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3939B1 - A flash emitting device for decreasing a red-eye phenomenon in camera and a method - Google Patents

A flash emitting device for decreasing a red-eye phenomenon in camera and a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3939B1
KR100793939B1 KR1020010015863A KR20010015863A KR100793939B1 KR 100793939 B1 KR100793939 B1 KR 100793939B1 KR 1020010015863 A KR1020010015863 A KR 1020010015863A KR 20010015863 A KR20010015863 A KR 20010015863A KR 100793939 B1 KR100793939 B1 KR 100793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subject
flash
unit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58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75664A (en
Inventor
이진기
김상도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5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3939B1/en
Publication of KR20020075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56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3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39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18Focusing aids
    • G03B13/20Rangefinders coupled with focusing arrangements, e.g. adjustment of rangefinder automatically focusing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scene brightness using illumina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의 적목 현상 감소를 위한 플래시 발광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플래시 발광 장치는 릴리즈 1단 및 릴리즈 2단 동작을 선택하는 릴리즈 스위치,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를 가지는 스위칭부; 피사체의 촬영 모드를 표시하는 촬영 모드 표시부;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거부; 피사체의 휘도를 측정하는 측광부; 상기 측거부와 상기 측광부를 제어하고, 예비 발광을 위한 주파수 신호를 가변하여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1 주파수 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예비 발광부; 상기 예비 발광부의 예비 발광이 완료된 후,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2 주파수 신호에서 발광하여 피사체 촬영에 적합한 광을 발광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가 광을 발광하도록 축적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부를 가지는 플래시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sh light emitting device and a method for reducing red eye of a camera.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lash light emitting apparatus including: a switching unit including a release switch for selecting a first release stage and a second release operation and a shooting mode selection switch for selecting a shooting mode; A shooting mode display unit displaying a shooting mode of the subject; A measuring unit measuring a distance to a subject; A light metering unit measuring luminance of a subject; A controller which controls the ranger and the photometer and varies and outputs a frequency signal for preliminary light emission; A preliminary light emitting unit which emits light according to a first frequency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After the preliminary light emission of the preliminary light emitting unit is completed, a light emitting unit for emitting light suitable for photographing a subject by emitting from the second frequency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a flash unit having a charging unit for supplying the power accumulated so that the light emitting unit emits light It includes a drive unit.

본 발명은 예비 발광후에 시간 지연이 없이 즉시 본 발광을 행함으로써 촬영자의 손떨림으로 인한 사진 흐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적목 현상 감소를 위한 예비 발광을 측거된 거리에 따라 다르게 행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피사체의 적목 현상을 감소시켜 촬영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blur caused by the camera shake by immediately performing the main flash without time delay after the preliminary flash, and the red eye of the subject effectively by performing the preliminary flash to reduce the red eye according to the measured distance. You can shoot with reduced phenomenon.

예비 발광, 적목 발광, 플래시 Preliminary flash, red eye flash, flash

Description

카메라의 적목 현상 감소를 위한 플래시 발광 장치 및 방법{A FLASH EMITTING DEVICE FOR DECREASING A RED-EYE PHENOMENON IN CAMERA AND A METHOD}Flash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red eye of camera {A FLASH EMITTING DEVICE FOR DECREASING A RED-EYE PHENOMENON IN CAMERA AND A METHOD}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적목 발광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ed eye light emitting device of a camera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a 내지 도2b는 도1의 예비 발광부의 동작 주파수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2A to 2B are waveform diagrams showing operating frequencies of the preliminary light emitting unit of FIG. 1.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적목 발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d-eye light emitting method of the camer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a 내지 도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예비 발광부의 동작 주파수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4A to 4B are waveform diagrams showing operating frequencies of the preliminary light emitting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적목 발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d-eye light emitting method of the camer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카메라의 적목 현상 감소를 위한 플래시 발광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의 플래시가 발광한 후에 시간지연 없이 플래시 충전 시간을 빠르게 하여, 촬영자의 손떨림에 의한 사진 흐림 현상을 최소화하는 할 수 있는 카메라의 플래시 발광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sh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the red-eye of the camera, and in particular, to accelerate the flash charging time without time delay after the flash of the camera flash,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blur caused by the camera shake of the photograph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sh light emitting device and a method of a camera.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경우 주위 환경의 휘도 상태에 따라 촬영 상태가 결정된다. 실내나 야간에 사진을 촬영할 때에는 주변 휘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임으로 광량이 크고 색온도가 높은 태양 광선과 거의 같은 성질을 가지는 섬광을 극히 짧은 시간동안 만들어 내는 플래시 장치를 이용하여, 사진 촬영시의 주변 휘도를 개선시켜 적정 노출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When photographing a subject using a camera or the like, the photographing stat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uminance stat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hen taking pictures indoors or at night, the ambient brightness is very low. Therefore, by using a flash unit that produces flashes that have almost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sun rays with a large amount of light and a high color temperature for a very short time, It improves the ability to take pictures with adequate exposure.

이러한 플래시 장치는 셔터와 연동하여 순간적인 섬광이 발생하도록 하는데, 저휘도시 플래시를 발광시켜 사람을 촬영하는 경우에 섬광 광원의 광축이 사람의 동공을 통하여 안구 내에 입사할 때 안구 내의 혈관에 의해 적색광이 반사되어 동공부가 빨갛게 나타나는 적목 현상(RED-EYE PHENOMENON)이 발생한다.Such a flash device generates an instant flash in conjunction with a shutter. When a low luminance flash is emitted to capture a person, red light is emitted by blood vessels in the eye when the optical axis of the flash light source enters the eye through the human pupil. RED-EYE PHENOMENON occurs when the pupil is reflected and the pupil is red.

따라서 이러한 적목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섬광 광원의 조사각을 렌즈 광축에서 떨어지게 하거나 또는 예비 발광 등을 이용하여 확대된 동공을 갑작스런 섬광을 사용하여 작게 축소한 후 본 촬영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such a red-eye phenomenon, the photographing can be performed after the irradiation angle of the flash light source is dropped from the lens optical axis, or the enlarged pupil by using preliminary light emission is reduced to a small size by sudden flash.

