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4765B1 - 폐전주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폐전주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4765B1
KR100794765B1 KR1020070022263A KR20070022263A KR100794765B1 KR 100794765 B1 KR100794765 B1 KR 100794765B1 KR 1020070022263 A KR1020070022263 A KR 1020070022263A KR 20070022263 A KR20070022263 A KR 20070022263A KR 100794765 B1 KR100794765 B1 KR 100794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ed
pole
unit
submarine cable
closed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2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익희
안승환
Original Assignee
문익희
(주)한국해양기술
안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익희, (주)한국해양기술, 안승환 filed Critical 문익희
Priority to KR1020070022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47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4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4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H02G9/025Coverings therefor, e.g. ti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3Devices for the protection of pipes under wa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1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in or under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8Construction or demolition [C&D]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 폐전주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보호장치는, 다수의 단위 폐전주가 수평방향으로 다열 배치되는 폐전주 어셈블리와, 상기 단위 폐전주 및 폐전주 어셈블리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폐전주 어셈블리는 적어도 2단으로 적층되며, 적층 시 하단 폐전주 어셈블리의 단위 폐전주 사이에 상단 폐전주 어셈블리의 단위 폐전주가 위치된다. 이때, 상기 연결수단은, 단위 폐전주마다 장착되고 적어도 한 쌍의 연결공이 외주면(外周面)에 마련되는 복수의 고정구와, 상기 연결공을 통해 인접한 한 쌍의 단위 폐전주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고리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폐기되는 전주를 재활용하여 해저케이블 보호장치를 제작함으로써 친환경적임과 동시에 경제적인 장점을 갖고 있다. 또한, 상단 폐전주 어셈블리의 단위 폐전주 사이에 하단 폐전주 어셈블리의 단위 폐전주를 위치시킴으로서 선박의 닻 또는 어구에 의해 케이블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폐전주, 해저케이블, 연결수단, 전도, 전복

Description

폐전주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보호장치{Apparatus Of Protecting Submarine Cable Used Waste Electric Pole}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폐전주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보호 인공어초의 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 폐전주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보호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폐전주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보호장치의 1단만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폐전주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보호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폐전주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보호장치의 1단만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상단 폐전주 어셈블리 110, 210 : 단위 폐전주
300 : 연결수단 310 : 고정구
320 : 연결고리
본 발명은 폐전주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폐전주를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친환경적임과 동시에 경제적이며, 선박의 닻 또는 어구에 의해 파손되거나 전도 및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해저케이블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주(電柱)는 여러 가닥의 통신선과 전기선을 늘여 매기 위한 지지물로 나무, 콘크리트 또는 철근콘크리트 등으로 제작되어지되, 이 중에서 철근콘크리트 전주의 경우 강하고 단단하며 내구성이 우수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주는 장기간 사용에 의한 노후화와, 국토 및 지역개발에 의한 매설화로 인하여 폐기되거나 트로프로 교체 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폐기되는 전주는 최초 설치 시 지중에 묻혔던 하단부와 통신선 및 전기선이 매어졌던 상단부를 제외하고는 매우 양호한 상태의 것으로 전주의 폐기로 인한 상당한 경제적 손실이 동반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제적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연안에 설치되는 인공어초로 다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폐전주(廢電柱)를 이용한 인공어초는 전주를 폐기처분하는데 사용되는 비용 및 인공어초를 새로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는 있으나, 인공어초의 활용범위를 벗어날 수 없는 한계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 및 보완하고자 폐전주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보호 인공어초가 선출원(등록특허 제10-645910호)된 바 있다.
