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2254B1 - 차내 조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내 조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2254B1
KR100802254B1 KR1020060072971A KR20060072971A KR100802254B1 KR 100802254 B1 KR100802254 B1 KR 100802254B1 KR 1020060072971 A KR1020060072971 A KR 1020060072971A KR 20060072971 A KR20060072971 A KR 20060072971A KR 100802254 B1 KR100802254 B1 KR 100802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oor
response signal
lighting devices
do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2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6997A (ko
Inventor
겐따로오 데시마
가즈히로 나까시마
하루유끼 쯔즈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to KR1020060072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2254B1/ko
Publication of KR20070016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6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2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2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vehicle sides, e.g. clearance lights
    • B60Q1/32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vehicle sides, e.g. clearance lights on or for doors
    • B60Q1/32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vehicle sides, e.g. clearance lights on or for doors for signalling that a door is open or intended to be ope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2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for lighting other areas than only the way ahead
    • B60Q1/247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for lighting other areas than only the way ahead for illuminating the clos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e.g. to facilitate entry or ex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60Q1/30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by means of surfaces, e.g. metal plate, reflecting the light of an external light source
    • B60Q1/301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by means of surfaces, e.g. metal plate, reflecting the light of an external light source combined with a la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40Welcome lights, i.e. specific or existing exterior lamps to assist leaving or approaching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900/00Features of lamps not covered by other groups in B60Q
    • B60Q2900/30Lamps commanded by wireless transmiss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차내 조사 제어 시스템은 이동 통신기(1) 및 차내 유닛(100)을 포함한다. 이동 통신기(1)는 요청 신호 중 하나를 수신하고,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 차내 유닛(100)은 다중 송신기(2a 내지 2e)와, 수신기(3)와, 비교 ECU(4) 및 제어 ECU(9)를 포함한다. 다중 송신기(2a 내지 2e)는 차량(10)의 다른 부분에 각각 설치된다. 다중 송신기(2a 내지 2e)는 다른 통신 영역(30a 내지 30e)의 요청 신호를 각각 전송한다. 특정 ECU(4)는 요청 신호 중 하나를 전송하는 다중 송신기(2a 내지 2e) 중 하나를 특정한다. 제어 ECU(9)는 송신기(2a 내지 2e) 중 특정된 하나에 대응하는 다중 조명 장치(20 내지 26) 중 하나를 켠다.
차내 조사 제어 시스템, 이동 통신기, 차내 유닛, 요청 신호, 응답 신호, 다중 송신기, 수신기, 비교 ECU, 제어 ECU, 통신 영역, 다중 조명 장치

Description

차내 조사 제어 시스템 및 방법{ON-BOARD ILLUMINATION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내 조사 제어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2는 차내 조사 제어 시스템의 조사 제어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3은 차량의 조명 장치와 차량의 문 사이의 제1 대응을 도시하는 도면.
도4는 조명 장치와 문 사이의 제2 대응을 도시하는 도면.
도5는 조명 장치와 문 사이의 제3 대응을 도시하는 도면.
도6은 조명 장치와 문 사이의 제4 대응을 도시하는 도면.
도7은 차내 유닛에 의해 실행된 공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8은 차내 유닛에 의해 실행된 스마트 조사 제어에 대한 공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동 통신기
1C : 이동 ECU
2a 내지 2e : 외부 송신기
2f : 내부 송신기
3 : 수신기
4 : 비교 ECU
5a 내지 5e : 잠금 제어 유닛
6a 내지 6e : 도어 핸들
6a1 내지 6e1 : 터치 센서
7 : 본체 ECU
9 : 조사 제어 장치
10 : 차량
11 내지 15 : 도어
19 : 조사 ECU
20 내지 26 : 조명 장치
30a 내지 30e : 통신 영역
41 : 메모리
100 : 차내 유닛(100)
본 발명은 이동 통신기와 차내 유닛을 포함하고 이동 통신기와 차내 유닛 사이의 통신을 기초로 한 차량의 조사를 제어하는 차량용 차내 조사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용 차내 조사 제어 시스템은 차량에 설치된 차내 유닛과 차량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는 이동 통신기 사이의 통신을 기초로 한 차량의 조사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JP 2004-225471A에 개시된 차내 조사 제어 시스템은 이동 통신기 및 차내 유닛을 포함하고, ID 입증이 성공적일 때 차량 양측의 백미러 아래에 위치된 조명 장치를 켜고, 상기 ID는 이동 통신기와 차내 유닛 사이의 통신을 통해 성공적으로 전사된다. 차내 기판 조사 제어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이동 통신기를 가진 차량 사용자가 사이드 미러 주위의 상황을 쉽게 점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동 통신기를 가진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JP 2004-225471A의 차내 조사 제어 시스템은 이동 통신기와 차내 유닛 사이의 통신을 기초로 한 사이드 미러의 양쪽 조명 장치 모두를 켠다. 그러나, 조명 장치 중 사용자에 가까운 하나만이 사용자가 문을 쉽게 작동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먼 조명 장치는 사용자가 가까이 가는 차량 측면의 상황을 점검함에 있어 편의의 향상에 거의 도움을 주지 못한다 하더라도 전력을 소비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통신기를 가진 사용자가 차량에 가까이 갈 때, 차량의 조명 장치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차내 조사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차량용 차내 조사 제어 시스템은 이동 통신기 및 차내 유닛을 포함한다. 이동 통신기는 요청 신호 중 하나를 수신하고, 수신된 요 청 신호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 차내 유닛은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응답 신호를 기초로 하여 차량에 설치된 다중 조명 장치를 제어한다.
