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4016B1 -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4016B1
KR100804016B1 KR1020070021728A KR20070021728A KR100804016B1 KR 100804016 B1 KR100804016 B1 KR 100804016B1 KR 1020070021728 A KR1020070021728 A KR 1020070021728A KR 20070021728 A KR20070021728 A KR 20070021728A KR 100804016 B1 KR100804016 B1 KR 100804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mag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ing
s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1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우
Original Assignee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to KR1020070021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40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8Subtit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촬영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장치가 수행하는 영상 처리 방법은 입력된 촬영 정보를 저장하는 촬영정보저장단계;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정보생성단계; 및 생성된 영상 정보를 미리 설정된 저장방식에 따라 저장하는 영상정보저장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촬영 정보를 영상 정보 저장 시 동시에 저장하여 별도의 영상 편집 과정을 생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디지털 장치, 카메라, 영상 편집

Description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hotographed imag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촬영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장치를 이용해 촬영된 영상을 편집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된 영상의 저장 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영된 영상의 저장 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정보 저장을 위한 폴더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된 영상 검색 방법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촬영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장치가 수행하는 영상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촬영될 영상에 대한 촬영 정보를 미리 저장하여 영상 촬영 시 촬영 정보가 자동으로 삽입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영상 촬영 후 별도의 편집 과정을 생략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촬영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장치(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등)를 이용해 촬영된 영상을 편집(예를 들어, 촬영된 영상에 대한 촬영 정보의 입력 등)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10에서 디지털 장치 사용자는 영상을 촬영하여 디지털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한다. 단계 20에서 사용자는 미리 저장된 편집자료(예를 들어, 산, 바다, 꽃 등과 같은 자연 배경, 특정 이미지, 연예인 사진, 이모티콘, 기호, 특수 문자 등)을 출력된 영상과 합성한다. 단계 30에서 사용자는 합성화면에 영상에 텍스트(예를 들어, 촬영된 영상의 제목 등) 등을 삽입하여 영상 편집을 완료한 후 편집된 영상을 저장한다. 다만, 도 1은 영상 편집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장치의 영상 편집 과정을 나타낸 것이고, 일반적인 디지털 장치(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는 영상 편집 기능을 구비하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휴대폰의 경우 키 입력부 등을 통해 영상 편집이 가능할 수도 있으나, 휴대폰의 경 우 인터페이스의 불편으로 인해 단순히 영상 촬영에만 이용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촬영된 영상에 대한 영상 편집(예를 들어, 촬영 정보의 삽입) 은 사후적으로 별도의 단말기(예를 들어, 컴퓨터 등)를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때, 많은 영상이 저장된 경우 사후적으로 영상 편집 시 영상에 대한 내용이 혼동되어 정확히 분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르면 사후적으로 영상 편집과정(예를 들어, 영상에 대한 텍스트 정보 삽입 등)을 수행하기 이전에는 촬영된 영상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촬영 정보를 영상 정보 저장 시 동시에 저장하여 별도의 영상 편집 과정을 생략할 수 있는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영상 편집 과정이 없이도 촬영된 영상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영상의 촬영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 저장 폴더를 제공하여 저장된 영상의 혼동을 방지할 수 있는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촬영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장치가 수행하는 영상 처리 방법은 입력된 촬영 정보를 저장하는 촬영정보저장단계;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정보생성단계; 및 상기 생성된 영상 정보를 미리 설정된 저장방식에 따라 저장하는 영상정보저장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저장방식은 상기 촬영 정보의 저장 순서와 상기 영상 정보의 생성 순서에 따라, 상기 영상 정보와 상기 촬영 정보를 매칭시켜 자동으로 저장하는 방식일 수 있다.
촬영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장치가 수행하는 영상 처리 방법은 영상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폴더를 구성하는 저장폴더구성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촬영 정보는 상기 폴더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영상정보저장단계는 상기 생성된 영상 정보가 저장될 폴더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폴더에 저장된 촬영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받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영상 정보를 상기 선택된 촬영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폴더는 카테고리 구조를 가진 메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촬영 정보는 상기 촬영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장치가 수행하는 영상 처리 방법은 검색어를 입력 받아 검색어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검색하여 출력하는 영상정보검색단계; 및 상기 출력된 영상 정보에 상응하는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 출력 시 상기 영상 정보와 매칭된 촬영 정보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상기 검색되는 영상 정보는, 상기 검색어를 포함하는 촬영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촬영 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영상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촬영된 영상 처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디지털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디지털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촬영 정보를 저장하는 촬영정보저장단계;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정보생성단계; 및 상기 생성된 영상 정보를 미리 설정된 저장방식에 따라 저장하는 영상정보저장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촬영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장치는 촬영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생성된 영상 정보를 미리 설정된 저장방식에 따라 저장하는 영상정보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저장방식은 상기 촬영 정보의 저장 순서와 상기 영상 정보의 생성 순서에 따라, 상기 영상 정보와 상기 촬영 정보를 매칭시켜 자동으로 저장 하는 방식일 수 있다.
