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4757B1 - 이중화 직류 전원 절환 장치 - Google Patents

이중화 직류 전원 절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4757B1
KR100794757B1 KR1020070057199A KR20070057199A KR100794757B1 KR 100794757 B1 KR100794757 B1 KR 100794757B1 KR 1020070057199 A KR1020070057199 A KR 1020070057199A KR 20070057199 A KR20070057199 A KR 20070057199A KR 100794757 B1 KR100794757 B1 KR 100794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witch
main
output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7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치각
권오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펠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펠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펠코리아
Priority to KR1020070057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47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4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4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1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DC powered loa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02J1/10Parallel operation of dc sources
    • H02J1/108Parallel operation of dc sources using diodes blocking reverse current flow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56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 H03K17/687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device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무순단 직류전원 공급이 가능한 이중화 직류전원 절환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메인 직류전원의 출력 및 차단을 위한 온/오프(on/off)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제1스위치, 제1스위치의 온에 연속하여 접점을 연결시켜 메인 직류전원을 출력하고,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접점을 해제하는 제1스위치 발열방지부, 서브 직류전원의 출력 및 차단을 위한 온/오프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제2스위치, 제2스위치의 온에 연속하여 접점을 연결시켜 서브 직류전원을 출력하고,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접점을 해제하는 제2스위치 발열방지부, 출력되는 메인 직류전원의 이상 장애 여부를 감지하는 전류센서부, 및 메인 직류전원에 이상 장애가 감지되면 서브 직류전원을 출력하고 메인 직류전원의 출력 연결을 차단하도록, 제1,2스위치 및 제1,2스위치 발열방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출력 전원의 이상 장애 발생 여부에 따라 메인 및 서브 직류전원의 출력 절환을 선택적으로 수행하여 이중화 직류 전원을 통한 무순단 직류 전원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이중화, 직류, 전원, 절환, 메인, 서브, 장애, 무순단, 연속, 출력, 제공

Description

이중화 직류 전원 절환 장치{Transfer Switching Apparatus of dual DC source}
도 1은 종래의 AC용 이중화 전원 절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이중화 전원 절환 장치를 이용한 이중화 전원 절환 시스템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직류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사용하는 개별 통신기기에 대한 전력 공급 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중화된 직류 전원을 통한 안정적인 직류 전원 공급이 가능한 이중화 직류 전원 절환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4의 이중화 직류 전원 절환 장치를 구성하는 회로의 구성 예를 도시한 회로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도 5의 이중화 직류 전원 절환 장치를 이용한 이중화 직류 전원 절환 시스템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전원 절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중화된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메인(main) 및 서브(sub) 직류 전원을 통해 보다 안정적으로 직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이중화 직류 전원 절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 있어서 컴퓨터의 이용 및 정보통신망은 공사를 망라하고 일상 업무와 생활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컴퓨터 및 정보통신망 인프라 중 중요한 요소는 국경을 무시하고 구축된 인터넷 망이다. 이 인터넷 인프라를 제공해 주는 것은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Internet Service Provider; ISP)이고, 이들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는 전 세계 각지에 걸쳐 물리적인 통신망을 구성하기 위하여 수많은 기지국을 설치 및 운영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기지국에는 각종 레이어의 스위칭 장치, 라우터, 광 단말 장치, 케이블 모뎀 단말 장치 등의 각종 통신 장비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통신 장비들은 단속 없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므로, 유사시를 대비하여 이중화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이중화 시스템은 어떤 장치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즉각적으로 예비 장치가 동작함으로써 통신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들 통신 장비들은 전원이 공급되어야 동작을 하므로 통신 장비들 뿐만 아니라 이들 통신장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 또한 이중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전원의 이중화는 기본적으로 주 전원의 이중화로 통상 상용전원과 무정전 전원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 UPS)로 이루어진다. 또한 주요 장비에 있 어서는 장비 자체의 전원장치가 이중화되어 있기도 하다. 그러나 몇몇 고가의 통신장비를 제외하고는 이중화 전원장치를 내장한 개별 통신 장비는 많지 않다. 결국 대부분의 통신 장비들은 단일 전원장치만을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이중화된 주 전원을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전원 절환 스위치(Source Transfer Switch : STS)라는 일종의 전원 이중화 스위치 장치를 사용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이중화 전원 절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중화 전원 절환 장치(10)는 입력부(11), CPU(13), 제어부(15), 릴레이(Relay)(17), 및 출력부(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시된 이중화 전원 절환 장치(10)는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진 두개의 교류(AC) 전원을 수전하여 그 중 양호한 한 개의 전원을 메인 전원으로 사용하고, 또 다른 한 개의 전원을 예비전원으로 구성하여 어느 하나의 전원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신속하게 전원을 절환하여 한 개의 전원에서 정전 등 이상이 발생하여도 출력 측에는 항상 양호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입력부(11)에는 메인 및 서브 전원이 입력되고, CPU(13)는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고 입력전원의 상태를 파악하며, 릴레이(17)는 25A의 전류용량을 가지며, 제어부(15)는 릴레이(17)의 동작을 제어하고, 출력부(19)는 릴레이(17)로부터 출력되는 교류전원을 출력한다.
