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3157B1 - 쇽업소버의 아이 - Google Patents

쇽업소버의 아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3157B1
KR100803157B1 KR1020060087490A KR20060087490A KR100803157B1 KR 100803157 B1 KR100803157 B1 KR 100803157B1 KR 1020060087490 A KR1020060087490 A KR 1020060087490A KR 20060087490 A KR20060087490 A KR 20060087490A KR 100803157 B1 KR100803157 B1 KR 100803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er
eye
rubber bush
cylinder
pisto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7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60087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31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3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3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4Arrangements for attach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35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 F16F9/325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for attachment of valve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6Means for adjusting the length of, or for locking, the spring or damper, e.g. at the end of the str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8/00Type of springs or dampers
    • F16F2238/02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쇽업소버의 아이는 실린더의 상/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차체와 차륜에 연결되는 관 형의 아이를 갖는 쇽업소버에 있어서, 아이에는 아이의 내면과 접촉되게 설치되며 변형방지부재가 구비된 러버부시 및 러버부시에 삽입되는 스틸관을 포함하므로, 쇽업소버의 지속적인 왕복운동으로 수직방향 또는 회전 방향의 비틀림 충격에 의한 러버부시의 변형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현가장치, 쇽업소버, 아이, 러버부시, 보강재

Description

쇽업소버의 아이 { Eye of Shock absorber }
도 1a,1b는 종래의 쇽업소버의 아이를 도시한 도면,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아이를 도시한 도면,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아이의 러버부시를 일부 제거하여 변형방지부재를 보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아이에 가해진 하중에 따른 변형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0 : 쇽업소버 110 : 실린더
111 : 내통 120 : 피스톤 로드
130 : 피스톤 밸브 131 : 피스톤
133 : 유로 137 : 디스크
140 : 하우징 150 : 아이
151 : 스틸관 155 : 러버부시
157 : 변형방지부재
본 발명은 쇽업소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댐퍼 기능을 수행하도록 쇽업소버를 차체와 차륜 사이를 연결하는 아이(Eye)를 갖는 쇽업소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쇽업소버(Shock absorber)는 차체와 차륜을 연결하는 장치로서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차륜으로 전달된 충격을 흡수하여 진동이 차체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쇽업소버는 조종안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적재화물의 보호, 차량의 각 부품을 보호하며, 양호한 핸들링 특성을 살리고, 운전자의 안락한 승차감을 극대화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여 다양한 형태의 현가장치가 연구개발 및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차량의 쇽업소버는 내부에 작동유체가 들어있으며 봉 형상으로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상하단에는 원통형의 쇽업소버 아이가 설치되어 있다. 쇽업소버 아이는 탭 볼트에 의해 차체측 및 차륜측에 고정된다.
도 1a는 종래의 쇽업소버 아이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쇽업소버(10)의 아이(11)는 상, 하단에 위치하고, 아이(11)는 내부에 스틸관(15)이 삽입된다. 아이(11)의 내부에 삽입된 스틸관(15)은 도시되지 않은 탭볼트에 의해 차체와 차축에 각각 연결된다. 아이(11)와 스틸관(15) 사이에는 러버부시(13)가 개재되어 쇽업소버가 리바운드 행정이나 컴프레션 행정을 실시할 때 차체나 차륜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쇽업소버 아이는 외부로부터 지속적으로 힘과 비틀림을 받기 때문에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재질로 형성된 러버부시의 내구력이 취약하여 변형되거나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러버부시의 변형이나 이탈은 쇽업소버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소음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러버부시의 내구력을 증대시켜 러버부시의 변형이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쇽업소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린더의 상/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차체와 차륜에 연결되는 관 형의 아이를 갖는 쇽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아이는 내면과 접촉되게 설치되며 변형방지부재가 구비된 러버부쉬 및 상기 러버부시에 삽입되는 스틸관을 포함하고, 상기 변형방지부재는 상기 스틸관과 접하는 제1러버부쉬와 상기 아이와 접하는 제2러버부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변형방지부재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아이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상기 스프링은 주름부를 갖는 