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2174B1 - Basket accepting/drawing structure for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Basket accepting/drawing structure for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2174B1
KR100802174B1 KR1020050109853A KR20050109853A KR100802174B1 KR 100802174 B1 KR100802174 B1 KR 100802174B1 KR 1020050109853 A KR1020050109853 A KR 1020050109853A KR 20050109853 A KR20050109853 A KR 20050109853A KR 100802174 B1 KR100802174 B1 KR 100802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storage space
support roller
sides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98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52145A (en
Inventor
강덕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9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2174B1/en
Publication of KR20070052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21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2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21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83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sing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 A47B88/487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sing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with rollers, ball bearings, wheel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용 바스켓 출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냉장고 본체(30)의 내부에 구비되는 냉장실(31)에 바스켓(41)이 출납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바스켓(41)의 양측면에 각각 한쌍이 구비되는 판스프링(45)에는 관통개구(45a)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개구(45a)에는 회전축(47)이 상하로 길게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47)에는 지지롤러(49)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지지롤러(49)는 상기 바스켓(41)이 상기 냉장실(31)의 내외부로 출납되는 과정에서 그 외주면이 냉장실(31)의 일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한다. 또한 상기 지지롤러(49)는 상기 판스프링(45)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냉장실(31)의 양측면과 상기 바스켓(41)의 양측면 사이의 간격에 따라서 냉장실(31)의 양측면과 바스켓(41)의 양측면 사이에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바스켓이 냉장고의 저장공간의 내외부로 용이하게 출납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sket cashier structure for a refrigerato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ket 41 is installed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31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main body 30 so as to be able to take out and take out. In addition, through-holes 45a are formed in the leaf springs 45 each having a pair on both sides of the basket 41. The through shaft 45a is provided with a rotation shaft 47 extending vertically, and the support roller 49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rotation shaft 47. The support roller 49 is slid in a state in whic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1 while the basket 41 is withdrawn into and out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1. In addition, the support roller 49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1 and the basket 41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both sides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1 and both sides of the basket 41 by the elastic force of the leaf spring 45. It moves between the two sid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ket can be easily put in and out of the storage space of the refrigerator.

냉장고, 저장공간, 바스켓, 판스프링, 지지롤러 Refrigerator, Storage, Basket, Leaf Spring, Support Roller

Description

냉장고용 바스켓 출납구조{Basket accepting/drawing structure for refrigerator}Basket accepting / drawing structure for refrigerator}

도 1은 일반적인 냉장고의 내부구성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typical refrigerator.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용 바스켓 출납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ket cashier structure for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바스켓 출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asket cashier structure for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횡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도 5a 및 도 5b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여 바스켓이 출납하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5a and 5b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the basket is withdraw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0: 본체 31: 냉장실30: main body 31: refrigerator

39: 가이드홈 41: 바스켓39: guide groove 41: basket

42: 수납공간 43: 가이드리브42: storage space 43: guide rib

45: 판스프링 45a: 관통개구45: leaf spring 45a: through opening

45b: 고정홈 47: 회전축45b: fixed groove 47: rotating shaft

49: 지지롤러 49a: 삽입공49: support roller 49a: insertion hole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스켓을 냉장고의 저장공간에 출납가능하게 설치하는 냉장고용 바스켓 출납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sket basket dispensing structure for installing the basket in a storage space of the refrigerator.

도 1에는 일반적인 냉장고의 내부구성이 도시되어 있다.1 shows the internal structure of a typical refrigerator.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10)의 내부에는 식품이 저장되는 냉동실(11)과 냉장실(13)이 구비된다. 상기 냉동실(11)과 냉장실(13)은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그 일단을 중심으로 선단이 본체(10)의 전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냉동실도어(12)와 냉장실도어(14)에 의하여 각각 개폐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refrigerator body 10 includes a freezing compartment 11 and a refrigerating compartment 13 in which food is stored. The freezing chamber 11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13 are i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in the freezing chamber door 12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14, the tip of which is pivotably installed in front and rear of the main body 10. Are opened and closed respectively.

상기 냉동실도어(12)와 냉장실도어(14)의 이면에는 다수개의 도어바스켓(15)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바스켓(15)은 상기 냉동실도어(12)와 냉장실도어(14)의 이면에 상하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다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바스켓(15)에는 식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각각 구비된다.A plurality of door baskets 15 ar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s of the freezing chamber door 12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14. The door basket 15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eezing chamber door 12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14 to be spaced up and down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door basket 15 has a storage space for storing food Each is provided.