이중화 전원 절환 장치(10)의 입력부(11)에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진 두개의 전원(메인/서브)이 입력되면, CPU(13)는 각각의 전원 라인을 통해 해당 전원의 이상 유무를 검출한다. 이때 이상이 없으면, CPU(13)는 기본 접점을 통하여 메인 전 원을 출력부(19)로 출력하도록 릴레이(17)의 연결을 제어한다.
출력이 정상적으로 연결되면, CPU(13)는 지속적으로 메인전원의 전압과 입력파형을 감시하며, 이상이 발생시 릴레이 절체신호를 제어부(15)에 제공한다. 이때 제어부(15)는 신속한 절체를 위해 구동 전압을 높여서 릴레이(17)로 송출하고, 릴레이(17)는 서브전원 입력 측으로 접점을 옮겨 서브 전원을 출력부(19)로 출력하여 출력부(19)에 연결된 장비를 보호한다.
도 2는 도 1의 이중화 전원 절환 장치를 이용한 이중화 전원 절환 시스템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화 전원 절환 시스템은 메인전원을 입력받아 이중으로 출력하는 UPS1(22), 서브전원을 입력받아 이중으로 출력하는 UPS2(24), UPS1,2(22,24)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메인 및 서브 전원을 각각 입력받아 전원의 이상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절환 출력하는 교류전원 이중화 전원 절환 장치(AC-STS)1,2(10a,10b), 및 교류전원 이중화 전원 절환 장치(AC-STS)1,2(10a,10b)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하는 통신 기기(Device)1,2(26,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시된 이중화 전원 절환 시스템은 단일 전원장치만을 내장한 개별 통신장비들(26,28)의 경우, STS의 사용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주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이중화 전원 절환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도시된 이중화 전원 절환 시스템은 개별 통신 장비들(26,28)이 교류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사용하는 경우에만 가능한 구성이다. 그러나 개별 통신 장비들(26,28)이 모두 교류전원으로부터 동 일한 교류 전원의 전력을 공급받는 것이 아니고, 직류(DC)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도 3은 직류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사용하는 개별 통신기기에 대한 전력 공급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통신기기1,2(36,38)에 공급되는 전원이 완전하게 이중화되기 위해서 직류 메인 전원의 이중화는 필수이며, 각 개별 통신 장비 역시 이중화 전원장치를 내장하고 있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만일 각 개별 통신기기1,2(36,38)가 이중화 전원장치를 내장하고 있지 못한 경우(도면에서 점선 부분으로 표시된 급전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메인 전원의 이중화는 무의미하게 된다. 이에 따라 메인 전원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각 개별 통신기기1,2(36,38)는 전력 공급의 중단으로 인하여 동작이 불가능하게 된다.
만일 직류 급전 시스템의 경우에서도 도 2와 같은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다면, 각 개별 통신기기1,2(36,38)는 굳이 이중화 전원장치를 내장할 필요가 없다. 그런데 현재 국내외를 막론하고 이중화 교류 전원 절환 장치(AC-STS)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중화 직류 전원 절환 장치(DC-STS)는 개발되어 있지 못하므로 그 적용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현재 교류 급전 통신 장비의 전원 이중화를 위한 이중화 교류 전원 절환 장치(AC-STS)는 다수의 기업이 이미 제품을 상용화 한 상태이다. 교류전원의 경우에는 전압이나 전류가 주파수의 두 배에 해당하는 횟수씩 영이 되는 시점을 검출하여 급전되고 있는 주 전원의 스위치를 끊고 수 [msec]이내에만 예비전원이 투입되면, 교류급전 개별 통신 장비는 단속 없이 연속적인 동작이 가능하다.
