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6560B1 - Structure of keyboard in electronic keyed instrument - Google Patents
Structure of keyboard in electronic keyed instru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06560B1 KR100806560B1 KR1020070038590A KR20070038590A KR100806560B1 KR 100806560 B1 KR100806560 B1 KR 100806560B1 KR 1020070038590 A KR1020070038590 A KR 1020070038590A KR 20070038590 A KR20070038590 A KR 20070038590A KR 100806560 B1 KR100806560 B1 KR 1008065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eyboard
- hammer
- acting portion
- pressed
- jac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44—Structural association with individual keys
- G10H1/346—Keys with an arrangement for simulating the feeling of a piano key, e.g. using counterweights, springs, cam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2—Keyboards; Key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1 내지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와 그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 1 to 4 are views showing the key structure and operation of an exemplary electronic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와 그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 5 is a view showing a key structure and its operation of another exemplary electronic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6 내지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예시적인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와 그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 6 to 9 are views showing the key structure and operation of another exemplary electronic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0은 해머를 적용한 종래 전자피아노 건반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10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electronic piano keyboard structure to which a hammer is applie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 본 발명의 건반구조 2: 프레임1: Keyboard structure 2: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건반 11: 돌기 10: Keyboard 11: Turning
12, 34, 61: 쿠션부재 20: 위펜부재12, 34, 61: cushion member 20: upper pen member
21: 접점가압부 22: 회동축21: contact pressure unit 22: rotating shaft
23: 탄성부재(위펜스프링) 30: 해머부재23: elastic member (upper spring) 30: hammer member
31: 제1 작용부 32: 중량부31: first working part 32: parts by weight
33: 회동축 40: 잭부재33: rotating shaft 40: jack member
41: 제2 작용부 42: 트리거부41: second acting portion 42: trigger portion
43: 회동축 44; 탄성부재(잭스프링)43: rotational axis 44; Elastic Member (Jack Spring)
45: 경사면 50: 전기접점45: slope 50: electrical contact
60: 릴리즈부재 70: 딜레이부재60: release member 70: delay member
71: 탄성바 71: elastic bar
(기술분야)(Technology)
본 발명은 전자건반악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어쿠스틱 피아노에서 느끼게 되는 애프터 터치감과 거의 동일한 애프터 터치감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머로부터 연주자의 손가락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keyboard musical instrument, in particular, to the keyboard structure of the electronic keyboard musical instrument that can not only feel the after-touch feeling that is almost the same as the after-touch feeling that is felt in the acoustic piano, but also minimize the impact applied to the player's finger from the hammer. It is about.
(배경기술)(Background)
전기전자기술의 발달과 함께 전통적인 어쿠스틱(acoustic) 악기들의 음향을 전자장치를 사용하여 생성시키는 전자악기들이 널리 개발되었으며, 대표적인 건반악기인 피아노에 대해서도 직접적인 현의 소리가 아닌 전자 음향으로 연주를 하는 전자피아노(또는 디지털피아노, 전자오르간 등)가 출현하였다. With the development of electric and electronic technology, electronic instruments that generate the sound of traditional acoustic instruments using electronic devices have been widely developed. Pianos (or digital pianos, electric organs, etc.) have emerged.
전통적인 어쿠스틱 피아노는 건반을 누르는 기계적인 힘에 의해 해머가 현을 타격하도록 하여 소리를 발생시킴으로써 연주를 하는 것이지만, 전자피아노는 각 건반에 대응하는 디지털 전자음을 미리 전자회로에 저장하여 두고 건반을 누르면 해당 전기접점이 연결되어 대응하는 음향이 발생하도록 하는 원리로 연주를 하게 된다. Traditional acoustic pianos are played by generating sound by hammering the strings by the mechanical force of the keys, but the electronic piano stores digital electronic sounds corresponding to each key in electronic circuits in advance. The electrical contact is connected to play the principle that the corresponding sound is generated.
이런 전자피아노는 전자회로를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피아노 사운드뿐만 아니라 다른 악기들(바이올린, 오르간, 트럼펫 등)의 사운드도 연주할 수 있고, 보 급형의 경우 어쿠스틱 피아노에 비하여 가격도 저렴하기 때문에 연주용은 물론 학습용 등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Depending on how the electronic piano is designed, the piano can play not only the piano sound but also the sounds of other instruments (violin, organ, trumpet, etc.), and in the case of the supplementary type, it is cheaper than the acoustic piano. It is widely used for learning.
어쿠스틱 피아노는 건반을 누르면 해머가 현을 치는 것이기 때문에 해머로부터 건반을 통해 연주자의 손에 전달되는 독특한 느낌(일반적으로 '터치감'이라 한다)이 있고, 이런 어쿠스틱 피아노의 터치감은 수백 년 동안 피아노의 발전과 더불어 연주자에게 가장 좋은 터치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현재에 이르렀으며, 어쿠스틱 피아노에 있어서의 이런 터치감은 피아노 연주에 있어서 매우 익숙하고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가 되었다. Since an acoustic piano is a hammer that strikes a string when a key is pressed, there is a unique feeling (generally called a “touch”) that is transmitted from the hammer to the player's hand through the keyboard. Along with the development, it has continually evolved to provide the best touch to the player, and this touch on an acoustic piano has become one of the most familiar and important elements in piano performance.