관형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아이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아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아이의 러버부시를 일부 제거하여 변형방지부재를 보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아이에 가해진 하중에 따른 변형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쇽업소버(100)는 실린더(110)와, 일측은 실린더(110)에 삽입되고, 타측은 실린더(110)의 외측으로 인출된 피스톤 로드(120)와, 피스톤 로드(120)의 하단에 연결되어 컴프레션 챔버(CC)와 리바운드 챔버(RC)로 구획하는 피스톤 밸브(130)와, 피스톤 로드(120)가 삽입되는 실린더(110)의 상측과 하측을 커버하는 하우징(140)과, 하우징(140)의 상측과 실린더(110)의 하측에 형성되어 차체와 차륜을 연결하는 아이(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실린더(110)는 내부에 내통(111)이 설치된다. 내통(111)에는 작동유체 즉, 오일이 채워지고, 내통(111)의 외측 다시 설명하면, 내통(111)과 실린더(110) 사이에는 내통(111) 내부의 압력을 보상하기 위한 유체가 채워진다.
그리고, 실린더(110)의 내통(111)에는 피스톤 로드(120)에 연결된 피스톤 밸브(130)가 내통(111) 내부를 컴프레션 챔버(CC)와 리바운드 챔버(RC)로 구획하면서 왕복 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피스톤 밸브(130)는 컴프레션 챔버(CC)와 리바운드 챔버(RC) 사이의 유체 흐름을 제어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실린더(110)와 내통(111) 사이에는 리저버 챔버(VC)가 형성되는데, 리저버 챔버(VC)는 피스톤 밸브(130)의 상하 운동에 따른 콤프레션 챔버(CC)의 압력 변화를 보상하는 역할을 한다.
피스톤 로드(120)의 일측은 내통(111)에 삽입되고, 타측은 실린더(110)의 외측으로 인출되게 설치된다. 피스톤 로드(120)와 실린더(110) 사이에는 로드 가이드(115)가 설치된다. 로드 가이드(115)는 중심부에 피스톤 로드(120)를 삽입시킨다. 로드 가이드(115)는 실린더(110)와, 내통(111) 그리고, 피스톤 로드(120) 사이를 밀봉한다.
피스톤 밸브(130)는 작동유체가 이동되는 다수개의 유로(133)가 형성된 피스톤(131)과, 피스톤(131)의 상면과 하면에 적층되어 피스톤(131)의 유로(133)를 개방하거나 닫는 디스크(137)를 포함한다.
하우징(140)은 상술한 실린더(110)의 일부 즉, 피스톤 로드(120)가 인출된 실린더(110)의 상측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아이(150)는 하우징(140)의 상측과 실린더(110)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측 아이(150)는 하우징(140)의 상측으로 인출된 피스톤 로드(120)와 연결된다. 아이(150)는 내부에 각각 차륜과 차축을 연결하는 탭볼트(미도시)가 삽입되는 스틸관(151)이 설치된다.
스틸관(151)과 아이(150) 사이에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서, 피스톤 로드(120)가 인장되거나 수축될 때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러버부시(155)가 삽입된다.
러버부시(155)에는 피스톤 로드(120)가 인장되거나 수축될 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변형방지부재(157)가 구비된다. 변형방지부재(157)는 러버부시(155)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스프링이 될 수 있다. 특히, 스프링은 주름부를 갖 는 관형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러버부시(155)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탄성력을 갖는 러버부시(155)의 작용을 도울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러버부시(155)는 아이(150)의 내면에 일면이 접하는 제1러버부시(155a)와, 스틸관(151)의 외면에 일면이 접하는 제2러버부시(155b)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설명하면, 러버부시(155)는 아이(150)와 스틸관(151) 사이에 변형방지부재(157)를 설치한 후, 러버부시(155)를 몰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아이에 가해진 하중에 따른 변형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그래프 a는 하중에 대하여 종래의 러버부시를 갖는 아이의 변형율을 도시한 것이고, 그래프 b는 하중에 대하여 본 발명의 변형방지부재가 개재된 러버부시를 갖는 아이의 변형율을 도시한 것이다.
삭제
따라서, 아이(150)의 내면과 스틸관(151)의 외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러버부시(155)는 쇽업소버(100)가 왕복운동을 하여도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러버부시에 변형방지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차체나 차축의 하중이나, 쇽업소버의 지속적인 왕복운동으로 수직방향 또는 회전 방향의 비틀림 충격에 의한 러버부시의 변형 및 이탈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변형방지부재는 러버부시의 수명을 늘려주므로 쇽업소버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실린더의 상/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차체와 차륜에 연결되는 관 형의 아이를 갖는 쇽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아이는 내면과 접촉되게 설치되며 변형방지부재가 구비된 러버부쉬; 및
    상기 러버부시에 삽입되는 스틸관을 포함하고,
    상기 변형방지부재는 상기 스틸관과 접하는 제1러버부쉬와 상기 아이와 접하는 제2러버부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변형방지부재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아이.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주름부를 갖는 관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아이.
KR1020060087490A 2006-09-11 2006-09-11 쇽업소버의 아이 KR100803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490A KR100803157B1 (ko) 2006-09-11 2006-09-11 쇽업소버의 아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490A KR100803157B1 (ko) 2006-09-11 2006-09-11 쇽업소버의 아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3157B1 true KR100803157B1 (ko) 2008-02-14