그러나 직류 급전 개별 통신 장비는 교류 급전 개별 통신 장비와는 달리 전원의 공급이 수 msec만 중단되어도 전원의 불안정으로 인하여 재가동(Reset)상태가 되기 때문에 통신망의 장애를 유발시키게 된다. 현재 국내외를 막론하고 직류 급전 개별 통신 장비의 전원 불안정을 유발시키지 아니하고 원활하게 직류 전원을 절체 할 수 있는 기술은 제안되고 있지 않은 상태로 해당 기술의 개발이 시급한 현황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중화된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메인 및 서브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연속성을 가지고 보다 안정적으로 직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이중화 직류 전원 분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화 직류전원 절환 장치는, 메인 및 서브 직류전원의 절환을 위한 이중화 직류전원 절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직류전원의 출력 및 차단을 위한 온/오프(on/off)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제1스위치, 상기 제1스위치의 온에 연속하여 접점을 연결시켜 상기 메인 직류전원을 출력하고,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접점을 해제하는 제1스위치 발열방지부, 상기 서브 직류전원의 출력 및 차단을 위한 온/오프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제2스위치, 상기 제2스위치의 온에 연속하여 접점을 연결시켜 상기 서브 직류전원을 출력하고,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접점을 해제하는 제2스위치 발열방지부, 상기 출력되는 메인 직류전원의 이상 장애 여부를 감지하는 전류센서부, 및 상기 메인 직류전원에 이상 장애가 감지되면 상기 서브 직류전원을 출력하고 상기 메인 직류전원의 출력 연결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1,2스위치 및 상기 제1,2스위치 발열방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직류 전원의 출력 및 차단을 선택적으로 절환하는 제1스위치 및 제1스위치 발열방지부와 서브 직류 전원의 출력 및 차단을 선택적으로 절환하는 제2스위치 및 제2스위치 발열방지부를 각각 구비하고 출력 전원의 이상 장애 발생 여부에 따라 메인 및 서브 전원의 출력 절환을 선택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이중화 직류 전원을 통한 무순단 직류 전원 제공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중화된 직류 전원을 통한 안정적인 직류 전원 공급이 가능한 이중화 직류 전원 절환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화 직류 전원 절환 장치(100)는 제1스위치(110), 제2스위치(112), 제1스위치 발열방지부(120), 제2스위치 발열방지부(122), 제1역류차 단부(130), 제2역류차단부(132), 전류센서(140), 제어부(150), 역기전력 제거부(160), 및 전원보상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스위치(110)는 제어부(150)의 명령에 따라 입력되는 메인 직류 전원의 출력을 온/오프(on/off)한다.
제2스위치(112)는 제어부(150)의 명령에 따라 입력되는 서브 직류 전원의 출력을 온/오프(on/off)한다.
제1스위치 발열방지부(120)는 제1스위치(110)와 병렬로 접속되어 제1스위치(110)의 전압강하에 의한 열 발생을 막는다. 제1스위치 발열방지부(120)는 제1스위치(110)의 전압강하에 의한 열 발생을 줄이기 위해 제1스위치(110)가 빠른 속도로 온(on)이 된 후 온(on)이 되어, 제1스위치(110)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지 않고 제1스위치 발열방지부(120)를 통해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1스위치 발열방지부(120)의 접점 임피던스가 제1스위치(110)의 임피던스보다 작도록 설계한다.
제2스위치 발열방지부(122)는 제2스위치(120)와 병렬로 접속되어 제2스위치(120)의 전압강하에 의한 열 발생을 막는다. 제2스위치 발열방지부(122)는 제2스위치(120)의 전압강하에 의한 열 발생을 줄이기 위해 제2스위치(120)가 빠른 속도로 온(on)이 된 후 온(on)이 되어, 제2스위치(120)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지 않고 제2스위치 발열방지부(122)를 통해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2스위치 발열방지부(122)의 접점 임피던스가 제1스위치(120)의 임피던스보다 작도록 설계한다.
