레드에 자연스럽게 홈들이 표면처리된 스노우 타이어를 얻을 수가 있고, 이와 같이 표면처리된 홈들에 의해 동절기에 노면제동성, 주행 견인성 및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utting a green tire into a vulcanization mold including the tread mold 121 having such a structure, and performing a vulcanization process, a snow tire having grooves surface-treated naturally on the vulcanized tread can be obtained. The grooves can improve road braking, driving traction and handling in winter.

상기 다수개의 홈의 구조에 대하여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structure of the plurality of groove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도 6 및 도 7은 트레드의 개략적인 전개도로서, 설명의 간편성과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가류공정에 의해 가류된 타이어의 트레드 표면에 형성된 일부의 홈만을 도시한 것이다.6 and 7 are schematic exploded views of the tread, for the sake of simplicity of explanation and simplification of the drawing, showing only a part of the grooves formed in the tread surface of the tire vulcanized by the vulcanization process as described above.

여기서, 주목할 점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다수개의 홈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돌기부가 상기 트레드 금형의 원주면에 동일한 형태로 설계되어 있다는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a plurality of protrus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grooves described below are designed in the same shape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ead mol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개의 홈(14, 15)은, 트레드의 폭 방향의 중심인 센터라인(CL)을 기준으로 트레드의 원주방향(T)으로 형성된 제1의 탄젠트 곡선형 홈(14)과, 상기 센터라인(CL)을 기준으로 상기 제1의 탄젠트 곡선형 홈(14)과 대칭하는 제2의 탄젠트 곡선형 홈(15)으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 6, the plurality of grooves 14 and 15 are first tangent curved groove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 of the tread with respect to the centerline CL, which is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ead. And a second tangent curved groove 15 that is symmetrical with the first tangent curved groove 14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CL.

더욱이, 상기 제1 및 제2의 탄젠트 곡선형 홈(14, 15)은 각각 상기 센터라인(CL)을 기준으로 윗쪽 또는 아래쪽으로 동일한 간격(d)을 갖고 다수개 연속 반복적으로 배열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교차되는 형태로 형성된다.Furthermore, the first and second tangent curved grooves 14 and 15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successive repetitions with the same distance d upward or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CL, respectively, FIG. 5. As shown in the figure is formed to cross each other.

상기 제1의 탄젠트 곡선형 홈(14)은, 상기 센터라인(CL)과 상기 센터라인(CL)과 수직하는 트레드 폭 방향의 중간라인(ML)이 교차하는 교차점(P)을 기준으로 그 교차점(P)으로부터 트레드의 우측 폭 끝단까지 소정의 각도를 갖고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곡선형 홈 A와, 상기 교차점(P)을 중심으로 상기 곡선형 홈 A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180°회전하였을 때 대칭되는 곡선형 B를 포함한다.The first tangent curved groove 14 has an intersection point based on an intersection point P at which the center line CL and the middle line ML in the tread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enter line CL intersect. The curved groove A gradually increasing with a predetermined angle from (P) to the right width end of the tread and the curved groove A around the intersection point P rotated 180 °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Includes a curved B that is symmetric when

상기 곡선형 홈 A는, 그 센터라인(CL)으로부터 트레드 우측 폭 끝단까지를 제1 내지 제4의 4등분선(L1, L2, L3, L4)으로 분할할 때, 상기 교차점(P)으로부터 트레드의 우측 폭 끝단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각도(α1)(α2)(α3)(α4)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urved groove A is a tread from the intersection point P when the center line CL divides from the center line CL to the end of the right width of the tread into the first to fourth quadrants L1, L2, L3, and L4.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to have an angle α1 (α2) (α3) (α4) gradually increasing to the right width end of the.