원리적으로는 건반을 눌러 전기접점을 연결하면 음향이 발생하기 때문에 해머가 필요 없는 전자피아노에서도 어쿠스틱 피아노에 축적되고 익숙해진 터치감과 동일한 터치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In principle,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make the sound feel the same as the touch that is accumulated and accustomed to the acoustic piano even in the electric piano that does not require a hammer because sound is generated when the electric contact is connected by pressing a key.
전자피아노에 터치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가장 대표적인 것의 하나는, 소리를 내기 위해서는 필요하지 않은 해머(중량부)를 어쿠스틱 피아노와 같이 건반에 연계 설치함으로써 건반을 작동시킬 때 해머의 중량감이 건반에 전달되도록 하는 건반 구조이다.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technologies that make the electronic piano feel a touch is that the weight of the hammer is applied to the keyboard when the keyboard is operated by connecting a hammer (weight part) that is not necessary to make a sound to the keyboard like an acoustic piano. It is a keyboard structure to be transmitted.
도10은 해머를 적용한 종래 전자피아노 건반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10의 A는 건반을 누르지 않은 상태의 도면이고, 도10의 B는 건반을 누른 상태의 도면이다. FIG. 10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electronic piano key structure to which a hammer is applied, in which FIG. 10A is a diagram in which a key is not pressed, and FIG. 10B is a diagram in which a key is pressed.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전자피아노 건반구조(100)는, 프레임(110), 건반(120), 해머(130) 및 접점(140)을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ventional electronic
건반(120)의 일단은 프레임(110)의 브래킷(11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건반(120)의 중단에는 접점가압부(121) 및 해머가압부(122)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어서, 건반(120)의 타단을 누르면 접점가압부(121)가 접점(140)을 눌러 사운드가 발생하는 것과 함께 해머가압부(122)가 받침대(13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해머(130)의 작용부(132)를 가압함으로써 건반(120)에 해머(130)의 중량부(133)의 하중이 가해지게 되며, 결국 건반(120)을 누를 때 어쿠스틱 피아노의 해머로부터 받은 터치감과 유사한 터치감을 느끼게 된다. One end of the
그러나 도10과 같은 종래의 건반구조(100)는, 어쿠스틱 피아노의 터치감과 유사한 터치감을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있지만, 어쿠스틱 피아노 건반에 적용되어 있는 애프터 터치감을 느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although the
예를 들어, 어쿠스틱 피아노의 일종인 업라이트 피아노(현이 수직으로 장착된 피아노)의 경우, 해머가 현을 타격할 때 건반이 일정 위치에 도달하면 건반에 가해진 힘이 해머에 전달되는 경로가 단절됨으로써 건반에 가해진 해머의 하중이 제거되도록 되어 있고, 이런 단절에 의해 해머가 현을 타격하는 순간 건반을 통해 손가락에 전달되는 해머의 무게감을 제거됨으로써 연주자로 하여금 해머가 현을 타격하였음을 느끼도록 하고 있지만(이런 느낌으로 음향이 발생하는 시점을 손가락으로 감지하게 되며, 이를 일반적으로 '애프터 터치감'이라 한다), 도10의 종래 건반구조(100)의 경우에는 해머의 무게감이 건반을 치는 동안 처음부터 끝까지 계속 유지되기 때문에 애프터 터치감을 느낄 수 없고, 따라서 감각적이고 정교한 연주를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upright piano (a vertically mounted string), an acoustic piano, when the hammer strikes the string, when the key reaches a certain position, the path by which the force applied to the keyboard is transmitted to the hammer is cut off. The load on the hammer is removed, and this disconnection removes the weight of the hammer transmitted to the finger through the keyboard the moment the hammer strikes the string, making the player feel that the hammer hit the string ( In this sense, the sound is detected when the finger is generated, which is generally referred to as 'after-touch feeling'), and in the case of the
전자피아노 건반에 애프터 터치감을 부여하는 것에 관한 제안으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82959호(2006. 07. 20. 공개)의 '디지털 피아노의 건반구조'가 있다. '959의 건반구조는 해머가압부가 접하는 해머의 작용부에 단차를 둠으로써, 해머가압부가 작용부을 따라 슬라이드 할 때 단차 부분에서 약간 드롭되게 하여 이를 애프터 터치감으로 느끼도록 한 것이다. As a proposal for imparting an after touch feeling to the electronic piano keyboard, there is a 'keyboard structure of a digital piano' of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6-0082959 (published on July 20, 2006). The keyboard structure of the '959 makes a step on the working part of the hammer that the hammer pressing part contacts, so that the hammer pressing part is slightly dropped from the step part when sliding along the working part, so that it feels like an after-touch feeling.