제1역류차단부(130) 및 제2역류차단부(132)는 메인 전원 또는 서브 전원의 전류가 출력전원으로서 출력됨에 따라 메인 전원의 전압과 서브 전원의 전압 전위차가 생길 경우, 전류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 제1역류차단부(130) 및 제2역류차단부(132)는 상호 간섭을 막을 수 있고,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전력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전류센서(140)는 출력되는 메인 전원의 이상 장애 발생 여부를 감시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150)에 전달한다. 여기서 전원의 장애 발생은 흐르는 전류의 과부하 발생이 주 원인이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전류센서(140)는 출력되는 메인 또는 서브 전원에 대한 부하 전류를 측정하여 과전류가 흐르는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150)에 전달한다.
제어부(150)는 전류센서(140)에서 감시한 결과 메인 전원에 과부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오프(off)되어 있는 스위치 및 접점을 온(on)시켜 서브 전원을 출력하도록 제2스위치(112) 및 제2스위치 발열방지부(122)를 제어한다. 이와 연동하여, 제어부(150)는 메인 전원 출력을 위해 온(on)되어 있는 스위치 및 접점을 오프(off)시키도록 제1스위치(110) 및 제1스위치 발열방지부(12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전류센서(140)에서 부하 전류의 측정 결과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메인 및 서브 전원의 출력을 모두 차단하도록 제1,2스위치(110,112) 및 제1,2스위치 발열방지부(120,122)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부하 보호 및 화재와 같은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역기전력 제거부(160)는 출력되는 메인 및 서브 전원의 차단 시 생성되는 역 기전력을 방전을 통해 소멸시킨다. 즉, 역기전력 제거부(160)는 외부 통신기기와 연결되어 있는 부하로 흐르던 전원의 전류가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짧은 시간 동안 차단되면, 출력 전원의 전류가 차단되는 시점에 역기전력이 발생하는데, 이렇게 생성되는 역기전력을 방전을 통해 소멸시킨다.
전원보상부(170)는 출력되고 있던 메인 전원에 이상이 생겨 서브 전원으로 절환되는 동안 메인 전원을 보상하여 출력한다. 본 실시 예에서 메인 전원에서 서브 전원으로 절환되는 시간은 수 [us]단위로 매우 짧은 시간이다.
따라서, 메인 직류 전원의 출력 및 차단을 선택적으로 절환하는 제1스위치(110) 및 제1스위치 발열방지부(120)와 서브 직류 전원의 출력 및 차단을 선택적으로 절환하는 제2스위치(120) 및 제2스위치 발열방지부(122)를 각각 구비하고 출력 전원의 이상 장애 발생 여부에 따라 메인 및 서브 전원의 출력 절환을 선택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이중화 직류 전원을 통한 무순단 직류 전원 제공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4의 이중화 직류 전원 절환 장치를 구성하는 회로의 구성 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화 직류 전원 절환 장치(100)의 각 구성 요소들은 아래와 같은 회로 소자들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제1스위치(110) 및 제2스위치(112)는 전압의 형태가 직류이고, 빠른 절환(Switching)이 요구되므로,'MOSFET'(Metal-Oxide 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 금속 산화물 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반도체 스위치를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C)(150)는 MOSFET(110,112)의 게이트단(G)에 전압을 인가하 여 메인 및 서브 전원의 출력을 스위칭할 수 있다. 이러한 MOSFET(110,112)의 스위칭 절환 시간은 수 마이크로초(us)이므로, 제1,2스위치 발열방지부(120,122)만을 사용하여 전원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에 비해 보다 신속한 무순단 절환 출력이 가능하게 된다.
제1스위치 발열방지부(120) 및 제2스위치 발열방지부(122)에는 릴레이(relay)가 적용된다. 이때 제1스위치 발열방지부(120) 및 제2스위치 발열방지부(122)에 대응하여 적용된 릴레이(120,122)는 MOSFET(110,112)와 병렬로 접속되어 직류 전원용 릴레이와 같은 기능을 갖는다.
