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8508B1 -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 및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 및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8508B1
KR100798508B1 KR1020060068020A KR20060068020A KR100798508B1 KR 100798508 B1 KR100798508 B1 KR 100798508B1 KR 1020060068020 A KR1020060068020 A KR 1020060068020A KR 20060068020 A KR20060068020 A KR 20060068020A KR 100798508 B1 KR100798508 B1 KR 100798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vod content
service
push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8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8586A (ko
Inventor
이철형
강상근
윤호진
박양배
김동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8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8508B1/ko
Publication of KR20080008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8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8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850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VOD 컨텐츠 서비스를 가입자 단말장치에 사전 제공하는 푸쉬(Push)형 VOD 컨텐츠 서비스와 유동 IP 방식의 가입자 단말장치를 외부에서 인터넷 및 PDSN을 통해 접속하여 웹 억세스를 위한 DDN 서비스를 제공하는 DDNS 기능을 결합시켜 푸쉬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공유 서비스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한 본 발명은,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가 신규 VOD 컨텐츠 목록 및 콜백 URL을 갖는 푸쉬형 VOD 컨텐츠 서비스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이동통신 단말기가 신규 VOD 컨텐츠 선택 및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과정과,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가 선택된 신규 VOD 컨텐츠를 암호화(Encryption)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가입자 단말장치로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과정과, DDNS 서버가 신규 VOD 컨텐츠 및 개인 파일을 외부에서 접속하도록 가입자 단말장치의 유동 IP를 업데이트(update)시킨 유효 IP 주소인 DDN 서비스를 네트워크를 통해 독립형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과정과, 가입자 단말장치와 동일한 ID로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DDNS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유효 IP 주소인 DDN 서비스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가입자 단말장치에 저장된 신규 VOD 컨텐츠 및 개인 파일을 공유하는 과정과, 공유된 신규 VOD 컨텐츠를 복호화(Decryption)하여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따라서, 저장용량을 고려한 양질의 멀티미디어 VOD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기존에서와 같이 푸쉬형 VOD 컨텐츠 서비스인 비트 스트림 형태의 비디오 및 오디오를 가입자가 주거하는 댁내에서만 볼 수 있었던 공간적 한계를 해결할 수 있어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원활하게 시청할 수 없었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푸쉬형, 컨텐츠, VOD, 단말장치, DDNS

Description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MULTIMEDIA CONTENT SHARING SERVICE METHOD AND SYSTEM BY USING NETWOR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에 대한 상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이동통신 단말기 103 :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
105 : SMSC 107 : 헤드엔드 플랫폼 서버
109 : DDNS 서버 111 : 가입자 단말장치
113 : 독립형 단말장치
S1 : 이동 통신망 S2 : 인터넷 및 PDSN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VOD) 컨텐 츠 서비스를 가입자 단말장치에 사전 제공하는 푸쉬(Push)형 VOD 컨텐츠 서비스와 유동 인터넷 제공자(Internet Provider, IP) 방식의 가입자 단말장치를 외부에서 인터넷 및 PDSN을 통해 접속하여 웹 억세스(Web Access)를 위한 DDN(Dynamic Domain Naming) 서비스를 제공하는 DDNS(Dynamic Domain Naming System) 기능을 결합시켜 푸쉬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공유 서비스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반도체와 정보 통신 기술의 급격한 발달에 따라 정보의 슈퍼 하이웨이(Super-Highway) 개념으로부터 시작된 초고속 정보 통신 기반의 구축이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사람들은 정보를 단순히 수동적으로 받기만 하는 것보다는 능동적인 방법으로 쌍방향의 정보를 얻고자 하는 욕구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사람들의 능동적인 정보 획득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하나의 방편으로 상용화되어 현재 널리 보급된 통화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전된 형태인 멀티미디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통합 멀티미디어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경우, 시청자가 요구하는 정보를 원하는 시간에 즉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해 주는 통합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가 가능하다. 