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2158B1 - 일회용 빨대 및 이를 이용한 내용물 유출 방지방법 - Google Patents

일회용 빨대 및 이를 이용한 내용물 유출 방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2158B1
KR100792158B1 KR1020060087193A KR20060087193A KR100792158B1 KR 100792158 B1 KR100792158 B1 KR 100792158B1 KR 1020060087193 A KR1020060087193 A KR 1020060087193A KR 20060087193 A KR20060087193 A KR 20060087193A KR 100792158 B1 KR100792158 B1 KR 100792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inlet
blocking
body portion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7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보의
Original Assignee
황보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21689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79215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황보의 filed Critical 황보의
Priority to KR1020060087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21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2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2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47G21/186Details of bendable str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일회용 빨대 및 이를 이용한 내용물 유출 방지방법이 개시된다. 관형의 몸체부와, 몸체부의 일단에 형성된 유입구와, 몸체부의 타단에 형성된 유출구와,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의 몸체부에 형성된 제1 차단부와, 제1 차단부와 유입구 사이의 몸체부에 형성된 제2 차단부를 포함하는 일회용 빨대가 제공된다. 이러한 일회용 빨대는 제1 차단부와 제2 차단부를 접어서 용기 내부의 음료수가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차단부, 유출구, 유입구, 음료수, 몸체부

Description

일회용 빨대 및 이를 이용한 내용물 유출 방지방법{Disposable straw and using method thereof}
도 1a와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일회용 빨대의 사시도.
도 2a는 종래기술에 따른 용기 사시도.
도 2b는 종래기술에 따른 일회용 빨대와 팩이 결합한 사시도.
도 3a와 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빨대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빨대의 사용 예시도.
도 3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빨대의 사시도.
도 3e와 도 3f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빨대의 사용 예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빨대의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빨대의 사용 예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빨대의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빨대의 사용 예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빨대의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빨대의 사용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빨대의 사용방법의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7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빨대의 사용방법의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명칭 설명>
30: 빨대 30b: 유입구
30a: 유출구 39: 몸체부
301: 제1 차단부 302: 제2 차단부
본 발명은 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용물 유출 방지 기능을 갖춘 일회용 빨대에 관한 것이다.
팩에 든 음료수나 패스트 푸드점의 탄산음료 등을 용이하게 음용하기 위하여 빨대를 사용한다. 도 1a와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빨대의 사시도이다. 도 1a는 일자형 빨대(10)로서, 음료수가 담긴 용기에 삽입하는 유입구(12)와 음료수가 유출되는 유출구(11)로 구성된다. 도 1b는 음료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음용할 수 있도록, 주름부(22)가 추가적으로 형성된 빨대(20)이다. 주름부(22)는 원하는 각도로 자유 자제로 구부릴 수 있어서, 소비자가 고개를 많이 숙이지 않고도 편리하게 음 료수를 섭취하도록 해준다. 한편, 이러한 빨대(10, 20)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져, 신축성과 탄력성이 있다.
도 2a는 종래기술에 따른 용기 사시도이며, 도 2b는 종래기술에 따른 일회용 빨대와 팩의 용기 사시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용기(200)를 '팩'이라고 한다. 팩의 몸체부(201)는 두꺼운 종이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부에는 결합부(202)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202)는 비교적 강도가 낮은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빨대(20)를 강하게 꽂을 경우 찢어진다. 그러나, 한번 찢어진 결합부(202)는 원상 회복할 수 없으며, 도 2b와 같이 빨대(20)와 결합한 상태로 소비자는 음료수를 음용할 수 밖에 없다.
이때, 한 번에 용기(200) 안에 든 음료수를 다 음용하면 문제가 없지만, 일부만 음용하고 이동할 시에는 유출구(20a)로 음료수가 흘러 나오거나, 결합부(202)와 빨대(20)사이에 틈 사이로 음료수가 흘러 나오기도 한다. 따라서, 소비자는 용기(200)가 스러지지 않도록 결합부(202)와 빨대(20)를 들고 다녀야 했으며, 주의를 요했다.