'959의 건반구조의 경우, 단차 부분에서의 드롭으로 어쿠스틱 피아노의 애프터 터치감과 일부 유사한 애프터 터치감을 느낄 수는 있지만, 단차에서의 드롭된 이후에도 해머의 하중이 건반에 계속 가해진 상태가 유지되므로, 익숙해 있는 어쿠스틱 피아노의 애프터 터치감과는 느낌이 다른 낯선 느낌일 수밖에 없다는 한계가 있다. In the '959's keyboard structure, you can feel the aftertouch of the acoustic piano's aftertouch similar to the drop in the step, but you'll get used to it because the hammer's load remains on the keyboard even after it's dropped in the step. There is a limit that the feeling is different from the aftertouch feeling of the acoustic piano.
도10의 종래 건반구조와 이를 개량한 '959의 건반구조의 또 다른 문제점은, 도10의 B에서와 같이, 해머의 중량부가 프레임(또는 그 쿠션)에 부딪칠 때의 충격과 진동이 건반을 거쳐 연주자의 손가락에 직접 전달됨으로써 연주자의 손에 충격을 가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손이 쉽게 피로하게 되는 것은 물론 손가락 관절 등에 만성적인 상해를 가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는 것이다. Another problem with the conventional keyboard structure of FIG. 10 and the improved '959 keyboard structure is that, as in FIG. 10B, the shock and vibration when the weight portion of the hammer strikes the frame (or its cushion) may cause the keyboard to fail. It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player's finger through the impact on the player's hand, thereby making it easy to fatigue the hand, as well as the possibility of chronic injury to the finger joints.
즉, 어쿠스틱 피아노의 경우는 해머가 현을 타격하는 과정에서 건반과 해머 사이의 힘의 전달경로가 단절되기 때문에, 해머가 프레임의 쿠션 등에 부딪혀 돌아오는 충격이 건반을 통해 연주자의 손가락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지만, 도10의 종래 건반구조와 '959의 건반구조는 해머와 건반 사이의 힘의 전달경로가 단절 없이 계속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해머가 프레임에 부딪칠 때 발생하는 충격이 건반을 통해 연주자의 손가락에 그대로 전달된다. 이런 충격의 문제는 중량부가 프레임에 부딪치지 않고 허공에서 멈출 때에도 마찬가지이다. That is, in the case of an acoustic piano, the path of the force transmission between the keyboard and the hammer is cut off while the hammer strikes the string, so that the impact of the hammer hitting the cushion of the frame and the like is transmitted directly to the player's finger through the keyboard. However, the conventional keyboard structure of Fig. 10 and the keyboard structure of '959 have a continuous connection of the force transmission path between the hammer and the keyboard, so that the impact generated when the hammer strikes the frame is applied to the player's finger through the keyboard. Is passed on as is. This problem of impact is the same when the weight stops in the air without hitting the frame.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에 관련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어쿠스틱 피아노의 필수적인 요소인 애프터 터치감과 거의 동일한 애프터 터치감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머로부터 건반을 통해 연주자의 손가락에 전해지는 충격을 어쿠스틱 피아노의 수준까지 최소화할 수 있는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related to the key structure of the electronic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s described above, and not only can feel the same after-touch feeling as the after-touch feeling which is an essential element of the acoustic piano, but also from the hamm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eyboard structure of an electronic keyboard musical instrument which can minimize the impact transmitted to the player's finger through the keyboard to the level of an acoustic piano.
본 발명에 따라,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keyboard structure of an electronic keyboard musical instrument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는, 건반, 위펜부재, 해머부재, 잭부재, 전기접점, 및 릴리즈부재를 포함한다. The keyboard structure of the electronic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board, a upper pen member, a hammer member, a jack member, an electrical contact, and a release member.
상기 건반은,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keyboard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frame.
상기 위펜(Wippen)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건반을 누르면 상기 건반에 의해 가압되어 회동하고, 상기 건반을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건반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위치로 탄성적으로 회동한다. The upper pen member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rame, and when the key is pressed, the upper pen member is urged to rotate by pressing the key, and when the force for pressing the key is removed, the key pen is elastically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Rotate.
상기 해머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동축을 중심으로 일측에 제1 작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 중량부가 형성되어 있다. The hammer member is rotatably mounted to the frame, and has a first act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and a weight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shaft.
상기 잭부재는, 상기 위펜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건반을 누르면 상기 해머부재의 상기 제1 작용부를 가압하여 상기 중량부를 상향 회동시키고 상기 제1 작용부에 대한 가압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제1 작용부를 가압할 수 있는 원위치로 탄성적으로 복귀되는 제2 작용부가 구비되어 있다.The jack member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pen member, and when the key is pressed, the jack member presses the first acting portion of the hammer member to pivot the weight portion upward and releases the pressurization state against the first acting portion. The 1st action part is provided with the 2nd action part elastically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which can pressurize.