또한, 차내 유닛은 다중 송신기, 수신기, 특정 수단 및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다중 송신기는 차량의 각각 다른 부분에 설치된다. 다중 송신기는 다른 통신 영역에 요청 신호를 각각 전송한다. 수신기는 이동 통신기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특정 수단은 이동 통신기가 수신된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것에 응답하여 요청 신호 중 하나를 전송하는 다중 송신기 중 하나를 특정한다. 제어 수단은 다중 송신기 중 특정된 하나에 대응하여 조명 장치 중 하나를 켠다.
이동 통신기를 가진 차량 사용자가 차량에 가까이 접근하고, 통신 영역 중 하나에 진입하면, 응답 신호는 이동 통신기로부터 차내 유닛으로 전송된다. 이 경우에, 특정 수단은 이동 통신기가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것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기 중 하나를 특정한다. 그 후, 제어 수단은 특정된 송신기에 대응하는 조명 장치 중 하나를 켠다.
그러므로, 차내 조사 제어 시스템은 이동 통신기를 가진 사용자가 가까이 접근하는 차량의 일 부분에 따라 조명 장치 중 하나를 켠다. 차내 조사 제어 시스템은 따라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필요한 조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차량 이용자에 의해 휴대된 이동 통신기를 가진 통신에 대한 차내 유닛이 차량의 도어 상태를 원격으로 조정하는 것에 대한 이동 통신기로부터의 전송된 신호를 수신한다. 차내 유닛은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이동 통 신기의 위치를 판정하고, 다른 조명 장치들보다 이동 통신기의 판정된 위치에 더 가까운 하나 또는 제한된 수의 조명 장치를 켠다.
추가적인 목적, 특징 및 장점과 함께 본 발명은 다음의 설명, 첨부된 청구범위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잘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내 조사 제어 시스템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내 유닛(100) 및 이동 통신기(1)를 포함한다. 따라서 시스템은 이동 통신기(1)와 차내 유닛(100) 사이의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된 코드 중 하나를 비교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차량(10)의 도어(11 내지 15) 각각의 잠김/열림 상태를 제어한다. 차내 유닛(100)은 차량 이용자가 이동 통신기(1)를 가지고 가까이 접근하면 하나 이상의 문에 관련된 하나 이상의 조명 장치를 켜기 위한 스마트 조사 제어를 실행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기(1)는 수신기(1a), 송신기(1b), 이동 ECU(1c)를 포함한다. 수신기(1a)는 차량 외부 송신기(2a 내지 2e) 및 차량 내부 송신기(2f)로부터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 외부 송신기(2a 내지 2e)는 도어(11 내지 15)에 각각 설치된다. 도어(11)는 차량(10)의 운전석에 인접한다. 도어(12)는 운전석 뒷자석에 인접하고 이후부터는 DR석(12)으로 언급된다. 도어(13)는 차량(10)의 승객석에 인접한다. 도어(14)는 승객석의 뒷좌석에 인접하고, 이후부터는 PR석으로 언급된다. 도어(15)는 차량(10)의 트렁크 공간을 위한 것이고, 이후부터는 TR석으로 언급된다. 차량 내부 송신기(2f)는 차량(10)의 승객용 칸막이에 설치된다.
송신기(1b)는 사용자 ID코드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전송한다. 이동 ECU(1c)는 수신기(1a) 및 송신기(1b)와 연결되고, 여러 종류의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이동 ECU(1c)는 수신기(1a)가 요청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수신기(1a)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판정한다. 이동 ECU(1c)는 또한, 사용자 ID 코드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생성하고, 송신기(1b)가 응답 신호를 전송하게 한다.
차내 유닛(100)은 차량 외부 송신기(2a 내지 2e)와 차량 내부 송신기(2f) 이외에, 수신기(3), 비교 ECU(4), 잠금 제어 유닛(5a 내지 5e), 도어 핸들(6a 내지 6e), 본체 ECU(7), 중계 회로(8) 및 조사 제어 장치(9)를 포함한다. 송신기(2a 내지 2f)는 비교 ECU(4)으로부터의 명령 신호를 기초로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비교 ECU(4)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대응 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41)를 포함한다.
요청 신호를 전송한 차량의 외부 송신기(2a 내지 2e) 중 하나로부터 요청 신호가 거리(예를 들어, 0.7미터 내지 1.0미터 범위의 거리)에 도달하도록 차량의 외부 송신기(2a 내지 2e)는 설계된다. 따라서, 차량 외부 송신기(2a 내지 2e)의 각각은 이동 통신기(1)가 송신기로부터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 영역을 가진다.
