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7655B1 - 친환경 저류조 도로 포장 구조체 - Google Patents

친환경 저류조 도로 포장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7655B1
KR100797655B1 KR1020060080759A KR20060080759A KR100797655B1 KR 100797655 B1 KR100797655 B1 KR 100797655B1 KR 1020060080759 A KR1020060080759 A KR 1020060080759A KR 20060080759 A KR20060080759 A KR 20060080759A KR 100797655 B1 KR100797655 B1 KR 100797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inder
storage tank
rainwater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0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김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현 filed Critical 김동현
Priority to KR1020060080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76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3/00Foundations for pavings
    • E01C3/003Foundations for paving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omposition used, e.g. waste or recycled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저류조 도로포장 구조체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로 포장체를 시공하기 위하여 지면 고르기를 한 기층 상부에 부직포를 형성하고 그 상부에 토르마린 분말 세라믹을 고른 분포로 뿌려 부직포와 합침시켜 형성하고 다수개의 투수공이 형성되어 바닥에 놓여 지는 수평상의 기판으로 오목한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부 면에 다수개의 투수공이 형성되는 돌출부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다수개의 저수공간이 형성됨으로 저류조 역활을 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기판으로 상부 탄성층으로부터 투수 된 많은 양의 물을 머금고 있다가 지중에 유입시켜 홍수로 인한 범람을 방지할 수 있고 저수공간 층에 많은 양의 물을 저류 효과로 저감시켜 지하수의 원활한 공급과 지중생태계를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는 환경 친화적인 기판으로 형성하여 기판 상부에 고무 칩 또는 우레탄 칩 75~80중량%와 바인더 20~25중량%를 혼합하여 포설하여 섭씨150~250도의 항온 로라로 수회 다짐하여 완성되는 것으로 시공완료시 운동장 크기의 도로에 300~400톤 이상의 물을 저류하여지는 환경친화적인 저류조 도로포장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저류도로 ,저류조,

Description

친환경 저류조 도로 포장 구조체{Green water storage road paving}
도 1은 본 발명의 저류조 도로포장체 시공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의 공정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저 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6은 도 3의 A-A 단면도
도 7은 도 3의 B-B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투수성 도로포장체의 저류 공간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
*저수공간 층의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기판 20; 돌출부
30; 투수공 40; 투수공
50; 접촉단부 70; 저수 저감 공간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도로 포장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평탄 작업을 마친 기층 위에 부직포를 형성하고 상부에 토르마린 세라믹 분말을 부직포와 합침 되게 뿌리고 토르마린 상부에 다수개의 투수공이 형성되어 바닥에 놓여 지는 수평상의 기판으로 오목한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부 면에 다수개의 투수공이 형성되는 돌출부가 일정한 간격을 주고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다수개의 저수공간이 형성됨으로서 투수성 도로 포장체에 상당히 많은 공극률을 확보하게 되면서도 포장체의 강도를 떨어뜨리지 않게 되며 우수로 많은 양의 물을 저류하고 저감하여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고 기판 상부에 탄성층으로 표층이 완성되어 지는 저류조 도로 포장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표는 빗물이 침투하여 지하수가 보존되고 통상적인 강도를 유지하는데 도시가 증가 및 확장되면서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 등이 지표면의 대부분을 뒤덮게 되어 수분이 자연적으로 땅속으로 침투되는 것을 막게 된다.