상기 전기접점은, 일정 위치까지 상기 건반이 눌려지면 연결된다. The electrical contact is connected when the keyboard is press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상기 릴리즈부재는, 일정 위치까지 상기 건반이 눌려지면 상기 제1 작용부에 대한 상기 제2 작용부의 가압 상태를 해제한다. The release member releases the pressurized state of the second acting portion against the first acting portion when the keyboard is press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바람직하게, 상기 전기접점은 상기 위펜부재의 회동 경로에 설치되어 상기 위펜부재에 형성된 접점가압부에 의해 가압되어 연결된다. Preferably, the electrical contact is installed in the rotation path of the upper pen member is pressed by the contact pressure unit formed on the upper pen member is connected.
바람직하게, 상기 잭부재는 상기 제2 작용부에 일정 각도로 형성된 트리거부를 구비하고, 상기 일정 위치까지 상기 건반이 눌려져 상기 릴리즈부재가 상기 트리거부를 가압하면 상기 잭부재가 회동하여 상기 제1 작용부에 대한 상기 제2 작용부의 가압 상태가 해제된다. Preferably, the jack member includes a trigger portion formed at an angle to the second action portion, and when the key is pressed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so that the release member presses the trigger portion, the jack member rotates to the first portion. The pressurization state of the second acting portion against the acting portion is released.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건반구조는, 상기 해머부재의 상기 제1 작용부의 상측 원위치 회동이 상기 잭부재의 상기 제2 작용부의 원위치 회동보다 빠르지 않도록 상기 제1 작용부의 상측 회동을 일시적으로 지연시키는 딜레이부재를 더 포함한다. Preferably, the keyboar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lay for temporarily delaying the upper rotation of the first acting portion so that the upper home position rotation of the first acting portion of the hammer member is not faster than the in situ rotation of the second acting portion of the jack member. The member further includes.
바람직하게, 상기 딜레이부재는, 일단이 상기 해머부재의 상기 제1 작용부의 상면에 접하고 타단이 상기 위펜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작용부에 저항 탄성력을 가하여 상측 회동을 일시적으로 지연시키는 탄성바이다. Preferably, the delay member is an elastic bar whose one end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cting portion of the hammer member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upper pen member to apply a resistive elastic force to the first acting portion to temporarily delay the upper rota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를 예시적 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keyboard structure of the electronic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specific examples are only illustrative of the keyboard structure of the electronic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1)는, 기본적으로 건반(10), 위펜부재(20), 해머부재(30), 잭부재(40), 전기접점(50) 및 릴리즈부재(6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들 부재들은 전자피아노와 같은 전자건반악기의 건반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2)에 적절하게 배치 및 장착된다. 1 to 9, the
본 발명에 있어서 전자건반악기라 함은 이하에서 주로 설명하는 전자피아노뿐만 아니라 전자오르간 등 건반을 사용하는 각종 전자악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keyboard musical instrument is used to mean various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that use a keyboard such as an electronic organ as well as an electronic piano described mainly below.
이하,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의 일 예를 설명한다. 1 to 4, an example of the keyboard structure of the electronic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건반(10)은 널리 전자건반악기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건반으로서, 첨부도면에 있어서는 도면의 단순화를 위해 하나의 건반만을 도시하였다. The
통상적인 건반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서의 건반(10)도 그 일단이 프레임(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건반(10)의 아래에 위치하는 프레임(2)에는 프레임(2)과 건반(10)의 충돌을 완충하기 위한 쿠션부재(12)를 장착할 수 있다. 건반(10)의 회동 구조 등은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진 일반적인 기술에 해당함으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As with the usual keyboard, one end of the