차내 유닛(100)은 차량(10)이 주차되고 도어(11 내지 15)가 열려있을 때, 이동 통신기(1)가 차량(10)에 인접하게 접근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내부 송신기(2f)는 이동 통신기(1)가 차량 내부 송신기(2f)로부터 요청 신호를 수 신할 수 있는 그 통신 영역을 가진다. 차량 내부 송신기(2f)의 통신 영역은 승객 칸막이의 영역을 커버한다. 따라서, 차내 유닛(100)은 이동 통신기(1)가 승객 칸막이에 들어오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차량 내부 송신기(2f)는 승객 칸막이에 위치되는 두 개의 송신기에 의해 구성될 수 있고, 승객 칸막이의 전체 영역으로서 커버하는 각각의 두 개의 통신 영역을 가진다.
수신기(3)는 승객 칸막이에 설치된다. 비교 ECU(4)가 요청 신호를 전송하라는 요청을 하는 명령 신호를 송신기(2a 내지 2f)에 출력할 때와 동시에 비교 ECU(4)는 수신기(3)가 응답 신호를 수신할 준비가 되도록 한다. 이동 통신기(1)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수신기(3)는 비교 ECU(4)에 수신된 응답 신호를 출력한다. 비교 ECU(4)는 사용자 ID코드가 소정의 사용자 인증 코드인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수신된 응답 신호의 사용자 ID 코드를 소정의 사용자 인증 코드와 비교한다. 예를 들어, 비교 ECU(4)는 사용자 ID 코드가 사용자 인증코드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사용자 인증 코드와 사용자 ID 코드를 비교한다.
본체 ECU(7)는 차량의 엔진 스위치의 사용자 작동을 기초로 하는 전력 공급을 제어한다. 또한, 본체 ECU(7)는 비교 ECU(4)에 의한 비교를 기초로 하여 도어(11 내지 15)의 잠김/열림 상태를 제어한다. 또한, 본체 ECU(7)는 도어(11 내지 15)의 잠김/열림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각각의 도어(11 내지 15)에 위치된 잠금 제어 유닛(5a 내지 5e)으로 출력한다. 차내 장치에 전력을 공급함에 있어, 본체 ECU(7)는 베터리(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차내 장치까지 전력을 공급하도록 중계 회로(8)를 기동시킨다. 본체 ECU(7)는 엔진 스위치, 브레이크 패달 센서(도시 되지 않음) 및 이동 위치 센서(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신호를 포함하는 여러 종류의 신호를 수신한다.
각각의 잠금 제어 유닛(5a 내지 5e)은 잠금 제어 유닛이 설치된 도어(11 내지 15) 중 하나를 잠그고 연다. 또한, 각각의 잠금 제어 유닛(5a 내지 5e)은 본체 ECU(7)로부터 잠금 신호 또는 열림 신호를 각각 수신하는 전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도어 잠금 모터를 포함한다. 도어는 도어 잠금 모터가 전방향으로 회전할 때 잠기고, 도어 잠금 모터가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열린다.
도어 핸들(6a 내지 6e)는 터치 센서(6a1 내지 6e1)를 각각 포함한다. 터치 센서(6a1 내지 6e1)는 이동 통신기(1)를 가진 사용자가 도어 핸들(6a 내지 6e)를 터치하고 작동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데 사용된다. 도어(11 내지 15)는 도어 핸들(6a 내지 6e) 중 하나의 작동이 검출될 때 열린다. 도어 핸들(6a 내지 6e)은 또한 도어 잠금 스위치(6a2 내지 6e2)를 각각 포함한다. 각각의 도어 잠금 스위치(6a2 내지 6e2)는 누름 스위치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도어(11 내지 15)는 도어 잠금 스위치(6a2 내지 6e2) 중 하나가 작동될 때 잠긴다. 도어 핸들(6a 내지 6e)는 각각의 차량 외부 송신기(2a 내지 2e)를 위한 안테나로서의 역할을 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차량 외부 송신기(2a 내지 2e)용 통신 영역(30a 내지 30e)은 각각의 도어(11 내지 15)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차량 외부 송신기(2a 내지 2e)에 의해 전송된 요청 신호는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차량 외부 송신기(2a 내지 2e) 중 하나를 유일하게 특정하는 송신기 코드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송신기(2a 내지 2e) 중 하나로부터의 요청 신호의 시간 종속성은 송신기(2a 내지 2e) 중 다른 것으로부터의 요청 신호의 시간 종속성과 다르다. 이동 통신기(1)는 송신기 코드를 포함하는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전송하도록 송신기 코드를 응답 신호에 넣는다. 즉, 이동 통신기(1)는 차량 외부 송신기로부터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전송하도록 차량 외부 송신기에 대한 유일한 송신기 코드를 응답 신호에 넣는다. 결과적으로, 응답 신호의 시간 종속성은 수신된 응답 신호의 시간 종속성에 따라 바뀐다. 그러므로, 이동 통신기(1)는 이동 통신기(1)에 의해 수신된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차량의 외부 송신기(2a 내지 2e) 중 하나의 응답 신호의 송신기 코드를 기초로 특정될 수 있다.
