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0610B1 - 다리와 등좌판의 연결식 석재 벤치 - Google Patents

다리와 등좌판의 연결식 석재 벤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0610B1
KR100800610B1 KR1020070121874A KR20070121874A KR100800610B1 KR 100800610 B1 KR100800610 B1 KR 100800610B1 KR 1020070121874 A KR1020070121874 A KR 1020070121874A KR 20070121874 A KR20070121874 A KR 20070121874A KR 100800610 B1 KR100800610 B1 KR 100800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bench
leg
suppor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1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혁구
Original Assignee
(주)에리트퍼니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리트퍼니처 filed Critical (주)에리트퍼니처
Priority to KR1020070121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06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0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0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리와 등좌판의 연결식 석재 벤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등받이가 형성되거나 또는 미형성되는 제 1지지부와; 상기 제 1지지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제 2지지부; 및 상기 제 1지지부와 제 2지지부에 결합되는 벤치목으로 이루어지는 석재 벤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2지지부는 저면 모서리부에 요(凹)자 형태의 연결홈이 형성되는 본체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에 상기 본체의 연결홈에 삽입 결합되도록 철(凸)자 형태의 연결 돌기가 형성되는 다리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리와 좌판을 상호 분리하여 제작하고, 다리와 좌판을 상호 조립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투리 석재를 최대한 이용하여 원자재 비용을 최소화시키고, 부피가 적어 가공이 용이하며, 조립이 용이하여 설치 시공이 간편할 수 있다.
야외, 석재, 벤치, 다리, 분리, 하중

Description

다리와 등좌판의 연결식 석재 벤치{STONE BENCH}
본 발명은 석재 벤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다리와 좌판을 상호 분리하여 제작하고, 다리와 좌판을 상호 조립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다리와 등좌판의 연결식 석재 벤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벤치는 사람들이 앉아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공원이나 유원지, 가로수 아래 등에 설치되어 있으며,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휴양시설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크게는 등받이가 있는 것과 등받이가 없는 것으로 분류가 된다.
이와 같이 사람들의 통행이 이루어지는 곳에서는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두며, 특히, 여름철에는 등나무가 우거져 있는 퍼골라(pergola)의 아래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평벤치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수목 아래에서 신선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수요가 빈번한 곳에서는 촉감이 더 부드럽고 편안한 느낌을 주어 더 많은 이용을 할 수 있도록 목재에 의한 벤치가 많이 설치되고 있으며, 수요가 적은 곳 또는 관리하기가 어려운 곳에서는 석재나 콘크리트에 의한 벤치의 보급이 많이 이루어져 있다.
석재를 이용하여 제작된 석재 벤치의 경우 중량이 200Kg을 넘을 정도로 과중량이므로 제작 및 운반, 설치 등에 많은 시간과 경비가 소요되고, 항상 크레인 등 중장비를 동원해야만 하는 실정이며, 설치시 중량으로 인해 항상 안전사고의 위험이 내포되고 있고, 전문 인력이 시공해야만 하여 시공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석재 벤치는 다리 또는 등판을 일체로 제작시 부피가 큰돌을 재단하여 가공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가공이 어렵고, 이에 따라 가공비가 매우 높게 드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실용신안등록 제20-0436154호(야외용 석재 벤치)가 개발되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야외용 석재 벤치(100)는 석재 재질로 사각 판형태로 형성되되, 저면에서 내측으로 사각형태로 절단 형성된 결합홀(111)에 의해 한 쌍의 다리(113)가 형성되고, 다리(113)중 후단에 위치한 다리에서 수직으로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전면에 하향 경사면을 갖는 등받이(115)를 구비하며, 내측면 상단을 따라 안착홈(117)이 형성되는 제 1지지부(110)와; 제 1지지부(110)와 대응되는 형태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제 2지지부(120)와; 사각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에 제 1리벳홀(131)을 구비하고, 제 1지지부(110)와 제 2지지부(120)의 안착홈(117)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되, 고정하고자 하는 안착홈(117)의 해당 위치에 각각 인서트 홀(101)을 형성 후 인서트 홀(101)에 앙카형 금속 리벳(103)을 삽입한 다음 타격핀(105)을 제 1리벳홀(131)을 관통하여 앙카형 금속 리 벳(103)에 고정시키는 벤치목(130)과; 양면에 문양이 형성되고, 양측면 및 상면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제 2리벳홀(143)을 구비하는 체결돌기(141)가 돌출 형성되고, 제 1지지부(110) 및 제 2지지부(120)의 결합홀(111)에 결합되는 금속 문양판(14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금속 문양판(140)은 