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5204B1 - 네트워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5204B1
KR100805204B1 KR1020070076918A KR20070076918A KR100805204B1 KR 100805204 B1 KR100805204 B1 KR 100805204B1 KR 1020070076918 A KR1020070076918 A KR 1020070076918A KR 20070076918 A KR20070076918 A KR 20070076918A KR 100805204 B1 KR100805204 B1 KR 100805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ommand data
information
unique number
sc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6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경주
Original Assignee
(주)리눅스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눅스아이티 filed Critical (주)리눅스아이티
Priority to KR1020070076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52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5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5204B1/ko
Priority to US12/665,135 priority patent/US8335435B2/en
Priority to PCT/KR2008/004260 priority patent/WO2009017317A1/en
Priority to JP2010519144A priority patent/JP2010535448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9/00Remote-control of tuned circuits; Combined remote-control of tuning and other functions, e.g. brightness, amplification
    • H03J9/06Remote-control of tuned circuits; Combined remote-control of tuning and other functions, e.g. brightness, amplification us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gh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네트워크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적외선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장치들을 제어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시스템은 모듈들 및 홈서버를 구비한다. 모듈들은 명령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신호를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명령데이터의 경로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명령데이터를 다음 번 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장치들로부터 발생하는 적외선제어신호를 수신한다. 홈서버는 상기 모듈들 각각의 고유번호와, 상기 각각의 모듈로 상기 명령데이터가 도달되도록 하는 상기 데이터경로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명령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상기 적외선제어신호를 수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홈서버로부터 적외선 신호가 한번에 도달할 수 없는 먼 거리에 있거나 장애물이 있어도 적외선 신호를 이용하여 장치들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 모듈간에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인증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다른 적외선 신호나 명령데이터에 의해서 모듈들이 오동작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시스템{Network system}
본 발명은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적외선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장치들을 제어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텔레비전이나 빔프로젝트, 에어컨, 공기청정기 등은 적외선 리모콘에 의해서 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이들 장치들은 각각의 리모콘을 별도로 구비하므로 가정에서 사용되는 상기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리모콘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리모콘들은 자주 분실되기도 하며 매번 건전지를 갈아 끼워야 하는 등 불편함이 많다.
따라서, 최근에는 유비쿼터스 환경의 하나로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발전하고 있지만 홈네트워크 시스템이 상용화되기 이전의 제품들은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제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적외선신호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홈네트워크 시스템이 상용화되기 이전의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적외선 신호의 직진성으로 인한 문제 또는 중간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적외선신호 제어장치와 이전의 장치 사이의 거리가 적외선 신호가 도달하기 어려울 만큼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적외선 신 호에 의해 제어되는 장치들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먼거리에 있거나 장애물이 있어도 적외선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장치들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적외선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장치들을 제어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시스템은 모듈들 및 홈서버를 구비한다. 모듈들은 명령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신호를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명령데이터의 경로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명령데이터를 다음 번 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장치들로부터 발생하는 적외선제어신호를 수신한다.
홈서버는 상기 모듈들 각각의 고유번호와, 상기 각각의 모듈로 상기 명령데이터가 도달되도록 하는 상기 데이터경로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명령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상기 적외선제어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모듈은 상기 명령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전송하는 RF 송수신부, 상기 장치들로 상기 적외선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장치들로부터 상기 적외선제어신호를 수신하는 IR 송수신부, 외부로 출력되는 상기 명령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는 범위 내에 존재하는 다른 모듈들의 고유번호를 의미하는 스코프정보와 상기 명령데이터 가 상기 홈서버로부터 출력되어 수신될 때까지 거치게되는 모듈들의 고유번호를 의미하는 경로설정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현재 시간을 저장하고 시간정보를 출력하는 클럭부 및 상기 스코프정보와 상기 경로설정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RF 송수신부 및 상기 IR 송수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클럭부의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모듈은 상기 스코프정보를 설정하기 위하여 스코프설정 명령데이터를 출력하며, 상기 스코프설정 명령데이터는 "경유모듈번호, 제어코드, 자신의 모듈고유번호"의 구조를 가진다.
상기 경유모듈번호는 상기 명령데이터가 도달할 수 있는 주변의 모든 모듈들로 상기 명령데이터를 전송하는 의미의 브로드캐스팅(B)이고, 상기 제어코드는 상기 스코프 정보를 수집한다는 의미의 스코프설정코드(GMUN)이다.
상기 모듈 및 홈서버는 상기 스코프설정 명령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스코프설정 명령데이터를 송신한 모듈로 스코프응답 명령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스코프응답 명령데이터는 "타겟모듈번호, 제어코드, 자신의 모듈고유번호"의 구조를 가진다.
상기 타겟모듈번호는 상기 스코프설정 명령데이터를 발생한 모듈의 모듈고유번호이고, 상기 제어코드는 상기 자신의 모듈고유번호를 상기 스코프설정 명령데이터를 발생한 모듈에 저장하도록 하는 의미의 스코프응답코드(MYMUN)이다.
상기 모듈은 리셋 된 직후 상기 스코프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스코프설정 명령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모듈은 상기 스코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경로설정정보를 설정하기 위하여 경로설정 명령데이터를 출력하며, 상기 경로설정 명령데이터는 "경유모듈번호, 제어코드, 타겟모듈고유번호, 경로정보"의 구조를 가진다.
상기 스코프정보에 상기 홈서버의 고유번호가 존재할 경우 상기 경유모듈번호는 상기 홈서버의 고유번호이고, 상기 타겟모듈고유번호는 상기 경로설정명령데이터가 도달할 모듈의 고유번호로서 상기 홈서버의 고유번호이고, 상기 경로정보는 상기 경로설정 명령데이터를 출력하는 모듈의 고유번호이고, 상기 제어코드는 상기 경로정보에 대응되는 고유번호를 상기 홈서버에 저장하라는 경로설정코드(SAVE PATH)이다.