한편 상기 냉동실(11)과 냉장실(13)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선반(15)이 구비된다. 상기 선반(17)은 상기 냉동실(11)과 냉장실(13)의 내부에 수평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선반(17)의 상면에는 상기 냉동실(11)과 냉장실(13)의 내부에 저장되는 식품이 안착된다. Meanwhile, a plurality of shelves 15 are provided in the freezing compartment 11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3. The shelf 17 is detachably installed horizontally in the freezing chamber 11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13. In addition, food stor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11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3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helf 17.

또한 상기 냉동실(11)과 냉장실(13)의 내부에는 바스켓(21)이 구비된다. 상기 바스켓(21)은 상기 냉동실(11) 또는 냉장실(13)의 내외부로 출납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기 냉동실(11)과 냉장실(13) 및 바스켓(21)에는 상기 바스켓(21)에는 출납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수단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basket 21 is provided in the freezing chamber 11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13. The basket 21 is installed in and out of the freezing chamber 11 or the refrigerating chamber 13. The freezer compartment 11,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3, and the basket 21 are provided with guide means for guiding a cashier in the basket 21.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용 바스켓출납구조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2 shows a basket cashier structure fo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냉장실(13)(또는 냉동실(11))의 양측면에는 가이드홈(19)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19)은 상기 냉장실(13)(또는 냉동실(11))의 양측면 일부가 상기 본체(10)의 내부를 향하여 길이방향으로 길게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19)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가이드리브(23)가 안착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guide grooves 19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3 (or the freezing chamber 11)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main body 10. The guide groove 19 is formed by recessing a portion of both sides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3 (or the freezing chamber 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Guide ribs 23 to be described below are seated in the guide grooves 19.

상기 냉장실(13)(또는 냉동실(11))의 내외부로 출납가능하게 설치되는 바스켓(21)은 대략 상부가 개구되는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바스켓(21)의 내부에는 소정의 수납공간(2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공간(22)에는 식품이 수납된다. The basket 21, which is installed in and out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3 (or the freezing chamber 11), is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in which an upper portion thereof is opened. A predetermined storage space 22 is provided in the basket 21. Food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22.

한편 상기 바스켓(21)의 양측면 상단에는 가이드리브(23)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리브(23)는 상기 바스켓(21)의 양측면 상단에 전후방으로 길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바스켓(21)의 양측면 상단에서 외측, 즉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다. Meanwhile, guide ribs 23 are provided at upper ends of both sides of the basket 21. The guide ribs 23 are elongated in front and rear at both upper ends of the basket 21 and extend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upper ends of both sides of the basket 21, that is, in directions away from each other.