고정하고자 하는 결합홀(111)의 해당 위치에 각각 인서트 홀(101)을 형성 후 인서트 홀(101)에 앙카형 금속 리벳(103)을 삽입한 다음 타격핀(105)을 체결 돌기(141)의 제 2리벳홀(143)을 관통하여 앙카형 금속 리벳(103)에 고정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야외용 석재 벤치는 지지부에 다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마찬가지로 제작시 부피가 큰돌을 재단하여 가공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가공이 어렵고, 이에 따라 가공비가 매우 높게 드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리와 좌판을 상호 분리하여 제작하고, 다리와 좌판을 상호 조립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투리 석재를 최대한 이용하여 원자재 비용을 최소화시키고, 부피가 적어 가공이 용이하며, 조립이 용이하여 설치 시공이 간편한 다리와 등좌판의 연결식 석재 벤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등받이가 형성되거나 또는 미형성되는 제 1지지부와; 상기 제 1지지부와 대 응되는 형태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제 2지지부; 및 상기 제 1지지부와 제 2지지부에 결합되는 벤치목으로 이루어지는 석재 벤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2지지부는 저면 모서리부에 요(凹)자 형태의 연결홈이 형성되는 본체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에 상기 본체의 연결홈에 삽입 결합되도록 철(凸)자 형태의 연결 돌기가 형성되는 다리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홈과 연결 돌기 사이에는 석재용 본드가 도포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등받이가 형성되거나 또는 미형성되는 제 1지지부와; 상기 제 1지지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제 2지지부; 및 상기 제 1지지부와 제 2지지부에 결합되는 벤치목으로 이루어지는 석재 벤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2지지부는 저면 모서리부에 제 1삽입홈이 형성되는 본체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에 상기 본체의 제 1삽입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2삽입홈이 형성되는 다리; 및 금속 재질로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제 1삽입홈과 상기 다리의 제 2삽입홈에 삽입 결합되는 연결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봉은 그 외측면에 고무 재질의 보호층이 감싸도록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본체와 상기 다리 사이에는 석재용 본드가 도포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등받이가 형성되거나 또는 미형성되는 제 1지지부와; 상기 제 1지지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제 2지지부; 및 상기 제 1지지부와 제 2지지부에 결합되는 벤치목으로 이루어지는 석재 벤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2지지부는 저면 모서리부에 요(凹)자 형태의 연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홈의 중앙부에 제 1삽입홈이 형성되는 본체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에 상기 본체의 연결홈에 삽입 결합되도록 철(凸)자 형태의 연결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 돌기의 중앙부에 제 2삽입홈이 형성되는 다리; 및 금속 재질로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제 1삽입홈과 상기 다리의 제 2삽입홈에 삽입 결합되는 연결봉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봉은 그 외측면에 고무 재질의 보호층이 감싸도록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본체와 상기 다리 사이에는 석재용 본드가 도포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다리와 등좌판의 연결식 석재 벤치에 따르면, 다리와 좌판을 상호 분리하여 제작하고, 다리와 좌판을 상호 조립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공이 용이하여 제조비를 낮출 수 있고, 설치 시공이 간편하여 시공비를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리와 등좌판의 연결식 석재 벤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제 1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다리와 등좌판의 연결식 석재 벤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리와 등좌판의 연결식 석재 벤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측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다리와 등좌판의 연결식 석재 벤치(200)는, 제 1지지부(210)와, 제 2지지부(220)와, 벤치목(230)으로 구성된다.
먼저, 제 1지지부(210)는 석재 재질로 직사각 판형태로 형성되고, 상면 일끝단에서 수직으로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전면에 하향 경사면을 갖는 등받이(211-1)를 구비하며, 내측면 상단을 따라 안착홈(211-3)이 형성되며, 저면 모서리부에 요(凹)자 형태의 연결홈(211-5)이 형성되는 본체(211)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에 본체(211)의 연결홈(211-5)에 삽입 결합되도록 철(凸)자 형태의 연결 돌기(213-1)가 형성되는 다리(213)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제 1지지부(21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1)에 등받이(211-1)를 미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2지지부(220)는 제 1지지부(210)와 대응되는 형태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벤치목(230)은 종래와 동일하게 제 1지지부(210)와 제 2지지부(220)의 본체(211)에 형성된 안착홈(211-3)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된다.
