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0009B1 - 플라스틱 고형연료를 이용한 버너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고형연료를 이용한 버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0009B1
KR100800009B1 KR1020070015126A KR20070015126A KR100800009B1 KR 100800009 B1 KR100800009 B1 KR 100800009B1 KR 1020070015126 A KR1020070015126 A KR 1020070015126A KR 20070015126 A KR20070015126 A KR 20070015126A KR 100800009 B1 KR100800009 B1 KR 100800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shaft
solid fuel
fuel
chamber
redu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5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죽랑
박현묵
Original Assignee
박죽랑
박현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죽랑, 박현묵 filed Critical 박죽랑
Priority to KR1020070015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00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0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0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00Burners for combustion of pulverulent fuel
    • F23D1/02Vortex burners, e.g. for cyclone-type combus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30/00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agitating the burning fuel; 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advancing the burning fuel through the combustion chamber
    • F23B30/02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agitating the burning fuel; 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advancing the burning fuel through the combustion chamber with movable, e.g. vibratable, fuel-supporting surfaces; with fuel-supporting surfaces that have movabl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40/00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 F23B40/02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the fuel being fed by scattering over the fuel-supporting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80/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 F23B80/04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by means for guiding the flow of flue gases, e.g. baff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0Feeding or distributing of lump or pulverulent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량공급기를 통해 플라스틱 고형연료의 투입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고, 고정실린더의 외주면에 메탈화이바를 설치하여 연소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고형연료를 지그재그 방식으로 3단계에 거쳐 완전 연소시킬 수 있도록 한 플라스틱 고형연료를 이용한 버너장치를 개시한다.
고형연료, 메인축, 정량공급기, 회전챔버, 프로펠러

Description

플라스틱 고형연료를 이용한 버너장치{Burner apparatus using plastic solid fue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고형연료를 이용한 버너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고형연료를 이용한 버너장치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정량공급기의 구조를 발췌해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고형연료를 이용한 버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우징 20: 정량공급기
30: 메인축커버 40: 메인축
50: 고정실린더 60: 회전챔버
70: 챔버커버 80: 리듀셔
90: 외통 92: 프로펠러
G1, G2: 연소 공간 H: 호퍼
K: 키 T: 틈새
본 발명은 플라스틱 고형연료를 이용한 버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라스틱 고형연료의 투입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고, 고형연료를 3단계에 거쳐 완전 연소시킬 수 있도록 한 플라스틱 고형연료를 이용한 버너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산업화 및 공업화되는 과정에서 산업 폐기물이 범람하여 환경문제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산업 폐기물 가운데 하나는 폐플라스틱을 들 수 있는 데, 따라서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이 개시되고 있다.