이 통합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VOD, 푸쉬형 VOD, 그리고 MOD 서비스와, Flash, SIS, VIX, Wavelet 등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중, VOD 컨텐츠 서비스는 디지털 방식의 대화형 케이블 텔레비전 서비스 기술을 사용하여 텔레비전 시청자가 요구하는 정보(예컨대, 비디오 정보 등)를 원하는 시간에 즉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VOD 컨텐츠 서비스는 가입자가 증가함에 따라 VOD 컨텐츠 서버 및 네트워크 증설이 필요함에 따라 네트워크 증설의 부담이 적은 푸쉬형 VOD 컨텐츠 서비스로 대체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푸쉬형 VOD 컨텐츠 서비스는 가입자의 댁내에 구비된 일종의 저장매체인 가입자 단말장치(예컨대, 셋톱박스(STB), 외장형 저장장치 등)에 해당 컨텐츠를 푸쉬(Push) 방식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컨텐츠를 가입자가 원할 때 시청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이다. 다시 말하여, 푸쉬형 VOD 컨텐츠 서비스 가입자는 댁내에 저장매체의 일종인 가입자 단말장치(예컨대, 셋톱박스(STB), 외장형 저장장치 등)를 구비하고, 최신 영화 컨텐츠를 원격지의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로부터 이동 통신망을 통해 비트 스트림 형태의 비디오 및 오디오를 제공받아 엠펙 디코딩 과정을 통해 부호화 전의 원 신호로 복원하여 재생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언급된 푸쉬형 VOD 컨텐츠 서비스인 최신 영화 컨텐츠는 가입자가 주거하는 댁내에서만 볼 수 있다는 공간적 한계를 갖고 있음에 따라 재래식 비디오(Video) 대여점에서 영화 테이프(tape)를 대여해 놓고 댁내에서 볼 수 있는 시간이 없을 경우 영화를 채 보지도 못하고 테이프를 반납해야 하는 경우와 유사한 것으로, 공간적 제약으로 인하여 비용을 들여 다운로드한 최신 영화 컨텐츠를 지정된 장소(예컨대, 가입자가 주거하는 댁내)에서만 시청할 수밖에 없는 불편한 문제점을 갖는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VOD 컨텐츠 서비스를 가입자 단말장치에 사전 제공하는 푸쉬(Push)형 VOD 컨텐츠 서비스와 유동 IP 방식의 가입자 단말장치를 외부에서 인터넷 및 PDSN을 통해 접속하여 웹 억세스를 위한 DDN 서비스를 제공하는 DDNS 기능을 결합시켜 푸쉬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공유 서비스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에 저장된 신규 VOD 컨텐츠를 인출하여 가입자 단말장치로 전송하여 저장시킨 후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독립형 단말장치에서의 서비스 방법은 가입자 단말장치와 동일한 ID로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DDNS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유효 IP 주소인 DDN(Dynamic Domain Naming) 서비스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가입자 단말장치에 저장된 신규 VOD 컨텐츠 및 개인 파일을 공유하는 과정과, 공유된 신규 VOD 컨텐츠를 복호화(Decryption)하여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은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가 신규 VOD 컨텐츠 목록 및 콜백 URL을 갖는 푸쉬형 VOD 컨텐츠 서비스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이동통신 단말기가 신규 VOD 컨텐츠 선택 및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과정과,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가 선택된 신규 VOD 컨텐츠를 암호화(Encryption)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가입자 단말장치로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과정과, DDNS 서버가 신규 VOD 컨텐츠 및 개인 파일을 외부에서 접속하도록 가입자 단말장치의 유동 IP를 업데이트(update)시킨 유효 IP 주소인 DDN 서비스를 네트워 크를 통해 독립형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과정과, 가입자 단말장치와 동일한 ID로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DDNS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유효 IP 주소인 DDN 서비스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가입자 단말장치에 저장된 신규 VOD 컨텐츠 및 개인 파일을 공유하는 과정과, 공유된 신규 VOD 컨텐츠를 복호화(Decryption)하여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 및 DDNS 서버를 구비하며,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은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에서 신규 VOD 컨텐츠 목록 