한편, 제 1지지부(210) 및 제 2지지부(220)의 본체(211)에 형성된 연결홈(211-5)과 다리(213)에 형성된 연결 돌기(213-1) 사이에는 이들의 접착력을 증대시키도록 석재용 본드가 도포되어 접착층(240)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다리와 등좌판의 연결식 석재 벤치(200)는 먼저, 제 1지지부(210) 및 제 2지지부(220)의 본체(211)에 형성된 연결홈(211-5)과 다리(213)에 형성된 연결 돌기(213-1) 사이에는 이들의 접착력을 증대시키도록 석재용 본드를 도포하여 접착층(240)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본체(211)에 형성된 연결홈(211-5)과 다리(213)에 형성된 연결 돌기(213-1)를 상호 결합시켜 본체(211)에 다리(213)를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1지지부(210) 및 제 2지지부(220)를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일정 거리 이격시킨 상태에서 고정시킨 다음, 제 1지지부(210) 및 제 2지지부(220)의 안착홈(211-3)에 벤치목(130)을 종래와 동일한 방법으로 안착 고정시켜 벤치 조립을 완성한다.
《제 2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다리와 등좌판의 연결식 석재 벤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측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리와 등좌판의 연결식 석재 벤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측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다리와 등좌판의 연결식 석재 벤치(200)는, 제 1지지부(210)와, 제 2지지부(220)와, 벤치목(230)으로 구성된다.
먼저, 제 1지지부(210)는 석재 재질로 직사각 판형태로 형성되고, 상면 일끝단에서 수직으로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전면에 하향 경사면을 갖는 등받이(211-1)를 구비하며, 내측면 상단을 따라 안착홈(211-3)이 형성되며, 저면 모서리부에 제 1삽입홈(211-7)이 형성되는 본체(211)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에 본체(211)의 제 1삽입홈(211-7)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2삽입홈(213-3)이 형성되는 다리(213)와, 금속 재질로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본체(211)의 제 1삽입홈(211-7)과 다리(213)의 제 2삽입홈(213-3)에 삽입 결합되는 연결봉(215)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제 1지지부(21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1)에 등받이(211-1)를 미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또한, 연결봉(215)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삽입홈(211-7)과 제 2삽입홈(213-3)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그 외측면에 고무 재질의 보호층(215-1)이 감싸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 2지지부(220)는 제 1지지부(210)와 대응되는 형태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벤치목(230)은 종래와 동일하게 제 1지지부(210)와 제 2지지부(220)의 본체(211)에 형성된 안착홈(211-3)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된다.
한편, 제 1지지부(210) 및 제 2지지부(220)의 본체(211)의 저면과 다리(213)의 상면에는 이들의 접착력을 증대시키도록 석재용 본드가 도포되어 접착층(240)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다리와 등좌판의 연결식 석재 벤치(200)는 먼저, 제 1지지부(210) 및 제 2지지부(220)의 본체(211)중 다리(213)가 결합되는 면과, 다리(213)의 상면에 접착력을 증대시키도록 석재용 본드를 도포하여 접착층(240)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본체(211)의 제 1삽입홈(211-7)과 다리(213)의 제 2삽입홈(213-3)에 연결봉(215)을 삽입 결합하여 본체(211)에 다리(213)를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1지지부(210) 및 제 2지지부(220)를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일정 거리 이격시킨 상태에서 고정시킨 다음, 제 1지지부(210) 및 제 2지지부(220)의 안착홈(211-3)에 벤치목(130)을 종래와 동일한 방법으로 안착 고정시켜 벤치 조립을 완성한다.
《제 3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다리와 등좌판의 연결식 석재 벤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측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리와 등좌판의 연결식 석재 벤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측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다리와 등좌판의 연결식 석재 벤치(200)는, 제 1지지부(210)와, 제 2지지부(220)와, 벤치목(230)으로 구성된다.
