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5154B1 - 수동식 회전칫솔 - Google Patents

수동식 회전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5154B1
KR100795154B1 KR1020070103777A KR20070103777A KR100795154B1 KR 100795154 B1 KR100795154 B1 KR 100795154B1 KR 1020070103777 A KR1020070103777 A KR 1020070103777A KR 20070103777 A KR20070103777 A KR 20070103777A KR 100795154 B1 KR100795154 B1 KR 100795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bristle block
head
pin
bris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3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춘보
홍영순
Original Assignee
류춘보
홍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춘보, 홍영순 filed Critical 류춘보
Priority to KR1020070103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51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5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5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6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movably during use, i.e. the normal brushing action caus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8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hand-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4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terchangeably removable bristle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칫솔질을 할 때 칫솔모 블록이 수동으로 회전되는 수동식 회전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칫솔모가 형성된 후면에 둘 이상의 축이 형성된 칫솔모 블록, 칫솔대 헤드에 상기 축이 관통하는 둘 이상의 홀이 형성된 칫솔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홀은 상기 칫솔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회전칫솔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칫솔질을 할 때 좌우 움직임만 하여도 상하 운동이 실시되므로 평소보다 용이하게 양치질을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칫솔모 블록, 칫솔대, 상하운동

Description

수동식 회전칫솔{Toothbrush of a hand operation type}
본 발명은 칫솔질을 할 때 칫솔모 블록이 수동으로 회전되는 수동식 회전칫솔에 관한 것이다.
칫솔질을 하는 목적은 우리가 음식물을 먹고 난 뒤 치아와 치아 사이 또는 치아 면 전체에 끼어 있는 이물질,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하기 위해서는 어금니의 씹는 면 같은 부분에는 일반적으로 좌우로 닦아도 되지만 치아와 치아 사이는 위 아래로 칫솔질을 해야만 그 사이에 끼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를 제대로 제거할 수가 있다. 만일 치아와 치아 사이를 좌우로 닦게 되면 칫솔질로 인해 치아의 뿌리와 치관 경계 부위가 쉽게 마모가 되어 V자 모양으로 깊게 패이게 되고 치아가 아주 시린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패인 부분에 관리가 자칫 소홀하게 되면 음식물이 끼어 충치까지 발생하기 때문에,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칫솔질은 부드러운 솔로 항상 위아래로 닦아야만 한다.
그러나, 어린아이들과 같은 경우에는 칫솔질을 위아래로 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어 좌우로 닦는 경우가 많이 있기 때문에, 종래의 칫솔 중에서도 옆으로 칫솔질 을 하여도 칫솔모 블록이 상하운동을 하여 칫솔질이 위아래로 되도록 하는 칫솔이 다수 출원되어왔다. 또한, 전기적인 힘을 이용하여 상기 칫솔모 블록이 자동으로 상하로 움직이도록 하는 전동식 칫솔의 개발도 많이 되어 있다.
수동 또는 자동으로 칫솔모 블록이 상하운동을 하도록 하는 칫솔의 구조는 칫솔대의 구조를 변경하여 상기 칫솔모 블록이 상하로 움직이도록 구성되어지거나 전기적인 힘을 이용하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고, 부피 및 중량이 상당하여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전동식 칫솔은 고가의 상품으로 일반인들이 널리 대중적으로 보급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칫솔모의 회전력 조절이 어려워 빈번히 잇몸이나 치아에 상해를 발생시키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좌우로 칫솔질을 하여도 상기 칫솔모 블록이 상하로 회전 운동하는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의 칫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칫솔모가 형성된 후면에 둘 이상의 축이 형성된 칫솔모 블록, 칫솔대 헤드에 상기 축이 관통하는 둘 이상의 홀이 형성된 칫솔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홀은 상기 칫솔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회전칫솔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홀은 상기 칫솔대의 길이 방향으로 두 개가 