최근에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서, 폐플라스틱을 고형연료를 제작하여 연료로 활용하는 방법이 많이 연구되고 있고, 또한 실제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폐플라스틱 고형연료의 연소방법에 있어서 가장 크게 주안점을 두어야 할 것은 연료를 완전 연소시켜 발열량을 최대화하는 동시에, 불완전한 연소로 인하여 발생되는 인체에 유해한 가스의 배출을 최소화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2001-0106889호에는 고형연료를 유해가스의 배출없이 완전 연소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고체연료 연소버너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이를 보면, 연료를 완전 연소시키기 위하여 제1연소실, 제2연소실, 제3연소실의 3개의 연소실을 구비하여, 제1연소실에서 연소된 연료의 화염을 제2연소실에서 재차 연소시키고, 제2연소실에서 연소된 화염을 제3연소실에서 마지막으로 연소시키는 기술적 구성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3개의 연소실에서 순차적으로 연료를 연소시킴으로써 유해가스의 배출 없이 연료를 완전 연소시킨다는 목적을 어느 정도는 만족시킬 수는 있지만, 전체 버너의 크기가 커짐으로써 버너가 차지하는 설치 공간이 필요 이상으로 넓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형연료를 투입할 때 버너 온도에 따라 투입량을 적당하게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버너가 필요 이상으로 가열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3단계 연소 구조를 통해 연소 공간을 최소화시키면서도 고형연료를 완전 연소시킬 수 있게 하고, 버너 온도에 따라 고형연료의 투입량을 적당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플라스틱 고형연료를 이용한 버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고형연료를 이용한 버너장치는 내부에 조립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면 일부에는 호퍼결합공이 관통 형성되며, 일측에는 예열기가 설치되며, 타측에는 송풍팬이 설치된 하우징; 하우징의 조립공에 끼워지게 결합되되,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고, 일부분에는 십자 형상으로 지지대가 연장 형성되어 하우징에 밀착된 상태로 용접 고정되며, 상면 일부에는 상기 호퍼결합공과 대응되는 연료투입공이 관통 형성된 메인축커버; 메인축커버의 내부에 끼워져 결합되고, 외주면의 일부 구간에는 연료투입공을 통해 투입된 플라스틱 고형연료를 이송시키는 스크류가 형성되며, 스크류의 사이사이에는 공기가 통할 수 있게 다수의 공기구멍이 관통 형성된 메인축; 하우징의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하수징의 호퍼결합공에 결합되어 연료투입공으로 플라스틱 고형연료를 공급하는 호퍼; 호퍼 내의 공급통로 일부분에 설치되되, 외주면에 다수의 연료안내홈이 형성된 연료공급대가 회전하면서 그 회전 속도에 따라 플라스틱 고형연료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정량공급기; 메인축커버의 외면에 소정의 틈새를 갖도록 조립되어 메인축커버의 지지대에 고정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열기의 체류시간을 연장시키기 위해 다수의 실린더용 날개가 설치된 고정실린더; 고정실린더의 외면에 소정의 연소 공간을 갖도록 씌워져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열기의 체류시간을 연장시키기 위해 다수의 챔버용 날개가 설치되며, 고정실린더의 실 린더용 날개가 내면에 밀착되게 배치되어 내면에 달라 붙은 고형연료의 이물질을 긁어 낼 수 있게 구성된 회전챔버; 메인축의 선단 부분에 키를 통해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메인축과 함께 회전되게 설치되고, 외면 일부분에는 원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 원판에 상기 회전챔버가 용접으로 고정되어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된 챔버커버; 회전챔버와 소정의 연소 공간을 갖도록 씌워지되 챔버커버와 회전챔버를 감싸도록 조립되며, 회전챔버의 챔버용 날개가 내면에 밀착되게 배치되어 내면에 달라 붙은 고형연료의 이물질을 긁어 낼 수 있게 구성되고, 선단부의 열기배출구는 열기를 모아서 배출할 수 있게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 리듀셔; 리듀셔의 선단부 내면에서 메인축에 결합되어 회전되게 설치되고, 리듀셔의 열기배출구를 통해 스크류 방식으로 회전하면서 배출되는 열기가 부딪혀 직선으로 배출되게 안내하는 프로펠러; 및 리튜셔의 외주면에 소정의 틈새를 갖도록 감싸게 조립되어 화상을 방지하는 외통이 포함되게 구성되어, 호퍼를 통해 공급되는 플라스틱 고형연료가 상기 예열기에 의해 예열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메인축의 스크류를 따라 이동되면서 1차 연소되고, 메인축커버와 회전챔버 사이의 연소 공간을 따라 이동되면서 2차 연소되며, 회전챔버와 리듀셔 사이의 연소 공간을 따라 이동되면서 3차 연소되어, 3단계에 걸쳐 완전 연소되고, 이 상태로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열기가 리듀셔의 열기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때 회전에 의해 와류되는 것이 아니라 프로펠러에 부딪혀 직선으로 배출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 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고형연료를 이용한 버너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고형연료를 이용한 버너장치를 나타낸 결합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정량공급기의 구조를 발췌해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고형연료를 이용한 버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고형연료를 이용한 버너장치는 하우징(10), 메인축커버(30), 메인축(40), 구동모터(18), 정량공급기(20), 고정실린더(50), 회전챔버(60), 챔버커버(70), 리듀셔(80), 프로펠러(92) 및 외통(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0)은 내부에 조립공(12)이 관통 형성되고, 상면 일부에는 호퍼결합공(11)이 관통 형성되며, 일측에는 예열기(14)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송풍팬(16)이 설치된다. 여기서, 예열기(14)는 통상의 석유버너로 구성되며, 이 예열기(14)는 플라스틱 고형연료를 사용하기 전에 본 발명을 미리 가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송풍팬(16)은 플라스틱 고형연료를 연소시킬 때 본 발명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후방에는 후술하는 메인축(40)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8)가 설치된다.