상기 모듈은 상기 스코프정보에 상기 홈서버의 고유번호가 존재할 경우, 상기 경로설정 명령데이터를 발생함과 동시에 자신의 모듈 고유번호와 상기 홈서버의 고유번호를 경로설정정보로서 저장한다.
상기 모듈 또는 홈서버는 소정의 경로탐색 명령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경로설정 명령데이터를 출력하며, 상기 경로설정 명령데이터는 "경유모듈번호, 제어코드, 타겟모듈고유번호, 경로정보"의 구조를 가진다.
상기 경유모듈번호는 상기 경로탐색 명령데이터를 출력한 모듈의 고유번호이고, 상기 타겟모듈고유번호는 상기 경로설정명령데이터가 도달할 모듈의 고유번호로서 상기 경로탐색 명령데이터의 경로정보에 의하여 결정되고, 상기 경로정보는 상기 경로탐색 명령데이터의 경로정보와 동일하고, 상기 제어코드는 상기 경로정보에 대응되는 고유번호를 상기 타겟모듈고유번호에 대응되는 모듈에 저장하라는 경 로설정코드(SAVE PATH)이다.
상기 경로탐색 명령데이터는 상기 모듈이 상기 스코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경로설정정보를 설정하기 위하여 출력하는 명령데이터로서, "경유모듈번호, 제어코드, 자신의 모듈고유번호, 경로정보"의 구조를 가진다.
상기 경유모듈번호는 상기 스코프 정보에 상기 홈서버의 고유번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명령데이터가 도달할 수 있는 주변의 모든 모듈들로 상기 명령데이터를 전송하는 의미의 브로드캐스팅(B)이고, 상기 스코프 정보에 상기 홈서버의 고유번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홈서버의 모듈번호이고, 상기 제어코드는 상기 경로탐색 명령데이터를 출력하는 모듈로부터 상기 홈서버까지 도달하는 경로를 찾으라는 코드(FIND PATH:FP)이다.
상기 경로정보는 상기 경로탐색 명령데이터를 출력하는 모듈의 고유번호와, 상기 경로탐색 명령데이터를 수신한 중간모듈이 새로운 경로탐색 명령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수신한 경로탐색 명령데이터의 경로정보에 대응되는 고유번호를 포함한다.
각각의 모듈이 서로 동기화 된 시간정보를 가지도록 각각의 모듈의 클럭부는 서로 동기화 된다. 상기 제어부는 암호화 모듈과 복호화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암호화모듈은 암호화 시점의 상기 시간정보를 키 값으로 포함하는 암호데이터를 대응되는 모듈로 전송한다. 상기 대응되는 모듈의 제어부의 복호화모듈은 상기 시간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암호데이터를 복호화 함으로써 인증이 수행된다. 이때, 상기 암호데이터는 상기 암호데이터를 수신하는 모듈의 고유번호를 포함한다.
상기 적외선제어신호는 상기 모듈에 의해 제어된 장치가 자신의 동작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인 경우, 상기 동작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신호를 의미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홈서버로부터 적외선 신호가 한번에 도달할 수 없는 먼 거리에 있거나 장애물이 있어도 적외선 신호를 이용하여 장치들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 모듈간에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인증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다른 적외선 신호나 명령데이터에 의해서 모듈들이 오동작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100)은 홈서버(110)와 복수개의 모듈들(1,2,3,4,5)을 구비한다.
장치들(120, 130)은 적외선 신호에 의하여 제어되는 기기들로서 에어컨 디지털 텔레비전, 빔 프로젝트, 공기청정기 등의 가정용 기기들이다. 모듈들은 홈서버(110)에서 발생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장치들(120,130)로 보내서 장치들을 제어한다.
모듈들(1,2,3,4,5)은 도 1에서는 표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장치들(120, 130)의 겉면의 적외선 수신 단자 앞에 장착된다. 즉, 모듈들(1,2,3,4,5)이 별도로 설치되는 것이 아니고 모듈들(1,2,3,4,5)이 적외선 신호에 의해서 동작하는 장치들의 적외선 수신단자 앞부분에 장착되는 것이다. 장착은 자석을 이용하거나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제 종류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100)에서 모듈들(1,2,3,4,5)은 홈서버(110)로부터 적외선신호의 발생을 명령받은 모듈이 이웃한 모듈로 적외선 신호의 발생을 요청하고 요청을 수신한 모듈이 이웃한 다른 모듈로 적외선 신호의 발생을 요청하는 방식에 의해서 목적한 모듈로 적외선 신호의 발생을 요청하고, 최종 모듈은 최종 모듈이 장착되어 있는 장치의 적외선 수신부로 적외선 신호를 출력하여 장치를 제어하는 것이다.
즉, 홈서버(110)와 장치사이에 장애물이 있거나 적외선 신호가 도달하기 힘들만큼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홈서버(110)는 여러개의 모듈들을 거쳐서 최종단의 모듈로 적외선신호의 발생을 명령할 수 있는 것이다.
모듈들(1,2,3,4,5)은 명령데이터에 응답하여 장치들(120, 130)을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신호를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명령데이터의 경로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명령데이터를 다음 번 모듈로 전송하고 장치들(120, 130)로부터 발생하는 적외선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홈서버(110)는 모듈들(1,2,3,4,5) 각각의 고유번호와, 각각의 모듈로 상기 명령데이터가 도달되도록 하는 상기 데이터경로정보를 구비하고, 명령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상기 적외선제어신호를 수신한다.
도 2는 도 1의 모듈의 구조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복수개의 모듈들(1,2,3,4,5)의 구조가 동일하므로 도 2에는 모듈(1)의 구조를 예로써 도시한다.