더욱이, 팩(200) 형태의 용기는 몸체가 잘 찌그러져서 음료수가 압력에 의해 더욱 쉽게 유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용기에 빨대를 꽂더라도 용기의 유출구로 음료수가 역류하지 않는 일회용 빨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관형의 몸체부와, 몸체부의 일단에 형성된 유입구와, 몸체부의 타단에 형성된 유출구와,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의 몸체부에 형성된 제1 차단부와, 제1 차단부와 유입구 사이의 몸체부에 형성된 제2 차단부를 포함하는 일회용 빨대가 제공된다. 이러한 일회용 빨대는 제1 차단부와 제2 차단부를 접어서 용기 내부의 음료수가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1 차단부와 상기 제2 차단부는 상기 몸체부를 일부 제거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형성된 표지의 형태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제1 차단부와 상기 제2 차단부는 상기 몸체부를 기준으로 사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차단부와 제2 차단부가 사선으로 형성될 경우 이를 접으면 일정한 방향으로 유출구가 위치하게 되고, 이때, 몸체부를 기준으로 유출구의 위치를 옮기면 복원력이 발생한다. 이러한 복원력을 몸체부가 지탱함으로써, 빨대는 안정하게 접힌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복원력에 대해서는 이하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상기 제2 차단부와 상기 유입구 사이의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몸체부의 직경보다 더 큰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유입구 방향으로부터 상기 유출구 방향으로 직경이 커지는 제1 경사부와, 유출구 방향에서 상기 유입구 방향으로 직경이 커지는 제2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1 경사부와 상기 제2 경사부 사이에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는 용기와 빨대의 몸체부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관형의 몸체부와, 몸체부의 일단에 형성된 유입구와, 몸체부의 타단에 형성된 유출구와,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의 몸체부에 형성된 주름부와,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의 몸체부에 형성된 차단부를 포함하는 일회용 빨대가 제공된다.
상기 차단부는 상기 유출구와 상기 주름부의 사이의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위치에 차단부가 형성될 경우 보다 쉽게 용기 내부의 음료수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주름부와 상기 유입구 사이의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유입구의 직경보다 더 큰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의 형태는 이미 설명한 바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된 관형의 몸체부와,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 사이에 형성된 제1 차단부와, 상기 제1 차단부와 상기 유입구 사이에 형성된 제2 차단부를 포함하는 일회용 빨대를; 용기와 결합한 후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게 하는 방법에 있어서,(a) 상기 빨대를 상기 유입구 방향으로 용기에 결합하는 단계, (b) 상기 제1 차단부와 상기 제2 차단부를 접어 상기 몸체부 내부를 차단하는 단계, (c) 상기 제1 차단부와 상기 제2 차단부가 풀리지 않도록 상기 유출구를 용기상부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회용 빨대의 내용물 유출 방지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 사이에 형성된 주름부와,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 사이에 형성된 차단부를 포함하는 일회용 빨대; 를 용기와 결합한 후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빨대를 상기 유입구 방향으로 용기에 결합하는 단계, (b) 상기 차단부를 접어 상기 몸체부 내부 공간을 차단하는 단계, (c) 상기 차단부가 풀리지 않도록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유출구를 용기상부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회용 빨대의 내용물 유출 방지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빨대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빨대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빨대(30), 유입구(30b), 유출구(30a), 몸체부(39), 제1 차단부(301), 제2 차단부(302)가 도시되어 있다.
몸체부(39)는 신축성있는 재질이 사용되며, 관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액체나 기체가 통과할 수 있는 구조이다. 몸체부(39)의 일단에는 유입구(30b)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유출구(30a)가 형성되어 있다. 유입구(30b)는 용기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음료수 등의 액체가 들어가는 입구이다. 유입구(30b)로 들어간 액체는 유출구(30b)를 통하여 외부로 나오게 된다.
몸체부(39)에는 제1 차단부(301)과 제2 차단부(302)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차단부(301)는 유입구(30b)와 유출구(30a) 사이에 위치하며, 바람직하게는 유출구(30a)에 가깝게 형성된다. 제2 차단부(302)는 유입구(30b)와 제1 차단부(301)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빨대(20)가 용기에 삽입될 경우 제1 차단부(301)와 제2 차단부(302)는 용기 내부에 삽입되지 않도록 위치하여야 한다.