도 1에 예시된 (a) ~ (g)를 참조하면, 폐전주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보호 인공어초는, 해저의 바닥에 설치되는 해저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하여 종간(11), 횡간(12) 및 사간(13)이 결합되어 하부중앙에 케이블보호공간부(14)를 형성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상부, 좌측 및 우측에 폐전주를 장착하기 위하여 종간(11)이나 사간(13)에 걸림턱(15)이 형성된 안착부(16)와, 상기 안착부(16)에 안착되는 폐전주(20)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10)은 종간(11), 횡간(12), 사간(13)을 서로 결합하여 피라미드(a), 사다리꼴(b), 삼각형(c), 돔형(d) 및 성게형(e)으로 형성되거나 하부중앙에 형성되는 케이블보호공간부(14)를 중심으로 폐전주(20)를 안착할 수 있는 안착부(16)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f)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종래의 폐전주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보호 인공어초는 종간(11), 횡간(12), 사간(13)들 사이에 공극이 많아 선박의 닻이나 어구(특히, 양식용 말목)가 쉽게 걸릴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인공어초가 전도 및 전복될 우려가 있다. 또한, 공극을 통해 들어오는 선박의 닻이나 어구가 케이블과 직접 접촉할 경우 케이블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폐전주를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친환경적임과 동시에 경제적이며, 선박의 닻 또는 어구에 의해 파손되거나 전도 및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해저케이블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폐전주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보호장치는, 다수의 단위 폐전주가 수평방향으로 다열 배치되는 폐전주 어셈블리와, 상기 단위 폐전주 및 폐전주 어셈블리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폐전주 어셈블리는 적어도 2단으로 적층되며, 적층 시 하단 폐전주 어셈블리의 단위 폐전주 사이에 상단 폐전주 어셈블리의 단위 폐전주가 위치된다.
이때, 상기 연결수단은, 단위 폐전주마다 장착되고 적어도 한 쌍의 연결공이 외주면(外周面)에 마련되는 복수의 고정구와, 상기 연결공을 통해 인접한 한 쌍의 단위 폐전주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고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폐전주 어셈블리의 단위 폐전주는 양단부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교번되게 배치되거나 양단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어지되 양단부의 방향이 상하로 교번되게 적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폐전주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보호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폐전주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보호장치의 1단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폐전주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보호장치의 일 실시예는, 다수의 단위 폐전주(110, 210)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2단으로 적층되는 폐전주 어셈블리(100, 200)와, 상기 단위 폐전주(110, 210) 및 폐전주 어 셈블리(100, 200)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폐전주 어셈블리(100)는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양단부에 대경부(110a)와 소경부(110b)가 각각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단위 폐전주(11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단위 폐전주(110)는 수평방향으로 다열 배치되어지되, 그 양단부(110a, 110b)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교번되도록 한다. 즉, 상기 단위 폐전주(110)는 대경부(110a)와 소경부(110b)가 한 번씩 번갈아가며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폐전주 어셈블리(100, 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2단(100, 200)으로 적층되어 사용된다. 이때, 상기 폐전주 어셈블리(100, 200)가 구조적으로 안정될 수 있도록 하단에 배치되는 폐전주 어셈블리(200)는 상단에 배치된 폐전주 어셈블리(100)보다 적어도 하나 이상 많은 단위 폐전주(210)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단 폐전주 어셈블리(100)는 단위 폐전주(110) 6개하고, 하단 폐전주 어셈블리(200)는 단위 폐전주(210)로 7개로 하였다.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단위 폐전주(110, 210)의 수를 증감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폐전주 어셈블리(100, 200)를 구성하는 단위 폐전주(110, 210)는 지상에 설치되었다가 여러 이유로 교체 및 제거된 폐전주로, 통신선 및 전기선이 매어졌던 상단부와 지중에 묻혔던 하단부를 제외한 중단부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수단(300)은 인접하는 단위 폐전주(110, 210)를 서로 연결하기 위 한 것으로, 단위 폐전주(110, 210)마다 장착되고 연결공(314)이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구(310)와, 상기 연결공(312)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연결고리(320)를 포함한다.
이 중에서 상기 고정구(310)는 단위 폐전주(110, 210)의 외주면(外周面)에 장착되는 환형의 몸체(312)와, 상기 몸체(312)의 외주면(外周面)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4개의 연결공(3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312)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단위 폐전주(110, 210)에 장착 가능하도록 내경을 변경할 수 있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둘레에 볼트가 마련되어 볼트 조임 시 내경을 확장 및 축소시킬 수 있는 환형의 클램프와 같은 구조를 적용시킬 수 있으며, 그 외에 다양한 구조가 적용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연결고리(320)는 상기 연결공(312)을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인접하는 단위 폐전주(110) 또는 폐전주 어셈블리(100, 200)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그 형상을 살펴보면, 상기 연결고리는(320) 일측이 절개된 환형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절개된 양단(322, 324)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접합 및 이격 가능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연결수단(300)은 로프, 체인 및 와이어 등을 포함하며, 이들을 이용하여 단위 폐전주(110, 210) 및 폐전주 어셈블리(100, 20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되, 그 방법은 일반적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폐전주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보호장치의 제작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다수의 단위 폐전주(110, 210)마다 그 외주면에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5개)의 고정구(310)를 장착하되, 단위 폐전주(110, 210)의 길이방향으로 등간격 이격되게 장착한다.