영상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폴더를 구성하는 저장폴더구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 정보는 상기 폴더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저장방식은 상기 생성된 영상 정보가 저장될 폴더를 출력한 후, 상기 폴더에 저장된 촬영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받으면 상기 생성된 영상 정보를 상기 선택된 촬영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하는 방식일 수 있다.
상기 영상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폴더는 카테고리 구조를 가진 메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촬영 정보는 상기 촬영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장치는 검색어를 입력 받아 검색어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검색하여 출력하는 영상정보검색부; 및 상기 출력된 영상 정보에 상응하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 출력 시 상기 영상 정보와 매칭된 상기 촬영 정보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상기 검색되는 영상 정보는, 상기 검색어를 포함하는 촬영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촬영 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영상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 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100)는 카메라부(210), 키입력부(220), 디스플레이부(230), 메모리부(240), 인터페이스부(250), 송수신부(260) 및 제어부(27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장치(100)는 촬영 기능을 구비한 전자 장치이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장치(100)는 디지털 카메라, 휴대폰, 노 트북, PDA 등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지털 장치(100)는 촬영 기능이 구비된 휴대폰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지만, 상기의 한정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한정하거나 축소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장치(100)가 휴대폰인 경우 음성처리부, 전원공급부 등을 더 포함할 것이지만, 이는 본 발명의 요지와 다소 거리가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카메라부(210)는 제어부(270)의 지시에 따라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270)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살펴 보면, 카메라부(210)는 렌즈부, 이미지 센서부 및 신호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미도시)는 피사체에 의해 반사된 광을 수집하고, 이미지 센서부(미도시)는 렌즈부에 의해 수집된 광학 영상 신호를 전기적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미도시)는 이미지 센서부로부터 입력된 전기적 영상 신호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이미지 센서부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고, 신호 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키입력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외부 영상 촬영 명령을 입력 받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키입력부(220)는 문자키, 숫자키, 기능키 및 조그 다이얼, 네비게이션키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20)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키 입력부(220)의 일반적인 구성은 널리 알려 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부(230)는 제어부(270)가 카메라 모드를 구동 시키면 카메라부(210)가 수집한 영상 정보에 상응하는 영상을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40)는 사용자가 영상 정보 저장 메뉴를 선택하면, 미리 저장된 영상 정보 저장 폴더 및 촬영 정보를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정보 저장 폴더가 복수인 경우 영상 정보 저장 폴더는 메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도 6참조).
메모리부(240)는 제어부(270)의 동작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동작 프로그램이나 시스템 프로그램은 통상 포함된 롬(ROM) 영역에 저장되고 필요에 의해 소거가 가능하다.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롬으로는 이이피롬(EEPROM), 플래시 메모리 등이 있다. 또한, 메모리부(240)는 여러 동작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RAM)을 포함한다. 상기 동작 프로그램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또한, 메모리부(24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촬영 정보, 영상 정보 저장 폴더, 및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50)는 외부 단말기(예를 들어, PC 등)와 인터페이싱하여 두 기기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한다. 이때, 두 기기간 통신 방식은 유선 또는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 등) 방식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해 외부 단말기로부터 촬영 정보, 영상 정보 저장 폴더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해 외부 단말기로 영상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송수신부(26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70)로 전달하고, 이 디지털 신호는 제어부(270)에서 분석되고 처리된다. 또한, 송수신부(250)는 송신할 신호에 대해 제어부(270)에서 생성된 신호를 전달받아 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만들어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장치(100)는 촬영 정보(예를 들어, 텍스트 정보, 녹음된 음성 등)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으나, 송수신부(260)를 통해 멀티미디어 서버(미도시)로부터 촬영 정보(예를 들어, 음악 등)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제어부(270)는 키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메모리부(240)에 저장된 영상 처리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수행하고, 촬영된 영상 처리를 위해 카메라부(210), 키입력부(220), 디스플레이부(230) 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어플리케이션은 영상정보저장부(310), 저장폴더구성부(320) 및 영상정보검색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정보저장부(310)는 카메라부(210)가 생성한 영상 정보를 입력 받아 미리 설정된 저장방식에 따라 메모리부(240)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저장방식은 촬영 정보의 저장 순서와 영상 정보의 생성 순서에 따라 영상 정보와 촬영 정보를 매칭시켜 자동으로 저장하는 방식일 수 있다. 즉, 사 용자가 외부 영상을 촬영 시 영상 정보는 미리 저장된 촬영 정보와 순차적으로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촬영된 영상에 대해 별도의 편집 절차를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의 저장 방식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에서 하기로 한다.