상기 가이드홈(19)과 가이드리브(23)는 상기 냉장실(13)(또는 냉동실(11))의 내외부를 출납하는 상기 바스켓(21)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바스켓(21)이 상기 냉장실(13)(또는 냉동실(11))의 내외부로 출납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리브(23)가 상기 가이드홈(19)에 안착된 상태로 가이드홈(19)을 따라서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바스켓(21)의 출납이 상기 가이드홈(19) 및 가이드리브(23)에 의하여 가이드된다. The guide grooves 19 and the guide ribs 23 serve to guide the basket 21 to draw in and out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3 (or the freezing chamber 11). In more detail, in the process in which the basket 21 is withdrawn in and out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3 (or the freezing chamber 11), the guide rib 23 is seated in the guide groove 19. By sliding along the furnace guide groove 19, the inlet and out of the basket 21 is guided by the guide groove 19 and the guide rib 23.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용 바스켓출납구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e basket basket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냉장고를 제조하는 과정, 예를 들면, 냉장고 내부에 단열재를 발포하는 과정에서 상기 냉동실(11)과 냉장실(13)의 양측면 또는 후면 일부가 부분적으로 돌출되거나 함몰됨으로써, 상기 냉동실(11) 또는 냉장실(13)의 양측면과 상기 바스켓(21)의 양측면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돌출 또는 함몰되는 상기 냉동실(11) 또는 냉장실(13)의 일부분에 의하여 상기 바스켓(21)이 상기 냉동실(11) 또는 냉장실(13)의 내외부로 출납되는 과정에서 간섭받게 되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refrigerator, for example, foaming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n the refrigerator, both side or rear portions of the freezer compartment 11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3 partially protrude or dent, thereby freezing the compartment 11 or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 The distance between both sides of the 13 and both sides of the basket 21 may not be kept constant. Therefore, a disadvantage arises in that the basket 21 is interfered with the basket 21 by the part of the freezing compartment 11 or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3 which protrudes or recesses in and out of the freezing compartment 11 or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3. It becomes possible.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공간의 내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출납가능하게 설치되는 냉장고용 바스켓 출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sket cashier structure for a refrigerator that can be installed in and out of the storage space more easily.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저장공간의 내외부로 출납가능하게 설치되는 바스켓과, 상기 저장공간의 일측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바스켓의 일측 중 어느 일방에 바스켓의 출납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홈, 상기 저장공간의 일측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바스켓의 일측 중 타방에 바스켓의 출납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가이드리브,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 및 가이드리브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바스켓의 일측에 구비되어 바스켓이 저장공간의 내외부로 출납하는 과정에서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저장공간과 바스켓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바스켓이 상기 저장공간의 내외부로 출납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리브가 상기 가이드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가이드홈을 따라서 슬라이딩함과 동시에 상기 간격유지수단에 의하여 저장공간과 바스켓 사이의 간격이 유지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ket which is installed in and out of the storage space, and one of the one side of the storage space and the corresponding one of the basket. The guide groove is formed long in the basket in and out direction, the one side of the storage space and one side of the basket corresponding to the guide rib is provided long in the basket in and out direction, and the guide groove and the guide rib below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sket is configured to include a gap maintaining means for maintaining a gap between the storage space and the basket by the elastic force in the process of putting the basket in and out of the storage space;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basket into and out of the storage space, the guide rib slides along the guide groove while the guide rib is seated in the guide groove, and the gap between the storage space and the basket is maintained by the gap maintaining means. do.

상기 간격유지수단은, 상기 저장공간의 일측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바스켓의 일측 중 어느 일방에 상기 저장공간과 바스켓 사이의 간격에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타방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여 바스켓의 출납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지지롤러와, 상기 지지롤러가 설치되는 상기 저장공간의 일측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바스켓의 일측 중 어느 일방에서 지지롤러가 밀착되는 타방을 향하는 탄성력을 상기 지지롤러에 부여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gap holding means is rotatably installed in one of the one side of the storage space and one side of the basket corresponding to the gap between the storage space and the basket is rota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to the basket in and out And an elastic member for imparting an elastic force directed to the support roller to which the support roller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storage space in which the support roller is installed and one side of the basket corresponding thereto.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바스켓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판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한다.The elastic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leaf spring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asket.

상기 판스프링은 그 양단이 상기 바스켓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삽입되어 그 중앙부가 상기 저장공간의 일측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U자형상의 횡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leaf spring may be formed such that both ends thereof are inserted into fixing groove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basket, and the center portion thereof has a U-shaped cross section protruding toward one side of the storage space.

상기 판스프링에는 상기 지지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이 구비되는 관통개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지지롤러는 상기 회전축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개구를 관통하여 상기 저장공간의 일측에 밀착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plate springs are provided with through openings each having a rotating shaft rotatably supporting the supporting roller, and the supporting rollers are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storage space through the through openings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rotating shaft. It is done.

삭제delet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바스켓 출납구조에 의하면, 바스켓의 입 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basket cashier structure for refrigerat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basket is easily entered and remov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바스켓 출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asket cashier structure for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바스켓 출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3 and 4 illustrat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asket cashier structure for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30)의 내부에는 냉장실(31)이 구비된다. 상기 냉장실(31)은 식품이 저장되는 곳으로, 대략 전면이 개구되는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a refrigerator compartment 31 is provided inside the refrigerator body 30. The refrigerating chamber 31 is a place where food is stored, and is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having an approximately front surface opening.

상기 냉장실(31)의 양측면에는 가이드홈(39)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39)은 상기 냉장실(31)을 형성하는 이너케이스의 일부가 상기 본체(30)의 내부를 향하여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39)은 상기 냉장실(31)의 양측면에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된다.Guide grooves 39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1. The guide groove 39 is formed by recessing a portion of the inner case forming the refrigerating chamber 31 towar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30. The guide groove 39 is elongated forward and backwar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1.