형성되며, 상기 각 홀은 상기 칫솔대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수동식 회전칫솔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칫솔모 블록이 상기 칫솔대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칫솔모 블록의 후면에 결합되는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핀은 상기 둘 이상의 축에 결합되기 위한 둘 이상의 숫핀이 하나로 연결되며, 상기 핀이 결합되는 면의 상기 칫솔대 헤드는 상기 칫솔모 블록에 결합된 상기 핀이 유동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핀의 두께는 상기 홈의 두께 이하로 형성되며, 상기 축은 끝단이 상기 홈의 상면과 상기 칫솔대 헤드의 상면 사이까지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회전칫솔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칫솔질을 할 때 좌우 움직임만으로 칫솔모 블록의 상하 운동이 실시되므로 평소보다 용이하게 양치질을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칫솔모 블록이 칫솔대에서 분리되기 때문에 상기 칫솔모 블록이 마모가 되는 경우에는 간단하게 교체하여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수동식 회전칫솔의 조립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칫솔모 블록(130)은 일면에는 다수의 칫솔모가 부착되어 있고, 타면에는 두 개의 축(132)이 형성되며, 칫솔대 헤드(120)에는 상기 칫솔모 블록(130)의 축(132)이 관통할 수 있는 홀(124)이 제1 홀(126)과 제2 홀(128)로 형성되는데, 상기 홀(124)의 형상은 상기 축(132)의 단면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축(132)이 움직일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홀(124)의 형상은 상기 칫솔대(1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칫솔대(110)의 길이 방향에서 사선으로 틀어진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 홀(126)은 상기 칫솔대 헤드(120)의 끝단 쪽에 위치하여 상기 칫솔대(110)의 길이 방향에서 왼쪽 방향의 사선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 홀(128)은 상기 칫솔대(110) 손잡이 쪽에 위치하여 상기 칫솔대(110)의 길이 방향에서 오른쪽 방향의 사선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축(132)은 상기 홀(124)에서 상기 홀(124)의 길이만큼 움직일 수 있고, 상기 홀(124)의 형상을 따라서 상기 축(132)이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칫솔모 블록(130)이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칫솔모 블록(130)을 상기 칫솔대 헤드(120)에서 움직이더라도 상기 칫솔모 블록(130)이 상기 칫솔대 헤드(12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칫솔모 블록(130)이 상기 칫솔대 헤드(120)에 결합되는 방향의 반대쪽에서 상 기 홀(124)을 관통한 상기 축(132)에 핀(140)을 결합한다. 상기 축(132)은 상기 칫솔모 블록(130)의 타면에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숫핀(142)이 결합될 수 있도록 암핀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핀(140)은 상기 칫솔모 블록(130)의 타면에 형성된 두 개의 축(132)에 동시에 결합되기 위해서 두 개의 숫핀(142)이 형성된다. 두 개의 숫핀(142)이 형성된 핀(140)이 상기 칫솔대 헤드(12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축(132)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칫솔모 블록(130)이 상기 칫솔대 헤드(120)에서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핀(140)이 결합되는 상기 칫솔대 헤드(120)의 면에는 상기 칫솔모 블록(130)과 결합된 상기 핀(140)이 상기 칫솔대 헤드(120)에서 돌출되지 않으면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홈(122)이 형성된다. 상기 칫솔대 헤드(120)에 형성된 홈(122)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관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핀(140)이 상기 홈(122) 내에서 움직이기 때문에 상기 핀(140)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칫솔질을 하는 경우에 상기 핀(140)이 사용자의 입안에서 걸리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도 2의 (a)는 칫솔질을 하는 과정에서 본 발명의 칫솔대가 칫솔대 헤드 쪽으로 이동할 때 칫솔모 블록의 위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의 (b)는 칫솔질을 하는 과정에서 본 발명의 칫솔대가 손잡이 쪽으로 이동할 때 칫솔모 블록의 위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칫솔질을 하는 과정에서 칫솔모 블록(130)은 사용자의 치아와 닿아 있으므로 마찰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칫솔대(110)가 칫솔대 헤드(12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칫솔모 블록(130)과 치아의 마찰로 인하여 상기 칫솔대(110)만 이동하므로 상기 칫솔모 블록(130)과 칫솔대 헤드(120)가 동일한 위치에 있게 된다. 