모듈(1)은 RF 송수신부(210), IR 송수신부(220), 제어부(250), 메모리부(230) 및 클럭부(240)를 구비한다.
RF 송수신부(210)는 명령데이터(CDT)를 수신하거나 전송한다. RF 송수신부(210)는 RF 수신뿐만 아니라 송신기능을 가지고 있어, 모듈간의 인증 및 멀리 떨어져 있는 모듈들로 명령데이터(CDT)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명령데이터(CDT)는 스코프설정 명령데이터, 스코프응답 명령데이터, 경로설정 명령데이터, 경로탐색 명령데이터로 구분되며 이들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IR 송수신부(220)는 장치들(120, 130)로 적외선신호(IRS)를 출력하거나 장치들(120, 130)로부터 적외선제어신호(IRCS)를 수신한다. 적외선제어신호(IRCS)는 모듈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구비한다. 즉, IR 송수신부(220)는 적외선신호(IRS)를 장치들(120, 130)로 출력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적외선신호(IRS)에 응답해서 동작하는 장치들(120, 130)의 상태를 홈서버(110)로 전달하기 위하여 장치들(120, 130)에 서 발생되는 적외선제어신호(IRCS)를 수신하기도 한다.
메모리부(230)는 외부로 출력되는 명령데이터(CDT)가 전송될 수 있는 범위 내에 존재하는 다른 모듈들의 고유번호를 의미하는 스코프정보(SDB)와 명령데이터(CDT)가 홈서버(110)로부터 출력되어 수신될 때까지 거치게되는 모듈들의 고유번호를 의미하는 경로설정정보(PDB)를 저장한다.
클럭부(240)는 현재 시간을 저장하고 시간정보(CLK)를 출력한다. 제어부(250)는 스코프정보(SDB)와 경로설정정보(PDB)에 응답하여 RF 송수신부(210) 및 IR 송수신부(220)를 제어하며, 클럭부(240)의 시간정보(CLK)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홈서버(110)가 장치들(120, 130)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모듈들(1,2,3,4,5)이 스코프정보(SDB)와 경로설정정보(PDB)를 저장해야 한다.
먼저, 모듈이 스코프정보(SDB)를 획득하는 과정이 설명된다.
도 3은 모듈이 스코프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홈서버(110) 주변에 4개의 모듈들(1,2,3,4)이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즉 4개의 모듈들(1,2,3,4)은 4개의 장치들(미도시)의 외부 적외선 수신부에 장착되어 있다.
예를 들어, 4번 모듈(4)이 스코프정보(SDB)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모듈(4)은 리셋 되어 있어야 한다. 즉, 리셋 된 후 스코프정보(SDB)를 수집하기 위한 스코프설정 명령데이터를 출력한다.
4번 모듈(4)은 스코프정보(SDB)를 설정하기 위하여 스코프설정 명령데이 터(SC1)를 출력하며, 스코프설정 명령데이터(SC1)는 "경유모듈번호, 제어코드, 자신의 모듈고유번호"의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경유모듈번호는 스코프설정 명령데이터(SC1)가 도달할 수 있는 주변의 모든 모듈들로 상기 스코프설정 명령데이터(SC1)를 전송하는 의미의 브로드캐스팅(B)이고, 상기 제어코드는 스코프정보(SDB)를 수집한다는 의미의 스코프설정코드(GMUN)이다. 즉, 4번 모듈(4)이 발생하는 스코프설정 명령데이터(SC1)는 "B + GMUN+ 4"의 구조를 가진다.
4번 모듈(4)은 스코프설정 명령데이터(SC1)가 도달할 수 있는 범위(RG) 내에 있는 모든 모듈들로 스코프설정 명령데이터(SC1)를 출력한다. 도 1에서는 범위(RG) 내에 홈서버(110)와 모듈들(1,2,3)이 존재하므로 홈서버(110) 및 모듈들(1,2,3)이 4번 모듈(4)이 발생하는 스코프설정 명령데이터(SC1)를 수신한다.
홈서버(110) 및 모듈들(1,2,3)이 수신하는 스코프설정 명령데이터(SC1)가 RC1으로 표시되어 있다.
모듈들(1,2,3) 및 홈서버(110)는 수신된 스코프설정 명령데이터(RC1)에 응답하여 스코프설정 명령데이터(SC1)를 송신한 모듈(4)로 스코프응답 명령데이터(SR2, SR3, SR4, SR5)를 전송하며, 스코프응답 명령데이터(SR2, SR3, SR4, SR5)는 "타겟모듈번호, 제어코드, 자신의 모듈고유번호"의 구조를 가진다.
타겟모듈번호는 스코프설정 명령데이터를 발생한 모듈의 모듈고유번호로서 수신된 스코프설정 명령데이터(RC1)를 분석하면 알 수 있고, 제어코드는 상기 자신의 모듈고유번호를 상기 스코프설정 명령데이터를 발생한 모듈에 저장하도록 하는 의미의 스코프응답코드(MYMUN)이다.
따라서, 1번모듈(1)이 발생하는 스코프응답 명령데이터(SR5)는 "4 + MYMUN + 1"이 되고, 홈서버(110)가 발생하는 스코프응답 명령데이터(SR4)는 "4 + MYMUN + 0"이 된다. 발생된 스코프응답 명령데이터(SR2, SR3, SR4, SR5)를 4번 모듈(4)이 수신하는 동작이 RR2, RR3, RR4, RR5로 도시되어 있다.
4번 모듈(4)은 RR2, RR3, RR4, RR5를 분석하여 범위(RG) 내에 있는 모듈들(1,2,3) 및 홈서버(110)의 고유번호를 스코프정보(SDB)로서 저장한다.