한편 상기 냉장실(31)에는 바스켓(41)이 출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바스켓(41)은 상기 냉장실(31)에 대응하여 상부가 개구되는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스켓(41)의 내부에는 식품이 수납되는 수납공간(42)이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31) is provided with a basket (41) retractable. The basket 41 is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in which an upper portion thereof is open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refrigerating chamber 31. The basket 41 is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42 for storing food.

상기 바스켓(41)의 양측면 상단에는 가이드리브(43)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리브(43)는 상기 바스켓(41)의 양측면 상단에서 외측, 즉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어 전후방으로 길게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리브(43)는 상기 바스켓(41)이 상기 냉장실(31)의 내외부로 출납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홈(39)에 안착된 상태로 가이드홈(39)을 따라서 슬라이딩하게 된다.Guide ribs 43 are provided at upper ends of both sides of the basket 41. The guide ribs 43 extend outwardly from the upper ends of both sides of the basket 41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and are provided lo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 guide rib 43 slides along the guide groove 39 in a state in which the basket 41 is seated in the guide groove 39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basket 41 into and out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1.

그리고 상기 바스켓(41)의 양측면에는 각각 한쌍의 판스프링(45)이 구비된다. 상기 판스프링(45)은 아래에서 설명할 지지롤러(49)에 상기 냉장실(31)의 일측면을 향하는 탄성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판스프링(45)은 상기 가이드리브(43)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바스켓(41)의 양측면에 전후방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구비된다. And both sides of the basket 41 is provided with a pair of leaf springs 45, respectively. The leaf spring 45 serves to impart an elastic force toward one sid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1 to the support roller 49 to be described below. The leaf springs 45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asket 41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guide rib 43 to be spaced forward and back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판스프링(45)은 그 양단이 상기 바스켓(41)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고정홈(미도시)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자체탄성력 또는 접착제와 같은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45)은 그 양단이 상기 고정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중앙부가 상기 냉장실(31)의 일측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U자형상의 횡단면을 가지게 된다.The leaf springs 45 are fixed by separate fixing means such as self-elastic force or adhesive in the state that both ends thereof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fixing grooves (not show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sket 41. In addition, the leaf spring 45 has a U-shaped cross section in which a central portion thereof protrudes toward one sid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1 in a state where both ends thereof ar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또한 상기 판스프링(45)에는 관통개구(45a)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개구(45a)는 상기 판스프링(45)의 내부가 대략 장방형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냉장실(31)의 일측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상기 판스프링(45)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through-hole 45a is formed in the leaf spring 45. The through opening 45a is formed by cutting the inside of the leaf spring 45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eaf spring 45 protruding toward one side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1.

상기 관통개구(45a)의 직상방 및 직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판스프링(45)에는 고정홈(45b)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45b)은 상기 판스프링(45)에 상하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는 한쌍의 절개선을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하고, 상기 절개선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판스프링(45)의 일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Fixing grooves 45b are formed in the leaf springs 45 that are directly above and below the through opening 45a. The fixing groove 45b has a pair of incision lines that are spaced up and down in the leaf spring 45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nd a part of the leaf springs 45 corresponding to the incision lines are outside. It is bent and formed.

그리고 상기 관통개구(45a)에는 회전축(47)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47)은 상기 관통개구(45a)의 중앙부에 상하로 길게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47)은 적어도 상기 관통개구(45a)의 높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그 상하단이 고정홈(45b)에 삽입된다. The through opening 45a is provided with a rotation shaft 47. The rotary shaft 47 is provided vertically long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through opening 45a. The rotating shaft 47 is formed at least relatively long as compared with the height of the through opening 45a,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ar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45b.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축(47)이 그 상하단이 상기 고정홈(45b)에 삽입됨으로써 고정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판스프링(45)이 서로 마주보는 일면이 고정되는 2개의 판상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47)이 상기 판스프링(45)을 구성하는 2개의 판상부재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otary shaft 47 are fix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45b,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plate spring 45 may be composed of two plate members fixed to one surface facing each other, and the rotating shaft 47 may be fixed between two plate members constituting the plate spring 45. have.

상기 회전축(47)에는 지지롤러(49)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롤러(49)에는 상기 회전축(47)이 삽입되는 삽입공(49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롤러(49)는 상기 바스켓(41)이 상기 냉장실(31)의 내외부로 출납되는 과정에서 그 외주면이 냉장실(31)의 일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한다. The support roller 49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rotation shaft 47. As shown in FIG. 4, the support roller 49 has an insertion hole 49a into which the rotation shaft 47 is inserted. In addition, the support roller 49 slides in a state in whic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1 while the basket 41 is withdrawn from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1.