그리고 호퍼결합공(11)에 결합되는 호퍼(H)는 플라스틱 고형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호퍼(H) 내의 공급통로 일부분에는 정량공급기(20)가 설치된다. 정량공급기(20)는 외주면에 다수의 연료안내홈(24)이 형성된 연료공급대(22)가 호퍼(H) 내의 공급통로에 설치되고, 연료공급대(22)에 모터(26)의 모터축이 결합되어 연료공급대(22)를 일정 속도로 회전시키면서 고형연료를 공급하게 구성된다. 즉, 플라스틱 고형연료가 연료공급대(22)의 연료안내홈(24)에 떨어져 충진되면 이 연료공급대(22)가 회전하면서 해당되는 연료안내홈(24)의 고형연료가 호퍼결합공(11)을 통해 후술하는 연료투입공(32)으로 떨어져 투입되는 것이다. 물론, 고형연료의 투입량은 연료공급대(22)의 회전 속도에 따라 조절된다. 그리고 연료안내홈(24)의 단부는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호퍼(H)의 내면에 긁이면서 고형연료를 분쇄하는 기능을 갖도록 구성된다.
하우징(10)의 조립공(12)에는 메인축커버(30)가 끼워지게 결합된다. 메인축커버(30)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고, 일부분에는 십자 형상으로 지지대(34)가 연장 형성되어 하우징(10)에 밀착된 상태로 용접 고정된다. 그리고 상면 일부에는 호퍼결합공(11)과 대응되는 연료투입공(32)이 관통 형성된다.
메인축커버(30)의 내부에는 메인축(40)이 끼워져 결합된다. 메인축(40)은 외주면의 일부 구간에 연료투입공(32)을 통해 투입된 플라스틱 고형연료를 이송시키는 스크류(42)가 형성되며, 스크류(42)의 사이사이에는 공기가 통할 수 있게 다수의 공기구멍(44)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메인축(40)의 선단에는 후술하는 키(K)가 끼워져 결합되는 키결합공(46)이 형성된다. 그리고 메인축(40)의 후단은 상술한 구동모터(18)에 연결되어 구동모터(18)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메인축커버(30)의 외면에는 소정의 틈새(T)를 갖도록 고정실린더(50)가 끼워지게 조립되고, 고정실린더(50)는 메인축커버(30)의 지지대(34)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즉, 메인축커버(30)의 단부에는 플랜지부(52)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플랜지부(52)와 지지대(34)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용접을 통해 고정시킨다. 여기서, 메인축커버(30)와 고정실린더(50)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T)로는 송풍팬(16)를 통해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다음으로 메인축커버(30)의 외주면에는 열기의 체류시간을 연장시키기 위해 다수의 실린더용 날개(54)가 설치되는 데, 이 실린더용 날개(54)는 열기의 체류시간을 연장시키기 위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후술하는 회전챔버(60)의 내면에 밀착되게 형성되며, 이물질을 잘 긁어 낼 수 있도록 단부에는 칼날(54a)이 일체로 형성된다. 즉, 고형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그을름 등과 같은 이물질이 회전챔버(60)의 내면에 달라 붙게 되는 데, 이를 긁어 낼 수 있도록 칼날(54a)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고정실린더(50)의 외주면에는 실 린더용 날개(54)들의 사이사이에 연소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니켈과 크롬으로 이루어진 메탈파이바(56)가 링형상으로 감싸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메탈파이바(56)는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원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메탈파이바를 적용함으로써 연소 효율을 극대화하고, 환경규제 및 성능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NOX 저하 기능 역할은 물론, 내구성이 우수하여 CO의 배출가스를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고정실린더(50)의 외면에는 소정의 연소 공간(G1)을 갖도록 회전챔버(60)가 씌워져 결합된다. 