및 콜백 URL을 갖는 푸쉬형 VOD 컨텐츠 서비스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신규 VOD 컨텐츠 선택 및 인증절차를 수행하도록 하는 과정과,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에서 선택된 신규 VOD 컨텐츠를 암호화(Encryption)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가입자 단말장치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DDNS 서버에서 신규 VOD 컨텐츠 및 개인 파일을 외부에서 접속하도록 가입자 단말장치의 유동 IP를 업데이트(update)시킨 유효 IP 주소인 DDN 서비스를 네트워크를 통해 독립형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DDNS 서버로부터 수신된 유효 IP 주소인 DDN 서비스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가입자 단말장치에 저장된 신규 VOD 컨텐츠 및 개인 파일을 공유시키고 VOD 컨텐츠를 복호화(Decryption)하여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에 저장된 신규 VOD 컨텐츠를 인출하여 가입자 단말장치로 전송하여 저장시킨 상태에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공유 서비스할 수 있는 독립형 단말장치는 가입 자 단말장치와 동일한 ID로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DDNS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유효 IP 주소인 DDN(Dynamic Domain Naming) 서비스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가입자 단말장치에 저장된 신규 VOD 컨텐츠 및 개인 파일을 공유하는 수단과, 공유된 신규 VOD 컨텐츠를 복호화(Decryption)하여 재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은 컨텐츠 목록 및 콜백 URL을 갖는 푸쉬형 VOD 컨텐츠 서비스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신규 VOD 컨텐츠 선택 및 인증절차를 수행하도록 하며, 선택된 신규 VOD 컨텐츠를 암호화(Encryption)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가입자 단말장치로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수단과,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암호화된 신규 VOD 컨텐츠 및 개인 파일을 저장하는 가입자 단말장치와, 신규 VOD 컨텐츠 및 개인 파일을 외부에서 접속하도록 가입자 단말장치의 유동 IP를 업데이트(update)시킨 유효 IP 주소인 DDN 서비스를 네트워크를 통해 독립형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DDNS 서버수단과, 가입자 단말장치와 동일한 ID로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DDNS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유효 IP 주소인 DDN 서비스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가입자 단말장치에 저장된 신규 VOD 컨텐츠 및 개인 파일을 공유시키고 VOD 컨텐츠를 복호화하여 재생하는 독립형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라면 이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잘 이해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블록 구성도로서, 이동통신 단말기(101)와,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103)와, 단문 메시지 센터(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105)와, 헤드 엔드 플랫폼 서버(HeadEnd P/F Server)(107)와, DDNS 서버(109)와, 가입자 단말장치(111)와, 독립형 단말장치(113)를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1)는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103)와 SMSC(105)로부터 이동 통신망(S1)을 통해 신규 VOD 컨텐츠 목록 및 콜백 URL을 갖는 푸쉬형 VOD 컨텐츠 서비스를 수신하여 신규 VOD 컨텐츠 목록을 확인하고 콜백 URL을 통해 왑(Wap) 페이지에 접속하여 신규 VOD 컨텐츠에 대한 세부 사항을 인증절차를 통해 확인하여 해당 컨텐츠의 다운로드 허용을 결정한다.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103)는 VOD 컨텐츠를 저장함과 동시에 푸쉬형 VOD 컨텐츠 서비스 가입자의 ID로 등록된 가입자 단말장치(예컨대, 셋톱박스(STB), 외장형 저장장치 등)(111)의 하드웨어 정보인 MAC 어드레스를 저장하며, 또한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103)는 신규 저장된 VOD 컨텐츠에 대한 목록을 작성하고, 신규 VOD 컨텐츠 목록 및 콜백 URL을 갖는 푸쉬형 VOD 컨텐츠 서비스를 SMSC(105)를 통해 SMS에 실어 이동통신 단말기(101)로 전송하고, 이 전송에 대응하여 신규 VOD 컨 텐츠에 대한 승인을 이동통신 단말기(101)로부터 수신한다.
또한,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103)는 승인이 완료된 신규 VOD 컨텐츠인 비트 스트림 형태의 비디오 및 오디오뿐 파일을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1031)에서 인출하여 사용 일수와 사용(재생) 횟수 제한, 그리고 등록된 가입자 단말장치(111) 및 독립형 단말장치(113)에서만 사용하도록 암호화(Encryption)하여 인터넷 및 PDSN(S2)을 통해 가입자의 댁내에 구비된 가입자 단말장치(111)에 전송한다.
SMSC(105)는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103)로부터 제공된 컨텐츠 목록 및 콜백 URL을 갖는 푸쉬형 VOD 컨텐츠 서비스를 SMS에 실어 이동 통신망(S1)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1)에 전송한다.