또한 상기 지지롤러(49)는 상기 냉장실(31)의 양측면과 상기 바스켓(41)의 양측면 사이의 간격에 따라서 냉장실(31)의 양측면과 바스켓(41)의 양측면 사이에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지지롤러(49)의 이동은 상기 판스프링(45)의 탄성력에 의하여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roller 49 moves between both sides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1 and both sides of the basket 41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both sides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1 and both sides of the basket 41. This movement of the support roller 49 is made possibl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leaf spring (45).

한편 상기 판스프링(45)과 지지롤러(49)의 크기는 상기 바스켓(41)이 상기 냉장실(31)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롤러(49)의 외주면 일측이 상기 냉장실(31)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동시에 상기 판스프링(45)이 상기 냉장실(31)의 일측면에서 상기 바스켓(41)의 일측면을 향하는 방향의 외력을 받아서 탄성변형되도록 결정된다. 이는 상기 냉장실(31)의 측면 일부가 상기 바스켓(41)의 일측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상기 냉장실(31)의 측면 일부가 상기 본체(30)의 내부로 함몰되는 경우에도 상기 지지롤러(49)의 외주면이 상기 냉장실(31)의 일측면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On the other hand, the size of the leaf spring 45 and the support roller 49 is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roller 49 in the state in which the basket 41 is accommodated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31. The leaf spring 45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and is determined to be elastically deformed by receiving an external force in a direction toward one side of the basket 41 from one sid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1. This is not only when the side surface portion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1 protrudes toward one side of the basket 41, but also when the side portion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1 is recessed into the main body 30.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49) i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1).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바스켓 출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바스켓이 출납하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ocess of the basket in and ou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asket cashier structure for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5a 및 도 5b에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여 바스켓이 출납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5A and 5B illustrate a process of putting in and out of the bask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먼저 냉장실(31)의 내부에 바스켓(41)이 수납된 상태에서 지지롤러(49)의 외주면 일측이 상기 냉장실(31)의 일측면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바스켓(41)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판스프링(45)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냉장실(31)과 바스켓(41) 사이의 간격(S)(도 4참조)이 소정의 거리만큼 유지된다. First,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roller 49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1 in the state in which the basket 41 is accommodated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31. At this time, the spacing S (see FIG. 4) between the refrigerating chamber 31 and the basket 41 is maintain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leaf springs 45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asket 41.

그리고 상기 냉장실(31)의 내부에 수납된 상기 바스켓(41)을 냉장실(31)의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바스켓(41)이 상기 냉장실(31)의 외부로 인출되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지지롤러(49)가 상기 냉장실(31)의 양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바스켓(41)이 상기 냉장실(31)의 외부로 인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냉장실(31)의 양측면을 따라서 슬라이딩하게 된다.When the basket 41 accommodated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1 is pulled toward the front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1, the basket 41 starts to be drawn out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1. At this time, the support roller 49 rotates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1, thereby substantially both sides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1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sket 41 is drawn out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1. It slides along.

한편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상기 냉장실(31)의 우측면 중앙 일부가 다른 부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냉장실(31)의 내부, 즉 도면상 좌측으로 돌출되거나 도면상 우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31)의 양측 면과 상기 바스켓(41)의 양측면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게 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S. 5A and 5B, a portion of the center of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1 may be projected to the insid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1 relative to other parts, that is, to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or to the right of the drawing. Can be. Therefore, the distance between both sides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31 and both sides of the basket 41 is not constant.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스켓(41)이 그 양측면과 상기 냉장실(31)의 양측면 사이의 간격(S1)이 상대적으로 좁은 구간(S1 < S)을 통과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냉장실(31)과 바스켓(41)의 양측면 사이의 간격에 따라서 상기 지지롤러(49)의 위치가 상기 바스켓(41)의 양측면을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판스프링(45)은 상기 냉장실(31)의 일측면에서 상기 바스켓(41)의 일측면을 향하는 외력(이와 같은 외력의 크기는 상기 냉장실(31)의 양측면과 상기 바스켓(41)의 양측면 사이의 간격에 따라서 결정된다.)을 받아서 탄성변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롤러(49)는 그 외주면 일측이 상기 바스켓(41)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범위 이내에서 바스켓(41)의 양측면을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5A, in the process in which the basket 41 passes a relatively narrow section S1 <S between the two sides and the two sides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31,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 The position of the support roller 49 moves toward both sides of the basket 41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31 and both sides of the basket 41. At this time, the leaf spring 45 has an external force directed from one sid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1 toward one side of the basket 41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is both sides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1 and both sides of the basket 41).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pacing between them). In addition, the support roller 49 is moved toward both sides of the basket 41 within a range in which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basket 41.