여기서, 각도(α1)는, 상기 센터라인(CL)과 상기 제1의 등분선 (L1) 사이를 지나가는 곡선형 홈 A의 임의의 지점에 접하는 접선과 상기 센터라인(CL)이 교차하는 사이의 각도이고, 각도(α2)는, 상기 제1의 등분선(L1)과 상기 제2의 등분선(L2) 사이를 지나가는 곡선형 홈 A의 임의의 지점에 접하는 접선과 상기 제1의 등분선(L1)이 교차하는 사이의 각도이고, 각도(α3)는 상기 제2의 등분선(L2)과 상기 제3의 등분선(L3) 사이를 지나가는 곡선형 홈 A의 임의의 지점에 접하는 접선과 상기 제2의 등분선(L2)c이 교차하는 사이의 각도이며, 각도(α4)는 상기 제3의 등분선(L3)과 상기 제4의 등분선(L4) 사이를 지나가는 곡선형 홈 A의 임의의 지점에 접하는 접선과 상기 제3의 등분선(L3)이 교차하는 사이의 각도이다.Here, angle (alpha) 1 is between the tangent which contact | connects the arbitrary point of the curved groove | channel A which passes between the center line CL and the said 1st dividing line L1, and the centerline CL intersect. The angle α2 is a tangent in contact with an arbitrary point of the curved groove A passing between the first equal line L1 and the second equal line L2 and the first equal line ( An angle between the intersections of L1), and the angle α3 is a tangent tangent to an arbitrary point of the curved groove A passing between the second equal line L2 and the third equal line L3. An angle α4 is an angle between intersections of the second equal line L2c, and the angle α4 is an arbitrary portion of the curved groove A passing between the third equal line L3 and the fourth equal line L4. The angle between the tangent tangent to the point of intersection and the third equilateral line L3 intersects.

마찬가지로, 상기 곡선형 홈 B는, 그 센터라인(CL)으로부터 트레드 좌측 폭 끝단까지를 제1 내지 제4의 4등분선으로 분할할 때, 상기 교차점(P)으로부터 트레드의 좌측 폭 끝단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각도(α1, α2, α3, α4)를 갖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Similarly, the curved groove B is progressively divided from the intersection point P to the left width end of the tread when dividing the tread left width end from the center line CL into the first to fourth quadrants. It has a form with increasing angles α1, α2, α3, α4.

이와 같이 형성된 제1 및 제2의 탄젠트 곡선형 홈(14, 15)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동일한 간격(d)을 갖고 동일한 형태로 배열된다. 즉, 제1의 탄젠 트 곡선형 홈(14)을 일례로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라인(CL)을 기준으로 첫번째의 탄젠트 곡선형 홈(14)을 타이어의 원주방향으로 형성하고 나서, 상기 센터라인(CL)을 기준으로 첫번째의 탄젠트 곡선형 홈(14)의 윗쪽으로 동일한 간격(d)을 갖는 두번째의 탄젠트 곡선형 홈(14)을 형성하고, 또 다시 상기 센터라인(CL)을 기준으로 두번째의 탄젠트 곡선형 홈(14)의 윗쪽으로 동일한 간격(d)을 갖는 세번째의 탄젠트 곡선형 홈(14)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연속 반복적으로 배열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의 탄젠트 곡선형 홈(15)도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로 동일한 간격(d)을 갖고 연속 반복적으로 배열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간격(d)은, 5∼15mm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and second tangent curved grooves 14 and 15 thus formed are arranged in the same shape with the same spacing d,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That is, when the first tangent curved groove 14 is described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first tangent curved groove 14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based on the center line CL. Then, a second tangent curved groove 14 having an equal distance d above the first tangent curved groove 14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CL is formed, and again the center line ( Continuously arranged in such a manner as to form a third tangent curved groove 14 having the same distance d above the second tangent curved groove 14 relative to CL). Similarly, the second tangent curved grooves 15 are also arranged continuously and repeatedly with the same distance d in the above-described for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val d preferably has a range of 5 to 15 mm.

