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2406B1 - 연료소각 버너 - Google Patents

연료소각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2406B1
KR100802406B1 KR1020060100333A KR20060100333A KR100802406B1 KR 100802406 B1 KR100802406 B1 KR 100802406B1 KR 1020060100333 A KR1020060100333 A KR 1020060100333A KR 20060100333 A KR20060100333 A KR 20060100333A KR 100802406 B1 KR100802406 B1 KR 100802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fuel
blower
hol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0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광
Original Assignee
장영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광 filed Critical 장영광
Priority to KR1020060100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24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2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2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23G5/46Recuperation of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23G5/442Waste feed arrangements
    • F23G5/444Waste feed arrangements for solid was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00Passages or apertures for delivering primary air for combustion 
    • F23L1/02Passages or apertures for delivering primary air for combustion  by discharging the air below the f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3/00Furnace arrangements
    • F23G2203/80Furnaces with other means for moving the waste through the combustion zone
    • F23G2203/801Furnaces with other means for moving the waste through the combustion zone using conveyors
    • F23G2203/8013Screw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소각 버너에 관한 것으로, 연료가 소각되는 버너, 상기 버너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본체, 상기 버너 내부의 화력을 조절하는 블로어, 상기 버너 내부에 불을 붙일 수 있도록 하는 점화홀로 구성된 연료소각 버너에 있어서, 상기 버너의 상측에는 지름이 확장되게 돌출되며 그 입구에 날개망이 설치된 날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버너의 상측에는 본체를 관통하여 외부로 소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에는 내측에 기둥망이 구비된 기둥부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연료소각 버너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슬러지 및 음식물 쓰레기를 소각하여 소량의 재로 변환시켜 쓰레기 배출량을 줄이고, 소각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온실이나 거주지의 난방이 가능하다.
음식물 쓰레기, 연료소각, 버너

