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7163B1 - Air conditioner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7163B1
KR100797163B1 KR1020060039662A KR20060039662A KR100797163B1 KR 100797163 B1 KR100797163 B1 KR 100797163B1 KR 1020060039662 A KR1020060039662 A KR 1020060039662A KR 20060039662 A KR20060039662 A KR 20060039662A KR 100797163 B1 KR100797163 B1 KR 100797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ir
blowing
room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6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107325A (en
Inventor
김종욱
김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9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7163B1/en
Publication of KR20070107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73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1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각 룸의 개방된 댐퍼의 개수에 따라 각 룸으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모터의 회전수를 선형제어 함으로서, 각 룸에서 요구되는 송풍량 및 각 룸에서 요구되는 희망온도를 보다 효율적으로 구현하는 효과가 있다.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inearly control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for blowing air to each room according to the number of dampers opened in each room, thereby more efficiently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required in each room and the desired temperature required in each room. It is effective to implement.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Air conditioner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Air conditioner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door unit of the duct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설치 예가 도시된 설치 예시도Figure 2a, Figure 2b is an installation example showing an indoor unit installation example of the duct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패널이 도시된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de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장유닛 내부가 도시된 일부 분해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electric unit inside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송풍유닛이 도시된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owing unit of the duct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유닛이 도시된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low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장유닛이 도시된 블록도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battlefield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작동순서가 도시된 순서도8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duct-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룸의 사용조건에 따른 송풍유닛 및 실외기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제 1 예시도9 is a first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blower unit and an outdoor unit according to a use condition of a 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에서 실내기의 모터, 실외기의 모터 및 압축기의 구동상태가 도시된 그래프FIG. 10 is a graph illustrating a driving state of a motor of an indoor unit, a motor of an outdoor unit, and a compressor of FIG. 9.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룸의 사용조건에 따른 송풍유닛 및 실외기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제 2 예시도11 is a second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blower unit and an outdoor unit according to a use condition of a 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도 11에서 실내기의 모터, 실외기의 모터 및 압축기의 구동상태가 도시된 그래프12 is a graph illustrating a driving state of a motor of an indoor unit, a motor of an outdoor unit, and a compressor of FIG. 11.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장유닛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Figure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lectric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서브 제어부가 도시된 서브 컨트롤박스의 정면도15 is a front view of a sub control box in which the sub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본체 12 : 흡입구10: main body 12: suction port

14, 16, 114, 116 : 토출구 20 : 송풍유닛14, 16, 114, 116: discharge port 20: blowing unit

30 : 열교환기 40 : 전장유닛30: heat exchanger 40: electric unit

45 : 메인 제어부 46 : 서브 제어부45: main control unit 46: sub control unit

50 : 베이스 60 : 레그50: base 60: leg

70 : 모터 80 : 스테이터70: motor 80: stator

90 : 서포터 200, 300 : 덕트90: supporter 200, 300: duct

400 : 댐퍼 402 : 리모콘400: damper 402: remote control

404 : 온도센서 500 : 덕트 커넥터404: temperature sensor 500: duct connector

본 발명은 덕트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복수개의 룸에 각각 공기를 공급하는 실내기의 송풍기를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송풍기와 복수개의 룸을 연결하는 댐퍼를 제어하여 상기 요구되는 룸의 온도를 제어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ct type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control a blower of an indoor unit that supplies air to a plurality of rooms, and to control a damper that connects the blower and the plurality of rooms to the required room temperature. It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for controlling.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간에 공기조화된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구성부품이 하나의 제품 안에 구비되는 일체형과, 실내기 및 실외기로 구성되는 분리형으로 구분된다. 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is a device for supplying air-conditioned air to an indoor space, and is divided into an integrated type in which components are provided in one product and a separate type composed of an indoor unit and an outdoor unit.

그리고 최근에는 실내기가 차지하는 공간 때문에, 상기 실내기를 천정, 벽면, 베란다 등에 장착하거나 옥상 등의 실외에 장착하고 상기 실내기에서 공기조화된 공기를 덕트를 통해 실내에 공급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가 증가되는 추세이다.In recent years, due to the space occupied by the indoor unit, the duct type air conditioner for mounting the indoor unit on a ceiling, a wall, a veranda, or the like outdoors on a rooftop, and supplying air-conditioned air from the indoor unit to the room through a duct increases. to be.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덕트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에서 제어되는 송풍기가 복수개의 룸 온도와 무관하게 항상 동일한 속도로 작동되기 때문에 상기 룸의 온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기호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However, in the duct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since the blower controlled by the indoor unit is always operated at the same speed regardless of the plurality of room temperatures, the duct type air conditioner does not actively cope with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room and does not satisfy the user's preference. I have a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복수개의 토출구 열 각각에 송풍유닛을 설치하여 각 덕트에 송풍되는 공기의 양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for individually adjusting the amount of air blown in each duct by installing a blower unit in each of the plurality of discharge port rows.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룸을 하나의 실내기를 통해 공기조화할 뿐만 아니 라 상기 하나의 실내기에서 송풍되는 송풍량을 달리하여 실내 룸에서 요구되는 온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actively coping with a temperature change required in an indoor room by varying the amount of air blown by the indoor unit as well as air conditioning a plurality of rooms through one indoor unit. There is this.

또한 본 발명은 실내기의 전장유닛을 메인 제어부와 서브 제어부로 구성한 후, 상기 서브 제어부를 통해 룸에 설치된 댐퍼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for controlling the dampers installed in the room individually through the sub control unit after configuring the electric unit of the indoor unit as the main control unit and the sub control unit.

또한 본 발명은 특정의 실내에서 소정의 송풍량이 요구될 때, 개방된 댐퍼의 개수 및 온도차를 고려하여 송풍유닛의 모터를 선형 제어함으로서 상기 특정의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송풍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blowing in a specific room is required, by controlling the motor of the blowing unit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the damper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the air to maintain a constant blowing amount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specific room There is another purpose to provide a harmonic.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실내의 복수개 룸에 각각 공기를 송풍시키도록 모터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송풍유닛과; 상기 송풍유닛이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와 상기 각 룸을 연결시키는 덕트와; 상기 덕트에 설치되고, 상기 덕트에서 상기 각 룸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댐퍼와; 상기 송풍유닛 또는 상기 댐퍼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장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including: at least one blower unit having a motor installed to blow air into a plurality of rooms, respectively; A main body provided with the blowing unit; A duct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respective rooms; A damper installed in the duct and adjusting the amount of air supplied from the duct to the respective room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lectrica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unit or the damper,

복수개의 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룸에서 소정의 송풍량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댐퍼에서 개방된 댐퍼의 개수 또는 개방된 댐퍼의 개폐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송풍유닛의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상기 송풍유닛의 송풍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a predetermined blow amount is input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rooms,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of the blower unit is determine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dampers opened in the plurality of dampers or the opening and closing degree of the opened dampers. By controll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blowing amount of the blowing unit.

여기서 상기 송풍량은 상기 전장유닛에 의해 선형적으로 제어되고, 상기 개방된 댐퍼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비례하여 증가된다. The air blowing amount is linearly controlled by the electric field unit, and increases proportionally as the number of open dampers increases.

그리고 상기 송풍유닛의 송풍량은 특정한 복수개의 회전수로 구분되어 작동된다. And the blowing amount of the blowing uni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ecific number of revolutions to operate.

특히 상기 송풍유닛의 모터 회전수는 In particular, the motor rotation speed of the blowing unit is

모터 회전수 = (댐퍼의 개방 개수/ 댐퍼의 총 개수)*모터의 최대 회전수Motor speed = (open number of dampers / total number of dampers) * maximum speed of motor

로 결정된다. Is determined.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복수개 룸에 공기를 송풍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송풍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실내기와; 상기 실내기와 상기 각 룸을 연결시키는 덕트와; 상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덕트를 통해 송풍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댐퍼와; 상기 송풍유닛 또는 상기 댐퍼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장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ndoor unit including at least one blower unit for blowing air to a plurality of rooms in a room; A duct connecting the indoor unit and the respective rooms; A damper installed in the duct to adjust an amount of air blown through the duc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lectrica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unit or the damper,

상기 전장유닛은 상기 각 룸의 사용개수 또는 온도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송풍유닛의 작동 개수 또는 작동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와, 상기 각 룸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메인 제어부에 전달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lectrical unit is a mai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operation number or the operation amount of the blower unit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use or the temperature conditions of each room, and the main control unit by sensing the temperature of each room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temperature sensor to transmit to.