제1 차단부(301)와 제2 차단부(302)는 액체, 즉 용기 내부의 음료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3a이 확대 단면도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1 차단부(301)는 몸체부(39)의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된 홈의 형태이다. 도면의 경우 제1 차단부(301)에 형성된 홈은 몸체부(39)의 외벽이 일부 제거되어 형성되었으나, 내벽의 일부가 제거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제2 차단부(302)도 제1 차단부(301)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홈이 형성되면, 제1 차단부(301)와 제2 차단부(302)에서 몸체부(39)는 쉽게 접힌다. 즉, 제1 차단부(301)와 제2 차단부(302)에 형성된 홈은 몸체부(39)를 꺽어서 접을 경우 쉽게 그 위치에서 접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그 모양은 상관없다. 도 3c의 확대 단면도와 같이 쇄기형의 홈일 수도 있다. 또한, 제조 공정에서 미리 한번 프레스나 기타 기구를 이용하여 미리 접어둔 위치여서, 소비자가 이후 다시 접을 경우 쉽게 접히도록 형성되거나, 사용자가 쉽게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점선이나, 직선 등 일정한 모양으로 형성된 표식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 3a의 경우 몸체부(39)의 일부분에만 제1 및 제2 차단부(301, 302)가 형성되어 있으나, 몸체부(39)의 외주면에 환형으로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렇게 될 경우 몸체부(39)의 복원력이 좋지 않기 때문에, 될 수 있는 한 일부분에만 홈 등으로 제1 및 제2 차단부(301, 30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빨대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빨대(30)를 유입구(미도시) 방향으로 용기 내부에 삽입하면 제1 차단부(301)와 제2 차단부(302)는 외부로 노출된다. 유출구(30a)를 통하여 용기 내부의 음료수를 일부 음용한 후, 나머지를 보관하거나, 이동할 경우에는 도면과 같이 제1 차단부(301)와 제2 차단부(302)를 동일한 방향으로 접는다. 결과적으로 몸체부(39)는 삼각형 모양의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도 3b의 확대 단면도와 같이 제1 차단부(301)의 몸체부(39)의 내벽은 서로 접촉하여 몸체부(39)의 내부 공간을 차단하고, 액체나 기체가 이동할 수 없도록 만든다. 이는 제2 차단부(302)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몸체부(39)는 신축성이 좋은 합성수지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제1 차단부(301)와 제2 차단부(302)를 접은 상태로 가만히 둘 경우 도 3b의 화살표와 같이 다시 원상복귀하려는 복원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복원력을 상쇄할 힘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빨대(30)가 용기(200)에 결합한 상태에서, 제1 차단부(301)와 제2 차단부(302)를 접을 경우, 빨대(30)의 유입구(30a)를 용기상부(200a)에 위치시킴으로서, 복원력을 상쇄한다. 결과적으로 제1 차단부(301)와 제2 차단부(302)는 접힌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용기(200) 내부의 음료수는 용기(200)에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역류하여 유출구(30a)로 토출되지 않게 된다.
도 3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빨대의 사시도이며,
도 3e와 도 3f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빨대의 사용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실시예와 다르게 제1 차단부(301)와 제2 차단부(302)의 형성 모양을 몸체부(39)에 대하여 사선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사선으로 제1 차단부(301)와 제2 차단부(302)를 형성할 경우, 도 3f와 같이 자연스럽게 유출구(30a)는 몸체부(39) 뒤로 접혀진다.