다음으로, 모듈이 경로설정정보(PDB)를 획득하는 과정이 설명된다.
도 4는 모듈이 경로설정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게 모듈들(1,2,3,4) 및 홈서버(110)가 배치된다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4번 모듈(4)이 경로설정정보(PDB)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4번 모듈(4)은 스코프정보(SDB)를 참조하여 경로설정정보(PDB)를 설정하기 위하여 경로설정 명령데이터(PC1)를 출력하며, 경로설정 명령데이터(PC1)는 "경유모듈번호, 제어코드, 타겟모듈고유번호, 경로정보"의 구조를 가진다.
이때, 4번 모듈(4)의 스코프정보(SDB)에 홈서버(110)의 고유번호(0)가 존재할 경우 경유모듈번호는 홈서버(110)의 고유번호(0)가 된다. 스코프정보(SDB)에 홈서버(110)의 고유번호(0)가 존재한다는 것은 경로설정 명령데이터(PC1)가 도달할 수 있는 범위(RG) 내에 홈서버(110)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4번 모듈(4)은 경로설정 명령데이터(PC1)를 전송할 경유모듈번호로서 홈서버(110)를 바로 지정한 다.
스코프정보(SDB)에 홈서버(110)의 고유번호(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타겟모듈고유번호는 경로설정 명령데이터(PC1)가 도달할 모듈의 고유번호로서 홈서버(110)의 고유번호이다. 따라서, 스코프정보(SDB)에 홈서버(110)의 고유번호(0)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경유모듈번호와 타겟모듈고유번호가 동일하다.
경로정보는 경로설정 명령데이터(PC1)를 출력하는 모듈(4)의 고유번호(4)이고, 제어코드는 경로정보에 대응되는 고유번호를 홈서버(110)에 저장하라는 경로설정코드(SAVE PATH)이다. 홈서버(110)에도 범위(4) 내에 존재하는 모듈(4)의 고유번호가 저장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모듈(4)은 스코프정보(SDB)에 홈서버(110)의 고유번호(0)가 존재할 경우, 홈서버(110)와 바로 통신이 가능하므로 경로설정 명령데이터(PC1)를 발생함과 동시에 자신의 모듈 고유번호(4)와 홈서버(110)의 고유번호(0)를 경로설정정보(PDB)로서 저장한다.
4번 모듈(4)이 발생한 경로설정 명령데이터(PC1)는 홈서버(110)로만 전송되며 홈서버(110)로 수신되는 경로설정 명령데이터(PC1)가 RPC1으로 표시된다. 동일한 방법으로 1번모듈(1)과 2번모듈(2) 및 3번모듈(3)도 경로설정 명령데이터를 홈서버(11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스코프정보(SDB)에 홈서버(110)의 고유번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즉 범위(RG) 내에 홈서버(110)가 존재하지 아니하여 다른 모듈을 경유하여 홈 서버(110)와 통신이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의 경로설정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는 홈서버와 직접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의 경로설정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4개의 모듈들(1,2,3,4)과 홈서버(110)가 개시된다. 그런데, 3번 모듈(3)을 기준으로 신호가 도달할 수 있는 범위(RG1) 내에는 모듈들(1,2,4)이 존재하고, 홈서버(110)를 기준으로 신호가 도달할 수 있는 범위(RG2) 내에는 모듈들(1,4,2)이 존재한다. 즉, 홈서버(110)와 3번 모듈(3)은 서로 직접적으로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범위 내에 있지 아니하다.
이러한 경우, 3번 모듈(3)은 스코프정보(SDB)를 참조하여 경로설정정보(PDB)를 설정하기 위하여 경로탐색 명령데이터(PF1)를 출력하며, " 경유모듈번호, 제어코드, 자신의 모듈고유번호, 경로정보"의 구조를 가진다.
경유모듈번호는 스코프정보(SDB)에 홈서버(110)의 고유번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경로탐색 명령데이터(PF1)가 도달할 수 있는 주변의 모든 모듈들(1,4,2)로 경로탐색 명령데이터(PF1)를 전송하는 의미의 브로드캐스팅(B)이다. 만일 스코프정보(SDB)에 홈서버(110)의 고유번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경유모듈번호는 홈서버(110)의 고유번호(0)가 된다.
제어코드는 경로탐색 명령데이터(PF1)를 출력하는 모듈(3)로부터 홈서버(110)까지 도달하는 경로를 찾으라는 코드(FIND PATH:FP)이다. 경로정보는 경로탐색 명령데이터(PF1)를 출력하는 모듈의 고유번호(3)가 된다.
따라서, 3번 모듈(3)이 출력하는 경로탐색 명령데이터(PF1)는 "B + FP + 3 + 3"의 구조를 가진다.
만일 경로탐색 명령데이터를 처음 발생하는 모듈이 아니고 경로탐색 명령데이터를 수신한 중간모듈이 새로운 경로탐색 명령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새로운 경로탐색 명령데이터의 경로정보는 수신한 경로탐색 명령데이터의 경로정보와 중간모듈의 고유번호를 포함한다.
3번 모듈(3)이 발생하는 경로탐색 명령데이터(PF1)를 모듈들(1,2,4)이 수신하는 경우 그 수신 신호들이 RPF1으로 표시된다.
1번모듈(1)은 RPF1에 응답하여 경로탐색 명령데이터(PF2)를 발생한다. 이때, 1번 모듈(1)의 스코프정보(SDB)에 홈서버(110)의 고유번호가 존재하므로, 경유모듈번호는 홈서버(110)의 고유번호(0)가 된다. 그리고, 경로정보는 1번 모듈(1)이 중간모듈이므로, RPF1에 포함된 경로정보인 "3"과 중간모듈 자신의 고유번호인 "1"을 포함한다. 따라서, 1번 모듈(1)이 출력하는 경로탐색 명령데이터(PF2)는 "0 + FP +1 + 1+3"이 된다.