Description

연료소각 버너{SOLID FUEL BUR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소각 버너의 앞쪽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소각 버너의 뒷쪽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로어의 설치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소각 버너의 옆면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연료소각 버너의 옆면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연료소각 버너의 기둥망 이동시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판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20 : 버너
30 : 유리석면
100 : 스크류부
120 : 제 1 블로어
200 : 기둥부
212 : 제 2 재수집구
220 : 송풍판
본 발명은 연료소각 버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러지 및 음식물 쓰레기를 연료로 사용하며, 열의 재활용이 가능하고 소각시 배출되는 재의 양을 줄이는 연료소각 버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는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고 주로 매립 등의 방법에 의해 처리되고 있다. 그러나 음식물 쓰레기의 매립지는 한정되어 있고 새로운 부지확보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어 매립의 방법에는 한계가 있다.
음식물 쓰레기는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무게가 많이 나가고 부피도 크며,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으로부터 발생한 오수가 주변의 토양 및 수질에 유입되어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발생 되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를 매립지로 운반하고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오수를 처리하는 등에 많은 인력과 장비 및 경비가 소모되므로 최근에는 매립을 대체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의 다양한 처리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에는 탈수, 분쇄, 퇴비 및 사료화, 발효소멸 등이 있다.
탈수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오수의 문제는 해결되나 부피 및 무게등의 문제가 해결되지 못했다.
또한, 분쇄방법은 음식물 찌꺼기를 미세한 크기로 파쇄시켜 하수도를 통하여 처리하는 방식으로 하수시설에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며, 사료화 처리방식의 경우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켜 사료로 이용하는 방식으로 건조시 악취가 발생과 수거 및 운반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발효소멸을 통한 방법은 발효미생물을 주기적으로 공급해야 하며 미생물의 활동이 가장 활발한 최적 환경을 조성하기 때문에 유해균의 발생할 수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쓰레기를 연료로 사용하여 배출되는 쓰레기의 양을 줄이는 연료소각 버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각시 발생한 열을 순환시켜 에너지원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연료소각 버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료가 소각되는 버너, 상기 버너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본체, 상기 버너 내부의 화력을 조절하는 블로어, 상기 버너 내부에 불을 붙일 수 있도록 하는 점화홀로 구성된 연료소각 버너에 있어서, 상기 버너의 상측에는 지름이 확장되게 돌출되며 그 입구에 날개망이 설치된 날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버너의 상측에는 본체를 관통하여 외부로 소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에는 내측에 기둥망이 구비된 기둥부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버너 내측으로 연료를 이송하는 스크류부는 내측에 설치된 스크류가 회전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스크류는 연료를 버너 내측으로 이송하되, 상측에는 연료를 투입할 수 있도록 스크류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로어는 본체 외부에 설치되며 통풍구를 통해 버너와 연결되되, 상기 통풍구는 버너의 내측면을 따라 바람이 유입되도록 비스듬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너의 하부에는 연료가 쌓이고 블로어에서 형성된 바람을 윗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송풍구멍과 개구부를 갖는 송풍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 이하의 설명에서 도면 중 동일부분에 대해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소각 버너의 앞쪽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소각 버너의 뒷쪽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로어의 설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소각 버너의 옆면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연료소각 버너의 옆면의 단면을 나타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연료소각 버너는 버너(20)를 둘러싸고 형성된 본체(10)와 슬러지 및 음식물 쓰레기 등을 버너(20)로 이송하는 스크류부(100), 바람을 불어 넣어 주는 제 1 및 제 2 블로어(120, 121), 불꽃의 크기를 조절하는 기둥부(200)로 구성된다.
상기 버너(20)의 상측에는 본체(10)를 관통하여 외부로 소통되는 관통공(H)이 형성되고, 직육면체의 옆면 중 일면에는 스크류부(100)가 본체 내측에 형성된 버너(20)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스크류부(100)는 속이 비어있는 원기둥 형상의 원통(101)이 본체의 일면에 돌출되도록 조립되고 원통(101) 내부에는 회전 가능하도록 원통(101)보다 지름이 작은 스크류(102)가 설치된다. 상기 원통(101)의 끝단 상측에는 스크류홀(103)이 형성되어 내측에 스크류(102)가 보이도록 하고 상기 스크류홀(103)에 슬러지 및 음식물 쓰레기 등을 투입한다.
상기 스크류홀(103)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105)를 설치하여 슬러지 및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이 용이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스크류부(100)의 끝단에는 상기 스크류(102)에 연결된 회전바(104)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전바(104)에는 체인(113)이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체인(113)은 스크류(102) 하단에 설치된 모터(110)에 연결되어 스크류(102)가 회전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한다.
모터(110)는 스크류부(100)의 하단에 돌출되도록 조립된 모터브라켓(111) 위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모터브라켓(111)은 스크류부의 길이와 같거나 다소 길게 형성한다.