이와 같이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 피사체를 촬영할 경우 발생하는 적목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카메라에 별도의 적목 방지 장치를 추가로 설치하였다. 카메라의 촬영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의해, 피사체의 본 촬영이 실행되기 전 예비 발광을 실행하여 본 촬영이 실행될 때 확대된 동공을 축소시켜 적목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피사체를 촬영할 때, 별도로 장착된 적목 방지 장치를 촬영자가 임의로 선택하여 카메라의 촬영 모드를 적목 방지 모드로 절환시킨다.As such, in order to prevent red eyes occurring when photographing a subject at night or in a dark place, a separate red eye prevention device is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camera. By the control device controlling the photographing operation of the camera, preliminary light emission is executed before the main photographing of the subject is performed to reduce the enlarged pupil when the main photographing is executed to prevent the red-eye phenomenon. When photographing a subject, the photographer arbitrarily selects a separate red-eye removal device to switch the shooting mode of the camera to the red-eye reduction mode.

종래에는 적목 현상을 막기 위한 방법으로서 예비 발광용 크세논 튜브와 메 인 발광용 크세논 튜브를 각각 사용하여, 하나의 크세논 튜브는 예비 발광용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크세논 튜브는 메인 발광을 위해 사용하였다. 적목 현상을 막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는, 예비 발광용 커패시터를 별도로 두고 하나의 크세논 튜브를 이용하여 예비 발광과 메인 발광을 하거나, 또는 LED(Light Emitting Diode)나 램프를 예비 발광용으로 사용하였다. Conventionally, a xenon tube for preliminary light emission and a xenon tube for main light emission are used as a method for preventing red eye, and one xenon tube is used for preliminary light emission and the other xenon tube is used for main light emission. As another method for preventing red eye, a preliminary light emitting diode and a lamp were used for preliminary light emission by using a single xenon tube separately from the preliminary light emitting capacitor.

예비 발광을 연속적으로 행하는 방법으로 한 개의 크세논 튜브를 가지고 플래시 발광용 커패시터에 충전되어 있는 충전 에너지를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예비 발광을 한 후 메인 발광을 하는 방법이 있다. 이 때 사용되는 발광 소자로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이하 IGBT라 칭함)를 사용한다. As a method of continuously performing preliminary light emission, there is a method of preliminary light emission after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of charging energy charged in a flash light emitting capacitor with one xenon tube and main light emission. In this case, an IGBT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is used as a light emitting device.

그런데, 종래의 적목 현상을 막기 위한 방법에서, 예비 발광을 한 후 반드시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본 발광을 행하기 때문에 예비 발광 후 본 발광을 행할 때까지의 촬영시간이 필요하게 되어, 특히 사람이 피사체인 경우, 피사체가 예비 발광시 본 발광으로 착각하여 눈을 감거나 촬영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움직이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촬영자도 적목 현상 감소를 위한 예비 발광에 대한 개념이 부족하면, 예비 발광시의 카메라의 동작을 본 발광으로 착각하여 촬영 자세를 고침으로써 손떨림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By the way, in the conventional method for preventing red-eye phenomenon, since the main emission is always perform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preliminary flash, the shooting time until the main flash is performed after the preliminary flash is necessary, and especially a human In the case of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reliminary light emission, the subject may be mistaken for the main emission, and eyes may be closed, or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photographing is finished. In addition, if the photographer lacks the concept of preliminary light emission to reduce the red-eye phenomenon, there is a problem that a camera shake phenomenon may occur by correcting the shooting posture by mistaking the operation of the camera during preliminary light emission as the main light emission.

또한, 종래의 적목 현상을 막기 위한 방법 중, 한 개의 크세논 튜브를 이용하여 플래시 발광용 커패시터에 충전되어 있는 충전 에너지를 일정시간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예비 발광하고 이어서 본 발광을 하는 방법은 연속적인 예비 발광을 위해서는 반드시 IGBT 소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발광부의 회로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구성 소자의 가격 또한 고가인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거리에 관계없이 플래시를 두 번 이상 발광해야 하기 때문에, 플래시 발광에 필요한 에너지가 거리에 관계없이 일정량이 필요하고, 이로 인해 적목 현상 감소를 위한 발광이 아닌 일반 발광 때보다 충전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mong the conventional methods for preventing red eye, a method of preliminarily preliminarily emitting the charging energy charged in the flash light emitting capacitor by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using a single xenon tube and then performing the main emission is a continuous preliminary method. Since the IGBT element is necessarily used for light emission, not only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is complicated, but also the cost of the component is expensive. In addition, since the flash must be fired more than once regardless of the distance, a certain amount of energy is required for the flash regardless of the distance, and thus the charging time is longer than that of the normal flash, not the flash for red-eye reduction. There was a losing problem.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적목 현상 감소를 위한 예비 발광을 측거 거리에 따라 다르게 점멸시켜, 적목 현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데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lash the preliminary light emission for red-eye reduction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distance, to effectively reduce the red-eye phenomenon.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인 과제는 적목 현상 감소를 위한 예비 발광 후에 시간 지연 없이 즉시 본 발광을 행하여 손떨림에 의한 사진 흐림 현상을 최소화 하는데 있다.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photo blur due to camera shake by immediately performing main light emission without time delay after preliminary light emission for red eye reduction.

본 발명의 또다른 기술적인 과제는 가격이 저렴하고 회로 구성이 간단한 발광용 소자를 사용함으로써 회로 부분을 소형화하여 생산 가격을 낮추는 데 있다. Another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by miniaturizing the circuit part by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low cost and a simple circuit configuration.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카메라의 적목 현상 감소를 위한 플래시 발광 장치는 Flash emitting device for reducing the red eye of the camera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피사체의 촬영시 발생하는 적목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예비 발광용 소자를 이용하는 플래시 발광 장치로서,A flash light emitting device that uses a preliminary light emitting element to reduce a red-eye phenomenon that occurs when photographing a subject.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피사체의 휘도를 측정하는 릴리즈 1단 동작과 피사체를 촬영하는 릴리즈 2단 동작을 선택하는 릴리즈 스위치, 촬영 모드를 선택 하는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를 가지는 스위칭부;A switching unit having a release switch for measuring a distance to a subject and a luminance of the subject, a release switch for selecting a release two-stage operation for photographing a subject, and a shooting mode selection switch for selecting a shooting mode;

상기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피사체의 촬영 모드를 표시하는 촬영 모드 표시부;A shooting mode display unit displaying a shooting mode of the subject by the operation of the shooting mode selection switch;

상기 릴리즈 스위치의 1단 동작으로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거부; A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distance to a subject in one step of operation of the release switch;

