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9602B1 - 통합 환경오염분석방법 - Google Patents

통합 환경오염분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9602B1
KR100799602B1 KR1020070026549A KR20070026549A KR100799602B1 KR 100799602 B1 KR100799602 B1 KR 100799602B1 KR 1020070026549 A KR1020070026549 A KR 1020070026549A KR 20070026549 A KR20070026549 A KR 20070026549A KR 100799602 B1 KR100799602 B1 KR 100799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lution
pollutants
air
soi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6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익
정창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 에프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 에프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 에프앤티
Priority to KR1020070026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96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9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9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4Investigating contamination, e.g. dus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4Earth mater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environmental sensors, e.g. for detecting temperature, luminosity, pressure, earthquak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Biochemist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ath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Ecolog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환경오염분석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각 배출원 별로 이루어지는 환경오염분석방법 보다 정확한 환경오염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대기와 지표수, 지하수 그리고 토양 오염에 대한 자료를 입력받은 후 기상과 지형 자료와 함께 각 배출원들 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분석을 수행하게 되며 분석 후 이를 출력하게 되는 통합환경오염분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각 배출원 별로 분석하는 종래의 방법에 비해 보다 정확한 환경오염상태를 분석하고 예측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환경 오염 분석 기상 공해 유해성 지형

Description

통합 환경오염분석방법{analyzing method for integrated environmental pollution}
도1 : 종래의 분석모델을 사용하여 부산지역을 지역별로 구분한 상태를 나타낸 도
도2 : 본 발명의 통합 환경오염분석방법에 의한 모델의 개념도
도3 : 대기오염물질의 정보 획득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도4 : 입자상물질 배출원 모델링 입력자료 가공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5, 도6, 도7 : 가스상물질 배출원 모델링 입력자료 가공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8 : 액체상물질 배출원 모델링 입력자료 가공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9 : 본 발명의 통합 환경오염분석방법의 간략한 순서도
도10 : 본 발명의 통합 환경오염분석방법에 의해 분석된 결과를 나타낸 도
도11 : 도10에서 일정시간이 지난 후의 오염상태를 나타낸 도
본 발명은 통합 환경오염분석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집된 오 염물질의 배출원 별 정보와 기상 및 지리 정보를 통해 각 배출원 별 분석과 함께 상호작용을 함께 고려하여 분석하도록 구성되는 통합 환경오염분석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에 따른 환경오염물질의 배출이 증가하면서 환경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산업화 초기에는 이러한 환경오염에 관한 인식이 낮아 폐수나 매연 등을 함부로 외부로 배출시켜 주변의 환경이 오염되고 이에 따라 상기 오염물질이 인체에 축적되어 수많은 질병이 나타나게 되면서 대책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이러한 환경오염물질은 배출원에서 배출된 후 서서히 확산되어 주변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배출원에서 배출된 오염물질의 확산 정도와 확산에 의해 주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러한 환경오염물질을 분석하기 위해서 수질, 대기, 토양 오염의 분석이 별도로 이루어져 정확한 오염물질의 확산을 파악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수질오염에 대한 분석의 경우 공장에서 배출되는 폐수가 방류되어 흘러가는 경로를 따라 오염물질이 확산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하수구나 하천 등의 수질을 측정하고 이에 따른 대책을 마련하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폐수가 지상에서 흘러가는 동안 지하로 스며들어 지하수를 오염시키기도 하고 증발하여 악취와 함께 대기를 오염시키기도 하며 하천 주위의 토양에도 스며들어 토양오염을 야기하는 등 단순히 폐수라고 해서 수질오염만을 고려해서는 정확한 오염물질의 확산 을 파악할 수 없다.