마찬가지로, 4번모듈(1)은 RPF1에 응답하여 경로탐색 명령데이터(PF3)를 발생한다. 이때, 4번 모듈(4)의 스코프정보(SDB)에 홈서버(110)의 고유번호가 존재하므로, 경유모듈번호는 홈서버(110)의 고유번호(0)가 된다. 그리고, 경로정보는 4번 모듈(4)이 중간모듈이므로, RPF1에 포함된 경로정보인 "3"과 중간모듈 자신의 고유번호인 "4"를 포함한다. 따라서, 1번 모듈(1)이 출력하는 경로탐색 명령데이터(PF2)는 "0 + FP +4 + 4+3"이 된다.
또한, 2번 모듈(2)은 RPF1에 응답하여 경로탐색 명령데이터(PF4)를 발생한다. 이때, 2번 모듈(2)의 스코프정보(SDB)에 홈서버(110)의 고유번호가 존재하므로, 경유모듈번호는 홈서버(110)의 고유번호(0)가 된다. 그리고, 경로정보는 2번 모듈(2)이 중간모듈이므로, RPF1에 포함된 경로정보인 "3"과 중간모듈 자신의 고유번호인 "2" 를 포함한다. 따라서, 2번 모듈(2)이 출력하는 경로탐색 명령데이터(PF4)는 "0 + FP + 2 + 2+3"이 된다.
홈서버(110)가 수신하는 경로탐색 명령데이터(PF2, PF3, PF4)가 RPF2, RPF3, RPF4로 표시된다. 홈서버(110)는 수신되는 신호들(RPF2, RPF3, RPF4) 주에서 가장 인접한 모듈의 신호에만 응답한다. 가장 인접한 모듈을 4번 모듈(4)이라고 가정하면, 홈서버(110)는 RPF4에 응답하여 경로설정 명령데이터(PC5)를 출력한다.
경로설정 명령데이터(PC5)는 "경유모듈번호, 제어코드, 타겟모듈고유번호, 경로정보"의 구조를 가진다.
경유모듈번호는 경로탐색 명령데이터(RPF4)를 출력한 모듈의 고유번호(4)이고, 타겟모듈고유번호는 경로설정 명령데이터(PC5)가 도달할 모듈의 고유번호로서 경로탐색 명령데이터(RPF4)의 경로정보에 의하여 결정된다. 경로탐색 명령데이터(RPF4)의 경로정보에는 "4+3"이 표시되어 있으며 이는 3번 모듈(3)이 경로설정 명령데이터(PC5)가 도달할 최종 타겟 모듈이 된다는 의미이므로 타겟모듈 고유번호는 "3"이 된다.
경로정보는 경로탐색 명령데이터(RPF3)의 경로정보와 동일하고, 제어코드는 경로정보에 대응되는 고유번호(4+3)를 타겟모듈고유번호에 대응되는 모듈(3)에 저 장하라는 경로설정코드(SAVE PATH)이다.
경로설정 명령데이터(PC5)는 4번 모듈(4)을 경유하여 3번 모듈(3)로 전송된다. 4번 모듈(4)이 수신하는 경로설정 명령데이터(PC5)가 RPC5로 표시된다. RPC5에 응답하여 4번 모듈(4)은 경로설정 명령데이터(PC6)를 출력한다.
경유모듈번호는 4번 모듈(4)의 스코프정보(SDB)에 수신된 경로설정 명령데이터(RPC5)의 타겟모듈고유번호가 존재한다면 존재하는 타겟모듈고유번호가 경유모듈번호가 된다. 따라서, 경유모듈번호는 "3"이 된다. 타겟모듈고유번호와 경로정보는 RPC5를 참조하여 정해진다.
3번 모듈(3)은 경로설정 명령데이터(PC6)를 수신한다. 3번 모듈(3)이 수신하는 경로설정 명령데이터(PC6)가 RPC6로 표시된다. 3번 모듈(3)은 수신된 경로설정 명령데이터(RPC6)의 경로정보(4+3)를 경로설정정보로서 저장한다. 이는 3번 모듈(3)이 홈서버(110)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4번 모듈(4)을 경유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서 각 모듈들은 스코프 정보와 경로설정정보를 구비한다. 따라서, 각 모듈들은 주변에 있는 모듈들에 대한 정보와 홈서버(110)까지 신호를 전송시키기 위한 경로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게된다.
그러면, 홈서버(110)로부터의 거리가 멀거나 장애물에 의해 막혀있어 홈서버(110)의 직접 제어가 어려운 모듈의 경우라도 중간의 다른 모듈이 홈서버(11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들을 수신하여 최종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에는 경로설정 명령데이터(PC5)가 범위(RG2)내에 있는 모듈들(1,2)로 전 송되고(RPC5 로 표시됨), 경로설정 명령데이터(PC6)가 범위(RG2)내에 있는 모듈들(1,2) 및 홈서버(110)로 전송되지만(RPC6로 표시됨) 이들 모듈들(1,2) 및 홈서버(110)는 신호들(RPC5,RPC6)을 무시한다. 즉, 모듈들(1,2) 및 홈서버(110)는 신호들(RPC5,RPC6)을 분석하여 경유모듈번호나 타겟모듈번호에 자신과 관련된 모듈고유번호가 존재하지 아니하면 신호들(RPC5,RPC6)을 무시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1번 모듈(1)로 전달된 RPF3 신호나 RPF4 신호, 4번 모듈(4)로 전달된 RPF2신호나 RPF4 신호, 2번 모듈(2)로 전달된 RPF2신호나 RPF3 신호, 3번 모듈(3)로 전달된 RPF2신호, RPF3신호나 RPF4 신호도 대응되는 모듈에 의해서 무시된다.