상기 릴리즈 스위치의 1단 동작으로 피사체의 휘도를 측정하는 측광부;A light metering unit measuring luminance of a subject by one step operation of the release switch;

상기 릴리즈 스위치의 동작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측거부와 상기 측광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촬영 모드 표시부가 동작하도록 동작신호를 출력하며, 예비 발광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주파수 신호를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따라 다르게 출력하는 제어부; Receives an operation signal of the release switch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ranger and the metering unit, outputs an operation signal to operate the shooting mode display unit, the frequency signal for operating the preliminary light emitting unit to the distance to the subject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differently accordingly;

피사체 촬영시 발생하는 적목 현상을 없애기 위해,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1 주파수 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예비 발광부;A preliminary light emitter which emits light according to a first frequency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in order to eliminate red eye occurring when a subject is photographed;

상기 예비 발광부의 예비 발광이 완료된 후,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2 주파수 신호에 의해 발광하여 피사체 촬영에 적합한 광을 발광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가 광을 발광하도록 축적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부를 가지는 플래시 구동부After the preliminary light emission of the preliminary light emitting unit is completed, the light emitting unit emits light by the second frequency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to emit light suitable for photographing a subject, and the light emitting unit has a charging unit supplying power accumulated to emit light. Flash drive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t is made, including.

상기 예비 발광부는 예비 발광용 다이오드와 상기 예비 발광 다이오드의 전류 제어용 저항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liminary light emit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preliminary light emitting diode and a resistor for controlling current of the preliminary light emitting diode.

상기 제1 주파수 신호는 상기 제2 주파수 신호보다 더 높은 주파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irst frequency signal has a higher frequency than the second frequency signal.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카메라의 적목 현상 감소를 위한 플래시 발광 방법은Flash emission method for reducing the red eye of the camera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카메라의 예비 발광용 소자와 본 발광용 소자를 포함한 플래시 장치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적목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플래시 발광 방법으로서,A flash light emitting method for reducing a red eye of a subject by using a flash device including a preliminary light emitting element of a camera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촬영자가 상기 카메라에서 적목 감소 촬영 모드를 선택하여 릴리즈 스위치 1단 동작을 행하여 피사체까지의 거리 및 피사체의 휘도를 측정하는 단계;A photographer selecting a red-eye reduction photographing mode in the camera to perform a release switch 1 step to measure a distance to a subject and brightness of the subject;

측정된 휘도가 상기 플래시를 발광하여야 할 휘도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플래시를 충전하는 단계;Charging the flash by determining whether the measured brightness is the brightness at which the flash should emit light;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특정 거리 이내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예비 발광용 소자의 점멸을 제1 주파수 신호로 점멸하고,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상기 특정 거리 이상이면 상기 예비 발광용 소자의 점멸을 제2 주파수 신호로 점멸하는 단계;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istance to the subject is within a specific distance, and the blinking of the preliminary light emitting element is flickered with the first frequency signal. When the distance to the subjec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pecific distance, the flashing of the preliminary light emitting element is second. Flashing with a frequency signal;

상기 예비 발광용 소자의 점멸이 완료된 후, 상기 본 발광용 소자를 구동시키는 신호로 상기 본 발광용 소자를 동작시키는 단계After the flashing of the preliminary light emitting device is completed, operating the main light emitting device with a signal for driving the main light emitting device;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t is made, including.

상기 특정 거리 판단 단계에서,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판단할 수 없는 경우에는 피사체까지의 측거 불가능으로 판단하여 셔터 동작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specific distance determining step, if the distance to the subject cannot be determine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that the distance to the subject is impossible and stopping the shutter oper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카메라의 적목 현상 감소를 위한 플래시 발광 방법은Flash emission method for reducing the red eye of the camera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카메라의 예비 발광용 소자와 본 발광용 소자를 포함한 플래시 장치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적목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플래시 발광 방법으로서, A flash light emitting method for reducing a red eye of a subject by using a flash device including a preliminary light emitting element of a camera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촬영자가 상기 카메라에서 적목 감소 촬영 모드를 선택하여 릴리즈 스위치 1단 동작을 행하여 피사체까지의 거리 및 피사체의 휘도를 측정하는 단계;A photographer selecting a red-eye reduction photographing mode in the camera to perform a release switch 1 step to measure a distance to a subject and brightness of the subject;

측정된 휘도가 상기 플래시를 발광하여야 할 휘도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플래시를 충전하는 단계;Charging the flash by determining whether the measured brightness is the brightness at which the flash should emit light;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제1 특정 거리 이내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예비 발광용 소자의 점멸을 제1 주파수 신호로 점멸하고,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1 특정 거리와 제2 특정 거리 사이이면 상기 예비 발광용 소자의 점멸을 제2 주파수 신호로 점멸하고,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2 특정 거리 이상이면 상기 본 발광용 소자를 이용하여 예비 발광과 본 발광을 연속하여 실행하는 단계;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istance to the subject is within a first specific distance, and the blinking of the preliminary light emitting element is flickered with a first frequency signal, and when the distance to the subject is between the first specific distance and the second specific distance, Flashing the preliminary light emitting element with a second frequency signal and continuously performing preliminary light emission and the main light emission using the main light emitting element when the distance to the subjec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specific distance;

상기 예비 발광용 소자의 점멸이 완료된 후, 상기 본 발광용 소자를 구동시키는 신호로 상기 본 발광용 소자를 동작시키는 단계After the flashing of the preliminary light emitting device is completed, operating the main light emitting device with a signal for driving the main light emitting device;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t is made, including.