이렇게 도로 포장체에서 투수가 불가능하게 되면 지하 수량을 급격하게 감소시켜서 지반이 침하 되고 수목의 발육이 둔화 되며 지중 생물의 생태 환경에 변화를 주거나 더 나아가 하천이 범람하는 등의 재해가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기존에 포장체에 골재와 골재 사이의 공극률이 10~20%정도 이하로 지중생태계에 문제점으로 안고 있으며 도로 포장시 충분한 양의 빗물이 자연스럽게 지중내에 침투될 수 있는 포장방법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근래 도시개발 및 조경공사를 함에 있어서 빗물을 자연적으로 지중에 유입되게 할 목적으로 투수성을 가지는 포장이 요구되어 다양한 투수성 아스팔트와 투수성 콘크리트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투수성 도로 포장체는 골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극률에 의존하여 투수성능이 결정되는데 상기 공극률이 10~20%정도이기 때문에 원활한 투수가 이루어질 수 없어서 더디게 진행되며 그나마 흙이나 먼지 및 기타 이물질에 의하여 공극이 막히게 되면 투수성을 전혀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투수 된 많은 양에 물을 저류하였다가 저감시켜 상기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투수 된 탄성층으로부터 우수가 신속하게 침투시켜 많은 양에 우수를 저류 공간에 의하여 저류하여 지는 것으로 운동장 반 만한 크기의 도로에 한번에 300~400톤의 물을 저류하여 저감 시킬 수 있게 되면 친환경적이고 유익한 환경의 도로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투수 포장체로서 투수 된 많은 물을 머금을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도로의 저류조를 형성하여 호우시 저류시켰다가 하천의 범람을 저지시키고 지중에 서서히 유입시켜 지중에 수질과 토질을 개선하여주며 골재의 공극률에 의존하지 않고 투수 탄성층에서 투수 된 다량의 물을 머금을 수 있는 저수 저감 공간에 의하여 공극률이 40~60%의 공극률을 확보하게 되어 대량의 물을 저류하여 저감시킬 수 있는 친환경적인 저류 도로 포장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특징은 다수개의 투수공이 형성되어 바닥에 놓여 지는 수평상의 저류조 기판과 상기 기판으로부터 오목한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부 면에 다수개의 투수공이 형성되는 돌출부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다수개의 저수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은 기판이 도로포장체 중간의 바닥면에 놓여 지게 될 때에 바닥면과 돌출부에 의하여 일정한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 부의 상부에는 일정한 입도에 의한 공극을 갖는 고무 칩 또는 우레탄 칩 및 P V C 사출 칩 등과 같은 도로포장체를 포설하여 항온 로라로 수회 반복하여 표층을 마무리됨으로 서 투수성 도로포장체를 형성하게 되는데 도로포장체 중간의 바닥면과 돌출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이 저류조 효과를 나타내는 공간이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층부의 투수성 포장체로 스며드는 우수가 기판에 형성된 투수공을 통하여 하층부로 스며들거나 돌출부의 투수공을 통하여 저수공간에 체류한 다음 하층부로 스며들게 되어서 저류조에 의하여 많은 양의 우수를 신속하게 지중에 침투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다음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3 내지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이고, 도 8은 본 고안이 적용되어 시공된 도로 포장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다공 패널의 평면을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4는 저 면을 나타낸 사시도 이며, 도 5는 평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각각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서 참조 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저수공간을 구비하는 다공 패널(100)은 사각 형상의 기판(10)과 돌출부(20), 그리고 상기 기판(10)과 돌출부(20)에 각각 형성되는 투수공(30,40)을 구비하고 있다.
기판(10)은 투수성 도로 상층부의 자중과 주행하는 차량의 교 번 하중 및 정 하중에 대하여 충분한 굽힘 강도와 압축강도를 가지고 쉽게 변형되지 아니하면서 내부 식성이 있는 금속 재 또는 경질의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는데, 제작과 운반 및 제작단가를 고려하여 경질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판(10)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돌출부(20) 사이에 투수공(30)이 형성되어 있고, 사방의 변 부에는 접촉 단부(50)가 형성되어 있다.
투수공(30)은 다수개의 구멍이 하나의 군락을 이루는 형태로 되어 돌출부(20) 사이의 적정한 위치에 형성되어 포장체 내부로 스며드는 물이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게 한다.
접촉단부(50)는 시공 현장에서 기판(10)이 연속적으로 배열될 때에 여러 개의 기판(10)이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여 단부가 포개어 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돌출부(20)는 기판(10)과 일체로 형성되는데, 제작공정에서 금형의 이탈을 쉽게 하고 응력 집중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는 협소하고, 하부로 갈수록 점차 단면이 확장되는 경사면(60)으로 되는 원뿔 형으로 형성되면서 하부는 기판(10)과 일체로 연결되어 안쪽으로 저수 저감 공간(70)을 형성하면서 상부면(80)에는 포장체 내부로 스며드는 물이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투수공(40)이 형성되어 규칙적인 정방 격자 상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된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의도하는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는 것이며, 그러한 변경실시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임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상기한 실시 예에서는 기판(10)의 투수공(30)이 돌출부(20) 사이에서 군락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불규칙하거나 기판 전체에 분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20)는 원뿔 형이 정방 격자형의 배열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사각뿔 형상을 비롯한 다각형상이 불규칙 격자 상의 배열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본 발명의 다공 패널(100)을 이용하여 투수성 도로 포장체를 시공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하여 시공된 투수성 도로 포장체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의하면 투수성 도로 포장체는 다공 패널(100)을 중심으로 하여 아래쪽에 형성되는 하층부(200) 위쪽에 형성되는 상층부(300)로 형성되어 있다.