이러한 오염물질의 배출원 간의 상호작용을 반영한 것으로는 서울대학교에서 국립환경연구원의 지원하에 개발한 EDCSeoul라는 모델이 있다. 이 모델은 서울지역의 대상공간을 크게 대기, 수체, 퇴적물, 토양, 식생의 5개 주매체과 각각의 부매체로 구분하고 5개의 주매체에는 서울 지역의 환경특성을 고려하여 매체별 면적 및 용적 등의 공간환경에 대한 자료가 입력되어 있으며, 강우량, 대기 중 분진농도 등의 기상 및 기후조건은 계절적 변동성을 고려하여 조사된 월별 통계치가 입력되어 있다. 매체 내 기작과 매체 간 기작을 포함하는 물질 수지 식을 세워 매체별 오염물질의 시간적 농도 변화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모델은 정보를 지자체에서 수집한 통계자료를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넓은 지역의 전체적인 분석은 가능하나 좁은 지역에서의 세밀한 분석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서울대의 모델로 부산지역을 분석하는 경우 부산 전체를 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약 10개의 구역으로 분리하고 각 구역에 대한 통계적인 정보를 입력받아 처리하게 되므로 상기 구역단위로 분석결과가 나오게 되며 각 구역내의 세부공간에 대한 분석이 불가능하여 정확한 대책 마련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수집된 오염물질의 배출원 별 정보를 입력받은 후 각 배출원들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분석하여 보다 정확한 환경오염 상태를 분석할 수 있는 통합 환경오염 분석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각 오염물질의 배출원에 설치된 센서 또는 측정자가 측정한 대기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에 대한 자료와 각 지역의 기상정보를 전달받은 후 상기 자료의 무결성을 검사하고 결측자료는 수집된 자료로부터 사용하여 추정치를 구하게 되며 각 오염물질 배출원 별 단위시간당 오염물질배출량을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되는 초기화 단계와; 기상, 지형, 대기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에 대한 자료로부터 대기오염물질의 이동량을 계산하게 되며 상기 대기오염물질이 지표수로 이동되는 이동량을 계산하게 되는 대기오염계산단계와; 기상, 지형, 대기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에 대한 자료로부터 지표수오염물질의 이동량을 계산하게 되며 상기 지표수에서 증발하는 증발량과 토양으로 이동하는 이동량을 계산하는 지표수오염계산단계와; 기상, 지형, 대기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에 대한 자료로부터 지하수로 투입되는 오염물질의 양과 흐름에 따른 이동량을 계산하게 되며 상기 지하수에서 해양으로 전달되는 오염물질의 량을 계산하는 지하수오염계산단계와; 기상, 지형, 대기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에 대한 자료로부터 대기오염물질과 지하수오염물질의 이동량에 따라 토양오염물질의 이동량을 계산하는 토양오염계산단계와; 상기 대기오염계산단계와, 지표수오염계산단계와, 지하수오염계산단계와, 토양오염계산단계에서 계산된 각 배출원별 이동량 정보를 통해 입력된 대기, 수질, 토양 오염에 관한 정보를 보정하는 보정단계와; 계산된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보정단계에서 보정된 정보로 상기 대기오염계산단계와, 지표수오염계산단계와, 지하수오염계산단계와, 토양오염계산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여 환경오염의 확산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환경오염 분석방법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초기화 단계는, 외부에서 수집된 자료를 전달받은 후 상기 자료의 무결성을 검사하고 결측자료는 수집된 자료로부터 사용하여 추정치를 구하게 되며 각 오염물질 배출원 별 단위시간당 오염물질배출량을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대기오염자료는, 일정지역을 통과하는 차량의 차종과 연식과 속도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차량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양을 포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대기오염자료는, 분석지역의 굴뚝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확인되는 오염물질의 배출량을 포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초기화단계는 쓰레기 매립지 또는 공장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에 관한 정보를 대기, 수질, 토양오염자료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출력단계는, 시간별로 이동하는 오염물질을 3차원 모델링하여 표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출력단계는, 시간별로 이동하는 오염물질을 3차원으로 분석한 후 고도에 따른 다수개의 층으로 분류하여 각 층의 오염물질 이동을 표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통합 환경오염분석방법에 따른 모델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환경오염분석방법은 크게 초기화단계와, 대기오염계산단계와 지표수오염계산단계와 지하수오염계산단계와 토양오염계산단계와 보정단계와 출력단계로 나눌 수 있다.
상기 초기화단계는 외부에서 수집된 기상, 지형, 대기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에 대한 자료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단계이다.