각 건반(10)의 하측에는 위펜부재(20)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부재번호 20의 명칭을 '위펜부재'라 한 것은, 어쿠스틱 피아노에 있어서 건반의 작 용을 해머에 전달하는 부재를 '위펜'이라 하므로 이를 채용한 것이다. The
위펜부재(20)의 일단은 프레임(2)에 회동축(2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건반(10)을 누르면 건반(10)의 하향 회동에 의해 가압되어 아래로 회동한다. 도시된 구체예에서 건반(10)의 하면에 돌기(11)가 형성되어 있어서 건반(10)을 누르면 돌기(11)가 위펜부재(20)의 상면을 가압하여 건반(10)의 하향 회동과 연동하여 위펜부재(20)도 하향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One end of the
위펜부재(20)에는 탄성부재(23: 예, 위펜스프링)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23)는 건반(10)을 누르지 않은 원위치의 상태로 위펜부재(20)를 회동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며, 따라서 건반(10)에 가해진 힘(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위펜부재(20)가 상향 회동하면서 건반(10)을 위로 밀어 올려 건반(10)이 원위치로 복귀된다. The
위펜부재(20)의 하측에는 해머부재(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해머부재(30)는 프레임(2)에 설치된 회동축(33)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동축(33)을 중심으로 위펜부재(20)의 아래쪽으로 뻗은 일측(도면에서 회동축 33의 우측)에는 후술하는 잭부재(40)와 상호 작용하는 제1 작용부(31)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도면에서 회동축 33의 좌측)에는 건반(10)에 터치감을 제공하기 위한 중량부(32)가 구비되어 있다. 중량부(32) 주변의 프레임(2)에는 중량부(32)와 프레임(2)의 충돌을 완충하기 위한 쿠션부재(34)를 설치할 수 있다. The
상기 잭부재(40)는 위펜부재(20)의 일 지점에 설치된 회동축(43)을 중심으로 위펜부재(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위펜부재(20)의 작동을 해머부재(30)에 전달하는 작용을 한다. 잭부재(40)의 일측(도면에서 회동축 43의 아래쪽)에는 해머부재(30)의 제1 작용부(31)를 가압하는(서로 접하여 힘을 전달하는) 제2 작용부(41)가 구비되어 있고, 바람직하게 잭부재(40)의 타측(도면에서 회동축 43의 우측)에는 후술하는 릴리즈부재(60)와 상호작용하는 트리거부(42)가 구비되어 있다. The
잭부재(40)에는 제2 작용부(41)가 제1 작용부(31)를 가압할 수 있는 원위치로 탄성적으로 복귀 회동하도록 잭부재(4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4: 예, 잭스프링)가 설치되어 있다. The
위와 같은 건반(10), 위펜부재(20), 해머부재(30) 및 잭부재(40)의 구조에 따라, 건반(10)이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제2 작용부(41)는 제1 작용부(31)를 가압할 수 있는 원위치에 위치하고, 이런 상태에서 건반(10)을 누르게 되면, 건반(10)의 하향 회동, 위펜부재(20)의 하향 회동, 및 해머부재(30)의 중량부(32)의 상향 회동으로, 연주자는 해머주재(30)의 중량부(32)의 하중에 의해 터치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상기 전기접점(50)은 건반(10)을 누르면 가압되어 전기적 접점이 연결됨으로써 해당 건반(10)에 대응하는 음향이 발생되도록 하는 통상적인 전자건반악기 전자회로의 일부이다. The
전기접점(50)은 건반(10)이나 위펜부재(20) 등의 회동 경로에 설치되어 정해진 일정 위치까지 건반(10)이 눌려지면 가압되어 연결된다. 도시된 구체예는 위펜부재(20)의 타단에 아래로 돌출 형성된 접점가압부(21)의 아래에 전기접점(50)을 설치한 예를 도시한 것이며, 이로써 건반(10)의 가압으로 위펜부재(20)가 정해진 일정 위치 이상 아래로 회동하면 접점가압부(21)가 전지접점(50)을 가압하여 대응하는 음향이 발생하게 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기접점(50)을 위펜부재(20)가 아닌 건반(10)이나 해머부재(30)와 같은 다른 부재의 회동경로에 설치하여도 동일한 작동을 하게 됨은 당연하다. The
상기 릴리즈부재(60)는 정해진 일정 위치까지 건반(10)이 눌려지면 해머부재(30)의 제1 작용부(31)에 대한 잭부재(40)의 제2 작용부(41)의 가압 상태를 해제시키는 부재이다. 릴리즈부재(60)로서는 정해진 일정 위치까지 건반(10)이 눌려지면 해머부재(30)의 제1 작용부(31)에 대한 잭부재(40)의 제2 작용부(41)의 가압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The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회동축(43)을 중심으로 제2 작용부(41)와 일정 각도로 길게 형성된 트리거부(42)를 구비시켜 잭부재(40)를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트리거부(42)의 아래에 기둥 형상의 릴리즈부재(60)를 설치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릴리즈부재(60)의 상단에 부착된 것은 쿠션부재(61)이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이와 같은 잭부재(40)와 릴리즈부재(60)의 구성에 따라, 정해진 일정 위치 이상으로 건반(10)이 눌려지면 릴리즈부재(60)가 트리거부(42)를 가압하여 잭부재(40)를 회동시키게 되어, 제1 작용부(31)에 대한 제2 작용부(41)의 가압 상태가 해제된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이하,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본 구체예의 건반구조의 작용을 설명한다. 1 to 4, the operation of the keyboard structure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1의 건반이 눌려지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건반(10)은 탄성부재(23: 위펜스프링)와 위펜부재(20)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되어 원위치로 복귀하여 있게 되고, 잭부재(40)의 탄성부재(44: 잭스프링)의 작용으로 잭부재(40)의 제2 작용부(41)는 해머부재(30)의 제1 작용부(31)를 가압할 수 있는 상태로 있게 되며, 해머부재(30)의 중량부(32)는 아래쪽에 회동하여 있게 된다. In the initial state in which the keyboard of FIG. 1 is not pressed, the