도 6은 홈서버가 원거리에 있는 모듈을 제어하는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홈서버(110)와 모듈들(1,2,3,4)이 개시되며 홈서버(110)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전달될 수 있는 범위(RG5) 내에는 1번 모듈(1)만이 존재하고, 1번모듈(1)이 출력하는 신호가 전달될 수 있는 범위(RG4) 내에는 홈서버(110)와 2번 모듈(2)이 존재하고, 2번 모듈(2)이 출력하는 신호가 전달될 수 있는 범위(RG3) 내에는 1번모듈(1)과 3번 모듈(3)이 존재하고, 3번 모듈(3)이 출력하는 신호가 전달될 수 있는 범위(RG2) 내에는 2번 모듈(2)과 4번 모듈(4)이 존재하고, 4번 모듈(4)이 출력하는 신호가 전달될 수 있는 범위(RG1) 내에는 3번 모듈(3)이 존재한다. 홈서버(110)가 4번 모듈(4)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경로를 설명한다. 각각의 모듈들(1,2,3,4)은 앞서 설명된 과정을 통하여 스코프정보(SDB)와 경로설정정보(PDB)를 모두 구비한다.
홈서버(110)가 명령데이터(1 + 전원ON + 4 + 1+2+3+4)를 출력한다. 경유모듈번호는 "1"이고, 타겟모듈번호는 "4"이고, 제어코드는 4번 모듈(4)이 장착된 장치의 전원을 키라는 "전원 ON" 이고, 경로정보는 1+2+3+4 이다.
즉, 1번 모듈(1)을 경유해서 4번 모듈(4)까지 2번 모듈(2) 및 3번 모듈(3)을 통과해서 전원을 켜라는 명령을 전달하는 것이다. 제어코드를 수신한 4번 모듈(4)은 대응되는 장치로 적외선 신호를 전송하여 장치의 전원을 킨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원거리에 있는 장치들도 홈서버(110)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도 7은 각 모듈들이 서로 인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각각의 모듈의 클럭부는 시간정보를 발송하고, 제어부는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모듈을 인증하기 위한 암호화 모듈과 복호화 모듈을 구비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임의의 모듈의 제어부(250a)는 암호화 모듈(710a)과 복호화 모듈(720a)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어부(250a)는 암호화 시점의 시간정보(CLK)를 키 값으로 포함하는 암호데이터(ID)를 대응되는 모듈에 RF 송수신부(210)를 이용하여 전송한다.
대응되는 모듈의 제어부(250b)의 복호화모듈(720b)은 시간정보(CLK)에 응답하여 암호데이터(ID)를 복호화 한다. 암호데이터(ID) 암호데이터(ID)를 수신하는 모듈의 고유번호를 포함한다.
따라서, 복호화모듈(720b)은 암호데이터(ID)가 포함하는 고유번호가 자신의 모듈의 고유번호인 경우에만 복호화를 수행한다. 대응되는 모듈의 제어부(250b)도 암호화 모듈(710b)과 복호화 모듈(720b)을 구비하므로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모듈이 서로 동기화된 시간정보(CLK)를 가지도록 각각의 모듈의 클럭부(240a 및 240b)는 서로 동기화된다. 즉, 암호데이터(ID)가 만들어진 시점에 임의의 모듈의 클럭부(240a)에서 발생된 시간정보(CLK)는 대응되는 다른 모듈의 클럭부(240b)로 전송되고 각 클럭부(240a,240b)가 동기화되어 있으므로, 수신된 시간정보(CLK)를 키 값으로서 분석하면 수신된 암호데이터(ID)를 복호화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암호데이터(ID)를 발생하는 매 시간마다 시간정보(CLK)가 바뀌므로 시간정보(CLK)를 복호화를 위한 키 값으로 이용하여 다른 모듈로 암호데이터(ID)와 함께 전송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인증과정은 홈서버(110) 이외의 곳에서 발생되는 명령데이터에 의해서 모듈들이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시간정보(CLK)를 키 값으로 이용하여 암호화 및 복호화 하는 방법은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적외선제어신호(IRCS)는 모듈에 의해 제어된 장치가 자신의 동작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인 경우 상기 동작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신호이다. 즉, 에어컨, 텔레비전 등 적외선으로 제어되는 장치들 중에서는 적외선 신호에 의하여 제어된 후 자신의 현재 동작 상태를 적외선 신호로 다시 출력하는 장치들이 있다. 적외선제어신호(IRCS)는 상기와 같은 장치들이 현재의 동작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출력하는 신호이다.
예를 들어, 홈서버(110)가 4번 모듈(4)이 장착된 장치의 전원을 키라는 명령데이터를 출력하면 도 6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4번 모듈(4)은 적외선신호(IRS)를 출력하여 4번 모듈(4)이 장착된 장치의 전원을 켠다.