대기오염에 대한 자료는 먼저 일정지역을 통과하는 자동차의 수와 차종과 속도와 대기의 온도 등을 파악하여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배출량을 수집하게 된다. 또한 공장의 경우 굴뚝으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파악하기 위해 굴뚝에 센서를 부착하고 상기 센서가 검출한 정보는 서버로 전달하여 굴뚝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자동차나 공장 등의 산업현장 외에도 쓰레기 매립지, 선박 등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도 수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공장의 굴뚝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자료 수집은 도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진다. 먼저 각 굴뚝의 좌표, 굴뚝높이, 직경, 토출온도, 토출속도등의 자료가 있는가 검사한 후 자료가 있으면 이를 통해 각 좌표별 굴뚝 배출량을 계산하게 된다.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센서로부터 얻어지는 값을 사용하게 되나 아직 센서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의 경우에는 이러한 값을 얻을 수 없으므로 다음 단계로 진행하게 된다. 다음단계에서는 일정지역의 평균 굴뚝높이, 직경, 토출온도, 토출속도 등의 자료가 있는가 확인한 후 이 값이 있을 경우에는 해당 지역의 평균자료를 이용하여 좌표별 굴뚝 배출량을 추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는 이를 위해 전국을 234개 시, 군, 구 지차체로 나누어 처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지자체의 정보도 없는 경우에는 광역시 단위로 계산을 하게 되며 이러한 값도 없는 경우에는 전국의 평균 굴뚝높이, 직경, 토출온도, 토출속도 등의 자료를 사용하게 된다.
도로의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각 도로의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이용하게 되며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보다 광역의 정보를 사용하여 추정값을 획득하게 된다.
수질오염의 경우에는 쓰레기 매립지, 폐기물 처리시설, 소각장 등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종류와 양을 파악하고 이를 서버에 저장하게 된다. 상기 수질오염물질의 측정도 대기오염과 유사하게 각종 센서를 배출구에 설치하거나 측정자가 수집하여 입력하게 되며 상기와 같은 자료를 얻을 수 없는 경우(센서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광역의 정보를 사용하여 각 오염원별 오염물질의 배출량을 계산하게 된다.
그리고 토양오염의 경우에는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측정자가 현장에서 직접 검출하여 이를 서버에 입력하도록 하게 된다. 그러나 토양오염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일정한 지역에 매설한 후 이를 통해 정보를 전달받도록 구성하는 것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수집된 데이터에서 완전한 자료를 얻지 못하는 경우에는 오염물질에 따라 도4내지 도8에 도시된 것과 같은 순서에 따라 계산하여 각 배출원 별 오염물질의 배출량을 계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배출원 별 정보를 획득함과 동시에 기상과 지형 정보도 함께 입력하게 된다. 오염의 확산에 강우량이나 풍향 풍속등이 영향을 받게 되므로 상기와 같은 기상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입력받을 필요가 있다. 이때 상기 기상정보는 지표의 기상뿐만 아니라 고층의 기상도 함께 입력받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상정보를 기상청에서 전달받은 후 이를 수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수집되는 정보는 후술할 계산단계에서 사용하기 위해 무결성 검사와 보정을 수행하게 된다. 즉 세부적인 정보가 부족할 경우에는 수집된 정보로 부터 필요한 정보를 유추하여 적용하게 되며 지역 전체의 정보가 부족한 경우에는 유사한 다른 지역의 정보로부터 유추하여 입력하게 된다.
도9는 계산단계들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대기오염계산단계에서는 입력된 각 지역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과 기상 및 지리 정보에 의해 일정 시간동안의 대기오염물질의 이동량을 계산하게 된다. 대기오염물질정보와 기상정보와 지리정보로 부터 대기오염물질의 이동량을 계산하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주지관용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대기오염물질이 강우 등에 의해 지면에 낙하하여 지표수로 유입되는 량도 함께 계산하게 된다.
다음으로 지표수오염계산단계에서는 수집된 수질오염정보와 기상 및 지리정 보를 통해 지표수를 통해 이동되는 수질오염물질의 이동량을 계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집된 정보로부터 수질오염물질의 이동량을 계산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주지관용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수질오염물질이 증발하여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량과 지하로 흘러가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물질의 양을 함께 계산하게 된다.