회전챔버(60)는 외주면에 열기의 체류시간을 연장시키기 위해 다수의 챔버용 날개가 설치되는 데, 이 챔버용 날개(62)는 열기의 체류시간을 연장시키기 위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후술하는 리듀셔(80)의 내면에 밀착되게 형성되며, 이물질을 잘 긁어 낼 수 있도록 단부에는 칼날(62a)이 일체로 형성된다. 즉, 고형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그을름 등과 같은 이물질이 리듀셔(80)의 내면에 달라 붙게 되는 데, 이를 긁어 낼 수 있도록 칼날(62a)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회전챔버(60)는 챔버커버(70)를 통해 메인축(40)과 함께 회전되도록 조립된다. 챔버커버(70)는 중간부분에 메인축(40)의 키결합공(46)과 대응되는 키홈(72)이 형성되고, 이 키홈(72)과 키결합공(46)을 관통하도록 키(K)가 결합되어 챔버커버(70)를 메인축(40)의 선단 부분에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챔버커버(70)의 외면 일부분에는 원판(74)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원판(74)은 회전챔버(60)와 밀착된 상태로 서로 용접시켜 회전챔버(60)를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메인축(40)이 회전하게 되면 키(K)를 통해 그 동력이 챔버커버(70)로 전달되고 결과적으로 회전챔버(60)를 함께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회전챔버(60)의 외면에는 소정의 연소 공간(G2)을 갖도록 리듀셔(80)가 씌워지게 조립된다. 리듀셔(80)는 그 후단부가 하우징(10)에 밀착되어 용접으로 고정되며, 회전챔버(60)의 챔버용 날개(62)가 내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선단부의 열기배출구(82)는 열기를 모아서 배출할 수 있게 좁아지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리듀셔(80)의 선단부 내면에는 메인축(40)에 프로펠러(92)가 결합되어 메인축(40)과 함께 회전되게 설치된다. 프로펠러(92)는 회전챔버(60)의 회전에 의해 고형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열기가 리듀셔(80)의 열기배출구(82)를 통해 배출될 때 스크류 방식으로 회전하면서 배출되는 데, 이 스크류 방식으로 회전하면서 배출되는 열기가 부딪혀 직선으로 배출되게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리듀셔(80)의 외주면에는 소정의 틈새를 갖도록 감싸게 외통(90)이 조립된다. 이때, 외통(90)은 리듀셔(80)의 외면이 뜨겁기 때문에 이로 인한 화상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하우징(10)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호퍼(H)를 통해 공급되는 플라스틱 고형연료가 예열기(14)에 의해 예열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메인축(40)의 스크류를 따라 이동되면서 1차 연소되고, 메인축커버(30)와 회전챔버(60) 사이의 연소 공간(G1)을 따라 이동되면서 2차 연소되며, 회전챔버(60)와 리듀셔(80) 사이의 연소 공간(G2)을 따라 이동되면서 3차 연소되어, 3단계에 걸쳐 완전 연소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 효과를 좀 더 설명하면, 먼저 예열기(14)에서 열을 공급하여 메인축(40), 메인축커버(30), 회전챔버(60) 및 리듀셔(80)를 예열시킨다. 이 상태에서 호퍼(H)를 통해 플라스틱 고형연료를 공급하게 되면, 고형연료가 연소되면서 열기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고형연료가 연소되기 시작하면 예열기(14)의 작동은 멈추게 되고, 고형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계속 투입되는 고형연료는 연소된다. 플라스틱 고형연료가 연소되는 방법을 좀 더 설명하면, 투입된 고형연료는 메인축(40)의 스크류(42)를 따라 안내 이동되면서 1차 연소된다. 그리고 1차 연소되고 남은 잔여 고형연료는 고정실린더(50)와 회전챔버(60)의 사이에 형성된 연소 공간(G1)으로 안내되어 이 공간에서 2차 연소가 이루어지게 되고, 2차 연소되고 남은 최종 잔여 고형연료는 회전챔버(60)와 리듀셔(80)의 사이에 형성된 연소 공간(G2)으로 안내되어 이 공간에서 3차 연소가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고정실린더(50)의 외면에는 실린더용 날개(54)가 형성되고, 회전챔버(60)의 외면에는 챔버용 날개(6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형연료 및 가 스가 연소 공간에 체류하는 시간이 늘어나게 되고, 따라서 천천히 완전 연소를 하게 된다. 