여기서 상기 송풍유닛은 입력된 전류에 따라 회전수를 선형적으로 변화시키는 비엘디씨 모터(BLDC moto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Here, the blower un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BLDC motor to change the rotational speed linearly according to the input current.

그리고 상기 각 덕트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고, 상기 각 송풍유닛은 상기 각 덕트에 연결된다. Each duct is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in a different direction, and each blower unit is connected to each duct.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댐퍼의 개폐 여부 또는 상기 댐퍼의 개폐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서브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 sub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at least one of whether the damper is opened or closed or whether the damper is opened or closed.

특히 상기 실내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송풍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본체 외측에는 상기 복수개의 송풍유닛에서 토출된 공기를 각 덕트로 분배시키는 덕트 커넥터가 설치된다. In particular, the indoor un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main body forming an outer shape, at least one blowing unit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duct connector for distribut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blowing units to each duct Is installed.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실내의 복수개 룸에 각각 공기를 송풍시키도록 모터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송풍유닛과; 상기 송풍유닛과 상기 각 룸을 연결시키는 덕트와; 상기 덕트에 설치되고, 상기 덕트에서 상기 각 룸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댐퍼와; 상기 송풍유닛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와; 상기 실내열교환기에 냉매를 공급하는 압축기와; 상기 송풍유닛, 상기 댐퍼 또는 상기 압축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장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including: at least one blower unit having a motor installed to blow air into a plurality of rooms, respectively; A duct connecting the blower unit and each of the rooms; A damper installed in the duct and adjusting the amount of air supplied from the duct to the respective rooms; An indoor heat exchanger configured to exchange heat between the air blown by the blower unit and the refrigerant; A compressor for supplying a refrigerant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It comprises a electrica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blowing unit, the damper or the compressor,

복수개의 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룸에서 소정의 송풍량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댐퍼에서 개방된 댐퍼의 개수 또는 개방된 댐퍼의 개폐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송풍유닛의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상기 송풍유닛의 송풍량을 제어하는 것과 아울러 상기 복수개의 댐퍼에서 개방된 댐퍼의 개수 또는 개방된 댐퍼의 개폐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압축기의 냉매 압축용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a predetermined blowing amount is input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rooms,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of the blowing unit is controlle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dampers opened in the plurality of dampers or the opening and closing degree of the opened dampers. And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blown by the blower unit, and controlling the refrigerant compression capacity of the compressor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dampers opened in the plurality of dampers or the opening and closing degree of the opened damper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설치 예가 도시된 설치 예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door unit of the duct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installation example showing an indoor unit installation example of the duct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12) 및 복수개의 토출구(14)(16)(114)(116)가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토출구(14)(16)(114)(116)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송풍유닛(20)과, 상기 흡입구(12)를 차폐하도록 설치되어 흡입되는 공기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30)와, 상기 본체(10)에 설치되어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도록 전장부품이 설치된 전장유닛(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1 or 2,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having an inlet 12 and a plurality of outlets 14, 16, 114, and 116. The air blowing unit 20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and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14, 16, 114, and 116 and installed to shield the suction port 12 is sucked. It comprises a heat exchanger (30) for heat exchange with the air, and the electric unit 40 is installed on the main body 10, the electric component is installed to control the air conditioner.

상기 본체(10)는 베이스패널(50)과, 상기 베이스패널(50)의 전면에서 상측으로 직립되어 설치되는 프론트패널(52)과, 상기 베이스패널(50)의 측면에서 상측으로 직립되어 설치되는 사이드패널(54)과, 상기 프론트패널(52) 및 상기 사이드패널(54)과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패널(50) 상부에 설치되는 탑패널(58)로 구성된다.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base panel 50, a front panel 52 which is installed upright from the front of the base panel 50, and an upright installation from the side of the base panel 50. The top panel 58 is connected to the side panel 54, the front panel 52, and the side panel 54 and installed on the base panel 50.

여기서 상기 본체(10)의 네 모서리에는 각각 코너프레임(55)(56)이 설치된다. Here, four corners of the main body 10 are provided with corner frames 55 and 56, respectively.

특히 상기 코너프레임(55)(56)은 하단이 상기 베이스패널(50)과 연결되고, 측단이 상기 프론트패널(52) 또는 상기 사이드패널(54)과 연결되며, 상단이 상기 탑패널(58)과 연결된다. In particular, the corner frames 55 and 56 have a lower end connected with the base panel 50, a side end connected with the front panel 52 or the side panel 54, and an upper end thereof with the top panel 58. Connected with

그리고 상기 프론트패널(52) 및 상기 탑패널(58)에는 각각 상기 토출구(14)(114)(16)(116)가 형성된다. The discharge holes 14, 114, 16, and 116 are formed in the front panel 52 and the top panel 58, respectively.

또한 상기 본체(10) 후방 측에 위치된 코너프레임(56) 사이에는 상기 흡입구(12)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12)를 차폐하도록 상기 열교환기(30)가 설치되며, 상기 열교환기(30)는 상기 본체(10) 내부에 위치된다. In addition, the inlet 12 is formed between the corner frame 56 located at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 the heat exchanger 30 is installed to shield the inlet 12, and the heat exchanger 30 ) Is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10.

그리고 상기 베이스패널(50) 하부에는 상기 베이스패널(50)을 지지하는 레그(60)가 설치된다. A leg 60 supporting the base panel 50 is installed below the base panel 50.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송풍유닛(20)에는 각각의 덕트(200)(300)가 연결되고, 상기 각 덕트(200)(300)는 설치 방향에 따라 모두 같은 방향으로 설치되거나(도 2a) 서로 다른 방향으로 설치된다.(도 2b)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2, the air blowing uni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duct 200, 300 is connected, each of the ducts 200, 300 are all in the same direction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direction 2a or in different directions (FIG. 2b).

그래서 상기 덕트(200)(300)는 실내의 룸(미도시)과 연결되고, 상기 송풍유닛(20)에서 토출된 공기는 덕트(200)(300)의 댐퍼를 거쳐 실내의 룸에 공급된다. Thus, the ducts 200 and 300 are connected to a room (not shown) in the room,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er unit 20 is supplied to the room of the room through the dampers of the ducts 200 and 300.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패널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장유닛 내부가 도시된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de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electric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전장유닛(40)은,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사이드패널(54)에 의해 차폐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3 or 4, the electric unit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and is shielded by the side panel 54 an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여기서 상기 사이드패널(54)은 상기 코너프레임(55)(56)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코너프레임(55)(56), 상기 베이스패널(50) 또는 상기 탑패널(58)과 체결 고정 된다. The side panel 54 is positioned between the corner frames 55 and 56 and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corner frames 55 and 56, the base panel 50, or the top panel 58.

그리고 상기 사이드패널(54)에는 손잡이(53)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53)는 상기 사이드패널(54)의 분리 및 조립 시 사용자가 상기 사이드패널(54)을 보다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a handle 53 is installed on the side panel 54, and the handle 53 allows the user to more easily support the side panel 54 when the side panel 54 is separated and assembled. .

여기서 상기 손잡이(53)는 상기 사이드패널(54)에 형성된 홀(미도시)에 삽입되어 끼움 고정된다. Wherein the handle 53 is inserted into a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side panel 54 is fixed.

그래서 상기 손잡이(53)는 상기 사이드패널(54)이 홀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끼움부(53a)와, 상기 사이드패널(53)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53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밀착부(53b)에서 상기 끼움부(53a) 측으로 홈(53c)이 형성된다. Thus, the handle 53 includes a fitting portion 53a into which the side panel 54 is inserted into and inserted into a hole, and an adhesive portion 53b in close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side panel 53. A groove 53c is formed in the fitting portion 53a toward the fitting portion 53a.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홈(53c)에 손을 삽입하여 상기 사이드패널(54)을 지지한다. In this case, the user inserts a hand into the groove 53c to support the side panel 54.

또한,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전장유닛(40)을 차폐하는 사이드패널은 서비스업자의 서비스 시 자주 개방되는 바, 상단을 상기 코너프레임(55)에 힌지 연결하여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여는 구조로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side panel shielding the electrical unit 40 is often opened during the service of the service provider, by connecting the upper end hinged to the corner frame 55 in the up / down direction or left / right direction It may be installed in an open structure.