먼저, 제 1지지부(210)는 석재 재질로 직사각 판형태로 형성되고, 상면 일끝단에서 수직으로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전면에 하향 경사면을 갖는 등받이(211-1)를 구비하며, 내측면 상단을 따라 안착홈(211-3)이 형성되며, 저면 모서리부에 저면 모서리부에 요(凹)자 형태의 연결홈(211-5)이 형성되고, 연결홈(211-5)의 중앙부에 제 1삽입홈(211-7)이 형성되는 본체(211)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에 본체(211)의 연결홈(211-5)에 삽입 결합되도록 철(凸)자 형태의 연결 돌기(213-1)가 형성되며, 연결 돌기(213-1)의 중앙부에 제 2삽입홈(213-3)이 형성되는 다리(213)와, 금속 재질로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본체(211)의 제 1삽입홈(211-7)과 다리(213)의 제 2삽입홈(213-3)에 삽입 결합되는 연결봉(215)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제 1지지부(210)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1)에 등받이(211-1)를 미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또한, 연결봉(215)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삽입홈(211-7)과 제 2삽입홈(213-3)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그 외측면에 고무 재질의 보호층(215-1)이 감싸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 2지지부(220)는 제 1지지부(210)와 대응되는 형태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벤치목(230)은 종래와 동일하게 제 1지지부(210)와 제 2지지부(220)의 본체(211)에 형성된 안착홈(211-3)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된다.
한편, 제 1지지부(210) 및 제 2지지부(220)의 본체(211)의 저면과 다리(213)의 상면에는 이들의 접착력을 증대시키도록 석재용 본드가 도포되어 접착층(240)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다리와 등좌판의 연결식 석재 벤치(200)는 먼저, 제 1지지부(210) 및 제 2지지부(220)의 본체(211)중 다리(213)가 결합되는 면과, 다리(213)의 상면에 접착력을 증대시키도록 석재용 본드를 도포하여 접착층(240)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본체(211)의 제 1삽입홈(211-7)과 다리(213)의 제 2삽입홈(213-3)에 연결봉(215)을 삽입 결합하여 본체(211)에 다리(213)를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1지지부(210) 및 제 2지지부(220)를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일정 거리 이격시킨 상태에서 고정시킨 다음, 제 1지지부(210) 및 제 2지지부(220)의 안착홈(211-3)에 벤치목(130)을 종래와 동일한 방법으로 안착 고정시켜 벤치 조립을 완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석재 벤치의 구성을 모두 부품화시켜 현장에서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제작과, 이동 및 설치가 수월하고, 고가의 장비없이도 인력에 의한 손쉬운 시공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안전사고 및 제품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는 종래의 야외용 석재 벤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다리와 등좌판의 연결식 석재 벤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리와 등좌판의 연결식 석재 벤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다리와 등좌판의 연결식 석재 벤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리와 등좌판의 연결식 석재 벤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다리와 등좌판의 연결식 석재 벤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리와 등좌판의 연결식 석재 벤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10, 220 : 제 1, 2지지부 211 : 본체
211-1 : 등받이 211-2 : 안착홈
211-5 : 연결홈 211-7 : 제 1삽입홈
213 : 다리 213-1 : 연결 돌기
213-3 : 제 2삽입홈 215 : 연결봉
230 : 벤치목 240 : 접착층

Claims (8)

  1. 등받이가 형성되거나 또는 미형성되는 제 1지지부와; 상기 제 1지지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제 2지지부; 및 상기 제 1지지부와 제 2지지부에 결합되는 벤치목으로 이루어지는 석재 벤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2지지부는,
    저면 모서리부에 요(凹)자 형태의 연결홈이 형성되는 본체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에 상기 본체의 연결홈에 삽입 결합되도록 철(凸)자 형태의 연결 돌기가 형성되는 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와 등좌판의 연결식 석재 벤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홈과 연결 돌기 사이에는,
    석재용 본드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와 등좌판의 연결식 석재 벤치.
  3. 등받이가 형성되거나 또는 미형성되는 제 1지지부와; 상기 제 1지지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제 2지지부; 및 상기 제 1지지부와 제 2지지부에 결합되는 벤치목으로 이루어지는 석재 벤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2지지부는,
    저면 모서리부에 제 1삽입홈이 형성되는 본체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에 상기 본체의 제 1삽입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2삽입홈이 형성되는 다리; 및
    금속 재질로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제 1삽입홈과 상기 다리의 제 2삽입홈에 삽입 결합되는 연결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와 등좌판의 연결식 석재 벤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은,
    그 외측면에 고무 재질의 보호층이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와 등좌판의 연결식 석재 벤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다리 사이에는,
    석재용 본드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와 등좌판의 연결식 석재 벤치.