이하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that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적목 발광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ed eye light emitting device of a camera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도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적목 현상 감소를 위한 플래시 발광 장치는, 피사체까지의 거리와 피사체의 휘도를 측정하고 피사체를 촬영하는 동작을 선택하는 릴리즈 스위치와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를 가지는 스위칭부(100);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촬영 상태를 표시하는 촬영 모드 표시부(200); 릴리즈 스위치의 1단 동작으로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거부(300); 릴리즈 스위치의 1단 동작으로 피사체의 촬영을 위해 피사체의 휘도를 측정하는 측광부(400); 릴리즈 스위치의 동작신호를 입력받아 측거부(300)와 측광부(40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촬영 모드 표시부(200)가 동작하도록 동작신호를 출력하며, 예비 발광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주파수 신호를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따라 다르게 출력하는 제어부(500); 릴리즈 스위치의 2단 동작으로 피사체 촬영을 위해 제어부(500)의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촬영 렌즈를 이동시키는 렌즈 구동부(600); 피사체 촬영시 발생하는 적목 현상을 없애기 위해, 제어부(500)에서 출력되는 일정한 주파수 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예비 발광부(700); 광이 발광되도록 축적된 에너지를 저장하여 공급하는 충전부(810), 예비 발광부(700)의 예비 발광이 완료된 후 촬영에 적합한 광을 발광하도록 하는 발광부(810), 충전부(810)에 축적된 에너지를 소비하여 실질적인 광을 발광하는 크세논 튜브(830)를 가지는 플래시부(8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a flash light emitting device for reducing a red eye of a camera according to a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lease switch for measuring a distance to a subject and a brightness of a subject and selecting an operation of photographing a subject And a switching unit (100) having a shooting mode selection switch for selecting a shooting mode; A shooting mode display unit 200 which displays a shooting state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shooting mode selection switch; A ranging unit 300 for measuring the distance to the subject by the first step of the release switch; A light metering unit 400 which measures the brightness of the subject for photographing the subject by one step operation of the release switch; A frequency for operating the preliminary light emitting part by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of the release switch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ranger 300 and the light metering part 400, outputting an operation signal to operate the photographing mode display part 200. A controller 500 that outputs a signal differently according to a distance to a subject; A lens driver 600 which receives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500 to move the photographing lens to capture a subject by a two-stage operation of the release switch; A preliminary light emitter 700 which emits light according to a constant frequency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500 in order to eliminate red eye occurring when a subject is photographed; The charging unit 810 for storing and supplying energy stored to emit light, and the light emitting unit 810 and the charging unit 810 for emitting light suitable for photographing after the preliminary light emission of the preliminary light emitting unit 700 is completed. And a flash portion 800 having a xenon tube 830 that consumes energy to emit substantial light.

릴리즈 스위치는 도시하지 않은 셔터 버튼에 연동하는 스위치로서, 사용자가 셔터 버튼을 누르면 릴리즈 1단 및 릴리즈 2단으로 순차적으로 작동된다.The release switch is a switch that is linked to a shutter button (not shown), 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shutter button, the release switch is sequentially operated to the first release and the second release.

제어부(500)는 예비 발광부(700)가 발광할 수 있는 제1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고, 발광부(820)가 본 발광을 할 수 있는 제2 주파수 신호를 출력한다.The controller 500 outputs a first frequency signal that the preliminary light emitter 700 may emit light, and outputs a second frequency signal that the light emitter 820 may perform main emission.

예비 발광부(700)는 예비 발광용 다이오드(LED)와 전류 제어용 저항(R1)을 더 포함하며, 제어부(500)에서 출력하는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동작한다. The preliminary light emitter 700 further includes a preliminary light emitting diode LED and a current control resistor R1, and operates by receiving a frequency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500.                     

충전부(810)는 광이 발광되도록 에너지를 축적하는 플래시용 커패시터를 더 포함한다.The charging unit 810 further includes a flash capacitor for accumulating energy to emit light.

도2a 내지 도2b는 도1의 예비 발광부의 동작 주파수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2A to 2B are waveform diagrams showing operating frequencies of the preliminary light emitting unit of FIG. 1.

첨부한 도2에서와 같이, 제어부(500)는 예비 발광용 다이오드(LED)의 발광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여 예비 발광부(700)에 송신하고, 플래시부(800)의 크세논 튜브(830)가 본 발광을 수행하기 위한 플래시 트리거 신호를 발생하여 발광부(820)로 송신한다. As shown in FIG. 2, the control unit 500 generates a frequency signal for performing a light emitting operation of the preliminary light emitting diode (LED), transmits the generated frequency signal to the preliminary light emitting unit 700, and the xenon tube of the flash unit 800. The 830 generates a flash trigger signal for performing the light emiss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flash trigger signal to the light emission unit 820.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적목 발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d-eye light emitting method of the camer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적목 현상 감소를 위한 플래시 발광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of a flash light emitting device for reducing a red eye of a camera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촬영자가 피사체의 촬영을 위해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S3)를 눌러서 적목 감소 모드를 선택하면(S100), 촬영 모드 표시부(200)에 적목 감소 모드가 선택되었음을 알리는 표시가 보여진다. 이때부터는 적목 감소 모드로 피사체를 촬영한다. When the photographer selects the red-eye reduction mode by pressing the shooting mode selection switch S3 to capture the subject (S100), a display indicating that the red-eye reduction mode is selected is displayed on the shooting mode display unit 200. From this point, the subject is shot in red-eye reduction mode.

피사체의 촬영 구도를 고려하여 촬영을 하기 위해 릴리즈 스위치(S1)의 1단을 누르면(S110), 측거부(300)는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광부(400)는 피사체 촬영에 적절한 휘도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피사체의 휘도를 측정한다(S120). 측정된 피사체까지의 거리와 휘도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500)의 저장 장치에 입력되어 저장된다. When the first stage of the release switch S1 is pressed to take a picture in consideration of the photographing composition of the subject (S110), the distance measuring unit 300 measures the distance to the subject, and the metering unit 400 measures the luminance appropriate for capturing the subject. The brightness of the subject is measured to determine the recognition (S120). The measured distance to the subject and the brightness are input to and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of the controller 500 (not shown).

측광부(400)에서 측정된 휘도의 결과값이 제어부(500)에 입력되고, 제어부(500)는 플래시를 발광시킬 휘도인지를 판단하여(S130), 만일, 저휘도라고 판단되면 플래시를 발광하기 위한 플래시 충전이 완료되었는지 충전부(810)를 통해 판단한다(S140). 만일, 충전이 되어있지 않으면, 충전부(810)의 플래시용 커패시터에 충전한다(S150). The resultant value of the luminance measured by the light metering unit 400 is input to the controller 500, and the controller 500 determines whether the luminance is to emit the flash (S130). It is determined through the charging unit 810 whether the flash charging is completed (S140). If it is not charged, it is charged in the flash capacitor of the charging unit 810 (S150).