이때, 강제적으로 도 3f와 같이 유출구(30a)를 몸체부(39) 앞으로 이동시킬경우 도 3f의 화살표와 같이 유출구(30a)가 다시 뒤로 가려는 복원력이 발생한다. 그러나, 몸체부(39)는 이러한 복원력을 지탱하므로 제1 차단부(301)와 제2 차단부(302)는 풀리지 않고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도 3f의 형태로 용기에 결합할 경우 몸체부(39)는 풀리지 않고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빨대의 사시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빨대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4a와 도4b를 참조하면, 빨대(40), 유입구(40b), 유출구(40a), 몸체부(49), 차단부(401), 주름부(404)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유출구(40a)와 인접한 몸체부(49)에 주름부(404)가 형성되어 있어서, 음료수의 음용을 용이하게 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유출구(40a)와 주름부(404) 사이에 차단부(40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단 부(401)의 형태는 이미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차단부(401)는 기본적으로 빨대(40)가 용기에 삽입될 경우 노출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몸체부(49)에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한 위치라면 주름부(404)를 제외하고 어디에 형성하여도 무방하나, 주름부(404)와 유출구(40a)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이 위치에서 차단부(401)를 접어 유출구(40a)를 용기상부(400a)에 둘 경우 쉽게 차단부(401)가 풀리지 않고, 도 4b와 같이 그 형태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한편, 도 4b와 같이, 제1 차단부(401)를 접은 상태로 둘 경우,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복원력이 발생하며, 이러한 복원력은 유출구(40a)를 용기상부(400a)에 위치시킴으로서 상쇄된다. 그러나, 복원력이 강할 경우, 용기(200) 내부에 삽입된 몸체부(49)가 외부로 밀려나오게 된다. 따라서, 용기(200) 내부의 몸체부(49)가 복원력에 의해서 밀려 나오지 않는 수단이 강구되어야 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빨대의 사시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빨대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5a와 도5b를 참조하면, 빨대(50), 유입구(50b), 유출구(50a), 몸체부(59), 제1 차단부(501), 제2 차단부(502), 고정부(506), 제1 경사부(506b), 제2 경사부(506a), 결합부(507)가 도시되어 있다.
고정부(506)는 몸체부(59)의 일부분으로, 제2 차단부(502)와 유입구(50b) 사 이에 위치한다. 고정부(506)는 용기(500) 내부에 삽입된 몸체부(59)가 외부로 밀려 나오지 않도록 걸림돌기 역할을 한다. 이러한 걸림돌기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용기(500)에 형성된 결합부(507)의 직경보다 고정부(506)의 직경이 더 커야 한다. 고정부(506)의 직경이 더 크더라도, 몸체부(59)는 내부가 관통된 합성수지이므로 고정부(506)가 용기(500)의 결합부(507)를 통과하여 용기 내부로 삽입되는 데는 무리가 없다.
고정부(506)는 제 1 경사부(506b)와 제2 경사부(506a)로 구성된다. 제1 경사부(506a)는 유입구(50b) 방향에서 유출구(50a)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몸체부(59)의 직경이 커지는 형태이며, 제2 경사부는 유출구(50a) 방향에서 유입구(50b)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몸체부(59)의 직경이 커지는 형태이다. 따라서, 고정부(506)에서 직경이 제일 큰 지점은 제1 경사부(506b)와 제2 경사부(506a)가 결합되는 지점이다.
도 5b와 같이 고정부(506)가 용기(500)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차단부(501)와 제2 차단부(502)를 접어, 유출구(50a)를 용기상부에 위치시킬 경우 유출구(50a)에서는 아래 방향의 복원력이 발생하고,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몸체부(59)는 윗 방향으로 상승력이 발생한다. 그러나, 이러한 상승력은 결합부(507)보다 직경이 큰 고정부(506)에 의해 차단되고, 아울러 복원력은 용기상부(500a)에 의해서 차단되므로, 도 5b와 같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제2 경사부(506a)는 결합부(507)를 막아 용기(500) 내부의 액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빨대의 사시도이며,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빨대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6a와 도 6b를 참조하면, 빨대(60), 유입구(60b), 유출구(60a), 몸체부(69), 제1 차단부(601), 제2 차단부(602), 고정부(606), 제1 경사부(606a), 제2 경사부(606b), 결합홈(606c), 결합부(607)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고정부(606)에 결합홈(606c)이 추가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합홈(606c)은 결합부(607)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여 끼움결합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결합홈(606c)의 직경이 고정부(606)의 최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경우 도 6b와 같이 결합후 몸체부(69)를 용기(600)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빨대의 사용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는 도 3a와 도 3b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형의 빨대(30)는 관형의 몸체부(39)의 양단에 유입구(30b)와 유출구(30a)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차단부(301)와 제2 차단부(302)가 각각 몸체부(39)에 형성되어 있다.