그리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스켓(41)이 그 양측면과 상기 냉장실(31)의 양측면 사이의 간격(S2)이 상대적으로 넓은 구간(S2 > S)을 통과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냉장실(31)과 바스켓(41)의 양측면 사이의 간격에 따라서 상기 지지롤러(49)의 위치가 상기 냉장실(31)의 양측면을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지지롤러(49)의 위치이동은 상기 판스프링(45)의 탄성력에 의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B, in the process of passing the interval S2 between the two sides of the basket 41 and both sides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1 and the relatively wide section S2> S, the refrigerating chamber ( The position of the support roller 49 is moved toward both sides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1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both sides of the 31 and the basket 41. Such movement of the support roller 49 is mad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leaf spring 45.

따라서 상기 바스켓(41)이 상기 냉장실(31)의 내외부로 출납되는 과정에서, 상기 냉장실(31)과 바스켓(41)의 양측면 사이의 간격이 변화하더라도 바스켓(41)의 양측면이 냉장실(31)에 양측면에 밀착되지 않도록 양자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바스켓(41)이 상기 냉장실(31)의 편평도와 무관하게 냉장실(31)의 내외부로 용이하게 출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basket 41 into and out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31, eve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refrigerating chamber 31 and both sides of the basket 41 is changed, both sides of the basket 41 are stored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31.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gap between them so as no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That is, the basket 41 can be easily inserted into and out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1 regardless of the flatness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1.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many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appended claims. .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스켓(41)이 상기 냉장실(31)에 설치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상기 바스켓(41)이 냉동실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적용가능함을 물론이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only the case where the basket 41 is installed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31 has been described, but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basket 41 is also installed in the freezing chamber.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바스켓 출납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basket basket withdraw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expected the following effects.

바스켓 또는 상기 바스켓이 출납가능하게 설치되는 저장공간의 양측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도 양자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므로, 상기 바스켓이 상기 저장공간의 내외부로 용이하게 출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품의 사용성이 증가하게 된다.Even when both sides of the basket or the storage space in which the basket is installed to be retractable are not formed flat, the distance between them is maintained, so that the basket can be easily taken in and out of the storage space. Therefore, the usability of the product is increased.

또한 장기간 동안 상기 바스켓의 출납이 반복적으로 계속되더라도 이에 의하여 바스켓 또는/및 저장공간의 일측이 마모되거나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제품의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도 가져올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even if the basket is repeatedly withdrawn for a long time it is prevented that one side of the basket or / and the storage space is worn or damaged. Therefor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can also be brought.

Claims (6)