이렇게 다수개의 제1 및 제2의 탄젠트 곡선형 홈(14, 15)을 연속 반복적으로 배열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라인(L) 측으로 간격이 좁아지는 형태로 서로 교차되는 패턴을 갖는 트레드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5에서는 상기한 제1 및 제2 탄젠트 곡선형 홈(14, 15)들이 종그루브(11) 및 횡그루브(12)를 통과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홈(14, 15)들의 깊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종그루브(11) 및 횡그루브(12)의 깊이(예컨대, 5∼11mm)보다 작으므로, 실제로는 트레드의 블록(13)의 표면에만 형성되어 있다.When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tangent curved grooves 14 and 15 are repeatedly arranged in this way, as shown in FIG. 5, the patterns intersect each other in a narrowing direction toward the center line L. A tread having can be obtained. In FIG. 5, the first and second tangent curved grooves 14 and 15 are shown to pass through the longitudinal grooves 11 and the horizontal grooves 12, but the depths of the grooves 14 and 15 will be described later. As described above, since it is smaller than the depth of the longitudinal grooves 11 and the lateral grooves 12 (for example, 5 to 11 mm), they are actually form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block 13 of the tread.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등간격을 갖고 서로 교차하는 형태로 배열된 다수개의 제1 및 제2의 탄젠트 곡선형 홈(14, 15)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폭(w) 및 깊이(h)를 갖고, 그 상단폭과 하단폭이 동일하게, 단면형상으로 'ㄷ' 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의 탄젠트 곡선형 홈(14, 15) 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폭(w) 및 깊이(h)를 갖고, 그 하단폭이 상단폭보다 좁게 소정 각도(θ1, θ2)로 경사진 구조, 즉 단면형상으로 역(逆)사다리꼴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는 후자의 경우에 비하여 트레드 금형에 가공하기 어려운 점이 있으나, 동일한 폭을 갖기 때문에 스노우 노면 및 결빙 노면에서 우수한 스노우 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tangent curved grooves 14 and 15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nd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have a predetermined width, as shown in FIG. (w) and depth (h), the upper width and the lower width of the same, the cross-sectional shape is formed in the 'c' shape. Further, the first and second tangent curved grooves 14 and 15 have a predetermined width w and depth h, as shown in Fig. 8 (b), and the lower width thereof is the upper width thereof. More narrowly, the structure may be inclined at predetermined angles θ1 and θ2, that is, in an inverted trapezoidal shape in cross section. The former is more difficult to process in the tread mold than the latter, but because it has the same width it can exhibit excellent snow characteristics on the snow road surface and freezing road surface.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의 탄젠트 곡선형 홈의 폭(w) 및 깊이(h)는, 각각 0.1∼3.0mm 이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도(θ1, θ2)는, 상기 각 탄젠트 곡선형 홈의 각 측벽과 트레드에서 수직으로 내린 직선 사이의 각도로서, 예컨대 3°∼45°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w and depth h of the said 1st and 2nd tangent curved groove | channel have 0.1-3.0 mm or less, respectively. The angles [theta] 1 and [theta] 2 are angles between the respective sidewalls of the tangent curved grooves and the straight lines vertically lowered from the tread, and preferably have a range of 3 ° to 45 °.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타이어에 있어서는, 스노우 노면을 주행할 때 그 트레드에 교차배열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곡선형 홈들에 의해 배수성을 향상시키면서 주행 견인력 및 제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건조 노면을 주행할 때에는 노면과의 소음을 발생시킴이 없이 안정된 핸들링 성능을 확보할 수가 있다.In the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traction and braking property can be improved while improving drainage by a plurality of curved grooves formed so as to cross-arrange on the tread when driving the snow road surface, When driving, stable handling performance can be secured without generating noise with the road surfac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트레드를 형성하는 트레드 금형에 특정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돌기부를 미리 가공하여 타이어 가류시 그 가류된 타이어의 트레드에 상기 다수개의 돌기부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홈들이 형성되도록 표면처리됨으로써, 스노우 노면 및 결빙 노면에서의 제동력 및 가속력을 향상시킴과 함께 건조 노면에서의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tread of the vulcanized tire when the tire is vulcanized by pre-process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having a specific shape in the tread mold forming the tread. By surface treatment as much as possibl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braking force and acceleration force on the snow road surface and the freezing road surface, and to improve the handling performance on the dry road surface.

Claims (10)