상기 전장유닛(40)은 상기 코너프레임(55)(56)에 끼움 결합된 후, 볼트 또는 나사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The electric unit 40 is fitted to the corner frames 55 and 56 and then fastened and fixed by bolts or screws.

여기서 상기 전장유닛(40)은 상기 코너프레임(55)(56)에 끼움 결합되는 컨트롤박스(42)와, 상기 컨트롤박스(42)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 제어부(45, main PCB) 및 서브 제어부(46)와, 상기 송풍유닛(20)에 전원을 공급하는 모터 드라이버(미도시)와, 상기 모터 드라이버(미도시)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아이피엠(미도시, IPM : Intelligent Power Module)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Here, the electrical unit 40 has a control box 42 fitted to the corner frames 55 and 56, a main controller 45 installed in the control box 42, and a sub controller ( 46), a motor driver (not shown) for supplying power to the blower unit 20, and an IPM (not shown, IPM: Intelligent Power Module) for supplying DC power to the motor driver (not shown). It is configured by.

상기 아이피엠은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와 이를 구동시켜주는 드라이버 IC를 단일 패키지에 내장한 것으로서, 최근에 고용량 모터제어분야의 전력관리 솔루션으로 다양한 기기에 적합하도록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피엠에는 구동 드라이버 IC, 과전류 보호회로, 단락 보호회로 등의 여러 보호회로가 내장되는 바, 상기 모터 드라이버의 크기를 축소시키고 저전력 및 소형화의 구현에 유리하다. The IPM is an IGBT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nd a driver IC for driving the same in a single package. Recently, IPM has been developed and sold for various devices as a power management solution for high-capacity motor control. In addition, the IPM includes various protection circuits such as a driving driver IC, an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a short circuit protection circuit, and is advantageous in reducing the size of the motor driver and implementing low power and miniaturization.

상기 컨트롤박스(42)는 박스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메인 제어부(45)가 설치되며, 상기 사이드패널(54)이 설치된 측방향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특히 상기 컨트롤박스(42)는 상기 사이드패널(54)의 설치 시 차폐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The control box 42 is formed in a box shape, the main control unit 45 is installed therein, and the side direction in which the side panel 54 is installed is opened. In particular, the control box 42 is shielded when the side panel 54 is installed an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한편 상기 전장유닛(40)의 메인 제어부(45)는 상기 송풍유닛(20)의 모터(70)를 제어하고, 상기 서브 제어부(46)는 후술하는 덕트(200)의 댐퍼를 제어하여 룸에 공급되는 공기를 컨트롤한다. Meanwhile, the main controller 45 of the electric unit 40 controls the motor 70 of the blower unit 20, and the sub controller 46 controls the damper of the duct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be supplied to the room. Control the air.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송풍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유닛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owing unit of the duct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low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송풍유닛(20)은 본체(10)에 고정되는 송풍유닛 프레임(22)과, 상기 본체(10) 내부의 공기를 토출구(14)로 토출시키는 팬(24)과, 상기 팬(24)을 구동시키는 모터(70)와, 상기 팬(24)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상기 토출구(14) 로 안내하는 팬하우징(2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Blowing uni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lowing unit frame 22 fixed to the main body 10, a fan 24 for discharging the air in the main body 10 to the discharge port 14, and the fan ( And a fan housing 28 for guiding the air 70 blown by the fan 24 to the discharge port 14.

여기서 상기 송풍유닛(20)은 상기 팬하우징(28)의 양 측면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시코로팬(sirocco fan)이다. Here, the blowing unit 20 is a sirocco fan that sucks air from both sides of the fan housing 28.

상기 송풍유닛 프레임(22)은 상기 팬하우징(28)을 베이스(5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직육면체의 골조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팬하우징(28)이 체결 고정된다. The blower unit frame 22 is for fixing the fan housing 28 to the base 50, and is formed in a fram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the fan housing 28 is fastened and fixed therein.

여기서 상기 송풍유닛 프레임(22)에는 상기 탑패널(58) 또는 상기 프론트패널(52)에 형성된 각 토출구(14)(16)(114)(116) 중 어느 하나를 차폐하도록 커버(21)가 설치된다. The blower unit frame 22 is provided with a cover 21 to shield any one of each of the discharge ports 14, 16, 114, and 116 formed in the top panel 58 or the front panel 52. do.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측 토출구(14)가 개방된 경우 상기 송풍유닛 프레임(22)에 설치된 커버(21)는 상기 탑패널(58)에 형성된 토출구(16)를 차폐하고, 상측 토출구(114)가 개방된 경우 상기 송풍유닛(20)의 커버(21)는 상기 탑패널(58)의 전방 측 토출구(114)를 차폐한다. That is, as shown in Figure 2, when the front side discharge port 14 is open, the cover 21 provided in the blowing unit frame 22 shields the discharge port 16 formed in the top panel 58, When the upper discharge port 114 is opened, the cover 21 of the blower unit 20 shields the front discharge port 114 of the top panel 58.

여기서 상기 커버(21)(23)는 상기 송풍유닛 프레임(22)의 상면 및 하면에 설치되고, 조립자 또는 설치자가 상기 팬하우징(28)이 고정된 송풍유닛 프레임(22)을 회전시킴으로서 상기 송풍유닛 프레임(22)에 설치된 커버(21)(23)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전방 토출구(14) 또는 상기 상측 토출구(16) 중 어느 하나를 차폐시킨다. Here, the cover 21 and 23 are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lowing unit frame 22, and the assembly or installer rotates the blowing unit frame 22 to which the fan housing 28 is fixed. One of the covers 21 and 23 provided in the unit frame 22 shields either the front discharge port 14 or the upper discharge port 16.

여기서 상기 커버(21)(23)는 상기 탑패널(58) 또는 상기 프론트패널(52)의 면과 연속된 면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바, 상기 탑패널(58) 또는 상기 프론트패널(52)에서 돌출되지 않고 매끈한 면을 이룬다. Wherein the cover 21, 23 is provided to form a continuous surface with the surface of the top panel 58 or the front panel 52, protrudes from the top panel 58 or the front panel 52 It forms a smooth side.

특히, 상기 커버(21)(23)는 상기 송풍유닛 프레임(22)에 일체로 조립되어 상기 베이스(50)에 설치되는 바, 상기 송풍유닛(20)의 설치 후 상기 프론트패널(52) 또는 상기 탑패널(58)이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14)(16)의 차폐과정은 상기 송풍유닛(20)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다. In particular, the covers 21 and 23 are integrally assembled to the blowing unit frame 22 and installed on the base 50. After installation of the blowing unit 20, the front panel 52 or the The top panel 58 is installed, and the shielding process of the discharge ports 14 and 16 is performed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blower unit 20.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토출구(14) 중 어느 하나를 차폐할 때 별도의 커버를 설치하는 과정이 필요치 않다. Thus,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process of installing a separate cover when shielding any one of the discharge ports 14.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송풍유닛(20)은 상기 팬(24)을 구동시키기 위해 비엘디씨 모터(70, Brushless DC Motor: 이하 'BLDC 모터' 라 함)가 사용되고, 상기 BLCD 모터(70)는 서포터(90)에 의해 상기 팬하우징(28)에 고정된다. Meanwhile, the blower uni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BCD motor 7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rushless DC motor) to drive the fan 24, and the BLCD motor 70 is a supporter. It is fixed to the fan housing 28 by 90.

상기 팬하우징(28)은 상기 송풍팬 프레임(22)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좌/우 측에 각각 흡입구(28a)(28b)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28a)(28b) 중 어느 한 쪽에 상기 모터(70)가 설치된다. The fan housing 28 is fixed to the blowing fan frame 22, and suction inlets 28a and 28b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and the motor is disposed on either of the suction ports 28a and 28b. 70 is installed.

여기서 상기 팬하우징(28)의 상기 흡입구(28a)(28b)는 각각 내측으로 오목하게 쉬라우드가 형성된다. Here, the suction openings 28a and 28b of the fan housing 28 are respectively recessed inwardly to form a shroud.

상기 팬(24)은 횡류팬의 일종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모터(70)는 상기 팬하우징(28)에 고정되어 상기 팬(24)과 연결된다. The fan 24 is a kind of cross flow fan, which is formed to be long in the left / right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and the motor 70 is fixed to the fan housing 28 and connected to the fan 24.