저장공간의 내외부로 출납가능하게 설치되는 바스켓과, A basket installed in and out of the storage space, 상기 저장공간의 일측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바스켓의 일측 중 어느 일방에 바스켓의 출납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홈, A guide groove formed in one side of the storage space and one side of the basket corresponding to the one side of the storage space, the guide groove being elongated in the direction of the basket; 상기 저장공간의 일측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바스켓의 일측 중 타방에 바스켓의 출납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가이드리브, 그리고 A guide rib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one side of the storage space and one side of the basket corresponding to the guide rib, the guide rib being elongated in the basket; 상기 가이드홈 및 가이드리브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바스켓의 일측에 구비되어 바스켓이 저장공간의 내외부로 출납하는 과정에서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저장공간과 바스켓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고,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sket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guide groove and the guide rib to maintain the gap between the storage space and the basket by the elastic force in the process of placing the basket in and out of the storage space, 상기 저장공간의 일측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바스켓의 일측 중 어느 일방에 상기 저장공간과 바스켓 사이의 간격에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타방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여 바스켓의 출납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지지롤러와, 상기 지지롤러가 설치되는 상기 저장공간의 일측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바스켓의 일측 중 어느 일방에서 지지롤러가 밀착되는 타방을 향하는 탄성력을 상기 지지롤러에 부여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간격유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A support roller slidably installed in one of the one side of the storage space and one side of the basket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space so as to be movable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storage space and the basket, and rotat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and sliding in the basket in and out direction; And an interval maintaining means composed of an elastic member for imparting an elastic force directed to the support roller to which the support roller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storage space in which the support roller is installed and one side of the basket corresponding thereto. Is configured; 상기 바스켓이 상기 저장공간의 내외부로 출납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리브가 상기 가이드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가이드홈을 따라서 슬라이딩함과 동시에 상기 간격유지수단에 의하여 저장공간과 바스켓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고,In the process of putting the basket into and out of the storage space, the guide rib slides along the guide groove while the guide rib is seated in the guide groove, and the gap between the storage space and the basket is maintained by the gap maintaining means.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바스켓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판스프링이며,The elastic member is at least one leaf spring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asket, 상기 판스프링은 그 양단이 상기 바스켓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삽입되어 그 중앙부가 상기 저장공간의 일측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U자형상의 횡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바스켓 출납구조.The leaf spring is a basket retracto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ar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sket so that the center portion has a U-shaped cross section protruding toward one side of the storage sp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판스프링에는 상기 지지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이 구비되는 관통개구가 각각 형성되고, The plate spring is provided with through openings each having a rotating shaft rotatably supporting the support roller, 상기 지지롤러는 상기 회전축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개구를 관통하여 상기 저장공간의 일측에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바스켓 출납구조.The support roller is in the basket retracto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storage space through the through opening in the state supported by the rotating shaft. 삭제delete
KR1020050109853A 2005-11-16 2005-11-16 Basket accepting/drawing structure for refrigerator KR1008021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853A KR100802174B1 (en) 2005-11-16 2005-11-16 Basket accepting/drawing structure for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853A KR100802174B1 (en) 2005-11-16 2005-11-16 Basket accepting/drawing structure for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2145A KR20070052145A (en) 2007-05-21
KR100802174B1 true KR100802174B1 (en) 2008-02-12

Family

ID=38274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9853A KR100802174B1 (en) 2005-11-16 2005-11-16 Basket accepting/drawing structure for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217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22805B (en) * 2018-12-17 2022-10-28 博西华家用电器有限公司 Refrigerator with a do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85662U (en) 1976-12-15 1978-07-14
KR0179603B1 (en) * 1996-10-21 1999-04-15 대우전자주식회사 Tray for refrigerator with a roller
KR19990035672U (en) * 1998-02-05 1999-09-15 윤종용 Vegetable box of the frid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85662U (en) 1976-12-15 1978-07-14
KR0179603B1 (en) * 1996-10-21 1999-04-15 대우전자주식회사 Tray for refrigerator with a roller
KR19990035672U (en) * 1998-02-05 1999-09-15 윤종용 Vegetable box of the frid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2145A (en) 2007-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0477B1 (en) Refrigerator
EP3244148B1 (en) Refrigerator
US9677807B2 (en) Refrigerator
EP3534096B1 (en) Refrigerator with a basket mounted on a door by a frame
US10634422B2 (en) Refrigerator
EP3239631B1 (en) Refrigerator
KR20090106935A (en) Refrigerator with drawer cover
KR20120017484A (en) Refrigerator
KR101210801B1 (en) Noise reduction structure of drawer for refrigerator
KR100895140B1 (en) A mounting structure of shelf for refrigeator
JPH05346286A (en) Storage box
KR100802174B1 (en) Basket accepting/drawing structure for refrigerator
KR100861347B1 (en) A open/shut apparatus of drawer type door for refrigerator
KR100508477B1 (en) Refrigerator
KR20090109297A (en) Refrigerator
KR20080066452A (en) Open and close structure of inner door for refrigerator
KR100717461B1 (en) Double-withdrawal structure of vegetable box for refrigerator
KR101266872B1 (en) Slide-rail device for refrigerator
KR20140000100A (en) Refrigerator with drawer
KR20080066450A (en) A refrigerator
KR101362310B1 (en) A shelf for refrigerator
KR19990056263A (en) Door pocket of refrigerator with variable width
KR20230101423A (en) Refrigerator
KR20090101718A (en) Drawer fixing apparatus of refrigerator
KR20170127811A (en) A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