상기 고정구(310)의 장착이 완료되면, 상기 단위 폐전주(110, 210)를 수평방향으로 다열 배치하고 연결고리(320)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한다. 이때, 상단 폐전주 어셈블리(100)의 경우 6개의 단위 폐전주(110)를 연결하고, 하단 폐전주 어셈블리(200)의 경우 7개의 단위 폐전주(210)를 연결한다.
이와 같이 상단 폐전주 어셈블리(100)와 하단 폐전주 어셈블리(200)가 제작되면, 하단 폐전주 어셈블리(200)의 상부에 상단 폐전주 어셈블리(100)를 적층시키고, 상기 연결고리(320)를 이용하여 상단 폐전주 어셈블리(100)와 하단 폐전주 어셈블리(200)를 연결한다. 이때, 구조적으로 안정될 수 있도록 하단 폐전주 어셈블리(200)의 단위 폐전주(210) 사이마다 상단 폐전주 어셈블리(100)의 단위 폐전주(110)가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단 폐전주 어셈블리(100)의 단위 폐전주(110) 사이에 하단 폐전주 어셈블리(200)의 단위 폐전주(210)가 위치되는 바, 단위 폐전주(110, 210) 사이에 공극이 발생치 아니하므로 그 하부에 위치된 케이블이 선박의 닻 또는 어구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하게 위치되는 단위 폐전주 사이의 이격거리가 짧아 선박의 닻 또는 어구에 걸려 전도되거나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폐전주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보호장치를 2단으로 구성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폐전주 어셈블리의 수 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하단에 위치된 폐전주 어셈블리는 바로 상단에 위치된 폐전주 어셈블리의 단위 폐전주 개수보다 적어도 하나 이상 많아야함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 폐전주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보호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폐전주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보호장치의 1단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폐전주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보호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다수의 단위 폐전주(410, 510)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2단으로 적층되는 폐전주 어셈블리(400, 500)와, 상기 단위 폐전주(410, 510) 및 폐전주 어셈블리(400, 500)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600)은, 단위 폐전주(410, 510)마다 장착되고 연결공(614)이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구(610)와, 상기 연결공(612)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연결고리(62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폐전주 어셈블리(400, 500)를 구성하는 단위 폐전주(410, 510))의 배치 구조가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이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실시예와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기술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폐전주 어셈블리(400)는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양단부에 대경부(410a)와 소경부(410b)가 각각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단위 폐전주(41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단위 폐전주(410)는 수평방향으로 다열 배치되어지되, 그 양단부(410a, 410b)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 기 다수의 단위 폐전주(410)는 대경부(410a) 측에는 대경부(410a)만, 그리고 소경부(410b) 측에는 소경부(410b)만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폐전주 어셈블리(400, 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2단(400, 500)으로 적층되어 사용된다. 그리고 적층 시 폐전주 어셈블리(400, 500)의 양단부가 상하로 교번되도록 적층한다. 이와 같이 폐전주 어셈블리(400, 500)의 양단부, 즉 단위 폐전주(410, 510)의 대경부(410a, 510a)와 소경부(410b, 510b) 방향을 교번하게 적층할 경우 구조적으로 더욱 안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폐전주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보호장치의 제작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다수의 단위 폐전주(410, 510)마다 그 외주면에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5개)의 고정구(610)를 장착하되, 단위 폐전주(410, 510)의 길이방향으로 등간격 이격되게 장착한다.
상기 고정구(610)의 장착이 완료되면, 상기 단위 폐전주(410, 510)를 수평방향으로 다열 배치하고 연결고리(620)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한다. 이때, 상단 폐전주 어셈블리(400)의 경우 6개의 단위 폐전주(410)를 연결하고, 하단 폐전주 어셈블리(500)의 경우 7개의 단위 폐전주(510)를 연결한다.