상기 모터(70)는,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팬(24)에 연결되는 샤프트(71)와, 상기 샤프트(71)에 연결되는 로터(72)와, 상기 로터(72)의 내측에 위치되되 상기 로터(72)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스테이터(80)와, 상 기 스테이터(80)를 상기 팬하우징(28)에 고정시키는 서포터(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5 or FIG. 6, the motor 70 includes a shaft 71 connected to the fan 24, a rotor 72 connected to the shaft 71, and the rotor 72.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tator (80) positioned inside the rotor 72 spaced apart from the rotor (72), and a supporter (90) for fixing the stator (80) to the fan housing (28).

상기 샤프트(71)는 상기 로터(72)와 체결 고정되어 상기 팬(24)의 중심에 위치되고, 상기 팬(24)과 체결되어 고정된다. The shaft 71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rotor 72 and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fan 24, and fastened and fixed to the fan 24.

여기서 상기 BLDC 모터(70)는 입력되는 전류에 의해 선형적인 제어가 가능하고, 상기 BLDC 모터(70)는 상기 전장유닛(40)의 메인 제어부(45)에 의해 제어됨으로서 토출되는 송풍량을 조절한다. Here, the BLDC motor 70 may be linearly controlled by the input current, and the BLDC motor 70 may control the amount of blown air discharged by being controlled by the main controller 45 of the electric unit 40.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내기에 상기 메인 제어부(45)에 의해 각각 제어되는 복수개의 BLDC 모터(70)가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덕트(200)(300)로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각각 조절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lurality of BLDC motors 70 respectively controlled by the main controller 45 are installed in the indoor unit,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to the ducts 200 and 300 can be adjusted. .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장유닛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attlefield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장유닛(40)은 상기 모터(70)를 제어하는 상기 메인 제어부(45)와, 상기 메인 제어부(45)와 상호 작용되어 덕트(200)(300)의 댐퍼(400)를 제어하는 서브 제어부(46)와, 상기 메인 제어부(45)에 신호를 입력하는 리모콘(402)과, 상기 룸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404)와, 상기 실내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4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4 or FIG. 7, the electrical unit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eracts with the main controller 45 and the main controller 45 for controlling the motor 70. Sub control unit 46 for controlling the damper 400 of the 300, a remote control unit 402 for inputting a signal to the main control unit 45, a temperature sensor 404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room,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isplay control unit 405 for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indoor unit.

상기 메인 제어부(45)는 상기 리모콘(402),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405) 및 상기 서브 제어부(46)와 각각 연결되어 상호 동작되고, 상기 온도센서(404)에서 수신된 신호는 상기 서브 제어부(46)를 통해 상기 메인 제어부(45)에 전달된다. The main control unit 45 is connected to the remote control unit 402, the display control unit 405, and the sub control unit 46, and interoperates with each other, and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404 is controlled by the sub control unit 46. It is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 unit 45 through the).

여기서 상기 리모콘(402)은 상기 메인 제어부(45)와 연결되는 유선 리모콘이고, 상기 유선 리모콘은 상기 각 룸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다. 특히, 상기 리모콘(402)은 본 실시예에서 유선 리모콘을 예로 들었으나 무선 리모콘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Herein, the remote controller 402 is a wired remote controller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ler 45, and the wired remote controllers are installed in each room to receive a signal from a user. In particular, the remote control 402 is a wired remote control in the present embodiment, but a wireless remote control may be used.

그리고 상기 메인 제어부(45)는 상기 온도센서(404)에서 감지된 온도 및 상기 리모콘(402)을 통해 입력된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모터(70)를 제어하고, 상기 서브 제어부(46)는 상기 리모콘(402)에서 입력된 신호 및 상기 메인 제어부(45)에서 전달된 신호에 따라 상기 댐퍼(400)를 컨트롤한다. The main controller 45 controls the motor 70 by comparing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404 with a signal input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402, and the sub controller 46 controls the remote controller. The damper 400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ignal input from 402 and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in controller 45.

한편, 상기 댐퍼(400)는 상기 덕트(200)(300)를 따라 이동되는 공기를 차단 또는 소통시키는 일반적인 구조이고, 내부에 댐퍼플레이트(미도시가 설치되어 상기 덕트(200)(300)를 따라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을 차단/소통시킬 뿐만 아니라 소정각도 회전되는 상기 댐퍼플레이트 개폐도에 따라 상기 공기의 송풍량도 조절된다. 여기서 상기 댐퍼플레이트 및 댐퍼의 구조는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구조이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On the other hand, the damper 400 is a general structure for blocking or communicating the air moving along the duct 200, 300, a damper plate (not shown is installed along the duct 200, 300) In addition to blocking / communicating the movement of the moved air, the air blowing amount of the air is also adjusted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degree of the damper plate, which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do.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작동과정을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8.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작동순서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8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duct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작동되면(S10), 실내기의 메인 제어부(45)는 각 룸에 설치된 온도센서(404a~404d)로부터 각 룸의 온도를 전달받는 것과 아울러, 상기 각 룸에 설치된 리모콘(402)으로부터 희망온도를 입력받는다. (S20)As shown in Figure 7 or 8, whe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ctivated (S10), the main control unit 45 of the indoor unit transmits the temperature of each room from the temperature sensor (404a ~ 404d) installed in each room In addition to receiving, the desired temperature is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402 installed in each room. (S20)

여기서 상기 리모콘(402)에서 상기 메인 제어부(45)로 입력되는 희망온도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될 수도 있고, 상기 메인 제어부(45)에 저장된 온도가 입력될 수도 있다. The desired temperature input from the remote controller 402 to the main controller 45 may be directly input by the user, or a temperature stored in the main controller 45 may be input.

다음으로 상기 메인 제어부(45)는 상기 입력된 희망온도와 상기 실내온도를 비교하고(S30), 상기 실내온도와 상기 희망온도의 차에 의해 상기 각 룸에 공기조화된 공기를 공급할지 결정한다.Next, the main controller 45 compares the input desired temperature with the indoor temperature (S30), and determines whether to supply air-conditioned air to each of the rooms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temperature and the desired temperature.

여기서 복수개의 룸 중 실내에 사용자가 없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리모콘(402)이 오프(off)된 경우, 상기 메인 제어부(45)는 상기 오프된 룸이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오프된 룸에 공기를 송풍시키지 않는다. Here, when there is no user in the room among the plurality of rooms or when the remote controller 402 is turned off by the user, the main control unit 45 determines that the off-room is not used to air in the off-room. Do not blow it.

또한 상기 메인 제어부(45)는 상기 리모콘(45)이 온(on)되어 있을 찌라도 상기 희망온도와 상기 실내온도의 차가 적은 경우 상기 온된 룸에 공기를 송풍시키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main controller 45 does not blow air to the turned-on room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sired temperature and the room temperature is small even when the remote controller 45 is turned on.

즉, 상기 메인 제어부(45)는 상기 룸이 사용되어 온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희망온도와 실내온도의 온도차가 소정 온도 이상 차이날 경우에만 상기 온된 룸에 공기를 송풍시킨다. That is, the main control unit 45 blows air to the turned-on room only when the room is not used but only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desired temperature and the room temperature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이를 통해 상기 메인 제어부(45)는 복수개의 송풍유닛(20) 중 상기 온된 룸과 연결된 송풍유닛(20)에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송풍유닛(20)을 작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온도차의 크기에 따라 상기 송풍유닛(20)의 작동속도를 조절함으로서 상기 온된 룸에 공급되는 송풍량을 결정한다.(S42)Through this, the main controller 45 operates the blower unit 20 by applying a current to the blower unit 20 connected to the turned-on room among the plurality of blower units 20 an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temperature difference.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speed of the blowing unit 20 determines the amount of blowing air supplied to the on-room (S42).

특히 상기 메인 제어부(45)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신호 및 계산된 희망온도와 실내온도의 온도 차 등을 고려하여 상기 송풍유닛(20)의 송풍량을 결정한다. In particular, the main controller 45 determines the blowing amount of the blower unit 20 in consideration of the signal input from the user and the calculated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desired temperature and the room temperature.

여기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신호는 상기 리모콘(402)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풍량의 세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Here, the signal input from the user may be, for example, the strength of the air volume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402.