헤드 엔드 플랫폼 서버(HeadEnd P/F Server)(107)는 독립형 단말장치(113)가 유동 IP를 통해 로그인 시, 가입자 단말장치(111)의 고유 정보와 독립형 단말장치(113)의 IP 어드레스를 매치(Match)시켜 인터넷 및 PDSN(S2)에 접속될 수 있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독립형 단말장치(113)가 가입자 단말장치(111)로 웹 억세스할 수 있도록 독립형 단말장치(113)에 유효 IP 주소인 DDN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DDNS 서버(109)를 제어한다.
DDNS 서버(109)는 헤드 엔드 플랫폼 서버(107)의 제어에 따라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103)에서 전송 완료된 신규 VOD 컨텐츠인 비트 스트림 형태의 비디오 및 오디오뿐만 아니라 개인 파일을 외부에서 접속하여 시청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가입자 단말장치(111)의 유동 IP를 업데이트하여 유효 IP 주소인 DDN 서비스를 독립형 단말장치(113)에 전송한다.
가입자 단말장치(111)는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103)에서 전송 완료된 신규 VOD 컨텐츠인 비트 스트림 형태의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화(Decryption)하여 제한된 일수 혹은 횟수만큼 재생하거나, 독립형 단말장치(113)와 인터넷 및 PDSN(S2)를 통해 공유할 수 있도록 저장하는 네트워크 어댑터를 포함한 셋톱박스(STB)에 장착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혹은 외장형 저장장치 등을 지칭한다. 또한, 가입자 단말장치(111)는 전원이 온(On)됨과 동시에 HDD 혹은 외장형 저장장치에 저장된 신규 VOD 컨텐츠들을 최소한의 조작에 의해 선택되어 비트 스트림 형태의 비디오 및 오디오 파일을 복호화하여 가입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 또한, 가입자 단말장치(111)는 독립형 단말장치(113)에 의해 외부에서 웹 억세스 시, 유효 IP 주소를 검색하여 실시간 접속 가능하도록 네트워크 설정이 리셋(Reset)될 때마다 유효 IP 주소를 인터넷 및 PDSN(S2)를 통해 DDNS 서버(109)에 전송한다. 여기서, 독립형 단말장치(예컨대, 휴대폰)를 이용하여 가입자 단말장치(111)에 접속하여 인증이 완료된 신규 VOD 컨텐츠를 선택할 경우 확인 절차만을 거쳐 바로 시청할 수 있도록 자동 복호화 기능을 통해 비트 스트림 형태의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가입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
독립형 단말장치(113)는 DDNS 서버(109)로부터 제공되는 유효 IP 주소인 DDN 서비스를 이용하여 인터넷 및 PDSN(S2)를 통해 가입자 단말장치(109)에 저장된 신규 VOD 컨텐츠인 비트 스트림 형태의 비디오 및 오디오뿐만 아니라 개인 파일을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는 컴퓨터, 노트북, PDA, PMP, 이동통신 단말기 등을 지칭한다. 또한, 독립형 단말장치(113)는 가입자 단말장치(109)와 동일한 ID로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103)에 등록되며, 신규 VOD 컨텐츠인 비트 스트림 형태의 비디오 및 오디오뿐 데이터를 복호화(Decryption)할 수 있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어 가입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재생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은 VOD 컨텐츠 서비스를 가입자 단말장치에 사전 제공하는 푸쉬(Push)형 VOD 컨텐츠 서비스와 유동 IP 방식의 가입자 단말장치를 외부에서 인터넷 및 PDSN을 통해 접속하여 웹 억세스를 위한 DDN 서비스를 제공하는 DDNS 기능을 결합시켜 푸쉬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공유 서비스함으로써, 저장용량을 고려한 양질의 멀티미디어 VOD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서와 같이 푸쉬형 VOD 컨텐츠 서비스인 비트 스트림 형태의 비디오 및 오디오뿐만 아니라 개인 파일을 가입자가 주거하는 댁내에서만 볼 수 있었던 공간적 한계를 해결할 수 있어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원활하게 시청하고 사용할 수 없었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 예에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103)는 이동통신 단말기(101)로부터 이동 통신망(S1)을 통해 푸쉬형 VOD 컨텐츠 서비스 요청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S201).