또한, 실린더용 날개(54)와 챔버용 날개(62)가 각각 대응되는 회전챔버(60)의 내면과 리듀셔(80)의 내면에 밀착되어 내면에 달라 붙는 그을음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때문에 이물질까지 완벽하게 연소시키게 된다. 그리고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열기는 리듀셔(80)의 열기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때 스크류 방식으로 회전하면서 와류되는 것이 아니라 프로펠러(92)에 부딪혀 직선으로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너장치에 별도의 이송분해기를 추가로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상술한 호퍼(H) 옆에 다른 호퍼(H2)를 설치하고, 이 호퍼(H2)로 투입되는 플라스틱 고형연료가 이송분해기(100)로 안내 공급되게 구성된다. 이송분해기(100)는 플라스틱 고형연료를 별도로 가열 연소시켜 상술한 실시예의 버너장치 내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호퍼(H2)를 통해 공급된 플라스틱 고형연료를 지그재그 방식으로 안내하는 이송관(110)과, 이송관(110) 내에 설치되고 내부에 가열체인 히터봉(120)이 설치된 이송스크류(130)와, 이송관(110)의 이송스크류(130)를 따라 안내되면서 연소된 열기를 안내 배출하는 배출관(140)과, 배출관(140)과 연결되고 상술한 예열기(14)에 연결되는 연소통로(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호퍼(H2)를 통해 공급된 고형연료는 이송관(110) 내의 이송스크류(130)를 따라 안내되면서 히터봉(120)에 의해 연소되고, 연소시 발생되는 열기는 배출관(140)과 연소통로(150)를 통해 다시 상술한 버너장치로 공급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이 구조를 추가하면 플라스틱 고 형연료를 이송분해기(100)를 통해 연소시킬 수도 있고,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장치를 통해 연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플라스틱 고형연료를 3단계에 거쳐 연소시키기 때문에 완전 연소가 가능하고, 지그재그 방식으로 연소시키기 때문에 연소 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량공급기를 통해 플라스틱 고형연료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료안내홈의 단부가 톱니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호퍼의 내면에 긁기면서 고형연료를 분쇄시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실린더의 외면에 메탈파이바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화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고형연료를 보다 확실하게 연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내부에 조립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면 일부에는 호퍼결합공이 관통 형성되며, 일측에는 예열기가 설치되며, 타측에는 송풍팬이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조립공에 끼워지게 결합되되,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고, 일부분에는 십자 형상으로 지지대가 연장 형성되어 하우징에 밀착된 상태로 용접 고정되며, 상면 일부에는 상기 호퍼결합공과 대응되는 연료투입공이 관통 형성된 메인축커버;
    상기 메인축커버의 내부에 끼워져 결합되고, 외주면의 일부 구간에는 연료투입공을 통해 투입된 플라스틱 고형연료를 이송시키는 스크류가 형성되며, 스크류의 사이사이에는 공기가 통할 수 있게 다수의 공기구멍이 관통 형성된 메인축;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하수징의 호퍼결합공에 결합되어 연료투입공으로 플라스틱 고형연료를 공급하는 호퍼;
    상기 호퍼 내의 공급통로 일부분에 설치되되, 외주면에 다수의 연료안내홈이 형성된 연료공급대가 회전하면서 그 회전 속도에 따라 플라스틱 고형연료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정량공급기;