하층부(200)는 자갈이나 지반을 다져서 되는 일반적인 기층일 수 있고, 골재 층, 투수성 아스팔트 및 콘크리트 포장 층일 수 있다.
이러한 하층부(200) 상부 면에는 다공 패널(100)이 설치되는데 접 촉 단부(50)를 이용하여 연속적이고 균일한 상태가 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하층부(200)와 다공 패널(100) 사이에는 부직포, 토목 섬유로 제직 되는 망체, 그리드 등과 같은 보강재(400)를 설치할 수 있다.
상층부(300)는 10~30%의 공극률을 가지는 포장체 예를 들면 자갈, 다공질 원석을 포함하는 골재 층, 투수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층 및 우레탄을 포함하는 합성수지 칩, 또는 상기 포장체의 복합적 다층 구조 일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층부(300)로부터 스며드는 물이 다공 패널(100)에 도달하게 되면 돌출부(20)의 투수공(40)을 통하여 저 수 저감 공간(70)에 모이게 되고, 일부의 물은 기판(10)에 형성되어 있는 투수공(30)을 통하여 하층부(200)로 투수 되어 지중에 스며들게 된다.
이러한 투수 과정에서 상층부(300)로부터 스며드는 물의 양이 많을 때에는 저수 저감 공간(70)에 고여서 저장된 상태가 됨으로써 도로 표면에는 물이 고여 있지 않고 신속하게 배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는 저류조 도로 포장 구조체의 특징으로 기층의 표면에 굴곡에 대하여 평탄작업을 하고 청소 및 정리하는 1단계(s1);
상기 제1단계(s1)에서 정리된 평탄작업면에 부직포를 형성하는 제2단계(s2);
상기 제2단계(s2)에서 부직포 상부에 토르마린 분말 세라믹 1㎡당 200~400g을 부직포와 합침 시키는 제3단계(s3);
상기 제3단계(s3)에서 도포 된 토르마린 분말 세라믹층의 상부에 저류조 기판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제4단계(s4);
상기 제4단계(s4)에서 저류조 기판 상부에 고무 칩 또는 우레탄 칩을 포설하여 양생하는 제5단계(s5)에 의하여 완성된다.
저류조 기판 상부에 포설되는 고무 칩 또는 우레탄 칩 75~80중량%와 칩 용 바인더 20~25중량%를 혼합하여 포설되고 상기 우레탄 칩 표층에 항온 로라로 수회 다짐하여 칩의 표층을 마무리하여지며 P V C 계의 칩이나 재생용 사출 칩 또한 75~80중량%와 바인더 20~25중량%로 혼합하여 포설되고 도막 방수된 다공질 원석 65~75 중량%와 바인더 25~35 중량%를 혼합하여 포설하거나 골재 또는 쇄석 85~90 중얄% 와 바인더 10~15 중량%를 혼합하여 저류조 기판 상부에 포설하고 그 상부에 단단한 표층을 요구할 시는 PVC 칩 또는 사출 칩이나 도막 방수된 다공질 원석을 포설하는것이 바람직하고 약간의 탄성을 요구할 시는 폐타이어 칩 75~80 중량%와 바인더 20~25 중량%와 혼합하여 저류조 기판 상부에 1차 포설하고 그 상부에 사출 칩 또는 골재 ,도막 방수된 다공질 원석을 포설하여 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탄성 포장을 형성하기에는 고무 칩 또는 우레탄 칩을 포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의 공정 순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의탄성 저류조 블록의 제조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제1실시예 )
1단계
기층에 굴곡성 평탄성의 지면 고르기와 기층을 다짐하는 단계로 청소 및 정리한다.