다음으로 지하수오염계산단계에서도 수집된 수질오염정보와 기상 및 지리정보를 통해 지하수를 통해 이동되는 수질오염물질의 이동량을 계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하수로부터 해양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양 등을 함께 계산하게 된다.
상기 토양오염계산단계에서는 토양에서 대기로 증발되는 오염물질의 양과 지하수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양을 함께 계산하게 된다.
상기의 계산단계들은 일정시간 동안의 오염물질의 이동량을 계산하게 되며 상기와 같이 계산이 이루어지면 계산에 사용되었던 정보를 보정하게 된다. 즉 각 계산단계에서 계산된 결과에 따라 대기오염물질에서 지표수로 유입된 양을 지표수오염정보에 포함시키고 지표수에서 대기로 이동하는 양은 대기오염물질에 지하수로 이동한 양은 지하수오염물질에 추가하는 등의 보정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보정이 이루어진 후에는 상기 보정된 정보를 사용하여 상술한 계산단계를 다시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순차적으로 오염물질이 확산되는 상태를 구할 수 있다.
상기 보정단계와 계산단계는 사용자가 초기에 지정한 시간동안 수행되고 계 산이 완료되면 출력단계에서 결과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출력되는 결과는 3D 영상으로 이루어져 일정지역내에서 오염물질이 확산되는 과정을 표시하여 시각적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결과를 3D영상으로 표시하는 대신 도10 및 도11과 같이 표시할 지역을 고도에 따라 다수개의 층으로 나누고 일정한 층에서의 오염물질의 확산과정을 표시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통합 환경오염 분석방법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매립지, 산업단지, 도로 등에 각종 센서를 설치하게 된다.
매립지의 경우 침출수와 대기오염물질 등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들을 설치하게 되며 센서와 함께 직접 관리자나 담당자가 토양과 악취등을 판단하여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도 함께 구비하게 된다.
산업단지의 경우 굴뚝들 에는 대기오염물질의 배출량을 검사할 수 있는 센서를 설치하여 황산화물, 질산화물, 이산화탄소, 기타 오염물질의 배출을 검사하게 된다. 또한 산업단지내의 공장에서 배출되는 폐수의 양과 폐수에 포함된 성분을 파악할 수 있는 센서를 설치하여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양을 파악하게 된다.
도로에서는 도로를 통과하는 차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카메라를 설치하고 입력된 영상을 분석하여 차종, 연식, 속도 등을 분석하게 된다. 여기서 카메라를 사용하는 대신 속도를 감시할 수 있는 센서를 설치하고 담당자가 직접 통과하는 차량 의 차종과 연식을 입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무방하다.
또한 가정에서 배출되는 폐수의 경우 각 가정에 모두 센서를 설치하기는 곤란하므로 일정한 지역에서 배출되는 폐수가 모이는 위치에 센서를 설치하여 대략적인 오염물질의 배출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된다.
또한 항구의 경우에는 선박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고려해 볼만하다.
상기와 같은 오염물질에 대한 정보는 모두 서버로 전송되어 취합된다.
이때 상기 정보들 중 일부 정보에 이상이 있거나 누락된 경우 무결성 검사를 통해 보정을 하게 된다. 또한 정확한 자료를 구할 수 없는 경우 획득된 정보를 분석하여 단위시간당 오염물질의 배출량을 계산하게 된다. 아래는 오염물질의 배출량을 계산하는 예이다.
액체 폐기물을 소각하는 사업장의 경우를 살펴보기로 한다. 이 사업장의 주 배출원은 저휘발성 액상 폐기물을 저장하는 탱크 B, C 2기와 소각배출 굴뚝 D 등이다. 탱크 B,C와 굴뚝 D에서 배출되는 물질의 양은 표1에 나타나있다. 상기 자료는 연간 배출량으로 되어 있으므로 바로 적용할 수 없으므로 계산을 통해 자료를 구해야 한다.
Figure 112007021683078-pat00001
탱크 B에서 배출되는 A물질의 단위시간당 배출량의 계산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표1에 기재된 것과 같이 연간 배출량 13 kg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초당 배출량은
탱크 B 배출량 = 13 kg/년 ÷ 8,760 시간 ÷ 3,600 초 × 1,000 g = 0.0004122 g/s 으로 구할 수 있다.