상기 모터브라켓(111)의 끝단에 모터(110)가 부착되며, 체인(113)이 연결된 회전봉의 위치와 모터(110)의 회전축(112)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하여 체인(113)이 수직으로 설치되도록 한다.
스크류부(100)의 하측에는 제 1 블로어(120)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블로어(120)는 본체 내측에 버너(20)와 연결되어 버너(20) 내부에 바람을 불어 넣는다.
제 1 블로어(120)가 설치된 면의 반대편 면에는 제 2 블로어(121)를 설치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블로어(120, 1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너(20) 내부에 바람이 비스듬하게 들어가도록 통풍구(122)가 사선으로 형성되어 기류 형성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제 1 및 제 2 블로어(120, 121)와 버너(20)를 연결하는 통풍구(122) 끝단에는 마개(123)가 형성되고, 상기 마개(123)의 개폐 정도를 조작하여 바람 속도를 제어하고 바람의 속도를 통해 버너(20) 내부의 화력을 조절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블로어(120, 121)의 하측에는 블로어브라켓(124)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블로어(120, 12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블로어는 제 1 블로어(120)만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제 2 블로어(121)의 상단에는 버너(20) 내부에 화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점화홀(130)이 설치되어 버너(20) 내의 불꽃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점화홀(130)의 입구에는 도어를 형성하여 점화 작업이 끝난 후 점화홀(130)이 외부 공기와 차단되도록 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블로어(120, 121)가 형성되지 않은 일면에 확인창(140)을 형성하여 버너(20) 내부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버너(20)의 하측으로 제 1 재수집구(미도시)를 형성하여 버너(20) 내에서 슬러지 및 음식물 쓰레기의 소각으로 발생한 재를 수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체 내부에 형성된 버너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버너(20)는 원통의 형상의 몸통을 갖고 상기 몸통의 하단은 라운딩 처리되어 제 1 및 제 2 블로어(120, 121)에서 형성된 바람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버너(20)의 상측 중앙에는 본체(10)를 관통하여 외부로 소통되는 관통공(H)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H)의 내주면에는 내측에 기둥망(201)이 구비된 기둥부(200)가 설치된다.
상기 기둥부(200)는 상기 관통공(H)의 내주면과의 마찰에 의해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고정할 수 있고, 고정 위치에 따라 기둥부(200)와 기둥망(201)은 석유난로의 심지와 같이 불꽃의 크기를 조절한다.
한편, 상기 버너(20)의 상측에는 지름이 확장되게 돌출되며 그 입구에 날개망(211)이 설치된 날개부(210)가 형성된다.
여기서 날개망(211)은 상향이동된 불꽃에 의해 달궈지게 되고, 달궈진 날개망(211)은 상향이동된 불꽃의 화력이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날개망(211)이 형성된 날개부(210)의 일측에는 버너(20)의 외부와 통하는 제 2 재수집구(212)가 형성되어 연료 소각시 발생되어 위쪽으로 이동한 재가 수집되도록 한다.
여기서, 기둥부(200)와 기둥망(201)이 하측에 위치했을 때 버너(20)의 하단에서 상승하는 기류는 기둥부(200)에 의해 날개부(210) 쪽으로 퍼지게 되고 위쪽으로 이동된 재는 상기 제 2 재수집구(212)에 모이게 된다.
한편, 기둥부(200)와 기둥망(201)이 상측으로 위치했을 경우에는 버너(20)의 하단에서 상승하는 기류가 기둥부(200) 쪽으로 바로 상승하게 되고 위쪽으로 이동된 재는 기둥부(200) 바깥으로 배출된다.
스크류부(100)와 제 1 블로어(120) 사이에는 송풍판(220)이 설치되며, 상기 송풍판(220)은 제 1 및 제 2 블로어(121)에서 형성된 바람이 기류로 형성되어 상측으로 이동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판(220)은 버너(20) 내측 지름에 맞춰 형성되며, 송풍판(220)의 중간부(224)에는 다수의 송풍구멍(222)이 형성된다. 또한, 중간부(224) 둘레에는 송풍판(220)의 지름을 따라 개구부(22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개구부(223)는 'ㄷ' 형상으로 절개되어 송풍판(220)과 연결된 면을 뺀 나머지 절개부분이 상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예각을 갖고 절곡된다.
스크류부(100)에 의해 투입된 슬러지 및 음식물 쓰레기 등은 송풍판(220) 위에 떨어져 쌓이게 된다.
이때, 송풍판(220) 하측에서 형성된 기류가 개구부(223)를 통하면서 버너(20)의 내벽을 타고 회전하는 기류를 형성하고, 상기 기류에 의해 송풍판(220)의 외측에 떨어진 슬러지 및 음식물 쓰레기는 중앙쪽에 쌓이게 되어 고르게 소각되도록 한다.
본체(10)와 버너(2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유리석면(30)으로 채워 버너(20)에서 형성된 열의 손실을 막아 보호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버너(20)에서 슬러지 및 음식물 쓰레기를 소각하며 발생하는 열은 기둥부(200)에 별도의 연결로(미도시)를 설치하여 난방을 하고자 하는 곳 즉, 농가의 비닐하우스의 또는 거주지의 난방 등에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연료소각 버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0)의 측면에 연결된 스크류부(100)에는 스크류홀(10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크류홀(103)을 통해 연료로 쓰이는 슬러지 및 음식물 쓰레기를 본체(10) 내부, 즉 버너(20)에 투입한다.
버너(20)에 투입된 슬러지 및 음식물 쓰레기는 송풍판(220) 위에 쌓이게 된다. 이때, 송풍판(220)의 하단에 연결 형성된 제 1 및 제 2 블로어(120, 121)가 발생시킨 기류가 송풍판(220)의 개구부(223)를 통과하면서 버너(20)의 내측 벽을 따라 회전하는 기류를 형성하고, 상기 기류에 의해 슬러지 및 음식물 쓰레기는 송풍판(220)의 중앙부(221) 쪽에 쌓이게 된다.
상기 제 2 블로어(121)의 상단에 형성된 점화홀(130)의 도어를 열고 점화 봉을 삽입하여 점화한 후 도어를 닫고, 제 1 및 제 2 블로어(120, 121)에 의해 형성된 기류를 타고 불꽃이 상승하여 송풍판(220) 위에 슬러지 및 음식물 쓰레기를 소각한다.
이때, 본체(10)에 형성된 확인창(140)을 통해 내부 불꽃을 확인하고, 제 1 및 제 2 블로어(120, 121)와 버너(20)를 연결하는 통풍구(122)에 형성된 마개(123)의 개폐 조작으로 화력을 조절한다.
또한, 상측에 형성된 기둥부(200)와 기둥망(201)의 높이 조절을 통해 버너(20) 내부로 투입되는 슬러지 및 음식물 쓰레기의 양에 맞춰 불꽃의 크기를 조절한다.
소각된 슬러지 및 음식물 쓰레기는 소량의 재가 되어 버너(20) 하단에 형성된 제 1 재수집구(미도시)와 상측에 형성된 제 2 재수집구(212)를 통해 밖으로 꺼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소각 버너에 의하면, 슬러지 및 음식물 쓰레기를 소각하여 소량의 재로 변환시켜 쓰레기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연료소각 버너에 의하면, 소각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온실이나 거주지의 난방이 가능하다.