2단계
상기 제1단계(s1)에서 정리된 평탄작업면에 부직포를 형성한다(s2)
3단계
상기 제2단계(s2)에서 부직포가 형성된 상부에 토르마린 분말 세라믹을 1㎡당 200~400g을 고르게 도포하여 부직포와 합침 시키는 단계(s3)
4단계
상기 제4단계(s3)에서 토르마린 상부에 저류조 기판을 형성하여지는 제4단계(s4)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다음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3 내지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이고, 도 8은 본 고안이 적용되어 시공된 도로 포장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다공 패널의 평면을 나타낸 사시 도이고, 도 4는 저 면을 나타낸 사시도 이며, 도 5는 평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각각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서 참조 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저수공간을 구비하는 다공 패널(100)은 사각 형상의 기판(10)과 돌출부(20), 그리고 상기 기판(10)과 돌출부(20)에 각각 형성되는 투수공(30,40)을 구비하고 있다.
기판(10)은 투수성 도로 상층부의 자중과 주행하는 차량의 교번하중 및 정하중에 대하여 충분한 굽힘 강도와 압축강도를 가지고 쉽게 변형되지 아니하면서 내부 식성이 있는 금속 재 또는 경질의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는데, 제작과 운반 및 제작단가를 고려하여 경질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판(10)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돌출부(20) 사이에 투수공(30)이 형성되어 있고, 사방의 변 부에는 접촉 단부(50)가 형성되어 있다.
투수공(30)은 다수개의 구멍이 하나의 군락을 이루는 형태로 되어 돌출부(20) 사이의 적정한 위치에 형성되어 포장체 내부로 스며드는 물이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게 한다.
접촉단부(50)는 시공 현장에서 기판(10)이 연속적으로 배열될 때에 여러 개의 기판(10)이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여 단부가 포개어 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돌출부(20)는 기판(10)과 일체로 형성되는데, 제작공정에서 금형의 이탈을 쉽게 하고 응력 집중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는 협소하고, 하부로 갈수록 점차 단면이 확장되는 경사면(60)으로 되는 원뿔 형으로 형성되면서 하부는 기판(10)과 일체로 연결되어 안쪽으로 저수 저감 공간(70)을 형성하면서 상부면(80)에는 포장체 내부로 스며드는 물이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투수공(40)이 형성되어 규칙적인 정방 격자 상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된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의도하는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는 것이며, 그러한 변경실시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임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상기한 실시 예에서는 기판(10)의 투수공(30)이 돌출부(20) 사이에서 군락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불규칙하거나 기판 전체에 분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20)는 원뿔 형이 정방 격자형의 배열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사각뿔 형상을 비롯한 다각형상이 불규칙 격자 상의 배열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본 발명의 다공 패널(100)을 이용하여 투수성 도로 포장 체를 시공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하여 시공된 투수성 도로 포장체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의하면 투수성 도로 포장체는 다공 패널(100)을 중심으로 하여 아래쪽에 형성되는 하층부(200) 위쪽에 형성되는 상층부(300)로 형성되어 있다.
하층부(200)는 자갈이나 지반을 다져서 되는 일반적인 기층일 수 있고, 골재 층, 투수성 아스팔트 및 콘크리트 포장층일 수 있다.
이러한 하층부(200) 상부 면에는 다공 패널(100)이 설치되는데 접 촉 단부(50)를 이용하여 연속적이고 균일한 상태가 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하층부(200)와 다공 패널(100) 사이에는 부직포, 토목 섬유로 제직 되는 망체, 그리드 등과 같은 보강재(400)를 설치할 수 있다.
상층부(300)는 10~30%의 공극률을 가지는 포장체 예를 들면 자갈, 다공질 원석을 포함하는 골재 층, 투수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층 및 우레탄을 포함하는 합성수지 칩, 또는 상기 포장체의 복합적 다층 구조 일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층부(300)로부터 스며드는 물이 다공 패널(100)에 도달하게 되면 돌출부(20)의 투수공(40)을 통하여 저수 저감 공간(70)에 모이게 되고, 일부의 물은 기판(10)에 형성되어 있는 투수공(30)을 통하여 하층부(200)로 투수 되어 지중에 스며들게 된다.