도2와 같이 건반(10)을 누르기 시작하면(예를 들어, 건반의 끝단의 상하 이동 폭이 10mm일 때, 예를 들어 7.6mm 정도 눌리게 되면), 건반(10)이 위펜부재(20)를 가압하고, 해머부재(30)는 잭부재(40)의 제2 작용부(41)에 의해 가압되어 중량부(32)가 상측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연주자는 어쿠스틱 피아노에서와 같이 중량부(32)에 의한 터치감을 느끼게 된다. 이런 과정에서 위펜부재(20)의 접점가압부(21)가 전기접점(50)을 가압하여 대응하는 음향이 발생하고, 잭부재(40)의 트리거부(42)는 아래에 있는 릴리즈부재(60)의 바로 위에 놓이게 되지만 아직 릴리즈부재(60)에 의해 트리거부(42)가 가압되지는 아니한다. When the key 10 starts to be pressed as shown in FIG. 2 (for example, when the vertical movement width of the end of the key is 10 mm, for example, about 7.6 mm is pressed), the key 10 is the
도3과 같이 건반(10)을 더욱 눌러 최하의 위치(예, 10mm)까지 눌러지면, 잭부재(40)의 트리거부(42)가 릴리즈부재(60)에 의해 가압되어 잭부재(40)가 회동하게 되고, 이로써 해머부재(30)의 제1 작용부(31)가 잭부재(40)의 제2 작용부(41)의 가압상태로부터 풀리게 되며, 이 순간 건반(10)에 전달되었던 해머부재(30)의 중량부(32)의 하중이 사라지게 되므로, 연주자는 제1 작용부(31)와 제2 작용부(41)의 가압상태 해제 및 하중 소멸의 순간을 애프터 터치감으로 느낄 수 있게 된다. When the key 10 is pressed further to the lowest position (eg, 10 mm) as shown in FIG. 3, the
이와 같이 애프터 터치감이 느껴지는 순간 해머부재(30)는 관성에 의해 프레임(2)의 상측 쿠션부재(34)에 이를 때까지 회동한 후에,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중에 의해 아래로 회동하게 되며, 이때 해머부재(30)의 제1 작용부(31)는 잭부 재(40)의 제2 작용부(41)의 가압으로부터 풀린 상태에서 제1 작용부(31)가 잭부재(40)의 경사면(45)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상태가 되며, 따라서 중량부(32)가 쿠션부재(34)에 부딪친 충격이 건반(10)을 통해 연주자에게 모두 전달되지 아니하므로, 연주자가 받는 해머부재(30)의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As soon as the after-touch feeling is sensed, the
이후, 연주자가 건반(10)을 누르지 않게 되면, 위펜부재(20)의 탄성부재(23: 위펜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위펜부재(20)와 건반(10)은 상측으로 회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고, 탄성부재(44: 잭스프링)의 작용으로 잭부재(40)도 회동되어 잭부재(40)의 제2 작용부(41)가 해머부재(30)의 제1 작용부(31)를 다시 가압할 수 있는 원위치로 복귀하며, 해머부재(30)도 중량부(32)의 자중에 의해 회동하여 중량부(32)가 최하측에 위치하고 제1 작용부(31)가 최상측에 위치하는 원위치로 복귀하여, 결국 도1의 상태가 된다. Then, when the player does not press the
도1 내지 도4에는, 잭부재(40)의 제2 작용부(41) 일측에 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턱에 해머부재(30)의 제1 작용부(31)가 걸려 가압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건반구조의 다른 구체예인 도5의 A 내지 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 작용부(41)의 말단이 제1 작용부(31)의 말단에 올려진 상태에서 아래로 가압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다른 구조가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1 to 4, a jaw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econd acting
도5의 구체예에 있어서도, 세로 방향의 제2 작용부(41)가 가로 방향의 제1 작용부(31)를 아래로 가압하여 해머부재(30)의 중량부(32)가 상측으로 회동하고, 이후 잭부재(40)의 트리거부(42)가 릴리즈부재(60)에 의해 가압되어 잭부재(40)가 회동하면 제2 작용부(41)의 가압으로부터 제1 작용부(31)가 풀리게 됨으로써 건 반(10)에 전달되었던 중량부(32)의 하중이 사라져 애프터 터치감을 느끼게 되는 등, 그 작용은 앞서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 작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Also in the embodiment of Fig. 5, the second acting
도5의 제1 작용부(31)는 적절한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가죽이나 고무 등을 피복할 수 있다. The
한편, 연주자가 건반(10)을 누르지 않게 되어, 건반(10), 위펜부재(20), 해머부재(30) 및 잭부재(40)가 도4 및 도5 C의 상태로부터 도1 및 도5의 A의 상태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해머부재(30)의 제1 작용부(31)의 상측 원위치 회동이 잭부재(40)의 제2 작용부(41)의 원위치 회동보다 빠르게 되면, 제2 작용부(41)가 제1 작용부(31)를 가압할 수 있는 도1 및 도5 A의 원위치 상태로 복귀하는 것이 다소 지연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layer does not press the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6 내지 도9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건반구조(1)에는, 연주자가 건반(10)을 누르지 않게 되어, 건반(10), 위펜부재(20), 해머부재(30) 및 잭부재(40)가 원위치로 복귀할 때, 해머부재(30)의 제1 작용부(31)의 상측 회동이 잭부재(40)의 제2 작용부(41)의 원위치 회동보다 빠르지 않도록 제1 작용부(31)의 상측 회동을 지연시키는 딜레이부재(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is, as illustrated in FIGS. 6 to 9, in another
도시된 구체예의 딜레이부재(70)는, 제1 작용부(31)의 상측 회동에 적당한 저항력을 가할 수 있도록 그 일단(72)이 해머부재(30)의 제1 작용부(31)의 상면에 접하고 타단(73)이 예를 들어 위펜부재(20)에 고정된 탄성바(71)의 형태로 되어 있다. 탄성바(71)는 제1 작용부(31)의 상측 회동에 저항 탄성력을 가하여 제1 작용 부(31)의 상측 회동을 지연시킨다.
