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1436B1 - 세탁기의 경도감지센서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경도감지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1436B1
KR100791436B1 KR1020060138593A KR20060138593A KR100791436B1 KR 100791436 B1 KR100791436 B1 KR 100791436B1 KR 1020060138593 A KR1020060138593 A KR 1020060138593A KR 20060138593 A KR20060138593 A KR 20060138593A KR 100791436 B1 KR100791436 B1 KR 100791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housing
hardness
temperature sensor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8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7243A (ko
Inventor
박용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8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1436B1/ko
Publication of KR20070007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7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1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1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6Washing liquid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0Washing liquid condition,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4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도감지센서에 세탁수에 함유된 이물질이 침전되어 침전층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기의 경도감지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터브의 하부에 형성된 에어챔버의 저면에 상부가 수직하게 삽입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에어챔버에 형성된 입출공을 통해 유입되는 세탁수의 경도를 감지하도록 상부에 전극센서와 온도센서가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극센서와 온도센서의 설치 부위는 상기 입출공의 하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극센서와 온도센서의 미설치 부위는 상기 전극센서와 온도센서의 설치 부위에서 상기 입출공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된 세탁기의 경도감지센서를 제공한다.
세탁기, 터브, 에어챔버, 경도감지센서, 하우징, 전극 센서, 온도센서

Description

세탁기의 경도감지센서 {Water hardness sensor for washing machin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용 경도감지센서가 도시된 상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용 경도감지센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용 경도감지센서가 도시된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2 : 터브 54 : 에어챔버
56 : 하우징 58 : 전극센서
60 : 온도센서 62 : 밀봉부재
70 : 플랜지부 76 : 단자부
본 발명은 세탁기의 경도감지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경도감지센서에 세탁수에 함유된 이물질이 침전되어 침전층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기 의 경도감지센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용 경도감지센서가 도시된 상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용 경도감지센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용 경도감지센서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2)의 에어챔버(4) 저면에 형성된 개구홀에 삽입 장착되는 하우징(6)과, 상기 하우징(6)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6)의 외측으로 일단이 관통되어 세탁수의 전도도를 감지하는 한 쌍의 전극센서(8)와, 상기 하우징(6)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6)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삽입돌기(10)에 일단이 삽입되어 세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2)와, 상기 하우징(6)에 충진되어 상기 전극센서(8)와 온도센서(12)를 고정하고 상기 하우징(6) 내측으로 세탁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부재(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6)은 저면이 개방된 원통형의 하우징 본체(16)와, 상기 하우징 본체(16)의 저면에 장착되는 하우징 커버(18)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 본체(16)는 상면에 전극센서(8)의 일단이 관통되는 한 쌍의 관통홀(20) 및 온도센서(12)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돌기(10)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커버(18)는 중앙에 상기 전극센서(8)와 온도센서(12)에서 감지된 측정치를 전기적인 신호로 인출하기 위한 단자부(22)가 형성된다.