즉, 상기 사용자가 상기 리모콘(402)을 통해 강풍을 입력한 경우, 상기 메인 제어부(45)는 상기 룸에 제공될 풍량만을 고려하여 즉각적으로 상기 모터(70)의 회전수를 강풍에 상당하는 회전수로 전환시키지 않고, 상기 송풍모터(20)가 공기를 공급하는 룸의 개수 및 각 룸에서 요구되는 풍량을 계산하여 상기 모터(70)의 회전수를 증감시킨다. That is, when the user inputs a strong wind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402, the main controller 45 immediately rotates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motor 70 corresponding to the strong win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amount of air to be provided to the room. Instead of switching to the number, the number of rooms to which the blower motor 20 supplies air and the amount of air required in each room are calculated to increase or decrease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70.

한편, 상기 사용되지 않는 룸 또는 오프된 룸에 설치된 댐퍼(400)는 폐쇄되어 상기 송풍유닛(20)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오픈된 룸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고, 공기가 송풍되는 룸에 연결된 댐퍼(400)는 개방되어 상기 송풍유닛(20)으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룸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S44)Meanwhile, the damper 400 installed in the unused room or the off room is closed to block the air supplied from the blower unit 20 from being supplied to the open room, and the damper connected to the room through which the air is blown ( 400 is opened so that the air supplied from the blowing unit 20 can be supplied to the room. (S44)

그래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송풍유닛(20)에 2개의 룸이 연결되고, 상기 룸 중 어느 하나에만 강풍의 공기가 공급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메인 제어부(45)는 오프된 룸의 댐퍼(400)를 폐쇄하고 상기 온된 룸의 댐퍼(400)만을 개방하여 공기를 송풍시킨다. So,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wo rooms are connected to one blower unit 20 and only one of the rooms is to be supplied with strong wind air, the main controller 45 is a damper 400 of the turned off room. ) And only the damper 400 of the turned-on room is opened to blow air.

특히, 상기 메인 제어부(45)는 상기 룸에서 요구되는 풍량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오프된 룸에 공급되던 풍량 만큼을 감소시켜 상기 온된 룸에 공기를 송풍시킨 다. In particular, the main control unit 45 blows air to the on-room by reducing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off-room to supply the air-flow required in the room.

즉, 상기 온된 룸이 강풍을 원하는 경우, 상기 메인 제어부(45)는 하나의 룸에 강풍을 공급하는 회전수만큼만 상기 모터(70)를 회전시킨다. That is, when the on-room wants strong winds, the main controller 45 rotates the motor 70 only by the number of revolutions for supplying strong winds to one room.

이와 달리 2개의 룸에서 동시에 강풍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와 같이 하나의 룸에만 강풍이 요구될 때보다 상기 송풍유닛(20)의 회전수를 증가시킨다. On the contrary, when strong winds are required in two rooms at the same time,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blower unit 20 is increased more than when strong winds are required in only one room as described above.

여기서 상기 모터(70)는 BLDC 모터인 바, 상기 메인 제어부(45)의 의해 선형적으로 회전수를 제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룸의 사용조건 및 풍량 등에 따라 상기 덕트(200)(300)에 송풍되는 공기의 송풍량을 선형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motor 70 is a BLDC motor, and the rotation speed can be linearly controlled by the main control unit 45, and through the ducts 200 and 300 according to the use conditions and the air volume of the room. The blowing amount of the blown air can be adjusted linearly.

그리고 상기 메인 제어부(45)는 상기 룸의 조건 및 상태에 따라 실외기의 작동여부를 결정한다. The main controller 45 determines whether to operate the outdoor unit according to the conditions and conditions of the room.

즉, 실내의 룸에서 요구되는 냉/난방 용량이 없는 경우, 상기 실외기는 당연히 작동되지 않고, 상기 실내의 룸 중 어느 하나에서 냉/난방 용량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메인 제어부(45)는 이를 판단하여 상기 실외기의 압축기 구동용량 및 실외팬의 회전수를 결정한다.(S46)That is, when there is no cooling / heating capacity required in an indoor room, the outdoor unit does not operate naturally, and when the cooling / heating capacity is required in any one of the indoor rooms, the main controller 45 determines this. The compressor driving capacity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outdoor fan of the outdoor unit are determined.

다음으로 상기 메인유닛(45)에 의해 송풍유닛(20)의 구동여부, 송풍량의 결정, 댐퍼의 개폐여부 및 실외기의 작동여부 등이 결정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메인유닛(45)은 송풍유닛(20)의 구동여부, 송풍량의 결정, 댐퍼의 개폐여부 및 실외기의 작동여부 등을 재차 결정하기 위해, 다시 상기 온도센서(404)를 통해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재차 감지된 실내온도와 희망온도를 비교하여 상술한 과정(S20~S50)을 반복한다. (S60)Next,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determining whether the blower unit 20 is driven, the blower amount is determined, whether the damper is opened or closed, and whether the outdoor unit is operated by the main unit 45, the main unit 45 blows the air.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unit 20 is driven, the air volume is determined, whether the damper is opened or closed, and whether the outdoor unit is operated again, the temperature sensor 404 senses the room temperature again, and the detected room temperature is again detected. Repeat the above-described process (S20 ~ S50) by comparing with the desired temperature. (S60)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룸의 사용조건에 따른 송풍유닛 및 실외기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제 1 예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서 실내기의 모터, 실외기의 모터 및 압축기의 구동상태가 도시된 그래프이다. 9 is a first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blower unit and an outdoor unit according to a use condition of a 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driving state of a motor of an indoor unit, a motor of an outdoor unit, and a compressor of FIG. It is a graph.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 1 작동예에서는 실내 룸에서 요구되는 풍속이 강/중/약으로 구분될 때, 개방된 댐퍼(400a~400d)의 개폐여부에 따라 실외기 팬, 압축기 및 송풍유닛(20)의 작동상태를 달리한다. As shown in FIG. 9 or FIG. 10, in the first operation exampl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ind speed required for the indoor room is divided into strong, medium, and weak, the dampers 400a to 400d are opened. The operation state of the outdoor unit fan, the compressor and the blower unit 20 varies depending on whether the door is open or closed.

예를 들어 실내에서 요구되는 풍속이 강풍이고, 상기 댐퍼(400a~400d) 중 어느 하나만 개방된 경우, 상기 실외기의 압축기 및 실외팬은 작동되고 상기 송풍유닛(20)은 강풍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저속으로 팬(24)을 회전시킨다. For example, if the wind speed required indoors is a strong wind, and only one of the dampers 400a to 400d is opened, the compressor and the outdoor fan of the outdoor unit are operated and the blower unit 20 has a low speed despite the demand of the strong wind. To rotate the fan 24.

여기서 상기 메인 제어부(45)는 상기 송풍유닛(20)의 모터(70)에 소정의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팬(24)을 저속으로 회전시킴에도 불구하고, 상기 송풍유닛(20)에 토출된 공기는 하나의 룸에 모두 집중되는 바, 사용자가 요구하는 강풍의 송풍량이 형성된다. Here, the main control unit 45 discharges the air discharged to the blower unit 20 even though the fan 24 is rotated at a low speed by applying a predetermined current to the motor 70 of the blower unit 20. Since all are concentrated in one room, the amount of blowing of the strong wind required by the user is formed.

그리고 상기 룸에 연결된 상기 댐퍼(400a~400d)의 개방 개수가 증가할수록 상기 모터(70)에 의한 팬(24)의 회전속도는 증가되고, 상기 증가된 팬의 회전수에 의해 증가된 송풍량은 상기 각 댐퍼(400a~400d)로 분산되어 각 룸에 적정량의 송풍량이 형성된다. And as the number of openings of the dampers 400a to 400d connected to the room increases, the rotation speed of the fan 24 by the motor 70 increases, and the air blowing amount increased by the increased number of rotations of the fan is Disperse | distributed to each damper 400a-400d, the appropriate amount of air flow is formed in each room.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터(70)는 본 실시예에서 3 단계로 구분되어 작동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0, the motor 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three steps in this embodiment is operated.

즉, 상기 메인 제어부(45)는 상기 모터(70)에 전류를 인가할 때 3가지 파형으로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모터(70)의 회전수를 3가지로 조절한다. That is, the main controller 45 adjusts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70 to three by applying a signal in three waveforms when applying current to the motor 70.