S71은 빨대(30)를 상기 유입구(30b) 방향으로 용기(200)에 결합하는 단계이다. 용기(200) 내부의 내용물(음료수)를 음용하기 위해서는 빨대(30)를 꽂아야 한다. 이러한 단계는 통상적인 단계이다.
S72는 제1 차단부(301)와 제2 차단부(302)를 접어 상기 몸체부(39) 내부로 내용물이 빨대(30) 내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단계이다. 제1 차단부(301)와 제2 차단부(302)를 접을 경우 도 3b와 같은 형태가 된다. 확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39) 내벽이 접촉하여, 내용물이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용기(200)에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내용물이 몸체부(39)를 통과하여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된다.
S73은 제1 차단부(301)와 상기 제2 차단부(302)가 풀리지 않도록 상기 유출구(30a)를 상기 용기상부(200a)에 위치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풀린다"는 의미는 빨대(30)의 몸체부(39) 재질이 합성수지이므로 복원력에 의해서 몸체부(39)의 내부 공간이 개방되는 경우를 말한다. 즉, 도 3b와 같이 유출구(30a)에서는 화살표 방향으로 복원력이 발생하고, 몸체부(39)는 다시 일자형을 유지하려고 한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유출구(30a)를 용기상부(200a)에 위치시킨다. 용기상부(200a)는 이러한 복원력을 상쇄시키게 된다.
그러나, 복원력이 강할 경우 용기(200) 내부의 몸체부(39)가 용기(200) 밖으로 나올 수 있으므로, 도 5b와 같이 몸체부(59)에 고정부(506)를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5b와 같이 고정부(506)를 이용하여 몸체부(39)를 용기(500)에 고정하는 단계는 S73 단계 전에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7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빨대의 사용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는 도 4a와 도 4b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빨대(40)는 관형의 몸체부(49)의 양단에 유입구(40a)와 유출구(40b)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주름부(404)가 형성되어 있다. 주름부(404)와 유출구(40b) 사이 에는 차단부(401)가 형성되어 있다.
S81은 빨대(40)를 상기 유입구(40b) 방향으로 용기(400)에 결합하는 단계이다. 용기(400) 내부의 내용물(음료수)을 음용하기 위해서는 빨대(40)의 몸체부(49)를 꽂아야 한다. 이러한 단계는 통상적인 단계이다.
S82는 차단부(401)를 접어 몸체부(49)의 내부 공간을 차단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차단부(401)의 형태와 작동 원리에 대해서는 이미 도 4a와 도 4b의 실시예에서 충분히 설명한 바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83은 차단부(401)가 풀리지 않도록 몸체부에 형성된 유출구(40a)를 용기상부에 위치시키는 단계이다. 이는 몸체부(49)의 내부 공간을 차단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단계이다.
본 실시예는 도 7의 제6 실시예와 전반적으로 동일하나, 주름부(404)와 하나의 차단부(401)가 형성된 빨대(40)를 사용한다는 면에서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상술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술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지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의 일회용 빨대는 용기에 꽂은 뒤에도 내용물 이 유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내부의 음료수 일부만 음용한 뒤에, 음료수를 옮기더라도 내용물이 흘러나올 위험 사라진다.

Claims (19)

  1. 삭제
  2. 관형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형성된 유입구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형성된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 사이의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제1 차단부와;
    상기 제1 차단부와 상기 유입구 사이의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제2 차단부를 포함하는 일회용 빨대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부와 상기 제2 차단부는 상기 몸체부를 일부 제거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빨대.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관형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형성된 유입구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형성된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 사이의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주름부와;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 사이의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차단부를 포함하는 일회용 빨대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유출구와 상기 주름부의 사이의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주름부와 상기 유입구 사이의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몸체부의 직경보다 더 큰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유입구 방향으로부터 상기 유출구 방향으로 직경이 커지 는 제1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빨대.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유출구 방향에서 상기 유입구 방향으로 직경이 커지는 제2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빨대.