이런 하우징 본체(16)의 하단 측부에는 복수개의 제 1 플랜지부(24)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커버(18)의 측부에는 상기 제 1 플랜지부(24)와 후크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 2 플랜지부(26)가 대응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극센서(8)는 일단이 상기 관통홀(20)을 통해 에어챔버(4)의 내부에 배치되고, 한 쌍의 일단이 상호 통전되면서 세탁수의 전도도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온도센서(12)는 상기 삽입돌기(10)에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삽입돌기(10)를 매개로 상기 터브(2)에서 에어챔버(4)로 유입된 세탁수의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용 경도감지센서는 상기 에어챔버(4)에 삽입되어 세탁수와 접수되는 하우징 본체(16)의 상면이 평탄하게 형성되고, 이런 하우징 본체(16)의 상면으로 세탁수에 함유된 각종 이물질이 침전되어 소정의 두께를 갖는 침전층(A)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침전층(A)은 상기 하우징 본체(16)의 상면에 위치된 상기 전극센서(8)와 온도센서(12)의 외측면을 덮게 되므로, 상기 전극센서(8)와 온도센서(12)의 감도를 저감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 상기 전극센서(8)와 온도센서(12)의 감도가 저하되면 세탁수의 경도를 정확히 감지할 수 없고, 따라서 세탁수의 경도에 따라 최적의 세탁방법으로 세탁기를 구동시킬 수 없으므로 전반적으로 세탁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경도감지센서의 구조를 개선하여 세탁수에 함유된 이물질에 의해 침전층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고, 그로 인해 상기 경도감지센서의 감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세탁기의 경도감지센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터브의 하부에 형성된 에어챔버의 하부에 상부가 수직하게 삽입되고, 상기 에어챔버에 형성된 입출공으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경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전극센서와 온도센서가 상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세탁기의 경도감지센서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 전극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의 미설치 부위는 상기 전극센서와 상기 온도센서가 설치된 부위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전극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의 미설치 부위 중에서 가장 낮은 부위는 상기 입출공의 상부보다는 낮고 상기 입출공의 하부보다는 높은 위치에 배치된 세탁기의 경도감지센서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경도감지센서는, 상기 에어챔버의 저면에 상부가 삽입되고 상면의 일부가 상향 돌출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돌출된 부분의 일측에 수직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전극센서와, 상기 하우징의 돌출된 부분의 타측에 수직하게 융기된 삽입돌기의 내측에 배치된 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상면은, 상기 돌출 부분에서 상면의 가장자리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면의 가장자리는 상기 입출공의 상부보다 낮고 상기 입출공의 하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용 경도감지센서가 도시된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용 경도감지센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52)의 에어챔버(54) 저면에 형성된 개구홀에 삽입 장착되고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하우징(56)과, 상기 하우징(56)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56)의 외측으로 일단이 관통 돌출되어 세탁수의 전도도를 감지하는 한 쌍의 전극센서(58)와, 상기 하우징(56)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56)의 외측으로 돌출된 삽입돌기(60a)에 일단이 삽입되어 세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60)와, 상기 하우징(56)에 충진되어 상기 전극센서(58)와 온도센서(60)를 고정하고 상기 하우징(56)의 내측으로 세탁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부재(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챔버(54)는 원통 형상으로 상기 터브(52)에 일체로 형성되고, 이런 에어챔버(54)와 터브(52)가 연결되는 부분 일측에는 세탁수가 상기 터브(52)와 에어챔버(54)로 출입되는 입출공(6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56)은 저면이 개방된 원통형의 하우징 본체(66)와, 상기 하우징 본체(66)의 저면에 장착되는 하우징 커버(68)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56)의 측부에는 복수개의 플랜지부(70)가 형성된다.
이런 플랜지부(70)는 상기 하우징 본체(66)의 측면 하부에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형성된 제 1 플랜지부(72)와, 상기 하우징 커버(68)의 측면에 상기 제 1 플랜지부(72)와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플랜지부(72)에 후크 결합되는 제 2 플랜지부(74)로 구성된다.
한편, 세탁시 상기 에어챔버(54)에 담수된 세탁수에는 이물질이 함유되어 상기 하우징 본체(56)의 상면으로 침전되고, 상기 하우징 본체(66)는 침전되는 이물질에 의해 침전층(B)이 형성되지 않도록 상면이 구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하우징 본체(66)의 상면은 구형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하우징 본체(66)로 침전된 이물질이 상기 하우징 본체(66)의 상면을 따라 자중에 의하여 하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이물질은, 상기 하우징 본체(66)의 상면 가장자리에 모이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 본체(66)의 상면에서 가장 높은 부위인 중앙에 상기 전극센서(58) 및 상기 온도센서(60)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전극센서(58) 및 상기 온도센서(60)의 주변에는 이물질이 침적되지 않는다.