또한, 미리 설정된 저장방식은 생성된 영상 정보가 저장될 폴더를 출력한 후, 폴더에 저장된 촬영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받으면 생성된 영상 정보를 선택된 촬영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하는 방식일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폴더는 카테고리 구조를 가진 메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촬영 정보는 텍스트 정보, 멀티미디어 정보, 특수촬영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촬영 정보는 폴더 내에 저장되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촬영 정보는 촬영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방식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를 통해 하기로 한다.
저장폴더구성부(320)는 촬영된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폴더를 구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저장폴더구성부(320)는 영상 정보 저장을 위한 폴더 만들기 메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폴더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메뉴 구조, 트리 구조, 카테로리 구조 등으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폴더에는 사용자가 영상 편집 과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촬영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구성된 폴더는 영상 정보 저장 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폴더에 생성된 영상 정보가 자동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저장되는 영상 정보는 미리 저장된 촬영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영상 정보는 영상 정보의 생성 순서와 촬영 정보의 저장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촬영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영상정보검색부(330)는 사용자로부터 영상 정보 검색을 위한 검색어를 입력 받아 검색어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출력된 영상 정보는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출력 시 영상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된 촬영 정보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검색되는 영상 정보는 검색어를 포함하는 촬영 정보를 검색하여 검색된 촬영 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영상 정보일 수 있다. 영상 정보 검색 방법에 대해서는 도 7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된 영상의 저장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단계 410에서 디지털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촬영될 영상 정보의 저장 방식을 설정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카메라 환경설정 메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카메라 환경설정 메뉴는 영상 정보 저장 방식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정보 저장 방식 메뉴는 자동 저장 방식, 사용자 선택 저장 방식 등의 항목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자동 저장 방식 항목을 선택하면, 디지털 장치(100)는 도 4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420에서 디지털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촬영될 영상 정보에 대한 촬영 정보를 입력 받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촬영 정보는 텍스트 정보, 녹음된 음성 정보, 멀티미디어 정보, 특수촬영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들 들어, 텍스트 정보는 촬영 스케줄에 따라 촬영될 영상의 제목, 내용 등일 수 있다. 또한, 녹음된 음성 정보는 촬영 스케줄에 따라 촬영될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멘트가 녹음된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음성 정보는 그 내용을 구분하기 위한 제목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촬영 정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추후에 편집이 가능하다.
도 4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지털 장치(100)는 영상 정보 저장을 위한 폴더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입력된 촬영 정보는 구성된 폴더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폴더는 복수일 수 있으며, 트리형, 카테고리형, 메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계 430에서 디지털 장치(100)는 사용자의 외부 영상 촬영 명령이 입력되면, 카메라를 구동시켜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영상 정보는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외부 영상은 정지 영상, 동영상 등일 수 있다.