상기 탱크 B는 액상 배출물질 배출원이므로 도8의 액체상물질 배출원 모델링 입력자료 가공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탱크B를 조사한 결과 '가압포화된 액체'임이 알려지게 되면 최종적으로 표2와 같은 자료를 얻을 수 있다.
Figure 112007021683078-pat00002
다음으로 굴뚝 D에서의 E 물질 배출량은
굴뚝 D 배출량 = 2 kg/년 ÷ 8,760 시간 ÷ 3,600 초 × 1,000 g = 6.341 × 10-5 g/s 이 된다.
그리고 상기 굴뚝 D는 가스상 배출물질 배출원이므로 도 가스상물질 배출원 모델링 입력자료 가공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굴뚝 D가 연속적 굴뚝배출 조건이며 굴뚝 제원 등은 직접 조사하여 구하게 되면 표3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Figure 112007021683078-pat00003
상기와 같은 오염물질의 배출정보와 함께 기상과 지리정보도 함께 입력받게 된다. 기상정보의 경우 기상청과 연결하여 고도에 따른 기압과 풍향, 기온, 강수량 등의 정보를 전달받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정보들을 사용하여 수질, 대기, 토양 오염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진다.
이때 최초 분석은 입력된 정보들을 사용하여 각각 지하수와 지표수, 대기, 토양의 오염물질이 확산되는 것을 파악하는 것으로 입력된 시점으로부터 일정시점(예를 들면 1시간 후)의 확산상태를 구하게 된다.
이후 상기 확산상태로부터 지하수, 지표수, 대기, 토양 오염 간에 상호 영향을 미치는 것을 고려하여 입력된 정보를 수정하게 된다. 즉 지표수로부터 토양으로 이동하는 오염물질의 양을 계산하고 이를 토양오염물질의 배출량에 추가하게 되며 토양오염물질로부터 지하수나 지표수로 배출되는 양은 차감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계산과정을 거쳐 정보가 수정되면 다시 지하수와 지표수, 대기, 토양의 오염물질의 확산을 계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게 되면 시간대별로 오염물질이 확산되는 것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계산이 수행되면 상기 결과는 도에 표시된 것과 같은 형태로 화면상에 표시되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결과는 해당지역을 고도에 따라 다수개의 층으로 분할하고 각 층에서의 오염물질의 이동량을 시간대별로 순차적으로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결과에 의해 오염물질의 이동경로와 오염물질에 의한 피해가 발생할 지역을 미리 예측할 수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사전에 해당지역의 주민을 이동시키거나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곳에 정화시설을 설치하여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합환경오염분석방법에 의하면 배출원 별 오염물질 배출량과 배출원간의 상호작용을 함께 고려하여 분석이 이루어지므로 보다 정확한 예측이나 상황판단이 이루어지므로 환경오염에 대해 보다 원할한 대처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삭제
  2. 각 오염물질의 배출원에 설치된 센서 또는 측정자가 측정한 대기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에 대한 자료와 각 지역의 기상정보를 전달받은 후 상기 자료의 무결성을 검사하고 결측자료는 수집된 자료로부터 사용하여 추정치를 구하게 되며 각 오염물질 배출원 별 단위시간당 오염물질배출량을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되는 초기화 단계와;
    기상, 지형, 대기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에 대한 자료로부터 대기오염물질의 이동량을 계산하게 되며 상기 대기오염물질이 지표수로 이동되는 이동량을 계산하게 되는 대기오염계산단계와;
    기상, 지형, 대기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에 대한 자료로부터 지표수오염물질의 이동량을 계산하게 되며 상기 지표수에서 증발하는 증발량과 토양으로 이동하는 이동량을 계산하는 지표수오염계산단계와;
    기상, 지형, 대기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에 대한 자료로부터 지하수로 투입되는 오염물질의 양과 흐름에 따른 이동량을 계산하게 되며 상기 지하수에서 해양으로 전달되는 오염물질의 량을 계산하는 지하수오염계산단계와;
    기상, 지형, 대기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에 대한 자료로부터 대기오염물질과 지하수오염물질의 이동량에 따라 토양오염물질의 이동량을 계산하는 토양오염계산단계와;
    상기 대기오염계산단계와, 지표수오염계산단계와, 지하수오염계산단계와, 토양오염계산단계에서 계산된 각 배출원별 이동량 정보를 통해 입력된 대기, 수질, 토양 오염에 관한 정보를 보정하는 보정단계와;
    계산된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보정단계에서 보정된 정보로 상기 대기오염계산단계와, 지표수오염계산단계와, 지하수오염계산단계와, 토양오염계산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여 환경오염의 확산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환경오염 분석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오염자료는,
    일정지역을 통과하는 차량의 차종과 연식과 속도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차량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양을 포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환경오염 분석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오염자료는,
    분석지역의 굴뚝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확인되는 오염물질의 배출량을 포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환경오염 분석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초기화단계는