  6. 등받이가 형성되거나 또는 미형성되는 제 1지지부와; 상기 제 1지지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제 2지지부; 및 상기 제 1지지부와 제 2지지부에 결합되는 벤치목으로 이루어지는 석재 벤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2지지부는,
    저면 모서리부에 요(凹)자 형태의 연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홈의 중앙부에 제 1삽입홈이 형성되는 본체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에 상기 본체의 연결홈에 삽입 결합되도록 철(凸)자 형태의 연결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 돌기의 중앙부에 제 2삽입홈이 형성되는 다리; 및
    금속 재질로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제 1삽입홈과 상기 다리의 제 2삽입홈에 삽입 결합되는 연결봉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으로 하는 다리와 등좌판의 연결식 석재 벤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은,
    그 외측면에 고무 재질의 보호층이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와 등좌판의 연결식 석재 벤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다리 사이에는,
    석재용 본드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와 등좌판의 연결식 석재 벤치.
KR1020070121874A 2007-11-28 2007-11-28 다리와 등좌판의 연결식 석재 벤치 KR100800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874A KR100800610B1 (ko) 2007-11-28 2007-11-28 다리와 등좌판의 연결식 석재 벤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874A KR100800610B1 (ko) 2007-11-28 2007-11-28 다리와 등좌판의 연결식 석재 벤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0610B1 true KR100800610B1 (ko) 2008-02-01

Family

ID=39342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1874A KR100800610B1 (ko) 2007-11-28 2007-11-28 다리와 등좌판의 연결식 석재 벤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06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75882A (zh) * 2021-08-20 2021-10-08 安徽建工嘉和建筑工业有限公司 一种装配式混凝土一体化长椅
KR200497022Y1 (ko) * 2022-11-07 2023-07-05 주식회사 이원캐스팅거성금속 벤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9621A (en) 1975-10-15 1977-04-20 Buchholz Josef Fixation structure of portion material for connection
JPS57159759U (ko) 1981-04-03 1982-10-07
JP3083117U (ja) * 2001-07-03 2002-01-18 株式会社めいじ屋 組み立て縁台
JP2003000387A (ja) 2001-06-22 2003-01-07 Misawa Homes Co Ltd ベンチ
JP2007098096A (ja) 2005-10-07 2007-04-19 Arita Shoji Kk ガーデングッズ組立セッ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9621A (en) 1975-10-15 1977-04-20 Buchholz Josef Fixation structure of portion material for connection
JPS57159759U (ko) 1981-04-03 1982-10-07
JP2003000387A (ja) 2001-06-22 2003-01-07 Misawa Homes Co Ltd ベンチ
JP3083117U (ja) * 2001-07-03 2002-01-18 株式会社めいじ屋 組み立て縁台
JP2007098096A (ja) 2005-10-07 2007-04-19 Arita Shoji Kk ガーデングッズ組立セッ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75882A (zh) * 2021-08-20 2021-10-08 安徽建工嘉和建筑工业有限公司 一种装配式混凝土一体化长椅
KR200497022Y1 (ko) * 2022-11-07 2023-07-05 주식회사 이원캐스팅거성금속 벤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5102112A3 (en) Adjustable height vehicle seat bottom
CN205876899U (zh) 一种组合家具稳定结构
CN102770048A (zh) 座椅用具
KR100800610B1 (ko) 다리와 등좌판의 연결식 석재 벤치
DE50204598D1 (de) Sitz, insbesondere Fahrzeugsitz, vorzugsweise Fluggastsitz
JP5041306B2 (ja) 骨盤保護用椅子
KR20090051971A (ko) 다리와 등좌판의 연결식 석재 벤치
JP2006192095A (ja) ベンチ
KR20120001368U (ko) 데크 클립
KR101764301B1 (ko) 자전거용 도로의 구조
JP6715574B2 (ja) 什器
KR200436154Y1 (ko) 야외용 석재 벤치
KR200423076Y1 (ko) 식탁용 테이블
JP6258668B2 (ja) 椅子
KR100805214B1 (ko) 테이블 다리조립체
JP3143116U (ja) ベンチの連結構造、及びその連結構造による多目的ベンチ
JP3134653U (ja) 改良構造による組立て家具
KR101284540B1 (ko) 주차장 간이의자.
KR20130005257U (ko) 벤치 다리 구조
KR200465896Y1 (ko) 접의자 좌판의 결합구조
TWM524871U (zh) 多用途固定結構
KR20090084511A (ko) 단목 활용이 가능한 벤치
KR101697268B1 (ko) 벤치 기능을 갖는 자연친화형 볼라드
CN206275439U (zh) 一种摇篮椅
US6478370B1 (en) Wagon wheel ben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