이러한 투수 과정에서 상층부(300)로부터 스며드는 물의 양이 많을 때에는 저수 저감 공간(70)에 고여서 저장된 상태가 됨으로써 도로 표면에는 물이 고여 있지 않고 신속하게 배수되는 것이다.
5단계
상기 제4단계(s4)에서 저류조 기판 상부에 고무 칩,우레탄 칩 75~80중량%와 바인더 20~25중량%을 혼합하여 포설하여 항온 로라로 수회 반복 다짐하여 우레탄 표 층을 형성한다.
바인더가 혼합되는 고무 칩은 우레탄 칩을 8mm체의 통과 중량 백분율이 100%이고 5mm체의 통과 중량 백분율이 70~100%이고 2.5mm체의 통과 중량 백분율이 10~15%의 입도 분포를 가지며 이러한 고무 칩 또는 우레탄 칩 75~80중량%에 대하여 바인더 20~25중량%가 혼합된다.
고무 칩 또는 우레탄 칩은 통상 8mm체의 통과 중량이 100%이지만 이것보다 큰입도를 가지는 것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탄성층을 2단계로 나누면 기판 상부에는 골재 또는 고무 칩으로 혼합하여 1단계를 형성하고 1단계 상부에 우레탄 칩으로 표층을 형성하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6단계
상기 제5단계(s5)에서 포설된 고무 칩 또는 우레탄 칩을 다짐하고 12시간 양생하여 제6단계(s6) 표층을 완성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저류조 도로 포장 구조체의 제1실시 예에서 1단계 2단계 3단계를 제외한 저류조 블록에 실시 예를 단계적으로 설명하여 저류조 블록 제조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저류조 블록을 도로 포장체에 이용하여 지는 제2실시 예는 다음과 같다.
(제2실시예)
4단계
금형에 의해 제작된 다양한 형태의 형틀을 준비하여지는 1단계(s7)
5단계
상기 제4단계(s7)에서 금형 또는 형틀 상부에 저류조 기판을 형틀에 설치하여지는 제5단계(s8)로 저류조 기판의 제1실시 예를 도면을 통하여 더욱 상세히 기술한바 같고.
6단계
상기 제5단계(s8)에서 저수 공간을 형성하는 저류조 기판 상부에 고무 칩 또는 우레탄 칩 75~80중량 %와 칩 용 바인더 20~25중량%를 혼합하여 포설하여지는 제6단계(s9)로바인더가 혼합되는 고무 칩 또는 우레탄 칩은 바람직하게 8mm체의 통과중량 100%이고 5mm체의 통과 중량 백분율이 70~100%이며 2.5mm체의 통과 중량 백분율이 10~15%의 입도 분포를 가지며 이러한 고무 칩 또는 우레탄 칩 는 P V C 칩 사출 칩 75~80중량 %와 바인더 20~25중량 %가 혼합된다.
바인더는 통상적으로 시멘트 모르타르에 첨가할 수 있는 천연고무와 합성고무를 포함하는 모든 혼화제, 예를 들면 S B N, U B R, 에폭시계,아크릴계,우레탄 계의 수지를 사용될 수 있다.
고무 칩,pvc,사출 칩,우레탄 칩을 통상 8mm체의 통과 중량 이 100%이지만 이것보다 큰 입 도를 가지는 것은 바람직하며 5mm체의 통과 중량이 70~100%인 5mm체 이하의 칩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7단계
상기 제6단계(s9)에서 포설된 상부의 진동 장치와 누름 장치에 의하여 다짐 되어진 상부에 항온 판에 의하여 표층이 마감 지는 제7단계(s10)
8단계
상기 제7단계(s10)저류조 탄성 블록이 양생 후 검수하는 제8단계(s11)완성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호우시 우수가 도로 내에 저류조를 형성하여 우수를 저류하여 하천의 범람을 막고 있다가 지중으로 수질을 개선하여 유입시키는 것으로 운동장 만한 크기의 도로에 300~400톤의 물의 수질을 개선하여 지하수 자원을 최적에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기층 표면을 점검하여 표면에 굴곡에 대하여 평탄작업을 하고 부직포를 형성하고 저류조 기판을 설치하고 바인더가 혼합된 고무 칩 또는 우레탄 칩을 포설하는 도로포장구조체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상부에 토르마린 분말 세라믹 1㎡ 당 200g ~ 400g을 고르게 뿌려 접착을 통하여 부직포와 합침하고, 상기 부직포 및 토르마린 분말 세라믹 상부에 저류조 기판을 연속적으로 형성하여 저류조 공간을 확보하고, 상부에 고무 칩 또는 우레탄 칩 75중량% ~ 80중량%와 바인더 20중량% ~ 25중량%를 혼합하여 포설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저류조 탄성 도로포장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조 기판을 연속적으로 형성하여 저류조 공간을 확보하고, 그 상부에 PVC 칩 또는 사출 재생 칩 75중량% ~ 80중량%와 바인더 20중량% ~ 25중량%를 혼합하여 포설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저류조 탄성 도로포장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조 기판을 연속적으로 형성하여 저류조 공간을 확보하고, 그 상부에 골재 또는 도막 방수된 다공질 원석 70중량% ~ 90중량%와 바인더 10중량% ~ 30중량%를 혼합하여 포설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저류조 탄성 도로 포장 구조체.