Family

ID=39343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7490A KR100803157B1 (ko) 2006-09-11 2006-09-11 쇽업소버의 아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315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28725A (ja) 1985-12-26 1987-10-07 Bridgestone Corp 防振ゴム
KR19990043286A (ko) * 1997-11-29 1999-06-15 양재신 버스용 판스프링 결합부위의 소음방지구조
KR20020078282A (ko) * 2001-04-09 2002-10-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부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28725A (ja) 1985-12-26 1987-10-07 Bridgestone Corp 防振ゴム
KR19990043286A (ko) * 1997-11-29 1999-06-15 양재신 버스용 판스프링 결합부위의 소음방지구조
KR20020078282A (ko) * 2001-04-09 2002-10-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부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8845B2 (en) Frequency/pressure sensitive shock absorber
US9541153B2 (en) Valve structure of shock absorber
KR101441519B1 (ko) 정션 블리드
KR101218834B1 (ko) 차체 거동 감응형 에어 스프링
KR100834504B1 (ko) 쇽업소버의 감쇠력 가변식 밸브
JPH04224333A (ja) ブッシュタイプの制振装置及びブッシュタイプの液体充填制振装置
US9611915B2 (en) Valve structure of shock absorber
KR100766854B1 (ko) 쇽업소버
US20070125612A1 (en) Dust cover and shock absorber having the same
KR100803157B1 (ko) 쇽업소버의 아이
JP5539629B2 (ja) ピストンシリンダアッセンブリ
CN110206843A (zh) 一种双缸筒双气室油气弹簧
CN210290574U (zh) 一种双缸筒双气室油气弹簧
RU2319620C1 (ru) Пневмогидравлическая рессора подвеск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210140994A (ko) 차량용 쇽업소버의 리바운드스토퍼
KR20080009883A (ko) 쇽업소버
KR100781658B1 (ko) 쇽업소버
KR102315573B1 (ko) 쇽업소버의 리바운드 버퍼
RU208894U1 (ru) Пневмогидравлический амортизатор
KR20050104250A (ko)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
KR20070076190A (ko) 쇽업소버
KR102497036B1 (ko) 범퍼 스토퍼 어셈블리
EP4170195A1 (en) Telescopic passive damper
KR100808421B1 (ko) 쇽업소버 밸브 구조
KR20070073218A (ko) 쇽업소버의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