이때, 전원이 켜진 장치는 적외선제어신호(IRCS)를 다시 4번 모듈(4)로 전송한다. 4번 모듈(4)의 제어부는 수신된 적외선제어신호(IRCS)를 분석하여 장치의 전원이 켜진 상태임을 인식하고 이러한 정보를 RF 송수신부를 이용하여 홈서버(110)로 전송한다. 이 경우에도, 명령데이터의 전송과 마찬가지로 홈서버(110)까지의 거리가 멀거나 중간에 장애물이 있을 경우에 다른 모듈들을 경유하여 홈서버(110)로 이러한 정보가 전송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모듈의 구조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모듈이 스코프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모듈이 경로설정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홈서버와 직접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의 경로설정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홈서버가 원거리에 있는 모듈을 제어하는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각 모듈들이 서로 인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Claims (12)

  1. 적외선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장치들을 제어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명령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신호를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명령데이터의 경로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명령데이터를 다음 번 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장치들로부터 발생하는 적외선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모듈들 ; 및
    상기 모듈들 각각의 고유번호와, 상기 각각의 모듈로 상기 명령데이터가 도달되도록 하는 상기 데이터경로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명령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상기 적외선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홈서버를 구비하며,
    상기 모듈들 각각은,
    상기 명령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전송하는 RF 송수신부 ;
    상기 장치들로 상기 적외선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장치들로부터 상기 적외선제어신호를 수신하는 IR 송수신부 ;
    외부로 출력되는 상기 명령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는 범위 내에 존재하는 다른 모듈들의 고유번호를 의미하는 스코프정보와 상기 명령데이터가 상기 홈서버로부터 출력되어 수신될 때까지 거치게되는 모듈들의 고유번호를 의미하는 경로설정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
    현재 시간을 저장하고 시간정보를 출력하는 클럭부 ; 및
    상기 스코프정보와 상기 경로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RF 송수신부 및 상기 IR 송수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클럭부의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모듈은,
    상기 스코프정보를 설정하기 위하여 스코프설정 명령데이터를 출력하며,
    상기 스코프설정 명령데이터는,
    "경유모듈번호, 제어코드, 자신의 모듈고유번호 "의 구조를 가지고,
    상기 경유모듈번호는 상기 스코프설정 명령데이터가 도달할 수 있는 주변의 모든 모듈들로 상기 명령데이터를 전송하는 의미의 브로드캐스팅(B)이고, 상기 제어코드는 상기 스코프 정보를 수집한다는 의미의 스코프설정코드(GMU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및 홈서버는,
    상기 스코프설정 명령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스코프설정 명령데이터를 송신한 모듈로 스코프응답 명령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스코프응답 명령데이터는,
    "타겟모듈번호, 제어코드, 자신의 모듈고유번호" 의 구조를 가지고,
    상기 타겟모듈번호는 상기 스코프설정 명령데이터를 발생한 모듈의 모듈고유번호이고, 상기 제어코드는 상기 자신의 모듈고유번호를 상기 스코프설정 명령데이터를 발생한 모듈에 저장하도록 하는 의미의 스코프응답코드(MYMU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리셋 된 직후 상기 스코프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스코프설정 명령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상기 스코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경로설정정보를 설정하기 위하여 경로설정 명령데이터를 출력하며,
    상기 경로설정 명령데이터는,
    "경유모듈번호, 제어코드, 타겟모듈고유번호, 경로정보"의 구조를 가지고,
    상기 스코프정보에 상기 홈서버의 고유번호가 존재할 경우,
    상기 경유모듈번호는 상기 홈서버의 고유번호이고, 상기 타겟모듈고유번호는 상기 경로설정명령데이터가 도달할 모듈의 고유번호로서 상기 홈서버의 고유번호이고, 상기 경로정보는 상기 경로설정 명령데이터를 출력하는 모듈의 고유번호이고,
    상기 제어코드는 상기 경로정보에 대응되는 고유번호를 상기 홈서버에 저장하라는 경로설정코드(SAVE PAT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상기 스코프정보에 상기 홈서버의 고유번호가 존재할 경우, 상기 경로설정 명령데이터를 발생함과 동시에 자신의 모듈 고유번호와 상기 홈서버의 고유번호를 경로설정정보로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또는 홈서버는,
    소정의 경로탐색 명령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경로설정 명령데이터를 출력하며,
    상기 경로설정 명령데이터는,
    "경유모듈번호, 제어코드, 타겟모듈고유번호, 경로정보"의 구조를 가지고,
    상기 경유모듈번호는 상기 경로탐색 명령데이터를 출력한 모듈의 고유번호이고, 상기 타겟모듈고유번호는 상기 경로설정명령데이터가 도달할 모듈의 고유번호로서 상기 경로탐색 명령데이터의 경로정보에 의하여 결정되고, 상기 경로정보는 상기 경로탐색 명령데이터의 경로정보와 동일하고,
    상기 제어코드는 상기 경로정보에 대응되는 고유번호를 상기 타겟모듈고유번호에 대응되는 모듈에 저장하라는 경로설정코드(SAVE PAT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탐색 명령데이터는,
    상기 모듈이 상기 스코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경로설정정보를 설정하기 위 하여 출력하는 명령데이터로서,
    "경유모듈번호, 제어코드, 자신의 모듈고유번호, 경로정보"의 구조를 가지고,
    상기 경유모듈번호는 상기 스코프 정보에 상기 홈서버의 고유번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경로탐색 명령데이터가 도달할 수 있는 주변의 모든 모듈들로 상기 명령데이터를 전송하는 의미의 브로드캐스팅(B)이고, 상기 스코프 정보에 상기 홈서버의 고유번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홈서버의 고유번호이고,
    상기 제어코드는 상기 경로탐색 명령데이터를 출력하는 모듈로부터 상기 홈서버까지 도달하는 경로를 찾으라는 코드(FIND PATH:FP)이며,
    상기 경로정보는 상기 경로탐색 명령데이터를 출력하는 모듈의 고유번호와, 상기 경로탐색 명령데이터를 수신한 중간모듈이 새로운 경로탐색 명령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수신한 경로탐색 명령데이터의 경로정보 포함된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모듈이 서로 동기화 된 시간정보를 가지도록 각각의 모듈의 클럭부는 서로 동기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암호화 모듈과 복호화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암호화모듈은 암호화 시점의 상기 시간정보를 키 값으로 포함하는 암호데이터를 대응되는 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대응되는 모듈의 제어부의 복호화모듈은 상기 시간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암호데이터를 복호화 함으로써 인증이 수행되며,
    상기 암호데이터는 상기 암호데이터를 수신하는 모듈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제어신호는,
    상기 모듈에 의해 제어된 장치가 자신의 동작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인 경우,