이와 같이 상단 폐전주 어셈블리(400)와 하단 폐전주 어셈블리(500)가 제작되면, 하단 폐전주 어셈블리(500)의 상부에 상단 폐전주 어셈블리(400)를 적층시키고, 상기 연결고리(620)를 이용하여 상단 폐전주 어셈블리(400)와 하단 폐전주 어셈블리(500)를 연결한다. 이때, 구조적으로 안정될 수 있도록 하단 폐전주 어셈블 리(500)의 단위 폐전주(510) 사이마다 상단 폐전주 어셈블리(400)의 단위 폐전주(410)가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전주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보호장치의 구성 및 제작과정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폐전주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보호장치는, 폐기되는 전주를 재활용하여 해저케이블 보호장치를 제작함으로써 친환경적임과 동시에 경제적인 장점을 갖고 있다. 또한, 상단 폐전주 어셈블리의 단위 폐전주 사이에 하단 폐전주 어셈블리의 단위 폐전주를 위치시킴으로서 선박의 닻 또는 어구에 의해 케이블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다수의 단위 폐전주가 수평방향으로 다열 배치되는 폐전주 어셈블리와;
    상기 단위 폐전주 및 폐전주 어셈블리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폐전주 어셈블리는 적어도 2단으로 적층되며, 적층 시 하단 폐전주 어셈블리의 단위 폐전주 사이에 상단 폐전주 어셈블리의 단위 폐전주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주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보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단위 폐전주마다 장착되고 적어도 한 쌍의 연결공이 외주면(外周面)에 마련되는 복수의 고정구와, 상기 연결공을 통해 인접한 한 쌍의 단위 폐전주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고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주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보호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주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보호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전주 어셈블리의 단위 폐전주는 양단부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교 번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주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보호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전주 어셈블리의 단위 폐전주는 양단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어지되, 양단부의 방향이 상하로 교번되게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주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보호장치.
KR1020070022263A 2007-03-07 2007-03-07 폐전주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보호장치 KR100794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263A KR100794765B1 (ko) 2007-03-07 2007-03-07 폐전주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263A KR100794765B1 (ko) 2007-03-07 2007-03-07 폐전주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4765B1 true KR100794765B1 (ko) 2008-01-21

Family

ID=39218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2263A KR100794765B1 (ko) 2007-03-07 2007-03-07 폐전주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476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525Y1 (ko) 2003-07-23 2003-10-10 태성건설 주식회사 다공 전주어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525Y1 (ko) 2003-07-23 2003-10-10 태성건설 주식회사 다공 전주어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3080B1 (ko) 해저용 매트리스 블록
KR101334373B1 (ko) 해중 터널 장치
KR20150145587A (ko) 해저케이블 보호를 위한 매트리스용 블록 및 블록 성형장치
KR101193516B1 (ko) 해조부착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913814B1 (ko) 송배전 해저 고압케이블 보호시설장치
KR102255851B1 (ko) 탄성로프 결합장치
KR100794765B1 (ko) 폐전주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보호장치
KR101712029B1 (ko) 다기능 플로팅 데크 및 이를 이용한 데크 구조물의 조립식 설치방법
NO20150454A1 (en) Buoyancy module for an aquaculture pumping system
US11186348B2 (en) Floating structure comprising a plurality of modular floating blocks
KR102008877B1 (ko) 해저케이블 보호용 콘크리트 매트리스
KR100728057B1 (ko) 폐 침목을 이용한 해저케이블 보호용 인공어초
KR100530616B1 (ko) 해저 케이블 보호용 합성 그물망 콘크리트 덮개 설치구조
KR200306395Y1 (ko) 테트라포드
KR102194195B1 (ko) 송전선로 가설용 스페이서
KR0132756Y1 (ko) 해저케이블용 보호구
KR200207523Y1 (ko) 조류집 방지용 경완금
KR200340962Y1 (ko) 해저 케이블 보호용 합성 그물망 콘크리트 덮개 설치구조
GB2529252A (en) Structures Incorporating Used Vehicle Tyres
KR102617305B1 (ko) 수중 케이블보호용 콘크리트 매트리스 및 그 시공법
KR100519738B1 (ko) 인공 해중림
JP4022197B2 (ja) 人工魚礁の組立方法
KR200340961Y1 (ko) 고압 전기 케이블 보호용 자켓 앵커블록 설치구조
KR200457518Y1 (ko) 웨빙 고정구
JP4071664B2 (ja) 法面保護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