즉, 연결 차단을 위해서는, 릴레이(120,122)를 먼저 신속하게 오프시키고, 나중에 MOSFET(110,112)를 오프시킨다. 이 경우 릴레이가(120,122)가 차단되더라도 MOSFET(110,112)가 차단되기 전까지는 전원이 계속 공급된다. 또한 연결을 위해서는, MOSFET(110,112)를 먼저 신속하게 온시키고, 릴레이(120,122)를 나중에 온시킨다. 이 경우 릴레이(120,122)의 온되는 속도가 늦더라도 MOSFET(110,112)를 통해 신속하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1역류차단부(130) 및 제2역류차단부(132)에는 다이오드가 적용된다. 또한 역기전력 제거부(160)도 다이오드가 적용된다. 전원보상부(170)는 커패시터가 적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도 5의 이중화 직류 전원 절환 장치를 이용한 이중화 직류 전원 절환 시스템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화 전원 절환 시스템은 메인 교류전원(AC)을 입력받 아 직류전원(DC)으로 변하여 이중으로 출력하는 정류기1(220), 서브 교류전원(AC)을 입력받아 직류전원(DC)으로 변환하여 이중으로 출력하는 정류기2(240), 정류기1,2(220,240)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메인 및 서브 직류전원을 각각 입력받아 직류전원의 이상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절환 출력하는 이중화 직류전원 절환 장치(DC-STS)1,2(100a,100b), 및 이중화 직류전원 절환 장치(DC-STS)1,2(100a,100b)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이용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하는 통신 기기(Device)1,2(260,2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이중화 직류전원 절환 장치를 단일 전원장치만을 내장한 개별 통신 장비의 전원 이중화에 적용함으로써, 단일 장치를 이용한 폭넓은 실용화가 가능하고 통신 인프라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중화 직류전원 절환 장치는 통신 시스템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기업 및 소호 운영 개인에게 서버를 임대 또는 관리 운영하는 인터넷 데이터 센터(Internet Data Center : IDC)나 일정 규모 이상의 기업체 전산실 등 각종 서버용 컴퓨터의 전원 시스템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이중화 직류전원 절환 장치가 적용된 직류 급전 서버용 컴퓨터의 적용이 활성화 될 수 있으며, 이는 서버용 컴퓨터 구매비용을 낮춤과 동시에 제품의 신뢰성 재고에도 유리하므로, 컴퓨터 및 각종의 전자 장치의 급전 시스템으로 산업상 활용 범의가 방대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직류 전원의 출력 및 차단을 선택적으로 절환하는 제1스위치 및 제1스위치 발열방지부와 서브 직류 전원의 출력 및 차단을 선택적으로 절환하는 제2스위치 및 제2스위치 발열방지부를 각각 구비하고 출력 전원의 이상 장애 발생 여부에 따라 메인 및 서브 전원의 출력 절환을 선택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이중화 직류 전원을 통한 무순단 직류 전원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0)

  1. 메인 및 서브 직류전원의 절환을 위한 이중화 직류전원 절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직류전원의 출력 및 차단을 위한 온/오프(on/off)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제1스위치;
    상기 제1스위치의 온에 연속하여 접점을 연결시켜 상기 메인 직류전원을 출력하고,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접점을 해제하는 제1스위치 발열방지부;
    상기 서브 직류전원의 출력 및 차단을 위한 온/오프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제2스위치;
    상기 제2스위치의 온에 연속하여 접점을 연결시켜 상기 서브 직류전원을 출력하고,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접점을 해제하는 제2스위치 발열방지부;
    상기 출력되는 메인 직류전원의 이상 장애 여부를 감지하는 전류센서부; 및
    상기 메인 직류전원에 이상 장애가 감지되면 상기 서브 직류전원을 출력하고 상기 메인 직류전원의 출력 연결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1,2스위치 및 상기 제1,2스위치 발열방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중화 직류전원 절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직류전원의 이상 장애가 복구되면, 상기 서브 직류전원의 출력을 차단하고 상기 메인 직류전원을 출력하도록, 상기 제1,2스위치 및 상기 제1,2스위치 발열방지부를 제어하는 것인 이중화 직류전원 절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직류전원 또는 상기 서브 직류전원의 전류가 출력전원으로 출력됨에 따라 상기 메인 직류전원의 전압과 상기 서브 직류전원의 전압 전위차로 인한 전류 역류를 차단하기 위한 제1역류차단부 및 제2역류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이중화 직류전원 절환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출력되는 상기 메인 직류전원 또는 상기 서브 직류전원의 차단 시 잔존하는 전류로 인해 생성되는 역 기전력을 소멸시키는 역기전력 제거부를 더 포함하는 이중화 직류전원 절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되는 메인 직류전원에 이상 장애가 발생하여 상기 서브 직류전원으로 출력 절환되는 동안 상기 메인 직류전원을 보상하여 출력하는 전원보상부를 더 포함하는 이중화 직류전원 절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에는 'MOSFET'(Metal-Oxide 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 금속 산화물 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반도체 스위치가 적용되는 것인 이중화 직류전원 절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 발열방지부 및 제2스위치 발열방지부에는 릴레이(relay)가 적용되는 것인 이중화 직류전원 절환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역류차단부, 및 제2역류차단부에는 다이오드가 적용되는 것인 이중화 직류전원 절환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보상부에는 커패시터가 적용되는 것인 이중화 직류전원 절환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역기전력 제거부에는 다이오드가 적용되는 것인 이중화 직류전원 절환 장치.