다르게, 비교 ECU(4)는 차량의 외부 송신기(2a 내지 2e)가 서로 다른 타이밍에서 요청 신호를 전송하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차내 유닛(100)은 이동 통신기(1)에 의해 수신된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차량의 외부 송신기(2a 내지 2e) 중 하나를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순간의 시간을 기초로 특정할 수 있다.
수신된 응답 신호의 수신된 사용자 ID와 사용자 인증 코드 사이의 비교 결과가 성공적일 때, 즉 수신된 사용자 ID 코드가 소정의 사용자 인증 코드를 가질 때, 비교 ECU(4)는 이동 통신기(1)가 수신된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것에 응답하여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차량의 외부 송신기(2a 내지 2e) 중 하나에 대한 조사 제어 장치(9) 정보를 출력한다. 조사 제어 장치(9)는 비교 ECU(4)로부터의 이 정보를 기초로 하여 스마트 조사 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조사 제어 장치(9)는 사용자가 이동 통신기(1)를 가지고 가깝게 접근하는 하나 이상의 도어(11 내지 15)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조명 장치를 켠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사 제어 장치(9)는 종래의 조명 장치(20 내지 26) 및 조사 ECU(19)를 포함한다. 조명 장치(20 내지 26)는 차량(10)의 다른 부분에 설치된다. 조사 ECU(19)는 비교 ECU(4)로부터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이동 통신기(1)를 가진 사용자가 가깝게 접근하는 도어(11 내지 15) 중 하나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조명 장치(20 내지 26)를 켜기 위한 기동 신호를 출력한다.
조명 장치(20 내지 26)의 그룹은 운전석에 가장 가까운 오른쪽 사이드 미러 아래에 설치된 조명 장치(이후부터는 D 조명 장치로 언급됨, 20), 승객석에 가장 가까운 왼쪽 사이드 미러 아래에 설치된 조명 장치(이후부터는 P 조명 장치로 언급됨, 21), 차량(10)의 전방 오른쪽 코너에 설치된 전방 조명(이후부터는 DF 조명 장치로 언급됨, 22), 차량(10)의 전방 왼쪽 코너에 설치된 전방 조명(이후부터는 PF로 언급됨, 23), 차량(10)의 후방 오른쪽 코너에 설치된 후방 조명(이후부터는 DR 조명 장치로 언급됨, 24), 차량(10)의 후방 왼쪽 코너에 설치된 후방 조명(이후부터는 PR 조명 장치로 언급됨, 25) 및 승객 칸막이에 설치된 조명 장치(이후부터는 R 조명 장치, 26)로 언급됨)로 구성된다. 종래의 조명 장치는 방향 표시등, 안개등, 코너링등, 브레이크등 및 역전등과 같은 다른 조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 장치(20 내지 26)를 사용함으로써, 차내 유닛(100)은 스마트 조사 제어를 위해 특별히 만들어진 조명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차내 유닛(100)의 제조 비용이 감소된다.
조명 장치(20, 21, 24 및 25)는 도3에 도시된 조명 장치와 도어 사이의 대응(이후부터는 제1 대응으로 언급됨)을 나타내는 대응 데이타의 도어(11 내지 15) 와 서로 관련된다. 제1 대응에서, 운전석의 도어(11)는 D 조명 장치(20)에 대응한다. 승객석의 도어(13)는 P 조명 장치(21)에 대응한다. 운전석 뒷자석인 후방석(이후부터는 DR 석으로 언급됨)의 도어(12)는 D 조명 장치(20) 및 DR 조명 장치(24)에 대응한다. 승객석의 뒷자석인 후방석(이후부터는 PR 석으로 언급됨)의 도어(14)는 P 조명 장치(21) 및 PR 조명 장치(25)에 대응한다. 후방 트렁크의 도어(15)는 DR 조명 장치(24) 및 PR 조명 장치(25)에 대응한다.
몇몇의 조명 장치(20, 21, 24 및 25)는 이동 통신기(1)를 가진 사용자가 도어 중 하나에 가깝게 접근할 때 제1 대응에 따라 켜진다. 차내 유닛(100)은 사용자가 차량(10)에 의해 환영받는다고 느끼게 만들 수 있다. 그러므로 차내 유닛(100)의 편의가 향상된다.
대응 데이타는 도4에 도시된 다른 대응(이후부터는 제2 대응으로 언급됨)을 나타낼 수 있다. 제2 대응은 DR 석의 도어(12)가 DR 조명 장치(24)에만 대응하고, PR 석의 도어(14)가 PR 조명 장치(25)에만 대응한다는 점에서 제1 대응과 다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 통신 영역(30a 내지 30g)는 중첩될 수 있다. 이동 통신기(1)를 가진 사용자가 두 개의 이웃 통신 영역이 중첩되는 영역으로 진입할 때, 사용자는 이웃 통신 영역에 대응하는 임의의 도어를 향할 수 있다.