또한 상기 실외팬 및 상기 압축기는 상기 실외기의 작동여부에 의해 온/오프되고, 상기 온/오프에 따라 일정한 상태로만 작동된다. In addition, the outdoor fan and the compressor are turned on / off by the operation of the outdoor unit, and operate only in a constant state according to the on / off.

그래서 상기와 같이 상기 실내기의 송풍유닛(20) 및 실외팬, 압축기가 일정한 패턴으로 구분되어 작동되는 경우, 상기 메인유닛(45)은 몇가지의 조합에 의해서 상기 송풍유닛(20), 실외팬 및 압축기의 작동상태를 조정할수 있고, 이를 통해 제어방법을 보다 단순화시킬 수 있다. Thus, when the blower unit 20, the outdoor fan, and the compressor of the indoor unit are operat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as described above, the main unit 45 has the blower unit 20, the outdoor fan, and the compressor by some combina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operating status of the controller, which simplifies the control method.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룸의 사용조건에 따른 송풍유닛 및 실외기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제 2 예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서 실내기의 모터, 실외기의 모터 및 압축기의 구동상태가 도시된 그래프이다. 11 is a second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blower unit and an outdoor unit according to a use condition of a 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driving state of a motor of an indoor unit, a motor of an outdoor unit, and a compressor of FIG. 11. It is a graph.

본 발명에 따른 제 2 예시도는 실내 룸의 요구 풍속에 따라 상기 실내기 송풍유닛(20)의 모터(70) 속도를 선형적으로 제어하여 실내에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한다. The second exemplary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to the room more precisely by linearl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motor 70 of the indoor unit blowing unit 20 according to the required wind speed of the room.

그래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룸의 요구 송풍량이 강풍이고, 개방된 댐퍼(400a~400d)가 하나인 경우, 상기 송풍유닛(20)의 모터(70)는 최대 회전수의 25%로 작동되고, 개방된 댐퍼(400a~400d)가 두 개인 경우에는 50%로, 개방된 댐퍼(400a~400d)가 세 개인 경우에는 75%로, 모두 작동되는 경우에는 100%로 작동된다. Thus, as shown in FIG. 11, when the required blowing amount of the indoor room is a strong wind and there is one open damper 400a to 400d, the motor 70 of the blowing unit 20 is 25% of the maximum rotational speed. 50% when two dampers 400a-400d are opened, 75% when three dampers 400a-400d are open, and 100% when all are operated.

여기서 상기 송풍유닛(20)의 모터(70) 회전수는 Here,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70 of the blowing unit 20 is

"모터 회전수 = (댐퍼의 개방 개수/ 댐퍼의 총 개수)*모터의 최대 회전수""Motor speed = (open number of dampers / total number of dampers) * maximum speed of motor"

로 결정되고, 상기 룸에서 요구되는 송풍량에 대하여 각기 다른 비율로 적용된다. The air flow rate is determined at the air flow rate, and is applied at different ratios for the air flow required in the room.

즉, 강풍인 경우 모터의 최대 회전수를 100%로 그래도 적용하지만, 중풍이나 약풍인 경우, 상기 모터의 최대 회전수를 90% 또는 80%로 감소시켜 적용한다. That is, in the case of strong wind, the maximum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is still applied to 100%, but in the case of heavy wind or mild wind, the maximum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is reduced to 90% or 80%.

특히, 상기 메인 제어부(45)는 요구 송풍량이 강풍인 경우 작동되는 모터(70)의 회전수를 선형적으로 제어하여 토출되는 송풍량을 조절한다. In particular, the main control unit 45 adjusts the amount of blown air discharged by linearly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70 is operated when the required amount of blowing air is strong wind.

다음으로 실내 룸의 요구 송풍량이 중풍이고, 개방된 댐퍼(400a~400d)가 하나인 경우, 상기 송풍유닛(20)의 모터(70)는 최대 회전수의 22.5%로 작동되고, 개방된 댐퍼(400a~400d)가 두 개인 경우에는 45%로, 개방된 댐퍼(400a~400d)가 세 개인 경우에는 67.5%로, 모두 작동되는 경우에는 90%로 작동된다. Next, when the required blow amount of the indoor room is a middle wind, and the dampers 400a to 400d are one open, the motor 70 of the blower unit 20 is operated at 22.5% of the maximum rotational speed, and the open damper ( 45% for two 400a to 400d), 67.5% for three open dampers 400a to 400d, and 90% for all operated.

또한 실내 룸의 요구 송풍량이 약풍이고, 개방된 댐퍼(400a~400d)가 하나인 경우, 상기 송풍유닛(20)의 모터(70)는 최대 회전수의 20%로 작동되고, 개방된 댐퍼(400a~400d)가 두 개인 경우에는 32%로, 개방된 댐퍼(400a~400d)가 세 개인 경우에는 60%로, 모두 작동되는 경우에는 80%로 작동된다. In addition, when the required air blowing amount of the indoor room is a weak air and there is one open damper (400a ~ 400d), the motor 70 of the blowing unit 20 is operated at 20% of the maximum rotational speed, the open damper (400a) ~ 400d), 32% for two, 60% for three open dampers 400a ~ 400d, and 80% for all operated.

그래서 본 발명의 제 2 예시에서는 실내에서 요구되는 풍량 또는 풍속의 세기 및 개방된 댐퍼(400a~400d)의 개수에 따라 상기 각 룸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송풍유닛(20) 모터(70)의 회전수를 선형적으로 제어하고, 이를 통해 상기 각 룸에 토출되는 공기의 풍속을 보다 정밀하게 유지할 수 있다. Thus, in the secon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motor 70 of the blower unit 20 for discharging air to the respective rooms according to the amount of air or wind speed required in the room and the number of open dampers 400a to 400d. Linear control, through which it is possible to more precisely maintain the wind speed of the air discharged to each room.

특히,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에서 요구되는 풍량/풍속의 세기 및 개방된 댐퍼(400a~400d)의 개수가 변화하는 경우, 상기 실외팬의 작동상태 및 압축기의 작동상태 역시 조절된다.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12, when the air volume / wind speed required in the room and the number of open dampers 400a to 400d are changed, the operating state of the outdoor fan and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mpressor are also adjusted.

즉, 상기 각 룸에 설치된 댐퍼(400a~400d)의 개방 개수가 증가할수록, 상기 각 룸에서 요구되는 풍량/풍속의 세기가 증가할수록 상기 압축기의 부하 역시 단계별로 증가되고, 상기 실외팬의 부하 역시 단계별로 증가된다. That is, as the number of openings of the dampers 400a to 400d installed in each room increases, the load of the compressor also increases step by step as the amount of air volume / wind velocity required in each room increases, and the load of the outdoor fan also increases. Incremented step by step.

여기서 도 11 또는 도 12에 도시된 압축기와 개방된 댐퍼(400a~400d)의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He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ressor and the dampers 400a to 400d shown in FIG. 11 or 12 will be described.

먼저, 실내에서 요구되는 송풍량이 강풍 또는 중풍이고, 개방된 댐퍼(400a~400d)가 1개인 경우, 상기 실외기의 압축기는 1단계로서 총 압축량 대비 40%로 작동되고, 개방된 댐퍼(400a~400d)가 2개인 경우 2단계로서 60%로 작동되며, 3개 이상인 경우 3단계로서 100%로 작동된다. First, when the amount of air required in the room is a strong wind or a medium wind, and one open damper (400a ~ 400d) is one, the compressor of the outdoor unit is operated at 40% of the total compression amount in one step, the open damper (400a ~) If 400d) is two, it is operated at 60% as two stages, and if it is three or more, it is operated at 100% as three stages.

그리고 실내에서 요구되는 송풍량이 약풍이고, 개방된 댐퍼(400a~400d)가 1개 또는 2개인 경우, 상기 실외기의 압축기는 1단계로서 총 압축량 대비 40%로 작동되고, 개방된 댐퍼(400a~400d)가 3개 이상인 경우 2단계로서 60%로 작동된다. And if the amount of air required in the room is a weak air, and one or two open dampers (400a ~ 400d), the compressor of the outdoor unit is operated at 40% of the total compression amount as a first stage, the open damper (400a ~) If 400d) is 3 or more, it is operated at 60% as a second stage.