타이어의 트레드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그루브(11, 12)에 의해 구획된 블록(13)을 갖는 스노우 타이어에 있어서,In a snow tire having a block 13 partitioned by a plurality of grooves 11 and 12 formed on the tread surface of the tire, 상기 트레드면은, 그 표면에 다수개의 홈(14, 15)이 형성되어 있고,The tread surface has a plurality of grooves 14 and 15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상기 다수개의 홈(14, 15)은, 트레드의 폭 방향의 중심인 센터라인(CL)을 기준으로 트레드의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폭(w) 및 깊이(h)를 갖는 제1의 탄젠트 곡선(tangent curve)형 홈(14)과, 상기 센터라인(CL)을 기준으로 상기 제1의 탄젠트 곡선형 홈(14)과 대칭하고 상기 제1의 탄젠트 곡선형 홈(14)과 동일한 폭(w) 및 깊이(h)를 갖는 제2의 탄젠트 곡선형 홈(15)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The plurality of grooves 14 and 15 may have a first tangent curv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w and depth 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read with respect to the centerline CL, which is the center of the tread width direction. tangent curve groove 14 and a width w symmetrical with the first tangent curve groove 14 relative to the centerline CL and equal to the first tangent curve groove 14. And a second tangent curved groove 15 having a depth h, 상기 제1의 탄젠트 곡선형 홈(14)은, 상기 센터라인(CL)과 상기 센터라인(CL)과 수직하는 트레드 폭 방향의 중간라인(ML)이 교차하는 교차점(P)을 기준으로 그 교차점(P)으로부터 트레드의 우측 폭 끝단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곡선형 홈 A와, 상기 교차점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180°회전함으로써 대칭되는 곡선형 홈 B로 구성되며, The first tangent curved groove 14 has an intersection point based on an intersection point P at which the center line CL and the middle line ML in the tread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enter line CL intersect. A curved groove A that gradually increases from (P) to the right width end of the tread, and a curved groove B that is symmetrical by rotating 180 °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bout the intersection, 상기 제1 및 제2의 탄젠트 곡선형 홈(14, 15)은, 각각 상기 센터라인(CL)을 기준으로 윗쪽 또는 아래쪽으로 동일한 간격(d)을 갖고 연속반복적으로 다수개 배열되어 서로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된 스노우 타이어.The first and second tangent curved grooves 14 and 15 may be arranged in a plurality of consecutively and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at equal intervals d or upwards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CL. Surface-treated snow tire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곡선형 홈 A는, 그 센터라인(CL)으로부터 트레드 우측 폭 끝단까지를 제1 내지 제4의 4등분선으로 분할할 때, 상기 교차점(P)으로부터 트레드의 우측 폭 끝단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각도(α1)(α2)(α3)(α4)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된 스노우 타이어.The curved groove A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intersection point P to the right width end of the tread when dividing the tread right width end from the center line CL into the first to fourth quadrants. A surface-treated snow ti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have angles α1, α2, α3, and α4. (여기서, α1 : 상기 센터라인과 상기 제1의 등분선 사이를 지나가는 곡선형 홈 A의 임의의 지점에 접하는 접선과 상기 센터라인이 교차하는 사이의 각도, (Where α1: an angle between the tangent tangent to an arbitrary point of the curved groove A passing between the centerline and the first equal line and the centerline intersect, α2 : 상기 제1의 등분선과 상기 제2의 등분선 사이를 지나가는 곡선형 홈 A의 임의의 지점에 접하는 접선과 상기 제1의 등분선이 교차하는 사이의 각도, α2: an angle between a tangent tangent to an arbitrary point of the curved groove A passing between the first equal line and the second equal line and the first equal line intersect, α3 : 상기 제2의 등분선과 상기 제3의 등분선 사이를 지나가는 곡선형 홈 A의 임의의 지점에 접하는 접선과 상기 제2의 등분선이 교차하는 사이의 각도, α3: an angle between a tangent tangent to an arbitrary point of the curved groove A passing between the second equal line and the third equal line and the second equal line intersect, α4 : 상기 제3의 등분선과 상기 제4의 등분선 사이를 지나가는 곡선형 홈 A의 임의의 지점에 접하는 접선과 상기 제3의 등분선이 교차하는 사이의 각도)α4: the angle between the tangent tangent to an arbitrary point of the curved groove A passing between the third equal line and the fourth equal line and the third equal line intersec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곡선형 홈 B는, 그 센터라인으로부터 트레드 좌측 폭 끝단까지를 제1 내지 제4의 4등분선으로 분할할 때, 상기 교차점(P)으로부터 트레드의 좌측 폭 끝단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각도(α1)(α2)(α3)(α4)를 갖도록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된 스노우 타이어.The curved groove B is an angle α1 that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intersection point P to the left width end of the tread when dividing the tread left width end from the center line into first to fourth quadrants. and (α2) (α3) (α4). (여기서, α1 : 상기 센터라인과 상기 제1의 등분선 사이를 지나가는 곡선형 홈 A의 임의의 지점에 접하는 접선과 상기 센터라인이 교차하는 사이의 각도, (Where α1: an angle between the tangent tangent to an arbitrary point of the curved groove A passing between the centerline and the first equal line and the centerline intersect, α2 : 상기 제1의 등분선과 상기 제2의 등분선 사이를 지나가는 곡선형 홈 A의 임의의 지점에 접하는 접선과 상기 제1의 등분선이 교차하는 사이의 각도, α2: an angle between a tangent tangent to an arbitrary point of the curved groove A passing between the first equal line and the second equal line and the first equal line intersect, α3 : 상기 제2의 등분선과 상기 제3의 등분선 사이를 지나가는 곡선형 홈 A의 임의의 지점에 접하는 접선과 상기 제2의 등분선이 교차하는 사이의 각도, α3: an angle between a tangent tangent to an arbitrary point of the curved groove A passing between the second equal line and the third equal line and the second equal line intersect, α4 : 상기 제3의 등분선과 상기 제4의 등분선 사이를 지나가는 곡선형 홈 A의 임의의 지점에 접하는 접선과 상기 제3의 등분선이 교차하는 사이의 각도) α4: the angle between the tangent tangent to an arbitrary point of the curved groove A passing between the third equal line and the fourth equal line and the third equal line intersec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간격(d)은 5∼1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된 스노우 타이어.The gap d is surface treated snow tire, characterized in that 5 to 15mm.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및 제2의 탄젠트 곡선형 홈(14, 15)의 폭(w) 및 깊이(h)는, 각각 0.1∼3.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된 스노우 타이어.The width w and the depth h of the first and second tangent curved grooves 14 and 15 are 0.1 to 3.0 mm,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및 제2의 탄젠트 곡선형 홈(14, 15)은, 그 상단폭과 하단폭이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된 스노우 타이어.And the first and second tangent curved grooves (14, 15) are formed such that their upper and lower widths are the sam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및 제2의 탄젠트 곡선형 홈(14, 15)은, 그 하단폭이 상단폭보다 좁게 일정 각도(θ1, θ2)로 경사진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여기서 상기 각도(θ1, θ2)는, 상기 제1 및 제2의 탄젠트 곡선형 홈(14, 15)의 각 측벽과 트레드에서 노면까지 수직으로 내린 직선 사이의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된 스노우 타이어.The first and second tangent curved grooves 14 and 15 are formed in a structure inclined at predetermined angles θ1 and θ2 such that the bottom width thereof is narrower than the top width thereof, wherein the angles θ1 and θ2 Is an angle between each side wall of the first and second tangent curved grooves (14, 15) and a straight line vertically descending from the tread to the road surface.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각도(θ1, θ2)는, 3°∼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된 스노우 타이어.The angle (θ1, θ2) is a surface-treated snow tire, characterized in that 3 ° to 45 °. 제1항,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상기 제1 및 제2의 탄젠트 곡선형 홈(14, 15)은 트레드의 블록(13)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된 스노우 타이어.Surface-treated snow tire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tangent curved grooves (14, 15) are formed in blocks (13) of the tread.
KR1020050084109A 2005-09-09 2005-09-09 Snow tire with surface processing tread KR1008074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109A KR100807428B1 (en) 2005-09-09 2005-09-09 Snow tire with surface processing tre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109A KR100807428B1 (en) 2005-09-09 2005-09-09 Snow tire with surface processing trea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9384A KR20070029384A (en) 2007-03-14
KR100807428B1 true KR100807428B1 (en) 2008-02-25