단계 440에서 디지털 장치(100)는 생성된 영상 정보와 미리 저장된 촬영 정보를 매칭시켜 자동으로 저장할 수 있다. 즉, 디지털 장치(100)는 생성된 영상 정보를 촬영 정보의 저장 순서와 영상 정보의 생성 순서에 따라 영상 정보와 촬영 정보를 매칭시켜 자동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텍스트 정보가 스케줄에 따라 10개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가장 먼저 저장된 텍스트 정보는 가장 먼저 촬영된 영상에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별도의 영상 편집 과정을 수행함이 없이 텍스트 정보가 삽입된 영상을 촬영 즉시 디지털 장치(100)에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영된 영상의 저장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정보 저장을 위한 폴더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단계 510에서 디지털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촬영될 영상 정보의 저장 방식을 설정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카메라 환경설정 메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카메라 환경설정 메뉴는 영상 정보 저장 방식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정보 저장 방식 메뉴는 자동 저장 방식, 사용자 선택 저장 방식 등의 항목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사용자 선택 저장 방식 항목을 선택하면, 디지털 장치(100)는 도 5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520에서 디지털 장치(100)는 영상 정보 저장을 위한 폴더를 구성할 수 있다. 즉, 디지털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폴더 구성 메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디지털 장치(100)에 포함된 키입력부(220)를 통해 영상 정보가 저장될 폴더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디지털 장치(100)와 연결된 PC 등을 통해 폴더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구성된 폴더는 사용자가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에서 동일한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단계 530에서 디지털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촬영될 영상 정보에 대한 촬영 정보를 입력 받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촬영 정보는 텍스트 정보, 녹음된 음성 정보, 멀티미디어 정보, 특수촬영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정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단계 520에서 생성된 폴더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촬영 정보는 촬영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정보는 촬영 정보의 디스플레이 방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540에서 디지털 장치(100)는 사용자의 외부 영상 촬영 명령이 입력되면, 카메라를 구동시켜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영상 정보는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단계 550에서 디지털 장치(100)는 영상 정보 저장 명령이 입력되면 미리 구성된 영상 정보가 저장될 폴더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출력되는 폴더 구성의 일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참조번호 610에서 디지털 장치(100)는 촬영된 영상과 함께 메뉴 항목을 제공할 수 있으며, 메뉴 항목은 촬영될 영상을 저장할 폴더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영상 저장 폴더 항목을 선택하면 참조번호 620의 형태로 구성된 폴더가 나열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여행 폴더를 선택하면 참조번호 630의 형태로 구성된 하위 폴더가 나열될 수 있다. 이때 하위 폴더들은 촬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텍스트 폴더는 '멋진 일몰을 영원히 **와 간직하고 싶어요', '**수목원의 국화꽃이 너무 예뻐요', '덕수궁 돌담길 낙엽이 너무 아름다워요' 등의 촬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악 폴더는 최 신곡, 클래식, mp3 파일 등의 촬영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음악 폴더 내의 촬영 정보는 촬영된 영상에 대한 배경 음악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녹음된 음성 폴더에는 사용자가 특별히 간직하고 싶은 멘트 선택 가능한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텍스트, 음악, 녹음된 음성 등은 사용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편집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단계 560에서 디지털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촬영된 영상이 저장될 폴더 및 촬영 정보를 선택 받으면, 단계 570을 진행하여 선택된 촬영 정보를 영상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된 영상 검색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는 도 7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저장된 영상 중 원하는 영상을 키워드 검색 등을 통해 쉽게 제공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일몰'을 검색어로 입력하면, 저장된 영상 중 이와 관련된 영상이 모두 출력될 수 있다.
단계 710에서 디지털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 받으면, 단계 720을 진행하여 검색어를 포함하는 촬영 정보를 검색한다. 단계 730에서 디지털 장치(100)는 검색된 촬영 정보와 매칭된 영상 정보를 추출한 후, 단계 740을 진행하여 영상 정보에 상응하는 영상을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시킨다. 여기서, 출력되는 영상은 촬영 정보(예를 들어, 영상의 배경 음악이나 제목 정보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는 촬영 정보를 영상 정보 저장 시 동시에 저장하여 별도의 영상 편집 과정을 생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 편집 과정이 없이도 촬영된 영상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의 촬영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 저장 폴더를 제공하여 저장된 영상의 혼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촬영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장치가 수행하는 영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촬영 정보를 저장하는 촬영정보저장단계;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정보생성단계; 및
    상기 생성된 영상 정보를 미리 설정된 저장방식에 따라 저장하는 영상정보저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저장방식은,
    상기 촬영 정보의 저장 순서와 상기 영상 정보의 생성 순서에 따라, 상기 영상 정보와 상기 촬영 정보를 매칭시켜 자동으로 저장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영상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폴더를 구성하는 저장폴더구성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촬영 정보는 상기 폴더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방 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저장단계는,
    상기 생성된 영상 정보가 저장될 폴더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폴더에 저장된 촬영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받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영상 정보를 상기 선택된 촬영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폴더는 카테고리 구조를 가진 메뉴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촬영 정보는 상기 촬영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검색어를 입력 받아 검색어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검색하여 출력하는 영상정보검색단계; 및
    상기 출력된 영상 정보에 상응하는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영상 출력 시 상기 영상 정보와 매칭된 촬영 정보가 함께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검색되는 영상 정보는, 상기 검색어를 포함하는 촬영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촬영 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영상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방법.