Claims (5)

  1. 연료가 소각되는 버너, 상기 버너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본체, 상기 버너 내부의 화력을 조절하는 블로어, 상기 버너 내부에 불을 붙일 수 있도록 하는 점화홀로 구성된 연료소각 버너에 있어서,
    상기 버너의 상측에는 지름이 확장되게 돌출되며 그 입구에 날개망이 설치된 날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버너의 상측에는 본체를 관통하여 외부로 소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에는 내측에 기둥망이 구비된 기둥부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소각 버너.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버너 내측으로 연료를 이송하는 스크류부는 내측에 설치된 스크류가 회전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스크류는 연료를 버너 내측으로 이송하되, 상측에는 연료를 투입할 수 있도록 스크류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소각 버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는 본체 외부에 설치되며 통풍구를 통해 버너와 연결되되, 상기 통풍구는 버너의 내측면을 따라 바람이 유입되도록 비스듬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소각 버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의 하부에는 연료가 쌓이고 블로어에서 형성된 바람을 윗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송풍구멍과 개구부를 갖는 송풍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소각 버너.
KR1020060100333A 2006-10-16 2006-10-16 연료소각 버너 KR100802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333A KR100802406B1 (ko) 2006-10-16 2006-10-16 연료소각 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333A KR100802406B1 (ko) 2006-10-16 2006-10-16 연료소각 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2406B1 true KR100802406B1 (ko) 2008-02-13

Family

ID=39342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0333A KR100802406B1 (ko) 2006-10-16 2006-10-16 연료소각 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24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05517A (ja) 1983-05-10 1984-11-21 Haigen:Kk 廃棄物の焼却処理方法
KR200154882Y1 (ko) 1997-06-26 1999-08-16 김만중 소형 소각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05517A (ja) 1983-05-10 1984-11-21 Haigen:Kk 廃棄物の焼却処理方法
KR200154882Y1 (ko) 1997-06-26 1999-08-16 김만중 소형 소각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4837B1 (ko) 다층 고온 열분해 소각 장치
US6715431B1 (en) Multifunctional disposal apparatus
KR101240028B1 (ko) 친환경 우드 펠렛 다목적 난로
KR100679316B1 (ko) 화목 보일러
CN111156529A (zh) 一种生活污泥制备燃料焚烧危废的方法及系统
CN107477586A (zh) 一种低温裂解自反应垃圾处理炉
KR100802406B1 (ko) 연료소각 버너
KR100921906B1 (ko) 폐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용 버너
KR101862746B1 (ko) 선박을 이용한 폐기물 연소시스템
CN202955704U (zh) 多温阶光子能量垃圾焚烧处理的隧道式窑炉
KR100704166B1 (ko) 재연소 소각처리시스템
KR100294422B1 (ko) 소각 가스로
CN209944344U (zh) 多功能粪便焚烧处理装置
KR200144054Y1 (ko) 소각로
KR200421392Y1 (ko) 음식물 쓰레기 소각장치
KR100668464B1 (ko) 고형연료의 정량공급장치
KR102069837B1 (ko) 고온 열분해 소각로
CN220489166U (zh) 碳化焚烧装置
KR101317715B1 (ko) 알디에프 소각 처리장치
CN207179667U (zh) 一种低温裂解自反应垃圾处理炉
KR102000786B1 (ko) 드럼통을 이용한 소형 이동식 소각장치
KR20070003734A (ko) Rdf 연료. 생활 폐기물 고체연료 자동공급 연소장치
JP3006430U (ja) 無公害焼却機
KR200193831Y1 (ko) 화목 버너
KR960000449Y1 (ko) 열풍 및 온수공급이 가능한 폐기물 소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