제2 대응에 따라서, D 조명 장치(20) 및 DR 조명 장치(24)는 통신 영역(30a 및 30b)이 중첩되는 영역으로 이동 통신기(1)를 가진 사용자가 진입할 때 동시에 켜진다. 또한, P 조명 장치(21) 및 PR 조명 장치(25)는 통신 영역(30c 및 30d)가 중첩되는 영역으로 이동 통신기(1)를 가진 사용자가 진입할 때 동시에 켜진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향하는 방향의 도어에 대응하는 조명 장치가 켜진다.
대응 데이타는 도5에 도시된 다른 대응(이후부터는 제3 대응으로 언급됨)을 나타낼 수 있다. 제3 대응은 운전석의 도어(11)가 DF 조명 장치(20) 및 D 조명 장치(22)에 대응하고, 승객석의 도어(13)가 PF 조명 장치(21) 및 PR 조명 장치(23)에 대응한다는 점에서 제1 대응과 다르다.
대응 데이타는 도6에 도시된 다른 대응(이후부터는 제4 대응으로 언급됨)을 나타낼 수 있다. 제4 대응은 운전석의 도어(11), 승객석의 도어(13), DR 석의 도어(12) 및 PR 석의 도어(14)가 추가적으로 R 조명 장치(26)에 대응한다는 점에서 제1 대응과 다르다.
다른 대응들을 도어와 방향 표시등, 안개등, 코너링등, 브레이크등 및 역전등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사이에서 판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세한 설명은 도어(11 내지 15)를 열고 스마트 조사 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ID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하여 비교 ECU(4), 본체 ECU(7) 및 조사 ECU(19)의 작동을 도7의 흐름도를 참조로 설명한다. 흐름도의 처리는 차량(10)의 엔진이 작동되지 않고, 도어(11 내지 15)가 잠겨진 소정의 구간에서 반복적으로 실행된다.
단계(S10)에서, 비교 ECU(4)는 차량 외부 송신기(2a 내지 2e)가 각각의 송신기 코드를 포함하는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기 위해 명령 신호를 차량의 외부 송신기(2a 내지 2e)에 출력한다. 결과적으로 단계(S20)에서, 비교 ECU(4)는 수신기(3)가 요청 신호 중 하나에 응답하여 이동 통신기(1)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 는지 여부를 판정하게 한다. 단계(S20)에서의 판정이 부정이면(NO) 즉, 이동 통신기(1)가 차량의 외부 송신기(2a 내지 2e)의 통신 영역(30a 내지 30e)에 있지 않다고 비교 ECU(4)가 판정할 때, 비교 ECU(4)는 도7에 도시된 처리의 실행을 멈춘다. 단계(S20)의 판정이 긍정이면(YES), 비교 ECU(4)는 그 후 단계(S30)를 실행한다.
단계(S30)에서, 비교 ECU(4)는 응답 신호의 사용자 ID 코드와 소정의 사용자 인증 코드를 가지는지 여부를 비교하게 한다. 단계(S30)에서의 비교가 긍정이면, 비교 ECU(4)는 그 후 단계(S40)을 실행한다. 단계(S30)의 비교가 부정이면, 즉 사용자 ID 코드가 소정의 사용자 인증 코드를 가지지 않으면, 비교 ECU(4)는 그 후 도7에 도시된 처리의 실행을 멈춘다.
단계(S40)에서, 비교 ECU(4)는 도8에 참조로 더 자세히 설명된 스마트 조사 제어를 실행한다. 단계(S40)에서 스마트 조사 제어는 아래에 자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도어(11 내지 15)가 잠길 때 실행된다.
단계(S50)에서, 비교 ECU(4)는 응답 신호를 포함하는 송신기 코드 또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순간의 시간을 기초로 하여, 이동 통신기(1)가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부터 차량의 외부 송신기(2a 내지 2e) 중 하나를 특정한다. 차량의 외부 송신기(2a 내지 2e)의 위치는 도어(11 내지 15)의 각각의 위치와 대응(좀 더 자세히, 인접한)한다. 비교 ECU(4)는 특정된 차량 외부 송신기에 대응하는 도어(11 내지 15) 중 하나에 터치 센서(6a1 내지 6e1) 중 하나를 기동시킨다. 따라서, 도어(11 내지 15) 중 하나는 열릴 준비를 하게 된다.
단계(S60)에서, 비교 ECU(4)는 기동된 터치 센서로부터 신호의 수단에 의해, 열릴 준비를 하는 도어의 도어 핸들(6a 내지 6e) 중 하나가 이동 통신기(1)를 가진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비교 ECU(4)는 작동이 검출될 때까지 도어의 작동을 기다린다. 그러나, 비교 ECU(4)는 작동이 소정의 기간동안 검출되지 않으면, 단계(S10 내지 S50)을 실행한다.
단계(S60)의 판정이 긍정이면, 비교 ECU(4)는 그 후 단계(S70)를 실행하고, 본체 ECU(7)가 도어(11 내지 15)를 열리게 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동 통신기(1)를 가진 사용자와 차량(10)으로 들어갈 다른 사람은 도어(11 내지 15)를 열리게 하기 위한 임의의 추가적인 작동을 하지 않아도 간단히 도어(11 내지 15)를 열 수 있다.