그래서 상기 압축기는 실내에서 요구되는 부하의 증감에 따라 냉매의 압축량이 조절되도록 작동된다. Therefore, the compressor is operated to adjust the amount of compression of the refrigerant according to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the load required in the room.

한편, 실외기에 설치된 실외송풍팬은 상기 압축기의 냉매 압축량이 증가됨에 따라 냉매의 열교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도 11 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킨다. On the other hand, the outdoor blowing fan installed in the outdoor unit increas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an, as shown in Figure 11 or 12, in order to increas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the refrigerant as the refrigerant compression amount of the compressor is increased.

또한, 상기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제 1, 2 예시도는 BLDC 모터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한 예일 뿐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예시도에 국한되지 않고 룸의 개수, 송풍량의 단계별(강/중/양 등) 개수 또는 댐퍼의 개수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exemplary views shown in FIGS. 9 and 11 are merely examples for explaining the use example of the BLDC motor,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emplary diagrams, but the number of rooms and the air flow rat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example of FIG. It can be variously appli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teel / medium / quantity) or the number of dampers.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장유닛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서브 제어부가 도시된 서브 컨트롤박스의 정면도이다.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n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ic equipmen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s a view of a sub control box showing a sub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nt view.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는 복수개의 송풍유닛이 설치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공기 토출 측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유닛에서 토출된 공기가 합류되는 덕트 커넥터(500)와,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유닛 등을 제어하는 전장유닛(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ure 13 to 15, the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air discharge side of the main body 10, a plurality of air blowing unit is installe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blowing unit is joine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uct connector 500 and the electric field unit 60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to control the blowing unit and the like.

여기서 상기 덕트 커넥터(500)는 상기 본체(10)의 토출구(14)(16)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송풍유닛(20)에서 토출된 공기를 하나로 모으고, 상기 모인 공기를 연결된 덕트(200)에 전달한다. Here, the duct connector 500 is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discharge ports 14 and 16 of the main body 10 to collec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air blowing units 20 into one, and the collected air is connected to the duct 200 To pass).

특히 덕트 커넥터(500)에는 상기 덕트(200)가 복수개 연결되고, 상기 각 덕트(200)는 실내의 룸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각 덕트(200)에는 각각 댐퍼(400a~400e)가 설치되어 상기 룸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차단/소통시킨다. In particular, a plurality of ducts 200 are connected to the duct connector 500, each of the ducts 200 is connected to a room in the room, and each of the ducts 200 is provided with dampers 400a to 400e. Shut off / communicate the air discharged to the room.

그리고 상기 전장유닛(600)은 제 1 실시예와 같이 메인 제어부(45)와 서브 제어부(46)로 구성되나,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서브 제어부(46)는 상기 메인 제어 부(45)와 일체로 구성되지 않고,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메인 제어부(45)와 연결된다. The electrical unit 600 includes a main controller 45 and a sub controller 46 as in the first embodiment.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sub controller 46 is integrated with the main controller 45. It is not configured to be configured separately and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45.

그래서 상기 전장유닛(600)은 상기 본체(10)에 고정되어 상기 설치되는 메인 제어부(45)와, 상기 메인 제어부(45)와 선택적으로 조립되어 상기 메인 제어부(45)와 연결되는 서브 제어부(46)로 구성된다. Thus, the electrical unit 600 is fixed to the main body 10, the main control unit 45 is installed and the sub control unit 46 is selectively assembled with the main control unit 45 and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45. It is composed of

특히 상기 전장유닛(600)은 상기 본체(10)에 조립되는 메인 컨트롤박스(602)와, 상기 메인 컨트롤박스(602)에 조립되는 서브 컨트롤박스(60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메인 컨트롤박스(602)에 상기 메인 제어부(45)가 설치며, 상기 서브 컨트롤박스(604)에 상기 서브 제어부(46)가 설치된다. In particular, the electrical unit 600 includes a main control box 602 assembled to the main body 10 and a sub control box 604 assembled to the main control box 602. The main controller 45 is installed at 602, and the sub controller 46 is installed at the sub control box 604.

그리고 상기 메인 제어부(45)와 상기 서브 제어부(46)는 커넥터(미도시)를 통해 연결되어 신호를 상호 전달한다. In addition, the main controller 45 and the sub controller 46 are connected through a connector (not shown) to transfer signals to each other.

여기서 상기 메인 제어부(45) 및 상기 서브 제어부(46)의 구조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구성 또한 도 7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Here, the structures of the main controller 45 and the sub controller 46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configuration is also the same as that shown in FIG.

그러나 제 2 실시예의 상기 서브 제어부(46)는 상기 메인 제어부(45)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작동되는 바, 제 2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상기 메인 제어부(45) 만으로도 구동된다. However, the sub controller 46 of the second embodiment is selectively connected to and operated by the main controller 45. The air conditioner of the second embodiment is driven by the main controller 45 alone.

여기서 상기 공기조화기에 상기 서브 제어부(46)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서브 제어부(46)가 수행하는 댐퍼(400a~400e)의 개폐 및 온도센서(404)에 의한 실내 온도의 감지 등을 수행하지 않는다. Here, when the sub controller 46 is not installed in the air conditioner, the air conditioner opens and closes the dampers 400a to 400e performed by the sub controller 46 and senses the room temperature by the temperature sensor 404. Do not perform such.

다만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서브 제어부(404)와 연결된 온도센서(404) 대 신 룸의 다른 온도센서(미도시)를 통해 온도를 수신하여 작동된다. However, the air conditioner operates by receiving a temperature through another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in the room instead of the temperature sensor 404 connected to the sub controller 404.

그래서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복수개의 덕트(200) 및 댐퍼(400a~400e)가 설치되었으나, 댐퍼(400a~400e)의 별도 제어가 필요치 않은 장소 또는 건물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us, although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as a plurality of ducts 200 and dampers 400a to 400e installed,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air conditioners in places or buildings that do not require separate control of the dampers 400a to 400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각 룸의 개방된 댐퍼의 개수에 따라 각 룸으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모터의 회전수를 선형제어 함으로서, 각 룸에서 요구되는 송풍량 및 각 룸에서 요구되는 희망온도를 보다 효율적으로 구현하는 효과가 있다.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by linearly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for blowing air to each room according to the number of dampers in each room, the amount of blowing required in each room and required in each room It is effective to realize the desired temperature more efficiently.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각 룸과 하나의 실내기가 연결되더라도, 각 룸에 설치된 댐퍼를 제어함으로서 각 룸의 온도 또는 송풍량을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기에 설치된 송풍유닛의 모터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서, 개방된 댐퍼에서 사용자가 요구한 송풍량이 토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control the temperature or the blowing amount of each room by controlling the dampers installed in each room, but also by controlling the motor rotation speed of the blowing unit installed in the indoor unit even if a plurality of rooms and one indoor unit are connected.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discharging the amount of air blown by the user from the open damper.

특히, 본 발명은 폐쇄된 댐퍼의 개수만큼 모터의 회전수를 감소시킴으로서, 사용자의 룸에 과도한 공기가 공급되는 것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송풍유닛의 과 작동을 방지하여 전력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motor by the number of closed dampers, not only to prevent excessive air supply to the user's room, but also to prevent over-operation of the blower unit, thereby improving power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은 실내기에 복수개의 송풍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각 송풍유닛에 연결된 덕트의 방향을 서로 달리하여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개의 룸이 설치된 건물에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be installed more easily in a building with a plurality of rooms because a plurality of blowing units are installed in the indoor unit and can be installed in different directions of the ducts connected to the respective blowing units.

또한 본 발명은 송풍유닛의 모터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와, 덕트의 댐퍼를 제어하는 서브 제어부로 전장유닛이 구성되되, 상기 서브 제어부가 상기 메인 제어부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메인 제어부만으로 공기조화기를 구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electric control unit is composed of a mai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tor of the blower unit and a sub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amper of the duct, the sub control unit is detachably installed with the main control unit, if necessar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drive the harmonic.