Family

ID=38101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4109A KR100807428B1 (en) 2005-09-09 2005-09-09 Snow tire with surface processing tre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742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4210A (en) * 1995-06-05 1996-12-10 Bridgestone Corp Pneumatic tire
JPH09188109A (en) * 1996-01-11 1997-07-22 Bridgestone Corp Pneumatic tire for heavy load
JPH10244811A (en) 1997-03-07 1998-09-14 Sumitomo Rubber Ind Ltd Motorcycle ti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4210A (en) * 1995-06-05 1996-12-10 Bridgestone Corp Pneumatic tire
JPH09188109A (en) * 1996-01-11 1997-07-22 Bridgestone Corp Pneumatic tire for heavy load
JPH10244811A (en) 1997-03-07 1998-09-14 Sumitomo Rubber Ind Ltd Motorcycle ti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9384A (en) 2007-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73506B (en) Pneumatic tire
US20040134579A1 (en) Pneumatic tire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EP2583840B1 (en) Pneumatic tire
JP2002316517A (en) Pneumatic tire
US20170190222A1 (en) Pneumatic Tire
EP2342069A1 (en) Undulated progressive tire mold element
EP3020575B1 (en) Pneumatic tire
US20140060717A1 (en) Tire with tread having bridged areas with split contact faces within a lateral groove
CN107921827A (en) Tire
US20040007300A1 (en) Tire tread with inclined holes
US10882361B2 (en) Tire with variable width grooves
CN103596776B (en) Pneumatic tire
JP5698622B2 (en) tire
KR100807428B1 (en) Snow tire with surface processing tread
JP4776809B2 (en) Pneumatic tire
KR101287507B1 (en) Pneumatic snow tire for heavy duty
CN110182004A (en) Carry on tire in winter of multilayer three-dimensional steel sheet structure
JPS6218305A (en) Manufacture or tire
JP5308858B2 (en) Pneumatic tire
CN210174550U (en) SUV all terrain tire
CN110077176B (en) SUV all-terrain tire
JP2007168644A (en) Pneumatic tire
JP2807649B2 (en) Pneumatic tire
KR100808297B1 (en) Snow tire
JP2003136916A (en) Pneumatic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