조사 제어 장치(9)의 조사 ECU(19)는 이동 통신기(1)로 수신된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차량의 외부 송신기(2a 내지 2e) 중 하나에 대한 비교 ECU(4)로부터의 정보를 기초로 도3에 도시된 제1 대응에 따라서 조명 장치(20, 21, 24 및 25)를 제어하도록 도8에 도시된 스마트 조사 제어를 실행한다.
스마트 조사 제어에서, 조사 ECU(19)는 이동 통신기(1)가 운전석에 인접한 통신 영역(이후부터는 D 영역으로 언급됨, 30a) 및 DR 석에 인접한 통신 영역(이후부터는 DR 영역으로 언급됨, 30b)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포함된 공간에서 차량 외부 송신기(2a 내지 2e) 중 하나 이상과 통신하는지 여부를 단계(S110)에서 판정하게 한다. 단계(S110)의 판정이 긍정이면, 조사 ECU(19)는 단계(S120)에서 D 조명 장치(20)를 켠다. 그 이유는 이동 통신기(1)를 가진 사용자가 운전석의 도어(11) 에 가까이 접근할 때와 이동 통신기(1)를 가진 사용자가 DR 석의 도어(12)에 가까이 접근할 때 양쪽 모두의 경우에 D 조명 장치(20)를 켜야하기 때문이다. 단계(S110)의 판정이 부정이면, 조사 ECU(19)는 단계(S130)에서 D 조명 장치(20)를 끈다.
조사 ECU(19)는 이동 통신기(1)가 승객석에 인접한 통신 영역(이후부터는 P 영역으로 언급됨, 30c) 및 PR 석에 인접한 통신 영역(이후부터는 PR 영역으로 언급됨, 30d)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포함된 공간에서 차량 외부 송신기(2a 내지 2e) 중 하나 이상과 통신하는지 여부를 단계(S140)에서 판정하게 한다. 단계(S140)의 판정이 긍정일 때, 조사 ECU(19)는 단계(S150)에서 P 조명 장치(21)를 켠다. 따라서, 이동 통신기(1)를 가진 사용자가 운전석의 도어(13)에 가까이 접근할 때와 이동 통신기(1)를 가진 사용자가 PR 석의 도어(14)에 가까이 접근할 때 양쪽 모두의 경우에 P 조명 장치(21)는 켜진다. 단계(S140)의 판정이 부정일 때, 조사 ECU(19)는 단계(S160)에서 P 조명 장치(21)를 끈다.
조사 ECU(19)는 이동 통신기(1)가 DR 영역(30b)과 차량의 트렁크 공간에 인접한 통신 영역(이후부터는 TR 영역으로 언급됨, 30e)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포함된 공간에서 차량 외부 송신기(2a 내지 2e) 중 하나 이상과 통신하는지 여부를 단계(S170)에서 판정하게 한다. 단계(S170)의 판정이 긍정일 때, 조사 ECU(19)는 단계(S180)에서 DR 조명 장치(24)를 켠다. 따라서, 이동 통신기(1)를 가진 사용자가 DR 석의 도어(12)에 가까이 접근할 때와 이동 통신기(1)를 가진 사용자가 트렁크의 공간의 도어(15)에 가까이 접근할 때 양쪽 모두의 경우에 DR 조명 장치(24)는 켜진 다. 단계(S170)의 판정이 부정일 때, 조사 ECU(19)는 단계(S190)에서 DR 조명 장치(24)를 끈다.
조사 ECU(19)는 이동 통신기(1)가 PR 영역(30d)과 TR 영역(30e)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포함된 공간에서 차량 외부 송신기(2a 내지 2e) 중 하나 이상과 통신하는지 여부를 단계(S200)에서 판정하게 한다. 단계(S200)의 판정이 긍정일 때, 조사 ECU(19)는 단계(S210)에서 PR 조명 장치(25)를 켠다. 따라서, 이동 통신기(1)를 가진 사용자가 PR 석의 도어(14)에 가까이 접근할 때와 이동 통신기(1)를 가진 사용자가 트렁크의 공간의 도어(15)에 가까이 접근할 때 양쪽 모두의 경우에 PR 조명 장치(25)는 켜진다. 단계(S200)의 판정이 부정일 때, 조사 ECU(19)는 단계(S220)에서 PR 조명 장치(25)를 끈다.
조사 ECU(19)는 이동 통신기(1)를 가진 사용자가 차량(10)으로 들어갈 때 스마트 조사 제어에 의해 켜지는 조명 장치를 끌 수 있다. 도어(11 내지 15) 중 하나의 열림 및 닫힘과 엔진의 시동을 기초로 하여, 조사 ECU(19)는 이동 통신기(1)를 가진 사용자가 차량(10)으로 진입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특정된 바와 같이, 스마트 조사 제어를 실행함으로서, 이동 통신기(1)를 가진 사용자가 차량(10)에 가까이 접근할 때 차량(10)의 조명장치를 적절히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특정된 실시예와 도시된 도면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방식의 수정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중 안테나는 차량(10)의 다른 부분에서 제공될 수 있고, 차내 유닛(100)은 다중 안테나와 동시에 이동 통신기(1)로부터 도어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차내 유닛(100)은 그 후 다중 안테나에서 수신된 제어 신호의 강도의 차이를 기초로 하여 이동 통신기(1)의 위치를 판정할 수 있다. 차내 유닛(100)은 그 후 조명 장치(20 내지 26) 보다 이동 통신기(1)의 판정된 위치에 더 가까운 하나 또는 제한된 수의 조명 장치(20 내지 26)를 켤 수 있다.