  16. 삭제
  17.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된 관형의 몸체부와,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 사이에 형성된 제1 차단부와, 상기 제1 차단부와 상기 유입구 사이에 형성된 제2 차단부를 포함하는 일회용 빨대를; 용기와 결합한 후, 상기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게 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빨대를 상기 유입구 방향으로 용기에 결합하는 단계;
    (b) 상기 제1 차단부와 상기 제2 차단부를 접어 상기 몸체부 내부를 차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차단부와 상기 제2 차단부가 풀리지 않도록 상기 유출구를 용기상부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회용 빨대의 내용물 유출 방지방법 .
  18.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 사이에 형 성된 주름부와,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 사이에 형성된 차단부를 포함하는 일회용 빨대;를 용기와 결합한 후, 상기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빨대를 상기 유입구 방향으로 용기에 결합하는 단계;
    (b) 상기 차단부를 접어 상기 몸체부 내부 공간을 차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차단부가 풀리지 않도록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유출구를 용기상부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회용 빨대의 내용물 유출 방지방법 .
  19. 삭제
KR1020060087193A 2006-09-11 2006-09-11 일회용 빨대 및 이를 이용한 내용물 유출 방지방법 KR100792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193A KR100792158B1 (ko) 2006-09-11 2006-09-11 일회용 빨대 및 이를 이용한 내용물 유출 방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193A KR100792158B1 (ko) 2006-09-11 2006-09-11 일회용 빨대 및 이를 이용한 내용물 유출 방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2158B1 true KR100792158B1 (ko) 2008-01-04

Family

ID=39216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7193A KR100792158B1 (ko) 2006-09-11 2006-09-11 일회용 빨대 및 이를 이용한 내용물 유출 방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21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52978B1 (ja) * 2014-05-28 2015-01-14 アサヒ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ストロ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3860A (en) 1999-04-30 2000-06-13 Coppock; Craig A. Anti-spilling down flow drinking straw
KR100462455B1 (ko) 2002-05-07 2004-12-17 이규상 밸브 기능을 갖는 스트로우
US20050051639A1 (en) 2003-07-17 2005-03-10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Flip & sip drinking straw
KR20050044715A (ko) * 2001-12-05 2005-05-12 스마트실 에이에스 음료용기에서 액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방법 및 이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3860A (en) 1999-04-30 2000-06-13 Coppock; Craig A. Anti-spilling down flow drinking straw
KR20050044715A (ko) * 2001-12-05 2005-05-12 스마트실 에이에스 음료용기에서 액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방법 및 이의 장치
KR100462455B1 (ko) 2002-05-07 2004-12-17 이규상 밸브 기능을 갖는 스트로우
US20050051639A1 (en) 2003-07-17 2005-03-10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Flip & sip drinking straw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52978B1 (ja) * 2014-05-28 2015-01-14 アサヒ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ストロ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48790B2 (ja) パウチ容器
AU2009355786B2 (en) A cup with integral closure flaps
CN101720298A (zh) 具有防丢失和防空转的盖的容器
KR100718517B1 (ko) 시트 적층체
JP2008018991A (ja) 軟質包装袋の注出口
EP1585680A1 (en)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US9204745B2 (en) Cup holder
KR100792158B1 (ko) 일회용 빨대 및 이를 이용한 내용물 유출 방지방법
KR100792159B1 (ko) 일회용 스트로우
KR20090002365A (ko) 일회용 스트로우
KR20090000903A (ko) 일회용 빨대
KR20080112637A (ko) 일회용 빨대 및 이를 이용한 내용물 유출 방지방법
US20030226881A1 (en) Paper container
MXPA03000719A (es) Filtro distribuidor de combustible con elemento dual sensible al agua.
KR102127915B1 (ko) 양방향 음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
CN112340221B (zh) 带折叠塞子的冷热纸浆杯盖、容器组件和使用方法
JP3743205B2 (ja) 液体包装容器
JP2002154559A (ja) 液体包装容器
WO2008066096A1 (fr) Boîte destinée à recevoir du papier sanitaire à usage domestique
JP2006206098A (ja) 折畳みティッシュペーパホルダ
CN110870651A (zh) 组合式吸管容器
US20060219722A1 (en) Drink container attachment
CN211077094U (zh) 一种具有过滤功能的咖啡包
CN213536014U (zh) 一种垃圾桶
TWM573609U (zh) Container with straw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90528

Effective date: 2009082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