상기 판단(S201)결과, 수신되지 않으면 수신 여부를 판단(S201)하는 과정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는 반면에, 상기 판단(S201)결과, 수신되면 신규 저장된 VOD 컨텐츠에 대한 목록을 작성하고, 신규 VOD 컨텐츠 목록 및 콜백 URL을 갖는 푸쉬형 VOD 컨텐츠 서비스를 SMSC(105)를 통해 SMS에 실어 이동통신 단말기(101)로 전송한다(S203).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103) 및 SMSC(105)로부터 이동 통신망(S1)을 통해 신규 VOD 컨텐츠 목록 및 콜백 URL을 갖는 푸쉬형 VOD 컨텐츠 서비스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101)에서는 신규 VOD 컨텐츠 목록을 확인하고 콜백 URL을 통해 왑(Wap) 페이지에 접속하여 신규 VOD 컨텐츠에 대한 세부 사항을 인증절차를 통해 확인하여 해당 VOD 컨텐츠의 다운로드 허용을 결정한다(S205).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103)는 푸쉬형 VOD 컨텐츠 서비스를 이동통신 단말기(101)에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여 승인된 신규 VOD 컨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101)로부터 수신하여 DB(1031)에 저장(S206)함과 동시에 이동 통신망(S1)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1)에 인증결과를 전송한다(S207). 이후,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103)는 신규 VOD 컨텐츠인 비트 스트림 형태의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DB(1031)에서 인출하여 사용 일수와 사용(재생) 횟수 제한, 그리고 등록된 가입자 단말장치(111) 및 독립형 단말장치(113)에서만 사용하도록 암호화(Encryption)시킨 스크램블링된 신규 VOD 컨텐츠인 비트 스트림 형태의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인터넷 및 PDSN(S2)을 통해 가입자의 댁내에 구비된 가입자 단말장치(111)에 전송한다(S209).
그러면, 가입자 단말장치(111)에서는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103)로부터 전송 완료된 신규 VOD 컨텐츠인 비트 스트림 형태의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화(Decryption)하여 제한된 일수 혹은 횟수만큼 재생하여 가입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하며(S211), 더불어 인터넷 및 PDSN(S2)를 통해 독립형 단말장치(113)가 공유할 수 있도록 저장한다(S213).
한편, 헤드 엔드 플랫폼 서버(HeadEnd P/F Server)(107)는 독립형 단말장치(113)가 유동 IP를 통해 로그인 시, 가입자 단말장치(111)의 고유 정보와 독립형 단말장치(113)의 유동 IP 어드레스를 매칭(Matching)시켜 인터넷 및 PDSN(S2)을 통해 가입자 단말장치(111)에 접속될 수 있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독립형 단말장치(113)가 가입자 단말장치(111)로 웹 억세스할 수 있도록 독립형 단말장치(113)에 유효 IP 주소인 DDN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DDNS 서버(109)를 제어한다(S215).
그러면, DDNS 서버(109)에서는 헤드 엔드 플랫폼 서버(107)의 제어에 따라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103)에서 전송 완료된 신규 VOD 컨텐츠인 비트 스트림 형태의 비디오 및 오디오뿐만 아니라 개인 파일을 외부에서 접속하여 시청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가입자 단말장치(111)의 유동 IP를 업데이트(update)시킨 유효 IP 주소인 DDN 서비스를 인터넷 및 PDSN(S2)을 통해 독립형 단말장치(113)에 전송한다(S217).
이때, 가입자에 의해 사용되는 독립형 단말장치(113)는 가입자 단말장치(109)와 동일한 ID로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103)에 등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DDNS 서버(109)로부터 제공되는 유효 IP 주소인 DDN 서비스를 이용하여 인터넷 및 PDSN(S2)를 통해 가입자 단말장치(109)에 저장된 신규 VOD 컨텐츠인 비트 스트림 형태의 비디오 및 오디오뿐만 아니라 개인 파일을 실시간으로 공유(예컨대, 다운로드)한 다음에(S219), 복호화(Decryption)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신규 VOD 컨텐츠인 비트 스트림 형태의 비디오 및 오디오 파일을 복호화하면서 가입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재생한다(S221).