이런 경우, 차내 유닛(100)은 요청 신호를 전송할 필요가 없다. 또한, 이동 통신기(1)는 차량 도어 상태를 원격으로 조정하기 위한 이동 통신기(1)의 사용자 메뉴얼 작동에 응답하여 도어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통신기를 가진 사용자가 차량에 가까이 갈 때, 차량의 조명 장치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차내 조사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차량(10)용 차내 조사 제어 시스템이며,
    요청 신호 중 하나를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 통신기(1)와,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응답 신호를 기초로 하여 차량(10)에 설치된 다중 조명 장치(20 내지 26)를 제어하기 위한 차내 유닛(100)을 포함하고,
    상기 차내 유닛(100)은,
    다른 통신 영역(30a 내지 30e)에 각각 요청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차량(10)의 다른 부분에 각각 설치된 다중 송신기(2a 내지 2e)와,
    이동 통신기(1)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3)와,
    이동 통신기(1)가 수신된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것에 응답하여 요청 신호 중 하나를 전송하는 다중 송신기(2a 내지 2e) 중 하나를 특정하기 위한 특정 수단(4)과,
    다중 송신기(2a 내지 2e) 중 특정된 하나에 대응하여 조명 장치(20 내지 26) 중 하나를 켜기 위한 제어 수단(9)을 포함하는 차량(10)용 차내 조사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다중 송신기(2a 내지 2e)는 다른 시간 종속성을 가진 요청 신호를 각각 전송하고,
    이동 통신기(1)는 응답 신호의 시간 종속성이 요청 신호 중 수신된 하나의 시간 종속성에 따라서 바뀌도록 전송될 응답 신호를 구성하고,
    특정 수단(4)은 수신된 응답 신호의 시간 종속성을 기초로 하여 다중 송신기(2a 내지 2e) 중 하나를 특정하는 차내 조사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다중 송신기(2a 내지 2e)는 다른 시간 주기로 요청 신호를 각각 전송하고, 특정 수단(4)은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순간의 시간을 기초로 다중 송신기(2a 내지 2e) 중 하나를 특정하는 차내 조사 제어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중 송신기(2a 내지 2e)는 차량(10)의 다른 도어(11 내지 15)에 각각 가깝게 설치되고,
    통신 영역(30a 내지 30e)은 다른 도어(11 내지 15) 각각에 가깝게 위치되고,
    각각의 도어(11 내지 15)는 다중 조명 장치(20 내지 26) 중 하나 이상에 대응하고,
    제어 수단(9)이 켜는 조명 장치(20 내지 26) 중 하나가 다중 송신기(2a 내지 2e) 중 특정된 하나에 가까운 도어(11 내지 15) 중 하나에 대응하는, 차내 조사 제어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9)은 차량의 도어(11 내지 15)가 잠긴 것을 기초로 하여 조명 장치(20 내지 26) 중 하나를 켜는 차내 조사 제어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 통신기(1)는 요청 신호 중 다른 하나를 수신하고, 요청 신호 중 수신된 다른 것에 응답하여 다른 응답 신호를 전송하고,
    차내 유닛(100)은 다른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다른 응답 신호를 기초로 하여 다중 조명 장치(20 내지 26)를 제어하고,
    수신기(3)는 이동 통신기(1)로부터 다른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특정 수단(4)은 수신된 다른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 통신기(1)에 응답하여 요청 신호 중 다른 하나를 전송하는 다중 송신기(2a 내지 2e) 중 다른 하나를 특정하고,
    제어 수단(9)은 다중 송신기(2a 내지 2e) 중 특정된 하나에 가까운 도어(11 내지 15) 중 하나에 대응하는 조명 장치(20 내지 26) 중 하나와, 다중 송신기(2a 내지 2e) 중 특정된 다른 하나에 가까운 도어(11 내지 15) 중 다른 하나에 대응하는 조명 장치(20 내지 26) 중 다른 하나를 동시에 켜는 차내 조사 제어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20 내지 26)는 차량(10)의 사이드 미러 아래에 설치된 조명 장치(20, 21), 위치등(22, 23), 방향 표시등, 안개등, 코너링등, 브레이크등, 역전등 및 차량(10)의 승객 칸막이에 설치된 조명 장치(26) 중 하나를 포함하는 차내 조사 제어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도어(11 내지 15)와 조명 장치(20 내지 26) 사이에 대응 데이타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4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9)은 대응 데이타를 기초로 하여 조명 장치(20 내지 26) 중 하나를 특정하는 차내 조사 제어 시스템.