  4. 삭제
KR1020060080759A 2006-08-24 2006-08-24 친환경 저류조 도로 포장 구조체 KR100797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759A KR100797655B1 (ko) 2006-08-24 2006-08-24 친환경 저류조 도로 포장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759A KR100797655B1 (ko) 2006-08-24 2006-08-24 친환경 저류조 도로 포장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7655B1 true KR100797655B1 (ko) 2008-01-23

Family

ID=39219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0759A KR100797655B1 (ko) 2006-08-24 2006-08-24 친환경 저류조 도로 포장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765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0130A (en) 1976-09-01 1978-03-22 Masayoshi Okuyama Paved street
KR100593502B1 (ko) 2005-07-13 2006-06-30 (주)모겐스톤 친환경 고탄성 투수 블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0130A (en) 1976-09-01 1978-03-22 Masayoshi Okuyama Paved street
KR100593502B1 (ko) 2005-07-13 2006-06-30 (주)모겐스톤 친환경 고탄성 투수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8884B2 (en) Reinforced permeable paving structure
CA2829964C (en) Synthetic ground cover system with binding infill for erosion control
US9587364B2 (en) Synthetic ground cover system with impermeable backing and binding infill for erosion control
CN103669145A (zh) 一种透水路面结构的铺装方法
JP4746654B2 (ja) 表層体及び表層体の施工方法
KR101152212B1 (ko) 투수형 보도블록의 하부지반 안정화 및 빗물의 임시저장 공간 형성화 시공방법
KR100654667B1 (ko) 투수성 도로 포장체에서 저수저감 공간을 형성하는 환경친화적 다공 패널
KR101019181B1 (ko) 도로용 블록을 이용한 도로의 포장구조
KR100604212B1 (ko) 투수 기능을 갖는 탄성포장재 시공 방법
KR100497567B1 (ko) 친환경 투수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0797655B1 (ko) 친환경 저류조 도로 포장 구조체
CN205399118U (zh) 聚氨酯碎石耐透坪透水防滑彩色路面
KR20090129292A (ko) 보강매트와 유공관이 결합된 무 배수로 투수 기층구조 의 시공방법.
CN213328524U (zh) 一种具有透水和蓄水功能的海绵城市道路铺装结构
RU2328571C2 (ru) Покрытие ипподрома и ячеист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стабилизации покрытия
KR101483744B1 (ko) 친환경 지반침하 억제형 투수구조체의 시공방법
CN209443316U (zh) 一种设置密实沥青碎石混凝土层的透水铺砖路面结构
CN208486146U (zh) 一种新型滤渗透园路台阶及下沉式广场铺设结构
CN207003175U (zh) 一种新型轻载透水路面结构
KR20090129319A (ko) 비노출 배수로의 기층구조 및 유공관을 포함하는 비노출 배수로의 시공방법
KR20110080466A (ko) 저수저감 투수블럭
JP2019143434A (ja) 舗装パネル及び舗装パネルの敷設方法
CN113152186B (zh) 一种具有防渗排水功能的复合路堤
KR101733481B1 (ko) 빗물 저장 기능을 갖는 조립식 저류블록을 사용하는 지반 포장구조
KR101019180B1 (ko) 줄눈 일체형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