여기서, 가입자 단말장치(111)에서는 독립형 단말장치(113)에 의해 외부에서 웹 억세스 시, 유효 IP 주소를 검색하여 실시간 접속 가능하도록 네트워크 설정이 리셋(Reset)될 때마다 발생되는 유효 IP 주소를 인터넷 및 PDSN(S2)를 통해 DDNS 서버(109)에 전송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은 VOD 컨텐츠 서비스를 가입자 단말장치에 사전 제공하는 푸쉬(Push)형 VOD 컨텐츠 서비스와 유동 IP 방식의 가입자 단말장치를 외부에서 인터넷 및 PDSN을 통해 접속하여 웹 억세스를 위한 DDN 서비스를 제공하는 DDNS 기능을 결합시켜 푸쉬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공유 서비스함으로써, 저장용량을 고려한 양질의 멀티미디어 VOD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서와 같이 푸쉬형 VOD 컨텐츠 서비스인 비트 스트림 형태의 비디오 및 오디오뿐만 아니라 개인 파일을 가입자가 주거하는 댁내에서만 볼 수 있었던 공간적 한계를 해결할 수 있어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원활하게 시청할 수 없었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권리로서 개시하고 있으므로, 본원 발명은 일반적인 원리들을 이용한 임의의 변형, 이용 및/또는 개작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본 명세서의 설명으로부터 벗어나는 사항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업계에서 공지 또는 관습적 실시의 범위에 해당하고 또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제한 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사항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은 VOD 컨텐츠 서비스를 가입자 단말장치에 사전 제공하는 푸쉬(Push)형 VOD 컨텐츠 서비스와 유동 IP 방식의 가입자 단말장치를 외부에서 인터넷 및 PDSN을 통해 접속하여 웹 억세스를 위한 DDN 서비스를 제공하는 DDNS 기능을 결합시켜 푸쉬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공유 서비스함으로써, 저장용량을 고려한 양질의 멀티미디어 VOD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서와 같이 푸쉬형 VOD 컨텐츠 서비스인 비트 스트림 형태의 비디오 및 오디오뿐만 아니라 개인 파일을 가입자가 주거하는 댁내에서만 볼 수 있었던 공간적 한계를 해결할 수 있어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원활하게 시청할 수 없었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에 저장된 신규 VOD 컨텐츠를 인출하여 가입자 단말장치로 전송하여 내부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혹은 외장형 저장장치에 저장시킨 후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및 개인 파일을 공유할 수 있는 독립형 단말장치에서의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가입자 단말장치와 동일한 ID로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DDNS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유효 IP 주소인 DDN(Dynamic Domain Naming)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가입자 단말장치에 저장된 신규 VOD 컨텐츠 및 개인 파일을 공유하는 과정과,
    상기 공유된 신규 VOD 컨텐츠를 복호화(Decryption)하여 재생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는, 가입자 단말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HDD 혹은 외장형 저장장치에 저장된 신규 VOD 컨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독립형 단말장치로 다운로드(Download)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형 단말장치가 외부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가입자 단말장치로 웹 억세스 시, 상기 가입자 단말장치에서 유효 IP 주소를 검색하여 실시간 접속 가능하도록 네트워크 설정이 리셋(Reset)될 때마다 발생되는 유효 IP 주소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DDNS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
  4.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으로서,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가 신규 VOD 컨텐츠 목록 및 콜백 URL을 갖는 푸쉬형 VOD 컨텐츠 서비스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신규 VOD 컨텐츠 선택 및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가 상기 선택된 신규 VOD 컨텐츠를 암호화(Encryption)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가입자 단말장치로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과정과,
    DDNS 서버가 신규 VOD 컨텐츠를 외부에서 접속하도록 가입자 단말장치의 유동 IP를 업데이트(update)시킨 유효 IP 주소인 DDN 서비스를 네트워크를 통해 독립형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가입자 단말장치와 동일한 ID로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DDNS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유효 IP 주소인 DDN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가입자 단말장치에 저장된 신규 VOD 컨텐츠 및 개인 파일을 공유하는 과정과,
    상기 공유된 신규 VOD 컨텐츠를 복호화(Decryption)하여 재생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는, 가입자 단말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HDD 혹은 외장형 저장장치에 저장된 신규 VOD 컨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독립형 단말장치로 다운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형 단말장치가 외부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가입자 단말장치로 웹 억세스 시, 상기 가입자 단말장치에서 유효 IP 주소를 검색하여 실시간 접속 가능하도록 네트워크 설정이 리셋(Reset)될 때마다 발생되는 유효 IP 주소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DDNS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는,
    상기 선택된 신규 VOD 컨텐츠에 대한 사용 일수와 사용(재생) 횟수 제한과, 등록된 가입자 단말장치 및 독립형 단말장치에서만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형 VOD 컨텐츠 서비스 정보는, SMS에 실어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