  9. 제4항에 있어서, 도어(11 내지 14)는 차량(10)의 운전석에 인접한 제1 도어(11)와, 운석석 뒷자석의 후방석에 인접한 제2 도어(12)와, 차량(10)의 승객석에 인접한 제3 도어(13)와, 승객석 뒷자석의 후방석에 인접한 제4 도어(14)를 포함하고,
    제1 도어(11)는 제1 도어 옆의 사이드 미러 아래의 제1 조명 장치(20)에 대응하고,
    제2 도어(12)는 운석석 뒷자석에 차량(10)의 후방 부분의 제2 조명 장치(24)에 대응하고,
    제3 도어(13)는 제3 도어 옆의 사이드 미러 아래의 제3 조명 장치(21)에 대응하고,
    제4 도어(14)는 승객석 뒷자석의 차량(10)의 후방 부분의 제4 조명 장치(25)에 대응하는 차내 조사 제어 시스템.
  10. 다른 위치에 제공된 복수의 조명 장치(20 내지 26) 및 차량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는 이동 통신기(1)와 통신하기 위한 차내 유닛(100)을 가진 차량용 차내 조사 제어 방법이며,
    차내 유닛(100)에 의해 차량의 도어 상태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해 이동 통신기(1)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0)와,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차내 유닛(100)에 의해 이동 통신기(1)의 위치를 판정하는 단계(S110, S140, S170, S200)와,
    조명 장치(20 내지 26)의 다른 것들 보다 이동 통신기(1)의 판정된 위치에 더 가까운 하나 또는 제한된 수의 조명 장치(20 내지 26)를 차내 유닛(100)에 의해 켜는 단계(S120, S150, S180, S210)를 포함하는 차내 조사 제어 방법.
KR1020060072971A 2005-08-03 2006-08-02 차내 조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802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971A KR100802254B1 (ko) 2005-08-03 2006-08-02 차내 조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25543 2005-08-03
KR1020060072971A KR100802254B1 (ko) 2005-08-03 2006-08-02 차내 조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6997A KR20070016997A (ko) 2007-02-08
KR100802254B1 true KR100802254B1 (ko) 2008-02-11

Family

ID=41339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2971A KR100802254B1 (ko) 2005-08-03 2006-08-02 차내 조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225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294A (ko) * 1997-10-24 1999-05-15 양재신 원격조정 탑승구 조명장치
KR200218979Y1 (ko) 2000-10-20 2001-04-02 블루솔텍주식회사 휴대용 무선통신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의 도어/시동제어장치
KR20010081581A (ko) * 2000-02-16 2001-08-29 김병환 자동차의 센서라이트
JP2002120643A (ja) 2000-10-16 2002-04-23 Mitsubishi Cable Ind Ltd 自動車用室外灯の制御装置
JP2002168025A (ja) 2000-12-04 2002-06-11 Mazda Motor Corp 車両用解錠システム
JP2002211311A (ja) 2001-01-15 2002-07-31 Mazda Motor Corp 車両用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294A (ko) * 1997-10-24 1999-05-15 양재신 원격조정 탑승구 조명장치
KR20010081581A (ko) * 2000-02-16 2001-08-29 김병환 자동차의 센서라이트
JP2002120643A (ja) 2000-10-16 2002-04-23 Mitsubishi Cable Ind Ltd 自動車用室外灯の制御装置
KR200218979Y1 (ko) 2000-10-20 2001-04-02 블루솔텍주식회사 휴대용 무선통신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의 도어/시동제어장치
JP2002168025A (ja) 2000-12-04 2002-06-11 Mazda Motor Corp 車両用解錠システム
JP2002211311A (ja) 2001-01-15 2002-07-31 Mazda Motor Corp 車両用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6997A (ko) 200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30136A1 (en) On-board illumination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US7181189B2 (en) Vehicular remote control system and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US7474199B2 (en) In-vehicle device remote control system
JP3901034B2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CA2540192C (en) Remote controlling key for vehicle
US7205884B2 (en) Vehicle electronic key system
US7576636B2 (en) Driver authorization system
US8089343B2 (en) Smart entry system
US20010028297A1 (en)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JP2004150124A (ja) 車両の遠隔制御装置
CN107945316B (zh) 门控制系统、控制装置和移动装置
JP4742979B2 (ja) 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
JP2009179998A (ja) 車載機器制御システム
JP6347762B2 (ja) 車両制御装置
US7057493B2 (en) Lighting system
JP2016178617A (ja) 車両制御装置
US20180065541A1 (en) Aerial light projection system for locating a motor vehicle
JP2010077665A (ja) スマートエントリシステム
KR100802254B1 (ko) 차내 조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08184770A (ja) 車両用ランプ制御装置
US11066045B2 (en) Authentication system and authentication target device
JP4528604B2 (ja) 通信端末、作動制御装置、及び電子キーシステム
JP2022147394A (ja) 車載機器制御システムおよび車載機器制御システムにおける照明制御方法
JP2006009312A (ja) スマートドアロック制御装置
JP2009215837A (ja) 車両用信号発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