그리고 칫솔대(110)가 손잡이(미도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칫솔모 블록(130)과 치아의 마찰로 인하여 상기 칫솔대(110)의 이동 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마찰력을 받으므로 상기 칫솔모 블록(130)이 상기 칫솔대 헤드(120)와 멀어져 상기 칫솔모 블록(130)은 상기 칫솔대 헤드(120)와 사선으로 벌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움직임이 반복되면 상기 칫솔모 블록(130)은 상기 칫솔대 헤드(120)와 일치하는 방향이 되었다가 다시 사선으로 벌어지는 움직임이 계속적으로 반복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상기 칫솔대(110)를 전ㆍ후방으로만 움직이더라도 상기 칫솔모 블록(130)이 자동으로 회동 운동을 반복하게 되어 실제 칫솔질을 하는 과정에서 치아가 형성된 방향으로 칫솔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칫솔모 블록(130)이 움직이기 위해서는 상기 칫솔대 헤드(120)에 형성된 홀(124)의 형상과 위치가 중요하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칫솔모 블록(130)이 상기 칫솔대 헤드(120)와 일치되어 있는 경우에 축(132)의 위치는 사선으로 길게 형성된 제1 홀(126)과 제2 홀(128)의 일측인 상기 칫솔대 헤드(120)의 중앙에 각각 위치하고, 도 2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칫솔모 블록(130)이 상기 칫솔대 헤드(120)에서 사선으로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축(132)의 위치는 상기 칫솔대 헤드(120)의 일측면의 끝단 쪽에 형성된 상기 제1 홀(126)의 타측과 상기 제1 홀(126)의 타측과는 반대쪽 측면 쪽에 형성된 제2 홀(128)의 타측 에 위치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칫솔모 블록이 칫솔대 헤드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칫솔모 블록(130)이 칫솔대 헤드(120)에 결합되고, 상기 칫솔모 블록(130)이 상기 칫솔대 헤드(120)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칫솔모 블록(130)의 타측에 형성된 축(132)에 핀(140)이 결합된다. 상기 핀(140)의 두께는 상기 칫솔대 헤드(120)에 형성된 홈(122)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칫솔대 헤드(120)에서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축(132)과 핀(140)이 결합한 다음에도 상기 칫솔모 블록(130)이 부드럽고 자유로운 움직임을 갖기 위해서 상기 축(132)의 길이는 상기 홈(122)이 형성된 상기 칫솔대 헤드(120)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칫솔모 블록(130)을 상기 칫솔대 헤드(120)에 결합하고 상기 핀(140)을 체결하기 전에 상기 홀(124)을 통과한 축(132)이 상기 홈(122)보다 돌출된다. 이때, 상기 핀(140)이 상기 축(132)에 결합되면 상기 칫솔모 블록(130)이 움직일 때, 상기 핀(140)이 상기 칫솔대 헤드(120)에 맞닿지 않기 때문에 상기 핀(140)과 칫솔대 헤드(120)와의 마찰력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상기 칫솔모 블록(130)의 움직임이 부드러워 진다.
그러나 상기 축(132)이 상기 홈(122)이 형성된 상기 칫솔대 헤드(120)보다 너무 많이 돌출되면 상기 칫솔모 블록(130)이 상기 칫솔대 헤드(120)에서 덜렁거리면서 상기 칫솔모 블록(130)의 움직임을 정상적으로 조절하지 못하게 된다. 즉, 상기 축(132)이 상기 칫솔대 헤드(120)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면 상기 핀(140)이 상기 칫솔대 헤드(12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고, 그로 인해서 상기 핀(140)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입안에 상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축(132)의 끝단은 상기 칫솔대 헤드(120)에 형성된 상기 홈(122)의 상면위로 돌출되지만 상기 핀(140)이 상기 축(132)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핀(140)이 상기 칫솔대 헤드(120)의 상면 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야한다. 이때, 상기 축(132)의 끝단은 상기 홈(122)의 상면보다 0.1mm 정도 돌출되는 경우가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축(132)에 결합한 핀(140)이 쉽게 빠지게 되면 칫솔질을 하는 과정에서 상기 칫솔모 블록(130)과 칫솔대 헤드(120)가 분리되어 떨어져나갈 수 있기 때문에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해주어야 상기 핀(140)과 축(132)이 분리되도록 상기 핀(140)의 숫핀(142)의 두께와 상기 축(132)의 암핀의 두께가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핀(140)은 탄력이 있는 아세탈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칫솔모 블록(130)의 교환을 위해서 상기 칫솔모 블록(130)을 상기 칫솔대 헤드(120)에서 분리하는 과정에 상기 핀(140)이 부러지거나 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수동식 회전칫솔의 조립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칫솔질을 하는 과정에서 본 발명의 칫솔대가 칫솔대 헤드 쪽으로 이동할 때 칫솔모 블록의 위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의 (b)는 칫솔질을 하는 과정에서 본 발명의 칫솔대가 손잡이 쪽으로 이동할 때 칫솔모 블록의 위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칫솔모 블록이 칫솔대 헤드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칫솔대 120: 칫솔대 헤드
122: 홈 124: 홀
126: 제1 홀 128: 제2 홀
130: 칫솔모 블록 132: 축
140: 핀 142: 숫핀