상기 하우징 본체(66)의 상면 가장자리는, 상기 입출공(64)의 하부보다는 높고 상기 입출공(64)의 상부보다는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본체(66)의 상면 중앙은, 상기 하우징 본체(66)의 상면 가장자리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므로, 상기 입출공(64)의 하부보다는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 본체(66)의 상면 가장자리에 수집된 침전물은, 세탁기의 배수 행정시 상기 에어챔버(54) 내의 세탁수와 함께 상기 하우징 본체(66)의 입출공(64)으로 씻겨져 완전히 배출된다. 왜냐하면, 상기 입출공(64)의 하부보다 상기 하우징 본체(66)의 상면 가장자리가 낮게 형성되면, 상기 하우징 본체(66)의 상면 가장자리 및 상기 입출공(64)의 하부 사이의 높이차로 인하여 상기 이물질이 완전히 배출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 본체(66)의 상면 가장자리에 잔류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입출공(64)의 상부보다 상기 하우징 본체(66)의 상면 가장자리가 높게 형성되면, 상기 하우징 본체(66)에 의하여 상기 입출공(64)이 막혀 상기 이물질의 배출이 불가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하우징 본체(66)는 상면에 전극센서(58)의 일단이 관통되는 한 쌍의 관통홀(58a) 및 온도센서(60)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돌기(60a)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커버(68)는 중앙에 상기 전극센서(58)와 온도센서(60)에서 감지된 측정치를 전기적인 신호로 인출하기 위한 단자부(7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극센서(58)는 상기 관통홀(58a)을 통해 일단이 상기 에어챔 버(54)의 내부에 배치되어 한 쌍의 전극센서(58)가 상호 통전되면서 세탁수의 전도도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온도센서(60)는 상기 삽입돌기(60a)에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삽입돌기(60a)를 매개로 상기 터브(52)에서 에어챔버(54)로 유입된 세탁수의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용 경도감지센서의 작용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터브(52)에 담수된 세탁수는 입출공(64)을 통해 에어챔버(54)에 유입되고, 이런 세탁수는 경도감지센서의 하우징 본체(66) 상면에 접수되어 한 쌍의 전극센서(58) 및 온도센서(60)에 의해 수질이 감지된다.
즉, 상기 전극센서(58)는 세탁수를 매개로 통전되면서 세탁수의 전도도를 검출하고, 상기 온도센서(60)는 삽입돌기(60a)를 통해 전도되는 세탁수의 온도를 검출한다.
상기와 같이 검출된 측정치는 하우징 커버(74)에 형성된 단자부(76)를 통해 세탁기 외부로 인출되어 세탁기의 세탁 방법을 선정하는 데 중요한 변수로 이용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 본체(66)의 상면에는 상기 에어챔버(54)에 담수된 세탁수로부터 침전된 이물질에 의해 소정의 두께로 침전층(B)이 형성되나, 이런 이물질은 구형으로 형성된 하우징 본체(66)의 상면을 따라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66)의 상면 중앙에서 상면 가장자리로 이물질이 이동되어 상기 전극센서(58) 및 온도센서(60)가 배치된 하우징 본체(66)의 상면 중앙에는 이물질의 침전층(B)이 형성되지 않는다.
특히, 세탁기의 배수 행정시 배수되는 세탁수에 의해 상기 이물질은 상기 하우징 본체(66)의 상면을 따라 하측으로 씻겨 내려가게 되므로, 침전층(B)의 생성이 더욱 억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경도감지센서는, 세탁수에 함유된 각종 이물질이 상면에 침전되더라도 자중에 의해 상면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고, 세탁기의 배수 행정시 세탁수와 함께 상기 이물질이 씻게 내려가기 용이하므로 침전층의 생성이 억제되는 이점이 있다.
또, 상기 전극센서와 온도센서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면 중 가장 높게 형성된 중앙에 배치되므로, 침전되는 이물질이 상기 전극센서 및 온도센서의 외측에 침전층을 형성하지 못하도록 하여 상기 침전층에 의한 전극센서 및 온도센서의 감도 저하가 방지되고, 그로 인해 세탁수의 경도가 정확하게 검출되는 이점이 있다.
또, 상기와 같이 경도감지센서가 세탁수의 경도를 정확히 감지하면 세탁수의 경도값에 따라 최적의 세탁방법을 정확히 선택할 수 있고, 세탁기가 설정된 세탁방법으로 구동되므로 세탁 효율이 최상의 상태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터브의 하부에 형성된 에어챔버의 하부에 상부가 수직하게 삽입되고, 상기 에어챔버에 형성된 입출공으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경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전극센서와 온도센서가 상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기 전극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의 미설치 부위는 상기 전극센서와 상기 온도센서가 설치된 부위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전극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의 미설치 부위 중에서 가장 낮은 부위는 상기 입출공의 상부보다는 낮고 상기 입출공의 하부보다는 높은 위치에 배치된 세탁기의 경도감지센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도감지센서는, 상기 에어챔버의 저면에 상부가 삽입되고 상면의 일부가 상향 돌출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돌출된 부분의 일측에 수직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전극센서와; 상기 하우징의 돌출된 부분의 타측에 수직하게 융기된 삽입돌기의 내측에 배치된 온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상면은, 상기 돌출 부분에서 상면의 가장자리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상면의 가장자리는 상기 입출공의 상부보다 낮고 상기 입출공의 하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세탁기의 경도감지센서.