제어부(500)는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3m 이내인지 측거부(300)를 통해 측거 결과를 입력받아 판단하여(S160), 릴리즈 스위치(S2)의 2단 동작 여부에 따라(S170) 예비 발광부(700)의 예비 발광용 다이오드(LED)가 지속적으로 점멸되도록 한다(S180). 이때, 예비 발광용 다이오드(LED)의 발광은, 첨부한 도2a에서와 같이, 제어부(500)에서 출력되는 주파수 신호에 의해 점멸하게 된다. 제어부(500)에서 출력되는 예비 발광을 위한 주파수 신호는 1/4 Hz로서, 이 주파수 신호에 의해 예비 발광용 다이오드(LED)가 점멸한다. 예비 발광을 위한 주파수 신호는 제어부(500)에서 조정이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 사용된 예비 발광을 위한 주파수 신호는 1/4 Hz이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controller 500 determines whether the distance to the subject is within 3m by receiving the measurement result through the ranging unit 300 (S160), and depending on whether the release switch S2 is operated in two stages (S170). The preliminary light emitting diode (LED) of 700 is continuously blinked (S180). At this time, the light emission of the preliminary light emitting diode (LED) is flickered by the frequency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500 as shown in FIG. 2A. The frequency signal for preliminary light emission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500 is 1/4 Hz, and the preliminary light emitting diode LED blinks by the frequency signal. The frequency signal for preliminary light emission can be adjusted by the controller 500. The frequency signal for preliminary light emission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1/4 Hz, but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된 예비 발광용 다이오드는 LED(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하고, 본 발광은 크세논 튜브(830)를 사용한다. 본 발광용으로 사용되는 크세논 튜브(830)는 고압의 크세논 가스를 사용한 방전등으로서, 발광시 휘도가 매우 높다. 또한, 플래시 트리거 소자로는 가격이 저렴한 SCR(Silicon Controlled Rectifier) 소자를 사용한다. 여기서 SCR 소자는, 규소의 단결정을 사용하여 P형과 N형의 부분을 엇갈리게 접합하여 전극을 붙인 것으로서, 광을 조사하는 장치에 널리 사용되는 소자이며, 종래의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소자보다 회로 구성이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하다.The preliminary light emitting diode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light emitting diode (LED), and the light emission uses a xenon tube 830. The xenon tube 830 used for the present light emission is a discharge lamp using high-pressure xenon gas, and the luminance at the time of light emission is very high. In addition, a low cost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SCR) device is used as a flash trigger device. Here, the SCR element is a device that is used in a device for irradiating light by bonding the P-type and N-type portions alternately by using a silicon single crystal, and is attached to the electrode, and compared with conventional IGBT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elements. The circuit configuration is simple and the price is low.

예비 발광이 끝나면, 제어부(500)는 본 발광을 행하기 위해 크세논 튜브(830)를 동작시킬 플래시 트리거 신호를 출력한다(S190). 플래시 발광은 충전부(820)의 도시하지 않은 플래시용 커패시터에 충전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광부(810)를 통해 이루어지고, 플래시의 발광과 동시에 피사체가 촬영된다(S200). After the preliminary light emission ends, the control unit 500 outputs a flash trigger signal for operating the xenon tube 830 to perform the main light emission (S190). Flash emission is performed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810 using energy charged in a flash capacitor (not shown) of the charging unit 820, and the subject is photographed at the same time as the flash light is emitted (S200).

피사체까지의 거리 판단 단계(S160)에서, 만일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3m이상인 경우, 릴리즈 스위치 2단 동작 여부에 따라 적목 감소용 예비 발광용 다이오드(LED)의 동작 주파수를 3m 이내의 동작 주파수의 2배로 출력하여 점멸되도록 한다. 즉, 제어부(500)가 1/2Hz의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여 예비 발광용 다이오드(LED)가 점멸 되도록 한다. 위와 같이, 근거리일 때 예비 발광을 위한 예비 발광용 다이오드(LED)의 동작 주파수가 원거리 일때의 동작 주파수보다 크게 한 이유는, 근거리 일 때 적목 현상 발생 확률이 원거리일 때 보다 높고, 예비 발광용 다이오드(LED)를 빠르게 점멸하면 피사체의 동공에 자극을 주는 시간적인 간격이 짧으므로 적목 현상 감소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istance to the subject (S160), if the distance to the subject is 3 m or more,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red-eye reduction preliminary light emitting diode (L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second release switch is operated is 2 Output doubled and blink. That is, the controller 500 outputs a frequency signal of 1/2 Hz so that the preliminary light emitting diode (LED) blinks. As described above, the reason why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preliminary light emitting diode (LED) for preliminary light emission at a short distance is larger than the operating frequency at a long distance is higher than that of a red eye phenomenon at a long distance and a preliminary light emitting diode at a long distance. If you flash (LED) quickly, the time interval for stimulating the pupil of the subject is short, so the effect of red-eye reduction can be maximized.

피사체의 측거 결과, 만일, 피사체가 플래시 발광을 하여 촬영할 수 있는 거리를 벗어난 경우, 제어부(500)는 측거부(300)가 피사체까지의 거리 측정을 할 수 없는 경우로 판단하여(S240) 셔터 잠금을 실행하여 셔터가 동작되지 않도록 하고, 촬영자로 하여금 촬영 할 피사체의 대상을 확인하도록 상기시킨다(S250). As a result of the ranging of the subject, if the subject is out of the distance to be photographed by flashing light, the control unit 500 determines that the ranging unit 300 cannot measure the distance to the subject (S240). In order to prevent the shutter from operating by performing the above, the photographer is reminded to check the target of the subject to be photographed (S250).