  9.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 및 DDNS 서버를 구비하며,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에서 신규 VOD 컨텐츠 목록 및 콜백 URL을 갖는 푸쉬형 VOD 컨텐츠 서비스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신규 VOD 컨텐츠 선택 및 인증절차를 수행하도록 하는 과정과,
    상기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에서 상기 선택된 신규 VOD 컨텐츠를 암호화(Encryption)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가입자 단말장치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DDNS 서버에서 신규 VOD 컨텐츠 및 개인 파일을 외부에서 접속하도록 가입자 단말장치의 유동 IP를 업데이트(update)시킨 유효 IP 주소인 DDN 서비스를 네트워크를 통해 독립형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상기 DDNS 서버로부터 수신된 유효 IP 주소인 DDN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가입자 단말장치에 저장된 신규 VOD 컨텐츠를 공유시켜 복호화(Decryption)하여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는, 가입자 단말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HDD 혹은 외장형 저장장치에 저장된 신규 VOD 컨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독립형 단말장치로 다운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형 단말장치가 외부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가입자 단말장치로 웹 억세스 시, 상기 가입자 단말장치에서 유효 IP 주소를 검색하여 실시간 접속 가능하도록 네트워크 설정이 리셋(Reset)될 때마다 발생되는 유효 IP 주소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DDNS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는,
    상기 선택된 신규 VOD 컨텐츠에 대한 사용 일수와 사용(재생) 횟수 제한과, 등록된 가입자 단말장치 및 독립형 단말장치에서만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형 VOD 컨텐츠 서비스 정보는, SMS에 실어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
  14.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에 저장된 신규 VOD 컨텐츠를 인출하여 가입자 단말장치로 전송하여 저장시킨 상태에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공유 서비스할 수 있는 독립형 단말장치로서,
    상기 가입자 단말장치와 동일한 ID로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DDNS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유효 IP 주소인 DDN(Dynamic Domain Naming)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가입자 단말장치에 저장된 신규 VOD 컨텐츠 및 개인 파일을 공유하는 수단과,
    상기 공유된 신규 VOD 컨텐츠를 복호화(Decryption)하여 재생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는, 가입자 단말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HDD 혹은 외장형 저장장치에 저장된 신규 VOD 컨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독립형 단말장치로 다운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
  16.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상기 컨텐츠 목록 및 콜백 URL을 갖는 푸쉬형 VOD 컨텐츠 서비스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신규 VOD 컨텐츠 선택 및 인증절차를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선택된 신규 VOD 컨텐츠를 암호화(Encryption)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가입자 단말장치로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수단과,
    상기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암호화된 신규 VOD 컨텐츠를 저장하는 가입자 단말장치와,
    상기 신규 VOD 컨텐츠 및 개인 파일을 외부에서 접속하도록 가입자 단말장치의 유동 IP를 업데이트(update)시킨 유효 IP 주소인 DDN 서비스를 네트워크를 통해 독립형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DDNS 서버수단과,
    상기 가입자 단말장치와 동일한 ID로 푸쉬형 VOD 컨텐츠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DDNS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유효 IP 주소인 DDN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가입자 단말장치에 저장된 신규 VOD 컨텐츠를 공유시켜 복호화하여 재생하는 독립형 단말장치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는, 가입자 단말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HDD 혹은 외장형 저장장치에 저장된 신규 VOD 컨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독립형 단말장치로 다운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형 단말장치가 외부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가입자 단말장치로 웹 억세스 시, 상기 가입자 단말장치에서 유효 IP 주소를 검색하여 실시간 접속 가능하도록 네트워크 설정이 리셋(Reset)될 때마다 발생되는 유효 IP 주소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DDNS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는,
    상기 선택된 신규 VOD 컨텐츠에 대한 사용 일수와 사용(재생) 횟수 제한과, 등록된 가입자 단말장치 및 독립형 단말장치에서만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형 VOD 컨텐츠 서비스 정보는, SMS에 실어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
KR1020060068020A 2006-07-20 2006-07-20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 및그 시스템 KR100798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020A KR100798508B1 (ko) 2006-07-20 2006-07-20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 및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020A KR100798508B1 (ko) 2006-07-20 2006-07-20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 및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586A KR20080008586A (ko) 2008-01-24