  9. 촬영된 영상 처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디지털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디지털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촬영 정보를 저장하는 촬영정보저장단계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정보생성단계; 및
    상기 생성된 영상 정보를 미리 설정된 저장방식에 따라 저장하는 영상정보저장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0. 촬영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장치에 있어서,
    촬영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생성된 영상 정보를 미리 설정된 저장방식에 따라 저장하는 영상정보저장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저장방식은,
    상기 촬영 정보의 저장 순서와 상기 영상 정보의 생성 순서에 따라, 상기 영상 정보와 상기 촬영 정보를 매칭시켜 자동으로 저장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영상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폴더를 구성하는 저장폴더구성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촬영 정보는 상기 폴더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저장방식은,
    상기 생성된 영상 정보가 저장될 폴더를 출력한 후, 상기 폴더에 저장된 촬영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받으면 상기 생성된 영상 정보를 상기 선택된 촬영 정보와 매칭시켜 저장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디지털 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폴더는 카테고리 구조를 가진 메뉴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촬영 정보는 상기 촬영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장치.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검색어를 입력 받아 검색어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검색하여 출력하는 영상정보검색부; 및
    상기 출력된 영상 정보에 상응하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영상 출력 시 상기 영상 정보와 매칭된 상기 촬영 정보가 함께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검색되는 영상 정보는, 상기 검색어를 포함하는 촬영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촬영 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영상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장치.
KR1020070021728A 2007-03-06 2007-03-06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804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728A KR100804016B1 (ko) 2007-03-06 2007-03-06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728A KR100804016B1 (ko) 2007-03-06 2007-03-06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4016B1 true KR100804016B1 (ko) 2008-02-18

Family

ID=39382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1728A KR100804016B1 (ko) 2007-03-06 2007-03-06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401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6935A (ko) * 2004-10-04 2004-11-17 임수현 카메라폰과 디지탈카메라의 사진정보표시
KR20050063977A (ko) * 2003-12-23 2005-06-29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카메라 영상 메모 편집 방법
KR20060008617A (ko) * 2004-07-22 2006-01-27 주식회사 스카이텔레텍 촬영된 영상에 촬영 정보를 삽입하는 방법
KR20070065503A (ko) * 2005-12-20 2007-06-25 주식회사 팬택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및 그장치
KR20070075993A (ko) * 2006-01-17 2007-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진에 카테고리 정보를 입력하여저장하기 위한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3977A (ko) * 2003-12-23 2005-06-29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카메라 영상 메모 편집 방법
KR20060008617A (ko) * 2004-07-22 2006-01-27 주식회사 스카이텔레텍 촬영된 영상에 촬영 정보를 삽입하는 방법
KR20040096935A (ko) * 2004-10-04 2004-11-17 임수현 카메라폰과 디지탈카메라의 사진정보표시
KR20070065503A (ko) * 2005-12-20 2007-06-25 주식회사 팬택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및 그장치
KR20070075993A (ko) * 2006-01-17 2007-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진에 카테고리 정보를 입력하여저장하기 위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1925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스피치 검색 방법
US7734654B2 (en) Method and system for linking digital pictures to electronic documents
JP6065019B2 (ja) 再生制御装置、再生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7003845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audio annotation
CN105094760A (zh) 一种图片标记方法及装置
CN105302315A (zh) 图片处理方法及装置
WO2010047336A1 (ja) 画像撮影システム及び画像撮影方法
CN104239388B (zh) 媒体文件管理方法及系统
US20120236178A1 (en) Digital camera with real-time picture identification functionality
KR101592981B1 (ko) 음성기반 이미지 파일 태깅장치 및 그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 이미지 파일 검색방법
US20080075433A1 (en) Locating digital images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80241951A1 (en) Imag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101523971B1 (ko) 녹음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이미지 처리 방법
WO2023151510A1 (zh) 拍摄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100804016B1 (ko)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4601880A (zh) 一种生成全景照片的方法及移动终端
CN104301542A (zh) 信息发送方法及装置
JP2005346259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6763079B2 (ja) 撮像装置
JP2007142644A (ja) 対応付け装置
CN116017043A (zh) 视频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3139367A (zh) 文档生成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05512140A (zh) 终端上设置选项的搜索方法及装置
CN113836323B (zh) 一种媒体文件管理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KR2005008336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진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