플래시 발광 휘도 판단 단계(S130)에서, 만일,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측 광 결과가 플래시 발광 휘도가 아닌 경우, 릴리즈 스위치 2단 동작 여부에 따라(S260) 본 발광을 바로 실행하고 촬영을 한다(S190~S200)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flash light emission brightness (S130), if the photometric result of the subject to be photographed is not the flash light brightness, depending on whether the second release switch operation is performed (S260), the flash light is immediately executed and the camera is photographed (S190). ~ S200)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적목 현상 감소를 위한 플래시 발광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flash light emitting device and a method for reducing red eye of a camera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적목 현상 감소를 위한 플래시 발광 장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플래시 발광 장치의 구성과 동일하며,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발광 장치의 구성 중,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플래시 발광 장치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flash light emitting device for reducing the red eye of the camer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lash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mong the configurations of the flash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same as that of the flash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도4a 내지 도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예비 발광부의 동작 주파수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며, 도5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적목 발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4A to 4B are waveform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ng frequency of a preliminary light emitting unit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d eye light emitting method of a camera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도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적목 발광 장치 및 방법에서, 3m 이내의 근거리 및 3m~5m 이내의 중거리에 위치한 피사체에 대한 예비 발광은 예비 발광용 다이오드(LED)를 사용하고, 5m 이상의 원거리에 위치한 피사체에 대한 예비 발광은 크세논 튜브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특히, 플래시의 발광을 위한 충전용 커패시터는 예비 발광용과 본 발광용 각각 1개씩, 전체적으로 2개의 충전용 커패시터를 사용한다. As shown in FIG. 4, in the red eye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the camer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liminary light emission for a subject located at a short distance within 3 m and a medium distance within 3 m to 5 m is performed by using a preliminary light emitting diode ( LED), and preliminary light emission for a subject located at a distance of 5 m or more is performed using a xenon tube. In particular, the charging capacitor for emitting light of the flash uses two charging capacitors, one for each of preliminary light emission and one for main light emission.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적목 현상 감소를 위한 플래시 발광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lash light emitting device for reducing the red eye of the camer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촬영자가 피사체의 촬영을 위해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S3)를 눌러서 적목 감소 모드를 선택하면(S300), 촬영 모드 표시부(200)에 적목 감소 모드가 선택되었음을 알리는 표시가 보여지면서 이때부터는 적목 감소 모드로 피사체를 촬영한다. When the photographer selects the red-eye reduction mode by pressing the shooting mode selection switch (S3) to shoot the subject (S300), the recording mode display unit 200 displays an indication that the red-eye reduction mode has been selected, and from this time on, the red-eye reduction mode is selected. Shoot the subject.

촬영자가 릴리즈 스위치(S1)의 1단을 누르면(S310), 측거부(300)는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광부(400)는 피사체 촬영에 적절한 휘도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피사체의 휘도를 측정한다(S320). When the photographer presses the first stage of the release switch S1 (S310), the ranger 300 measures the distance to the subject, and the metering unit 400 measures the luminance of the subject to determine whether the luminance is suitable for photographing the subject. Measure (S320).

측광부(400)에서 측정된 휘도의 결과값이 제어부(500)에 입력되고, 제어부(500)는 플래시를 발광시킬 휘도인지를 판단하여(S330), 만일, 저휘도라고 판단되면 플래시를 발광하기 위한 플래시 충전이 완료되었는지 충전부(810)를 통해 판단한다(S340). 만일, 충전이 되어있지 않으면, 충전부(810)의 플래시용 커패시터에 충전한다(S350). The resultant value of the luminance measured by the photometric unit 400 is input to the controller 500, and the controller 500 determines whether the luminance is to emit the flash (S330). It is determined through the charging unit 810 whether the flash charging is completed (S340). If it is not charged, it is charged in the flash capacitor of the charging unit 810 (S350).

제어부(500)는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3m 이내인지 측거부(300)를 통해 판단하여(S360) 릴리즈 스위치(S2)의 2단 동작 여부를 판단하고(S370), 예비 발광부(700)의 예비 발광용 다이오드(LED)가 지속적으로 점멸되도록 한다(S380). 이때, 예비 발광용 다이오드(LED)의 발광은, 첨부한 도2a에서와 같이, 제어부(500)에서 출력되는 주파수 신호에 의해 점멸하게 된다. 제어부(500)에서 출력되는 예비 발광을 위한 주파수 신호는 1/4 Hz로서, 이 주파수 신호에 의해 예비 발광용 다이오드(LED)가 점멸한다. 예비 발광을 위한 주파수 신호는 제어부(500)에서 조정이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 사용된 예비 발광을 위한 주파수 신호는 1/4 Hz이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controller 500 determines whether the distance to the subject is within 3 m through the measuring unit 300 (S360), and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stage operation of the release switch S2 is performed (S370), and reserves the preliminary light emitting unit 700. The light emitting diode (LED) is continuously blinked (S380). At this time, the light emission of the preliminary light emitting diode (LED) is flickered by the frequency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500 as shown in FIG. 2A. The frequency signal for preliminary light emission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500 is 1/4 Hz, and the preliminary light emitting diode LED blinks by the frequency signal. The frequency signal for preliminary light emission can be adjusted by the controller 500. The frequency signal for preliminary light emission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1/4 Hz, but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비 발광이 끝나면, 제어부(500)는 본 발광을 행하기 위해 크세논 튜브(830)를 동작시킬 플래시 트리거 신호를 출력한다(S390). 플래시 발광은 충전부(820)의 도시하지 않은 플래시용 커패시터에 충전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광부(810)를 통해 이루어지고, 플래시의 발광과 동시에 피사체가 촬영된다(S400). After the preliminary light emission ends, the control unit 500 outputs a flash trigger signal for operating the xenon tube 830 to perform the main light emission (S390). Flash emission is performed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810 using energy charged in a flash capacitor (not shown) of the charging unit 820, and the subject is photographed at the same time as the flash is emitted (S400).

피사체까지의 거리 판단 단계(S360)에서, 만일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3m~5m 이내인 경우(S410), 릴리즈 스위치 2단 동작 여부에 따라(S420) 적목 감소용 예비 발광용 다이오드(LED)의 동작 주파수를 3m 이내일 때의 동작 주파수의 2배로 출력하여 점멸되도록 한다(S430). 즉, 제어부(500)가 1/2Hz의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여 예비 발광용 다이오드(LED)가 점멸 되도록 한다.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istance to the subject (S360), if the distance to the subject is within 3 m to 5 m (S410), depending on whether the release switch is operated in two stages (S420), an operation of the red-eye reduction light emitting diode (LED) is performed. The frequency is output at twice the operating frequency when within 3m to flicker (S430). That is, the controller 500 outputs a frequency signal of 1/2 Hz so that the preliminary light emitting diode (LED) blinks.

피사체까지의 거리 판단 단계(S360)에서, 만일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5m 이상인 경우(S440), 릴리즈 스위치 2단 동작 여부에 따라(S450) 크세논 튜브(830)를 이용하여 적목 현상 감소를 위한 예비 발광을 1회 실시하고(S460), 본 발광 또한 크세톤 튜브(830)를 사용하여 행한다(S390).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istance to the subject (S360), if the distance to the subject is 5 m or more (S440), depending on whether the release switch is operated in two stages (S450), the preliminary light emission for red-eye reduction is performed by using the xenon tube 830. Is performed once (S460), and the present light emission is also performed using the xentone tube 830 (S390).