KR100798508B1 true KR100798508B1 (ko) 2008-01-28

Family

ID=39221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8020A KR100798508B1 (ko) 2006-07-20 2006-07-20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 및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85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85102A2 (ko) * 2009-01-21 2010-07-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망에서의 공유형 vod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 수신 단말, 기지국 및 그 방법
KR101246842B1 (ko) * 2011-06-07 2013-03-28 아반티스(주) 정보기기 및 이에 대한 단말의 접속방법
CN103237009A (zh) * 2013-03-26 2013-08-07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智能机顶盒资源共享系统及实现资源共享的方法
CN108012159A (zh) * 2017-12-05 2018-05-08 广州华多网络科技有限公司 直播视频推送控制方法、装置及相应的终端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8956A (ko) * 2004-09-30 2006-04-04 주식회사 케이티 댁내 단말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76544A (ko) * 2004-12-29 2006-07-04 주식회사 케이티 홈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그의 동적채널 구축방법
KR100662509B1 (ko) 2005-11-07 2006-12-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댁내 미디어 컨텐츠 원격 제공 시스템 및 원격 재생 단말과그 방법
KR20070060997A (ko) * 2005-12-09 2007-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웹서비스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및 그 방법
KR20070063164A (ko) * 2005-12-14 2007-06-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공유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8956A (ko) * 2004-09-30 2006-04-04 주식회사 케이티 댁내 단말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76544A (ko) * 2004-12-29 2006-07-04 주식회사 케이티 홈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그의 동적채널 구축방법
KR100662509B1 (ko) 2005-11-07 2006-12-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댁내 미디어 컨텐츠 원격 제공 시스템 및 원격 재생 단말과그 방법
KR20070060997A (ko) * 2005-12-09 2007-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웹서비스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및 그 방법
KR20070063164A (ko) * 2005-12-14 2007-06-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공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586A (ko) 2008-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03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transfer and playback of multimedia content
JP5108308B2 (ja) デジタルレコーダーを使用してパーソナルメディアを共有する方法
KR100859612B1 (ko)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원격 실시간 액세스를 위한 방법,장치 및 시스템
US9124941B2 (en) Distributed TV access system
KR101018526B1 (ko) 휴대 통신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US8677392B2 (en) Distributed TV access system
US20100036854A1 (en) Sharing Television Clips
US20090003592A1 (en) Content delivery system, delivery server, terminal, and content delivery method
JP4380924B2 (ja) ビデオオンデマンドを提供するシステム
KR20090057938A (ko) 피어-투-피어 주문형 비디오 기술들
US20110170688A1 (en) Client-side protection of broadcast or multicast content for non-real-time playback
CA2704661A1 (en) Portable media asset
US2009005586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US20130191626A1 (en) Recording device, terminal device, and content transmission system
KR20190025681A (ko) 위성 방송 시스템을 통한 온라인 미디어 콘텐츠의 제공
US20100008502A1 (en) Content distribution system, content reception terminal, content distribution method and processing method performed when viewing streaming contents
JP4539996B2 (ja) 遠隔再生機能付きペーパープレーアーキテクチャにおけるメディア配送の方法と装置
KR20110004332A (ko) 스트림에서의 레코딩가능한 콘텐트의 프로세싱
JP5059616B2 (ja) 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の安全な転送およびプレイバック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0798508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 및그 시스템
TW200410540A (en) Validity verification method for a local digital network key
US20100017892A1 (en) Ip streaming copy control method and system
JP2006129063A (ja) コンテンツ再生方法、再生プログラム、および再生装置
US20060115232A1 (en) Reproducing apparatus, reproducing system, and reproducing method
KR20040101524A (ko) 조건부 액세스 시스템의 컨텐트 시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