    쓰레기 매립지 또는 공장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에 관한 정보를 대기, 수질, 토양오염자료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환경오염 분석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계는,
    시간별로 이동하는 오염물질을 3차원 모델링하여 표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환경오염 분석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계는,
    시간별로 이동하는 오염물질을 3차원으로 분석한 후 고도에 따른 다수개의 층으로 분류하여 각 층의 오염물질 이동을 표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환경오염 분석방법.
KR1020070026549A 2007-03-19 2007-03-19 통합 환경오염분석방법 KR100799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549A KR100799602B1 (ko) 2007-03-19 2007-03-19 통합 환경오염분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549A KR100799602B1 (ko) 2007-03-19 2007-03-19 통합 환경오염분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9602B1 true KR100799602B1 (ko) 2008-02-01

Family

ID=39341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6549A KR100799602B1 (ko) 2007-03-19 2007-03-19 통합 환경오염분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9602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0518B1 (ko) * 2014-07-30 2015-11-19 대보건설 주식회사 3차원 지도를 이용한 매립 폐기물 조사 방법
WO2016125941A1 (ko) * 2015-02-05 2016-08-11 (주)유엔이 환경 오염 예측 시스템 및 방법
CN106092834A (zh) * 2016-06-07 2016-11-09 中国科学院大气物理研究所 大气细颗粒物在线源解析系统及方法
KR101686587B1 (ko) * 2015-06-26 2016-12-15 영진기술 주식회사 유해물질 정보제공 장치 및 시스템
WO2017086595A1 (ko) * 2015-11-17 2017-05-2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위험유해물질의 확산 예측 장치 및 방법
KR101894245B1 (ko) * 2018-01-24 2018-09-05 한국원자력연구원 지하수 방사성오염 감시 시스템 및 동작방법
KR101952610B1 (ko) 2018-07-20 2019-03-04 주식회사 효림 Iot기반 오염토양 지중정화 관정의 실시간 모니터링에 의한 토양오염지역거동 모델링 시스템
CN111272950A (zh) * 2020-02-12 2020-06-12 北京知天地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污染物追踪系统
KR20220068766A (ko) 2020-11-19 2022-05-2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쓰레기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N116564431A (zh) * 2023-06-02 2023-08-08 江苏捷利达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处理的污染源在线分析系统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3844A (ja) 1997-09-11 1999-03-26 Kurita Water Ind Ltd 土壌間隙水の採取方法及び土壌汚染の調査方法
JPH11184839A (ja) 1997-12-25 1999-07-09 Hitachi Ltd 発散抑制型2次元河川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KR20010016476A (ko) * 2000-12-13 2001-03-05 구윤서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대기배출시설 종합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3844A (ja) 1997-09-11 1999-03-26 Kurita Water Ind Ltd 土壌間隙水の採取方法及び土壌汚染の調査方法
JPH11184839A (ja) 1997-12-25 1999-07-09 Hitachi Ltd 発散抑制型2次元河川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KR20010016476A (ko) * 2000-12-13 2001-03-05 구윤서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대기배출시설 종합관리 시스템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0518B1 (ko) * 2014-07-30 2015-11-19 대보건설 주식회사 3차원 지도를 이용한 매립 폐기물 조사 방법
WO2016125941A1 (ko) * 2015-02-05 2016-08-11 (주)유엔이 환경 오염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101774871B1 (ko) * 2015-02-05 2017-09-05 (주)유엔이 환경 오염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101686587B1 (ko) * 2015-06-26 2016-12-15 영진기술 주식회사 유해물질 정보제공 장치 및 시스템
US11557379B2 (en) 2015-11-17 2023-01-17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ng dispersion of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WO2017086595A1 (ko) * 2015-11-17 2017-05-2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위험유해물질의 확산 예측 장치 및 방법
CN106092834A (zh) * 2016-06-07 2016-11-09 中国科学院大气物理研究所 大气细颗粒物在线源解析系统及方法
KR101894245B1 (ko) * 2018-01-24 2018-09-05 한국원자력연구원 지하수 방사성오염 감시 시스템 및 동작방법
US10928525B2 (en) 2018-01-24 2021-02-23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for radiological surveillance of groundwat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952610B1 (ko) 2018-07-20 2019-03-04 주식회사 효림 Iot기반 오염토양 지중정화 관정의 실시간 모니터링에 의한 토양오염지역거동 모델링 시스템