피사체의 측거 결과, 만일, 피사체가 플래시 발광을 하여 촬영할 수 있는 거리를 벗어난 경우, 제어부(500)는 측거부(300)가 피사체까지의 거리 측정을 할 수 없는 경우로 판단하여(S470) 셔터 잠금을 실행하여 셔터가 동작되지 않도록 하고(S480), 촬영자로 하여금 촬영 할 피사체의 대상을 확인하도록 상기시킨다. As a result of the ranging of the subject, if the subject is out of the distance to be photographed by flashing light, the control unit 500 determines that the ranging unit 300 cannot measure the distance to the subject (S470). In order to prevent the shutter from being operated (S480), the photographer is reminded to identify a target of a subject to be photographed.

플래시 발광 휘도 판단 단계(S330)에서, 만일,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측광 결과가 플래시 발광 휘도가 아닌 경우, 릴리즈 스위치 2단 동작 여부에 따라(S490) 본 발광을 바로 실행하고 촬영을 한다.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flash light emission luminance (S330), if the metering result of the subject to be photographed is not the flash light emission brightness, the light emission is immediately performed according to whether the release switch 2 is operated (S490) and photographing is per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많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특히 본 발명에서 예비 발광 동작 주파수는 적목 감소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 주파수의 변경이 가능하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liminary emission operating frequency may be changed in order to maximize the red-eye reduction effect.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의 적목 현상 감소를 위한 플래시 발광 장치 및 방법은 예비 발광후에 시간 지연이 없이 즉시 본 발광을 행함으로써 전체적인 촬영 시간을 단축시켜 촬영자의 손떨림으로 인한 사진 흐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lash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the red-eye of the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rtens the overall shooting time by performing the main flash immediately after the preliminary flash without any time delay, thereby minimizing the blurring of the photo caused by the camera shake. can do.

또한, 적목 현상 감소를 위한 예비 발광을 측거된 거리에 따라 다르게 행함으로써 효과적인 피사체의 적목 현상 감소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비 발광시에 플래시만 두 번 발광하는 장치에 비해 플래시 발광을 위한 충전 에너지의 소비가 줄어들어 이에 따른 충전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by performing the preliminary flash to reduce the red-eye according to the distance measured, not only can the subject be photographed with the effective red-eye reduction, but also compared to a device that emits only two flashes during the preliminary flash. The consumption of the charging energy is reduced, thereby shortening the charging time.

또한, 본 발광을 하는 발광용 소자로서 가격이 저렴하고 회로 구성이 간단한 소자를 사용함으로써 회로 부분을 소형화하여 생산 가격을 낮출 수 있다.




In addition, by using a low-cost device having a simple circuit configuration as the light emitting device for light emission of the present light emission, the circuit portion can be miniaturized to lower the production cost.




Claims (6)