딜레이부재(70)의 저항 탄성력은 중량부(32)의 자중에 의한 제1 작용부(31)의 상승력 보다는 크지 않게 설정되므로, 해머부재(30)의 원위치 회동은 일시적으로만 지연될 뿐 결국에는 딜레이부재(70)의 저항 탄성력을 극복하고 원위치로 복귀된다. Since the resistance elastic force of the
딜레이부재(70)를 탄성바(71)로 형성함에 있어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바(71)를 일정한 굴곡을 가지게 형성한 것은 딜레이부재(70)에 적절한 저항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탄성바(71)의 일단(72)을 위로 접어 올린 것은 탄성바(71)의 일단(72)이 제1 작용부(31)에 의도하지 않게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In forming the
아울러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작용부(41)의 회동 경로 내에 위치하는 탄성바(71)의 일단(72)을 포크형상처럼 갈라지게 형성함으로써, 탄성바(71)의 일단(72)이 잭부재(40)의 회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7, one
이하, 도6 내지 도9를 참조하여 본 구체예의 건반구조에 있어서 딜레이부재의 작용을 설명한다. 6 to 9, the operation of the delay member in the keyboard structure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반(10)이 눌려지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딜레이부재(70)의 일단(72)은 최상측으로 회동되어 있는 제1 작용부(31)를 위로부터 아래로 가압하고 있는 상태가 되지만, 중량부(32)의 자중에 의한 제1 작용부(31)의 상승력 보다 딜레이부재(70)의 저항탄성력이 크지 않으므로, 해머부재(30)는 중량부(32)가 최하측에 위치하는 원위치 상태를 유지한다. As shown in Fig. 6, in the initial state in which the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반(10)을 누르기 시작하여 중량부(32)에 의한 터치감과 애프터터치감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딜레이부재(70)의 일단(72)은 그 탄성에 의해 제1 작용부(31)에 접한 상태로 제1 작용부(31)의 하향 회동을 따라 함께 아래로 내려간다. As shown in FIGS. 7 and 8, in the process of starting to press the
그리고,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부(32)가 최상측까지 회동한 이후 하향 회동하기 시작하는 시점(즉, 제1 작용부 31이 최하측까지 회동한 이후 상향 회동하기 시작하는 시점)에 딜레이부재(70)의 탄성력이 제1 작용부(31)의 상향회동을 일시적으로 저항하여 잭부재(40)의 원위치 회동이 제1 작용부(31)에 의해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And, as shown in Figure 9, when the
이와 같은 딜레이부재(70)에 의하면, 중량부(32)의 자중에 의해 제1 작용부(31)가 상측으로 회동할 때 딜레이부재(70)의 저항 탄성력이 제1 작용부(31)의 상측 회동을 일시적으로 지연시키게 되고, 제1 작용부(31)의 상측 회동이 일시적으로 지연되는 동안 잭부재(40)가 원위치로 회동하게 되므로, 제2 작용부(41)가 제1 작용부(31)를 가압할 수 있는 위치로 복귀하는 것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According to such a
도6 내지 도9에서는 위펜부재(20)를 원위치로 회동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3)로서, 도1과 도5와 같은 코일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탄성을 가진 바부재를 적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며, 본 구체예의 탄성부재(23)도 위펜부재(20)를 상측으로 회동시키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은 도1의 구체예와 동일하다. 6 to 9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에 의하면, 건 반(10)과 해머부재(30) 사이에 위펜부재(20)와 잭부재(40)를 매개시킨 간단한 구조의 채용만으로,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에서의 취약성이었던, 어쿠스틱 피아노의 필수적인 요소인 애프터 터치감과 거의 유사한 애프터 터치감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머로부터 건반을 통해 연주자의 손가락에 전해지는 충격을 어쿠스틱 피아노의 수준까지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key structure of the electronic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only by employing a simple structure that mediates the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07/001954 WO2008088106A1 (en) | 2007-01-15 | 2007-04-21 | Structure of keyboard in electronic keyed instru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04193 | 2007-01-15 | ||
KR20070004193 | 2007-01-15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06560B1 true KR100806560B1 (en) | 2008-02-27 |
Family
ID=39383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38590A KR100806560B1 (en) | 2007-01-15 | 2007-04-20 | Structure of keyboard in electronic keyed instrument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806560B1 (en) |
WO (1) | WO2008088106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169680B2 (en) * | 2008-09-25 | 2013-03-27 | ヤマハ株式会社 | Keyboard device |
JP5928198B2 (en) * | 2012-07-02 | 2016-06-01 | ヤマハ株式会社 |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keyboard device |
JP6315211B2 (en) * | 2014-03-20 | 2018-04-25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Keyboard instrument |
JP6745042B2 (en) * | 2017-01-10 | 2020-08-26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Keyboard device and keyboard instrument |
JP6930258B2 (en) * | 2017-07-12 | 2021-09-01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Keyboard device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10020639A (en) * | 1990-05-22 | 1991-12-20 | 이헌조 | Keyboard device of electronic piano |
KR930003350U (en) * | 1991-07-03 | 1993-02-26 | 주식회사 금성사 | Keyboard device for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s |