    상기 동작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KR1020070076918A 2007-07-31 2007-07-31 네트워크 시스템 KR100805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918A KR100805204B1 (ko) 2007-07-31 2007-07-31 네트워크 시스템
US12/665,135 US8335435B2 (en) 2007-07-31 2008-07-22 Network system
PCT/KR2008/004260 WO2009017317A1 (en) 2007-07-31 2008-07-22 Network system
JP2010519144A JP2010535448A (ja) 2007-07-31 2008-07-22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918A KR100805204B1 (ko) 2007-07-31 2007-07-31 네트워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5204B1 true KR100805204B1 (ko) 2008-02-21

Family

ID=39382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6918A KR100805204B1 (ko) 2007-07-31 2007-07-31 네트워크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335435B2 (ko)
JP (1) JP2010535448A (ko)
KR (1) KR100805204B1 (ko)
WO (1) WO2009017317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5408A (ko) * 1999-12-29 2001-07-11 윤종용 지역무선망 통신 시스템의 단말 장치 및 운용 방법
KR20030079448A (ko) * 2002-04-04 2003-10-10 (주)솔다정보기술 홈 네트워크용 전등 제어 모듈 및 제어 방법
KR20030096335A (ko) * 2001-04-24 2003-12-24 와이드레이 코포레이션 휴대형 컴퓨팅 장치와 정보를 통신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50001973A (ko) * 2003-06-28 2005-01-07 주식회사 케이티 모바일 에드혹 네트워크에서의 노드 네임 관리 시스템 및네임 관리 방법
KR20050021420A (ko) * 2005-02-05 2005-03-07 김대환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부스터펌프관제시스템
KR20050102714A (ko) * 2004-04-21 2005-10-2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에드 혹 네트워크에서 최적 경로 결정에 의한 효율적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060045122A (ko) * 2004-04-19 2006-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의 고유코드를 설정하는 방법과 그 방법을 위한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0651515B1 (ko) 2003-05-06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에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경로 검색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9346A (en) * 1988-01-27 1992-03-24 Spectrix Corporation Infrared communications network
US5384845A (en) * 1993-04-14 1995-01-24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Satellite Organization Command modulation system having command generator unit for commanding a plurality of different types of controlled units
US6400968B1 (en) * 1998-05-04 2002-06-04 Conexant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extending the range of a base unit
US20040203387A1 (en) * 2003-03-31 2004-10-14 Sbc Knowledge Ventures, L.P.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ppliances with a wireless data enabled remote control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5408A (ko) * 1999-12-29 2001-07-11 윤종용 지역무선망 통신 시스템의 단말 장치 및 운용 방법
KR20030096335A (ko) * 2001-04-24 2003-12-24 와이드레이 코포레이션 휴대형 컴퓨팅 장치와 정보를 통신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30079448A (ko) * 2002-04-04 2003-10-10 (주)솔다정보기술 홈 네트워크용 전등 제어 모듈 및 제어 방법
KR100651515B1 (ko) 2003-05-06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에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경로 검색 장치 및 방법
KR20050001973A (ko) * 2003-06-28 2005-01-07 주식회사 케이티 모바일 에드혹 네트워크에서의 노드 네임 관리 시스템 및네임 관리 방법
KR20060045122A (ko) * 2004-04-19 2006-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의 고유코드를 설정하는 방법과 그 방법을 위한홈 네트워크 시스템
KR20050102714A (ko) * 2004-04-21 2005-10-2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에드 혹 네트워크에서 최적 경로 결정에 의한 효율적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050021420A (ko) * 2005-02-05 2005-03-07 김대환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부스터펌프관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535448A (ja) 2010-11-18
US20100196012A1 (en) 2010-08-05
US8335435B2 (en) 2012-12-18
WO2009017317A1 (en) 200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5900B2 (en) AV data receiving device, AV data receiving method, and AV data transmission and receiving system
JP4293108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及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方法、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並びに電子機器
US20070076886A1 (en) Network devic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a key
EP2174443B1 (en) Near field registration of home system audio-video device
CN101960839A (zh) 用于数据流的预先验证和处理的方法、装置以及系统
CN1160953C (zh) 通过便携式遥控装置交换密钥
US20200004227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requesting and/or supplying information
US20040137878A1 (en) AV dat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KR100697078B1 (ko) 멀티에어컨의 중앙제어시스템 및 그의 설정방법
KR100805204B1 (ko) 네트워크 시스템
CN101496328A (zh) 远程控制关联方法
CN103098482B (zh) 用于音频/视频接收器/解码器的安全遥控器
KR20120069883A (ko) 적외선 신호 전송시스템
US20060140404A1 (en) System for managing encrypted code, data processor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6524004A (ja) 加入更新のための秘密識別子
KR101669481B1 (ko) 전술 데이터링크 체계에서 서브 네트워크 운용 장치 및 방법
KR101956014B1 (ko) 보일러의 댁내제어장치 및 그 네트워크 접속방법
WO2007135751A1 (ja) プロトコル及び著作権管理システム変換装置、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220115341A (ko) 무선통신 시스템
JP4334428B2 (ja) 通信システム
JP2004159232A (ja) 遠隔集中制御システムおよびネットワーク集中管理方法
KR20020067739A (ko) 에이브이 스위칭 컨트롤시스템
JP2004229263A (ja) 暗号化コード管理システム及びデータ処理装置及び電子機器及び暗号化コード配布方法
KR20120125685A (ko) 무선비상벨 장치
JP2005079860A (ja) 放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