피사체의 촬영시 발생하는 적목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예비 발광용 소자를 이용하는 플래시 발광 장치에 있어서,A flash light emitting device using a preliminary light emitting element in order to reduce a red eye phenomenon occurring when photographing a subject,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피사체의 휘도를 측정하는 릴리즈 1단 동작과 피사체를 촬영하는 릴리즈 2단 동작을 선택하는 릴리즈 스위치,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를 가지는 스위칭부;A switching unit having a release switch for measuring a distance to a subject and a luminance of the subject, a release switch for selecting a release two-stage operation for photographing a subject, and a shooting mode selection switch for selecting a shooting mode; 상기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피사체의 촬영 모드를 표시하는 촬영 모드 표시부;A shooting mode display unit displaying a shooting mode of the subject by the operation of the shooting mode selection switch; 상기 릴리즈 스위치의 1단 동작으로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거부; A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distance to a subject in one step of operation of the release switch; 상기 릴리즈 스위치의 1단 동작으로 피사체의 휘도를 측정하는 측광부;A light metering unit measuring luminance of a subject by one step operation of the release switch; 상기 릴리즈 스위치의 동작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측거부와 상기 측광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촬영 모드 표시부가 동작하도록 동작신호를 출력하며, 예비 발광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주파수 신호를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따라 다르게 출력하는 제어부; Receives an operation signal of the release switch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ranger and the metering unit, outputs an operation signal to operate the shooting mode display unit, the frequency signal for operating the preliminary light emitting unit to the distance to the subject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differently accordingly; 피사체 촬영시 발생하는 적목 현상을 없애기 위해,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1 주파수 신호에 따라 발광하는 예비 발광부;A preliminary light emitter which emits light according to a first frequency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in order to eliminate red eye occurring when a subject is photographed; 상기 예비 발광부의 예비 발광이 완료된 후,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2 주파수 신호에 의해 발광하여 피사체 촬영에 적합한 광을 발광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가 광을 발광하도록 축적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부를 가지는 플래시 구동부After the preliminary light emission of the preliminary light emitting unit is completed, the light emitting unit emits light by the second frequency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to emit light suitable for photographing a subject, and the light emitting unit has a charging unit supplying power accumulated to emit light. Flash drive 를 포함하는 카메라의 적목 현상 감소를 위한 플래시 발광 장치.Flash emitting device for reducing the red eye of the camera comprising a. 제1항에서,In claim 1, 상기 예비 발광부는The preliminary light emitting unit 예비 발광용 다이오드와 상기 예비 발광 다이오드의 전류 제어용 저항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의 적목 현상 감소를 위한 플래시 발광 장치.And a preliminary light emitting diode and a resistor for controlling current of the preliminary light emitting diode. 카메라의 예비 발광용 소자와 본 발광용 소자를 포함한 플래시 장치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적목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플래시 발광 방법에 있어서,In the flash light emitting method for reducing the red-eye of the subject by using a flash device including a pre-light emitting device of the camera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촬영자가 상기 카메라에서 적목 감소 촬영 모드를 선택하여 릴리즈 스위치 1단 동작을 행하여 피사체까지의 거리 및 피사체의 휘도를 측정하는 단계;A photographer selecting a red-eye reduction photographing mode in the camera to perform a release switch 1 step to measure a distance to a subject and brightness of the subject; 측정된 휘도가 상기 플래시를 발광하여야 할 휘도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플래시를 충전하는 단계;Charging the flash by determining whether the measured brightness is the brightness at which the flash should emit light;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특정 거리 이내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예비 발광용 소자를 제1 주파수 신호로 점멸하고,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상기 특정 거리 이상이면 상기 예비 발광용 소자를 제2 주파수 신호로 점멸하는 단계;The preliminary light emitting device blinks with the first frequency signal by determining whether the distance to the subject is within a specific distance, and the preliminary light emitting device blinks with the second frequency signal when the distance to the subjec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pecific distance. Making; 상기 예비 발광용 소자의 점멸이 완료된 후, 상기 본 발광용 소자를 구동시키는 신호로 상기 본 발광용 소자를 동작시키는 단계After the flashing of the preliminary light emitting device is completed, operating the main light emitting device with a signal for driving the main light emitting device; 를 포함하는 카메라의 적목 현상 감소를 위한 플래시 발광 방법.Flash emission method for reducing the red eye of the camera comprising a. 제3항에서,In claim 3, 상기 제1 주파수 신호는The first frequency signal is 상기 제2 주파수 신호보다 더 높은 주파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적목 현상 감소를 위한 플래시 발광 방법.Flash emission method for reducing the red eye of the camera,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higher frequency than the second frequency signal. 제3항에서,In claim 3, 상기 특정 거리 판단 단계는The specific distance determination step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판단할 수 없는 경우, 피사체까지의 측거 불가능으로 판단하여 셔터 동작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의 적목 현상 감소를 위한 플래시 발광 방법.If the distance to the subject cannot be determined, determining that the distance to the subject is impossible and stopping the shutter operation. 카메라의 예비 발광용 소자와 본 발광용 소자를 포함한 플래시 장치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적목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플래시 발광 방법에 있어서,In the flash light emitting method for reducing the red-eye of the subject by using a flash device including a pre-light emitting device of the camera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촬영자가 상기 카메라에서 적목 감소 촬영 모드를 선택하여 릴리즈 스위치 1단 동작을 행하여 피사체까지의 거리 및 피사체의 휘도를 측정하는 단계;A photographer selecting a red-eye reduction photographing mode in the camera to perform a release switch 1 step to measure a distance to a subject and brightness of the subject; 측정된 휘도가 상기 플래시를 발광하여야 할 휘도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플래시를 충전하는 단계;Charging the flash by determining whether the measured brightness is the brightness at which the flash should emit light;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제1 특정 거리 이내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예비 발광용 소자의 점멸을 제1 주파수 신호로 점멸하고,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1 특정 거리와 제2 특정 거리 사이이면 상기 예비 발광용 소자의 점멸을 제2 주 파수 신호로 점멸하고,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2 특정 거리 이상이면 상기 본 발광용 소자를 이용하여 예비 발광과 본 발광을 연속하여 실행하는 단계;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istance to the subject is within a first specific distance, and the blinking of the preliminary light emitting element is flickered with a first frequency signal, and when the distance to the subject is between the first specific distance and the second specific distance, Flashing the preliminary light emitting element with a second frequency signal and continuously performing preliminary light emission and the main light emission using the main light emitting element when the distance to the subjec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specific distance; 상기 예비 발광용 소자의 점멸이 완료된 후, 상기 본 발광용 소자를 구동시키는 신호로 상기 본 발광용 소자를 동작시키는 단계After the flashing of the preliminary light emitting device is completed, operating the main light emitting device with a signal for driving the main light emitting device; 를 포함하는 카메라의 적목 현상 감소를 위한 플래시 발광 방법.Flash emission method for reducing the red eye of the camera comprising a.
KR1020010015863A 2001-03-27 2001-03-27 A flash emitting device for decreasing a red-eye phenomenon in camera and a method KR1007939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5863A KR100793939B1 (en) 2001-03-27 2001-03-27 A flash emitting device for decreasing a red-eye phenomenon in camera and a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5863A KR100793939B1 (en) 2001-03-27 2001-03-27 A flash emitting device for decreasing a red-eye phenomenon in camera and a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5664A KR20020075664A (en) 2002-10-05
KR100793939B1 true KR100793939B1 (en) 2008-01-16

Family

ID=27698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5863A KR100793939B1 (en) 2001-03-27 2001-03-27 A flash emitting device for decreasing a red-eye phenomenon in camera and a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393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1029A (en) * 1990-06-18 1992-02-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ulse-driven electronic flash device
JPH06194726A (en) * 1992-12-22 1994-07-15 Fuji Photo Film Co Ltd Camera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H0777720A (en) * 1993-09-09 1995-03-20 Canon Inc Camera
KR20010094614A (en) * 2000-03-31 2001-11-01 이중구 Control a photographing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a red ey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1029A (en) * 1990-06-18 1992-02-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ulse-driven electronic flash device
JPH06194726A (en) * 1992-12-22 1994-07-15 Fuji Photo Film Co Ltd Camera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H0777720A (en) * 1993-09-09 1995-03-20 Canon Inc Camera
KR20010094614A (en) * 2000-03-31 2001-11-01 이중구 Control a photographing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a red ey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5664A (en) 200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4880B2 (en) Photographic illumination device, image-capturing system, camera system and camera
US6259862B1 (en) Red-eye reduction using multiple function light source
US7660520B2 (en) Camera system with current and discharge controlled illumination
JP2005128145A (en) Illuminator for photographing
KR100793939B1 (en) A flash emitting device for decreasing a red-eye phenomenon in camera and a method
JP4586211B2 (en) Imaging device
KR20150057041A (en) LED light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cameras
JP2502801B2 (en) Camera with built-in strobe
JP2001174884A (en) Stroboscopic photographing device
JP2005128399A (en) Illumination controller
KR950001386A (en) Camera with close-up photography range and its control method
JP2007047544A (en) Strobe apparatus
JP2020003581A (en) Imaging system, imaging device, luminaire and control method
JP2006227228A (en) Illumination photographing apparatus, illuminating device and photographing device
JPH0777733A (en) Self-timer device for camera
JP4169240B2 (en) Camera with repeat shooting function
JP4262821B2 (en) Imaging strobe device
JP2004252413A (en) Camera
JP2000267172A (en) Light emission controller, and equipment, finder device and camera provided with the controller
KR100771945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red eye development of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0153282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error-operating detecting for flash photographic by photographer
KR19980019805A (en) Automatic lamp control device for camera and its method
JP2000231145A (en) Controller for stroboscope of camera
JP2004361445A (en) Flashing device
JP2003107566A (en) Camera with electronic flash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