Claims (7)

  1. 칫솔모가 형성된 후면에 둘 이상의 축(132)이 형성된 칫솔모 블록(130);
    칫솔대 헤드(120)에 상기 축(132)이 관통하는 둘 이상의 홀(124)이 형성된 칫솔대(11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홀(124)은 상기 칫솔대(110)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회전칫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124)은 상기 칫솔대(110)의 길이 방향으로 두 개가 형성되며, 상기 각 홀(124)은 상기 칫솔대(11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회전칫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 블록(130)이 상기 칫솔대(11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칫솔모 블록(130)의 후면에 결합되는 핀(1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회전칫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핀(140)은 상기 둘 이상의 축(132)에 결합되기 위한 둘 이상의 숫 핀(142)이 하나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회전칫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핀(140)이 결합되는 면의 상기 칫솔대 헤드(120)는 상기 칫솔모 블록(130)에 결합된 상기 핀(140)이 유동되는 홈(1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회전칫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핀(140)의 두께는 상기 홈(122)의 두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회전칫솔.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축(132)은 끝단이 상기 홈(122)의 상면과 상기 칫솔대 헤드(120)의 상면 사이까지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회전칫솔.
KR1020070103777A 2007-10-15 2007-10-15 수동식 회전칫솔 KR100795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777A KR100795154B1 (ko) 2007-10-15 2007-10-15 수동식 회전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777A KR100795154B1 (ko) 2007-10-15 2007-10-15 수동식 회전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5154B1 true KR100795154B1 (ko) 2008-01-16

Family

ID=39218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3777A KR100795154B1 (ko) 2007-10-15 2007-10-15 수동식 회전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51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873A (ko) * 2015-04-09 2016-10-19 주식회사 네오비 칫솔
WO2023033227A1 (ko) * 2021-08-29 2023-03-09 안택호 칫솔 헤드의 방향이 변하는 다면 세정칫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6255A (ko) * 2004-11-17 2007-08-27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구강 건강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6255A (ko) * 2004-11-17 2007-08-27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구강 건강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873A (ko) * 2015-04-09 2016-10-19 주식회사 네오비 칫솔
KR101697244B1 (ko) 2015-04-09 2017-01-17 주식회사 네오비 칫솔
WO2023033227A1 (ko) * 2021-08-29 2023-03-09 안택호 칫솔 헤드의 방향이 변하는 다면 세정칫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09902B2 (ja) オーラルケア器具用のヘッド
CA1095205A (en) Toothbrush
US6105191A (en) Toothbrush with inter-gingiva-sulcus scraping bristles
KR200473116Y1 (ko) 원형모다발과 다각형모다발의 식모구조를 갖는 칫솔
CA2373650A1 (en) Electric toothbrush
WO1998046103A1 (en) Toothbrush with both stationary and moving tufts
CA2967648C (en) Wave-shape filament arrangement for an oral care implement
KR101321571B1 (ko) 칫솔
KR101184337B1 (ko) 칫솔
KR100795154B1 (ko) 수동식 회전칫솔
KR200439379Y1 (ko) 회전칫솔
KR200453026Y1 (ko) 측면양치부 및 전방돌출부가 구비된 칫솔
US20140196228A1 (en) Toothbrush
TWM480302U (zh) 一體成型無縫隙刷具
KR200482971Y1 (ko) 전방위 칫솔모가 형성된 칫솔
CN201349698Y (zh) 一种保健牙刷
KR200469882Y1 (ko) 칫솔
KR200287495Y1 (ko) 상하좌우 치솔
KR200171060Y1 (ko) 칫솔 브러쉬 요동장치
KR200473943Y1 (ko) 원형패턴 사다리꼴모다발과 원호패턴 사다리꼴모다발의 식모구조를 갖는 칫솔
KR102032614B1 (ko) 칫솔머리부가 회전 가능한 기능성 칫솔
KR200412998Y1 (ko) 치간 겸용칫솔
US20150150365A1 (en) Integral brush with no gaps between cleaning assembly and handle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CN201870026U (zh) 曲面牙刷
KR200462448Y1 (ko) 입안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