KR1020060138593A 2006-12-29 2006-12-29 세탁기의 경도감지센서 KR100791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593A KR100791436B1 (ko) 2006-12-29 2006-12-29 세탁기의 경도감지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593A KR100791436B1 (ko) 2006-12-29 2006-12-29 세탁기의 경도감지센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5592A Division KR100712901B1 (ko) 2002-11-28 2003-01-28 세탁기의 경도감지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7243A KR20070007243A (ko) 2007-01-15
KR100791436B1 true KR100791436B1 (ko) 2008-01-04

Family

ID=37871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8593A KR100791436B1 (ko) 2006-12-29 2006-12-29 세탁기의 경도감지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143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93774U (ko) * 1973-12-26 1975-08-06
KR960023447A (ko) * 1994-12-10 1996-07-20 이헌조 세탁기의 배수제어장치 및 방법
KR19990051585A (ko) * 1997-12-19 1999-07-05 윤종용 드럼세탁기
KR19990051586A (ko) * 1997-12-19 1999-07-05 윤종용 드럼세탁기
KR19990079425A (ko) * 1998-04-06 1999-11-05 윤종용 드럼 세탁기의 수위 감지센서
KR20010054769A (ko) * 1999-12-08 2001-07-02 구자홍 세탁기의 수질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93774U (ko) * 1973-12-26 1975-08-06
KR960023447A (ko) * 1994-12-10 1996-07-20 이헌조 세탁기의 배수제어장치 및 방법
KR19990051585A (ko) * 1997-12-19 1999-07-05 윤종용 드럼세탁기
KR19990051586A (ko) * 1997-12-19 1999-07-05 윤종용 드럼세탁기
KR19990079425A (ko) * 1998-04-06 1999-11-05 윤종용 드럼 세탁기의 수위 감지센서
KR20010054769A (ko) * 1999-12-08 2001-07-02 구자홍 세탁기의 수질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7243A (ko) 2007-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30894A (ko) 수위 감지 장치, 이를 포함하는 급수 호스 및 세탁기
CN108699826A (zh) 水洗式便器
US7475574B2 (en) Washing machine with sensor means
KR100457578B1 (ko) 세탁기의 전도도 센서
KR100997757B1 (ko) 수수조 온도감지장치가 구비된 강수량계
KR100791436B1 (ko) 세탁기의 경도감지센서
KR100712901B1 (ko) 세탁기의 경도감지센서
CN108474203B (zh) 水洗式便器
KR100680196B1 (ko) 세탁기의 수질감지센서
CN109645913B (zh) 水槽式洗碗机的冷凝装置及溢流检测方法、水槽式洗碗机
CN211213016U (zh) 一种洗碗机的溢流保护系统及洗碗机
KR20070059414A (ko) 세탁기의 경도 감지센서
KR100452385B1 (ko) 세탁기의 수질감지기구
KR100992640B1 (ko) 세탁기의 세제량 감지장치
CN205474446U (zh) 波轮洗衣机
JP3174859U (ja) 冠水検出センサ
KR100479089B1 (ko) 세탁기의 전극 센서
KR20070059413A (ko) 세탁기의 수질감지구조
KR100360433B1 (ko) 기울어진 세탁기의 수위 감지 장치
KR100844156B1 (ko)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
CN209574613U (zh) 一种洗碗机内胆的溢流报警结构
TWI624653B (zh) 流體採樣箱以及流體監測站
JP5487713B2 (ja) 洗濯機
KR100971020B1 (ko) 세탁기의 세제량 판단방법
KR100457577B1 (ko) 세탁기의 전극 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12