    상기 메인축커버의 외면에 소정의 틈새를 갖도록 조립되어 메인축커버의 지지대에 고정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열기의 체류시간을 연장시키기 위해 다수의 실린더용 날개가 설치된 고정실린더;
    상기 고정실린더의 외면에 소정의 연소 공간을 갖도록 씌워져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열기의 체류시간을 연장시키기 위해 다수의 챔버용 날개가 설치되며, 고정실린더의 실린더용 날개가 내면에 밀착되게 배치되어 내면에 달라 붙은 고형연료의 이물질을 긁어 낼 수 있게 구성된 회전챔버;
    상기 메인축의 선단 부분에 키를 통해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메인축과 함께 회전되게 설치되고, 외면 일부분에는 원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 원판에 상기 회전챔버가 용접으로 고정되어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된 챔버커버;
    상기 회전챔버와 소정의 연소 공간을 갖도록 씌워지되 챔버커버와 회전챔버를 감싸도록 조립되며, 회전챔버의 챔버용 날개가 내면에 밀착되게 배치되어 내면에 달라 붙은 고형연료의 이물질을 긁어 낼 수 있게 구성되고, 선단부의 열기배출구는 열기를 모아서 배출할 수 있게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 리듀셔;
    상기 리듀셔의 선단부 내면에서 메인축에 결합되어 회전되게 설치되고, 리듀셔의 열기배출구를 통해 스크류 방식으로 회전하면서 배출되는 열기가 부딪혀 직선으로 배출되게 안내하는 프로펠러; 및
    상기 리튜셔의 외주면에 소정의 틈새를 갖도록 감싸게 조립되어 화상을 방지하는 외통이 포함되게 구성되어,
    상기 호퍼를 통해 공급되는 플라스틱 고형연료가 상기 예열기에 의해 예열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메인축의 스크류를 따라 이동되면서 1차 연소되고, 메인축커버와 회전챔버 사이의 연소 공간을 따라 이동되면서 2차 연소되며, 회전챔버와 리듀셔 사이의 연소 공간을 따라 이동되면서 3차 연소되어, 3단계에 걸쳐 완전 연소 되고, 이 상태로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열기가 리듀셔의 열기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때 회전에 의해 와류되는 것이 아니라 프로펠러에 부딪혀 직선으로 배출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고형연료를 이용한 버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실린더의 외주면에는 실린더용 날개들의 사이사이에 연소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니켈과 크롬으로 이루어진 메탈파이바가 링형상으로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고형연료를 이용한 버너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용 날개와 챔버용 날개는 열기의 체류시간을 연장시키기 위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이물질을 잘 긁어 낼 수 있도록 단부는 칼날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고형연료를 이용한 버너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공급기는 외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연료안내홈이 형성된 연료공급대와, 연료공급대를 일정 속도로 회전시키는 모터로 구성되고, 연료안내홈 의 단부는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호퍼의 내면에 긁이면서 고형연료를 분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고형연료를 이용한 버너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 옆에는 다른 호퍼가 설치되되, 이 호퍼는 이송분해기로 플라스틱 고형연료를 공급할 수 있게 설치되고,
    이송분해기는, 호퍼를 통해 공급된 플라스틱 고형연료를 지그재그 방식으로 안내하는 이송관과, 이송관 내에 설치되고 내부에 가열체인 히터봉이 설치된 이송스크류와, 이송관의 이송스크류를 따라 안내되면서 연소된 열기를 안내 배출하는 배출관과, 배출관과 연결되고 상기 예열기에 연결되는 연소통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고형연료를 이용한 버너장치.