CN111272950A (zh) * 2020-02-12 2020-06-12 北京知天地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污染物追踪系统
KR20220068766A (ko) 2020-11-19 2022-05-2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쓰레기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N116564431A (zh) * 2023-06-02 2023-08-08 江苏捷利达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处理的污染源在线分析系统及方法
CN116564431B (zh) * 2023-06-02 2024-01-09 江苏捷利达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处理的污染源在线分析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9602B1 (ko) 통합 환경오염분석방법
Capelli et al. Measuring odours in the environment vs. dispersion modelling: A review
Mønster et al. Methodologies for measuring fugitive methane emissions from landfills–A review
Scheutz et al. Guidelines for landfill gas emission monitoring using the tracer gas dispersion method
Nicolas et al. Estimation of odor emission rate from landfill areas using the sniffing team method
You et al. Estimating ground-level PM10 concentration in northwestern China using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based on satellite AOD combined with CALIPSO and MODIS fire count
Callén et al. Source apportionment of atmospheric PM2. 5-bound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by a PMF receptor model. Assessment of potential risk for human health
Ma et al. Seasonal variations of sources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to a northeastern urban city, China
Xing et al. Influences of sampling methodologies on pesticide-residue detection in stream water
Fredenslund et al. Tracer method to measure landfill gas emissions from leachate collection systems
Rees-White et al. Measuring methane emissions from a UK landfill using the tracer dispersion method and the influence of operati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Capelli et al. Combination of field inspection and dispersion modelling to estimate odour emissions from an Italian landfill
Lucernoni et al. Evaluation of an Odour Emission Factor (OEF) to estimate odour emissions from landfill surfaces
Lee et al. A mobile sensor network to map carbon dioxide emissions in urban environments
Wu et al. Measurement of fugitive volatile organic compound emissions from a petrochemical tank farm using open-path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ry
Hutchins et al. Integrated modeling in urban hydrology: reviewing the role of monitoring technology in overcoming the issue of ‘big data’requirements
Weigelt et al. Measurements of atmospheric mercury species at a German rural background site from 2009 to 2011–methods and results
KR102111121B1 (ko) 드론 및 실시간이동 측정 차량을 이용한 오염원 추적 시스템
Vitali et al. A Lagrangian modelling approach to assess the representativeness area of an industrial air quality monitoring station
Kuula et al. Applicability of optical and diffusion charging-based particulate matter sensors to urban air quality measurements
Chang et al. Parameter sensitivity to concentrations and transport distance of odorous compounds from solid waste facilities
Park et al. The potential of commercial sensors for spatially dense short-term air quality monitoring based on multiple short-term evaluations of 30 sensor nodes in urban areas in Korea
Kissas et al. Annual upscaling of methane emission field measurements from two Danish landfills, using empirical emission models
KR20210088133A (ko) 복합적 요인을 동시에 고려한 환경오염분석방법
Onofrio et al. Deposition fluxes of PCDD/Fs in the area surrounding a steel plant in northwest Ita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