Claims (11)

실내의 복수개 룸에 각각 공기를 송풍시키도록 모터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송풍유닛과; 상기 송풍유닛이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와 상기 각 룸을 연결시키는 덕트와; 상기 덕트에 설치되고, 상기 덕트에서 상기 각 룸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댐퍼와; 상기 송풍유닛 또는 상기 댐퍼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장유닛을 포함하고, At least one blower unit having a motor installed to blow air into a plurality of rooms in the room; A main body provided with the blowing unit; A duct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respective rooms; A damper installed in the duct and adjusting the amount of air supplied from the duct to the respective rooms; It includes an electric charge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unit or the damper, 복수개의 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룸에서 소정의 송풍량이 입력되는 경우, When a predetermined air volume is input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rooms, 상기 복수개의 댐퍼에서 개방된 댐퍼의 개수 또는 개방된 댐퍼의 개폐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송풍유닛의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상기 송풍유닛의 송풍량을 제어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for controlling the blowing amount of the blower unit by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of the blower unit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dampers opened in the plurality of dampers or the opening and closing degree of the damper.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송풍량은 상기 전장유닛에 의해 선형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The airflow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inear control by the electric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송풍유닛의 송풍량은 상기 개방된 댐퍼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비례하여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And a blowing amount of the blowing unit increases proportionally as the number of open dampers increases.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송풍유닛의 송풍량은 특정한 복수개의 회전수로 구분되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The blowing amount of the blowing unit is controlled by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ecific operating speed.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송풍유닛의 모터 회전수는 The motor rotation speed of the blowing unit is 모터 회전수 = (댐퍼의 개방 개수/ 댐퍼의 총 개수)*모터의 최대 회전수Motor speed = (open number of dampers / total number of dampers) * maximum speed of motor 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ed by. 실내의 복수개 룸에 공기를 송풍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송풍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실내기와; 상기 실내기와 상기 각 룸을 연결시키는 덕트와; 상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덕트를 통해 송풍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댐퍼와; 상기 송풍유닛 또는 상기 댐퍼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장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An indoor unit including at least one blowing unit for blowing air to a plurality of rooms in the room; A duct connecting the indoor unit and the respective rooms; A damper installed in the duct to adjust an amount of air blown through the duc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lectrica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unit or the damper, 상기 전장유닛은 상기 각 룸의 사용개수 또는 온도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송풍유닛의 작동 개수 또는 작동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와, The electric unit is a mai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operation or the amount of operation of the blower unit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use or the temperature conditions of each room, 상기 각 룸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메인 제어부에 전달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And a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each room and transmitting the temperature to the main controller.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송풍유닛은 입력된 전류에 따라 회전수를 선형적으로 변화시키는 비엘디씨 모터(BLDC motor)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The air blow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LC motor (BLDC motor) for changing the rotational speed linearly according to the input current.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각 덕트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고, 상기 각 송풍유닛은 상기 각 덕트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Wherein each duct is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in a different direction, and each air blowing unit is connected to each of the ducts.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8, 상기 댐퍼의 개폐 여부 또는 상기 댐퍼의 개폐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서브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And a sub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at least one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damper or opening and closing degrees of the damper.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8, 상기 실내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송풍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본체 외측에는 상기 복수개의 송풍유닛에서 토출된 공기를 각 덕트로 분배시키는 덕트 커넥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The indoor un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main body forming an outer shape, at least one blowing unit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is a duct connector for distribut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blowing units to each duct An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실내의 복수개 룸에 각각 공기를 송풍시키도록 모터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송풍유닛과; 상기 송풍유닛과 상기 각 룸을 연결시키는 덕트와; 상기 덕트에 설치되고, 상기 덕트에서 상기 각 룸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댐퍼와; 상기 송풍유닛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와; 상기 실내열교환기에 냉매를 공급하는 압축기와; 상기 송풍유닛, 상기 댐퍼 또는 상기 압축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장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At least one blower unit having a motor installed to blow air into a plurality of rooms in the room; A duct connecting the blower unit and each of the rooms; A damper installed in the duct and adjusting the amount of air supplied from the duct to the respective rooms; An indoor heat exchanger configured to exchange heat between the air blown by the blower unit and the refrigerant; A compressor for supplying a refrigerant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It comprises a electrica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blowing unit, the damper or the compressor, 복수개의 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룸에서 소정의 송풍량이 입력되는 경우, When a predetermined air volume is input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rooms, 상기 복수개의 댐퍼에서 개방된 댐퍼의 개수 또는 개방된 댐퍼의 개폐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송풍유닛의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상기 송풍유닛의 송풍량을 제어하는 것과 아울러,In addition to controlling the blowing amount of the blower unit by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of the blower unit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dampers opened in the plurality of dampers or the opening and closing degree of the damper, 상기 복수개의 댐퍼에서 개방된 댐퍼의 개수 또는 개방된 댐퍼의 개폐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압축기의 냉매 압축용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And controlling the refrigerant compression capacity of the compressor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dampers opened in the plurality of dampers or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opened dampers.
KR1020060039662A 2006-05-02 2006-05-02 Air conditioner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KR1007971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662A KR100797163B1 (en) 2006-05-02 2006-05-02 Air conditioner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662A KR100797163B1 (en) 2006-05-02 2006-05-02 Air conditioner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325A KR20070107325A (en) 2007-11-07
KR100797163B1 true KR100797163B1 (en) 2008-01-23

Family

ID=39062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662A KR100797163B1 (en) 2006-05-02 2006-05-02 Air conditioner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716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11103A4 (en) * 2020-02-27 2024-03-27 Tadiran Consumer And Tech Products Ltd Multi-speed air-flow air condition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999B1 (en) * 2008-03-03 2011-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Duct type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KR101274512B1 (en) * 2011-09-09 2013-06-13 박윤재 Bldc motor type air conditioner control unit
KR101661340B1 (en) * 2015-03-10 2016-09-29 조성로 Building cooling and heating system using underground wind
JP2019120434A (en) * 2017-12-28 2019-07-22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6673A (en) * 1985-02-20 1986-09-13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Air conditioner
JPH02259350A (en) * 1989-03-30 1990-10-22 Toshiba Corp Duct type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H05248695A (en) * 1992-03-05 1993-09-24 Toshiba Ave Corp Air conditioner
JPH05264092A (en) * 1992-03-19 1993-10-12 Daikin Ind Ltd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20030073191A (en) * 2002-03-08 2003-09-1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The ceiling mouting type air-conditioner
KR20050078879A (en) * 2004-02-03 2005-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Process of controlling a motor for duct type air-condition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6673A (en) * 1985-02-20 1986-09-13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Air conditioner
JPH02259350A (en) * 1989-03-30 1990-10-22 Toshiba Corp Duct type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H05248695A (en) * 1992-03-05 1993-09-24 Toshiba Ave Corp Air conditioner
JPH05264092A (en) * 1992-03-19 1993-10-12 Daikin Ind Ltd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20030073191A (en) * 2002-03-08 2003-09-1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The ceiling mouting type air-conditioner
KR20050078879A (en) * 2004-02-03 2005-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Process of controlling a motor for duct type air-conditio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11103A4 (en) * 2020-02-27 2024-03-27 Tadiran Consumer And Tech Products Ltd Multi-speed air-flow air condition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325A (en) 200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7163B1 (en) Air conditioner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KR102500804B1 (en) louver for airconditioner
CN101173775B (en) Pipe type indoor machine of air conditioner and its control method
AU2006250250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KR20050014293A (en) An indoor unit of spilt air-conditioner
CN115218278B (en) Air guide assembly and air conditioner
KR100654999B1 (en) Air conditioner
KR100654723B1 (en) Device for control wind direction in ceiling cssette airconditioner
JP2004044866A (en) Bathroom heater/drier
JP2014105927A (en) Air-supply and air-exhaust type ventilator
KR20030034642A (en) a regulator vane of air-conditioner
JP5987164B2 (en) Supply / exhaust ventilator
JP2016099034A (en) Air conditioning device, adjustment method of air condition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ir conditioning facility
KR100825617B1 (en) Floor mounted air conditioner
KR20100032759A (en) Control method of multi airflow type air conditioner
JP2014066398A (en) Supply/exhaust type ventilator
KR102168581B1 (en) Indoor unit of celling type air conditioner
KR20060061858A (en) Floor standing air conditioner
KR100291738B1 (en) Apparatus for changing the amount of the wind from duct in air conditioner
CN1428570A (en) Air volume control device for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and its method
CN115614835A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CN113685899A (en) Shared air conditioner device, shared air conditioner system and control method
KR20050021846A (en) A ventilation apparatus air conditioner
KR20060098268A (en) Indoor fan control apparatus of an airconditioner
FI13137Y1 (en) Ventilation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