KR930026333U (en) * | 1992-05-18 | 1993-12-28 | 주식회사 세진 이. 엔. 지 |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 |
JPH06230770A (en) * | 1993-01-29 | 1994-08-1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Keyboard device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
JPH0749691A (en) * | 1993-08-09 | 1995-02-21 | Yamaha Corp | Keyboard device of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
JPH07168569A (en) * | 1993-12-13 | 1995-07-04 | Roland Corp | Keyboard device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
KR960015423U (en) * | 1994-10-05 | 1996-05-17 | Keyboard device of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 |
JPH1049166A (en) | 1996-08-07 | 1998-02-20 | Roland Corp | Keyboard device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
KR20060082959A (en) * | 2005-01-14 | 2006-07-20 | 윤호식 | Keyboard structure of digital piano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28588Y2 (en) * | 1991-04-24 | 1997-03-12 |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keyboard device |
-
2007
- 2007-04-20 KR KR1020070038590A patent/KR100806560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07-04-21 WO PCT/KR2007/001954 patent/WO2008088106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10020639A (en) * | 1990-05-22 | 1991-12-20 | 이헌조 | Keyboard device of electronic piano |
KR930003350U (en) * | 1991-07-03 | 1993-02-26 | 주식회사 금성사 | Keyboard device for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s |
KR930026333U (en) * | 1992-05-18 | 1993-12-28 | 주식회사 세진 이. 엔. 지 |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 |
JPH06230770A (en) * | 1993-01-29 | 1994-08-1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Keyboard device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
JPH0749691A (en) * | 1993-08-09 | 1995-02-21 | Yamaha Corp | Keyboard device of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
JPH07168569A (en) * | 1993-12-13 | 1995-07-04 | Roland Corp | Keyboard device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
KR960015423U (en) * | 1994-10-05 | 1996-05-17 | Keyboard device of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 |
JPH1049166A (en) | 1996-08-07 | 1998-02-20 | Roland Corp | Keyboard device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
KR20060082959A (en) * | 2005-01-14 | 2006-07-20 | 윤호식 | Keyboard structure of digital piano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8088106A1 (en) | 2008-07-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943843B2 (en) | Reactive force control apparatus for pedal of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 | |
US7807907B2 (en) |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nd action unit incorporated therein | |
TW297120B (en) | ||
KR100806560B1 (en) | Structure of keyboard in electronic keyed instrument | |
JP5412859B2 (en) | Upright action and keyboard instrument | |
US5249497A (en) | Keyborad apparatus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 |
JP3900706B2 (en) | Keyboard device | |
JP3852355B2 (en) | Upright keyboard instrument | |
US8664497B2 (en) | Double keyboard piano system | |
US5986202A (en) |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 | |
JP4489140B1 (en) | Action method of upright piano action and upright piano action | |
US5844154A (en) | Combination acoustic and electronic piano in which the acoustic action is disabled when played in the electronic mode | |
JP4384878B2 (en) |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 | |
JP4029513B2 (en) | Pedal device | |
KR20080004880U (en) | Structure of Keyboard in Electronic Keyed Instrument | |
KR100965620B1 (en) | Structure of Keyboard in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s | |
JP3288157B2 (en) |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keyboard device | |
JPH0719138B2 (en) |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keyboard device | |
JP4572092B2 (en) | Tone changing device and piano provided with tone changing device | |
JP3438741B2 (en) | Keyboard instrument | |
JPH067316B2 (en) | Piano action mechanism | |
JP5499743B2 (en) | Upright piano action | |
JP3910516B2 (en) | Keyboard device | |
JP2005338612A (en) | String hitting device of piano | |
WO2013108382A1 (en) | Damper device for upright pian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21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01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