KR1020070057199A 2007-06-12 2007-06-12 이중화 직류 전원 절환 장치 KR100794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199A KR100794757B1 (ko) 2007-06-12 2007-06-12 이중화 직류 전원 절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199A KR100794757B1 (ko) 2007-06-12 2007-06-12 이중화 직류 전원 절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4757B1 true KR100794757B1 (ko) 2008-01-15

Family

ID=39217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7199A KR100794757B1 (ko) 2007-06-12 2007-06-12 이중화 직류 전원 절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47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6860A (ko) * 2012-11-14 2014-06-03 현대로템 주식회사 Pis 영상분배기의 전원이중화 회로 및 제어방법
KR20210041876A (ko) * 2019-10-08 2021-04-16 (주)신아이엔지 자동 바이패스 기능을 갖는 전원 절체 스위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383A (ko) * 1997-07-16 1999-02-18 김광호 직류전원 및 교류전원 겸용 충전장치
KR20040033835A (ko) * 2002-10-16 2004-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의 회로를 보호할 수 있는 전원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383A (ko) * 1997-07-16 1999-02-18 김광호 직류전원 및 교류전원 겸용 충전장치
KR20040033835A (ko) * 2002-10-16 2004-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의 회로를 보호할 수 있는 전원공급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6860A (ko) * 2012-11-14 2014-06-03 현대로템 주식회사 Pis 영상분배기의 전원이중화 회로 및 제어방법
KR20210041876A (ko) * 2019-10-08 2021-04-16 (주)신아이엔지 자동 바이패스 기능을 갖는 전원 절체 스위치
KR102257317B1 (ko) 2019-10-08 2021-05-27 (주)신아이엔지 자동 바이패스 기능을 갖는 전원 절체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01973A (ko) 이중화 직류 전원 절환 장치
JP4247797B2 (ja) 無停電電力供給装置
KR101079900B1 (ko) 선택스위치 장치, 이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 및 그 스위칭 방법
KR20190109274A (ko) 모듈 저장 인터페이스의 이중 퓨즈
US8039990B2 (en) DC UPS configured as intrinsic power transfer switch
US6639816B2 (en) Power supply system with AC redundant power sources and safety device
JP2006246616A (ja) 無停電電源装置
EP2260571A1 (en) Intrinsically balanced direct current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CN106169804A (zh) 具有故障清除能力的不间断电源系统
KR100973458B1 (ko) 무정전 전원장치
KR100794757B1 (ko) 이중화 직류 전원 절환 장치
CN112886694B (zh) 一种配电系统及服务器系统
JP2012175885A (ja) 電源装置
KR101564736B1 (ko) 전원 절환 장치
JP4527064B2 (ja) 無停電電源システム
US11031810B2 (en) Power supply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KR100855704B1 (ko) 무정전 전원장치의 입력지연회로
JP2009065807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08172864A (ja) 無停電電源設備及びその増設方法
KR200301007Y1 (ko)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KR200423705Y1 (ko) 무순단절체기
JPH10304598A (ja) 電源切替装置
US20230275514A1 (en) Energy supply device with safety-related shut-down facility and method of switching off the device
KR200208394Y1 (ko) 전원절체기
KR101002263B1 (ko) 이중전원을 설정전압에 따라 자동절체시킨 자동전압절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