KR1020070015126A 2007-02-14 2007-02-14 플라스틱 고형연료를 이용한 버너장치 KR100800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126A KR100800009B1 (ko) 2007-02-14 2007-02-14 플라스틱 고형연료를 이용한 버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126A KR100800009B1 (ko) 2007-02-14 2007-02-14 플라스틱 고형연료를 이용한 버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0009B1 true KR100800009B1 (ko) 2008-01-31

Family

ID=39219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5126A KR100800009B1 (ko) 2007-02-14 2007-02-14 플라스틱 고형연료를 이용한 버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00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854B1 (ko) 2008-02-15 2009-02-10 박죽랑 고형연료 열분해 가스연소버너 장치
KR101578641B1 (ko) * 2015-10-29 2015-12-17 김용복 고체연료 연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소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0237A (ja) * 1994-04-05 1995-10-27 Tomotake Shigemori 回転ドラム式焼却装置
KR200213633Y1 (ko) 2000-09-05 2001-02-15 김규한 연소통이 회전되는 고체 연료 연소버너
KR20010074047A (ko) * 2001-01-13 2001-08-04 방헌균 가연성 분체연료 연소기
KR20010106889A (ko) * 2000-05-24 2001-12-07 김정남 고체 연료 연소 버너
KR20030076268A (ko) * 2002-03-22 2003-09-26 주식회사 지알보일러 폐플라스틱 고형연료 연소 버너
KR20040052034A (ko) * 2002-12-13 2004-06-19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고형 물질 공급 장치
KR100731187B1 (ko) 2005-03-03 2007-06-22 (주)이오스시스템 고분자류 폐기물 열분해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0237A (ja) * 1994-04-05 1995-10-27 Tomotake Shigemori 回転ドラム式焼却装置
KR20010106889A (ko) * 2000-05-24 2001-12-07 김정남 고체 연료 연소 버너
KR200213633Y1 (ko) 2000-09-05 2001-02-15 김규한 연소통이 회전되는 고체 연료 연소버너
KR20010074047A (ko) * 2001-01-13 2001-08-04 방헌균 가연성 분체연료 연소기
KR20030076268A (ko) * 2002-03-22 2003-09-26 주식회사 지알보일러 폐플라스틱 고형연료 연소 버너
KR20040052034A (ko) * 2002-12-13 2004-06-19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고형 물질 공급 장치
KR100731187B1 (ko) 2005-03-03 2007-06-22 (주)이오스시스템 고분자류 폐기물 열분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854B1 (ko) 2008-02-15 2009-02-10 박죽랑 고형연료 열분해 가스연소버너 장치
KR101578641B1 (ko) * 2015-10-29 2015-12-17 김용복 고체연료 연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소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4438B2 (en) Wood fired boiler
KR100771368B1 (ko) 폐합성수지를 연료로 사용하는 가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800009B1 (ko) 플라스틱 고형연료를 이용한 버너장치
US8240258B2 (en) Burner for waste plastic
KR20090099191A (ko) 폐기물 고형연료 연소장치
KR20100001731A (ko) 연소장치
EP3278022B1 (en) Solid fuel boiler burner
KR100882854B1 (ko) 고형연료 열분해 가스연소버너 장치
JP2008139010A (ja) 燃焼装置
KR200489378Y1 (ko) 클링커제거장치를 구비한 연소기
KR101004765B1 (ko) 폐기물 탄화 처리장치
KR100689657B1 (ko) 고점도 연료를 위한 공냉식 버너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017700B1 (ko) 열효율이 향상된 연소장치
KR20030076268A (ko) 폐플라스틱 고형연료 연소 버너
KR101278377B1 (ko) 목재 펠릿용 버너
KR20100024043A (ko) 액체 유기성 폐기물의 완전 연소 장치 및 방법
JP3142548U (ja) バイオマス燃焼装置
EP0618405B1 (en) Burner device utilizing combustible wastes as fuels
WO2013111929A1 (ko) 펠릿 보일러용 건 타입 버너
CN109882844B (zh) 一种高效物料参烧燃烧器
KR200279085Y1 (ko) 폐플라스틱 고형연료 연소 버너
KR20120124251A (ko) 바이오 연료 연소장치
KR101267961B1 (ko) 펠릿보일러용 연소장치
KR200226181Y1 (ko) 회전식 소각로
KR101646245B1 (ko) 버너 일체형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